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885A - 지석 및 연삭반 - Google Patents

지석 및 연삭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885A
KR20200004885A KR1020197036990A KR20197036990A KR20200004885A KR 20200004885 A KR20200004885 A KR 20200004885A KR 1020197036990 A KR1020197036990 A KR 1020197036990A KR 20197036990 A KR20197036990 A KR 20197036990A KR 20200004885 A KR20200004885 A KR 20200004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stone
dressing
dress
dress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6869B1 (ko
Inventor
고이치 이치하라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4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24B47/16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performing a reciprocating movement, e.g. during which the sense of rotation of the working-spindle is rever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9/1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involving 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3/00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or conditioning abrasiv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a reciprocatingly-moved work-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5/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nly by their periphery;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1/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Abstract

연삭에 있어서, 피삭재의 표면에 있어서의 채터링 등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지석 및 연삭반을 제공한다. 그 때문에, 연삭반에 이용되는 지석은, 외주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 나선홈과, 상기 외주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 나선홈으로서, 상기 복수의 제1 나선홈의 각각과 교차하는 복수의 제2 나선홈을 구비한다. 또, 연삭반은, 당해 지석을 구비한다. 또, 연삭반은, 고정면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면을 갖는 가동테이블을 더 구비하고, 슬라이딩면은, 가동테이블의 이동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연속하는 양태로 형성되는 미소한 복수의 오목부를 가져도 된다.

Description

지석 및 연삭반
본 발명은, 연삭반(硏削盤)에 이용되는 지석(砥石) 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연삭반에서 이용되는 지석(지석차(砥石車))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26634호
그런데, 지석은, 사용과 함께 막힘이 발생하여, 연삭성능이 저하된다. 그 때문에, 연삭성능을 재생하는 드레싱작업(날세우기작업)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드레싱작업에서는, 예를 들면, 단석(單石)다이아몬드를 구비하는 드레서로, 지립(砥粒)의 외경보다 작은(예를 들면, 수 μm~수십 μm 정도의) 절삭(드레스홈)을 지석의 외주면에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하는 지석에 대하여 드레서를 접촉시키면서, 지석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왕복으로 행한다. 당해 드레싱작업에 의하면, 드레서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왕로동작에 의하여, 지석의 외주면에 나선상의 하나의 드레스홈이 생성됨과 함께, 귀로동작에 의하여, 하나의 드레스홈과 교차하는 나선상의 다른 드레스홈이 생성된다. 즉, 교차하는 하나의 드레스홈 및 다른 드레스홈에 의하여, 바닥면이 대략 능형의 뿔체, 즉, 대략 사각뿔상의 산(이하, 드레스산이라고 칭함)이 생성된다.
그러나, 당해 드레싱작업으로 재생된 지석에는, 하나의 드레스홈과 다른 드레스홈의 교차로 생성되는 드레스산이, 둘레방향(즉, 회전방향)으로 180° 대칭인 2개의 각도위치밖에 생성되지 않는다. 그러면, 지석을 이용하여 연삭을 행하는 경우, 피삭재는, 드레스산의 정점 부근에서 연삭되기 때문에, 지석의 회전에 따라, 주기적으로 드레스산에서 깎이는 부분에 대하여, 드레스산에서 깎이지 않은 범위가 넓어져, 피삭재의 표면에 굴곡(채터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연삭에 있어서, 피삭재의 표면에 있어서의 채터링 등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지석 및 연삭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형태에서는,
연삭반에 이용되는 지석으로서,
외주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 나선홈과,
상기 외주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 나선홈으로서, 상기 복수의 제1 나선홈의 각각과 교차하는 복수의 제2 나선홈을 구비하는,
지석이 제공된다.
또, 상기 지석을 구비하는,
연삭반이 제공된다.
상술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연삭에 있어서, 피삭재의 표면에 있어서의 채터링 등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지석 및 연삭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평면연삭반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장치의 구성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3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3c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4a는 비교예에 관한 드레싱장치에서 드레싱작업이 행해진 지석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장치에서 드레싱작업이 행해진 지석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장치의 구성의 제2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드레서의 배치양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이다.
도 7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7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7c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8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8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8c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장치의 구성의 제3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a는 드레서의 배치양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이다.
도 10b는 드레서의 배치양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이다.
도 11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의 제3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1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의 제3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1c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의 제3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장치의 구성의 제4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의 제4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3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의 제4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4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의 제5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4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의 제5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4c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의 제5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장치에서 드레싱작업이 행해진 지석을 이용한 가공방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내는 가공방법에 의하여 생성되는 복수의 오목부를 적용 가능한 슬라이딩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원통연삭반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원통연삭반의 구성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내면연삭반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평면연삭반의 구성]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삭반의 일례로서 평면연삭반(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평면연삭반(1)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평면연삭반(1)은, 가동테이블(10), 테이블안내기구(11), 지석헤드(15), 지석(16), 안내레일(18), 제어장치(20), 표시장치(40)를 갖는다.
다만, 도면 중, X방향은, 가동테이블(10)의 이동방향을 나타내고, Y방향은, X방향에 직교하는 지석헤드(15)의 이동방향을 나타내며, Z방향은, X방향 및 Y방향에 직교하는 높이방향을 나타낸다.
가동테이블(10)은, 테이블안내기구(11)에 의하여 X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연삭대상의 피삭재(12)가 재치된다.
테이블안내기구(11)는, 예를 들면, 서보모터 등을 구동력원으로 하여, 가동테이블(10)을 X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지석헤드(15)는, 하단부에 지석(16)이 마련되고, Y방향으로 이동 가능 또한 Z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안내레일(18)에 장착된다.
지석(16)은, 원주형상을 갖고, 그 중심축이 Y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지석헤드(15)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지석(16)은, 지석헤드(15)와 함께 Y방향 및 Z방향으로 이동하고, 회전하여 피삭재(12)의 표면을 연삭한다. 지석(16)은, 피삭재(12)의 성질이나 가공정밀도 등에 따라 선택되는 지립(예를 들면, 알루미나연삭재나 다이아몬드연삭재), 및 지립을 유지하는 결합제를 중심으로 하여 구성된다.
안내레일(18)은, 예를 들면, 2개의 서보모터 등을 구동력원으로 하여, 지석헤드(15)를 Y방향 및 Z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어장치(20)는, 가동테이블(10) 및 지석헤드(15)의 위치를 조정하고, 지석(16)을 회전시킴으로써, 피삭재(12)의 표면을 연삭하도록 평면연삭반(1)의 각 부를 제어한다. 제어장치(20)는, 예를 들면, CPU, RAM, ROM, I/O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표시장치(40)는, 예를 들면, 액정디스플레이 등이다. 표시장치(40)는, 제어장치(20)에 의하여 제어되고, 예를 들면, 피삭재(12)의 연삭조건 등이 표시된다.
[드레싱장치의 제1 예]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평면연삭반(1)에서 이용되는 지석(16)의 드레싱작업(날세우기작업)을 행하는 드레싱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장치(100)의 구성의 제1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드레싱장치(100)는, 드레서(110), 구동기구(120), 회전기구(130), 회전위치검출장치(140), 컨트롤러(150)를 포함한다.
드레서(110)는, 회전하는 지석(16)의 외주면(즉, 피삭재를 연삭하는 작업면. 이하, "지석작업면"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에 접촉하여, 절삭(드레스홈)을 생성한다. 드레서(110)는, 예를 들면, 단석다이아몬드를 원료로 하고, 대략 원통형상을 가짐과 함께, 그 선단부가 원뿔형상을 갖는다. 드레서(110)는, 지립보다 작은 폭(예를 들면, 수 μm~수십 μm)의 드레스홈을 생성할 수 있다.
구동기구(120)는, 예를 들면, 2개의 서보모터를 구동력원으로 하여, 드레서(110)(구체적으로는, 드레서(1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좌우방향(도면 중의 X축의 정방향 및 부방향) 및 상하방향(도면 중의 Z축의 정방향 및 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구동기구(120)는, 예를 들면, 볼나사기구나 랙앤드피니언기구 등을 포함한다. 구동기구(120)는, 컨트롤러(150)로부터의 제어지령에 따라, 좌우위치 및 상하위치를 조정한다. 이로써, 드레서(110)와, 후술하는 회전축(131)에 장착되는 지석(16)의 외주면(지석작업면)과의 접촉상태(드레스홈의 깊이)나 지석(16)의 폭방향(도면 중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접촉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회전기구(130)는, 예를 들면, 서보모터 등을 구동력원으로 하여, 회전축(131)에 장착되는 지석(16)을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시킨다.
회전위치검출장치(140)는, 예를 들면, 로터리인코더이며, 회전축(131)에 장착되는 지석(16)의 회전위치(각도위치)를 검출한다. 회전위치검출장치(140)는, 컨트롤러(15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검출된 지석(16)의 각도위치에 대응하는 검출신호는, 컨트롤러(150)에 송신된다.
컨트롤러(150)는, 구동기구(120)에 제어지령을 송신하여, 구동기구(120)에 의하여 상하좌우로 이동구동되는 드레서(110)의 좌우위치 및 상하위치를 제어한다. 컨트롤러(150)는, 예를 들면, CPU, RAM, ROM, I/O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컨트롤러(150)는, 구동기구(120)의 상하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드레서(110)와 지석(16)의 외주면(지석작업면)과의 접촉상태(드레스홈의 깊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컨트롤러(150)는, 회전위치검출장치(140)로부터 수신하는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지석(16)의 각도위치와 동기시키면서, 드레서(110)의 좌우위치(지석(16)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접촉위치)를 제어한다.
