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6491A - 컵형상 용기 및 컵형상 용기용 적층체 - Google Patents

컵형상 용기 및 컵형상 용기용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6491A
KR20200006491A KR1020190079339A KR20190079339A KR20200006491A KR 20200006491 A KR20200006491 A KR 20200006491A KR 1020190079339 A KR1020190079339 A KR 1020190079339A KR 20190079339 A KR20190079339 A KR 20190079339A KR 20200006491 A KR20200006491 A KR 20200006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cup
blank
metal foil
fusel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다시 나에무라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6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with double walls; with walls incorporating air-chambers; with walls made of 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65D1/265Drinking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65D1/28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formed of 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onical or frusto-co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form of integral or permanently secured end closure
    • B65D3/12Flanged discs permanently secured, e.g. by adhesives or by heat-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8Other 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65D85/7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for ice-c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종이를 주체로 하는 컵형상 용기의 제조 설비를 이용하여 염가로 제조할 수 있고, 내용물의 장기 보존성에 우수하고, 어셉틱 살균이나 레토르트 살균도 가능한 컵형상 용기를 제공한다.
컵형상 용기(1)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연부끼리를 오버랩시켜서 접합함에 의해 통형상으로 성형되고 하단 개구연부에 안쪽으로 되접힌 되접음부(22)를 갖고 상단 개구연부에 바깥쪽으로 절곡된 플랜지부(23)를 갖고 있는 동체(2)와, 바닥체용 블랭크(30A)를 그 외주부에 수하부(32)가 형성되도록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단면 개략 역U형의 바닥체(3)에 의해 이루어진다. 동체(2)의 하단부(2a)의 내면에 수하부(32)의 외면이 접합되고, 되접음부(22)가 수하부(32)의 내면에 접합됨에 의해 동체(2) 및 바닥체(3)가 일체화되어 있다. 동체용 블랭크(20A) 및 바닥체용 블랭크(30A)의 각각이, 금속박층(201, 301)과 금속박층(201, 301)의 양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202, 302)을 갖지만 종이층을 갖지 않는 적층체(20, 30)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체(3)는, 바닥체용 블랭크(30A)를 드로잉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컵형상 용기 및 컵형상 용기용 적층체{CUP SHAPED CONTAINER AND LAMINATE FOR CUP SHAPED CONTAINE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아이스크림이나 요구르트와 같은 식품이나 음료 등을 내용물로 하는 컵형상 용기 및 동 용기의 재료로서 사용되는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아이스크림이나 요구르트 등의 반고형상(半固形狀) 유제품을 충전 포장하기 위한 용기로서, 종이제의 컵형상 용기, 즉 종이컵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이컵은, 통상, 각각 소정 형상으로 커트된 종이제 블랭크로 이루어지는 동체와 바닥체를 접합 일체화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동체는, 개략 부채꼴의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연부끼리를 오버랩시켜서 접합함에 의해 통형상으로 성형함과 함께, 하단 개구연부에 안쪽으로 되접힌 되접음부를 형성하고, 상단 개구연부에 바깥쪽으로 컬 된 플랜지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바닥체는, 개략 원형의 바닥체용 블랭크를 그 외주부에 수하부(垂下部)가 형성되도록 스커트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단면 개략 역U형의 것이다. 그리고, 바닥체의 수하부가 동체의 되접음부에 둘러싸넣어져서 접합됨에 의해, 동체 및 바닥체가 일체화되어 있다.
동체용 및 바닥체용의 각 블랭크는, 예를 들면, 일반원지, 내산지, 코트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종이층과, 종이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적층된 폴리에틸렌 수지(PE)층을 갖는 적층체로 이루어진다(예를 들면 하기한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상기 각 블랭크의 재료로서, 종이층 및 폴리에틸렌 수지(PE)층에 더하여 알루미늄박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사용하는 종이컵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하기한 특허 문헌 2 참조).
그 밖에, 아이스크림, 요구르트 등의 용기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PP) 등의 플라스틱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하기한 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소58-30955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7-210639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2007-176505호 공보
그렇지만, 종이컵은, 생산성에 우수하고, 염가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반면, 배리어성이 낮고, 내용물의 장기 보존에는 적합하지가 않았다.
알루미늄박 등의 배리어층이 부가된 종이컵인 경우, 내용물의 장기 보존성은 향상하지만, 종이층의 단면부터 물이 침입하기 쉽고, 레토르트 살균을 행할 수가 없었다. 또한, 플라스틱제의 용기인 경우, 제조 설비의 비용이 비싸게 들면서, 내용물의 장기 보존에는 적합하지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종이를 주체로 하는 컵형상 용기의 제조 설비를 이용하여 염가로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내용물의 장기 보존성에 우수하고, 어셉틱 살균이나 레토르트 살균도 행할 수 있는 컵형상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의 상태로 이루어진다.
1)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연부끼리를 오버랩시켜서 접합함에 의해 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음과 함께 상단 개구연부에 바깥쪽으로 절곡된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동체와, 바닥체용 블랭크를 그 외주부에 수하부가 형성되도록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단면 개략 역U형의 바닥체로 이루어지고,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에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이 접합됨에 의해 동체 및 바닥체가 일체화되어 있는 컵형상 용기에 있어서,
동체용 블랭크가, 금속박층과 금속박층의 양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갖지만 종이층을 갖지 않는 적층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동체용 블랭크의 오버랩시켜진 양단연부가 이들의 서로 겹침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고, 열융착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통하여 양단연부의 금속박층이 적층되어 있고,
바닥체용 블랭크가, 금속박층과 금속박층의 양면 중 바닥체의 상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갖지만 종이층을 갖지 않는 적층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이 이들의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고, 열융착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통하여 동체의 하단부의 금속박층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금속박층이 적층되어 있는 컵형상 용기.
2) 바닥체가, 바닥체용 블랭크를 드로잉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상기 1)의 컵형상 용기.
3) 플랜지가 하방으로 되접혀서 편평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상기 1) 또는 2)의 컵형상 용기.
4) 플랜지부가 하방으로 컬 되어 횡단면 개략 원호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상기 1) 또는 2)의 컵형상 용기.
5)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연부 중 동체의 내측이 되는 단연부가, 동체의 외측이 되는 동체용 블랭크의 면과 겹쳐지도록 되접혀서 동(同) 면에 열융착되어 있는 상기 1)∼4)의 어느 하나의 컵형상 용기.
6) 동체용 블랭크를 형성하고 있는 적층체의 금속박층의 두께가 40∼200㎛이고, 바닥체용 블랭크를 형성하고 있는 적층체의 금속박층의 두께가 40∼200㎛인 상기 1)∼5)의 어느 하나의 컵형상 용기.
7) 동체용 블랭크를 형성하고 있는 적층체에 있어서 금속박층의 양면에 적층되어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의 두께가 각각 5∼80㎛이고, 바닥체용 블랭크를 형성하고 있는 적층체에 있어서 금속박층의 양면 중 바닥체의 상측이 되는 면에 적층되어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의 두께가 5∼80㎛인 상기 1)∼6)의 어느 하나의 컵형상 용기.
