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205A - 알파-v 베타-3-양성인 암 줄기 세포(csc)를 표적화하여 사멸시키고 약물 내성 암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알파-v 베타-3-양성인 암 줄기 세포(csc)를 표적화하여 사멸시키고 약물 내성 암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205A
KR20190133205A KR1020197031332A KR20197031332A KR20190133205A KR 20190133205 A KR20190133205 A KR 20190133205A KR 1020197031332 A KR1020197031332 A KR 1020197031332A KR 20197031332 A KR20197031332 A KR 20197031332A KR 20190133205 A KR20190133205 A KR 20190133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αvβ3
antibody
polypeptide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0070B1 (ko
Inventor
데이비드 체러쉬
히로미 웨터스텐
Original Assignee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filed Critical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Publication of KR20190133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8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tumor tissues, cells, anti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39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ntegrin superfamily
    • C07K16/284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ntegrin superfamily against integrin beta3-subunit-containing molecules, e.g. CD41, CD51, CD6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7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quinazoline, perim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46Integrin superfamily
    • C07K14/70557Integrin beta3-subunit-containing molecules, e.g. CD41, CD51, CD6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1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from primates, e.g. ma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3Inducing cell death, e.g. apoptosis, necrosis or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3Inducing cell death, e.g. apoptosis, necrosis or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 C07K2317/732Antibody-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 [ADC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6Antagonist effect on antigen, e.g. neutralization or inhibition of bin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ell Biolog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n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암 줄기 세포(CSC) 내에서 세포 표면-발현된 알파-V 베타-3 폴리펩타이드를 표적화함으로써 CSC를 사멸시켜, 이들의 세포 표면에서 알파-V 베타-3 폴리펩타이드를 발현하는, 암 또는 종양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CSC)에 의해 유발되거나 개시된 암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이 제공된다. 알파-V 베타-3 양성 암 줄기 세포(CSC)를 표적화하고, 이를 사멸하여 약물 내성 암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이 제공된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본원에 제공된 바와 같은 조성물 및 방법은 대식구에 의한 암 세포의 항체-의존성 세포-매개된 세포독성(ADCC) 사멸을 매개할 수 있는 Fc 부위를 또한 포함하는 사람 알파-V 베타-3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를 사용하는데, 예를 들면, 사람 대식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가공된 Fc 부위를 포함하도록 변형된 알파-V 베타-3에 대한 사람화된 항체를 사용한다.

Description

알파-V 베타-3-양성인 암 줄기 세포(CSC)를 표적화하여 사멸시키고 약물 내성 암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관련 출원
본 특허 협력 조약(Patent Convention Treaty: PCT) 국제 출원은 2017년 3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원 제62/479,768호의 이익을 청구한다. 앞서 언급한 출원은 이의 전문을 참고로 및 모든 목적을 위해 본원에 명확하게 포함된다.
정부 권리
본 출원은 국립 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에 의해 수여된 교부 번호 T32 OD017853; T32 HL086344; T32 HL098062-03; R-857GC; NCI R01CA045726 하의 정부 지원으로 이루어졌다. 정부는 본 발명에서 특정 권리를 갖는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면역학 및 종양학에 관한 것이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암 줄기 세포(CSC)내에서 세포 표면-발현된 αvβ3(avb3) 폴리펩타이드를 표적화하여 CSC를 사멸시킴으로써, 이들의 세포 표면에 αvβ3 폴리펩타이드를 발현하는, 암 또는 종양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CSC)에 의해 유발 또는 개시되거나 유지된 암의 발달을 치료하거나 완화시키거나 지연시킴으로써 암을 치료하거나 완화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이 제공된다.
종양 관련 대식구는 암 성장 및 공격성(aggressiveness)의 조절에 관여한다. 반면에, M1 대식구는 염증 반응을 개시하여 종양 성장을 억제하고, M2 대식구는 전-종양 사이토킨을 미세환경내로 분비하여 종양 진행을 뒷받침한다. M1으로부터 M2로의 대식구 스위치(switch)는 폐암 진행과 관련되어 있으며, 암 줄기 세포는 이러한 재프로그래밍(reprogramming)의 유도인자로서 연루되어 있다.
요약
대안적 구현예에서:
-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individual)에서 αvβ3(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CSC)를 사멸시키거나 이의 수를 감소시키고,
-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αvβ3(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또는 종양의 발달을 치료하거나, 완화시키거나 또는 역전시키거나 지연시키며,
- 이들의 세포 표면에 αvβ3 폴리펩타이드를 발현하는, 암 또는 종양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CSC)에 의해 유발되거나 개시되거나 또는 유지된 암의 발달을 완화시키거나 지연시키고,
- 염증 반응을 트리거링(triggering)할 수 있고 생체내(in vivo)에서 종양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대식구 집단을 증가시키는 단계로서, 여기서 임의로, 염증 반응을 트리거할 수 있고 종양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대식구 집단은 종양 관련 대식구(TAM) 또는 M1 대식구 집단을 포함하며,
- 치료요법, 임의로 화학치료요법, 임의로 성장 인자 억제제를 사용하는 치료요법의 효과에 대해 αvβ3(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또는 종양의 민감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러한 방법은:
(a)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암 또는 종양 세포 상에서, 또는 CSC 상에서 발현된 αvβ3(avb3) 인테그린 폴리펩타이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를 투여하는 단계, 또는
(b) (i) 암 또는 종양 세포 상에서, 또는 CSC 상에서 발현된 αvβ3(avb3) 인테그린 폴리펩타이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를 제공하고,
여기서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는, 대식구를 결합시키고, 항체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세포의 항체-의존성 세포-매개된 세포독성(ADCC) 사멸을 개시할 수 있는 Fc 도메인 또는 등가의 도메인 또는 모이어티(moiety)를 가지며,
(ii)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를 투여함으로써: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αvβ3(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CSC)를 사멸시키거나 이의 수를 감소시키고,
-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αvβ3 (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또는 종양의 발달을 치료하거나, 완화시키거나 또는 역전시키거나 지연시키며,
- 이들의 세포 표면에서 αvβ3 폴리펩타이드를 발현하는, 암 또는 종양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CSC)에 의해 유발되거나 개시되거나 또는 유지된 암의 발달을 완화시키거나 지연시키고,
- 생체내에서 염증 반응을 트리거링(triggering)하고 종양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대식구 집단을 증가시키며, 여기서 임의로, 염증 반응을 트리거링하고 종양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대식구 집단은 종양 관련 대식구(TAM) 또는 M1 대식구 집단을 포함하고,
- 치료요법의 효과에 대해 αvβ3 (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또는 종양의 민감성을 향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는 사람화된 항체, 임의로 사람화된 쥐 항체이거나; 여기서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는 재조합 또는 가공된 항체이거나; 여기서 항체는 사람 항체이거나; 여기서 항체는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폴리클로날 항체이거나; 여기서 항체는 모노클로날 항체 LM609(Chemicon Int., 캘리포니아주 테메쿨라 소재)(CVCL_KS89)(ATCC 수탁 번호 HB 9537를 갖는 쥐 하이브리도마)(참고: 예컨대, 미국 특허 제7,115,261호); 클론 23C6으로부터 유래된 모노클로날 항체 CBL544(MilliporeSigma, 매사츄세츠주 부를링톤 소재); 모노클로날 항체 ab7166(abcam, 매사츄세츠주 캠브릿지 소재); 또는, 모노클로날 항체 ab78289(abcam, 매사츄세츠주 캠브릿지 소재); 또는, 또는 이의 임의의 사람화된 버젼, 또는 LM609, CBL544, ab7166 또는 ab78289의 αvβ3-결합 CDR을 포함하는 임의의 폴리펩타이드이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대식구는 사람 대식구, 또는 종양 관련된 대식구(TAM), M1 대식구, 또는 종양-억제 M2 대식구이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암은 상피 암 또는 상피 종양 세포이거나; 여기서 암은 약물 내성 암이고, 임의로 약물은 성장 인자 억제제 또는 키나제 억제제이고, 여기서 임의로 성장 인자 억제제는 수용체 타이로신 키나제(RTK) 억제제, 임의로 에를로티닙이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는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정맥내, 근육내 또는 피하로 투여되거나: 여기서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는 멸균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형으로서 제형화되거나, 정맥내, 근육내 또는 피하 투여용으로 제형화되거나; 여기서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의 투여량이 고정된 또는 체중 기반 용량, 또는 매달 약 100 내지 1200 mg의 투여량의 고정된 용량을 기반으로 하거나, 또는 약 0.3 내지 10 mg/kg의 투여량이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성장 인자 억제제의 투여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임의로 성장 인자 억제제는 수용체 타이로신 키나제(RTK) 억제제, Src 억제제, 항-대사산물 억제제, 겜시타빈, GEMZARTM, 유사분열 저해물질(mitotic poison), 파클리탁셀, 탁솔, ABRAXANETM, 에를로티닙, TARCEVATM, 라파티닙, TYKERBTM, 세툭사밉, ERBITUXTM, 또는 인슐린 성장 인자 억제제를 포함한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암 또는 종양 세포 상에서, 또는 CSC 상에서 발현된 αvβ3(avb3) 인테그린 폴리펩타이드에 특이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 또는, 암 또는 종양 세포 상에서, 또는 CSC 상에 발현된 αvβ3 (avb3) 인테그린 폴리펩타이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의 용도가 제공되며, 여기서 항체는:
-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αvβ3(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CSC)를 사멸시키거나 이의 수를 감소시키고,
-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αvβ3(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또는 종양의 발달을 치료하거나, 완화시키거나 역전시키거나 감소시키며,
- 이들의 세포 표면에서 αvβ3 폴리펩타이드를 발현하는, 암 또는 종양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CSC)에 의해 유발되거나 개시되거나 또는 유지된 암의 발달을 완화시키거나 지연시키고,
- 생체내에서 염증 반응을 트리거링하고 종양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대식구 집단을 증가시키며, 여기서 임의로 염증 반응을 트리거링하고 종양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대식구 집단은 종양 관련된 대식구(TAM) 또는 M1 대식구 집단을 포함하며,
- 치료요법의 효과에 대한 αvβ3(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또는 종양의 민감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의약의 제조시, 대식구를 결합시킬 수 있고 항체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세포의 항체-의존성 세포-매개된 세포독성(ADCC) 사멸을 개시할 수 있는 Fc 도메인 또는 등가의 도메인 또는 모이어티를 갖는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αvβ3(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CSC)를 사멸시키거나 이의 수를 감소시키고,
-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αvβ3(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또는 종양의 발달을 치료하거나, 완화시키거나 역전시키거나 감소시키며,
- 이들의 세포 표면에서 αvβ3 폴리펩타이드를 발현하는, 암 또는 종양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CSC)에 의해 유발되거나 개시되거나 또는 유지된 암의 발달을 완화시키거나 지연시키고,
- 생체내에서 염증 반응을 트리거링하고 종양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대식구 집단을 증가시키며, 여기서 임의로 염증 반응을 트리거링하고 종양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대식구 집단은 종양 관련된 대식구(TAM) 또는 M1 대식구 집단을 포함하며,
- 치료요법의 효과에 대한 αvβ3(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또는 종양의 민감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형이 제공되며,
여기서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형은:
암 또는 종양 세포 상에, 또는 CSC 상에 발현된 αvβ3(avb3) 인테그린 폴리펩타이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 또는, 암 또는 종양 세포 상에서, 또는 CSC 상에서 발현된 αvβ3(avb3) 인테그린 폴리펩타이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는 대식구를 결합시켜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세포의 항체-의존성 세포-매개된 세포독성(ADCC) 사멸을 개시할 수 있는 Fc 도메인 또는 등가의 도메인 또는 모이어티를 갖는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예의 세부사항은 첨부된 도면 및 하기 설명에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목적 및 이점은 이러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원에 인용된 모든 공보, 특허, 특허원은 모든 목적을 위해 참고로 표현하여 본원에 포함된다.
본원에 제시된 도면은 본원에 제공된 바와 같은 구현예를 나타내며 청구범위에 포함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역을 한정함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 1a 내지 1i는 EGFR 억제제에 대한 폐암 내성을 포함하는 획득된 내성의 경로의 평가를 개략적으로 및 그래프적으로 나타내며, 이는 αvβ3의 상향조절 및 약물 내성 줄기-유사 운명(drug resistant stem-like fate)의 획득을 초래한다:
하기 실시예 1에서 추가로 상세히 논의된 바와 같이,
도 1a는: 에를로티닙 내성 이종이식체 모델의 개략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데, 즉, αvβ3-음성 EGFR-돌연변이체 사람 비-소 세포 폐암(HCC827) 피하 이종이식체를 지닌 마우스를 비히클 또는 에를로티닙으로 처리하고, 시간에 걸쳐 종양 성장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도 1b는: 대조군("Veh", 또는 비히클)과 비교한 것으로서, 치료된 날짜의 함수로서 종양 용적을 나타내는, 종양이 궁극적으로 개시하여 수주 후 재-성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그래프적으로 나타내며, HCC827(β3-) 이종이식체 마우스는 대조군 또는 에를로티닙으로 처리되었고;
도 1c는: β3에 대해 염색된 종양 조직의 영상을 나타내며;
도 1d는: 유동 세포분석법 연구로부터의 데이타를 그래프적으로 나타내고 여기서 에를로티닙 내성 조직으로부터 단리된 세포는 αvβ3 및 ALDH1A1에 대해 염색되었고;
도 1e는: 유동 세포분석법으로부터의 데이타를 그래프적으로 나타내며, 여기서 비히클 처리된 마우스(veh) 및 에를로티닙 처리된 마우스(ErlR)로부터 단리된 종양 세포는 αvβ3에 대해 염색되었으며;
도 1f는: 세포를 에를로티닙 또는 오시메르티닙으로 72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 생존능을 그래프적으로 나타내고;
도 1g는: 에를로티닙이 CTC를 증가시키지만 원발성 종양은 여전히 치료에 대해 반응중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그래프적으로 나타내며; 여기서 HCC827(β3-, GFP+, 루시퍼라제+) 세포의 폐 주사 8주 후, 마우스는 CTC 단리 전에 30일 동안 에를로티닙으로 처리하였고, CTC는 αvβ3에 대해 염색하였다. 그리고, 치료 전(치료-전, n=3) 및 치료 후(치료-후, n=5) 마우스로부터 αvβ3-양성(β3+) 및 -음성(β3-) CTC를 계수하였으며;
도 1h는: 도 1g의 일차 질량(primary mass)의 영상을 나타내고;
도 1i는: M2-TAM이 에를로티닙 내성 이종이식체 조직에서 증가된 방법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그래프적으로 나타내며; 종양 조직내에서 M1(암회색), 및 M2-TAM(담회색)의 퍼센트를 치료 50일 후 비히클(n=9)과 에를로티닙(n=9) 치료 사이에서 비교하였다.
