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551A -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 및 그러한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고주파 필터 - Google Patents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 및 그러한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고주파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551A
KR20200004551A KR1020180077537A KR20180077537A KR20200004551A KR 20200004551 A KR20200004551 A KR 20200004551A KR 1020180077537 A KR1020180077537 A KR 1020180077537A KR 20180077537 A KR20180077537 A KR 20180077537A KR 20200004551 A KR20200004551 A KR 20200004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frequency filter
component
insertion en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원
안세훈
백민경
Original Assignee
(주)웨이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웨이브텍 filed Critical (주)웨이브텍
Priority to KR1020180077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4551A/ko
Priority to PCT/KR2019/003271 priority patent/WO2020009312A1/ko
Priority to JP2021521924A priority patent/JP7239215B2/ja
Priority to KR1020190169487A priority patent/KR10236161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4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3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the coaxial cavity resonators being disposed paral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8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using hollow waveguide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원형 또는 다각형 구멍이 관통하여 마련되는 판 형상 몸체부 영역을 포함하는, 고주파 필터에 사용되는 제1 부품; 및 상기 제1 부품의 상기 원형 또는 다각형 구멍의 내경에 일치되게 삽입되고 원판 또는 다각형판 형상을 가지는 삽입 말단부, 상기 삽입 말단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판 또는 다각형판 또는 원기둥 또는 다각형기둥 형상의 걸림 몸체부 및 상기 삽입 말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삽입 말단부와 상기 걸림 몸체부를 연결하며 원판 또는 다각형판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고주파 필터에 사용되는 제2 부품 간의 결합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는 고주파 필터에서 공진봉과 하우징의 바닥부 간의 결합 및 입출력단자의 커넥터와 하우징의 측벽부 간의 결합 등을 나사체결방식에 의하지 않고 공진봉, 커넥터 등의 부품에 특별한 구조를 도입하여 하우징의 바닥부, 측벽부 등에 압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조립시 관리가 간단하고 고주파 필터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게 해준다.

Description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 및 그러한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고주파 필터{Combination Structures Between Components In Radio Frequency Filters And Radio Frequency Filters Including The Same Combination Structures}
본 발명은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 및 그러한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고주파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주파 필터에서 공진봉과 하우징의 바닥부 간의 결합 및 입출력단자의 커넥터와 하우징의 측벽부 간의 결합 등을 나사체결방식에 의하지 않고 공진봉, 커넥터 등의 부품에 특별한 구조를 도입하여 하우징의 바닥부, 측벽부 등에 압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조립시 관리가 간단하고 고주파 필터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 및 그러한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고주파 필터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 필터는 고주파, 특히 초고주파를 공진하기 위한 일종의 회로통의 구조를 가진다. 일반적인 코일과 콘덴서에 의한 공진회로는 복사손실이 커서 초고주파를 형성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이에, RF 필터는 다수의 공진기로 구성된다. 각 공진기는 도체로 둘러싸인 금속성 원통 또는 직육면체 등의 수용공간(cavity)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서 유전체 공진소자(DR: Dielectric Resonance element) 또는 금속 공진봉으로 구성된 공진소자를 구비시켜 고유 주파수의 전자기장만이 존재하게 함으로써 초고주파의 공진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진다.
