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304A - 접속 단자 - Google Patents

접속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304A
KR20200004304A KR1020197032436A KR20197032436A KR20200004304A KR 20200004304 A KR20200004304 A KR 20200004304A KR 1020197032436 A KR1020197032436 A KR 1020197032436A KR 20197032436 A KR20197032436 A KR 20197032436A KR 20200004304 A KR20200004304 A KR 20200004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ion
channel
trigger
clamping
conductor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3781B1 (ko
Inventor
한스-요젭 쾰만
프랑크 하르트만
Original Assignee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209186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0000430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04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28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 H01R4/48365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with integral releas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spring force increased by screw, cam, wedge, or other fastening means
    • H01R4/483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8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 H01R4/48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5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insertion of a wire only possible by pressing on the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23Insulating enclosures f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08Modular bloc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체 삽입축(L)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도체 삽입 채널(3); 및 전도체 삽입 채널(3)의 옆에 배치되는 작동 채널(5);을 구비한 절연 재료 하우징(2)을 포함하는 접속 단자(1)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접속 단자(1)는, 접촉 다리부(12), 클램핑 다리부(15), 및 클램핑 다리부(15)와 접촉 다리부(12)를 연결하는 스프링 아치부(13)를 구비한 U자형 만곡 토션 스프링(11)과; 버스바(8)와; 작동 채널(5) 내에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수용되는 작동 트리거(6);도 포함한다. 접촉 다리부(12)는 버스바(8) 상에 장착되고, 클램핑 다리부(15)의 클램핑 에지부(17)는, 버스바(8)의 접촉 영역과 함께, 스프링 부하형 클램핑 연결부를 형성한다. 작동 채널(5) 내에서 작동 트리거(6)의 종방향 변위 방향을 통해 정의되는 작동축(B)과 전도체 삽입축(L)은 상호 간에 5° 내지 30°의 각도로 정렬된다.

Description

접속 단자
본 발명은 접속 단자(connection terminal)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접속 단자는
- 전도체 삽입축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전도체 채널 벽부로 전도체 삽입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도체 삽입 채널(conductor insertion channel); 및 전도체 삽입 채널의 옆에 배치되는 작동 채널;을 구비한 절연 재료 하우징(insulating material housing)과,
- 접촉 다리부, 클램핑 다리부, 및 클램핑 다리부와 접촉 다리부를 연결하는 스프링 아치부(spring arch)를 구비한 U자형 만곡 토션 스프링과,
- 버스바와,
- 작동 채널 내에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수용된 작동 트리거(actuation trigger)를 포함하며,
접촉 다리부는 버스바 상에 장착되고, 클램핑 다리부의 클램핑 에지부는, 버스바의 접촉 영역과 함께, 전도체 삽입 채널 내로 삽입되는 전기 전도체를 조임 고정(clamping)하기 위한 스프링 클램핑 연결부를 형성한다.
"동축으로"란 원통형 전도체 채널 벽부와 관련한 배치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전도체 채널 벽부의 균일한 횡단면의 무게중심이 연장 방향으로 전도체 삽입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면, 상기 무게중심은 동축이다.
DE 10 2013 111 574 A1호는 절연 재료 하우징 내에 변위 가능하게 수용된 작동 트리거와 전기 전도체를 조임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부하형 클램핑 연결부(spring-loaded clamping connection)를 개시하고 있다. 작동 트리거는 클램핑 스프링의 클램핑 다리부 상에서의 안착을 위한 작동면을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작동 트리거는 클램핑 다리부 상에서 안내되게 된다. 작동 트리거의 돌출된 노즈부(projecting nose)는 전도체 삽입 개구부(conductor insertion opening)의 입구부(mouth) 내로 돌출되어 전도체 삽입 개구부의 벽부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DE 10 2015 120 063 B3호는 절연 재료 하우징 및 스프링 부하형 클램핑 연결부를 포함한 전도체 단자(conductor terminal), 그리고 트리거 축부 내에 변위 가능하게 수용된 트리거를 개시하고 있다. 트리거는, 작동 상태에서 버스바 내에 구성된 전도체 수용 개구부의 위쪽에서 종결되는 돌출된 트리거 노즈부를 포함한다. 트리거는, 전도체 삽입 방향을 정의하는 전도체 삽입 개구부의 제한 벽부 상에 상기 전도체 삽입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접속 단자들의 절연 재료 하우징들 및 작동 트리거들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작동 트리거에, 그리고 그를 넘어 절연 재료 하우징에도 작용하는 힘들은 플라스틱 재료의 변형을 야기할 수 있다. 이는, 특히 클램핑 스프링의 옆에서 전도체 삽입 개구부 및 작동 트리거의 수용을 위해 클램핑 스프링의 영역에서 가용한 장착 공간과 그에 따른 가용한 재료 두께가 매우 제한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 기술을 기반으로, 향상된 접속 단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갖는 접속 단자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술되어 있다.
5° 내지 30° 및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의 각도로, 전도체 삽입축에 상대적으로, 작동 채널 내에서 작동 트리거의 종방향 변위 방향을 통해 정의되는 작동축을 정렬하는 것을 통해, 전도체 삽입 개구부 및 작동 트리거가 매우 작은 장착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점이 달성된다. 그렇게 하여, 삽입된 전도체 및 작동 트리거는, 자신들이 상호 간에 상기 예각을 이룬다면, 상호 간의 공통 (가상) 연결점(meeting point)을 향해 절연 재료 하우징 안쪽으로 변위된다. 각도 오프셋을 통해, 그에 따라 작동 채널과 전도체 삽입 채널 사이에서 가용한 공간을 작동 트리거의 최적화된 지지를 위해 활용할 수 있다. 전도체 삽입 채널의 연장 방향과 작동 채널의 연장 방향 간의 상대적 각도 오프셋을 통해, 결과적으로 작동 트리거의 변형 및 그에 따른 절연 재료 하우징의 변형 역시도 상쇄하기 위해, 클램핑 스프링의 클램핑 다리부에서부터 작동 트리거로 작용하는 힘 방향은 개선될 수 있다.
각도는 특히 구조적으로 매칭되는 제팅(jetting)에 의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와 동시에 20°보다 더 큰, 명시된 위쪽 각도 범위일 수 있다. 그와 비교할 만한 구조적인 형성들도 의도하는 각도 정렬을 확보하기 위해 생각해볼 수 있다.
전도체 채널 벽부는 작동 채널에 대한 분리 벽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작동 트리거는 전도체 삽입 채널을 원추형으로 테이퍼(taper)지게 하는 분리 벽부의 섹션 내에서 안내된다. 상기 섹션은 작동축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다.
작동축은 접속 개구부를 통해 펼쳐 형성되는 평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대략 수직으로"란 특히 ±5°, 바람직하게는 ±2°의 공차를 갖는 90°의 각도를 의미한다.
이런 방식으로, 원추형으로 테이퍼된 섹션(conically tapered section)은 클램핑 지점 쪽으로 조임 고정할 전기 전도체의 박피된 단부를 목표한 바대로 안내하기 위해 사용될 뿐만 아니라, 클램핑 스프링에 가깝게 위치하는 영역에서 작동 트리거를 위한 지지 벽부를 마련한다. 편향된 클램핑 스프링의 영향 하에, 작동 트리거를 통해 분리 벽부의 원추형으로 테이퍼된 섹션 상으로 인가되는 힘 성분들은, 전도체 삽입 채널의 분리 벽부의 섹션이면서 원추형으로 테이퍼되지 않은 상기 섹션 상에서 작동 트리거를 지지하는 경우보다 더 작은 예각으로 작용한다. 이런 방식으로, 분리 벽부의 소성 또는 탄성 변형의 위험은 감소될 수 있다.
버스바는 접속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고, 토션 스프링은 상기 접속 개구부 내로 삽입된다. 이런 경우, 작동 트리거는, 클램핑 다리부가 작동 트리거를 통해 접촉 다리부 쪽으로 변위되는 작동 상태에서, 상기 접속 개구부 안쪽으로 돌출된다.
