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549B1 - 젤네일 스티커 - Google Patents

젤네일 스티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549B1
KR102302549B1 KR1020210006122A KR20210006122A KR102302549B1 KR 102302549 B1 KR102302549 B1 KR 102302549B1 KR 1020210006122 A KR1020210006122 A KR 1020210006122A KR 20210006122 A KR20210006122 A KR 20210006122A KR 102302549 B1 KR102302549 B1 KR 102302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lor
laminated
nail
gel 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석
김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그램
Priority to KR1020210006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01Self adhesive nail coating blan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1/00Artificial n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0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organic plastics, horn or similar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반경화 상태의 젤네일 스티커의 제조과정이나 유통과정에서 자연광에 의해 경화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음에 따라 착용감과 지속력이 우수하고, 다양한 디자인을 갖고 광이 각각 투과되는 복수의 디자인 층이 형성됨에 따라 심미적 아름다움이 뛰어난 젤네일 스티커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젤네일 스티커는 손톱에 크기에 대응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손톱 상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폴리우레탄층과, 상기 폴리우레탄층 상에 적층 형성되며 바탕색을 위한 컬러 또는 디자인을 위한 패턴이 표현되는 컬러층과, 상기 컬러층 상에 적층 형성되며 1차 심미성 표현을 위해 박지가 포함되는 별색인쇄층과, 상기 별색인쇄층 상에 적층 형성되며 2차 심미성 표현을 위해 글리터 분말이 포함되는 안료인쇄층과, 상기 안료인쇄층 상에 적층 형성되며 광개시제, 모노머 및 올리고머가 포함되는 UV반응층과, 상기 UV반응층 상에 적층 형성되며 열경화수지, 광개시제, 모노머, 올리고머, 실리콘 소포제가 포함되는 LED반응층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젤네일 스티커{GEL NAIL STICKER}
개시된 내용은 손톱 치장을 위해 반경화 상태로 손톱 상에 부착되는 젤테일 스티커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은 인간의 본성 중 하나로, 이를 위한 미용산업은 점차적으로 발전됨과 동시에 다양하게 세분화되고 있으며, 20세기 이후 급격하게 시장이 확대되면서 일반인들에게도 이러한 미용산업은 대중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미용산업 중에서 네일아트(Nail Art)는 미용 예술의 한 분야로서 인간의 신체를 심미적으로 아름답게 가꾸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네일의 길이나 모양 또는 컬러는 그 시대의 다양한 문화와 가치를 반영하여 표현되고 있으며, 젊은 세대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령대의 여성들에게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남성들의 이용 또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네일아트는 다양한 컬러의 액상의 매니큐어를 손톱이나 발톱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액상의 매니큐어를 도포하는 방법은 도포 후 이를 건조시키는데 비교적 오랜 시간이 소요될 뿐만아니라, 건조 후에도 약한 내구성으로 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불편함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액상의 매니큐어가 갖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건식 네일 스티커가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건식 네일 스키터는 대부분 액상의 매니큐어와 동일한 원료로 제조된 필름이기 때문에 부착 후 약한 내구성으로 인해 지속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뛰어난 인조 네일 역시 공지되어 있지만 유연성과 신축성이 부족해 착용감과 부착성이 떨어져 손톱에 자연스럽게 안착되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손톱에서 인조 네일이 분리되는 단점이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문제점들로 인해 UV 경화 수지가 포함된 액상의 매니큐어를 손톱 또는 발톱에 도포한 후 이를 UV램프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경화시키는 젤 네일(ultraviolet gel