KR101536890B1 -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890B1
KR101536890B1 KR1020150081201A KR20150081201A KR101536890B1 KR 101536890 B1 KR101536890 B1 KR 101536890B1 KR 1020150081201 A KR1020150081201 A KR 1020150081201A KR 20150081201 A KR20150081201 A KR 20150081201A KR 101536890 B1 KR101536890 B1 KR 101536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ase
luminous
sealing
bas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태석
Original Assignee
하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79327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3689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하태석 filed Critical 하태석
Priority to KR1020150081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8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피부에 접촉되는 내측면과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함침되는 미용성분과; 미용성분과 혼합되지 않도록 베이스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UV베이스층과; UV베이스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야광표현층; 및 야광표현층을 덮도록 형성되는 UV밀봉층을 포함하고, UV베이스층과 UV밀봉층은, 야광표현층이 UV베이스층과 UV밀봉층 사이에서 밀폐되도록 야광표현층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MASK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마스크 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 미용을 위해 얼굴 등에 착용되는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얼굴 피부 관리를 위한 마스크 팩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마스크 팩은 얼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부직포 재질의 시트에 보습, 미백, 영양 공급 효과 등이 있는 다양한 성분의 에센스 제형의 액상을 함침시킨 형태로 제조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7697호(공개일: 2010년 12월 31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마스크 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착용자에게 착용의 재미를 더해 소비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으면서도 야광안료가 피부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스크 팩은: 피부에 접촉되는 내측면과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함침되는 미용성분과; 상기 미용성분과 혼합되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UV베이스층과; 상기 UV베이스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야광표현층; 및 상기 야광표현층을 덮도록 형성되는 UV밀봉층을 포함하고, 상기 UV베이스층과 상기 UV밀봉층은, 상기 야광표현층이 상기 UV베이스층과 상기 UV밀봉층 사이에서 밀폐되도록 상기 야광표현층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야광표현층은, 야광안료가 상기 UV베이스층의 표면에 도포되어 형성되고; 상기 UV밀봉층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야광표현층에서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광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UV베이스층과 상기 UV밀봉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도포되는 자외선 경화 잉크가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어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UV베이스층 및 상기 UV밀봉층은, 상기 베이스에 상기 미용성분이 함침되기 전에 상기 베이스에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UV베이스층은,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에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인쇄되어 형성되고; 상기 야광표현층은, 상기 형상이미지와 동일 또는 상이한 야광이미지를 표현하도록 야광안료가 상기 UV베이스층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은: 베이스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에 UV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UV베이스층의 표면에 야광표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야광표현층을 덮도록 UV밀봉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에 수용성의 미용성분을 함침시켜 미용성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UV밀봉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야광표현층이 상기 UV베이스층과 상기 UV밀봉층 사이에서 밀폐되도록 상기 UV밀봉층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야광표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UV베이스층의 표면에 야광안료를 도포하여 상기 야광표현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UV밀봉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UV베이스층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야광표현층을 덮도록 자외선 경화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 및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 잉크를 경화시켜 상기 UV밀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UV밀봉층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야광표현층에서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광성을 갖도록 상기 