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2621A - 화학적으로 개질된 그래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학적으로 개질된 그래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2621A
KR20200012621A KR1020180088143A KR20180088143A KR20200012621A KR 20200012621 A KR20200012621 A KR 20200012621A KR 1020180088143 A KR1020180088143 A KR 1020180088143A KR 20180088143 A KR20180088143 A KR 20180088143A KR 20200012621 A KR20200012621 A KR 20200012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ene
dispersion
amine compound
modified graphene
chemically mod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7797B1 (ko
Inventor
윤지영
박정한
홍종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윤
주식회사 라미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윤, 주식회사 라미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윤
Priority to KR1020180088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797B1/ko
Priority to PCT/KR2019/009342 priority patent/WO2020022839A1/ko
Publication of KR20200012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12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12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 B01J19/122Incoherent waves
    • B01J19/126Micro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18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18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 B01J19/1806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resulting in a turbulent flow of the reactants, such as in centrifugal-type reactors, or having a high Reynolds-num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94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2219/12Processe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 B01J2219/1203Incoherent waves
    • B01J2219/1206Microwaves
    • B01J2219/1209Features relating to the reactor or vessel
    • B01J2219/1221Features relating to the reactor or vessel the reactor per 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래핀과 아민 화합물의 분산액을 테일러 와류 하에 교반하고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를 통해 개질 반응시킴으로써 분산성이 우수한 화학적으로 개질 된 그래핀을 단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학적으로 개질된 그래핀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Chemically Modified Graphene}
본 발명은 화학적으로 개질된 그래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래핀의 박리 상태를 유지하면서 화학적 개질을 통해 비극성 유기용매, 고분자 수지 또는 플라스틱 컴파운드 내에서 분산성이 우수한 그래핀을 단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래핀은 탄소 단원자층으로 구성되며 두께가 약 1nm 이하인 탄소 재료이다. 그래핀은 우수한 물리화학적, 전기적, 기계적, 열적 특성을 가져 소재 산업에서 핵심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그래핀 응용 제품으로는 경량 고강도 플라스틱, 대전방지 플라스틱, 내화학성 및 UV 광안정성이 향상된 건축용 페인트 및 보호 코팅제, 해양 페인트 등이 있다.
그러나, 그래핀은 그래핀 층간에 존재하는 반데르발스 인력으로 인하여 1nm 박리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지 못하고 쉽게 다시 뭉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사용상의 한계점으로 인해 최종 제품에서 그래핀이 불균일하게 응집상을 형성하기 쉬우며, 이는 성능 저하와 제품 특성 불량 발생의 주된 원인이 된다.
따라서, 우수한 성능을 갖는 그래핀 응용 제품 개발을 위해 그래핀의 초기 나노 박리 분산 상태를 잘 유지시킬 수 있는 그래핀의 화학적 개질 기술이 매우 필요하다.
예컨대, 고분자 및/또는 유기용매 중에서 그래핀 분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분자 내에 알킬기와 같은 친유성 작용기와 화학적 활성의 아민기를 갖는 아민 화합물을 그래핀의 표면에 연결 내지 화학적 결합을 하여 그래핀의 친유성 특성과 박리 분산 특성을 높일 수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40508호 참조].