재료 통로(material passage)의 유형으로 가이드 벽부들에 의해서도 채널 유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접속 개구부에 의해, 전기 전도체는 신뢰성 있게 클램핑 지점 쪽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전도체가 클램핑 스프링의 사전 편향 없이 작동 트리거에 의해 조임 고정된다면, 여타의 경우 자체의 연선들(strand)이 확산될 수 있는 것인 다연선형(multistranded) 전기 전도체에 적용된다. 그러나 상기 접속 개구부의 경우, 전기 전도체 및 클램핑 스프링의 수용을 위해 가용한 공간은 매우 감소된다. 가용한 작은 공간의 최적의 활용은, 상호 간에 5° 내지 20°의 각도로 작동축과 전도체 삽입축의 정렬을 통해 변형 위험 없이 달성된다. 이 경우, 클램핑 다리부의 클램핑 단부로 향하는 작동 트리거의 행정(stroke)이 최대한 충분히 활용될 때, 작동 트리거 및 클램핑 스프링의 상호작용은 실질적으로 개선된다. 이는, 작동 트리거가 작동 상태에서 접속 개구부 내로 밀어넣어질 때 달성된다. 그렇게 하여, 가용한 공간이 여전히 더 제한되기는 한다. 그러나 실제로, 작동축과 전도체 삽입축이 상호 간에 5° 내지 20°의 각도로 정렬된다면, 상기 행정 공간이 가용해진다. 이런 방식으로, 전기 전도체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작동 트리거를 따라서 안내되고 클램핑 다리부와 충돌하지 않는다.
작동 트리거는, 클램핑 다리부를 가압하는 자신의 작동 단부 상에, 작동 단부의 폭을 감소시키는 견부(should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견부는, 접속 개구부를 한정하는 버스바의 테두리 영역 상에서의 지지를 위한 정지부를 형성한다. 접속 개구부 내로 밀어넣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작동 트리거의 작동 단부가 테이퍼되는 것을 통해, 작동 트리거의 변위 경로는 작동 트리거와 버스바 사이의 정지부를 형성하는 견부에 의해 제한된다. 또한, 작동 트리거는, 작동 단부에서보다, 작동 단부의 위쪽에서 견부에 의해 더 광폭으로 형성된다. 그렇게 하여, 작동 트리거가 상대적으로 더 안정적이며, 그리고 절연 재료 하우징 상의 광폭화(broadening)된 단부에서, 인접하는 전도체 삽입 채널이 일반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기반으로 중앙 영역에서보다 더 두꺼운 영역에서 지지될 수 있다.
클램핑 다리부 쪽으로 향해 있는 작동 트리거의 표면은 작동 헤드부에서부터 출발하여 클램핑 다리부까지 돌출부 없이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작동 트리거는, 전도체 삽입 채널에서부터 클램핑 스프링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작동축에 대해 수직인 횡단면에서 볼 때, 작동 헤드부에서 출발하여 클램핑 다리부를 향해 돌출부 없이 형성된다. 따라서, 작동 단부가 클램핑 다리부의 방향으로, 그리고 그에 반대하여 전도체 삽입 채널의 입구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균일한 횡단면을 보유한다면, 다시 말해 돌출부를 보유하지 않는다면, 클램핑 스프링을 통해 작동 트리거에 작용할 수 있는 가능한 휨 모멘트는 방지되거나 적어도 감소된다. 또한, 작동 트리거에 의해 요구되는 공간은 돌출부 없는 형성을 통해 작게 유지된다.
클램핑 다리부를 가압하는, 작동 트리거의 작동 단부의 선단면은 라운딩된 윤곽을 보유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작동 단부가 비록 테이퍼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러나 라운딩된 윤곽을 통해 불리한 돌출부가 여전히 형성되지 않는다.
작동 채널은, 전도체 삽입 채널의 원통형 케이싱 수용 섹션의 옆에 위치하는 헤드 섹션에서, 절연 재료 하우징의 외면을 향해 원추형으로 확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작동 트리거는, 원추형으로 확대된 헤드 섹션 내에 작동 헤드부를 포함하며, 이 작동 헤드부는 전도체 삽입 채널에서부터 클램핑 스프링으로 향하는 횡단면에서 볼 때 절연 재료 하우징의 외면 쪽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두께를 보유한다. 평행한 정렬에 비해 작동축 및 전도체 삽입축의 경사 위치를 통해 외면을 향해 확대되는 장착 공간은, 광폭화된 작동 헤드부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작동 채널은 원추형으로 확대되는 헤드 섹션에 매칭되는 횡단면을 보유하며, 이 횡단면을 통해서는 절연 재료 하우징의 사출 성형 제조 동안 사출 성형 금형에서의 분리가 간단하면서도 신뢰성 있게 가능하다.
바깥쪽으로 원추형으로 확대되는 헤드 섹션을 통해, 작동 트리거의 가압을 위한 표면이 마련되며, 이 표면은 작동 툴로서의 통상적인 스크류 드라이버들에 의해 신뢰성 있게 가압될 수 있다.
클램핑 스프링의 클램핑 다리부는, 스프링 아치부에서부터 출발하여, 클램핑 다리부가 작동 트리거를 통해 접촉 다리부를 향해 편향되지 않는 비작동 상태에서, 클램핑 다리부가 작동 트리거의 옆에서 작동 트리거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어, 만곡부 후에 작동되지 않은 작동 트리거의 작동 단부의 아래쪽에서, 자신의 정지 위치에서 작동 채널 및 전도체 삽입 채널을 통과하거나, 또는 이 채널들의 입구부들을 통과하도록, 스프링 아치부에 대해 정렬될 수 있다. 스프링 아치부에서부터 출발하여 볼 때 그 후에 클램핑 다리부가 작동 트리거의 작동 단부의 아래쪽으로 통과되는 곳인 클램핑 다리부의 상기 만곡부는, 클램핑 다리부와 접촉 다리부 간의 이격 간격이 가장 작은 영역을 나타낸다. 이런 경우, 작동 트리거의 작동 단부는, 이 작동 단부가 스프링 아치부에서부터 볼 때 만곡부 후에 위치하는 클램핑 다리부의 섹션을 가압하고 작동 채널 내에서 작동 트리거의 변위 시에는 상기 섹션을 따라서 활주하도록, 클램핑 다리부에 대해 정렬된다. 그에 따라, 클램핑 스프링은, 스프링 아치부에서부터 출발하여 만곡부 후에 위치하는 클램핑 다리부의 영역에서, 스프링 아치부로부터 이격되어 가압된다. 그에 따라, 클램핑 스프링의 힘 작용이, 절연 재료 하우징 상에서 작동 트리거의 활주 평면(sliding plane)에 대해 수행되거나, 또는 작동축의 방향으로는, 작동 트리거에 작용하는 경사 및 휨 모멘트와 변형 에너지가 적게 유지되는 방식으로 최적인 각도로 수행되는 점이 보장된다.
클램핑 다리부의 만곡부는 90° 내지 160°, 및 바람직하게는 140°까지의 범위의 내각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클램핑 다리부가 작동축에 대해, 그리고 작동 트리거의 활주 평면에 대해 각각 전술한 이유에서 적합한 상태로 정렬되는 점이 보장된다.
클램핑 다리부는, 클램핑 다리부 단부 상에서 자신의 선단 에지부(front edge)로 클램핑 에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클램핑 에지부에 클램핑 다리부 단부를 연결하는 클램핑 섹션은 버스바의 접속 개구부로 향하는 방식으로 만곡될 수 있다. 이처럼 클램핑 다리부 단부 상에서 클램핑 다리부가 추가로 접히는 것을 통해, 작동 트리거의 작동 단부에 작용하는 클램핑 다리부의 섹션이, 클램핑 다리부 단부 상에서 상기 꺾임부가 없이 가능할 수도 있는 경우보다 작동축을 향해 더 큰 각도로 정렬될 수 있는 점이 달성된다.
클램핑 스프링의 클램핑 다리부는, 모든 작동 상태에서, 작동 트리거가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되는 활주 평면에 대해 50°보다 더 작은 각도로 힘을 작동 트리거에 인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작동 트리거에 작용하는 경사 모멘트뿐만 아니라 변형 에너지도 최대한 적게 유지되는 점이 보장된다.
작동축과 전도체 삽입축은 상이한 교차점들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클램핑 스프링의 클램핑 다리부와 교차할 수 있고, 상호 간에 이격되어 버스바 내의 접속 개구부를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접속 개구부를 포함하는 버스바의 평면 아래쪽에서 비로소 서로 교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작동 트리거와 조임 고정할 전도체는 서로 나란히 가깝게 위치하며, 그리고 작동 트리거 및 전기 전도체가 서로 독립적으로 클램핑 다리부 상에서 작용하고 작동 트리거는 작동 시 클램핑 다리부를 따라서 활주하도록, 상호 간에 각도를 이루면서 정렬된다.
