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637B1 -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637B1
KR102390637B1 KR1020210154136A KR20210154136A KR102390637B1 KR 102390637 B1 KR102390637 B1 KR 102390637B1 KR 1020210154136 A KR1020210154136 A KR 1020210154136A KR 20210154136 A KR20210154136 A KR 20210154136A KR 102390637 B1 KR102390637 B1 KR 102390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yster
cage
oysters
storage cag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준
Original Assignee
조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기준 filed Critical 조기준
Priority to KR1020210154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6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637B1/ko
Priority to CN202280004908.2A priority patent/CN116419806A/zh
Priority to PCT/KR2022/008679 priority patent/WO202308554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4Processing bivalves, e.g. oysters
    • A22C29/046Opening or shucking bi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4Processing bivalves, e.g. oy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5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using perforated containers, e.g. baskets, or racks immersed and agitated in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6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using perforated drums in which the article or material is pla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06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boiling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B08B3/123Cleaning travelling work, e.g. webs, articles on a convey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까지 않은 생굴을 정량공급기에 투입하여 일정량의 생굴이 다수개의 굴수납케이지에 수납되게 하고, 그 생굴이 담긴 굴수납케이지를 예열기를 거쳐 굴분리장치로 투입하여 수압에 의해 굴껍질에서 굴알맹이의 관자가 떨어져 이탈되게 하며, 깐 굴(굴껍질에서 굴알맹이가 이탈된 생굴)이 담겨진 굴수납게이지를 냉각기를 거쳐 진동선별기로 이동시켜서 진동선별기에서 굴껍질과 굴알맹이를 선별하여 분리 배출하는 전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압을 이용하여 굴껍질에서 굴알맹이를 분리시키는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은, 1차호퍼(110)에 담겨진 굴을 외주연 전둘레에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한 통형 굴수납케이지(10)에 정량을 투입하는 정량공급기(100)와; 수개의 빈 굴수납케이지(1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정량공급기(100)에서 공급하는 굴을 1개씩의 굴수납케이지(10)에 담아서 대기하는 케이지적재대(200)와; 굴이 담겨진 굴수납케이지(10)를 온수에 담가서 굴을 이완시키는 예열기(300)와; 예열기(300)로부터 공급되는 다수의 굴수납케이지(10)를 챔버(420)에 투입한 뒤에 챔버(420)의 입구와 출구를 폐쇄하고 챔버(420) 내측으로 수압을 공급하여 굴껍질의 내면에서 굴알맹이가 이탈되게 하는 굴분리장치(400)와; 챔버(420)에서 나온 굴수납케이지(10)를 냉수에 담가서 이완되었던 굴을 활성화하는 냉각기(500)와; 냉각기(500)로부터 공급되는 굴수납케이지(10)를 180°로 뒤집어서 굴수납케이지(10)에 담긴 깐 굴을 하측으로 쏟아내는 반전기(800)와; 반전기(800)에서 쏟아져 내린 깐 굴을 굴껍질과 굴알맹이로 선별하여 분리 배출하는 진동선별기(700)와; 로봇이동레일(610)을 따라 이동하는 케이지이동로봇(620)을 이용하여 케이지적재대(200)에 대기하는 굴수납케이지(10)를 예열기(300)로 투입하고, 냉각기(500)에 담겨진 굴수납케이지(10)를 반전기(800)로 이동 공급하며, 반전기(800)에서 비워진 굴수납케이지(10)를 케이지적재대(200)에 적재시키는 케이지이동장치(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Oyster shell automatic separation system}
본 발명은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까지 않은 생굴을 정량공급기에 투입하여 일정량의 생굴이 다수개의 굴수납케이지에 수납되게 하고, 그 생굴이 담긴 굴수납케이지를 예열기를 거쳐 굴분리장치로 투입하여 수압에 의해 굴껍질에서 굴알맹이의 관자가 떨어져 이탈되게 하며, 깐 굴(굴껍질에서 굴알맹이가 이탈된 생굴)이 담겨진 굴수납게이지를 냉각기를 거쳐 진동선별기로 이동시켜서 진동선별기에서 굴껍질과 굴알맹이를 선별하여 분리 배출하는 전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특허등록 제10-1939330호(발명의 명칭 : 굴패각 탈피장치 : 제1발명)와, 특허등록 제10-1945898호(발명의 명칭 : 굴 알맹이 분리장치: 제2발명)에 대하여 특허등록을 받았으며, 이러한 종래발명이 특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제1발명은 굴이 담겨진 굴바구니를 챔버의 바구니투입공간에 후크 승하강실린더로 투입한 뒤에 챔버의 입구를 밀봉하고 수압을 가하여 굴패각(굴껍질)에서 굴알맹이가 수압에 의해 분리하며, 실린더를 포함한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굴바구니를 외부로 꺼내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제2발명은, 상기 제1발명의 굴패각 탈피장치에서 굴껍질이 벌어지고 관자가 굴껍질에서 굴알맹이가 떨어진 굴(깐 굴)을 물탱크 내측에 투입한 상태에서 물탱크의 바닥으로부터 압축공기에 의한 버블을 발생시켜서 굴껍질와 그 내측의 알맹이가 버블 압력에 의해 분리되게 하고, 물탱크 내측의 물(해수)이 넘치는 과정에서 넘치는 물과 함께 굴알맹이가 외부로 배출되며, 굴알맹이가 분리된 굴껍질은 껍데기 배출장치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발명으로 굴을 투입할 때 굴바구니에 굴을 담는 작업과, 굴을 담은 굴바구니를 제1발명의 굴패각 탈피장치로 이송하는 작업을 수작업에 의존하고, 제1발명의 굴패각 탈피장치에서 분리된 굴을 제2발명으로 이송 투입하는 작업을 수작업에 의존함에 따라 작업의 번거로움과 생산성을 높일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등록 제10-1939330호(발명의 명칭 : 굴패각 탈피장치) 특허등록 제10-1945898호(발명의 명칭 : 굴 알맹이 분리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까지 않은 생굴을 정량공급기에 투입하여 일정량의 생굴이 다수개의 굴수납케이지에 수납되게 하고, 그 생굴이 담긴 굴수납케이지를 예열기를 거쳐 굴분리장치로 투입하여 수압에 의해 굴껍질에서 굴알맹이의 관자가 떨어져 이탈되게 하며, 굴껍질에서 굴알맹이가 이탈된 깐 굴이 담겨진 굴수납게이지를 냉각기를 거쳐 진동선별기로 이동시켜서 진동선별기에서 굴껍질과 굴알맹이를 선별하여 분리 배출하는 전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압을 이용하여 굴껍질에서 굴알맹이를 분리시키는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은, 1차호퍼에 담겨진 굴을 외주연 전둘레에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한 통형 굴수납케이지에 정량을 투입하는 정량공급기와; 수개의 빈 굴수납케이지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정량공급기에서 공급하는 굴을 1개씩의 굴수납케이지에 담아서 대기하는 케이지적재대와; 굴이 담겨진 굴수납케이지를 온수에 담가서 굴을 이완시키는 예열기와; 예열기로부터 공급되는 다수의 굴수납케이지를 챔버에 투입한 뒤에 챔버의 입구와 출구를 폐쇄하고 챔버 내측으로 수압을 공급하여 굴껍질의 내면에서 굴알맹이가 이탈되게 하는 굴분리장치와; 챔버에서 나온 굴수납케이지를 냉수에 담가서 이완되었던 굴을 활성화하는 냉각기와; 냉각기로부터 공급되는 굴수납케이지를 180°로 뒤집어서 굴수납케이지에 담긴 깐 굴을 하측으로 쏟아내는 반전기와; 반전기에서 쏟아져 내린 깐 굴을 굴껍질과 굴알맹이로 선별하여 분리 배출하는 진동선별기와; 로봇이동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케이지이동로봇을 이용하여 케이지적재대에 대기하는 굴수납케이지를 예열기로 투입하고, 냉각기에 담겨진 굴수납케이지를 반전기로 이동 공급하며, 반전기에서 비워진 굴수납케이지를 케이지적재대에 적재시키는 케이지이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은, 까지 않은 생굴을 정량공급기에 투입하여 일정량의 생굴이 다수개의 굴수납케이지에 수납되게 하고, 그 생굴이 담긴 굴수납케이지를 예열기를 거쳐 굴분리장치로 투입하여 수압에 의해 굴껍질에서 굴알맹이의 관자가 떨어져 이탈되게 하며, 굴껍질에서 굴알맹이가 이탈된 깐 굴이 담겨진 굴수납게이지를 냉각기를 거쳐 진동선별기로 이동시켜서 진동선별기에서 굴껍질과 굴알맹이를 선별하여 분리 배출하는 전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작업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굴수납케이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배치도.
