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829A -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829A
KR20190136829A KR1020180063011A KR20180063011A KR20190136829A KR 20190136829 A KR20190136829 A KR 20190136829A KR 1020180063011 A KR1020180063011 A KR 1020180063011A KR 20180063011 A KR20180063011 A KR 20180063011A KR 20190136829 A KR20190136829 A KR 20190136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signal
clk
power reduction
reduc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5451B1 (ko
Inventor
임상오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3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451B1/ko
Priority to US16/227,926 priority patent/US10936040B2/en
Priority to CN201811638372.1A priority patent/CN110557102B/zh
Publication of KR20190136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clock freque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3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disabling clock generation or distrib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12Synchronisation of different clock signals provided by a plurality of clock genera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1Details
    • H03K3/012Modifications of generator to improve response time or to decrease power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356Bistable circuits
    • H03K3/356104Bistable circuits us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using a chain of active delay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5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by the use of time reference signals, e.g. clock sig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전력 감소 모드 신호 및 클럭에 응답하여 주기적으로 천이하는 복수개의 래치 제어 클럭을 생성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래치 제어 클럭을 상기 클럭과 무관하게 특정 레벨로 고정시키는 클럭 제어 회로; 및 상기 복수개의 래치 제어 클럭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신호를 출력 신호로서 출력하는 래치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Semiconductor Apparatus}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는 고속화되면서 클럭에 동기되어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반도체 장치는 저전력화를 구현하기 위해, 반도체 장치가 전력 감소 모드 예를 들어, 파워 다운 모드, 셀프 리프레쉬 모드, 파워 게이팅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된다.
반도체 장치가 전력 감소 모드에 진입하면, 반도체 장치가 포함하는 많은 내부 회로들 중 소수의 몇몇 내부 회로만이 활성화되고 나머지 회로들은 비활성화된다.
클럭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내부 회로 중 특히 클럭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를 저장하는 래치 회로 예를 들어, 플립플롭은 전력 감소 모드시 플로팅된 입력 신호 또는 클럭이 입력되면 저장된 신호의 레벨이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력 감소 모드시 클럭 또는 입력 신호가 플로팅되더라도 이전에 저장된 신호의 레벨이 변하지 않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전력 감소 모드 신호 및 클럭에 응답하여 주기적으로 천이하는 복수개의 래치 제어 클럭을 생성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래치 제어 클럭을 상기 클럭과 무관하게 특정 레벨로 고정시키는 클럭 제어 회로; 및 상기 복수개의 래치 제어 클럭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신호를 출력 신호로서 출력하는 래치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전력 감소 모드시 이전에 저장된 신호의 레벨이 변하지 않아, 전력 감소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시 반도체 장치의 오동작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클럭 제어 회로의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래치 회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전력 감소 모드시 이전에 저장된 신호를 유지하고, 전력 감소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시 클럭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신호를 출력 신호로서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전력 트랜지스터(TR), 클럭 드라이버(50), 클럭 제어 회로(100) 및 래치 회로(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TR)는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에 응답하여 전압(예를 들어, 저전압: V_L)을 상기 클럭 드라이버(5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TR)는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가 디스에이블되면 상기 저전압(V_L)을 상기 클럭 드라이버(5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TR)는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저전압(V_L)을 상기 클럭 드라이버(50)에 전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클럭 드라이버(50)는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TR)로부터 