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660U - 지하철 스크린도어 안전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철 스크린도어 안전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660U
KR20200001660U KR2020190000258U KR20190000258U KR20200001660U KR 20200001660 U KR20200001660 U KR 20200001660U KR 2020190000258 U KR2020190000258 U KR 2020190000258U KR 20190000258 U KR20190000258 U KR 20190000258U KR 20200001660 U KR20200001660 U KR 202000016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afety guide
platform
pane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2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523Y1 (ko
Inventor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주)바이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컴 filed Critical (주)바이컴
Priority to KR20201900002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523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6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6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5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5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철 승강장의 연단을 통해 승객이 승하차하는 과정에서 승객에게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승객의 발빠짐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시청각 안내 기술로서, 이미 설치되어 있는 지하철 스크린도어에 대해 시각과 청각으로 승객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별도의 안전가이드 장치를 설치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승강대의 연단과 지하철 열차 사이의 틈새로부터 안전가이드 램프에 의한 점등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빠짐에 대한 승객의 주의 환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지하철 스크린도어 안전가이드 장치 {subway screen door safty guide device}
본 고안은 지하철 승강장의 연단을 통해 승객이 승하차하는 과정에서 승객에게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승객의 발빠짐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시청각 안내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이미 설치되어 있는 지하철 스크린도어에 대해 시각과 청각으로 승객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별도의 안전가이드 장치를 설치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열차가 진입하는 승강대는 승객들이 서서 대기하는 곳이므로 많은 승객들이 모여있는 승강대에서는 여러 원인으로 인해서 승객들이 승강대로부터 떨어져 큰 사고(예: 철로에 떨어진 승객이 지하철 열차에 깔림)로 이어지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이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는 지하철 열차의 출입문에 대응하는 위치의 승강대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함에 따라 승객이 승강대에 대기하는 중이나 그 승강대 쪽으로 지하철 열차가 진입하는 과정에서 승객이 철로로 떨어지는 사고를 차단하고 있다.
그리고, 승강대 쪽으로 진입하는 지하철 열차와 승강대의 연단 사이에는 대략 20 내지 30cm 정도의 틈이 발생한다. 이러한 틈새는 지하철 열차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승강대와의 안전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공간이다.
그런데, 승객이 승강대의 연단으로부터 지하철 열차로 승차하거나 지하철 열차로부터 승강대의 연단으로 하차하는 과정에서 승객의 발이 위의 틈새로 빠지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 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승강대 연단의 철로 쪽 측벽에 별도의 폴딩/확장 장치를 부설하여 승객의 승하차시 만이라도 그 틈새를 채우는 기술이 개시되기도 하였지만 승강대 연단과 지하철 열차 간의 안전거리 확보를 위해서 적절치 못하기도 하지만, 승강대 연단을 훼손하지 않고 그러한 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매우 큰 공사가 될 수 있는 새로운 문제가 있다.
한편, 승강대 연단과 지하철 열차 사이에 발생한 틈새에 대해 승객에게 시청각으로 주의를 환기시키겠다는 컨셉을 스크린도어를 설치하기 전에 미리 인지하였다면, 스크린도어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그러한 기술을 그리 어렵지 않게 반영할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미 설치되어 있는 스크린도어에 대해 승강대 연단과 지하철 열차 사이의 틈새에 승객의 발빠짐 방지를 위한 주의 환기용 시청각 안전가이드 장치를 마련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예컨대, 기 설치된 스크린도어를 변형시키면서 그러한 시청각 안전가이드 장치를 설치한다면 이후에 보수 공사를 해야할 때 스크린도어를 설치한 업체와 시청각 안전가이드 장치를 설치한 업체 간에 하자담보책임을 서로 전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스크린도어를 설치한 업체는 자신들이 애초에 설치한 스크린도어 장비에 대해 시청각 안전가이드 장치를 설치한 업체가 변형을 일으킴에 따라 고장이 난 것을 이유를 들어 하자담보책임을 면하려 하는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시청각 안전가이드 장치를 설치하는 업체도 스크린도어 장비에 변형을 주지 않으면서 자신의 시청각 안전가이드 장치를 스크린도어 장비에 인접하여 함께 설치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승강대의 연단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장비의 변형 없이 그 스크린도어 장비에 인접 배치된 상태에서 그 스크린도어 장비와 연동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승객들에게 발빠짐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지하철 스크린도어 안전가이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정된 상태로 세워진 스크린패널과, 스크린패널에 대해 슬라이딩되면서 오픈 클로즈되는 