도 4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정량공급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케이지적재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배출컨베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예열기와 굴분리장치 및 냉각기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예열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냉각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진동선별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반전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은 수압을 이용하여 굴껍질에서 굴알맹이를 분리시키는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은, 1차호퍼(110)에 담겨진 까지 않은 굴(굴껍질의 내측면에 굴알맹가 붙어 있는 살아 있는 굴)을 외주연 전둘레에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한 통형 굴수납케이지(10)에 정량을 투입하는 정량공급기(100)와; 수개의 빈 굴수납케이지(1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정량공급기(100)에서 공급하는 굴을 1개씩의 굴수납케이지(10)에 받아 담아서 대기하는 케이지적재대(200)와; 케이지적재대(200)에 대기하는 굴수납케이지(10)를 케이지이동장치(600)로 이동시켜서 온수에 담가 굴을 이완시키는 예열기(300)와; 예열기(300)로부터 공급되는 다수의 굴수납케이지(10)를 챔버(420)에 투입한 뒤에 챔버(420)의 입구와 출구를 폐쇄하고 챔버(420) 내측으로 수압을 공급하여 굴껍질의 내면에서 굴알맹이가 이탈되게 하는 굴분리장치(400)와; 챔버(420)에서 나온 굴수납케이지(10)를 냉수에 담가서 굴을 활성화하는 냉각기(500)와; 냉각기(500)에 적재된 굴수납케이지(10)를 케이지이동장치(600)으로부터 공급받아 180°로 뒤집어서 굴수납케이지(10)에 담긴 깐 굴을 하측으로 쏟아내는 반전기(800)와; 반전기(800)에서 쏟아져 내린 깐 굴을 굴껍질과 굴알맹이를 선별하여 각각 분리 배출하는 진동선별기(700)와; 로봇이동레일(610)을 따라 이동하는 케이지이동로봇(620)을 이용하여 케이지적재대(200)에 대기하는 굴수납케이지(10)를 예열기(300)로 투입하고, 냉각기(500)에 담겨진 굴수납케이지(10)를 반전기(800)로 이동 공급하며, 반전기(800)에서 비워진 굴수납케이지(10)를 케이지적재대(200)에 적재시키는 케이지이동장치(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량공급기(10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까지 않은 생굴을 담아두는 1차호퍼(110)와, 1차호퍼(110)의 하측 배출구로 낙하하는 굴을 상측으로 경사 이동시키는 경사컨베어(120)와, 경사컨베어(120)로부터 공급되는 굴을 굴수납케이지(10)에 정량을 투입하는 정량공급부(1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정량공급부(130)는 함체형 프레임(131)의 상측에 경사컨베어(120)의 상측으로부터 낙하하는 굴이 담겨지는 2차호퍼(132)가 구비되며 2차호퍼(132)의 하부에는 저면이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고 굴수납케이지(10)의 용적과 동일한 용적으로 형성되는 버켓(133)이 버켓실린더(134)에 의해 승하강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프레임(131)의 전방에는 버켓(133)에 담긴 굴을 배출시키는 배출관(135)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배출관(135)의 초입에는 배출관(135)의 초입을 개폐하는 배출관개폐구(137)가 개폐실린더(136)에 의해 승하강되게 설치되며, 배출관(135) 초입부 소정위치에는 버켓(133)에 담기는 굴의 량을 감지하여 경사컨베어(120)를 정지시키는 센서(13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경사컨베어(120)의 밸트부(122) 외부면에는 다수개의 칸막이(121)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경사상태로 이동하는 밸트부(122)에 얹힌 굴이 하측으로 내려가지 않게 하고, 버켓(133) 후방측의 프레임(131) 소정위치에는 버켓(133)에 담겨지는 굴의 상측을 밀어서 산형으로 불룩한 굴더미 상측을 평탄하게 하는 긁개(139)가 실린더에 의해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버켓(133)은 넓은 통형태로 형성되고 외부 형상이 불규칙한 다수의 굴이 버켓(133)로 담길 때, 버켓(133)에 쌓이는 굴이 더미로 쌓이는데 중앙 상부가 불룩한 산형(山形)으로 쌓이고 그 주변, 즉 버켓(133)의 내벽면과 근접한 부분은 직각 역삼각형태의 빈 공간이 형성되어 그 산형으로 불룩한 상부를 직각 역삼각형태의 빈 공간으로 밀어 넣어 평탄하게 하여 버켓(133)에서 배출관(135)으로 배출될 때 굴의 상측 부분이 배출관개폐구(137)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3 및 도 5,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지적재대(200)는 반전기(800)에서 비워진 수개의 굴수납케이지(10)가 1개씩 케이지이동로봇(620)으로부터 공급받아 안착되며 이렇게 안착된 굴수납케이지(10)를 1개씩 셔틀이송컨베어(220)의 상측에 설치된 셔틀(221) 측으로 이동시키는 인입컨베어(210)와, 상측에 안착되는 굴수납케이지(10)를 90°씩 회전시키는 셔틀(221)이 밸트부(122)의 상측에 설치되어 셔틀(221)에 안착된 굴수납케이지(10)를 인입컨베어(210)의 말단부 측에서 배출컨베어(230)의 선단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셔틀이송컨베어(220)와, 셔틀(221) 상에 안착된 굴을 담은 굴수납케이지(10)를 당김실린더(231)에 의해 동작하는 당김구(232)로서 배출컨베어(230)의 밸트부(233) 상으로 당겨서 적재하는 배출컨베어(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입컨베어(210)와 셔틀이송컨베어(220), 그리고 배출컨베어(230)는 밸트부가 모터에 의해 구동하며, 셔틀이송컨베어(220)의 밸트부(222)는 왕복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인입컨베어(210)와 배출컨베어(230)의 양측에 원통형 굴수납케이지(10)를 안내하는 측면가이드(211,234)가 설치되고, 밸트부 가운데에는 굴수납케이지(10)의 하부에 터널홈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부(16)가 안내되는 하부가이드(212,23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셔틀(221)은 밸트부(222) 상에 설치되는 설치대(223)에 모터가 설치되고 그 상측에 굴수납케이지(10)가 안착되는 안치대가 설치되며, 이 셔틀(221)이 정량공급기(100)의 배출관(135) 하측에서 일시로 정지했을 때 배출관(135)으로 낙하되는 굴이 굴수납케이지(10)의 내측으로 담겨지게 된다.