상기 저전압(V_L)을 인가 받을 경우 드라이빙 클럭(CLK_dr)을 드라이빙하여 드라이빙 클럭(CLK_dr)으로서 상기 클럭 제어 회로(1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클럭 드라이버(50)는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TR)로부터 상기 저전압(V_L)을 제공 받지 못할 경우 상기 드라이빙 클럭(CLK_dr)이 출력되는 노드 즉, 상기 클럭 드라이버(50)와 상기 클럭 제어 회로(100)가 연결되는 노드를 플로팅(floating) 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클럭 제어 회로(100)는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 및 상기 드라이빙 클럭(CLK_dr)에 응답하여 제 1 내지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A, CLK_Ab, CLK_B, CLK_Bb)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클럭 제어 회로(100)는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가 디스에이블되면 상기 드라이빙 클럭(CLK_dr)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A, CLK_Ab, CLK_B, CLK_Bb)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클럭 제어 회로(100)는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드라이빙 클럭(CLK_dr)과는 무관하게 상기 제 1 내지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A, CLK_Ab, CLK_B, CLK_Bb) 각각을 특정 레벨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래치 회로(200)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A, CLK_Ab, CLK_B, CLK_Bb)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IN_s)를 저장하고, 저장된 신호를 출력 신호(OUT_s)로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 회로(200)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A, CLK_Ab, CLK_B, CLK_Bb)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신호(IN_s)와는 무관하게 저장된 신호를 상기 출력 신호(OUT_s)로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래치 회로(200)가 상기 클럭 제어 회로(100)로부터 상기 드라이빙 클럭(CLK_dr)에 응답하여 전압 레벨이 가변되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A, CLK_Ab, CLK_B, CLK_Bb)을 입력 받을 경우, 상기 래치 회로(200)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A, CLK_Ab, CLK_B, CLK_Bb)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신호(IN_s)를 저장하고, 저장된 신호를 상기 출력 신호(OUT_s)로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래치 제어 회로(200)가 상기 클럭 제어 회로(100)로부터 상기 드라이빙 클럭(CLK_dr)과 무관하게 특정 레벨로 고정된 상기 제 1 내지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A, CLK_Ab, CLK_B, CLK_Bb)을 입력 받을 경우, 상기 래치 회로(200)는 상기 입력 신호(IN_s)와는 무관하게 저장된 신호만 상기 출력 신호(OUT_s)로서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클럭 제어 회로(100)의 구성을 개시한 도면이다.
상기 클럭 제어 회로(100)는 제 1 내지 제 4 제어 인버터 회로(111, 112, 113, 114) 및 제 1 내지 제 4 레벨 고정 회로(121, 122, 123, 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어 인버터 회로(111)는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가 하이 레벨로 디스에이블되면 활성화되며, 상기 드라이빙 클럭(CLK_dr)을 반전시켜 상기 제 2 래치 제어 클럭(CLK_Ab)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어 인버터 회로(111)는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가 로우 레벨로 인에이블되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제어 인버터 회로(111)는 제 1 내지 제 3 트랜지스터(P1, N1, N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랜지스터(P1)는 게이트에 상기 드라이빙 클럭(CLK_dr)을 입력 받고, 소오스에 고전압(V_H)을 인가 받는다. 상기 제 2 트랜지스터(N1)는 게이트에 상기 드라이빙 클럭(CLK_dr)을 입력 받고, 드레인에 상기 제 1 트랜지스터(P1)의 드레인이 연결된다. 상기 제 3 트랜지스터(N2)는 게이트에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를 입력 받고, 드레인에 상기 제 2 트랜지스터(N1)의 소오스가 연결되며, 소오스에 저전압(V_L)을 인가받는다. 이때, 상기 고전압(V_H)은 상기 저전압(V_L)보다 전압 레벨이 높을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P1, N1)가 연결된 노드에서 상기 제 2 래치 제어 클럭(CLK_Ab)이 출력된다.
상기 제 2 제어 인버터 회로(112)는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가 하이 레벨로 디스에이블되면 활성화되며, 상기 제 2 래치 제어 클럭(CLK_Ab)을 반전시켜 상기 제 1 래치 제어 클럭(CLK_A)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어 인버터 회로(112)는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가 로우 레벨로 인에이블되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어 인버터 회로(112)는 제 4 내지 제 6 트랜지스터(P2, N3, N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트랜지스터(P2)는 게이트에 상기 제 2 래치 제어 클럭(CLK_Ab)을 입력 받고, 소오스에 상기 고전압(V_H)을 인가 받는다. 상기 제 5 트랜지스터(N3)는 게이트에 상기 제 2 래치 제어 클럭(CLK_Ab)을 입력 받고, 드레인에 상기 제 4 트랜지스터(P2)의 드레인이 연결된다. 상기 제 6 트랜지스터(N4)는 게이트에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를 입력 받고, 드레인에 상기 제 5 트랜지스터(N3)의 소오스가 연결되며, 소오스에 상기 저전압(V_L)을 인가받는다. 이때, 상기 제 4 및 제 5 트랜지스터(P2, N3)가 연결된 노드에서 상기 제 1 래치 제어 클럭(CLK_A)이 출력된다.