도 2a 내지 2e는 LM609가 덜 공격적인 표현형을 생산하였음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개략적으로 및 그래프적으로 나타내며:
하기 실시예 1에 추가로 상세히 논의된 바와 같이,
도 2a는 LM609가 에를로티닙 내성의 획득을 억제하였음을 그래프적으로 나타내며, 여기서 HCC827(β3-) 이종이식체 마우스는 에를로티닙 또는 에를로티닙 및 LM609로 치료되었고;
도 2b 상부 및 하부 패널은 LM609가 β3-양성 세포를 제거하였음을 나타내는 데이타 및 염색된 조직 영상을 그래프적으로 및 영상으로 나타내며; 여기서 HCC827(β3-) 이종이식체 마우스를 캅티솔 및 PBS, 캅티솔 및 LM609, 에를로티닙 및 PBS, 또는 에를로티닙 및 LM609로 50일 동안 치료하였으며, 종양 조직을 인테그린 β3에 대해(하부 패널) 염색하였으며, 조직내 β3-양성 부위를 정량화하였고(상부 패널);
도 2c 내지 2e는 LM609가 에를로티닙에 의해 유도된 CTC의 수를 감소시켰음을 개략적으로 및 그래프적으로 나타내며: HCC827(β3-, GFP+, 루시퍼라제+) 세포의 우측 폐 주사 8주 후, 마우스를 에를로티닙 또는 에를로티닙과 LM609의 조합물(에를로티닙+LM609)을 CTC를 단리하기 4주 전 동안 치료하고, 종양 용적을 처리 전 및 에를로티닙(후-에를로티닙, n=4) 또는 에를로티닙과 LM609(후-Erl+LM609, n=5)의 조합물로 치료한 후 생물발광성으로 측정하고(도 2d) 정량화하였고(도 2c, 상부 패널); CTC를 αvβ3에 대해 염색하여 αvβ3-양성(β3+) 및 -음성(β3-) CTC(도 2c, 하부 패널)를 정량화하였으며; αvβ3-양성 CTC의 예가 나타나 있다(도 2e).
하기 실시예 1에 추가로 상세히 논의한 바와 같이,
도 3a 내지 3e는 LM609가 대식구-매개된 ADCC를 통해 αvβ3-양성 세포를 제거하였음을 그래프적으로 나타내고:
도 3a 내지 3c: LM609가 시험관(in vitro)내에서 대식구-매개된 ADCC를 통해 αvβ3-양성 세포를 제거하였고; 골수 유래된 대식구(BMDM) 또는 NK 세포를 사용한 ADCC 검정은 IgG 동형 또는 LM609 10 μg/mL 및/또는 Fc 차단제로 처리된 αvβ3 인테그린의 존재 및 부재하에 암 세포로 수행하였고;
도 3d 내지 3e: LM609는 대식구를 가진 마우스에서만 αvβ3-양성 종양 성장을 제거하였다. 누드 마우스(nude mouse)에게 β3를 이소성으로 발현하는(ectopically expressing) HCC827 세포를 피하 주사하고 대조군 리포좀 및 PBS(도 3d 좌측 패널, 대조군), 대조군 리포좀 및 LM609(도 3d 좌측 패널, LM609), 클로드로네이트 리포좀 및 PBS(도 3d 우측 패널, 대조군), 또는 클로드로네이트 리포좀 및 LM609(도 3d 우측 패널, LM609)으로 처리하고, 종양 성장을 15일 동안 모니터링하고, 처리 후, 종양 조직내에서 F4/80 염색을 정량화하였다(도 3e).
하기 실시예 1에서 추가로 상세히 논의된 바와 같이,
도 4a 내지 4c는 에를로티닙 내성 종양 세포가 αvβ3 인테그린을 획득하고 오시메르티닙에 대해 내성이었음을 그래프적으로 나타내고:
도 4a는 에를로티닙 치료된 종양이 내성을 획득하였음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그래프적으로 나타내며, 여기서 PC9(β3-) 피하 이종이식체 마우스를 비히클(Veh)(n=1) 또는 에를로티닙(ErlR, n=1)으로 처리하였으며;
도 4b는 에를로티닙 내성 조직으로부터의 세포가 αvβ3-양성이었지만 비히클 처리된 동물로부터의 세포는 그렇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그래프적으로 나타내며; 비히클 치료된 (Veh, 좌측 패널) 및 에를로티닙 처리된(ErlR, 우측 패널) 동물로부터 단리된 세포에서 αvβ3의 수준을 유동 세포분석법으로 측정하였고;
도 4c는 에를로티닙 내성 세포가 오시메르티닙 내성이었음을 나타낸다. 비히클 처리된(Veh) 및 에를로티닙 처리된(ErlR) 동물로부터의 세포를 나타낸 용량에서 에를로티닙(좌측 패널) 또는 오시메르티닙(우측 패널)로 처리하고 MTT 검정을 수행하여 세포 생존능을 측정하였다.
도 5a 내지 5b는 LM609가 αvβ3 인테그린의 리간드 결합을 억제하지만 세포 생존능을 억제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그래프적으로 나타내며:
도 5a는 LM609가 인테그린 αvβ3의 리간드 결합을 억제하였음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그래프적으로 나타내고, 여기서 M21 세포(αvβ3+)는 나타낸 용량의 LM609가 들어있는 콜라겐 또는 비트로넥틴(αvβ3 리간드) 상에서 플레이팅(plating)하고, 부착 세포 수를 측정하였으며;
도 5b는 LM609가 세포 생존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그래프적으로 나타내고, 쌍을 이룬 αvβ3-양성(β3+) 및 -음성(β3-) 세포는 나타낸 용량의 LM609로 처리하고 MTT 검정을 수행하여 세포 생존능을 측정하였다.
도 6은 암 치료요법이 상피 암 세포내에서 β3 인테그린을 농축시킴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그래프적으로 나타내며: qPCR을 수행하여 증가하는 용량의 과산화수소(H2O2)에 대해 72시간 동안 반응시 인테그린 α 및 β 소단위의 mRNA 발현을 검출하고, 비히클 대조군에 대한 배(fold)로 나타내었다.
다양한 도면에서 유사한 참고 기호는 유사 성분을 나타낸다.
이제 참고가 다양한 예시적인 구현예에 대해 상세히 이루어질 것이며, 이의 예는 첨부된 도면에 나타나 있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판독자가 본원에 제공된 바와 같은 양태 및 구현예의 특정의 세부사항의 보다 우수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공되며, 본 발명의 영역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상세한 설명
대안적 구현예에서, 암 줄기 세포(CSC)내에서 세포 표면-발현된 αvβ3(avb3) 폴리펩타이드를 표적함으로써 CSC를 사멸시키고, 따라서 이들의 세포 표면에서 αvβ3 폴리펩타이드를 발현하는, 암 또는 종양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CSC)에 의해 유발되거나 개시되거나 또는 유지된 암의 발달을 치료하거나, 완화시키거나 지연시킴으로써 암을 치료하거나 완화시키는 조성물 및 방법이 제공된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αvβ3-양성 암 줄기 세포(CSC)를 표적화하고 사멸시키며 약물 내성 암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이 제공된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본원에 제공된 바와 같은 조성물 및 방법은 대식구에 의해 암 또는 종양 세포를 사멸시키는 항체-의존성 세포-매개된 세포독성(ADCC) 사멸을 매개할 수 있는 Fc 부위를 또한 포함하는 사람 αvβ3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를 사용하는데; 예를 들면, 사람 대식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가공된 Fc 부위를 포함하도록 변형된 αvβ3에 대한 사람화된 항체를 사용한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항-avb3 항체의 투여는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이는 또한 αvβ3에 결합한다)에 결합하는 종양 관련된 대식구를 보충함으로써 다수의 매우 공격성인 αvβ3-양성 약물 내성 암을 근절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대식구는 ADCC에 의해 암을 사멸시킬 수 있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항체, 예컨대, 사람화된 항체, 예를 들면, 항 αvβ3 항체 LM609를 사용하여 생체내에서 αvβ3 폴리펩타이드를 표적화함으로써 αvβ3-양성 암 세포, 예컨대, CSC를 결합시키고, 대식구에 또한 결합시킴으로써, ADCC에 의해 αvβ3 폴리펩타이드를 발현하는 CSC를 사멸시킨다.
본 발명이 임의의 특수한 작용 메카니즘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지만, 대안적 구현예에서 항-αvβ3 항체, 예를 들어 LM609(Chemicon Int., 캘리포니아주 테메쿨라 소재); 클론 23C6으로부터 유래된 CBL544(MilliporeSigma, 매사츄세츠주 부를링톤 소재); ab7166(abcam, 매사츄세츠주 캠브릿지 소재); 및, 모노클로날 항체 ab78289(abcam, 매사츄세츠주 캠브릿지 소재), 및 이의 사람화된 버젼을 사용하여 대식구 매개된 항체 의존성 세포 매개된 세포독성(ADCC)을 통해 약물 내성 암 세포를 표적화함으로써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암 약물 민감성을 연장시킨다.
본원에 제공된 바와 같은 조성물 및 방법을 사용하여 암 줄기 세포(CSC)를 표적화하고 이를 사멸시킬 수 있으며, 이는 종양 집단내에서 가장 공격성이고 약물 내성인 세포를 나타낼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된 조성물 및 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상피 암내에서 CSC 집단을 확인하며 둘 다 약물 내성을 증진시키는데 필수적이고 충분한 폴리펩타이드인 인테그린 αvβ3을 표적화시킨다.
항-αvβ3 인테그린 항체, LM609은 EGFR 돌연변이체 폐 선암종 이종이식체 모델에서 에를로티닙에 대한 민감성을 연장시켰다. EGFR 억제제, 에를로티닙을 사용하여 폐 종양을 지닌 마우스의 치료가 초기에는 종양 성장을 억제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종양 관련된 αvβ3 발현을 야기하여, 순환하는 종양 세포(CTC)에 있어서의 증가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종양 진행을 야기함을 나타내는 연구가 본원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에를로티닙 처리된 마우스는 치료되지 않은 종양과 비교하여 종양-관련된 대식구(TAM)의 현저한 축적을 나타내었다. αvβ3에 대해 지시된 모노클로날 항체인, LM609의 전신계 전달은 원발성 종양내에서 약물 내성 CSC를 파괴하여 CTC를 제거한다. 이러한 항-종양 효과는 대식구가 고갈된 마우스가 이러한 항체에 반응할 수 없으므로 대식구 의존성이다. 시험관내에서, LM609는 대식구와 함께 그러나 NK 세포를 제외하고 항체 의존성 세포 세포독성(ADCC)으로 인하여 CSC를 파괴한다. 이러한 발견은 에를로티닙이, 종양 성장을 초기에 제어하지만, 궁극적으로 증가된 줄기성(stemness), 약물 내성, 종양 진행 및 TAM의 축적을 야기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αvβ3을 표적화함으로써 LM609가 TAM이 원발성 종양내에서 대부분의 약물 내성인 세포를 파괴함으로써 종양 진행을 제어할 수 있다는 증거가 제공된다.
본 발명자들은 최근에 인테그린 αvβ3 발현이 약물 내성 동안 폐 선암종 세포에서 유도되고 이러한 종양이 줄기-유사 상태로 재프로그램화되기에 필수적이고 충분함을 보고하였다. 암 줄기 세포가 M1으로부터 M2로의 대식구를 스위칭하는데 기여한다는 역활을 고려하여(M1으로부터 M2로의 대식구 스위치는 폐암 진행과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폐 선암종 세포에서 αvβ3 발현이 이러한 대식구 전환의 이유가 되는지의 여부를 질의하였다. αvβ3-양성 종양에서 M1/M2 대식구 비는 αvβ3를 결여하는 종양에 대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다음에 αvβ3-양성 종양을 지닌 마우스를 이러한 수용체를 표적화하는 모노클로날 항체(LM609)로 처리함으로써 이러한 종양내에서 대식구 표현형을 변경시키는 이의 능력을 평가하였다. LM609는 항체-의존성 세포-매개된 세포독성(ADCC)을 통해 αvβ3-양성 암 줄기 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치료요법의 효과에 대한 이러한 종양의 민감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발견은 αvβ3-발현 암 줄기 세포가 전-종양 M2 종양-관련된 대식구(TAM)를 농축시킴을 나타내었다. ADCC를 통한 αvβ3-양성 암 줄기 세포를 제거하여 치료요법에 대한 종양 민감성을 연장시킨다.
약제학적 조성물 및 제형
대안적 구현예에서, 예컨대, 항-αvβ3(avb3) 항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제형, 및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αvβ3(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CSC)를 사멸시키거나 이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αvβ3(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또는 종양의 발달을 치료, 완화, 역전 또는 지연시키고, 이들의 세포 표면에서 αvβ3 폴리펩타이드를 발현하는, 암 또는 종양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CSC)에 의해 유발되거나 개시되거나 또는 유지된 암의 발달을 완화 또는 지연시키거나, 생체내에서 TAM을 조작하거나, 치료요법의 효과에 대한 αvβ3(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또는 종양의 민감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본원에 제공된 조성물, 및 본원에 제공된 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된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제형화된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된 약제학적 조성물은 비경구적으로, 국소적으로, 경구적으로 또는 국소 투여, 예를 들면, 에어로졸 또는 경피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임의의 방법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상태 또는 질환 및 질병의 정도, 및 각각의 환자의 일반적인 의학 상태, 생성되는 바람직한 투여 방법 등에 따라서 다양한 단위 투여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제형 및 투여를 위한 기술에 있어서의 세부사항은 과학 및 특허 문헌에 잘 기술되어 있다. 예컨대,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ack Publishing Co, Easton PA ("Remington's")의 최신판을 참고한다.