nail)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젤 네일 역시 액상의 안료를 손톱 및 발톱에 도포한 후 UV발광장치를 이용하여 강제로 경화시키는 등 그 과정이 복잡하며, 다양한 형상의 무늬 등을 포함할 경우 그 과정이 더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반경화 상태의 젤네일 스티커가 각광받고 있는데, 이 젤네일 스티커는 반경화 상태로 부착됨에 따라 착용감과 부착성이 우수하고 UV광원장치는 물론 UV가 포함된 자연광에서도 경화가 가능해 내구성 또한 우수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반경화 상태의 젤네일 스티커가 제조과정이나 유통과정에서 자연광에 노출될 경우 딱딱하게 경화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손톱에 부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한 층으로 디자인된 단조로운 디자인으로 인해 심미적인 아름다움이 떨어지고, 사용자가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며 따라서 빈번한 젤네일 교체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97203호(2017.11.07)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82174호(2018.07.20)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24666호(2019.09.18)
반경화 상태의 젤네일 스티커의 제조과정이나 유통과정에서 자연광에 의해 경화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을 갖고 광이 각각 투과되는 복수의 디자인 층이 형성된 젤네일 스티커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손톱에 크기에 대응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손톱 상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폴리우레탄층과, 상기 폴리우레탄층 상에 적층 형성되며 바탕색을 위한 컬러 또는 디자인을 위한 패턴이 표현되는 컬러층과, 상기 컬러층 상에 적층 형성되며 1차 심미성 표현을 위해 박지가 포함되는 별색인쇄층과, 상기 별색인쇄층 상에 적층 형성되며 2차 심미성 표현을 위해 글리터 분말이 포함되는 안료인쇄층과, 상기 안료인쇄층 상에 적층 형성되며 단파장개시제, 모노머 및 올리고머가 포함되는 UV반응층과, 상기 UV반응층 상에 적층 형성되며 열경화수지, 장파장개시제, 모노머, 올리고머, 실리콘 소포제가 포함되는 LED반응층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네일 스티커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젤네일 스티커에 의하면, 반경화 상태의 젤네일 스티커의 제조과정이나 유통과정에서 자연광에 의해 경화되는 현상이 방지되게 함과 동시에, 경화처리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음에 따라 착용감과 지속력이 우수하고, 다양한 디자인을 갖고 광이 각각 투과되는 복수의 디자인 층이 형성됨에 따라 심미적 아름다움이 뛰어난 탁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젤네일 스티커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젤네일 스티커의 단면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부분확대 단면도이고, 도 2는 단면도이다.
이하에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젤네일 스티커(1)의 구성부재와, 구성부재 간의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폴리우레탄층(10)이 구비된다. 이 폴리우레탄층(10)은 내구성을 갖고 있어 손톱과 유사한 젤네일 스티커(1)의 전체 형상을 형성하고, 손톱 상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체에 무해한 투명한 필름재질로 제조된다. 이러한 폴리우레탄층(10)은 각각 크기가 다른 다섯 개의 손톱(또는 발톱, 이하 생략함)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다섯 개의 손톱에 각각 부착될 수 있도록 다섯 개가 하나의 세트로 제공되며, 각각의 세트는 사람마다 손톱의 크기가 다른 점을 고려해 선택 가능하도록 다양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폴리우레탄층(10)의 하부면에는 유성점착층(70)이 형성된다. 이 유성점착층(70)은 폴리우레탄층(10)에 접착력을 부여해 폴리우레탄층(10)이 손톱 상에 견고하게 부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유성점착층(70)은 에어홀 공법을 통해 형성되는데, 이는 유성점착층(70)과 폴리우레탄층(10) 사이에 에어홀을 구현해 산소투과율을 높여줌으로써 젤네일 스티커(1)가 손톱에 부착됨에 따른 답답함은 완화되어 통기성 있는 부착감이 제공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러한 유성점착층(70)에는 비타민B5, 비타민E, 칼슘 또는 유칼립스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영양성분이 포함됨으로써 손톱에 유익성분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유성점착층(70)의 하부면에는 유성점착층(70)을 포함한 젤네일 스티커(1)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게 하는 이형필름층(80)이 더 구비되며, 이 이형필름층(80)은 젤네일 스터커가 손톱에 부착되기 직전에 제거된다.
