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974A - 조출 펜슬 - Google Patents

조출 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974A
KR20190136974A KR1020190063233A KR20190063233A KR20190136974A KR 20190136974 A KR20190136974 A KR 20190136974A KR 1020190063233 A KR1020190063233 A KR 1020190063233A KR 20190063233 A KR20190063233 A KR 20190063233A KR 20190136974 A KR20190136974 A KR 20190136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main body
slide
cylinder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3760B1 (ko
Inventor
요시카즈 다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Publication of KR20190136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06Pencil-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8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the writing-cores fed by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24Assembling, finishing, or repairing propelling penc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1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 B43K24/1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163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one push-button for each writ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1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 B43K24/1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and for feeding the writing-cores
    • B43K24/18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and for feeding the writing-cores with a revolving barre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2040/204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the cosmetic being in a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45D2040/208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the relative movement being made by a rotating action, e.g. effected by a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03Propelling pencils with lead sections or lead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06Pen or pencil barrel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부품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조출 펜슬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조출 펜슬(100)은, 통형의 본체통(3)을 갖는 본체(4)와, 본체통(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통과, 선통의 내부에 배치되며, 묘화재(M1)가 장전되는 카트리지(10A)를 구비하고, 카트리지(10A)는, 그 후측에 마련되는 통형부(6m)를 갖고, 본체(4)는, 그 전측에 마련되며 통형부(6m)와 결합하는 삽입부(8h)를 갖고, 카트리지(10A)가 본체(4)로부터 기울어졌을 때에, 통형부(6m)와 삽입부(8h)의 결합이 해제된다.

Description

조출 펜슬{FEEDING PENCIL}
본 발명은 묘화재를 압출하여 사용하는 조출 펜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조출 펜슬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29775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공보에는, 화장료 카트리지를 수용 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한 화장 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이 화장 용기에 있어서, 수용 용기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화장료 카트리지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화장 용기에서는, 수용 용기와 화장료 카트리지의 일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에 의해 수용 용기의 암나사와 화장료 카트리지의 수나사의 나사 결합 작용이 발휘되어 화장료 카트리지가 수용 용기에 장착된다. 한편, 수용 용기와 화장료 카트리지의 타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에 의해 수용 용기로부터 화장료 카트리지가 빠짐으로써, 화장료 카트리지가 수용 용기로부터 발탈(拔脫)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29775호 공보
최근, 전술한 화장 용기와 같은 조출 펜슬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예컨대 내부의 부품의 교환 등을 위해 그 부품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화장 용기에서는, 수용 용기로부터 화장료 카트리지를 제거할 때에 수용 용기와 화장료 카트리지를 상대 회전시키는 동작이 필요로 된다. 따라서, 화장료 카트리지를 착탈하는 조작의 조작성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부품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조출 펜슬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출 펜슬은, 통형의 본체통을 갖는 본체와, 본체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통(先筒)과, 선통의 내부에 배치되며, 묘화재가 장전되는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카트리지는, 그 후측에 마련되는 제1 결합부를 갖고, 본체는, 그 전측에 마련되며 제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갖고, 카트리지가 본체로부터 기울어졌을 때에,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 조출 펜슬에서는, 카트리지에 마련되는 제1 결합부와 본체에 마련되는 제2 결합부의 결합은, 카트리지가 본체로부터 기울어졌을 때에 해제된다. 이 결합의 해제에 의해, 카트리지를 본체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전술한 조출 펜슬은, 카트리지를 본체로부터 기울이는 조작에 의해, 카트리지를 본체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를 본체로부터 제거할 때, 예컨대 카트리지를 회전하는 조작이 불필요해지며, 카트리지를 본체로부터 기울이는 조작을 행하면 된다. 따라서, 카트리지를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의 착탈의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의 본체로부터의 제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출 펜슬의 조립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조출 펜슬에서는, 본체는, 본체통에 대하여 일정량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드부를 더 갖고, 슬라이드부는, 카트리지의 후방에 배치되고, 제2 결합부는, 슬라이드부의 전측에 마련되고, 선통이 본체통으로부터 빠져 슬라이드부가 본체통에 대하여 일정량 전진한 상태로, 카트리지가 슬라이드부로부터 기울어졌을 때에,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결합이 해제되어도 좋다. 이 경우, 선통을 본체통으로부터 빼서 슬라이드부를 일정량 전진시킨 상태로 카트리지를 용이하게 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조출 펜슬에서는, 선통은, 본체통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카트리지는, 묘화재가 장전되는 파이프재와, 파이프재에 장전된 묘화재를 전방으로 압출하는 이동체와, 파이프재의 후방에서 이동체를 유지하는 유지체를 갖고, 슬라이드부가 본체통에 대하여 일정량 전진함으로써 파이프재가 선통에 회전 방향으로 결합하고, 파이프재가 선통에 회전 방향으로 결합한 상태로 선통과 본체통을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선통의 내부에서 묘화재가 전진하여도 좋다. 이 경우, 본체통에 대하여 슬라이드부가 일정량 전진함으로써 파이프재가 전진한다. 그리고, 파이프재가 선통에 회전 방향으로 결합한 상태로, 선통과 본체통을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묘화재가 전진한다. 이와 같이, 선통과 본체통의 상대 회전에 의해 묘화재를 전진시키는 구조여도, 전술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전술한 조출 펜슬에서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 중 어느 한쪽은, 절결 구멍이 형성된 통형부이고,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 중 다른 한쪽은, 절결 구멍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삽입부여도 좋다. 이 삽입부 및 절결 구멍에 의해,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결합을 간이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조출 펜슬에서는, 제1 결합부가 통형부이고, 제2 결합부가 삽입부여도 좋다. 그런데, 본체의 제2 결합부가 절결 구멍을 갖는 통형부인 경우, 카트리지가 본체로부터 기울어져 카트리지가 빠지기 때문에, 착탈을 중첩하는 중에 본체의 제2 결합부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할 염려가 있다. 그 결과,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결합의 강도가 저하하거나, 제2 결합부의 파손을 초래하거나 할 염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의 제1 결합부가 절결 구멍을 갖는 통형부인 경우, 착탈을 반복하였을 때의 제2 결합부의 기계적 강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조출 펜슬에서는, 카트리지는, 본체로부터 기울어졌을 때에, 삽입부가 통형부를 확개하면서 통형부가 삽입부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본체로부터 빠져도 좋다. 이 경우, 통형부의 절결 구멍을 삽입부가 확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트리지가 본체로부터 기울어졌을 때, 통형부는, 삽입부에 의해 확개된다. 이 확개에 의해, 통형부가 삽입부로부터 이탈하여, 카트리지가 본체로부터 빠진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가 본체로부터 기울어졌을 때에 카트리지가 본체로부터 빠지는 구성을 간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조출 펜슬에서는, 삽입부는, 원기둥형을 나타내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카트리지를 본체로부터 기울여 카트리지를 본체로부터 뺄 때에, 통형부의 삽입부에의 걸림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의 제거를 더욱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조출 펜슬에서는, 삽입부의 외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절결 구멍의 내벽면에는, 돌기가 결합하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돌기 및 볼록부는, 통형부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위치의 각각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카트리지를 직경 방향의 일방측으로 기울여 본체로부터 뺄 수 있으며, 카트리지를 상기 일방측의 반대측으로 기울여도 본체로부터 뺄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의 본체로부터의 제거를 더욱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조출 펜슬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출 펜슬로부터 1개의 카트리지를 취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출 펜슬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조출 펜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조출 펜슬에 있어서 1개의 슬라이드부를 전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선통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중통의 측면도이고, (b)는 중통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유지체의 사시도이고, (b)는 (a)에 나타내는 유지체의 측면도이다.
도 10의 (a)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유지체를 도 9의 (b)와는 상이한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b)는 도 9의 (b)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1의 (a)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유지체의 후단 부근을 확대시킨 사시도이고, (b)는 (a)에 나타내는 유지체의 후단 부근의 측면도이고, (c)는 유지체를 후단측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12의 (a)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유지체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b)는 (a)에 나타내는 유지체의 후단 부근을 확대시킨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3의 (a)는 이동체의 사시도이고, (b)는 이동체의 측면도이다.
도 14의 (a)는 파이프재의 측면도이고, (b)는 파이프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슬라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16의 (a)는 도 15에 나타내는 슬라이드부의 측면도이고, (b)는 도 15에 나타내는 슬라이드부를 (a)와는 상이한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7의 (a)는 도 15에 나타내는 슬라이드부의 전단 부근을 확대시킨 사시도이고, (b)는 (a)에 나타내는 슬라이드부의 전단 부근의 측면도이고, (c)는 (a)에 나타내는 슬라이드부의 전단 부근을 (b)와는 상이한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8의 (a)는 슬라이드부 및 카트리지의 측면도이고, (b)는 (a)에 나타내는 슬라이드부 및 카트리지를 (a)와는 상이한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9의 (a)는 도 18의 (a)에 나타내는 슬라이드부 및 카트리지의 중요부를 확대시킨 측면도이고, (b)는 (a)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20의 (a)는 본체통의 종단면도이고, (b)는 본체통의 측면도이고, (c)는 (b)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21의 (a)는 선통이 본체통으로부터 빠져 슬라이드부가 본체통에 대하여 일정량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조출 펜슬의 부분 종단면도이고, (b)는 (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카트리지가 슬라이드부에 대하여 기울여진 상태를 나타내는 조출 펜슬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22의 (a)는 도 21의 (b)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 및 슬라이드부의 사시도이고, (b)는 (a)에 나타내는 카트리지 및 슬라이드부의 중요부를 확대시킨 사시도이다.
도 23의 (a)는 도 22의 (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카트리지가 슬라이드부에 대하여 더욱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b)는 (a)에 나타내는 카트리지 및 슬라이드부를 (a)와는 상이한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a)에 나타내는 카트리지 및 슬라이드부의 중요부를 확대시킨 측면도이다.
