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0165A - 액체 구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액체 구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0165A
KR20200010165A KR1020197019766A KR20197019766A KR20200010165A KR 20200010165 A KR20200010165 A KR 20200010165A KR 1020197019766 A KR1020197019766 A KR 1020197019766A KR 20197019766 A KR20197019766 A KR 20197019766A KR 20200010165 A KR20200010165 A KR 20200010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oral
mass
composition
component
or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4098B1 (ko
Inventor
유키 니시야마
유키 마스다
준이치 아마카와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0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0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A) N-(2-(2-피리디닐)에틸)-2-이소프로필-5-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사미드, (B)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1~1질량%, (C)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3~20질량%, 및 (D) 당 알코올 0.3~4질량%를 함유하고, (C)/(D)가 질량비로서 4.5 이상인 액체 구강용 조성물. 본 발명에 의하면, 구강 내에 높은 상쾌감을 주고, 또한 경시에서도 혼탁이 억제되어 외관 안정성이 우수한 p-멘탄-3-카르복사미드류 함유의 액체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체 구강용 조성물
본 발명은 p-멘탄-3-카르복사미드류를 함유하고, 구강 내에 높은 상쾌감을 주고, 또한 외관 안정성이 우수한 액체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액체 구강용 조성물, 특히 구취 예방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구강 세정제에 있어서, 사용 후에 구강 내를 상쾌하게 했다고 실감할 수 있는 사용감을 주는 것은 사용 실감이나 효과감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다른 한편으로, 특히 구강 세정제는 징명(澄明)하게 조제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보존 후에도 혼탁 등의 발생이 확인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제제 외관을 유지하는 것이 품질적으로도 중요하다. 그러나, 구강 세정제 등의 액체 구강용 조성물에 의해 상쾌하다고 한 사용 실감을 만족스럽게 주고, 동시에 제제 외관을 경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어렵다.
액체 구강용 조성물에서는 사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청량감을 주는 향료로서 l-멘톨이 배합되며, 더욱 청량감을 강화하는 다양한 검토가 행해지고, 비멘톨계의 냉량화제인 p-멘탄-3-카르복사미드류를 사용함으로써 청량감이나 깔끔한 느낌 등을 강화하거나, 그 지속성을 높인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6).
일본 특허 공개 2014-12544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5-18298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6-102076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2014-507440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2012-508741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2011-520925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구강 내에 높은 상쾌감을주고, 또한 경시에서도 혼탁이 억제되어 외관 안정성이 우수한 p-멘탄-3-카르복사미드류 함유의 액체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특정의 p-멘탄-3-카르복사미드류를 배합한 액체 구강용 조성물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당 알코올을 적절히 조합하여 배합하면, 사용 후에 구강 내가 상쾌해졌다고 만족스럽게 실감할 수 있는 높은 상쾌감을 주고, 또한 경시에 있어서도 혼탁의 발생이 억제되어 안정한 제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지견했다. 즉, 본 발명에서는 (A) N-(2-(2-피리디닐)에틸)-2-이소프로필-5-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사미드를 배합한 액체 구강용 조성물에, (B)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D) 당 알코올을 각각 특정량으로 배합하고, (C)/(D)의 질량비가 특정 범위 내임으로써 구강 내에 높은 상쾌감을 주고, 또한 경시에서도 혼탁이 억제되어 외관 안정성이 우수한 액체 구강용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이루기에 이르렀다.