통상적인 고주파 필터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통상적인 고주파 필터(10)는 한 쪽 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00)을 가진다. 하우징(100)은 그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0)은 바닥부(110) 및 측벽부(12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그 내부에 복수개의 금속 공진봉(3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 수용공간이 격벽(130)에 의하여 구획되는 구조를 가진다. 하우징(100)의 개방된 면은 커버(200)에 의하여 덮여진다. 커버(200)에는 튜닝스크류(400)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00)의 측벽부(120)에는 입출력단자의 커넥터(500)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00)의 바닥부(110)에 금속 공진봉(300)을 결합할 때 체결나사(610)가 사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금속 공진봉(300)은 그 바닥부에 체결나사(610)와 결합하는 나사체결홈을 가지고, 하우징(100)의 바닥부(110)에는 나사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나사(610)를 하우징(100)의 바닥부(110)에 형성된 나사체결홀에 관통시키고 또한 금속 공진봉(300)에 마련된 나사체결홈에 끼움으로써 하우징(100)의 바닥부(110)에 금속 공진봉(3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나사체결방식은 부품에 따라 크기가 다른 체결나사(610)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체결나사(610)의 크기에 맞게 상이한 토르크(회전힘)을 적용하여 조립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관리항목이 많아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체결나사(610)는 테이퍼진 형태(경사진 형태)의 머리부를 가지고, 이러한 머리부가 하우징(100)의 바닥부(110)에 마련된 나사체결홀에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하우징(100)의 바닥부(110)의 두께를 얇게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통상적인 고주파 필터(10)를 소형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커버(200)를 하우징(100)과 결합하는데 체결나사(630)가 사용되고, 또한 하우징(100)의 측벽부(120)에 입출력단자의 커넥터(500)를 설치하는 데에도 체결나사(620)가 사용된다. 이러한 체결나사(630 및 620)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특히, 커넥터(500)를 하우징(100)의 측벽부(120)에 설치하기 위하여, 커넥터(500)에 플렌지(505)를 일체로 형성하고, 플렌지(505)를 복수개의 체결나사(620)에 의하여 하우징(100)의 측벽부(120)에 결합시키는 구조를 채용하는데, 이러한 결합구조는 상기한 문제점을 더욱 악화시킨다.
특허등록 제10-1217184호(2012. 12. 24. 등록)는 무선 주파수 필터를 개시한다. 개시된 발명은 하우징 덮개와 하우징 본체 사이에 하우징 기밀층을 삽입하고 하우징 기밀층을 용융시킨 후 고화시킴으로써 하우징 덮개와 하우징 본체를 결합하여 수동상호변조왜곡(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PIMD)을 줄이는 것이다. 이 특허발명은 또한 금속봉 기밀층을 하우징 본체와 공진 금속봉 사이에 삽입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하우징 본체와 공진 금속봉을 결합한다. 이 특허발명은 상기에 언급한 통상적인 고주파 필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은 아니지만, 나사체결방식을 회피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러한 문제점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하우징 기밀층 및 금속봉 기밀층에 의한 결합은 기계적 구조에 의한 결합방식이 아니고 물리화학적 접착결합방식에 해당하여 내구성에 의구심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통상적인 고주파 필터의 문제점, 즉 조립시 관리항목이 많아진다는 점과 소형화가 어렵다는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주파 필터에서 공진봉과 하우징의 바닥부 간의 결합 및 입출력단자의 커넥터와 하우징의 측벽부 간의 결합 등을 나사체결방식에 의하지 않고 공진봉, 커넥터 등의 부품에 특별한 구조를 도입하여 하우징의 바닥부, 측벽부 등에 압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조립시 관리가 간단하고 고주파 필터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 및 그러한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고주파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는 원형 또는 다각형 구멍이 관통하여 마련되는 판 형상 몸체부 영역을 포함하는, 고주파 필터에 사용되는 제1 부품; 및 상기 제1 부품의 상기 원형 또는 다각형 구멍의 내경에 일치되게 삽입되고 원판 또는 다각형판 형상을 가지는 삽입 말단부, 상기 삽입 말단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판 또는 다각형판 또는 원기둥 또는 다각형기둥 형상의 걸림 몸체부 및 상기 삽입 말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삽입 말단부와 상기 걸림 몸체부를 연결하며 원판 또는 다각형판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고주파 필터에 사용되는 제2 부품 간의 결합구조이다.
