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135A - 오디 순두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디 순두부 - Google Patents

오디 순두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디 순두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3135A
KR20190143135A KR1020180070707A KR20180070707A KR20190143135A KR 20190143135 A KR20190143135 A KR 20190143135A KR 1020180070707 A KR1020180070707 A KR 1020180070707A KR 20180070707 A KR20180070707 A KR 20180070707A KR 20190143135 A KR20190143135 A KR 20190143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fu
audi
weight
mulberry
soft tof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8999B1 (ko
Inventor
김현복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80070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999B1/ko
Publication of KR20190143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40Colouring or decolouring of foods
    • A23L5/42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 A23L5/43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using naturally occurring organic dyes or pigmen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 순두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디 순두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오디 순두부의 제조방법은, 대두를 가열하여 두유액을 얻는 제1단계, 상기의 두유액에 응고제를 넣은 후, 성형하여 순두부 성형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오디에 에탄올과 산을 넣고 추출한 후 여과시킨 다음 걸러진 용액을 농축하여 오디색소농축액을 제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한 순두부 성형물을 상기 제3단계에서 제조한 오디색소농축액과 물이 혼합된 혼합액에 침지시킨 후, 압축하여 오디 순두부를 제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안정화된 시아니딘-3-글루코사이드(C3G) 성분이 최대 함유한 오디색소농축액을 이용함에 따라 항산화 성분을 섭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맛, 색, 향 등의 관능적 특성 및 물성이 우수하며, 특히 미려한 색상을 나타내어 소비자들이 선호할 수 있는 오디 순두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디 순두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오디 순두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디 순두부{Manufacturing method of mulberry soybean curd and mulberry soybean cur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오디 순두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디 순두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화된 시아니딘-3-글루코사이드(C3G) 성분이 최대 함유한 오디색소농축액을 이용함에 따라 항산화 성분을 섭취할 수 있음과 동시에 관능적 특성 및 물성이 우수하며, 미려한 색상을 나타내어 소비자들이 선호할 수 있는 오디 순두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디 순두부에 관한 것이다.
두부(bean curd)는 콩을 물에 담갔다가 갈아 그 액을 가열하여 비지를 짜내고 응고제를 첨가하여 굳힌 식품으로 콩을 재료로 하는 제품 가운데 가장 대중적인 가공품으로 양질의 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이다.
그 중 순두부는 두부의 제조공정에서 압착공정이 생략된 음식으로서, 콩을 물에 불려서 분쇄한 다음 비지와 두유를 분리하고 분리된 두유를 끓여서 응고제를 넣고 응고시켜 제조되며, 순두부를 형틀에 넣고 압착하여 굳혀 제조하는 것으로써, 일반두부에 비해 부드러워 인체흡수율이 우수하고 단백질의 함유량이 40 %에 가까우며 섬유질과 칼슘, 회분, 철분 외에도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하고 혈관벽에 붙은 콜레스테롤을 제거하여 동맥경화를 예방함과 동시에 심장병, 당뇨병 등의 성인병을 예방하므로 건강식, 다이어트 음식 등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순두부는 싱겁고 비린 맛으로 인하여 순두부찌개 형태로 요리하여 이용해야 하며, 그대로 먹기 어려우며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오디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뽕나무 또는 산뽕나무에 열리는 열매로서, 늦은 봄에서 이른 여름 사이에 익기 시작한다. 