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174A -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티드에 대해 지시되는 항체에 반응하는 두통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티드에 대해 지시되는 항체에 반응하는 두통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174A
KR20190133174A KR1020197028420A KR20197028420A KR20190133174A KR 20190133174 A KR20190133174 A KR 20190133174A KR 1020197028420 A KR1020197028420 A KR 1020197028420A KR 20197028420 A KR20197028420 A KR 20197028420A KR 20190133174 A KR20190133174 A KR 20190133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cdr
specified
monoclonal antibody
amino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미 버스테인
Original Assignee
베쓰 이스라엘 디코니스 메디칼 센터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쓰 이스라엘 디코니스 메디칼 센터 인크 filed Critical 베쓰 이스라엘 디코니스 메디칼 센터 인크
Publication of KR20190133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1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proteinaceous materials, e.g. enzymes, hormones, lymphok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6Antimigrai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route of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dose, timing or administration sched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1Complete heavy chain or Fd fragment, i.e. VH + CH1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15Complete light chain, i.e. VL + C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5Fab or Fab'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07K2317/565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6Antagonist effect on antigen, e.g. neutralization or inhibition of bi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9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harmaco)kinetic aspects or by stability of the immunoglobulin
    • C07K2317/92Affinity (KD), association rate (Ka), dissociation rate (Kd) or EC50 val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Endocri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CGRP 항체로의 치료에 반응하는 두통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 및 항-CGRP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선택된 환자에서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티드에 대해 지시되는 항체에 반응하는 두통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2017년 3월 2일에 출원된 미국출원 제62/466,158호; 2017년 4월 27일에 출원된 미국출원 제62/490,953호; 2017년 6월 2일에 출원된 미국출원 제62/514,346호; 및 2017년 6월 7일에 출원된 미국출원 제62/516,406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전술한 출원 각각의 내용은 본원에 전체적으로 참고로 통합된다.
인간화된 항-칼시토닌 유전자-관련 펩타이드(CGRP) 단클론성 항체는 만성 편두통의 빈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문헌[도딕 디더블유(Dodick DW) . (2014) Lancet Neurol .13:1100-1107; 도딕 디더블유(Dodick DW) . (2014) Lancet Neurol .13:885-892; 비갈 엠이(Bigal ME) . (2015) Lancet Neurol.14:1081-1090; 비갈 엠이(Bigal ME) . (2015) Lancet Neurol.14:1091-1100; 및 선 에이치(Sun H) . (2016) Lancet Neurol.15:382-390]). 그러나, 항-CGRP 항체는 일부 두통의 치료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으나, 환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반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CGRP 항체는 상기 두통의 치료 또는 두통 발생의 예방에 있어서 완전히 효과적, 부분적으로 효과적, 또는 전혀 비효과적일 수 있다. 항-CGRP 항체를 사용하는 치료 이전에, 상기 항체의 사용이 두통의 치료 및/또는 두통 발달의 예방에 효과적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면 환자 케어에 유익할 수 있고, 의사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특정 치료 과정의 불필요한 이용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항-CGRP 항체를 포함하는 치료가, 두통을 갖는 환자 또는 두통에 취약한 환자의 치료에 효과적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항-CGRP 항체를 사용한 치료에 반응하는 두통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 및 항-CGRP 항체를 사용하여 선택된 환자에서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서, a) 고-역치(HT) 뉴런의 활성화 및 감작에 의해 매개되는 두통을 갖는 환자를 선택하는 단계; 및 b) 상기 환자에서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CGRP 경로를 조절(예를 들어,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하는 단클론성 항체를 상기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의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a) CGRP 경로를 조절(예를 들어,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하는 제1 단클론성 항체를 투여함으로써 감소가능한 통각과민(hyperalgesia)을 나타내는 환자를 선택하는 단계; 및 b) 상기 환자의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상기 CGRP 경로를 조절하는 제2 단클론성 항체를 상기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의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추가적인 또 다른 측면에서, a) 두부(head)의 일부(예컨대, 한쪽 안와주위(periorbital), 한쪽 관자놀이, 또는 한쪽 눈)에서 주로 경험되는 두통을 갖는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 및 b) 상기 환자의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CGRP 경로를 조절(예를 들어,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하는 단클론성 항체를 상기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의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a) 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하는 제1 단클론성 항체를 투여함으로써 통각과민 및 이질통(allodynia)의 제거를 나타내는 환자를 선택하는 단계; 및 b) 상기 환자의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하는 제2 단클론성 항체를 상기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의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본원에 제공된 방법 중 임의의 양태에서, 상기 환자는 편두통 환자이다.
본원에 제공된 방법 중 임의의 추가적인 양태에서, 상기 환자는 만성 또는 간헐성 편두통(episodic migraine) 환자이다.
본원에 제공된 방법 중 임의의 양태에서, 상기 환자는 뇌수막염, 경막외 출혈, 경막하 출혈, 지주막 출혈, 또는 뇌종양을 갖는다.
본원에 제공된 방법 중 임의의 양태에서, 상기 두통은 두개내 기원(intracranial origin)이다.
본원에 제공된 방법 중 임의의 양태에서, 상기 두통은 편두통이다. 본원에 제공된 방법 중 임의의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두통은 전조 동반 편두통(migraine with aura)이다.
본원에 제공된 방법 중 임의의 양태에서, 상기 두통은 뇌수막염, 경막외 출혈, 경막하 출혈, 지주막 출혈, 또는 뇌종양에 기인한다.
본원에 제공된 방법 중 임의의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상기 환자에게 정맥내 또는 피하내 투여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은 상기 환자에게 상기 단클론성 항체의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투약량을 투여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원에 제공된 방법 중 임의의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항-CGRP 길항제 항체이다. 본원에 제공된 방법 중 임의의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항-CGRP 수용체 항체이다.
본원에 제공된 방법 중 임의의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인간 또는 인간화(humanized)된다.
본원에 제공된 방법 중 임의의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IgG1, IgG2, IgG3, 또는 IgG4 항체이다.
본원에 제공된 방법 중 임의의 양태에서, 상기 환자는 인간이다.
추가적인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환자가 편두통을 갖지 않는 동안에 상기 단클론성 항체가 투여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환자가 두통(예를 들어, 편두통)을 갖는 동안에 상기 단클론성 항체가 투여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의 단클론성 항체는 프리필드(pre-filled) 주사기, 바늘 안전 장치를 갖는 프리필드 주사기, 인젝션 펜(injection pen), 또는 자동-인젝터(auto-injector)로부터 또는 이들을 사용하여 상기 환자에게 투여된다.
본원에 제공된 방법의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6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7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8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및 서열번호: 1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를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프레마네주맙(fremanezumab)(또한 본원에서 "G1"으로 언급됨)이다.
일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약 225 내지 약 900 mg의 투약량으로, 예를 들어 약 225 mg의 투약량으로, 약 675 mg의 투약량으로, 약 900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된다. 이들 투약량은 매달 또는 매 분기에 상기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중 임의의 투약량(예를 들어, 약 225, 약 675, 또는 약 900 mg)은 정맥내 또는 피하내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투약 요법은 초기 투약량(예를 들어, 675 mg)을 포함하며, 상기 초기 투약량이 상기 환자에게 투여되는 달(month)에 후속한 2개월(또는 3개월, 4개월, 5개월, 6개월 또는 12개월) 중 각각에 한 달에 한 번 약 225 mg의 상기 단클론성 항체의 추가적인 투약량을 상기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적어도 약 150 mg/mL의 농도로 상기 항체를 포함하는 제형으로서 투여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2 mL 미만의 체적(예를 들어, 약 1.8 mL, 약 1.7 mL, 약 1.6 mL, 약 1.5 mL, 약 1.4 mL, 약 1.3 mL, 약 1.2 mL, 약 1.1 mL, 약 1.0 mL, 약 0.9 mL, 약 0.8 mL, 약 0.7 mL, 약 0.6 mL, 약 0.5 mL 이하)으로 투여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바람직하게는 약 1.5 mL의 체적으로 투여된다.
일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87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88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89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8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8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86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8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상기 서열번호: 80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83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및 서열번호: 8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엡티네주맙(eptinezumab)이다. 엡티네주맙은 약 100 mg, 약 300 mg, 또는 약 1000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들 중 임의의 투약량(예를 들어, 약 100 mg, 약 300 mg, 또는 약 1000 mg)은 정맥내 또는 피하내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9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9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9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91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92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90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97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상기 서열번호: 96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99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및 서열번호: 98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갈카네주맙(galcanezumab)이다. 갈카네주맙은 약 120 mg 또는 약 240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20 mg 투약량은 약 1.5 mL의 체적으로 투여될 수 있고 상기 240 mg 투약량은 약 3 mL의 체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들 중 임의의 투약량(예를 들어, 약 120 mg 또는 240 mg)은 정맥내 또는 피하내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0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10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10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100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101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102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07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106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09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및 서열번호: 108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에레누맙(erenumab)이다. 에레누맙은 약 70 mg 또는 약 140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70 mg 투약량은 약 1 mL의 체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140 mg 투약량은 약 2 mL의 체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들 중 임의의 투약량(예를 들어, 약 70 또는 140 mg)은 정맥내 또는 피하내 투여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고-역치(HT) 뉴런의 활성화 및 감작에 의해 매개되는 두통을 갖는 환자의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는 의약을 제조하기 위한, CGRP 경로를 조절(예컨대,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하는 단클론성 항체의 용도가 본원에 제공된다
일 측면에서, CGRP 경로를 조절(예컨대,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하는 단클론성 항체의 투여에 의해 감소가능한 통각과민을 나타내는 환자의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는 의약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CGRP 경로를 조절(예컨대,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하는 단클론성 항체의 용도가 본원에 제공된다.
일 측면에서, 두부의 일부(예컨대, 한쪽 안와주위, 한쪽 관자놀이, 또는 한쪽 눈)에서 주로 경험되는 두통을 갖는 환자의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는 의약을 제조하기 위한, CGRP 경로를 조절(예컨대,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하는 단클론성 항체의 용도가 본원에 제공된다.
본원에 제공된 용도의 임의의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6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7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8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한다. 본원에 제공된 용도 중 임의의 일부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본원에 제공된 용도 중 임의의 일부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및 서열번호: 1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를 포함한다.
본원에 제공된 용도 중 임의의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87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88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89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8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8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86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용도 중 임의의 일부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8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80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용도 중 임의의 일부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83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및 서열번호: 8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를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용도 중 임의의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9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9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9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91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92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90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용도 중 임의의 일부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97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96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용도 중 임의의 일부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99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및 서열번호: 98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를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용도 중 임의의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0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10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10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100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101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102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용도 중 임의의 일부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07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106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용도 중 임의의 일부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09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및 서열번호: 108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서, CGRP 경로를 조절(예컨대,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하는 일정 투약량의 단클론성 항체를 포함하는 프리필드 주사기, 바늘 안전 장치를 갖는 프리필드 주사기, 인젝션 펜, 또는 자동-인젝터; 및 환자의 두통이 고-역치(HT) 뉴런의 활성화 및 감작에 의해 매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설명서를 포함하는 키트가 본원에 제공된다.
일 측면에서, 환자의 두통 빈도의 감소에 사용하기 위해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하는 단클론성 항체가 본원에 제공되되, 상기 환자는 고-역치(HT) 뉴런의 활성화 및 감작에 의해 매개되는 두통을 갖는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환자는 고-역치(HT) 뉴런의 활성화 및 감작에 의해 매개되는 두통을 갖도록 결정되었다.
또 다른 측면에서, 환자의 두통 빈도의 감소에 사용하기 위해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하는 단클론성 항체가 본원에 제공되되, 상기 환자는 상기 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하는 단클론성 항체의 투여에 의해 감소가능한 통각과민을 나타내는 것이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환자는 통각과민을 나타내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환자는 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하는 단클론성 항체의 투여에 의해 감소가능한 통각과민을 갖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또 다른 측면에서, 환자의 두통 빈도의 감소에 사용하기 위한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하는 단클론성 항체가 본원에 제공되되, 상기 환자는 두부의 일부에서 주로 경험되는 두통을 갖는 것이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환자는 두부의 일부에서 두통을 주로 경험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6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7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8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1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1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87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88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89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8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8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86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8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80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83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8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9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9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9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91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92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90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97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96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99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98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10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10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10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100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101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102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107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106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109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108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서, CGRP 경로를 조절(예컨대,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하는 일정 투약량의 단클론성 항체를 포함하는 프리필드 주사기, 바늘 안전 장치를 갖는 프리필드 주사기, 인젝션 펜, 또는 자동-인젝터; 및 상기 CGRP 경로를 조절(예컨대,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하는 단클론성 항체를 투여함으로써 감소가능한 과민통각을 환자가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설명서를 포함하는 키트가 본원에서 제공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하는 일정 투약량의 단클론성 항체를 포함하는 프리필드 주사기, 바늘 안전 장치를 갖는 프리필드 주사기, 인젝션 펜, 또는 자동-인젝터; 및 환자의 두통이 두부의 일부(예컨대, 한쪽 안와주위, 한쪽 관자놀이, 또는 한쪽 눈)에서 주로 경험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설명서를 포함하는 키트가 본원에서 제공된다.
도 1은 상이한 알라닌 치환된 인간 α-CGRP 단편에 대하여 12 쥣과 항체의 결합 친화도를 보여주는 표이다. 결합 친화도는 칩에서 CGRPs에 걸쳐 Fabs를 유동시킴으로써 비아코어를 이용하여 25℃에서 측정되었다. 박스표시된 값은, 19-37 모로부터 유도되었던, K35A 제외, 친계 단편, 25-37 (이텔릭)에 비해 알라닌 돌연변이체의 친화도에서 손실을 나타낸다. "a"은 19-37 및 25-37 단편에 대한 친화도를 가리키는 것으로, 상이한 센서 칩에 대한 2 개의 독립된 측정치의 중간값 평균 ± 표준 편차이다. "b"는 2상 오프 레이트(biphasic off rate)로 인해 단순 2분자 상호작용 모델로부터 벗어나 있는 이들 상호작용을 가리키며, 따라서, 이들의 친화도는 형태 변화 모델(conformational change model)을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그레이 스케일 핵심: 흰색(1.0)은 친계 친화도(parental affinity)를 가리키고. 밝은 회색(0.5 미만)은 친계보다 더 높은 친화도를 가리키며. 진한 회색(2 초과)은 친계보다 낮은 친화도를 가리키고. 그리고, 검은색은 결합이 검출되지 않았음을 가리킨다.
도 2a 및 2b는 30 초 동안 전기 펄스 자극 이후 혈구 유동으로서 측정된 피부 혈류에서 CGRP 8-37 (400 nmol/kg), 항체 4901 (25 mg/kg), 및 항체 7D11 (25 mg/kg) 투여의 효과를 보여준다. CGRP 8-37은 전기 펄스 자극 이전 정맥내 (iv) 3-5 분 투여되었다. 항체는 전기 펄스 자극 이전 복강내 (IP) 72 시간 투여되었다. 그래프에서 각각의 지점은 표시된 바와 같은 조건하에서 처리된 1 랫트의 AUC를 나타낸다. 그래프에서 각각의 라인은 표시된 바와 같은 조건하에서 처리된 랫트의 평균 AUC를 나타낸다. AUC(곡선 아래의 영역)은 하기에 해당한다: △유동 x △시간. "△유동"은 전기 펄스 자극 이후의 유동 단위의 변화를 표시하고; 그리고, "△시간"은 상기전기 펄스 자극 이전의 수준으로 복귀하기 위해 혈구 유동 수준에 대해 취해지는 기간을 표시한다.
도 3은 30초 동안 전기 펄스 자극 이후에 혈구 유동으로 측정된 피부 혈류에 대한, 항체 4901(25 mg/kg, 5 mg/kg, 2.5 mg/kg 또는 1 mg/kg)의 상이한 투약량을 투여하는 효과를 보여준다. 항체는 전기 펄스 자극 이전 정맥내 (IV) 24 시간 투여되었다. 그래프에서 각각의 지점은 표시된 바와 같은 조건하에서 처리된 1 랫트의 AUC를 나타낸다. 그래프에서 라인은 표시된 바와 같은 조건하에서 처리된 랫트의 평균 AUC를 나타낸다.