상기 제 3 제어 인버터 회로(113)는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가 하이 레벨로 디스에이블되면 활성화되며, 상기 드라이빙 클럭(CLK_dr)을 반전시켜 상기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Bb)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 3 제어 인버터 회로(113)는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가 로우 레벨로 인에이블되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제 3 제어 인버터 회로(113)는 제 7 내지 제 9 트랜지스터(P3, N5, N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7 트랜지스터(P3)는 게이트에 상기 드라이빙 클럭(CLK_dr)을 입력 받고, 소오스에 상기 고전압(V_H)을 인가 받는다. 상기 제 8 트랜지스터(N5)는 게이트에 상기 드라이빙 클럭(CLK_dr)을 입력 받고, 드레인에 상기 제 7 트랜지스터(P3)의 드레인이 연결된다. 상기 제 9 트랜지스터(N6)는 게이트에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를 입력 받고, 드레인에 상기 제 8 트랜지스터(N5)의 소오스가 연결되며, 소오스에 상기 저전압(V_L)을 인가 받는다. 이때, 상기 제 7 및 제 8 트랜지스터(P3, N5)가 연결된 노드에서 상기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Bb)이 출력된다.
상기 제 4 제어 인버터 회로(114)는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가 하이 레벨로 디스에이블되면 활성화되며, 상기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Bb)을 반전시켜 상기 제 3 래치 제어 클럭(CLK_B)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 4 제어 인버터 회로(114)는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가 로우 레벨로 인에이블되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제 4 제어 인버터 회로(114)는 제 10 내지 제 12 트랜지스터(P4, N7, N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0 트랜지스터(P4)는 게이트에 상기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Bb)을 입력 받고, 소오스에 상기 고전압(V_H)을 인가 받는다. 상기 제 11 트랜지스터(N7)는 게이트에 상기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Bb)을 입력 받고, 드레인에 상기 제 10 트랜지스터(P4)의 드레인이 연결된다. 상기 제 12 트랜지스터(N8)는 게이트에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를 입력 받고, 드레인에 상기 제 11 트랜지스터(N7)의 소오스가 연결되며, 소오스에 상기 저전압(V_L)을 인가받는다. 이때, 상기 제 10 및 제 11 트랜지스터(P4, N7)가 연결된 노드에서 상기 제 3 래치 제어 클럭(CLK_B)이 출력된다. 상기 제 1 및 제 3 제어 인버터 회로(111, 113)가 상기 드라이빙 클럭(CLK_dr)을 입력 받는 노드를 제 1 노드(N_A)라고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 인버터 회로(111, 112)가 연결된 노드를 제 2 노드(N_B)라고 하며, 상기 제 2 제어 인버터 회로(112)가 상기 제 1 래치 제어 클럭(CLK_A)을 출력하는 노드를 제 3 노드(N_C)라고 한다. 상기 제 3 및 제 4 제어 인버터 회로(113, 114)가 연결된 노드를 제 4 노드(N_D)라고 하고, 상기 제 4 제어 인버터 회로(114)가 상기 제 3 래치 제어 클럭(CLK_B)을 출력하는 노드를 제 5 노드(N_E)라고 한다.
상기 제 1 레벨 고정 회로(121)는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에 응답하여 상기 드라이빙 클럭(CLK_dr)을 하이 레벨로 즉, 상기 제 1 및 제 3 제어 인버터 회로(111, 113)가 상기 드라이빙 클럭(CLK_dr)을 입력 받는 상기 제 1 노드(N_A)를 하이 레벨로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레벨 고정 회로(121)는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가 로우 레벨로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1 노드(N_A)에 상기 고전압(V_H)을 인가시켜 상기 제 1 노드(N_A)를 상기 드라이빙 클럭(CLK_dr)과는 무관하게 하이 레벨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제어 인버터 회로(111)는 자신의 출력 노드를 플로팅(floating)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레벨 고정 회로(121)는 제 13 트랜지스터(P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3 트랜지스터(P5)는 게이트에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를 입력 받고, 소오스에 상기 고전압(V_H)을 인가 받으며, 드레인에 상기 제 1 노드(N_A)가 연결된다.