상기 예열기(300)는 도 3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온수가 담기는 수조(310)의 내측에 굴이 담긴 수개의 굴수납케이지(10)가 길이방향으로 안착되는 케이지적재틀(320)을 설치하되, 케이지적재틀(320)이 침몰 및 부상수단에 의해 수조내의 물속으로 침몰 및 부상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조(310) 내측에는 수조(310)에 담긴 물을 가열하는 히터(34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히터(340)는 수조(310)에 담긴 물의 온도가 25~40℃가 되도록 가열하며, 수조(310)에 담긴 물의 온도가 25~40℃가 되면 생굴이 이완되어 추후 굴분리장치(400)에서 굴알맹이가 굴껍질에서부터 떨어지게 할 때, 관자가 굴껍질에 부착되는 부착력이 약화되어 굴알맹이가 굴껍질에서부터 떨어지게 된다.
상기 냉각기(500)는 도 3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냉수가 담기는 수조(510)의 내측에 굴이 담긴 수개의 굴수납케이지(10)가 길이방향으로 안착되는 케이지적재틀(520)을 설치하되, 케이지적재틀(520)이 침몰 및 부상수단에 의해 수조내의 물속으로 침몰 및 부상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조(510)에 담긴 물의 온도가 4~6℃가 되도록 별도의 냉각기로 냉각하며, 수조(510)에 담긴 물의 온도가 4~6℃가 되면 이완되었던 굴이 활성화되어 싱싱한 굴을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지적재틀(320,520)과 침몰 및 부상수단은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열기(300)에 설치되는 것과 냉각기(500)에 설치되는 것이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며, 케이지적재틀(320,520)은 각각의 수조(310,510)에 담긴 물이 통과하는 구조체로 형성되는 하부프레임(321,521)의 양측과 바닥에 원통형 굴수납케이지(10)의 양측과 하부를 지지하는 측면지지대(322,522) 및 하부안내롤러(323,523)가 각각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침몰 및 부상수단은 케이지적재틀(320,520)의 일측단 하부가 수조(310,510)의 일측 상부에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케이지적재틀(320,520)의 타단부에는 승하강수단이 설치되어 케이지적재틀(320,520)이 승하강수단(330,530)에 의해 수조내의 물속으로 힌지식으로 침몰 및 부상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하강수단(330,530)은 수조(310,510)의 타측단 외측에 수조(310,510) 보다 높이가 높은 실린더설치틀(331,531)이 설치되고, 이 실린더설치틀(331,531)의 상하부에는 상부롤러(332,532)와 하부롤러(333,533)가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실린더설치틀(331,531)의 상부에 실린더(334,534)가 각각 설치되고, 각각의 실린더로드의 단부와 케이지적재틀(320,520)의 타측 단부사이에 와이어(335,535)를 설치하되, 이 와이어(335,535)가 하부롤러(333,533)와 상부롤러(332,532)를 감아서 설치되어 실린더(334,534)의 동작에 따라 케이지적재틀(320,520)이 수조(310,510)에 담긴 물속으로 침몰 및 부상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예열기(300)와 냉각기(500)는 일직선 상태로 굴분리장치(400)의 챔버(420)가 출입할 만큼의 간격을 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굴분리장치(400)는 예열기(300)와 냉각기(500) 사이의 바닥에 예열기(300) 및 냉각기(500)와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중앙가이드레일(410)과, 내측공간이 예열기(300) 및 냉각기(500)와 일직선상으로 통하는 원통관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가이드레일(410)에 전후방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챔버(420)와, 예열기(300)와 냉각기(500) 전방의 중앙가이드레일(410)의 양측 바닥에 설치되는 측방가이드레일(430)과, 양측 측방가이드레일(430) 상에 슬라이드식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측방가이드레일(430)을 따라 이동하면서 챔버(420)의 양측 개구부를 각각 개폐하며 중앙부에 챔버(420)의 내부로 수압을 공급하는 수압공급부(441)가 설치된 폐쇄기(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굴수납케이지(1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이 눕혀진 형태로 상부 원주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이 굴수납케이지(10)의 상하부에 상측 출입부가 상측을 향한 상태로 이동하도록 가이드수단에 안내되는 가이드부(15,16)가 각각 형성되고, 굴수납케이지(10)의 전후면에 설치된 원판형 전후면판(12,13)에는 반전기(800)에서 굴수납케이지(10)를 180°로 뒤집는 회전체(820)가 삽입 홀딩하는 홀딩홈(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반전기(800)는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810)의 상부에 굴수납케이지(10)의 전후면을 홀딩하여 180°로 뒤집는 회전체(820)를 설치하되, 이 회전체(820)는 프레임(810)의 상부 양측에 한 쌍의 왕복이송대(821)가 서로 마주본 상태로 실린더(822)에 의해 왕복이동하게 설치되고, 양측 왕복이송대(821)의 내측에는 굴수납케이지(10)의 전후면을 홀딩하여 회전하는 끼움부(823)가 각각 설치되며, 일측 회전체(820)는 모터(824)의 의해 180°씩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진동선별기(70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체(820)의 하측에 설치되며, 진동기(711)가 설치되어 진동하는 진동프레임(710)의 하부에는 중간에 스프링(712)이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수 개의 받침다리(713)가 설치되고, 진동프레임(710)의 상부에는 다수의 급수부(725)를 통하여 물이 공급되는 선별트레이(720)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선별트레이(720)의 내측에는 경사진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올라온 높이에 다수의 굴알맹이통공(722)이 형성된 타공판(721)이 경사지게 착탈식으로 설치되고, 선별트레이(720)의 낮은 쪽의 저면에 굴알맹이배출구(723)가 하향 설치되며, 선별트레이(720)의 낮은 쪽의 타공판(721)과 동일한 높이선상에 