도 4a 및 4b는 30초 동안 전기 펄스 자극 이후에 혈구 유동으로 측정된 피부 혈류에 대한, 항체 4901(1 mg/kg 또는 10 mg/kg, i.v.), 항체 7E9(10 mg/kg, i.v.) 및 항체 8B6(10 mg/kg, i.v.)을 투여하는 효과를 보여준다. 항체는 정맥내 (i.v.) 투여된 다음 항체 투여 이후 30 분, 60 분, 90 분, 및 120 분에서 전기 펄스 자극되었다. Y 축은 항체가 투여되지 않았을 때 (시간 0) AUC의 수준에 비교시 AUC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X 축은 항체의 투여와 전기 펄스 자극 사이의 시간 (분) 기간을 나타낸다. 시간 0과 비교시 “*”는 P<0.05를 가리키고, "**"는 P<0.01을 가리킨다. 데이터는 던넷 다중 비교 시험을 갖춘 1방식 ANOVA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도 5는 항체 G1의 중쇄 가변 영역 (서열번호: 1) 및 경쇄 가변 영역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보여준다. 카밧 CDR은 볼드체이고, 그리고 초티아 CDR는 밑줄친다.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에 대한 아미노산 모이어티는 순차적으로 넘버링된다.
도 6은 비아코어를 이용한 펩타이드 경쟁에 의해 항체 G1의 에피토프 맵핑을 보여준다. N-바이오티닐화된 인간α-CGRP은 SA 센서 칩에 포획되었다. 경쟁 펩타이드의 부재하에 또는 10 μM의 경쟁 펩타이드와 함께 1시간 동안 사전-인큐베이션된 G1 Fab(50 nM)은 상기 칩 상으로 유동되었다. 상기 칩에서 상기 인간 α-CGRP에 대한 G1 Fab의 결합이 측정되었다. Y 축은 경쟁 펩타이드의 부재시 결합과 비교된 경쟁 펩타이드의 존재시 차단된 결합의 백분율을 표시한다.
도 7a, 7b, 7c, 7d, 7e, 7f, 7g, 7h, 7i 및 7j는 수컷 및 암컷 랫트에서 CGRP-mAb(도 7a, 7b, 7c, 7f, 7g, 및 7h, n=36) 또는 아이소타입-conAb(도 7d, 7e, 7i, 및 7j, n=27)의 효과에 대해 테스트된 63개 삼차신경혈관 뉴런의 각각의 기록 부위(도 7a 및 7f), 안면 수용 필드(도 7b, 7d, 7g 및 7i), 및 경막 수용 필드(도 7c, 7e, 7h, 및 7j)를 보여준다. 도 7a 및 7f는 제1 자궁경부 세그먼트를 관통하는 대표적인 횡단 섹션에 작도된 기록 부위를 나타낸다. 원(circle)은 가리킨 바와 같은 HT 및 WDR 뉴런을 표시한다. 도 7b, 7d, 7g 및 7i는 피부의 가장 민감한 영역(즉, 브러쉬, 압력 및 핀치가 적용되는 곳) 및 각막 수용 필드를 보여준다. 도 7c, 7e, 7h 및 7j는 경막 상의 기계적 민감 수용 필드를 보여주되, 이들은 전부 횡정맥동 상에 또는 그 주위에 있었다. 상기 수용 필드 도면에서 보여준 경막의 부분은 도 7h의 삽도(inset)에서 파선으로 외곽선 표시되어 있다. 모든 경막 및 안면 수용 필드는 기록된 뉴런에 대해 동측성이었다. 약어:HT, 고-역치; WDR, 광역학 범위.
도 8a, 8b, 8c, 8d, 8e, 8f 및 8g는 수컷 및 암컷 랫트에서 삼차신경혈관 뉴런의 자발 활성에 대한 CGRP-mAb(도 8a, 8b, 8c 및 8d) 및 아이소타입-conAb(도 8e, 8f 및 8g)의 효과를 보여준다. 도 8a, 8d, 및 8f는 HT 뉴런에 대한 기준선(BL) 및 CGRP-mAb(도 8a) 또는 아이소타입-conAb(도 8e) 투여 후 1 내지 4시간에 기록된 자발적 배출 속도를 작동한 것이다. 괄호안 수치는 각 시간 포인트에서 15분 샘플링 기간동안의 평균 배출 속도를 보여준다. Bin 너비 = 1초. 도 8b 및 8c는 수컷(도 8b) 및 암컷(도 8c) 랫트에서 기준선 및 CGRP-mAb 투여 후 1 내지 4시간에 기록된 HT 및 WDR 뉴런의 평균(±S.E.) 자발적 배출을 보여주는 히스토그램이다. 도 8f 및 8g는 수컷(도 8f) 및 암컷(도 8g) 랫트에서 기준선 및 아이소타입-conAb 투여 후 1 내지 4시간에 기록된 HT 및 WDR 뉴런의 평균(±S.E.) 자발적 배출을 보여주는 히스토그램이다. *p<0.05는 기준선 비교시. 도 8b, 8c, 8f 및 8g의 괄호안 수치는 각 그룹의 뉴런 갯수를 묘사한다.
도 9a, 9b, 9c, 9d, 9e, 및 9f는 수컷 및 암컷 랫트의 경막 만입(indentation)에 대한 삼차신경혈관 뉴런의 반응에 대한 CGRP-mAb(도 9a, 9b 및 9c) 및 아이소타입-conAb(도 9d, 9e 및 9f)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a 및 9d는 HT 뉴런에 대한 기준선(BL) 및 CGRP-mAb(도 9a) 또는 아이소타입 대조군 항체(isotype-conAb)(도 9d) 투여 후 1 내지 4시간에 폰 프레이 헤어(VFH, 4.19 g)에 의한 경막 만입에 대한 반응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괄호안 수치는 상기 자극 동안의 평균 배출율을 보여준다. Bin 너비 = 1초. 도 9b 및 9c는 수컷(도 9b) 및 암컷(도 9c) 랫트에서 CGRP-mAb를 받은 뉴런의 전체 샘플에 대한 기준선 및 약물 투여 후 1 내지 4시간에 경막 자극에 반응한 평균(±S.E.) 배출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e 및 9f는 수컷(도 9e) 및 암컷(도 9f) 랫트에서 기준선 및 아이소타입-conAb를 받은 뉴런의 전체 샘플에 대한 기준선 및 약물 투여 후 1 내지 4시간에 경막 자극에 반응한 평균(±S.E.) 배출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 p<0.05는 기준선 비교시.도 9b, 9c, 9e 및 9f의 괄호안 수치는 각 그룹의 뉴런의 갯수를 묘사한다.
도 10a, 10b, 10c, 10d, 10e, 10f, 10g 및 10h는 수컷 및 암컷 랫트의 피부 수용 필드의 무해 및 유해한 기계적 자극에 대한 중추 삼차신경혈관 뉴런의 반응에 대한 CGRP-mAb(도 10a, 10b, 10c, 10d) 및 아이소타입-conAb(도 10e, 10f, 10g, 및 10h)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a, 10b, 10e 및 10f는 기준선(BL) 및 CGRP-mAb 또는 아이소타입-conAb 투여 후 1 내지 4시간에, 브러쉬, 압력 및 핀치를 사용한 기계적 자극에 대한 HT(도 10a 및 10e) 및 WDR(도 10b 및 10f)의 피부 수용 필드의 반응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괄호안 수치는 각 자극 동안의 평균 배출율을 보여준다. Bin 너비 = 1초. 도 10c 및 10d는 수컷(도 10c) 및 암컷(도 10d) 랫트에서 CGRP-mAb를 받은 뉴런의 전체 샘플에 대한 기준선 및 약물 투여 후 1 내지 4 시간에 피부 자극에 반응한 평균(±S.E.) 배출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g 및 10h는 수컷(도 10g) 및 암컷(도 10h) 랫트에서 아이소타입-conAb를 받은 뉴런의 전체 샘플에 대한 기준선 및 약물 투여 후 1 내지 4시간에 피부 자극에 반응한 평균(±S.E.) 배출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c, 10d, 10g 및 10h의 괄호안 수치는 각 그룹의 뉴런의 갯수를 묘사한다.
도 11a, 11b, 11c, 11d, 11e 및 11f는 수컷 및 암컷 랫트에서 각막의 기계적 자극에 대한 중추 삼차신경혈관 뉴런의 반응에 대한 CGRP-mAb(도11a, 11b 및 11c) 및 아이소타입-conAb(도 11d, 11e, 및 11f)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a 및 11d는 HT 뉴런에 대한 기준선(BL) 및 CGRP-mAb(도 11a) 또는 아이소타입-conAb(도 11d) 투여 후 1 내지 4시간에 부드러운 브러쉬에 의한 각막의 기계적 자극에 대한 반응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괄호안 수치는 각 자극 동안의 평균 배출율을 보여준다. Bin 너비 = 1초. 도 11b 및 11c는 수컷(도 11b) 및 암컷(도 11c) 랫트에서 CGRP-mAb를 받은 뉴런의 전체 샘플에 대한 기준선 및 약물 투여 후 1 내지 4시간에 각막 자극에 반응한 평균(±S.E.) 배출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e 및 11f는 수컷(도 11e) 및 암컷(도 11f) 랫트에서 아이소타입-conAb를 받은 뉴런의 전체 샘플에 대한 기준선 및 약물 투여 후 1 내지 4시간에 각막 자극에 반응한 평균(±S.E.) 배출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b, 11c, 11e 및 11f의 괄호안 수치는 각 그룹의 뉴런의 갯수를 묘사한다.
도 12a, 12b, 12c, 12d, 12e 및 12f는 약물 치료후 4시간 후에 유도된 피질 확산성 억제(CSD)에 의한 삼차신경혈관 뉴런의 활성화에 대한 CGRP-mAb(도 12a, 12b 및 12c) 및 아이소타입-conAb(도 12d, 12e, 및 12f)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2a 및 12d는 CSD 유도전 4시간에 CGRP-mAb(도 12a) 또는 아이소타입-conAb(도 12d)를 받은 2개의 HT 뉴런에서 CSD 유도 전(상단), CSD 유도 동안(중간), CSD 후 2시간(하단)에서의 삼차신경혈관 뉴런의 배출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Bin 너비 = 1초. 도 12b 및 12c는 수컷(도 12b) 및 암컷(도 12c) 랫트에서 아이소타입-conAb 투여 이후의 CSD 반응을 위해 테스트된 HT 및 WDR 삼차신경혈관 뉴런의 전체 샘플에 대한 평균(±S.E.) 배출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2e 및 12f는 수컷(도 12e) 및 암컷(도 12f) 랫트에서 CGRP-mAb 투여 이후에 CSD 반응을 위해 테스트된 HT 및 WDR 삼차신경혈관 뉴런의 전체 샘플에 대한 평균(±S.E.) 배출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배출은 기준선 (약물 치료이후 4시간, CSD 유도 이전) 및 CSD 후 2시간으로 보여준다. * p<0.05는 기준선 비교시.도 12b, 12c, 12e 및 12f에서 괄호안 수치는 각 그룹에서 뉴런의 갯수를 묘사한다.
도 13a 및 13b는 수컷 및 암컷 랫트에서 CSD 발생에 이어 경막 및 피부 수용 필드의 팽창을 묘사한다. 청색(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대각선) 및 분홍색(오른쪽 위에서 왼쪽 아래로 대각선)은 아이소타입-conAb(도 13a) 및 CGRP-mAb(도 13b) 치료된 랫트에서 CSD 유도 이전, 및 CSD 유도 후 2시간에 경막 및 피부 수용 필드를 각각 예시한다.
도 14a, 14b, 14c, 14d, 14e 및 14f는 CSD에 이어 경막의 기계적 자극에 대한 향상된 반응이 CGRP-mAb에 의해 예방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4a 및 14d는 CSD 유도전 4시간에 CGRP-mAb(도 14a) 또는 아이소타입-conAb(도 14d)로 치료받은 2개의 HT 뉴런에서, CSD 유도 이전(BL) 및 CSD후 2시간에 경막 만입에 대한 반응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괄호안 수치는 각 자극 동안의 평균 배출율을 보여준다. Bin 너비 = 1초. 도 14b, 14c, 14e 및 14f는 아이소타입-conAb(도 14b 및 14c) 또는 CGRP-mAb(도 14e 및 14f)로 치료받은 뉴런에서, CSD 유도 이전(기준선) 및 CSD후 2시간에 경막 만입에 대한 반응에서 평균(±S.E.) 배출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수컷에 기록된 뉴런은 도 14b 및 14e에서 보여주며; 암컷에 기록된 뉴런은 도 14c 및 14f에서 보여준다. * p<0.05는 기준선 비교시. 도 14b, 14c, 14e 및 14f의 괄호안 수치는 각 그룹에서 뉴런의 갯수를 묘사한다.
도 15a, 15b, 15c, 15d, 15e 및 15f는 CSD에 이어 피부 자극에 대한 향상된 반응이 CGRP-mAb에 의해 예방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5a 및 15d는 CSD 유도전 4시간에 CGRP-mAb(도 15a) 또는 아이소타입-conAb(도 15d)을 받은 2개의 HT 뉴런의 경우에, CSD 유도 이전(BL) 및 CSD후 2시간에 브러쉬, 압력 및 핀치에 의한 피부 수용 필드의 기계적 자극에 대한 반응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괄호안 수치는 각 자극 동안의 평균 배출율을 보여준다. Bin 너비 = 1초. 도 15b, 15c, 15e, 및 15f는 CSD 유도 이전의 4시간에 아이소타입-conAb 또는 CGRP-mAb을 치료받은 HT 뉴런에서, CSD 이전(기준선) 및 CSD후 2시간에 피부 자극에 반응한 평균(±S.E.) 배출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수컷에 기록된 뉴런은 도 15b 및 15e에서 보여지고 있다; 암컷에 기록된 뉴런은 도 15c 및 15f에서 보여지고 있다. * p<0.05는 기준선 비교시.
도 16a, 16b, 16c, 16d, 16e, 및 16f는 CSD에 이어 각막의 기계적 자극에 대한 향상된 반응이 CGRP-mAb(암컨만)에 의해 예방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6a 및 16d는 CSD 유도 이전 4시간에 아이소타입-conAb(도 16a) 또는 CGRP-mAb(도 16d)로 치료받은 2개의 HT 뉴런에서, CSD 유도 이전(BL) 및 CSD후 2시간에 각막 자극(부드러운 브러쉬)에 대한 반응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Bin 너비 = 1초. 도 16b, 16c, 16e 및 16f는 CSD 유도 이전 4시간에 아이소타입-conAb(도 16b 및 16c) 또는 CGRP-mAb(도 16e 및 16f)으로 치료받은 뉴런에서, CSD 유도 이전(기준선) 및 CSD 후 2시간에 각막 자극에 반응한 평균(±S.E.) 배출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수컷에 기록된 뉴런은 도 16b 및 16e에서 보여준다; 암컷에 기록된 뉴런은 도 16c 및 16f에서 보여준다. * p<0.05는 기준선 비교시.