도 25의 (a)는 카트리지가 슬라이드부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a)에 나타내는 카트리지 및 슬라이드부의 중요부를 확대시킨 사시도이다.
도 26의 (a)는 카트리지를 슬라이드부에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a)에 나타내는 카트리지 및 슬라이드부의 중요부를 확대시킨 사시도이다.
도 27의 (a)는 카트리지를 슬라이드부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a)에 나타내는 카트리지 및 슬라이드부의 중요부를 확대시킨 사시도이다.
도 28의 (a)는 변형예에 따른 통형부 및 통형부에 결합하는 삽입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b)는 (a)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카트리지가 슬라이드부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요소에는 동일의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조출 펜슬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출 펜슬로부터 1개의 카트리지를 취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출 펜슬의 종단면도이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조출 펜슬(100)은, 4개의 파이프재(1A~1D) 각각의 내부에 장전된 복수의 묘화재(M1~M4)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적절하게 토출하는(압출하는) 다종(多種) 펜슬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묘화재(M1~M4)는, 색이 서로 상이한 묘화재를 나타내고 있다.
묘화재(M1~M4)로서는, 예컨대 립스틱, 립글로스, 아이라이너, 아이브로우, 립라이너, 치크 컬러, 컨실러, 미용 스틱, 헤어 컬러, 네일 아트 등을 비롯한 여러 가지의 봉형 화장료, 또는 문방구의 봉형의 심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매우 부드러운[반고형상, 연고(軟固)형상, 연질형, 젤리형, 무스형 및 이들을 포함하는 페이스트형 등의] 봉형물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외경이 1 ㎜ 이하인 세경 봉형물, 외경이 1.5 ㎜ 내지 3.0 ㎜인 일반 봉형물, 또는 외경이 4.0 ㎜ 이상인 굵은 봉형물도 사용 가능하다.
조출 펜슬(100)은, 묘화재(M1~M4)가 장전되는 파이프재(1A~1D)를 내부에 구비하는 선통(2)과, 선통(2)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선통(2)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통(3)을 갖는 본체(4)를 외관 구성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축선」이란, 조출 펜슬(100)의 전후로 연장되는 조출 펜슬(100)의 중심선을 나타내고, 「축선 방향」이란, 전후 방향으로서 축선을 따른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전측」이란, 축선 방향에 있어서 본체(4)로부터 선통(2)을 향하는 측을 나타내고, 「후측」이란, 축선 방향에 있어서 선통(2)으로부터 본체(4)를 향하는 측을 나타내고 있다. 「전단」이란, 어떤 구성의 전측의 단부를 나타내고, 「후단」이란, 어떤 구성의 후측의 단부를 나타내고 있다. 「직경 방향」이란,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둘레방향」이란,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고리를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묘화재(M1~M4)의 조출 방향을 전방(전진하는 방향)으로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후퇴하는 방향)으로 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재(1B)의 내측에는 봉형의 이동체(5B)가 나사 결합되어 있고, 이동체(5B)는, 통형의 유지체(6B)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파이프재(1B)와 이동체(5B)와 유지체(6B)에 의해 본체(4)에 대하여 교환 가능한 카트리지(10B)가 구성되어 있다. 파이프재(1C)는 파이프재(1B)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파이프재(1C)와 이동체(5C)와 유지체(6C)에 의해, 카트리지(10C)가 구성되어 있다. 파이프재(1A, 1D)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카트리지(10B)의 후방에는, 유지체(6B)에 축선 방향으로 결합되는 슬라이드부(8B)와, 슬라이드부(8B)를 후방으로 편향시키는 스프링(9B)(도 4 및 도 5 참조)이 마련된다. 카트리지(10C)의 후방에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부(8C)와 스프링(9C)이 마련된다. 카트리지(10A)의 후방에도, 마찬가지로 슬라이드부(8A)와 스프링(9A)이 마련된다. 파이프재(1D)를 구성하는 카트리지의 후방에도, 마찬가지로 슬라이드부와 스프링이 마련된다.
도 4는 도 1의 조출 펜슬(100)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조출 펜슬(100)에 있어서 1개의 슬라이드부(8A)를 전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4)는, 그 내부에 마련되는 슬라이드부(8A) 등의 4개의 슬라이드부와, 4개의 슬라이드부의 각각에 마련되는 스프링(9A) 등의 4개의 스프링을 갖는다. 선통(2)의 내부에는, 묘화재(M1~M4)가 장전된 4개의 파이프재(1A~1D)와, 이동체(5A) 등의 4개의 이동체와, 유지체(6A) 등의 4개의 유지체가 마련된다. 이들 4개의 파이프재, 4개의 이동체, 4개의 유지체, 4개의 스프링 및 4개의 슬라이드부의 각각은, 서로 상이한 묘화재(M1~M4)가 장전되는 것 이외에는 서로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4개의 파이프재, 4개의 이동체, 4개의 유지체, 4개의 스프링 및 4개의 슬라이드부의 각각을, 파이프재(1), 이동체(5), 유지체(6), 스프링(9) 및 슬라이드부(8)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카트리지(10A) 등의 4개의 카트리지 및 묘화재(M1~M4)의 각각을, 카트리지(10) 및 묘화재(M)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체통(3)의 전단에는, 중통(11)이 동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중통(11)의 내부에 4개의 유지체(6)가 유지된다. 또한, 중통(11) 및 선통(2)에는, 선통(2)과 본체통(3)[중통(11)]의 상대 회전을 일방향으로만 허용하는 래칫 기구(12)가 마련되어 있다. 래칫 기구(12)에 의해, 상기 일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방향에 있어서의 선통(2)과 본체통(3)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다.
도 6은 선통(2)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통(2)은, ABS 수지(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의 공중합 합성 수지)로 성형되며, 통형을 나타내고, 전단에 파이프재(1)의 전측 부분을 출현시키기 위한 개구부(2a)를 갖는다. 선통(2)의 내부에는, 4개의 카트리지(10)를 수용하는 수용 영역(2b)이 마련되어 있고, 수용 영역(2b) 내에 마련된 4개의 파이프재(1) 중 어느 1개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개구부(2a)로부터 전방에 노출된다.
선통(2)의 외주면의 전측에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 가늘어지도록 경사진 경사면(2c)이 마련되어 있다. 선통(2)에 있어서의 전측의 내주면(2d)도 전측을 향함에 따라 가늘어져 있다. 내주면(2d)에는, 파이프재(1)를 회전 방향(축선 둘레의 방향)으로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둘레방향에 다수의 볼록부가 병설되며 그 볼록부가 내주면(2d)의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2e)가 마련되어 있다. 돌조(2e)는, 상기 경사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전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돌조(2e)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의 간격은 전측을 향함에 따라 짧게 되어 있다.
선통(2)의 내주면의 후측에는, 래칫 기구(12)의 한쪽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둘레방향에 24개의 요철이 병설되며 그 요철이 축선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요철부(2f)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선통(2)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요철부(2f)의 후방에는, 중통(11)을 선통(2)의 후방부에서 축선 방향으로 결합하기 위한 환형 볼록부(2g)와, 환형 볼록부(2g)의 전측에 위치하는 환형 오목부(2h)와, 환형 볼록부(2g)의 후측에 위치하는 환형 오목부(2j)가 마련되어 있다.
도 7의 (a)는 중통(11)의 측면도이고, 도 7의 (b)는 중통(11)의 종단면도이다. 중통(11)은, POM(폴리아세탈)에 의한 사출 성형품으로 되어 있고, 단차를 갖는 원통형의 외형을 나타내고 있다. 중통(11)은, 전측 통부(11a)와, 전측 통부(11a)보다 대직경 외형을 갖는 중앙 통부(11b)와, 전측 통부(11a) 및 중앙 통부(11b)보다 소직경 외형을 갖는 후측 통부(11c)를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이 순서로 가지고 있다.
전측 통부(11a)는, 그 내주면(11d)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위치에, 래칫 기구(12)의 다른쪽을 구성하는 탄성 돌부(突部)(11e)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 돌부(11e)는, 선통(2)의 요철부(2f)에 회전 방향으로 결합하는 것이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전측 통부(11a)에 있어서의 탄성 돌부(11e)의 주위에는, 중통(11)의 내외를 연통하는 U자형의 절결(11f)이 형성되어 있고, 절결(11f)에 의해 탄성 돌부(11e)는 직경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고 있다. 중통(11)의 탄성 돌부(11e)는, 선통(2)의 요철부(2f)에 항상 접촉한다.
도 8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칫 기구(12)의 한쪽을 구성하는 선통(2)의 요철부(2f)는, 선통(2)의 내주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경사면(2f1)과, 선통(2)의 내주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 측면(2f2)을 갖는다. 또한, 래칫 기구(12)의 다른쪽을 구성하는 중통(11)의 탄성 돌부(11e)는, 중통(11)의 외주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경사면(11e1)과, 중통(11)의 외주면의 접선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 측면(11e2)을 갖는다.
재차, 도 7의 (a) 및 도 7의 (b)를 참조한다. 중통(11)의 절결(11f)은, 전측 통부(11a)에 있어서의 탄성 돌부(11e)의 축선 방향 양편에 형성되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슬릿(11g, 11h)과, 전측 통부(11a)에 있어서의 탄성 돌부(11e)의 둘레방향 일방측에 형성되어 슬릿(11g, 11h)에 연속하여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11j)을 포함하고 있다. 전측 통부(11a)에서 절결(11f)에 둘러싸인 벽부는, 직경 방향으로 가요성을 갖는 아암(11k)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아암(11k)의 선단부의 외면에 배치된 탄성 돌부(11e)는, 직경 방향으로 탄성력(편향력)을 가지고 있다.