예컨대, 항-αvβ3(avb3) 항체를 포함하는 본원에 제공된 바와 같은 치료제, 및 본원에 제공된 바와 같은 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된 항체는 단독으로 또는 약제학적 제형(조성물)의 성분으로서, 또는 다른 활성제, 예컨대, 성장 인자 억제제와 동시에, 전에 및/또는 후에 투여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임의로 성장 인자 억제제는 수용체 타이로신 키나제(RTK) 억제제, Src 억제제, 항-대사산물 억제제, 겜시타빈, GEMZARTM, 유사분열 저해물질, 파클리탁셀, 탁솔, ABRAXANETM, 에를로티닙, TARCEVATM, 라파티닙, TYKERBTM, 세툭사밉, ERBITUXTM, 또는 인슐린 성장 인자 억제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항-αvβ3(avb3) 항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제형은 사람 또는 수의학 의약에서 사용하기 위한 편리한 방식으로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습윤제, 유화제 및 윤활제, 예를 들면, 라우릴 설페이트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뿐만 아니라 착색제, 이형제, 코팅제, 감미제, 풍미 및 향미제, 방부제 및 항산화제가 또한 조성물 속에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되고 본원에 제공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된 바와 같은 조성물의 제형은 경구/비강, 국소, 비경구, 직장, 및/또는 질내 투여용으로 적합한 것을 포함한다. 제형은 편리하게는 단위 투여형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제약 분야에 잘 공지된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단일 투여형을 생산하기 위해 담체 물질과 조합될 수 있는 활성 성분의 양은 치료되는 숙주, 특수한 투여 방식에 따라 변할 것이다. 담체 물질과 조합하여 단일 투여형을 생산할 수 있는 활성 성분의 양은 일반적으로 치료 효과를 생산하는 화합물의 양일 것이다.
본원에 제공되고 본원에 제공된 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된 바와 같은 약제학적 제형은 약제의 제조를 위해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약물은 감미제, 풍미제, 착색제 및 방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제형은 제조에 적합한 비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혼합될 수 있다. 제형은 하나 이상의 희석제, 유화제, 방부제, 완충제, 부형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제, 산제, 유제, 동결건조된 산제, 스프레이제, 크림제, 로션제, 조절된 방출 제형, 정제, 환제, 겔제, 패치제, 임플란트(implant)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의 약제학적 제형은 적절하고 적합한 투여량으로 당해 분야에 잘 공지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약제가 환자가 섭취하기에 적합한 정제, 겔탭제(geltab), 환제, 산제, 당의정제, 캅셀제, 액제, 로젠지제(lozenge), 겔제, 시럽제, 슬러지제, 현탁제 등으로서의 단위 투여형으로 제형화되도록 할 수 있다. 경구 용도를 위한 약제학적 제제는 고체 부형제로서, 임의로 수득되는 혼합물을 분쇄하고, 경우에 따라, 적합한 추가의 화합물을 가한 후, 과립의 혼합물을 가공하여 정제 또는 당의정 코어를 수득할 수 있다. 적합한 고체 부형제는 탄수화물이거나 단백질 충전제는 예컨대, 당, 예를 들면, 락토즈, 슈크로즈,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 옥수수, 밀, 벼, 감자, 또는 다른 식물로부터의 전분; 셀룰로즈, 예를 들면, 메틸 셀룰로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또는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 아라빅 및 트라가칸트를 포함하는 검; 및 단백질, 예컨대, 젤라틴 및 콜라겐을 포함한다. 붕해제 또는 가용화제, 예를 들면, 가교-결합된 폴리비닐 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이의 염, 예를 들면, 알긴산나트륨을 가할 수 있다.
당의정 코어는 농축된 당 용액과 같은 적합한 코팅과 함께 제공되며, 이는 또한 검 아라빅(gum arabic), 활석,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보폴 겔,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이산화티탄, 래커 용액, 및 적합한 유기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염료 또는 안료는 제품 확인을 위해 또는 활성 화합물의 양(즉, 투여량)을 특성화시키기 위해 정제 또는 당의정 코팅에 가해질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되고 본원에 제공된 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된 바와 같은 약제학적 제제는 또한 예컨대, 젤라틴으로 제조된 푸쉬-핏 캅셀제(push-fit capsule) 뿐만 아니라 젤라틴 및 글리세롤 또는 소르비톨과 같은 코팅으로 제조된 밀봉된 연질 캅셀제를 사용하여 경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푸쉬-핏 캅셀제는 충전제 또는 결합제, 예를 들면, 락토즈 또는 전분, 윤활제, 예를 들면, 활석 또는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 임의로, 안정화제와 함께 혼합된 활성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연질 캅셀제에서, 활성제는 안정화제의 존재 또는 부재하의 적합한 액체, 예를 들면, 지방 오일, 액체 파라핀, 또는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속에 용해되거나 현탁될 수 있다.
수성 현탁제는 수성 현탁제의 제조에 적합한 부형제와의 혼합물에서 활성제(예컨대, 항-αvβ3(avb3)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형제는 현탁화제, 예를 들면, 나트륨카복시메틸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알기네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검 트라가칸트 및 검 아카시아, 및 분산제 또는 습윤제, 예를 들면,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포스파타이드(예컨대, 레시틴), 알킬렌 옥사이드와 지방산의 축합 생성물(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에틸렌 옥사이드와 장쇄 지방족 알코올의 축합 생성물(예컨대, 헵타데카에틸렌 옥시세타놀), 에틸렌 옥사이드와 지방산 및 헥시톨의 축합 생성물(예컨대, 폴리에틸렌 소르비톨 모노-올레에이트),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와 지방산 및 헥시톨 무수물로부터 유래된 부분 에스테르의 축합 생성물(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을 포함한다. 수성 현탁액은 또한 하나 이상의 방부제, 예를 들면, 에틸 또는 n-프로필 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하나 이상의 착색제, 하나 이상의 풍미제 및 하나 이상의 감미제, 예를 들면, 슈크로즈, 아스파르탐 또는 사카린을 함유할 수 있다. 제형은 삼투압을 위해 조절할 수 있다.
오일-기반 약제는 특히 본원에 제공된 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된 소수성 활성제(예컨대, 항-αvβ3(avb3)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를 투여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오일-기반 현탁제는 활성제를 식물성 오일, 예를 들면, 아라키스 오일, 올리브 오일, 참깨 오일 또는 코코넛 오일, 또는 광 오일, 예를 들면, 액체 파라핀; 또는 이의 혼합물 속에 현탁시킴으로써 제형화할 수 있다. 예컨대, 경구 투여된 소수성 약제학적 화합물의 생체이용률(bioavailability)을 증가시키고 개체간 및 개체내 다양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에쎈셜 오일(essential oil) 또는 에쎈셜 오일 성분을 사용하는 것을 기술하고 있는 미국 특허 제5,716,928호를 참고한다(참고: 또한 미국 특허 제5,858,401호). 오일 현탁제는 증점제, 예컨대, 밀랍, 경질 파라핀 또는 세틸 알코올을 함유할 수 있다. 감미제를 가하여 맛있는 경구 제제, 예를 들면, 글리세롤, 소르비톨 또는 슈크로즈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은 항산화제, 예를 들면, 아스코르브산을 가함으로써 보존할 수 있다. 주사가능한 오일 비히클의 예로서, Minto (1997) J. Pharmacol. Exp. Ther. 281:93-102를 참고한다. 본원에 제공된 약제학적 제형은 또한 수중 오일(oil-in-water) 유제의 형태이다. 오일 상은 상술한 식물성 오일 또는 광 오일,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적합한 유화제는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검, 예를 들면, 검 아카시아 및 검 트라가칸트,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포스파타이드, 예를 들면, 대두 레시틴, 지방산과 헥시톨 무수물로부터 유래된 에스테르 또는 부분 에스테르, 예를 들면,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및 이러한 부분 에스테르와 에틸렌 옥사이드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를 포함한다. 유제는 또한 시럽제 및 엘릭서르제의 제형에서와 같이 감미제 및 풍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은 또한 완화제(demulcent), 방부제, 또는 착색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된 구현예를 실시하는데 있어서, 약제학적 화합물은 또한 비강내, 안구내 및 질내 경로, 예를 들면, 좌제, 흡입제, 산제 및 에어로졸 제형(예를 들면, 스테로이드 흡입제, 참고: Rohatagi (1995) J. Clin. Pharmacol. 35:1187-1193; Tjwa (1995) Ann. Allergy Asthma Immunol. 75:107-111)으로 투여될 수 있다. 좌제 제형은 또한 약물을 통상의 온도에서는 고체이지만 체온에서 액체이어서 체내에서 용융되어 약물을 방출할 적합한 비-자극성 부형제와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코코아 버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이다.
본원에 제공된 구현예를 실시하는데 있어서, 약제학적 화합물은 경피적으로, 국소 경로에 의해 전달될 수 있으며, 도포용 스틱(applicator stick), 액제, 현탁제, 유제, 겔제, 크림제, 연고제, 페이스트제, 젤리제, 페인트제(paint), 산제, 및 에어로졸제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된 구현예를 실시하는데 있어서, 약제학적 화합물은 체내에서 느린 방출을 위한 미세구로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세구는 피하로 서서히 방출하는 약물의 피내 주사를 통해(참고: Rao (1995) J. Biomater Sci. Polym. Ed. 7:623-645); 생분해되고 주사가능한 겔 제형으로서(참고: 예컨대, Gao (1995) Pharm. Res. 12:857-863 (1995)); 또는, 경구 투여용 미세구로서(참고: 예컨대, Eyles (1997) J. Pharm. Pharmacol. 49:669-674)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된 구현예를 실시하는데 있어서, 약제학적 화합물은 예를 들면, 정맥내(IV) 투여 또는 체강(body cavity) 또는 기관의 내관내로의 투여에 의해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속에 용해된 활성제의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허용되는 비히클 및 용매는 물 및 링거액(Ringer's solution), 등장성 염화나트륨이다. 또한, 멸균 고정된 오일은 용매 또는 현탁화 매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임의의 블랜드 고정(bland fixed) 오일, 예를 들면 합성의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방산, 예를 들면, 올레산을 주사가능한 물질의 제조시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액제는 멸균성이며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다. 이러한 제형은 통상의, 잘 공지된 멸균화 기술에 의해 멸균시킬 수 있다. 제형은 생리학적 조건을 적절하게 하는데 요구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 물질, 예를 들면, pH 조절제 및 완충제, 독성 조절제, 예컨대, 아세트산나트륨,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락트산나트륨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제형 속에서 활성제의 농도는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으며, 선택된 특수한 투여 방식 및 환자의 필요성에 따라, 유액 용적, 점도, 체중 등을 기반으로 주로 선택될 것이다. IV 투여의 경우, 제형은 멸균 주사가능한 제제, 예를 들면, 멸균 주사가능한 수성 또는 오일성 현탁제일 수 있다. 이러한 현탁제는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화제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멸균 주사가능한 제제는 또한 비독성의 비경구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 예를 들면, 1,3-부탄디올의 용액 속의 현탁제일 수 있다. 투여는 거환 또는 연속 주입(예컨대, 명시된 기간 동안 혈관내로 실질적으로 차단되지 않은 도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되고 본원에 제공된 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된 바와 같은 약제학적 화합물 및 제형은 동결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제공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안정한 동결건조된 제형이 제공되며, 이는 본원에 제공된 약제 및 증량제(bulking agent), 예컨대, 만니톨, 트레할로즈, 라피노즈, 및 슈크로즈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액체를 동결건조시켜 제조할 수 있다. 안정한 동결건조된 제형을 제조하는 방법은 약 2.5 mg/mL의 단백질, 약 15 mg/mL의 슈크로즈, 약 19 mg/mL의 NaCl, 및 pH가 5.5 초과이지만 6.5 미만인 시트르산나트륨 완충액의 용액을 동결건조시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미국 특허원 제20040028670호를 참고한다.
본원에 제공되고 본원에 제공된 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된 바와 같은 조성물 및 제형은 리포좀의 사용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리포좀을 사용함으로써, 특히 리포좀 표면이 표적 세포에 대해 특이적인 리간드를 수반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특수한 기관에 대해 우선적으로 지시하는 경우, 이는 생체내에서 표적 세포내로의 활성제의 전달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예컨대, 미국 특허 제6,063,400호; 제6,007,839호; Al-Muhammed (1996) J. Microencapsul. 13:293-306; Chonn (1995) Curr. Opin. Biotechnol. 6:698-708; Ostro (1989) Am. J. Hosp. Pharm. 46:1576-1587를 참고한다.
본원에 제공되고 본원에 제공된 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된 바와 같은 제형은 예방학적 및/또는 치료학적 치료를 위해 투여될 수 있다. 치료학적 적용에서, 조성물은 이미 상태, 감염 또는 질환으로 고생하는 대상체에게 이러한 상태, 감염 또는 질환 및 이의 합병증의 임상적 만연을 치유하거나, 완화시키거나 부분적으로 정지시키는데 충분한 양("치료학적 유효량")으로 투여된다. 예를 들면, 대안적 구현예에서, 본원에 제공된 약제학적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αvβ3 (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CSC)를 사멸시키거나 이의 수를 감소시키고/시키거나;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αvβ3 (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또는 종양의 발달을 치료하거나, 완화시키거나 역전시키거나 지연시키고/시키거나; 이들의 세포 표면에서 αvβ3 폴리펩타이드를 발현하는, 암 또는 종양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CSC)에 의해 유발되거나 개시되거나 또는 유지된, 암의 발달을 완화시키거나 지연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투여된다. 이를 달성하는데 적절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양은 "치료학적 유효량"으로서 정의된다. 투여량 스케쥴 및 이러한 용도에 효과적인 양, 즉, "용량 섭생(dosing regimen)"은 다양한 인자, 예를 들면, 질환 또는 상태의 단계, 질환 또는 상태의 중증도, 환자의 건강의 일반적인 상태, 환자의 육체적 상태, 연령 등에 의존할 것이다. 환자에 대한 투여 요법을 계산하는데 있어서, 투여 방식 또한 고려된다.