작동 트리거의 작동 단부는 작동 상태에서 클램핑 다리부 단부 상에 가깝게 위치하거나, 또는 클램핑 에지부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단자는 전체적으로 더 작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 외에, 작동 단부가 매우 긴 경로에 걸쳐서 클램핑 다리부를 따라 활주한다는 사실과 관련하여, 작동력들은 균질화되고, 그에 따라 전체적으로 또한 감소된다. 이렇게, 작동력은 전체 작동 경로에 걸쳐서 대략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균일한 작동력 레벨로 이어진다. 그에 따라, 작동 트리거의 확실하면서도 균일한 복귀 역시도 가능하다.
작동 트리거는, 작동 채널 내의 돌출부와 함께, 작동 트리거의 작동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후퇴 정지부를 형성하는 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작동 채널에서부터 작동 트리거가 빠져나오는 점은 방지된다. 조립 동안, 작동 트리거는 작동 채널 내로 삽입되며, 측벽부들은, 후퇴 정지부가 측벽부의 리세스부 내지 래칭 에지부 뒷쪽에 스냅 고정될 때까지 확대될 수 있다.
작동 채널과 전도체 삽입 채널 사이에는 분리 벽부가 있다. 분리 벽부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작동 채널의 제한 벽부는 작동축에 상대적으로 경사져 있다. 그에 따라, 분리 벽부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작동 채널의 내벽부는 분리 벽부의 방향으로 작동 채널의 작동 개구부 쪽으로 갈수록 점점 가늘어지면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작동 트리거의 복귀 시, 분리 벽부 내지 전도체 삽입 채널의 방향으로 작동 트리거를 기울어지게 하며, 그럼으로써 분리 벽부와 헤드 단부 사이의 슬롯은 감소되게 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대부분 폐쇄되게 된다. 따라서, 오물 및/또는 이물질의 가능한 침입은 방지되며, 그리고 그 외에 시각적 느낌도 향상된다.
작동 트리거는 그루브형 함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루브형 함몰부들은 예컨대 측면 지지 표면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작동 트리거들을 위해, 상이한 함몰부들이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자동화된 조립을 위한 광학 검출을 위해 작동 트리거들의 부호화(coding)가 가능하다.
또한, 해당 유형에 따른 접속 단자를 위해, 클램핑 다리부가 작동 트리거를 통해 접촉 다리부를 향해 변위되는 작동 상태에서 버스바 및 작동 트리거가 접속 개구부 안쪽으로 돌출되는 점도 제안된다. 작동 채널의 중앙 작동축은 접속 개구부의 폭 방향으로 접속 개구부의 중심축에 대해 오프셋된다. 작동 채널 내에 수용된 작동 헤드부는, 그에 뒤이어 접속 개구부로 이어지는 작동 트리거의 섹션보다 폭 방향으로 더 두껍다. 따라서, 버스바의 평면에서 접속 개구부의 중심은 작동 채널의 중심과 일직선으로 정렬되지 않으며, 그럼으로써 전체적으로 대칭형으로 형성된 작동 트리거가 삽입된 경우, 작동 채널 내에서 접속 단자의 절연 재료 하우징의 측면 벽부와 작동 트리거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간극을 감소시키고, 그리고/또는 균일화하고 이와 동시에 예컨대 직렬 단자의 양 단부 상에서 동일한 대칭형 작동 트리거를 상호 간에 거울 회전 방식으로, 다시 말하면 반전된 방식으로 이용하기 위해, 작동 트리거의 작동 헤드부는, 나머지 섹션에 걸쳐서보다 폭 방향으로 약간 더 두껍게 형성된다. 그로 인해, 작동 채널의 작동 개구부는 폭 방향으로 작은 간극을 제외하고 최대한 가능한 정도로 채워지게 된다. 이 경우, 작동 트리거는, 작동 채널 내에서, 지지 레일 상의 직렬 단자의 장착 방향으로 약간 기울어져 정렬된다. 접속 단자의 앞서 기술한 또 다른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는 상기 실시형태는 접속 단자의 상면 상에서 균일한 접속 형상을 가져온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부정의 용어 "하나"란 그 자체로서 해석되어야 하고 수사로서는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의"란 문맥에서의 다수 역시도 고려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비작동 상태에서 접속 단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작동 상태에서 도 1의 접속 단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접속 단자의 잘라낸 부분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4는 비작동 상태에서 도 1의 접속 단자의 잘라낸 부분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5는 작동 상태에서 도 2의 접속 단자의 잘라낸 부분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비작동 상태에서 또 다른 접속 단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작동 상태에서 도 6의 접속 단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접속 단자의 일 실시형태의 잘라낸 부분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절단선 A-A로 잘라낸 부분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절단선 B-B로 잘라낸 부분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서 절단선 C-C로 잘라낸 부분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접속 단자의 작동 트리거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7의 접속 단자의 작동 트리거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8의 접속 단자를 밑에서부터 비스듬하게 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절연 재료 하우징(2)을 포함하는 접속 단자(1)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접속 단자(1)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지 잘라낸 부분만으로 도시되어 있고 상기 접속 단자를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는 직렬 단자의 일부분이다.
절연 재료 하우징(2)은,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전도체 채널 벽부들(4)을 통해 한정되는 전도체 삽입 채널(3)을 포함한다. 전도체 삽입 채널(3)의 옆에는 작동 채널(5)이 배치되며, 이 작동 채널 내에는 작동 트리거(6)가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작동 채널(5)에 인접하는 전도체 삽입 채널(3)의 전도체 채널 벽부(4)는 작동 채널(5)에 대한 분리 벽부(7)를 형성한다.
또한, 접속 단자(1)는 접속 개구부(9)를 구비한 버스바(8)를 포함하며, 접속 개구부는 버스바(8)에 의해 펼쳐 형성되는 평면 내에 구성된다. 접속 개구부(9)는, 버스바(8)의 평면에서 전기 전도체의 삽입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버스바(8)의 종방향 연장부로 정렬되는 측면 가이드 벽부들(10a)뿐만 아니라 안착 벽부(10b) 및 접촉 벽부(10c)도 포함하는 재료 통로로서 형성된다. 가이드 벽부들(10a)은 버스바(8)의 재료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전기 전도체를 위한 가이드 벽부들을 마련한다.
U자형 만곡 토션 스프링(11)은 버스바(8)의 상기 접속 개구부(9) 내로 삽입된다. 토션 스프링(11)은, 버스바(8)로부터 돌출된 안착 벽부(10b) 상에 안착되어 그곳에서 지지되는 접촉 다리부(12)를 포함한다. 토션 스프링(11)의 접촉 다리부(12)에는 스프링 아치부(13)가 이어진다. 토션 스프링은 절연 재료 하우징(2)의 자유 공간 내에 수용된다. 토션 스프링(11)의 이동 공간은, 자유 공간을 한정하는 절연 재료 하우징(2)의 벽부 표면들을 통해,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추가적인 파지 핀(14)(holding pin)을 통해 한정될 수 있다.
스프링 아치부(13)에는, 접촉 다리부(12)에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클램핑 다리부(15)가 이어진다. 상기 클램핑 다리부(15)는 자신의 자유 클램핑 단부로 접속 개구부(9) 내로 밀어넣어진다. 클램핑 다리부(15)는, 클램핑 다리부 단부(16) 상의 자신의 선단 에지부로 클램핑 에지부(17)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전도체 삽입 채널(3) 내로 삽입된 전기 전도체는, 클램핑 에지부(17)와 버스바(8) 사이에서 조임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스바(8)는, 버스바(8)의 재료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버스바(8)의 평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접속 개구부(9)의 여유 공간 안쪽으로 연장되는 접촉 벽부(10c)를 마련한다. 접촉 벽부(10c)는, 돌출된 접촉 에지부(19)가 마련되고 삽입된 전도체가 없는 도시된 정지 상태에서 클램핑 에지부(17)가 접속 개구부(9) 내에서 접촉 벽부(10c)에 안착되도록, 만곡 윤곽을 통해 형성된다.