UV밀봉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UV베이스층은,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에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자외선 경화 인쇄 방식으로 인쇄되어 형성되고; 상기 야광표현층은, 상기 형상이미지와 동일 또는 상이한 야광이미지를 표현하도록 야광안료가 상기 UV베이스층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UV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에 상기 미용성분이 함침되기 전에 상기 UV베이스층을 상기 베이스에 인쇄하고; 상기 UV밀봉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야광표현층이 상기 UV베이스층의 표면에 형성된 후 상기 야광표현층이 상기 UV베이스층과 상기 UV밀봉층 사이에서 밀폐되도록 상기 UV밀봉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마스크의 외측면에 인물이나, 동물, 또는 다양한 캐릭터의 얼굴과 같은 형상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하는 한편, 어두운 곳에서 야광이미지가 밝게 빛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마스크 팩의 미관을 더욱 아름답게 꾸밀 수 있고, 착용자에게 착용의 재미를 더해 소비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표현층과 UV밀봉층 사이에서 야광표현층이 밀폐되도록 UV밀봉층이 야광표현층의 외측에 덮여 이루어지는 밀폐구조를 통해 야광안료와 피부와의 접촉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야광안료가 피부와 접촉되어 피부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 자극이 적으면서도 피부에 대한 밀착력이 우수하고, 투명감 및 광택감이 뛰어날 뿐 아니라, 수분 증발 억제력이 뛰어나 미용성분을 오랫동안 머금을 수 있어 피부에 많은 영양분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마스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의 외측면에 동물이나 인물, 또는 다양한 캐릭터의 얼굴과 같은 형상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타인에게 노출되었을 때 혐오스러운 외관이 아닌 착용자의 취향에 따른 개성 있는 다양한 형태의 모습을 연출할 수 있어 착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에 사용된 성분이 고체의 폴리머 형태로 경화되어 수용성의 미용성분과 혼합되지 않으므로, 인쇄에 사용된 성분이 피부에 접촉, 침투되는 미용성분에 혼합되어 피부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염려가 없을 뿐 아니라, 안정적이고 우수한 인쇄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 경화 인쇄 방식으로 형상이미지를 인쇄함으로써, 인쇄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경도 및 탄성이 우수한 높은 품질의 마스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마스크 팩 제조 전 상태의 베이스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의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베이스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베이스에 자외선 경화 잉크가 도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베이스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 잉크가 경화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야광표현층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형상이미지층에 UV밀봉층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베이스에 미용성분층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야광표현층이 발광된 마스크 팩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100)은, 피부 미용을 위해 얼굴 등과 같은 신체에 착용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베이스(110)와, 미용성분(120)과, UV베이스층(130)과, 야광표현층(140) 및 UV밀봉층(1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스크 팩(100)이 얼굴에 착용되기 위한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베이스(110)는, 마스크 팩(100)을 착용하는 착용자의 피부 내에 미용성분(120)을 공급하기 위해 신체에 접촉, 고정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공된다. 이러한 베이스(110)는, 수용성 액체의 흡수가 가능한 부직포, 천, 망사 등과 같은 원단을 이용하여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110)는 천연소재로서 수분 흡수성과 착용감이 좋은 면(綿) 100% 재질의 원단 또는 친환경소재로서 수분 흡수성과 밀착성, 착용감이 우수하고 투명감을 갖는 소재인 기능성 큐프라(Cupra)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베이스(110)는, 피부 자극이 적으면서도 피부에 대한 밀착력이 우수하고, 투명감 및 광택감이 뛰어날 뿐 아니라, 수분 증발 억제력이 뛰어나 미용성분(120)을 오랫동안 머금고 있어 피부에 많은 영양분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미용성분(120)은, 베이스(110)에 함침되어 미용성분층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미용성분층을 형성하는 미용성분(120)은, 얼굴 등의 피부에 침투되는 영양 성분을 포함하며, 마스크 팩(100)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미용 목적에 따라 정제수에 다양한 영양 성분이 첨가된 재료가 혼합, 첨가된 액체 또는 겔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액체 또는 겔 타입으로 형성된 미용성분(120)은, 수용성 액체의 흡수가 가능한 원단으로 형성된 베이스(110)에 도포되면 베이스(110)에 스며들어 함침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미용성분(120)가 베이스(110)에 스며들어 함침됨으로써, 피부와 접촉되는 베이스(110)의 내측면에 미용성분층이 형성될 수 있다.
UV베이스층(130)은, 베이스(110)의 외측면에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UV베이스층(130)은, 착용자가 마스크 팩(100)을 착용하였을 때, 외부로 보여지는 부분에 형상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UV베이스층(130)에 의해 표현되는 형상이미지는, 동물의 얼굴, 인물의 얼굴을 실사 크기로 표현한 이미지, 그 외 다양한 캐릭터의 얼굴을 표현한 형태 중 하나일 수 있다.