전술한 유성점착층(70) 및 이형필름층(80)이 구비된 폴리우레탄층(10) 상에는 컬러층(20)이 적층 형성되는데, 이 컬러층(20)은 바탕색을 위한 컬러 또는 디자인을 위한 패턴이 표현되게 함과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별색인쇄층(30)의 접착영역이 결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컬러층(20)은 잉크인쇄로 이루어지며 젤네일 스티커(1) 전체의 바탕색이나 소정의 그림이 표현되도록 폴리우레탄층(10) 전체에 형성되는 제 1 컬러층(21)과, 소정의 패턴이 인쇄되게 하거나 별색인쇄층의 접착영역을 결정되도록 제 1 컬러층(21) 상에 랜덤하게 형성되는 제 2 컬러층(22)이 포함된다.
제 2 컬러층(22)은 접착력을 갖는 잉크로 형성됨으로써 별색인쇄층(30)에 포함된 박지가 여기에만 부착되게 하여 컬러층(20) 상에 박지가 너무 많이 부착되거나 또는 너무 적게 부착되지 않게 하도록 박지의 부착 정도가 조절되게 함으로써 편차없이 균일한 심미감이 표현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 2 컬러층(22)이 접착력을 갖지 않고 제 1 컬러층(21)이 접착력을 갖을 수도있으며, 이 경우 제 2 컬러층(22)은 소정의 패턴만 형성하게 되고 제 2 컬러층(22)이 형성되지 않은 제 1 컬러층(21) 영역에만 박지가 부착될 수 있어 보다 선명하고 균일한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컬러층(20) 상에는 별색인쇄층(30)이 적층 형성되는데, 이 별색인쇄층(30)은 컬러층(20)에 부착되는 박지가 포함되어 이를 통해 소정의 심미적 패턴이 형성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별색인쇄층(30)은 컬러층(20) 상에 열을 가하며 롤러를 접촉시킴으로써 형성되는데, 접착력을 갖는 제 1 컬러층(21) 또는 제 2 컬러층(22)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젤네일 스티커(1)마다 다양한 패턴을 갖게 되며, 사용자가 기호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별색인쇄층(30) 상에는 안료인쇄층(40)이 적층 형성되는데, 이 안료인쇄층(40)은 전술한 별색인쇄층(30) 상에서 2차적으로 심미성을 나타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안료인쇄층(40)에는 글리터분말이 포함되며, 또한 UV경화액이 포함되어 있어 안료인쇄층(40) 형성 후 UV광을 조사하여 안료인쇄층(40)을 경화시킨 뒤에 추후에 설명될 UV반응층(50)을 형성한다.
전술한 안료인쇄층(40) 상에는 UV반응층(50)이 적층 형성된다. 이 UV반응층(50)은 반경화 상태의 젤네일 스티커(1)에 UV광원이 조사될 때 경화되게 함과 동시에 경화속도가 제어되게 하고, 젤네일 스티커(1)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거나 스크래치와 같은 흠집이 발생을 방지하며 유연성이 부여되게 하여 부착성 및 지속성이 향상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전체적으로 광택이 유지되게 하는 역할도 한다.
전술한 UV반응층(50)에는 단파장개시제, 모노머 및 올리고머가 포함되는데, 단파장개시제는 자연광에 의해 젤네일 스티커(1)가 경화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고, 올리고머는 젤네일 스티커(1)의 변형이 방지되게 함과 동시에 유연성을 부여하게 된다. 이러한 UV반응층(50)은 단파장개시제, 모노머 및 올리고머가 포함된 상태에서 액상코팅 방식으로 형성되는데, 그 형성 높이는 400미크론인 것으로 한다.