오디에는 다량의 비타민과 함께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노화를 방지한다고 알려진 물질인 안토시아닌과 루틴(Rutin), 가바(GABA), 디엔제이(1-DNJ),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등 여러 가지 기능성 성분들이 들어있어 건강에 이로운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오디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은 포도, 딸기, 블루베리, 적양배추, 자색고구마 등 각종 과일이나 채소의 열매, 잎, 줄기 또는 뿌리 등에 존재하는 수용성 색소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이는 식물학적으로 각종 곤충, 조류 등을 유인하여 화분의 수분 및 종자의 확산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노화억제, 당뇨병성 망막장애의 치료 및 시력 개선 효과, 항산화 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됨에 따라 인체에 무해한 천연색소 및 기능성 소재로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오디에 다량으로 함유된 안토시아닌 색소의 한 형태인 시아니딘-3글루코사이드(cyanidin-3-glucoside, C3G)는 여러 색소 중에서도 항산화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노화 억제 효과가 있는 토코페롤보다 7배나 높은 노화 억제 효과를 보이며, 오디의 시아니딘-3-글루코사이드의 중량은 포도의 23배, 유색미의 2.3배에 달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C3G색소는 색소 자체의 불안정성 때문에 가공 중에 쉽게 변색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오디의 C3G 색소를 안정화시켜 순두부 가공함에 따라 순두부를 그대로 섭취가능하게 하거나 다양한 요리로 적용가능하도록 하는데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22256호 (발명의 명칭 : 오디 두부)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1944호 (발명의 명칭 :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유색두부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유색두부)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화된 시아니딘-3-글루코사이드(C3G) 성분이 최대 함유한 오디색소농축액을 이용함에 따라 항산화 성분을 섭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색, 맛, 향 등의 관능적 특성 및 물성이 우수하며, 특히 미려한 색상을 나타내어 소비자들이 선호할 수 있는 오디 순두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디 순두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오디 순두부의 제조방법은, 대두를 가열하여 두유액을 얻는 제1단계, 상기의 두유액에 응고제를 넣은 후, 성형하여 순두부 성형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오디에 에탄올과 산을 넣고 추출한 후 여과시킨 다음 걸러진 용액을 농축하여 오디색소농축액을 제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한 순두부 성형물을 상기 제3단계에서 제조한 오디색소농축액과 물이 혼합된 혼합액에 침지시킨 후, 압축하여 오디 순두부를 제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3단계의 산은 상기 에탄올 100중량을 기준으로 0.03~0.08 중량부의 구연산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3단계의 에탄올은 상기 오디 100중량을 기준으로 100~300 중량부로 넣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4단계의 오디 순두부 제조시, 상기 물은 상기 순두부 성형물 100중량을 기준으로 50~150중량부로 넣고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오디색소농축액은 상기 순두부 성형물 100중량을 기준으로 2~10중량부로 넣고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오디 순두부는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안정화된 시아니딘-3-글루코사이드(C3G) 성분이 최대 함유한 오디색소농축액을 이용함에 따라 항산화 성분을 섭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맛, 색, 향 등의 관능적 특성 및 물성이 우수하며, 특히 미려한 색상을 나타내어 소비자들이 선호할 수 있는 오디 순두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디 순두부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디 순두부의 제조공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에탄올 100중량을 기준으로 0.03 중량부의 구연산 처리시 제조된 오디색소농축액을 순두부 성형물 100중량을 기준으로 1~10중량부 첨가에 따른 오디 순두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에탄올 100중량을 기준으로 0.05 중량부의 구연산 처리시 제조된 오디색소농축액을 순두부 성형물 100중량을 기준으로 0~5중량부 첨가에 따른 오디 순두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예로 에탄올 100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부의 구연산 처리시 제조된 오디색소농축액을 순두부 성형물 100중량을 기준으로 20중량부 첨가에 따른 오디 순두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오디 순두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디 순두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C3G성분이 자체 함유되어 있는 오디를 대상으로 하되, 이 C3G성분을 안정화하면서 극대화할 수 있는 특정 제조과정을 거침에 따라, 안정화된 시아니딘-3-글루코사이드(C3G) 성분이 최대 함유한 오디색소농축액을 이용하여 항산화 성분을 섭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맛, 색, 향 등의 관능적 특성 및 물성이 우수하며, 특히 미려한 색상을 나타내어 소비자들이 선호할 수 있는 오디 순두부를 제조하는 것이 큰 특징이다.
