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1690A - 패류 탈각장치 - Google Patents

패류 탈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1690A
KR20200011690A KR1020180086455A KR20180086455A KR20200011690A KR 20200011690 A KR20200011690 A KR 20200011690A KR 1020180086455 A KR1020180086455 A KR 1020180086455A KR 20180086455 A KR20180086455 A KR 20180086455A KR 20200011690 A KR20200011690 A KR 20200011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ap
inner space
pressure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5774B1 (ko
Inventor
김옥삼
황두진
유금범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86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774B1/ko
Publication of KR20200011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4Processing bivalves, e.g. oy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류 탈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10)의 컬럼(14)에 쳄버(20)가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쳄버(20)는 지면에 직립되게 설치되고, 상단으로 개방되게 내부공간(24)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24)에 패류가 투입된다. 상기 내부공간(24)은 캡(30)에 의해 개폐되는데, 상기 캡(30)은 상기 컬럼(14) 상단의 연결부(16)에 설치된다. 상기 캡(30)은 캡구동원(32)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내부공간(24)을 개폐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쳄버(20)의 내부공간(24)에 패류를 넣고 압력을 가해 탈각작업을 대량으로 신속 간단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류 탈각장치{Apparatus for exuviation of shellfish}
본 발명은 패류 탈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류가 담겨지는 쳄버를 회전가능하도록 한 패류 탈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패류는 조개나 굴 등과 같이 딱딱한 껍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껍질을 사람이 손으로 분리할 수 없다. 따라서, 조개나 굴의 경우 작업자가 날카로운 도구를 사용하여 일일이 수작업으로 껍질을 벗겨서 식용으로 한다.
굴의 경우 굴을 까는 곳인 박신장에서 많은 작업자가 일일이 껍질을 제거하고 굴 알맹이만을 모아서 유통하게 된다. 하지만,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껍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시간이 많이 걸려 위생상 좋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많은 양의 굴이나 조개의 껍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패류를 쳄버내에 위치시키고 쳄버에 일정 이상의 압력을 가해서 패류를 까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는 아래의 선행기술문헌들에서 잘 알 수 있다.
하지만, 쳄버 내에 패류를 투입하고 압력을 일정 이상으로 만들어 패류의 껍질을 제거하는 경우에 많은 양을 한 번에 작업하기 위해서는 쳄버의 크기가 커야한다. 그리고 쳄버 내에 일정량 이상의 패류를 채우기 위해서는 쳄버를 수직방향으로 세우는 것이 필요한데, 이와 같이 되면 쳄버의 내외부로 패류를 넣고 빼는 것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5898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830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1418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쳄버 내에 패류를 넣고 압력을 높여 패류 껍질을 까는 장치에서 쳄버 내부의 압력을 신속하게 올리면서도 패류를 쳄버 내로 입출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는 컬럼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컬럼에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부로 개방된 내부공간에 패류가 투입되는 쳄버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승강되면서 상기 쳄버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캡과, 상기 쳄버의 내부공간의 압력을 설정하는 압력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쳄버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쳄버구동원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캡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캡구동원에 의해 승강된다.
상기 캡은 상기 컬럼 상단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캡구동원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쳄버의 내부공간 입구를 개폐한다.
상기 압력펌프에서 제공되는 압력은 압력덕트를 통해 전달되는데, 상기 압력덕트는 상기 연결부에 일단부가 위치되고 상기 압력덕트의 일단부에는 신축호스가 설치되고 상기 신축호스의 타단부가 상기 캡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된다.
본 발명에 의한 패류 탈각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쳄버가 지면에 대해 직립되게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쳄버의 내부공간에 패류를 넣고 빼는 작업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면서도 내부공간의 압력을 신속하게 정해진 값으로 만들 수 있어 많은 양의 패류를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탈각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패류 탈각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정면에서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캡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쳄버가 회전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례의 패류 탈각장치의 골격을 프레임(10)이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10)은 바닥에의 지지를 위한 베이스(12)와 상기 베이스(12)에 직립하게 세워진 컬럼(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컬럼(14)이 지면에 직접 설치된다면 상기 베이스(12)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상기 컬럼(14)은 상단에서 연결부(16)에 의해 양측의 것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컬럼(14)과 연결부(16)에 의해 설치공간(18)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간(18)은 상기 컬럼(14)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설치공간(18)에는 쳄버(20)가 설치된다. 상기 쳄버(20)는 회전축(22)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의 컬럼(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쳄버(2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24)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24)은 상기 쳄버(20)의 상부, 즉 쳄버(20)가 설치되었을 때 중력 반대방향으로 개방된다. 상기 내부공간(24)에는 탈각될 패류가 넣어진다.