클램핑 다리부(15)는 스프링 아치부(13) 근처에서 만곡부(20)를 포함하며, 그리고 이런 방식으로, 클램핑 다리부(15)가 작동 트리거(6)를 통해 편향되지 않은 도시된 비작동 상태에서 클램핑 다리부(15)가 스프링 아치부(13)에서부터 출발하여 우선 작동 트리거(6)의 연장 방향으로 작동 트리거(6)의 옆에서, 그리고 만곡부(20)에 이어지면서 작동 트리거(6)의 작동 단부(21)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안내된다. 이런 방식으로, 클램핑 다리부(15)는 작동 채널(5) 및 전도체 삽입 채널(3)을 횡방향으로 통과하거나, 또는 이 채널들의 입구부들을 횡방향으로 통과한다. "횡방향으로"란, 클램핑 다리부(15)가 45°보다 더 큰 각도로 작동 채널(5) 및 전도체 삽입 채널(3)과 교차하고 그에 따라 그들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되는 것을 의미한다.
클램핑 다리부(15)는, 자신의 만곡부(20)에 의해, 계속해서, 클램핑 다리부(15)와 접촉 다리부(12) 간의 이격 간격이 만곡부에서 가장 작도록 형성된다.
또한, 분명하게는, 분리 벽부(7)는 비작동 상태에서 클램핑 다리부(15)까지 아래쪽으로 이어져 있다. 분리 벽부(7)는 클램핑 다리부(15)와 접촉하지 않아도 될뿐더러, 작은 간극의 이격 간격으로 클램핑 다리부에 인접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이격 간격은 최대한 작아야 하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공차 치수로서의 클램핑 다리부(15)의 두께보다 더 작아야 한다. 그에 따라, 작동 트리거(6)가, 클램핑 스프링(11) 근처에서도, 클램핑 스프링(11)을 통해 작동 트리거(6)로 작용하고 그에 따라 그 상에 안착되는 분리 벽부(7)로도 작용하는 힘 작용이 가장 큰 영역에서 안내되는 점이 달성된다.
또한, 분명하게는, 바깥쪽으로 이어지는 전도체 삽입 채널(3)의 영역에서는, 원통형 케이싱 수용 섹션(M)이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전도체 채널 벽부들(4)을 통해 제공된다. 상기 케이싱 수용 섹션(M)은 타원형이거나, 또는 다각형일 수도 있다. 요지는, 단지 케이싱 수용 섹션(M)의 영역에서 지름 내지 횡단면 표면이 전도체 삽입축(L)에 걸쳐 균일하기만 하면 된다는 점에 있다. 전도체 삽입축(L)은 전도체 삽입 채널(3)의 연장 방향을 통해, 그리고 그에 따라 그에 동심으로 연장되는 전도체 채널 벽부들(4)을 통해 결정된다.
케이싱 수용 섹션(M)에는, 버스바(8)를 향해 원추형으로 테이퍼되는 섹션이 이어진다. 작동 채널(5)에 대한 중간 벽부로서 이용되는 분리 벽부(7)는, 원추형으로 점점 가늘어지는 전도체 삽입 채널(3)의 상기 영역에서, 작동축(B)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상기 작동축(B)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된다. 작동축(B)은 작동 트리거(6)의 연장 방향을 통해, 그리고 작동축(B)을 중심으로 동심으로 연장되는 작동 채널(5)의 내벽부들의 그에 매칭되는 형태를 통해 결정된다.
분명하게는, 작동축(B)은 전도체 삽입축(L)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정렬된다. 작동축(B)과 전도체 삽입축(L) 간의 각도는 5° 내지 20°의 범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도는 약 15°+/-5°이다.
또한, 분명하게는, 작동축(B)은 버스바(8)의 평면에 대해, 그리고 그에 따라 접속 개구부(9)를 통해 펼쳐 형성되는 평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정렬된다. 전도체 삽입축(L)은 버스바(8)의 평면에 대해 약 75°의 내각을 갖는다.
또한, 작동 채널(5)이, 원통형 케이싱 섹션(M) 옆에 위치하는 헤드 섹션에서, 절연 재료 하우징(2)의 외면을 향해 원추형으로 확대되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작동 채널(5)의 원추형으로 확대되는 상기 헤드 섹션에서, 작동 트리거(6)의 작동 헤드부(22)는, 전도체 삽입 채널(3)에서부터 클램핑 스프링으로 향하는 횡단면에서 볼 때, 다시 말하면 도시된 단면에서 헤드 단부 쪽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두께를 보유한다.
작동 트리거(6)의 헤드 단부 상에는, 작동 툴의 단부의 수용을 위해 제공되는 작동 슬롯(23) 또는 다른 방식의 리세스부가 제공된다.
전도체 삽입 채널(3)과 작동 채널(5) 사이의 분리 벽부(7)는 자신의 외단부 상에 러그(24)(lug)를 포함한다. 상기 러그는, 전도체 삽입 채널(3) 및 작동 채널(5)에서부터 인출된 사출 성형 금형 부재의 분리 후에 탄성 변형을 통해 형성된다.
도 2에는, 이제는 작동되는 상태로 도 1의 접속 단자(1)가 도시되어 있다. 분명하게는, 이제 작동 트리거(6)는 작동 채널(5) 내에서 작동축(B)의 방향으로 버스바(8)를 향해 하방으로 선형 변위된다. 이 경우, 작동 트리거(6)는 분리 벽부(7)를 통해 형성되는 활주 평면(G) 상에서 작동축(B)의 방향으로 안내된다. 작동 트리거(6)의 작동 동안, 다시 말하면 버스바(8)의 방향으로 내리누르는 동안, 클램핑 스프링(11)의 클램핑 다리부(15)는 작동 트리거(6) 상으로 힘을 인가한다. 이 경우, 힘 방향은 활주 평면(G)에 대해 항상 50° 미만이며, 그리고 그에 따라 실질적으로 작동축(B)의 방향으로 지향된다. 그에 따라, 작동 트리거(6)에 작용하는 횡력의 영향은 현저하게 감소된다. 그 외에도, 버스바(8) 쪽을 향해 하방으로 매우 많이 당겨지는 분리 벽부(7)는 상기 횡력과 그에 기인하는 경사 모멘트를 포착할 수 있다. 클램핑 스프링(11)에 의해 작동 트리거(6)에 작용하는 힘들은 모든 작동 상태에서 분리 벽부(7) 상으로 지향되며, 그리고 절연 재료 하우징(2)을 통해 지지되지 않는 작동 트리거(6)의 영역으로는 지향되지 않는다.
클램핑 다리부(15)는 2가지 편향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작동 트리거(6)와 교차하는 상부 상태에서, 작동 트리거(6)는 버스바(8)의 접속 개구부(9) 내로 밀어넣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전기 전도체를 조임 고정하기 위한 삽입 치수(S1)는 원추형으로 테이퍼된 전도체 삽입 채널(3)의 최소 지름보다 훨씬 더 작을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전기 전도체는 클램핑 단부(16)에 충돌할 수도 있고 이 클램핑 단부에 의해 상기 협폭 공간 내로 안내될 수도 있다.
클램핑 다리부(15)의 실제 편향 상태는 삽입 치수(S2)를 가지면서 더 많이 편향된 상태이다. 분명하게는, 여기서는, 사실상 원추형으로 테이퍼된 전도체 삽입 채널(3)의 최소인 전체 지름과 일치하는 삽입 치수가 달성된다. 이런 상태에서, 작동 트리거(6)는 자신의 작동 단부(21)로 깊이(T)를 갖는 버스바(8)의 삽입 개구부(9) 내로 밀어넣어진다. 상기 깊이(T)는 접속 개구부(9)를 연결하는 영역에서 버스바(8)의 두께보다 더 크다. 분명하게는, 분리 벽부(7)에 의해 안내되면서 전도체 삽입 채널(3) 내로 삽입되는 전기 전도체는, 그에 뒤이어, 그 다음 비로소 클램핑 에지부(17)에 도달하기 위해, 우선 한번은 작동 트리거(6)의 작동 단부(21)를 통해 안내된다. 따라서, 작동 트리거(6)의 작동 단부(21)는 접속 단자의 내부 공간 내로 향하는 분리 벽부(7)의 자유 단부와 클램핑 다리부 단부(16)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클램핑 다리부(15)의 클램핑 에지부(17)는 작동 트리거(6)의 작동 단부(21)에 상대적으로 원상태로 복귀된다.
