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719A - 조직 퇴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조직 퇴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719A
KR20190133719A KR1020197031434A KR20197031434A KR20190133719A KR 20190133719 A KR20190133719 A KR 20190133719A KR 1020197031434 A KR1020197031434 A KR 1020197031434A KR 20197031434 A KR20197031434 A KR 20197031434A KR 20190133719 A KR20190133719 A KR 20190133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ongate flexible
flexible element
tissue
outer sheath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5946B1 (ko
Inventor
라이언 브이 웨일스
폴 스미스
대니 에스 리
스캇 이 브레치비엘
지아리앙 왕
션 피 플뢰리
Original Assignee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17042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62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3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2Devices for opening or enlarging the visual field, e.g. of a tub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antagonistic arms as supports for retracto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3Clips, e.g.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applying or removing wound clamps, e.g. containing only one clamp or staple; Wound clamp magaz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69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3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with a protective sleeve, e.g. retractable or slid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adapted to be inserted through a working channel of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7Material properties shape memory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2017/0212Cushions or pads, without holding arms, as tissue retainers, e.g. for retracting visc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22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flexible, e.g. fabrics, meshes, or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 A61B2017/0641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having at least three legs as part of one singl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 A61B2017/0645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being elastically deformed for inser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개시 내용은 조직 절개 분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 내용은, 표적 조직의 가시화를 개선하고 절개 도구의 방해를 완화하기 위해서 절개 시술 중에 조직을 상승시키고 회수하기 위한 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 내용은, 절개 시술 중에 표적 조직의 절개된 부분을 부동화 및 회수하기 위해서 구속된 구성으로부터 구속되지 않은 휘어진 구성으로 전이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직 퇴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우선권
본원은, 모든 목적을 위해서 전체가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2017년 3월 2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2/478,169호에 대한 35 U.S.C. § 119 하의 우선권 이익을 주장한다.
본 개시 내용은 조직 절개 분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 내용은, 표적 조직의 가시화를 개선하고 절개 도구의 방해를 완화하기 위해서 절개 시술 중에 조직을 상승시키고 퇴축시키기기 위한 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 내용은, 절개 시술 중에 표적 조직의 절개된 부분을 부동화 및 퇴축시키기 위해서 구속된 구성(constrained configuration)으로부터 구속되지 않은 휘어진 구성으로 전이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장관과 같은 좁은 신체 통로 내로부터 병변부를 수술적으로 절개하는 것은, 절개 시술 중의 열등한 표적 조직 가시화로 인해서 불충분하고 시간 소모적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그러한 시술 중에 더 악화될 수 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절개된 표적 조직이 작업 지역을 막아서 추가적으로 가시성을 떨어뜨리고 절개 도구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본 개시 내용에서의 조직 퇴축 및 절개를 위한 의료 장치 및 방법에 의해서 다양한 장점이 실현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은, 그 여러 양태에서, 조직 가시화 및 조작을 개선하기 위한 절개 시술 중에 표적 조직을 부동화하고 퇴축시키기 위한 조직 퇴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는, 관통 내강(lumen)을 갖는 내부 관형 요소, 내부 관형 요소를 중심으로 배치된 외부 외장으로서, 외부 외장 및 내부 관형 요소는 서로에 대해서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는, 외부 외장을 가질 수 있는 전달 카테터, 그리고 구속된 때의 제1 구성과 구속되지 않은 때의 제2의 휘어진 구성 사이에서 전이되도록 구성된 세장형 가요성 요소를 갖춘 조직 퇴축기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는 내부 관형 요소의 내강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세장형 가요성 요소 및 내부 관형 요소는 서로에 대해서 그리고 외부 외장에 대해서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고, 세장형 가요성 요소는 단부 폭을 가지는 원위 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표적 조직 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부재는 단부 폭을 갖는 근위 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표적 조직 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부재는 원위 단부를 근위 단부에 연결하는 본체 폭을 갖는 본체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본체 폭은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의 단부 폭보다 넓을 수 있고, 내부 관형 요소의 내강은 본체 폭 및 단부 폭을 수용하는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조직 퇴축기 시스템은, 내부 관형 요소의 내강의 본체 부분의 본체 폭과 실질적으로 정합될 수 있는 내부 관형 요소의 내강의 횡단면의 제1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시스템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본체 부분의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의 단부 폭과 실질적으로 정합될 수 있는 내부 관형 요소의 내강의 횡단면의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슬롯을 가질 수 있는 외부 외장을 포함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슬롯을 내부 관형 요소의 횡단면의 제2 부분과 정렬시키기 위해서 외부 외장 및 내부 관형 요소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서로에 대해서 회전시키는 것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단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앵커(anchor)가 외부 외장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전개되게 할 수 있다. 시스템은, 슬롯을 가질 수 있는 외부 외장을 포함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슬롯을 내부 관형 요소의 횡단면의 제2 부분과 정렬시키기 위해서 외부 외장 및 내부 관형 요소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서로에 대해서 활주시키는 것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단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앵커가 외부 외장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전개되게 할 수 있다. 시스템은, 외장의 근위 단부에서보다 원위 단부에서 더 넓은 슬롯을 갖는 외장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내부 관형 요소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내부 관형 요소의 주변부에 대해서 개방될 수 있는 제2 부분 횡단면을 갖는 내부 관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단부 폭과 실질적으로 정합되는 그 길이를 따른 폭을 갖는 원위 단부에서 슬롯을 가질 수 있는 외부 외장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외부 외장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폭을 갖는 슬롯을 가질 수 있는 외부 외장을 포함하고, 슬롯의 폭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단부 폭과 실질적으로 정합된다. 시스템은, 실질적으로 T-형상인 내부 관형 요소의 횡단면을 포함할 수 있고, 횡단면의 제1 부분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본체 부분을 활주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횡단면의 제2 부분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활주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은, 실질적으로 C-형상인 내부 관형 요소의 횡단면을 포함할 수 있고, 횡단면의 제1 부분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본체 부분을 활주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횡단면의 제2 부분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활주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에 근접하여 내부 관형 요소의 내강 내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 밀기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밀기 부재의 원위 운동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를 원위적으로 연장시키고 병진운동시킨다. 시스템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단부는 갈래부, 포크, 후크, 핑거, 미늘, 고리 및 클립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조직 앵커를 포함할 수 있다.
조직 퇴축기 시스템이 복수의 조직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가질 수 있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단부는 조직 체결부에 의해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안내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안내 부재는 관통 연장되는 내강을 형성한다.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안내 부재의 내강 내에 활주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된 제어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가, 제어 와이어가 적어도 하나의 안내 부재의 내강 내에 배치되는 때의 제1 구성과, 제어 와이어가 적어도 하나의 안내 부재의 내강 내로부터 제거된 때의 제2 구성 사이에서 전이될 수 있다. 시스템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달 카테터 및 적어도 하나 조직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복수의 조직 체결부 중 하나에 의해서 결합되도록 구성된 근위 고리를 갖는 세장형 가요성 부재의 근위 단부, 및 복수의 조직 체결부 중 다른 하나에 의해서 결합되도록 구성된 원위 고리를 포함하는 원위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복수의 조직 체결부의 각각의 조직-파지 부분보다 클 수 있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근위 고리 및 원위 고리의 각각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복수의 조직 체결부 중 하나에 의해서 결합되도록 구성된 근위 아암을 가질 수 있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근위 단부, 및 복수의 조직 체결부 중 다른 하나에 의해서 결합되도록 구성된 원위 아암을 가질 수 있는 원위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제2 구성에서 길이방향 평면 내에서 실질적으로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가요성 휘어짐 부분을 각각 갖는, 제1 구성에서 실질적으로 평행한 요소의 쌍을 포함할 수 있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조직 체결부에 의해서 결합되도록 구성된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는, 조직 체결부에 의해서 결합되도록 구성된 고리를 각각 가지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안내 부재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에 부착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안내 부재는 관통 연장되는 내강을 형성한다. 제어 와이어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부재의 내강 내에 활주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가, 제어 와이어가 적어도 하나의 안내 부재의 내강 내에 배치되는 때의 제1 구성과, 제어 와이어가 적어도 하나의 안내 부재의 내강 내로부터 제거된 때의 제2 구성 사이에서 전이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는, 제2 구성에서 길이방향 평면 내에서 실질적으로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가요성 휘어짐 부분을 각각 갖는, 제1 구성에서 실질적으로 평행한 요소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는 안내 부재의 단부 부분에서 시각적 마커를 갖는 안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비제한적인 예가, 예로서, 개략적이고 실제 축척으로 도시되지 않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에서, 도시된 각각의 동일한 또는 거의 동일한 구성요소가 전형적으로 하나의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명료함을 위해서, 모든 도면에서 모든 구성요소에 라벨을 부여하지 않았고, 당업자가 개시 내용을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설명이 필요치 않은 경우에 도시된 개시 내용의 각각의 실시예의 모든 구성요소에 라벨을 부여하지 않았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으로부터 전개되는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2a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구속 구성에서의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도면이다.