도 17은 상기 표시된 자극의 적용시에 미감작(na
Figure pct00001
ve) 상태 및 CSD 후 상태에서 수컷 및 여성 랫트에서 HT 및 WDR 뉴런의 자발 활성의 연구 결과(실시예 5에 기재된 바와 같음)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18a, 18b 및 18c는 CSD에 의한 a-델타 수막 통각수용체(nociceptor)의 활성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8a는 CSD에 대한 예시적인 개별 a-델타 섬유 반응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상기 뉴런의 기준선 자발 활성은 0 내지 60분에서 보여지는 반면 CSD 후의 뉴런의 발화율(firing rate)은 60 내지 120분에서 보여진다. 도 18b는 CSD에 의해 활성화된 6개의 a-델타 섬유의 평균(±SE) 반응 크기를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이다 (p < 0.05). 도 18c는 모든 6개의 a-델타 뉴런의 반응 빈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9a, 19b 및 19c는 CSD에 의한 C-유형 수막 통각수용체의 활성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9a는 CSD에 대한 예시적인 개별 C-유형 섬유 반응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상기 뉴런의 기준선 자발 활성은 0 내지 60분에서 보여지는 반면, CSD 후 뉴런의 발화율은 60 내지 120분에서 보여준다. 도 19b는 CSD에 의해 활성화된 상기 6개의 C-유형 섬유의 평균(±SE) 반응 크기를 보여준다 (p < 0.05). 도 19c는 모든 6개의 C-유형 뉴런의 반응 빈도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20a 및 20b는 프레마네주맙이 대부분의 a-델타 및 일부 C-유형 수막 통각수용체의 활성화를 예방함을 보여준다. 도 20a는 CSD 후의 자발 활성의 비변화를 보여주는 프레마네주맙 치료된 a-델타 섬유의 개별 예를 보여준다. 도 20b는 프레마네주맙에 의한 치료 이후 CSD에 대한 2개의 C-유형 수막 통각수용체의 반응의 예를 보여준다. 상기 상부 뉴런은 CSD에 의해 활성화되지 않은 반면, 하부 뉴런은 CSD에 의해 활성화되었음을 유념한다.
도 21a 및 21b는 CSD에 의한 A-델타 또는 C-유형 수막 통각수용체의 활성화 발병률을 보여주는 표이다.
도 22a는 미측(caudal) 피질로부터 피질전도 활성을 기록한 반면 삼차신경절에서 경막 1차 구심성 통각수용체로부터 단-단위 기록을 수득히는 방법을 보여준다. 삼각형은 피크로톡신 투여의 부위를 보여준다.
도 22b는 횡정맥동 상에 놓인 경막에 적용된 단일-충격 자극에 대한 반응에 의해 경막 구심체가 확인되었음과, 상기 경막의 폰 프레이(VFH) 자극에 대한 반응에 의해 기계적 민감도로 특성규명되었음을 보여준다.
도 22c는 경막 수용 필드의 위치를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22d는 피크로톡신에 의한 발작의 유도 이전 및 이후의 경막 구심체의 피질전도(상부 트레이스) 및 발화율(하부 트레이스)이다. 삼각형은 피크로톡신 투여의 시간을 보여준다.
도 23a는 전측 피질(parietal cortex)에서 ECG 기록, 상부 자궁경부 척수후각의 라미나 I에서의 뉴런 기록, 및 뉴런의 경막 및 안면 수용 필드의 위치를 보여주는 실험 셋업을 보여준다.
도 23b는 경막 상의 전기 자극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3c는 경막 상의 기계적 자극을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23d는 안면 피부의 등급화된 기계적 자극에 대한 반응에 의한 광역학 범위(WDR)를 특징으로 하는 뉴런의 ECG 기록을 보여준다.
도 23e는 전측 피질에 피크로톡신의 국소 투여가 피질 발작(상부 트레이스) 및 뉴런 발화의 일시적 억제를 유도하였음을 보여주되, 뒤이어, 발작 활성의 중단 이후에 지속되는, 기준선 이상의 장기간 증가가 있었다.
도 24는 항-CGRP 길항제 항체가 발작에 의한 중추 삼차신경혈관 뉴런의 활성화를 예방함을 보여준다. 발작 유도 이전 4시간에 정맥내로 주어질 때(30 mg/kg), TEV-48125는 중추 삼차신경혈관 뉴런의 활성화를 예방하였지만 발작의 발생을 예방하지는 않았다. 상부 패널은 상기 피질에서의 발작 활성을 보여준다. 하부 패널은 상기 주추 뉴런에서의 활성 결여를 보여준다.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a) 고-역치 뉴런의 활성화 및 감작에 의해 매개되는 두통을 갖는 환자를 선택하는 단계; 및 b) 상기 환자에서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 경로를 조절(예를 들면,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하는 단클론성 항체를 상기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본원에서 제공된다. 일 양태에서, 상기 고-역치 뉴런의 감작은 상기 수막으로부터 들어오는 통증 신호전달에 의존한다.
대규모 징후는 편두통의 병리생리학에서 CGRP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뒷받침한다. 이 징후는 편두통환자에서 CGRP의 가용성을 감소시키는 새로운 치료제 세대를 개발하기 위하여 전반적 노력을 일으켰다. 최근, 인간화된 단클론성 항-CGRP 항체, 특히, 프레마네주맙(TEV-48125)은 만성 또는 간헐성 편두통의 빈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단-단위 세포외 기록 기술은 마취된 수컷 및 암컷 랫트에서 수질 및 상부 자궁경부 척수후각에 있는 미감작 및 CSD-감작된 중추 삼차신경혈관 뉴런에서의 자발 및 유발 활성에 대한 TEV-48125 (30 mg/kg IV) 및 그것의 아이소타입 (대조군)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었다. (예를 들어, 실시예 5 참조).
본원에 기재된 연구는 항-CGRP 항체 프레마네주맙(TEV-48125)이 미감작 고-역치(HT)를 억제하지만 광역학 범위(WDR) 삼차신경혈관 뉴런을 억제하지 않는다는 것과, 상기 억제 효과는 두개내 경막으로부터의 이들의 활성화에 제한되지만 안면 피부 또는 각막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것과, 그리고, 충분한 시간이 주어질 때 이 약물은 피질 확산성 억제에 의해 HT의 활성화 및 감작을 예방하지만 WDR 뉴런에서는 그렇지 않음을 실증한다. 이 억제는 수컷 및 암컷 랫트에서 유사하였다.
프레마네주맙과 같은 항-CGRP 항체에 의해 완화되는 만성 및 간헐성 편두통을 갖는 환자의 경우, 상기 발견은 HT 신경이 두통 인식의 개시 및 만성화에서 사전-인지되지 않은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반면, WDR 뉴런은 연관 이질통 및 중추 감작에 기여하는 가능성을 제시한다(실시예 5 참조). 임상적으로, 상기 발견은 편두통과 같은 두개내 기원의 두통을 저감시키는 항-CGRP 항체의 치료적 효과, 및 뇌수막염, 경막외 출혈, 경막하 출혈, 지주막 출혈, 및 특정 뇌종양에 기인하는 두통을 설명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상기 발견은 또한 이 치료적 접근법이 모든 두통 환자를 위해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한다.
정의
본원에서 사용될 때, 수치 범위, 컷오프, 또는 특정 값을 언급하면서 사용될 때의 "약"은 인용된 값이 열거된 값으로부터 최대 10%까지 달라질 수 있음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용어 "약"은 특정된 값으로부터 ± 10% 이하의 편차, ± 5% 이하의 편차, ± 1% 이하의 편차, ± 0.5% 이하의 편차, 또는 ±0.1% 이하의 편차를 포괄하기 위해 사용된다.
"항체"는, 면역글로불린 분자의 가변 영역에서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항원 인식 부위를 통해, 표적, 예컨대 탄수화물,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지질, 폴리펩타이드 등에 특이적 결합할 수 있는 면역글로불린 분자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상기 용어는 온전한 다클론성 또는 단클론성 항체, 뿐만 아니라 그 단편 (예컨대 Fab, Fab', F(ab')2, Fv), 단쇄 (ScFv), 그 돌연변이체, 항체부 (예컨대 도메인 항체)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항원 인식 부위를 포함하는 면역글로불린 분자의 임의의 다른 변형된 입체배치를 포함한다. 항체는 임의의 클라스의 항체, 예컨대 IgG, IgA, 또는 IgM (또는 그 하위-클라스)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항체는 임의의 특정한 클라스일 필요는 없다. 그 중쇄의 불변 도메인의 항체 아미노산 서열에 의존하여, 면역글로불린은 상이한 클라스에 배정될 수 있다. 하기인 면역글로불린의 5개의 주요 부류가 있다:IgA, IgD, IgE, IgG, 및 IgM (이들 중 몇몇은 하위부류(이소형), 예를 들면 IgG1, IgG2, IgG3, IgG4, IgA1, 및 IgA2 로 추가 구분될 수 있음). 면역글로불린의 상이한 클라스에 상응하는 중쇄 불변 도메인은 알파, 델타, 엡실론, 감마, 및 뮤, 각각으로 언급된다. 면역글로불린의 상이한 클라스의 서브유닛 구조 및 3차원 입체배치가 잘 알려져 있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단클론성 항체" 또는 "mAb"는 실질적으로 균질한 항체의 집단으로부터 수득된 항체, 즉, 집단을 구성하는 개별 항체가, 경미한 양으로 존재할 수 있는 가능한 자연-발생 돌연변이체를 제외하고는 동일함을 의미한다. 단클론성 항체는 고도로 특이적이며, 단일 항원 부위에 대해 지향된다. 더욱이, 전형적으로 상이한 결정인자 (에피토프)에 관련된 상이한 항체를 포함하는 다클론성 항체 제조와 대조로, 각각의 단클론성 항체는 항원에서 단일 결정인자에 관련된다. 수식어 "단클론성"은 항체의 실질적으로 균질한 집단으로부터 수득되는 항체의 특징을 시사하며, 임의의 특정한 방법에 의한 항체의 생산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단클론성 항체는 문헌[콜러(Kohler) 및 밀스타인(Milstein), 1975년, Nature, 256:495]에 의해 처음 기재된 하이브리도마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하기 특허에 기재된 것과 같은 재조합 DNA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특허 제4,816,567호.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또한 예를 들어 문헌[맥캐퍼티(McCafferty) , 1990, Nature, 348:552-554]에 기재된 기술을 이용하여 발생된 파지 라이브러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인간화된" 항체는 비-인간 면역글로불린으로부터 유래된 최소 서열을 함유하는 특이적인 키메라 면역글로불린, 면역글로불린 사슬 또는 이의 단편(예: Fv, Fab, Fab', F(ab')2 또는 항체의 다른 항원-결합 서열)인 비-인간(예를 들어, 쥣과) 항체의 형태를 언급한다. 대개, 인간화된 항체는 수령체의 상보성 결정 영역 (CDR)으로부터 모이어티가 원하는 특이성, 친화도, 및,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비-인간 종 (공여체 항체) 예컨대 마우스, 랫트, 또는 토끼의 CDR로부터 모이어티로 대체되는 인간 면역글로불린 (수령체 항체)이다. 일부 예에서,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Fv 프레임워크 영역(FR) 모이어티는 대응하는 비-인간 모이어티로 대체된다. 더욱이, 인간화된 항체는, 수령체 항체에서도 수입된 CDR 또는 프레임워크 서열에서도 발견되지 않는 모이어티를 포함할 수 있지만, 항체 성능을 추가로 제한 및 최적화하기 위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인간화된 항체는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CDR 영역이 비-인간 면역글로불린의 그것에 대응하고,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FR 영역이 인간 면역글로불린 공통 서열의 그것에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모든 적어도 하나의, 그리고 전형적으로 2개의 가변 도메인을 포함할 것이다. 인간화된 항체는 최적으로 또한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 또는 도메인 (Fc)의 적어도 일부, 전형적으로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것을 포함할 것이다. 항체는 WO 99/5857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형된 Fc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인간화된 항체의 다른 형태는, 최초 항체로부터 하나 이상의 CDR "로부터 유도된" 하나 이상의 CDR로 또한 언급되는, 최초 항체에 대하여 변경되는 하나 이상의 CDR (1, 2, 3, 4, 5, 6)를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인간 항체"는 인간에 의해 생산된 항체의 것에 상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항체를 의미하고/하거나 당해기술에 공지된 또는 본원에 개시된 인간 항체의 임의의 제조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인간 항체의 상기 정의는 적어도 하나의 인간 중쇄 폴리펩타이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인간 경쇄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항체를 포함한다. 한가지 상기 예는 쥣과 경쇄 및 인간 중쇄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항체이다. 인간 항체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상기 인간 항체는 파지 라이브러리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상기 파지 라이브러리는 인간 항체를 발현한다(문헌[바간(Vaughan) , 1996, Nat. Biotechnol ., 14:309-314; 시츠(Sheets) ., 1998, PNAS, (USA) 95:6157-6162; 후겐붐(Hoogenboom) 및 윈터(Winter), 1991, J. Mol . Biol., 227:381; 마크스(Marks) ., 1991, J. Mol . Biol ., 222:581]). 인간 항체는 내인성 면역글로불린 유전자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불활성화되는 형질전환 동물, 예를 들면, 마우스에 인간 면역글로불린 유전자좌를 도입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접근법은 하기 특허에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번호 제5,545,807호; 제5,545,806호; 제5,569,825호; 제5,625,126호; 제5,633,425호; 및 제5,661,016호. 대안적으로, 인간 항체는 표적 항원에 관련된 항체를 생산하는 인간 B 림프구 불멸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B 림프구는 개체로부터 회수될 수 있거나 또는 시험관내 면역화될 수 있다). 예컨대, 문헌[콜(Cole) , Monoclonal Antibodies and Cancer Therapy, Alan R. Liss, p. 77 (1985); 뵈르너(Boerner) , 1991, J. Immunol., 147 (1):86-95]; 및 하기 특허를 참조한다: 미국 특허번호 5,750,373.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칼시토닌 유전자-관련 펩타이드" 및 "CGRP"는 CGRP의 활성의 적어도 일부를 보유하는 임의의 형태의 칼시토닌 유전자-관련 펩타이드 및 그 변이체를 언급한다. 예를 들면, CGRP는 α-CGRP 또는 β-CGRP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CGRP는 천연 서열 CGRP의 모든 포유동물 종, 예를 들면, 인간, 갯과, 고양이, 말, 및 소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항-CGRP 항체"는 CGRP에 대한 수용체 결합 및/또는 세포 반응의 유발(elicitation)과 같은 CGRP 신호전달에 의해 매개되는 하류 경로를 포함하는 CGRP 생물학적 활성, 또는 CGRP 경로를 조절하는 항체를 언급한다. 예를 들어, 항-CGRP 항체는 상기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할 수 있다. 용어 항-CGRP 항체는 "항-CGRP 길항제 항체" 및 "항-CGRP 수용체 항체"를 모두 포괄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CGRP 항체는 단클론성 항체(즉, 항-CGRP 단클론성 항체)이다.
항-CGRP 길항제 항체"는 CGRP에 결합할 수 있고, 그에 의해, CGRP 신호전달에 의해 매개되는 CGRP 생물학적 활성 및/또는 하류 경로(들)를 억제할 수 있는 항체를 언급한다. 항-CGRP 길항제 항체는, CGRP 생물학적 활성을 조절, 차단, 길항, 억압 또는 저감시키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CGRP에 대한 수용체 결합 및/또는 세포 반응 유발과 같이 CGRP 신호전달에 의해 매개되는 하류 경로를 길항하는 항체를 포괄한다. 일부 양태에서, 항-CGRP 길항제 항체는 CGRP를 결합하고 그리고 CGRP 수용체에 CGRP 결합을 예방한다. 다른 양태에서, 항-CGRP 길항제 항체는 CGRP를 결합하고 CGRP 수용체의 활성화를 예방한다. 항-CGRP 길항제 항체의 예는 본원에서 제공된다.
"항-CGRP 수용체 항체"는 CGRP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고, 그에 의해, CGRP 경로를 조절할 수 있는 항체를 언급한다. 항-CGRP 수용체 항체의 예(예를 들어, 에레누맙)가 본원에 제공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G1", "항체 G1", "TEV-48125" 및 "프레마네주맙"은 ATCC PTA-6867 및 ATCC PTA-6866의 수탁번호를 갖는 발현 벡터에 의해 생성된 항-CGRP 길항제 항체를 언급하기 위해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이 도 5에서 보여진다. 항체 G1 (초티아 및 카밧 CDRs 포함)의 CDR 부분은 도 5에서 도식적으로 묘사된다.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을 인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서열번호: 9 및 서열번호: 10에서 보여준다. G1 중쇄 전장 길이 아미노산 서열이 서열번호: 11에서 보여진다. G1 경쇄 전장 길이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12에서 보여진다. 항체 G1(및 그 변이체)을 제조하기 위한 특성규명 및 공정이 실시예 1-4 이하 및 PCT 공개공보 WO 2007/054809호 및 문헌[WHO Drug Information 30(2):280-1 (2016)]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은 본원에서 전체적으로 참고문헌으로 통합된다.