[드레싱방법의 제1 예]
다음으로, 도 3(도 3a~도 3c)을 참조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드레싱장치(100)에 의한 드레싱방법(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의 제1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도 3c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내는 드레싱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낸다.
드레싱장치(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드레서(110)를, 회전하는 지석(16)에 접촉시키면서, 회전축(131)에 장착되는 지석(16)의 좌우단 사이에서 왕복이동시키는 공정을 3회 반복한다. 도 3a~도 3c는, 각각, 제1 공정~제3 공정에 있어서의 드레스홈의 생성양태를 나타내는 지석(16)의 외주면(지석작업면)의 전개도이다.
다만, 도 3b 및 도 3c에서는, 각각, 이전의 공정에서 생성된 드레스홈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제2 공정 및 제3 공정에서 생성되는 드레스홈(202, 212), 및 드레스홈(203, 213)을 실선으로 나타낸다. 또, 제1 공정~제3 공정의 각 공정은, 먼저, 드레서(110)를 지석(16)의 좌단으로부터 우단으로 이동시키고, 계속해서, 우단으로부터 좌단으로 이동시키는 흐름으로 행해진다. 또, 본 예에 있어서, 드레서(110)의 좌우방향의 이동속도, 구체적으로는, 드레서(110)가 지석(16)의 1회전마다 좌우이동하는 양(이하, "드레스리드"라고 칭함) DL은, 지석(16)의 폭 W의 1/2이다(즉, 드레스리드 DL=W/2). 또, 지석(16)의 각도위치(0°~360°)가 미리 규정되고, 회전위치검출장치(140)는, 당해 각도위치에 대응하는 검출신호를 컨트롤러(150)에 송신한다. 또, 도면 중, 지석(16)의 좌단위치가 좌표값 "0"으로 나타내어지고, 지석(16)의 우단위치가 좌표값 "W"로 나타내어진다.
제1 공정에서는, 먼저, 컨트롤러(150)는, 드레서(110)가 각도위치 "0°"에서 지석(16)의 좌단위치(좌표값 "0")에 접촉을 개시하고, 우방향으로 드레스리드 DL(=W/2)로 이동하도록, 구동기구(120)를 제어한다. 계속해서, 드레서(110)가 지석(16)의 우단위치(좌표 "W")에 도달하면, 컨트롤러(150)는, 드레서(110)의 이동방향을 반전시켜, 좌방향으로 드레스리드 DL(=W/2)로 이동하도록, 구동기구(12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150)는, 드레서(110)가 각도위치 "0°"에서 지석(16)의 우단위치(좌표값 "W")에 접촉을 개시하고, 좌방향으로 드레스리드 DL(=W/2)로 이동하도록, 구동기구(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50)는, 구동기구(120)를 제어하여, 드레서(110)를 지석(16)의 좌단위치(좌표값 "0")까지 이동시킨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서(110)는, 제1 공정의 왕로에 있어서, 드레스리드 DL(=W/2)로 우방향(도 3a의 상방향)으로 보내짐으로써, 지석(16)의 좌단의 각도위치 "0°"를 시점(始点)으로 하고, 지석(16)의 우단의 각도위치 "360°"(="0°")를 종점으로 하는 나선상의 드레스홈(201)을 지석(16)의 외주면에 생성한다(도면 중, 흰색 화살표 참조). 드레스홈(201)은, 지석(16)의 외주면을 나선상으로 2주(周) 하고 있다.
또,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서(110)는, 제1 공정의 귀로에 있어서, 드레스리드 DL(=W/2)로 좌방향(도 3a의 하방향)으로 보내짐으로써, 지석(16)의 우단의 각도위치 "0°"를 시점으로 하고, 지석(16)의 좌단의 각도위치 "360°"(="0°")를 종점으로 하는 나선상의 드레스홈(211)을 지석(16)의 외주면에 생성한다(도면 중, 검정색 화살표 참조). 드레스홈(211)은, 지석(16)의 외주면을 나선상으로 2주 하고 있다. 또, 드레스홈(211)은, 드레스홈(201)과 교차한다.
제2 공정에서는, 컨트롤러(150)는, 제1 공정으로부터 위상(지석(16)의 각도위치)을 어긋나게 하여 드레서(110)를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150)는, 드레서(110)가 각도위치 "120°"에서 지석(16)의 좌단위치(좌표값 "0")에 접촉을 개시하고, 우방향으로 드레스리드 DL(=W/2)로 이동하도록, 구동기구(120)를 제어한다. 계속해서, 드레서(110)가 지석(16)의 우단위치(좌표 "W")에 도달하면, 컨트롤러(150)는, 드레서(110)의 이동방향을 반전시켜, 좌방향으로 드레스리드 DL(=W/2)로 이동하도록, 구동기구(12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150)는, 드레서(110)가 각도위치 "120°"에서 지석(16)의 우단위치(좌표값 "W")에 접촉을 개시하고, 좌방향으로 드레스리드 DL(=W/2)로 이동하도록, 구동기구(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50)는, 구동기구(120)를 제어하여, 드레서(110)를 지석(16)의 좌단위치(좌표값 "0")까지 이동시킨다.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서(110)는, 제2 공정의 왕로에 있어서, 드레스리드 DL(=W/2)로 우방향(도 3b의 상방향)으로 보내짐으로써, 지석(16)의 좌단의 각도위치 "120°"를 시점으로 하고, 지석(16)의 우단의 각도위치 "120°"를 종점으로 하는 나선상의 드레스홈(202)을 지석(16)의 외주면에 생성한다(도면 중, 흰색 화살표 참조). 드레스홈(202)은, 드레스홈(201)과 평행하게, 즉, 교차하는 일 없이, 지석(16)의 외주면을 나선상으로 2주 하고 있다. 한편, 드레스홈(202)은, 제1 공정에서 생성된 드레스홈(211)과 교차한다.
또,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서(110)는, 제2 공정의 귀로에 있어서, 드레스리드 DL(=W/2)로 좌방향(도 3b의 하방향)으로 보내짐으로써, 지석(16)의 우단의 각도위치 "120°"를 시점으로 하고, 지석(16)의 좌단의 각도위치 "120°"를 종점으로 하는 나선상의 드레스홈(212)을 지석(16)의 외주면에 생성한다(도면 중, 검정색 화살표 참조). 드레스홈(212)은, 드레스홈(211)과 평행하게, 즉, 드레스홈(211)과 교차하는 일 없이, 지석(16)의 외주면을 나선상으로 2주 하고 있다. 한편, 드레스홈(212)은, 제1 공정에서 생성된 드레스홈(201) 및 제2 공정(왕로)에서 생성된 드레스홈(202)과 교차한다.
제3 공정에서는, 컨트롤러(150)는, 제2 공정으로부터 추가로 위상(지석(16)의 각도위치)을 어긋나게 하여 드레서(110)를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150)는, 드레서(110)가 각도위치 "240°"에서 지석(16)의 좌단위치(좌표값 "0")에 접촉을 개시하고, 우방향으로 드레스리드 DL(=W/2)로 이동하도록, 구동기구(120)를 제어한다. 계속해서, 드레서(110)가 지석(16)의 우단위치(좌표 "W")에 도달하면, 컨트롤러(150)는, 드레서(110)의 이동방향을 반전시켜, 좌방향으로 드레스리드 DL(=W/2)로 이동하도록, 구동기구(12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150)는, 드레서(110)가 각도위치 "240°"에서 지석(16)의 우단위치(좌표값 "W")에 접촉을 개시하고, 좌방향으로 드레스리드 DL(=W/2)로 이동하도록, 구동기구(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50)는, 구동기구(120)를 제어하여, 드레서(110)를 지석(16)의 좌단위치(좌표값 "0")까지 이동시킨다.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서(110)는, 제3 공정의 왕로에 있어서, 드레스리드 DL(=W/2)로 우방향(도 3c의 상방향)으로 보내짐으로써, 지석(16)의 좌단의 각도위치 "240°"를 시점으로 하고, 지석(16)의 우단의 각도위치 "240°"를 종점으로 하는 나선상의 드레스홈(203)을 지석(16)의 외주면에 생성한다(도면 중, 흰색 화살표 참조). 드레스홈(203)은, 드레스홈(201, 202)과 평행하게, 즉, 교차하는 일 없이, 지석(16)의 외주면을 나선상으로 2주 하고 있다. 한편, 드레스홈(203)은, 제1 공정에서 생성된 드레스홈(211) 및 제2 공정에서 생성된 드레스홈(212)과 교차한다.
또,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서(110)는, 제3 공정의 귀로에 있어서, 드레스리드 DL(=W/2)로 좌방향(도 3c의 하방향)으로 보내짐으로써, 지석(16)의 우단의 각도위치 "240°"를 시점으로 하고, 지석(16)의 좌단의 각도위치 "240°"를 종점으로 하는 나선상의 드레스홈(213)을 지석(16)의 외주면에 생성한다(도면 중, 검정색 화살표 참조). 드레스홈(213)은, 드레스홈(211, 212)과 평행하게, 즉, 교차하는 일 없이, 지석(16)의 외주면을 나선상으로 2주 하고 있다. 한편, 드레스홈(213)은, 제1 공정~제3 공정에서 생성된 드레스홈(201~203)과 교차한다.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공정~제3 공정의 각 왕로에서 생성되는 드레스홈(201~203)은, 평행 또한 등간격(즉, 같은 피치 DP(=DL/3))으로, 지석(16)의 외주면에 나선상으로 생성된다. 즉, 지석(16)의 외주면(지석작업면)에는, 3조의 드레스홈(201~203)이 생성된다. 또, 제1 행정~제3 공정의 각 귀로에서 생성되는 드레스홈(211~213)은, 평행 또한 등간격(즉, 같은 피치 DP(=DL/3))으로, 지석(16)의 외주면에 나선상으로 생성된다. 즉, 지석(16)의 외주면(지석작업면)에는, 드레스홈(201~203)과 교차하는, 3조의 드레스홈(211~213)이 생성된다.