상기 제 2 레벨 고정 회로(122)는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 인버터 회로(111, 112)가 연결된 상기 제 2 노드(N_B) 즉, 상기 제 2 래치 제어 클럭(CLK_Ab)을 로우 레벨로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레벨 고정 회로(122)는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가 로우 레벨로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2 노드(N_B)에 상기 저전압(V_L)을 인가시켜 상기 제 2 래치 제어 클럭(CLK_Ab)을 로우 레벨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제어 인버터 회로(112)는 로우 레벨로 천이된 상기 제 2 래치 제어 클럭(CLK_Ab)을 입력 받고, 상기 제 2 제어 인버터 회로(112)의 트랜지스터(P2)는 자신의 출력 노드를 풀업시켜 상기 제 1 래치 제어 클럭(CLK_A)을 하이 레벨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레벨 고정 회로(122)는 제 14 트랜지스터(N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4 트랜지스터(N9)는 게이트에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가 반전된 신호(PG_ENb)를 입력 받고, 드레인에 상기 제 2 노드(N_B)가 연결되며, 소오스에 상기 저전압(V_L)을 인가 받는다.
상기 제 3 레벨 고정 회로(123)는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에 응답하여 상기 제 3 및 제 4 제어 인버터 회로(113, 114)가 연결된 상기 제 4 노드(N_D) 즉, 상기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Bb)을 하이 레벨로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레벨 고정 회로(123)는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가 로우 레벨로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4 노드(N_D)에 상기 고전압(V_H)을 인가시켜 상기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Bb)을 하이 레벨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3 레벨 고정 회로(123)는 제 15 트랜지스터(P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5 트랜지스터(P6)는 게이트에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를 입력 받고, 소오스에 상기 고전압(V_H)을 인가 받으며, 드레인에 상기 제 4 노드(N_D)가 연결된다.
상기 제 4 레벨 고정 회로(124)는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에 응답하여 상기 제 4 제어 인버터 회로(114)가 상기 제 3 래치 제어 클럭(CLK_B)을 출력하는 제 5 노드(N_E) 즉, 상기 제 3 래치 제어 클럭(CLK_B)을 로우 레벨로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4 레벨 고정 회로(124)는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가 로우 레벨로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 5 노드(N_E)에 상기 저전압(V_L)을 인가시켜 상기 제 3 래치 제어 클럭(CLK_B)을 로우 레벨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4 레벨 고정 회로(124)는 제 16 트랜지스터(N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6 트랜지스터(N10)는 게이트에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가 반전된 신호(PG_ENb)를 입력 받고, 드레인에 상기 제 5 노드(N_E)가 연결되며, 소오스에 상기 저전압(V_L)을 인가 받는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래치 회로(200)의 구성을 개시한 도면이다.
상기 래치 회로(200)는 제 1 및 제 2 패스 게이트(PG1, PG2) 및 제 1 및 제 2 래치부(210, 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패스 게이트(PG1)는 상기 제 1 및 제 2 래치 제어 클럭(CLK_A, CLK_Ab)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신호(IN_s)를 상기 제 1 래치부(210)에 전달하거나 상기 입력 신호(IN_s)가 상기 제 1 래치부(21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패스 게이트(PG1)는 상기 제 1 래치 제어 클럭(CLK_A)이 로우 레벨이고, 상기 제 2 래치 제어 클럭(CLK_Ab)이 하이 레벨일 경우 상기 입력 신호(IN_s)를 상기 제 1 래치부(210)에 전달한다. 상기 제 1 패스 게이트(PG1)는 상기 제 제 1 래치 제어 클럭(CLK_A)이 하이 레벨이고 상기 제 2 래치 제어 클럭(CLK_Ab)이 로우 레벨일 경우 상기 입력 신호(IN_s)가 상기 제 1 래치부(21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1 패스 게이트(PG1)는 제 1 제어단에 상기 제 2 래치 제어 클럭(CLK_Ab)을 입력 받고, 제 2 제어단에 상기 제 1 래치 제어 클럭(CLK_A)을 입력 받으며, 입력단에 상기 입력 신호(IN_s)가 입력되고, 출력단에 상기 제 1 래치부(210)가 연결된다.
