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489B1 -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 - Google Patents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489B1
KR102623489B1 KR1020230145529A KR20230145529A KR102623489B1 KR 102623489 B1 KR102623489 B1 KR 102623489B1 KR 1020230145529 A KR1020230145529 A KR 1020230145529A KR 20230145529 A KR20230145529 A KR 20230145529A KR 102623489 B1 KR102623489 B1 KR 102623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locking
skin
imag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5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묵
Original Assignee
김병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묵 filed Critical 김병묵
Priority to KR1020230145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에 관한 것으로서, 높은 투명도와 부착력 및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을 구비하여, 피부 자극 없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며, 부직포층에 인쇄된 이미지의 손상이나 변형을 보호하면서도 이미지의 높은 가시성을 유지할 수 있고,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하이드로겔층에 포함되는 기능성 유효 성분으로 인해 피부 보습 및 피부노화방지 효과를 갖는 동시에 하이드로겔층에 형성된 미세흡착패턴으로 인해 우수한 피부 부착력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PATCH FOR SUNSCREEN PRINTED WITH A IMAGE}
본 발명은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면에 이미지가 인쇄된 부직포의 일면 상에, 상기 이미지의 손상이나 변형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을 형성하고, 상기 부직포의 타면 상에 피부 보습 및 피부노화방지용 유효성분을 포함하며 미세흡착패턴이 형성된 하이드로겔층을 형성함으로써, 자외선 차단, 피부노화방지 및 우수한 피부 부착력과 함께 홍보나 응원 도구로서의 효과도 갖는 패치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UV, Ultra Violet)은 피부에 홍반이나, 부종, 주근깨, 피부암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그 파장에 따라, 240~280nm의 파장은 UV-C, 280~320nm의 파장은 UV-B, 320~400nm의 파장 은 UV-A로 분류된다. UV-B는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되어 홍반과 주근깨, 부종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UV-A는 피부의 진피까지 침투하여 피부암과 주름, 멜라닌 형성을 촉진하는 등 피부 노화 및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일광노출의 부작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외선 차단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상당히 증가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자외선 차단을 위한 용도의 크림제, 로션제, 분무형의 액제, 스틱형, 티슈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자외선 차단 화장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장품의 경우 자외선 차단을 위한 유·무기 자외선 차단 성분으로 인한 피부 자극이나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고, 균일하게 피부에 도포되어야 일정하고 균일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균일하게 도포하기가 어렵고, 땀이나 물 등에 의해 지워져 일정 간격으로 수시로 도포해줘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편하게 얼굴에 부착하여 자외선을 차단하는 패치 형태의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6930호는 자외선차단제가 분산된 하이드로겔 매트릭스층과 부직포가 결합된 자외선 차단용 마스크 패치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패치 형태의 제품들의 경우, 자외선 차단 성분이 피부에 직접 닿게 되어 피부 자극의 문제가 여전히 있고, 주로 부착한 채로 실내에서 머무르는 일반적인 마스크팩과 달리 야외 활동 시에 부착한 채로 다양한 활동을 할 때 사용해야 해서, 흔들림이나 표정 변화, 땀 등에 의해 부착력이 약해지면서 잘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얼굴에 부착한 채로 야외 활동을 하기에는, 넓은 면적의 빈 공간이 얼굴을 가리고 있어 미관을 저해하는 요소로 인식되어 사용을 꺼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따라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패치 형태의 장점은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피부 부착력과 자외선 차단 효과, 피부미용 효과뿐만 아니라 미관을 저해하는 요소인 빈 공간의 활용 효과까지 갖는 새로운 자외선 차단용 패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693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외선 차단효과와 피부 부착력이 우수하고, 피부미용 효과도 가지면서, 장식이나 기업의 홍보, 스포츠팀의 응원 등의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자외선 차단용 패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는, 이형처리 된 필름부재; 상기 필름부재 상에 형성된 하이드로겔층; 상기 하이드로겔층 상에 형성되며, 상면에 이미지가 인쇄된 부직포층; 및 상기 부직포층 상에 형성된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은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 실리콘 오일, 라즈베리 오일 및 베이스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은 전체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을 25 내지 30 중량%, 상기 실리콘 오일을 10 내지 15 중량%, 상기 라즈베리 오일을 1 내지 5 중량%, 상기 베이스폴리머를 55 내지 64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은 아보벤존, 옥시벤존, 옥토크릴렌, 호모살레이트, 옥티살레이트, 옥티노세이트 및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폴리머는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계 