용어 "ALD403" 및 "엡티네주맙"은 토끼 전구체로부터 인간화된 IgG1 단클론성 항체인 항-CGRP 길항제 항체를 언급한다. 엡티네주맙을 제조하기 위한 특성규명 및 공정은 미국특허 공개공보 제2012/0294797호 및 문헌[WHO Drug Information 30(2):274-5 (2016)]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들은 전체적으로 참고문헌으로 통합된다.
용어 "LY2951742" 및 "갈카네주맙"은 쥣과 전구체로부터 인간화된 IgG4 단클론성 항체인 항-CGRP 길항제 항체를 언급한다. 갈카네주맙을 제조하기 위한 특성규명 및 공정은 미국 출원번호 US 2011/0305711 및 WHO Drug Information 29(4):526-7 (2015)]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들은 전체적으로 참고문헌으로 통합된다. 갈카네주맙과 연관된 투약량 및 제형은 PCT 공개공보 WO 2016/205037호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전체적으로 참고문헌으로 통합된다.
용어 "AMG334" 및 "에레누맙"은 완전 인간화된 IgG2 항체인 항-CGRP 수용체 항체를 언급한다. 에레누맙을 제조하기 위한 특성규명 및 공정은 미국 공개번호 US 2010/0172895, 미국특허 제9,102,731호, 및 문헌[WHO Drug Information 30(2):275-6 (2016)]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전체적으로 참고문헌으로 통합된다. 에레누맙과 연관된 투약량 및 제형은 PCT 공개번호 WO 2016/171742호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전체적으로 참고문헌으로 통합된다.
용어 "폴리펩타이드", "올리고펩타이드", "펩타이드" 및 "단백질"은 임의의 길이의 아미노산의 폴리머를 언급하기 위해 본원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폴리머는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고, 그것은 변형된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것은 비-아미노산에 의해 중단될 수 있다. 상기 용어는 또한 천연적으로 또는 개입; 예를 들어, 디설파이드 결합 형성, 당화, 지질화, 아세틸화, 인산화, 또는 임의의 다른 조작 또는 변형, 예컨대 라벨링 성분으로 콘주게이션에 의해 변형된 아미노산 폴리머를 포괄한다. 또한 예를 들어 아미노산의 하나 이상의 유사체(예를 들어, 비천연 아미노산 등)뿐만 아니라 당해분야에 공지된 다른 변형을 함유하는 폴리펜타이드가 상기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는 항체에 기반하기 때문에, 상기 폴리펩타이드는 단쇄 또는 연관 쇄로서 발생할 수 있음을 이해한다.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핵산"은,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길이의 뉴클레오타이드의 폴리머를 지칭하고, DNA 및 RNA를 포함한다. 뉴클레오타이드는 데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 리보뉴클레오타이드, 변형된 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염기, 및/또는 그 유사체, 또는 DNA 또는 RNA 폴리머라제에 의해 폴리머에 편입될 수 있는 임의의 기질일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변형된 뉴클레오타이드, 예컨대 메틸화된 뉴클레오타이드 및 그의 유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존재한다면, 뉴클레오타이드 구조에 대한 변형은 폴리머의 어셈블리 이전 또는 이후 부여될 수 있다. 뉴클레오타이드의 서열은 비-뉴클레오타이드 성분에 의해 방해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중합 이후, 예컨대 라벨링 성분으로 콘주게이션에 의해 추가로 변형될 수 있다. 변형의 다른 유형은, 예를 들면, "캡 (cap)", 유사체를 가진 자연 발생의 뉴클레오타이드의 하나 이상의 치환, 인터뉴클레오타이드 변형, 예를 들면, 하전되지 않은 연결기 (예를 들어, 메틸 포스포네이트, 포스포트리에스테르, 포스포아미데이트, 카바메이트 등)를 갖는 것 및 하전된 연결기 (예를 들어, 포스포로티오에이트,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등)를 갖는 것, 펜던트 모이어티, 예를 들어, 단백질(예: 뉴클레아제, 독소, 항체, 신호전달 펩타이드, ply-L-라이신 등)을 함유하는 것, 인터칼레이터(intercalator) (예를 들어, 아크리딘, 소랄렌(psoralen))를 갖는 것, 킬레이터 (예를 들어, 금속, 방사성 금속, 붕소, 산화성 금속 등)를 함유하는 것, 알킬레이터를 함유하는 것, 변형된 연결기 (예를 들어, 알파 아노머핵산 등)를 함유하고 있는 것 뿐만 아니라 상기 폴리뉴클레오타이드(들)의 비변형 형태를 포함한다. 게다가, 대개 당류에 존재하는 임의의 하이드록실기는, 예를 들면, 포스포네이트기, 포스페이트기에 의해 대체될 수 있거나, 표준 보호기에 의해 보호될 수 있거나, 또는 추가의 뉴클레오타이드에 대한 추가의 연결기를 제조하기 위해 활성화될 수 있거나, 또는 고체 지지체에 컨쥬게이트될 수 있다. 5' 및 3' 말단 OH는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의 아민 또는 유기 캡핑 기 모이어티로 인산화 또는 치환될 수 있다. 다른 하이드록실은 또한 표준 보호기로 유도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또한 당해분야에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예를 들어, 2'-O-메틸-, 2'-O-알릴, 2'-플루오로- 또는 2'-아지도-리보오스, 탄소환 당 유사체, α-아노머 당 유사체, 에피머 당, 예를 들어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또는 릭소오스, 피라노스 당, 푸라노스 당, 세도헵툴로스, 비환형 유사체 및 무염기 뉴클레오사이드 유사체, 예컨대 메틸 리보사이드를 포함한 리보오스 또는 데옥시리보오스 당의 유사체 형태를 함유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포스포디에스테르 연결기는 대안적인 연결기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연결기는 포스포네이트가 P(O)S ("티오에이트"), P(S)S("디티오에이트"), (O)NR2 ("아미데이트"), P(O)R, P(O)OR', CO 또는 CH2 ("포마세탈")로 대체되되, 각각의 R 또는 R'이 독립적으로 H 또는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고 에테르 (-O-) 연결기, 아릴, 알케닐,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케닐 또는 아르알딜을 선택적으로 함유하는 알킬(1-20C)인 양태를 함유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뉴클레오타이드에서 모든 연결기가 동일할 필요는 없다. 이전의 설명은 RNA 및 DNA를 포함하여 본원에서 언급되는 모든 폴리뉴클레오타이드에 적용한다.
두통의 진단 또는 평가가 당해 분야에 잘 정립되어 있다. 문헌[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s, 3rd edition (ICHD-III beta version; Cephalalgia (2013) 33(9):629-808)]과 같은 참고문헌이 환자가 경험하는 두통 유형을 평가하기 위해 숙련 의사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 범위 내의 두통은 두개내 기원의 두통을 함유한다. 두개내(intracranial) 기원의 두통의 비제한적인 예는 편두통 (예를 들면, 만성 및 간헐성) 및 뇌수막염, 경막외 출혈, 경막하 출혈, 지주막 출혈 및 특정 뇌종양 (이때 두통은 두개골 내의 증가한 압력으로부터의 결과이다)에 기인한 두통을 함유한다.
예를 들어, "만성 편두통"은 3개월이 넘는 동안 매달 15일 이상 발생하는 두통을 언급하며, 매달 적어도 8일 편두통의 특징을 갖는다. ICHD-III 베타 버전, 2013에 따른 만성 편두통에 대한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A. 두통 (긴장-유형-류 및/또는 편두통-류) ≥ 매달 15일 이상 > 3 개월 초과 동안에, 그리고, 기준 B 및 C (하기)를 충족함.
B. 전조 비동반 편두통에 대한 특정 기준 및 전조 동반 편두통에 대한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적어도 5가지 공격(attack)을 갖는 환자에서의 발생
C. 다음 중 임의의 것을 충족시키며, 두통 발생 상태 ≥ 매달 8일 > 3 개월동안:
1. 전조 비동반 편두통에 대한 특정 기준
2. 전조 동반 편두통에 대한 특정 기준
3. 환자가 편두통 개시인 것으로 믿고 트립탄 또는 에르곳(ergot) 유도체에 의해 완화됨.
D. 또 다른 두통 진단으로 보다 잘 설명되지 않음.
숙련된 기술자는 본원에 기재된 편두통 두통의 임의의 유형을 갖는 대상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평가는 주관적 방안, 예컨대 증상의 환자 특성규명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두통은 하기 기준에 기반하여 진단될 수 있다: 1) 4 내지 72시간 지속되는 두통의 간헐성 공격; 2) 다음 증상 중 2가지를 가짐: 편측 통증, 울렁거림(throbbing), 움직임시 악화, 및 평균 또는 심한 강도의 통증; 및 3) 하기 증상 중 하나: 메스꺼움 또는 구토, 및 광공포증 또는 소리공포증 (문헌[고즈바이(Goadsby) ., N. Engl .J. Med . 346:257-270, 2002)]. 일부 양태에서, 두통 (예를 들면, 편두통)의 평가는 본원에서 다른 곳에 기재된 바와 같이 두통 시간을 통해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통 (예를 들면, 편두통)의 평가는 매일 두통 시간, 매주 두통 시간, 매달 두통 시간 및/또는 매년 두통 시간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두통 시간은 대상체에 의해 보고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치료"는 유익한 또는 원하는 임상 결과를 수득하기 위한 접근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유익한 또는 원하는 임상 결과는 하기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중증도 감소, 통증 강도 및 기타 연관 증상의 완화, 재발 빈도의 감소, 두통을 겪는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 및 상기 두통의 치료에 필요한 다른 의약의 투약량 감소를 포함하여 두통의 임의의 측면에서의 개선. 편두통을 예로 들면, 기타 연관 현상은, 구역질, 구토, 및 빛, 소리 및/또는 움직임에 대한 민감도를 함유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 "환자" 및 "대상체"는 본 출원에 호환하여 사용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환자는 인간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예방"은 두통의 발달에 취약한 대상체에서 두통이 발생 또는 존재하는 것을 중단시키는 접근법이다. 예를 들어, 상기 환자는 만성 또는 간헐성 편두통으로 이미 진단받았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환자는 뇌수막염, 경막외 출혈, 경막하 출혈, 지주막 출혈, 또는 뇌종양으로 진단받았을 수 있다.
"두통 발병률의 감소" 또는 "두통 빈도의 감소"는 중증도 감소 (이 두통 조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약물 및/또는 치료제에 대한 필요성 및/또는 그의 양 (예컨대, 그에 대한 노출)을 감소시키는 것을 함유할 수 있음), 지속기간 및/또는 빈도 (예를 들어, 개체에서 다음 두통 공격까지의 시간을 지연 또는 증가시킴) 중 임의의 것을 의미한다. 당해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개체는 치료에 대한 이들의 반응 관점에서 다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개체에서 두통의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이러한 투여가 그 특정 개체의 두통 발병률의 감소를 야기시킬 수 있는 경향이 있다는 합리적 예측에 기반하여 항-CGRP 길항제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반영한다.
두통 또는 두통의 하나 이상의 증상 "완화"는 항-CGRP 길항제 항체 비투여와 비교시 두통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감소 또는 개선을 의미한다. "완화"는 또한 증상의 지속시간 단축 또는 감소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두통 제어"는 개체에서 두통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중증도 또는 지속기간 또는 두통 (예: 편두통) 공격의 빈도를 (치료 이전의 수준과 비교하여) 유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언급한다. 예를 들어, 두부 통증의 지속시간 또는 중증도, 또는 공격의 빈도는, 두부 통증의 지속시간 또는 중증도, 또는 치료 이전의 공격 빈도와 비교할 때 상기 개체에서 적어도 약 임의의 10%, 20%, 30%, 40%, 50%, 60%, 70%, 80%, 90% 이상으로 감소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두통 시간"은 대상체가 두통을 경험하는 동안의 시간을 언급한다. 두통 시간은 전체 시간 (예를 들어, 1 두통 시간, 2 두통 시간, 3 두통 시간 등)의 관점으로 또는 전체 및 부분 시간 (예를 들어, 0.5 두통 시간, 1.2 두통 시간, 2.67 두통 시간 등)의 관점으로 표현될 수 있다. 1 이상의 두통 시간은 특정 시간 간격에 대하여 기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일 두통 시간"은 대상체가 1 일 간격 (예를 들면, 24-시간 기간)이내에 경험하는 두통 시간의 수를 언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매주 두통 시간"은 대상체가 1 주 간격 (예를 들면, 7-일 기간)이내에 경험하는 두통 시간의 수를 언급할 수 있다. 인정되는 바와 같이, 주 간격은 역주에 상응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매달 두통 시간"은 대상체가 1 개월 간격 이내에 경험하는 두통 시간의 수를 언급할 수 있다. 인정되는 바와 같이, 월 간격(예를 들면, 28, 29, 30 또는 31일의 기간)은 특정 월에 따른 일 수의관점에서 다양할 수 있으며, 역월에 상응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추가의 또 다른 예에서, "매년 두통 시간"은 대상체가 1 년 간격 이내에 경험하는 두통 시간의 수를 언급할 수 있다. 인정되는 바와 같이, 1 년 간격 (예를 들면, 365 또는 366 일의 기간)은 특정한 년에 따라 일의 수에 관하여 다양할 수 있고 그리고 역년에 상응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두통 일"은 대상체가 두통을 경험하는 동안의 일을 언급한다. 두통 일은 전체 일(예를 들면, 1 두통 일, 2 두통 일, 3 두통 일 등)의 관점에서 또는 전체 및 부분 일(예를 들면, 0.5 두통 일, 1.2 두통 일, 2.67 두통 일 등)의 관점에서 표현될 수 있다. 1 이상 두통 일은 특정한 시간 간격에 대하여 기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간 두통 일"은 주 간격(예를 들어, 7일 기간) 이내에 대상체가 경험하는 두통 일의 수를 언급할 수 있다. 인정되는 바와 같이, 주 간격은 역주에 상응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매달 두통 일"은 대상체가 1 개월 간격 이내에 경험하는 두통 일의 수를 언급할 수 있다. 인정되는 바와 같이, 월 간격(예를 들면, 28, 29, 30 또는 31일의 기간)은 특정 월에 따른 일 수의관점에서 다양할 수 있으며, 역월에 상응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추가의 또 다른 예에서, "매년 두통 일"은 대상체가 1 년 간격 이내에 경험하는 두통 일의 수를 언급할 수 있다. 인정되는 바와 같이, 1 년 간격 (예를 들면, 365 또는 366 일의 기간)은 특정한 년에 따라 일의 수에 관하여 다양할 수 있고 그리고 역년에 상응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두통의 발달 "지연"은 질환의 진행을 보류, 방해, 지체, 저지, 안정, 및/또는 연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지연은 질환의 이력 및/또는 치료받는 개체에 따라 다양한 시간의 길이일 수 있다. 당해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충분한 또는 유의미한 지연은 사실상, 상기 개체가 두통을 발달시키지 않는다는 점에서 예방을 포괄할 수 있다. 증상의 발달을 "지연시키는" 방법은, 상기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것과 비교되는 경우, 주어진 시간 프레임에서 증상 발달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및/또는 주어진 시간 프레임에서 증상의 범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비교는 대상체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를 이용하는 전형적으로 임상 연구에 기반한다.
