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238B1 -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 Google Patents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238B1
KR102642238B1 KR1020160139478A KR20160139478A KR102642238B1 KR 102642238 B1 KR102642238 B1 KR 102642238B1 KR 1020160139478 A KR1020160139478 A KR 1020160139478A KR 20160139478 A KR20160139478 A KR 20160139478A KR 102642238 B1 KR102642238 B1 KR 102642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tuning
housing
groove
cover
tun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5413A (ko
Inventor
박남신
김정회
장성호
김재홍
박성배
정동준
박용진
박제만
신연호
김상근
양충모
박광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KR1020160139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238B1/ko
Priority to PCT/KR2017/011444 priority patent/WO2018080078A1/ko
Priority to EP17864539.6A priority patent/EP3534455B1/en
Priority to CN202310170655.2A priority patent/CN116053737A/zh
Priority to JP2019520385A priority patent/JP7171554B2/ja
Priority to FIEP17864539.6T priority patent/FI3534455T3/fi
Priority to CN201780063691.1A priority patent/CN109845028B/zh
Publication of KR20180045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413A/ko
Priority to US16/393,758 priority patent/US1099860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8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using hollow wavegui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6Cavity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04Fixed j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3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the coaxial cavity resonators being disposed paral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using coaxial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waveguides or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waveguides or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7Manufacturing frequency-selec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waveguides or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8Manufacturing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4Coaxial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로서, 캐비티를 갖기 위해 내부가 중공이고 일측으로 개방면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중공에 위치하는 공진소자와; 공진소자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직경 및 깊이로 함몰되어 바닥 부분이 다른 부위보다 얇은 박박 형상으로 형성되는 암나사 구조의 홈을 구비하며, 하우징의 개방면을 밀봉하는 커버와; 커버의 홈에 나사 결합하는 주파수 튜닝 나사를 포함하며, 주파수 튜닝 나사가 홈에 나사 결합할 경우에, 주파수 튜닝 나사에 의해 홈의 바닥면이 공진소자 측으로 밀려들어가게 변형된다.

Description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RADIO FREQUENCY FILTER WITH CAVITY STRUCTURE}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비티 필터와 같이,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이하 ‘필터’로 약칭할 수 있음)에 관한 것이다.
캐비티 구조를 가지는 무선 주파수 필터는 통상 금속 재질의 하우징을 통해 직육면체 등의 수용공간, 즉 캐비티를 다수개 구비하며, 각 캐비티 구조 내부에 유전체 공진소자(DR: Dielectric Resonance element) 또는 금속 공진봉으로 구성된 공진소자를 각각 구비시켜 초고주파의 공진을 발생시킨다. 또한, 이와 같은 캐비티 구조를 가지는 무선 주파수 필터에서, 통상 캐비티 구조의 상부에는 해당 캐비티의 개방면을 차폐하는 커버가 구비되며, 커버에는 해당 무선 주파수 필터의 필터링 특성을 튜닝하기 위한 튜닝 구조로서, 다수의 튜닝 나사 및 해당 튜닝 나사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가 설치될 수 있다. 캐비티 구조를 갖는 무선 주파수 필터에 관한 일예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4-100084호(명칭: “무선 주파수 필터”, 공개일: 2004년 12월 02일, 발명자: 박종규 외 2명)에 개시된 바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캐비티 구조를 갖는 무선 주파수 필터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 무선 신호의 처리를 위해 사용되며,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나 중계기 등에 대표적으로 적용된다.
