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4761A - 굴 세척 및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굴 세척 및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4761A
KR20170124761A KR1020160054554A KR20160054554A KR20170124761A KR 20170124761 A KR20170124761 A KR 20170124761A KR 1020160054554 A KR1020160054554 A KR 1020160054554A KR 20160054554 A KR20160054554 A KR 20160054554A KR 20170124761 A KR20170124761 A KR 20170124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ysters
unit
oyster
discharge
secondary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3641B1 (ko
Inventor
김범준
Original Assignee
김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준 filed Critical 김범준
Priority to KR1020160054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641B1/ko
Publication of KR20170124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4Processing bivalves, e.g. oyster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4Processing bivalves, e.g. oysters
    • A22C29/043Cleaning operations on bivalves, e.g. evisceration, brushing, separation of meat and shel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4Processing bivalves, e.g. oysters
    • A22C29/046Opening or shucking bi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6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57/06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and operating to control, or to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01G11/08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rate of feed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1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machine
    • B65B2210/06Sterilising or cleaning machinery or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 세척 및 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껍질이 제거된 생굴을 세척하고, 포장까지 실시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굴 세척 및 포장 장치는 상방이 개구된 형태로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껍질이 제거된 생굴을 담는 굴수납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컨베이어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굴수납부에 담긴 상기 생굴을 이송하는 1차 이송부, 상방이 개구된 수조형태로, 내부에 해수가 공급되며, 하부에 상기 생굴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부가 마련되어, 상기 생굴을 대량으로 보관 및 배출하는 집하수조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컨베이어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생굴을 이송하는 2차 이송부 및 상기 2차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어지는 상기 생굴을 제공받아 기설정된 무게로 분류하여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굴 자동 세척 및 포장 장치는, 자동으로 생굴의 세척 및 일정량으로 포장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굴 세척 및 포장 장치{Oyster cleaning and packing equipment}
본 발명은 굴 세척 및 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껍질이 제거된 생굴을 세척하고, 포장까지 실시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집된 생굴을 가공하는 공정에서는 인력으로 상기 생굴의 껍질을 제거하고, 포장하여 작업의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굴 자동 세척기'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6337호에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자동으로 세척은 실시되나 세척이 되는 과정에서 생굴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고, 인력으로 상기 생굴의 무게를 달아 분류 및 포장을 실시해야 하므로 작업의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6337호 (2013.10.0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생굴의 세척 및 일정량으로 포장을 실시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굴 세척 및 포장 장치는 상방이 개구된 형태로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껍질이 제거된 생굴을 담는 굴수납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컨베이어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굴수납부에 담긴 상기 생굴을 이송하는 1차 이송부, 상방이 개구된 수조형태로, 내부에 해수가 공급되며, 하부에 상기 생굴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부가 마련되어, 상기 생굴을 대량으로 보관 및 배출하는 집하수조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컨베이어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생굴을 이송하는 2차 이송부 및 상기 2차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어지는 상기 생굴을 제공받아 기설정된 무게로 분류하여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굴 자동 세척 및 포장 장치는, 자동으로 생굴의 세척 및 일정량으로 포장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 세척 및 포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굴 세척 및 포장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 세척 및 포장 장치의 집하수조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굴 세척 및 포장 장치의 배출관부 및 2차 이송부의 관계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굴 세척 및 포장 장치의 배출관부 및 2차 이송부의 관계에 따라 생굴의 배출이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굴 세척 및 포장 장치의 포장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굴 세척 및 포장 장치의 포장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굴 세척 및 포장 장치에서 제어부에서의 제어 메카니즘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굴 세척 및 포장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이 개구된 형태로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껍질이 제거된 생굴(A)을 담는 굴수납부(100),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컨베이어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굴수납부(100)에 담긴 상기 생굴(A)을 이송하는 1차 이송부(200), 상방이 개구된 수조형태로, 내부에 해수가 공급되며, 하부에 상기 생굴(A)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부(330)가 마련되어, 상기 생굴(A)을 대량으로 보관 및 배출하는 집하수조부(300),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컨베이어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배출부(330)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생굴(A)을 이송하는 2차 이송부(400) 및 상기 2차 이송부(400)를 통해 이송되어지는 상기 생굴(A)을 제공받아 기설정된 무게로 분류하여 포장하는 포장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굴수납부(100)는, 상방이 개구된 형태로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껍질이 제거된 생굴(A)을 담을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굴수납부(100)에는 해수가 공급되고, 하부에는 저면에서 이격되게 거름망이 형성되어, 큰 이물질이 자연스레 제거될 수 있는 세척부가 더 마련된다.
