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933A - 이차전지의 전극 활물질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의 전극 활물질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933A
KR20200013933A KR1020180089183A KR20180089183A KR20200013933A KR 20200013933 A KR20200013933 A KR 20200013933A KR 1020180089183 A KR1020180089183 A KR 1020180089183A KR 20180089183 A KR20180089183 A KR 20180089183A KR 20200013933 A KR20200013933 A KR 20200013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material
electrode active
conductive polymer
coating layer
polymer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8221B1 (ko
Inventor
최원창
권용욱
김상옥
정훈기
김형석
임희대
정경윤
오시형
김형우
임효준
김도원
장지혜
이용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89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221B1/ko
Publication of KR20200013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전극 활물질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 활물질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방법은 간단한 공정을 이용하여 전극 활물질 표면에 전도성 고분차 코팅층을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전극 활물질 표면에 균일하게 형성된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은 전극 활물질 표면이 전해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양극 소재의 전해질 부반응을 억제하고, 음극 소재의 부피 팽창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의 전극 활물질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방법{A method of uniformly forming a conductive polymer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of a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전극 활물질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속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는 에너지 저장 장치 중 하나로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전기자동차, 에너지 저장 시스템과 같은 저장 장치에 적용시키기 좋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이차 전지의 구성요소 중 양극 활물질은 전해질의 부반응 문제로 인한 열화 문제, 낮은 전기 전도도로 인한 출력 문제가 있으며, 특히 고온에서 HF의 생성으로 인한 전극 활물질의 금속 용출 문제가 있다. 또 다른 구성요소인 음극 활물질은 현재 탄소계 물질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탄소계 물질은 낮은 이론용량을 갖는 문제가 있다. 탄소계 물질의 낮은 용량을 극복하고,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고용량 소재로 주석, 안티모닌, 인과 같은 물질들이 연구 되고 있지만, 이러한 물질들은 큰 부피 변화로 인해 장사이클에서 활물질의 분쇄(pulverization)와 응집(aggregation)으로 인한 열화문제가 있다.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소재로 표면을 코팅함으로써 양극 활물질 표면에서 발생하는 전해질 부반응을 억제하고, 음극 활물질의 부피팽창을 완화하려는 노력들이 있었다. 다양한 코팅 소재들 중 전도성 고분자 코팅은 상온에서 합성되기 때문에 고온의 환원 분위기에서 발생하는 양극 활물질의 구조적 손상이나 음극 활물질의 용출 문제 및 승화 문제없이 활물질의 표면을 코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도성 고분자는 산화물 코팅들과 다르게 전기 전도도가 좋기 때문에 출력 특성을 향상시키는 면에서 장점이 있다.
기존 전도성 고분자로 활물질의 표면을 코팅하는 방법들은 완성된 전도성 고분자가 분산된 용액에 활물질을 분산 시킨 후 단순히 교반하거나, 다른 첨가제 없이 활물질과 단량체, 개시제만을 넣음으로써 단량체가 개시제에 의해 고분자로 중합되는 과정에서 활물질 표면이 코팅되길 바라는 방법들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완성된 전도성 고분자 및 단량체를 활물질 표면으로 유도할 수 있는 구동력(driving force)이 없기 때문에 활물질 표면이 균일하게 코팅이 되지 않으며,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의 응집(aggregation)이 일어나게 된다. 불균일한 코팅과 코팅층의 응집은 전해질에 노출되는 활물질의 표면이 존재로 이어지게 되고, 전해질에 노출된 활물질의 표면은 지속적으로 활물질의 성능을 악화시키는 문제가 있어왔다.