상기에서, 상기 제2 부품은 상기 구조에 의하여 상기 걸림 몸체부와 상기 삽입 말단부 사이에 형성된 환상 틈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부품을 이루는 금속 재료의 경도보다 큰 경도를 가지는 금속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제1 부품 아래에 받침대를 놓고 상기 제1 부품을 압입함으로써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 간의 결합구조가 완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 간의 결합구조는 상기 제2 부품의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삽입 말단부가 상기 제1 부품의 상기 원형 또는 다각형 구멍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부품의 상기 걸림 몸체부가 상기 제1 부품의 상기 몸체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제2 부품을 압입하면 상기 제2 부품의 상기 걸림 몸체부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부품의 상기 몸체부의 부분이 아래로 밀리는 과정 중에 상기 제2 부품의 상기 걸림 몸체부와 상기 삽입 말단부 사이에 형성된 상기 환상 틈부를 채움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제2 부품에서 상기 걸림 몸체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삽입 말단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부품에서 상기 판 형상 몸체부 영역의 두께는 2 m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부품은 상기 고주파 필터의 하우징의 바닥부이고, 상기 제2 부품은 공진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부품은 상기 고주파 필터의 하우징의 측벽부이고, 상기 제2 부품은 입출력단자의 커넥터일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걸림 몸체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커넥터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몸체부는 상기 걸림 몸체부 상에 동심원으로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부품은 알루미늄, 동도금된 알루미늄 또는 은도금된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것이고, 상기 제2 부품은 황동, 철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부품간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고주파 필터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부품간 결합구조를 이루기 위한 고주파 필터의 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필터의 부품은 원판 또는 다각형판 형상을 가지는 삽입 말단부, 상기 삽입 말단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판 또는 다각형판 또는 원기둥 또는 다각형기둥 형상의 걸림 몸체부 및 상기 삽입 말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삽입 말단부와 상기 걸림 몸체부를 연결하며 원판 또는 다각형판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 몸체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삽입 말단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품은 공진봉 또는 입출력단자의 커넥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는 고주파 필터에서 공진봉과 하우징의 바닥부 간의 결합 및 입출력단자의 커넥터와 하우징의 측벽부 간의 결합 등을 나사체결방식에 의하지 않고 공진봉, 커넥터 등의 부품에 특별한 구조를 도입하여 하우징의 바닥부, 측벽부 등에 압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조립시 관리가 간단하고 고주파 필터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은 통상적인 고주파 필터의 전체 형상에 대한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통상적인 고주파 필터에서 공진봉과 하우징의 바닥부 간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를 이루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합구조를 이루는 과정에서 제1 부품의 변형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를 통상적인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와 비교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를 통상적인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와 비교한 도면이다.
도 7은 통상적인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에 의하여 소형화가 달성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를 이루기 위하여 설계된 공진봉(제2 부품)의 실제 형상을 찍은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를 이루기 위한 하우징의 바닥부(제1 부품)을 모사한 금속판의 형상을 찍은 사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8의 공진봉을 도 9의 하우징 바닥부에 결합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서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를 완성한 상태를 찍은 사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필터(10)의 전체적인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통상적인 고주파 필터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가 통상적인 고주파 필터에서의 대응 결합구조와 다른 것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주파 필터(10)의 전체적인 형상은 도 1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를 이루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제1 부품은 고주파 필터(10)의 하우징(100)의 바닥부(110)이고, 제2 부품은 금속 공진봉(300)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1 부품인 하우징(100)의 바닥부(110)는 판 형상 몸체부 영역을 포함하고, 그러한 몸체부에는 원형 구멍(112)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원형 구멍(112) 대신에 다각형 구멍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원형 구멍(112)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2 부품인 금속 공진봉(300)은 삽입 말단부(310), 걸림 몸체부(320) 및 연결부(330)를 포함한다. 금속 공진봉(300)의 그 외의 구성은 통상적인 금속 공진봉과 동일할 수 있다.
공진봉(300)의 삽입 말단부(310)는 하우징 바닥부(110)에 형성된 원형 구멍(112)의 내경에 일치되게 삽입된다. 따라서, 삽입 말단부(310)는 원판 형상을 가진다. 만약 하우징 바닥부(110)가 원형 구멍(112) 대신에 다각형 구멍을 가진다면 삽입 말단부(310)는 다각형판 형상을 가져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공진봉(300)의 걸림 몸체부(320)는 삽입 말단부(3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판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만약 하우징 바닥부(110)가 원형 구멍(112) 대신에 다각형 구멍을 가진다면 걸림 몸체부(320)는 다각형판 또는 다각형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몸체부(320)로부터 연장되어 공진봉(300)의 나머지 구성이 형성될 수 있다.