모노머,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폴리머는 전체 베이스폴리머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65 내지 70 중량%,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를 20 내지 30 중량%, 상기 광개시제를 1 내지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이드로겔층은 전체 하이드로겔층 100 중량%에 대하여 카라기난 1 내지 20 중량%, 한천 1 내지 10 중량%, 잔탄검 1 내지 10 중량%, 보습제 15 내지 20 중량%, 가교제 0.1 내지 1 중량%, 기능성 유효 성분 1 내지 1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능성 유효 성분은 비타민, 나이아신아마이드, 콜라겐, 히알루론산 및 세라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이드로겔층은 상기 필름부재와 접하는 하면에 미세흡착패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는, 높은 투명도와 부착력 및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을 구비하여, 피부에 직접 자외선 차단 성분이 접촉하지 않아 피부 자극 없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고, 부직포층에 인쇄된 이미지의 손상이나 변형을 보호하면서도 이미지의 높은 가시성을 유지할 수 있어, 패치의 빈 공간으로 인한 미관상의 단점을 오히려 장식이나 홍보, 응원 등의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하이드로겔층에 포함되는 기능성 유효 성분으로 인해 피부 보습 및 피부노화방지 효과를 갖는 동시에 하이드로겔층에 형성된 미세흡착패턴으로 인해 우수한 피부 부착력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의 단면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층의 하면 모식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대해 한정되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형처리 된 필름부재(10); 상기 필름부재 상에 형성된 하이드로겔층(20); 상기 하이드로겔층 상에 형성되며, 상면에 이미지가 인쇄된 부직포층(30); 및 상기 부직포층 상에 형성된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40);을 포함하는,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를 제공한다.
상기 필름부재는 상기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를 피부에 부착할 때 상기 하이드로겔층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으로서,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형처리 될 수 있으며,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CPP(casting polypropylene)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하이드로겔층은 점착력 및 신축성이 우수한 고체 또는 반고체의 제형으로서,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의 형태 및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층은 2.0 내지 5.0 mm 두께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이드로겔층의 두께가 2.0 mm 미만이면 미세흡착패턴을 형성하는 제조 과정이나 패치 사용 과정에서 찢어지는 등 손상될 수 있고, 미세흡착패턴을 충분한 깊이로 형성할 수 없어 피부 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층의 두께가 5.0 mm 초과이면 패치의 무게로 인해 피부 부착력이 저하되고, 부착시 이물감이 느껴져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층은 겔화고분자로서 카라기난, 한천 및 잔탄검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습제, 가교제, 기능성 유효 성분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라기난은 홍조류 식물에서 추출한 복합 다당류로, 냉각되면서 랜덤형상의 고분자 사슬이 나선형상으로 전환되어 겔(Gel)을 형성하여 3차원 망상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카라기난은 전체 하이드로겔층(20) 100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한천은 우뭇가사리의 열수추출액의 응고물인 우무를 얼려 건조한 것으로서, 전체 하이드로겔층(20) 100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잔탄검은 검류로서 전체 하이드로겔층(20) 100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glycerin), 피이지-n 캐스터오일(PEG-n Castor Oil) 또는 피이지-m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PEG-m Hydrogenated Castor Oil)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n과 m은 10 내지 100 사이의 값을 가진다. 상기 보습제는 전체 하이드로겔층(20) 100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상기 겔화고분자로서 포함되는 카라기난, 한천 및 잔탄검을 가교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칼슘클로라이드(Calcium chloride), 마그네슘클로라이드(Magnesium chloride), 젖산칼슘(Potassium Lactate) 또는 젖산마그네슘(Magnesium lactat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전체 하이드로겔층(20)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유효 성분은 피부미용을 위한 기능성 성분들로서, 피부미용에 도움이 되며 상기 하이드로겔층에 분산될 수 있는 성분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공지의 피부미용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나이아신아마이드, 콜라겐, 히알루론산 또는 세라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유효 성분은 전체 하이드로겔층(20) 100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층이 피부와 접하게 되는 하면에는 미세흡착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층의 하면 모식도 및 단면도이다. 도 2의 (a) 및 (b)를 참조하면, 미세흡착패턴은 상기 하이드로겔층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음각의 캐비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캐비티는 원기둥 형상 또는 원통형 형상, 혹은 이와 유사한 3차원 형태의 음각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미세흡착패턴은 압착으로 인해 미세흡착패턴 내에 음압이 형성되어 부착력이 발생되는, 이른바 '빨판'으로서 기능하는 것으로서, 이로 인해 상기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를 피부에 부착했을 때 부착력이 현저히 향상되어, 야외 활동이나 땀 등에 의해서 부착력이 약해지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