8) 동체의 오버랩부에 있어서,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연부의 서로 열융착된 열융착성 수지층의 합계 두께가 8∼150㎛인 상기 1)∼7)의 어느 하나의 컵형상 용기.
9) 동체의 오버랩부에 있어서,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연부의 금속박층끼리의 두께방향에서 본 겹침폭이 2∼10㎜인 상기 1)∼8)의 어느 하나의 컵형상 용기.
10) 동체가 그 하단 개구연부로부터 바닥체의 수하부를 둘러싸도록 안쪽으로 되접힌 되접음부를 더 갖고 있고,
바닥체용 블랭크를 형성하고 있는 적층체가, 금속박층의 양면 중 바닥체의 하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더 갖고 있고,
동체의 되접음부 및 바닥체의 수하부가 이들의 서로 겹침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고, 열융착된 열융착성 수지층의 내측에 되접음부의 금속박층이 적층되어 있는 상기 1)∼9)의 어느 하나의 컵형상 용기.
11) 바닥체용 블랭크를 형성하고 있는 적층체에 있어서 금속박층의 양면 중 바닥체의 하측이 되는 면에 적층되어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의 두께가 5∼80㎛인 상기 10)의 컵형상 용기.
12)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연부끼리를 오버랩시켜서 접합함에 의해 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음과 함께 상단 개구연부에 바깥쪽으로 절곡된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동체와, 바닥체용 블랭크를 그 외주부에 수하부가 형성되도록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단면 개략 역U형의 바닥체로 이루어지고,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에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이 접합됨에 의해 동체 및 바닥체가 일체화되어 있는 컵형상 용기에 있어서,
동체용 블랭크가, 금속박층과 금속박층의 양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갖지만 종이층을 갖지 않는 적층체를 소정 길이의 2배의 길이를 갖는 치수로 커트함과 함께 길이 중앙에서 반분으로 접어서 겹치고, 겹쳐진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끼리를 열융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연부가, 되접은 측의 단연부가 동체의 내측이 되도록 오버랩시켜져서, 이들의 서로 겹침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고, 열융착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통하여 양단연부의 금속박층이 적층되어 있고,
바닥체용 블랭크가, 금속박층과 금속박층의 양면 중 바닥체의 상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갖지만 종이층을 갖지 않는 적층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이 이들의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고, 열융착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통하여 동체의 하단부의 금속박층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금속박층이 적층되어 있는 컵형상 용기.
13) 바닥체가, 바닥체용 블랭크를 드로잉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상기 12)의 컵형상 용기.
14) 플랜지부가 하방으로 되접혀서 편평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상기 12) 또는 13)의 컵형상 용기.
15) 플랜지부가 하방으로 컬 되어 횡단면 개략 원호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상기 12) 또는 13)의 컵형상 용기.
16) 동체가, 그 하단 개구연부로부터 바닥체의 수하부를 둘러싸도록 안쪽으로 되접힌 되접음부를 더 갖고 있고,
바닥체용 블랭크를 형성하고 있는 적층체가, 금속박층의 양면 중 바닥체의 하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더 갖고 있고,
동체의 되접음부 및 바닥체의 수하부가 이들의 서로 겹침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고, 열융착된 열융착성 수지층의 내측에 되접음부의 금속박층이 적층되어 있는 상기 12)∼15)의 어느 하나의 컵형상 용기.
17)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연부끼리를 합장형상으로 겹쳐서 접합함에 의해 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음과 함께 상단 개구연부에 바깥쪽으로 절곡된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동체와, 바닥체용 블랭크를 그 외주부에 수하부가 형성되도록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단면 개략 역U형의 바닥체로 이루어지고,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에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이 접합됨에 의해 동체 및 바닥체가 일체화되어 있는 컵형상 용기에 있어서,
동체용 블랭크가, 금속박층과 금속박층의 양면 중 동체의 내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갖지만 종이층을 갖지 않는 적층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동체용 블랭크의 합장형상으로 겹쳐진 양단연부가 이들의 열융착성 수지층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고, 열융착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통하여 양단연부의 금속박층이 적층되어 있고,
바닥체용 블랭크가, 금속박층과 금속박층의 양면 중 바닥체의 상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갖지만 종이층을 갖지 않는 적층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이 이들의 열융착성 수지층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고, 열융착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통하여 동체의 하단부의 금속박층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금속박층이 적층되어 있는 컵형상 용기.
18) 바닥체가, 바닥체용 블랭크를 드로잉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상기 17)의 컵형상 용기.
19) 동체용 블랭크를 형성하고 있는 적층체가, 금속박층의 양면 중 동체의 외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더 갖고 있고,
동체의 합장부가, 동체의 외면과 겹쳐지도록 일방의 측으로 절곡되어 동 외면에 열융착되어 있는 상기 17) 또는 18)의 컵형상 용기.
20) 플랜지부가 하방으로 되접혀서 편평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상기 17)∼19)의 어느 하나의 컵형상 용기.
21) 플랜지부가 하방으로 컬 되어 횡단면 개략 원호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상기 17)∼19)의 어느 하나의 컵형상 용기.
22) 동체가 그 하단 개구연부로부터 바닥체의 수하부를 둘러싸도록 안쪽으로 되접힌 되접음부를 더 갖고 있고,
바닥체용 블랭크를 형성하고 있는 적층체가, 금속박층의 양면 중 바닥체의 하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더 갖고 있고,
동체의 되접음부 및 바닥체의 수하부가 이들의 서로 겹침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고, 열융착된 열융착성 수지층의 내측에 되접음부의 금속박층이 적층되어 있는 상기 17)∼21)의 어느 하나의 컵형상 용기.
23)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연부끼리를 오버랩시켜서 접합하든지 또는 합장형상으로 겹쳐서 접합함에 의해 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음과 함께 상단 개구연부에 바깥쪽으로 절곡된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동체와, 바닥체용 블랭크를 그 외주부에 수하부가 형성되도록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단면 개략 역U형의 바닥체로 이루어지고,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에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이 접합됨에 의해 동체 및 바닥체가 일체화되어 있는 컵형상 용기에 있어서, 동체용 블랭크 및 바닥체용 블랭크 각각의 재료로서 사용되는 적층체로서,
금속박층과, 금속박층의 양면 중 적어도 일방의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갖고 있지만 종이층을 갖지 않는, 컵형상 용기용 적층체.
상기 1)의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동체용 블랭크가 금속박층 및 그 양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갖는 적층체로 형성되고, 바닥체용 블랭크가 금속박층과 금속박층의 양면 중 바닥체의 상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갖는 적층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이를 주체로 하는 컵형상 용기의 제조 설비를 이용하여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의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각 블랭크의 재료가 되는 적층체가 금속박층을 갖고 있기 때문에 내용물의 장기 보존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1)의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각 블랭크의 재료가 되는 적층체가 종이층을 갖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레토르트 살균을 행할 수가 있다.
더하여, 상기 1)의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동체의 오버랩부 및 동체의 하단부와 바닥체의 수하부와의 접합부에 있어서, 우수한 실(seal)성 및 배리어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2)의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이루어진다.