두통의 "발달" 또는 "진행"은 장애의 초기 징후 및/또는 뒤이은 진행을 의미한다. 두통의 발달은 당해분야에 잘 공지된 표준 임상 기술을 사용하여 검출 및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발달은 또한 검출될 수 없는 진행을 언급한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위해, 발달 또는 진행은 증상의 생물학적 과정을 언급한다. "발달"은 발생, 재발, 및 개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두통의 "개시" 또는 "발생"은 초기 개시 및/또는 재발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약물,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효과적인 투약량" 또는 "효과적인 양"은 유익한 또는 원하는 결과를 가져오는데 충분한 양이다. 예방적 용도를 위해, 유리한 또는 원하는 결과는 질환의 발생 동안 제시되는 질환, 그의 합병증 및 평균 병리학적 표현형의 생화학적, 조직학적 및/또는 거동적 증상을 포함하는, 질환의 위험의 제거 또는 감소, 질환의 중증도의 감소 또는 질환 개시의 지연과 같은 결과를 포함한다. 치료 용도를 위해, 유익한 또는 원하는 결과는 임상 결과 예컨대 통증 세기, 지속시간, 또는 두통 공격의 빈도 감소, 및, 질환의 발달 동안 나타나는 그 합병증 및 중간체 병리적 표현형을 포함하여, 두통 (생화학적, 조직학적 및/또는 행동적)에서 비롯되는 하나 이상의 증상 감소, 질환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삶의 질 증가, 질환을 치료하는데 필요한 다른 약물의 용량 감소, 또 다른 약물의 효과 증강, 및/또는 환자 질환의 진행 지연을 포함한다. 효과적인 투약량은 하나 이상의 투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위해, 약물,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효과적인 투약량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예방적 또는 치료적 처치를 달성하는데 충분한 양이다. 임상 맥락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약물,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효과적인 투약량은 또 다른 약물,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과 함께 달성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투약량"은 하나 이상의 치료제 투여의 맥락에서 고려될 수 있고, 그리고 만일 하나 이상의 다른 제제와 함께 바람직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거나 달성되면 단일 제제는 효과적인 양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이질증"은 정상적으로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자극으로 인해 환자가 경험하는 통증을 언급한다(통증 연구를 위한 국제 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 2014-2015, "Allodynia and Hyperalgesia in Neuropathic Pain").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통각과민"은 정상적으로 통증을 유발하는 자극으로부터 환자가 경험하는 통증의 증가를 언급한다(통증 연구를 위한 국제 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 2014-2015, "Allodynia and Hyperalgesia in Neuropathic Pain").
이질증 및 통각과민 모두는 예를 들어 정량적 감각 테스트(QST)와 같은 방법에 의해 당해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구별 및 정량화될 수 있다 (문헌[롤케(Rolke) (2006) . Pain 123:231-243]). 롤케(Rolke) 은 상대적 및 절대적 측면 모두에서 환자의 전체 체감각 표현형을 얻기 위한 QST 기준 데이터를 개시한다. 예를 들어, 롤케(Rolke) 등은 기계적 통증 감도(MPS)에 대한 테스트를, 핀프릭(pinprick) 통각과민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재한다. 이러한 테스트에서, 핀프릭-유발 통증에 대한 자극-반응 함수를 얻도록 핀프릭 자극 세트를 사용하여 MPS가 평가될 수 있다(가장 강한 핀프릭 힘이 평균 기계적 통증 역치의 약 8배인 경우임). 대상체는 '0-100' 규모에서 각 자극에 대한 등급을 상기 통증에 부여하도록 요청받을 수 있으며, 여기서 '0'은 무통증을 가리키고 '100'은 가장 높은 통증을 가리킨다. 강한 통증(wind-up)을 피하기 위해 특정 횟수의 핀프릭이 특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대상체에 전달된다. 각 핀프릭 후, 상기 대상체는 수치상의 통증 등급을 제공한다. 그 다음, MPS는 핀프릭 자극에 대한 모든 수치상의 등급의 기하 평균(복합 척도)으로 계산된다 ([롤케(Rolke) . p. 233]).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감작"은 반응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자극 강도가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하도록 하는 반면 상기 반응의 진폭은 증가하도록 하는 과정이다.
문구 "두부의 일부에서 주로 경험되는 두통"은 상기 두부의 식별된 부분에서 두통 (예를 들어, 통증으로 경험됨)을 갖는 환자에 의한 기술을 언급한다. "두부의 일부"의 예는 한쪽 안와주위(periorbital), 한쪽 관자놀이, 한쪽 눈, 두부 뒤쪽의 작은 영역 (예: 중간선에서 약간 측면), 두부 위쪽의 작은 영역, 이마 중간에 있는 작은 영역, 안와상신경이 두개골에서(즉, 눈썹의 내측 끝에서) 및 이마에 걸쳐있는 작은 영역에서 빠져나오는 '점(dot)'(예를 들어, 10x10 mm)을 함유한다. 당해분야의 숙련자는 환자의 기술에 기반하여 환자가 두부의 일부에서 두통을 경험하는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문헌[노세다, 알(Noseda, R). . (2016) Brain.139 (7):1971-1986]).
A.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항- CGRP 항체의 방법 및 사용
환자의 두통(예를 들어, 편두통)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본원에서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고-역치 (HT) 뉴런의 활성화 및 감작에 의해 매개된 두통을 경험하는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뇌척수막 내의 임의의 혈관 확장 또는 상기 뇌척수막에서 유입되는 통증 신호전달에 반응한 피질 확산성 억제(CSD)에 의함). 그 다음, 상기 환자는 항-CGRP 항체로 치료된다.
상기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은 상기 환자의 두통이 HT 뉴런에 의해 매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숙련된 기술자는 예를 들어, HT 뉴런 활성의 관찰 및/또는 CGRP 경로를 조절하는 단클론성 항체를 환자에게 투여 및/또는 상기 항체가 통각과민을 감소시키는지 여부의 결정 (예를 들어, QST에 의해 측정됨) 및/또는 상기 환자의 두통 통증이 상기 두부의 일부에 편재되는지(예를 들어, 가장 강렬하게 또는 주로 경험됨) 여부의 결정에 의해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많은 방법으로 이러한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 5는 랫트에서 뉴런을 식별하고 선택(HT v. WDR 뉴런)할 수 있는 수단을 기재한다. 이 실시예는 CSD의 유도 이후에 이들 뉴런 유형의 각각의 활성화 및 감작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관찰을 추가로 기재한다.
통각과민을 경험하되, CGRP 경로를 조절(예를 들어,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하는 단클론성 항체의 투여시에 상기 통각과민이 감소(예를 들어, 역전 또는 제거)되는 환자는 상기 CGRP 경로를 조절(예를 들어,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하는 단클론성 항체를 포함하는 치료 과정, 예컨대, 항-CGRP 항체를 사용한 치료의 보다 긴 과정 및/또는 보다 높은 투약량 과정에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항-CGRP 항체가 통각과민 환자에서 두통을 감소시킨다면, 실시예 5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항-CGRP 항체가 다른 클라스의 통각수용성 뉴런인 WDR을 억제하지 않기 때문에 두통이 HT 뉴런에 의해 매개되었다는 것이 확인된다. 실시예 6은 환자가 통각과민을 경험하는지 여부, 및 이것이 항-CGRP 항체를 사용한 치료시에 감소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유용한 QST의 실험 설계를 기재한다.
마찬가지로, 이질증을 경험하되, CGRP 경로를 조절(예를 들어,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하는 단클론성 항체의 투여시에 상기 이질증이 감소(예를 들어, 역전 또는 제거)되는 환자는 상기 CGRP 경로를 조절(예를 들어,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하는 단클론성 항체를 포함하는 치료 과정, 예컨대, 항-CGRP 항체를 사용한 치료의 보다 긴 과정 및/또는 보다 높은 투약량 과정에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항-CGRP 항체를 사용한 치료에 반응하는 환자는 제1 치료 과정 이후에 통각과민 및 이질증 모두의 감소, 역전 또는 제거를 경험할 수 있다.
또한, 고-역치 뉴런이 작은 수용 필드를 나타내는 반면, 광역학 범위 뉴런은 큰 수용 필드를 나타내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두부의 일부에 편재된 (또는 주로 경험된) 두통 통증은 CGRP 경로를 조절하는 단클론성 항체를 사용한 치료에 호의적으로 반응할 환자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치료 전략은 다음을 함유한다: a) CGRP 경로를 조절하는 제1 단클론성 항체를 투여함으로써 감소가능한 통각과민을 나타내는 환자를 선택하는 단계; 및 b) 상기 환자의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상기 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시키는 제2 단클론성 항체를 상기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이러한 치료에서, 상기 환자에게 투여된 제1 및 제2 단클론성 항체는 동일한 유형의 항-CGRP 항체 또는 다른 유형의 항-CGRP 항체일 수 있으며, 각각의 항체는 상기 환자에게 정맥내로 또는 피하내로 또는 둘다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단클론성 항체는 항-CGRP 길항제 항체 및 항-CGRP 수용체 항체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치료 요법에서, 상기 제1 및 제2 단클론성 항체는 항-CGRP 길항제 항체일 수 있다. 다른 치료 요법에서, 상기 제1 단클론성 항체는 항-CGRP 길항제 항체일 수 있는 반면,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항-CGRP 수용체 항체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인간 또는 인간화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또는 제2 단클론성 항체는 IgG1, IgG2, IgG3 및 IgG4 항체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상기 제1 및/또는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상기 환자가 두통을 갖지 않는 동안(예를 들어, 편두통없는 동안) 투여된다.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상기 환자가 두통(예를 들어, 편두통)을 경험하는 동안에 투여된다.
상기 환자가 편두통을 경험할 때의 경우에, 투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두통의 개시 직후에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투여는 상기 환자가 전구증상(prodromes) (즉, 전조와 같이 두통을 선행하는 증상)을 경험하는 동안에, 그러나 두통 단계 이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환자는 간헐성 또는 만성 편두통을 갖는 것으로 진단되거나 또는 이전에 진단되었다. 이러한 환자에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상기 환자가 편두통을 갖지 않는 동안에 투여될 수 있거나 또는 편두통 또는 가벼운 편두통의 초기 단계를 경험하는 동안에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환자는 뇌수막염, 경막외 출혈, 경막하 출혈, 지주막 출혈, 또는 뇌종양을 갖는 것으로 진단되거나 또는 이전에 진단되었다. 이들 경우에, 상기 두통은 뇌수막염, 경막외 출혈, 경막하 출혈, 지주막 출혈, 또는 뇌종양에 기인할 수 있다.
숙련된 기술자는 상기 항체(들)가 당해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항체(들)는 프리필드 주사기, 바늘 안전 장치를 갖는 프리필드 주사기, 인젝션 펜, 자동-인젝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상기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a) 서열번호: 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6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7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8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 또는 b) 표 5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a)에 따른 항체의 변이체를 함유하는 항-CGRP 항체가 제1 및/또는 제2 단클론성 항체로서 특히 유용하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및 서열번호: 1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단클론성 항체는 프레마네주맙(또한 본원에서 "G1"으로 언급됨)이다.
환자를 선택한 이후, 상기 제1 및/또는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약 225 mg 내지 약 900 mg의 투약량, 예를 들어, 약 225 mg, 약 250 mg, 약 275 mg, 약 300 mg, 약 325 mg, 약 350 mg, 약 375 mg, 약 400 mg, 약 425 mg, 약 450 mg, 약 475 mg, 약 500 mg, 약 500 mg, 약 525 mg, 약 550 mg, 약 550 mg, 약 575 mg, 약 600 mg, 약 625 mg, 약 650mg, 약 675mg, 약 700 mg, 약 725 mg, 약 750 mg, 약 775 mg, 약 800 mg, 약 825 mg, 약 850 mg, 약 875 mg, 또는 약 900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들 투약량은 매달 또는 매 분기에 상기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치료에서, 상기 투약 요법은 초기 투약량(예를 들어, 675 mg)을 함유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환자가 초기 투약량을 받은 달에 후속하여 2개월(또는 3개월, 4개월, 5개월, 6개월 또는 12개월)의 각각에 매달 한 번 추가적인 225 mg 투약량의 상기 단클론성 항체를 상기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또는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임의의 유용한 제형의 일부로서 및 임의의 제형 체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적어도 약 150 mg/mL (예를 들어, 약 175 mg/mL, 약 200 mg/mL, 약 225 mg/mL, 약 250 mg/mL, 약 275 mg/mL, 약 300 mg/mL, 약 325 mg/mL, 약 350 mg/mL, 약 375 mg/mL, 약 400 mg/mL, 약 425 mg/mL, 약 450 mg/mL 이상)의 농도로 상기 항체를 포함하는 제형이 특히 유용하다. 또한 상기 단클론성 항체가 2 mL 미만의 체적(예를 들어, 약 1.8 mL, 약 1.7 mL, 약 1.6 mL, 약 1.5 mL, 약 1.4 ml, 약 1.3 mL, 약 1.2 mL, 약 1.1 mL, 약 1.0 mL, 약 0.9 mL, 약 0.8 mL, 약 0.7 mL, 약 0.6 mL, 약 0.5 mL 이하)으로 투여될 수 있는 제형이 유용하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바람직하게는 약 1.5 mL의 체적으로 투여된다. 본원에 제공된 임의의 투약량(예를 들어, 약 225 mg, 약 675 mg, 또는 약 900 mg)은 정맥내 또는 피하내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마네주맙은 약 225 mg의 투약량으로 매달 또는 매 분기에 투여될 수 있고, 그리고 피하내로 투여될 수 있다.
서열번호: 87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88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89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8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8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86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함유하는 제1 및/또는 제2 단클론성 항체가 본원에 기재된 치료 방법에서 또한 유용하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8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80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83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및 서열번호: 8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를 포함한다. 이러한 항체의 예시는 엡티네주맙일 것이다. 이 항체는 약 100 mg, 약 150 mg, 약 200 mg, 약 250 mg, 약 300 mg, 약 350 mg, 약 400 mg, 약 450 mg, 약 500 mg, 약 600 mg, 약 700 mg, 약 800 mg, 약 900 mg 또는 약 1000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된 임의의 투약량 (예를 들어, 약 100 mg, 약 300 mg, 또는 약 1000 mg)은 정맥내로 또는 피하내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서열번호: 9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9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9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91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92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90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함유하는 제1 및/또는 제2 단클론성 항체가 유용하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97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96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99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및 서열번호: 98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를 포함한다. 이러한 항체의 예시는 갈카네주맙일 것이다. 이 항체는 약 100 mg, 약 120 mg, 약 150 mg, 약 200 mg, 약 240 mg, 약 250 mg, 약 300 mg, 약 350 mg, 약 360 mg, 약 400 mg, 약 450 mg, 약 480 mg, 약 500 mg, 약 600 mg, 약 700 mg, 약 800 mg, 약 900 mg, 또는 약 1000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20 mg 투약량은 약 1.5 mL의 체적으로 투여될 수 있고 상기 240 mg 투약량은 약 3 mL의 체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된 임의의 투약량 (예를 들어, 약 120 mg 또는 약 240 mg)은 정맥내로 또는 피하내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서열번호: 10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10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10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100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101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102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함유하는 제1 및/또는 제2 단클론성 항체가 유용하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07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106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09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및 서열번호: 108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를 포함한다. 이러한 항체의 예시는 에레누맙일 것이다. 에레누맙은 약 40 mg, 약 50 mg, 약 60 mg, 약 70 mg, 약 80 mg, 약 90 mg, 약 100 mg, 약 110 mg, 약 120 mg, 약 130 mg, 약 140 mg, 약 150 mg, 약 160 mg, 약 170 mg, 약 180 mg, 약 190 mg, 약 200 mg, 약 210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70 mg 투약량은 약 1 mL의 체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140 mg 투약량은 약 2 mL의 체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된 임의의 투약량 (예를 들어, 약 70 mg 또는 약 140 mg)은 정맥내로 또는 피하내로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기재된 특정 방법에서,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 사용될 단클론성 항체는 프레마네주맙, 엡티네주맙, 갈카네주맙, 에레누맙 및 이의 생물학적 등가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항-CGRP 항체의 투여는 구강으로, 정맥내로, 피하내로, 동맥내로, 근육내로, 비강내로 (예를 들어, 흡입에 의해 또는 흡입없이), 심장내로, 척수내로, 흉곽내로, 복강내로, 심실내로, 설하로, 경피로 및/또는 흡입을 포함한 당해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할 수 있다. 투여는 전신성, 예를 들어, 정맥내로, 또는 편재성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초기 투약량 및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투약량은 동일한 경로를 통해, 즉 피하내로 또는 정맥내로 투여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투약량은 초기 투약량과는 상이한 경로를 통해 투여되고, 즉, 상기 초기 투약량은 정맥내로 투여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투약량은 피하내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본원에 기재된 방법은 상기 단클론성 항체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상기 환자에게 제2 제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제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 및/또는 트립탄 및/또는 5 하이드록시트립타민 1F 수용체 작용제(즉, 세로토닌 수용체 작용제)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상기 제2 제제는 상기 환자에게 예방적으로 투여되는 제제이다.