한편,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6235호(명칭: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공개일: 2014년 03월 05일, 발명자: 박남신 외 2명)는, 튜닝 나사 및 고정용 너트의 체결 구조를 채용하지 않고서 주파수 튜닝이 가능한 간단하고 단순화된 필터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6235호는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재질(합금 포함)의 판 형태의 모재를 이용하여 프레스 가공 또는 다이캐스팅 가공 등을 통해 커버를 제작시에, 커버에서 공진소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함몰 부위를 형성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또한, 이러한 함몰 부위에, 외부 타각 장비의 타각 핀(pin)에 의한 타각 또는 누름에 의해 도트핀(dot peen) 구조를 다수개 형성한다. 이러한 함몰 부위 및 도트핀 구조는 주파수 튜닝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하던 튜닝 나사 및 고정용 너트의 체결 구조를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당 함몰 부위(및 도트핀 구조)와 공진소자간의 거리가 좁혀지도록 하여 적절한 튜닝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6235호에 개시된 기술은 통상적인 튜닝 나사 및 고정용 너트의 체결 구조를 채용하지 않으므로, 소형 및 경량화를 위한 필터 구조에 적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주파수 튜닝 나사와 하우징의 나사홀 사이의 불연속적이고 불균일한 접촉면이나 이종금속간의 접합 등의 요인들에 의해 발생되는 PIMD(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6235호에 개시된 기술은 주파수 튜닝 작업을 위해 외부 타각 장비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부 타각 장비를 이용하여 필터의 함몰부위에 도트핀 구조들을 형성하는 방식은, 일단 형성된 도트핀 구조를 제거하여 함몰부위를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는 것이 사실상 가능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주파수 튜닝 작업이 비가역적으로 행해지므로, 주파수 튜닝 작업시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종래의 주파수 튜닝 나사 및 고정용 너트의 체결 구조를 채용하지 않고서 주파수 튜닝이 가능하며, 보다 간단한 제조 작업 및 저비용의 제작이 가능한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목적과 더불어 주파수 튜닝 작업을 가역적으로 행할 수 있어서, 튜닝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로서, 캐비티를 갖기 위해 내부가 중공이고 일측으로 개방면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공에 위치하는 공진소자와; 상기 공진소자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직경 및 깊이로 함몰되어 바닥 부분이 다른 부위보다 얇은 박박 형상으로 형성되는 암나사 구조의 홈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의 개방면을 밀봉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기 홈에 나사 결합하는 주파수 튜닝 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가 상기 홈에 나사 결합할 경우에,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에 의해 상기 홈의 바닥면이 상기 공진소자 측으로 밀려들어가게 변형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티(cavity)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로서, 캐비티를 갖기 위해 내부가 중공이고 일측으로 개방면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공에 위치하는 공진소자와; 상기 공진소자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직경을 가진 암나사 구조의 관통형 홀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의 개방면을 밀봉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커버의 사이즈와 대응되는 사이즈의 튜닝용 금속 판과; 및 상기 커버의 상기 관통형 홀에 나사 결합하는 주파수 튜닝 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가 상기 관통형 홀에 나사 결합할 경우에,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에 의해 상기 금속 판의 대응되는 부위가 상기 공진소자 측으로 밀려들어가게 변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는 종래의 주파수 튜닝 나사 및 고정용 너트의 체결 구조를 채용하지 않고서 주파수 튜닝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며, 보다 간단한 제조 작업 및 저비용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주파수 튜닝 작업을 가역적으로 행할 수 있어서, 튜닝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의 일부 분리 절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분리된 부분의 결합도
도 3은 도 1의 주파수 튜닝 나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의 일부 분리 절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분리된 부분의 결합도
도 6은 도 4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도면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가능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그 사이즈나 형태 등은 다소 단순화 하거나 일부 과장되게 도시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의 일부 분리 절단면 도로서, 주파수 튜닝 나사(31)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2는 도 1에서 분리된 부분(즉, 주파수 튜닝 나사)의 결합도이며, 도 3은 도 1의 주파수 튜닝 나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는 종래와 유사하게, 내부가 중공이고, 외부와 차단되는 캐비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갖는 함체를 구비한다. 함체는 캐비티를 형성하며, 일측(예를 들어, 상측)이 개방된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의 개방면을 밀봉하는 커버(11)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하우징(21) 내에 형성된 캐비티의 중심부에는 공진소자(41)가 하우징(21) 내부의 바닥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3의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우징(21)이 예를 들어, 하나의 캐비티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 외에도 하우징(21)이 다수의 캐비티를 다단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각 캐비티는 그 중심부에 각각 공진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해당 무선 주파수 필터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가 하우징(21)의 일 측 및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이 다수의 캐비티를 가지도록 구성될 경우에, 상기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는 각각 입력단 캐비티 및 출력단 캐비티 구조와 각각 연결되도록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하우징(21) 및 하우징(21)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 구조와 공진소자(41)의 구조는 종래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21) 및 공진소자(41)는 모두 알루미늄 계열(합금)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11)도 종래와 유사하게, 하우징(21)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 즉, 알루미늄 계열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커버(11)에는, 하우징(21)의 캐비티 내의 공진소자(41)에 대응되는 부위에서 미리 설정된 직경 및 깊이로 함몰된 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홈(112)의 바닥 부분(a)의 두께는 커버(11)의 나머지 다른 부위와는 달리 얇은 박막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커버(11)에서 다른 부위의 두께가 약 2.0~3.0mm일 경우에, 상기 홈(112)의 바닥 부분의 두께는 0.1~0.3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홈(112)의 직경은 약 4.0~4.5mm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12)의 측면은  주파수 튜닝을 위한 주파수 튜닝 나사(31)가 결합되기 위한 나사 결합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홈(112)은 전체적으로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31)가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기 위한 암나사의 나사 홈 구조를 가진다.