도 2b는 비구속 구성에서의 도 2a의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도면이다.
도 3a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측면 횡단면도이다.
도 3b는 구속 구성에서의 도 3a의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3c는 전개 구성에서 외부 외장을 갖는 도 3a 및 도 3b의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3d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가 전개된 도 3a 내지 도 3c의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3e는 절개 요소가 절개하고자 하는 표적 조직을 제거하는 도 3a 내지 도 3d의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4a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외장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슬롯, 및 함께 T-형상이 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갖는 내강 횡단면을 갖춘 내부 관형 요소를 갖는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4b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외장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슬롯, 및 C-형상의 제1 부분 및 내부 관형 요소의 주변부에 대해서 접선 방향으로 개방된 제2 부분을 갖는 내강 횡단면을 갖춘 내부 관형 요소를 갖는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슬롯의 근위 단부에서가 아니라 원위 단부에서 더 넓은 슬롯의 폭을 갖는 외부 외장을 따른 슬롯을 갖춘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6a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구성에서의 쌍안정 스프링으로서의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도면이다.
도 6b는 실질적으로 휘어진 구성에서의 도 6a의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도면이다.
도 6c는 전달 카테터 내의 도 6a 및 도 6b의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도면이다.
도 7a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횡단면 변동 내강을 갖는 내부 관형 요소의 측면 횡단면도이다.
도 7b는 횡단면 7B에서의 7A의 횡단면도이다.
도 7c는 횡단면 7C에서의 7A의 횡단면도이다.
도 7d는 횡단면 7D에서의 7A의 횡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미늘을 갖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도면이다.
도 8b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를 갖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도면이다.
도 8c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를 갖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도면이다.
도 8d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를 갖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도면이다.
도 9a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전개된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9b는 조직 체결부에 의해서 결합된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단부에서 고리를 갖는 도 9a의 시스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9c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 및 조직 체결부가 전개된 도 9a 및 도 9b의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9d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가 표적 조직 위의 위치로 병진운동된 도 9a 내지 도 9c의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9e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고리와 결합되고 표적 조직과 또한 결합되는 제2 조직 체결부를 갖는 도 9a 내지 도 9d의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9f는 제어 와이어가 제거된 도 9a 내지 도 9e의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9g는 절개 요소가 절개하고자 하는 표적 조직을 제거하는 도 9a 내지 도 9f의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면은 개시 내용의 전형적인 또는 예시적인 실시예만을 도시하기 위한 것임을 주목하여야 한다. 따라서, 도면이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개시 내용은 설명된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데, 이는 그러한 것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별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를 넘어서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달리 규정되는 바가 없는 한, 본원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용어가 개시 내용에 속하는 업계의 당업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가 소화계의 조직을 절개하기 위한 의료 장치 및 시스템 그리고 시술을 구체적으로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의료 장치 및 방법이 복강, 위장계, 흉강, 요로 및 생식관 및 기타의 조직을 절개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예를 들어,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 구강 내시경 근 절개술 (POEM), 담낭 절제술 및 비디오-보조 흉부 외과 수술(VATS) 시술을 포함하는, 다양한 의료 시술이 본원에서 개시된 의료 장치 및 시술로부터 이득을 취할 수 있다. 안정화를 위한, 조작을 위한, 그리고 선명한 시계를 제공하기 위한, 구조물 및 구성, 그리고 전개 방법은 절개 이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원위"라는 용어는, 장치를 환자 내로 도입할 때 의료 전문가로부터 가장 먼 단부를 지칭하는 반면, "근위"라는 용어는, 장치를 환자 내로 도입할 때 의료 전문가에 가장 가까운 단부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조직 퇴축" 또는 "퇴축"이라는 용어는 절개 시술 중에 조직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퇴축"은 표적 조직의 절개된 부분이 부동화되게 그리고 절개 평면으로부터 멀리 상승되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절개 요소의 보다 정밀한 조작을 위해서 표적 조직에 장력을 또한 인가하면서, 남은(즉, 절개되지 않은) 표적 조직의 가시화를 개선하게 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표적 조직"이라는 용어는, 건강하지 않은, 질병이 있는(즉, 암, 암-전조의, 기타의) 또는 건강하거나 건강하지 않을 수 있는 다른 바람직하지 못한 조직의 부분을 지칭한다. "표적 조직"은 또한, 건강하지 않은 또는 질병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나, 생검에 의해서 그 질병 상태의 입증을 위한 수술적 제거를 필요로 하는 조직을 포함할 수 있다. "표적 조직"의 수술적 절개가 전형적으로, 완전한 제거를 보장하기 위해서 그리고 남은 또는 제거된 "표적 조직" 세포가 다른 신체 위치로 전이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표적 조직" 가장자리를 따라 주위의 건강한 조직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가, 개시 내용의 전체가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현재 계류 중이고 본 출원인이 공동 소유한 미국 가특허출원 제62/402,649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시술 단계 또는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거나, 그렇게 개시된 시술 단계 또는 구성요소가 여기에서 유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 내용은, 내시경의 작업 채널을 점유하지 않는 것 및/또는 방해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여, 절개된 표적 조직 부분을 퇴축 및 부동화하는 것에 의해서 절개 시술 중에 표적 조직 가시성 및 접근성을 개선하는 조직 퇴축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내시경(110)은 본 개시 내용의 조직 퇴축기를 표적 조직(114) 부위에 전달하고 배치할 수 있다. 실시예는 전달 카테터(112) 내에서 세장형 가요성 요소(102)를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102)는 전달 카테터(112) 내에 미리-로딩될 수 있거나, 세장형 가요성 요소(102)를 원위적으로 병진운동시키기 위해서 밀기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내시경(110) 내에 있는 동안 전달 카테터(112) 내로 로딩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202)의 실시예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202)는, 단부 부분(206)의 단부 폭(210)보다 넓은 본체 폭(208)을 갖는 본체 부분(204)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부분(204)은 중실형(solid)일 수 있거나, 제조 중에 적은 재료를 이용하기 위해서 또는 본체 부분(204)의 구조물에 대한 발판(scaffolding)을 제공하기 위해서 제거된 섹션을 가질 수 있다. 도 2a는 구속된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구성의 세장형 가요성 요소를 도시하는 한편, 도 2b는 이완된, 비구속된, 휘어진 구성의 세장형 가요성 요소를 도시한다. 이완된 휘어진 구성은 제조 중에 세장형 가요성 요소(202)의 탄성 변형 또는 소성 변형을 통해서 생성될 수 있다. 재료 형상기억(material memory)을 위한 재료 및 제조 방법에 따라,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구성으로 제한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장형 가요성 요소(202)가 어느 하나의 구성 또는 양 구성 모두에서 안정적이 되도록 열처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는 하나의 온도에서의 하나의 이완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가열되는 등의 경우에 제2의 이완된 구성으로 전이된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는 사용을 위한 적용예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장 관련 적용예에서,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길이가 구속되었을 때, 단부 대 단부에서, 약 2.8 인치(약 7.11 센티미터)일 수 있고, 휘어진 구성으로 전이되기 전에 표적 조직 내로 전개되었을 때 약 2.5 인치(약 6.35 센티미터)일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개시 내용의 조직 퇴축기 시스템의 실시예가, 외부 외장(316) 내에 활주 가능하게 그리고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내부 관형 요소(308)를 포함하는 전달 카테터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관형 요소(308)는 내강(310)을 포함할 수 있다. 내강(310)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302)를 활주 가능하게 수용한다. 내강(410)은 내부 관형 요소(408)의 일부 또는 전체 길이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내강의 횡단면이 제1 부분(312) 및 제2 부분(3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312)은 본체 부분(304)을 수용하거나 그 폭과 균등하게 정합될 수 있는 반면, 제2 부분(314)은 단부 부분(306)의 폭을 수용하거나 그 폭과 균등하게 정합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302)가 내부 관형 요소의 내강(310) 내에 있는 동안, 세장형 가요성 요소(302)는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구성으로 구속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302)의 본체 부분(304)은 내강(310)의 제1 부분(312) 내에 실질적으로 평면형으로 놓일 수 있다. 단부 부분(306)은, 외부 외장(316)에 의해서 반경방향으로 구속되는 내강(310)의 제2 부분(314) 내에서 적어도 하나 조직 앵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부분(304)이 내강의 제1 부분(312) 내에서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구성을 유지하고 단부 부분(306)이 외부 외장(316)에 의해서 반경방향으로 구속되는 동안, 세장형 가요성 요소(302)가 내강(310) 내에서 활주 가능하게 병진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외부 외장(316)은, 외부 외장(316)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슬롯(318)을 포함한다. 슬롯의 길이는 전체 세장형 요소 길이의 길이까지 변경될 수 있고 그러한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슬롯(318)의 폭은 슬롯의 원위 단부를 향해서 일부 지점에서 적어도 단부 부분보다 더 크나, 세장형 가요성 요소(302)의 단부 부분(306)의 폭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예를 들어, 그와 비교하여 약간만 더 클 수 있다). 외부 외장(316)이 단부 부분(306)이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지 않게 구속하기 때문에, 외부 외장(316)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318)이 내강(310)의 제2 부분(314)과 정렬되도록 축방향으로 회전될 때 단부 부분(306)을 해제할 수 있다.