전술한 UV반응층(50) 상에는 LED반응층(60)이 적층 형성되는데, 이 LED반응층(60)은 전술한 UV반응층(50)과 마찬가지로 반경화 상태의 젤네일 스티커(1)에 UV광원이 조사될 때 경화되게 함과 동시에 경화속도가 제어되게 하고, 형성두께와 모양을 달리 함으로써 젤네일 스티커(1)의 심미성이 향상되게 하며, 손톱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부착되게 함과 동시에 부착된 상태에서 지속력이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LED반응층(60)에는 열경화수지, 장파장개시제, 모노머, 올리고머, 실리콘 소포제가 포함된다. 장파장개시제는 자연광에 의해 젤네일 스티커(1)가 경화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는데, 전술한 UV반응층(50)에 비해 파장이 더 긴 빛으로 건조시켜 젤네일 스티커(1)를 사용하게 한다. 그리고 올리고머는 젤네일 스티커(1)의 변형이 방지되게 함과 동시에 유연성이 부여되게 하며, 전술한 실리콘 소포제는 젤네일 스티커(1) 표면에 유막층이 형성되게 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LED반응층(60)은 중앙 측에 비해 양측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중앙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휘어지는 곡률을 증가시켜 사람의 손톱 형상과 보다 흡사하게 형성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LED반응층(60)은 젤네일 스티커(1) 양측으로 돌출되는 만곡부(61)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 만곡부(61)는 손톱과의 지속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젤네일 스티커(1) 경화시 그 둘레가 손톱과 자연스럽게 이어져 부착되어 이어질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LED반응층(60)은 열경화수지, 장파장개시제, 모노머, 올리고머, 실리콘 소포제가 포함된 상태에서 액상코팅 방식으로 형성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측에 비해 양측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그 형성 높이는 500미크론인 것으로 하고, 중앙 측에 비해 양측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경우 500미크론 내외에서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젤네일 스티커에 의하면, 반경화 상태의 젤네일 스티커의 제조과정이나 유통과정에서 자연광에 의해 경화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음에 따라 착용감과 지속력이 우수하고, 다양한 디자인을 갖고 광이 각각 투과되는 복수의 디자인 층이 형성됨에 따라 심미적 아름다움이 뛰어나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젤네일 스티커
10 : 폴리우레탄층
20 : 컬러층
21 : 제 1 컬러층
22 : 제 2 컬러층
30 : 별색인쇄층
40 : 안료인쇄층
50 : UV반응층
60 : LED반응층
61 : 만곡부
70 : 유성점착층
80 : 이형필름층

Claims (5)

  1. 손톱에 크기에 대응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손톱 상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폴리우레탄층;
    상기 폴리우레탄층 상에 적층 형성되며 바탕색을 위한 컬러 또는 디자인을 위한 패턴이 표현되는 컬러층;
    상기 컬러층 상에 적층 형성되며 1차 심미성 표현을 위해 박지가 포함되는 별색인쇄층;
    상기 별색인쇄층 상에 적층 형성되며 2차 심미성 표현을 위해 글리터 분말이 포함되는 안료인쇄층;
    상기 안료인쇄층 상에 적층 형성되며 단파장개시제, 모노머 및 올리고머가 포함되는 UV반응층;
    상기 UV반응층 상에 적층 형성되며 열경화수지, 장파장개시제, 모노머, 올리고머, 실리콘 소포제가 포함되는 LED반응층;
    상기 폴리우레탄층의 하부면에 적층되고 상기 폴리우레탄층이 손톱에 부착될 수 있게 하는 유성점착층; 및
    상기 유성점착층의 하부면에 적층되고 상기 유성점착층이 보호되게 하는 이형필름층이 포함되고,
    상기 컬러층에는 바탕색을 나타내는 제 1 컬러층과, 접착력을 갖는 잉크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컬러층 상에 램덤하게 형성되어 상기 별색인쇄층의 접착영역을 결정하는 제 2 컬러층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네일 스티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성점착층에는 비타민B5, 비타민E, 칼슘 또는 유칼립스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영양성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네일 스티커.