중통(11)의 중앙 통부(11b)의 외주면에는, 선통(2)의 환형 볼록부(2g)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11m)와, 선통(2)의 환형 오목부(2j)에 후방으로부터 들어가는 환형 볼록부(11n)와, 환형 볼록부(11n)의 후측에 위치하는 플랜지부(11p)가 마련되어 있다. 중통(11)에서는, 그 플랜지부(11p)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통부가 선통(2)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된다.
중통(11)의 후측 통부(11c)에는, 본체통(3)에 대하여 회전 방향으로 결합하기 위한 돌조(11q)가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조(11q)는, 후측 통부(11c)의 외주면에서 둘레방향 4등배(等配)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11p)의 후방에는, 본체통(3)에 축선 방향으로 결합하기 위한 볼록부(11r)가 형성되어 있고, 볼록부(11r)는 돌조(11q) 사이에서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통(11)은, 그 플랜지부(11p)의 내면측에 있어서, 4개의 슬라이드부(8)를 축선 방향으로 삽입 관통시키는 부위인 유지체 수용부(11s)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유지체 수용부(11s)에는, 둘레방향 4등배의 위치에, 슬라이드부(8)를 축선 방향으로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원형의 개구(11t)가 마련되어 있다.
중통(11)에 있어서, 전측 통부(11a) 및 중앙 통부(11b)는, 선통(2)의 후측으로부터 내측 삽입된다. 이때, 전측 통부(11a)의 탄성 돌부(11e)가 선통(2)의 요철부(2f)에 회전 방향으로 결합하고, 중앙 통부(11b)의 돌기(11m)가 선통(2)의 환형 볼록부(2g)에 결합하여 환형 오목부(2h)에 끼워 넣어지며, 중앙 통부(11b)의 환형 볼록부(11n)가 선통(2)의 환형 오목부(2j)에 들어간다.
도 9의 (a)는 유지체(6)의 사시도이고, 도 9의 (b)는 유지체(6)의 측면도이다. 도 10의 (a)는 유지체(6)를 도 9의 (b)와는 상이한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10의 (b)는 도 9의 (b)의 B-B선 단면도이다. 유지체(6)는, 전체로서 원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유지체(6)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POM이 이용된다. 유지체(6)는, 그 전측에 마련되어 이동체(5)를 수용하는 구멍부(6a)를 가지며 이동체(5)를 압박하는 이동체 압박부(6b)와, 이동체 압박부(6b)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통형부(6c)를 구비한다.
유지체(6)의 이동체 압박부(6b)는,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이동체 압박부(6b)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 슬릿(6d)을 구비하고 있다. 슬릿(6d)을 구비한 이동체 압박부(6b)에 있어서, 이동체(5)는, 유지체(6)의 수지의 탄성력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에 체결된다. 슬릿(6d)에 의해, 이동체 압박부(6b)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릿(6d)의 후단에는, 직경 방향에서 보아 넓어지도록 형성된 확장부(6g)가 마련되어 있고, 확장부(6g)에 의해, 이동체(5)를 체결하는 이동체 압박부(6b)의 탄성력은 적절하게 조정되고 있다. 이동체 압박부(6b)의 내면(6e)에는, 나선형의 돌기(6f)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6f)는, 유지체(6)의 내면(6e)에 있어서 축선 방향을 따른 3부분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돌기(6f)는, 이동체(5)의 수나사(5a)(도 13 참조)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접촉한다. 또한, 유지체(6)에 이동체(5)를 축선 방향으로 결합하여, 유지체(6)에 이동체(5)를 탈착 가능하게 유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유지체(6)의 통형부(6c)의 내측에는, 둘레방향 4등배로 배치되어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돌조(6h)가 마련되어 있다. 돌조(6h)는, 유지체(6)에 대한 이동체(5)의 회전 방지를 위해 마련된다. 돌조(6h)에는, 그 전단을 향함에 따라 가늘어지는 테이퍼면(6n)이 마련되어 있고, 테이퍼면(6n)에 의해, 돌조(6h)는, 이동체(5)를 전측으로부터 삽입하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돌조(6h)에 의해,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통형부(6c)를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그 통형부(6c)의 내부 공간은 비원형상(십자형)으로 형성된다(도 8 참조). 또한, 통형부(6c)에는, 성형 시에 사출의 압력으로 코어핀이 기울지 않도록 코어핀을 지지하는 것으로 하여,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원형의 관통 구멍(6j)이 유지체(6)의 내외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관통 구멍(6j)은, 통형부(6c)에 있어서 직경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6j)은, 통형부(6c)의 후측에 마련되고, 축선 방향에서 보아 슬릿(6d)과 동일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통형부(6c)에는, 그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오목부(6k)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6k)는, 사출 성형 시에 생기는 게이트 흔적이며,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오목부(6k)는, 직경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관통 구멍(6j)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도 11의 (a)는 유지체(6)의 후단 부근을 확대시킨 사시도이고, 도 11의 (b)는 유지체(6)의 후단 부근의 측면도이고, 도 11의 (c)는 유지체(6)를 후단측에서 본 배면도이다. 유지체(6)의 후단부에는, 통형부(6c)에 연속하고 있으며 통형부(6c)로부터 유지체(6)의 후단까지 축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의 통형부(6m)(제1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다. 통형부(6m)의 외경(d1)은, 예컨대 3.3 ㎜이다.
통형부(6m)는, 유지체(6)의 후단에 위치하는 후단면(6p)과, 후단면(6p)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후단면(6p)으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진 경사면(6q)을 포함한다. 후단면(6p)은, 직경 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경사면(6q)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통형부(6m)에는, 후단면(6p)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슬릿(6r)(절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6r)는, 통형부(6m)에 있어서 직경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위치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슬릿(6r)은, 예컨대, 축선 방향에서 보아 슬릿(6d) 및 관통 구멍(6j)과 동일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통형부(6m)는, 슬릿(6r)의 형성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개(확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릿(6r)은,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슬릿(6r)은, 그 전단에 위치하는 내벽면(6s)과, 내벽면(6s)의 후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내벽면(6t)과, 한 쌍의 내벽면(6t)의 각각의 후측으로부터 둘레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볼록부(6u)와, 한 쌍의 볼록부(6u)의 각각과 후단면(6p) 사이에 마련되는 한 쌍의 내벽면(6w)을 포함한다. 내벽면(6s)은, 직경 방향 및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예컨대 후단면(6p)을 따르고 있다. 내벽면(6s)과 후단면(6p)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즉 슬릿(6r)의 축선 방향의 길이](d2)는, 예컨대 2.9 ㎜이다. 통형부(6m)의 외경(d1)에 대한 거리(d2)의 비율은, 예컨대 70% 이상 또한 120% 이하로 되어 있다.
한 쌍의 내벽면(6t)의 각각은, 축선 방향 및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내벽면(6s) 및 후단면(6p)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내벽면(6t) 사이의 거리[즉 슬릿(6r)의 폭](d3)는, 예컨대 1.3 ㎜이다. 통형부(6m)의 외경(d1)에 대한 거리(d3)의 비율은, 예컨대 20% 이상 또한 60% 이하로 되어 있다. 내벽면(6t)과 내벽면(6s)의 접속 부분, 즉 슬릿(6r)의 전단의 코너부에는, 축선 방향 및 둘레방향의 각각에 대하여 곡면형으로 만곡한 만곡면(6v)이 마련되어 있다. 만곡면(6v)에 의해, 통형부(6m)의 확개 시에 있어서의, 슬릿(6r)의 코너부에의 응력의 집중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 쌍의 내벽면(6w)은,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고 있다. 각 내벽면(6w)은, 각 내벽면(6t)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내벽면(6w) 사이의 거리는, 예컨대, 한 쌍의 내벽면(6t)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며, 각 내벽면(6w)은, 축선 방향에서 보아 각 내벽면(6t)과 동일한 위치에 있다. 한 쌍의 볼록부(6u)는, 슬릿(6r)의 후측에 마련되어 있다. 각 볼록부(6u)는,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고 있고,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다. 각 볼록부(6u)는, 직경 방향에서 보아 사각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각 볼록부(6u)는, 그 전단에 위치하는 전단면(6u1)과, 전단면(6u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정상면(6u2)와, 정상면(6u2) 및 내벽면(6w)에 연속하고 있으며 정상면(6u2) 및 내벽면(6w)에 대하여 경사진 테이퍼면(6u3)을 포함한다. 전단면(6u1)은, 직경 방향 및 둘레방향을 따른 평탄면으로 되어 있고, 내벽면(6t)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단면(6u1)은, 축선 방향을 따라 내벽면(6s)과 소정 거리를 두고 대향하고 있다.
정상면(6u2)은, 내벽면(6t)보다 슬릿(6r)의 폭방향의 중앙 쪽에 위치하고 있다. 정상면(6u2)은, 내벽면(6t)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일례에서는, 내벽면(6t)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정상면(6u2)은, 전단면(6u1)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정상면(6u2)과 내벽면(6t)의 거리[즉 볼록부(6u)의 내벽면(6t)으로부터의 높이](d4)는, 예컨대 0.3 ㎜이다. 통형부(6m)의 외경(d1)에 대한 거리(d4)의 비율은, 예컨대 5% 이상 또한 20% 이하로 되어 있다.