굴껍질배출구(724)가 외향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타공판(721)이 경사지게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것은 굴알맹이통공(722)의 크기가 다른 것을 교체하여 굴의 크기가 큰 경우는 굴알맹이통공(722)의 내경이 큰 타공판(721)을 설치하고, 굴의 크기가 작은 경우는 굴알맹이통공(722)의 내경이 작은 타공판(721)을 교체 설치하여 균일한 크기의 굴알맹이를 선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선별트레이(720)의 상부에는 타공판(721)에 얹힌 굴 더미를 평탄하게 펼쳐지게 하는 회전날개(726)가 모터에 의해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900"은 본 발명이 작용하는데 소요되는 물을 보관하는 물탱크이고, "910"은 본 발명을 제어하는 콘트롤장치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생굴을 까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 및 도 3,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량의 까지 않은 생굴을 정량공급기(100)의 1차호퍼(110)에 투입한다. 이때, 1차호퍼(110)의 하측에 개방되게 형성된 배출구 하측에는 경사컨베어(120)의 하측부분이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경사컨베어(120)를 구동시키면 1차호퍼(110)의 배출구 하측으로 배출되는 굴이 경사컨베어(120)에 얹히게 되는데, 경사컨베어(120)의 밸트부(122)에는 다수개의 칸막이(121)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서 칸막이(121) 사이의 공간에 굴이 담겨지게 되고 경사컨베어(120)의 구동에 의해 칸막이(121) 사이의 공간에 담겨진 굴이 경사컨베어(120)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경사컨베어(120)에 실리어 상측으로 이동하던 굴이 경사컨베어(120)의 상사점 까지 올라왔다가 하측으로 내려갈 때, 칸막이(121) 사이의 공간에 담겨진 굴이 하측으로 낙하하게 되는데, 그 하측에는 정량공급부(130)에 포함되는 2차호퍼(132)가 위치하여 위에서 낙하하는 굴이 2차호퍼(132)에 담겨지게 된다.
상기 2차호퍼(132)의 바닥은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굴의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내려가게 되고, 그 2차호퍼(132)의 하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버켓(133)이 위치하고 있어서 2차호퍼(132)의 경사면을 타고 내려오는 굴이 버켓(133)에 담겨지게 된다.
이때, 버켓(133)의 상부와 근접한 배출관(135) 초입부 소정위치에는 버켓(133)에 담기는 굴의 량을 감지하는 센서(138)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버켓(133)의 상부까지 굴이 담기면 센서(138)에 의해 그 굴이 담긴 량을 감지하여 경사컨베어(120)의 가동을 정지시킨다.
위와 같이 버켓(133)에 담기는 량은 도 2에 도시된 굴수납케이지(10)의 용적과 유사한 량이 담기게 되나, 굴의 외부 형상이 불규칙하고 크기가 둘쑥날쑥하여 이런 굴이 버켓(133)에 담길 때 담겨지는 굴 사이에 불규칙한 공간이 형성되며 버켓(133)에 산형으로 쌓이면서 버켓(133)의 내측에서 중앙부는 상측으로 불룩하게 쌓이고 그 주변, 즉 버켓(133)의 내벽면과 근접한 부분은 직각 역삼각형태의 빈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버켓(133)에 담기는 굴 더미의 중앙부분이 버켓(133)의 상측으로 불룩하게 산형으로 쌓이게 되면 추후에 버켓(133)에 담긴 굴을 배출관(135) 초입부로 배출시킬 때, 불룩하게 쌓인 굴이 배출관(135) 초입부 상측에 걸리게 되므로, 버켓(133)의 후방 상측에 수평 설치된 긁개(139)를 실린더에 의해 수평 이동시키면, 상측으로 불룩하게 쌓인 굴이 긁개(139)에 밀려서 버켓(133)의 내벽면과 근접한 역삼각형태의 빈 공간으로 내려가서 굴의 상측이 평탄화된다.
그 다음에는 배출관(135)의 초입부를 막고 있는 개폐실린더(136)를 상승시켜 배출관개폐구(137)가 배출관(135)의 초입부를 개방시키게 되며, 그 뒤에 버켓실린더(134)를 상승시키면 버켓(133)이 상승하면서 버켓(133)의 경사진 저면과 배출관(135)의 하부 내측 경사면이 일치하면서 버켓(133)에 담겨있던 굴이 배출관(135)을 통하여 하측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때, 배출관(135)의 하부에는 굴수납케이지(10)가 위치하여 굴수납케이지(10)의 개방된 상측 출입부를 통하여 배출관(135)을 통해 내려오는 굴이 굴수납케이지(10)의 내부에 담겨지게 되는데, 이 굴수납케이지(10)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지적재대(200)의 셔틀이송컨베어(220) 상에 설치된 셔틀(221)에 얹혀서 셔틀이송컨베어(220)의 이동에 의해 셔틀(221)에 얹힌 굴수납케이지(10)가 배출관(135)의 하부로 와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굴이 담겨지는 굴수납케이지(10)는 초기에 케이지적재대(200)의 인입컨베어(210)에 수개의 빈 굴수납케이지(10)가 적재되는데, 본 발명을 처음 기동할 때는 수작업으로 인입컨베어(210) 상에 수개의 빈 굴수납케이지(10)를 길이방향으로 안착하고, 본 발명에 의한 굴을 까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반전기(800)에서 비워진 굴수납케이지(10)는 케이지이동장치(600)에 포함되는 케이지이동로봇(620)으로서 인입컨베어(210)에 이동 적재하게 된다.
위에서와 같이 인입컨베어(210)에 적재되는 굴수납케이지(10)는 원통을 옆으로 눕힌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수개가 적재되어 있으며, 이 인입컨베어(210)와 추후에 설명하는 배출컨베어(230)는 각각의 밸트부의 양측에 원통형 굴수납케이지(10)의 양측으로 지지하고 안내하는 측면가이드(211,234)와 굴수납케이지(10)의 하부에 터널홈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부(16)가 하부가이드(212,235)가 지지 안내되게 설치되어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굴수납케이지(10)가 옆으로 넘어지지 않고 상측 출입구가 상측을 향한 상태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인입컨베어(210)에 적재된 수개의 빈 굴수납케이지(10)는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밸트부에 실려 인입컨베어(210)의 말단부와 근접한 셔틀이송컨베어(220)의 선단부측으로 이동하는데, 이때는 셔틀(221)이 밸트부(222)를 구동시키는 모터에 의해 인입컨베어(210)의 말단부측에 와 있어서 인입컨베어(210)에 실려오는 굴수납케이지(10)가 셔틀(221) 상부에 얹히게 된다.