의료 전문가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302)를 포함하는 전달 카테터(즉, 외부 외장(316) 및 내부 관형 요소(308))를 그가 퇴축시키고자 하는 표적 조직에 근접되게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302)의 단부 부분(306)을, 의료 전문가가 이미 절개를 시작한 또는 절개를 계획한 표적 조직(320)의 경계 부근에 배치할 수 있다. 단부 부분(306)이 희망 위치에 밀접하게 되면, 의료 전문가는 외부 외장(316)을 내부 관형 요소(308)에 대해서 활주 및/또는 회전시킬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슬롯(318)을 내강(310)의 제2 부분(314)과 정렬시키고 단부 부분(306)을 외부 외장(316) 내측으로부터 그리고 표적 조직(320) 내로 방출한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302)의 단부 부분(306)은, 내부 관형 요소(308)에 대한 외부 외장(316)의 회전 및/또는 활주 시에, 내강(31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고, 및/또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302)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302)에 근접하여, 내강(310) 내의 밀기 부재의 이용을 통해서 내강(310) 내에서 원위적으로 병진운동됨으로써, 방출될 수 있다. 원위 단부 부분(306)은, 슬롯(318)에 노출될 때, 근위 단부 부분과 동시에 방출될 수 있거나, 원위 단부 부분(306)은, 근위 단부 부분에 앞서서, 표적 조직(320) 내로 먼저 방출될 수 있다. 밀기 부재는, 먼저 외부 외장(3016)의 슬롯(318)에 노출되는 것에 의해서, 그리고 추가적으로 밀기 부재(그리고 그에 따라 세장형 가요성 요소(302))를 더 병진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원위 단부 부분(306)을 내강(310)의 외부로 병진운동시킬 수 있고, 이어서, 근위 단부 부분은, 원위 단부 부분(306)이 슬롯(318)에 대해서 노출됨으로써 방출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표적 조직(320) 내로 방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원위 단부 부분(306)은, 원위 단부 부분(306)을 외부 외장(316)의 슬롯(318)에 대해서 노출시키는 것 및/또는 예를 들어 표적 조직(320)의 원위 부분과 결합되도록 단부 부분(306)을 노출시키기 위해서 세장형 가요성 요소(302)를 원위적으로 병진운동시키기 위해 밀기 부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표적 조직(320)의 원위 부분 내로 방출될 수 있다. 표적 조직(320)과 결합된 원위 부분(306) 및 근위 단부 부분이 여전히 내강(310) 내에 있는 상태에서, 세장형 가요성 요소(302)의 근위 단부 부분이 슬롯(318)에 노출되고 표적 조직(320) 내로 방출될 때까지, 내부 관형 요소(308) 및/또는 외부 외장(316)이 퇴축될 수 있다. 이는 또한, 단부 부분(306)이 표적 조직과의 결합을 위해서 외부 외장(316)의 외측으로 병진운동될 때까지 외부 외장(316) 및 내부 관형 요소(308)를 서로에 대해서 활주시키는 것에 의해서, 슬롯(318)이 없는 대안적인 외부 외장(316)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세장형 가요성 요소(302)를 내강(310)을 통해서 병진운동시키기 위한 밀기 부재의 이용을 통해서 달성될 수 있다. 내부 관형 요소(308) 및/또는 외부 외장(316)이 퇴축되어 있는 동안, 세장형 가요성 요소(302)의 원위 단부 부분(306)은 표적 조직(320) 내로 매립되어 유지되고, 그에 따라 내강(310) 내의 세장형 가요성 요소(302)의 나머지가 내강(310)의 외부로 병진운동되고, 그에 의해서 세장형 가요성 요소(302)의 근위 단부 부분과 표적 조직(320)의 근위 부분이 결합된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302)가 위치에 전달된 상태에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카테터가 이어서 표적 조직(320)으로부터 멀리 근위적으로 퇴축될 수 있다. 이어서,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되지 않고 표적 조직이 나머지 조직으로부터 절개됨에 따라 세장형 가요성 요소(302)가 휘어진 구성으로 전이되는 동안, 의료 전문가는 표적 조직(320)을 절개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개시 내용의 조직 퇴축기 시스템의 실시예는, 외부 외장(416)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예를 들어,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길이 미만의) 짧은 거리만으로 연장되는 외부 외장(416)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슬롯(418)을 포함할 수 있다. 의료 전문가가 전달 카테터(즉, 외부 외장(416) 및 내부 관형 요소(408))의 원위 단부를 세장형 가요성 요소(402)의 원위 단부 부분(406)을 위한 표적 조직의 희망 위치에 근접하여 배치하였을 때, 외부 외장(416)이 내부 관형 요소(408)에 대해서 회전 및/또는 활주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슬롯(418)은 내강(410)의 제2 부분(414)와 정합되고, 그에 의해서 세장형 가요성 요소(402)의 원위 단부(406)를 표적 조직 내로 방출한다. 이는 또한, 단부 부분(406)이 표적 조직과의 결합을 위해서 외부 외장(416)의 외측으로 병진운동될 때까지 외부 외장(416) 및 내부 관형 요소(408)를 서로에 대해서 활주시키는 것에 의해서, 슬롯(418)이 없는 대안적인 외부 외장(416)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세장형 가요성 요소(402)를 내강(410)을 통해서 병진운동시키기 위한 밀기 부재의 이용을 통해서 달성될 수 있다. 도 4a는, 함께 T-형상이 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갖는 내강(410) 횡단면을 갖는 내부 관형 요소(408)를 도시한다. 도 4b는, C-형상인 제1 부분 및 내부 관형 요소의 주변부에 대해서 접선방향으로 개방된 제2 부분을 갖는 내강(410) 횡단면을 갖는 내부 관형 요소(408)를 도시한다. 내강(410)은 내부 관형 요소(408)의 일부 또는 전체 길이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슬롯(418)이 외부 외장(416)의 원위 단부에 위치될 때, 세장형 가요성 요소(402)의 근위 단부가 내강(410) 내에서 외부 외장(416)에 반하여 여전히 구속된다. 원위 단부 부분(406)이 표적 조직의 제1 부분 내에 매립되고 세장형 가요성 요소(402)의 근위 단부가 여전히 내강(410) 내에 있는 상태에서, 의료 전문가는, 단부 부분이 내부 관형 요소(408) 내에 여전히 있는 동안, 세장형 가요성 요소(402)의 근위 단부 부분을 표적 조직의 제2 부분의 희망 위치에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어서, 의료 전문가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402)의 근위 단부가 슬롯(418)과 정합되도록, 그에 의해서 근위 단부를 표적 조직의 제2 부분 내로 방출하도록, 내부 관형 요소(408)에 대해서 근위적으로 외부 외장(416)을 병진운동시킬 수(및/또는 내부 관형 요소(408)를 외부 외장(416)에 대해서 원위적으로 병진운동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각각의 경우에 근위 단부가 슬롯(418)에 도달하고 방출될 때까지, 선택적으로 외부 외장(416) 또는 내부 관형 요소(408) 및 외부 외장(416)을 역으로 당기면서, 요소(402)를 밀기 부재로 원위적으로 밀 수 있거나, 세장형 가요성 요소(402)가 밀기 부재로 근위적으로 이동되지 않게 유지하면서, 내부 관형 요소(408) 및 외부 외장(416)을 퇴축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개시 내용의 조직 퇴축기 시스템의 실시예가, 외부 외장(516)의 근위 부분에 위치되는 슬롯(518)의 더 좁은 단부(522)까지 감소 테이퍼링되는 외부 외장(516)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더 넓은 부분을 갖는 외부 외장(516)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슬롯(518)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518)의 더 넓은 단부(520)가 세장형 가요성 요소(502)의 단부(506)보다 더 넓을 수 있는(및/또는 내부 관형 요소(508)의 내강(510)의 제2 부분(514)보다 넓을 수 있는) 반면, 슬롯(518)의 좁은 단부(522)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502)의 단부(506)를 수용하기에 충분할 정도만 넓을 수(및/또는 내강(510)의 제2 부분(514) 정도로 넓을 수) 있다. 의료 전문가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502)의 원위 단부(506)가 표적 조직의 제1 부분에 밀접하도록 그리고 외부 외장(516)을 내부 관형 요소(508)에 대해서 회전 및/또는 활주시키도록, 세장형 가요성 요소(502)를 내부 관형 요소(508) 내에 그리고 외부 외장(516)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슬롯(518)의 원위 단부(520)가 근위 단부(522)보다 넓기 때문에, 세장형 가요성 요소(502)의 원위 단부 부분(506)은, 슬롯(518)의 좁은 단부(522)에 위치되는 근위 단부 부분(506) 이전에, 슬롯(518)의 원위 단부(520)로부터 방출될 것이다. 