상기 미세흡착패턴은 캐비티의 입구쪽 지름이 약 10 ㎛ 내지 약 500 ㎛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깊이는 약 1 mm 내지 약 2 m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하이드로겔층 상에는 상면에 이미지가 인쇄된 부직포층(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 하면에 상기 하이드로겔층이 함침 내지 코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부직포는 신축성이 있고 상면에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조직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니들펀칭 또는 스펀레이스된 부직포, 단방향성 부직포나 양방향성 부직포를 포함하며, 실이 엮여져 있는 복합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의 상면에는 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는데, 상기 이미지는 특정 인물이나 장소, 물건의 사진이나 그림, 기업이나 스포츠 팀의 로고, 문구, 캐릭터 등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이미지는 공지의 기술을 적의 선택하여 인쇄될 수 있으며, 실크스크린, 그라비아, 디지털프린트, UV인쇄 등의 방법 등을 이용하여 인쇄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 상에는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은 자외선차단성분을 포함하여, 피부에 자외선차단성분이 직접 도포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게 하면서, 동시에 상기 부직포층 상면에 인쇄된 이미지가 장시간 야외 활동으로 인한 물리적 손상이나 땀, 수분 등에 의해 변형되지 않게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부직포층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부착력과 함께, 상기 이미지 고유의 색상 표현, 인쇄된 이미지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심미적인 효과 및 홍보나 응원 등의 효과가 그대로 선명하게 전달되기 위하여, 높은 투명도와 무색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상기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은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 실리콘 오일, 라즈베리 오일 및 베이스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과 라즈베리 오일은 자외선 차단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것으로서, 이산화타이타늄(TiO2) 또는 산화아연(ZnO)과 같은 무기 자외선 차단성분의 경우에는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에도 불구하고 상기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의 투명도를 현저히 떨어뜨려, 부직포층 상면에 인쇄된 이미지의 가시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은 상기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의 투명도를 떨어뜨리지 않는 한 공지의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을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아보벤존, 옥시벤존, 옥토크릴렌, 호모살레이트, 옥티살레이트 또는 옥티노세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은 전체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 100 중량%에 대하여 약 25 중량% 내지 약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의 함량이 25 중량% 미만이면 자외선 차단 효과가 낮고, 30 중량% 초과하면 상기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의 투명도가 낮아지고, 상기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이 상기 부직포층에 부착되는 부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라즈베리 오일은 자외선 차단지수가 spf 30 내지 50인 천연 자외선 차단성분의 하나로서, 투명하고 높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며,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 특히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와 특정 비율로 함께 사용할 때 분산성 및 투명도가 높고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라즈베리 오일 고유의 색상을 갖고 있어, 상기 부직포층 상면에 인쇄된 이미지의 특징적인 색상이나 심미적인 인상을 왜곡이나 손상할 수 있으므로, 소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즈베리 오일은 전체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 100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내지 약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라즈베리 오일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자외선 차단 효과가 낮고 상기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 내에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의 분산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고, 5 중량% 초과하면 라즈베리 오일 고유의 붉은 색상때문에 상기 부직포층 상면에 인쇄된 이미지의 색상이 왜곡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실리콘오일은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의 분산용제로서, 전체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 100 중량%에 대하여 약 10 중량% 내지 약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의 분산성이 낮아져 균일한 분산이 어렵고, 15 중량% 초과하면 상기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이 상기 부직포층에 부착되는 부착성이 떨어지고, 사용 시 손에 묻어나는 느낌이 있어 사용편의성이 문제가 된다.