즉 UV베이스층(130)은, 착용자가 마스크 팩(100)을 착용하였을 때 외부로 보여지는 부분에 인물의 얼굴과 같은 형상이미지가 보여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UV베이스층(130)은, 베이스(110)의 외측면에 형상이미지가 인쇄되어 형성되되, 인쇄에 이용되는 용제(溶劑)가 베이스(110)에 함침된 미용성분(120)과 혼합되지 않도록 인쇄되어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UV베이스층(130)은, 자외선 경화 인쇄 방식으로 인쇄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UV베이스층(130)은, 자외선 경화 잉크(Ultraviolet cure ink)가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베이스(110)의 외측면에 도포되고, 도포된 자외선 경화 잉크가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방법으로 인쇄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UV베이스층(130)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자외선 경화 잉크는, 중합성 단량체인 액상의 모노머(Monomer)와 단위체가 낮은 정도로 중합되어 생성되는 중합체인 액상의 올리고머(Oligomer), 광개시제 등이 혼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형성되는 자외선 경화 잉크는, 액체 상태로 도포된 상태에서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자외선의 높은 에너지를 받게 되면 광 중합에 의해 딱딱한 고체 상태로 경화되는 특성이 있다. UV베이스층(130)은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베이스(110)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 잉크가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UV베이스층(130)은, 베이스(110)에 미용성분층이 형성되기 전에 베이스(110)에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베이스(110)에 함침된 미용성분층의 미끈미끈한 미용성분(120)으로 인해 UV베이스층(130)의 인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함이다.
야광표현층(140)은, 상기와 같이 베이스(110)의 외측면에 형성된 UV베이스층(130)의 표면에 형성된다. 야광표현층(140)은, 야광안료가 UV베이스층(130)의 표면에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야광표현층(140)은, 입자의 크기가 약 15~45㎛ 정도인 야광안료를 자외선 경화 잉크 또는 투명잉크에 섞어 제조한 야광잉크를 이용하여 자외선 경화 인쇄 방식 또는 실크 인쇄 방식으로 UV베이스층(130)의 표면에 인쇄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야광표현층(140)은, 태양광과 형광체 등의 빛을 흡수, 축적하고, 이와 같이 축적된 빛을 어두운 곳에서 서서히 방출하여 발광될 수 있다.
이러한 야광표현층(140)은, UV베이스층(130)의 형상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를 표현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UV베이스층(130)의 형상이미지와 상이한 야광이미지를 표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야광표현층(140)이 형상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를 표현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야광표현층(140)은 어두운 곳에서 형상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가 빛나도록 하며, 야광표현층(140)이 형상이미지와 상이한 이미지를 표현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야광표현층(140)은 형상이미지와 다른 별개의 이미지가 어두운 곳에서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UV밀봉층(150)은, 야광표현층을 덮도록 형성된다. UV밀봉층(150)은, UV베이스층(130)의 표면에 형성된 야광표현층(140)이 UV베이스층(130)과 UV밀봉층(150) 사이에서 밀폐되도록 야광표현층(140)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UV밀봉층(150)은, 야광표현층(140)의 외측에 덮여 야광표현층(140)이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는 한편, 베이스(110) 또는 미용성분(120)을 통해 피부 또는 다른 사물에 접촉되지 않도록 야광표현층(140)을 UV베이스층(130)과 UV밀봉층(150) 사이에서 밀폐시킨다.
그리고 UV밀봉층(150)의 적어도 일부분은, 야광표현층(140)에서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광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는 투광성이 빛을 30% 이상 투과시키는 상태인 것으로 정의되고, 불투광성이 빛을 30% 이상 투과시키지 못하는 상태인 것으로 정의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UV밀봉층(150)은, 야광표현층(140)에 대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야광표현층(140)에서 발광되는 빛이 마스크 팩(100)의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광표현층(140)을 통한 야광이미지의 표현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서 UV밀봉층(150)은, 그 전체가 투광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야광표현층(140)에서 표현되는 야광이미지 그 자체가 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UV밀봉층(150)은, 투광성을 갖는 부분이 특정한 문양, 문자 등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야광표현층(140)에서 발광되는 빛이 이와 같이 특정한 문양, 문자 등을 이루도록 형성된 부분을 통해서만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야광표현층(140)과 UV밀봉층(150)의 조합을 통해 야광이미지가 표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UV밀봉층(150)은, 그 자체가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형성됨으로써, UV베이스층(130)과 함께 마스크 팩(100)을 장식하는 장식면의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UV밀봉층(150)은, UV베이스층(130)의 인쇄 형태와 마찬가지로 자외선 경화 인쇄 방식으로 인쇄될 수 있다. 이 경우 투과성을 갖는 자외선 경화 잉크가 자외선 경화 인쇄에 사용될 수 있다.