상기 회전축(22)의 회전, 즉 상기 쳄버(20)의 회전을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컬럼(14)에는 장착브라켓(26)이 설치되고, 상기 장착브라켓(26) 상에 쳄버구동원(27)이 설치된다. 상기 쳄버구동원(27)의 구동력은 감속기(28)를 통해 상기 회전축(22)으로 전달된다.
참고로, 상기 쳄버(20)의 회전을 위한 구성은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12) 상에 유압실린더를 설치하고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상기 쳄버(20)의 하단과 연결하여 상기 쳄버(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는 상기 회전축(22)에 체인을 위한 스프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12)에 설치된 구동원의 구동력을 체인을 통해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축(2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은 본 실시례에서는 일측 회전축(22)에만 설치되어 있으나, 양측의 회전축(22)에 각각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쳄버(20)의 내부공간(24) 입구는 캡(3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캡(30)은 상기 연결부(16)의 하면에 설치된다. 상기 캡(30)은 상기 연결부(16)의 하면인 상기 설치공간(16) 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캡(30)의 하면에는 상기 쳄버(20)의 내부공간(24) 입구를 막았을 때, 압력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시일(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물론 상기 시일은 상기 쳄버(20)의 내부공간(24) 입구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캡(30)의 승강을 위해서 상기 연결부(16) 상에 캡구동원(32)이 설치된다. 상기 캡구동원(32)은 예를 들면 유압실린더가 사용된다. 즉,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상기 연결부(16)를 관통하여 상기 캡(30)과 연결되어 상기 캡(30)을 승강시키는 것이다. 상기 캡구동원(32)은 상기 캡(30)을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한편, 상기 쳄버(20)의 내부공간(22)의 압력을 설정하기 위한 압력펌프(도시되지 않음)가 사용되는데, 상기 압력펌프는 상기 베이스(12)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압력펌프를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압력펌프에 연결되게 압력덕트(34)가 있는데, 상기 압력덕트(34)는 상기 연결부(16)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16)의 하면에서 상기 압력덕트(34)와 연결되게 신축호스(36)가 설치된다. 상기 신축호스(36)는 일단부가 상기 압력덕트(34)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캡(30)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24)과 연통된다. 상기 신축호스(36)를 통해 상기 압력덕트(34)와 쳄버(20)의 내부공간(22)이 연통되어 내부공간(24)의 압력이 설정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패류 탈각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쳄버(20)의 내부공간(24)에 패류를 투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캡(20)을 상기 쳄버(20)에서 분리하여 상기 내부공간(24)을 개방하여야 한다. 상기 캡(20)은 상기 캡구동원(32)의 구동에 의해 동작된다. 상기 캡구동원(32)이 상기 캡(20)을 상승시키면, 상기 캡(20)은 도 3의 상태에서 도 4의 상태로 된다.
도 3의 상태는 상기 캡(20)이 상기 쳄버(20)의 내부공간(24)을 폐쇄한 상태이다. 상기 캡(20)이 하강하여 상기 쳄버(20)의 내부공간(24) 입구에 밀착되어 설치된 상태이다. 도 4의 상태는 상기 캡(20)이 상기 캡구동원(32)의 구동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쳄버(20)의 내부공간(24)을 개방한 상태이다. 하지만, 도 4의 상태에서는 상기 쳄버(20)의 내부공간(24)에 패류를 넣거나 빼는 것이 불가능하고 단지 내부공간(24)이 외부와 연통된 상태이다. 즉, 상기 내부공간(24)의 압력이 대기압과 같은 상태이다.