투여 요법은 또한 당해 분야에 잘 공지된 약동학적 매개변수, 즉, 활성제의 흡수율, 생체이용률, 물질대사, 청소율(clearance) 등을 고려한다(참고: 예컨대, Hidalgo-Aragones (1996) J. Steroid Biochem. Mol. Biol. 58:611-617; Groning (1996) Pharmazie 51:337-341; Fotherby (1996) Contraception 54:59-69; Johnson (1995) J. Pharm. Sci. 84:1144-1146; Rohatagi (1995) Pharmazie 50:610-613; Brophy (1983) Eur. J. Clin. Pharmacol. 24:103-108; 최근의 Remington's, 상기 참고). 당해 분야의 상태는 임상의가 각각의 개개 환자에 대한 투여량 요법, 활성제 및 치료될 질환 또는 상태를 결정하도록 한다. 약제로서 사용된 유사한 조성에 대해 제공된 지침서를 설명서로서 사용하여 본원에 제공된 방법을 실시하는데 투여된 투여량 요법, 즉, 용량 스케쥴 및 투여량 수준이 정확하고 적절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형의 단일 또는 다중 투여가 필요하고 환자에 의해 견디어지는 투여량 및 빈도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제형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상태, 질환 또는 증상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거나, 예방하거나 완화시키기 위한 활성제의 충분한 양을 제공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본원에 제공되고 본원에 제공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된 바와 같은 조성물의 경구 투여용의 예시적인 약제학적 제형은 1일당 체중 킬로그램당 약 0.1에서 0.5 내지 약 20, 50, 100 또는 1000 이상의 ㎍의 1일 양일 수 있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1일당 환자당 체중 kg당 약 1 mg 내지 약 4 mg의 투여량이 사용된다. 보다 적은 투여량이 경구적 투여와는 대조적으로, 혈류내, 체강내 또는 기관의 내강내로 사용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보다 높은 투여량은 국소 또는 경구 투여시 또는 산제, 스프레이제 또는 흡입에 의한 투여시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또는 비-비경구적으로 투여가능한 제형을 제조하기 위한 실제 방법은 당해 분야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거나 명백할 것이며 Remington's(상기 참고)와 같은 공보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본원에 제공된 방법은 또한 다른 약물 또는 약제, 예컨대, 암, 패혈성 쇼크, 감염, 열, 통증 및 관련 증상 또는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과 함께 동시-투여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원에 제공된 방법 및/또는 조성물 및 제형은 항생제(예컨대, 항세균제 또는 정균성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 특히 그람 음성 세균에 대해 효과적인 것, 유체, 사이토킨, 면역조절제, 소염제, 보체 활성제, 예를 들면, 콜라겐-유사 도메인 또는 피브리노겐-유사 도메인(예컨대, 피콜린), 탄수화물-결합 도메인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 등 및 이의 조합물과 함께 동시-제형화되고/되거나 동시-투여될 수 있다.
나노입자 및 리포좀
또한, 본원에 제공된 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된 화합물(예컨대, 항-αvβ3 (avb3) 항체)을 포함하는 나노입자 및 리포좀 막이 제공된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종양(암) 줄기 세포 및 기능장애 줄기 세포를 표적화하는 나노입자 및 리포좀 막이 또한 제공된다. 일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된 조성물은 암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에 대해 특이적으로 표적화된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비정상적으로 성장하고/하거나, 질환이 있고/있거나, 감염되고/되거나, 기능장애가 있고/있거나 암(종양)인 세포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표적화하는 분자를 포함하는(본원에 제공된 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 외에도) 나노입자 및 리포좀 막이 존재한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세포, 예컨대, 종양 세포, 예컨대, 전립선 또는 난소 암 세포 상에서 표적화된 수용체에 대한 IL-11 수용체 및/또는 GRP78 수용체를 사용하는 나노입자 및 리포좀 막이 또한 제공된다. 예컨대, 미국 특허원 공보 제20060239968호를 참고한다.
또한 상이한 작용 방식 또는 상이한 약물동력학으로 2개의 상이한 치료제의 순차적인 전달을 허용하는 나노세포가 제공되며,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본원에 제공된 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나노세포는 제2 제제를 함유하는 지질 소포 내부에 제1 제제로 나노코어를 캡슐화함으로써 형성된다; 예컨대, 센굽타(Sengupta) 등의, 미국 특허 공보 제20050266067호를 참고한다. 외부 지질 구획 내의 제제가 첫번째로 방출되며 나노코어 내의 제제가 방출되기 전에 이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나노세포 전달 시스템은 환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임의의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아세틸 트랜스퍼라제 유전자, 전사체(전령) 및/또는 단백질 발현 또는 활성의 억제제 또는 고갈제(depleter)는 나노세포의 외부 지질 소포내에 함유되며, 본원에 제공된 항혈관형성제는 나노코어 내로 로딩(loading)된다. 이러한 배열은 활성제가 우선 방출되어 종양의 혈액 공급이 본원에 제공된 조성물에 의해 중단되기 전에 종양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예컨대, 파크(Park) 등의 미국 특허 공보 제20070082042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예컨대, 경피 흡수를 위한, 본원에 제공된 구현예를 실시하기 위해 사용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다층 리포좀이 제공된다. 다층화된 리포좀은 스쿠알렌, 스테롤, 세라미드, 천연 지질 또는 오일, 지방산 및 레시틴을 포함하는 오일-상 성분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입자 크기를 약 200 내지 5000 nm로 제조함으로써, 본원에 제공된 조성물을 인트랩(entrap)하도록 할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된 구현예를 실시하는데 사용된 다층화된 리포좀은 또한 소독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증점제 등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합성 및 천연 소독제는 예컨대, 0.01% 내지 20%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항산화제, 예컨대, BHT, 에리소르베이트, 토코페롤, 아스탁산틴, 식물성 플라보노이드, 및 이의 유도체, 또는 식물-유래된 항산화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안정화제를 사용하여 리포좀 구조, 예컨대, 폴리올 및 당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폴리올은 부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에틸 카르비톨을 포함하며; 당의 예는 트레할로즈, 슈크로즈, 만니톨, 소르비톨 및 키토산, 또는 당당류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 또는 고 분자량 전분이다. 증점제는 물 속에 구성된 리포좀, 예컨대, 천연 증점제 또는 아크릴아미드, 또는 합성 중합체성 증점제의 분산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증점제는 천연 중합체, 예를 들면, 아카시아 검, 크산탄 검, 젤란 검, 로커스트 빈 검(locust bean gum) 및 전분, 셀룰로즈 유도체,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즈 및 카복시메틸 셀루로즈, 합성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아미드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폴리비닐알코올, 및 이의 공중합체 또는 가교-결합된 물질을 포함한다.
리포좀은 임의의 방법, 예를 들면 제1의 저장기(reservoir) 속에 수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제2 저장기 속에 유기 액체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수용액 및 유기 지질 용액 중 하나가 치료학적 생성물을 포함하는 단계; 수용액을 상기 지질 용액과 제1의 혼합 영역 속에서 혼합하여 리포좀 용액을 생산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유기 지질 용액이 상기 수용액과 혼합되어 치료학적 생성물을 캡슐화하는 리포좀을 실질적으로 순간적으로 생산하는 단계; 및 이후 즉시 리포좀 용액을 완충제 용액과 혼합하여 희석된 리포좀 용액을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치료학적 생성물을 캡슐화함으로써 리포솜을 생산하는, 예컨대, 파크(Park) 등의 미국 특허 공보 제20070042031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제공된 구현예를 실시하기 위해 사용된 화합물(예컨대, 항-αvβ3(avb3) 항체)을 포함함으로써 미국 특허 공보 제20070077286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약물-함유 나노입자(예컨대, 제2의 나노입자)로서의 조성물을 전달하는 나노입자가 제공된다. 일 구현예에서, 또한 본원에 제공된 지방-가용성 약물 또는 지방-가용화된 수용성 약물을 포함함으로써 2가 또는 3가 금속 염과 함께 작용하는 나노입자가 제공된다.
리포좀
본원에 제공된 구현예를 실시하는데 사용된 조성물(예컨대, 항-αvβ3 (avb3) 항체) 및 제형은 리포좀을 사용함으로써 전달될 수 있다. 리포좀을 사용함으로써, 특히 리포좀 표면이 표적 세포에 대해 특이적인 리간드를 운반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특이적인 기관 또는 세포, 예컨대, 암 줄기 세포에 대해 우선적으로 지시되는 경우, 활성제를 생체내에서 표적 세포내로 전달하는데 중점을 둘 수 있다. 예컨대, 미국 특허 제6,063,400호; 제6,007,839호; Al-Muhammed (1996) J. Microencapsul. 13:293-306; Chonn (1995) Curr. Opin. Biotechnol. 6:698-708; Ostro (1989) Am. J. Hosp. Pharm. 46:1576-1587를 참고한다. 예를 들면, 일 구현예에서, 본원에 제공된 구현예를 실시하는데 사용된 조성물 및 제형은 헤드 그룹과 소수성 테일(tail)을 갖는 강성 지질을 갖는 리포좀을 사용함으로써, 예컨대, 미국 특허원 공보 제20080089928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예컨대, 적어도 일부에서 지질과 일치하는 측쇄를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연결된 지질을 사용함으로써 전달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원에 제공된 구현예를 실시하는데 사용된 조성물 및 제형은 예컨대, 미국 특허원 공보 제20080088046호, 또는 제20080031937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지질의 혼합물, 예컨대, 양이온성 양친매성 물질, 음이온성 양친매성 물질 및/또는 중성 양친매성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양쪽성 리포좀을 사용함으로써 전달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원에 제공된 구현예를 실시하는데 사용된 조성물 및 제형은 예컨대, 미국 특허원 공보 제20080014255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티오에테르 그룹을 통해 결합된 폴리알킬렌 글리콜 모이어티 및 티오에테르 그룹을 통해 또한 리포좀에 결합된 항체를 포함하는 리포좀을 사용함으로써 전달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원에 제공된 구현예를 실시하는데 사용된 조성물 및 제형은 예컨대, 미국 특허원 공보 제20070148220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글리세라이드, 글리세롤-인지질, 글리세로포스피노리피드, 글리세로포스포노리피드, 설포리피드, 스핑고리피드, 포스포리피드, 이소프레놀라이드, 스테로이드, 스테아린, 스테롤 및/또는 탄수화물 함유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사용함으로써 전달된다.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항체 및 항원 결합 폴리펩타이드
대안적 구현예에서, 암 또는 종양 세포 상에서, 또는 CSC 상에서 발현된 αvβ3 (avb3) 인테그린 폴리펩타이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 또는 이의 활성 단편, 또는 αvβ3-결합 폴리펩타이드(예컨대, αvβ3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CDR 포함)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방법이 또한 제공되며, 여기서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는 대식구에 결합하여 항체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세포를 사멸시키는 항체-의존성 세포-매개된 세포독성(ADCC)을 개시할 수 있는 Fc 도메인 또는 등가의 도메인 또는 모이어티(예컨대, 항-αvβ3(avb3) 항체)를 갖는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이러한 항체 및 폴리펩타이드를 투여하기 위한 조성물이 제공된다.
대안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구현예를 실시하기 위한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는 항원 또는 에피토프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면역글로불린 유전자 또는 면역글로불린 유전자들, 또는 이의 단편으로부터 유래되거나, 이후에 모델링되거나 이에 의해 실질적으로 암호화된 펩타이드 또는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문헌: Fundamental Immunology, Third Edition, W.E. Paul, ed., Raven Press, N.Y. (1993); Wilson (1994) J. Immunol. Methods 175:267-273; Yarmush (1992) J. Biochem. Biophys. Methods 25:85-97을 참고한다. 대안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구현예를 실시하기 위한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는 항원에 결합하는 능력을 보유한 항원-결합 부위, 즉, "항원 결합 부위"(예컨대, 단편, 서열, 상보성 결정 영역(CDR)), 예를 들면, (i) VL, VH, CL 및 CH1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1가 단편인, Fab 단편; (ii) 힌지(hinge) 영역에서 이황화물 브릿지에 의해 연결된 2개의 Fab 단편을 포함하는 2가 단편인, F(ab')2 단편; (iii) VH 및 CH1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Fd 단편; (iv) 항체의 단일 아암(arm)의 VL 및 VH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Fv 단편, (v) VH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dAb 단편(Ward et al., (1989) Nature 341:544-546); 및 (vi) 단리된 상보성 결정 영역(CDR)을 포함한다. 단일 쇄 항체는 또한 용어 "항체"에서 참고로 포함된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방법은 αvβ3 (avb3) 인테그린 폴리펩타이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임의의 폴리펩타이드, 예를 들면, 모노클로날 항체 LM609(Chemicon Int., 캘리포니아주 테메쿨라 소재)(CVCL_KS89)(ATCC 수탁 번호 HB 9537을 가진 쥐 하이브리도마)(참고: 예컨대, 미국 특허 제7,115,261호); 클론 23C6으로부터 유래된 모노클로날 항체 CBL544(MilliporeSigma, 매사츄세츠주 부를링톤 소재); 모노클로날 항체 ab7166(abcam, 매사츄세츠주 캠브릿지 소재); 또는, 모노클로날 항체 ab78289(abcam, 매사츄세츠주 캠브릿지 소재)의 αvβ3-결합 CDR을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의 용도를 포함하며, 이는 당해 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측정될 수 있다.