하지만, 그래핀을 친유성 작용기로 개질시키는 과정에서도 그래핀의 재응집(restacking)이 발생하기 쉬우며 고온에서의 수시간 이상의 장시간 반응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래핀의 재응집 현상을 적절히 제어하면서 단시간 내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개질 반응이 가능하게 하여 분산성도 우수한 화학적으로 개질 된 그래핀을 경제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게 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40508호
본 발명자들은 화학적으로 개질 된 그래핀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기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연구 검토한 결과, 그래핀과 아민 화합물의 분산액을 테일러 와류 하에 교반하여 그래핀 간의 응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동시에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여 수초 내 그래핀의 화학적 개질 반응을 완료함으로써 분산성이 우수한 개질 그래핀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용매 내지 고분자 수지, 플라스틱 복합체 내에서 분산성이 우수한 화학적으로 개질 된 그래핀을 단시간 내에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은 (i) 그래핀 및 아민 화합물을 용매 중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수득하는 단계; (ii) 상기 분산액에 테일러 와류를 발생시켜 분산액을 교반하는 단계; 및 (iii) 상기 분산액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개질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적으로 개질 된 그래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계 (ii) 및 단계 (iii)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용매는 N-메틸-2-피롤리돈(NMP), N-에틸-2-피롤리돈(NEP),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및 디메틸설폭사이드(DMSO)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래핀과 아민 화합물의 분산액을 테일러 와류 하에 교반하고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를 통해 개질 반응시킴으로써 분산성이 우수한 화학적으로 개질 된 그래핀을 단시간 내에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화학적으로 개질 된 그래핀의 X-선 광전자분광(XPS)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화학적으로 개질 된 그래핀의 UV-Vis 흡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화학적으로 개질 된 그래핀의 시간에 따른 900nm 파장에서의 흡광도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제조예 2에서 수득한 환원 그래핀(상단)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개질 그래핀(하단)의 분산 용매별 분산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i) 그래핀 및 아민 화합물을 용매 중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수득하는 단계; (ii) 상기 분산액에 테일러 와류를 발생시켜 분산액을 교반하는 단계; 및 (iii) 상기 분산액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개질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적으로 개질 된 그래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계 (ii) 및 단계 (iii)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즉, 테일러 와류를 발생시켜 환원 그래핀 및 아민 화합물의 분산액을 교반한 다음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개질 반응을 수행하거나, 또는 테일러 와류를 발생시켜 환원 그래핀 및 아민 화합물의 분산액을 교반하면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개질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계 (i)은 원료인 그래핀 및 아민 화합물을 용매 중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얻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개질 원료로서 사용하는 그래핀은 환원 그래핀일 수 있다. 상기 환원 그래핀은 OH기가 거의 없고, 대부분의 산소 함유 작용기가 환원 그래핀의 가장 자리에 카르복실기(-COOH)로 남아 있다. 이에 따라, 카르복실기가 아민 화합물의 아민기와 친핵성 치환 반응에 참여하여 그래핀의 표면 개질 반응이 이루어진다.
상기 환원 그래핀은 산화 그래핀을 환원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환원은 가열 처리, 환원제 처리 또는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환원을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를 통해 수행하는 경우, 반응액 전체가 균일하게 가열되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환원된 그래핀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원 반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지 않는 가열 처리는 100℃ 이상, 예를 들어 120 내지 500℃, 바람직하기로 125 내지 350℃에서 12시간 이상, 예를 들어 12 내지 48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환원제 처리는 요오드산, 아스코르브산 또는 히드라진 모노하이드레이트 등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는 800 W 출력으로 30초 내지 3분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는 환원 분위기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환원 분위기는 수소, 또는 수소와 비활성 가스, 예컨대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산화 그래핀은 흑연을 산화시켜 얻어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제품을 입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화 그래핀 제조방법으로는 허머스(Hummers) 법(J. A. Chem. Soc. 1958, 80, 1339) 또는 변형된 허머스(modified Hummers) 법(Chem. Mater. 