그 외에 UV밀봉층(150)의 형성은, 자외선 경화 인쇄 방식이 아닌 코팅, 증착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투과성을 갖는 얇은 필름이 부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UV밀봉층(150)의 형성은, UV밀봉층(150)이 베이스(110) 전체를 덮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고, UV밀봉층(150)이 야광표현층(140) 및 이 야광표현층(140)이 형성된 UV베이스층(130)의 표면만을 덮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UV베이스층(130)과 UV밀봉층(150)은, 밀폐 대상이 되는 야광표현층(140)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UV베이스층(130)과 UV밀봉층(150)은, 야광표현층(140)을 사방으로 둘러싸며 야광표현층(140)에 대한 밀폐력이 향상되도록 하며, 인쇄 과정에서 공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야광표현층(140)을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도 3은 마스크 팩 제조 전 상태의 베이스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의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베이스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6은 베이스에 자외선 경화 잉크가 도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베이스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 잉크가 경화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은 야광표현층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형상이미지층에 UV밀봉층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베이스에 미용성분층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은 야광표현층이 발광된 마스크 팩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마스크 팩(100; 도 1 참조)을 제조하기 위해, 먼저 베이스(110)를 마련한다(S10). 베이스(110)의 재료로서, 수용성 액체의 흡수가 가능한 부직포, 천, 망사 등과 같은 원단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110)는 천연소재로서 수분 흡수성과 착용감이 좋은 면(綿) 100% 재질의 원단 또는 친환경소재로서 수분 흡수성과 밀착성, 착용감이 우수하고 투명감을 갖는 소재인 기능성 큐프라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베이스(110)는, 피부 자극이 적으면서도 피부에 대한 밀착력이 우수하고, 투명감 및 광택감이 뛰어날 뿐 아니라, 수분 증발 억제력이 뛰어나 미용성분(120)을 오랫동안 머금고 있어 피부에 많은 영양분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된 베이스(110)의 외측면에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UV베이스층(130)을 형성한다(S20).
상기와 같은 UV베이스층(130)에 의해 표현되는 형상이미지는, 사람 얼굴, 예를 들어 인물의 얼굴을 실사 크기로 표현한 이미지, 동물의 얼굴, 그 외 다양한 캐릭터의 얼굴을 표현한 형태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때 UV베이스층(130)의 형성은, 인쇄에 이용되는 용제가 미용성분층을 이루는 미용성분(120)과 혼합되지 않도록 형상이미지를 베이스(110)에 인쇄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UV베이스층(130)을 형성하기 위한 형상이미지의 인쇄는, 자외선 경화 인쇄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먼저 마련된 베이스(110)의 외측면에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자외선 경화 잉크를 도포한다(S21). 이와 같이 도포되는 자외선 경화 잉크는, 중합성 단량체인 액상의 모노머(Monomer)와 단위체가 낮은 정도로 중합되어 생성되는 중합체인 액상의 올리고머(Oligomer), 광개시제 등이 혼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경화 잉크가 도포된 영역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베이스(110)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 잉크를 경화시킨다(S23).
자외선 경화 잉크가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베이스(110)에 도포된 후, 상기와 같이 도포된 자외선 경화 잉크에 강한 에너지를 갖는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면, 자외선은 자외선 경화 잉크의 표면에 도달한 후 자외선 경화 잉크의 전 방향으로 방사된다.