따라서 전도성 고분자를 이차전지 전극 활물질 표면에 균일하게 코팅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220970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51641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8519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차전지의 전극 활물질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라 형성된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포함하는 전극 활물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른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1) 양극 활물질 또는 음극 활물질을 계면활성제를 용해시킨 용액에 분산시키는 단계; 2) 전도성 고분자 단량체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는 단계; 및 3) 고분자 중합 개시제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활물질의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방법에 따라 형성된 고분자 코팅층을 포함하는 전극 활물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이차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 활물질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방법은 간단한 공정을 이용하여 전극 활물질 표면에 전도성 고분차 코팅층을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전극 활물질 표면에 균일하게 형성된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은 전극 활물질 표면이 전해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양극 소재의 전해질 부반응을 억제하고, 음극 소재의 부피 팽창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전극 활물질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따른 양극 활물질의 주사전자현미경, 투과전자현미경 및 에너지 분산형 분광 분석 사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양극 활물질의 주사전자현미경, 투과전자현미경 및 에너지 분산형 분광 분석 사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양극 활물질의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 형성 확인을 위한 적외선 분광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양극 활물질의 X선 회절 분석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비교예 2에 따른 음극 활물질의 투과전자현미경 및 에너지 분산형 분광 분석 사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음극 활물질의 투과 전자 현미경 및 에너지 분산형 분광 분석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양극 활물질로 제조한 리튬이온전지의 전기화학적 고온 저장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음극 활물질로 제조한 소듐이온전지의 전기화학적 성능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1) 양극 활물질 또는 음극 활물질을 계면활성제를 용해시킨 용액에 분산시키는 단계; 2) 전도성 고분자 단량체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는 단계; 및 3) 고분자 중합 개시제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활물질의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기존의 전도성 고분자로 전극 활물질의 표면을 코팅하는 방법들은 완성된 전도성 고분자가 분산된 용액에 활물질을 분산 시킨 후 단순히 교반하거나, 다른 첨가제 없이 활물질과 단량체, 개시제만을 혼합하여 단량체가 개시제에 의해 고분자로 중합되는 과정에서 활물질의 표면이 코팅되기를 바라는 방법들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을 완성된 전도성 고분자 및 단량체를 활물질 표면으로 유도할 수 있는 구동력(driving force)이 없기 때문에 활물질 표면이 균일하게 코팅되지 않고, 고분자 코팅층의 응집(aggregation) 문제가 발생하였다. 불균일한 코팅과 코팅층의 응집은 전해질에 노출되는 활물질의 표면의 존재로 이어지고, 전해질에 노출된 활물질의 표면은 지속적으로 활물질의 성능을 열화시키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전도성 고분자의 단량체를 활물질 표면으로 유도 및 통제하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도입하였다. 계면활성제를 활물질에 흡착시킴으로써, 전도성 고분자의 단량체를 활물질 표면으로 유도할 수 있는 구동력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물질 표면으로 단량체가 유도된 상태에서 개시제를 첨가하여 전도성 고분자로 중합시킴으로써 활물질 표면을 전도성 고분자로 균일하게 코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전도성 고분자의 균일한 코팅층은 양극 소재의 전해질 부반응 문제와 음극 소재의 부피팽창 문제를 억제함으로써 이차전지의 수명 성능을 향상시키며, 전기 전도도를 증대시킴으로써 전지 출력 향상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양극 활물질은 LiCoO2, LiMn2O4, LiFePO4, LiMnPO4, LiMn0.5Ni0.5O2, LiNi0.5Mn1.5O4, LiNi1/3Mn1/3Co1/3O2, LiNi0.8Co0.15Al0.05O2 및 LiNi0.8Mn0.1Co0.1O2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당업계에서 이차전지의 양극 활물질로 사용될 수 있는 양극 활물질을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음극 활물질은 인, 흑연, 하드 카본,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안티모닌, 주석, Fe2O3, ZnO, CuO, NiO, Co2O3, 실리콘 및 황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은 당업계에서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로 사용될 수 있는 음극 활물질을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세틸트리암모늄브로마이드(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CTAB),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cetylpyridinium chloride, CPC), 벤잘코늄 클로라이드(benzalkonium chloride, BAC), 벤제토늄 클로라이드(benzethonium chloride, BZT), 다이메틸다이옥타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dimethyldioctadecylammonium chloride), 다이옥타데실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dioctadecyldimethylammonium bromide, DOBDAB), 로릴황산나트륨(sodium dodecyl sulfate, SDS), 도데실벤젠설포닉산(dodecylbenzenesulfonic acid, DBSA), 퍼플로오로옥탄설포네이트(perfluorooctanesulfonate, PFOS) 및 퍼플루오로부탄설포네이트(perfluorobutanesulfon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종류는 사용되는 전극 활물질 및 코팅되는 전도성 고분자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로 본 발명의 하기하는 실시예에서는 양극 활물질 LiNi0.5Mn1.5O4에 전도성 고분자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을 코팅하기 위해 