이러한 위치에서, 세장형 가요성 요소(502)의 원위 단부(506)는, 세장형 가요성 부재(502)의 근위 단부가 외부 외장(516)에 의해서 여전히 구속되어 있는 동안, 전개될 것이고 표적 조직의 제1 부분과 결합될 것이다. 이러한 위치에서, 의료 전문가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502)의 근위 단부를 표적 조직의 제2 부분에 밀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어서, 슬롯(518)의 좁은 단부(522)가 세장형 가요성 요소(502)의 근위 단부와 정합되거나, (활주의 경우에) 근위 단부가 슬롯(518)의 더 넓은 단부(520)에 도달하여, 이를 표적 조직의 제2 부분 내로 방출하도록, 의료 전문가는 외부 외장(516)을 계속 회전 및/또는 활주시킬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직 퇴축기 시스템의 실시예는, 쌍안정 스프링인 세장형 가요성 요소(602)를 포함한다. 그러한 세장형 가요성 요소(602)는 2개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602)의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구성이 도 6a에 도시되어 있으며, 본체(604)의 횡단면은 제1 방향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휘어지고, 본체(604)는 본체(604)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직선형이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602)의 휘어진 구성이 도 6b에 도시되어 있으며, 본체(604)의 횡단면은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휘어지고, 본체(604)는 길이방향으로 휘어진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602)의 원위 및 근위 단부(606)는 표적 조직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602)의 본체(604)는 단부(606)보다 넓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본체(604)는,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곡선형 측면을 가지며, 도 6a의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구성으로 구속될 필요는 없다. 단부(606)가 표적 조직과 결합된 제 위치에 세장형 가요성 요소(602)가 있게 되면, 길이방향 수직인(즉, 반경방향인) 힘이 도 6a의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구성의 세장형 가요성 요소(602)에 인가되어 이를 도 6b의 휘어진 구성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도 6a 및 도 6b의 세장형 가요성 요소(602)의 실시예가 도 6a의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구성의 내부 관형 요소(608)의 내강(6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602)의 본체(604)가 내강의 제1 부분(612) 내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반면, 세장형 가요성 요소(602)의 단부(606)는 제2 부분(614) 내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외부 외장(616)의 내부 벽에 의해서 구속될 수 있다. 외부 외장(616) 상의 슬롯(618)이 회전 및/또는 활주되어, 전개를 위해서 세장형 가요성 요소(602)의 단부 부분(606)에 대한 내강(610)의 제2 부분(614)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602)의 프로파일과 정합되도록, 제1 부분(612)의 프로파일이 성형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조직 퇴축 장치의 실시예가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되어 있고, 내강(710)을 갖는 관형 요소(700)를 포함할 수 있고, 그러한 관형 요소를 통해서 개시 내용의 세장형 가요성 요소를 활주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본체 부분이 내강(710)의 더 넓은 제1 부분(712) 내에 배치될 수 있는 한편,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단부 부분은 내강(710)의 더 좁은 제2 부분(71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분(712)은 내강(710) 전체를 통해서 균일하게 유지되는 반면, 제2 부분(714)은 관형 요소(700)(또 7b)의 근위 단부에서 얕은 횡단면 깊이를 유지하고, 이는, 관형 요소(700)의 원위 단부를 향해서 더 높은 횡단면(도 7c)으로 전이된다. 내강(710)의 가장 원위의 섹션은, 관형 요소(700)의 주변부로 개방된 제2 부분(714)을 갖는 횡단면(도 7d)을 갖는다. 조직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단부를 갖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는 제2 부분(714) 내에 구속된 내강(710) 내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기 부재의 이용을 통해서) 내강(710)을 통해 근위적으로 세장형 가요성 요소를 병진운동시키는 것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원위 단부가 내강(710)의 전이 횡단면(예를 들어 도 7c)에 위치되게 하고, 그 곳에서,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단부의 전개를 개시하도록, 제2 부분(714)이 더 높아진다. 표적 조직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단부가, 예를 들어 도 7b의, 얕은 횡단면으로부터, 예를 들어 도 7d의, 관형 요소(700)의 주변부에 개방된 더 높은 횡단면까지 내강(710)의 제2 부분(714) 내에서 병진운동됨에 따라, 세장형 가요성 요소는 구속되지 않기 시작하고 관형 요소(700)의 원위 단부에서 표적 조직의 제1 부분 내로 전개된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는 원위적으로 관형 요소(700)의 외측으로 계속 밀려날 수 있고, 그에 따라, 세장형 가요성 요소가 내강(710)의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 병진운동됨에 따라, 원위 단부가 또한 구속되지 않고 내강의 제2 부분(714)으로부터 표적 조직의 제2 부분 내로 전개된다. 대안적으로, 내강(710)이 도 7c에서와 같은 전이적 횡단면을 가지지 않을 수 있고, 도 7b로부터 도 7d로 급격히 전이될 수 있다. 또한, 내강(710)의 실질적으로 T-형상인 횡단면이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되어 있지만, 그러한 횡단면은, 그 대신, 내부 관형 요소(700)의 근위 부분에서의 더 짧은 "D-형상"으로부터 내부 관형 요소(700)의 원위 부분에서의 C-형상으로 전이되는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실질적으로 C-형상의 횡단면을 취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실시예는 조직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고, 세장형 가요성 요소가 표적 조직으로부터 분리되거나 그로부터 멀리 비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몇몇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802)의 단부 부분(806)을 따라 및/또는 본체 부분(804)을 따라 배치되어 조직 결합을 도울 수 있다. 단부 부분(806)이 또한 조직과 결합될 때, 및/또는 본체 부분(804)이 조직에 근접될 때, 그와 별도로 또는 그 함께, 조직 결합 메커니즘이 조직과 결합될 수 있다. 도 8a는, 일 방향으로 뾰족해진(pointed) 단부 부분(806)의 선단부에 위치되는 미늘(808)을 포함하여, 세장형 가요성 요소(802)를 따른 미늘(808)을 도시하는 한편, 선단부에 위치되지 않는 단부 부분(806) 상의 다른 미늘(808)은 반대 방향으로 뾰족해진다. 또한, 미늘(808)은 본체 부분(804)을 따라 도시되어 있다. 도 8b는 단부 부분(806) 상에서 그리고 본체 부분 상에서 세장형 가요성 요소(802)의 일 측면을 따라 후크(808)를 도시한다. 후크(808)는 표적 조직을 용이하게 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후크(808)가 표적 조직 내로 더 깊이 밀릴 때 날카로운 단부의 더 넓은 부분이 표적 조직과 결합될 수 있게 하는 한편, 대향되는 더 넓은 부분에 위치되는 제2의 날카로운 단부는 후크(808)가 표적 조직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도 8c는 표적 조직 내로 천공 및 매립되기 위한 더 날카로운 연부를 제공하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802)의 단부 부분(806) 상의 양면형 후크(808)를 도시한다. 도 8d는, 도 8b에 도시된 것 외에, 세장형 가요성 요소(802)의 단부 부분(806)의 반대 표면 상의 후크(808)를 도시한다. 여러 조합, 구성 및 배향의 이러한 후크 및 미늘은 희망 조직 효과에 따라 본 개시 내용의 세장형 가요성 요소 중 임의의 것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 내용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를 수반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직 체결부(914)를 포함하는 전달 카테터(912)를 표적 조직(920)의 부위를 향해서 전달하고 배치하기 위해서 내시경(910)을 이용하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직 퇴축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의 실시예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직 체결부(914)에 의해서 결합되도록 구성된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b에서, 이러한 단부는, 후크(916)에 의해서 조직 체결부(914)에 결합될 수 있는 고리(904)를 포함한다. 