테이퍼면(6u3)은, 후방을 향함에 따라 넓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테이퍼면(6u3)이, 후방을 향함에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슬릿(6r)은, 테이퍼면(6u3)에 의해, 후술하는 슬라이드부(8)의 돌기(8m)(도 15 참조)가 후방으로부터 삽입되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2의 (a)는 유지체(6)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12의 (b)는 유지체(6)의 후단 부근을 확대시킨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직경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슬릿(6r)은, 통형부(6m)의 축선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통형부(6c)의 내측에 마련되는 돌조(6h)는, 통형부(6m)의 전단, 즉 통형부(6c)와 통형부(6m)의 경계까지 연장되어 있다. 돌조(6h)는, 통형부(6m)의 내측에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도 13의 (a)는 이동체(5)의 사시도이고, 도 13의 (b)는 이동체(5)의 측면도이다. 이동체(5)는, 봉형의 외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동체(5)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POM이 이용된다. 이동체(5)는, 그 외주면에 있어서, 수나사(5a)와,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홈부(5b)를 구비하고 있다. 홈부(5b)는, 둘레방향 4등배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동체(5)는, 그 후측의 표면에, 수나사(5a)가 형성되지 않은 곡면부(5c)를 갖는다. 곡면부(5c)는, 이동체(5)가 전진 한계까지 도달하였을 때에 이동체(5)를 헛돌게 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곡면부(5c)의 후방에 위치하는 수나사(5a)는, 유지체(6)에의 조립 시에 돌기(6f)의 후방에 삽입됨으로써, 이동체(5)의 유지체(6)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도 3 참조). 수나사(5a)는, 이동체(5)의 축선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축선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이란, 축선 방향 전체에 수나사(5a)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본 실시형태와 같이 축선 방향의 도중에 곡면부(5c)가 형성되는 등, 일부에 수나사(5a)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도 포함된다.
이동체(5)의 4개의 홈부(5b)는, 유지체(6)의 돌조(6h)에 들어가게 하기 위해 마련된다(도 8 참조). 홈부(5b)는, 이동체(5)와 유지체(6)를 동기 회전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홈부(5b)에 의해,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수나사(5a) 및 홈부(5b)를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 형상은, 유지체(6)의 통형부(6c)의 내부 공간에 대응한 비원형상(십자형)이 된다.
이동체(5)에 있어서의 수나사(5a)의 피치[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수나사(5a)의 나사산 사이의 거리]는, 예컨대 0.3 ㎜ 이상 1.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6 ㎜이다. 종래의 수나사의 피치는 일반적으로 2.0 ㎜ 이상 6.0 ㎜ 이하로 되어 있기 때문에, 수나사(5a)의 피치는, 일반적인 수나사의 피치보다 짧은 미소 피치로 되어 있다.
이동체(5)에 있어서의 수나사(5a) 및 홈부(5b)는, 홈부(5b)가 돌조(6h)에 대하여 클리어런스를 갖도록 전방으로부터 유지체(6)에 삽입된다. 그리고, 유지체(6)의 내면(6e)에 마련된 돌기(6f)와, 이동체(5)의 수나사(5a)가 결합함으로써, 유지체(6)는 이동체(5)를 유지한다. 이때, 돌기(6f)는, 수나사(5a)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압박하고, 이에 의해, 이동체(5)에 대한 유지체(6)의 유지력이 높여지고 있다.
또한, 이동체(5)의 전단에는, 파이프재(1) 내의 묘화재(M)를 전방에 압출하는 원기둥형의 압출부(5d)가 마련되어 있다. 압출부(5d)는, 그 전단에 위치하는 저면(5e)과,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5g)과, 저면(5e)에 대하여 경사져 저면(5e) 및 측면(5g)에 연속하는 테이퍼면(5h)을 갖는다. 저면(5e)은, 묘화재(M)를 전방에 압출하기 위한 면이다.
도 14의 (a)는 파이프재(1)의 측면도이고, 도 14의 (b)는 파이프재(1)의 종단면도이다. 파이프재(1)는, 대략 원통형을 나타내고 있다. 파이프재(1)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PP(폴리프로필렌)가 이용된다. 파이프재(1)는, 묘화재(M)와 동일한 색으로 착색하거나 투명 재료로 하거나 함으로써, 묘화재(M)의 색을 식별하기 쉽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이프재(1)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후측에는, 이동체(5)를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암나사(1a)가 형성되어 있다. 파이프재(1)에 있어서의 암나사(1a)의 피치[축선 방향에서의 암나사(1a)의 나사산 사이의 거리]는, 이동체(5)의 수나사(5a)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암나사의 피치보다 짧은 미소 피치로 되어 있다.
파이프재(1)의 내면에 있어서의 암나사(1a)의 전측에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1b)가 둘레방향 4등배로 마련되어 있다. 돌조(1b)에 의해, 파이프재(1)에 장전된 묘화재(M)의 빠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돌조(1b)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4개로 한 경우에, 보다 효과적으로 묘화재(M)의 빠짐이 방지된다. 파이프재(1)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전측 부분에는, 선통(2)의 돌조(2e)에 회전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둘레방향에 복수의 오목부가 병설되어 그 오목부가 축선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오목홈(1c)이 마련되어 있다.
도 15는 슬라이드부(8)의 사시도이다. 도 16의 (a)는 슬라이드부(8)의 측면도이고, 도 16의 (b)는 슬라이드부(8)를 도 16의 (a)와는 상이한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슬라이드부(8)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POM 수지가 이용된다. 슬라이드부(8)의 색은, 예컨대, 대응하는 묘화재(M)의 색과 동일하게 되어 있고, 원하는 색의 슬라이드부(8)를 전방으로 일정량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원하는 색의 묘화재(M)를 선통(2)의 개구부(2a)로부터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5 참조).
슬라이드부(8)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슬라이드부(8)의 후측에는, 다른 슬라이드부(8)를 후방으로 되돌리기 위한 돌출부(8a)가 마련되어 있고, 돌출부(8a)는, 본체통(3)에서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며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다(도 3 참조). 슬라이드부(8)의 후단에는, 본체통(3)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8b)와, 슬라이드부(8)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돌출하여 본체통(3)에 걸리는 후단부(8c)와, 본체통(3)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여 다른 슬라이드부(8)의 돌출부(8a)가 접촉되는 경사면(8d)을 갖는 돌출부(8e)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부(8)의 전측에는, 스프링(9)(도 4 및 도 5 참조)이 권취되는 환봉형의 봉형부(8f)가 마련되고, 봉형부(8f)의 후단에는, 봉형부(8f)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평탄한 면(8g)이 마련되어 있다. 봉형부(8f)는, 중통(11)의 유지체 수용부(11s)의 개구(11t)[도 7의 (b) 참조]에, 축선 방향으로 삽입 관통된다. 또한, 면(8g)에는, 스프링(9)의 일단이 접촉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부(8)는, 그 전측에 마련된 봉형부(8f)와, 봉형부(8f)의 후단에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면(8g)을 구비함으로써, 스프링(9)을 조립하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7의 (a)는 슬라이드부(8)의 전단 부근을 확대시킨 사시도이고, 도 17의 (b)는 슬라이드부(8)의 전단 부근의 측면도이고, 도 17의 (c)는 슬라이드부(8)의 전단 부근을 도 17의 (b)와는 상이한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슬라이드부(8)의 전단부에는, 유지체(6)의 통형부(6m)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통형부(6m)에 축선 방향으로 결합되는 삽입부(8h)(제2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다. 삽입부(8h)는, 봉형부(8f)의 전단으로부터 더욱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전체로서 원기둥형을 나타내고 있다.
삽입부(8h)는, 그 전단에 위치하는 전단면(8i)과, 전단면(8i)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원기둥면형의 외주면(8j)과, 외주면(8j)의 후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면(8k)과, 외주면(8j)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기(8m)를 포함한다. 전단면(8i)은, 직경 방향 및 둘레방향을 따른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전단면(8i)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전단면(8i)으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8n)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8h)는, 경사면(8n)에 의해, 통형부(6m)에 후방으로부터 삽입하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외주면(8j)의 외경은, 봉형부(8f)의 외경보다 작다. 또한, 외주면(8j)의 외경은, 통형부(6m)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통형부(6m)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 면(8k)은, 직경 방향 및 둘레방향을 따른 평탄면으로 되어 있고, 외주면(8j)과 봉형부(8f)의 외주면 사이에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돌기(8m)는, 외주면(8j)에서 직경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위치로서 슬릿(6r)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돌기(8m) 및 슬릿(6r)은 함께, 직경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위치(즉, 둘레방향 2등배의 위치)의 각각에 마련된다.
돌기(8m)는, 슬릿(6r)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슬릿(6r)에 축선 방향으로 결합된다. 돌기(8m)는, 직경 방향에서 보아,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측이 확장된 T자형을 나타내고 있다. 돌기(8m)의 전단은 전단면(8i)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고, 돌기(8m)의 후단은 면(8k)에 달하고 있다. 돌기(8m)는, 외주면(8j)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정상면(8p)과, 돌기(8m)의 전단에 위치하는 전단면(8q)과, 전단면(8q)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8r)과, 전단면(8q)과 한 쌍의 측면(8r) 사이에 마련되는 한 쌍의 볼록부(8s)를 포함한다.
정상면(8p)은, 축선 방향 및 둘레방향을 따른 곡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봉형부(8f)의 외주면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직경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정상면(8p)의 곡률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한 쌍의 정상면(8p) 사이의 거리[즉 삽입부(8h)의 직경 방향의 최대 치수]는, 통형부(6m)의 외경(d1)[도 11의 (b) 참조]보다 작다. 정상면(8p)의 후단에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8t)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8t)은, 봉형부(8f)의 외주면에 연속하고 있다.
전단면(8q)은, 정상면(8p)과 외주면(8j)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전단면(8q)은, 전단면(8i)을 따른 평탄면으로 되어 있고, 외주면(8j)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돌기(8m)의 한 쌍의 측면(8r)은,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고 있다. 각 측면(8r)은, 면(8k)으로부터 전단면(8q)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면(8k) 및 전단면(8q)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돌기(8m)의 한 쌍의 볼록부(8s)는, 각 측면(8r)의 전단으로부터 둘레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직경 방향에서 보아 사각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각 볼록부(8s)는, 돌기(8m)의 폭의 중앙 및 축선을 통과하는 기준면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다. 각 볼록부(8s)는, 그 전측에 마련되는 테이퍼면(8s1)과, 테이퍼면(8s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정상면(8s2)과, 정상면(8s2) 및 측면(8r)에 연속하고 있으며 볼록부(8s)의 후단을 형성하는 후단면(8s3)을 포함한다.