세틸트리암모늄브로마이드(CTAB)를 사용하였으며, 음극활물질 인에 전도성 고분자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을 코팅하기 위해 로릴황산나트륨(SDS)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고분자 단량체는 에틸렌디옥시티오펜(3,4-ethylenedioxythiophene), 피롤(pyrrole), 아닐린(aniline), 티오펜(thiopene), 페닐렌(phenylene), 페닐렌 설파이드(phenylene sulfide), 아세틸렌(acethlene), 페닐렌비닐렌(phenylenevinylene), 티에닐렌비닐렌(thienylenevinylene) 및 퓨렌(furan)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는 상기 단량체에 의해 중합되는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폴리페닐렌,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아세틸렌, 폴리페닐렌비닐렌, 폴리티에닐렌비닐렌, 폴리퓨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은 우수한 이온전도성 및 전자전도성을 보유하면서 액체 전해질과의 부반응이 억제되는 탁월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중합 개시제는 암모늄퍼설페이트(ammonium persulfate, APS), 염화 철(FeCl3), 퍼클로레이트 철(ferric perchlorate), 나이트레이트 철(ferric nitrate), 암모늄설페이트 철(ammonium ferric sulfate) 및 퍼설페이트 칼륨(potassium persulf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압을 인가하거나, 전극 활물질의 전처리를 통해 단량체를 고분자로 중합시키는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은 개시제를 사용하여 단량체를 고분자로 중합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압을 인가해주는 등의 추가 장비가 필요하지 않고, 활물질의 전처리 과정을 요구하지 않으며, 전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순물 생성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다르면, 상기 용액에서 상기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0.005 M 내지 0.1 M일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사용되는 전극 활물질과 전도성 고분자의 종류, 직경, 사용량 및 여러 화학 특성에 따라 상기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범위 미만의 경우, 계면활성제가 활물질 표면에 흡착되지 않을 수 있고, 고분자 단량체의 충분한 분산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활물질 표면에 흡착 후 남은 계면활성제가 단독으로 마이셀(micelle)을 형성하여 단량체의 활물질 표면 침투를 방해할 수 있고, 반응이 종료된 후 계면활성제가 완벽히 세척되지 않고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용액의 용매는 물, 메탄올 및 에탄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고분자 단량체 및 상기 고분자 중합 개시제의 몰 비율은 1:0.5 내지 1:4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3)단계는 0 ℃ 내지 60 ℃의 온도에서 6시간 내지 72시간 교반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은 상기 양극 활물질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일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의 두께는 0.5 ㎚ 내지 20 ㎚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코팅층의 함량은 보다 바람직하게 1 내지 5 중량%인 것이 좋고,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코팅에 의한 방전 용량과 수명 특성 향상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형성된 고분자 코팅층이 자체적인 큰 저항체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전자전도성과 이온전도성 향상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10 ㎚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얇은 경우 성능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과도하게 두꺼운 경우에는 전자 및 이온 전달 저항이 증가하여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은 상기 음극 활물질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50 중량%이고, 상기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의 두께는 10 ㎚ 내지 100 ㎚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코팅층의 함량은 보다 바람직하게 10 내지 30 중량%인 것이 좋고, 5 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코팅에 의한 방전 용량 수명 특성 향상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형성된 고분자 코팅층이 자체적인 큰 저항체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전자전도성과 이온전도성 향상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게 30 ㎚ 내지 50 ㎚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얇은 경우 성능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과도하게 두꺼운 경우에는 전자 및 이온 전달 저항이 증가하여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방법에 따라 형성된 고분자 코팅층을 포함하는 전극 활물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이차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운송장치 또는 에너지 저장장치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으로 형성된 고분자 코팅층을 포함하는 전극활물질로 제조된 이차전지는 우수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및 에너지 저장시스템에 적용되는 중대형 에너지 저장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대용량 저장장치 이외에 휴대전화,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 중 긴 수명 및 고용량이 필요한 소형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실시예 1.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전도성 고분자를 코팅한 양극 활물질
실시예 1-1
계면활성제 세틸트리암모늄브로마이드(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CTAB)가 용해되어 있는 증류수 용액에 LiNi0.5Mn1.5O4를 분산시켰다. 전도성 고분자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코팅층이 완성된 양극 활물질 전체 중량의 1 wt%가 되도록 단량체인 에틸렌디옥시티오펜(3,4-Ethylenedioxythiophene, EDOT)을 상기 용액에 첨가 후 2시간동안 교반했다. 개시제인 암모늄퍼설페이트(ammonium persulfate, APS)를 에틸렌디옥시티오펜(EDOT)과 1:1 몰 비율로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위 용액에 첨가한 후 30 ℃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했다. 교반이 끝난 후 원심분리기를 통해 전도성 고분자로 코팅된 양극 활물질 LiNi0.5Mn1.5O4를 회수하며, 물과 에탄올로 세척하여 남아있는 계면활성제 및 개시제를 제거하였다.