또한 상술하면, 냉량화제인 p-멘탄-3-카르복사미드류는 증량함에 따라서 자격(刺激)감이 강해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충분한 상쾌감을 부여하는 경우, 자격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카르복사미드류는 물질에 따라서 그 용해성에 차가 있으며, 특히 (A) N-(2-(2-피리디닐)에틸)-2-이소프로필-5-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사미드의 물에 대한 용해성은 비교적 낮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p-멘탄-3-카르복사미드류로서 (A) 성분을 이용하고, 이것에 (B), (C) 및 (D) 성분을 조합하면 (C)/(D)가 질량비로서 4.5 이상이고, (B) 성분과 (C) 및 (D) 성분이 (A) 성분과 상호작용하고, 이것에 의해 상쾌감의 부여 효과가 향상됨과 아울러, (A) 성분 에 의한 혼탁의 발생이 억제되어 제제 외관이 안정화되어 양자가 양립한다. 따라서, 후술의 실시예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강 내에 높은 상쾌감을 주고, 우수한 사용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A) 성분의 물에 대한 용해성이 비교적 낮음에도 불구하고, (A) 성분에 의한 혼탁의 발생이 동결 복원 시험과 같이 저온이고 또한 과혹한 조건 하에서 보존 후에도 억제되어 징명 외관의 구강 세정제라도 우수한 외관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성분에 (B), (C) 및 (D) 성분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써만 각별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며, 부적절하게 계면활성제, 다가 알코올 및 당 알코올을 사용한 것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가 떨어지는 것이었다. 후술의 비교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D) 비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구강 내의 상쾌감이 열화되고, (B), (C) 또는 (D) 성분량이 부적절한 경우에는 상쾌감 또는 동결 복원성(-20℃ 및 실온에서 교대로 2일간씩 3회 반복해서 보존하는 동결 복원 시험을 행한 후의 외관 안정성)이 떨어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의 액체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1〕
(A) N-(2-(2-피리디닐)에틸)-2-이소프로필-5-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사미드,
(B)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1~1질량%,
(C)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3~20질량%,
(D) 당 알코올 0.3~4질량%
를 함유하고, (C)/(D)가 질량비로서 4.5 이상인 액체 구강용 조성물.
〔2〕〔1〕에 있어서,
(B)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에틸렌옥시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60~100몰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의 탄소수가 10~18개인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지방산의 탄소수가 10~22개인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액체 구강용 조성물.
〔3〕〔1〕 또는 〔2〕에 있어서,
(D) 당 알코올이 크실리톨 및 에리스리톨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액체 구강용 조성물.
〔4〕〔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A) 성분의 함유량이 0.00000001~0.01질량%인 액체 구강용 조성물.
〔5〕〔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강 세정제, 액체 치약 또는 구중 청량제인 액체 구강용 조성물.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구강 내에 높은 상쾌감을 주고, 또한 경시에서도 혼탁이 억제되어 외관 안정성이 우수한 p-멘탄-3-카르복사미드류 함유의 액체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액체 구강용 조성물은 p-멘탄-3-카르복사미드류로서 (A) N-(2-(2-피리디닐)에틸)-2-이소프로필-5-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사미드를 함유하고, 또한 (B)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D) 당 알코올을 함유한다.
(A) N-(2-(2-피리디닐)에틸)-2-이소프로필-5-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사미드는 상쾌감의 부여제이다. 구체적으로는, Givaudan Japan, Ltd.제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A) 성분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00000001~0.01%(질량%, 이하 동일)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00005~0.005%이다. 이 범위 내이면, 충분한 상쾌감을 부여할 수 있고, 그것 자신의 자격을 충분히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충분한 동결 복원성이 얻어진다.
(B)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특히 자격감의 억제의 점에서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는 사용감 및 가용화의 관점에서 에틸렌옥시드의 평균 부가 몰수(E. O. )가 바람직하게는 60~100몰이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사용감 및 가용화의 관점에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지방산의 탄소수가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특히 12 이상이고,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이하, 특히 14 이하이다.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는 사용감 및 가용화의 관점에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지방산의 탄소수가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특히 12 이상이고, 또한보다 바람직하게는 22 이하, 특히 18 이하이다.
이러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NIHON EMULSION Co., Ltd.제), 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테르(DK ESTER SS, DKS Co. Ltd.제), 미리스트산 폴리글리세릴(SUNSOFT Q-14Y-C, TAIYO KAGAKU CO., LTD.제) 등이 예시된다.