세척된 상기 생굴(A)은 일측에 개방된 통로를 통하여, 하기의 1차 이송부(200)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상기 1차 이송부(200)는,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컨베이어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굴수납부(100)에 담긴 상기 생굴(A)을 이송한다.
상기 1차 이송부(200)의 컨베이어 밸트는, 복수개의 단차 또는 돌기가 연속으로 형성되어, 상기 생굴(A)의 이동 시, 미끄러져 내려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이송부(200)의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모터(600)는, 상단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모터(600)에 해수가 스며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집하수조부(300)는, 상방이 개구된 수조형태로, 내부에 해수가 공급되며, 하부에 상기 생굴(A)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부(330)가 마련되어, 상기 생굴(A)을 대량으로 보관 및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기 집하수조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부(310), 해수공급부(320), 배출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수조부(310)는, 상방이 개구된 형태의 수조형태로 마련되는데, 해수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에서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수조부(310)는, 아크릴수지, 유리, ABS 수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해수공급부(320)는, 상기 수조부(310)의 일측에 마련되어 해수를 공급한다.
상기 해수공급부(320)는, 외부의 해수를 끌어올려 공급하는 펌프, 공급된 상기 해수가 이동되는 호수관, 상기 호수관에 결합되어 해수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로 구성된다.
상기 호수관은 상기 수조부(3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투입되어, 상기 해수를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부(330)는, 상기 수조부(3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생굴(A)을 해수와 함께 하부로 배출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부(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하수조부(300)의 저면을 형성하되, 하향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부(331) 및 상기 경사부(331) 가운데 마련되어, 상기 생굴(A)이 배출되는 파이프 형태의 배출관부(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2차 이송부(400)는,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컨베이어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배출부(330)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생굴(A)을 이송한다.
상기 2차 이송부(400)의 컨베이어 밸트는, 상기 1차 이송부(200)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단차 또는 돌기가 연속으로 형성되어, 상기 생굴(A)의 이동 시, 미끄러져 내려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생굴(A)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함게 이동하는 상기 해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2차 이송부(400)의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모터(600) 역시 상기 1차 이송부(200)와 마찬가지로, 상기 모터(600)에 해수가 스며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단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출관부(332)의 단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2차 이송부(400)의 컨베이어 밸트는, 상기 배출관부(332)의 단부와 인접하도록 마련된다.
이는, 하기의 제어부(540)의 명령에 의해, 상기 2차 이송부(40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굴의 포장량을 제어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관부(332)의 단부 및 상기 2차 이송부(400)의 컨베이어 밸트면이 인접하게 구성됨으로 인해, 상기 2차 이송부(400)가 정지 될 시, 상기 배출관부(332)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생굴(A)이 상기 컨베이어 밸트면에 중첩되어, 상기 배출관부(332)를 막는 형태로 상기 생굴(A)의 배출이 중단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의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출관부(332) 및 2차 이송부(400)의 컨베이어 밸트면 사이의 간격은 2~4cm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관부(332)의 직경은 3~5cm로 구성된다.