도어패널과, 도어패널의 상부에 대응하는 스크린패널의 철로 쪽에 장착된 상태로 외부의 전원박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도어패널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구비하는 지하철의 스크린도어에서 그 스크린도어를 출입하는 승객의 안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안전가이드 장치로서, 구동유닛에 고정용 밴드를 통해 구동유닛에 부착된 상태로 전원박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류를 흘림에 따라 도어패널이 슬라이딩할 때 도어패널 상에 장착된 마그네틱 유닛에 대해 홀효과를 발생시킴에 따라 도어패널의 문닫힘신호나 도어패널의 문열림신호를 획득하는 홀센서(111)와, 닫힘 상태의 도어패널에서 홀센서에 인접하는 도어패널에 양면접합부재를 통해 장착되어 자기장을 형성함에 따라 홀센서가 홀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마그네틱 유닛(112)을 구비하는 도어오픈 감지센서(110); 지하철 열차와 승강대 사이 공간에서 상방향으로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승강대의 철로 쪽 측벽에 승강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장착되며 도어오픈 감지센서에 의한 문열림신호에 연동하여 점멸 동작하는 안전가이드 램프(120); 도어오픈 감지센서로부터 문열림신호를 전달받아 안전가이드 램프가 점멸 동작하도록 안전가이드 램프의 점등 동작을 제어하는 안전가이드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어오픈 감지센서에 의한 문열림신호에 연동하여 미리 저장된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스피커(141); 스피커가 출력하는 안내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안전가이드 제어부(130)는 도어오픈 감지센서로부터 문열림신호를 전달받아 스피커가 메모리에 저장된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스피커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안전가이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안전가이드 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릴레이 스위치 부재(151); 전원박스에 연결되어 도어오픈 감지센서, 안전가이드 램프, 안전가이드 제어부, 스피커, 메모리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재(15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안전가이드 제어부, 스피커, 메모리, 릴레이 스위치 부재, 전원공급부재를 자신의 내측에 실장하는 거치하우징(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승강대의 연단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장비에 대해 그 스크린도어 장비에 변형을 주지 않으면서 그 스크린도어의 오픈/클로즈 동작과 연동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승객들에게 발빠짐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는 안전가이드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이미 여러 지하철 역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린도어에 대해서도 별도로 추가되는 안전가이드 장치를 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고안은 스크린도어의 설치시 도어패널을 슬라이딩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이 스크린패널의 철로 쪽 일면에 돌출 형성됨에 착안하여 그 돌출 형성된 구동유닛에 대해 고정용 밴드를 활용하여 홀센서를 안정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는 장점도 나타낸다.
또한, 본 고안은 승강대의 연단과 지하철 열차 사이의 틈새로부터 안전가이드 램프에 의한 점등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빠짐에 대한 승객의 주의 환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철 스크린도어 안전가이드 장치의 사용상태도 1,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철 스크린도어 안전가이드 장치의 사용상태도 2,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철 스크린도어 안전가이드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외부의 전원박스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철 스크린도어 안전가이드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신호가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철 스크린도어 안전가이드 장치의 사용상태도 1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철 스크린도어 안전가이드 장치의 사용상태도 2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철 스크린도어 안전가이드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외부의 전원박스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철 스크린도어 안전가이드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신호가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고정된 상태로 세워진 스크린패널(10)과, 스크린패널(10)에 대해 슬라이딩되면서 오픈 클로즈되는 도어패널(20)과, 도어패널(20)의 상부에 대응하는 스크린패널(10)의 철로 쪽에 장착된 상태로 외부의 전원박스(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도어패널(20)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30)을 구비하는 지하철의 스크린도어에서 그 스크린도어를 출입하는 승객의 안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안전가이드 장치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승강대(50)의 연단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장비의 변형 없이 그 스크린도어 장비에 인접 배치된 상태에서 그 스크린도어 장비와 연동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승객들에게 발빠짐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도어오픈 감지센서(110), 안전가이드 램프(120), 안전가이드 제어부(130), 스피커(141), 메모리(미도시), 릴레이 스위치 부재(151), 전원공급부재(152), 거치하우징(1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어오픈 감지센서(110)는 도어패널(20)의 문닫힘신호나 도어패널(20)의 문열림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홀센서(111)와 마그네틱 유닛(112)를 구비할 수 있다.