공진봉(300)의 연결부(330)는 삽입 말단부(3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삽입 말단부(310)와 걸림 몸체부(320)를 연결하는 것이다. 연결부(330)는 원판 형상을 가진다. 만약 하우징 바닥부(110)가 원형 구멍(112) 대신에 다각형 구멍을 가진다면 연결부(330)는 다각형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진봉(300)이 이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걸림 몸체부(320)와 삽입 말단부(310) 사이에 환상 틈부(340)가 형성된다. 상기한 삽입 말단부(310), 연결부(330) 및 걸림 몸체부(32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2 부품인 공진봉(300)은 제1 부품인 하우징 바닥부(110)를 이루는 금속 재료의 경도보다 큰 경도를 가지는 금속 재료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공진봉(300)은 황동, 철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조될 수 있고, 하우징 바닥부(110)는 알루미늄, 동 도금된 알루미늄 또는 은 도금된 알루미늄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공진봉(300)을 하우징 바닥부(11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우징 바닥부(110) 아래에 받침대를 놓고 공진봉(300)을 적절한 지그를 사용하여 압입함으로써 하우징 바닥부(110)와 공진봉(300) 간의 결합구조를 완성할 수 있다. 이때, 받침대는 압입하는 힘에 의하여 발생하는 하우징 바닥부(110)의 변형이 하우징 바닥부(110)의 아래쪽 경계영역을 벗어나서 아래쪽으로 전파되는 것을 막을 정도의 경도를 가지는 것이면 무엇이든 무방하다.
구체적으로, 공진봉(300)의 삽입 말단부(310)가 하우징 바닥부(110)에 마련된 원형 구멍(112)에 일치하도록 지그(도시하지 않음)에 공진봉(300)을 고정한 후 하향하는 힘을 작용시켜 공진봉(300)을 아래로 이동시킨다(도 3의 첫번째 그림). 그러면, 공진봉(300)의 삽입 말단부(310)와 연결부(330)는 하우징 바닥부(110)에 형성된 원형 구멍(112)에 삽입되고, 공진봉(300)의 걸림 몸체부(320)는 원형 구멍(112)에 삽입되지 못하므로 하우징 바닥부(110)에 걸린 상태가 된다(도 3의 두번째 그림). 이 상태에서 계속하여 공진봉(300)을 압입하면 걸림 몸체부(320)의 경도가 하우징 바닥부(110)의 경도보다 크기 때문에 걸림 몸체부(320) 아래에 위치하는 하우징 바닥부(110)의 부분은 걸림 몸체부(320)에 의하여 아래로 밀리게 된다(도 3의 세번째 그림). 즉, 하우징 바닥부(110)의 해당 부분에 수직적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에서 하우징 바닥부(110)는 받침대에 놓여져 있기 때문에 압입하는 힘에 의하여 발생하는 하우징 바닥부(110)의 수직적 변형은 하우징 바닥부(110)의 아래쪽 경계영역을 벗어나서 아래쪽으로 전파될 수 없고, 그래서, 결국 하우징 바닥부(110)의 수직적 변형은 수평적 변형으로 전환되어 하우징 바닥부(110)의 그러한 변형 부분이 걸림 몸체부(320)와 삽입 말단부(310) 사이에 형성된 환상 틈부(340)를 채우게 된다(도 3의 네번째 그림).
상기한 과정에 의하여 하우징 바닥부(110)의 수평적 변형에 의하여 새롭게 생성된 돌출부가 공진봉(300)의 환상 틈부(340)에 끼워짐으로써 공진봉(300)과 하우징 바닥부(110) 간의 결합이 공고하게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 바닥부(110)의 ① 부분은 공진봉(300)의 압입 과정 중에 아래쪽으로 밀리게 되고, 그러한 하우징 바닥부(110)의 수직적 변형은 수평적 변형으로 전환되어 결국 하우징 바닥부(110)의 ② 부분이 돌출되어 새롭게 형성된다. 하우징 바닥부(110)에서 새롭게 돌출되어 형성된 ② 부분은 공진봉(300)의 환상 틈부(340)에 끼워져서 하우징 바닥부(110)와 공진봉(300)을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 바닥부(110)의 두께에 따라 공진봉(300)의 삽입 말단부(310) 및 연결부(330)의 두께를 적절하게 선택하면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는 부품 조립시에 하우징 바닥부(110)의 전단강도 이상의 힘으로 지그를 이용하여 공진봉(300)을 압입하기만 하면 되므로, 부품 조립시 관리가 간단하고 용이하다. 필요한 경우 하우징 바닥부(110)의 원형 구멍(112)에 대하여 공진봉(300)을 압입하는 길이를 추가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압입 길이에 대한 추가적 관리도 큰 어려움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필터는 통상적인 고주파 필터에 비하여 부품 조립이 간단하고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를 통상적인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와 비교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고주파 필터에서 공진봉(300)을 하우징 바닥부(110)에 결합하기 위하여 체결나사(610)를 채용하기 때문에, 하우징 바닥부(110)의 두께는 최소한으로 하더라도 2 mm보다 커야 한다. 