하기의 표 1은 상기 배출관부(332)의 단부 및 2차 이송부(400)의 컨베이어 밸트면 사이의 간격을 달리하며, 상기 생굴(A)이 배출되는 상태 및 상기 2차 이송부(400)의 정지 시, 상기 생굴(A)의 배출에 제한되는 상태를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간격(cm) 굴의 이동 상태 제동 상태
1 배출되지 않음 양호
2 양호 양호
3 양호 양호
4 양호 양호
5 양호 외부로 소량 배출됨
6 양호 외부로 배출됨
하기의 표 2는 상기 배출관부(332)의 직경을 달리하며, 상기 생굴(A)이 배출되는 상태 및 상기 2차 이송부(400)의 정지 시, 상기 생굴(A)의 배출에 제한되는 상태를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직경(cm) 굴의 이동 상태 제동 상태
1 배출부(330) 자주 막힘 -
2 배출부(330) 자주 막힘 양호
3 양호 양호
4 양호 양호
5 양호 양호
6 양호 다량의 굴이 중첩되어 파손됨
7 양호 다량의 굴이 중첩되어 파손됨
다음으로, 상기 포장부(500)는, 상기 2차 이송부(400)를 통해 이송되어지는 상기 생굴(A)을 제공받아 기설정된 무게로 분류하여 포장한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장부(500)는, 생굴수신부(510), 주입부(520), 무게측정부(530) 및 제어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생굴수신부(510)는, 상방이 개구된 형태의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2차 이송부(400)를 통해 이송된 상기 생굴(A)을 저장한다.
상기 생굴(A)이 낙하 시, 굴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면(511)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주입부(520)는, 상기 생굴수신부(510) 전방을 향해 개구된 형태의 배출구가 마련되어, 상기 생굴(A)을 포장박스(B)로 주입한다.
상기 주입부(5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생굴(A)이 배출되는 단부가 일측 및 타측으로 움직이며, 상기 생굴(A)이 포장박스(B)로 주입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주입부(520)의 단부는, 상기 제어부(540)의 명령에 의해, 반복적으로 일측 및 타측으로 움직인다.
다음으로, 상기 무게측정부(530)는, 상기 주입부(520)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포장박스(B)가 안착되어 무게를 측정한다.
상기 무게측정부(530)를 통해, 측정된 무게정보는, 제어부(540)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540)는, 상기 무게측정부(530)에 의해, 측정된 무게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무게에 도달 했을 시, 상기 2차 이송부(400)를 정지시켜, 상기 생굴(A)의 공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540)는, 상기 주입부(520)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2개의 주입구로 구성된 상기 포장박스(B)의 일측에 상기 생굴(A)을 기설정된 무게만큼 주입 후, 상기 주입부(520)를 상기 포장박스(B)의 타측으로 움직여 기설정된 무게만큼 주입을 실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효율적으로 생굴(A)의 포장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 굴수납부(100), 1차 이송부(200), 집하수조부(300), 2차 이송부(400) 및 포장부(500)는 해수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므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ABS 수지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생굴(A)을 포장하는 제어부(540)의 메카니즘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작업자가 껍질의 제거를 완료한 상기 생굴(A)을 상기 굴수납부(100)에 담는다.
상기 굴수납부(100)에 담긴 상기 생굴(A)은 자동으로 세척되어, 상기 1차 이송부(200)에 의해, 상기 집하수조부(300)로 이동된다.
상기 집하수조부(300)에 의해, 상기 생굴(A)은 대량으로 저장 가능하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게측정부(530)에 상기 포장박스(B)를 올린 후, 상기 제어부(540)에 포장하고자 하는 굴의 무게를 입력(S10)하면, 상기 주입부(520)가 상기 포장박스(B)의 일측을 향해 단부를 향하게 되고(S20), 상기 2차 이송부(400)가 구동(S30)하게 된다.
상기 2차 이송부(400)의 구동(S30)에 의해, 상기 생굴(A)이 상기 배출부(330)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생굴수신부(510)로 이동한다.
상기 생굴수신부(510)에 저장된 상기 생굴(A)은 상기 주입부(520)를 통해, 상기 포장박스(B)로 주입된다.