이와 같이 방사된 자외선에 의해 광개시제가 여기되며, 여기된 광개시제는 광 중합 반응을 연속적으로 일으켜 자외선 경화 잉크의 주성분인 모노머와 올리고머가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순간적으로 광 중합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이와 같이 일어나는 광 중합에 의해, 자외선 경화 잉크의 주성분을 이루는 액상의 모노머와 올리고머가 고체의 폴리머(Polymer) 형태로 중합되고, 이에 따라 액체 상태로 도포되어 있던 자외선 경화 잉크는 딱딱한 고체 형태로 경화된 인쇄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경화된 자외선 경화 잉크에 의해 형성된 인쇄층은, 경화 속도가 빠르고, 경도가 높을 뿐 아니라, 탄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자외선 경화 잉크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인쇄층은, 인쇄에 사용된 물질이 분해되어 나올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인쇄 방법에 따르면, 원료가 되는 수지 성분을 희석제나 용제를 이용하여 녹여 제조한 수성 또는 유성 잉크를 부직포 원단에 도포한 후, 열 또는 바람 등을 이용하여 용제 또는 희석제가 날아가고 수지 성분만 남도록 건조시킴으로써 인쇄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종래 인쇄 방법에 따르면, 베이스를 이루는 부직포 원단이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합성수지 성분을 적어도 50%이상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되어야 인쇄가 가능하며, 인쇄층 형성 후 벗겨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자외선 경화 인쇄 방법에 따르면, 자외선 경화 잉크의 주성분인 모노머와 올리고머를 순간적으로 폴리머 상태로 경화시킴으로써 인쇄층을 하는 것으로서, 건조가 아닌 경화 방식으로 인쇄층을 형성하므로 인쇄층을 형성한 잉크 성분이 다시 녹거나 분해되지 않을 뿐 아니라, 인체에 해로운 용제나 희석제를 사용하지 않고 여러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인쇄된 인쇄층에 의해 형성된 UV베이스층(130)은, 경화 속도가 빨라 인쇄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하고, 경도가 높아 쉽게 긁히거나 벗겨질 염려가 없을 뿐 아니라, 탄성이 높아 마스크 팩(100)의 형상 변형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유해물질이 분해되어 나오거나 수용성의 미용성분(120)과 혼합될 염려가 없어 매우 안정적인 인쇄결과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UV베이스층(130)을 형성하는 자외선 경화 인쇄 방법은, 베이스(110)가 인체에 자극이 적은 면(綿) 100%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베이스(110)가 큐프라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UV베이스층(130)의 형성이 완료되면,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베이스층(130)의 표면에 야광표현층(140)을 형성한다(S30).
야광표현층(140)의 형성은, 야광안료가 UV베이스층(130)의 표면에 도포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입자의 크기가 약 15~45㎛ 정도인 야광안료를 자외선 경화 잉크 또는 투명잉크에 섞어 제조한 야광잉크를 이용하여 자외선 경화 인쇄 방식 또는 실크 인쇄 방식으로 UV베이스층(130)의 표면에 인쇄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야광표현층(140)은 태양광과 형광체 등의 빛을 흡수, 축적하고, 이와 같이 축적된 빛을 어두운 곳에서 서서히 방출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 UV베이스층(130)의 형상이미지와 동일 또는 상이한 야광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다.
일례로서 야광표현층(140)은, UV베이스층(130)의 형상이미지가 어두운 곳에서 반짝이도록 야광이미지를 표현할 수도 있고, UV베이스층(130)의 형상이미지에 비즈 장식, 문자 등과 같은 장식 문양이 더해져 반짝이는 야광이미지를 표현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야광표현층(140)은, UV베이스층(130)의 형상이미지와 상이한 야광이미지, 예를 들어 UV베이스층(130)의 형상이미지가 평상시의 사람 얼굴을 표현하고 있다고 할 때, 어두운 곳에서 사람의 웃는 얼굴이 나타나도록 야광이미지를 표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어두운 곳에서의 이러한 야광표현층(140)의 주발광 시간, 즉 확연히 눈에 띄게 밝은 야광이미지가 나타나는 시간을 가장 적합한 마스크 팩(100)의 착용 시간에 대응되게, 예를 들면 약 15~20분 정도로 조절하면, 착용자가 야광이미지가 희미해지는 시점을 보고 마스크 팩(100)의 착용 시간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야광표현층(140)의 형성이 완료되면,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밀봉층(150)을 형성한다(S40).
UV밀봉층(150)은, UV베이스층(130)의 표면에 형성된 야광표현층(140)이 UV베이스층(130)과 UV밀봉층(150) 사이에서 밀폐되도록 야광표현층(140)의 외측에 덮여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UV밀봉층(150)에 의해, UV베이스층(130)의 표면에 형성된 야광표현층(140)은 그 외측을 통해 피부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차단되고, 베이스(110) 또는 미용성분(120)을 통해 피부 또는 다른 사물에 접촉되지 않도록 UV베이스층(130)과 UV밀봉층(150) 사이에서 밀폐된다.