(B)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1~1%이고, 바람직하게는 0.3~0.8%이다. 이 범위 내이면, 상쾌감 부여 효과 및 동결 복원성이 우수하고,자격감도 억제된다. 0.1% 미만이면 동결 복원성이 떨어진다. 1%를 초과하면 상쾌감이 저하된다.
(C) 성분의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은 1종 단독이어도 좋고 2종을 병용해도 좋다.
(C) 성분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3~20%이고, 바람직하게는 5~15%이다. 이 범위 내이면 상쾌감이 저하되는 일이 없고, 자격감도 억제되며, 또한 동결 복원성에 있어서 높은 효과가 얻어진다. 3% 미만에서는 (B), (D) 성분이 적절하게 배합되어 있어도 동결 복원성이 떨어지고, 또한 자격감이 억제되지 않는다. 20%를 초과하면 (C) 성분에 의한 끈적거림이 강해져서 상쾌감이 저하된다.
(D) 당 알코올은 크실리톨, 에리스리톨이 바람직하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D) 당 알코올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3~4%이고, 바람직하게는 1~3%이다. 이 범위 내이면, 상쾌감이 높고, 자격감도 억제된다. 0.3% 미만이면 (B), (C) 성분이 적절하게 배합되어 있어도 상쾌감이 떨어지고, 또한 (A) 성분에 의한 자격감이 억제되지 않고, 4%를 초과하면 상쾌감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C) 성분과 (D) 성분의 배합 비율을 나타내는 (C)/(D)는 질량비로서 4.5 이상이다. (C)/(D) 비가 4.5를 충족하지 않으면, 상쾌감의 부여 효과가 저하된다. 또한, (C)/(D) 비는 자격 억제의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고, 또한 상한값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4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본 발명의 액체 구강용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살균제를 더 배합할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염화세틸피리디늄, 염화벤제토늄 등의 양이온성 살균제, 이소프로필메틸페놀 등의 비이온성 살균제가 예시되고, 그 중에서도 양이온성 살균제, 특히 염화세틸피리디늄이 바람직하다. 살균제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전체의 0.001~0.1%, 특히 0.01~0.05%이다.
또는, 유효 성분으로서 필요에 따라서 기타 공지 성분, 예를 들면 불소 함유 화합물, 트라넥삼산 등의 항염증제, 덱스트라나아제 등의 효소, 비타민류를 더 배합해도 좋다. 이들 유효 성분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유효량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구강용 조성물은 구강 세정제, 액체 치약, 구중 청량제 등으로서 조제, 적용할 수 있지만, 특히 구강 세정제가 적합하다. 또한, 그 제형이나 사용 목적 등에 따라서, 상기 성분 이외에 적당한 공지 성분을 필요에 따라서 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B) 성분 이외의 계면활성제, (C) 및 (D) 성분 이외의 습윤제, 증점제, 방부제, 감미료, 착색제, 향료, pH 조정제, 용제 등이 배합된다. 또한, 액체 구강용 조성물, 특히 구강 세정제에는 연마제 등의 가용화하지 않는 고형 성분은 통상 배합되지 않고, 연마제는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예를 들면 라우릴 황산 나트륨, 미리스틸 황산 나트륨 등의 알킬 황산염, N-라우로일사르코시네이트, 라우로일메틸타우린, 아실아미노산염, 도데실벤젠술폰산 나트륨, α-술포 지방산 알킬에스테르·나트륨, 알킬 인산 에스테르염 등이 예시된다. 양성 계면활성제로서, 예를 들면 알킬디메틸아미노 아세트산 베타인 등의 아세트산 베타인형, N-지방산 아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염 등의 이미다졸린형이 예시된다.
(B) 성분 이외의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0~0.2%, 특히 0.01~0.1%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구강용 조성물, 특히 구강 세정제에서는 (B) 성분 이외에 계면활성제는 배합하지 않아도 좋고, 그 중에서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특히 라우릴 황산 나트륨 등의 알킬 황산염은 버블 잔류물이 생기는 등으로 해서 사용감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함유하지 않을수록 바람직하지만, 배합하는 경우에는 0.1% 이하, 특히 0.05% 이하가 바람직하다.