이때, 상기 포장박스(B)로 주입된 상기 생굴(A)이 기설정된 무게에 1차로 도달(S40)하게 되면, 상기 주입부(520) 단부가 상기 포장박스(B)의 타측방향을 향하게 되고(S50), 상기 2차 이송부(400)가 재작동(S60) 되어 상기 생굴(A)이 이동하여 포장된다.
상기 포장박스(B)로 주입된 상기 생굴(A)이 기설정된 무게에 2차로 도달(S70)하게 되면, 상기 2차 이송부(400)가 정지(S80)된다.
상기 2차 이송부(400)가 정지(S50)되면, 상기 배출관부(332)를 통해 배출되던 상기 생굴(A)이 중첩되며, 상기 생굴(A)의 배출이 멈추게 된다.
그 후, 상기 포장박스(B)를 교체(S100)하고, 상기 굴의 포장이 완전히 완료(S90)될 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생굴 B : 포장박스
100 : 굴수납부 200 : 1차 이송부
300 : 집하수조부 310 : 수조부
320 : 해수공급부 330 : 배출부
331 : 경사부 332 : 배출관부
400 : 2차 이송부 500 : 포장부
510 : 생굴수신부 511 : 경사면
520 : 주입부 530 : 무게측정부
540 : 제어부 600 : 모터
S10 : 포장하고자 하는 굴의 무게입력(kg)
S20 : 주입부 방향조절(일측)
S30 : 2차 이송부 작동
S40 : 기설정된 무게 도달(1차)
S50 : 주입부 방향조절(타측)
S60 : 2차 이송부 재작동
S70 : 기설정된 무게 도달(2차)
S80 : 2차 이송부의 작동 정지
S90 : 전체 굴포장 완료
S100 : 포장박스 교체

Claims (5)

  1. 상방이 개구된 형태로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껍질이 제거된 생굴을 담는 굴수납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컨베이어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굴수납부에 담긴 상기 생굴을 이송하는 1차 이송부;
    상방이 개구된 수조형태로, 내부에 해수가 공급되며, 하부에 상기 생굴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부;가 마련되어, 상기 생굴을 대량으로 보관 및 배출하는 집하수조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컨베이어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생굴을 이송하는 2차 이송부; 및
    상기 2차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어지는 상기 생굴을 제공받아 기설정된 무게로 분류하여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집하수조부의 저면을 형성하되, 하향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 가운데 마련되어, 상기 생굴이 배출되는 파이프 형태의 배출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부의 단부 및 상기 2차 이송부의 컨베이어 밸트면이 인접하게 구성되어, 상기 2차 이송부가 정지 될 시, 상기 배출관부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생굴이 상기 컨베이어 밸트면에 중첩되어, 상기 배출관부를 막는 형태로 상기 생굴의 배출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세척 및 포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부는,
    상방이 개구된 형태의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2차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생굴이 저장되는 생굴수신부;
    상기 생굴수신부 전방을 향해 개구된 형태의 배출구가 마련되어, 상기 생굴을 포장박스로 주입하는 주입부;
    상기 생굴수신부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포장박스가 안착되어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측정부;
    상기 무게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무게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무게에 도달 했을 시, 상기 2차 이송부를 정지시켜, 상기 생굴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세척 및 포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입부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2개의 주입구로 구성된 포장박스의 일측에 상기 생굴을 기설정된 무게만큼 주입 후, 상기 주입부를 상기 포장박스의 타측으로 움직여 기설정된 무게만큼 주입을 실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세척 및 포장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이송부 및 2차 이송부는 개별적으로 구동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는, 상단부에 마련되어, 해수의 침투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세척 및 포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수납부, 1차 이송부, 집하수조부, 2차 이송부 및 포장부는 ABS 수지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세척 및 포장 장치.