통상적인 고주파 필터에서 하우징 바닥부(110)의 두께는 예를 들어 2 내지 4 mm 또는 그 이상이 되어야 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필터에서는 상기한 결합구조에 의하여 공진봉(300)과 하우징 바닥부(110)가 결합하기 때문에 2 mm 이하의 두께로 하우징 바닥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주파 필터에서 공진봉(300)과 결합하는 하우징 바닥부(110)의 두께는 1 내지 2 mm로 설계할 수 있고, 더욱 정밀하게 설계한다면 그보다 작은 두께, 예를 들어, 1 내지 0.5 mm 정도의 두께로도 하우징 바닥부(110)를 설계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를 이루기 위하여 설계된 공진봉(제2 부품)의 실제 형상을 찍은 사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를 이루기 위한 하우징의 바닥부(제1 부품)을 모사한 금속판의 형상을 찍은 사진이며, 도 10 내지 도 12는 도 8의 공진봉을 도 9의 하우징 바닥부에 결합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서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를 완성한 상태를 찍은 사진이다. 이때, 도 10은 금속판의 상부면을 비스듬하게 찍은 사진이고, 도 11은 측방에서 찍은 사진이며, 도 12는 금속판의 하부면을 찍은 사진이다. 도 8 내지 도 12에 의하여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는 설계한 대로 잘 구현되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를 통상적인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와 비교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주파 필터에서 제1 부품은 하우징(100)의 측벽부(120)이고, 제2 부품은 입출력단자의 커넥터(500)일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측벽부(120)에는 하우징 바닥부(110)에 마련된 원형 구멍(112)에 대응되는 원형 구멍(122)이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500)는 삽입 말단부(510), 걸림 몸체부(520) 및 연결부(530)를 가진다. 커넥터(500)의 삽입 말단부(510), 걸림 몸체부(520) 및 연결부(53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공진봉(300)의 삽입 말단부(310), 걸림 몸체부(320) 및 연결부(330)가 원형 구멍(112)을 가지는 하우징 바닥부(110)에 대하여 가지는 결합기능 및 기술적 효과와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원형 구멍(122)을 가지는 하우징 측벽부(120)에 대하여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500)는 걸림 몸체부(5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커넥터 몸체부(550)를 포함한다. 커넥터 몸체부(550)는 걸림 몸체부(520) 상에 동심원으로 설치된다. 이때, 커넥터(500)를 하우징 측벽부(120)에 결합하기 위하여 지그에 의하여 붙잡히는 부분 및 지그에 의하여 눌려지는 부분은 커넥터 몸체부(550)가 아니라 걸림 몸체부(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걸림 몸체부(520)의 직경을 커넥터 몸체부(55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다. 커넥터 몸체부(550)가 지그에 의해 붙잡히고 눌려지는 경우에는 그러한 과정 중에 커넥터 몸체부(550)의 손상 우려가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고주파 필터에서 입출력단자의 커넥터(500)를 하우징 측벽부(120)에 결합하기 위하여 체결나사(620)를 채용하기 때문에, 하우징 측벽부(110)의 두께는 최소한으로 하더라도 3 mm보다 커야 한다. 통상적인 고주파 필터에서 하우징 측벽부(110)의 두께는 예를 들어 3 내지 5 mm 또는 그 이상이 되어야 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필터에서는 상기한 결합구조에 의하여 커넥터(500)와 하우징 측벽부(110)가 결합하기 때문에 2 mm 이하의 두께로 하우징 측벽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주파 필터에서 커넥터(500)와 결합하는 하우징 측벽부(110)의 두께는 1 내지 2 mm로 설계할 수 있고, 더욱 정밀하게 설계한다면 그보다 작은 두께, 예를 들어, 1 내지 0.5 mm 정도의 두께로도 하우징 측벽부(110)를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상적인 고주파 필터에서 채용되는 커넥터(500)는 나사체결방식으로 하우징 측벽부(120)에 결합하기 위하여 플렌지(505)가 필요하지만, 본 발명에서 커넥터(500)는 그러한 플렌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고주파 필터는 그러한 점에서 더욱 유용한 측면을 가진다.