즉, 종래의 종이컵인 경우, 바닥체용 블랭크를 횡단면 개략 역U형으로 성형할 때에 주름이 발생하기 쉽고, 이들의 주름에 기인하여, 바닥체의 수하부와 동체의 하단부와의 접합 불량이 생기고, 또한, 배리어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종이컵을 사용하여 어셉틱(무균) 충전을 행하는 경우, 종이컵의 바닥부에서의 동체와 바닥체와의 경계 부분에 살균액이 남기 쉬웠다. 이것은, 종이를 주체로 하는 바닥체용 블랭크를 성형할 때에, 바닥부와 수하부 사이의 코너 부분에서 종이가 갈라짐에 의해, 코너 부분의 각이 나오기 어려운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대해, 상기 2)의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바닥체가, 금속박층 및 열융착성 수지층을 갖지만 종이층을 갖지 않는 적층체로 형성된 바닥체용 블랭크를 드로잉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바닥체에 주름이 생기지 않고, 따라서 바닥체의 수하부와 동체의 하단부와의 접합 불량이 생기거나, 배리어성의 저하를 초래하거나 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의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바닥체에서의 바닥부와 수하부 사이의 코너 부분의 각이 나오기 쉽고, 따라서 어셉틱(무균) 충전을 행하는 경우에도, 바닥부에서의 동체와 바닥체와의 경계 부분에 살균액이 남지 않는다.
상기 3) 또는 4)의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동체의 플랜지부의 선단측에 동체용 블랭크의 단면이 노출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면 내용물이 음료인 경우에 플랜지부를 입을 대는 부분으로서 지장없이 기능시킬 수 있다.
상기 5)의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동체의 오버랩부에 있어서, 금속박층의 단면이,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과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6)의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충분한 배리어성과 성형 가공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7)의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동체의 오버랩부나 동체의 하단부와 바닥체의 수하부와의 접합부에서 충분한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동 용기에 의하면, 동체의 플랜지부 상면 중 오버랩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부분의 단차를 완만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덮개재로 봉합한 때의 밀봉성이 양호하게 된다.
상기 8)의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동체의 오버랩부에 있어서, 실성을 확보하면서, 우수한 배리어성을 부여할 수 있고, 내용물의 장기 보존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9)의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상기 겹침폭이 2㎜ 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동체의 오버랩부에 있어서, 실성을 확보하면서, 우수한 배리어성을 부여할 수 있고, 내용물의 장기 보존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또한, 동 용기에 의하면, 상기 겹침폭이 10㎜ 이하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오버랩부의 폭이 커져서 비용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이 억제되고, 또한, 오버랩부의 내측부분과 외측부분에 걸리는 응력의 상위에 기인하여 오버랩부의 내측부분에 주름이 들어가는 등의 외관 불량의 발생이 억제된다.
상기 10)의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동체의 하단부와 바닥체의 수하부와의 접합성이 높아지고, 양자의 접합부에서의 실성 및 배리어성이 향상되고, 또한, 동 용기의 하단부에 있어서, 동체용 블랭크 및 바닥체용 블랭크의 금속박층의 단면이 하방으로 노출하지 않기 때문에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11)의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동체의 되접음부와 바닥체의 수하부와의 접합부에 있어서, 실성을 확보하면서, 우수한 배리어성을 부여할 수 있고, 내용물의 장기 보존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12)의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상기 1)의 컵형상 용기와 거의 같은 효과가 이루어진다.
더하여, 동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동체의 배리어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한, 동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동체의 오버랩부에 있어서, 금속박층의 단면이,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과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13)의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상기 2)의 컵형상 용기와 거의 같은 효과가 이루어진다.
상기 14) 또는 15)의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상기 3) 또는 4)의 컵형상 용기와 거의 같은 효과가 이루어진다.
상기 16)의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상기 10)의 컵형상 용기와 거의 같은 효과가 이루어진다.
상기 17)의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상기 1)의 컵형상 용기와 거의 같은 효과가 이루어진다.
더하여, 동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동체의 합장부에 있어서, 금속박층의 단면이,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과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18)의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상기 2)의 컵형상 용기와 거의 같은 효과가 이루어진다.
상기 19)의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동체의 합장부가 일방의 측으로 절곡되어 동체의 외면에 열융착되어 있기 때문에, 동 부분의 실성 및 배리어성이 향상된다.
또한, 동 용기에 의하면, 합장부가 외측으로 비어져 나오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향상되고, 쥐기 쉬워진다.
상기 20) 또는 21)의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상기 3) 또는 4)의 컵형상 용기와 거의 같은 효과가 이루어진다.
상기 22)의 컵형상 용기에 의하면, 상기 10)의 컵형상 용기와 거의 같은 효과가 이루어진다.
상기 23)의 컵형상 용기용 적층체에 의하면, 금속박층 및 그 양면 중 적어도 일방의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동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동체용 블랭크 및 바닥체용 블랭크를 준비하여, 종이를 주체로 하는 컵형상 용기의 제조 설비를 이용하여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3)의 컵형상 용기용 적층체에 의하면, 금속박층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재료로서 제조된 컵형상 용기를, 내용물의 장기 보존성에 우수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3)의 컵형상 용기용 적층체에 의하면, 종이층을 갖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이것을 각 블랭크의 재료로서 제조된 컵형상 용기는, 레토르트 살균을 행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컵형상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수직 단면도로서, 동 도면 중, 1점 쇄선(A)으로 둘러싸여진 부분은 1점 쇄선(a)로 둘러싸여진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1점 쇄선(B)으로 둘러싸여진 부분은 1점 쇄선(b)로 둘러싸여진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a)는 동체용 블랭크의 재료가 되는 적층체의 층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b)는 바닥체용 블랭크의 재료가 되는 적층체의 층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4는 상기 컵형상 용기에서의 동체의 오버랩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5(a)는 동체용 블랭크의 평면도, (b)는 동체용 블랭크로부터 성형된 동체의 사시도.
도 6(a)는 바닥체용 블랭크의 평면도, (b)는 바닥체용 블랭크로부터 성형된 바닥체의 사시도.
도 7은 상기 컵형상 용기의 제조 공정의 하나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 8은 상기 컵형상 용기에서의 동체의 플랜지부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수직 단면도.
도 9는 상기 컵형상 용기에서의 동체와 바닥체와의 연결 구조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수직 단면도.
도 10은 상기 컵형상 용기에서의 동체의 오버랩부의 또 하나의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수직 단면도.
도 11은 상기 양태의 오버랩부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컵형상 용기의 수평 단면도로서, 동 도면 중, 1점 쇄선(C)으로 둘러싸여진 부분은 1점 쇄선(c)로 둘러싸여진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3은 상기 컵형상 용기의 동체의 제조 공정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컵형상 용기의 수평 단면도로서, 동 도면 중, 1점 쇄선(D)으로 둘러싸여진 부분은 1점 쇄선(d)으로 둘러싸여진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5는 상기 컵형상 용기의 동체의 제조 공정의 일부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 1∼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의 실시 형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의 실시 형태의 컵형상 용기(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것으로, 동 용기(1)는, 동체용 블랭크(20A)로부터 성형된 동체(2)와, 바닥체용 블랭크(30A)로부터 성형된 바닥체(3)를 접합 일체화하여 이루어진다.