주파수 튜닝 나사(31)는 측면에 상기 홈(112)과 나사 결합하기 위한 수나사 구조를 가지며, 상단(즉, 머리 부분)에는 외부의 드라이버 장비(드라이버, 렌치 등)가 연결되어 나사 조임 작업을 하기 위한 적절한 형태의 결합 홈(312)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의 예에서는, 상기 결합 홈(312)은 일자(slotted) 형태임이 도시되고 있다. 주파수 튜닝 나사(31)의 하단, 즉 상기 홈(112)의 바닥 부분(a)과 맞닿는 부분에는, 일부분이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13)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13)는 주파수 튜닝 나사(31)의 하단부가 보다 좁은 직경을 가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튜닝 나사(31)의 직경이 약 4.0~4.5mm일 경우에 상기 돌출부(313)의 직경은 약 2.5~3.5mm일 수 있다. 또한, 돌출부(313)는 약 0.5~1.0mm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필터 구조에서, 주파수 튜닝 작업시에는, 주파수 튜닝 나사(31)를 커버(11)의 홈(112)에 결합하여 조이게 되는데, 주파수 튜닝 나사(31)가 조여짐에 따라 주파수 튜닝 나사(31)의 돌출부(313)가 홈(112)의 바닥 부분(a)을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도 2에 보다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1)의 홈(112)의 바닥 부분(a)은 캐비티 내부의 공진소자(41)측으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커버(11)의 하측, 즉 홈(112)의 바닥 부분(a)과 공진소자(41)간의 거리(즉, 도 1의 d1, 도 2의 d2)가 조절됨으로써, 커버(11)와 공진소자(41) 간의 커패시턴스 성분을 조절하여 해당 필터링 주파수의 특성을 조절한다.
이때, 커버(11)의 홈(112)의 바닥 부분(a)이 얼마간의 탄성을 가지도록 구현할 경우에, 주파수 튜닝 나사(31)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병행하여 주파수 특성을 튜닝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13)를 포함한 주파수 튜닝 나사(31)의 전체 높이는, 커버(11)의 두께 및 상기 튜닝 작업시 조여지는 상태 등을 고려하여, 주파수 튜닝 작업 완료 후에는 튜닝 나사(31)의 상단이 커버(11)의 상면으로부터 적어도 돌출되지 않도록 적절히 설정된다. 그럴 경우에 필터 전체적인 외형 및 사이즈를 최적화할 수 있다.
한편, 주파수 튜닝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주파수 튜닝 나사(31)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에폭시 등의 접착용 수지(미도시)를 주파수 튜닝 나사(31)와 커버(11)의 홈(112)의 결합 부위에 추가로 도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의 일부 분리 절단면도 이며, 도 5는 도 4의 분리된 부분의 결합도이며, 도 6은 도 4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필터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상측이 개방된 하우징(22)과, 상기 하우징(22)의 상측을 밀봉하는 커버(12)를 포함하는 함체를 구비한다. 하우징(22) 내에 형성된 캐비티의 중심부에는 공진소자(42: 42-1, 42-2)가 하우징(22) 내부의 바닥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도 4 내지 도 6의 예에서는, 하우징(22)이 예를 들어 2개의 캐비티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2개의 캐비티들간에는 서로간의 커플링을 위한 연결 통로 구조인 커플링 윈도우(224)가 형성된다. 커플링 윈도우(224)는 캐비티 구조 사이의 격벽에 해당하는 부위에서 미리 설정된 사이즈로 일정 부분이 제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해당 무선 주파수 필터의 입력 단자가 하우징(22)의 두 캐비티 중 하나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다른 캐비티에 출력 단자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에서, 커버(12)에는 하우징(22)의 캐비티 내의 각 공진소자(42-1, 42-2)에 대응되는 부위에 미리 설정된 직경을 가지며 커버(12)를 관통하는 형태의 홀(122: 122-1, 122-2)이 형성된다. 상기 홀(122)의 측면은 주파수 튜닝을 위한 주파수 튜닝 나사(32: 32-1, 32-2)가 결합되기 위한 나사 결합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홀(122)은 전체적으로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32)가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기 위한 암나사 구조를 가짐을 알 수 있다.