이때, 각각의 컨베어(210,230)와 셔틀이송컨베어(220)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배치되어 각각의 컨베어(210,230)에서는 굴수납케이지(10)가 컨베어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셔틀이송컨베어(220) 상에서는 위의 인입컨베어(210) 및 배출컨베어(230)에 적재되었을 때와는 직각 방향으로 적재되게 설계하였다.
이는 굴수납케이지(10)가 전후 길이방향으로 긴 원통형으로 설계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1)의 전체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가능한 단축시키고, 정량공급부(130)와 셔틀이송컨베어(220)의 폭을 단축시키기 위해 셔틀이송컨베어(220)에서 굴수납케이지(10)가 90°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배출관(135)에서 배출되는 굴을 상측 출입구로 받도록 설계하였으나, 셔틀이송컨베어(220)에서 굴수납케이지(10)를 90°회전시키지 않고 인입컨베어(210) 및 배출컨베어(230)에 적재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셔틀(221)에 적재되도록 구성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인입컨베어(210)로부터 공급되는 빈 굴수납케이지(10)를 셔틀이송컨베어(220)의 상측 셔틀(221) 상에 받은 뒤에 밸트부(222)를 이동시켜 셔틀(221)이 배출관(135)의 직하방에서 정지되게 한 뒤에, 그 자리에서 셔틀(221)의 설치대(223) 내측에 설치된 모터를 이용하여 굴수납케이지(10)를 90°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배출관(135)으로 배출되는 굴을 굴수납케이지(10)의 내측으로 담은 뒤에 셔틀(221)를 다시 90°로 돌린 뒤에 다시 셔틀이송컨베어(220)를 이동시켜 굴이 담긴 굴수납케이지(10)가 배출컨베어(230)의 선단부측으로 이동하여 정지하게 한다.
그 다음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출컨베어(230)의 선단부측 상부에 설치된 당김구(232)가 셔틀(221)에 얹힌 굴수납케이지(10)의 후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당김실린더(231)를 동작시키면 당김구(232)가 굴수납케이지(10)가 배출컨베어(230)의 밸트부(233)에 얹히게 된다.
이렇게 배출컨베어(230)의 밸트부(233)에 얹힌 굴수납케이지(10)는 밸트부(233)의 이동에 의해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열기(300)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굴이 담긴 수개의 굴수납케이지(10)가 배출컨베어(230)에 적재되어 대기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케이지이동장치(600)의 케이지이동로봇(620)을 이용하여 배출컨베어(230) 상에 적재되어 있는 굴이 담긴 굴수납케이지(10)를 홀딩하여 예열기(300)로 이동 적재한다.
상기 예열기(30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조(310)의 내측에 수개의 굴수납케이지(10)를 길이방향으로 안착시키는 케이지적재틀(320)이 설치되어서 수개의 굴수납케이지(10)를 길이방향으로 안착시키게 되며, 그 뒤에 힌지부(311)의 반대측에 설치된 승하강수단(330)의 실린더(334)를 동작시켜서 케이지적재틀(320)이 수조(310)에 담긴 온수에 침몰되게 하여 케이지적재틀(320)에 적재된 수개의 굴수납케이지(10)가 온수에 침몰되게 한다.
상기 온수의 온도는 25~40℃를 히터에 의해 유지하게 되고 이 상태로 5~10분을 유지하면 온수에 의해 생굴의 굴알맹이가 이완되면서 굴껍질이 벌어지고 관자가 꿀껍질에 붙어 있는 부착력을 약화되어 추후 굴분리장치(400)에서 굴알맹이가 굴껍질에서부터 잘 떨어지게 한다.
이와 같이 5~10분이 경과한 뒤에 실린더(334)를 반대방향으로 동작시키면 실린더로드와 케이지적재틀(320) 사이의 각각의 롤러(332,333)에 와이어(335)가 감긴 것에 의해 케이지적재틀(320)이 온수의 수면 위로 부상한다.
그 다음에 도 3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굴분리장치(400)의 중앙가이드레일(410)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된 챔버(420)를 예열기(300)와 냉각기(500) 사이의 빈공간으로 이동시켜서 예열기(300)와 챔버(420), 그리고 냉각기(500)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케이지이동장치(600)의 케이지이동로봇(620)을 이용하여 예열기(300)에 길이방향으로 적재되어 있는 수개의 굴수납케이지(10)를 챔버(420)측으로 밀어 넣는데, 이 챔버(420)는 입구와 출구가 개방된 원통관형태로 형성되어 예열기(300)에 적재된 수개의 굴수납케이지(10)를 챔버(420)의 내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으며, 챔버(420)의 내측 상하부에는 굴수납케이지(10)의 상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부(15,16)가 안내되는 롤러형 가이드레일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서 원통형이며 상부가 개방된 굴수납케이지(10)가 옆으로 넘어지지 않고 상측 출입부가 상측을 향한 상태로 챔버(420)의 내측으로 수개의 굴수납케이지(10)가 삽입되게 된다.
이렇게 챔버(420)의 내측으로 수개의 굴수납케이지(10)가 삽입된 뒤에는 이 챔버(420)를 양측 폐쇄기(440) 사이로 수평 이동시키는데, 챔버(420)는 중앙가이드레일(410)에 안내되어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렇게 챔버(420)를 양측 폐쇄기(440) 사이로 이동시킬 때 양측 폐쇄기(440)는 양측 측방가이드레일(430)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진 상태가 되어야 한다.
위와 같이 양측으로 벌어진 폐쇄기(440) 사이로 챔버(420)가 이동한 뒤에는 그 이동을 멈춘 뒤에 양측으로 벌어졌던 각각의 폐쇄기(440)를 측방가이드레일(430)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양측 폐쇄기(440)가 챔버(420)의 양측 입구와 출구를 폐쇄하게 되며, 이렇게 챔버(420)가 폐쇄된 뒤에는 폐쇄기(440)의 중앙부에 설치된 수압공급부(441)를 통하여 챔버(420)의 내측으로 수압을 공급한다.
이렇게 입구와 출구가 폐쇄된 챔버(420)의 내측으로 수압을 공급하면, 챔버(420)의 내부에 삽입된 수개의 굴수납케이지(10)에 수압이 작용하는데 이 굴수납케이지(1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면에 통공(11)이 형성되어서 그들 통공(11)을 통하여 굴수납케이지(10)의 내부에도 수압이 작용하게 된다.