상기 제 1 래치부(210)는 상기 제 1 패스 게이트(PG1)로부터 전달 받은 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신호를 상기 제 2 패스 게이트(PG2)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1 래치부(210)는 제 1 및 제 2 인버터(IV1, IV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인버터(IV1)는 입력단에 상기 제 1 패스 게이트(PG1)가 연결되고, 출력단에 상기 제 2 패스 게이트(PG2)가 연결된다. 상기 제 2 인버터(IV2)는 입력단에 상기 제 1 인버터(IV1)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출력단에 상기 제 1 인버터(IV1)의 입력단이 연결된다.
상기 제 2 패스 게이트(PG2)는 상기 제 3 및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B, CLK_bb)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래치부(210)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 2 래치부(220)에 전달하거나 상기 제 1 래치부(210)와 상기 제 2 래치부(22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패스 게이트(PG2)는 상기 제 3 래치 제어 클럭(CLK_B)이 로우 레벨이고, 상기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Bb)이 하이 레벨일 경우 상기 제 1 래치부(210)와 상기 제 2 래치부(220)를 분리시킨다. 상기 제 2 패스 게이트(PG2)는 상기 제3 래치 제어 클럭(CLK_B)이 하이 레벨이고 상기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Bb)이 로우 레벨일 경우 상기 제 1 래치부(210)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 2 래치부(220)에 전달한다.
상기 제2 패스 게이트(PG2)는 제 1 제어단에 상기 제 3 래치 제어 클럭(CLK_B)을 입력 받고, 제 2 제어단에 상기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Bb)을 입력 받으며, 입력단에 상기 제 1 래치부(210)가 연결되고, 출력단에 상기 제 2 래치부(220)가 연결된다.
상기 제 2 래치부(220)는 상기 제 2 패스 게이트(PG2)로부터 전달 받은 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신호를 상기 출력 신호(OUT_s)로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 2 래치부(220)는 제 3 및 제 4 인버터(IV3, IV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인버터(IV3)는 입력단에 상기 제 2 패스 게이트(PG2)가 연결되고, 출력단에서 상기 출력 신호(OUT_s)를 출력한다. 상기 제 4 인버터(IV4)는 입력단에 상기 제 3 인버터(IV3)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출력단에 상기 제 3 인버터(IV3)의 입력단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력 감소 모드가 아닐 경우 즉, 노멀 모드일 경우의 반도체 장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상기 전력 감소 모드는 파워 다운 모드, 파워 게이팅 모드, 셀프 리프레쉬 모드등 반도체 장치가 소모하는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진입하는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멀 모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럭 제어 회로(100)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노멀 모드일 경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는 하이 레벨로 디스에이블된다.
제 1 내지 제 4 제어 인버터 회로(111, 112, 113, 114)는 하이 레벨로 디스에이블된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를 입력 받아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상기 제 1 제어 인버터 회로(111)는 상기 드라이빙 클럭(CLK_dr)을 반전시켜 제 2 래치 제어 클럭(CLK_Ab)으로서 출력한다.
활성화된 상기 제 2 제어 인버터 회로(112)는 상기 제 2 래치 제어 클럭(CLK_Ab)을 반전시켜 제 1 래치 제어 클럭(CLK_A)으로서 출력한다.
활성화된 상기 제 3 제어 인버터 회로(113)는 상기 드라이빙 클럭(CLK_dr)을 반전시켜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Bb)으로서 출력한다.
활성화된 상기 제 4 제어 인버터 회로(114)는 상기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Bb)을 반전시켜 상기 제 3 래치 제어 클럭(CLK_B)으로서 출력한다.