홀센서(111)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구동유닛(30)에 고정용 밴드(111a)를 통해 구동유닛(30)에 부착된 상태로 전원박스(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류를 흘림에 따라 도어패널(20)이 슬라이딩할 때 도어패널(20) 상에 장착된 마그네틱 유닛에 대해 홀효과(hall effect)를 발생시킴에 따라 도어패널(20)의 문닫힘신호나 도어패널(20)의 문열림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홀센서(111)는 자신이 획득한 문열림신호나 문닫힘신호를 안전가이드 제어부(130)에 제공하면 안전가이드 제어부(130)는 문열림신호나 문닫힘신호에 반응하여 릴레이 스위치 부재(151)를 제어함에 따라 종국에는 안전가이드 램프(120)의 점등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홀센서(111)는 스크린도어의 설치시 도어패널(20)을 슬라이딩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유닛(30)이 스크린패널(10)의 철로 쪽 일면에 돌출 형성됨에 착안하여 그 돌출 형성된 구동유닛(30)에 대해 고정용 밴드(111a)를 활용하여 홀센서(111)를 그 구동유닛(30)에 안정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여러 지하철 역의 승강대(50) 연단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장비에 변형을 주지 않으면서 그 이미 설치된 스크린도어의 오픈/클로즈 동작과 연동하여 승객들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발빠짐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는 안전가이드 장치를 별도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마그네틱 유닛(112)은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닫힘 상태의 도어패널(20)에서 홀센서(111)에 인접하는 도어패널(20)에 양면접합부재(예: 양면접착제, 양면걸림 후크)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자기장을 형성함에 따라 홀센서(111)가 홀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이처럼, 스크린패널(10)로부터 도어패널(20)이 슬라이딩 함에 따라 홀센서(111)와 마그네틱 유닛(112)의 상호 동작에 의한 홀효과로 인해 안전가이드 제어부(130)는 스크린도어가 오픈되었는지 클로즈되었는지 곧바로 알 수 있다.
안전가이드 램프(120)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지하철 열차와 승강대(50) 사이 공간에서 상방향으로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승강대(50)의 철로 쪽 측벽에 승강대(5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장착되며 도어오픈 감지센서(110)에 의한 문열림신호에 연동하여 점멸 동작한다.
안전가이드 제어부(130)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도어오픈 감지센서(110)로부터 문열림신호를 전달받아 안전가이드 램프(120)가 점멸 동작하도록 안전가이드 램프(120)의 점등 동작을 제어한다.
스피커(141)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도어오픈 감지센서(110)에 의한 문열림신호에 연동하여 미리 저장된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며 바람직하게는 거치하우징(160)의 내측에 탑재될 수 있다.
메모리(미도시)는 스피커(141)가 출력하는 안내메시지를 저장하며 바람직하게는 거치하우징(160)의 내측에 탑재될 수 있다.
여기서, 안전가이드 제어부(130)는 도어오픈 감지센서(110)로부터 문열림신호를 전달받으면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안내메시지를 스피커(141)가 출력하도록 스피커(141)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릴레이 스위치 부재(151)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안전가이드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안전가이드 램프(120)의 점멸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원공급부재(152)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외부의 전원박스(40)에 연결되어 도어오픈 감지센서(110), 안전가이드 램프(120), 안전가이드 제어부(130), 스피커(141), 메모리(미도시)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거치하우징(160)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안전가이드 제어부(130), 스피커(141), 메모리(미도시), 릴레이 스위치 부재(151), 전원공급부재(152)를 자신의 내측에 실장할 수도 있다.