도 7은 통상적인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에 의하여 소형화가 달성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필터는 공진봉(300)과 하우징 바닥부(110)가 상기한 결합구조로 결합하기 때문에, 통상적인 고주파 필터에 비하여 그 높이를 최소한 1 mm 이상 줄일 수 있어 소형화 달성에 기여하게 된다.
10: 고주파 필터 100: 하우징
110: 바닥부 112: 원형 구멍
120: 측벽부 122: 원형 구멍
130: 격벽 200: 커버
300: 금속 공진봉 310: 삽입 말단부
320: 걸림 몸체부 330: 연결부
340: 환상 틈부 400: 튜닝스크류
500: 입출력단자의 커넥터 510: 삽입 말단부
520: 걸림 몸체부 530: 연결부
540: 환상 틈부 550: 커넥터 몸체부
610,620,630: 체결나사

Claims (10)

  1. 원형 또는 다각형 구멍이 관통하여 마련되는 판 형상 몸체부 영역을 포함하는, 고주파 필터에 사용되는 제1 부품; 및 상기 제1 부품의 상기 원형 또는 다각형 구멍의 내경에 일치되게 삽입되고 원판 또는 다각형판 형상을 가지는 삽입 말단부, 상기 삽입 말단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판 또는 다각형판 또는 원기둥 또는 다각형기둥 형상의 걸림 몸체부 및 상기 삽입 말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삽입 말단부와 상기 걸림 몸체부를 연결하며 원판 또는 다각형판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고주파 필터에 사용되는 제2 부품 간의 결합구조로서,
    상기 제2 부품은 상기 구조에 의하여 상기 걸림 몸체부와 상기 삽입 말단부 사이에 형성된 환상 틈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부품을 이루는 금속 재료의 경도보다 큰 경도를 가지는 금속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제1 부품 아래에 받침대를 놓고 상기 제1 부품을 압입함으로써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 간의 결합구조가 완성되며,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 간의 결합구조는 상기 제2 부품의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삽입 말단부가 상기 제1 부품의 상기 원형 또는 다각형 구멍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부품의 상기 걸림 몸체부가 상기 제1 부품의 상기 몸체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제2 부품을 압입하면 상기 제2 부품의 상기 걸림 몸체부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부품의 상기 몸체부의 부분이 아래로 밀리는 과정 중에 상기 제2 부품의 상기 걸림 몸체부와 상기 삽입 말단부 사이에 형성된 상기 환상 틈부를 채움으로써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품에서 상기 걸림 몸체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삽입 말단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
  3.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에서 상기 판 형상 몸체부 영역의 두께는 2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
  4.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은 상기 고주파 필터의 하우징의 바닥부이고, 상기 제2 부품은 공진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
  5.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은 상기 고주파 필터의 하우징의 측벽부이고, 상기 제2 부품은 입출력단자의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걸림 몸체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커넥터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몸체부는 상기 걸림 몸체부 상에 동심원으로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은 알루미늄, 동도금된 알루미늄 또는 은도금된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것이고, 상기 제2 부품은 황동, 철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품간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고주파 필터.
  9. 원판 또는 다각형판 형상을 가지는 삽입 말단부, 상기 삽입 말단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판 또는 다각형판 또는 원기둥 또는 다각형기둥 형상의 걸림 몸체부 및 상기 삽입 말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삽입 말단부와 상기 걸림 몸체부를 연결하며 원판 또는 다각형판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고주파 필터의 부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몸체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삽입 말단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품은 공진봉 또는 입출력단자의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의 부품.