하기, 본 발명의 오디 순두부의 제조방법을 도 1에 도시된 바를 토대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단계) 두유액 제조(S1)
먼저, 대두를 가열하여 두유액을 얻는다
설명하면, 본 단계에서는 대두에 대두 중량을 기준으로 3~5배량의 정제수를 넣고 불린 후 이를 90~110℃에서 10~30 분동안 가열하여 비지와 두유액을 분리해내거나 또는, 통상 대두를 분말형태로 제조한 후, 여기에 상기 대두분말 중량을 기준으로 3~5배량의 정제수를 넣은 후, 90~110℃에서 10~30 분동안 가열하여 비지와 두유액을 분리해낸다.
이때, 상기 가열조건을 벗어날 경우 두유의 영양소가 파괴되거나 또는 대두가 충분히 익혀지지가 않아 대두자체의 비릿한 맛이 날 우려가 있는 바, 가능한 상기 가공조건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단계) 순두부 성형물 제조(S2)
본 단계에서는 상기의 두유액에 응고제를 넣은 후, 성형하여 통상의 순두부형상으로 성형된 순두부 성형물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응고제는 CaSO4, MgCl, GDL(Glucono delta lactone), TC(Transglutaminas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응고제는 상기 두유액 100중량을 기준으로 0.01~0.5 중량부를 넣는 것을 특징으로, 0.1 중량부 미만으로 넣을 경우 응고제의 함량이 너무 적어 순두부 성형 자체가 어렵게 되며 0.5 중량부를 초과하여 넣을 경우 과함량의 응고제로 인해 너무 단단해져 순두부 자체의 식감을 느낄수 없게 될 우려가 있게 된다.
3단계) 오디색소농축액 제조(S3)
오디에 에탄올과 산을 넣고 추출한 후, 여과시킨 다음 걸러진 용액을 농축하여 오디색소농축액을 제조한다.
설명하면, 오디에는 안토시아닌 색소의 한 형태인 시아니딘-3-글루코사이드(C3G)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바, 이 시아니딘-3-글루코사이드(C3G) 물질은 항산화 성분을 갖고 있어 인체에 이로우나, 색소 자체의 불안정성 때문에 가공 중에 쉽게 변색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 C3G물질의 안정화를 위해 본 단계에서는 본 발명의 발명자가 선 출원한 등록특허 제10-0842448호 “오디로부터 유래한 시아니딘-3-글루코사이드를 식용색소분말로 제조하는 방법”에 공지된 기술을 적용한다.
이때, 본 단계에서 사용된 상기 에탄올은 보다 바람직하게 50~95%(v/v)의 에탄올을 상기 오디 100중량을 기준으로 100~300 중량부로 넣는 것을 특징으로, 다시말해, 상기 에탄올의 종류로 50%(v/v) 미만의 에탄올을 사용할 경우 에탄올의 농도가 너무 낮아 C3G 물질이 충분이 추출되지 않게 되며, 95%(v/v) 초과의 에탄올을 사용할 경우, 오히려 과도한 에탄올의 농도로 인해 C3G 성분이 파괴되는 문제가 발생되며, 상기 에탄올의 함량이 100 중량부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오디가 충분히 잠기지 않아 C3G물질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게 되며, 300 중량부를 초과하여 넣을 경우 초과 함량에 따른 상승된 C3G 물질 추출함량을 기대하기 어려운 바, 경제적으로 적합하지 않다.
또한, 상기 산은 보다 바람직하게 구연산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구연산은 에탄올 중량을 기준으로 0.03~0.08 중량부를 적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도 2, 3,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구연산이 0.03 중량부미만으로 사용할 경우 충분히 C3G 물질이 추출되지 않아 본 발명이 목적하는 미려한 색상을 나타내는 오디 순두부를 제조하기 어려우며, 0.08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구연산 자체의 신맛으로 인해 오히려 순두부의 맛 자체를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상기 적용된 추출방법으로는 손으로 직접 작업을 하여 추출하거나 또는 진탕 추출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말해 손으로 직접 짓이겨서 추출액을 제조하기도 하며, 진탕 추출의 경우에는 2~5℃에서 20~25시간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상기 온도 및 시간을 벗어날 경우에는 C3G함량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거나, 오히려 성분파괴로 인해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이루기 어렵게 된다.