또한, 분명하게는, 접촉 다리부(12)까지 클램핑 다리부(15)의 최소 이격 간격은 작동 상태에서도 적어도 만곡부(20)의 영역에도 제공된다.
작동 트리거(6)의 작동 동안, 작동 단부(21)는, 클램핑 다리부 단부(16)로 향하는 추가 만곡부까지 만곡부(20)에 이어지는 영역에서 클램핑 다리부(15) 상에서 활주한다. 그에 따라, 클램핑 다리부(15)를 따라서 상대적으로 긴 활주 경로가 사용된다. 버스바(8)에 인접할 때까지 아래로 당겨지는 분리 벽부(7), 및 돌출부 없이 작동축(B)의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자신의 작동 단부(21)로 작동축(8)과 일직선으로 작용하는 작동 트리거(6)와 함께 상기 구성을 통해, 작동 트리거(6)에 작용하는 변형력들이 최소가 되는 점이 달성된다. 또한, 작동 트리거(6)와 클램핑 스프링(11) 간의 상호작용은 긴 작동 행정(actuation stroke)을 통해 최적화된다. 전기 전도체를 조임 고정하고 클램핑 스프링(11)을 수용하기 위한 접속 개구부(9) 내에 가용한 작은 공간은 작동축(B)과 전도체 삽입축(L)의 각도 오프셋을 통해 계속하여 작동 트리거(6)의 수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는 완전하게 작동되는 상태에서, 스프링 아치부(13)로부터 최대한 멀리 이격된 지점에서 클램핑 스프링(11)에 작용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힘 작용은 최적화되게 된다.
또한, 분명하게는, 바깥쪽을 향해 원추형으로 확대되는 작동 헤드부(22)는 완전하게 내리눌러진 작동 상태에서, 절연 재료 하우징(2)의 외면을 향해 원추형으로 확대되는 작동 채널(5)의 헤드 섹션에 매칭된다. 이 경우, 선택적으로, 헤드 섹션 상의 단차부(25)(step)는 작동 채널(5) 내의 단차부(26)와 함께 정지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정지부에 의해서는 버스바(8)로 향하는 작동 트리거(6)의 변위 경로가 제한된다.
도 3에서는, 비작동 상태에서 도 1의 접속 단자(1)의 잘라낸 부분이 상면도로 확인된다. 분명하게는, 헤드 섹션(22)은 작동 슬롯(2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동 슬롯은 예컨대 십자형, 각형 또는 원형과 같은 다른 형태 역시도 보유할 수 있다.
또한, 분명하게는, 전도체 삽입 채널(3)과 작동 채널(5) 사이에서 전도체 채널 벽부(4)를 형성하는 분리 벽부(7)는 전도체 삽입 채널(3)의 횡단면에서 고려할 때 만곡되어 있다. 작동 헤드부(22)는 그에 매칭되는 만곡된 윤곽을 보유한다. 이는, 작동 헤드부(22)에 연결되면서 작동 단부(21)로 이어지며 그 다음 자신의 길이에 걸쳐 균일한 횡단면을 보유하는 작동 트리거(6)의 섹션에도 적용된다.
도 4에는, 비작동 상태에서 도 1의 접속 단자(1)의 잘라낸 부분이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작동 트리거(6)가, 단면에서, 버스바(8)의 폭 방향으로, 그에 연결되면서 버스바(8)로 이어지는 중앙 섹션(27)에서보다, 작동 헤드(22)의 영역에서 더 작은 폭을 보유하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섹션(27)에서는, 작동 트리거(6)의 윤곽에서부터 측면 지지 표면들(28a, 28b)이 돌출되어 있으며, 이 측면 지지 표면들은 절연 재료 하우징(2)의 가이드 벽면들 상에서 지지된다. 이런 지지는, 중간에 위치하는 분리 벽부(7)의 섹션이면서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섹션처럼, 인접한 전도체 삽입 채널(3)을 통해 그렇게 심하게 약화되지 않는 절연 재료 하우징(2)의 영역에서 수행된다.
또한, 작동 트리거(6)가, 클램핑 다리부(15)를 가압하는 자신의 작동 단부(21) 상에, 중앙 섹션(27) 및 작동 헤드부(22)에 비해 작동 단부(21)의 폭을 감소시키는 견부(29a, 29b)를 포함하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견부(29a, 29b)는 접속 개구부(9)를 한정하는 버스바(8)의 테두리 영역(30) 상에서의 지지를 위한 정지부를 형성한다.
도시된 횡단면도에서 볼 때 작동 섹션(21)의 폭은, 버스바(8) 내의 접속 개구부(9)의 폭에 매칭되며, 그리고 접속 개구부(9)의 상기 폭보다 적어도 극미하게 더 작다. 이런 방식으로, 작동 트리거(6)가 접속 개구부(9) 내로 밀어넣어질 수 있는 점이 보장된다.
도 5에는, 작동 상태에서 도 2의 접속 단자(1)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도 분명하게, 작동 단부(21)는 버스바(8)의 접속 개구부(9) 내로 밀어넣어진다. 이 경우, 작동 단부(21)로 향하는 중앙 섹션(27)의 광폭화되는 측면 지지 표면들(28a, 28b)의 전이부에서 형성되는 견부들(29a, 29b)은, 접속 개구부(9)를 측면에서 한정하는 버스바(8)의 테두리 영역들(30)에 충돌한다. 이 경우, 접속 개구부(9) 안쪽으로 작동 트리거(6)가 추가로 내리눌러지는 점은 방지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 분명하게는, 접속 개구부(90)의 중심이 작동 채널(5)의 중심과 일직선으로 정렬되지 않는다. 전체적으로 대칭형으로 형성된 작동 트리거(6)가 삽입된 경우, 작동 채널(5) 내에서 접속 단자(1)의 절연 재료 하우징(2)의 측면 벽부와 작동 트리거(6) 사이에 간극이 존재한다.
도 6에서는, 접속 단자(1)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단면도가 확인된다. 상기 접속 단자는, 구성과 관련하여, 앞에서 기술한 접속 단자(1)와 비슷하게 형성되며,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일부 변형만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실질적으로 전술한 설명이 참조될 수 있다.
분명하게는, 여기서도, 전도체 삽입 채널(3)은 우선 원통형 케이싱 섹션(M)을 포함하며, 이 원통형 케이싱 섹션은 그 다음 원추형으로 테이퍼된 섹션으로 전이된다. 이 경우, 원추형으로 테이퍼된 상기 영역 내의 분리 벽부(7)는 작동 트리거(6)를 위한 지지 및 활주 표면(G)을 형성한다. 활주 표면(G)은 작동축(B)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된다. 여기서도, 분리 벽부(7)는, 비작동 상태에서 클램핑 다리부(15)가 분리 벽부(7)에 대해 바로 인접하는 방식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작은 간극으로 이격될 정도로, 버스바(8)의 상부 평면, 내지 접속 개구부(9)를 통해 펼쳐 형성되는 평면에서부터 아래로 당겨진다.
상기 실시예에서, 작동 헤드부(22)는 전도체 삽입 채널(3)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노즈부(31)를 포함하며, 이 노즈부는 비작동 상태에서 자유롭게 작동 채널(5)의 원추형으로 광폭화되는 헤드 섹션 안쪽으로 돌출된다.
클램핑 스프링(11)에 인접하는 영역에서, 작동 트리거(6)는 돌출부 없이 형성되며, 그리고 작동 단부(21)를 향해 테이퍼된다. 작동력(F)은 클램핑 다리부(15)에서부터 작동 트리거(6)의 클램핑 단부(21)로 인가되고, 도시된 것처럼 활주 평면(G) 내지 작동축(B)에 대해 예각으로 정렬된다. 상기 예각은 50° 미만이다. 도시된 비작동 상태에서, 활주 평면(G)에 대한 힘 방향(F)의 내각은 약 30°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도, 작동축(B)은 전도체 삽입축(L)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오프셋 되어 배치된다. 상기 각도는 여기서도 약 15°+/-5°이다.
매우 적합한 각도는 16°이며, 작동축(B)은 버스바(8)의 평면, 내지 버스바(8) 내에서 접속 개구부(9)를 통해 펼쳐 형성되는 평면에 대해 수직을 이룬다.