조직 체결부(914)가, 고리(904)와 여전히 결합되어 있는 동안, 용이하게 조작(예를 들어, 회전, 뒤집기, 등)될 수 있도록, 고리(904)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비록 고리(904)가 폐쇄형 고리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그 대신 예를 들어, 아암 또는 후크와 같은 다른 형상일 수 있다. 비록 양 단부가 고리(904)를 갖는 것으로 각각 도시되어 있지만, 일 단부가 고리(904)를 가질 수 있는 한편 타 단부는 고리가 없는 미리-부착된 조직 체결부(914)를 가질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도 9a 및 도 9b의 시스템은, 근위 고리(904)를 (이러한 실시예에서 후크(916)와 결합된) 조직 앵커(914)와 결합시키는 것 그리고 조직 체결부(914)에 대해서 고리화된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를 전달 카테터(912) 내로 로딩하는 것에 의해서, 표적 조직 부위로 도입될 수 있다. 조직 체결부(914)가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와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표적 조직 부위에 고정할 수 있기만 하다면, 고리들(904)이 상이한 형상들일 수 있고 후크들(916)이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는, 구속되지 않을 때, 그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휘어진 구성을 갖는다. 실질적으로 직선형인 제어 와이어(908)가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를 따라 안내 부재(922)에 의해서 생성된 내강 내에 배치되고, 그에 의해서 제어 와이어는, 안내 부재의 내강을 통해서 전개되는 동안,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를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구성으로 구속한다. 제어 와이어(908)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의 나머지의 재료 및/또는 두께보다 더 강성인 재료 및/또는 더 두꺼운 두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와이어를 위한 내강을 갖는 안내 부재(922)가 편평하고 직사각형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들이, 예를 들어, 원형, 반-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조합된 형상 등과 같은 다수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는 다양한 구속된 구성 길이(예를 들어, 약 6.0 인치(약 152 mm); 약 5.0 인치(약 127 mm); 약 4.0 인치(약 101.6 mm); 약 3.0 인치(약 76.2 mm); 약 2.75 인치(약 69.85 mm); 약 2.0 인치(약 50.8 mm); 약 1.5 인치(약 38.1 mm); 약 1.0 인치(약 25.4 mm))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을 위해 시스템을 설정하기 위해서, 원위 단부가, 근위 단부에서 세장형 가요성 요소에 연결된 조직 체결부(914)에 대해서 원위에 있도록, 조직 체결부(914)에 의해서 결합되지 않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의 원위 단부가 먼저 전달 카테터(912) 내로 로딩될 수 있다. 따라서, 근위 단부는 전달 카테터(912) 내의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의 나머지 뒤를 따른다. 가요성 휘어짐 부분(906)(이러한 실시예에서 팽창된 구성에서 길이방향 평면 내에서 서로로부터 실질적으로 멀리 연장되는 요소들의 쌍)이, 전달 카테터 내에서 구속되어 있는 동안, 압궤된 구성으로 전이된다. 조직 체결부(914)는 전달 카테터(912) 내에 있는 동안 원위적으로 병진운동될 수 있고, 이는 또한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를 전달 카테터(912)를 통해서 원위적으로 민다.
대안적으로, 조직 체결부(914)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에 대해서 원위적으로 전달 카테터(912) 내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의 설정에서, 조직 체결부가 원위적으로 병진운동될 때, 조직 체결부(914)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를 원위적으로 당길 것이다. 도 9c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직 체결부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를 원위적으로 미는 것에 의해서 이를 전달 카테터의 외부로 병진운동시킬 수 있다. 휘어짐 부분(906)이 전달 카테터를 빠져 나가면, 이는 더 이상 압궤된 구성으로 구속되지 않고 팽창 구성으로 팽창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가 근위 고리(904)에서 조직 체결부(914)의 후크(916)에 의해서 결합되기 때문에, 조직 체결부(914)의 운동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의 운동을 제어한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는 표적 조직(920)을 향해서 조작될 수 있다.
도 9d를 참조하면, 도 9c에 도시된 조직 퇴축기 시스템은, 가요성 요소(902)의 근위 단부에 결합된 조직 체결부(914)를 표적 조직(920)의 근위 부분을 향해서 병진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세장형 가요성 요소가 카테터를 빠져 나간 후에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를 표적 조직 위에서 병진운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의 근위 단부와 결합된 조직 체결부(914)는 표적 조직(920)의 근위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914)를 표적 조직(920)과 결합시키기 위해 최적으로 배치하기 위해서 그리고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를 표적 조직(920)에 걸쳐 배치하기 위해서, 체결부(914)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에 부착될 때에도,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조직 체결부(914)가 표적 조직(920)에 체결될 때,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의 원위 단부가 자유롭게-매달리나, 또한 조직 퇴축을 위해서 표적 조직(920) 상의 희망 위치(예를 들어, 표적 조직의 원위 부분)에 근접된다.
도 9e를 참조하면, 도 9a 내지 도 9d의 조직 퇴축기 시스템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의 원위 고리(904)와 결합되도록 부가적인 조직 체결부(914)를 도입할 수 있다. 의료 전문가는, 전달 카테터(912)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부가적인 조직 체결부(914)를 내시경의 작업 채널을 통해서 도입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동일 전달 카테터에 새로운 체결부(914)가 다시 로딩될 수 있고 및/또는 별도의 전달 카테터(912)가 이용될 수 있다. 조직 체결부(914)는 원위 고리(904)와의 결합을 위해서 후크(916)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 카테터(912) 및 조직 체결부(914)는, 예로서,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이 판매하는 RESOLUTIONTM 클립 장치의 라인을 따라, 모델링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장치 및 체결부를 위해서 적합할 수 있는 이러한 장치 및 다른 장치에 관한 변경, 그리고 연관된 구성요소 및 특징부를, 전체 개시 내용이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 출원 제14/701,157호(US2015023080A1) 및 제13/463,560호(US20130123807A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체결부는, 표적 조직(920) 내의 위치 내로 록킹되기 전에 후크(916)에 의해서 고리(904)와 결합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조직 체결부(914)는 전달 카테터(912)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와 함께 남겨질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의 조작을 돕기 위해서, 고리(904)가 조직 체결부(914)의 조직-파지 부분(915)보다 클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들은, 의료 전문가가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를 배치할 때, 조직 체결부(914)의 대향 측면에 대해서 뒤집힐 수 있다.