4단계) 최종 물질인 오디 순두부 제조
마지막으로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한 순두부 성형물을 상기 제3단계에서 제조한 오디색소농축액과 물이 혼합된 혼합액에 넣고 침지시킨 후, 압축하여 오디 순두부를 제조한다.
설명하면, 오디는 상기 제2단계의 순두부 성형물 과정에 단순히 넣게 되면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얻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게 된다.
이에 C3G의 성분을 유지한 채 관능적 특성 및 물성이 우수하며, 미려한 색상을 나타내는 오디 순두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순두부 성형물을 1차 만든 후, 이를 상기 오디색소농축액과 물이 혼합된 혼합액에 넣고 침지시킨 후 압축하는 공정은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얻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이때, 상기 물은 온수 즉, 15~40℃의 온도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는 하기 순두부 제조시 상기 오디색소농축액의 색소손실을 방지하기 위함과 동시에 순두부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것인 바, 15℃미만일 경우에는 오디색소농축액이 충분히 순두부에 스며들기 어려우며, 40℃를 초과할 경우에는 온도가 너무 높아 순두부 형상 자체가 흐트러져 제품화 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물은 상기 순두부 성형물의 100중량을 기준으로 50~150 중량부를 넣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물의 함량이 50 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순두부 성형물이 고르게 잠기지 않아 순두부 성형물 색소 침착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져 미려한 색상을 골고루 나타내기 어려우며, 1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물의 함량이 너무 많아 최종적으로 성형물 압축시 버려지는 C3G 함량도 많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오디색소농축액은 상기 제2단계의 순두부 성형물 100중량을 기준으로 2~10중량부를 넣는 것을 특징으로, 도 2, 3, 4에도 나타나 있듯이 2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순두부의 색상이 미려하지 못하여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지 않으며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디 순두부의 색이 지나치게 검게 되어 이 또한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지 않게 된다.
본 단계에서는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한 순두부 성형물을 상기 제3단계에서 제조한 오디색소농축액과 물이 혼합된 혼합액에 넣고 침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이때 상기 침지시간은 30분에서 2시간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침지시간이 30분 미만일 경우에는 오디색소농축액이 충분히 스며들지 않아 미려한 색상을 나타내는 오디순두부를 제조하기 어려우며, 2시간을 초과하여 침지할 경우에는 오히려 순두부 고유의 맛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상기 오디 순두부는 관능적 특성 및 물성이 우수한 것이 특징이며, 이는 기존 오디 물 추출물 대비 월등히 높은 시아니딘-3-글루코사이드(C3G) 성분이 최대 함유한 오디색소농축액을 함유하고 있는 것인 바, 이를 통해 단순 식품소재에서 벗어나 고부가 제품 및 기능성이 증진된 제품을 개발하여 판매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로써의 이용가치가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오디 순두부 1 제조>
대두 1kg에 물 3kg을 넣고 100℃에서 30분동안 가열한 후, 이를 믹서기로 분쇄한 다음 즙을 짜내어 비지와 두유액을 분리해내었다.