1999, 11(3), 771)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아민 화합물로는 분자 내에 알킬기 또는 아릴기와 같은 친유성 작용기와 1개 이상의 아민기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아민 화합물로는 C1-C20의 알킬아민, C3-C10의 사이클로알킬아민, 아릴아민, C1-C20의 알킬디아민, C3-C10의 사이클로알킬디아민, 아릴디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C1-C20의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20개로 구성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1가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부틸, n-펜틸, n-헥실, n-옥틸, 도데실, 테트라데실, 헥사데실, 옥타데실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C3-C10의 사이클로알킬기는 탄소수 3 내지 10개로 구성된 단순 또는 융합 고리형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아릴기는 아로메틱기와 헤테로아로메틱기 및 그들의 부분적으로 환원된 유도체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아로메틱기는 5원 내지 15원의 단순 또는 융합 고리형이며, 헤테로아로메틱기는 산소, 황 또는 질소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아로메틱기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아릴기의 예로는 페닐, 나프틸, 피리디닐(pyridinyl), 푸라닐(furanyl), 티오페닐(thiophenyl), 인돌릴(indolyl), 퀴놀리닐(quinolinyl), 이미다졸리닐(imidazolinyl), 옥사졸릴(oxazolyl), 티아졸릴(thiazolyl), 테트라히드로나프틸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C1-C20의 알킬기, C3-C10의 사이클로알킬기 및 아릴기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수소가 C1-C20의 알킬기, C3-C10의 사이클로알킬기, C1-C20의 할로알킬기, C1-C20의 알콕시기, C1-C20의 티오알콕시기, 아릴기, 아실기, 히드록시, 티오(thio), 할로겐, 아미노, C2-C20의 알콕시카르보닐, 카르복시, 카바모일, 시아노, 니트로 등으로 치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민 화합물로는 p-n-옥틸아닐린, 페닐부틸아민, 옥틸아민, 도데실아민, 옥타데실아민, 헥사데실아민, 테트라데실아민, 도파민, p-페닐렌디아민, 3,4-디메틸페닐아민, 4-클로로아닐린, 페닐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용매로는 비점이 100 내지 25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용매로는 비점이 100 내지 250℃인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로는 N-메틸-2-피롤리돈(NMP), N-에틸-2-피롤리돈(NEP),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N-에틸-2-피롤리돈(NEP)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계 (i)에서, 그래핀 및 아민 화합물은 용매 중에 각각 5 내지 20 g/L의 양으로 분산될 수 있다. 상기 그래핀 및 아민 화합물이 5 g/L 미만의 양으로 분산되면 화학적으로 개질 된 그래핀의 제조 효율이 떨어질 수 있고, 20 g/L 초과의 양으로 분산되면 점도가 높아져 그래핀의 분산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계 (ii)는 테일러 와류를 발생시켜 그래핀 및 아민 화합물의 분산액을 교반하는 단계이다.
상기 테일러 와류는 축 방향에 따라 규칙적이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고리쌍 배열의 와류를 의미하며, 테일러 유체 흐름이라고도 한다.
중심이 같은 두 개의 원통, 즉 외부 원통과 내부 원통을 구비한 반응기에서, 외부 원통은 고정되어 있고 내부 원통, 즉 내측 바디가 회전 할 때, 유체는 내부 원통의 회전방향으로 흐르면서 원심력에 의해 내부 원통 쪽에서 외부 원통 방향으로 흐르는 힘이 생기는데, 이 때 내부 원통의 회전속도가 올라갈수록 유체가 불안정해지면서 축 방향에 따라 규칙적이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고리쌍 배열의 와류가 발생한다. 이러한 고리쌍 배열의 와류를 테일러 와류라 한다.
본 발명에서는 그래핀 및 아민 화합물의 분산액을 테일러 와류 하에 교반함으로써 그래핀 및 아민 화합물의 분산액에 지속적인 전단 응력(shear stress)을 가하여 그래핀의 박리를 촉진하고 유지하여 그래핀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개질 반응 중 그래핀의 재응집 현상을 막아 균일한 개질 반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그래핀 및 아민 화합물의 분산액을 테일러 와류 하에 교반함으로써 개질 이후에도 개질 된 그래핀이 장기간 동안 우수한 분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단계 (ii)에서 교반은 쿠에트-테일러 반응기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ii)와 단계 (iii)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단계 (ii)에서 교반은 마이크로웨이브 조사가 가능한 쿠에트-테일러 반응기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ii)에서 교반은 그래핀 및 아민 화합물의 분산 농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예컨대 1분 내지 1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을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와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 교반 시간은 1분 내지 3분 정도로 단시간 내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계 (iii)은 그래핀 및 아민 화합물의 분산액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개질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는 그래핀 및 아민 화합물의 분산액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개질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예컨대 수분 내에 균일한 개질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iii)에서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는 800 W 출력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분 내지 3분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iii)에서 개질 반응의 반응 온도는 사용되는 용매의 끓는점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80 내지 260℃일 수 있다. 