다음으로, 상기 쳄버구동원(27)을 구동시켜 구동력을 상기 감속기(28)를 통해 상기 회전축(22)으로 전달한다. 상기 회전축(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쳄버(20)가 회전된다. 상기 쳄버(20)의 회전은 45°정도 기울어지도록 한다. 물론, 도 1의 상태에서 상기 쳄버(20)를 90″이상까지도 회전되게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내부공간(24)에 일정 이상의 패류를 넣기 위해서는 쳄버(20)를 45°정도 기울어지게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쳄버(20)를 45°정도 기울여서 내부공간(24)에 패류투입을 완료하고 나면, 상기 쳄버(20)를 상기 쳄버구동원(27)을 사용하여 회전시킨다. 상기 쳄버(20)의 내부공간(24) 입구가 상기 캡(30)과 대응되는 위치가 되도록 회전시킨다. 즉, 상기 쳄버(20)를 지면에 대해 직립되게 한다.
이 상태는 도 4의 상태이다. 다음으로, 상기 캡(30)을 하강시킨다. 상기 캡구동원(32)을 구동시켜 상기 캡(30)을 하강시키고, 상기 쳄버(20)의 입구를 상기 캡(30)으로 막는다.
상기 캡(30)으로 상기 쳄버(20)의 내부공간(24)을 막은 후에는 상기 압력펌프를 구동시킨다. 상기 압력펌프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압력덕트(34)와 상기 신축호스(36)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24)으로 압력이 가해진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24)의 압력이 설정된 값이 되도록 한다. 상기 내부공간(24)의 압력은 패류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수치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상기 내부공간(24)의 압력을 패류의 종류에 따라 설정된 값으로 유지하게 되면 패류의 껍질이 까지게 된다.
상기 내부공간(24)을 설정된 압력으로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하고 나면 내부공간(24)의 패류를 꺼내기 위한 동작을 진행한다. 상기 압력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캡구동원(32)을 동작시킨다. 상기 캡구동원(32)이 동작되어 상기 캡(30)을 상승시키면 상기 쳄버(20)의 입구가 개방되어 상기 내부공간(24)의 압력이 대기압과 같아지게 된다.
상기 캡(30)이 상승되어 도 4의 상태가 되면 상기 쳄버(2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쳄버(20)를 상기 쳄버구동원(27)의 구동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쳄버구동원(27)의 구동력이 상기 회전축(22)을 회전시키면 상기 쳄버(20)가 회전된다. 상기 쳄버(20)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5°정도 회전시키고 상기 내부공간(24)에 있는 패류를 꺼내서 껍질을 버리고 알맹이만을 선별하면 된다.
상기 내부공간(24)에 있는 패류의 껍질이나 물까지도 모두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쳄버(20)를 45°로 추가로 회전시켜 대략 90°이상 회전된 상태가 되게 하여 자연적으로 내부공간(24)에 있는 것들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위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패류 탈각을 진행하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컬럼(14)이 한쌍이 나란히 설치되었으나, 쳄버(20)의 회전과 지지가 하나의 컬럼(14)으로 가능하다면 하나의 컬럼(14)만이 있어도 상관없다. 이때, 상기 연결부(16)는 하나의 컬럼(14)의 상부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10: 프레임 12: 베이스
14: 컬럼 16: 연결부
18: 설치공간 20: 쳄버
22: 회전축 24: 내부공간
26: 장착브라켓 27: 쳄버구동원
28: 감속기 30: 캡
32: 캡구동원 34: 압력덕트
36: 신축호스

Claims (4)

  1.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는 컬럼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컬럼에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부로 개방된 내부공간에 패류가 투입되는 쳄버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승강되면서 상기 쳄버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캡과,
    상기 쳄버의 내부공간의 압력을 설정하는 압력펌프를 포함하는 패류 탈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쳄버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쳄버구동원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캡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캡구동원에 의해 승강되는 패류 탈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컬럼 상단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캡구동원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쳄버의 내부공간 입구를 개폐하는 패류 탈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펌프에서 제공되는 압력은 압력덕트를 통해 전달되는데, 상기 압력덕트는 상기 연결부에 일단부가 위치되고 상기 압력덕트의 일단부에는 신축호스가 설치되고 상기 신축호스의 타단부가 상기 캡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패류 탈각장치.