동체(2)는, 테이퍼 통형상의 것이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채꼴을 한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연부끼리를 오버랩시켜서 접합함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동체(2)에는, 그 높이 방향에 따라 늘어나는 오버랩부(21)가 존재한다.
동체(2)의 하단 개구연부에는, 안쪽으로 되접힌 되접음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동체(2)의 상단 개구연부에는, 바깥쪽으로 절곡된 플랜지부(23)가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부(23)는, 하방으로 되접혀서 거의 수평한 편평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도 8에 변형례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23X)는, 하방으로 컬 되어 횡단면 개략 원호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어도 좋다.
바닥체(3)는, 원형을 한 수평한 바닥부(31)와, 바닥부(31)의 외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난 수하부(32)를 갖는 단면 개략 역U형의 것으로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형의 바닥체용 블랭크(30A)를 그 외주부에 수하부(32)가 형성되도록 드로잉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바닥체(3)의 수하부(32)의 외면이 동체(2)의 하단부(2a)의 내면에 접합됨과 함께, 동체(2)의 되접음부(22)가 수하부(32)의 내면에 접합됨에 의해, 동체(2) 및 바닥체(3)가 일체화되어 있다(도 2 및 도 7 참조).
또한, 도 9에 변형례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2)의 하단 개구연부에 되접음부(22)를 형성하지 않고, 동체(2)의 하단부(2a)의 내면에 바닥체(3)의 수하부(32)의 외면이 접합될 뿐의 연결 구조에 의해, 동체(2)와 바닥체(3)가 일체화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변형례의 구성에 의하면, 바닥체(3)의 성형시에 수하부(32)에 약간의 주름이 들어가고 있는 경우에도, 공기 등을 혼입하는 일 없이, 동체(2)의 하단부(2a)와 바닥체(3)의 수하부(32)를 확실하게 실할 수 있다.
동체용 블랭크(20A)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박층(201)과, 금속박층(201)의 양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202)을 갖지만, 종이층을 갖지 않는 적층체(20)로 이루어진다.
또한, 바닥체용 블랭크(30A)도,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박층(301)과, 금속박층(301)의 양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302)을 갖지만, 종이층을 갖지 않는 적층체(30)로 이루어진다.
각 적층체(20)(30)의 두께는, 250㎛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0㎛ 미만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각 적층체(20)(30)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에 의해, 블랭크의 재료로서 두께 250∼400㎛ 정도의 적층체를 사용하는 종이컵과 같이, 동체(2)의 플랜지부(23) 중 오버랩부(21)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부분의 단차가 커져 버리거나, 동체(2)의 하단부(2a) 및 되접음부(22)와 바닥체(3)의 수하부(31)라는 접합이 안정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확실하게 회피된다.
금속박층(201)(301)은, 내용물을 가스, 수증기, 광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배리어층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금속박층(201)(301)을 구성하는 금속박으로서는, 알루미늄박, 철박, 스테인리스강박, 구리박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알맞게는 알루미늄박이 사용된다. 알루미늄박인 경우, 순알루미늄박, 알루미늄 합금박의 어느 것이라도 좋고, 또한, 연질, 경질의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예를 들면, JIS H4160으로 분류되는 A8000계(특히, A8079H나 A8021H)의 소둔처리 완료의 연질재(O재)라면, 성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금속박층(201)(301)의 양면에는, 필요에 응하여, 화성 처리 등의 하지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탈지 처리를 행한 금속박의 표면에,
1) 인산과, 크롬산과, 불화물의 금속염 및 불화물의 비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수용액
2) 인산과, 아크릴계 수지, 키토산 유도체 수지 및 페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와, 크롬산 및 크롬(Ⅲ)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수용액
3) 인산과, 아크릴계 수지, 키토산 유도체 수지 및 페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와, 크롬산 및 크롬(Ⅲ)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 불화물의 금속염 및 불화물의 비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수용액
상기 1)∼3) 중의 어느 한 수용액을 도공한 후, 건조함에 의해, 화성 처리를 시행하여 피막을 형성한다.
상기 화성 처리에 의해 금속박층(201)(301) 표면에 형성된 피막은, 크롬 부착량(편면당)을 0.1㎎/㎡∼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박층(201)(301)의 두께는, 40∼2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0∼160㎛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금속박층(201)(301)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에 의해, 충분한 배리어성과 성형 가공성을 얻을 수가 있다.
열융착성 수지층(202)(302)은, 용기(1)의 내외면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금속박층(201)(202)을 보호함과 함께, 적층체(20)(30)에 딥드로잉 성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고, 또한,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연부끼리의 접합이나, 동체(2)의 하단부(2a) 및 되접음부(22)와 바닥체(3)의 수하부(32)와의 접합일 때에 열융착층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열융착성 수지층(202)(302)은, 예를 들면, 열융착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PP) 필름이나 폴리에틸렌 수지(PE) 필름 등의 범용성 필름, 또는, 이들을 맞붙인 복합 필름에 의해 구성되는데, 특히, 내열성이나 드로잉성이 우수한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CPP)이 알맞다. 또한, 열융착성 수지층(202)(302)은, 상기 필름에 대신하여, 말레인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수지, 에폭시 수지나 셸락 수지 등의 코트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열융착성 수지층(202)(302)의 두께는, 5∼8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60㎛가 보다 바람직하다. 열융착성 수지층(202)(302)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에 의해,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연부끼리의 접합부나, 동체(2)의 하단부(2a) 및 되접음부(22)와 바닥체(3)의 수하부(32)와의 접합부에 있어서 충분한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있음과 함께, 동체(2)의 플랜지부(23) 상면 중 오버랩부(21)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부분의 단차를 완만하게 할 수 있고, 덮개재로 봉합한 때의 밀봉성이 양호하게 된다.
금속박층(201)(301)을 구성하는 금속박과, 열융착성 수지층(202)(302)을 구성하는 필름과의 적층은, 예를 들면, 접착제층(도시 생략)을 통하여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행하여진다. 접착제층으로는, 예를 들면, 2액 경화형의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나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 수지계 접착제가 사용된다.
또한, 동체용 블랭크(20A)를 구성하는 적층체(20)와, 바닥체용 블랭크(30A)를 구성하는 적층체(30)는, 통상, 동일한 것이 사용되지만, 재질 및/또는 두께가 다른 것으로 하여도 좋다.
다음에, 상기 적층체(20)(30)를 사용하여, 컵형상 용기(1)를 형성하는 방법의 한 예를 설명한다.
우선, 적층체(20)를 소정 사이즈의 부채꼴로 타발하여, 동체용 블랭크(20A)를 형성한다(도 5(a) 참조).