제어 와이어(908)는, 제어 와이어(908)의 위치 및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의 근위 단부 부분을 표시하기 위한, 의료 전문가에 의해서 용이하게 보일 수 있는 시각적 마커(91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마커는 제어 와이어(908) 상에 배치된 채색된 본체, 투시기 상에서 나타나도록 하는 방사성 불투과성의 재료일 수 있거나, 제어 와이어(908) 내로 제조된(예를 들어, 긁힘된, 에칭된, 함몰된, 레이저-에칭된, 기타의) 마크일 수 있다. 보다 양호한 가시성을 위해서 마커(918)가 방해받지 않도록, 제어 와이어(908)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로부터 멀리 굽혀진 근위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와이어(908)의 굽힘은 또한 제거를 위해서 제어 와이어(908)를 파지하는 것을 돕는다. 마커는, 제어 와이어를 세장형 요소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 카테터 및/또는 스코프를 통해서 삽입된 도구에 의해서 더 용이하게 파지되도록, 예를 들어 구형의, 제어의 나머지에 비해서 팽창된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제2 조직 체결부(914)가 원위 고리(904)에 일단 결합되면,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를 희망에 따라 표적 조직(920)을 따라 배치하기 위해서, 조직 체결부(914)가 조작될(예를 들어, 회전될, 뒤집힐, 기타)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가 제 위치에 있게 되면, 부가적인 조직 체결부가 표적 조직(920)의 제2 부분(예를 들어, 원위 부분)과 결합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를 표적 조직에 고정할 수 있다. 이어서, 전달 카테터(912)는 제2 조직 체결부(914)를 방출할 수 있다. 의료 전문가는, 표적 조직의 절개에 앞서서,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를 그 길이방향 축을 따라 그 휘어진 구성으로 전이시킬 수 있다. 이는, 절개 프로세스 중에 부분적인 조직 퇴축을 허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가, 표적 조직의 절개에 앞서서 및/또는 그 도중에, 그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구성으로 남겨질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를 휘어진 구성으로 전이시키기 위해서, 파지 장치가 표적 조직(920)의 부위에 도입될 수 있다. 파지 장치는 제어 와이어(908)의 굽혀진 부분 상의 마커(918)를 향해서 조작될 수 있다. 도 9f를 참조하면, 제어 와이어(908)가 파지되어 안내 부재(922)의 외부로 당겨질 수 있다. 제어 와이어(908)가 없이,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가 그 길이방향 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구성으로부터 휘어진 구성으로 전이되어, 표적 조직(920) 상에 퇴축력을 개시할 수 있다.
도 9g를 참조하면, 도 9a 내지 도 9f의 시스템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가 휘어진 구성에 있도록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의 제어 와이어(908)가 제거된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는 퇴축력을 조직 체결부(914)의 각각에 그리고 그에 따라 또한 표적 조직(920)에 가한다. 표적 조직(920) 주위의 주변부를 절개하기 위해서, 절개 장치(924)가 내시경(910)의 작업 채널을 통해서 도입될 수 있다. 이러한 표적 조직(920)의 절개는 표적 조직(920)을 주위 조직으로부터 해제하여, 표적 조직(920)이 휘어진 구성의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의 퇴축력에 굴복하게 할 수 있다. 표적 조직(920)의 원위 및 근위 단부가 체결부(914) 및 고리(904)에 의해서 상승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부가적인 아암이, 표적 조직(920)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는 방향(예를 들어, 세장형 가요성 요소에 수직)으로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조직 체결부(914) 상의 후크(916)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는 고리(904)를 포함할 수 있다. 휘어진 부분(906)은 표적 조직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내에서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표적 조직(920)이 주위 조직으로부터 퇴축되기 시작함에 따라, 휘어진 부분(906)은 부가적인 표면적 및 저항을 퇴축되고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 위로 접히는 표적 조직(920)의 측면 부분에 제공할 수 있다. 표적 조직(920)의 주변부 주위의 완전한 절개는 이를 주위 조직으로부터 절단할 것이고, 그에 따라 세장형 가요성 요소(902)가 절개된 표적 조직(920)을 주위 조직으로부터 완전히 상승시키고 퇴축시킬 수 있게 한다. 표적 조직(920) 및 조직 퇴축기 시스템은 의료 전문가에 의해서 신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거나, 위장관(G.I. tract)을 통과하도록 신체 내에 남겨질 수 있다.
임의의 실시예의 제1의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또는 편평한 구성에서,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본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조직 표면과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장형 가요성 요소는 폭 및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세장형 가요성 요소가 절개 시술 중에 롤링되거나 비틀리는 경향을 저지하도록, 그러한 폭은 두께를 초과한다. 예를 들어, 세장형 가요성 요소는, 두께(예를 들어, 약 0.040 인치(약 1.016 mm); 약 0.035 인치(약 0.889 mm); 약 0.030 인치(약 0.762 mm); 약 0.025 인치(약 0.635 mm); 약 0.020 인치(약 0.508 mm))보다 넓은, 폭(예를 들어, 약 0.070 인치(약 1.778 mm); 약 0.065 인치(약 1.651 mm); 약 0.060 인치(약 1.524 mm); 약 0.055 인치(약 1.397 mm); 약 0.050 인치(약 1.27 mm))을 가질 수 있고, 일부 경우에 폭은 두께보다 약 2배만큼 더 넓을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는, 예를 들어, 백금, 텅스텐, 티타늄, 스테인리스 강, 니켈 및 니켈-티타늄 합금(예를 들어, 니티놀)과 같은 금속 및 금속 합금,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폴리우레탄계 중합체, 폴리노보넨계 중합체 및 폴리락타이드계 중합체와 같은 중합체,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탄성적 생체적합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구속된 구성에 있을 때 그러한 재료 내에 저장된 "힘"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가, 그것이 매립된 조직에 반하여 상향 상승/퇴축 압력을 인가하고 유지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세장형 가요성 요소가 제1 구성의 편평한 또는 평면형 형상으로부터 제2 구성의 휘어진(예를 들어, 둥근 또는 반구형의) 형상으로 이동(즉, 복귀)하려는 자연적인 경향은, 비-절개 표적 조직 부분이 더 용이하게 가시화될 수 있고 더 효율적으로 절삭될 수 있도록, 표적 조직의 절개된 부분이 절개 평면 위로 상승되거나 높아질 수 있게 한다. 이완된, 비구속 위치에서 추정되는 희망 형상기억을 세장형 가요성 요소 재료 내에 부여하거나 설정하기 위해서, 제2 구성의 형상이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제조 중에 제어될 수 있다.
절개된 조직을 퇴축시키기 위한 방법은, 전달 카테터의 원위 단부가 표적 조직의 제1 부분에 근접하도록, 의료 전문가가 전달 카테터를 내시경의 작업 채널을 통해서 표적 조직에 인접한 위치까지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 전문가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원위 단부가 전달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넘어서 표적 조직의 제1 부분과 결합되도록, 전달 카테터의 작업 채널을 통해서 세장형 가요성 요소를 전진시킬 수 있다. 의료 전문가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근위 단부가 전달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넘어서 이동되도록, 전달 카테터를 근위적으로 퇴축시킬 수 있다. 의료 전문가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근위 단부가 표적 조직의 제2 부분과 결합되도록, 전달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근위 단부에 반하여 압박할 수 있다. 의료 전문가는, 전달 카테터의 외부 외장을 전달 카테터의 내부 관형 요소와 관련하여 회전 및/또는 활주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원위 단부를 표적 조직의 제1 부분 내로 방출할 수 있고 후속하여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근위 단부를 조직의 제2 부분 내로 퇴축시킬 수 있다. 의료 전문가는 조직 절개 요소를 내시경의 작업 채널을 통해서 전진시킬 수 있고, 세장형 가요성 요소가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 이동될 때, 표적 조직의 가장자리를 따라 절개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그리고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부속물을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키트 내에서 또는 방법 또는 시술의 일부로서, 신체의 공동, 내강, 관, 용기, 및/또는 기관 등에서 이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여러 실시예에 더하여 본 개시 내용의 변형예, 수정예, 및 다른 구현예가 당업자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 내용은 선행하는 예시적인 설명에 의해서 규정되지 않고, 그 대신 이하의 청구항에 의해서 규정된다.