또, 각 드레스홈(201~203)과 각 드레스홈(211~213)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교차한다. 그 때문에,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스홈(201~203) 중의 2개의 드레스홈과, 드레스홈(211~213) 중의 2개의 드레스홈으로 둘러싸이는 대략 능형의 에어리어를 바닥면으로 하는 뿔체, 즉, 대략 사각뿔상의 산부(드레스산)가 생성된다. 드레스산은, 평면연삭반(1)에서 피삭재(12)를 깎는 부분에 상당한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드레스홈(201~203), 및 드레스홈(211~213))의 조수 Z가 3이었지만, 조수 Z를 2로 해도 되고, 4 이상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조수 Z에 맞추어, 위상을 어긋나게 하는 양을 변화시키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3조이기 때문에, 위상을 "120°"씩 변화시키고, 드레서(110)를 3왕복시켰지만, 예를 들면, 2조의 경우, 위상을 "180°"씩 변화시키고, 드레서(110)를 2왕복시키면 된다. 또, 예를 들면, 4조의 경우,"90°"씩 변화시키고, 드레서(110)를 4왕복시키면 된다. 즉, 조수 Z에 대하여, 위상을 "(360/Z)°"씩 변화시키고, 드레서(110)를 Z왕복시킴으로써,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을 생성하면 된다.
[작용]
다음으로, 도 4(도 4a, 도 4b)를 참조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드레싱장치(100)에서 드레싱작업이 행해진 지석(16), 즉, 도 3c에 나타내는 드레스홈(201~203), 및 드레스홈(211~213)이 생성된 지석(16)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비교예에 관한 드레싱장치에서 드레싱작업이 행해진 지석(16)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4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장치(100)에서 드레싱작업이 행해진 지석(16)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구체적으로는, 지석(16)의 외주면(지석작업면)의 전개도이다.
다만, 종래 기술에 상당하는 비교예에 관한 드레싱장치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장치(100)에 있어서의 제1 공정만을 행한다. 또, 지석(16)의 외주면의 동일한 각도위치에 있어서의 드레스홈의 간격(피치)을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비교예에 관한 드레싱장치에 있어서의 드레스리드 DLc는, W/6이다(DLc=W/6). 또, 도면 중의 검정동그라미는, 드레스산의 정점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에 관한 드레싱장치에서 드레싱작업이 행해진 지석(16)의 외주면(지석작업면)에는, 1개의 나선상의 드레스홈(201c)과, 드레스홈(201c)에 교차하는 1개의 나선상의 드레스홈(211c)이 생성되어 있다. 비교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드레스리드 DLc=W/6이기 때문에, 드레스홈(201c, 211c)은, 각각, 지석(16)의 외주면을 나선상으로 6주하고 있다. 그리고, 교차하는 드레스홈(201c, 211c)으로 둘러싸이는 능형의 드레스산은, 지석(16)의 180° 대칭의 2개의 각도위치, 구체적으로는, 각도위치 "180°"와 각도위치 "360°"(="0°")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나열되는 양태로 생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드레스산은, 드레스홈(201c) 혹은 드레스홈(211c)의 방향에 있어서, 지석(16)의 외주면(지석작업면)의 1주당 2개 나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비교예에 관한 드레싱장치에서 드레싱작업이 행해진 지석(16)은, 외주면(지석작업면) 중, 180° 대칭의 2개의 각도위치밖에 드레스산이 생성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평면연삭반(1)에 장착되는 지석(16)이 회전하면서 피삭재(12)를 연삭할 때, 드레스산이 생성되는 2개의 각도위치의 근방 이외의 부분에서 연삭되는 피삭재(12)의 부분은, 거의 연삭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면, 피삭재(12) 중 드레스산에서 깎인 부분과, 거의 깎이지 않은 부분의 차이가 명확하게 되어, 피삭재(12)의 표면에 굴곡이나 채터링(채터마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즉, 피삭재(12)의 품질저하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장치(100)에서 드레싱작업이 행해진 지석(16)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3조의 드레스홈(201~203)과, 당해 3조의 드레스홈(201~203)의 각각과 교차하는 3조의 드레스홈(211~213)이 생성된다. 그리고, 3조의 드레스홈(201~203) 및 3조의 드레스홈(211~213)의 교차에 의하여, 6개의 각도위치(각도위치 "60°", "120°", "180°", "240°", "300°", 및 "360°"(="0°"))에 있어서, 드레스산이 폭방향으로 나열되는 양태로 생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드레스산은, 드레스홈(201~203) 혹은 드레스홈(211~213)의 방향에 있어서, 지석(16)의 외주면(지석작업면)의 1주당 6(=2·Z)개 나열되어 있다.
따라서, 평면연삭반(1)에 장착되는 지석(16)이 회전하면서, 외주면(지석작업면)의 6개의 각도위치에 생성된 드레스산이 피삭재(12)를 연삭하기 때문에, 비교예의 경우보다 피삭재(12)의 표면의 굴곡이나 채터링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생성되는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의 조수 Z를 더욱 많게 함으로써(Z≥4), 드레스산이 배치되는 지석(16)의 각도위치의 수(=2·Z)가 증가하기 때문에, 피삭재(12)의 표면의 굴곡이나 채터링 등의 발생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다만, 한 쌍의 드레스홈의 드레스리드 DL(즉, 드레스홈(201~203, 211~213)의 지석(16)의 외주면 1주당 폭방향의 이동량)은, 보다 적합하게는, 0.1mm 이상이다. 또,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의 피치 DP(즉, 드레스홈(201~203) 중 인접하는 2개 및 드레스홈(211~213) 중 인접하는 2개의 지석(16)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간격)는, 보다 적합하게는, 0.5mm 이하이다. 단,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의 피치 DP는, 드레스리드 DL보다 작다.
[드레싱장치의 제2 예]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장치(100)의 제2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장치(100)의 구성의 제2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본 예에 관한 드레싱장치(100)는, 드레서(110) 대신에, 복수(3개)의 드레서(111~113)가 마련되는 점에서, 도 2에 나타내는 제1 예와 다르다.
이하, 도 2에 나타내는 드레싱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을 행한다.
드레서(111~113)는, 구동기구(120)에 의하여 일체로서, 좌우방향(도면 중의 X축의 정방향 및 부방향), 상하방향(도면 중의 Z축의 정방향 및 부방향)으로 이동구동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드레서(111~113)의 구체적인 배치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드레서(111~113)의 배치양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서(111~113)는, 좌우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된다.
드레서(112)는, 드레서(111)의 좌우위치(구체적으로는, 드레스홈을 생성하는 드레서(111)의 선단의 좌우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좌방향으로 거리 L1만큼 어긋나게 배치된다. 거리 L1은, 드레스리드 DL의 정수배(n배)와, 드레스리드 DL을 조수 Z(=3)로 나눈 값과의 가산값이다(L1=n·DL+DL/Z(n: 1 이상의 정수)). 이로써, 드레서(111~113)를 일체로서, 드레스리드 DL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드레서(112)로 생성되는 드레스홈은, 드레서(111)로 생성되는 드레스홈에 대하여, 지석(16)의 폭방향으로 DL/3만큼 어긋난다.
드레서(113)는, 드레서(111)의 좌우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좌방향으로 거리 L2만큼 어긋나게 배치된다. 거리 L2는, 드레스리드 DL의 정수배(m배)와, 드레스리드 DL의 배수를 조수 Z(=3)로 나눈 값과의 가산값이다(L2=m·DL+2DL/Z(m: n보다 큰 정수)). 이로써, 드레서(111~113)를 일체로서, 드레스리드 DL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드레서(113)로 생성되는 드레스홈은, 드레서(111)로 생성되는 드레스홈에 대하여, 지석(16)의 폭방향으로 2DL/3만큼 어긋난다.
다만, 지석(16)의 지립에 복수의 드레스홈을 절삭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드레스홈의 간격(피치)은, 통상적으로, 드레서(111~113)의 외형치수보다 충분히 작게 설정된다. 그 때문에, 도 6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서(111~113)를 단순하게 DL/3만큼 좌우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할 수는 없다.
[드레싱방법의 제2 예]
다음으로, 도 7(도 7a~도 7c), 도 8(도 8a~도 8c)을 참조하여, 도 5에 나타내는 드레싱장치(100)에 의한 드레싱방법(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의 제2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도 7c, 도 8a~도 8c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내는 드레싱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낸다.
본 예에 관한 드레싱장치(100)는, 드레서(111~113)(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하는 지석(16)에 접촉시키면서, 일체로서, 회전축(131)에 장착되는 지석(16)의 좌우단 사이에서 왕복이동시키는 공정(이하, "왕복공정"이라고 칭함)을 1회 행한다. 도 7a~도 7c 및 도 8a~도 8c는, 당해 왕복공정 중의 왕로 및 귀로에 있어서의 드레스홈의 생성양태를 나타내는 지석(16)의 외주면(지석작업면)의 전개도이다.