각 주파수 튜닝 나사(32)는 측면에 상기 홀(122)과 나사 결합하기 위한 수나사 구조를 가진다. 이때,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예에서는, 주파수 튜닝 나사(32)가 상단 및 하단까지 전체적으로 균일한 직경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구조에서는, 커버(12)와 하우징(22) 사이에 예를 들어, 주파수 튜닝 작업을 위해, 대체로 커버의 사이즈와 동일한 사이즈의 얇은 금속 판(62)이 배치된다. 금속 판(62)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이나, 동 또는 철 계열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약 0.05~0.2mm로 구현될 수 있다.
금속 판(62)은 커버(12)와 솔더링 방식에 의해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2)의 하면의 미리 설정된 적정 부위에는 솔더 또는 솔더 크림(도 4의 c)을 공급하고 리플로우(reflow) 솔더링 공정 등을 수행하여 금속 판(62)과 커버(12)가 상호 솔더링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금속 판(62)의 하면에서 하우징(22)과 맞닿는 부분도 솔더링 방식에 의해 상호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다.
커버(12)의 관통형 홀(122)의 하단은 관통형 홀(122)의 다른 부위보다 직경이 좀더 넓도록 가장자리 부위가 추가로 더 제거된 형태인 보조 홈(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형 홀(122)은 전체적으로  하단부의 일부가 좀더 넓은 직경을 가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보조 홈(b)은 금속 판(62)과 솔더링 작업시에 예를 들어 솔더 크림의 도포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예를 들어, 솔더링 작업시에, 솔더 크림을 커버(12)의 하부면에 인쇄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 그럴 경우에, 상기 보조 홈(b)이 형성된 부위는 솔더 크림이 인쇄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관통형 홀(122)의 보조 홈(b)에 의해, 금속 판(12)에서 커버(12)와 솔더링되지 않고 남겨진 부위는,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32)와 맞닿는 부위를 포함하면서 얼마간 여유를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금속 판(12)에서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32)와 대응되는 부위가 주파수 튜닝 나사(32)에 의해 얼마간 밀려들어갈 수 있는 구조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필터 구조에서, 주파수 튜닝 작업시에는, 주파수 튜닝 나사(32)를 커버(12)의 관통형 홀(122)에 결합하여 조이게 되는데, 주파수 튜닝 나사(32)가 조여짐에 따라 주파수 튜닝 나사(32)의 하단이 홀(122)을 관통한 후 금속 판(62)의 상면에서 대응하는 부위와 맞닿아 금속 판(62)을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도 5에 보다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판(62)에서 상기 튜닝 나사(32)와 대응되는 부위는 캐비티 내부의 공진소자(42)측으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금속 판(62)의 하면과 공진소자(42)간의 거리가 조절됨으로써, 해당 필터링 주파수의 특성을 조절한다.