또한, 적층체(30)를 소정 사이즈의 원형으로 타발하여, 바닥체용 블랭크(30A)를 형성하고(도 6(a) 참조), 이 블랭크(30A)를, 금형(도시 생략)을 이용하여 디프드로잉 성형 가공함에 의해, 바닥부(31) 및 수하부(32)로 이루어지는 횡단면 개략 역U형의 바닥체(3)를 성형한다(도 6(b) 참조). 얻어진 바닥체(3)에는, 주름이 생기지 않는. 또한, 바닥체(3)의 외표면에서의 바닥부(31)와 수하부(32) 사이의 코너 부분은 각이 나와있다.
그리고, 개략 원추대형의 금형(도시 생략)의 정상면에, 바닥체(3)를 그 바닥부 상면이 겹쳐지도록 세트하여 두고 나서, 상기 금형의 외주면에 동체용 블랭크(20A)를 휘감고, 그 양단연부끼리를 오버랩시킨 후, 오버랩부(21)의 서로 겹치는 열융착성 수지층(202)(202)끼리를 열융착시킴에 의해, 테이퍼 통형상의 동체(2)를 성형한다. 오버랩부(21)의 열융착의 수단은, 열판을 이용한 히트 실 외에, 고주파 실이나 초음파 실 등이라도 좋다.
다음에, 동체(2)의 하단 개구연부를 내측으로 되접어서, 그 되접음부(22)를 원반형상의 회전 금형(도시 생략)에 의해 바닥체(3)의 수하부(32)에 꽉누른 후, 동체(2)의 하단부(2a) 및 되접음부(22)와 바닥체(3)의 수하부(32)와의 서로 겹치는 열융착성 수지층(202)(302)끼리를 열융착시킴에 의해, 동체(2)와 바닥체(3)를 접합 일체화시킨다.
최후에, 동체(2)의 상단 개구연부를, 소정의 컬 성형 금형(도시 생략)을 이용하여 바깥쪽으로 컬 시킴과 함께 상하 방향에 가압하고 편평형상으로 성형함에 의해, 플랜지부(23)를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컵형상 용기(1)가 얻어진다.
컵형상 용기(1)의 동체(2)의 오버랩부(21)에서,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연부의 서로 열융착된 열융착성 수지층(202)(202)의 합계 두께(T1)가 8∼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80㎛가 된다(도 4 참조). 상기 합계 두께(T1)가 8㎛ 미만이면, 오버랩부(21)의 실성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합계 두께(T1)가 150㎛를 초과하면, 오버랩부(21)의 배리어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동체(2)의 오버랩부(21)에서,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연부의 금속박층(201)(201)끼리의 두께방향에서 본 겹침폭(W1)이 2∼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8㎜가 된다. 상기 겹침폭(W1)이 2㎜ 미만이면, 오버랩부(21)의 배리어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고, 또한, 실 폭이 너무 작아져서 실성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겹침폭(W1)이 10㎜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으로 오버랩부(21)의 폭이 커져서 비용 상승으로 이어지고, 또한, 오버랩부(21)의 내측부분(동체용 블랭크(20A)의 일방의 단연부)와 외측부분(동체용 블랭크(20A)의 타방의 단연부)에 걸리는 응력의 상위에 기인하여, 오버랩부(21)의 내측부분에 주름이 들어가는 등의 외관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실시 형태의 컵형상 용기(1)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이루어진다.
a) 동체용 블랭크(20A) 및 바닥체용 블랭크(30A)의 각각이, 금속박층(201)(301) 및 그 양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202)(302)을 갖는 적층체(20)(30)로 되기 때문에, 종이를 주체로 하는 컵형상 용기의 제조 설비를 이용하여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b) 각 블랭크(20A)(30A)의 재료가 되는 적층체(20)(30)가 금속박층(201)(301)을 갖고 있기 때문에, 내용물의 장기 보존성이 우수하다.
c) 동체용 블랭크(20A)의 두께가 작아지기 때문에, 동체(2)의 플랜지부(23) 상면 중 오버랩부(21)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부분의 단차를 작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용기(1)의 플랜지부(23) 상면에 덮개를 실 할 때에 실 불량을 일으키기 어렵다. 또한, 어셉틱(무균) 충전을 행하는 경우에, 플랜지부(23) 상면의 상기 단차에 살균액이 남기 어려워진다.
d) 바닥체(3)가 바닥체용 블랭크(30A)를 디프드로잉 성형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닥체(3)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종래의 종이컵과 같이 바닥체(3)의 수하부(32)와 동체(2)의 하단부(2a) 및 되접음부(22)와의 접합 불량이 생기거나, 배리어성의 저하를 초래하거나 할 우려가 없다.
e) 동체용 블랭크(20A) 및 바닥체용 블랭크(30A)의 두께가 작아지기 때문에, 동체(2)의 하단부(2a) 및 되접음부(22)와 바닥체(3)의 수하부(32)를 안정적으로 접합할 수 있다.
f) 바닥체(3)의 외표면에서의 바닥부(31)와 수하부(32) 사이의 코너 부분의 각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어셉틱(무균) 충전을 행하는 경우에, 컵형상 용기(1)의 바닥체(3)상면과 동체(2) 내주면과의 경계 부분에 살균액이 남기 어려워진다.
g) 각 블랭크(20A)(30A)의 재료가 되는 적층체(20)(30)가 금속박층(201)(301) 및 열융착성 수지층(202)(302)을 갖지만 종이층을 갖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레토르트 살균을 행할 수가 있다.
도 10은, 컵형상 용기(1)에서의 동체(2)의 오버랩부(21)의 또 하나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컵형상 용기(1)에서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연부 중 동체(2)의 내측이 되는 단연부(204)가, 동체(2)의 외측이 되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면과 겹쳐지도록 되접혀서 동 면에 열융착되어 있음과 함께, 되접힌 단연부(204)와, 또 일방의 단연부(205)가 오버랩시켜져서, 이들(204)(205)의 서로 겹치는 열융착성 수지층(202)끼리가 열융착되어 있다(도 10, 11 참조).
되접힌 단연부(204)의 되접는 폭과, 양단연부(204)(205)의 오버랩 폭은, 도 10,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의 동일한 외에, 서로 다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되접힌 단연부(204)의 열융착과, 양단연부(204)(205)끼리의 열융착은, 1회의 열융착 공정에서 동시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에 의해 공수를 줄일 수 있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상기 상태에 의하면, 동체(2)의 오버랩부(21)에서, 금속박층(201)의 단면이 용기(1)에 수용된 내용물과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부식이 억제된다.
[제2의 실시 형태]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의 실시 형태의 컵형상 용기(1X)를 도시하는 것이다. 동 용기(1X)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도 1∼도 9에 도시하는 제1의 실시 형태의 컵형상 용기(1)와 실질적으로 같다.
즉, 이 실시 형태의 컵형상 용기(1X)인 경우, 동체용 블랭크(20B)가, 금속박층(201)과 금속박층(201)의 양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202)을 갖지만 종이층을 갖지 않는 적층체(20)를 소정 길이의 2배의 길이를 갖는 치수로 커트함과 함께 길이 중앙에서 반분으로 접어서 겹치고, 겹쳐진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202)끼리를 열융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도 13 참조).