테이퍼면(8s1)은, 전단면(8q)을 향함에 따라 가늘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테이퍼면(8s1)이, 전단면(8q)을 향함에 따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테이퍼면(8s1)은, 슬릿(6r)의 볼록부(6u)의 테이퍼면(6u3)을 따라 연장되고, 일례로서는, 테이퍼면(6u3)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돌기(8m)는, 테이퍼면(8s1)에 의해, 슬릿(6r)에 후방으로부터 삽입하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정상면(8s2)은, 측면(8r)에 대하여, 돌기(8m)의 폭의 중앙과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정상면(8s2)은, 측면(8r)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일례에서는, 측면(8r)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후단면(8s3)은 전단면(8q)을 따른 평탄면으로 되어 있고, 일례에서는, 전단면(8q)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후단면(8s3)은, 정상면(8s2) 및 측면(8r)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슬라이드부(8)의 삽입부(8h)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체(6)의 통형부(6m)에 축선 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통형부(6m)에 축선 방향으로 결합된다. 도 18의 (a)는 슬라이드부(8) 및 카트리지(10)의 측면도이고, 도 18의 (b)는 슬라이드부(8) 및 카트리지(10)를 도 18의 (a)와는 상이한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9의 (a)는 슬라이드부(8) 및 카트리지(10)의 중요부를 확대시킨 측면도이고, 도 19의 (b)는 도 19의 (a)의 D-D선 단면도이다.
삽입부(8h)가 통형부(6m)에 삽입될 때, 삽입부(8h)의 돌기(8m)가 통형부(6m)의 슬릿(6r)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된다. 이때, 돌기(8m)의 각 볼록부(8s)가, 슬릿(6r)의 각 볼록부(6u)의 전방에 들어가, 각 볼록부(6u)에 걸려 각 볼록부(6u)에 축선 방향으로 결합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각 볼록부(8s)의 후단면(8s3)과 각 볼록부(6u)의 전단면(6u1)이, 축선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한다. 이 때문에, 유지체(6)를 포함하는 카트리지(10)가 전방으로 인장되면, 각 볼록부(6u)의 전단면(6u1)이 각 볼록부(8s)의 후단면(8s3)에 접촉한다. 전단면(6u1)과 후단면(8s3)의 접촉에 의해, 슬라이드부(8)에 대한 카트리지(10)의 전방에의 상대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도 19의 (a)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삽입부(8h)의 외주면(8j)이 통형부(6m)의 내주면에 대향하고, 삽입부(8h)의 면(8k)이 통형부(6m)의 후단면(6p)에 대향한다. 면(8k)이 후단면(6p)에 대향하기 때문에, 카트리지(10)가 후방으로 압입되면, 후단면(6p)이 면(8k)에 접촉한다. 후단면(6p)과 면(8k)의 접촉에 의해, 슬라이드부(8)에 대한 카트리지(10)의 후방으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슬릿(6r)의 한 쌍의 내벽면(6t)은, 한 쌍의 볼록부(8s)의 정상면(8s2)에 각각 접촉하고 있다. 한 쌍의 내벽면(6t) 사이의 거리(d3)는, 한 쌍의 정상면(8s2)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볼록부(6u)의 정상면(6u2)은, 돌기(8m)의 한 쌍의 측면(8r)에 각각 접촉하고 있다. 정상면(6u2)과 내벽면(6t)의 거리(d4)는, 정상면(8s2)과 측면(8r)의 거리[즉 볼록부(8s)의 측면(8r)으로부터의 높이]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내벽면(6t) 및 정상면(6u2)이 정상면(8s2) 및 측면(8r)에 각각 접촉함으로써, 카트리지(10)가 슬라이드부(8)에 대하여 회전 방향으로 결합한다. 또한, 돌기(8m)의 전단면(8q)은, 슬릿(6r)의 내벽면(6s)과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돌기(8m)를 슬릿(6r)에 축선 방향으로 결합할 때의 조립 공차 등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0의 (a)는 본체통(3)의 종단면도이고, 도 20의 (b)는 본체통(3)의 측면도이고, 도 20의 (c)는 도 20의 (b)의 C-C선 단면도이다. 본체통(3)은, ABS 수지에 의한 사출 성형품으로 되어 있고, 바닥을 갖는 원통형을 나타내고 있다. 본체통(3)의 후측에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드부(8)의 돌출부(8b)를 외방으로 돌출시키는 절결부(3a)가 마련되어 있고, 절결부(3a)는 둘레방향 4등배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본체통(3)에 있어서의 절결부(3a)의 직경 방향 내측에는, 절결부(3a)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평탄부(3b)와, 평탄부(3b)에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3c)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3c)의 후측은, 본체통(3)의 저면(3d)까지 연장되어 있다. 본체통(3)의 절결부(3a)를 따라 슬라이드부(8)의 돌출부(8b)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드부(8)의 후단부(8c)가 돌출부(3c)를 따라 전진한다(도 5 참조).
후단부(8c)가 돌출부(3c)의 전단에 달하면 그 후단부(8c)가 절결부(3a)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들어가, 돌출부(3c)의 전단에 후단부(8c)가 걸린다. 또한, 하나의 슬라이드부(8)에 있어서의 후단부(8c)가 돌출부(3c)의 전단에 걸린 상태에 있어서, 하나의 슬라이드부(8)의 경사면(8d)에는 다른 슬라이드부(8)의 돌출부(8a)가 근접하고 있다.
또한, 도 2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통(3)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전측에는, 중통(11)의 돌조(11q)에 회전 방향으로 결합하는 오목홈(3e)과, 중통(11)의 볼록부(11r)가 축선 방향으로 결합하는 환형 오목부(3f)와, 중통(11)의 플랜지부(11p)가 전방으로부터 들어가는 환형 오목부(3g)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홈(3e)은, 본체통(3)의 전단에 위치하는 환형 오목부(3g)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있고, 본체통(3)의 내주면에서 둘레방향 4등배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환형 오목부(3f)는, 오목홈(3e) 사이에서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체통(3)에는, 그 전측으로부터 4개의 슬라이드부(8)가 삽입되고, 슬라이드부(8)의 돌출부(8b)는 절결부(3a)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한 상태가 된다. 또한, 본체통(3)의 전단에는 중통(11)이 들어간다. 본체통(3)에 중통(11)이 들어갈 때, 본체통(3)의 오목홈(3e)에 중통(11)의 돌조(11q)가 들어가, 본체통(3)의 환형 오목부(3f)에 중통(11)의 볼록부(11r)가 축선 방향으로 결합하고, 중통(11)의 플랜지부(11p)가 환형 오목부(3g)에 들어감으로써, 본체통(3)에 중통(11)이 동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9)[스프링(9A~9C)]은, 슬라이드부(8)의 봉형부(8f)의 외주와 클리어런스를 갖도록 봉형부(8f)에 권취되어 있다. 스프링(9)은, 그 전단이 중통(11)에 있어서의 유지체 수용부(11s)의 후벽에 접촉하고, 그 후단이 슬라이드부(8)의 축선 방향 중앙 부근에 위치하는 면(8g)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스프링(9)에 의해 슬라이드부(8)는 후방으로 편향된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조출 펜슬(100)의 사용 시의 조작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의 조출 펜슬(100)에 있어서는, 4개의 슬라이드부(8)가 본체통(3)의 절결부(3a)의 후단에 위치한 상태로 되어 있고, 4개의 파이프재(1)가 선통(2)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로 슬라이드부(8A)를 절결부(3a)를 따라 일정량 전진시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8A)에 축선 방향으로 결합된 카트리지(10A)가 전진하여, 묘화재(M1)가 선통(2)의 개구부(2a)로부터 전방에 노출된다.
이때, 파이프재(1A)의 전측 부분이 선통(2)의 내주면(2d)에 들어감으로써, 슬라이드부(8A)의 봉형부(8f)가 축선 방향에 대하여 만곡하도록 휘어, 파이프재(1A)의 오목홈(1c)이 선통(2)의 돌조(2e)에 회전 방향으로 결합한다. 그리고, 슬라이드부(8A)의 후단부(8c)가 본체통(3)의 돌출부(3c)의 전단에서 직경 방향 내측에 들어간다.
이 상태에 있어서, 예컨대 사용자가 선통(2)에 대하여 본체통(3)을 일방향(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키면, 중통(11), 4개의 슬라이드부(8), 4개의 유지체(6) 및 4개의 이동체(5)가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시작한다. 여기서, 선통(2)의 돌조(2e)에 오목홈(1c)이 결합되지 않은 파이프재(1B~1D)는, 상기 일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한편, 선통(2)의 돌조(2e)에 오목홈(1c)이 결합된 파이프재(1A)에 이동체(5A)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유지체(6A)는, 상기 일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에 따라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시작한다. 또한, 선통(2)의 돌조(2e)에 오목홈(1c)이 결합된 파이프재(1A)는, 이동체(5A)의 일방향으로의 회전과 함께는 회전하지 않고, 파이프재(1A)에 대하여 이동체(5A)가 상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일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에 의해, 이동체(5)의 수나사(5a)와 파이프재(1)의 암나사(1a) 사이에서 나사 결합 작용이 발휘되어, 파이프재(1A)에 대하여 이동체(5A)가 전진을 시작한다. 그리고, 이동체(5A)의 압출부(5d)의 저면(5e)이 파이프재(1A)에 장전된 묘화재(M1)를 전방에 압출함으로써, 이동체(5A)와 묘화재(M1)가 함께 파이프재(1A)에 대하여 전진을 시작한다.