다만, 도 7b 및 도 7c에서는, 각각, 다른 드레서로 이미 생성된 드레스홈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드레서(112) 및 드레서(113)로 생성되는 드레스홈(202) 및 드레스홈(203)을 실선으로 나타낸다. 또, 도 8b 및 도 8c에서는, 각각, 다른 드레서로 이미 생성된 드레스홈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드레서(112) 및 드레서(111)로 생성되는 드레스홈(212) 및 드레스홈(213)을 실선으로 나타낸다. 또, 본 예에 있어서의 왕복공정은, 드레서(111~113)를 일체로서 지석(16)의 좌단으로부터 우단으로 이동시키고, 계속해서, 우단으로부터 좌단으로 이동시키는 흐름으로 행해진다. 또, 본 예에 있어서, 드레스리드 DL은, 도 3a~도 3c의 일례와 마찬가지로, 지석(16)의 폭 W의 1/2이다(즉, 드레스리드 DL=W/2). 또, 본 예에서는, n≥2 또한 m≥4를 전제로 한다.
왕복공정 중의 왕로에서는, 컨트롤러(150)는, 드레서(111~113) 중 제일 우측에 있는 드레서(111)가 각도위치 "0°"에서 지석(16)의 좌단위치(좌표값 "0")에 접촉을 개시하고, 드레서(111~113)가 일체로서, 우방향으로 드레스리드 DL(=W/2)로 이동하도록, 구동기구(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50)는, 구동기구(120)를 제어하여, 드레서(111~113) 중 제일 좌측에 있는 드레서(113)를 우단위치(좌표값 "W")까지 이동시킨다.
왕로에서는, 먼저,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서(111)가 드레스홈(201)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드레서(111)는, 드레스리드 DL(=W/2)로 우방향(도 7a의 상방향)으로 보내짐으로써, 지석(16)의 좌단의 각도위치 "0°"를 시점으로 하고, 지석(16)의 우단의 각도위치 "360°"(="0°")를 종점으로 하는 나선상의 드레스홈(201)을 지석(16)의 외주면에 생성한다(도면 중, 흰색 화살표 참조).
계속해서,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서(112)가 드레스홈(202)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드레서(112)는, 드레스리드 DL(=W/2)로 우방향(도 7b의 상방향)으로 보내짐으로써, 지석(16)의 좌단의 각도위치 "120°"를 시점으로 하고, 지석(16)의 우단의 각도위치 "120°"(="0°")를 종점으로 하는 나선상의 드레스홈(202)을 지석(16)의 외주면에 생성한다(도면 중, 흰색 화살표 참조).
계속해서,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서(113)가 드레스홈(203)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드레서(113)는, 드레스리드 DL(=W/2)로 우방향(도 7c의 상방향)으로 보내짐으로써, 지석(16)의 좌단의 각도위치 "240°"를 시점으로 하고, 지석(16)의 우단의 각도위치 "240°"(="0°")를 종점으로 하는 나선상의 드레스홈(203)을 지석(16)의 외주면에 생성한다(도면 중, 흰색 화살표 참조).
또, 왕복공정 중의 귀로에서는, 컨트롤러(150)는, 드레서(111~113) 중 제일 좌측에 있는 드레서(113)가 각도위치 "0°"에서 지석(16)의 우단위치(좌표값 "W")에 접촉을 개시하고, 드레서(111~113)가 일체로서, 좌방향으로 드레스리드 DL(=W/2)로 이동하도록, 구동기구(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50)는, 구동기구(120)를 제어하여, 드레서(111~113) 중 제일 우측에 있는 드레서(111)를 좌단위치(좌표값 "0")까지 이동시킨다.
귀로에서는, 먼저,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서(113)가 드레스홈(211)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드레서(113)는, 드레스리드 DL(=W/2)로 좌방향(도 8a의 하방향)으로 보내짐으로써, 지석(16)의 우단의 각도위치 "0°"를 시점으로 하고, 지석(16)의 좌단의 각도위치 "360°"(="0°")를 종점으로 하는 나선상의 드레스홈(211)을 지석(16)의 외주면에 생성한다(도면 중, 검정색 화살표 참조).
계속해서,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서(112)가 드레스홈(212)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드레서(112)는, 드레스리드 DL(=W/2)로 좌방향(도 8b의 하방향)으로 보내짐으로써, 지석(16)의 우단의 각도위치 "120°"를 시점으로 하고, 지석(16)의 좌단의 각도위치 "120°"를 종점으로 하는 나선상의 드레스홈(212)을 지석(16)의 외주면에 생성한다(도면 중, 검정색 화살표 참조).
계속해서,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서(111)가 드레스홈(213)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드레서(111)는, 드레스리드 DL(=W/2)로 좌방향(도 8c의 하방향)으로 보내짐으로써, 지석(16)의 우단의 각도위치 "240°"를 시점으로 하고, 지석(16)의 좌단의 각도위치 "240°"를 종점으로 하는 나선상의 드레스홈(213)을 지석(16)의 외주면에 생성한다(도면 중, 검정색 화살표 참조).
다만, 본 예에서는, 귀로에서, 드레서(113, 112, 111)가, 드레스홈(211, 212, 213)을 순서대로 생성하지만, 당해 양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드레서(113)가 드레스홈(213)을 생성하고, 드레서(112)가 드레스홈(211)을 생성하며, 드레서(111)가 드레스홈(212)을 생성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드레서(113)가 드레스홈(212)을 생성하고, 드레서(112)가 드레스홈(213)을 생성하며, 드레서(111)가 드레스홈(211)을 생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예에 관한 드레싱방법(즉, 도 5에 나타내는 드레싱장치(100))에 의하여 도 4b와 동일한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3조의 드레스홈(201~203), 및 3조의 드레스홈(211~213))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본 예에 관한 드레싱방법(즉, 도 5에 나타내는 드레싱장치(100))에 의하면, 복수의 드레서를 일체로서 좌우방향으로 일 왕복시키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보다 짧은 시간에,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 나타내는 드레싱장치(100)에서는, 3개의 드레서(111~113)를 마련하지만, 4개 이상의 드레서를 마련함으로써, 4조 이상의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을 생성해도 된다. 또, 드레서(111~113)를 일체로서 좌우방향으로 복수 회 왕복시킴으로써, 4조 이상의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을 생성해도 된다.
[드레싱장치의 제3 예]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장치(100)의 제3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장치(100)의 구성의 제3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본 예에 관한 드레싱장치(100)는, 도 5에 나타내는 제2 예와 동일하게, 드레서(110) 대신에, 복수(3개)의 드레서(111~113)가 마련되는 점에서, 도 2에 나타내는 제1 예와 다르다.
또, 본 예에 관한 드레싱장치(100)는, 드레서(111~113)의 각각이, 좌우방향을 따른 회전축을 갖는 회전체(115)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다른 각도위치(둘레방향의 위치)에 배치되는 점에서, 도 2에 나타내는 제1 예, 및 도 5에 나타내는 제2 예와 다르다.
또, 본 예에 관한 드레싱장치(100)는, 회전체(115)의 회전위치를 검출하는 회전위치검출장치(125)가 더 마련되는 점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내는 제1 예, 및 도 5에 나타내는 제2 예와 다르다.
이하, 도 2, 도 5에 나타내는 드레싱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을 행한다.
드레서(111~113)는, 좌우방향을 따른 회전축을 갖는 회전체(115)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이하, 도 10(도 10a, 도 10b)을 참조하여, 드레서(111~113)의 구체적인 배치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a, 도 10b는, 드레서(111~113)의 배치양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a는, 회전체(115)를 좌방향에서 본 도이며, 도 10b는, 회전체(115)를 정면에서 본 도이다.
다만, 도 10b에 있어서, 드레서(113)는, 회전체(115)의 그늘에 들어가기 때문에, 점선으로 나타내어진다.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서(111~113)는, 회전체(115)의 외주면의 다른 각도위치(둘레방향의 위치)에 배치된다.
또,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서(111~113)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DL/Z(본 예에서는, 조수 Z=3)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드레서(111)의 좌우위치를 기준으로서, 드레서(112)는, 좌방향으로 DL/Z만큼 어긋나게 배치되고, 드레서(113)는, 좌방향으로 2DL/Z만큼 어긋나게 배치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체(115)는, 지석(16)의 회전속도에 대하여, 충분히 고속의 회전속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도 10b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하는 지석(16)측에서 보면, 드레서(111~113)가 좌우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는 상태와 동일시할 수 있다.
도 9로 되돌아와, 구동기구(120)는, 예를 들면, 추가의 서보모터를 구비하고, 회전체(115)를 회전구동한다. 구동기구(120)는, 회전기구(130)에 의한 지석(16)의 회전속도보다 충분히 고속의 회전속도(바람직하게는, 회전기구(130)에 의한 지석(16)의 회전속도의 10배 이상)로 회전체(115)를 회전시킨다. 또, 구동기구(120)는, 드레서(111~113)가 마련되는 회전체(115)를, 좌우방향(도면 중의 X축의 정방향 및 부방향), 상하방향(도면 중의 Z축의 정방향 및 부방향)으로 이동구동한다.
회전위치검출장치(125)는, 예를 들면, 로터리인코더이며, 회전체(115)의 지석(16)의 회전위치(각도위치)를 검출한다. 회전위치검출장치(125)는, 컨트롤러(15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검출된 회전체(115)의 각도위치에 대응하는 검출신호는, 컨트롤러(150)에 송신된다.
컨트롤러(150)는, 구동기구(120)에 제어지령을 송신하여, 구동기구(120)에 의하여 상하좌우로 이동구동되는 드레서(111~113)를 포함하는 회전체(115)의 좌우위치 및 상하위치를 제어한다. 또, 컨트롤러(150)는, 회전위치검출장치(125)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회전체(115)가 지석(16)의 회전속도에 대하여 충분히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인 것을 확인하면서, 구동기구(120)의 제어를 행한다.
[드레싱방법의 제3 예]
다음으로, 도 11(도 11a~도 11c)을 참조하여, 도 9에 나타내는 드레싱장치(100)에 의한 드레싱방법(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의 제3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a~도 11c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의 제3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내는 드레싱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낸다.