위와 같이 챔버(420) 내측의 수압이 상승되는 과정에서 예열기(300)에서 벌어졌던 굴껍질의 벌어진 틈새로 수압이 작용하여 굴껍질의 더 벌어지면서 굴껍질의 내부면에 붙어 있는 관자의 전둘레에 압력이 작용하여 관자를 옥죄이게 되는데, 굴알맹이는 예열기(300)에서 이완되어 굴껍질의 내면에 부착하는 부착력이 약화되어 딱딱한 굴껍질에서 물렁한 관자가 쉽게 떨어지면서 굴껍질에서 굴알맹이가 이탈하게 된다.
이렇게 설정된 시간(수분)동안 수압이 작용하여 굴껍질에서 굴알맹이가 이탈하면 배기밸브를 통하여 수압을 배기시킨 뒤에 양측 폐쇄기(440)를 개방하고 양측 폐쇄기(440)가 벌어지면, 이 챔버(420)를 예열기(300)와 냉각기(500) 사이로 다시 이동시켜서 예열기(300)와 챔버(420), 그리고 냉각기(500)가 일직선상에 놓이게 한다.
그 다음에 예열기(300)에 적재되어 있던 수개의 굴수납케이지(10)를 챔버(420)의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챔버(420)의 내측에는 까진 굴(굴껍질에서 굴알맹이가 이탈된 굴)이 담긴 수개의 굴수납케이지(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예열기(300)로부터 안깐굴(굴껍질에 굴알맹이가 붙어있는 굴)이 담겨진 굴수납케이지(10)에 밀어 넣음에 따라 까진 굴이 담긴 굴수납케이지(10)가 밀려나면서 챔버(420)의 반대측 출구를 통하여 냉각기(500)에 적재되게 된다.
이렇게 챔버(420)에서 밀려나온 수개의 굴수납케이지(10)가 냉각기(500)의 케이지적재틀(520)에 적재된 뒤에는 실린더(534)와 실린더설치틀(535)을 포함하는 승하강수단(530)을 이용하여 케이지적재틀(520)을 힌지식으로 하강시키면, 깐 굴이 담겨진 수개의 굴수납케이지(10)가 수조(510) 내측의 냉수(4~6℃) 속에 잠기면서 냉수에 의해 예열기(300)에서 온수에 의해 이완되었던 깐 굴이 활성화되어 싱싱한 상태로 되돌아온다.
위와 같이 냉수에 케이지적재틀(520)를 1~2분 동안 담가서 굴을 활성화 시킨 뒤에 승하강수단(530)을 동작시켜 케이지적재틀(520)을 수면 위로 부상시키면, 케이지적재틀(520)에 얹힌 깐 굴이 담겨진 굴수납케이지(10)도 수면 위로 올라오게 된다.
그 다음에는 도 3 및 도 10,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지이동장치(600)의 케이지이동로봇(620)을 이용하여 냉각기(500)의 케이지적재틀(520)에 얹혀있는 굴수납케이지(10)를 1개씩 반전기(800)로 이동시켜 양측 회전체(820) 사이에 장착한다.
이 양측 회전체(820)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태에서 하측의 실린더(822)에 의해 내측으로 오므라들고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되어서 양측 실린더(822)의 작용으로 양측 회전체(820) 사이가 좁혀지도록 한다.
이때, 양측 회전체(820)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굴수납케이지(10)의 전후면판(12,13)에 형성되는 홀딩홈(14)으로 삽입되는 끼움부(823)가 형성되어 양측 회전체(820)가 굴수납케이지(10)의 전후면을 안정적으로 홀딩하게 된다.
이렇게 양측 회전체(820)가 굴수납케이지(10)의 전후면을 안정적으로 홀딩한 뒤에는 일측 회전체(820)에 설치된 모터(824)를 동작시켜서 상측을 향하던 굴수납케이지(10)의 출입구가 하측을 향하도록 180°회전시키면, 굴수납케이지(10)의 내측에 들어 있던 깐 굴이 반전기(800)의 하측으로 쏟아져 내리게 된다.
이와 같은 반전기(80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동선별기(700)의 상측에 설치되어서 반전기(800)에서 하측으로 쏟아져 내리는 깐 굴은 진동선별기(700)의 타공판(721) 상면에 쌓이게 된다.
이렇게, 반전기(800)에서 깐 굴을 배출하여 빈 굴수납케이지(10)는 다시 모터(824)를 구동시켜 출입구가 상측을 향하게 한 뒤에 케이지이동로봇(620)으로 빈 굴수납케이지(10)를 홀딩한 상태에서 양측 회전체(820)를 벌리고, 그 빈 굴수납케이지(10)를 도 3에서와 같이 케이지적재대(200)의 인입컨베어(210)에 적재하여 다음 작업에 대비한다.
위의 설명에서와 같이 깐 굴을 진동선별기(700)의 타공판(721) 상면에 쏟았을 때 굴껍질이 벌어져서 굴껍질에서 굴알맹이나 분리되어 나오거나 부분적으로 굴껍질 안에 굴알맹이가 얹혀있으며 타공판(721) 상면에 수북히 더미형태로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진동선별기(700) 상측의 급수부(725)를 통하여 물을 뿌려주면서 선별트레이(720) 상부에 설치된 회전날개(726)를 회전시키며, 그와 더불어 선별트레이(720)의 하측에 설치된 진동기(711)를 동작시킴에 따라 받침다리(713)의 스프링(712) 상측의 구조물이 전체적으로 진동하여 타공판(721)에 수북히 쌓인 굴 더미가 평탄해지고 경사진 하측으로 내려간다.