또한, 상기 일방향으로의 상대 회전 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칫 기구(12)를 구성하는 중통(11)의 탄성 돌부(11e)가 선통(2)의 요철부(2f)에 회전 방향으로 결합하며, 절결(11f)에 의한 탄성력으로 탄성 돌부(11e)가 직경 방향으로 편향됨으로써, 탄성 돌부(11e)와 요철부(2f)의 결합 및 결합 해제(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가 반복된다. 즉, 탄성 돌부(11e)와 요철부(2f)가 회전 방향으로 결합한 상태로 상기 일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이 행해지면, 탄성 돌부(11e)의 경사면(11e1)이, 요철부(2f)의 경사면(2f1)에 접촉하고, 이 상태로 경사면(2f1)을 뛰어오르도록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탄성 돌부(11e)가 요철부(2f)의 볼록부를 타고 넘은 후, 재차 탄성 돌부(11e)와 요철부(2f)가 회전 방향으로 결합한다. 그 결과, 탄성 돌부(11e)와 요철부(2f)의 결합 및 결합 해제 때마다, 사용자에게 클릭감이 부여된다. 또한, 요철부(2f)에서는, 둘레방향으로 24개의 요철이 병설되어 있기 때문에, 일방향으로 15°상대 회전시킬 때마다 사용자에게 클릭감이 부여된다.
한편, 사용자가 선통(2)에 대하여 본체통(3)을 상기 일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방향(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키고자 하면, 래칫 기구(12)를 구성하는 탄성 돌부(11e)의 측면(11e2)이 요철부(2f)의 측면(2f2)에 접촉하여, 상기 타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선통(2)과 본체통(3)은 타방향으로는 상대 회전하지 않는다. 즉, 일방향의 상대 회전에 있어서의 회전력(토크)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는 힘으로 설정하고, 타방향의 상대 회전에 있어서의 회전력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없는 힘으로 설정한다. 예컨대, 본체통(3)의 외경을 14 ㎜ 정도로 설계한 경우, 일방향의 상대 회전의 토크는 0.1 N·m(뉴튼·미터) 이하로 설정하고, 타방향의 상대 회전의 토크는 0.2 N·m 이상으로 설정한다.
계속해서, 카트리지(10)를 본체(4)의 슬라이드부(8)로부터 제거할 때의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1의 (a)는 선통(2)이 본체통(3)으로부터 빠져 슬라이드부(8A)가 본체통(3)에 대하여 일정량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조출 펜슬(100)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21의 (b)는 도 21의 (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카트리지(10A)가 슬라이드부(8A)에 대하여 기울여진 상태를 나타내는 조출 펜슬(100)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카트리지(10A)를 본체(4)로부터 제거할 때, 먼저, 선통(2)을 본체통(3)으로부터 빼서 4개의 카트리지(10)를 노출시킨 상태로, 슬라이드부(8A)를 본체통(3)에 대하여 일정량 전진시킨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10A)가 다른 카트리지(10)에 대하여 전방으로 압출된 상태가 된다. 다음에, 전방으로 압출된 카트리지(10A)를 슬라이드부(8A)에 대하여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으로 기울인다.
도 22의 (a)는 도 21의 (b)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10A) 및 슬라이드부(8A)의 사시도이고, 도 22의 (b)는 카트리지(10A) 및 슬라이드부(8A)의 중요부[도 22의 (a)에 있어서의 파선 부분]를 확대시킨 사시도이다. 카트리지(10A)를 슬라이드부(8A)에 대하여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구체적으로는 축선에 대하여 슬릿(6r) 및 돌기(8m)가 위치하는 측]으로 기울이면, 슬릿(6r)의 한 쌍의 볼록부(6u)가, 삽입부(8h)의 외주면(8j)에 접촉한다.
도 23의 (a)는 도 22의 (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카트리지(10A)가 슬라이드부(8A)에 대하여 더욱 기울여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3의 (b)는 카트리지(10A) 및 슬라이드부(8A)를 도 23의 (a)와는 상이한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4는 카트리지(10A) 및 슬라이드부(8A)의 중요부를 확대시킨 측면도이다. 카트리지(10A)를 슬라이드부(8A)로부터 더욱 기울이면, 슬릿(6r)의 한 쌍의 볼록부(6u)가, 삽입부(8h)의 외주면(8j)에 압박되어, 한 쌍의 볼록부(6u)에 외주면(8j)으로부터 반력이 부여된다.
이 반력에 의해, 통형부(6m)가 탄성 변형하여 통형부(6m)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개된다. 이때, 한 쌍의 볼록부(6u)가, 외주면(8j)에 접촉하면서, 돌기(8m)의 한 쌍의 측면(8r)으로부터 각각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그리고, 각 볼록부(6u)의 전단면(6u1)이 각 볼록부(8s)의 후단면(8s3)과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어긋나, 각 볼록부(6u)가 각 볼록부(8s)를 전방으로 타고 넘는다. 이에 의해, 돌기(8m)와 슬릿(6r)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 후, 통형부(6m)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의 탄성 변형에 의해, 확개되어 있던 통형부(6m)는 원래의 형상으로 탄성 복귀한다.
도 25의 (a)는 카트리지(10A)가 슬라이드부(8A)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5의 (b)는 카트리지(10A) 및 슬라이드부(8A)의 중요부[도 25의 (a)에 있어서의 파선 부분]를 확대시킨 사시도이다. 도 24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카트리지(10A)를 슬라이드부(8A)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면, 통형부(6m)가 삽입부(8h)로부터 이탈하여, 카트리지(10A)가 슬라이드부(8A)로부터 제거된다.
계속해서, 카트리지(10)를 슬라이드부(8)에 부착할 때의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6의 (a)는 카트리지(10A)를 슬라이드부(8A)에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6의 (b)는 카트리지(10A) 및 슬라이드부(8A)의 중요부[도 26의 (a)에 있어서의 파선 부분]를 확대시킨 사시도이다. 카트리지(10A)를 슬라이드부(8A)에 부착할 때, 먼저, 카트리지(10A)를 슬라이드부(8A)에 축선 방향을 따라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돌기(8m)에 대한 슬릿(6r)의 둘레방향의 위치를 일치시킨다. 그 후, 통형부(6m)에 삽입부(8h)를 후방으로부터 삽입한다.
통형부(6m)에 삽입부(8h)를 삽입할 때, 슬릿(6r) 내에 돌기(8m)를 후방으로부터 삽입한다. 이때, 각 볼록부(6u)의 테이퍼면(6u3)이, 각 볼록부(8s)의 테이퍼면(8s1)에 접촉한다. 테이퍼면(6u3)이 테이퍼면(8s1)에 접촉하면, 테이퍼면(8s1)으로부터 테이퍼면(6u3)에 반력이 부여된다. 이 반력에 의해, 통형부(6m)가 탄성 변형하여 슬릿(6r)이 확개된다. 이때, 테이퍼면(6u3)이, 테이퍼면(8s1)에 접촉한 상태로 테이퍼면(8s1)을 뛰어오르도록 슬라이딩한다.
도 27의 (a)는 카트리지(10A)를 슬라이드부(8A)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7의 (b)는 카트리지(10A) 및 슬라이드부(8A)의 중요부[도 27의 (a)에 있어서의 파선 부분]를 확대시킨 사시도이다. 슬릿(6r)의 각 볼록부(6u)가 돌기(8m)의 각 볼록부(8s)를 후방으로 타고 넘은 후, 통형부(6m)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의 탄성 변형에 의해 통형부(6m)가 원래의 형상으로 탄성 복귀하여, 확개되어 있던 슬릿(6r)의 각 볼록부(6u)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에 의해, 슬릿(6r)이 돌기(8m)에 축선 방향으로 결합한다. 즉, 돌기(8m)의 각 볼록부(8s)가, 슬릿(6r)의 각 볼록부(6u)의 전방으로 들어가, 각 볼록부(6u)에 축선 방향으로 걸린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카트리지(10A)가 슬라이드부(8A)에 부착된다.