본 예에 관한 드레싱장치(100)는, 드레서(111~113)(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하는 지석(16)에 접촉시키면서, 일체로서, 회전축(131)에 장착되는 지석(16)의 좌우단 사이에서 왕복이동시키는 공정(이하, "왕복공정"이라고 칭함)을 1회 행한다. 도 11a~도 11c는, 당해 왕복공정 중의 왕로에 있어서의 드레스홈의 생성양태를 나타내는 지석(16)의 외주면(지석작업면)의 전개도이다.
왕복공정 중의 왕로에서는, 컨트롤러(150)는, 드레서(111~113) 중 제일 우측에 있는 드레서(111)가 각도위치 "0°"에서 지석(16)의 좌단위치(좌표값 "0")에 접촉을 개시하고, 드레서(111~113)가 일체로서, 우방향으로 드레스리드 DL(=W/2)로 이동하도록, 구동기구(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50)는, 구동기구(120)를 제어하여, 드레서(111~113) 중 제일 좌측에 있는 드레서(113)를 우단위치(좌표값 "W")까지 이동시킨다.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드레서(111)가 드레스홈(201)의 생성을 개시한다. 그 후, 지석(16)이 120° 회전하면,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서(112)가 드레스홈(202)의 생성을 개시한다. 그 후, 또한, 지석(16)이 120° 회전하면,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서(113)가 드레스홈(203)의 생성을 개시한다. 그 후, 드레서(111)가 드레스홈(201)의 생성을 종료할 때까지, 즉, 드레서(111)가 지석(16)의 우단위치(좌표값 "W")에 도달할 때까지, 드레서(111~113)는, 드레스홈(201~203)을 동시에 생성한다. 그리고, 드레서(111)가 드레스홈(201)의 생성을 종료한 후, 지석(16)이 120° 회전하면, 드레서(112)가 드레스홈(202)의 생성을 종료하고, 지석(16)이 추가로 120° 회전하면, 드레서(113)가 드레스홈(203)의 생성을 종료하여, 3조의 드레스홈(201~203)이 완성된다.
또, 왕복공정 중의 귀로에서는, 컨트롤러(150)는, 드레서(111~113) 중 제일 좌측에 있는 드레서(113)가 각도위치 "0°"에서 지석(16)의 우단위치(좌표값 "W")에 접촉을 개시하고, 드레서(111~113)가 일체로서, 좌방향으로 드레스리드 DL(=W/2)로 이동하도록, 구동기구(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50)는, 구동기구(120)를 제어하여, 드레서(111~113) 중 제일 우측에 있는 드레서(111)를 좌단위치(좌표값 "0")까지 이동시킨다.
도시하지 않지만, 귀로에 대해서도, 도 11a~도 11c에 나타내는 왕로와 같이, 드레서(111~113)가 드레스홈(211~213)을 동시에 생성하는 양태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드레서(113)가 드레스홈(211)의 생성을 개시한다. 그 후, 지석(16)이 120° 회전하면, 드레서(112)가 드레스홈(212)의 생성을 개시한다. 그 후, 또한, 지석(16)이 120° 회전하면, 드레서(111)가 드레스홈(213)의 생성을 개시한다. 그 후, 드레서(113)가 드레스홈(211)의 생성을 종료할 때까지, 즉, 드레서(113)가 지석(16)의 좌단위치(좌표값 "0")에 도달할 때까지, 드레서(111~113)는, 드레스홈(211~213)을 동시에 생성한다. 그리고, 드레서(113)가 드레스홈(211)의 생성을 종료한 후, 지석(16)이 120° 회전하면, 드레서(112)가 드레스홈(212)의 생성을 종료하고, 지석(16)이 추가로 120° 회전하면, 드레서(111)가 드레스홈(213)의 생성을 종료하여, 3조의 드레스홈(211~213)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본 예에 관한 드레싱방법(즉, 도 9에 나타내는 드레싱장치(100))에 의하여 도 4b와 동일한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3조의 드레스홈(201~203), 및 3조의 드레스홈(211~213))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본 예에 관한 드레싱방법(즉, 도 9에 나타내는 드레싱장치(100))에 의하면, 복수의 드레서가 마련되는 회전체를 좌우방향으로 일 왕복시키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보다 짧은 시간에,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본 예에 관한 드레싱방법(즉, 도 9에 나타내는 드레싱장치(100))에 의하면, 복수의 드레서가 회전체의 다른 각도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각 드레서의 좌우방향의 간격을 최소(즉, DL/Z)로 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드레서가 점유하는 좌우방향의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즉, 드레싱장치(100)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복수의 드레서(가 마련되는 회전체)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양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져, 더 짧은 시간에,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도 9에 나타내는 드레싱장치(100)에서는, 3개의 드레서(111~113)를 마련하지만, 4개 이상의 드레서를 회전체(115)의 다른 각도위치(둘레방향의 위치)에 마련함으로써, 4조 이상의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을 생성해도 된다. 또, 드레서(111~113)가 마련되는 회전체(115)를 좌우방향으로 복수 회 왕복시킴으로써, 4조 이상의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을 생성해도 된다.
[드레싱장치의 제4 예]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장치(100)의 제4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장치(100)의 구성의 제4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본 예에 관한 드레싱장치(100)는, 회전위치검출장치(140)가 생략되는 점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내는 제1 예와 다르다.
이하, 도 2에 나타내는 드레싱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을 행한다.
컨트롤러(150)는, 미리 설정되는 드레스스트로크 DS 및 드레스속도 V에 의하여, 드레서(110)에 의한 지석(16)의 드레싱작업이 행해지도록, 구동기구(12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150)는, 미리 설정되는 드레스스트로크 DS에 대응하는 위치에 드레서(110)를 배치시킴과 함께, 당해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되는 드레스속도 V로 드레싱작업에 대응하는 좌우방향의 왕복동작을 드레서(110)에 복수 회(즉, 지석(16)에 생성되는 드레스홈의 조수에 상당하는 회수만큼) 행하게 한다.
다만, 드레스속도 V는, 드레서(11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절대 속도이며, 지석(16)의 회전수에 의존하는 드레스리드 DL과는 다르다. 또, 드레스스트로크 DS는, 지석(16)의 드레싱작업에 있어서, 드레서(11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트로크양이다. 구체적으로는, 드레스스트로크 DS는, 지석(16)의 폭 W 이상으로 설정되고, 지석(16)에 접촉하기 전의 공주(空走)스트로크양에 지석(16)의 폭 W를 더한 값이다.
[드레싱방법의 제4 예]
다음으로, 도 13(도 13a, 도 13b)을 참조하여, 도 12에 나타내는 드레싱장치(100)에 의한 드레싱방법(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의 제4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a, 도 13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의 제4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3a는, 도 12에 나타내는 드레싱장치(100)에 의한 지석(16)의 드레싱작업에 있어서의 드레서(11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또, 도 13b는, 도 12에 나타내는 드레싱장치(100)에 의한 지석(16)의 드레싱작업에 있어서의 각 공정(조주(助走)공정 S0, 드레싱공정 S1, 공주공정 S2)의 흐름을 나타내는 이미지도이다.
본 예에 관한 드레싱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석(16)의 회전위치검출장치(140)가 생략되기 때문에, 컨트롤러(150)는, 드레서(110)의 동작을 지석(16)의 회전동작에 동기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드레서(110)를 단순하게 좌우방향으로 왕복시키는 것만으로, 도 4b와 동일한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을 생성할 수 있도록, 드레스속도 V, 드레스스트로크 DS, 및 지석의 회전속도 ω를 미리 조정해 둔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을 행한다.
다만, 본 예에서는, 드레스스트로크 DS 및 드레스속도 V에는, 디폴트값 DSd, Vd가 마련되는 전제에서 설명을 행한다. 마찬가지로, 지석(16)의 회전속도 ω에는, 디폴트값 ωd가 마련되는 전제에서 설명을 행한다.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서(110)는, 컨트롤러(150)에 의하여 제어되는 구동기구(120)에서 구동되고, 드레스스트로크 DS에 대응하는 위치, 즉, 지석(16)의 폭방향의 일단(도면 중의 좌단)으로부터 타단(도면 중의 우단)을 향하여 드레스스트로크 DS만큼 떨어진 위치(초기위치)를 기준으로서, 좌우방향으로 왕복함으로써, 지석(16)에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드레서(110)는, 컨트롤러(150)에 의한 구동기구(120)의 제어하에, 초기위치(도면 중의 실선 혹은 일점쇄선의 드레서(110) 참조)로부터 지석(16)을 향하여 드레스속도 V로 이동하고, 지석(16)의 일단(좌단)에 도달하면(도면 중의 점선의 드레서(110) 참조), 리턴하여, 초기위치까지 드레스속도 V로 이동하는 왕복공정을 복수 회(즉, 한 쌍의 드레스홈의 조수분만큼) 행한다.