실시예 1-2
전도성 고분자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코팅층이 완성된 양극 활물질 전체 중량의 2 wt%가 되도록 단량체인 에틸렌디옥시티오펜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위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전도성 고분자로 코팅된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전도성 고분자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코팅층이 완성된 양극 활물질 전체 중량의 5 wt%가 되도록 단량체인 에틸렌디옥시티오펜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위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전도성 고분자로 코팅된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전도성 고분자를 코팅한 음극 활물질
계면활성제 로릴황산나트륨(sodium dodecyl sulfate, SDS)가 용해되어 있는 증류수 용액에 인을 분산시켰다. 전도성 고분자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의 단량체인 에틸렌디옥시티오펜(EDOT)을 위 용액에 첨가 후 2시간동안 교반했다. 개시제인 암모늄퍼설페이트(APS)를 에틸렌디옥시티오펜(EDOT)과 1:1 몰 비율로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위 용액에 첨가한 후 30 ℃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했다. 교반이 끝난 후 원심분리기를 통해 전도성 고분자로 코팅된 음극 활물질 인을 회수하며, 물과 에탄올로 세척하여 남아있는 계면활성제 및 개시제를 제거하였다.
비교예 1. 전도성 고분자를 코팅하지 않은 양극 활물질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되지 않은 양극 활물질 LiNi0.5Mn1.5O4를 증류수에 세척하고 80 ℃에서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비교예 2.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전도성 고분자를 코팅한 음극 활물질
증류수에 인을 분산시킨 후, 전도성 고분자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의 단량체인 에틸렌디옥시티오펜(EDOT)을 첨가하고 2시간동안 교반했다. 개시제인 암모늄퍼설페이트(APS)를 에틸렌디옥시티오펜(EDOT)과 1:1 몰 비율로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위 용액에 첨가한 후 30 ℃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했다. 교반 후 원심분리기를 통해 전도성 고분자로 코팅된 음극 활물질 인을 회수하며, 물과 에탄올로 세척하여 남아있는 개시제를 제거하였다.
시험예 1. 양극 활물질의 주사전자현미경, 투과전자현미경, 에너지 분산형 분광 분석
도 2는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의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및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을 통해 관측한 이미지이다. 전도성 고분자를 코팅하지 않은 비교예 1의 LiNi0.5Mn1.5O4 표면이 매끄러웠던 반면, 전도성 고분자를 코팅한 실시예 1-3은 거친 표면을 가지는 것을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해 실시예 1-3의 LiNi0.5Mn1.5O4 표면에 무정질의 코팅층 형성을 확인하였고, 에너지 분산형 분광 분석(EDS mapping)을 통해 전도성 고분자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이 표면에 균일하게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적외선 분광법 및 X-ray 회절 분석
실시예 1-1 내지 1-3에서 단량체인 에틸렌디옥시티오펜(EDOT)의 중합으로 전도성 고분자인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이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적외선 분광법을 실행하였고, 순수한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ure PEDOT)과 비교한 결과 실시예 1-1 내지 1-3에 따른 양극 활물질 LiNi0.5Mn1.5O4 표면의 무정질 코팅층이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인 것을 확인하였다(도 3a). 또한, 추가로 X-ray 회절법을 분석한 결과 코팅 전 후 peak의 변화가 없는 것을 통해 전도성 고분자 코팅 과정에서 활물질 LiNi0.5Mn1.5O4의 구조적 손상이 없음을 확인하였다(도 3b).