상기 베이스폴리머는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 상기 실리콘 오일 및 상기 라즈베리 오일 등의 성분들을 분산 고정하여, 지속적으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상기 부직포층 상면에 인쇄된 이미지의 보호 및 가시성 확보를 위해 상기 부직포층과의 부착력 및 투명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베이스폴리머는 전체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 100 중량%에 대하여 약 55 중량% 내지 약 64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상기 부직포층에 부착되는 부착성이 떨어지고 상기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의 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64 중량% 초과하면 상기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의 자외선 차단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베이스폴리머는 전체 베이스폴리머 100 중량%에 대하여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약 65 중량% 내지 약 70 중량%, 아크릴계 모노머 약 20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및 광개시제 약 1 중량% 내지 약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6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엔 상기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의 물리적인 강도가 저하되어 사용 시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분자간의 가교 구조를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는, 부직포층의 상면에 인쇄된 스포츠 팀의 이미지를 통해, 단순히 자외선 차단 효과뿐만 아니라 스포츠팀의 응원 도구 혹은 자신이 응원하는 스포츠팀과 관련된 용품을 수집하고 사용하고 싶어하는 팬들을 위한 굿즈로서 자외선 차단용 패치의 활용도를 넓힐 수 있고, 야외 활동이나 땀, 수분 등으로부터 이미지의 손상이나 변형을 보호하면서도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 투명도 및 부착력을 갖는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을 구비함으로써, 피부에 직접 자외선 차단 성분의 접촉 없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고, 이미지의 높은 가시성과 장시간 야외 활동이나 땀, 수분 등에 의한 물리적 손상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하이드로겔층에 포함되는 기능성 유효 성분으로 인해 피부 보습 및 피부노화방지 효과를 갖는 동시에 하이드로겔층에 형성된 미세흡착패턴으로 인해 우수한 피부 부착력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준비예 1: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제조
카라기난 10 중량%, 한천 5 중량%, 잔탄검 5 중량%, 글리세린 15 중량%, 칼슘클로라이드 0.5 중량%, 히알루론산 1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고, 온도를 95℃까지 승온하면서 균일하게 교반하여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준비예 2: 일면에 이미지가 인쇄되고 타면에 하이드로겔층이 형성된 부직포의 제조
비스코스레이온 50% + 폴리프로필렌 50%로 구성된 두께 0.2 mm의 합성 부직포의 일면에 디지털프린터로 백색 이미지를 인쇄한 후, 상기 부직포의 타면에 준비예 1에서 제조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반건조 후에 2 m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로 도포한 후, 약 10℃의 온도로 냉각시켜 겔화를 진행한 후에, 상온에서 12시간 건조시켜 점성이 있는 반고체 상태의, 약 2.5 mm 두께의 하이드로겔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
베이스폴리머 100 중량%에 대하여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70 중량%, 아크릴계 모노머 25 중량% 및 광개시제 5 중량%를 포함하는 베이스폴리머 55 중량%,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5 중량%, 실리콘 오일 10 중량%, 라즈베리 오일 5 중량%를 혼합하여 교반 및 탈포 후에, 상기 부직포의 일면에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0.5 mm 두께의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지름 300 ㎛, 길이 1.5 mm의 원통형 양각 구조물이 복수개로 형성된 가열된 열프레스로 상기 하이드로겔층을 압착하여 상기 하이드로겔층에 복수의 미세흡착패턴을 형성한 후, 상기 하이드로겔층에 PET 필름을 롤러로 밀어서 붙이고, 8 cm * 6 cm의 사이즈로 재단하여,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서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대신에 옥토크릴렌 27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0 중량%, 라즈베리 오일 2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5 