항-CGRP 항체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NSAID의 비제한적인 예는 아스피린, 디클로페낙, 디플루시날, 에토돌락, 펜부펜, 페노프로펜, 플루페니살, 플루르비프로펜,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케토롤락, 메클로페남산, 메페남산, 나부메톤, 나프록센, 옥사프로진, 페닐부타존, 피록시캄, 술린닥, 톨메틴 또는 조메피락, 사이클로옥시게나제-2 (COX-2) 억제제, 셀레콕시브, 로페콕시브, 멜록시캄, JTE-522, L-745,337, NS398,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한다.
항-CGRP 항체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트립탄의 비제한적인 예는 수마트립탄, 졸미트립탄, 나라트립탄, 리자트립탄, 엘레트립탄, 알모트립탄 및 아프로바트립탄을 함유한다.
5 하이드록시트립타민 1F 수용체 작용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라스미디탄이다.
본원에 제공된 방법의 예방, 치료 또는 감소는 임의의 중증도의 두통 시간의 수의 감소, 임의의 중증도의 편두통 시간의 수의 감소, 임의의 중증도의 매달 두통 일의 수의 감소, 임의의 중증도의 매달 편두통 일의 수의 감소, 임의의 급성 두통 약제의 사용의 감소, 6-항목 두통 영향 시험 (6-item Headache Impact Test, HIT-6) 장애 스코어의 감소, 12-항목 짧은 양식 건강 설문 조사 (12-Item Short Form Health Survey, SF-12) 스코어(문헌[웨어(Ware) , Med . Care 4:220-233, 1996])의 향상, 환자 전반적 개선 지수(PGIC) 스코어(문헌[허스트(Hurst) , J. Manipulative Physiol . Ther . 27:26-35, 2004])의 감소, 스포츠 내진탕 평가 툴 3 (SCAT-3) 스코어 (문헌[맥크로리(McCrory) . British J. Sport, Med . 47:263-266, 2013])의 향상,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매달 두통 또는 편두통 일의 수는 일회 투여 이후에 적어도 7일 동안 감소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투여 이후 상기 대상체가 경험하는 매달 두통 또는 편두통 시간은 상기 대상체에서의 사전-투여 수준으로부터 40시간 이상(예를 들어, 45, 50, 55, 60, 65, 70, 75, 80 이상) 감소된다. 매달 두통 또는 편두통 시간은 60 시간보다 많이 감소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투여 이후 상기 대상체가 경험하는 매달 두통 또는 편두통의 시간은 상기 대상체에서의 사전-투여 수준에 대하여 25% 이상(예를 들어, 30%, 35%, 40%, 45%, 50% 이상) 감소된다. 매달 두통 또는 편두통 시간은 40 % 이상 감소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투여 이후에 상기 대상체가 경험하는 매달 두통 또는 편두통 일은 3일 이상(예를 들어,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일 이상) 감소된다. 일부 양태에서, 매달 두통 또는 편두통 일의 수는 상기 대상체에서의 사전-투여 수준으로부터 적어도 약 50%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측면에서, 매달 두통 또는 편두통 일의 수는 적어도 약 50%, 적어도 약 55%, 적어도 약 60%, 적어도 약 65%, 적어도 약 70%, 적어도 약 75%, 적어도 약 80%, 또는 적어도 약 90% 감소될 수 있다.
B.치료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항- CGRP 항체
일부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은 항-CGRP 길항제 항체일 수 있는 항체를 사용한다. 항-CGRP 길항제 항체는 CGRP에 대한 수용체 결합 및/또는 세포 반응의 유발과 같은 CGRP 신호전달에 의해 매개되는 하류 경로를 포함하여, CGRP 생물학적 활성을 조절(예를 들어, 유의적으로를 비롯하여 차단, 억압 또는 저감)하는 임의의 항체 분자를 언급할 수 있다.
항-CGRP 길항제 항체는 하기 특성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발휘할 수 있다: (a) CGRP에 결합; (b) CGRP의 그 수용체(들)에 대한 결합의 차단; (c) CGRP 수용체 활성화를 차단 또는 감소(cAMP 활성화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d) CGRP 신호전달 기능에 의해 매개되는 CGRP 생물학적 활성 또는 하류 경로의 억제; (e) 편두통의 임의의 측면의 예방, 완화 또는 치료; (f) CGRP의 클리어런스 증가; 및 (g) CGRP 합성, 생성 또는 방출의 억제(감소). 항-CGRP 길항제 항체가 당해분야에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문헌[탄(Tan) , Clin . Sci . (Lond). 89:565-73, 1995; 시그마(Sigma) (Missouri, US), product number C7113 (clone #4901); 플로우드(Plourde) , Peptides 14:1225-1229, 1993]을 참고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CGRP 신호전달 기능에 의해 매개된 다운스트림 경로를 포함하여, CGRP, 및/또는 CGRP 경로를 억제하는 방식으로 CGRP와 반응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CGRP 길항제 항체는 인간 CGRP를 인식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CGRP 길항제 항체는 양쪽 인간 α-CGRP 및 β-CGRP에 결합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CGRP 길항제 항체는 인간 및 랫트 CGRP에 결합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CGRP 길항제 항체는 CGRP의 아미노산 25-37을 갖는 C-말단 단편을 결합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CGRP 길항제 항체는 CGRP의 아미노산 25-37내에서 C-말단 에피토프를 결합한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항-CGRP 항체는 단클론성 항체, 다클론성 항체, 항체 단편(예를 들어, Fab, Fab', F(ab')2, Fv, Fc 등), 키메라 항체, 이중특이적 항체, 이종컨쥬게이트 항체, 단쇄(ScFv), 그의 돌연변이체, 항체 부위(예를 들어, 도메인 항체)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인간화 항체, 및 항체의 당화 변이체,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 변이체, 및 공유결합에 의해 변형된 항체를 포함한, 요구되는 특이도의 항원 인식 부위를 포함하는 면역글로불린 분자의 임의의 다른 변형된 배치형태를 포괄할 수 있다. 상기 항체는 쥣과, 랫트, 인간, 또는 임의의 다른 기원 (키메라성 또는 인간화된 항체 포함)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CGRP 길항제 항체는 단클론성 항체이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CGRP 길항제 항체는 인간화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인간이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CGRP 길항제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항체 G1이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CGRP 길항제 항체는 표 5에서 보여준 항체 G1 또는 G1 변이체의 하나 이상의 CDR(s) (예를 들어, 1개, 2개, 3개, 4개, 5개, 또는 일부 양태에서, 모든 6개 CDR)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항-CGRP 길항제 항체는 도 5에서 보여준 중쇄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 및 도 5에서 보여준 경쇄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2)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항-CGRP 길항제 항체는 서열번호: 11에서 보여준 중쇄 전장 길이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번호: 12에서 보여준 경쇄 전장 길이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경쇄 가변 영역 (LCVR) 및 중쇄 가변 영역 (HCVR)을 포함한다: (a) LCVR17 (서열번호: 58) 및 HCVR22 (서열번호: 59); (b) LCVR18 (서열번호: 60) 및 HCVR23 (서열번호: 61); (c) LCVR19 (서열번호: 62) 및 HCVR24 (서열번호: 63); (d) LCVR20 (서열번호: 64) 및 HCVR25 (서열번호: 65); (e) LCVR21 (서열번호: 66) 및 HCVR26 (서열번호: 67); (f) LCVR27 (서열번호: 68) 및 HCVR28 (서열번호: 69); (g) LCVR29 (서열번호: 70) 및 HCVR30 (서열번호: 71); (h) LCVR31 (서열번호: 72) 및 HCVR32 (서열번호: 73); (i) LCVR33 (서열번호: 74) 및 HCVR34 (서열번호: 75); (j) LCVR35 (서열번호: 76) 및 HCVR36 (서열번호: 77); 및 (k) LCVR37 (서열번호: 78) 및 HCVR38 (서열번호: 79). 상기 영역의 서열은 본원에 제공된다. 항-CGRP 항체의 다른 예가 미국특허 공개공보 제2011/0305711호 (서열번호들: 5, 6, 7, 12, 16, 19, 24, 29, 34 및 39), 미국 제2012/0294802호, 미국 제2012/0294797호 (서열번호: 51-60)에 기재되어 있고, 이들은 본원에서 전체적으로 참고문헌으로 통합된다. 예를 들어, 하기의 임의의 서열을 갖는 항체가 사용될 수 있다.
Ab6 가변 영역 경쇄 (인간화됨) 단백질 서열 (US20120294797)
QVLTQSPSSLSASVGDRVTINCQASQSVYHNTYLAWYQQKPGKVPKQLIYDASTLASGVPSRFSGSGSGTDFTLTISSLQPEDVATYYCLGSYDCTNGDCFVFGGGTKVEIKR (서열번호: 80)
Ab6 경쇄 (인간화됨) 전장 길이 단백질 서열 (US20120294797)
QVLTQSPSSLSASVGDRVTINCQASQSVYHNTYLAWYQQKPGKVPKQLIYDASTLASGVPSRFSGSGSGTDFTLTISSLQPEDVATYYCLGSYDCTNGDCFVFGGGTKVEIKRTVAAPSVFIFPPSDEQLKSGTASVVCLLNNFYPREAKVQWKVDNALQSGNSQESVTEQDSKDSTYSLSSTLTLSKADYEKHKVYACEVTHQGLSSPVTKSFNRGEC (서열번호: 81)
Ab6 가변 영역 중쇄 (인간화됨) 단백질 서열 (US20120294797)
EVQLVESGGGLVQPGGSLRLSCAVSGIDLSGYYMNWVRQAPGKGLEWVGVIGINGATYYASWAKGRFTISRDNSKTTVYLQMNSLRAEDTAVYFCARGDIWGQGTLVTVSS (서열번호: 82)
Ab6 중쇄 (인간화됨) 전장 길이 단백질 서열 - 효모 생산됨 (US20120294797)
EVQLVESGGGLVQPGGSLRLSCAVSGIDLSGYYMNWVRQAPGKGLEWVGVIGINGATYYASWAKGRFTISRDNSKTTVYLQMNSLRAEDTAVYFCARGDIWGQGTLVTVSSASTKGPSVFPLAPSSKSTSGGTAALGCLVKDYFPEPVTVSWNSGALTSGVHTFPAVLQSSGLYSLSSVVTVPSSSLGTQTYICNVNHKPSNTKVDARVEPKSCDKTHTCPPCPAPEL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HEDPEVKFNWYVDGVEVHNAKTKPREEQYASTYRVVSVLTVLHQDWLNGKEYKCKVSNKALPAPIEKTISKAKGQPREPQVYTLPPSREEMTKNQVSLT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YSKLTVDKSRWQQGNVFSCSVMHEALHNHYTQKSLSLSPGK (서열번호: 83)
Ab6 가변 영역 경쇄 (인간화됨) 단백질 서열 CDR1 (US20120294797)
QASQSVYHNTYLA (서열번호: 84)
Ab6 가변 영역 경쇄 (인간화됨) 단백질 서열 CDR2 (US20120294797)
DASTLAS (서열번호: 85)
Ab6 가변 영역 경쇄 (인간화됨) 단백질 서열 CDR3 (US20120294797)
LGSYDCTNGDCFV (서열번호: 86)
Ab6 가변 영역 중쇄 (인간화됨) 단백질 서열 CDR1 (US20120294797)
GYYMN (서열번호: 87)
Ab6 가변 영역 중쇄 (인간화됨) 단백질 서열 CDR2 (US20120294797)
IGINGATYYASWAKG (서열번호: 88)
Ab6 가변 영역 중쇄 (인간화됨) 단백질 서열 CDR3 (US20120294797)
GDI (서열번호: 89)
경쇄 가변 영역 단백질 서열 CDR3 (US20110305711)
QQGDALPPT (서열번호: 90)
경쇄 가변 영역 단백질 서열 CDR1 (US20110305711)
RASKDISKYL (서열번호: 91)
경쇄 가변 영역 단백질 서열 CDR2 (US20110305711)
YTSGYHS (서열번호: 92)
중쇄 가변 영역 단백질 서열 CDR1 (US20110305711)
GYTFGNYWMQ (서열번호: 93)
중쇄 가변 영역 단백질 서열 CDR2 (US20110305711)
AIYEGTGKTVYIQKFAD (서열번호: 94)
중쇄 가변 영역 단백질 서열 CDR3 (US20110305711)
LSDYVSGFGY (서열번호: 95)
경쇄 가변 영역 단백질 서열(US20110305711)
DIQMTQSPSSLSASVGDRVTITCRASKDISKYLNWYQQKPGKAPKLLIYYTSGYHSGVPSRFSGSGSGTDFTLTISSLQPEDFATYYCQQGDALPPTFGGGTKVEIK (서열번호: 96)
중쇄 가변 영역 단백질 서열(US20110305711)
QVQLVQSGAEVKKPGSSVKVSCKASGYTFGNYWMQWVRQAPGQGLEWMGAIYEGTGKTVYIQKFADRVTITADKSTSTAYMELSSLRSEDTAVYYCARLSDYVSGFGYWGQGTTVTVSS
(서열번호: 97)
경쇄 단백질 서열(US20110305711)
DIQMTQSPSSLSASVGDRVTITCRASKDISKYLNWYQQKPGKAPKLLIYYTSGYHSGVPSRFSGSGSGTDFTLTISSLQPEDFATYYCQQGDALPPTFGGGTKVEIKRTVAAPSVFIFPPSDEQLKSGTASVVCLLNNFYPREAKVQWKVDNALQSGNSQESVTEQDSKDSTYSLSSTLTLSKADYEKHKVYACEVTHQGLSSPVTKSFNRGEC (서열번호: 98)
중쇄 단백질 서열(US20110305711)
QVQLVQSGAEVKKPGSSVKVSCKASGYTFGNYWMQWVRQAPGQGLEWMGAIYEGTGKTVYIQKFADRVTITADKSTSTAYMELSSLRSEDTAVYYCARLSDYVSGFGYWGQGTTVTVSSASTKGPSVFPLAPCSRSTSESTAALGCLVKDYFPEPVTVSWNSGALTSGVHTFPAVLQSSGLYSLSSVVTVPSSSLGTKTYTCNVDHKPSNTKVDKRVESKYGPPCPPCPAPEAA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QEDPEVQFNWYVDGVEVHNAKTKPREEQF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GLPSSIEKTISKAKGQPREPQVYTLPPSQEEMTKNQVSLT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YSRLTVDKSRWQEGNVFSCSVMHEALHNHYTQKSLSLSLG (서열번호: 99)
일부 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변형된 불변 영역, 예컨대 본원에 기재된 면역학적으로 불활성인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CGRP (예컨대 인간 α-CGRP)에 대한 항-CGRP 길항제 항체의 결합 친화도 (KD)는 약 0.02 내지 약 200 nM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결합 친화도는 임의의 약 200 nM, 약 100 nM, 약 50 nM, 약 10 nM, 약 1 nM, 약 500 pM, 약 100 pM, 약 60 pM, 약 50 pM, 약 20 pM, 약 15 pM, 약 10 pM, 약 5 pM, 또는 약 2 pM이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결합 친화도는 임의의 약 250 nM, 약 200 nM, 약 100 nM, 약 50 nM, 약 10 nM, 약 1 nM, 약 500 pM, 약 100 pM, 또는 약 50 pM 미만이다.
일부 양태에서, 항-CGRP 수용체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CGRP 수용체 항체는,본원에 전체적으로 참고문헌으로 통합된 미국 특허 공개공보 제2010/0172895호 및 미국특허 제9,102,73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하기 중 임의의 서열을 가진 항체가 사용될 수 있다.