시험예 3. 음극 활물질의 투과전자현미경 및 에너지 분산형 분광 분석
도 4는 계면활성제의 유무에 따른 균일한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의 차이와 함께 양극 활물질인 금속 산화물뿐 아니라 음극 활물질 중 무기물질인 인(Phosphorus)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행한 투과전자현미경(TEM) 및 에너지 분산형 분광 분석(EDS mapping) 이미지이다. 도 4a는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계면활성제 없이 전도성 고분자로 코팅한 음극활물질 인(phosphorus)의 사진으로 에너지 분산형 분광 분석(EDS mapping) 결과 표면이 불균일하게 코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도 4b는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계면활성제를 활용하여 전도성 고분자로 코팅한 음극활물질 인(phosphorus)의 사진으로 전도성 고분자가 균일하게 표면을 코팅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양극 활물질인 금속 산화물 뿐 아니라, 음극 활물질인 무기물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계면활성제의 유무에 따른 코팅층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시험예 4. 양극 활물질의 고온 저장 및 사이클 테스트
실시예 1-1 내지 1-3에 따라 제조된 계면활성제를 활용하여 전도성 고분자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으로 표면을 코팅한 양극 활물질 LiNi0.5Mn1.5O4를 반쪽 전지(half-cell)의 작업 전극(working electrode)로 이용하고, 상대전극(reference electrode)으로는 리튬 금속을 사용하였으며, 분리막으로는 전해질이 습윤(wetting)된 glass filter를 사용하였다. 전해질로는 1.3 M LiPF6 염이 용해되어 있는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EC), 에틸 메틸 카보네이트(ethyl methyl carbonate, EMC)가 3:7 부피비로 구성되어 있는 혼합액을 사용하였다. 제작된 반쪽 전지는 Coin 2032 type으로 제작하였다. 도 5는 컷오프 전압(cut-off voltage)을 3.5 V ~ 4.9 V로 0.1 C의 formation 3 cycles 과 1 C 100 cycles의 전기화학 test를 측정한 결과이다. 사이클 특성 중 formation cycle 후와 50 cycle 후 고온 저장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고온 저장 테스트는 완전히 충전된 상태에서 60 ℃에서 3일동안 저장하였다. 비교예 1의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되지 않은 pristine LiNi0.5Mn1.5O4는 고온에서 가속화되는 전해질 부반응으로 인해 불안정한 거동을 보이며, 100 cycles 후 용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반면, 실시예 1-1 내지 1-3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은 전도성 고분자로 표면을 코팅함으로써 고온에서 가속화되는 전해질 부반응이 억제되어 100 cycles 후에도 높은 용량 유지율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음극 활물질의 전기화학적 성능 특성 테스트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계면활성제를 활용하여 전도성 고분자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으로 표면을 코팅한 음극 활물질 인을 반쪽 전지(half-cell)의 작업 전극(working electrode)로 이용하고, 상대전극(reference electrode)으로는 나트륨 금속을 사용하였으며, 분리막으로는 전해질이 습윤(wetting)된 glass filter를 사용하였다. 전해질로는 1.0 M NaClO4 염이 용해되어 있는 에틸렌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EC),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다이에틸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DEC)가 1:1:1 부피비로 구성되어 있고 첨가제 플로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fluoroethylene carbonate, FEC)가 5% 포함된 혼합액을 사용하였다. 제작된 반쪽 전지는 Coin 2032 type으로 제작하였다. 도 6는 컷오프 전압(cut-off voltage)를 0.001 V ~ 2.0 V로 0.1 C의 1st cycle의 전기화학 test를 측정한 결과이다. 이를 통해, 계면활성제를 활용한 전도성 고분자 코팅 방법이 리튬이온 전지의 양극뿐 아니라 소듐이온전지의 음극 소재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17)

1) 양극 활물질 또는 음극 활물질을 계면활성제를 용해시킨 용액에 분산시키는 단계;
2) 전도성 고분자 단량체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는 단계; 및
3) 고분자 중합 개시제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활물질의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LiCoO2, LiMn2O4, LiFePO4, LiMnPO4, LiMn0.5Ni0.5O2, LiNi0.5Mn1.5O4, LiNi1/3Mn1/3Co1/3O2, LiNi0.8Co0.15Al0.05O2 및 LiNi0.8Mn0.1Co0.1O2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전극 활물질의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은 인, 흑연, 하드 카본,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안티모닌, 주석, Fe2O3, ZnO, CuO, NiO, Co2O3, 실리콘 및 황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전극 활물질의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세틸트리암모늄브로마이드(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CTAB),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cetylpyridinium chloride, CPC), 벤잘코늄 클로라이드(benzalkonium chloride, BAC), 벤제토늄 클로라이드(benzethonium chloride, BZT), 다이메틸다이옥타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dimethyldioctadecylammonium chloride), 다이옥타데실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dioctadecyldimethylammonium bromide, DOBDAB), 로릴황산나트륨(sodium