KR1020180086455A 2018-07-25 2018-07-25 패류 탈각장치 KR102135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455A KR102135774B1 (ko) 2018-07-25 2018-07-25 패류 탈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455A KR102135774B1 (ko) 2018-07-25 2018-07-25 패류 탈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690A true KR20200011690A (ko) 2020-02-04
KR102135774B1 KR102135774B1 (ko) 2020-07-20

Family

ID=69571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455A KR102135774B1 (ko) 2018-07-25 2018-07-25 패류 탈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77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600B1 (ko) * 2021-10-20 2022-03-08 조기준 굴 껍질 분리장치용 굴수납 케이지
KR102390635B1 (ko) * 2021-09-15 2022-04-25 조기준 굴껍질 자동분리장치
KR102390636B1 (ko) * 2021-09-15 2022-04-25 조기준 챔버유닛이 이중으로 록킹되는 굴껍질 자동분리장치
KR102390637B1 (ko) * 2021-11-10 2022-04-25 조기준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
KR102433276B1 (ko) * 2021-12-21 2022-08-16 조기준 챔버유닛이 빗장 식으로 잠금되는 굴껍질 자동분리장치
KR102524226B1 (ko) * 2022-09-14 2023-04-21 (주)에이스티어 바지락 탈각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142B1 (ko) 2020-12-07 2022-10-28 강성원 소형 전복의 패각 분리 가공방법
KR102652382B1 (ko) 2023-04-14 2024-03-2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패류 육질 분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333B1 (ko) * 2011-01-28 2011-06-23 신승진 조개류 자동탈각장치
KR101178301B1 (ko) 2011-03-11 2012-08-29 김정형 패류의 탈각 장치 및 시스템
KR20160058987A (ko) 2014-11-04 2016-05-26 (주)다손 패류의 탈각방법
KR20170014182A (ko)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윗휴먼 패류 탈각 자동화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333B1 (ko) * 2011-01-28 2011-06-23 신승진 조개류 자동탈각장치
KR101178301B1 (ko) 2011-03-11 2012-08-29 김정형 패류의 탈각 장치 및 시스템
KR20160058987A (ko) 2014-11-04 2016-05-26 (주)다손 패류의 탈각방법
KR20170014182A (ko)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윗휴먼 패류 탈각 자동화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635B1 (ko) * 2021-09-15 2022-04-25 조기준 굴껍질 자동분리장치
KR102390636B1 (ko) * 2021-09-15 2022-04-25 조기준 챔버유닛이 이중으로 록킹되는 굴껍질 자동분리장치
KR102372600B1 (ko) * 2021-10-20 2022-03-08 조기준 굴 껍질 분리장치용 굴수납 케이지
KR102390637B1 (ko) * 2021-11-10 2022-04-25 조기준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
KR102433276B1 (ko) * 2021-12-21 2022-08-16 조기준 챔버유닛이 빗장 식으로 잠금되는 굴껍질 자동분리장치
KR102524226B1 (ko) * 2022-09-14 2023-04-21 (주)에이스티어 바지락 탈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774B1 (ko) 202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5774B1 (ko) 패류 탈각장치
US9624638B2 (en) Machine and a method for making columns in ground
CN107986213B (zh) 一种化工产品装瓶装置
KR101063964B1 (ko) 양념 교반 장치
CN205580123U (zh) 一种独活药材的晾晒装置
US10100483B2 (en) Portable cofferdam system
CN106890756A (zh) 浸甩一体涂覆机及其工作方法
CN104790443B (zh) 上部回转体
KR101388524B1 (ko) 농산물 세척기
CN116378157A (zh) 一种土地挖掘设备及其使用方法
AU2009214838A1 (en) Device for removing marine animals from an aquaculture tank
CN110810867A (zh) 一种块状农产品清洗设备
CN207252743U (zh) 马铃薯清洗机
JP2010189952A (ja) 既設杭の撤去装置
KR101182769B1 (ko) 감자 박피기
CN210966131U (zh) 一种艾草预处理装置
CN108246525A (zh) 一种油性食品脱油机
KR100450057B1 (ko) 밤의 껍질을 박피하는 장치
CN208554633U (zh) 一种油性食品脱油机
KR101194159B1 (ko) 공기를 이용한 실린더 헤드 이물질제거장치
CN113208767A (zh) 一种医用麝香自动提取设备
CN108867657B (zh) 基坑立柱桩及其拆除装置
CN208140393U (zh) 一种农业用联动式土壤采样装置
JP6694840B2 (ja) 管状体の埋設工法
KR20120004693U (ko) 개량 은행 탈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