Claims (15)

  1. 조직 퇴축기 시스템이며:
    전달 카테터로서:
    관통 내강을 갖는 내부 관형 요소;
    내부 관형 요소를 중심으로 배치된 외부 외장으로서, 외부 외장 및 내부 관형 요소가 서로에 대해서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는, 외부 외장을 포함하는, 전달 카테터; 및
    구속되었을 때의 제1 구성과 구속되지 않았을 때의 제2의 휘어진 구성 사이에서 전이되도록 구성된 세장형 가요성 요소로서, 세장형 가요성 요소는 내부 관형 요소의 내강 내에 배치되고, 세장형 가요성 요소 및 내부 관형 요소가 서로에 대해서 그리고 외부 외장에 대해서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는, 세장형 가요성 요소를 포함하고, 세장형 가요성 요소는:
    단부 폭을 구비하며 제1 표적 조직 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원위 단부;
    단부 폭을 구비하며 제2 표적 조직 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근위 단부;
    원위 단부를 근위 단부에 연결하는 본체 폭을 구비하는 본체 부분으로서, 본체 폭이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의 단부 폭보다 넓은, 본체 부분을 포함하고,
    내강이, 본체 폭 및 단부 폭을 수용하는 횡단면을 갖는, 조직 퇴축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횡단면의 제1 부분이 본체 폭과 실질적으로 정합되는, 조직 퇴축기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횡단면의 제2 부분이 단부 폭과 실질적으로 정합되는, 조직 퇴축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외부 외장은 슬롯을 구비하고, 그에 의해서 슬롯을 횡단면의 제2 부분과 정렬시키기 위해서 외부 외장 및 내부 관형 요소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서로에 대해서 활주시키는 것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단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앵커가 외부 외장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전개될 수 있게 하는, 조직 퇴축기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부분 횡단면이 내부 관형 요소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내부 관형 요소의 주변부에 대해서 개방되는, 조직 퇴축기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외장이, 단부 폭에 실질적으로 정합되는 그 길이를 따른 폭을 갖는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슬롯을 가지는, 조직 퇴축기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외장은 외부 외장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폭을 갖는 슬롯을 구비하며, 슬롯의 폭은 단부 폭과 실질적으로 정합되는, 조직 퇴축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슬롯이 근위 단부에서보다 원위 단부에서 더 넓은, 조직 퇴축기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횡단면이 실질적으로 T-형상이고, 횡단면의 제1 부분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본체 부분을 활주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횡단면의 제2 부분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활주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조직 퇴축기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횡단면이 실질적으로 C-형상이고, 횡단면의 제1 부분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본체 부분을 활주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횡단면의 제2 부분은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활주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조직 퇴축기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장형 가요성 요소에 근접하여 내강 내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 밀기 부재를 더 포함하고, 그에 의해서 밀기 부재의 원위 이동이 세장형 가요성 요소를 원위적으로 연장 및 병진운동시키는, 조직 퇴축기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의 각각이, 갈래부, 포크, 후크, 핑거, 미늘, 고리 및 클립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조직 앵커를 포함하는, 조직 퇴축기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횡단면의 제1 부분이 본체 부분을 구속하고, 제2 부분이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수용하는, 조직 퇴축기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관형 요소 및 외부 외장이 서로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조직 퇴축기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장형 가요성 요소의 본체 부분은, 반경방향 힘의 도입 시에 제1 구성으로부터 제2의 휘어진 구성으로 전이되도록 구성된 쌍안정 스프링인, 조직 퇴축기 시스템.
KR1020197031434A 2017-03-29 2018-03-28 조직 퇴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45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42392A KR102506627B1 (ko) 2017-03-29 2018-03-28 조직 퇴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78169P 2017-03-29 2017-03-29
US62/478,169 2017-03-29
PCT/US2018/024910 WO2018183547A2 (en) 2017-03-29 2018-03-28 Devices and methods for tissue retrac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2392A Division KR102506627B1 (ko) 2017-03-29 2018-03-28 조직 퇴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719A true KR20190133719A (ko) 2019-12-03
KR102345946B1 KR102345946B1 (ko) 2021-12-31

Family

ID=6202596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2392A KR102506627B1 (ko) 2017-03-29 2018-03-28 조직 퇴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237007315A KR20230035156A (ko) 2017-03-29 2018-03-28 조직 퇴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197031434A KR102345946B1 (ko) 2017-03-29 2018-03-28 조직 퇴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2392A KR102506627B1 (ko) 2017-03-29 2018-03-28 조직 퇴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237007315A KR20230035156A (ko) 2017-03-29 2018-03-28 조직 퇴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10694934B2 (ko)
EP (1) EP3554334A2 (ko)
JP (3) JP6841942B2 (ko)
KR (3) KR102506627B1 (ko)
CN (2) CN114305313A (ko)
AU (1) AU2018243953A1 (ko)
WO (1) WO201818354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2057A1 (en) * 2019-05-16 2020-11-1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issue traction bands
EP3986294A4 (en) * 2019-06-24 2023-06-21 Ooro Medical Lt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NON-CUTTING TISSUE DISSECTION AND TREATMENT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US20220265276A1 (en) * 2019-07-30 2022-08-25 Covidien Lp Systems and methods fo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P4069096A1 (en) * 2019-12-05 2022-10-1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issue tra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115666410A (zh) * 2020-05-29 2023-01-31 柯惠有限合伙公司 用于内窥镜粘膜下剥离术的系统
CN112451010B (zh) * 2020-11-30 2024-03-29 重庆德川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腔镜吻合器导引装置
JPWO2022124277A1 (ko) * 2020-12-07 2022-06-16
US20220202436A1 (en) * 2020-12-24 2022-06-30 Boston Scientific Limi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issue tra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0933B1 (en) * 1998-12-31 2003-03-11 Teresa T. Yeung Methods and devices for fastening bulging o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s
US20100057108A1 (en) * 2008-09-02 2010-03-04 Ethicon Endo-Surgery, Inc. Suturing device
WO2012047815A2 (en) * 2010-10-04 2012-04-12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Method and device for closure of intraluminal perforations

Family Cites Families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9803A (en) * 1993-04-13 1994-08-23 Ilya Mayzels Self-hinging disposable retractor instrument for endoscopic surgery
US5656012A (en) * 1994-10-06 1997-08-12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Surgical retractor
US5582577A (en) * 1995-02-13 1996-12-10 Vance Products Incorporated Surgical retractor including central elastic member
US5843084A (en) * 1995-11-17 1998-12-01 Innovasive Devices, Inc. Surgical fastenin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FR2767051B1 (fr) * 1997-08-07 1999-10-29 Jean Marie Hugueny Dispositif de pincement ameliore, notamment du type pince a biopsie
EP1513456B1 (en) * 2002-06-14 2006-10-11 Loma Linda University Medical Center Vascular wound closure device