dodecyl sulfate, SDS), 도데실벤젠설포닉산(dodecylbenzenesulfonic acid, DBSA), 퍼플로오로옥탄설포네이트(perfluorooctanesulfonate, PFOS) 및 퍼플루오로부탄설포네이트(perfluorobutanesulfon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전극 활물질의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단량체는 에틸렌디옥시티오펜(3,4-ethylenedioxythiophene), 피롤(pyrrole), 아닐린(aniline), 티오펜(thiopene), 페닐렌(phenylene), 페닐렌 설파이드(phenylene sulfide), 아세틸렌(acethlene), 페닐렌비닐렌(phenylenevinylene), 티에닐렌비닐렌(thienylenevinylene) 및 퓨렌(furan)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전극 활물질의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중합 개시제는 암모늄퍼설페이트(ammonium persulfate, APS), 염화 철(FeCl3), 퍼클로레이트 철(ferric perchlorate), 나이트레이트 철(ferric nitrate), 암모늄설페이트 철(ammonium ferric sulfate) 및 퍼설페이트 칼륨(potassium persulf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전극 활물질의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에서 상기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0.005 M 내지 0.1 M인 전극 활물질의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의 용매는 물, 메탄올 및 에탄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전극 활물질의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단량체 및 상기 고분자 중합 개시제의 몰 비율은 1:0.5 내지 1:4인 전극 활물질의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0 ℃ 내지 60 ℃의 온도에서 6시간 내지 72시간 교반 시키는 전극 활물질의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은 상기 양극 활물질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이고, 상기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의 두께는 0.5 ㎚ 내지 20 ㎚인 전극 활물질의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은 상기 음극 활물질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50 중량%이고, 상기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의 두께는 10 ㎚ 내지 100 ㎚인 전극 활물질의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방법.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된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포함하는 전극 활물질.
제13항에 따른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제14항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15항에 따른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장치.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운송장치 또는 에너지 저장장치인 장치.
KR1020180089183A 2018-07-31 2018-07-31 이차전지의 전극 활물질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방법 KR102158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183A KR102158221B1 (ko) 2018-07-31 2018-07-31 이차전지의 전극 활물질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183A KR102158221B1 (ko) 2018-07-31 2018-07-31 이차전지의 전극 활물질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933A true KR20200013933A (ko) 2020-02-10
KR102158221B1 KR102158221B1 (ko) 2020-09-21

Family

ID=69627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183A KR102158221B1 (ko) 2018-07-31 2018-07-31 이차전지의 전극 활물질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22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66969A (zh) * 2021-03-26 2021-07-02 深圳市鹏冠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导电高分子包覆磷酸锰铁锂正极材料的制备方法
CN113921796A (zh) * 2021-10-11 2022-01-11 河南科技大学 一种植酸-五氧化二钒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电极和电池
CN114566628A (zh) * 2022-03-04 2022-05-31 合肥工业大学 一种植酸掺杂聚吡咯@钒酸盐水系锌离子电池正极材料的制备方法
CN115020672A (zh) * 2022-06-30 2022-09-06 广东邦普循环科技有限公司 一种钴酸锂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230065152A (ko) 2022-10-21 2023-05-11 한국세라믹기술원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173A (ko) 2021-09-14 2023-03-21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382A (ko) * 2009-03-11 2010-09-24 주식회사 에코프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JP2016213183A (ja) * 2015-04-30 2016-12-15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二次電池用被覆活物質の製造方法、それを含む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電極及び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1720970B1 (ko) 2015-05-21 2017-03-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분자로 코팅된 올리빈 나트륨 철인산화물 양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나트륨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85195A (ko) 2016-01-14 2017-07-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표면 코팅된 양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KR20180051641A (ko) 2015-10-06 2018-05-16 보레알리스 아게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382A (ko) * 2009-03-11 2010-09-24 주식회사 에코프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JP2016213183A (ja) * 2015-04-30 2016-12-15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二次電池用被覆活物質の製造方法、それを含む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電極及び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1720970B1 (ko) 2015-05-21 2017-03-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분자로 코팅된 올리빈 나트륨 철인산화물 양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나트륨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51641A (ko) 2015-10-06 2018-05-16 보레알리스 아게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KR20170085195A (ko) 2016-01-14 2017-07-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표면 코팅된 양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66969A (zh) * 2021-03-26 2021-07-02 深圳市鹏冠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导电高分子包覆磷酸锰铁锂正极材料的制备方法
CN113921796A (zh) * 2021-10-11 2022-01-11 河南科技大学 一种植酸-五氧化二钒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电极和电池
CN114566628A (zh) * 2022-03-04 2022-05-31 合肥工业大学 一种植酸掺杂聚吡咯@钒酸盐水系锌离子电池正极材料的制备方法
CN114566628B (zh) * 2022-03-04 2023-02-24 合肥工业大学 一种植酸掺杂聚吡咯@钒酸盐水系锌离子电池正极材料的制备方法
CN115020672A (zh) * 2022-06-30 2022-09-06 广东邦普循环科技有限公司 一种钴酸锂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020672B (zh) * 2022-06-30 2024-03-12 广东邦普循环科技有限公司 一种钴酸锂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230065152A (ko) 2022-10-21 2023-05-11 한국세라믹기술원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KR20240056393A (ko) 2022-10-21 2024-04-30 한국세라믹기술원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221B1 (ko) 202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8221B1 (ko) 이차전지의 전극 활물질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방법
KR101698764B1 (ko) 리튬 전지의 전극용 바인더, 이를 포함한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KR100896556B1 (ko) 리튬 2차 전지용 양극 재료
CN110915049A (zh) 用于锂金属二次电池的保护锂阳极的聚合物层及制造方法
US20040058232A1 (en)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battery and lithium battery comprising same
EP2835350A1 (en) Hollow silicon-based particles,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an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same
US20190267627A1 (en) Positive electrode for power storage device, and power storage device
KR102268184B1 (ko) 황-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JP2008547157A (ja) 再充電できる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のカソード
JP2005340165A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材料
US20020034583A1 (en) Method of preparing positiv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JP2010092719A (ja) 非水電解液系エネルギーデバイス電極用接着添加剤、これを用いた非水電解液系エネルギーデバイス電極用バインダ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非水電解液系エネルギーデバイス電極、及び非水電解液系エネルギーデバイス
KR100875126B1 (ko) 개선된 사이클 성능을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WO2014185460A1 (ja) 二次電池用正極材料、二次電池用正極材料の製造方法、及び二次電池
JP5076884B2 (ja) 二次電池用電極及びその電極を採用した二次電池
WO2018021513A1 (ja) 蓄電デバイス用正極および蓄電デバイス
US9444096B2 (en) Organometallic-inorganic hybrid electrodes for lithium-ion batteries
US20130252096A1 (en) Nonaqueous Electrolyte Rechargeable Battery Having Electrode Containing Conductive Polymer
KR102157913B1 (ko) 활물질 입자, 축전 디바이스용 정극, 축전 디바이스 및 활물질 입자의 제조 방법
CN111801836A (zh) 锂二次电池用电解质
CN107851798A (zh) 用于二次电池的复合负极材料、包含所述材料的负极和锂二次电池
JP5298767B2 (ja) 二次電池用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電極を採用した二次電池
US20130252102A1 (en) Nonaqueous Electrolyte Rechargeable Battery Having Electrode Containing Conductive Polymer
CN111801822A (zh) 非水系二次电池电极用粘结剂组合物、非水系二次电池电极用导电材料糊组合物、非水系二次电池电极用浆料组合物、非水系二次电池用电极以及非水系二次电池
JP2015003998A (ja) アクリルポリマー粒子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アクリルポリマー粒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