한편, 상기에서, 금속 판(62)이 얼마간의 탄성을 가지도록 구현할 경우에, 주파수 튜닝 나사(32)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병행하여 주파수 특성을 튜닝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튜닝 나사(32)의 전체 높이는, 커버(12)의 두께 및 상기 튜닝 작업시 조여지는 상태 등을 고려하여, 주파수 튜닝 작업 완료 후에는 튜닝 나사(32)의 상단이 커버(12)의 상면으로부터 적어도 돌출되지 않도록 적절히 설정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주파수 튜닝 나사(32) 외에도 캐비티간 커플링을 위한 커플링 튜닝 나사(52)가 커버(12)에 추가로 설치됨이 도시되고 있다. 즉, 커플링 튜닝 나사(52)는 커버(12)에서 상기 커플링 윈도우(22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나사 홀(124)과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여, 나사 홀(124)을 통해 커플링 윈도우(224)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서, 커플링 튜닝 나사(52)가 커플링 윈도우(224) 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금속 판(62)에는 대응되는 부위에 관통 홀(62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가 구성될 수 있으며,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예나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설명에서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튜닝 나사(32)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직경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32)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그럴 경우에는, 경우에 따라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커버(120에 형성되는 관통형 홀(122)은 하단에 보조 홈(b)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공진소자는 별도로 제작되어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과 공진소자가 모두 동일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과 공진소자가 일체적으로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는 이외에도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6235호에 개시된 기술에서와 마찬가지로, 하우징과 내부의 공진소자가 전체적으로 프레스 가공 방식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함체에 설치되는 캐비티들의 개수와 형태를 비롯하여, 주파수 튜닝 나사, 홈, 관통형 홀 등과 같은 구체적인 상세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조나, 사이즈 등은 다양하게 설계 변경 가능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캐비티(cavity)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에 있어서,
    캐비티를 갖기 위해 내부가 중공이고 일측으로 개방면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공에 위치하는 공진소자와;
    상기 공진소자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직경 및 깊이로 함몰되어 바닥 부분이 다른 부위보다 얇은 박박 형상으로 형성되는 암나사 구조의 홈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의 개방면을 밀봉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기 홈에 나사 결합하는 주파수 튜닝 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가 상기 홈에 나사 결합할 경우에,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에 의해 상기 홈의 바닥면이 상기 공진소자 측으로 밀려들어가게 변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의 하단은 일부분이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39478A 2016-10-25 2016-10-25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KR102642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478A KR102642238B1 (ko) 2016-10-25 2016-10-25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PCT/KR2017/011444 WO2018080078A1 (ko) 2016-10-25 2017-10-17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EP17864539.6A EP3534455B1 (en) 2016-10-25 2017-10-17 Radio frequency filter having cavity structure
CN202310170655.2A CN116053737A (zh) 2016-10-25 2017-10-17 具有空腔结构的无线频率滤波器
JP2019520385A JP7171554B2 (ja) 2016-10-25 2017-10-17 キャビティ構造を有する無線周波数フィルター
FIEP17864539.6T FI3534455T3 (fi) 2016-10-25 2017-10-17 Ontelorakenteinen radiotaajuussuodatin
CN201780063691.1A CN109845028B (zh) 2016-10-25 2017-10-17 具有空腔结构的无线频率滤波器
US16/393,758 US10998603B2 (en) 2016-10-25 2019-04-24 Radio frequency filter having cavity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478A KR102642238B1 (ko) 2016-10-25 2016-10-25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413A KR20180045413A (ko) 2018-05-04
KR102642238B1 true KR102642238B1 (ko) 2024-03-04

Family

ID=62023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478A KR102642238B1 (ko) 2016-10-25 2016-10-25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98603B2 (ko)
EP (1) EP3534455B1 (ko)
JP (1) JP7171554B2 (ko)
KR (1) KR102642238B1 (ko)
CN (2) CN109845028B (ko)
FI (1) FI3534455T3 (ko)
WO (1) WO20180800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5244B2 (en) 2017-03-17 2019-12-10 Ace Technologies Corporation RF cavity filter using elastic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54641B1 (ko) * 2017-04-11 2019-03-07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탄성체를 이용한 튜닝 구조를 가지는 rf 캐비티 필터