즉 야광표현층(140)은, 베이스(110) 측을 향한 내측이 UV베이스층(130)에 의해 차단되고 그 반대편이 UV밀봉층(150)에 의해 차단되면서 이미지표현층(130)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UV밀봉층(150)에 의해 UV베이스층(130)과 UV밀봉층(150) 사이에서 밀폐됨으로써, 그 외측을 통한 피부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차단되는 것은 물론, 외부로 묻어나거나 새어나오지 않도록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써 야광표현층(140)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야광안료와 피부와의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때 UV베이스층(130)과 UV밀봉층(150)은, 밀폐 대상이 되는 야광표현층(140)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UV베이스층(130)과 UV밀봉층(150)은, 야광표현층(140)을 사방으로 둘러싸며 야광표현층(140)에 대한 밀폐력이 향상되도록 하며, 인쇄 과정에서 공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야광표현층(140)을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UV밀봉층(150)은, 적어도 일부분이 야광표현층(140)에서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광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일례로서 UV밀봉층(150)은, 그 전체가 투광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야광표현층(140)에서 표현되는 야광이미지 그 자체가 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UV밀봉층(150)은, 투광성을 갖는 부분이 특정한 문양, 문자 등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야광표현층(140)에서 발광되는 빛이 이와 같이 특정한 문양, 문자 등을 이루도록 형성된 부분을 통해서만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야광표현층(140)과 UV밀봉층(150)의 조합을 통해 야광이미지가 표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UV밀봉층(150)은, 그 자체가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형성됨으로써, UV베이스층(130)과 함께 마스크 팩(100)을 장식하는 장식면의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UV밀봉층(150)은, UV베이스층(130)의 인쇄 형태와 마찬가지로 자외선 경화 인쇄 방식으로 인쇄되며, 투과성을 갖는 자외선 경화 잉크가 자외선 경화 인쇄에 사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다른 예로서, 자외선 경화 인쇄 방식이 아닌 코팅, 증착, 투과성을 갖는 얇은 필름이 부착되는 형태로 UV밀봉층(150)의 형성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UV밀봉층(150)의 형성은, UV밀봉층(150)이 베이스(110) 전체를 덮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고, UV밀봉층(150)이 야광표현층(140) 및 이 야광표현층(140)이 형성된 UV베이스층(130)의 표면만을 덮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UV밀봉층(150)의 형성이 완료되면,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에 미용성분(120)을 함침시켜 미용성분층을 형성한다(S50).
미용성분층의 형성은 액체 또는 겔 타입으로 형성된 미용성분(120)을 수용성 액체의 흡수가 가능한 부직포, 천, 망사 등과 같은 원단으로 형성된 베이스(110)에 도포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베이스(110)에 도포된 미용성분(120)이 베이스(110)에 스며들어 함침됨으로써 베이스(110)에 미용성분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미용성분층을 이루며 베이스(110)에 함침된 미용성분(120)은, 피부와 접촉시 피부에 침투되어 그 성분에 따라 목적된 미용 기능을 수행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UV베이스층(130) 및 UV밀봉층(150)의 인쇄에 사용된 성분, 즉 자외선 경화형 잉크 성분과 수용성의 미용성분(120)이 서로 혼합되지 않으므로, 베이스(110)에 미용성분층이 형성되어 UV베이스층(130) 및 UV밀봉층(150)과 접촉되어도 미용성분(120)과 UV베이스층(130) 및 UV밀봉층(150) 서로 간에 미치는 영향이 없게 된다.