이런 과정에서 타공판(721)에는 무수히 많은 굴알맹이통공(722)가 형성되어서 굴알맹이가 굴알맹이통공(722)을 빠져 내려가 선별트레이(720)의 바닥면으로 떨어지면서 상기 진동기(711)에 의한 진동에 의해 굴알맹이는 경사진 하측의 굴알맹이배출구(723)로 배출되고, 굴껍질은 타공판(721)의 경사진 하측으로 내려가면서 굴껍질배출구(724)로 배출되어 본 발명을 통하여 굴을 자동으로 까고 굴껍질과 굴알맹이를 분리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1 :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
10 : 굴수납케이지 11 : 통공 12 : 전면판
13 : 후면판 14 : 홀딩홈 15,16 : 가이드부
100 : 정량공급기 110 : 1차호퍼 110 : 1차호퍼
120 : 경사컨베어 121 : 칸막이 122,222,233 : 밸트부
130 : 정량공급부 131 : 프레임 132 : 2차호퍼
133 : 버켓 134 : 버켓실린더 135 : 배출관
136 : 개폐실린더 137 : 배출관개폐구 138 : 센서
139 : 긁개 200 : 케이지적재대 210 : 인입컨베어
211,234 : 측면가이드 212,235 : 하부가이드 220 : 셔틀이송컨베어
221 : 셔틀 223 : 설치대 230 : 배출컨베어
231 : 당김실린더 232 : 당김구 300 : 예열기
310,510 : 수조 311 : 힌지부 320,520 : 케이지적재틀
321,521 : 하부프레임 322,522 : 측면가이드대 323,523 : 하부안내롤러
330,530 : 승하강수단 331,531 : 실린더설치틀 332,532 : 상부롤러
333,533 : 하부롤러 334,534 : 실린더 335,535 : 와이어
400 : 굴분리장치 410 : 중앙가이드레일 420 : 챔버
430 : 측방가이드레일 440 : 폐쇄기 441 : 수압공급부
500 : 냉각기 600 : 케이지이동장치 610 : 로봇이동레일
620 : 케이지이동로봇 700 : 진동선별기 710 : 진동프레임
711 : 진동기 712 : 스프링 713 : 받침다리
720 : 선별트레이 721: 타공판 722 : 굴알맹이통공
723 : 굴알맹이배출구 724 : 굴껍질배출구 725 : 급수부
726 : 회전날개 800 : 반전기 810 : 프레임
820 : 회전체 821 : 왕복이송대 821 : 왕복이송대
822: 실린더 823 : 끼움부 824 : 모터

Claims (6)

  1. 수압을 이용하여 굴껍질에서 굴알맹이를 분리시키는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은 1차호퍼에 담겨진 굴을 외주연 전둘레에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한 통형 굴수납케이지에 정량을 투입하는 정량공급기와;
    수개의 빈 굴수납케이지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정량공급기에서 공급하는 굴을 1개씩의 굴수납케이지에 담아서 대기하는 케이지적재대와;
    굴이 담겨진 굴수납케이지를 온수에 담가서 굴을 이완시키는 예열기와;
    예열기로부터 공급되는 다수의 굴수납케이지를 챔버에 투입한 뒤에 챔버의 입구와 출구를 폐쇄하고 챔버 내측으로 수압을 공급하여 굴껍질의 내면에서 굴알맹이가 이탈되게 하는 굴분리장치와;
    챔버에서 나온 굴수납케이지를 냉수에 담가서 이완되었던 굴을 활성화하는 냉각기와;
    냉각기로부터 공급되는 굴수납케이지를 180°로 뒤집어서 굴수납케이지에 담긴 깐 굴을 하측으로 쏟아내는 반전기와;
    반전기에서 쏟아져 내린 깐 굴을 굴껍질과 굴알맹이로 선별하여 분리 배출하는 진동선별기와;
    로봇이동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케이지이동로봇을 이용하여 케이지적재대에 대기하는 굴수납케이지를 예열기로 투입하고, 냉각기에 담겨진 굴수납케이지를 반전기로 이동 공급하며, 반전기에서 비워진 굴수납케이지를 케이지적재대에 적재시키는 케이지이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공급기는 굴을 담아두는 1차호퍼와, 1차호퍼의 하측 배출구로 낙하하는 굴을 상측으로 경사 이동시키는 경사컨베어와, 경사컨베어로부터 공급되는 굴을 굴수납케이지에 정량을 투입하는 정량공급부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케이지적재대는 케이지이동로봇으로부터 공급되는 수개의 빈 굴수납케이지가 안착되며 이렇게 안착된 굴수납케이지를 셔틀이송컨베어 측으로 이동시키는 인입컨베어와, 인입컨베어로부터 공급받은 굴수납케이지를 배출컨베어의 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정량공급기에서 공급하는 굴을 담는 셔틀이송컨베어와, 셔틀이송컨베어에서 굴을 담은 굴수납케이지를 당김실린더에 의해 동작하는 당김구로서 배출컨베어의 밸트부 상으로 당겨서 적재하는 배출컨베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예열기는 온수가 담기는 수조의 내측에 굴이 담긴 수개의 굴수납케이지가 길이방향으로 안착되는 케이지적재틀을 설치하되, 케이지적재틀이 침몰 및 부상수단에 의해 수조내의 물속으로 침몰 및 부상하게 설치되며;
    상기 냉각기는 냉수가 담기는 수조의 내측에 굴이 담긴 수개의 굴수납케이지가 길이방향으로 안착되는 케이지적재틀을 설치하되, 케이지적재틀이 침몰 및 부상수단에 의해 수조내의 물속으로 침몰 및 부상하게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기의 수조 내측에는 수조에 담긴 물을 가열하는 히터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지적재틀은 물이 통과하는 구조체로 형성되는 하부프레임의 양측과 바닥에 원통형 굴수납케이지의 양측과 하부를 지지하는 측면지지대 및 하부안내롤러가 각각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침몰 및 부상수단은 케이지적재틀의 일측단 하부가 수조의 일측 상부에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케이지적재틀의 타단부에는 승하강수단이 설치되어 케이지적재틀이 승하강수단에 의해 수조내의 물속으로 침몰 및 부상하게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수단은 수조의 타측단 외측에 수조보다 높이가 높은 실린더설치틀이 설치되고, 이 실린더설치틀의 상하부에는 상하부롤러가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실린더설치틀의 상부에 실린더가 각각 설치되고, 각각의 실린더로드의 단부와 케이지적재틀의 타측 단부사이에 와이어를 설치하되, 이 와이어가 하부롤러와 상부롤러를 감아서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기와 냉각기는 일직선 상태로 굴분리장치의 챔버가 출입할 만큼의 간격을 둔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굴분리장치는 예열기와 냉각기 사이의 바닥에 예열기 및 냉각기와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중앙가이드레일과, 내측공간이 예열기 및 냉각기와 일직선상으로 통하는 원통관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가이드레일에 전후방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챔버와, 예열기와 냉각기 전방의 중앙가이드레일의 양측 바닥에 설치되는 측방가이드레일과, 양측 측방가이드레일 상에 슬라이드식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측방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챔버의 양측 개구부를 각각 개폐하며 중앙부에 챔버의 내부로 수압을 공급하는 수압공급부가 설치된 폐쇄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굴수납케이지는 원통이 눕혀진 형태로 상부 외주면에 출입부가 형성되며, 이 굴수납케이지의 상하부에 출입부가 상측을 향한 상태로 이동하도록 가이드수단에 안내되는 가이드부가 각각 형성되고, 굴수납케이지의 전후면에 설치된 원판형 전후면판에는 반전기에서 굴수납케이지를 180°로 뒤집는 끼움부에 홀딩되는 홀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반전기는 프레임의 상부에 굴수납케이지의 전후면을 홀딩하여 180°로 뒤집는 회전체를 설치하되, 이 회전체는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한 쌍의 왕복이송대가 서로 마주본 상태로 실린더에 의해 왕복이동하게 설치되고, 양측 왕복이송대의 내측에는 굴수납케이지의 전후면을 홀딩하여 회전하는 끼움부이 각각 설치되며, 일측 끼움부는 모터의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며;