상기 분리된 두유액에 응고제를 두유액 100중량을 기준으로 0.2 중량부로 넣고 혼합한 후 순두부 성형틀에 넣어 통상의 순두부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해동시킨 오디 1kg에 70%(v/v)의 에탄올 2,000 ㎖와 구연산 1g(에탄올 100중량을 기준으로 0.05 중량부)을 넣고 손으로 짓이기는 작업을 3회 실시한 후, 이를 여과하여 고형물은 제거하고 걸러진 추출액을 획득하고 농축하여 시아니딘-3-글루코사이드(C3G)성분을 포함하는 오디색소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오디색소농축액 20g을 온수(30℃) 400ml와 혼합하여 용해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상기 혼합액에 상기 제조해 둔 순두부 성형물 400g을 넣고 30분동안 침지시킨 후, 이를 다시 순두부 성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오디 순두부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순두부 1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0.05 중량부의 구연산 대신 0.1 중량부의 구연산을 이용하여 오디 순두부1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순두부2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구연산은 넣지 않고 순두부 2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순두부3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오디색소농축액의 함량을 상기 순두부 성형물의 100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부로 넣어 순두부3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4. 순두부4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오디색소농축액의 함량을 상기 순두부 성형물의 100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부로 넣어 순두부4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5. 순두부5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오디색소농축액 대신 물과 오디를 혼합한 후, 초음파 처리로 추출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얻은 오디색소분말을 이용하여 순두부5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6. 순두부6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오디색소농축액을 1차 순두부 성형물 제조시 넣고 혼합하여 순두부6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순두부7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오디색소농축액 대신 동결건조 오디분말을 20g(순두부 성형물 400g 기준으로 5 중량부)을 혼합하여 순두부7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오디 순두부의 C3G 확인>
1. 실험방법
(1) 분석 전처리
각각의 오디 순두부 1g과 5% 포름산(formic acid) 5㎖을 혼합한 후, 25℃에서 1시간 동안 음파처리(sonication)를 한 다음, 여과(filtering)하여 여과액 1.5㎖를 취한 후, HPLC 분석을 시행하였다.
(2) HPLC 분석방법
안토시아닌의 표준물질인 시아니딘-3-글루코사이드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크로마토그램(HPLC chromatogram)을 비교하여 처리별 오디 순두부의 시아니딘-3-글루코사이드 함량을 분석하였다.
각 시료에 대한 시아니딘-3-글루코사이드의 농도는 시아니딘-3-글루코사이드 표준물질의 농도를 기준으로 면적비로 계산하였으며, 표준물질인 시아니딘-3-글루코사이드는 제냐 프랑스(Genay France)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지질이 제거된 각각의 오디 순두부는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 조건에 따라 시마주 엘씨 시스템(shimadzu LC system)에 주입하여 538nm에서 분석하였다.
컬럼(column)은 노바-팩 씨18(Nova-Pack C18) (300*3.9)을 사용하였으며, 컬럼의 온도는 35℃를 유지하였다.
이동상으로는 H20:CH3CN:HoAC:H2PO4 = 81.7: 8.4: 8.4: 1.5(V/V)를 사용하였으며, 유량은 1.0/min이 되도록 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하기 표 1과 같이 나타났다.
C3G성분(ppm)
실시예 1 183.89
비교예 1(0.1 중량부의 구연산 적용) 246.75
비교예 2(구연산 제외) 34.03
비교예 3(1 중량부의 오디색소농축액 적용) 55.55
비교예 4(20 중량부의 오디색소농축액 적용) 370.14
비교예 5(물추출+초음파처리하여 제조된 오디색소분말 적용) 10.26
비교예 6(오디색소농축액을 1차 순두부 성형물 제조시 함께 혼합) 85.36
비교예 7(오디 동결건조 분말 사용) 159.42
상기 표 1에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오디 순두부는 비교예 1,4를 제외한 다른 비교예들보다 상대적으로 C3G 성분이 높게 추출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구연산을 전혀쓰지 않은 비교예 2 및 초음파처리로 추출과정을 거쳐 제조된 비교예 5의 경우에는 C3G 성분이 월등히 낮게 나타나는 바, 오디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특정 제조과정을 통할 경우 C3G 성분을 최대 추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처리별 오디 순두부의 색상검사>
1. 실험방법
각각의 오디 순두부에 대한 색상을 검사하였다. 검사방법은 실용 한국표준색표집(공업진흥청/한국방송공사)과 대조하여 계량화한 값으로 나타냈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하기 표 2와 같이 나타났다.