CN1744859A (zh) * 2002-12-05 2006-03-08 Id有限公司 组织牵开器及其使用方法
JP4320207B2 (ja) * 2003-04-24 2009-08-26 Hoya株式会社 内視鏡用切除補助装置
GB0315479D0 (en) 2003-07-02 2003-08-06 Paz Adrian Virtual ports devices
US7524302B2 (en) * 2003-12-17 2009-04-28 Numed, Inc. Prenatal balloon catheter
CN101027012B (zh) * 2004-07-28 2011-01-19 伊西康公司 最小侵入的医学植入物和插入装置
US20060106288A1 (en) * 2004-11-17 2006-05-18 Roth Alex T Remote tissue retraction device
US8080021B2 (en) 2005-01-11 2011-12-2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ultiple clip deployment magazine
JP5016851B2 (ja) * 2006-06-02 2012-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472680B2 (ja) 2006-09-09 2010-06-02 太一 坂本 医療用把持具及び医療用クリップ
EP2073721B1 (en) 2006-10-03 2018-11-07 Virtual Ports Ltd. A clip device and system for assisting surgical procedures
JP5192771B2 (ja) 2006-11-28 2013-05-08 信行 櫻澤 粘膜牽引具
WO2010004546A1 (en) * 2008-06-16 2010-01-14 Valtech Cardio, Ltd. Annuloplasty devices and methods of delivery therefor
AU2008247318B2 (en) 2007-05-02 2012-12-13 Endogene Limited Apparatus for delivering shape memory alloy staples
US9545258B2 (en) * 2007-05-17 2017-01-1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issue aperture securing and sealing apparatus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GB0800835D0 (en) * 2008-01-17 2008-02-27 Cardioprec Ltd Retractor
JP2011522586A (ja) 2008-06-03 2011-08-04 バーチャル・ポーツ・リミテッド 低侵襲性処置を支援する多要素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0042844A2 (en) * 2008-10-10 2010-04-15 Surgiquest, Incorporated Internal retraction systems and devices
US8529598B2 (en) * 2009-02-20 2013-09-1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issue puncture closure device
WO2010121002A1 (en) * 2009-04-15 2010-10-21 Synthes Usa, Llc Vertebral implant system for a flexible interbody spacer
US20110112434A1 (en) * 2009-11-06 2011-05-12 Ethicon Endo-Surgery, Inc. Kits and procedures for natural orifice translumenal endoscopic surgery
JP3185329U (ja) 2010-07-05 2013-08-15 バーチャル ポーツ リミテッド 内部開創器
BR112013006650A2 (pt) * 2010-09-19 2017-07-18 Eon Surgical Ltd dispositivos de microlaparoscopia e posicionamentos destes
CN107126239A (zh) * 2010-09-24 2017-09-05 斯博特威尔丁股份有限公司 缝线锚钉和用于相对硬组织固定缝线的方法
US9949814B2 (en) * 2010-09-29 2018-04-2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ystems, tools, and methods for treatments of pelvic conditions
CA2824485A1 (en) * 2011-01-14 2012-07-19 Idev Technologies, Inc. Stent delivery system with pusher assembly
CN103476353A (zh) * 2011-02-02 2013-12-25 山姆·菲利乔托 外科系统及其方法
WO2012151415A1 (en) 2011-05-04 2012-11-0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hrough the scope tension member release clip
US20120296160A1 (en) * 2011-05-17 2012-11-2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Positioning Cage
EP2725986A4 (en) * 2011-06-28 2015-06-17 Novatract Surgical Inc GEWEBERETRAKTORANORDNUNG
US8852272B2 (en) * 2011-08-05 2014-10-07 Mitraltech Ltd. Techniques for percutaneous mitral valve replacement and sealing
US9192458B2 (en) * 2012-02-09 2015-11-24 Ams Research Corporation Implants, tools, and methods for treatments of pelvic conditions
GB2502767B (en) * 2012-03-21 2017-12-06 Knight Martin Cannula
US9918708B2 (en) * 2012-03-29 2018-03-20 Lapspace Medical Ltd. Tissue retractor
US9314245B2 (en) * 2012-06-08 2016-04-19 Depuy Mitek, Llc Surgical fasteners and methods and devices for deploying a surgical fastener
KR20150048706A (ko) * 2012-06-22 2015-05-07 매크로프라타, 아이엔씨. 최소 침습, 수술 위장 치료용 다내강 카테터 견인기 시스템
US9592036B2 (en) * 2012-08-08 2017-03-1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ulti-functional tissue manipulation medical device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10258480B1 (en) * 2012-10-20 2019-04-16 Carlos Andres Rodriguez Surgically implantable joint spacer
CN104000627B (zh) * 2013-02-26 2017-04-12 米特拉利根公司 组织锚及锚固系统
KR102268075B1 (ko) * 2013-03-15 2021-06-23 비버-비지텍 인터내셔날 (유에스) 인코포레이티드 홍채 확장기
US20140276667A1 (en) * 2013-03-15 2014-09-18 Transenterix Surgical, Inc. Telescoping medical instrumet
WO2014172503A1 (en) * 2013-04-16 2014-10-23 Mini-Lap Technologies, Inc. Minimally invasive surgical assembly and methods
CN110547865B (zh) * 2013-08-09 2022-10-04 波士顿科学国际有限公司 可扩张导管以及制造和使用的相关方法
JP6149779B2 (ja) 2014-03-31 2017-06-21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内視鏡用バネ付きクリップ
CN103876794B (zh) * 2014-04-08 2016-08-31 钱建民 抗弯型医用外科软组织扩张器
US10068173B2 (en) * 2014-05-22 2018-09-04 Invuity, Inc. Medical device featuring cladded waveguide
CN204293210U (zh) * 2014-07-11 2015-04-29 米特拉利根公司 组织锚固系统
US10357257B2 (en) * 2014-07-14 2019-07-23 KB Medical SA Anti-skid surgical instrument for use in preparing holes in bone tissue
WO2016152626A1 (ja) * 2015-03-23 2016-09-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用外科手術装置及び外套管
CN204971394U (zh) * 2015-09-25 2016-01-20 中国人民解放军南京军区南京总医院 一种脊柱手术用组织牵开器
CN108778150B (zh) 2016-01-21 2021-07-06 克利夫兰临床基金会 用于协助粘膜下剥离的系统和设备
WO2018064481A1 (en) * 2016-09-30 2018-04-0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issue retraction device
CN117338355A (zh) * 2017-03-20 2024-01-05 波士顿科学国际有限公司 组织牵开装置和输送系统
US10881831B2 (en) * 2017-07-19 2021-01-05 Hoya Corporation Endoscopic basket delivery catheter
US10512483B1 (en) * 2018-11-13 2019-12-24 T & J Enterprises, Llc Cervical tenaculum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0933B1 (en) * 1998-12-31 2003-03-11 Teresa T. Yeung Methods and devices for fastening bulging o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s
US20100057108A1 (en) * 2008-09-02 2010-03-04 Ethicon Endo-Surgery, Inc. Suturing device
WO2012047815A2 (en) * 2010-10-04 2012-04-12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Method and device for closure of intraluminal perfor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156A (ko) 2023-03-10
EP3554334A2 (en) 2019-10-23
US11534060B2 (en) 2022-12-27
KR20220000926A (ko) 2022-01-04
JP7134274B2 (ja) 2022-09-09
CN110461212B (zh) 2022-02-08
CN110461212A (zh) 2019-11-15
US20230087625A1 (en) 2023-03-23
US10694934B2 (en) 2020-06-30
JP2022169750A (ja) 2022-11-09
KR102345946B1 (ko) 2021-12-31
WO2018183547A2 (en) 2018-10-04
US20220104701A1 (en) 2022-04-07
US20180279869A1 (en) 2018-10-04
US20200229690A1 (en) 2020-07-23
JP6841942B2 (ja) 2021-03-10
AU2018243953A1 (en) 2019-07-18
WO2018183547A3 (en) 2018-11-15
JP2020506029A (ja) 2020-02-27
CN114305313A (zh) 2022-04-12
KR102506627B1 (ko) 2023-03-07
JP2021090804A (ja)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5946B1 (ko) 조직 퇴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EP2814431B1 (en) Endoscopic tools for the removal of balloon-like intragastric devices
JP2023058742A (ja) 医療デバイス
JP5173930B2 (ja) 手術装置
US20220338855A1 (en) Tissue retraction device
EP2283777A1 (en) Deployable jaws retraction device
EP2861159B1 (en) Endoscopic surgical apparatus
KR20230058497A (ko) 내강 병치 또는 상처 결함을 위한 그래플링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