정리하면, 노멀 모드일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럭 제어 회로(100)는 상기 드라이빙 클럭(CLK_dr)에 응답하여 주기적으로 천이하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A, CLK_Ab, CLK_B, CLK_Bb)을 생성한다.
주기적으로 천이하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A, CLK_Ab, CLK_B, CLK_Bb)을 입력 받는 래치 회로(200)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및 제 2 패스 게이트(PG1, PG2)는 주기적으로 천이하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A, CLK_Ab, CLK_B, CLK_Bb)을 입력 받아, 입력 신호(IN_s)를 제 1 래치부(210)에 전달하고, 상기 제 1 래치부(210)에 저장된 신호를 제 2 래치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래치부(210)는 상기 제 1 패스 게이트(PG1)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신호를 상기 제 2 패스 게이트(PG2)로 전달한다. 상기 제 2 래치부(220)는 사익 제 2 패스 게이트(PG2)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신호를 상기 출력 신호(OUT_s)로서 출력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노멀 모드시 클럭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신호를 출력 신호로서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두번째, 전력 감소 모드일 경우의 반도체 장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력 감소 모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럭 제어 회로(100)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력 감소 모드일 경우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는 로우 레벨로 인에이블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제어 인버터 회로(111, 112, 113, 114)는 로우 레벨로 인에이블된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를 입력 받아 비활성화된다.
제 1 레벨 고정 회로(121)는 로우 레벨로 인에이블된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를 입력 받아 제 1 노드(N_A)를 하이 레벨로 고정시킨다.
제 2 레벨 고정 회로(122)는 로우 레벨로 인에이블된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를 입력 받아 상기 제 2 노드(N_B)를 로우 레벨로 고정시킨다. 즉, 상기 제 2 래치 제어 클럭(CLK_Ab)은 로우 레벨로 고정된다. 상기 제 2 래치 제어 클럭(CLK_Ab)이 로우 레벨이 되면 상기 제 2 제어 인버터 회로(112)의 제 4 트랜지스터(P2)가 턴온되어 제 3 노드(N_C)를 하이 레벨로 고정시킨다. 그러므로, 전력 감소 모드일 경우 상기 제 3 노드(N_C)가 하이 레벨로 고정되면 상기 제 1 래치 제어 클럭(CLK_A)은 하이 레벨로 고정된다.
제 3 레벨 고정 회로(123)는 로우 레벨로 인에이블된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를 입력 받아 제 4 노드(N_D)를 하이 레벨로 고정시킨다. 상기 제 4 노드(N_D)가 하이 레벨로 고정되면 상기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Bb)이 하이 레벨로 고정된다.
제 4 레벨 고정 회로(124)는 로우 레벨로 인에이블된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PG_EN)를 입력 받아 제 5 노드(N_E)를 로우 레벨로 고정시킨다. 상기 제 5 노드(N_E)가 로우 레벨로 고정되면 상기 제 3 래치 제어 클럭(CLK_B)이 로우 레벨로 고정된다.
정리하면, 전력 감소 모드일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럭 제어 회로(100)는 상기 드라이빙 클럭(CLK_dr)과는 무관하게 상기 제 1 내지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A, CLK_Ab, CLK_B, CLK_Bb) 각각을 특정 레벨로 고정시킨다.