10 : 스크린패널
20 : 도어패널
30 : 구동유닛
40 : 전원박스
50 : 승강대
110 : 도어오픈 감지센서
111 : 홀센서
111a : 고정용 밴드
112 : 마그네틱 유닛
120 : 안전가이드 램프
130 : 안전가이드 제어부
141 : 스피커
151 : 릴레이 스위치 부재
152 : 전원공급부재
160 : 거치하우징

Claims (3)

  1. 고정된 상태로 세워진 스크린패널과, 상기 스크린패널에 대해 슬라이딩되면서 오픈 클로즈되는 도어패널과, 상기 도어패널의 상부에 대응하는 상기 스크린패널의 철로 쪽에 장착된 상태로 외부의 전원박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상기 도어패널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구비하는 지하철의 스크린도어에서 그 스크린도어를 출입하는 승객의 안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안전가이드 장치로서,
    상기 구동유닛에 고정용 밴드를 통해 상기 구동유닛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전원박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류를 흘림에 따라 상기 도어패널이 슬라이딩할 때 상기 도어패널 상에 장착된 마그네틱 유닛에 대해 홀효과를 발생시킴에 따라 상기 도어패널의 문닫힘신호나 상기 도어패널의 문열림신호를 획득하는 홀센서(111)와, 닫힘 상태의 상기 도어패널에서 상기 홀센서에 인접하는 상기 도어패널에 양면접합부재를 통해 장착되어 자기장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홀센서가 홀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마그네틱 유닛(112)을 구비하는 도어오픈 감지센서(110);
    지하철 열차와 승강대 사이 공간에서 상방향으로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대의 철로 쪽 측벽에 상기 승강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장착되며 상기 도어오픈 감지센서에 의한 상기 문열림신호에 연동하여 점멸 동작하는 안전가이드 램프(120);
    상기 도어오픈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문열림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안전가이드 램프가 점멸 동작하도록 상기 안전가이드 램프의 점등 동작을 제어하는 안전가이드 제어부(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하철 스크린도어 안전가이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오픈 감지센서에 의한 상기 문열림신호에 연동하여 미리 저장된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스피커(141);
    상기 스피커가 출력하는 상기 안내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전가이드 제어부(130)는 상기 도어오픈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문열림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스피커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스크린도어 안전가이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전가이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안전가이드 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릴레이 스위치 부재(151);
    상기 전원박스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오픈 감지센서, 상기 안전가이드 램프, 상기 안전가이드 제어부, 상기 스피커, 상기 메모리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재(15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전가이드 제어부, 상기 스피커, 상기 메모리, 상기 릴레이 스위치 부재, 상기 전원공급부재를 자신의 내측에 실장하는 거치하우징(16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스크린도어 안전가이드 장치.
KR2020190000258U 2019-01-17 2019-01-17 지하철 스크린도어 안전가이드 장치 KR2004925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258U KR200492523Y1 (ko) 2019-01-17 2019-01-17 지하철 스크린도어 안전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258U KR200492523Y1 (ko) 2019-01-17 2019-01-17 지하철 스크린도어 안전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660U true KR20200001660U (ko) 2020-07-27
KR200492523Y1 KR200492523Y1 (ko) 2020-10-30

Family

ID=71832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258U KR200492523Y1 (ko) 2019-01-17 2019-01-17 지하철 스크린도어 안전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52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3029A (ja) * 2000-12-06 2002-06-18 Kyosan Electric Mfg Co Ltd 誘導用表示器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ホーム安全誘導表示装置
KR20080051564A (ko) * 2006-12-06 2008-06-11 명관 이 열차 승강장 스크린도어 비상 개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28672A (ko) * 2016-05-12 2017-11-23 주식회사 글로비즈 철도 차량의 도어 모니터링 장치 및 도어 모니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3029A (ja) * 2000-12-06 2002-06-18 Kyosan Electric Mfg Co Ltd 誘導用表示器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ホーム安全誘導表示装置
KR20080051564A (ko) * 2006-12-06 2008-06-11 명관 이 열차 승강장 스크린도어 비상 개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28672A (ko) * 2016-05-12 2017-11-23 주식회사 글로비즈 철도 차량의 도어 모니터링 장치 및 도어 모니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523Y1 (ko) 2020-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8811B2 (en) Elevator display systems
JP4276926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2018035560A (ja) シャッター装置の電源切替方法及びそのシャッター装置
JP5500670B2 (ja) ホームドア装置
JP4536811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KR20200001660U (ko) 지하철 스크린도어 안전가이드 장치
JP2010155665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20100029411A (ko) 난간형 psd
KR101274949B1 (ko)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
KR101507116B1 (ko) 철도 역사 안전문 개폐장치의 통합 컨트롤러
JP2014004962A (ja) ホーム扉装置
KR20170126526A (ko) 스크린도어의 투명 디스플레이 설치구조
JP2010095330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70090819A (ko) 스크린도어 비상조치 장치 및 지하철 안전 발판 시스템
JP2011235993A (ja) エレベータ
ITTO20110053A1 (it) Parete di banchina e procedimento per la sua realizzazione.
KR20120003438U (ko)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
JP6247981B2 (ja) ホームドアユニットの設置方法、ホームドアユニットをプラットホームに設置する際に用いられる端子装置、および、ホームドアシステム
JP2009091079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出入口用安全装置
KR20060054908A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22871A (ko) 전동차 출입문 개폐정보 표시장치
JP2014221614A (ja) ホーム柵
KR102582252B1 (ko)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 방법
JP4037209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465445Y1 (ko) Psd 조립체 모듈의 도어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