또한 야광표현층(140)은 UV베이스층(130)과 UV밀봉층(150) 사이에 밀폐되어 베이스(110) 및 미용성분(120)과의 접촉이 차단된 상태이므로, 미용성분(120)과 야광표현층(140) 간에도 서로 미치는 영향이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인쇄에 사용된 성분이 미용성분(120)과 혼합되어 피부에 영향을 미칠 염려가 없고, UV베이스층(130)에서 표현된 형상이미지가 미용성분(120)과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그 형태가 망가지지 않고 최초 인쇄된 결과의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인쇄 품질이 높은 마스크 팩(10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에 따라 마스크 팩(100)의 제조가 완료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의 외측면에 재미있는 형태의 형상이미지가 표현된 다양한 형태의 마스크 팩(100)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두운 곳에서 야광이미지를 밝게 표현할 수 있는 마스크 팩(10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마스크의 외측면에 인물이나, 동물, 또는 다양한 캐릭터의 얼굴과 같은 형상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하는 한편, 어두운 곳에서 야광이미지가 밝게 빛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마스크 팩의 미관을 더욱 아름답게 꾸밀 수 있고, 착용자에게 착용의 재미를 더해 소비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UV베이스층(130)과 UV밀봉층(150) 사이에서 야광표현층(140)이 밀폐되도록 UV밀봉층(150)이 야광표현층(140)의 외측에 덮여 이루어지는 밀폐구조를 통해 야광안료와 피부와의 접촉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야광안료가 피부와 접촉되어 피부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피부 자극이 적으면서도 피부에 대한 밀착력이 우수하고, 투명감 및 광택감이 뛰어날 뿐 아니라, 수분 증발 억제력이 뛰어나 미용성분(120)을 오랫동안 머금을 수 있어 피부에 많은 영양분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마스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마스크의 외측면에 동물이나 인물, 또는 다양한 캐릭터의 얼굴과 같은 형상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타인에게 노출되었을 때 혐오스러운 외관이 아닌 착용자의 취향에 따른 개성 있는 다양한 형태의 모습을 연출할 수 있어 착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인쇄에 사용된 성분이 고체의 폴리머 형태로 경화되어 수용성의 미용성분(120)과 혼합되지 않으므로, 인쇄에 사용된 성분이 피부에 접촉, 침투되는 미용성분(120)에 혼합되어 피부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염려가 없을 뿐 아니라, 안정적이고 우수한 인쇄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자외선 경화 인쇄 방식으로 형상이미지를 인쇄함으로써, 인쇄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경도 및 탄성이 우수한 높은 품질의 마스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마스크 팩
110 : 베이스
120 : 미용성분
130 : UV베이스층
140 : 야광표현층
150 : UV밀봉층

Claims (10)

  1. 피부에 접촉되는 내측면과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함침되는 미용성분;
    상기 미용성분과 혼합되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UV베이스층;
    상기 UV베이스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야광표현층; 및
    상기 야광표현층을 덮도록 형성되는 UV밀봉층을 포함하고,
    상기 UV베이스층과 상기 UV밀봉층은, 상기 야광표현층이 상기 UV베이스층과 상기 UV밀봉층 사이에서 밀폐되도록 상기 야광표현층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야광표현층은, 야광안료가 상기 UV베이스층의 표면에 도포되어 형성되고;
    상기 UV밀봉층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야광표현층에서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광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3. 제1항에 있어서,
    UV베이스층과 상기 UV밀봉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도포되는 자외선 경화 잉크가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어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베이스층 및 상기 UV밀봉층은, 상기 베이스에 상기 미용성분이 함침되기 전에 상기 베이스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베이스층은,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에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인쇄되어 형성되고;
    상기 야광표현층은, 상기 형상이미지와 동일 또는 상이한 야광이미지를 표현하도록 야광안료가 상기 UV베이스층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6. 베이스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에 UV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UV베이스층의 표면에 야광표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야광표현층을 덮도록 UV밀봉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에 수용성의 미용성분을 함침시켜 미용성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UV밀봉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야광표현층이 상기 UV베이스층과 상기 UV밀봉층 사이에서 밀폐되도록 상기 UV밀봉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야광표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UV베이스층의 표면에 야광안료를 도포하여 상기 야광표현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UV밀봉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UV베이스층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야광표현층을 덮도록 자외선 경화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 및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 잉크를 경화시켜 상기 UV밀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UV밀봉층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야광표현층에서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광성을 갖도록 상기 UV밀봉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UV베이스층은,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에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자외선 경화 인쇄 방식으로 인쇄되어 형성되고;