상기 개질 반응이 80℃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되면 개질 반응이 일어나기 어렵거나 개질 반응 속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260℃ 초과의 온도에서 수행되면 용매의 기화로 인한 부반응 및 환원 반응으로 인해 개질 수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화학적으로 개질 된 그래핀은 테일러 흐름과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에 의해 친유성 작용기로 균일하게 표면 개질되어 벤젠, 톨루엔, 자일렌, 시클로헥사논, 클로로포름 등과 같은 무극성 유기 용매 내 분산 특성이 우수하다. 상기 분산 특성은 수개월 간, 예컨대 3개월 내지 6개월 간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산 특성이 우수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적으로 개질 된 그래핀은 경량 고강도 플라스틱, 대전방지 플라스틱, 건축용 페인트 및 보호 코팅제, 해양 및 가스관 용 부식방지 페인트 등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제조예 1: 산화 그래핀의 제조
흑연 10g, 황산 (H2SO4) 400mL 및 과망간산칼륨 (KMnO4) 50g을 55℃ 미만 조건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에 40% 과산화수소 5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상기 반응물을 원심분리하고 여과하여 정제한 후 건조하여 산화 그래핀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환원 그래핀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산화 그래핀을 0.5 중량%의 농도로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에 재분산시켰다. 상기 산화 그래핀 분산액 100L를 분무 건조 탱크에 넣고 20 내지 50rpm으로 150℃에서 분무 건조시켰다. 분무 건조된 산화 그래핀을 연속 로터리 킬른(rotary kiln)을 이용하여 350℃ 조건에서 열처리 환원시켜 환원 그래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개질 그래핀의 제조
상기 제조예 2에서 수득한 환원 그래핀과 아민 화합물로서 옥타데실아민을 N-에틸-2-피롤리돈(NEP)에 각각 10g/L로 분산시켰다. 상기 분산액들을 섞은 후, 쿠에트-테일러 반응기(LCTR-Lab, 라미나)에 투입하여 약 30분간 교반하였다. 상기 교반된 분산액을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Microwave reactor)에 넣고, 800 W 출력 조건으로 급격한 온도 상승을 막기 위해 30초 가열 후 5분 유지를 3회 반복함으로써 210℃로 승온하여 개질 반응을 수행하였다. 개질 반응이 완료된 분산액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반복 세척 후 필터로 걸러내어 60℃에서 건조시켜 개질 된 그래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개질 그래핀의 제조
상기 제조예 2에서 수득한 환원 그래핀과 아민 화합물로서 옥타데실아민을 NEP에 각각 10g/L로 분산시켰다. 상기 분산액을 초음파 분산기를 이용하여 약 60분간 교반 후,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고, 160℃의 온도로 환류 가열하여 10 시간 동안 개질 반응을 수행하였다. 개질 반응이 완료된 분산액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반복 세척 후 필터로 걸러내어 60℃에서 건조시켜 개질 된 그래핀을 얻었다.
비교예 2: 개질 그래핀의 제조
개질 반응을 15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개질 된 그래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개질 그래핀의 제조
NEP 대신에 DMSO를 사용하고, 쿠에트-테일러 반응기 대신에 초음파 분산기를 이용하여 약 60분간 교반 후,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 내에서 189℃로 승온하여 개질 반응을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개질 된 그래핀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개질 그래핀의 XPS 분석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개질 그래핀에 대하여 X-선 광전자 분광(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통해, 개질 후에 N(질소) 피크가 나타나 그래핀 표면에 아민기가 그래프트되어(grafted) 화학적 개질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개질 그래핀의 분산안정성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개질 그래핀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분산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개질 그래핀을 자일렌에 0.05g/L의 농도로 분산시켜 분산액을 얻은 뒤, 상기 각각의 분산액에 대하여 UV-Vis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통해, 테일러 와류 하에 교반하고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를 통해 90초(30초, 3회) 동안 개질 반응시킨 실시예 1의 개질 그래핀이, 초음파 처리 후 환류 가열하여 각각 10시간 및 15시간 동안 개질 반응시킨 비교예 1 및 2의 개질 그래핀에 비해 단 시간의 개질 반응에도 불구하고 전 파장에서 높은 흡광도를 나타내어 우수한 분산 안정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개질 그래핀의 시간에 따른 분산 안정성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개질 그래핀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시간에 따른 분산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개질 그래핀을 자일렌에 0.05g/L의 농도로 분산시켜 분산액을 얻은 뒤, 시간 경과에 따라 각각의 분산액에 대하여 900nm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UV-Vis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초기 1일 후 7일 후 9일 후 11일 후 13일 후 20일 후