도 7에는, 작동 상태에서 도 6의 접속 단자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작동 트리거(6)는 이제 선형으로 작동축(B)의 방향으로, 또는 활주 평면(G)을 따라서 도면 평면에서 버스바를 향해 하방으로 변위되며, 그럼으로써 테이퍼된 작동 단부(21)는 버스바(8)의 접속 개구부(9) 내로 밀어넣어지게 된다. 이 경우, 클램핑 스프링(11)의 클램핑 다리부(15)는, 작동 단부(21) 상으로, 활주 평면(G)에 대해 50° 미만의 각도로 작용하는 작동력(F)을 인가한다. 여기서도, 내각이 관찰된다. 그에 따라, 클램핑 다리부(5)에서부터 작동 트리거(6) 상으로 작용하는 힘은 작동축(B)에 대해 횡방향으로보다는 오히려 상기 작동축의 방향으로 지향된다. 이 경우, 힘 방향은, 분리 벽부(7)로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된다. 그에 따라, 작동 단부(21) 상에 작용하는 경사 모멘트는 무시될 수 있다. 활주 평면(G) 및 작동축(B)의 연장 방향을 따라가면서 돌출부들을 포함하지 않는 테이퍼된 작동 단부(21)를 기반으로, 작동 트리거(6)의 안정성을 저하시킬 수도 있는 상기 불리한 경사 모멘트 및 변형 에너지는 방지된다.
두 실시예에서, 분명하게는, 분리 벽부(7)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전도체 채널 벽부(4)는, 케이싱 수용 섹션(M)을 넘어서, 우선 사면 없이 이어진다. 그곳에서 연결되면서 전도체 삽입 채널(3)의 원추형 테이퍼로 이어지는 사면은, 버스바(8)로 향하는 전도체 삽입 방향으로 볼 때, 케이싱 수용 섹션(M)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분리 벽부(7)는 작동 채널(5)을 향해 케이싱 수용 섹션(M)의 아래쪽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반면, 전도체 채널 벽부(4)는 대향하는 면에서 제1 사면 후에 또 다른 단부 섹션을 포함하며, 이 단부 섹션은 실질적으로 케이싱 섹션(M) 내에서 전도체 채널 벽부(4)의 연장 방향을 따라간다. 그 다음, 상기 단부 섹션은 버스바(8)에 이어지기 위한 접속 개구부(9)의 전이부로 전이되고 그에 따라 클램핑 벽부(10c)의 연장부로서 이용된다.
그와 반대로, 제1 실시예에서, 작동 개구부(5)로 향하는 분리 벽부(7)는 버스바(8)를 향하는 작동 트리거(6)를 위한 가이드 섹션의 영역에서 직선이다. 그러나 분리 벽부(7)는 상기 가이드 섹션 내에서 불균일한 횡단면을 보유하고, 케이싱 섹션(M)의 아래쪽에서 전도체 삽입 채널(3)을 원추형으로 테이퍼지게 하는 벽 섹션을 형성한다. 전도체 삽입 채널(3)의 상기 원추형 테이퍼에 이어서, 전도체 삽입 채널(3)의 단부 섹션은, 버스바(8) 내의 접속 개구부(9)의 입구부 내에서, 원통형 섹션으로, 또는 균일한 횡단면을 포함한 섹션으로 전이된다.
도 8에는, 작동 트리거(6)의 작동 헤드부(22)의 영역에서 접속 단자(1)의 실시형태의 잘라낸 부분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분명하게는, 분리 벽부(7)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작동 채널(5)의 내벽부(40)는, 작동 채널(5)의 헤드 단부 상의 작동 개구부를 향해, 분리 벽부(7)로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된다. 이는, 작동 트리거(6)의 도시된 복귀 동안, 분리 벽부(7) 및 전도체 삽입 채널(3)로 향하는 방향으로 작동 트리거(6)를 기울어지게 한다. 그에 따라, 도 3 및 도 4에서 확인될 수 있는, 분리 벽부(7)와 작동 헤드부(22) 사이의 간극 또는 슬롯은 적어도 대부분 폐쇄된다. 따라서, 오물 및/또는 이물질의 가능한 침입은 방지되며, 그리고 시각적 느낌은 향상된다.
분명하게는, 작동 헤드부(22)는, 나머지 섹션에 걸쳐서보다 폭 방향으로 약간 더 두껍게 형성된다. 그에 따라, 작동 채널(5)의 작동 개구부는 폭 방향으로 작은 간극을 제외하고 최대한 가능한 정도로 채워질 수 있다. 이 경우, 작동 트리거(6)는, 작동 채널(5) 내에서, 지지 레일 상의 직렬 단자의 장착 방향으로, 다시 말하면 측벽부들로 향하는 방향으로 약간 기울어져 정렬된다. 그에 따라, 직렬 단자의 양 단부 상에는 각각 동일한 대칭형 작동 트리거(6)가 반전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균일한 접속 형상이 달성된다.
도 9에서는, 도 8에서 절단선 A-A로 잘라낸 부분의 횡단면도가 확인된다. 이 경우, 분명하게는, 작동 헤드부(22)는 잔존하는 작은 간극을 제외하고 작동 채널을 채운다. 또한, 분명하게는, 전도체 삽입 채널의 측벽부는 측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런 영역 내로는, 조임 고정할 전기 전도체의 절연 재료 케이싱이 밀어넣어질 수 있으며, 이 절연 재료 케이싱은 측벽부의 절연 기능을 담당한다. 그에 따라, 접속 단자는, 예컨대 직렬 단자의 형태로, 상대적으로 더 협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도 8에서 절단선 B-B로 잘라낸 부분의 횡단면도가 확인된다. 분명하게는, 작동 트리거(6)는, 상기 단면에서, 작동 헤드부(22)의 영역에서보다 분명하게 더 협폭이다. 또한, 전도체 삽입 개구부(3)는 상기 영역에서도 측면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그리고 조임 고정할 전기 전도체의 절연 재료 케이싱으로, 또는 그 옆에 배치되는 직렬 단자의 측벽부로 비로소 외주를 따라 폐쇄된다.
도 11에서는, 도 8에서 절단선 C-C로 잘라낸 부분의 횡단면도가 확인된다. 작동 트리거(6)는, 상기 단면 영역에서, 내리눌러질 때 클램핑 에지부를 향해 클램핑 다리부(15) 상에서 활주하도록 하기 위해, 클램핑 스프링의 클램핑 다리부(15) 상에 안착된다. 전도체 삽입 개구부(3)는, 상기 단면 영역에서, 이제 테이퍼되고 절연 재료 하우징(2)을 통해 외주를 따라 폐쇄된다. 상기 단면 영역에는, 조임 고정할 전기 전도체의 박피된 단부가 수용된다.
도 12 및 도 13에는, 도 7의 접속 단자의 작동 트리거의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작동 트리거(6)가 측면 지지 표면들(28a, 28b)의 영역에서 광폭화되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폭은 적어도 작동 트리거(6)의 작동 상태에서 전도체 삽입 채널(3)의 폭 내지 지름보다 더 돌출되며, 그럼으로써 작용하는 스프링 힘들은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측면 측벽부들에 의해 흡수될 수 있게 된다. 이는 도 11에 암시되어 있다. 그렇게 하여, 분리 벽부(7)는 중앙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더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전체적으로 접속 단자의 상대적으로 더 작은 형성으로 이어진다.
또한, 작동 트리거(6)가 지지 표면들(28a, 28b)의 영역에서 그루브형 함몰부들(32)을 포함하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들은, 작동 트리거(6)의 상이한 변형들을 위해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그루브형 함몰부들(32)은, 자동화된 광학 검출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자동화된 조립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코드들이다.
도 14에는, 도 8의 접속 단자(1)를 밑에서부터 비스듬하게 보고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분명하게는, 전도체 삽입 채널(3)의 측면으로 개방된 측벽부는 조임 고정할 전기 전도체(33)의 절연 재료 케이싱을 통해 채워진다. 또한, 작동 트리거가 클램핑 스프링(11)의 클램핑 다리부(15) 상에 안착되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지지 표면들은 측면으로 돌출되어 절연 재료 하우징(2) 상에 안착된다.