색상
실시예 1 2.5P1202
비교예 1(0.1 중량부의 구연산 적용) 10P1314
비교예 2(구연산 제외) 5RP1384
비교예 3(1 중량부의 오디색소농축액 적용) 2.5P1186
비교예 4(20 중량부의 오디색소농축액 적용) 2.5RP1362
비교예 5(물추출+초음파처리하여 제조된 오디색소분말 적용) 10P1325
비교예 6(오디색소농축액을 1차 순두부 성형물 제조시 함께 혼합) 2.5P1214
비교예 7(오디 동결건조 분말 사용) 2.5P1209
상기 표 2에 나타나 있듯이, 비교예 1, 7의 경우에는 각각 약한 붉은 빛의 보라색, 진한 보라색을 띠었으며, 비교예 2, 3의 경우에는 각각 탁하고 약한 갈색, 회색을 나타냈고, 비교예 4, 5, 6의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검은 빛을 띠어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떨어뜨림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면, 실시예 1의 경우에는 밝은 보라색을 띠어 소비자들이 선호할 만한 미려한 색을 나타내는 바, 시각적으로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높여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3. 오디 순두부의 관능검사 확인>
1. 실험방법
20~60대 남녀 각각 10명을 대상으로 오디 순두부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항목은 색, 향, 맛 및 전체적 기호도를 검사하였으며, 9점 채점법을 채택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하기 표 3 및 도 2, 3, 4와 같이 나타났다.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1 9 8 9 8.7
비교예 1(0.1 중량부의 구연산 적용) 8 7 1 5.3
비교예 2(구연산 제외) 5 7 7 6.7
비교예 3(1 중량부의 오디색소농축액 적용) 3 5 5 4.3
비교예 4(20 중량부의 오디색소농축액 적용) 5 5 5 5.0
비교예 5(물추출+초음파처리하여 제조된 오디색소분말 적용) 3 5 5 4.3
비교예 6(오디색소농축액을 1차 순두부 성형물 제조시 함께 혼합) 5 5 7 5.7
비교예 7(오디 동결건조 분말 사용) 7 5 7 6.3
상기 표 3 및 도 2, 3, 4에 나타나 있듯이, 비교예 1, 4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C3G 함량은 높게 나타났으나, 구연산의 함량이 너무 많이 가미되는 바, 신맛이 강하게 나타나 전체적인 기호도가 낮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3, 5, 6의 경우에는 색소가 약하게 나타나는 바, 순두부 제조 후 색상이 전반적으로 회색으로 나타나 오히려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떨어뜨리게 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면 실시예 1의 경우에는 C3G 함량도 높게 나타남과 동시에 특히 오디 순두부로 제조한 최종제품에서 미려한 색상을 나타내는 바 시각적으로 소비자들이 선호도를 높여줌과 동시에 향과 맛에서도 일반 순두부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바, 전반적으로 소비자들의 기호도가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오디에서부터 C3G함량을 최대치로 추출해내기 위한 필수과정이며, 이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오디 순두부의 경우 항산화 성분을 다량 함유함과 동시에 관능적 물성 또한 우수하게 나타나며, 외관상 미려한 색상을 나타내는 바,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음과 동시에 단순 식품에서 벗어나 고부가 제품 및 기능성이 증진된 제품을 개발하여 판매할 수 있으므로 양잠농가 및 가공업체의 소득증대 및 국민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대두를 가열하여 두유액을 얻는 제1단계;
    상기의 두유액에 응고제를 넣은 후, 성형하여 순두부 성형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오디에 에탄올과 산을 넣고 추출한 후 여과시킨 다음 걸러진 용액을 농축하여 오디색소농축액을 제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한 순두부 성형물을 상기 제3단계에서 제조한 오디색소농축액과 물이 혼합된 혼합액에 침지시킨 후, 압축하여 오디 순두부를 제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오디 순두부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산은 상기 에탄올 100중량을 기준으로 0.03~0.08 중량부의 구연산인 것이 특징인,
    오디 순두부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에탄올은 상기 오디 100중량을 기준으로 100~300 중량부로 넣는 것이 특징인,
    오디 순두부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의 오디 순두부 제조시,
    상기 물은 상기 순두부 성형물 100중량을 기준으로 50~150 중량부로 넣고 제조하는 것이 특징인,
    오디 순두부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의 오디 순두부 제조시,
    상기 오디색소농축액은 상기 순두부 성형물 100중량을 기준으로 2~10중량부로 넣고 제조하는 것이 특징인,
    오디 순두부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선택된 어느 한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오디 순두부.