그리고, 동체용 블랭크(20B)의 양단연부(204B)(205B)가, 되접은 측의 단연부(204B)가 동체(2X)의 내측이 되도록 오버랩시켜져서, 이들 (204B)(205B)의 서로 겹침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202)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고, 열융착된 열융착성 수지층(202)을 통하여 양단연부(204B)(205B)의 금속박층(201)이 적층되어 있다(도 12 참조).
상기한 컵형상 용기(1X)에 의하면, 동체(2X)의 오버랩부(21) 이외의 부분에서 2층의 금속박층(201)이 적층되고, 오버랩부(21)에서는 합계 4층의 금속박층(201)이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동체(2X)의 배리어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되고, 내용물의 장기 보존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또한, 상기한 컵형상 용기(1X)에 의하면, 동체(2X)의 오버랩부(21)에서, 금속박층(201)의 단면이 용기(1X)에 수용된 내용물과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제3의 실시 형태]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제3의 실시 형태의 컵형상 용기(1Y)를 도시하는 것이다. 동 용기(1Y)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도 1∼도 9에 도시하는 제1의 실시 형태의 컵형상 용기(1)와 실질적으로 같다.
즉, 이 실시 형태의 컵형상 용기(1Y)에서는, 동체(2)가,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연부끼리를 합장형상으로 겹쳐서 접합함에 의해 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도 15(a) 참조). 보다 상세하게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합장형상으로 겹쳐진 양단연부가 이들의 열융착성 수지층(202)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고, 열융착된 열융착성 수지층(202)을 통하여 양단연부의 금속박층(201)이 적층되어 있다.
동체(2)의 합장부(21Y)는, 동체(2)의 외면과 겹쳐지도록 일방의 측으로 절곡되어 동 외면에 열융착되어 있다(도 15(b) 참조).
상기한 컵형상 용기(1Y)에 의하면, 동체(2)의 합장부(21Y)에서, 금속박층(201)의 단면이, 용기(1Y)에 수용된 내용물과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컵형상 용기(1Y)에 의하면, 동체(2)의 합장부(21Y)가 일방의 측으로 절곡되어 동체(2)의 외면에 열융착되어 있기 때문에, 동 부분의 실성 및 배리어성이 향상된다. 게다가, 동 컵형상 용기(1Y)에 의하면, 합장부(21Y)가 외측으로 비어져 나오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향상되고 쥐기 쉬워진다.
[실시례]
다음에,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례 1>
두께 100㎛의 알루미늄박(A8021H-O)의 화성 처리가 시행된 양면에, 각각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접착제를 약 3g/㎡ 도포하여, 두께 30㎛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CPP)을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였다. 그리고,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위해 소정의 에이징 처리를 행함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적층체를 소정 형상으로 타발하여, 동체용 블랭크 및 바닥체용 블랭크를 성형하였다(도 5 및 도 6 참조).
그리고, 동체용 블랭크 및 바닥체용 블랭크를 이용하여, 전술한 제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공정에 의해,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컵형상 용기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례 1로 하였다. 얻어진 컵형상 용기는, 두께 100㎛의 알루미늄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산소나 수증기의 투과가 거의 없는, 배리어성의 양호한 용기이다.
또한, 컵형상 용기의 치수는 하기한 바와 같이 하였다.
(컵형상 용기의 치수)
·컵형상 용기 상부의 개구부의 내경 : 65㎜
·컵형상 용기 하부의 내경 : 50㎜
·플랜지부의 폭 : 4㎜
·컵형상 용기의 높이 : 95㎜
·컵형상 용기의 다리부(접어꺾음부(22))의 높이 : 6㎜
<실시례 2>
두께 100㎛의 알루미늄박(A8021H-O)의 화성 처리가 시행된 양면에, 각각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접착제를 약 3g/㎡ 도포하고, 두께 30㎛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LLDPE)을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였다. 그리고,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위해 소정의 에이징 처리를 행함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이외는 실시례 1과 같은 요령으로 컵형상 용기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례 2로 하였다.
<실시례 3>
양면에 화성 처리가 시행된 두께 100㎛의 알루미늄박(A8021H-O)의 일방의 면에,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접착제를 약 3g/㎡ 도포하고, 두께 30㎛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CPP)을 드라이 라미네이트함과 함께, 다른 일방의 면에,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접착제를 약 3g/㎡ 도포하고, 두께 50㎛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CPP)을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였다. 그리고,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위해 소정의 에이징 처리를 행함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적층체를 소정 형상으로 타발하여, 동체용 블랭크 및 바닥체용 블랭크를 성형하였다(도 5 및 도 6 참조).
다음에, 동체용 블랭크의 일방의 단연부를 두께 30㎛의 CPP 필름측으로 5㎜ 폭으로 되접어서 형(型)에 붙여 놓고 나서, 타방의 단연부를, 되접은 일방의 단연부의 외측에 오버랩시켜서 초음파 실을 행함에 의해, 외면이 두께 30㎛의 CPP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내면이 두께 50㎛의 CPP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통형상의 동체를 형성하였다(도 10 및 도 11 참조).
그리고, 상기 이외는 실시례 1과 같은 요령으로 컵형상 용기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례 3으로 하였다.
<비교례 1>
양면에 화성 처리가 시행된 두께 100㎛의 알루미늄박(A8021H-O)에 대신하여, 두께 210㎛의 판지를 사용하고, 동 판지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시행한 후, 두께 20㎛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LLDPE)을 압출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라미네이트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적층체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이외는 실시례 1과 동일한 요령으로 컵형상 용기를 제작하고, 이것을 비교례 1로 하였다.
(레토르트 살균 시험)
실시례 1, 3의 컵형상 용기에, 내용물으로서 물을 플랜지부의 아래 3㎜ 정도까지 충전하였다.
또한, 덮개재로서, 외측부터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12㎛), 알루미늄박(두께 20㎛), 히트 실 층을 구성하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CPP, 두께 30㎛)을, 각각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으로 접합한 적층체를 소정 형상으로 타발하여 이루어진 것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덮개재를 각 컵형상 용기의 플랜지부에 링 실러로 열봉합함에 의해, 충전 포장 용기를 얻었다.
실시례 2, 비교례 1의 컵형상 용기에 관해서는, 덮개제의 히트 실 층으로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LLDPE, 두께 30㎛)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례 1, 3의 컵형상 용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충전 포장 용기를 얻었다.
얻어진 각 충전 포장 용기를, 스팀식 레토르트 가마를 이용하여, 110℃로 30분간의 조건으로 레토르트 살균하고, 냉각 후 레토르트 가마로부터 취출하였다.
상기한 방법으로 레토르트 살균 처리를 행한 결과, 실시례 1∼3의 충전 포장 용기는, 실 누설, 용기의 변형, 컵형상 용기용 적층체의 층간박리 등이 없고, 레토르트 살균 적정을 발현하였다.