KR1020180077537A 2018-07-04 2018-07-04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 및 그러한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고주파 필터 KR20200004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537A KR20200004551A (ko) 2018-07-04 2018-07-04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 및 그러한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고주파 필터
PCT/KR2019/003271 WO2020009312A1 (ko) 2018-07-04 2019-03-20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 및 그러한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고주파 필터
JP2021521924A JP7239215B2 (ja) 2018-07-04 2019-03-20 高周波フィルタの部品間の結合構造の形成方法
KR1020190169487A KR102361611B1 (ko) 2018-07-04 2019-12-18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537A KR20200004551A (ko) 2018-07-04 2018-07-04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 및 그러한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고주파 필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487A Division KR102361611B1 (ko) 2018-07-04 2019-12-18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551A true KR20200004551A (ko) 2020-01-14

Family

ID=69059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537A KR20200004551A (ko) 2018-07-04 2018-07-04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 및 그러한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고주파 필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239215B2 (ko)
KR (1) KR20200004551A (ko)
WO (1) WO202000931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961B1 (ko) * 2021-03-12 2021-08-03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회로 보호 장치
KR20230000205A (ko) * 2021-06-24 2023-01-0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매직 티 구조의 도파관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2724Y2 (ja) * 1979-05-07 1984-12-15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分布定数形フイルタ
JPH04109593U (ja) * 1991-03-05 1992-09-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シールドケース
JP3385909B2 (ja) * 1997-05-13 2003-03-10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ィルタ及び送受信器
KR100229733B1 (ko) 1997-07-04 1999-11-15 김길환 밤 외피 박피기
KR200192414Y1 (ko) * 1997-08-13 2000-09-01 최용식 커넥터 조립구조
KR19990081183A (ko) * 1998-04-27 1999-11-15 송재인 공진기와 pcb의 연결유니트
FI115333B (fi) * 1999-12-01 2005-04-15 Remec Oy Resonaattorirakenteen sisäjohtimen kiinnitysjärjestely ja menetelmä resonaattorirakenteen sisäjohtimen kiinnittämiseen
KR101072284B1 (ko) * 2008-08-01 2011-10-1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고주파 필터의 유전체 공진기 및 그 조립 방법
CN202004121U (zh) * 2010-12-24 2011-10-05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腔体滤波器及通信设备以及射频通信装置
CN102074776A (zh) * 2010-12-24 2011-05-25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腔体滤波器及其制造方法、通信设备以及射频通信装置
JP2012174654A (ja) * 2011-02-24 2012-09-10 Alps Electric Co Ltd 同軸コネクタの取付構造
KR101386942B1 (ko) * 2012-11-26 2014-04-18 주식회사 이너트론 조립식 다중 대역 통과 필터
KR101712602B1 (ko) * 2015-05-21 2017-03-06 (주)웨이브텍 유전체 공진기
KR101597109B1 (ko) * 2015-08-13 2016-02-24 (주)제이스테크 Tm 모드 유전체 공진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961B1 (ko) * 2021-03-12 2021-08-03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회로 보호 장치
US11776716B2 (en) 2021-03-12 2023-10-03 Smart Electronics Inc. Circuit protection device
KR20230000205A (ko) * 2021-06-24 2023-01-0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매직 티 구조의 도파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30935A (ja) 2021-11-11
JP7239215B2 (ja) 2023-03-14
WO2020009312A1 (ko) 2020-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4775A (ko)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 형성방법
JP3506104B2 (ja) 共振器装置、フィルタ、複合フィルタ装置、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KR101728152B1 (ko) 캐비티형 무선 주파수 필터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1712602B1 (ko) 유전체 공진기
KR20200004551A (ko) 고주파 필터의 부품간 결합구조 및 그러한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고주파 필터
US20190252750A1 (en) Radio frequency filter having cavity structure
CN102428602A (zh) 带阻滤波器
KR101386941B1 (ko) 조립식 대역 저지 필터
US20060226925A1 (en) Non-reciprocal circuit device
JPS62150901A (ja) 誘電体同軸共振器の外装ケ−スのカバ−取付構造
KR20160000982U (ko) 캐비티 필터용 커넥터
US20040041661A1 (en) Dielectric filte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resonance frequency
JP3506121B2 (ja) 誘電体共振器、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US20030151470A1 (en) Modular electrical signal filter assembly
JPH0515321B2 (ko)
KR200482481Y1 (ko) 무선 주파수 필터
KR101234545B1 (ko) 이종 금속 재질의 공진기와, 이를 구비하는 고주파 필터 및 그 공진기의 제조 방법
US20020196102A1 (en) Electrical signal filter with improved isolation shield
US6429754B1 (en) Electrical signal filter with improved isolation shield
KR101730084B1 (ko)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JP3344388B2 (ja) マイクロ波導波管装置
EP0533394A2 (en) Filter comprising a resonator rod mounted on a base plate
KR101285770B1 (ko) 조립식 필터 및 그의 제조 방법
JPH04242301A (ja) 誘電体フィルタ
EP1047148B1 (en) Nonreciprocal circuit dev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