경쇄 가변 영역 단백질 서열 CDR1 (미국 특허 제9,102,731호)
SGSSSNIGNNYVS (서열번호: 100)
경쇄 가변 영역 단백질 서열 CDR2 (미국 특허 제9,102,731호)
DNNKRPS (서열번호: 101)
경쇄 가변 영역 단백질 서열 CDR3 (미국 특허 제9,102,731호)
GTWDSRLSAVV (서열번호: 102)
중쇄 가변 영역 단백질 서열 CDR1 (미국 특허 제9,102,731호)
SFGMH (서열번호: 103)
중쇄 가변 영역 단백질 서열 CDR2 (미국 특허 제9,102,731호)
VISFDGSIKYSVDSVKG (서열번호: 104)
중쇄 가변 영역 단백질 서열 CDR3 (미국 특허 제9,102,731호)
DRLNYYDSSGYYHYKYYGMAV (서열번호: 105)
경쇄 가변 영역 단백질 서열(미국 특허 제9,102,731호)
QSVLTQPPSVSAAPGQKVTISCSGSSSNIGNNYVSWYQQLPGTAPKLLIYDNNKRPSGIPDRFSGSKSGTSTTLGITGLQTGDEADYYCGTWDSRLSAVVFGGGTKLTVL (서열번호: 106)
중쇄 가변 영역 단백질 서열(미국 특허 제9,102,731호)
QVQLVESGGGVVQPGRSLRLSCAASGFTFSSFGMHWVRQAPGKGLEWVAVISFDGSIKYSVDSVKGRFTISRDNSKNTLFLQMNSLRAEDTAVYYCARDRLNYYDSSGYYHYKYYGMAVWGQGTTVTVSS
(서열번호: 107)
경쇄 단백질 서열(미국 특허 제9,102,731호)
MDMRVPAQLLGLLLLWLRGARCQSVLTQPPSVSAAPGQKVTISCSGSSSNIGNNYVSWYQQLPGTAPKLLIYDNNKRPSGIPDRFSGSKSGTSTTLGITGLQTGDEADYYCGTWDSRLSAVVFGGGTKLTVLGQPKANPTVTLFPPSSEELQANKATLVCLISDFYPGAVTVAWKADGSPVKAGVETTKPSKQSNNKYAASSYLSLTPEQWKSHRSYSCQVTHEGSTVEKTVAPTECS (서열번호: 108)
중쇄 단백질 서열(미국 특허 제9,102,731호)
MDMRVPAQLLGLLLLWLRGARCQVQLVESGGGVVQPGRSLRLSCAASGFTFSSFGMHWVRQAPGKGLEWVAVISFDGSIKYSVDSVKGRFTISRDNSKNTLFLQMNSLRAEDTAVYYCARDRLNYYDSSGYYHYKYYGMAVWGQGTTVTVSSASTKGPSVFPLAPCSRSTSESTAALGCLVKDYFPEPVTVSWNSGALTSGVHTFPAVLQSSGLYSLSSVVTVPSSNFGTQTYTCNVDHKPSNTKVDKTVERKCCVECPPCPAPPVA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HEDPEVQFNWYVDGVEVHNAKTKPREEQFNSTFRVVSVLTVVHQDWLNGKEYKCKVSNKGLPAPIEKTISKTKGQPREPQVYTLPPSREEMTKNQVSLT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MLDSDGSFFLYSKLTVDKSRWQQGNVFSCSVMHEALHNHYTQKSLSLSPGK (서열번호: 109)
C. 항체 G1 및 관련 항체, 폴리펩타이드 , 폴리뉴클레오타이드 , 벡터 및 숙주 세포
표 5에서 보여준 항체 G1 및 그 변이체 또는 표 5에서 보여준 항체 G1 및 그 변이체에서 유래된 폴리펩타이드; 및 G1 및 그 변이체 또는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인코딩하는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예를 들어, 약제학적 조성물)의 사용을 포함하는, 환자의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일부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에서 사용되는 조성물은 CGRP에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항체이거나 또는 아닐 수 있음), 및/또는 CGRP에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를 인코딩하는 서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적합한 부형제, 예컨대 당해기술에 공지되어 있는 버퍼를 포함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서 유용한 항-CGRP 길항제 항체 및 폴리펩타이드는 하기 임의의 (하나 이상)의 특징에 의해 특성규명될 수 있다: (a) CGRP에 결합하는 능력; (b) CGRP의 그 수용체(들)에 대한 결합을 차단하는 능력; (c) CGRP 수용체 활성화(cAMP 활성화 포함)를 차단 또는 감소시키는 능력; (d) CGRP 생물학적 활성 또는 CGRP 신호전달 기능에 의해 매개되는 하류 경로를 억제하는 능력; (e) 두통(예: 편두통)의 임의의 측면을 예방, 완화 또는 치료하는 능력; (f) CGRP의 클리어런스를 증가시키는 능력; 및 (g) CGRP 합성, 생성 또는 방출을 억제(감소)시키는 능력.
하기 중 임의의 것, 또는 하기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약제학적 조성물 포함)이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서 유용하다: (a) 표 5에서 보여준 항체 G1 또는 그 변이체; (b) 표 5에서 보여준 항체 G1 또는 그 변이체의 단편 또는 영역; (c) 표 5에서 보여준 항체 G1 또는 그 변이체의 경쇄; (d) 표 5에서 보여준 항체 G1 또는 그 변이체의 중쇄; (e) 표 5에서 보여준 항체 G1 또는 그 변이체의 경쇄 및/또는 중쇄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가변 영역(들); (f) 표 5에서 보여준 항체 G1 또는 그 변이체의 하나 이상의 CDR(s)(1개, 2개, 3개, 4개, 5개 또는 6개 CDRs); (g) 항체 G1의 중쇄로부터의 CDR H3; (h) 표 5에서 보여준 항체 G1 또는 그 변이체의 경쇄로부터의 CDR L3; (i) 표 5에서 보여준 항체 G1 또는 그 변이체의 경쇄로부터의 3개의 CDRs; (j) 표 5에서 보여준 항체 G1 또는 그 변이체의 중쇄로부터의 3개의 CDRs; (k) 표 5에서 보여준 항체 G1 또는 그 변이체의, 경쇄로부터의 3개의 CDRs 및 중쇄로부터의 3개의 CDRs; 및 (l) (b) 내지 (k)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는 항체.일부 경우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의 사용을 포함한다.
항체 G1 (초티아 및 카밧 CDRs 포함)의 CDR 부분은 도 5에서 도식적으로 묘사된다. CDR 영역의 결정은 당해분야의 기술수준 이내에 충분히 있다. 숙련된 기술자는 CDRs이 상기 카밧 및 초티아 CDR ("조합된 CDRs" 또는 "확장된 CDRs"이라고도 함)의 조합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경우에서 상기 CDRs는 카밧 CDRs이고, 다른 경우에서 상기 CDRs는 초티아 CDRs이다. 즉, 하나보다 많은 CDR이 유용한 일부 경우에, 상기 CDRs는 카밧, 초티아, 조합 CDRs,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은, 표 5에서 보여준 G1 또는 그 변이체의 적어도 1개의 CDR, 적어도 2개, 적어도 3개, 적어도 4개, 적어도 5개 또는 모든 6개의 CDR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적어도 1개의 CDR, 적어도 2개, 적어도 3개, 또는 적어도 4개, 적어도 5개, 또는 모든 6개의 CDRs을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항체이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를 채택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G1 또는 G1으로부터 유래된 적어도 2개, 3개, 4개, 5개 또는 6개의 CDRs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적어도 2개, 3개, 4개, 5개 또는 모든 6개의 CDR(s)을 가지는 항체의 이용을 함유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상기 적어도 1개, 2개, 3개, 4개, 5개, 또는 6개의 CDR(s)은 표 5에서 보여준 G1 또는 그 변이체의 적어도 1개, 2개, 3개, 4개, 5개 또는 6개의 CDRs와 적어도 약 85%, 86%, 87%, 88%, 89%, 90%, 95%, 96%, 97%, 98%, 또는 99% 동일하다.
본원에 제공된 방법은 하기 중 임의의 것을 갖는, 표 5에서 보여준 G1 또는 그 변이체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항체이거나 또는 아닐 수 있음)를 이용할 수 있다: 표 5에서 보여준 G1 또는 그 변이체의 서열의 적어도 5개의 인접 아미노산, 적어도 8개의 인접 아미노산, 적어도 약 10 개의 인접 아미노산, 적어도 약 15 개의 인접 아미노산, 적어도 약 20 개의 인접 아미노산, 적어도 약 25 개의 인접 아미노산, 적어도 약 30 개의 인접 아미노산이되, 상기 아미노산 중 적어도 3개는 표 5에서 보여준 G1 (도 5) 또는 그 변이체의 가변 영역으로부터 비롯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가변 영역은 G1의 경쇄 또는 G1의 중쇄로부터 비롯될 수 있다. 예시적인 폴리펩타이드는 G1의 양쪽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으로부터 인접 아미노산 (상기 기재된 길이)을 갖는다.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5 개(이상)의 인접 아미노산은 도 5에서 보여준 G1의 상보성 결정 영역 (CDR)에서 비롯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인접 아미노산은 G1의 가변 영역에서 비롯된다.
항-CGRP 길항제 항체 및 본원에 제공된 방법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인간 α-CGRP와 같은) CGRP에 대한 폴리펩타이드의 결합 친화도(KD)는 약 0.06 내지 약 200 n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 친화도는 약 200 nM, 약 100 nM, 약 50 nM, 약 10 nM, 약 1 nM, 약 500 pM, 약 100 pM, 약 60 pM, 약 50 pM, 약 20 pM, 약 15 pM, 약 10 pM, 약 5 pM, 또는 약 2 pM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결합 친화도는 약 250 nM, 약 200 nM, 약 100 nM, 약 50 nM, 약 10 nM, 약 1nM, 약 500 pM, 약 100 pM, 또는 약 50 pM 중 임의의 것의 미만이다.
본원에 제공된 방법은 G1과 같이 본원에 기재된 항체의 단쇄 가변 영역 단편("scFv")을 사용할 수 있다. 단쇄 가변 영역 단편은 짧은 연결 펩타이드 이용에 의해 경쇄 및/또는 중쇄 가변 영역을 연결함으로써 제조된다. 문헌 [버드(Bird) . (1988) Science 242:423-426].
표 5에서 보여준 항체 G1 또는 그 변이체의 하나 이상의 CDRs, 또는 표 5에서 보여준 항체 G1 또는 그 변이체로부터 유도된 하나 이상의 CDRs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는 당해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본원에 기재된 방법은, 그 특성에 유의미한 영향주지 않는 기능적으로 동등한 항체 및 향상된 또는 감소된 활성 및/또는 친화도를 갖는 변이체를 포함하여, 도 5에서 보여준 것과 같은 변형을 포함하는 항체 G1의 이용을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 5에서 보여준 항체 G1 또는 그 변이체의 아미노산 서열은 돌연변이되어 CGRP에 대한 원하는 결합 친화도를 갖는 항체를 수득할 수 있다. 변형된 폴리펩타이드의 예는 아미노산 모이어티의 보존적 치환, 기능적 활성을 유의미하게 유해하게 변화시키지 않는 아미노산의 하나 이상의 결실 또는 부가, 또는 화학 유사체의 용도를 갖는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한다.
변형은 또한 당화된 및 비당화된 폴리펩타이드, 뿐만 아니라 다른 번역후 변형, 예컨대, 예를 들면, 상이한 당으로 당화, 아세틸화, 및 인산화를 갖는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변형을 달성하는 기술이 당해분야에 잘 공지되어 있다.
본원에 기재된 폴리펩타이드를 인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예: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상기 조성물은 G1 항체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폴리펩타이드 중 임의의 것을 인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은 서열번호: 9 및 서열번호: 10에서 보여준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함유할 수 있다. 유용한 발현 벡터, 및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조성물의 투여 방법이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본원에 추가로 기재되어 있다.
D. 조성물
일부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에서 사용되는 조성물은 본원에 기재된 항-CGRP 항체 또는 항체-유래된 폴리펩타이드의 유효량을 포함한다. 조성물(예를 들어, 약제 또는 치료적 제형)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캐리어, 부형제 또는 안정제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문헌[레밍톤(Remington):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0th Ed. (2000)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Ed. K.E.Hoover]). 허용가능한 캐리어, 부형제, 또는 안정제는 이용된 투약량 및 농도에서 수령체에 대해 비독성이다.
본원에 제공된 항체(예를 들어, 항-CGRP 길항제 또는 항-CGRP 수용체 항체) 및 이의 조성물은 또한 상기 항체의 유효성을 향상 및/또는 보완하도록 기능하는 다른 제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E. 키트
본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키트가 또한 본원에 제공된다. 키트는 본원에 기재된 항체(예를 들어, 항-CGRP 길항제 항체(예: 인간화된 항체)) 또는 본원에 기재된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용기, 및 본원에 기재된 방법 중 임의의 방법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설명서를 함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설명서는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방법에 따라 환자를 선택하고 치료하기 위해 상기 항체를 투여하는 서술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키트는 상기 환자가 HT 뉴런의 활성화 및 감작에 의해 매개되는 두통(예를 들어, 두개내 기원의 두통)을 갖는지 여부의 식별에 기반하여 치료에 적합한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서술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설명서는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환자에게 단클론성 항체(예를 들어, 항-CGRP 길항제 항체)를 투여하는 방법의 서술을 함유한다.
따라서, 키트는 상기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 경로를 조절하는 단클론성 항체의 투약량을 포함하는 예를 들어, 프리필드 주사기, 바늘 안전 장치를 갖는 프리필드 주사기, 인젝션 펜, 또는 자동-인젝터; 및 환자의 두통이 고-역치(HT) 뉴런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설명서를 함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설명서는 상기 CGRP 경로를 조절(예컨대, 차단, 억제, 억압 또는 저감)시키는 단클론성 항체를 투여함으로써 환자가 감소가능한 통각과민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 및/또는 환자 두통이 두부의 일부(예컨대, 한쪽 안와주위, 한쪽 관자놀이, 또는 한쪽 눈)에서 주로 경험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키트는 CGRP 경로를 조절하는 단클론성 항체 및 환자에게 QST를 투여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서 또는 환자에게 설문응답을 실시하고 상기 환자 두통이 두부의 일부(예컨대, 한쪽 안와주위, 한쪽 관자놀이, 또는 한쪽 눈)에서 주로 경험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상기 반응을 분석하는 것에 대한 설명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반응자 식별과 관련된 설명서에 추가하여, 상기 키트는 의도하는 치료를 위한 투약량, 투약 일정 및 투여 경로를 포함하여 단클론성 항체(예를 들어, 항-CGRP 길항제 또는 수용체 항체)를 사용한 추가적인 치료를 위한 설명서(예를 들어, 일단 환자가 상기 키트의 지침에 따라 반응자로 식별되면 두통 빈도의 감소를 달성하기 위한 설명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된 키트에서, 키트에 제공된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6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7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8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키트에 제공된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키트에 제공된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및 서열번호: 1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키트에 제공된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87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88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89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8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8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86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키트에 제공된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8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80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키트에 제공된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83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및 서열번호: 8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키트에 제공된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9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9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9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91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92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90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키트에 제공된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97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96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키트에 제공된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99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및 서열번호: 98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키트에 제공된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0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10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10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100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101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102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키트에 제공된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07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106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키트에 제공된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09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중쇄, 및 서열번호: 108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 경쇄를 포함한다.
키트에 제공된 단클론성 항체는 프레마네주맙, 엡티네주맙, 갈카네주맙, 에레누맙, 또는 그의 임의의 생물학적 등가물일 수 있다. 숙련된 실시자는 키트가 전술한 항체의 임의의 조합을 함유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키트는 적합한 패키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적합한 패키징은 바이알, 보틀, 병, 가요성 패키징(예를 들어, 밀봉된 마일러(Mylar) 또는 비닐백)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특정 장치, 예컨대 흡입기, 비강 투여 장치(예를 들어, 분무기) 또는 주입 장치, 예컨대 미니펌프와 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포장이 상정된다. 키트는 멸균된 접근 포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용기는 피하 주사 바늘로 뚫을 수 있는 스토퍼를 갖는 정맥내 용액 백 또는 바이알일 수 있다). 용기는 또한 멸균된 접근 포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용기는 피하 주사 바늘로 뚫을 수 있는 스토퍼를 갖는 정맥내 용액 백 또는 바이알일 수 있다). 본 조성물에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제는 항-CGRP 길항제 항체 및/또는 CGRP 경로를 조정하는 단클론성 항체이다. 상기 용기는 제2의 추가로 약제학적 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키트는 임의로 추가의 성분 예컨대 버퍼 및 해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정상적으로는, 상기 키트는 용기 및 용기 상의 또는 용기와 관련된 라벨 또는 포장 삽입물(들)을 포함한다.