    상기 진동선별기는 회전체의 하측에 설치되며, 진동기가 설치되어 진동하는 진동프레임의 하부에는 중간에 스프링이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수 개의 받침다리가 설치되고, 진동프레임의 상부에는 다수의 급수부를 통하여 물이 공급되는 선별트레이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되, 이 선별트레이의 상부에는 타공판에 얹힌 굴을 펼치는 회전날개가 모터에 의해 회전자유롭게 설치되며, 내측에는 경사진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올라온 높이에 다수의 굴알맹이통공이 형성된 타공판이 경사지게 착탈식으로 설치되고, 선별트레이의 낮은 쪽의 저면에 굴알맹이배출구가 하향 설치되며, 선별트레이의 낮은 쪽의 타공판과 동일한 높이선상에 굴껍질배출구가 외향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공급부는 함체형 프레임의 상측에 경사컨베어의 상측으로부터 낙하하는 굴이 담기는 2차호퍼가 구비되며 2차호퍼의 하부에는 저면이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고 굴수납케이지의 용적과 동일한 용적으로 형성되는 버켓이 버켓실린더에 의해 승하강되게 설치되며, 프레임의 전방에는 버켓에 담긴 굴을 배출시키는 배출관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배출관의 초입에는 배출관의 초입을 개폐하는 배출관개폐구가 개폐실린더에 의해 승하강되게 설치되며, 배출관 초입부 소정위치에는 버켓에 담기는 굴의 량을 감지하여 경사컨베어를 정지시키는 센서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
KR1020210154136A 2021-11-10 2021-11-10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 KR102390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136A KR102390637B1 (ko) 2021-11-10 2021-11-10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
CN202280004908.2A CN116419806A (zh) 2021-11-10 2022-06-20 牡蛎壳自动分离系统
PCT/KR2022/008679 WO2023085544A1 (ko) 2021-11-10 2022-06-20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136A KR102390637B1 (ko) 2021-11-10 2021-11-10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637B1 true KR102390637B1 (ko) 2022-04-25

Family

ID=8145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136A KR102390637B1 (ko) 2021-11-10 2021-11-10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90637B1 (ko)
CN (1) CN116419806A (ko)
WO (1) WO202308554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24351A (zh) * 2022-05-24 2022-09-09 荣成博能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扇贝壳肉分离装置
CN115193816A (zh) * 2022-07-14 2022-10-18 富优科技(惠州)有限公司 一种超声波清洗机用定点定位清洗装置
KR102524226B1 (ko) * 2022-09-14 2023-04-21 (주)에이스티어 바지락 탈각 장치 및 방법
WO2023085544A1 (ko) * 2021-11-10 2023-05-19 조기준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00523B (zh) * 2022-09-19 2023-10-20 宁夏大学 鲜枸杞清洗分级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333B1 (ko) * 2011-01-28 2011-06-23 신승진 조개류 자동탈각장치
KR20120087674A (ko) * 2011-01-28 2012-08-07 신승진 조개류 자동탈각장치
KR20130068214A (ko) * 2011-12-15 2013-06-26 신승진 조갯살분리장치
KR20160058987A (ko) * 2014-11-04 2016-05-26 (주)다손 패류의 탈각방법
KR20170014182A (ko) *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윗휴먼 패류 탈각 자동화 장치 및 시스템
KR101939330B1 (ko) 2018-05-28 2019-01-16 조기준 굴패각 탈피장치
KR101945898B1 (ko) 2018-10-02 2019-02-08 조기준 굴 알맹이 분리장치
KR20200011690A (ko) * 2018-07-25 2020-02-0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패류 탈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0431B2 (ja) * 1996-04-19 2005-08-31 株式会社前川製作所 ホタテ貝の内臓分離吸引装置
KR102390637B1 (ko) * 2021-11-10 2022-04-25 조기준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333B1 (ko) * 2011-01-28 2011-06-23 신승진 조개류 자동탈각장치
KR20120087674A (ko) * 2011-01-28 2012-08-07 신승진 조개류 자동탈각장치
KR20130068214A (ko) * 2011-12-15 2013-06-26 신승진 조갯살분리장치
KR20160058987A (ko) * 2014-11-04 2016-05-26 (주)다손 패류의 탈각방법
KR20170014182A (ko) *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윗휴먼 패류 탈각 자동화 장치 및 시스템
KR101939330B1 (ko) 2018-05-28 2019-01-16 조기준 굴패각 탈피장치
KR20200011690A (ko) * 2018-07-25 2020-02-0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패류 탈각장치
KR101945898B1 (ko) 2018-10-02 2019-02-08 조기준 굴 알맹이 분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544A1 (ko) * 2021-11-10 2023-05-19 조기준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
CN115024351A (zh) * 2022-05-24 2022-09-09 荣成博能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扇贝壳肉分离装置
CN115024351B (zh) * 2022-05-24 2024-01-23 荣成博能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扇贝壳肉分离装置
CN115193816A (zh) * 2022-07-14 2022-10-18 富优科技(惠州)有限公司 一种超声波清洗机用定点定位清洗装置
KR102524226B1 (ko) * 2022-09-14 2023-04-21 (주)에이스티어 바지락 탈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419806A (zh) 2023-07-11
WO2023085544A1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0637B1 (ko)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
EP0259342A1 (en) DEVICE FOR PRESSING AND SHAPING CHEESE BREAK.
KR101945898B1 (ko) 굴 알맹이 분리장치
EP2624684B1 (en)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a support structure for poultry holders
KR20170124761A (ko) 굴 세척 및 포장 장치
CN110558864A (zh) 油炸系统
KR101968263B1 (ko) 멸치를 멸치발에 공급하는 자동화 장치
KR101554659B1 (ko) 동물 사육 케이지
KR101689806B1 (ko) 생선 계량투입장치의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
KR102006110B1 (ko) 어류 선별기
KR20200072010A (ko) 멸치를 멸치발에 공급하는 자동화 장치
US2632453A (en) Defrosting tank for confection molds
KR101554765B1 (ko) 배추 절임장치
US3812822A (en) Poultry handling system
US11353260B2 (en) Method for grasping a row of multiple blocks of frozen food originating from a plate freezer, and various uses thereof
CN109692809B (zh) 一种节水全自动粮食淘洗用装置的使用方法
US80338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cobble-like blocks
CN207911728U (zh) 一种畜牧用自动投料槽
CN210961602U (zh) 油炸系统
CN208527496U (zh) 一种浸泡式铝瓶盖清洗设备
Burrows et al. A vertical egg and fry incubator
CN115250975B (zh) 一种预防应激反应的水产育苗暂存方法
KR20220125105A (ko) 멸치와 채반 자동공급장치
FR3096228B3 (fr) Machine de transfert et son utilisation dans un bâtiment avicole pour le transfert d’œufs couvés vers un sol dudit bâtiment avicole
CN219441534U (zh) 一种嫩豆腐加工用上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