KR1020160054554A 2016-05-03 2016-05-03 굴 세척 및 포장 장치 KR101803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554A KR101803641B1 (ko) 2016-05-03 2016-05-03 굴 세척 및 포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554A KR101803641B1 (ko) 2016-05-03 2016-05-03 굴 세척 및 포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761A true KR20170124761A (ko) 2017-11-13
KR101803641B1 KR101803641B1 (ko) 2017-11-30

Family

ID=60386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554A KR101803641B1 (ko) 2016-05-03 2016-05-03 굴 세척 및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6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5692A (zh) * 2021-09-29 2022-01-07 中国农业大学 应用于无人冷库的水产品自动装盒设备及方法
CN113925080A (zh) * 2021-10-09 2022-01-14 江苏海洋大学 一种智能化贝类冲流除杂设备
KR102516809B1 (ko) * 2021-11-22 2023-04-12 주식회사 유니온트리 냉동 생지의 소분 오류 방지 포장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696B1 (ko) * 2018-03-13 2019-09-16 이경진 생굴 세척장치
KR102537155B1 (ko) 2023-01-19 2023-05-26 김정호 활굴 패각 세척 방법
KR102652382B1 (ko) * 2023-04-14 2024-03-2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패류 육질 분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018B1 (ko) * 2001-03-10 2006-08-25 닙코 인크. 다양한 형상의 제품을 마킹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3018953A (ja) * 2001-07-09 2003-01-21 Sanchi Shijo Kiki Kaihatsu Kyodo Kumiai 鮮魚搬送計量装置
JP6009332B2 (ja) * 2012-11-30 2016-10-19 戸田建設株式会社 自昇降式外部養生装置用の固定装置とその設置方法
KR101488221B1 (ko) * 2014-04-29 2015-02-02 주식회사 씨에스아이 과일 적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5692A (zh) * 2021-09-29 2022-01-07 中国农业大学 应用于无人冷库的水产品自动装盒设备及方法
CN113925080A (zh) * 2021-10-09 2022-01-14 江苏海洋大学 一种智能化贝类冲流除杂设备
CN113925080B (zh) * 2021-10-09 2022-06-03 江苏海洋大学 一种智能化贝类冲流除杂设备
KR102516809B1 (ko) * 2021-11-22 2023-04-12 주식회사 유니온트리 냉동 생지의 소분 오류 방지 포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641B1 (ko)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641B1 (ko) 굴 세척 및 포장 장치
US7430843B2 (en) Device and method for filling foil bags with food
US9027312B2 (en) Machine and method for treating containers of liquids, and loading device for said containers
EP2682197B1 (en) Machine and method for treating containers of liquids
CN105292596B (zh) 一种多晶硅装袋计量控制系统
NO154861B (no) Anordning for toemming av en med levende fjaerkre fylt beholder.
CN109311550A (zh) 用于沿在受控制的环境中操作的自动处理线运输的用于药物用途的主容器的处理方法
CN104718145A (zh) 用于排空园艺产品的容器的改进设备
ITUD20090113A1 (it) Macchina e procedimento per il trattamento di contenitori di liquidi, e dispositivo di trattamento
KR101488221B1 (ko) 과일 적재 시스템
KR101968263B1 (ko) 멸치를 멸치발에 공급하는 자동화 장치
KR20100134985A (ko) 어선용 자숙기의 멸치 공급장치
KR20190136276A (ko) 조개류 포장설비
CN113581557A (zh) 一种自动奶茶机
KR101239374B1 (ko) 과일이나 농산물 선별기의 박스포장을 위한 정량 공급장치
JP6622539B2 (ja) 容器供給装置
CN209127028U (zh) 一种土鸡蛋装箱装置
US118512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filling a container with fragile fruit
KR20200072010A (ko) 멸치를 멸치발에 공급하는 자동화 장치
CN109229501B (zh) 一种自动装箱装置
JP2019208429A (ja) 作物洗浄装置
EP3209565A1 (en) Improved apparatus for dosing and packaging agricultural products
EP411783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stack of objects
CN206025160U (zh) 一种用于浸泡养鸭粮食的装置
CN207209462U (zh) 一种用于茶叶输送机的接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