중량%, 실리콘 오일 15 중량%, 베이스폴리머 55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5 중량%, 라즈베리 오일 3 중량%, 베이스폴리머 62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6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서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대신에 호모살레이트 27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0 중량%, 실리콘 오일 15 중량%, 베이스폴리머 60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5 중량%, 베이스폴리머 50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하이드로겔층에 미세흡착패턴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4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5 중량%, 실리콘 오일 5 중량%, 베이스폴리머 65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5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5 중량%, 실리콘 오일 20 중량%, 라즈베리 오일 1 중량%, 베이스폴리머 54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6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0 중량%, 베이스폴리머 60 중량%를 사용하고, 라즈베리 오일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7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5 중량%, 라즈베리 오일 10 중량%, 베이스폴리머 55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1: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의 이미지 가시성 평가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의 이미지 가시성 평가를 위해, 투명도, 헤이즈 및 색상을 평가하였다.
투명도 및 헤이즈 평가를 위해,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패치의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 샘플을 가로세로 1 cm * 1 cm의 크기로 분리하여 얻고, 상기 샘플들을 탁도측정기(Haze-Meter, NDH-300 A-(주)일본전기)를 이용하여 광선투과도 및 헤이즈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패치의 부직포층에 인쇄된 백색 이미지를 20~30대의 성인 남녀 10명이 육안으로 관찰하여, 백색으로 느껴지는 정도를 0 부터 5까지 점수화하여 측정하고, 측정값들의 평균값을 마찬가지로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측정값은 수치가 클수록 백색에 가까운 것을 의미한다.
상기 준비예 및 비교예의 조성 및 함량(wt%)을 정리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광선투과도(%) 헤이즈(%) 색상
실시예 1 92 1.1 4.3
실시예 2 88 1.5 3.9
실시예 3 91 1.0 4.8
실시예 4 90 1.1 4.1
실시예 5 94 1.0 4.8
실시예 6 91 1.2 4.2
비교예 1 93 1.1 4.6
비교예 2 79 3.2 3.8
비교예 3 92 1.1 4.4
비교예 4 92 2.3 4.5
비교예 5 91 1.3 4.7
비교예 6 89 1.3 4.9
비교예 7 87 1.9 2.5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의 경우에는 우수한 투명도와 헤이즈,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인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가 30 중량%를 초과하는 비교예 2의 경우에는 투명도와 헤이즈가 좋지 않고, 실리콘 오일이 10 중량% 미만인 비교예 4의 경우에는 투명도나 색상은 우수하지만, 분산성에 문제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7의 경우에는 투명도나 헤이즈는 우수하지만, 라즈베리 오일이 과량으로 사용되어, 색상 왜곡의 문제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머지 다른 비교예들은 투명도, 헤이즈, 색상 등에 있어서 실시예들과 별 차이가 없으나, 하기에서 설명하게 될 바와 같이,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과 부직포층 간의 부착력이나 자외선 차단 효과, 피부와의 부착력 또는 사용성(물리적 강도나 사용감) 등의 측면에서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실험예 2: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의 부직포층과의 부착력 평가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과 부직포층 간의 부착력 평가를 위해,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패치를 세탁기를 이용하여 세탁 1회, 헹굼 2회, 건조 1회를 1사이클로 하여, 1, 2, 3 사이클로 세탁하였을 때,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과 부직포층 간에 탈리가 일어나는지 관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탈리가 관찰된 경우엔 후속 사이클은 수행하지 않았다.