한편, 비교례 1의 충전 포장 용기는, 실 누설이 있고, 컵형상 용기용 적층체의 판지층에 수분이 침입하여 팽창이 일어나고, 적층체의 층간박리가 생기고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유동상 식품이나 음료 등을 내용물로 하는 컵형상 용기 및 동 용기의 재료로서 사용되는 적층체에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1, 1X, 1Y : 컵형상 용기 2, 2X : 동체
2a : 동체의 하단부 21 : 오버랩부
21Y : 합장부 22 : 되접음부
23, 23X : 플랜지부 20A, 20B : 동체용 블랭크
20 : 적층체 201 : 금속박층
202 : 열융착성 수지층 204 : 되접힌 단연부
205 : 또일방의 단연부 204B : 되접은 측의 단연부
205B : 또일방의 단연부
T1 :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연부의 서로 열융착된 열융착성 수지층의 합계 두께
W1 :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연부의 금속박층끼리의 두께방향에서 본 겹침폭
3 : 바닥체 31 : 바닥부
32 : 수하부 30A : 바닥체용 블랭크
30 : 적층체 301 : 금속박층
302 : 열융착성 수지층

Claims (23)

  1.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연부끼리를 오버랩시켜서 접합함에 의해 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음과 함께 상단 개구연부에 바깥쪽으로 절곡된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동체와, 바닥체용 블랭크를 그 외주부에 수하부가 형성되도록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단면 개략 역U형의 바닥체로 이루어지고,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에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이 접합됨에 의해 동체 및 바닥체가 일체화되어 있는 컵형상 용기에 있어서,
    동체용 블랭크가, 금속박층과 금속박층의 양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갖지만 종이층을 갖지 않는 적층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동체용 블랭크의 오버랩시켜진 양단연부가 이들의 서로 겹침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고, 열융착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통하여 양단연부의 금속박층이 적층되어 있고,
    바닥체용 블랭크가, 금속박층과 금속박층의 양면 중 바닥체의 상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갖지만 종이층을 갖지 않는 적층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이 이들의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고, 열융착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통하여 동체의 하단부의 금속박층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금속박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바닥체가, 바닥체용 블랭크를 드로잉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플랜지부가 하방으로 되접혀서 편평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플랜지부가 하방으로 컬 되어 횡단면 개략 원호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연부 중 동체의 내측이 되는 단연부가, 동체의 외측이 되는 동체용 블랭크의 면과 겹쳐지도록 되접혀서 동 면에 열융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체용 블랭크를 형성하고 있는 적층체의 금속박층의 두께가 40∼200㎛이고, 바닥체용 블랭크를 형성하고 있는 적층체의 금속박층의 두께가 40∼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체용 블랭크를 형성하고 있는 적층체에 있어서 금속박층의 양면에 적층되어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의 두께가 각각 5∼80㎛이고, 바닥체용 블랭크를 형성하고 있는 적층체에 있어서 금속박층의 양면 중 바닥체의 상측이 되는 면에 적층되어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의 두께가 5∼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체의 오버랩부에 있어서,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연부의 서로 열융착된 열융착성 수지층의 합계 두께가 8∼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체의 오버랩부에 있어서,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연부의 금속박층끼리의 두께방향에서 본 겹침폭이 2∼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체가, 그 하단 개구연부로부터 바닥체의 수하부를 둘러싸도록 안쪽으로 되접힌 되접음부를 더 갖고 있고,
    바닥체용 블랭크를 형성하고 있는 적층체가, 금속박층의 양면 중 바닥체의 하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더 갖고 있고,
    동체의 되접음부 및 바닥체의 수하부가 이들의 서로 겹침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고, 열융착된 열융착성 수지층의 내측에 되접음부의 금속박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바닥체용 블랭크를 형성하고 있는 적층체에 있어서 금속박층의 양면 중 바닥체의 하측이 되는 면에 적층되어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의 두께가 5∼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12.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연부끼리를 오버랩시켜서 접합함에 의해 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음과 함께 상단 개구연부에 바깥쪽으로 절곡된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동체와, 바닥체용 블랭크를 그 외주부에 수하부가 형성되도록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단면 개략 역U형의 바닥체로 이루어지고,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에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이 접합됨에 의해 동체 및 바닥체가 일체화되어 있는 컵형상 용기에 있어서,
    동체용 블랭크가, 금속박층과 금속박층의 양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갖지만 종이층을 갖지 않는 적층체를 소정 길이의 2배의 길이를 갖는 치수로 커트함과 함께 길이 중앙에서 반분으로 접어서 겹치고, 겹쳐진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끼리를 열융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연부가, 되접은 측의 단연부가 동체의 내측이 되도록 오버랩시켜져서, 이들의 서로 겹침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고, 열융착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통하여 양단연부의 금속박층이 적층되어 있고,
    바닥체용 블랭크가, 금속박층과 금속박층의 양면 중 바닥체의 상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갖지만 종이층을 갖지 않는 적층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이 이들의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고, 열융착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통하여 동체의 하단부의 금속박층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금속박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바닥체가, 바닥체용 블랭크를 드로잉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플랜지부가 하방으로 되접혀서 편평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플랜지부가 하방으로 컬 되어 횡단면 개략 원호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체가, 그 하단 개구연부로부터 바닥체의 수하부를 둘러싸도록 안쪽으로 되접힌 되접음부를 더 갖고 있고,
    바닥체용 블랭크를 형성하고 있는 적층체가, 금속박층의 양면 중 바닥체의 하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더 갖고 있고,
    동체의 되접음부 및 바닥체의 수하부가 이들의 서로 겹침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고, 열융착된 열융착성 수지층의 내측에 되접음부의 금속박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17.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연부끼리를 합장형상으로 겹쳐서 접합함에 의해 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음과 함께 상단 개구연부에 바깥쪽으로 절곡된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동체와, 바닥체용 블랭크를 그 외주부에 수하부가 형성되도록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단면 개략 역U형의 바닥체로 이루어지고,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에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이 접합됨에 의해 동체 및 바닥체가 일체화되어 있는 컵형상 용기에 있어서,
    동체용 블랭크가, 금속박층과 금속박층의 양면 중 동체의 내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갖지만 종이층을 갖지 않는 적층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동체용 블랭크의 합장형상으로 겹쳐진 양단연부가 이들의 열융착성 수지층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고, 열융착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통하여 양단연부의 금속박층이 적층되어 있고,
    바닥체용 블랭크가, 금속박층과 금속박층의 양면 중 바닥체의 상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갖지만 종이층을 갖지 않는 적층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이 이들의 열융착성 수지층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고, 열융착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통하여 동체의 하단부의 금속박층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금속박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바닥체가, 바닥체용 블랭크를 드로잉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동체용 블랭크를 형성하고 있는 적층체가, 금속박층의 양면 중 동체의 외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더 갖고 있고,
    동체의 합장부가, 동체의 외면과 겹쳐지도록 일방의 측으로 절곡되어 동 외면에 열융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랜지부가 하방으로 되접혀서 편평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21.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랜지부가 하방으로 컬 되어 횡단면 개략 원호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22.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체가, 그 하단 개구연부로부터 바닥체의 수하부를 둘러싸도록 안쪽으로 되접힌 되접음부를 더 갖고 있고,
    바닥체용 블랭크를 형성하고 있는 적층체가, 금속박층의 양면 중 바닥체의 하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더 갖고 있고,
    동체의 되접음부 및 바닥체의 수하부가 이들의 서로 겹침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고, 열융착된 열융착성 수지층의 내측에 되접음부의 금속박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23.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연부끼리를 오버랩시켜서 접합하든지 또는 합장형상으로 겹쳐서 접합함에 의해 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음과 함께 상단 개구연부에 바깥쪽으로 절곡된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동체와, 바닥체용 블랭크를 그 외주부에 수하부가 형성되도록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단면 개략 역U형의 바닥체로 이루어지고,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에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이 접합됨에 의해 동체 및 바닥체가 일체화되어 있는 컵형상 용기에 있어서, 동체용 블랭크 및 바닥체용 블랭크 각각의 재료로서 사용되는 적층체로서,
    금속박층과, 금속박층의 양면 중 적어도 일방의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을 갖고 있지만, 종이층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용 적층체.