이상, 카트리지(10A)를 본체(4)[슬라이드부(8A)]로부터 제거할 때의 조작 및 카트리지(10A)를 본체(4)에 부착할 때의 조작에 대해서 각각 설명하였다. 카트리지(10B, 10C) 등의 다른 카트리지의 각각에 대해서도, 전술한 조작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 본체(4)로부터의 제거 및 본체(4)에의 부착이 행해진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조출 펜슬(100)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설명한다. 조출 펜슬(10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형부(6m)의 슬릿(6r)과 삽입부(8h)의 돌기(8m)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결합은, 카트리지(10)가 슬라이드부(8)로부터 기울어졌을 때에 해제된다. 이 결합의 해제에 의해, 카트리지(10)를 슬라이드부(8)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조출 펜슬(100)은, 카트리지(10)를 슬라이드부(8)로부터 기울이는 조작에 의해, 카트리지(10)를 슬라이드부(8)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10)를 슬라이드부(8)로부터 제거할 때, 예컨대 카트리지(10)를 회전하는 조작이 불필요해지며, 카트리지(10)를 슬라이드부(8)로부터 기울이는 조작을 행하면 된다. 따라서, 카트리지(10)를 슬라이드부(8)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10)의 착탈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10)의 슬라이드부(8)로부터의 제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조출 펜슬(100)의 조립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조출 펜슬(100)에서는, 선통(2)이 본체통(3)으로부터 빠져 슬라이드부(8)가 본체통(3)에 대하여 일정량 전진한 상태로, 카트리지(10)가 슬라이드부(8)로부터 기울여졌을 때에, 통형부(6m)의 슬릿(6r)과 삽입부(8h)의 돌기(8m)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 경우, 선통(2)을 본체통(3)으로부터 빼서 슬라이드부(8)를 일정량 전진시킨 상태로 카트리지(10)를 슬라이드부(8)로부터 용이하게 뺄 수 있다. 또한, 사용 시에는, 카트리지(10)가 슬라이드부(8)에 강고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10)를 슬라이드부(8)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출 펜슬(100)에서는, 선통(2)은, 본체통(3)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슬라이드부(8)가 본체통(3)에 대하여 일정량 전진함으로써 파이프재(1)가 선통(2)에 회전 방향으로 결합하고, 파이프재(1)가 선통(2)에 회전 방향으로 결합한 상태로 선통(2)과 본체통(3)을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선통(2)의 내부에서 묘화재(M)가 전진한다. 이 경우, 본체통(3)에 대하여 슬라이드부(8)가 일정량 전진함으로써 파이프재(1)가 전진한다. 그리고, 파이프재(1)가 선통(2)에 회전 방향으로 결합하고 있는 상태로, 선통(2)과 본체통(3)을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묘화재(M)가 전진한다. 이와 같이, 선통(2)과 본체통(3)의 상대 회전에 의해 묘화재(M)를 전진시키는 구조여도, 전술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조출 펜슬(100)에서는, 카트리지(10)의 후측[구체적으로는 유지체(6)의 후단부]에, 슬릿(6r)이 형성된 통형부(6m)가 마련되어 있고, 본체(4)의 전측[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부(8)의 전단부]에, 슬릿(6r)에 축선 방향으로 결합하는 돌기(8m)를 갖는 삽입부(8h)가 마련되어 있다. 통형부(6m) 및 삽입부(8h)에 의해, 카트리지(10)와 본체(4)의 결합을 간이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슬릿이 형성된 통형부가 카트리지(10)가 아니라 본체의 전측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 슬릿이 형성된 본체에 대하여 카트리지가 기울어져 카트리지가 빠지기 때문에, 착탈을 거듭하는 중에 본체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할 염려가 있다. 그 결과, 카트리지와 본체와의 결합의 강도가 저하하거나, 본체의 파손을 초래하거나 할 염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슬릿(6r)이 형성된 통형부(6m)가 카트리지(10)의 후측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 착탈을 반복하였을 때의 본체(4)[삽입부(8h)]의 기계적 강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출 펜슬(100)에서는, 카트리지(10)는, 슬라이드부(8)로부터 기울어졌을 때에, 삽입부(8h)의 외주면(8j)이 통형부(6m)를 확개하면서 통형부(6m)가 삽입부(8h)로부터 이탈됨(도 24 참조)으로써, 슬라이드부(8)로부터 빠진다. 이 경우, 슬릿(6r)를 삽입부(8h)가 확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트리지(10)가 슬라이드부(8)로부터 기울어졌을 때, 통형부(6m)는, 삽입부(8h)의 외주면(8j)에 의해 확개된다. 이 확개에 의해, 통형부(6m)가 삽입부(8h)로부터 이탈하여, 카트리지(10)가 슬라이드부(8)로부터 제거된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10)가 슬라이드부(8)로부터 기울어졌을 때에 카트리지(10)가 슬라이드부(8)로부터 제거되는 구성을 간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출 펜슬(100)에서는, 삽입부(8h)는, 원기둥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카트리지(10)를 슬라이드부(8)로부터 기울여 카트리지(10)를 슬라이드부(8)로부터 제거할 때에, 통형부(6m)의 한 쌍의 볼록부(6u)가 삽입부(8h)의 외주면(8j)에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10)의 제거를 더욱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8h)가 원기둥형을 나타냄으로써, 삽입부(8h)의 기계적 강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출 펜슬(100)에서는, 돌기(8m) 및 슬릿(6r)은, 통형부(6m)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위치의 각각에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카트리지(10)를 직경 방향의 일방측으로 기울여 슬라이드부(8)로부터 뺄 수 있고, 카트리지(10)를 상기 일방측의 반대측으로 기울여도 슬라이드부(8)로부터 뺄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10)의 슬라이드부(8)로부터의 제거를 더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돌기(8m) 및 슬릿(6r)을 더 많은 위치, 즉 둘레방향을 따른 3부분, 4부분, 5부분, 또는 6부분 이상의 위치에 마련함으로써, 카트리지(10)를 슬라이드부(8)로부터 뺄 때의 카트리지(10)의 기울이는 방향을 더 늘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 경우, 많은 슬릿(6r)이 통형부(6m)에 형성되면, 통형부(6m)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할 염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돌기(8m) 및 슬릿(6r)을 2부분에 마련함으로써, 통형부(6m)의 기계적 강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각 청구항에 기재한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하고, 또는 다른 것에 적용한 것이어도 좋다. 즉, 조출 펜슬(100)을 구성하는 각 부품의 구성은 상기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1 결합부는 통형부(6m)가 아니어도 좋고, 본 발명의 제2 결합부는 삽입부(8h)가 아니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지체(6)의 후단부에 통형부(6m)가 마련되어 있고, 슬라이드부(8)의 전단부에 삽입부(8h)가 마련되어 있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유지체의 후단부에 삽입부가 마련되고, 슬라이드부의 전단부에 통형부가 마련되어도 좋다. 또한, 통형부(6m) 및 삽입부(8h)의 형상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컨대, 삽입부(8h)는 원기둥형을 나타내고 있었지만, 다른 형상을 나타내고 있어도 좋다. 삽입부(8h)는, 예컨대 삼각 기둥형, 사각 기둥형, 오각 기둥형, 또는 육각 기둥형이라고 하는 다각 기둥형을 나타내고 있어도 좋다.
또한, 삽입부(8h)의 돌기(8m)의 형상 및 배치 양태와, 통형부(6m)의 슬릿(6r)의 형상 및 배치 양태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8의 (a)는 변형예에 따른 통형부(16m) 및 통형부(16m)에 축선 방향으로 결합하는 삽입부(8h)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8의 (b)는 도 28의 (a)의 E-E선 단면도이다. 이 변형예에 따른 통형부(16m)에서는, 슬릿(16r)의 전측의 부분이 직경 방향에서 보아 넓어지도록 확장되어 있고, 이 확장에 의해, 통형부(16m)의 탄성력이 적절하게 조정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슬릿(16r)의 전측의 부분의 폭이, 슬릿(16r)의 후측의 부분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슬릿(16r)의 한 쌍의 내벽면(6t) 사이의 거리(d5)가, 한 쌍의 내벽면(6w) 사이의 거리에 비해서 크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슬릿(16r)의 내벽면(6t)은, 내벽면(6w)보다, 슬릿(16r)의 중앙을 통과하며 또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선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슬릿(16r)의 한 쌍의 내벽면(6t) 사이의 거리(d5)는, 예컨대 2.1 ㎜이다. 통형부(16m)의 외경(d1)에 대한 거리(d5)의 비율은, 예컨대 40% 이상 80% 이하로 되어 있다. 또한, 거리(d5)는, 한 쌍의 정상면(8s2)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되어 있고, 슬릿(16r)의 내벽면(6t)은, 볼록부(8s)의 정상면(8s2)과 소정 거리를 두고 대향하고 있다.
또한, 슬릿(16r)에서는, 볼록부(6u)의 전단면(6u1)과 내벽면(6t)의 접속 부분에, 축선 방향 및 둘레방향의 각각에 대하여 곡면형으로 만곡한 만곡면(6x)이 마련되어 있다. 만곡면(6x)에 의해, 통형부(16m)의 확개 시에 있어서 내벽면(6t)과 전단면(6u1)의 접속 부분에 응력이 집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슬릿(16r)에서는, 내벽면(6s)과 후단면(6p)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즉 슬릿(16r)의 축선 방향의 길이](d6)가, 예컨대,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벽면(6s)과 후단면(6p)의 거리(d2)에 비해서 작게 되어 있다. 내벽면(6s)과 후단면(6p)의 거리(d6)는, 예컨대 2.6 ㎜이다. 통형부(16m)의 외경(d1)에 대한 거리(d6)의 비율은, 예컨대 50% 이상 100% 이하로 되어 있다.
도 29는 도 28의 (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카트리지(10)가 슬라이드부(8)에 대하여 기울여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카트리지(10)가 슬라이드부(8)로부터 기울여지면, 통형부(16m)의 슬릿(16r)의 한 쌍의 볼록부(6u)가, 삽입부(8h)의 외주면(8j)에 접촉하여 외주면(8j)에 압박된다. 그리고, 한 쌍의 볼록부(6u)에 외주면(8j)으로부터 반력이 부여되고, 이 반력에 의해, 통형부(16m)가 탄성 변형하여 통형부(16m)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개된다. 이때의 통형부(16m)의 탄성 변형의 용이함(정도)은, 슬릿(16r)의 전측의 부분의 확장의 정도에 따라 조정된다. 그 후,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돌기(8m)와 슬릿(16r)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상의 통형부(16m)와 같이, 통형부의 형상 및 크기는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직경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슬릿(6r)은, 그 직경 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었지만, 서로 비대칭으로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슬릿(6r)의 한 쌍의 볼록부(6u)는,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비대칭으로 마련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돌기(8m)의 한 쌍의 볼록부(8s)는,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비대칭으로 마련되어도 좋다.