특정 레벨로 고정된 상기 제 1 내지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A, CLK_Ab, CLK_B, CLK_Bb)을 입력 받는 래치 회로(200)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 패스 게이트(PG1)는 하이 레벨로 고정된 상기 제 1 래치 제어 클럭(CLK_A)과 로우 레벨로 고정된 상기 제 2 래치 제어 클럭(CLK_Ab)을 입력 받아 상기 입력 신호(IN_s)가 상기 제 1 래치부(21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전력 감소 모드일 경우 상기 제 1 패스 게이트(PG1)에 의해 상기 제 1 래치부(210)는 상기 입력 신호(IN_s)를 전달 받지 못하므로, 상기 제 1 래치부(210)는 전력 감소 모드로 전환되기 전에 저장된 신호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제2 패스 게이트(PG2)는 로우 레벨로 고정된 제 3 래치 제어 클럭(CLK_B)과 하이 레벨로 고정된 상기 제 4 래치 제어 클럭(CLK_Bb)을 입력 받아 상기 제 1 래치부(210)와 상기 제 2 래치부(220)를 분리시킨다. 전력 감소 모드일 경우 상기 제 2 패스 게이트(PG2)에 의해 상기 제 2 래치부(220)는 상기 제1 래치부(210)와 분리되므로, 상기 제 2 래치부(220)는 전력 감소 모드로 전환되기 전에 저장된 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신호를 상기 출력 신호(OUT_s)로서 출력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전력 감소 모드시 전력 감소 모드로 전입하기 전에 저장된 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신호를 출력 신호로서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전력 감소 모드시 드라이빙 클럭(CLK_dr)이 입력되는 제 1 노드(N_A)를 하이 레벨로 고정시킴으로써, 드라이빙 클럭(CLK_dr)이 플로팅되거나 드라이빙 클럭(CLK_dr)에 글리치 성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전력 감소 모드시 래치 회로에 입력되는 복수개의 래치 제어 클럭들(CLK_A, CLK_Ab, CLK_B, CLK_Bb) 각각을 특정 레벨로 고정시킴으로써, 복수개의 래치부(210, 220) 각각의 입력을 차단시키고, 전력 감소 모드 전의 저장된 신호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전력 감소 모드 신호 및 클럭에 응답하여 주기적으로 천이하는 복수개의 래치 제어 클럭을 생성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래치 제어 클럭을 상기 클럭과 무관하게 특정 레벨로 고정시키는 클럭 제어 회로; 및
    상기 복수개의 래치 제어 클럭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신호를 출력 신호로서 출력하는 래치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제어 회로는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 및 상기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래치 제어 클럭 각각을 생성하는 복수개의 제어 인버터 회로, 및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래치 제어 클럭 각각을 특정 레벨로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레벨 고정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어 인버터 회로 각각은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가 디스에이블되면 활성화되며 상기 클럭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래치 제어 클럭 각각을 생성하고,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가 인에이블되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어 인버터 회로는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개의 레벨 고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개의 제어 인버터 회로가 직렬로 연결된 노드 중 하나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어 인버터 회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복수개의 레벨 고정 회로 중 하나에 응답하여 출력 노드를 풀업시켜 상기 복수개의 래치 제어 클럭을 상기 특정 레벨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어 인버터 회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력 감소 모드 신호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복수개의 레벨 고정 회로 중 하나에 응답하여 출력 노드를 플로팅(floating)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회로는
    상기 복수개의 래치 제어 클럭이 주기적으로 천이하는 경우 상기 입력 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신호를 상기 출력 신호로서 출력하며,
    상기 복수개의 래치 제어 클럭 각각이 특정 레벨로 고정되면 상기 입력 신호와는 무관하게 저장된 신호만을 상기 출력 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KR1020180063011A 2018-05-31 2018-05-31 반도체 장치 KR102555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011A KR102555451B1 (ko) 2018-05-31 2018-05-31 반도체 장치
US16/227,926 US10936040B2 (en) 2018-05-31 2018-12-20 Semiconductor apparatus
CN201811638372.1A CN110557102B (zh) 2018-05-31 2018-12-29 半导体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011A KR102555451B1 (ko) 2018-05-31 2018-05-31 반도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829A true KR20190136829A (ko) 2019-12-10
KR102555451B1 KR102555451B1 (ko) 2023-07-17

Family

ID=68693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011A KR102555451B1 (ko) 2018-05-31 2018-05-31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36040B2 (ko)
KR (1) KR102555451B1 (ko)
CN (1) CN110557102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211A (ja) * 1990-05-22 1992-0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クロック発生装置