1사이클 2사이클 3사이클
실시예 1 X X X
실시예 2 X X X
실시예 3 X X X
실시예 4 X X X
실시예 5 X X X
실시예 6 X X X
비교예 1 X X X
비교예 2 O - -
비교예 3 X X X
비교예 4 X X X
비교예 5 X O -
비교예 6 X X X
비교예 7 X X X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의 경우에는 3 사이클로 세탁을 거친 후에도 탈리가 관찰되지 않아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과 부직포층 간의 부착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지만, 비교예 2의 경우에는 1 사이클 세탁에도 바로 탈리가 관찰되었으며, 비교예 5의 경우에도 2 사이클만에 탈리가 관찰되어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과 부직포층 간의 부착력에 문제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의 자외선 차단 효과 평가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의 자외선 차단 효과 평가를 위해,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패치의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 샘플을 가로세로 1 cm * 1 cm의 크기로 분리하여 얻고, 상기 샘플들을 SPF-290S Analyzer를 이용하여 자외선 차단지수를 측정한 결과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SPF값
실시예 1 31
실시예 2 28
실시예 3 26
실시예 4 29
실시예 5 28
실시예 6 30
비교예 1 19
비교예 2 34
비교예 3 31
비교예 4 20
비교예 5 16
비교예 6 21
비교예 7 38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의 경우에는 SPF값이 최소 26 이상, 대부분 30을 넘거나 30에 근접한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비교예의 경우 비교예 2, 3 및 7을 제외하면 대부분 SPF값이 20 미만이거나 20에 근접한 낮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PF값이 크게 관찰된 비교예 2, 3 및 7의 경우에는 비록 자외선 차단 효과는 크지만, 투명도가 낮거나 색상 때문에 이미지의 가시성이 떨어지거나(비교예 2, 7), 하기에서 설명하게 될 바와 같이, 피부와의 부착력이 낮은 문제가 있다.
실험예 4: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의 피부 부착력 및 사용감 평가
실시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및 비교예 5에서 제조된 패치를 20~30대의 성인 남녀 5명의 볼에 부착하고, 접착력 측정기를 이용해 하이드로겔층과 피부와의 부착력을 측정하고, 측정값들의 평균값을 소수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냈다. 또한, 상기 성인 남녀 5명에게 패치의 촉감 등에 있어 특이사항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도 하기 [표 4]에 나타냈다.
피부 부착력
(gf/20mm)
사용감
실시예 1 530 의견 없음
비교예 2 531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의 물리적 강도가 약해서, 세게 잡으면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의 조각이 떨어져 나옴
비교예 3 127 의견 없음
비교예 5 522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을 만지고 난 후, 손에서 미끌거리는 느낌이 느껴짐
상기 [표 4]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일하게 미세흡착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 3의 경우에는 다른 실시예 및 비교예들과 비교하여 피부 부착력이 현저히 낮은 것을 알 수 있었고, 비교예 2의 경우에는 피부 부착력은 문제가 없지만,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의 물리적 강도가 약해서, 손으로 잡고 문지르거나 세게 눌렀을 때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의 조각이 떨어져 나오는 현상이 발견되었고, 비교예 5의 경우에도 피부 부착력은 문제가 없지만,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을 만진 후에, 손에서 미끌거리는 이물감이 느껴져 불쾌한 사용감을 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이 포함될 것이다.