대안의 구현예는 "사람화된" 항체, 예를 들면, 비-사람 면역글로불린으로부터 유래된 최소의 서열(예컨대,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는 키메라 항체인 비-사람(예컨대, 쥐) 항체의 형태를 사용한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사람화된 항체는 사람 면역글로불린이며, 여기서 수용체(예컨대, 사람 항체 서열)의 초가변성 영역(HVR)으로부터의 잔사는 비-사람 종(공여체 항체), 예를 들면, 목적한 특이성, 친화성 및 능력을 갖는 마우스, 랫트, 토끼 또는 비사람 영장류의 초가변 영역(HVR)으로부터의 잔사로 대체된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사람 면역글로불린의 골격 영역(FR) 잔사는 상응하는 비-사람 잔사에 의해 대체되어 항원 결합 친화성을 증진시킨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사람화된 항체는 수용체 항체 또는 공여체 항체에서 발견되지 않는 잔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항체 친화성 또는 기능적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사람화된 항체는 적어도 하나, 및 전형적으로 2개의 가변 도메인 중 실질적으로 모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초가변 영역은 비-사람 면역글로불린의 영역에 상응하며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Ab 골격 영역은 사람 면역글로불린 서열의 영역이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본원에 제공된 구현예를 실시하는데 사용된 사람화된 항체는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Fc)의 적어도 일부, 전형적으로 사람 면역글로불린으로부터의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 구현예에서, 완전한 사람 항체, 예를 들면, 사람에 의해 생산된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에 상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사람 항체를 또한 사용하여 본원에 제공된 구현예를 실시할 수 있다. 사람 항체의 이러한 정의는 비-사람 항원 결합 잔사를 포함하는 사람화된 항체를 특이적으로 배제한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방법은 αvβ3(avb3) 인테그린 폴리펩타이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사람화된 항체, 예를 들면, αvβ3-결합의 사람화된 버젼: 모노클로날 항체 LM609(Chemicon Int., 캘리포니아주 테메쿨라 소재)(CVCL_KS89)(ATCC 수탁 번호 HB 9537을 갖는 쥐 하이브리도마)(참고: 예컨대, 미국 특허 제7,115,261호); 클론 23C6로부터 유래된 모노클로날 항체 CBL544(MilliporeSigma, 매사츄세츠주 벌링톤 소재); 모노클로날 항체 ab7166(abcam, 매사츄세츠주 캠브릿지 소재); 또는, 모노클로날 항체 ab78289(abcam, 매사츄세츠주 캠브릿지 소재)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사람화된 항체의 사용을 포함하며, 여기서 다양한 사람화된 버젼은 당해 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측정될 수 있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본원에 제공된 구현예를 실시하는데 사용된 항체는 "친화성 돌연변이된" 항체, 예컨대, 하기의 변경(들)을 지니지 않은 모 항체와 비교하여, 항원; 예컨대, 히스톤 메틸 및/또는 아세틸 트랜스퍼라제에 대한 항체의 친화성에 있어서 증진을 야기하는 하나 이상의 초가변 영역내 하나 이상의 변경을 포함하는 항체를 포함한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본원에 제공된 구현예를 실시하는데 사용된 항체는 표적 항원, 예컨대, 히스톤 메틸 및/또는 아세틸 트랜스퍼라제에 대해 나노몰 또는 심지어 피코몰 친화성을 갖는 성숙된 항체이다. 친화성 성숙된 항체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과정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본원에 제공된 바와 같은 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된 항체는: 모노클로날 항체 LM609(Chemicon Int., 캘리포니아주 테메쿨라 소재)(CVCL_KS89)(ATCC 수탁 번호 HB 9537을 갖는 쥐 하이브리도마)(참고: 예컨대, 미국 특허제7,115,261호); 클론 23C6으로부터 유래된 모노클로날 항체 CBL544(MilliporeSigma, 매사츄세츠주 부를링톤 소재); 모노클로날 항체 ab7166(abcam, 매사츄세츠주 캠브릿지 소재); 또는, 모노클로날 항체 ab78289 (abcam, 매사츄세츠주 캠브릿지 소재), 및 이의 사람화된 버젼이다. 모노클로날 항체 LM609는 예컨대, Cheresh et al., J Biol Chem. 1987;262(36):17703-11; 및 미국 특허 번호(USPN) 제5,753,230호, 및 USPN 제6,590,079호에 기술되어 있다. LM609는 인테그린 αvβ3에 대해 특이적인 쥐 모노클로날 항체이며, 예컨대, Cheresh, D. A., Proc. Natl. Acad. Sci. USA 84:6471-6475 (1987), 및 Cheresh et al, J. Biol. Chem. 262:17703-17711 (1987)를 참고한다. LM609는 인테그린 αvβ3으로 현재 알려진 M21 세포 부착 수용체에 대해 생산되었으며 이와 반응성이다. LM609는 αvβ3 리간드, 예를 들면, 비트로넥틴, 피브리노겐 및 폰 빌레브란트 인자(von Willebrand factor)(Cheresh and Spiro, 상기 참조)에 대한 M21 세포의 부착을 억제하며 또한 αvβ3-매개된 병리학, 예를 들면, 종양 유도된 혈관형성(Brooks et al. Cell 79:1157-1164 (1994)), 피부 상처내 과립화 조직 발달(Clark et al., Am. J. Pathology, 148:1407-1421 (1996)) 및 예를 들면, 재협착증 동안 발생하는 평활근 세포 이주의 억제제이다(Choi et al., J. Vascular Surg., 19:125-134 (1994); Jones et al., Proc. Natl. Acad. Sci. 93:2482-2487 (1996)).
키트(kit) 및 설명서
본원에 제공된 바와 같은 방법 및 용도를 실시하기 위한 조성물(예컨대, 항체), 임의로 또한 이의 사용을 위한 설명서를 포함하는 키트가 또한 제공된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αvβ3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키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를 참고로 추가로 기술될 것이나; 본원에 제공된 예시적인 구현예는 이러한 실시예이거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약물 내성 폐암의 면역학적 표적화
본 실시예 및 본원에 나타낸 데이타는 암을 치료하기 위해 본원에 제공된 바와 같은 조성물 및 방법의 효능을 입증한다. 치료요법의 효과에 적응되었고 매우 공격성이고 침입성이 된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획득된 약물 내성 동안 발생하는 2개의 현상을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과정을 방지하기 위한 시도를 기술한다. 우선, RTK 억제제 에를로티닙으로 처리된 EGFR 돌연변이체 폐 종양은 인테그린 αvβ3의 발현을 획득하며, 이러한 마커는 순환하는 종양 세포 상에 고도로 농축되어 있다. 둘째로, 에를로티닙-처리된 종양은 M2 종양-관련된 대식구의 축적을 나타내며, 종양이 면역계를 조작하여 이의 자체의 증식 및 전이를 뒷받침하는 방법을 입증한다. 이러한 현상 각각은 보다 공격성이고 약물-내성인 종양 표현형을 구동하지만, 이들의 공존은 유일한 기회를 생성한다. 본 발명자들은 αvβ3 모노클로날 항체 LM609의 전신계 전달이 원발성 종양내에서 약물 내성 세포를 파괴할 뿐 아니라, 순환하는 종양 세포를 제거함을 입증한다. 기계적으로, 종양 세포 사멸은 이에 대한 대식구가 시험관내 및 생체내에서 효과기 세포인 항체-의존성 세포-매개된 세포독성(ADCC)에 의해 발생한다. 에를로티닙은 종양 성장을 초기에 제한할 수 있지만, 이러한 치료요법은 αvβ3/ALDH1A1-발현 세포를 농축시키고 종양-관련된 대식구를 보충함으로써 보다 공격성인 종양을 생성한다. αvβ3을 표적화함으로써, 본원에 제공된 바와 같은 조성물 및 방법, 예를 들어 LM609의 예시적인 용도는 면역계의 종양 조작을 이용함으로써 대부분의 약물-내성 세포를 파괴하고 종양 진행을 중단시킨다.
본 발명자 그룹은 에를로티닙에서 진행된 폐 선암종 환자가 인테그린 αvβ3의 발현에 있어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고, αvβ3-음성 폐 종양을 지닌 마우스가 에를로티닙에 대해 내성화되면서 αvβ3의 발현을 획득하였으며(2), αvβ3이 동일한 환자로부터의 원발성 종양과 비교하여 전이성 병변에 고도로 농축되어 있음(3)을 이미 보고하였다. 실제로, 본 발명자들은 인테그린 αvβ3가 에를로티닙 내성 뿐만 아니라, 공격성 줄기-유사 표현형(2-4)을 유도하는데 필수적이고 충분하다는 것을 확립하였다. 따라서, 치료학적 표적화 αvβ3은 종양 진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집단내에서 가장 약물 내성인 세포를 제거할 수 있다.
분자 수준에서, 본 발명자들은 부착 수용체로서 이의 기능과는 독립적이었던 이러한 공정에서 αvβ3에 대한 역활을 확인하였다(5). 이와 같이, 사이클릭 RGD 펩타이드 또는 인테그린-리간드 결합에 대해 경쟁하는 유사한 인테그린 길항제를 사용하는 αvβ3의 기본 인테그린 기능을 차단하는 전략은 줄기성(stemness) 및 약물 내성을 구동시키기 위한 이의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2). 대신에, 본 발명자들은 αvβ3에 의해 구동된 TANK-결합 키나제 1(TBK1)/NF-κB 신호전달을 파괴하는 것은 이러한 공격성 종양 세포의 표현형을 역전시킬 수 있었음을 보고하였다(2). 이러한 시도는 하나의 하부 경로(downstream pathway)만을 중단시키므로, 본 발명자들은 인테그린 αvβ3-발현 종양 세포를 직접 표적화하여 이를 파괴하는 대안적인 시도를 고려하였다.
기능-차단 특성 외에도, 특정의 항체는 항체-의존성 세포-매개된 세포독성(ADCC)에 의한 제거에 대해 종양 세포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항체가 종양 세포 항원에 결합하여 면역 효과기 세포 상에서 FcγR에 의해 동시에 인식되는 경우 트리거된다(6). 다른 그룹이 에를로티닙-내성 종양에서 종양-관련 대식구(TAM)의 축적을 보고하였음을 고려하여(2, 7, 8), 공격성 αvβ3-발현 종양 세포를 제거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향상된 αvβ3 발현 및 대식구 농축의 이러한 상태를 이용하는 전략을 본원에 제공한다.
결과 및 논의
마우스 및 사람에서 앞서의 연구는 EGFR 억제제에 대한 폐암 내성이 αvβ3의 상향 조절 및 약물 내성 줄기-유사 운명(fate)의 획득을 초래함을 나타낸다(2). 획득된 내성의 이러한 경로를 평가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αvβ3-음성 EGFR-돌연변이체 사람 비-소 세포 폐암(HCC827) 피하 이종이식체를 지닌 마우스를 비히클 또는 에를로티닙으로 처리하고, 시간에 따른 종양 성장을 측정하였다(도 1a). 에를로티닙은 수일 내 예측된 종양 성장 억제를 생산하였지만, 종양은 궁극적으로 수 주후 재성장하기 시작하였다(도 1b). 에를로티닙-내성 환자에서 이미 알 수 있는 바와 같이(2), 인테그린 αvβ3의 발현은 비히클 그룹과 비교하여 에를로티닙-내성 종양에서 농축되며, αvβ3-발현 세포는 줄기 마커 알데하이드 데하이드로게나제 1A1, ALDH1A1에 대해 양성이었다(도 1b 내지 1d). 에를로티닙-내성 종양으로부터 확립된 세포주인, HCC827-ErlR은 시험관내에서 에를로티닙 내성을 보유하였으며 또한 제3 세대 EGFR 억제제, 오시메르티닙에 대해 내성이었다(도 1e 내지 1f). 중요하게도, 본 발명자들은 αvβ3-음성, EGFR-돌연변이체 PC9 이종이식체를 사용하여 이러한 발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αvβ3 인테그린이 광범위한 암에 대한 종양 진행 및 전이와 연관되어 있음을 고려하여(3, 9), 본 발명자들은 에를로티닙-유도된 αvβ3 발현이 증가된 종양 침입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추론하였다. 이러한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에를로티닙을 사용한 전신계 치료 동안에 HCC827 동소의 종양을 지닌 동물에서 순환하는 종양 세포(CTC)의 수를 시험하였다(도 1a). 폐에서 종양 성장 억제가 에를로티닙 치료를 개시한 후 30일을 유지하였지만, 본 발명자들은 에를로티닙-치료된 그룹에서 CTC의 수에 있어서의 급격한 증가를 검출하였으며(도 1g 내지 1h), 이는 원발성 종양 덩어리내에서 약물 내성의 획득 전에 순환에 대한 종양 세포의 증가된 보급이 발생함을 시사한다. 중요하게도, 에를로티닙 치료 후 검출된 CTC의 대부분은 αvβ3 양성이었다(도 1g 내지 1h). 이러한 발견은 원발성 종양 성장을 초기에 제어함에도 불구하고, 에를로티닙이 순환시 혈관내침입(intravasate)하여 생존하는 능력과 함께 세포를 αvβ3/ALDH1A1 양성 상태로 전환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는 질환 진행이 검출가능하기 전에 드러나는 줄기-유사의, 약물-내성 종양 세포의 이러한 집단을 표적화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종양-관련 대식구(TAM), 특히 M2-유형(10)은, 성장 인자, 전-종양원성 사이토킨, 및 면역억제 효소를 분비함으로써 혈관형성, 전이, 및 면역 억제의 유도를 통한 종양 진행을 촉진한다(11-14). 따라서, 종양 조직내에서 농축된 TAM의 관찰은 다양한 종류의 암, 예를 들면, 폐 선암종에서 불량한 예후와 관련되어 있다(7). EGFR 억제제 내성 폐 선암종 환자 종양에 대해 관찰된 바와 같이(7, 8), 본 발명자들은 비히클 대조군으로 치료한 마우스로부터의 종양에 대해 에를로티닙-내성 종양내에서, 보다 많은 수의 TAM(CD11b-양성, Ly-6G-음성), 특히 M2 유형(TAM 집단내 CD206-양성 또는 CD206- 및 MHCll-이중 음성)을 발견하였다(도 1i).
상기 발견은 에를로티닙-내성 종양 환경이 αvβ3-발현 종양 세포를 표적화하는 대식구의 침윤을 이용하는 치료학적 시도에 이상적으로 적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자들이 이미 개발하여 전임상 모델에서 항-종양/항-혈관형성제로서 특성화한 항-사람 αvβ3 항체(LM609)를 사용하였다(15). 실제로, LM609의 사람화된 및 친화성 성숙된 형태인, 에타라시주맙은, αvβ3 발현에 있어서 이종성(heterogeneity)이 다른 것에서 효능의 결여를 설명할 수 있지만, 또한 고형 종양을 지닌 일부 환자에서 임상 활성을 나타내었다(16-19). 에타라시주맙은 시험관내에서 항체-의존성 세포 매개된 세포독성(ADCC)을 매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므로(19), 본 발명자들은 LM609을 생체내에서 에를로티닙에 대해 획득된 내성 동안 드러나는 αvβ3-발현 종양 세포의 농축된 집단을 표적화하기 위해 TAM을 관여시키는 유일한 기회로서 고려하였다.
에를로티닙 단독은 αvβ3에 대해 농축되어 종양 재성장 및 CTC의 출현을 초래하지만, 에를로티닙 및 LM609의 조합은 에를로티닙 민감성을 유지하였다(도 2a). LM609는 αvβ3-양성 종양 세포를 제거할 뿐 아니라(도 2b), 이는 또한 αvβ3-양성 CTC에서의 증가도 방지하였으며(도 2c 내지 2e), 이는 LM609가 치료요법의 과정 동안에 순환하는 αvβ3-양성 종양 세포의 혈관내이물침입/생존 및 에를로티닙 내성 둘 다를 방지하였다. 인테그린 αvβ3은 세포-매트릭스 부착 분자로서 기능하지만(15), LM609 단독을 사용한 치료는 αvβ3-양성 또는 -음성 세포의 생존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발견은 종양 세포내 αvβ3 인테그린의 역활이 부착 분자로서 이의 기능으로부터 독립적이며 오히려 앵커리지(anchorage) 독립된 성장을 유도함을 나타낸 다른 연구와 일치한다(2, 3). 대신에, 본 발명자들은 LM609이 ADCC에 의한 αvβ3-양성 세포 사멸을 증가시켰음을 발견하였고,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과정이 대식구에 의해 매개되었지만, NK 세포에 의해서는 매개되지 않았음을 측정하였다(도 3a 및 3b).