US20080246503A1 (en) * 2007-04-09 2008-10-09 Kawasaki Microelectronics, Inc. Method of testing 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JP2009060560A (ja) * 2007-09-04 2009-03-19 Fujitsu Microelectronics Ltd マスタスレーブ回路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60076214A (ko) * 2014-12-22 2016-06-3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2297A (ja) * 1997-10-06 1999-04-23 Nec Corp ラッチ回路及びこのラッチ回路を有する半導体集積回路
US6762638B2 (en) * 2002-10-16 2004-07-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ircuit for preserving data in a flip-flop and a method of use
US7227383B2 (en) * 2004-02-19 2007-06-05 Mosaid Delaware, Inc. Low leakage and data retention circuitry
US7365596B2 (en) * 2004-04-06 2008-04-2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tate retention within a data processing system
KR100571646B1 (ko) * 2005-03-31 2006-04-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파워 다운 모드 반도체 소자
JP2008219491A (ja) * 2007-03-05 2008-09-18 Nec Electronics Corp マスタスレーブ型フリップフロップ回路およびラッチ回路
US7391250B1 (en) * 2007-09-02 2008-06-24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Data retention cell and data retention method based on clock-gating and feedback mechanism
KR20090027042A (ko) * 2007-09-11 2009-03-16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리텐션 기능을 갖는 mtcmos 플립플롭
US7622955B2 (en) * 2008-04-17 2009-11-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 savings with a level-shifting boundary isolation flip-flop (LSIFF) and a clock controlled data retention scheme
JP6039081B2 (ja) * 2012-09-19 2016-12-07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Qualcomm Incorporated 動的電力を低減するためのクロックゲート回路
US9166567B2 (en) 2013-03-15 2015-10-20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Data-retained power-gating circuit and devices including the same
US8994430B2 (en) * 2013-05-17 2015-03-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WO2015084381A1 (en) * 2013-12-05 2015-06-11 Intel Corporation Memory cell with retention using resistive memor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211A (ja) * 1990-05-22 1992-0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クロック発生装置
US20080246503A1 (en) * 2007-04-09 2008-10-09 Kawasaki Microelectronics, Inc. Method of testing 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JP2008256627A (ja) * 2007-04-09 2008-10-23 Kawasaki Microelectronics Kk 半導体集積回路の検査方法
JP2009060560A (ja) * 2007-09-04 2009-03-19 Fujitsu Microelectronics Ltd マスタスレーブ回路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60076214A (ko) * 2014-12-22 2016-06-3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451B1 (ko) 2023-07-17
US20190369692A1 (en) 2019-12-05
CN110557102A (zh) 2019-12-10
US10936040B2 (en) 2021-03-02
CN110557102B (zh)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4424B1 (ko) 고속 저전력 클록 게이티드 로직 회로
KR100394841B1 (ko) 데이터 래치 회로와 그 구동 방법
KR20090027042A (ko) 리텐션 기능을 갖는 mtcmos 플립플롭
US6310491B1 (en) Sequential logic circuit with active and sleep modes
US8067962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US6788122B2 (en) Clock controlled power-down state
KR20050112972A (ko) 스캔 플립-플롭 회로 및 그를 포함한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KR100670682B1 (ko) 반도체 기억 소자에서의 데이터 출력 회로 및 방법
KR950014550B1 (ko) 반도체집적회로
KR101265218B1 (ko) 시스템 초기 전압 공급시 또는 슬립모드시 고정된 값을갖는 입/출력 장치
KR20190136829A (ko) 반도체 장치
KR101729545B1 (ko) 집적 회로에서의 데이터 및 클록 신호 전압
JPH11103240A (ja) クロック信号レベル変換機能付ラッチ回路及びフリップフロップ回路
JPH1174764A (ja) 電圧レベル変換機能付ラッチ回路及びフリップフロップ回路
JP5176883B2 (ja) ラッチ回路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699448B1 (ko) 고신뢰성 저누설 다중 문턱 cmos 래치 회로 및플립플롭
KR20100062147A (ko) 파워 게이팅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JPH1197984A (ja) ラッチ回路
JP3769310B2 (ja) 入力回路
KR20050097226A (ko) 저전력 소모의 플립플롭
JP7395390B2 (ja) 半導体装置
JPH10276069A (ja) データラッチ回路
TW201628335A (zh) 同步器正反器
KR100244415B1 (ko) 고속으로 동작하는 단일 또는 이중 에지 트리거 플립플롭 회로
US7764100B2 (en) DFLOP circuit for an externally asynchronous-internally clocke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