KR1020180070707A 2018-06-20 2018-06-20 오디 순두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디 순두부 KR102158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707A KR102158999B1 (ko) 2018-06-20 2018-06-20 오디 순두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디 순두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707A KR102158999B1 (ko) 2018-06-20 2018-06-20 오디 순두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디 순두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135A true KR20190143135A (ko) 2019-12-30
KR102158999B1 KR102158999B1 (ko) 2020-09-23

Family

ID=69103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707A KR102158999B1 (ko) 2018-06-20 2018-06-20 오디 순두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디 순두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9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4984A (ko) * 2006-12-14 2008-06-19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오디로부터 유래한 시아니딘-3-글루코사이드를 식용색소분말로 제조하는 방법
KR20130022256A (ko) 2011-08-25 2013-03-0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그린에코 오디 두부
KR20140080906A (ko) * 2012-12-20 2014-07-0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유색두부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유색두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4984A (ko) * 2006-12-14 2008-06-19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오디로부터 유래한 시아니딘-3-글루코사이드를 식용색소분말로 제조하는 방법
KR20130022256A (ko) 2011-08-25 2013-03-0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그린에코 오디 두부
KR20140080906A (ko) * 2012-12-20 2014-07-0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유색두부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유색두부
KR101651944B1 (ko) 2012-12-20 2016-08-30 대한민국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유색두부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유색두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999B1 (ko)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477B1 (ko) 오디가 함유된 양갱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오디가 함유된 양갱
KR101314568B1 (ko) 연근 발효음료 제조방법
KR101012224B1 (ko) 다색 두부의 제조방법 및 그의 조성물
KR102235139B1 (ko) 백색 또는 금색 고춧가루를 사용한 무 곁들이 하얀 배추김치의 제조방법
KR102084859B1 (ko) 울금꽃 모링가 발효효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0463B1 (ko) 비타민나무가 첨가된 칼국수 면발의 제조 방법
KR102158999B1 (ko) 오디 순두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디 순두부
KR102296716B1 (ko) 아로니아 조미액의 제조방법
KR102316705B1 (ko) 무, 당근, 우엉, 무청 및 표고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음료 조성물 및 물을 실질적으로 첨가하지 않는 그 제조 방법
KR102323687B1 (ko) 은행 견과와 도라지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앙금의 제조 방법
KR100920494B1 (ko) 복분자 열매와 잎을 이용한 복분자차의 제조방법
KR102158998B1 (ko) 오디 두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디 두부
CN103535445A (zh) 一种菊花内酯豆腐的制备方法
KR100637962B1 (ko) 송화순두부해장국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37437A (ko) 녹차 두부 제조방법
KR20180069397A (ko) 커피초콩 및 그 제조방법
KR101942431B1 (ko) 참마 및 자색고구마를 이용한 한과의 제조방법
KR102128836B1 (ko) 오죽잎을 이용한 오죽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죽면
KR20170127671A (ko) 초고압을 이용한 유색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청국장 분말의 제조방법
KR101886851B1 (ko) 방풍 피고막 죽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방풍 피고막 죽
Verma et al. Optimization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soymilk-based strawberry rts beverages
KR100842807B1 (ko) 더덕 백김치의 제조방법
KR101638729B1 (ko) 방풍 묵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방풍 묵
KR101645358B1 (ko) 매실청을 이용한 간장낙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509718B1 (ko) 찰쌀보리를 이용한 김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