실제로, 대식구 상에서 Fcγ 수용체의 차단은 시험관내 LM609의 효과를 약화시켰다(도 3c). LM609가 생체내에서 αvβ3-양성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였지만, 클로드로네이트 리포좀을 사용한 대식구의 고갈은 이러한 효과를 폐지하였다(도 3d). 이와 함께, 이러한 연구는 대식구-매개된 ADCC를 시험관내 및 생체내 둘 다에서 LM609에 대한 주요 활성 메카니즘으로서 지적한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는 에를로티닙 치료요법이 αvβ3 발현에 대해 농축시킴으로써 종양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연구하고, 종양이 숙주 면역계를 조작하여 약물-내성 표현형을 뒷받침하는 방법을 강조한다. 이러한 적응이 에를로티닙을 사용한 치료 동안 종양 진행을 촉진할 수 있지만, 이들은 또한 이러한 시나리오를 이용할 유일한 기회를 제공한다. 실제로, 항-αvβ3 항체는 획득된 내성의 발생을 지연시키는 것과 함께, 대식구가 원발성 종양 뿐만 아니라 CTC 내에서도 약물-내성 αvβ3/ALDH1A1-발현 종양 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도록 한다(도 2a). LM609는 사람 인테그린 αvβ3을 단지 인식하므로, 본 발명자들의 이종이식체 모델은 본 발명자들이 혈관형성을 위해 이러한 인테그린을 필요로 하는 종양-관련 내피 세포상에서의 임의의 충격으로부터 ADCC내 이의 역활을 분리하도록 한다(20, 21). 혈관형성이 종양 성장에 기여한다는 것을 고려하여, LM609 및 에타라시주맙이 사람 대 마우스 대식구 Fcγ 수용체에 대해 보다 높은 친화성을 지닌 IgG1 항체이므로(22), 본 발명자의 전임상 평가는 사람에서 에를로티닙-내성 종양에 대한 이러한 치료학적 전략의 효능을 과소평가할 수 있다. 또한, 에를로티닙 뿐만 아니라 다른 암 치료요법도 상피 암 세포내에서 β3 인테그린 발현을 증가시킴을 고려하여(도 6), 항-αvβ3 항체 치료요법을 다양한 치료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항-αvβ3 항체와 치료요법의 표준에서 진행된 상피 암 환자에 대한 유일한 치료학적 시도로서 EGFR 억제제 및/또는 다른 암 약물과의 조합을 본원에 제공한다.
방법
세포주 및 시약
폐 선암종(RPMI내 HCC827) 세포를 ATCC로부터 입수하였다. 흑색종 세포주, M21은 디. 엘, 모톤(D. L. Morton)(미국 로스앤젤레스 소재의 캘리포니아 대학)박사로부터의 선물이었다. 폐 선암종 세포주, PC9는 조안 마사규(Joan Massague)(Sloan-Kettering Institute, 미국 소재) 박사의 선물이었다. 세포주 입증은 짧은 탄뎀(tandem) 반복 DNA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ATCC에 의해 수행되었다. 수령시, 각각의 세포주를 확장시키고, 저-계대배양 스톡으로서 동결건조시키고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에 대해 통상적으로 시험하였다. 이소성 발현 및 유전적 녹다운(genetic knockdown)을 위해, 세포를 벡터 대조군(GFP 표지됨), 인테그린 β3, 또는 루시퍼라제로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렌티바이러스 시스템을 사용하여 형질감염시켰다(1). αvβ3 인테그린의 수준을 후술된 바와 같이 유동 세포분석법으로 시험하였다.
캅티솔(captisol)을 CydexTM(NC0604701)으로부터 입수하고 물 속에서 6%에서 희석시켰다. 에를로티닙을 SellekChemTM(S1023)으로부터 입수하고 시험관 실험을 위해 DMSO 속에 또는 생체내 실험을 위해 캅티솔 속에 희석시켰다. LM609를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실험실에서 생산하였다(2). 활성을 후술된 바와 같이 부착 검정으로 확인하였다. 대조군 및 클로드로네이트 리포좀 용액을 ClodronateLiposome.com으로부터 입수하였다.
부착 검정
M21(αvβ3+) 세포를 LM609가 들어있거나 들어있지 않은 비트로넥틴-코팅된 또는 콜라겐-코팅된 플레이트에 플레이팅(plating)하였다. 부착 세포를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으로 염색하고 각각의 웰의 가시성 흡광도(600 nm)를 미세역가 판독기를 사용하여 정량화하였다.
에를로티닙 내성 폐 선암종 이종이식체 모델
에를로티닙 내성 폐 선암종 이종이식체 모델을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이용하였다(3). 요약하면, HCC827(100 μl의 RPMI 중 5 Х 106 종양 세포) 세포를 암컷 nu/nu 마우스(8 내지 10주령)의 우측 옆구리에 피하 주사하였다. 종양을 주당 2회 캘리퍼스(calipers)(종양 용적(mm3) = 길이 x 너비 x 폭/2)로 측정하였다. 종양 용적이 250 내지 700 mm3인 동물을 캅티솔(경구, 6회/주) 및 PBS(복강내, 2회/주), 캅티솔 및 LM609(복강내, 10 mg/kg, 2회/주), 에를로티닙(경구, 6.25 mg/kg, 6회/주) 및 PBS, 또는 에를로티닙 및 LM609로 처리된 그룹으로 무작위로 지정하였다. 캅티솔 그룹내 마우스는 거대 종양 크기로 인하여 15일째에 희생되었다. 에를로티닙 그룹을 50일째에 희생시켰다. 종양 조직을 급속 냉동을 위해 3개의 조각으로 나누어, OCT 화합물(VWR, 25608-930) 속에 동결시키거나, 추가의 분석을 위해 10% 포르말린 고정(Fisher Scientific, 23-313095)시켰다.
TAM의 정량화
TAM을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종양 조직으로부터 단리하였다(4). 급속 동결된 종양 조직을 해동시키고, 잘게 썰어서, 콜라게나제 IV(Sigma, C5138, 0.5 mg/mL), 하이알루로니다제(Sigma, H2654, 0.1 mg/mL), 다스파제 ll(Roche, 04942078001, 0.6 U/mL), 및 DNase IV(Millipore, 260913- 10MU, 5 U/mL)를 함유하는 HBSS 속에서 37℃에서 15분 동안 해리시켰다. 세포 현탁액을 70 μm 세포 여과기(cell strainer)를 통해 여과하고 PBS로 세척하였다. 단일 세포 현탁액(PBS 중 5% BSA 중 106개의 세포/100 μL)을 마우스 BD Fc BlockTM(BD Biosciences, 553142, 1:50)과 함께 10분 동안 4℃에서 및 형광 표지된 항체, CD11b(eBioscience, 17-0112-81, 1:100), Ly-6G(eBioscience, 25-5931, 1:100), CD206(BioRad, MCA2235PET), 및 MHCll(BD Biosciences, 562928)와 함께 1시간 동안 4℃에서 항온처리하였다. 유동 세포분석법을 BD LSRFortessaTM에서 수행하였고, 종양 조직내 TAM(CD11b-양성, Ly-6G-음성), M1(TAM 내 CD206-음성, MHCll-양성), 및 M2(TAM내 비-M1 집단)의 비를 유동 세포분석법 분석 프로그램 FlowJoTM(Treestar)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면역조직화학 분석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염색되지 않은 FFPE 슬라이드 상에서 VECTASTAIN Elite ABC HRP 키트(Vector Laboratories, PK-6100)에 대한 제조업자의 추천에 따라 수행하였다. 항-인테그린 β3 항체(Cell Signaling, 13166, 1:200) 및 바이오티닐화된 염소 항-토끼 항체(Vector Laboratories, BA-1000, 1:200)를 사용하였다. 염색된 조직을 NanoZoomer Slide Scanning SystemTM(Hamamatsu) 상에서 영상화하고, 각각의 종양 조직에 대한 β3-양성 부위 분획을 ImageJ(NIH)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5).
동소 폐 선암종 모델 및 CTC 단리
루시퍼라제- 및 GFP-양성 HCC827 세포(50 μl의 PBS 중 5 Х 106개의 세포)를 암컷 nu/nu 마우스(8 내지 10주령)의 우측 폐내로 주사하였다. 종양 성장을 IVIS SpectrumTM(PerkinElmer)에 의해 4주마다 모니터링하였다. 주사 후 8주째에, 마우스를 3개의 그룹, 전-처리, 에를로티닙(경구, 6.25 mg/kg, 6회/주) 처리, 및 에를로티닙 및 LM609의 조합물(복강내, 10 mg/kg, 2회/주)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전-처리 그룹 마우스를 CTC 분석을 위해 8주내에 희생시켰다. 치료 그룹 마우스를 에를로티닙 및 또는 LM609으로 4주 동안 처리한 다음 희생시켰다. 전혈(0.5 mL/마우스)을 EDTA 튜브에 수집하고, CTC를 포함하는 PBMC를 LymphoprepTM(STEMCELL Technologies, 85415) 및 SepMateTM(STEMCELL Technologies, 07801)을 사용하여 제조업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하였다. 단리된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폴리-L-라이신 (Sigma, P1399) 코팅된 8-웰 체임버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하고, 4% PFA(VWR, AA43368-9M)로 고정시키고, DAPI(Life Technologies, D1306, PBS 중 1% BSA 중 1 μg/mL), LM609(PBS중 1% BSA 중 5 μg/mL), 및 형광-표지된 제2 항체(Thermo, A21235, 1:500)로 염색하였다. 세포를 Nikon Eclipse C2TM 공초점 현미경(Nik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CTC는 DAPI 및 GFP 이중 양성 세포로 정의된다. 마우스당 αvβ3-양성 및 -음성 CTC의 수를 계수하였다. 마우스를 희생시킨 후, 폐내 종양 덩어리 용적을 또한 OV100TM 형광성 영상화 시스템(Olympus)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에를로티닙 유도된 αvβ3-양성 세포주의 확립
에를로티닙 내성 HCC827(HCC827-R) 세포 및 PC9(PC9-R) 세포를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확립하였다(3). EGFR 억제제(에를로티닙 및 AZD9291)에 대한 내성을 MTT 검정으로 확인하였다(도 1b).
MTT 검정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하고, 적절한 처리 후, 세포를 MTT 용액(Sigma, M2128, 성장 배지 중 0.5 mg/mL) 속에서 2시간 동안 37℃에서 항온처리하였다. 이후에, MTT 용액을 제거하고, 각각의 웰 속의 청색 결정성 침전물을 DMSO 속에 용해하였다. 560 nm에서 각각의 웰의 가시적 흡광도를 미세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정량화하였다.
골수 유래된 대식구(BMDM) 단리
BMDM를 RPMI를 사용하여 안락사시킨 마우스의 다리 뼈를 플러싱(flushing)하고, 70 μm 세포 여과기를 통해 여과하고 적혈 세포 분해 완충액 Hybri-MaxTM(Sigma, R7757) 속에서 항온처리함으로써 8 내지 10주령의 암컷 C57BL/6 마우스로부터 무균적으로 수거하였다.
NK 세포 단리
비장세포를 안락사시킨 마우스의 비장을 2% FBS 및 1 mM EDTA를 함유하는 PBS를 사용하여 잘게 썰고, 40 μm 여과기를 통해 여과하고, 적혈 세포 분해 완충액 Hybri-MaxTM(Sigma, R7757) 속에서 항온처리함으로써 8 내지 10주령의 암컷 C57BL/6 마우스로부터 무균적으로 수거하였다. NK 세포는 NK 세포 단리 키트 IITM(Miltenyi, 130-096-892)를 사용하여 비장 세포로부터 단리하였다.
ADCC 검정
CFSE Cell Division Tracker KitTM(BioLegend, 423801) 또는 CellTraceTM Far Red Cell Proliferation KitTM(ThermoFisher, C34564)으로 염색된 표적 세포를 BMDM 또는 NK 세포와 함께 동형 IgG 또는 LM609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5시간 동안 37℃에서 공-배양(co-culturing)하였다. 항온처리 후, 세포를 PI(Sigma, P4864, 1:1000)로 염색하고, 유동 세포분석법을 BD LSRFortessaTM에서 수행하였다. 죽은 표적 세포(PI-양성) 대 전체 표적 세포 집단(CFSE- 또는 근 적외선-양성)의 비를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계산하였다(6).
대식구 고갈된 폐 선암종 이종이식체 모델
HCC827-β3 (100 μl의 RPMI 중 5 x 106개의 종양 세포) 세포를 암컷 nu/nu 마우스(8 내지 10주령)의 우측 옆구리에 피하 주사하였다. 종양을 캘리퍼스로 주당 2회 측정하였다. 종양 용적이 30 내지 110 mm3인 동물을 대조군 리포좀(복강내, 200 μL, 2회/주) 및 PBS(복강내, 2회/주, n = 5), 대조군 리포좀(복강내, 200 μL, 2회/주) 및 LM609(복강내, 10 mg/kg, 2회/주, n = 6), 클로드로네이트 리포좀(복강내, 200 μL, 2회/주) 및 PBS(복강내, 2회/주, n = 5), 또는 클로드로네이트 리포좀(복강내, 200 μL, 2회/주) 및 LM609(복강내, 10 mg/kg, 2회/주, n = 6)로 처리한 그룹으로 무작위로 지정하였다. 처리 15일 후, 종양 조직을 고정시키고 OTC 화합물 속에서 동결시켰다.
면역형광성
면역형광성 염색은 염색되지 않은 OCT 슬라이드 위에서 수행하였다. 슬라이드를 PBS 중 0.1% 트리톤X-100(Bio-Rad, 1610407)으로 1분 동안 투과시키고, PBS 중 10% NGS(Jackson ImmunoResearch, 005-000-121)로 2시간 동안 차단시키고, DAPI(Life Technologies, D1306, PBS 중 1% BSA 중 1 μg/mL) 및 항-마우스 F4/80 항체(eBioscience, 14-4801, OneWorldLab)에 의해 TexasRed 플루오로코어(flourocore)와 접합됨)와 함께 2시간 동안 실온에서 항온처리하였다. 공초점 현미경 사진을 Nikon Eclipse C2TM 공초점 현미경(Nikon)을 사용하여 촬영하였다. 종양 조직과 관련하여 F4/80-양성 부위 분획을 ImageJTM(NIH)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5).