Claims (21)

  1. - 전도체 삽입축(L)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전도체 채널 벽부(4)로 전도체 삽입축(L)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도체 삽입 채널(3); 및 전도체 삽입 채널(3)의 옆에 배치되는 작동 채널(5);을 구비한 절연 재료 하우징(2)과,
    - 접촉 다리부(12), 클램핑 다리부(15), 및 클램핑 다리부(15)와 접촉 다리부(12)를 연결하는 스프링 아치부(13)를 구비한 U자형 만곡 토션 스프링(11)과,
    - 버스바(8)와,
    - 작동 채널(5) 내에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수용된 작동 트리거(6)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1)이며,
    접촉 다리부(12)는 버스바(8) 상에 장착되고, 클램핑 다리부(15)의 클램핑 에지부(17)는, 버스바(8)의 접촉 영역과 함께, 전도체 삽입 채널(3) 내로 삽입되는 전기 전도체를 조임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클램핑 연결부를 형성하는, 상기 접속 단자에 있어서,
    작동 채널(5) 내에서 작동 트리거(6)의 종방향 변위 방향을 통해 정의되는 작동축(B)과 전도체 삽입축(L)은 상호 간에 5° 내지 30°의 각도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1).
  2. 제1항에 있어서, 작동축(B)과 전도체 삽입축(L)은 상호 간에 5° 내지 20°의 각도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도체 채널 벽부(4)는 작동 채널(5)에 대한 분리 벽부(7)를 형성하며, 그리고 작동 트리거(6)는 전도체 삽입 채널(3)을 원추형으로 테이퍼지게 하는 분리 벽부(7)의 섹션 내에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스바(8)는 접속 개구부(9)를 포함하며, 그리고 토션 스프링(11)은 접속 개구부(9) 내로 삽입되며, 작동 트리거(6)는, 클램핑 다리부(15)가 작동 트리거(6)를 통해 접촉 다리부(12) 쪽으로 변위되는 작동 상태에서, 접속 개구부(9) 안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1).
  5. 제4항에 있어서, 작동 트리거(6)는, 클램핑 다리부(15)를 가압하는 자신의 작동 단부(21) 상에, 작동 단부(21)의 폭을 감소시키는 견부(29a, 29b)를 포함하며, 견부(29a, 29b)는, 접속 개구부(9)를 한정하는 버스바(8)의 테두리 영역(30) 상에서의 지지를 위한 정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램핑 다리부(15) 쪽으로 향해 있는 작동 트리거(6)의 표면은 작동 헤드부(22)에서부터 출발하여 클램핑 다리부(15)까지 돌출부 없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램핑 다리부(15)를 가압하는, 작동 트리거(6)의 작동 단부(21)의 선단면은 라운딩된 윤곽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채널(5)은, 전도체 삽입 채널(3)의 원통형 케이싱 수용 섹션(M)의 옆에 위치하는 헤드 섹션에서, 절연 재료 하우징(2)의 외면을 향해 원추형으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1).
  9. 제8항에 있어서, 작동 트리거(6)는, 원추형으로 확대된 헤드 섹션 내에 작동 헤드부(22)를 포함하며, 작동 헤드부(22)는 작동축(B)에 대해 수직인 횡단면에서 볼 때 절연 재료 하우징(2)의 외면 쪽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두께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램핑 다리부(15)는, 스프링 아치부(13)에서부터 출발하여, 클램핑 다리부(15)가 작동 트리거(6)를 통해 접촉 다리부(12)를 향해 편향되지 않는 비작동 상태에서, 작동 트리거(6)의 옆에서 작동 트리거(6)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어, 만곡부(20) 후에 작동되지 않은 작동 트리거(6)의 작동 단부(21)의 아래쪽에서, 자신의 정지 위치에서 작동 채널(5) 및 전도체 삽입 채널(3)을 통과하거나, 또는 상기 채널들의 입구부들을 통과하며, 클램핑 다리부(15)와 접촉 다리부(12) 간의 이격 간격은 만곡부(20) 상에서 가장 작으며, 그리고 작동 단부(21)는, 스프링 아치부(13)에서부터 볼 때 만곡부(20) 후에 위치하는 클램핑 다리부(15)의 섹션을 가압하고 작동 채널(5) 내에서 작동 트리거(6)의 변위 시에는 상기 섹션을 따라서 활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1).
  11. 제10항에 있어서, 만곡부(20)는 90° 내지 160° 범위의 내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램핑 다리부(15)는 클램핑 다리부 단부(16) 상에서 자신의 선단 에지부로 클램핑 에지부(17)를 형성하며, 클램핑 에지부(17)를 구비한 클램핑 다리부 단부(16)를 포함하는 클램핑 섹션은 버스바(8)의 접속 개구부(9)로 향하는 방식으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램핑 다리부(15)는, 모든 작동 상태에서, 작동 트리거(6)가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되는 활주 평면(G)에 대해 50°보다 더 작은 각도로 힘을 작동 트리거(6)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축(B)과 전도체 삽입축(L)은 상이한 교차점들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클램핑 스프링(11)의 클램핑 다리부(15)와 교차하고, 상호 간에 이격되어 버스바(8) 내의 접속 개구부(9)를 통과하여 연장되며, 그리고 접속 개구부(9)를 포함하는 버스바(8)의 평면 아래쪽에서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트리거(6)는, 작동 채널(5) 내의 돌출부와 함께, 작동 트리거(6)의 작동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후퇴 정지부를 형성하는 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1).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채널(5)과 전도체 삽입 채널(3) 사이에는 분리 벽부(7)가 있으며, 그리고 분리 벽부(7)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작동 채널(5)의 제한 벽부는 작동축(B)에 상대적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1).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트리거(6)는 그루브형 함몰부들(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1).
  18. - 전도체 삽입축(L)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전도체 채널 벽부(4)로 전도체 삽입축(L)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도체 삽입 채널(3); 및 전도체 삽입 채널(3)의 옆에 배치되는 작동 채널(5);을 구비한 절연 재료 하우징(2)과,
    - 접촉 다리부(12), 클램핑 다리부(15), 및 클램핑 다리부(15)와 접촉 다리부(12)를 연결하는 스프링 아치부(13)를 구비한 U자형 만곡 토션 스프링(11)과,
    - 접속 개구부(9)를 구비한 버스바(8)와,
    - 작동 채널(5) 내에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수용된 작동 트리거(6)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1)이며,
    토션 스프링(11)은 접속 개구부(9) 내로 삽입되고, 접촉 다리부(12)는 버스바(8) 상에 장착되며, 클램핑 다리부(15)의 클램핑 에지부(17)는, 버스바(8)의 접촉 영역과 함께, 전도체 삽입 채널(3) 내로 삽입되는 전기 전도체를 조임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클램핑 연결부를 형성하는, 상기 접속 단자에 있어서,
    클램핑 다리부(15)가 작동 트리거(6)를 통해 접촉 다리부(12)를 향해 변위되는 작동 상태에서 버스바(8) 및 작동 트리거(6)는 접속 개구부(9) 안쪽으로 돌출되며, 그리고 작동 채널(5)의 중앙 작동축(B)은 접속 개구부(9)의 폭 방향으로 접속 개구부(9)의 중심축에 대해 오프셋되고, 작동 채널(5) 내에 수용된 작동 헤드부(22)는, 그에 뒤이어 접속 개구부(9)로 이어지는 작동 트리거(6)의 섹션보다 폭 방향으로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1).
  19. 제18항에 있어서, 작동 트리거(6)는 작동 헤드부(22)에서부터 작동 단부(21)까지 접속 개구부(9)의 폭 방향으로 횡단면에서 볼 때 작동 채널(5) 내에 접속 개구부(9)의 개구 평면에 대해 기울어져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1).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축(B)은 접속 개구부(9)를 통해 펼쳐 형성된 평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1).
  21. 제20항에 있어서, 전도체 채널 벽부(4)는 작동 채널(5)에 대한 분리 벽부(7)를 형성하며, 그리고 작동 트리거(6)는, 전도체 삽입 채널(3)을 원추형으로 테이퍼지게 하면서 작동축(B)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되는 분리 벽부(7)의 섹션 내에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1).