  4. 삭제
  5. 삭제
KR1020210006122A 2021-01-15 2021-01-15 젤네일 스티커 KR102302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122A KR102302549B1 (ko) 2021-01-15 2021-01-15 젤네일 스티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122A KR102302549B1 (ko) 2021-01-15 2021-01-15 젤네일 스티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549B1 true KR102302549B1 (ko) 2021-09-16

Family

ID=77926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122A KR102302549B1 (ko) 2021-01-15 2021-01-15 젤네일 스티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54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034B1 (ko) * 2021-09-30 2022-03-02 홍우식 연장 가능한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KR102369394B1 (ko) * 2021-10-13 2022-03-04 홍우식 절단 라인을 형성한 연장 젤네일 스티커 전용 이형지와 이를 이용한 연장 가능한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KR20230041378A (ko) * 2021-09-17 2023-03-24 초록별팩(주) 젤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55301A (ko) * 2021-10-18 2023-04-25 홍우식 금형을 이용한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KR20230160980A (ko) 2022-05-17 2023-11-27 김대곤 젤네일 스티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649A (ko) * 2015-08-10 2017-02-20 (주)글루가 네일아트용 반경화 젤네일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1882174B1 (ko) 2017-10-13 2018-07-30 주식회사 컨트롤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102024666B1 (ko) 2019-01-31 2019-09-24 (주)선우인더스트리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102024663B1 (ko) * 2019-01-31 2019-09-24 (주)선우인더스트리 젤네일 스티커
KR102194838B1 (ko) * 2020-08-18 2020-12-29 주식회사 내일팀 부착형 젤네일 및 그에 대한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649A (ko) * 2015-08-10 2017-02-20 (주)글루가 네일아트용 반경화 젤네일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1797203B1 (ko) 2015-08-10 2017-11-15 (주)글루가 네일아트용 반경화 젤네일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1882174B1 (ko) 2017-10-13 2018-07-30 주식회사 컨트롤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102024666B1 (ko) 2019-01-31 2019-09-24 (주)선우인더스트리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102024663B1 (ko) * 2019-01-31 2019-09-24 (주)선우인더스트리 젤네일 스티커
KR102194838B1 (ko) * 2020-08-18 2020-12-29 주식회사 내일팀 부착형 젤네일 및 그에 대한 제조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378A (ko) * 2021-09-17 2023-03-24 초록별팩(주) 젤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0755B1 (ko) * 2021-09-17 2024-02-27 초록별팩(주) 젤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0034B1 (ko) * 2021-09-30 2022-03-02 홍우식 연장 가능한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KR102369394B1 (ko) * 2021-10-13 2022-03-04 홍우식 절단 라인을 형성한 연장 젤네일 스티커 전용 이형지와 이를 이용한 연장 가능한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KR20230055301A (ko) * 2021-10-18 2023-04-25 홍우식 금형을 이용한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KR102569603B1 (ko) * 2021-10-18 2023-08-22 홍우식 금형을 이용한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KR20230160980A (ko) 2022-05-17 2023-11-27 김대곤 젤네일 스티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2549B1 (ko) 젤네일 스티커
KR102194838B1 (ko) 부착형 젤네일 및 그에 대한 제조 방법
KR102208444B1 (ko) 젤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84087B1 (ko) 듀얼 광(光)경화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1388254B1 (ko) 네일용 스티커
KR102266629B1 (ko) 젤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2313488B1 (ko) 반경화 젤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3250B1 (ko) 반경화 코팅막 젤층을 포함하는 젤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WO2012144406A1 (ja) ネイル装飾方法およびネイルシート部材
US20050155617A1 (en) Artificial nail containing liquid
KR101536890B1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JP2023078965A (ja) ジェルネイルステッカー及びその製造方法、ジェルネイルステッカーを用いた施術方法
KR102292158B1 (ko)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2293528B1 (ko) 하이브리드 젤네일 스티커
JP7485408B2 (ja) 装飾層が形成された付着型ジェルネイル及びこれの製造方法
KR102494163B1 (ko) 금형을 이용한 연장가능한 완전경화용 젤네일 스티커의 시술방법
JP7164240B1 (ja) ジェルネイルステッカー及びその製造方法、ジェルネイルステッカーを用いた施術方法
KR20230010119A (ko) 연속적 경화율 변형식 젤네일
CN221044382U (zh) 装饰性产品的外表面和装饰性产品
US20230240426A1 (en) Adhesive gel na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7164239B1 (ja) ジェルネイルステッカー及びその製造方法、ジェルネイルステッカーを用いた施術方法
KR20240006761A (ko) 네일 아트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2640755B1 (ko) 젤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14767A (ko) Uv-c 반경화 네일의 제조방법
KR20210050165A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