    상기 야광표현층은, 상기 형상이미지와 동일 또는 상이한 야광이미지를 표현하도록 야광안료가 상기 UV베이스층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V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에 상기 미용성분이 함침되기 전에 상기 UV베이스층을 상기 베이스에 인쇄하고;
    상기 UV밀봉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야광표현층이 상기 UV베이스층의 표면에 형성된 후 상기 야광표현층이 상기 UV베이스층과 상기 UV밀봉층 사이에서 밀폐되도록 상기 UV밀봉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KR1020150081201A 2015-06-09 2015-06-09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536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201A KR101536890B1 (ko) 2015-06-09 2015-06-09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201A KR101536890B1 (ko) 2015-06-09 2015-06-09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890B1 true KR101536890B1 (ko) 2015-07-14

Family

ID=53793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201A KR101536890B1 (ko) 2015-06-09 2015-06-09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8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933B1 (ko) * 2015-09-25 2016-03-08 주식회사 이앤씨 발광이미지가 형성된 마스크팩의 제조 방법
KR101645181B1 (ko) * 2015-11-30 2016-08-03 주식회사 이앤씨 이미지가 형성된 마스크팩의 제조 방법
JP2017042303A (ja) * 2015-08-25 2017-03-02 一心堂本舗株式会社 美容パックシート、美容パックシート製品、及び美容パック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729506B1 (ko) * 2015-08-10 2017-04-24 주식회사 신원피앤피 이미지가 인쇄된 마사지용 마스크팩
KR101828269B1 (ko) 2016-10-11 2018-03-22 주식회사영인실업 문양이 형성된 비열건조방식의 마스크팩 시트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0933A (ko) * 2010-10-20 2012-04-30 방영식 표면 축광 패턴
KR101342925B1 (ko) * 2013-03-13 2013-12-18 (주)에이엘미디어 미용 팩 및 그 제조 방법
JP5379230B2 (ja) * 2008-09-09 2013-12-25 テーザ・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多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521492B1 (ko) * 2014-11-26 2015-05-19 하태석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79230B2 (ja) * 2008-09-09 2013-12-25 テーザ・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多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20040933A (ko) * 2010-10-20 2012-04-30 방영식 표면 축광 패턴
KR101342925B1 (ko) * 2013-03-13 2013-12-18 (주)에이엘미디어 미용 팩 및 그 제조 방법
KR101521492B1 (ko) * 2014-11-26 2015-05-19 하태석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506B1 (ko) * 2015-08-10 2017-04-24 주식회사 신원피앤피 이미지가 인쇄된 마사지용 마스크팩
JP2017042303A (ja) * 2015-08-25 2017-03-02 一心堂本舗株式会社 美容パックシート、美容パックシート製品、及び美容パック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600933B1 (ko) * 2015-09-25 2016-03-08 주식회사 이앤씨 발광이미지가 형성된 마스크팩의 제조 방법
KR101645181B1 (ko) * 2015-11-30 2016-08-03 주식회사 이앤씨 이미지가 형성된 마스크팩의 제조 방법
KR101828269B1 (ko) 2016-10-11 2018-03-22 주식회사영인실업 문양이 형성된 비열건조방식의 마스크팩 시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890B1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546253B1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US11213103B2 (en) Gel nail stick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184087B1 (ko) 듀얼 광(光)경화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US6106852A (en) Temporary tattoo device and method
KR101521492B1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2302549B1 (ko) 젤네일 스티커
KR102208444B1 (ko) 젤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2144406A1 (ja) ネイル装飾方法およびネイルシート部材
KR102418177B1 (ko) 컨실러 패치 및 그 제조 방법, 피부의 미백 케어 화장 방법 및 피부의 여드름 케어 화장 방법
KR101394962B1 (ko) 형광안료를 이용한 손 발톱 장식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1600933B1 (ko) 발광이미지가 형성된 마스크팩의 제조 방법
KR102292158B1 (ko)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44559A (ko) 네일 스티커
KR20210050162A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50165A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2370034B1 (ko) 연장 가능한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KR102369394B1 (ko) 절단 라인을 형성한 연장 젤네일 스티커 전용 이형지와 이를 이용한 연장 가능한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KR20200095007A (ko) 감광 변색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1683844B1 (ko) 향 지속성이 우수한 물전사 타투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
KR101541266B1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50154A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2494162B1 (ko) 금형을 이용한 연장가능한 반경화용 젤네일 스티커의 제조방법
US9944066B2 (en) Printed matt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rinted matter
WO2021220683A1 (ja) 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の梱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4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215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717

Effective date: 20210831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