이때,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서(110)의 이동공정에는, 초기위치로부터 지석(16)에 접촉하기 전의 조주공정 S0, 지석(16)의 연삭작업면(외주면)에 접촉하면서 폭방향으로 왕복하는 드레싱공정 S1, 지석(16)의 일단(우단)으로부터 초기위치로 되돌아가, 초기위치로부터 재차 리턴하여, 지석(16)의 일단(우단)에 도달할 때까지의 공주공정 S2가 포함된다. 드레서(110)는, 최초의 조주공정 S0 이후는, 드레싱공정 S1과 공주공정 S2로 구성되는 왕복공정을 반복하면서,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조수 Z의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을 생성시키는 경우, 2회째 이후의 왕복공정에서 생성되는 드레스홈은, 하나 전의 왕복공정에서 생성된 드레스홈에 대하여, 2π/Z[rad] 즉, 다조드레스홈의 둘레방향피치 θ만큼 위상을 어긋나게 할 필요가 있다. 즉, 어느 회의 왕복공정에서, 지석(16)에 접촉개시하는 각도위치는, 전회의 왕복공정의 최초로 지석(16)에 접촉개시한 각도위치로부터 다조드레스홈의 둘레방향피치 θ만큼 어긋나 있을 필요가 있다. 이하, 어느 회의 왕복공정에서, 지석(16)에 접촉개시하는 각도위치와, 전회의 왕복공정의 최초로 지석(16)에 접촉개시한 각도위치의 차, 즉, 왕복공정에 의하여 발생하는 지석(16)의 둘레방향의 1회전(2π[rad]) 환산의 위상의 차를 왕복공정에 의하여 발생하는 위상차 φ로 칭한다.
왕복공정에 의하여 발생하는 위상차 φ[rad]는, 왕복공정의 사이의 지석(16)의 회전수 N을 이용하여, 이하의 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φ={N-int(N)}·2π …(1)
다만, int(N)는, 회전수 N의 정수부분을 나타낸다.
왕복공정의 사이에서의 지석(16)의 회전수 N은, 지석(16)의 회전속도 ω와 왕복공정의 소요시간 T를 이용하여, 이하의 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N=ωT …(2)
또, 왕복공정의 소요시간 T는, 드레스속도 V, 드레스스트로크 DS를 이용하여, 이하의 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T=2 DS/V …(3)
따라서, 왕복공정의 사이에서의 지석(16)의 회전수 N은, 식 (2), (3)으로부터 지석(16)의 회전속도 ω, 드레스속도 V, 드레스스트로크 DS를 이용하여, 이하의 식 (4)로 나타낼 수 있다.
N=2ω·DS/V …(4)
식 (1), (4)에 의하면, 왕복공정에 의하여 발생하는 위상차 φ는, 지석(16)의 회전속도 ω, 드레스속도 V, 드레스스트로크 DS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즉, 지석(16)의 회전속도 ω, 드레스속도 V, 드레스스트로크 DS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함으로써, 위상차 φ를 조정할 수 있다.
만일, 지석(16)의 회전속도 ω, 드레스속도 V, 드레스스트로크 DS가 디폴트값 Vd, DSd, ωd인 상태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위상차 φ가 다조드레스홈의 둘레방향피치 θ(=2π/Z)에 동일한 경우, 컨트롤러(150)는, 그 디폴트상태인 채, 드레서(110)에 왕복공정(즉, 도 13b 중의 드레싱공정 S1 및 실선의 공주공정 S2)을 조수 Z만큼 행하게 함으로써,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왕복공정에 의하여 발생하는 위상차 φ와 다조드레스홈의 둘레방향피치 θ의 사이에 차가 있는 경우, 왕복공정에 의하여 발생하는 위상차 φ와 다조드레스홈의 둘레방향피치 θ가 동일해지도록, 지석(16)의 회전속도 ω, 드레스속도 V, 드레스스트로크 DS 중 적어도 하나를 디폴트값 Vd, DSd, ωd로부터 변경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드레스스트로크 DS를, 위상차 φ로부터 둘레방향피치 θ를 줄인 위상차보정량 Δφ(=φ-θ)에 상당하는 드레스스트로크환산보정량 ΔX(도 13a, 도 13b참조)만큼 변화시킴으로써, 위상차 φ와 다조드레스홈의 둘레방향피치 θ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드레스스트로크환산보정량 ΔX는, 드레스속도 V, 지석(16)의 회전속도 ω를 이용하여, 이하의 식 (5)로 나타내어진다.
ΔX=(V/2ω)·Δφ …(5)
따라서, 드레스스트로크 DS를 디폴트값 DSd에 드레스스트로크환산보정량 ΔX를 더한 값(보정드레스스트로크값 DSc)으로 설정변경함으로써, 컨트롤러(150)는, 단순하게, 드레스스트로크 DS(=DSc)에 대응하는 초기위치(도 13a 중의 일점쇄선의 드레서(110) 참조)로부터 드레스속도 V(=Vd)로, 드레서(110)에 왕복공정(즉, 도 13b 중의 드레싱공정 S1 및 점선의 공주공정 S2)을 행하게 하는 것만으로, 지석(16)에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본 예에서는, 드레스스트로크 DS를 디폴트값 DSd로부터 변경시켰지만, 드레스속도 V나 지석(16)의 회전속도 ω를 디폴트값 Vd, ωd로부터 변경시킴으로써, 위상차 φ와 다조드레스홈의 둘레방향피치 θ를 동일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 공주공정 S2에 있어서, 위상차보정량 Δφ에 상당하는 시간만큼 드레서(110)의 동작을 일단정지시킴으로써, 위상차 φ와 다조드레스홈의 둘레방향피치 θ를 동일해지도록 해도 된다. 즉, 공주공정 S2에 있어서, 위상차보정량 Δφ에 상당하는 드웰시간을 마련해도 된다. 또, 본 예에서는, 디폴트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드레스스트로크 DS 등을 변경하지만, 소정범위 내에서, 위상차 φ와 다조드레스홈의 둘레방향피치 θ가 동일해지도록, 적절히, 지석(16)의 회전속도 ω, 드레스속도 V, 드레스스트로크 DS를 조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예에서는, 왕복공정에 의하여 발생하는 위상차 φ와 다조드레스홈의 둘레방향피치 θ(=2π/Z)가 동일해지도록, 지석(16)의 회전속도 ω, 드레스속도 V, 드레스스트로크 DS를 미리 설정해 둔다. 이로써, 컨트롤러(150)는, 회전위치검출장치(140)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을 생성할 수 있다.
[드레싱방법의 제5 예]
다음으로, 도 14(도 14a~도 14c)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장치(100)에 의한 드레싱방법의 제5 예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본 예에서는, 상술한 드레싱방법의 제1 예~제4 예와 동일하게, 드레싱장치(100)에 의하여 지석(16)의 연삭작업면에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을 생성시킴과 함께, 생성된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을 트레이스하는 양태에서, 동일한 드레싱작업을 1회 이상 행하게 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장치(100)의 제1 예~제3 예의 경우, 컨트롤러(150)는, 회전위치검출장치(140)의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지석(16)의 각도위치와, 드레서(110)의 좌우위치(지석(16)의 폭방향의 접촉위치)를 적절히 동기시킴으로써, 1회째의 드레싱작업에서 생성된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을 트레이스하는 양태에서, 드레서(110)에 2회째 이후의 드레싱작업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상술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4 예에 관한 드레싱장치(100)의 경우, 위상차 φ와 다조드레스홈의 둘레방향피치 θ가 동일해지도록 미리 지석(16)의 회전속도 ω, 드레스속도 V, 드레스스트로크 DS를 미리 설정해 두면 된다. 이로써, 컨트롤러(150)는, 단순하게, 드레스스트로크 DS에 대응하는 초기위치로부터 드레스속도 V로, 드레서(110)에 왕복공정을 행하게 하는 것만으로, 1회째의 드레싱작업에서 생성된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을 트레이스하는 양태에서, 드레서(110)에 2회째 이후의 드레싱작업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도 14a~도 14c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장치(100)에 의한 드레싱방법의 제4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4a~도 14c는, 1회째의 드레싱작업에서 생성된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을, 2회째 이후의 드레싱작업에서, 트레이스하는 양태에서 추가로 드레싱작업이 행해짐으로써 형성되는 드레스홈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4a는, 1회째의 드레싱작업에 의하여 생성되는 드레스홈의 깊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고, 도 14b는, 2회째의 드레싱작업 후의 드레스홈의 깊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며, 도 14c는, N(≥3)회째의 드레싱작업 후의 드레스홈의 깊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예를 들면,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회째의 드레싱작업에서는, 지석(16)의 연삭작업면과 드레서(110)와의 접촉깊이(절삭량)를 비교적 작은 값(예를 들면, 10μm 정도, 바람직하게는, 10μm 미만)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얕은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이 생성된다. 단번에 비교적 깊은 홈을 생성시키고자 1회의 드레싱작업에 있어서의 절삭량을 비교적 크게 하면, 지립이 부서지는 현상(파쇄현상)이나, 결합제가 절삭력을 견디지 못하고 지립마다 탈락하는 현상(탈락현상) 등이 발생해 버려, 깊은 드레스홈이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14b,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회째의 드레싱작업에서 생성된 드레스홈을 트레이스하도록 2회째 이후의 드레싱작업이 행해진다. 2회째의 드레싱작업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파쇄현상이나 탈락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지석(16)의 연삭작업면에 대한 드레서(110)의 절삭량은 비교적 작게 설정된다. 이로써, 지석(16)의 한 쌍의 드레스홈의 각각의 깊이가 드레싱작업을 거듭할 수록, 서서히 깊어진다.