KR1020190079339A 2018-07-10 2019-07-02 컵형상 용기 및 컵형상 용기용 적층체 KR202000064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30992 2018-07-10
JP2018130992 2018-07-10
JP2019106125A JP7344677B2 (ja) 2018-07-10 2019-06-06 コップ状容器およびコップ状容器用積層体
JPJP-P-2019-106125 2019-06-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491A true KR20200006491A (ko) 2020-01-20

Family

ID=69168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339A KR20200006491A (ko) 2018-07-10 2019-07-02 컵형상 용기 및 컵형상 용기용 적층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344677B2 (ko)
KR (1) KR20200006491A (ko)
CN (2) CN110697196B (ko)
TW (1) TWI8264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44677B2 (ja) * 2018-07-10 2023-09-14 株式会社レゾナック・パッケージング コップ状容器およびコップ状容器用積層体
JP7437943B2 (ja) 2020-01-09 2024-02-26 株式会社レゾナック・パッケージング コップ状容器
CN115004106B (zh) 2020-01-28 2024-04-05 富士胶片株式会社 信息处理方法
US11845583B2 (en) * 2020-06-09 2023-12-19 Ellery West Oxygen resistant canister
WO2022181529A1 (ja) * 2021-02-26 2022-09-01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金属ラミネート包材、成形容器、包装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0955A (ja) 1981-08-10 1983-02-23 三陽紙器株式会社 シ−ル蓋付容器
JP2007176505A (ja) 2005-12-27 2007-07-12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カップ状容器
JP2007210639A (ja) 2006-02-09 2007-08-23 Dainippon Printing Co Ltd 紙カップ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2251A (en) * 1959-01-08 1962-05-01 Hermorion Ltd Laminate sheet material and package produced therefrom
US3498525A (en) * 1968-01-15 1970-03-03 Kraftco Corp Package and cover therefor
JPS5817309U (ja) * 1981-07-28 1983-02-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二重巻き紙容器
EP0113160B1 (en) * 1982-12-03 1987-07-15 Ajinomoto Co., Inc. Plastics material can
JPS63272653A (ja) * 1987-05-18 1988-11-10 Toppan Printing Co Ltd 紙容器の製造方法
JPH0298537A (ja) * 1988-09-30 1990-04-10 Showa Denko Kk 缶様容器
JP3865795B2 (ja) * 1994-08-23 2007-01-10 凸版印刷株式会社 カップ状振出し紙容器
JP4489412B2 (ja) * 2003-11-20 2010-06-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紙カップの製造法
DE102005036269A1 (de) * 2005-08-02 2007-02-08 Huhtamaki Ronsberg, Zweigniederlassung Der Huhtamaki Deutschland Gmbh & Co. Kg Behälter, insbesondere Verpackungsbehälter
CN201079227Y (zh) * 2007-07-27 2008-07-02 陈子龙 一种新型复合包装材料饮料杯
JP2010095265A (ja) * 2008-10-14 2010-04-30 Dainippon Printing Co Ltd 紙容器
MX344080B (es) * 2012-06-29 2016-12-05 Dixie Consumer Products Llc Metodos para fabricar piezas en bruto de carton y productos de carton a partir de las mismas.
JP6060561B2 (ja) * 2012-08-20 2017-01-18 凸版印刷株式会社 カップ型紙容器
JP6277615B2 (ja) * 2012-10-18 2018-02-14 凸版印刷株式会社 加熱用カップ状容器とその製造方法
KR101616852B1 (ko) * 2015-05-28 2016-05-18 임병윤 알루미늄 내피의 종이컵 라면용기
CN106184957B (zh) * 2015-06-01 2019-04-19 昭和电工包装株式会社 容器及包装体
CN205364713U (zh) * 2016-01-01 2016-07-06 杭州巨力绝缘材料有限公司 高分子无泄露双箔自粘铝箔
JP6726525B2 (ja) * 2016-05-18 2020-07-22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容器用積層シートおよび容器
JP7344677B2 (ja) * 2018-07-10 2023-09-14 株式会社レゾナック・パッケージング コップ状容器およびコップ状容器用積層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0955A (ja) 1981-08-10 1983-02-23 三陽紙器株式会社 シ−ル蓋付容器
JP2007176505A (ja) 2005-12-27 2007-07-12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カップ状容器
JP2007210639A (ja) 2006-02-09 2007-08-23 Dainippon Printing Co Ltd 紙カ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26460B (zh) 2023-12-21
CN110697196B (zh) 2022-06-24
CN110697196A (zh) 2020-01-17
JP2020011774A (ja) 2020-01-23
TW202014348A (zh) 2020-04-16
CN210364761U (zh) 2020-04-21
JP7344677B2 (ja)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6491A (ko) 컵형상 용기 및 컵형상 용기용 적층체
TW201808623A (zh) 容器用積層片材及容器
JP6505452B2 (ja) 包装体の製造方法、包装体の製造装置、および、受け体
CN214649652U (zh) 杯状容器
JP6590520B2 (ja) ホット飲料容器用蓋材および包装体
JP7353162B2 (ja) コップ状容器
JP7437944B2 (ja) コップ状容器
CN215476311U (zh) 杯状容器
JP2021102490A (ja) コップ状容器およびコップ状容器用積層体
JP2011051654A (ja) 紙製容器
CN214649651U (zh) 杯状容器
JP2022102170A (ja) コップ状容器
KR20210076850A (ko) 컵형상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JP2021095216A (ja) コップ状容器
JP2021102491A (ja) コップ状容器
JP2021102488A (ja) コップ状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1109672A (ja) コップ状容器
JP6136125B2 (ja) カップ型紙容器
WO2022181529A1 (ja) 金属ラミネート包材、成形容器、包装体
JP2021109707A (ja) コップ状容器
JP2021102340A (ja) コップ状容器の製造方法
JP2021095217A (ja) コップ状容器
JP2017210283A (ja) 2重紙管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1109671A (ja) コップ状容器
JP2022011476A (ja) コップ状容器ならびにコップ状容器の胴体形成用積層体および底体形成用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