습윤제로서는 (C) 및 (D) 성분이 습윤제로서도 작용하기 때문에, 이것들 이외에 배합하지 않아도 좋지만, 필요에 따라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배합해도 좋다. 이들 습윤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5% 이하, 특히 3% 이하가 좋고, 0%여도 좋다.
증점제로서는, 크산탄검, 카라기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이 예시된다(배합량은 통상 0~1%).
방부제로서는 파라옥시벤조산 에스테르, 벤조산 또는 그 나트륨염 등이 예시된다.
감미제로서는, 사카린나트륨, 스테비오사이드 등이 예시된다.
착색제로서는 청색 1호, 녹색 3호, 황색 4호, 적색 105호 등의 안전성이 높은 수용성 색소가 예시된다.
향료로서는 페퍼민트 오일, 스피어민트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윈터그린 오일, 클로브 오일, 타임 오일, 세이지 오일, 카다몬 오일, 로즈마리 오일, 마조람 오일, 레몬 오일, 너트멕 오일, 라벤더 오일, 파라 크레스 오일 등의 천연 정유, 및 l-멘톨, l-카본, 신나믹알데히드, 오렌지 오일, 아네톨, 1,8-시네올, 메틸살리실레이트, 오이게놀, 티몰, 리날로올, 리모넨, 멘톤, 멘틸아세테이트, 시트랄, 캄퍼, 보르네올, 피넨, 스필란톨 등의 상기 천연 정유 중에 포함되는 향료 성분, 또한 에틸아세테이트, 에틸부티레이트, 이소아밀아세테이트, 헥사날, 헥세날, 메틸안트라닐레이트, 에틸메틸페닐글리시데이트, 벤즈알데히드, 바닐린, 에틸바닐린, 푸라네올, 말톨, 에틸말톨, 감마/델타데카락톤, 감마/델타운데카락톤, N-에틸-p-멘탄-3-카르복사미드, 멘틸락테이트, 에틸렌글리콜-l-멘틸카보네이트 등의 향료 성분, 또한 몇 가지의 향료 성분이나 천연 정유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애플, 바나나, 스트로베리, 블루베리, 멜론, 피치, 파인애플, 그레이프, 머스캣, 와인, 체리, 스쿼시, 커피, 브랜디, 요구르트 등의 조합 플레이버가 예시되고, 이것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본 발명의 조성물 중 0.00001~3%로,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A) 성분을 포함하는 향료는 (A) 성분의 상기 배합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향료로서 멘톨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0.001~0.15%, 특히 0.005~0.10%이지만, 배합하지 않고 0%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멘톨의 배합량이 적어도 높은 상쾌감을 부여할 수 있고, 작용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구강용 조성물은 25℃에 있어서의 pH를 5.5~8.0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부근의 pH 조정제로서 인산2수소 나트륨과 인산1수소 나트륨, 또는 구연산과 구연산 나트륨을 조합한 것을 첨가할 수도 있다.
용제로서는 정제수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에탄올 등의 저급 1가 알코올을 함유해도 좋고, 특히 에탄올을 첨가하는 경우, 그 첨가량은 조성물 전체의 30% 이하, 특히 4~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급 1가 알코올의 첨가는 상쾌감을 부여하는데 적합하지만, 함유량이 30%를 초과하면 자격이 강해져서 사용감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저급 1가 알코올, 특히 에탄올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에탄올의 함유량이 조성물 전체의 0.2% 이하인) 제제는 저자격 타입의 제제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에탄올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액체 구강용 조성물이어도, 본 발명의 작용 효과가 우수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고,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예에 있어서 %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모두 질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비교예]
하기에 나타내는 원료 및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의 향료 조성물을 사용하고, 표 2~4에 나타내는 조성의 액체 구강용 조성물(구강 세정제)을 상법에 의해서 조제하고, 이것들을 샘플로서 사용해서 하기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결과를 표에 병기했다.