이와 같이, 본 예에서는, 생성된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을 트레이스하는 양태에서, 추가로, 드레싱작업을 행함으로써, 파쇄현상이나 탈락현상 등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깊은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회의 드레싱작업에서는, 통상적으로 10μm 미만의 깊이, 최대로도 20μm~30μm 정도의 깊이의 드레스홈밖에 생성될 수 없지만, 본 예에 의하면, 100μm를 초과하는 매우 깊은 드레스홈을 생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의 드레싱방법에 의하여 드레싱작업이 행해진 지석(16)은, 매우 깊은 홈을 갖기 때문에, 연삭분(硏削粉)을 깊은 드레스홈을 경유하여 지석의 외부에 배출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지석(16)의 막힘의 발생을 억제하고, 드레싱작업을 행하는 인터벌(즉, 드레싱작업으로부터 다음의 드레싱작업까지의 사이의 기간)을 비교적 길게 취할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이 형성된 지석을 이용한 가공방법]
다음으로, 도 15, 도 16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방법에 의하여 한 쌍의 다조드레스홈이 생성된 지석(16)을 이용한 피삭재(12)의 가공방법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장치(100)에 의하여 드레싱작업이 행해진 지석(16)을 이용한 가공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싱장치(100)에 의하여 드레싱작업이 행해진 지석(16)을 장착한 평면연삭반(1)을 이용하여, 피삭재(12)의 표면에 주기적인 오목부를 형성시키는 상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만, 본 예에서는, 지석(16)에 한 쌍의 4조드레스홈(조수 Z=4)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테이블(10)이 X방향(도면 중의 좌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피삭재(12)가 X방향으로 보내지고, 피삭재(12)의 표면이 회전하는 지석(16)에 의하여 연삭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석(16)의 연삭작업면에는, 둘레방향에 조수 Z의 2배의 드레스산(본 예의 경우, 조수 4의 2배의 8개의 드레스산)(16A)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피삭재(12)의 표면(피연삭면)에는, 미시적으로 보았을 때에, 지석(16)이 1회전하는 동안에 피삭재(12)가 X방향으로 보내지는 거리(즉, 가동테이블(10)의 이동거리) L의 사이에, 지석(16)의 외주에 형성되는 2·Z(=8)의 드레스산(16A)에 대응하는 2·Z의 연속하는 오목부(12A)가 형성된다.
평면연삭반(1)의 제어장치(20)는, 가동테이블(10)의 X방향의 위치와, 지석(16)의 각도위치를 동기시키면서, 가동테이블(10)을 반복하여 왕복시킴으로써, 지석(16)의 드레스산(16A)에, 피삭재(12)에 형성된 주기적인 오목부(12A)의 부분을 반복하여 연삭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평면연삭반(1)을 이용하여, 비교적 큰 깊이(예를 들면, 수십 μm~수백 μm의 깊이)를 갖는 이송방향으로 연속하는 주기적인 오목부(12A)를 피삭재(12)에 형성시킬 수 있다.
지석(16)의 1회전당 가동테이블(10)의 이동거리 L은, 가동테이블(10)의 이동속도 Vt, 지석(16)의 회전속도 ωg를 이용하여, 이하의 식 (6)으로 나타내어진다.
L=Vt/ωg …(6)
또, 피삭재(12)에 형성되는 주기적인 오목부(12A)의 이송방향, 즉 X방향의 피치 p는, 이하의 식 (7)로 나타내어진다.
p=L/2Z …(7)
예를 들면, 가동테이블(10)의 이동속도 Vt 및 지석(16)의 회전속도 ωg를 이하의 식 (8), (9)의 조건으로 했을 때, 지석(16)의 1회전당 가동테이블(10)의 이동거리 L은, 이하의 식 (10)과 같이 계산된다.
Vt=40[m/min] …(8)
ωg=1000[rpm] …(9)
L=0.04[m] …(10)
따라서, 피삭재(12)에 형성되는 주기적인 오목부(12A)의 피치 p는, 조수 Z=4의 경우, 이하의 식 (11)과 같이 계산된다.
p=0.04/2·4=0.005[m]=5[mm] …(11).
동일하게, 예를 들면, 지석(16)에 10조의 한 쌍의 드레스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즉, 조수 Z=10의 경우, 피치 p는, 더 짧아져, 2[mm]이다. 또, 예를 들면, 지석(16)에 2조의 한 쌍의 드레스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즉, 조수 Z=2의 경우에서도, 피치 p는, 10[mm]이다.
이와 같이, 본 예에 의한 가공방법, 즉, 지석(16)의 드레스산과 피삭재(12)의 표면에 형성되는 오목부(12A)를 동기시키면서, 지석(16)의 드레스산에서 피삭재(12)의 오목부(12A)의 부분을 반복하여 연삭함으로써, 비교적 큰 깊이(예를 들면, 10μm 이하의 범위에서, 바람직하게는, 수십 μm~수백 μm의 깊이)를 가짐과 함께, 비교적 작은 미소한 피치 p, 즉, 피트길이(예를 들면, 10mm 이하의 범위에서, 바람직하게는, 5mm 이하)를 갖는, 주기적으로 연속하는 오목부(12A)를 피삭재(12)의 피연삭면에 형성시킬 수 있다.
본 예에 의한 가공방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주기적으로 연속하는 오목부(12A)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트길이가 미소하고, 또한, 깊이도 비교적 크기 때문에, 공작기계의 동압(動壓)미끄럼안내면(슬라이딩면)에 있어서의 윤활유의 오일저장부로서 이용하는 데에 적합하다.
예를 들면, 도 16은, 도 15에 나타내는 가공방법에 의하여 생성되는 복수의 오목부(12A)를 적용 가능한 슬라이딩면(동압미끄럼안내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은, 평면연삭반(1)에 있어서의 가동테이블(10)의 상세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X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테이블(10)은, 가동테이블본체(10A)와, 가동테이블본체의 하면의 Y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마련되는 피안내각부(10B)를 포함한다.
피안내각부(10B)는, 평면연삭반(1)에 마련되는 고정부로서의 안내레일(14)의 상에 배치되어 있다.
피안내각부(10B)의 하면, 즉, 슬라이딩면(10BS)은, 가동테이블(10)의 X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에 수반하여, 안내레일(14)의 안내레일면(14S)(고정면의 일례)과 슬라이딩한다. 즉, 피안내각부(10B)의 슬라이딩면(10BS)은, 동압미끄럼안내면에 상당한다. 그 때문에, 도 15에 나타내는 가공방법을 피안내각부(10B)의 슬라이딩면(10BS)에 적용함으로써, 가동테이블(10)의 이동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비교적 큰 깊이 및 비교적 작은 미소한 피트길이의 복수의 오목부(12A)를 마련할 수 있다. 이로써, 가동테이블(10)의 정지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딩면(10BS)과 안내레일면(14S)의 사이의 정지마찰력이 높아져, 위치결정 등의 정밀도가 악화되는 경향이 있는바, 복수의 오목부(12A)를 오일저장부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저항을 저감하여,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통상적으로, 동압미끄럼안내면에 있어서의 오일저장부의 형성에는, 수작업에 의한 스크레이핑 등의 가공을 할 필요가 있어, 매우 가공효율이 낮아지지만, 평면연삭반(1)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복수의 오목부(12A)를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공효율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원통연삭반의 구성]
다음으로, 도 17, 18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삭반의 다른 예로서 원통연삭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원통연삭반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다만, 도면 중, X방향 및 Y방향은, 수평 방향을 나타내고, Z방향은, X방향 및 Y방향에 직교하는 높이방향을 나타낸다. 또, 도면 중, θ1방향은, 지석(16)의 회전방향을 나타내고, θ2방향은, 피삭재(52)의 회전방향을 나타낸다.
본 예에 관한 원통연삭반은, 판상의 피삭재(12) 대신에, 원통상의 피삭재(52)에, 회전하는 지석(16)을 닿게 하고, 그 외주면을 연삭하는 점에서, 도 1에 나타내는 평면연삭반(1)과 다르다.
이하, 도 1에 나타내는 평면연삭반(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을 행한다.
원통연삭반은, 양단부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피삭재(52)를 θ2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지석(16)을 θ1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피삭재(52)의 외주면을 지석(16)에 의하여 연삭한다.
본 예에 있어서도, 도 1에 나타내는 평면연삭반(1)과 동일한 구성의 지석(16)을 구비하기 때문에, 피삭재(52)의 표면의 굴곡이나 채터링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8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원통연삭반의 구성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다만, 도면 중, X방향 및 Y방향은, 수평 방향을 나타내고, Z방향은, X방향 및 Y방향에 직교하는 높이방향을 나타낸다. 또, 도면 중, θ1방향은, 지석(16)의 회전방향을 나타내고, θ2방향은, 피삭재(52)의 회전방향을 나타내며, θ3 방향은, 조정차(67)의 회전방향을 나타낸다.
본 예에 관한 원통연삭반은, 지석(16), 조정차(67), 지지날(68)을 구비하고, 조정차(67) 및 지지날(68)에 의하여 원통상의 피삭재(52)를 회전지지하면서, 지석(16) 및 조정차(67) 사이에 피삭재(52)를 끼우고, 피삭재(52)의 외주면을 연삭하는 점에서, 도 17에 나타내는 예와 다르다.
이하, 도 17에 나타내는 원통연삭반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을 행한다.
조정차(67)는, 원주형상을 갖고, 그 중심축이 Y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조정차(67)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서보모터 등을 구동력원으로 하여, 예를 들면 θ3방향으로 회전한다.
지지날(68)은, 피삭재(52)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한다. 지지날(68)은, 지석(16)과 조정차(67)의 사이의 피삭재(52)의 배치영역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 있어서도, 도 1에 나타내는 평면연삭반(1)과 동일한 구성의 지석(16)을 구비하기 때문에, 피삭재(52)의 표면의 굴곡이나 채터링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내면연삭반의 구성]
다음으로, 도 19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삭반의 또 다른 예로서 내면연삭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내면연삭반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다만, 도면 중, X방향 및 Y방향은, 수평 방향을 나타내고, Z방향은, X방향 및 Y방향에 직교하는 높이방향을 나타낸다. 또, 도면 중, θ1방향은, 지석(16)의 회전방향을 나타내고, θ2방향은, 피삭재(72)의 회전방향을 나타낸다.