또한, 돌기(8m) 및 슬릿(6r)이 마련되는 위치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위치가 아니어도 좋다. 돌기(8m) 및 슬릿(6r)은 1부분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돌기(8m) 및 슬릿(6r)의 수 및 배치 양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볼록부(6u) 및 볼록부(8s)의 각각은, 직경 방향에서 보아 원호형을 나타내어도 좋다. 볼록부(6u)는, 테이퍼면(6u3) 대신에, 직경 방향 및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직인 면을 포함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볼록부(8s)는, 테이퍼면(8s1) 대신에, 직경 방향 및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직인 면을 포함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볼록부(6u) 및 볼록부(8s)의 각각의 형상은,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조출 펜슬(100)은, 선통(2)과 본체통(3)의 상대 회전에 의해 묘화재(M)를 전진시키는 회전식의 압출 구조를 가지고 있었지만, 예컨대, 노크 기구에 의해 묘화재(M)를 전진시키는 노크식의 압출 기구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10)를 슬라이드부(8)로부터 기울여 슬라이드부(8)로부터 제거할 때에, 슬라이드부(8)를 본체통(3)에 대하여 일정량 전진시키고 있었지만, 슬라이드부(8)를 본체통(3)에 대하여 일정량 전진시키지 않아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본체(4)의 슬라이드부(8)에 대하여 카트리지(10)가 기울여졌을 때에 통형부(6m)와 삽입부(8h)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결합이 해제되고 있지만, 슬라이드부(8) 대신에 본체(4)의 별도의 부재에 대하여, 카트리지(10)가 기울여졌을 때에 그 결합이 해제되어도 좋다. 일례로서, 본체(4)에 마련된 중통에 대하여 카트리지(10)가 기울여졌을 때에 그 결합이 해제되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선통(2)의 내면에, 환형 볼록부(2g)와, 환형 볼록부(2g)의 전측에 위치하는 환형 오목부(2h)와, 환형 볼록부(2g)의 후측에 위치하는 환형 오목부(2j)가 마련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환형 오목부(2h) 또는 환형 오목부(2j)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환형 볼록부(2g)의 전측 및 환형 볼록부(2g)의 후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평탄면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중통(11)의 외면에 마련된 돌기(11m)와, 선통(2)의 내면에 마련된 환형 볼록부(2g)가 탈착 가능하게 축선 방향으로 결합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중통(11)의 돌기(11m) 및 선통(2)의 환형 볼록부(2g)의 형상 및 배치 양태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돌기(11m) 및 환형 볼록부(2g) 대신에, 중통(11)의 외면에 환형 볼록부가 형성되며, 선통(2)의 내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중통(11) 외면의 환형 볼록부와 선통(2) 내면의 돌기가 탈착 가능하게 축선 방향으로 결합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중통(11)이 전측 통부(11a)와 중앙 통부(11b)를 구비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중통의 형상을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재(1)의 내면에 있어서의 암나사(1a)의 전방에 돌조(1b)가 둘레방향 4등배로 마련되고, 돌조(1b)에 의해, 파이프재(1)에 장전된 묘화재(M)의 빠짐이 방지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돌조(1b) 이외에 의해, 묘화재(M)의 빠짐 방지 조치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돌조(1b) 대신에, 파이프재(1)의 내면에 마찰 계수를 높이는 조치가 실시되어도 좋고, 파이프재(1)의 내면을 다각형 등의 비원형으로 함으로써 빠짐 방지 조치가 실시되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색이 서로 상이한 묘화재(M1~M4)를 구비한 다종 펜슬인 조출 펜슬(100)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굵기가 서로 상이한 묘화재를 구비한 조출 펜슬이어도 좋고, 또한 재료 또는 용도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묘화재를 구비한 조출 펜슬이어도 좋다. 또한, 묘화재의 개수는 4개에 한정되지 않고, 2개, 3개 또는 5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출 펜슬은, 다종 펜슬이 아니어도 좋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출 펜슬은, 묘화재 및 카트리지를 1개씩 구비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카트리지의 구성은, 파이프재, 이동체 및 유지체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카트리지는, 이들 부품(파이프재, 이동체 및 유지체)을 전부 가지고 있지 않아도 좋고, 이들 부품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별도의 부재로 바꾸어도 좋고, 이들 부품에 더하여 별도의 부품을 더 가져도 좋다.
1, 1A~1D : 파이프재 1a : 암나사
2 : 선통 2f : 요철부
2g : 환형 볼록부 3 : 본체통
4 : 본체 5, 5A~5C : 이동체
5a : 수나사 6, 6A~6C : 유지체
6m, 16m : 통형부(제1 결합부) 6r, 16r : 슬릿(절결 구멍)
6s, 6t : 내벽면 6u, 8s : 볼록부
8, 8A~8C : 슬라이드부 8h : 삽입부(제2 결합부)
8i : 전단면 8j : 외주면
8m : 돌기 10, 10A~10C : 카트리지
11 : 중통 11a : 전측 통부
11b : 중앙 통부 11e : 탄성 돌부
11m : 돌기 12 : 래칫 기구
100 : 조출 펜슬 M, M1~M4 : 묘화재.

Claims (8)

  1. 통형의 본체통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통(先筒)과,
    상기 선통의 내부에 배치되며, 묘화재가 장전되는 카트리지
    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그 후측에 마련되는 제1 결합부를 갖고,
    상기 본체는, 그 전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갖고,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로부터 기울어졌을 때에,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인 조출 펜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통에 대하여 일정량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드부를 더 갖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전측에 마련되고,
    상기 선통이 상기 본체통으로부터 빠져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본체통에 대하여 일정량 전진한 상태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슬라이드부로부터 기울어졌을 때에,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인 조출 펜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통은, 상기 본체통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묘화재가 장전되는 파이프재와,
    상기 파이프재에 장전된 상기 묘화재를 전방으로 압출하는 이동체와,
    상기 파이프재의 후방에서 상기 이동체를 유지하는 유지체를 갖고,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본체통에 대하여 일정량 전진함으로써 상기 파이프재가 상기 선통에 회전 방향으로 결합하고, 상기 파이프재가 상기 선통에 회전 방향으로 결합한 상태로 상기 선통과 상기 본체통을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선통의 내부에서 묘화재가 전진하는 것인 조출 펜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 중 어느 한쪽은, 절결 구멍이 형성된 통형부이고,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 중 다른 한쪽은, 상기 절결 구멍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삽입부인 것인 조출 펜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통형부이고,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삽입부인 것인 조출 펜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본체로부터 기울어졌을 때에, 상기 삽입부가 상기 통형부를 확개하면서 상기 통형부가 상기 삽입부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상기 본체로부터 빠지는 것인 조출 펜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원기둥형을 나타내고 있는 것인 조출 펜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외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결 구멍의 내벽면에는, 상기 돌기가 결합하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 및 상기 볼록부는, 상기 통형부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위치의 각각에 마련되어 있는 것인 조출 펜슬.
KR1020190063233A 2018-05-30 2019-05-29 조출 펜슬 KR102243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03250 2018-05-30
JP2018103250A JP7093105B2 (ja) 2018-05-30 2018-05-30 繰り出しペンシ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974A true KR20190136974A (ko) 2019-12-10
KR102243760B1 KR102243760B1 (ko) 2021-04-23

Family

ID=68695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233A KR102243760B1 (ko) 2018-05-30 2019-05-29 조출 펜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67667B2 (ko)
JP (1) JP7093105B2 (ko)
KR (1) KR102243760B1 (ko)
CN (1) CN110547585B (ko)
FR (1) FR30816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1741B2 (ja) * 2019-12-23 2023-09-27 株式会社 資生堂 化粧料繰出容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9775A (ja) 2003-05-12 2004-11-25 Tokiwa Corp 化粧容器
KR20170063381A (ko) * 2015-11-30 2017-06-08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조출 펜슬
JP2017217497A (ja) * 2017-07-31 2017-12-14 株式会社トキワ 繰り出しペンシル
KR20180011296A (ko) * 2015-11-30 2018-01-31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조출 펜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0741A (en) * 1955-07-05 1959-01-27 Parker Pen Co Writing instrument
US3311089A (en) * 1964-09-14 1967-03-28 Vogel Rudolf Writing instrument
US4377349A (en) * 1981-06-12 1983-03-22 Shusaku Kunii Ball point pen
TW461382U (en) * 1999-06-02 2001-10-21 Pioneer Ind Corp Knock type automatic writing implement
US6464419B1 (en) * 2001-05-11 2002-10-15 C. C. & L Company Limited Foldable writing implement
FR2861330B1 (fr) * 2003-10-22 2006-02-03 Bic Soc Instrument d'ecriture a bouton later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9775A (ja) 2003-05-12 2004-11-25 Tokiwa Corp 化粧容器
KR20170063381A (ko) * 2015-11-30 2017-06-08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조출 펜슬
KR20180011296A (ko) * 2015-11-30 2018-01-31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조출 펜슬
JP2017217497A (ja) * 2017-07-31 2017-12-14 株式会社トキワ 繰り出しペンシ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205739A (ja) 2019-12-05
CN110547585A (zh) 2019-12-10
JP7093105B2 (ja) 2022-06-29
US10967667B2 (en) 2021-04-06
US20190366755A1 (en) 2019-12-05
FR3081690A1 (fr) 2019-12-06
CN110547585B (zh) 2022-04-29
KR102243760B1 (ko) 2021-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3229B2 (ja) 多種ペンシル
JP6191970B2 (ja) 繰り出しペンシル
JP6188251B2 (ja) 繰り出しペンシル
JP6281103B2 (ja) 塗布材押出容器
JP5895257B2 (ja) 塗布材押出容器
JP6281064B2 (ja) 繰り出しペンシル
KR20190136974A (ko) 조출 펜슬
JP6561278B2 (ja) 塗布材押出容器
JP7067942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CN114828694A (zh) 棒状化妆品容器
JP6248289B2 (ja) 多種ペンシル
JPH06209822A (ja) 棒状化粧材等の繰出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容器
JP2939215B2 (ja) カートリッジ式棒状化粧材繰出容器
JPH08228836A (ja) 棒状化粧材等の繰出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容器
JP2001190326A (ja) ホルダー
JP4192280B2 (ja) 化粧料等の繰出容器
JP3254192B2 (ja) カートリッジ式棒状化粧材繰出容器
JPH0721388U (ja) 棒状物繰り出し容器
JPH0131133Y2 (ko)
KR960005200Y1 (ko) 봉상물 조출용기
JP5895261B2 (ja) 塗布材押出容器
JP2000309385A (ja) 棒状物繰り出し具
JP2019216958A (ja) カートリッジ式化粧料容器及びカートリッジ
JP2001252133A (ja) 化粧材容器及び化粧材容器のカートリッジ
JPH0811477B2 (ja) 複合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