10 : 필름부재
20 : 하이드로겔층
30 : 부직포층
40 :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

Claims (5)

  1. 이형처리 된 필름부재;
    상기 필름부재 상에 형성된 하이드로겔층;
    상기 하이드로겔층 상에 형성되며, 상면에 이미지가 인쇄된 부직포층; 및
    상기 부직포층 상에 형성된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차단투명보호층은 베이스폴리머 100 중량%에 대하여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70 중량%, 아크릴계 모노머 25 중량% 및 광개시제 5 중량%를 포함하는 베이스폴리머 60 중량%,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5 중량%, 실리콘 오일 10 중량%, 라즈베리 오일 5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하이드로겔층은 상기 필름부재와 접하는 하면에 복수 개의 음각의 캐비티로 이루어진 미세흡착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음각의 캐비티는 캐비티의 입구쪽 지름이 10 ㎛ 내지 500 ㎛이고, 깊이는 1 mm 내지 2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145529A 2023-10-27 2023-10-27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 KR102623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5529A KR102623489B1 (ko) 2023-10-27 2023-10-27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5529A KR102623489B1 (ko) 2023-10-27 2023-10-27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489B1 true KR102623489B1 (ko) 2024-01-09

Family

ID=8953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5529A KR102623489B1 (ko) 2023-10-27 2023-10-27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4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330B1 (ko) * 2010-07-28 2010-12-28 주식회사 에코산업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스포츠용 마스크 패치의 제조방법
KR20110032313A (ko) * 2009-09-22 2011-03-30 한국세라믹기술원 자외선 차단 및 친수성 코팅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기능성 필름
KR20140106930A (ko) 2013-02-27 2014-09-04 (주)코바스 자외선 차단 하이드로젤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CN215839869U (zh) * 2020-12-31 2022-02-18 张家港蓝智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全麻深昏迷手术患者眼部护理水凝胶眼贴
US11406574B1 (en) * 2019-10-15 2022-08-09 Love Sun Body Ip Holdings Llc Facial sunscreen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2313A (ko) * 2009-09-22 2011-03-30 한국세라믹기술원 자외선 차단 및 친수성 코팅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기능성 필름
KR101004330B1 (ko) * 2010-07-28 2010-12-28 주식회사 에코산업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스포츠용 마스크 패치의 제조방법
KR20140106930A (ko) 2013-02-27 2014-09-04 (주)코바스 자외선 차단 하이드로젤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US11406574B1 (en) * 2019-10-15 2022-08-09 Love Sun Body Ip Holdings Llc Facial sunscreen composition
CN215839869U (zh) * 2020-12-31 2022-02-18 张家港蓝智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全麻深昏迷手术患者眼部护理水凝胶眼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1810B1 (en) Cosmetic auxiliary patch material and method of cosmetizing therewith
AU2000242314B2 (en) Pre-formed sheet devices suitable for topical application
US20100136071A1 (en) Cosmetic devices
TW200927199A (en) Gel sheet and cosmetic article using the same
CN104321043A (zh) 抚平皱纹和皮肤肌理缺陷的方法
JP2011172831A (ja) 美容用貼付材及びその貼付方法
KR20150092313A (ko) 근적외선 (nir) 발광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를 위한 방법
KR20150092311A (ko) 근적외선 (nir) 발광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를 위한 방법
KR101546253B1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92310A (ko) 근적외선 (nir) 발광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를 위한 방법
CN105377219A (zh) 用于平滑皱纹和皮肤肌理缺陷的施用的膜
KR20210148578A (ko) 자외선, 근적외선 및 블루라이트 차단용 징크옥사이드 유분산액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23489B1 (ko)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
EP1310238A3 (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Lichtschutzmittelzubereitung
KR20180103649A (ko) 유화제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US20200383456A1 (en) Skin-care accessories
KR20160114777A (ko) 이중 효과 닌자 마스크
Ahn et al. Steatocystoma multiplex localized only in the face
KR20170138778A (ko) 자외선 차단용 패치
US20220023159A1 (en) Sheet-type mask gel composition, mask sheet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ask sheet
KR101264530B1 (ko) 일라이트 복합 기능성 분체를 함유한 고 보습 파우더 타입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2082359B1 (ko) 구리 이온을 이용하는 마스크 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4167B1 (ko) 봉독(벌독)을 포함하는 피부온도 감응성 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KR101922601B1 (ko) 천연 화이트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컬러테라피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9080B1 (ko) 자외선 차단 및 피부온도 유지용 패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