KR1020197032436A 2017-05-05 2018-04-25 접속 단자 KR102593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09694.9 2017-05-05
DE102017109694.9A DE102017109694B4 (de) 2017-05-05 2017-05-05 Anschlussklemme
PCT/EP2018/060594 WO2018202504A1 (de) 2017-05-05 2018-04-25 Anschlussklem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304A true KR20200004304A (ko) 2020-01-13
KR102593781B1 KR102593781B1 (ko) 2023-10-25

Family

ID=62091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436A KR102593781B1 (ko) 2017-05-05 2018-04-25 접속 단자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615519B2 (ko)
EP (3) EP3619773B1 (ko)
JP (2) JP7220671B2 (ko)
KR (1) KR102593781B1 (ko)
CN (1) CN110622358B (ko)
DE (1) DE102017109694B4 (ko)
PL (1) PL3619773T3 (ko)
RU (1) RU2755182C2 (ko)
WO (1) WO20182025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7120B1 (de) * 2019-03-13 2020-10-14 Phoenix Contact Gmbh & Co Leiteranschlussklemme mit einem Betätigungselement mit angepasster Druckfläche
DE102019106353B4 (de) * 2019-03-13 2023-05-2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Leiteranschlussklemme mit einem Betätigungselement mit angepasster Druckfläche
DE102020119372B4 (de) * 2020-07-22 2023-12-07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Leiteranschlussklemme
FR3124900B1 (fr) 2021-06-30 2023-12-08 Hager Electro Sas Borne de connexion et appareil électrique associ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6780A (ja) * 1999-08-20 2001-03-23 Wago Verwaltungs Gmbh 電気導体のためのバスバー
JP2001160431A (ja) * 1999-09-21 2001-06-12 Omron Corp 端子台ソケット
JP2014509443A (ja) * 2011-02-22 2014-04-17 フェニックス コンタク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電気的な接続装置用の金属部品
US20160248174A1 (en) * 2013-10-21 2016-08-25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Spring-force connection terminal and plug connector
DE102015120063B3 (de) * 2015-11-19 2017-01-1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und Betätigungswerkzeug hierzu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62158B2 (de) 1970-12-17 1979-04-05 Wago-Kontakttechnik Gmbh, 4950 Minden Schraubenlose Anschluß- oder Verbindungsklemme für elektrische Leiter
CH516232A (de) * 1971-04-01 1971-11-30 Oskar Woertz Inh H & O Woertz Schraubenlose elektrische Schnell-Verbindungsklemme
DE3418536A1 (de) 1984-05-18 1985-11-21 Harting Elektronik Gmbh, 4992 Espelkamp Schraubenlose anschluss- oder verbindungsklemme
JP3419147B2 (ja) * 1994-06-30 2003-06-23 松下電工株式会社 電線接続端子
US6146187A (en) * 1998-11-25 2000-11-14 Supplie & Co. Import/Export, Inc. Screwless terminal block
US6074242A (en) * 1998-12-31 2000-06-13 Methode Electronics, Inc. Wire-trap connector for solderless compression connection
JP3064232U (ja) 1999-05-25 2000-01-07 大朗電器股▲ふん▼有限公司 簡単電線抜脱方式のスイッチコンセント
KR100480196B1 (ko) 2000-08-04 2005-04-06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전선 접속기구
JP3565806B2 (ja) 2001-08-30 2004-09-15 サトーパーツ株式会社 端子台
DE20308863U1 (de) 2003-06-06 2003-08-21 Ria Btr Prod Gmbh Anschlussklemme
DE102006019150B4 (de) * 2006-04-21 2011-06-09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Elektrische Verbindungsklemme
DE102007022806B3 (de) 2007-05-11 2008-11-27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Klemmenbauteil
DE102007050683B4 (de) * 2007-10-22 2009-09-03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FR2930376A1 (fr) * 2008-04-22 2009-10-23 Abb France Borne de raccordement et appareil electrique basse tension
DE102008039864B4 (de) 2008-08-27 2011-01-05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Klemmenbauelement
RU2375795C1 (ru) * 2008-08-29 2009-12-10 Андрей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Деревенко Соединитель электрических проводов
DE102008060282B4 (de) 2008-12-03 2018-12-06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Werkzeuglos betätigbare Federklemme für elektrische Leiter
DE102008060283B4 (de) 2008-12-03 2011-08-25 Tyco Electronics AMP GmbH, 64625 Werkzeuglos betätigbare Anschlussklemmvorrichtung mit mehreren Klemmarmen für mehrere elektrische Leiter
DE102008062137B4 (de) 2008-12-16 2011-06-09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DE202009001488U1 (de) 2009-02-06 2010-06-24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nschlussklemme zum Anschluss von Leiterenden
DE102009050367A1 (de) * 2009-10-22 2011-04-28 Phoenix Contact Gmbh & Co. Kg Federkraftanschlussklemme
DE102010015457B4 (de) 2010-04-16 2012-08-30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Federkraftklemmanschluss und Klemmbauelement
DE102010024809B4 (de) 2010-06-23 2013-07-1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nschlussklemme
US8262405B1 (en) * 2011-03-15 2012-09-11 Avx Corporation Wire-to-wire connector
DE102011056410B4 (de) * 2011-12-14 2013-06-27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nschlussklemme
DE102014119030A1 (de) * 2014-12-18 2016-06-23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ssklemme
DE102014119406B4 (de) 2014-12-22 2022-09-29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nschlussklemme
RU2576463C1 (ru) * 2015-01-20 2016-03-10 Дмитрий Анатольевич Семаков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лемма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проводов
EP3116065B1 (en) 2015-07-07 2019-08-2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Push-in clamp retainer, push-in clamp assembly and electric connector element
EP3159971B1 (en) * 2015-10-21 2018-09-19 Dinkle Enterprise Co., Ltd. Terminal base having fastening structure
DE102016114289A1 (de) 2016-08-02 2018-02-08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ssklemme
US10418727B1 (en) * 2018-11-15 2019-09-17 Dinkle Enterprise Co., Ltd. Rotate-to-open clamping unit and connection device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6780A (ja) * 1999-08-20 2001-03-23 Wago Verwaltungs Gmbh 電気導体のためのバスバー
JP2001160431A (ja) * 1999-09-21 2001-06-12 Omron Corp 端子台ソケット
JP2014509443A (ja) * 2011-02-22 2014-04-17 フェニックス コンタク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電気的な接続装置用の金属部品
US20160248174A1 (en) * 2013-10-21 2016-08-25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Spring-force connection terminal and plug connector
DE102015120063B3 (de) * 2015-11-19 2017-01-1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und Betätigungswerkzeug hierz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31346A1 (de) 2020-10-28
EP3619773A1 (de) 2020-03-11
CN114221143A (zh) 2022-03-22
RU2019132060A (ru) 2021-06-07
JP7220671B2 (ja) 2023-02-10
DE102017109694A1 (de) 2018-11-08
CN110622358A (zh) 2019-12-27
CN110622358B (zh) 2022-01-14
EP3619773B1 (de) 2021-09-22
JP2023036817A (ja) 2023-03-14
KR102593781B1 (ko) 2023-10-25
JP2020518954A (ja) 2020-06-25
PL3619773T3 (pl) 2022-02-07
WO2018202504A1 (de) 2018-11-08
US20200067212A1 (en) 2020-02-27
JP7471384B2 (ja) 2024-04-19
US10615519B2 (en) 2020-04-07
DE102017109694B4 (de) 2022-10-06
EP3890118A1 (de) 2021-10-06
RU2755182C2 (ru) 202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4304A (ko) 접속 단자
US10367272B2 (en) Spring-loaded clamping connection
EP2096714B1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with contact spring operated by a lever having an inlet opening for the end of an electric cable
US4764125A (en) Cable terminal connectors
US5277616A (en) Electrical connector
US11011859B1 (en) Plug-type connector with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KR101769273B1 (ko) 터미널 부품
US20070232124A1 (en) Pressure Coupling Connector
US7192318B2 (en) Contact element with spring tongue
US8821169B2 (en) Connector
CN109768419B (zh) 连接器
JP2019530143A (ja) 導体接続端子
CN115053405A (zh) 用于导体的弹簧式端子
KR19990008196A (ko) 전기도체용 연결단자
CN112154573B (zh) 弹簧接线端子
US4437721A (en) Connection terminal for electrical conductors
US8083538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with separation point and contact arrangement with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EP3075033A1 (en) Arrangemen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CN113113786A (zh) 接线端子
CN114221143B (zh) 连接端子
JP7249157B2 (ja) コネクタ端子
JP2001185249A (ja) 圧接コネクタ
JP7282528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コネクタの組立方法
JP7289354B2 (ja) 電気絶縁切刃を有するケーブル終端アセンブリ
KR200437687Y1 (ko) 포선단자 삽입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