본 예에 관한 내면연삭반은, 지석(16), 지석회전축(77)을 구비하고, 원통형상의 피삭재(72)의 내주면에, 지석회전축(77)과 함께 회전하는 지석(16)을 닿게 하고, 피삭재(72)의 내주면을 연삭하는 점에서, 도 1에 나타내는 평면연삭반(1)과 다르다.
이하, 도 1에 나타내는 평면연삭반(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을 행한다.
내면연삭반은, 마그넷 등에 의하여 Y방향을 회전축으로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피삭재(72)를 θ2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지석(16)을 θ1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피삭재(72)의 내주면을 지석(16)에 의하여 연삭한다.
본 예에 있어서도, 도 1에 나타내는 평면연삭반(1)과 동일한 구성의 지석(16)을 구비하기 때문에, 피삭재(72)의 표면의 굴곡이나 채터링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본 국제출원은, 2017년 5월 16일에 출원한 대만 특허출원 제106116131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당해 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1 평면연삭반
10 가동테이블
10A 가동테이블본체
10B 피안내각부
10BS 슬라이딩면
12 피삭재
14 안내레일
14S 안내레일면(고정면)
15 지석헤드
16 지석
18 안내레일
20 제어장치
40 표시장치
100 드레싱장치
110, 111, 112, 113 드레서
115 회전체
120 구동기구
125 회전위치검출장치
130 회전기구
131 회전축
140 회전위치검출장치
150 컨트롤러
201~203 드레스홈(제1 나선홈)
211~213 드레스홈(제2 나선홈)

Claims (6)

  1. 연삭반에 이용되는 지석으로서,
    외주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 나선홈과,
    상기 외주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 나선홈으로서, 상기 복수의 제1 나선홈의 각각과 교차하는 복수의 제2 나선홈을 구비하는,
    지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나선홈의 각각, 및 상기 복수의 제2 나선홈의 각각은, 평행이며,
    각 상기 복수의 제1 나선홈 및 각 상기 복수의 제2 나선홈의 상기 외주면의 1주당 폭방향의 이동량은, 0.1mm 이상이고,
    상기 외주면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제1 나선홈 중 인접하는 2개 및 상기 복수의 제2 나선홈 중 인접하는 2개의 간격은, 0.5mm 이하이며,
    상기 간격은, 상기 이동량보다 작은,
    지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선홈의 방향, 또는 상기 제2 나선홈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나선홈 중 어느 2개와 상기 복수의 제2 나선홈 중 어느 2개로 둘러싸이는 산이, 상기 외주면의 1주당 3개 이상 마련되는,
    지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선홈 및 상기 제2 나선홈은, 그 깊이가 적어도 10μm 이상인,
    지석.
  5. 제1항에 기재된 지석을 구비하는,
    연삭반.
  6. 제5항에 있어서,
    고정면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면을 갖는 가동테이블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면은, 상기 가동테이블의 이동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연속하는 양태로 형성되는, 10μm 이상의 깊이 및 10mm 이하의 길이의 복수의 오목부를 갖는,
    연삭반.
KR1020197036990A 2016-05-17 2017-11-17 드레싱방법, 드레싱장치, 지석 및 연삭반 KR102486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98879A JP2018027574A (ja) 2016-05-17 2016-05-17 砥石、平面研削盤
TW106116131 2017-05-16
TW106116131A TWI632027B (zh) 2016-05-17 2017-05-16 Grinding wheel, surface grinder
PCT/JP2017/041563 WO2018211722A1 (ja) 2016-05-17 2017-11-17 砥石、研削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885A true KR20200004885A (ko) 2020-01-14
KR102486869B1 KR102486869B1 (ko) 2023-01-10

Family

ID=61230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990A KR102486869B1 (ko) 2016-05-17 2017-11-17 드레싱방법, 드레싱장치, 지석 및 연삭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2018027574A (ko)
KR (1) KR102486869B1 (ko)
CN (1) CN110769979B (ko)
TW (1) TWI632027B (ko)
WO (1) WO20182117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3358B (zh) * 2022-01-19 2022-04-12 河北工业大学 一种工业机器人打磨工艺优化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586A (ja) * 1988-06-24 1990-01-12 Oodaka Seiko Kk 電着砥石
JPH10113878A (ja) * 1996-10-09 1998-05-06 Asahi Diamond Ind Co Ltd 超砥粒ホイ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5997597A (en) * 1998-02-24 1999-12-07 Norton Company Abrasive tool with knurled surface
JP2010069564A (ja) * 2008-09-18 2010-04-02 Sumitomo Heavy Ind Ltd 研削方法
JP2013184237A (ja) * 2012-03-06 2013-09-19 Sumitomo Heavy Ind Ltd 平面研削盤
JP2013226634A (ja) 2012-03-28 2013-11-07 Sumitomo Heavy Ind Ltd 平面研削盤
JP2014114869A (ja) * 2012-12-10 2014-06-26 Ebara Corp 磁気軸受装置、磁気軸受装置に起因する振動の低減方法
JP2016198875A (ja) * 2015-04-10 2016-12-01 株式会社岡本工作機械製作所 砥石車の砥石成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5203992U (zh) * 1985-09-25 1986-10-08 康济 多头螺旋砂轮
JPH0715725Y2 (ja) * 1992-05-08 1995-04-12 大阪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電着砥石
JPH079337A (ja) * 1993-06-23 1995-01-13 Hitachi Seiko Ltd 単石ドレッサを用いる研削砥石のドレッシング方法
JP2002361553A (ja) * 2001-06-06 2002-12-18 Nagase Integrex Co Ltd ドレッシング装置及びドレッシング方法
JP2005321048A (ja) * 2004-05-10 2005-11-17 Koyo Seiko Co Ltd 転がり摺動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8010301A1 (de) * 2008-02-21 2009-09-03 Liebherr-Verzahntechnik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Verzahnungsschleifmaschine
CN202292462U (zh) * 2011-09-09 2012-07-04 中国南方航空工业(集团)有限公司 砂轮
JP5870659B2 (ja) * 2011-12-05 2016-03-01 ニプロ株式会社 穿刺針の製造方法と穿刺針
CN105945730A (zh) * 2016-06-28 2016-09-21 中国南方航空工业(集团)有限公司 螺旋槽砂轮修整工具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586A (ja) * 1988-06-24 1990-01-12 Oodaka Seiko Kk 電着砥石
JPH10113878A (ja) * 1996-10-09 1998-05-06 Asahi Diamond Ind Co Ltd 超砥粒ホイ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5997597A (en) * 1998-02-24 1999-12-07 Norton Company Abrasive tool with knurled surface
JP2010069564A (ja) * 2008-09-18 2010-04-02 Sumitomo Heavy Ind Ltd 研削方法
JP2013184237A (ja) * 2012-03-06 2013-09-19 Sumitomo Heavy Ind Ltd 平面研削盤
JP2013226634A (ja) 2012-03-28 2013-11-07 Sumitomo Heavy Ind Ltd 平面研削盤
JP2014114869A (ja) * 2012-12-10 2014-06-26 Ebara Corp 磁気軸受装置、磁気軸受装置に起因する振動の低減方法
JP2016198875A (ja) * 2015-04-10 2016-12-01 株式会社岡本工作機械製作所 砥石車の砥石成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09464B2 (ja) 2022-01-25
KR102486869B1 (ko) 2023-01-10
CN110769979B (zh) 2023-04-21
WO2018211722A1 (ja) 2018-11-22
CN110769979A (zh) 2020-02-07
TW201741074A (zh) 2017-12-01
JP2018027574A (ja) 2018-02-22
JPWO2018211722A1 (ja) 2020-05-14
TWI632027B (zh) 2018-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2921B2 (ja) 非回転曲面を備えるワーク
CN103358208A (zh) 采用偏心地移动的磨削工具对锥齿轮进行机加工的装置和方法
CN101875180A (zh) 加工装置及加工方法
CN107052462A (zh) 脆性材料复杂曲面快速伺服超精密飞刀切削加工方法
JP2006076873A (ja) ガラス切削用ホイ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6457169B2 (ja) 旋盤制御システム
KR20200004885A (ko) 지석 및 연삭반
JP2006218554A (ja) 工具砥石の形状創成方法
US20050118929A1 (en) Aspherical surface processing method, aspherical surface forming method and aspherical surface processing apparatus
JP2006289566A (ja)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の成形型の研削加工方法及び研削加工装置
JP2010076032A (ja) テーパホーニング加工方法およびテーパホーニング盤
JP2007276034A (ja) ドレスギア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393414B1 (ko) 초음파 혼 모듈
JP6045259B2 (ja) 螺旋溝加工方法
RU149877U1 (ru) Шлифовальный круг с прерывистой поверхностью
CN113165127B (zh) 机械加工方法和机械加工装置
JP2004148454A (ja)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の成形型の研削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5973787B2 (ja) 光学素子加工用工具、砥石保持工具、光学素子加工用工具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並びに、光学部材の製造方法
CN115870819B (zh) 一种磨削硬脆材料小直径圆柱工件的装置及磨削方法
JP2006043805A (ja) 切削工具、その切削工具を用いた複数の円柱状突起形成方法およびその円柱状突起を有する支持台
JP2007118143A (ja) ツルーイング装置及びツルーイング方法
KR101869688B1 (ko) 하우징 내경 연마 장치
RU43209U1 (ru) Бесцентровый круглошлифовальный станок
JP6546795B2 (ja) ワーク加工方法およびワーク加工装置
KR20240012492A (ko) 롤 제조 방법, 롤 제조 장치, 롤 및 전사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