비교예 1 0.558 0.35 0.259 0.221 0.238 0.208 0.178
비교예 2 0.515 0.38 0.259 0.249 0.244 0.225 0.222
비교예 3 0.732 0.435 0.223 0.262 0.215 0.21 0.198
실시예 1 0.896 0.589 0.405 0.36 0.385 0.301 0.298
상기 표 1 및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실시예 1의 개질 그래핀은 비교예 1 내지 3의 개질 그래핀에 비해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더욱 우수한 분산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개질 반응을 수행하더라도 테일러 와류 하에 교반되는 대신 초음파 처리 하에 교반된 비교예 3의 개질 그래핀은, 실시예 1의 개질 그래핀에 비해 분산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를 통한 개질 반응과 함께 테일러 와류 하의 교반을 수행하는 것이 개질 그래핀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개질 그래핀의 분산 용매에 따른 분산 안정성
상기 제조예 2에서 수득한 환원 그래핀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개질 그래핀을 각각 1g/L의 양으로 분산 용매 중에 분산시키고 분산 용매별 분산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상단은 제조예 2에서 수득한 환원 그래핀의 분산 상태를 나타내고, 하단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개질 그래핀의 분산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를 통해, 실시예 1의 개질 그래핀이 제조예 2에서 수득한 환원 그래핀에 비해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무극성 유기용매 중에서 크게 개선된 분산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i) 그래핀 및 아민 화합물을 용매 중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수득하는 단계;
    (ii) 상기 분산액에 테일러 와류를 발생시켜 분산액을 교반하는 단계; 및
    (iii) 상기 분산액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개질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적으로 개질 된 그래핀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 및 단계 (iii)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화학적으로 개질 된 그래핀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은 환원 그래핀인 화학적으로 개질 된 그래핀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 화합물은 C1-C20의 알킬아민, C3-C10의 사이클로알킬아민, 아릴아민, C1-C20의 알킬디아민, C3-C10의 사이클로알킬디아민 및 아릴디아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학적으로 개질 된 그래핀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 화합물은 p-n-옥틸아닐린, 페닐부틸아민, 옥틸아민, 도데실아민, 옥타데실아민, 헥사데실아민, 테트라데실아민, 도파민, p-페닐렌디아민, 3,4-디메틸페닐아민, 4-클로로아닐린 및 페닐아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학적으로 개질 된 그래핀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N-메틸-2-피롤리돈(NMP), N-에틸-2-피롤리돈(NEP),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및 디메틸설폭사이드(DMSO)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학적으로 개질 된 그래핀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N-에틸-2-피롤리돈(NEP)을 포함하는 화학적으로 개질 된 그래핀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에서 교반은 쿠에트-테일러 반응기 내에서 수행하는 화학적으로 개질 된 그래핀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i)에서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는 800 W 출력으로 1분 내지 10분간 수행하는 화학적으로 개질 된 그래핀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i)에서 개질 반응은 80 내지 260℃에서 수행하는 화학적으로 개질 된 그래핀의 제조방법.
KR1020180088143A 2018-07-27 2018-07-27 화학적으로 개질된 그래핀의 제조방법 KR102277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143A KR102277797B1 (ko) 2018-07-27 2018-07-27 화학적으로 개질된 그래핀의 제조방법
PCT/KR2019/009342 WO2020022839A1 (ko) 2018-07-27 2019-07-26 화학적으로 개질된 그래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143A KR102277797B1 (ko) 2018-07-27 2018-07-27 화학적으로 개질된 그래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621A true KR20200012621A (ko) 2020-02-05
KR102277797B1 KR102277797B1 (ko) 2021-07-15

Family

ID=69180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143A KR102277797B1 (ko) 2018-07-27 2018-07-27 화학적으로 개질된 그래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77797B1 (ko)
WO (1) WO20200228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566B1 (ko) * 2022-11-25 2023-07-21 (주)태성아이엠티 환원 그래핀을 제조하기 위한 습식 마이크로웨이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4136B (zh) * 2020-06-30 2022-04-05 郑州大学 一种耐高温地聚合物砂浆及其制备方法
CN113694781A (zh) * 2021-08-10 2021-11-26 中山大学 一种纳米材料的分散方法