또한, 사용 원료의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나타낸다.
(A) N-(2-(2-피리디닐)에틸)-2-이소프로필-5-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사미드; EVERCOOL, Givaudan Japan, Ltd.제
(B) 폴리옥시에틸렌(100) 경화 피마자유;
E. O. 100, NIHON EMULSION Co., Ltd.제
(B) 폴리옥시에틸렌(60) 경화 피마자유;
E. O. 60, NIHON EMULSION Co., Ltd.제
(B)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SUNSOFT Q-14Y-C(미리스트산 폴리글리세릴), TAIYO KAGAKU CO., LTD.제
(B)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DK 에스테르 SS(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테르), DKS Co. Ltd.제
(C) 글리세린; SAKAMOTO YAKUHIN KOGYO CO., LTD.제
(C) 프로필렌글리콜; Asahi Glass Co., Ltd.제
(D) 크실리톨; ROCKET JAPAN제
(D) 에리스리톨; Mitsubishi Chemicals Corporation제
Figure pct00001
(1) 상쾌감의 평가 방법
10명의 피험자가 샘플 20mL를 입에 머금고 20초간 헹군 후, 사용 직후의 상쾌감을 하기 평점 기준에 따라 4단계로 판정했다. 10명의 평균점을 산출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평점 기준
4점 : 높은 상쾌감이 있음
3점 : 상쾌감이 있음
2점 : 그다지 상쾌감이 없음
1점 : 전혀 상쾌감이 없음
평가 기준
◎ : 3.5점 이상
○ : 3.0점 이상 3.5미만
× : 3.0점 미만
(2) 자격감(자격이 없음)의 평가 방법
10명의 피험자가 샘플 20mL을 입에 머금고 20초간 헹구고, 구강 세정제 사용중의 자격이 없음을 아래 평점 기준에 따라 4단계로 판정했다. 10명의 평균점을 산출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평점 기준
4점 : 자격을 느끼지 않음
3점 : 자격을 거의 느끼지 않음
2점 : 자격을 느낌
1점 : 자격을 매우 느낌
평가 기준
◎ : 3.5점 이상 4.0점 이하
○ : 3.0점 이상 3.5점 미만
× : 3.0점 미만
(3) 냉동 복원성의 평가 방법
샘플을 각각 만주량 500mL의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용기에 450mL 충전했다. 이어서, -20℃ 항온조에 2일 보존 후, 실온에서 1일간 보관하는 사이클을 3회 반복했다. 그 후, 실온에서 샘플의 제제 외관을 초기품(보존 전의 조제 직후품, 외관은 징명)과 비교하여 하기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평가 기준
◎ : 초기품과 차가 없고 혼탁이 확인되지 않음
○ : 아주 약간 혼탁이 확인됨
× : 혼탁이 확인됨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Claims (5)

  1. (A) N-(2-(2-피리디닐)에틸)-2-이소프로필-5-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사미드,
    (B)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1~1질량%,
    (C)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3~20질량%,

    (D) 당 알코올 0.3~4질량%
    를 함유하고, (C)/(D)가 질량비로서 4.5 이상인 액체 구강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B)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에틸렌옥시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60~100몰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의 탄소수가 10~18개인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지방산의 탄소수가 10~22개인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액체 구강용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D) 당 알코올이 크실리톨 및 에리스리톨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액체 구강용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성분의 함유량이 0.00000001~0.01질량%인 액체 구강용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강 세정제, 액체 치약 또는 구중 청량제인 액체 구강용 조성물.