αvβ3 인테그린에 대한 유동 세포분석법
세포 펠렛을 PBS 중 1% BSA로 30분 동안 실온에서 세척하여 차단시키고 LM609(PBS 중 1% BSA 중 5 μg/mL) 및 형광 표지된 제2 항체(Thermo, A21235, 1:500)로 염색하였다. 염색 후, 세포를 PI(Sigma, P4864, 1:1000)로 항온처리하고, 유동 세포분석법을 BD LSRFortessaTM에서 수행하였다. αvβ3 인테그린의 수준을 유동 세포분석법 분석 프로그램 FlowJoTM(Treesta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전자 발현
총 RNA를 RNeasyTM RNA 정제 키트(Qiagen)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cDNA를 MultiScribeTM 리버스 트랜스크립타제로 무작위 프라이머(Thermo)를 사용하여 합성하고 역 전사를 사용한 PCR을 SYBR 그린 프로브(Roche)를 지닌 LightCyclerTM으로 수행하였다. 참고 유전자에 대한 발현을 2-ddCT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연구 승인
모든 연구는 프로토콜 S05018 하에 수행하였으며 UCSD 기관 동물 보호 및 사용 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에 의해 승인되었다. 모든 연구는 실험 동물의 보호 및 사용을 위한 NIH 가이드에 따른다.
통계적 분석
스튜던츠 t 시험(student's t test), 만-휘트니(Mann-Whitney) U 시험, 또는 ANOVA를 수행하여 독립적인 샘플 그룹을 비교하였다. 카플란-마이어 추정법칙(Kaplan-Meier estimator)을 수행하여 내성이 없는 생존을 측정하였다. 엑셀(마이크로소프트) 및 SPSS(IBM 분석)을 통계적 분석에 이용하였다.
도면 범례
도 1. 에를로티닙 내성은 원발성 종양, CTC, 및 기질에 영향을 미쳤다.
도 1a: 에를로티닙 내성 이종이식체 모델의 개략도.
도 1b 내지 1d: 에를로티닙 내성 조직은 증가된 αvβ3/ALDH1A1-발현 세포를 나타낸다. HCC827(β3-) 이종이식체 마우스를 비히클(Veh, n=5), 또는 에를로티닙(ErlR, n=9)으로 처리하였다. 종양 성장을 측정하였다(도 1b). 종양 조직을 β3에 대해 염색하였다(도 1c). 바아, 10 μm. 에를로티닙 내성 조직으로부터 단리된 세포를 유동 세포분석법을 위해 αvβ3 및 ALDH1A1에 대해 염색하였다(도 1d). 그래프는 2마리의 마우스를 나타낸다.
도 1e 및 1f: 에를로티닙 내성 αvβ3-양성 세포는 제3 세대 EGFR 억제제인, 오시메르티닙에 대해 내성이었다. 비히클 처리된 마우스(veh) 및 에를로티닙 처리된 마우스(ErlR)로부터 단리된 종양 세포를 유동 세포분석법을 위해 αvβ3에 대해 염색하였다(도 1e). 그래프는 3개 실험을 대표한다. 세포를 에를로티닙 또는 오시메르티닙으로 72시간 동안 처리하고, 세포 생존능을 측정하였다(도 1f).
도 1g 및 1h: 에를로티닙은 CTC를 증가시켰지만 원발성 종양은 여전히 치료에 대해 반응한다. HCC827(β3-, GFP+, 루시퍼라제+) 세포의 폐 주입후 8주째에, 마우스를 에를로티닙으로 30일 동안 처리한 후 CTC 단리하였다. CTC를 αvβ3에 대해 염색하였다. CTC를 처리 전(전-처리, n=3) 및 처리 후(후-처리, n=5) 마우스로부터의 αvβ3-양성(β3+) 및 -음성(β3-) CTC를 계수하였다(도 1g). 원발성 덩어리를 가시화하였다(도 1h). GFP, 종양 조직; 바아, 5 mm.
도 1l: M2-TAM을 에를로티닙 내성 이종이식체 조직내에서 증가시킨 방법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그래프적으로 나타내며; 종양 조직내 M1(암 회색), 및 M2-TAM(연 회색)의 퍼센트를 비히클(n=9)과 에를로티닙(n=9) 처리 사이에서 처리 50일 후 비교하였다. 2-테일된 스튜던츠 t 시험을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측정하였다(대조군과 비교하여 *P<0.05). 오차 바아(error bar)는 표준 오차를 나타낸다.
도 2. LM609는 덜 공격성인 표현형을 생산하였다.
도 2a: LM609는 에를로티닙 내성의 획득을 억제하였다. HCC827(β3-) 이종이식체 마우스를 에를로티닙(에를로티닙, n=9) 또는 에를로티닙과 LM609(에를로티닙+LM609, n=10)으로 처리하였다. 종양 성장을 주당 2회 측정하였다. 진행되지 않는 생존을 카플란 마이어 추정법칙(Kaplan Meier estimato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2b: LM609는 β3-양성 세포를 제거하였다. HCC827(β3-) 이종이식체 마우스를 캅티솔 및 PBS(대조군, n=5), 캅티솔 및 LM609(LM609, n=5), 에를로티닙 및 PBS(에를로티닙, n=9), 또는 에를로티닙 및 LM609(Erl+LM609, n=10)으로 50일 동안 처리하였다. 종양 조직을 인테그린 β3에 대해 염색하고, 조직내 β3-양성 부위를 정량화하였다(그룹당 n=9개 필드(field))(상부 패널). 사진(하부 패널)을 나타낸다. 바아, 10 μm. 2개-테일된 스튜던츠 t 시험을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측정하였다(*P<0.05). 오차 바아는 표준 편차를 나타낸다.
도 2c 내지 2e: LM609는 에를로티닙에 의해 유도된 CTC의 수를 감소시켰다. HCC827(β3-, GFP+, 루시퍼라제+) 세포의 우측 폐 주사 후 8주째에, 마우스를 에를로티닙 또는 에를로티닙과 LM609의 조합물(에를로티닙+LM609)로 4주 동안 처리한 다음 CTC를 단리하였다. 종양 용적을 처리 전(전-처리, n=14) 및 에를로티닙으로 처리 후(후-에를로티닙, n=4) 또는 에를로티닙과 LM609의 조합물(후-Erl+LM609, n=5)로 처리 후 IVIS 스펙트럼을 사용한 생물발광성으로 측정하고 정량화하였다(도 2c). 사진은 대표물이다(도 2d). CTC를 αvβ3에 대해 염색하여 αvβ3-양성(β3+) 및 -음성(β3-) CTC를 정량화하였다(도 2e). αvβ3-양성 CTC의 예를 나타낸다(하부 우측 패널). 2개-테일된 스튜던츠 t 시험을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측정하였다(전-처리와 비교하여 *P<0.05). 오차 바아는 표준 오차(상부 패널) 및 표준 편차(하부 패널)를 나타낸다. 바아, 5 mm(상부 패널); 바아, 10 μm(하부 패널); 청색, DAPI; 녹색, GFP; 적색, αvβ3.
도 3. LM609는 대식구-매개된 ADCC를 통해 αvβ3-양성 세포를 제거하였다.
도 3a 내지 3c: LM609는 시험관내에서 대식구-매개된 ADCC를 통해 αvβ3-양성 세포를 제거하였다. 골수 유래된 대식구(BMDMs) 또는 NK 세포를 사용한 ADCC 검정을 암 세포를 사용하여 IgG 동형 또는 LM609 10 μg/mL 및/또는 Fc 차단제로 처리한 αvβ3 인테그린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수행하였다. 암 세포의 세포 사멸 퍼센트를 프로피디움 요오다이드를 이용하여 유동 세포분석법으로 정량화하였다. 효과기 및 표적 세포 비는 5:1이었다. 2개-테일된 스튜던츠 t 시험을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측정하였다(IgG 동형 대조군과 비교한 *P<0.05). 오차 바아는 표준 오차를 나타낸다. 엠비 벡터(Empty vector), EV; β3 플라스미드, β3; Veh, 비히클 처리된 조직으로부터 단리한 세포; ErlR, 에를로티닙 내성 조직으로부터 단리한 세포.
도 3d 및 3e: LM609는 대식구를 가진 마우스에서만 αvβ3-양성 종양 성장을 제거하였다. 누드 마우스에게 β3 이소성으로 발현하는 HCC827 세포를 피하 주사하고 대조군 리포좀 및 PBS(도 3d 좌측 패널, 대조군, n=5), 대조군 리포좀 및 LM609(도 3d 좌측 패널, LM609, n=6), 클로드로네이트 리포좀 및 PBS(우측 패널, 대조군, n=5), 또는 클로드로네이트 리포좀 및 LM609(도 3d 우측 패널, LM609, n=6)으로 처리하였다. 종양 성장을 15일 동안 모니터링하고, 처리 후, 종양 조직내 F4/80 염색을 정량화하였다(도 3d 우측 패널, n=그룹당 10개 필드). 2개-테일된 스튜던츠 t 시험을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측정하였다(대조군과 비교하여 *P<0.05). 오차 바아는 표준 오차를 나타낸다.
도 4: 에를로티닙 내성 종양 세포는 αvβ3 인테그린을 획득하였으며 오시메르티닙에 대해 내성이었다.
도 4a: 에를로티닙 처리된 종양은 내성을 획득하였다. PC9(β3-) 피하 이종이식체 마우스를 비히클(Veh)(n=1) 또는 에를로티닙(ErlR, n=1)으로 처리하였다. 종양 성장을 주마다 측정하였다.
도 4b: 에를로티닙 내성 조직으로부터의 세포는 αvβ3-양성인 반면 비히클 처리된 동물로부터의 세포는 그렇지 않았다. 비히클 처리된(Veh) 및 에를로티닙 처리된(ErlR) 동물로부터 단리된 세포에서 αvβ3의 수준을 유동 세포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청색, 제2 대조군; 적색, LM609으로 염색됨.
도 4c: 에를로티닙 내성 세포는 오시메르티닙 내성이었다. 비히클 처리된(Veh) 및 에를로티닙 처리된(ErlR) 동물로부터의 세포를 에를로티닙 또는 오시메르티닙으로 나타낸 용량에서 처리하고 MTT 검정을 수행하여 세포 생존능을 측정하였다.
2개-테일된 스튜던츠 t 시험을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측정하였다(대조군과 비교하여 *P<0.05). 오차 바아는 표준 편차를 나타낸다.
도 5: LM609는 αvβ3 인테그린의 리간드 결합을 억제하였으나 세포 생존능은 억제하지 않았다.
도 5a: LM609는 인테그린 αvβ3의 리간드 결합을 억제하였다. M21 세포(αvβ3+)를 나타낸 용량의 LM609이 들어있는 콜라겐 또는 비트로넥틴(αvβ3 리간드) 위에서 플레이팅하였다. 부착성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도 5b: LM609는 세포 생존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쌍을 이룬 αvβ3-양성(β3+) 및 -음성(β3-) 세포를 나타낸 용량의 LM609로 처리하고, MTT 검정을 수행하여 세포 생존능을 측정하였다.
2개-테일된 스튜던츠 t 시험을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측정하였다. 오차 바아는 표준 편차를 나타낸다. EV, 엠티 벡터(empty vector); β3, β3 플라스미드; Veh, 비히클 그룹(에를로티닙 민감성)으로부터 단리된 세포; ErlR, 에를로티닙 내성 조직으로부터 단리된 세포.
도 6은 암 치료요법이 상피 암 세포내에서 β3 인테그린을 농축시킴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그래프적으로 나타낸다: qPCR을 수행하여 72시간 동안 증가하는 용량의 과산화수소(H2OS)에 대한 반응시 인테그린 α 및 β 소단위의 mRNA 발현을 검출하고, 비히클 대조군에 대한 배(fold)로서 나타내었다. 오차 바아는 표준 편차를 나타낸다. *비히클과 비교하여 P<0.05.
참고문헌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보충적 참고문헌
Figure pct00005
다수의 예시적인 구현예가 기술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변형이 본 발명의 취지 및 영역에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다른 구현예도 다음의 청구범위의 영역내에 있다.

Claims (16)

  1. -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individual)에서 αvβ3(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CSC)를 사멸시키거나 이의 수를 감소시키고,
    -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αvβ3(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또는 종양의 발달을 치료하거나, 완화시키거나, 또는 역전시키거나 지연시키며,
    - 이들의 세포 표면에 αvβ3 폴리펩타이드를 발현하는, 암 또는 종양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CSC)에 의해 유발되거나 개시되거나 또는 유지된 암의 발달을 완화시키거나 지연시키고,
    - 염증 반응을 트리거링(triggering)할 수 있고 생체내(in vivo)에서 종양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대식구 집단을 증가시키는 단계로서, 여기서 임의로, 염증 반응을 트리거링(triggering)할 수 있고 종양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대식구 집단은 종양 관련 대식구(TAM) 또는 M1 대식구 집단을 포함하며,
    - 치료요법, 임의로 화학치료요법, 임의로 성장 인자 억제제를 사용하는 치료요법의 효과에 대해 αvβ3(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또는 종양의 민감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이러한 방법이:
    (a)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암 또는 종양 세포 상에서, 또는 CSC 상에서 발현된 αvβ3(avb3) 인테그린 폴리펩타이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를 투여하는 단계, 또는
    (b) (i) 암 또는 종양 세포 상에서, 또는 CSC 상에서 발현된 αvβ3(avb3) 인테그린 폴리펩타이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는, 대식구를 결합시키고, 항체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세포의 항체-의존성 세포-매개된 세포독성(ADCC) 사멸을 개시할 수 있는 Fc 도메인 또는 등가의 도메인 또는 모이어티(moiety)를 가지며,
    (ii)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를 투여함으로써: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αvβ3(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CSC)를 사멸시키거나 이의 수를 감소시키고,
    -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αvβ3 (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또는 종양의 발달을 치료하거나, 완화시키거나 또는 역전시키거나 지연시키며,
    - 이들의 세포 표면에서 αvβ3 폴리펩타이드를 발현하는, 암 또는 종양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CSC)에 의해 유발되거나 개시되거나 또는 유지된 암의 발달을 완화시키거나 지연시키고,
    - 생체내에서 염증 반응을 트리거링하고 종양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대식구 집단을 증가시키며, 여기서 임의로, 염증 반응을 트리거링하고 종양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대식구 집단은 종양 관련 대식구(TAM) 또는 M1 대식구 집단을 포함하고,
    - 치료요법의 효과에 대해 αvβ3 (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또는 종양의 민감성을 향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가 사람화된 항체, 임의로 사람화된 쥐 항체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가 재조합 또는 가공된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항체가 사람 항체 또는 사람 폴리펩타이드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항체가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폴리클로날 항체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가 모노클로날 항체 LM609(Chemicon Int., 캘리포니아주 테메쿨라 소재)(CVCL_KS89)(ATCC 수탁 번호 HB 9537를 갖는 쥐 하이브리도마)(참고: 예컨대, 미국 특허 제7,115,261호); 클론 23C6으로부터 유래된 모노클로날 항체 CBL544(MilliporeSigma, 매사츄세츠주 벌링톤 소재); 모노클로날 항체 ab7166(abcam, 매사츄세츠주 캠브릿지 소재); 또는, 모노클로날 항체 ab78289(abcam, 매사츄세츠주 캠브릿지 소재); 또는, 또는 이의 임의의 사람화된 버젼, 또는 LM609, CBL544, ab7166 또는 ab78289의 αvβ3-결합 CDR을 포함하는 임의의 폴리펩타이드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식구가 사람 대식구, 또는 종양 관련된 대식구(TAM)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이 상피 암 또는 상피 종양 세포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이 약물 내성 암이고, 임의로 약물이 성장 인자 억제제 또는 키나제 억제제이고, 여기서 임의로 성장 인자 억제제가 수용체 타이로신 키나제(RTK) 억제제, 임의로 에를로티닙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가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정맥내, 근육내 또는 피하로 투여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가 멸균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형으로서 제형화되거나, 정맥내, 근육내 또는 피하 투여용으로 제형화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의 투여량이 고정된 또는 체중 기반 용량, 또는 매달 약 100 내지 1200 mg의 고정된 용량을 기반으로 하거나, 또는 약 0.3 내지 10 mg/kg의 투여량인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장 인자 억제제의 투여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으로서, 여기서 임의로 성장 인자 억제제가 수용체 타이로신 키나제(RTK) 억제제, Src 억제제, 항-대사산물 억제제, 겜시타빈, GEMZARTM, 유사분열 저해물질, 파클리탁셀, 탁솔, ABRAXANETM, 에를로티닙, TARCEVATM, 라파티닙, TYKERBTM, 세툭사밉, ERBITUXTM, 또는 인슐린 성장 인자 억제제를 포함하는 방법.