CN114345411B (zh) * 2022-01-18 2023-12-05 南阳理工学院 一种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072714B (zh) * 2022-06-07 2023-10-13 苏州大学 一种胺化合物改性石墨烯薄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6899A (ko) * 2014-02-17 2015-08-26 전자부품연구원 쿠에트-테일러 반응기를 이용한 산화 그래핀 제조 시스템 및 제조방법
KR20160127885A (ko) * 2015-04-27 2016-11-07 전자부품연구원 층상 구조의 2차원 물질의 반응성 증가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산화그래핀 제조방법
KR20160140508A (ko) 2015-05-28 2016-12-07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2종 이상의 아민을 포함하는 기능화 그래핀 및 그 제조방법
WO2016208884A1 (ko) * 2015-06-24 2016-12-2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단 유동을 이용한 고품질 그래핀 제조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5160A (ko) * 2012-10-08 2014-04-16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저산화된 그래핀 옥사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0352B1 (ko) * 2015-02-23 2021-10-08 한국전기연구원 쿠에트-테일러 반응기를 이용한 은입자와 탄소나노소재 복합체 제조방법
KR101866190B1 (ko) * 2016-05-31 2018-06-1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 금속나노입자-복합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6899A (ko) * 2014-02-17 2015-08-26 전자부품연구원 쿠에트-테일러 반응기를 이용한 산화 그래핀 제조 시스템 및 제조방법
KR20160127885A (ko) * 2015-04-27 2016-11-07 전자부품연구원 층상 구조의 2차원 물질의 반응성 증가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산화그래핀 제조방법
KR20160140508A (ko) 2015-05-28 2016-12-07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2종 이상의 아민을 포함하는 기능화 그래핀 및 그 제조방법
WO2016208884A1 (ko) * 2015-06-24 2016-12-2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단 유동을 이용한 고품질 그래핀 제조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SC Adv. 2018, Vol. 8, pp. 6136-6145 (2018.02.0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566B1 (ko) * 2022-11-25 2023-07-21 (주)태성아이엠티 환원 그래핀을 제조하기 위한 습식 마이크로웨이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22839A1 (ko) 2020-01-30
KR102277797B1 (ko)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7797B1 (ko) 화학적으로 개질된 그래핀의 제조방법
KR101682007B1 (ko) 그래핀의 제조 방법
US9731973B2 (en) Method for obtaining graphene oxide
CN105873858B (zh) 石墨烯的制备方法及石墨烯的分散组合物
KR100875392B1 (ko) 카본 나노튜브의 분리방법 및 분산액
TWI542643B (zh) 分散劑、其製備方法及包含彼之建基於碳材料的經分散組成物
Nayak et al. Surface modification/functionalization of carbon materials by different techniques: An overview
Mekki et al. Core/shell, protuberance-free multiwalled carbon nanotube/polyaniline nanocomposites via interfacial chemistry of aryl diazonium salts
KR101582834B1 (ko) 비수계 그래핀 코팅액 제조 방법
KR20060133099A (ko) 모듈식 폴리(페닐렌에티닐렌)의 합성 방법 및 나노물질의관능화를 위한 이의 전자 특성을 미세 튜닝하는 방법
EP1853517A1 (fr) Procede de traitement des nanotubes de carbone
JP2007056125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含有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硬化塗膜を有する複合体
WO2012156297A2 (en) Method for synthesis of functionalised carbon nanotubes by cycloaddition under continuous flow conditions and apparatus for the method
JP2018528915A (ja) 磁性酸化鉄−グラフェン複合体の製造方法
KR101465205B1 (ko) 방향족 작용기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그래핀 제조 방법
WO2017063026A1 (en) Dispersions
Lee et al. Defect-free surface modification methods for solubility-tunable carbon nanotubes
CN111620329A (zh) 改性石墨烯、其生产方法、改性石墨烯-树脂复合物、改性石墨烯片材和改性石墨烯分散体
US20230002235A1 (en) Elastomer compositions comprising an adduct between an sp2 hybridized carbon allotrope and a dicarboxylic acid derivative
González-Domínguez et al. Reactive fillers based on SWCNTs functionalized with matrix-based moieties for the production of epoxy composites with superior and tunable properties
JP4961323B2 (ja) 表面が界面活性剤でコーティングされた炭素ナノチューブ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33503B1 (ko) 4급 암모늄염을 이용한 그래핀의 제조방법
JP5209211B2 (ja) カーボン材料とフェニレン誘導体との反応生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導電性組成物、ならびに反応生成物の製法
KR20110125529A (ko) 비공유 기능화된 탄소나노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DE102012220984A1 (de) Graphen-Nanoblätter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