KR102034603B1 (ko) * 2017-12-29 2019-10-21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데브리(debris) 유입 방지를 위해 고탄성 플레이트 탄성체를 갖는 RF 캐비티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77476B1 (ko) * 2018-04-13 2020-02-17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imd로 인한 성능 저하에 강인한rf 캐비티 필터 및 rf 캐비티 필터 제조 방법
CN110518317A (zh) * 2019-09-23 2019-11-29 石家庄滤通微波科技有限公司 一种无螺钉小型化腔体滤波器的实现方法
KR20220006734A (ko) * 2020-07-09 202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40354B1 (ko) * 2020-09-14 2022-09-05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튜닝 구조가 일체화된 커버를 가지는 rf 캐비티 필터
WO2022108378A1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rf 모듈, rf 모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2369A1 (en) * 1999-04-14 2000-10-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tuning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8006A (ja) * 1997-09-16 1999-03-30 Alps Electric Co Ltd 誘電体フィルタ及びその誘電体フィルタを有する電子機器
JP3531570B2 (ja) * 2000-03-14 2004-05-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共振器、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通信機装置
JP2004241843A (ja) * 2003-02-03 2004-08-26 Fujitsu Ltd 屋外電子機器に設けられるフィルタ装置及び当該屋外電子機器
KR100489698B1 (ko) 2003-05-21 2005-05-1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 주파수 필터
JP2009253944A (ja) * 2008-04-11 2009-10-29 Panasonic Corp フィルタの調整支援装置と、これに用いるフィルタの調整支援方法と、これらを用いたフィルタの調整方法
KR101072284B1 (ko) * 2008-08-01 2011-10-1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고주파 필터의 유전체 공진기 및 그 조립 방법
KR20110000320U (ko) * 2009-07-06 2011-01-13 신갑재 이단 튜닝스크류가 구비된 공진기 구조
KR101140729B1 (ko) * 2009-12-24 2012-05-03 주식회사 이롬테크 유전체 공진기 필터
CN202259614U (zh) * 2010-10-29 2012-05-30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腔体滤波器及通信设备
CN101976750A (zh) * 2010-10-29 2011-02-16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腔体滤波器
CN102324616A (zh) * 2011-07-28 2012-01-18 西安空间无线电技术研究所 一种超大功率微波谐振器结构
KR101307107B1 (ko) * 2011-11-08 2013-09-11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유전체 공진기 필터
KR102010269B1 (ko) 2012-08-23 2019-08-1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CN103107389A (zh) * 2012-11-16 2013-05-15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腔体滤波器
CN103872419A (zh) * 2012-12-11 2014-06-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介质谐振器及其装配方法及介质滤波器
CN203134747U (zh) * 2013-02-27 2013-08-14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二研究所 可调滤波器加载的双间隙耦合宽带输出装置
KR20150049452A (ko) * 2013-10-30 2015-05-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튜닝 볼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rf 캐비티 필터 및 튜닝 볼트 고정 부재
KR101693214B1 (ko) * 2014-10-28 2017-01-0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CN204315704U (zh) * 2014-12-26 2015-05-06 东莞鸿爱斯通信科技有限公司 介质谐振器
CN204927465U (zh) * 2015-09-07 2015-12-30 李登峰 一种可靠性高的腔体滤波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2369A1 (en) * 1999-04-14 2000-10-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tuning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71554B2 (ja) 2022-11-15
CN116053737A (zh) 2023-05-02
EP3534455A1 (en) 2019-09-04
EP3534455A4 (en) 2020-05-27
FI3534455T3 (fi) 2023-11-20
US20190252750A1 (en) 2019-08-15
CN109845028A (zh) 2019-06-04
US10998603B2 (en) 2021-05-04
JP2019531664A (ja) 2019-10-31
EP3534455B1 (en) 2023-08-23
KR20180045413A (ko) 2018-05-04
WO2018080078A1 (ko) 2018-05-03
CN109845028B (zh) 202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2238B1 (ko)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JP6081626B2 (ja) キャビティ構造を有する無線周波数フィルタ
KR102204646B1 (ko)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CN107210506B (zh) 具有空腔结构的射频滤波器
KR101728152B1 (ko) 캐비티형 무선 주파수 필터 및 그것의 제조방법
TWM415429U (en) Cavity filter
EP3384551B1 (en) Coaxial resonator with dielectric disc
KR200482481Y1 (ko) 무선 주파수 필터
CN105436653A (zh) 一种电子真空器件腔体的焊接专用夹具
KR102422720B1 (ko)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
KR101730084B1 (ko)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KR20150028372A (ko) 세라믹 공진기 및 이를 이용한 필터
JP2762877B2 (ja) 光マイクロ波共鳴器用キャビティ
KR101285770B1 (ko) 조립식 필터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5191976A (ja) リード端子、レゾネータ及び電子部品連
KR20230018561A (ko) 캐비티 필터 및 이의 주파수 튜닝 방법
JP2005086532A (ja) 誘電体共振器及び誘電体帯域通過フィルタ
JPH088608A (ja) フィルタ
JP2005303876A (ja) 誘電体共振器及び誘電体帯域通過フィルタ
JPH056908U (ja) 誘電体フイ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