  14. -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αvβ3(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CSC)를 사멸시키거나 이의 수를 감소시키고,
    -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αvβ3(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또는 종양의 발달을 치료하거나, 완화시키거나, 또는 역전시키거나 감소시키며,
    - 이들의 세포 표면에서 αvβ3 폴리펩타이드를 발현하는, 암 또는 종양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CSC)에 의해 유발되거나 개시되거나 또는 유지된 암의 발달을 완화시키거나 지연시키고,
    - 생체내에서 염증 반응을 트리거링하고 종양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대식구 집단을 증가시키며, 여기서 임의로 염증 반응을 트리거링하고 종양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대식구 집단은 종양 관련된 대식구(TAM) 또는 M1 대식구 집단을 포함하며,
    - 치료요법의 효과에 대한 αvβ3(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또는 종양의 민감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의약의 제조 시의, 암 또는 종양 세포 상에서, 또는 CSC 상에서 발현된 αvβ3(avb3) 인테그린 폴리펩타이드에 특이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 또는, 암 또는 종양 세포 상에서, 또는 CSC 상에 발현된 αvβ3 (avb3) 인테그린 폴리펩타이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의 용도로서, 여기서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가, 대식구를 결합시킬 수 있고,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세포의 항체-의존성 세포-매개된 세포독성(ADCC) 사멸을 개시할 수 있는 Fc 도메인 또는 등가의 도메인 또는 모이어티를 갖는 것인 용도.
  15. -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αvβ3(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CSC)를 사멸시키거나 이의 수를 감소시키고,
    -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αvβ3(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또는 종양의 발달을 치료하거나, 완화시키거나, 또는 역전시키거나 감소시키며,
    - 이들의 세포 표면에서 αvβ3 폴리펩타이드를 발현하는, 암 또는 종양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CSC)에 의해 유발되거나 개시되거나 또는 유지된 암의 발달을 완화시키거나 지연시키고,
    - 생체내에서 염증 반응을 트리거링하고 종양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대식구 집단을 증가시키며, 여기서 임의로 염증 반응을 트리거링하고 종양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대식구 집단은 종양 관련된 대식구(TAM) 또는 M1 대식구 집단을 포함하며,
    - 치료요법의 효과에 대한 αvβ3(avb3) 폴리펩타이드-발현 암 또는 종양의 민감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형으로서,
    여기서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형이:
    암 또는 종양 세포상에, 또는 CSC 상에 발현된 αvβ3(avb3) 인테그린 폴리펩타이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 또는, 암 또는 종양 세포 상에서, 또는 CSC 상에서 발현된 αvβ3(avb3) 인테그린 폴리펩타이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고, 여기서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는 대식구를 결합시키고,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세포의 항체-의존성 세포-매개된 세포독성(ADCC) 사멸을 개시할 수 있는 Fc 도메인 또는 등가의 도메인 또는 모이어티를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형.
  16. 제15항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형을 포함하는 키트(kit).
KR1020197031332A 2017-03-31 2018-03-30 알파-v 베타-3-양성인 암 줄기 세포(csc)를 표적화하여 사멸시키고 약물 내성 암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2630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79768P 2017-03-31 2017-03-31
US62/479,768 2017-03-31
PCT/US2018/025470 WO2018183894A1 (en) 2017-03-31 2018-03-30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argeting and killing alpha-v beta-3-positive cancer stem cells (cscs) and treating drug resistant canc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205A true KR20190133205A (ko) 2019-12-02
KR102630070B1 KR102630070B1 (ko) 2024-01-26

Family

ID=63676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332A KR102630070B1 (ko) 2017-03-31 2018-03-30 알파-v 베타-3-양성인 암 줄기 세포(csc)를 표적화하여 사멸시키고 약물 내성 암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20200109205A1 (ko)
EP (2) EP4353318A2 (ko)
JP (2) JP2020512978A (ko)
KR (1) KR102630070B1 (ko)
CN (1) CN110662559A (ko)
AU (1) AU2018243670A1 (ko)
BR (1) BR112019020451A2 (ko)
CA (1) CA3058458A1 (ko)
EA (1) EA201992326A1 (ko)
IL (1) IL269746A (ko)
MX (1) MX2019011717A (ko)
WO (1) WO20181838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336A1 (ko) * 2019-07-24 2021-01-2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αVβ3 인테그린 표적 단일 도메인 항체
AU2020324391A1 (en) * 2019-08-02 2022-01-2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argeting and killing alpha-v beta-3 -positive cancer stem cells (CSCS) and treating drug resistant and metastatic cancers
CN115485301A (zh) * 2020-04-23 2022-12-16 阿尔法贝塔控股有限责任公司 治疗癌症的组合物和方法
CN112626118B (zh) * 2020-11-12 2023-06-23 清华-伯克利深圳学院筹备办公室 细胞株及其应用
WO2023056326A1 (en) * 2021-09-30 2023-04-06 Alpha Beta Holding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ancer
CN115960160A (zh) * 2021-10-12 2023-04-14 南京大学 活细胞膜整合素αvβ3聚糖的原位糖链延长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5957A1 (en) * 2002-03-04 2003-09-18 Medimmune, Inc.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using integrin alphavbeta3 antagonists in combination with other agents
WO2012167028A2 (en) * 2011-06-02 2012-12-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ancer and diseases and conditions responsive to cell growth inhibition
WO2013152313A1 (en) 2012-04-05 2013-10-1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ancer and diseases and conditions responsive to growth factor inhibition
WO2015068847A1 (ja) * 2013-11-11 2015-05-14 中外製薬株式会社 改変された抗体可変領域を含む抗原結合分子
WO2016100858A1 (en) * 2014-12-18 2016-06-2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for inhibiting alpha-v beta-3 expression on cancer stem cells and inhibiting progression to a cancer stem cell phenotyp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3230A (en) 1994-03-18 1998-05-19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Methods and compositions useful for inhibition of angiogenesis
US5716928A (en) 1995-06-07 1998-02-10 Avmax, Inc. Use of essential oils to increase bioavailability of oral pharmaceutical compounds
US5858401A (en) 1996-01-22 1999-01-12 Sidmak Laboratorie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cyclosporines
US6007839A (en) 1996-02-16 1999-12-28 The Liposome Company, Inc. Preparation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etherlipid-containing multiple lipid liposomes
AU733303C (en) * 1996-05-31 2002-08-08 Scripps Research Institute, The Methods and compositions useful for inhibition of angiogenesis
US6590079B2 (en) 1997-01-30 2003-07-08 Ixsys, Incorporated Anti-αvβ3 recombinant human antibodies, nucleic acids encoding same
US6630137B1 (en) 1997-04-28 2003-10-07 Eli Lilly And Company Activated protein C formulations
EP1005327A1 (en) 1997-07-02 2000-06-07 Sdg, Inc. Targeted liposomal constructs for diagnostic and therapeutic uses
PT1156823E (pt) * 1999-02-12 2009-01-08 Scripps Research Inst Métodos para tratamento de tumores e metástases utilizando uma combinação de terapias anti-angiogénicas e imunitárias
AU766570B2 (en) 1999-04-23 2003-10-16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Antibody and polyalkylene glycol-bonded liposome
US7671010B2 (en) 2002-08-30 2010-03-02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of targeting peptides for diagnosis and therapy of human cancer
US7858117B2 (en) 2002-02-21 2010-12-28 Novosom Ag Amphoteric liposomes and their use
EP1547581A1 (en) 2003-12-23 2005-06-29 Vectron Therapeutics AG Liposomal vaccine for the treatment of human hematological malignancies
EP1698329A4 (en) 2003-12-24 2009-10-28 Ltt Bio Pharma Co Ltd PHARMACEUTICAL NANOTEILS,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PARENTERALLY APPLIED PRODUCT FROM NANOTEILES
JP2007526322A (ja) 2004-03-02 2007-09-13 マサチューセッツ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テクノロジー ナノセル薬物送達系
EP1773298A1 (en) 2004-08-06 2007-04-18 Biospectrum, Inc. Multiple layered liposo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08510008A (ja) * 2004-08-16 2008-04-03 メディミュー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抗体依存性細胞性細胞傷害活性が増強されたインテグリンアンタゴニスト
CA2614046C (en) * 2005-06-30 2018-05-15 Centocor, Inc. Methods of controlling properties of therapeutic proteins, fc-containing therapeutic proteins of the g2s2 alpha-(2,3)-sialylated glycoform, and uses thereof
US9005654B2 (en) 2005-07-27 2015-04-14 Protiva Biotherapeut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liposomes
US20080088046A1 (en) 2006-10-13 2008-04-17 Steffen Panzner Amphoteric liposomes, a method of formulating an amphoteric liposome and a method of loading an amphoteric liposome
CA2629815C (en) * 2005-11-14 2014-08-12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Integrin-binding small molecules
US20080089928A1 (en) 2006-06-13 2008-04-17 Stavroula Sofou Liposome drug carriers with ph-sensitivity
US20110319335A1 (en) * 2010-06-23 2011-12-29 Xiaodong Feng Combined administration of integrin receptor antagonists for anti-angiogenic therapy
EP3052523B1 (en) * 2013-10-01 2021-03-10 Medimmune Limited Methods of treating and diagnosing alpha-v-beta-6 overexpressing canc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5957A1 (en) * 2002-03-04 2003-09-18 Medimmune, Inc.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using integrin alphavbeta3 antagonists in combination with other agents
WO2012167028A2 (en) * 2011-06-02 2012-12-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ancer and diseases and conditions responsive to cell growth inhibition
WO2013152313A1 (en) 2012-04-05 2013-10-1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ancer and diseases and conditions responsive to growth factor inhibition
WO2015068847A1 (ja) * 2013-11-11 2015-05-14 中外製薬株式会社 改変された抗体可変領域を含む抗原結合分子
WO2016100858A1 (en) * 2014-12-18 2016-06-2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for inhibiting alpha-v beta-3 expression on cancer stem cells and inhibiting progression to a cancer stem cell pheno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3894A1 (en) 2018-10-04
CN110662559A (zh) 2020-01-07
US20240067733A1 (en) 2024-02-29
IL269746A (en) 2019-11-28
BR112019020451A2 (pt) 2020-04-28
MX2019011717A (es) 2019-12-16
EP3600422A1 (en) 2020-02-05
EP3600422A4 (en) 2021-01-13
JP2021095423A (ja) 2021-06-24
EP4353318A2 (en) 2024-04-17
US20200109205A1 (en) 2020-04-09
KR102630070B1 (ko) 2024-01-26
CA3058458A1 (en) 2018-10-04
AU2018243670A1 (en) 2019-10-31
EA201992326A1 (ru) 2020-03-13
JP2020512978A (ja) 2020-04-30
EP3600422B1 (en) 202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0070B1 (ko) 알파-v 베타-3-양성인 암 줄기 세포(csc)를 표적화하여 사멸시키고 약물 내성 암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JP6706367B2 (ja) 血管漏出症候群および癌を治療する方法
JP6072854B2 (ja) Cd38を特異的に認識する抗体とシタラビンを含有する抗腫瘍性組合せ剤
KR102193045B1 (ko) 항-cd38 항체 및 레날리도마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TWI454260B (zh) 包含專一性辨識cd38之抗體及黴法蘭(melphalan)之抗腫瘤組合
JP2014132009A5 (ko)
TW201024310A (en) Antitumor combinations containing antibodies recognizing specifically CD38 and vincristine
JP2012500180A5 (ko)
WO2021182573A1 (ja) 癌の治療及び/又は予防のための医薬品
WO2012071573A2 (en)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
US8685401B2 (en) Methods of enhancing the response to radiation in tumor therapy using anti-DLL4 antibodies
US20210267972A1 (en) Administration of sumo-activating enzyme inhibitor and anti-cd20 antibodies
KR20230098279A (ko) Pdx 억제제 또는 독소루비신과 ahr 억제제의 조합
JP2022543780A (ja) 抗ガレクチン9抗体と化学療法剤の組合せがん治療
US20240043543A1 (en) Anti-galectin-9 antibodie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CN117015377A (zh) 使用波生坦与检查点抑制剂组合的癌症治疗
US20220233531A1 (en) Administration of sumo-activating enzyme inhibitor and checkpoint inhibitors
WO2021182572A1 (ja) 癌の治療及び/又は予防のための医薬品
WO2024100663A1 (en) Anti carcinoembryonic antigen-related cell adhesion molecule 1 (ceacam1) antibodies for inhibition of neutrophil extracellular traps (net)-mediated activities
CN117693363A (zh) 用于癌的治疗和/或预防的药品
CN114144181A (zh) 用于靶向和杀死α-vβ-3(αvβ3)阳性癌症干细胞(CSC)以及治疗耐药性和转移性癌症的组合物和方法
JP2019526813A (ja) Tirc7を基礎とする固形癌の診断及び治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