KR1020197019766A 2017-05-31 2018-05-30 액체 구강용 조성물 KR1025840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07627A JP6939096B2 (ja) 2017-05-31 2017-05-31 液体口腔用組成物
JPJP-P-2017-107627 2017-05-31
PCT/JP2018/020813 WO2018221612A1 (ja) 2017-05-31 2018-05-30 液体口腔用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165A true KR20200010165A (ko) 2020-01-30
KR102584098B1 KR102584098B1 (ko) 2023-10-04

Family

ID=64456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766A KR102584098B1 (ko) 2017-05-31 2018-05-30 액체 구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39096B2 (ko)
KR (1) KR102584098B1 (ko)
CN (1) CN110650720B (ko)
MY (1) MY196881A (ko)
WO (1) WO20182216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1235424A1 (ko) * 2020-05-18 2021-11-25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0925A (ja) 2008-05-22 2011-07-21 ジボダン エス エー 清涼組成物
JP2012508741A (ja) 2008-11-20 2012-04-1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冷涼感の強化をもたらす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JP2014507440A (ja) 2011-02-23 2014-03-27 ジボダン エス エー 有機化合物
JP2014125440A (ja) 2012-12-26 2014-07-07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JP2015182983A (ja) 2014-03-25 2015-10-22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組成物
JP2016102076A (ja) 2014-11-27 2016-06-02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175797A3 (en) * 1994-12-09 1997-09-17 Warner Lambert Co Breath refreshing eatable compositions containing menthol and n-substituted p-menthanecarboxamide and process for preparing such compositions
US5698181A (en) * 1994-12-09 1997-12-16 Warner-Lambert Company Breath-freshening edible compositions comprising menthol and an N-substituted-P-menthane carboxamide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JP3613631B2 (ja) * 1999-03-31 2005-01-26 サンスター株式会社 口腔用液体組成物
AU2009281914B2 (en) * 2008-08-15 2014-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ynthesis of cyclohexane derivatives useful as sensates in consumer products
KR101821627B1 (ko) * 2012-05-28 2018-01-24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액체 구강용 조성물
JP2016121089A (ja) * 2014-12-25 2016-07-07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0925A (ja) 2008-05-22 2011-07-21 ジボダン エス エー 清涼組成物
JP2012508741A (ja) 2008-11-20 2012-04-1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冷涼感の強化をもたらす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JP2014507440A (ja) 2011-02-23 2014-03-27 ジボダン エス エー 有機化合物
JP2014125440A (ja) 2012-12-26 2014-07-07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JP2015182983A (ja) 2014-03-25 2015-10-22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組成物
JP2016102076A (ja) 2014-11-27 2016-06-02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50720A (zh) 2020-01-03
KR102584098B1 (ko) 2023-10-04
JP6939096B2 (ja) 2021-09-22
WO2018221612A1 (ja) 2018-12-06
CN110650720B (zh) 2022-09-27
MY196881A (en) 2023-05-08
JP2018203642A (ja)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809B1 (ko) 액체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5251350B2 (ja) 歯磨組成物
WO2012124533A1 (ja) 2層分離型液体口腔用組成物
JP5842565B2 (ja) 洗口剤組成物及び洗口剤組成物における変色抑制方法
JP2010143843A (ja) 液体口腔用組成物
JP6413815B2 (ja) 液体口腔用組成物
KR20200010165A (ko) 액체 구강용 조성물
JP4985907B2 (ja) 練歯磨組成物
JP5971988B2 (ja) 液体口腔用組成物
JP5825088B2 (ja) 液体口腔用組成物
WO2016133063A1 (ja) 液体口腔用組成物
JP6610208B2 (ja) 口腔用組成物
JP6610001B2 (ja) 液体口腔用組成物
JP2014214107A (ja) 歯磨組成物
JP2008273908A (ja) 口腔用組成物
KR20210008828A (ko) 구강용 조성물
JP6173735B2 (ja) 歯磨剤組成物
KR102270933B1 (ko) 액체 구강용 조성물
CN116568269A (zh) 洁齿剂组合物
WO2022255124A1 (ja) 液体口腔用組成物
WO2018221615A1 (ja) 口腔用組成物
CN117693331A (zh) 液体口腔用组合物
JP2016150927A (ja) 口腔用組成物
JP2017100978A (ja) 口腔用組成物
JP2017100964A (ja) 歯磨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