하기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 그러나 제한하지 않기 위해 제공된다. 본원에 기재된 실시예 및 양태는 오로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고, 이에 대한 견지에서 다양한 변형 또는 변화가 당해분야의 숙련자에게 제안될 것이며, 본 출원의 취지 및 관점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원에 인용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 출원은, 각 개별 간행물, 특허 또는 특허 출원이 구체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참고문헌으로 통합되는 것으로 표시된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모든 목적을 위해 본원에서 전체적으로 참고문헌으로 통합된다.
실시예
실시예 1: CGRP에 대해 지시되는 단클론성 항체의 발생 및 특성규명
항-CGRP 항체의 발생. 랫트 및 인간 CGRP용 교차종 반응성을 갖는 항-CGRP 항체를 발생하기 위해, 다양한 간격으로 아쥬반트 (발바닥 마다 50 μl, 마우스 마다 총 100 μl)에서 KLH에 컨쥬게이트된 인간 α-CGRP 또는 β-CGRP25-100 μg로 마우스를 면역화시켰다. 면역화는 일반적으로 문헌[기어릭스 에이치제이(Geerligs HJ) , 1989, J. Immunol . Methods 124:95-102; 케니 제이에스(Kenney JS) , 1989, J. Immunol . Methods 121:157-166; 및 위처 케이(Wicher K) , 1989, Int . Arch. Allergy Appl . Immunol. 89:128-13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마우스는 CFA(완전 프로인드 아쥬반트)에서 KLH에 컨쥬게이트된 인간 α-CGRP 또는 β-CGRP 50 μg로 1차 면역화하였다. 21일 후, 마우스는 IFA(불완전 프로인드 아쥬반트)에서 KLH에 컨쥬게이트된 인간 β-CGRP (인간 α-CGRP로 1차 면역화된 마우스의 경우) 또는 α-CGRP(인간 β-CGRP로 1차 면역화된 마우스의 경우) 25 μg로 2차 면역화되었다. 상기 2차 면역화 이후 23일째에, 제3 면역화를 IFA에서 KLH에 컨쥬게이트된 랫트 α-CGRP 25 μg 로 수행하였다. 10 일 이후에, ELISA를 이용하여 항체 역가를 테스트하였다. 4차 면역화는 상기 3차 면역화 이후 34일째에 IFA 중 펩타이드(랫트 α-CGRP-KLH) 25 μg로 수행하였다. 최종 부스터는 상기 4차 면역화 이후 32일째에 가용성 펩타이드(랫트 α-CGRP) 100 μg로 수행하였다.
비장세포를 면역화된 마우스로부터 수득하였고 그리고 폴리에틸렌 글리콜 1500으로 10:1의 비율에서 NSO 골수종 세포와 융합시켰다. 20% 말 혈청 및 2-옥살로아세테이트/피루베이트/인슐린 (시그마)을 함유하는 DMEM내 96-웰 플레이트에 하이브리드를 플레이팅하였고, 그리고 하이포잔틴/아미노프테린/티미딘 선택을 시작하였다. 8 일째에, 20% 말 혈청을 함유하는 100 μl의 DMEM을 모든 웰들에 부가하였다. 항체 포착 면역검정을 이용함으로써 하이브리드의 상청액을 스크리닝하였다. 클라스-특이적 제2 항체로 항체 클라스의 결정을 실시하였다.
추가 특성규명을 위해 인간 및 랫트 CGRP에 그 결합에 기반하여 단클론성 항체-생산 세포주의 패널을 선택하였다. 상기 항체 및 특성은 표 1 및 2에서 아래 보여준다.
정제 및 Fab 단편 제조. 추가 특성규명을 위해 선택된 단클론성 항체를 단백질 A 친화도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하이브리도마 배지의 상청액으로부터 정제하였다. 상기 상청액은 pH 8로 평형화하였다. 상기 상청액을 그 다음 PBS로 pH 8까지 평형화된 단백질 A 칼럼 MabSelect (Amersham Biosciences # 17-5199-02)에 부하하였다. 상기 칼럼을 5 칼럼 용적의 PBS, pH 8로 세정하였다. 상기 항체를 50 mM 시트레이트-인산염 버퍼, pH 3으로 용출하였다. 용출된 항체를 1 M 인산염 버퍼, pH 8로 중화시켰다. 정제된 항체를 PBS, pH 7.4로 투석하였다. 쥣과 단클론성 항체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항체 농도를 SDS-PAGE로 결정하였다.
면역순수 Fab 키트 (Pierce # 44885)를 이용하여 전체 항체의 파파인 단백질분해로 Fabs를 제조하였고 그리고 제조자 설명서에 따른 단백질 A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한 흐름에 의해 정제하였다. (아미노산 분석에 의해 결정된) 공지된 농도의 표준 Fab를 이용하여 ELISA 및/또는 SDS-PAGE 전기영동에 의해, 그리고 1OD = 0.6 mg/ml (또는 아미노산 서열에 기반한 이론적 등가)를 이용한 A280에 의해 농도를 결정하였다.
Fabs의 친화도 결정. 항-CGRP 단클론성 항체의 친화도는 제조자의 자체 실행 버퍼, HBS-EP (10 mM HEPES pH 7.4, 150 mM NaCl, 3 mM EDTA, 0.005 % v/v 폴리소르베이트 P20)와 함께, BIACORE3000™ 표면 플라스몬 공명 (SPR) 시스템(Biacore, INC, Piscataway, NJ)을 사용하여 25℃ 또는 37℃에서 결정하였다. SA 칩 상에서 사전-고정화된 스트렙타비딘을 통해 N-말단 바이오티닐화된 CGRP 펩타이드 (GenScript Corporation, New Jersey 또는 Global Peptide Services, 콜로라도로부터 주문 제작됨)를 포착하고 상기 CGRP 표면에 걸쳐 적정된 항체 Fab의 결합 동력학을 측정함으로써 친화도를 결정하였다. 바이오티닐화된 CGRP를 HBS-EP에서 희석하였고, 0.001 mg/ml 미만의 농도로 상기 칩 위에 주사하였다. 개별 칩 채널을 거쳐 가변성 유동 시간을 이용하여, 2가지 범위의 항원 밀도를 달성하였다: 상세한 동력학 연구에 대하여 <50 반응 단위 (RU) 및 농도 연구 및 스크리닝에 대하여 약 800 RU.일반적으로, 정제된 Fab 단편의 1 μM 내지 0.1 nM (0.1-10x 추정 KD를 목적으로 함)에 걸친 농도에서 2- 또는 3-배 연속 희석을 100 μL/min으로 1분 동안 주사하였고, 10분의 해리 시간을 허용하였다. 각각의 결합 사이클 이후, 25% v/v 에탄올에서 25 mM NaOH로 표면을 재생하였고, 이것을 수백 사이클에 걸쳐 용인하였다. 동력학 결합 속도(kon) 및 분해 속도 (koff)를, BIA 평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1:1 랭뮤어(Langmuir) 결합 모델(문헌[칼슨(Karlsson) . (1994). Methods Enzymology 6. 99-110])에 대해 데이터를 맞춤으로써 동시에 수득된다. 전반적 평형 분해 상수(KD) 또는 "친화도"는 비 KD = koff/kon로부터 계산하였다. 쥣과 Fab 단편의 친화도를 표 1 및 2에서 보여준다.
쥣과 항-CGRP 항체의 에피토프 맵핑. 항-CGRP 항체가 인간 α-CGRP에서 결합하는 에피토프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CGRP 단편에 대한 Fab 단편의 결합 친화도를 상기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SA 센서 칩에서 N-말단 바이오티닐화된 CGRP 단편 아미노산 19-37 및 아미노산 25-37을 포착함으로써 측정하였다. 도 1은 25℃에서 측정된 이들의 결합 친화도를 보여준다. 도 1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항체 4901를 제외한 모든 항체는, 인간 α-CGRP 단편 19-37 및 25-37에 결합하되, 전장 길이 인간 α-CGRP(1-37)에 대한 이들의 결합 친화도와 유사한 친화도를 갖는다. 항체 4901은 인간 α-CGRP 단편 25-37에 결합하되, 주로 오프-레이트에서의 손실로 인해, 전장 길이 인간 α-CGRP 단편에 결합하는 것보다 6배 낮은 친화도를 갖는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항-CGRP 항체가 일반적으로 CGRP의 C-말단에 결합함을 표시한다.
항-CGRP 항체의 결합에 관여된 인간 α-CGRP에서 아미노산을 추가 특성규명하기 위해 알라닌 스캐닝을 수행하였다. 단일 알라닌 치환을 갖는 인간 α-CGRP의 상이한 변이체를 펩타이드 합성으로 발생하였다. 비아코어 분석에서 사용된 모든 다른 펩타이드와 함께 그 아미노산 서열을 표 3에서 보여준다. 상기 변이체에 대한 항-CGRP 항체의 Fab 단편의 친화도를 상기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비아코어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도 1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모든 12 항체는 C-말단 에피토프를 표적하고, 아미노산 F37은 가장 결정적인 모이어티다. 알라닌에 대한 F37의 돌연변이는 친화도를 유의미하게 낮추었거나 또는 펩타이드에 대한 항-CGRP 항체의 결합을 완전히 녹아웃시켰다. 다음의 가장 중요한 아미노산 모이어티는 G33이지만, 그러나, 단지 높은 친화도 항체 (7E9, 8B6, 10A8, 및 7D11)는 상기 위치에서 알라닌 대체에 의해 영향받았다. 아미노산 모이어티 S34는 또한 상기 4개의 높은 친화도 항체의 결합에서 유의미한, 그러나 낮은 역할을 한다.
표 1. 인간 α-CGRP에 결합하는 항-CGRP 단클론성 항체의 특성 및 그 길항제 활성
Figure pct00002
표 2.랫트 α-CGRP에 결합하는 항-CGRP 단클론성 항체의 특성 및 길항제 활성
Figure pct00003
표 3. 인간 α-CGRP 단편 (서열번호:15-40) 및 관련된 펩타이드 (서열번호:41-47)의 아미노산 서열.모든 펩타이드는 서열번호:36-40을 제외하고 C-말단 아미드화된다. 볼드체 모이어티는 점 돌연변이를 표시한다.
Figure pct00004
실시예 2: 시험관내 검정을 이용한 항- CGRP 길항제 항체의 스크리닝.
세포 기반 cAMP 활성화 검정 및 결합 검정을 이용하여 쥣과 항-CGRP 항체를 시험관내 길항제 활성에 대하여 추가로 스크리닝하였다.
cAMP 검정에 의해 측정된 길항제 활성. 항-CGRP 항체(최종 농도 1 내지 3000 nM), 또는 랫트 α-CGRP 또는 인간 α-CGRP(최종 농도 0.1 nM 내지 10 μM; c-AMP 활성화를 위한 양성 대조군으로서)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인간 또는 랫트 α-CGRP(최종 농도 50 nM)의 5마이크로리터를 384-웰 플레이트(Nunc, Cat.No. 264657)에 디스펜싱하였다. 자극 버퍼 (20 mM HEPES, pH 7.4, 146 mM NaCl, 5 mM KCl, 1 mM CaCl2, 1 mM MgCl2, 및 500 μM 3-이소부틸-1-메틸산틴(IBMX)) 중에서 세포(인간 α-CGRP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인간 SK-N-MC, 또는 랫트 α-CGRP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ATCC로부터의 랫트 L6) 10 마이크로리터를 상기 플레이트의 웰에 첨가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상기 인큐베이션 이후, cAMP 활성화는 HitHunter™ 효소 단편 보완 검정(Enzyme Fragment Complementation Assay(Applied Biosystems)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설명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이 검정은 2개의 단편 - 효소 수용자(EA) 및 효소 공여자(ED)로 불리움-으로 이루어진 유전자 조작된 β-갈락토시다아제 효소에 기반한다. 2개의 단편이 분리된 경우, 효소는 불활성이다. 단편이 함께인 경우 이들은 동시에 재조합하여 상보성화라 칭하는 공정에 의해 활성 효소를 형성할 수 있다. EFC 검정 플랫폼은 cAMP가 항-cAMP에 의해 인식되는 ED-cAMP 펩타이드 컨쥬게이트를 이용한다. 상기 ED 단편은 EA와 재화합하여 활성 효소를 형성할 수 있다. 검정에서, 항-cAMP 항체는 ED-cAMP 컨쥬게이트를 결합하기 위해 그리고 효소 형성을 억제하기 위해 최적으로 적정된다. 세포 용해물 샘플에서 cAMP의 수준은 항-cAMP 항체에 대한 결합에 대하여 ED-cAMP 컨쥬게이트와 경쟁한다. 검정에서 자유 ED 컨쥬게이트의 양은 cAMP의 농도에 비례한다. 그러므로, cAMP는 β-갈락토시다아제 발광 기판의 턴오버(turnover)에 의해 정량화되는 활성 효소의 형성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cAMP 활성화 검정은 10 μl의 용해 버퍼 및 항-cAMP 항체(1:1 비)를 첨가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6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수행하였다. 그 다음, 10 μl의 ED-cAMP 시약을 각 웰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60 분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상기 인큐베이션 이후에, 20 μl의 EA 시약 및 CL 혼합물(상기 기판을 함유함)(1:1 비)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또는 하룻밤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를 PMT 기기상의 1 초/웰에서 또는 이미지 상의 30 초/위치에서 판독하였다. α-CGRP에 의해 cAMP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항체가 상기 표 1 및 2에서 식별되었다("예"라고 언급됨). 표 1 및 2에서 데이터는 상기 검정에서 길항제 활성을 실증하였던 항체가 일반적으로 높은 친화도를 가짐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인간 α-CGRP에 대해 약 80 nM 이하의 (25℃에서 결정된) KD를 갖는 또는 랫트 α-CGRP에 대해 약 47 nM 이하의 (37℃에서 결정된) KD를 갖는 항체가 상기 검정에서 길항제 활성을 보여주었다.
방사성리간드 결합 검정.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용체에 결합으로부터 CGRP 차단에서 항-CGRP 항체의 IC50을 측정하기 위해 결합 검정을 수행하였다. 문헌[짐머만(Zimmermann) , Peptides 16:421-4, 1995; 말리(Mallee) , J. Biol . Chem.277:14294-8, 2002].SK-N-MC 세포로부터의 멤브레인 (25 μg)을, 총 체적 1mL 중 10 pM 125I-인간 α-CGRP을 함유하는 인큐베이션 버퍼(50 mM Tris-HCl, pH 7.4, 5 mM MgCl2, 0.1% BSA)에서 실온에서 90분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억제 농도(IC50), 항체 또는 라벨되지 않은 CGRP(대조군으로서)를 결정하기 위해, 약 100배 더 높은 스톡 용액을 인큐베이션 버퍼에 다양한 농도로 용해하였고 멤브레인 및 10 pM 125I-인간 α-CGRP과 함께 동시에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은 0.5% 폴리에틸렘이민으로 차단되었던 유리 극세사 필터(GF/B, 1 μm)를 통과시키는 여과에 의해 종결하였다. 하기 방정식을 이용함으로써 용량 반응 곡선을 작도하였고 Ki 값을 결정하였다:Ki = IC50/(1+([리간드]/KD); 여기서 SK-N-MC 세포에 존재하는 인간 α-CGRP 내지 CGRP1 수용체에 대하여 상기 평형 분해 상수 KD = 8pM이고, Bmax = 0.025 pmol/mg 단백질이다. 기록된 IC50 값(IgG 분자의 관점에서)은 결합 부위로 전환되어서(이것에 2를 곱함으로써), 비아코어에 의해 결정된 친화도(KD)와 비교될 수 있었다(표 1 참조).
표 1은 쥣과 항체 7E9, 8B6, 6H2 및 4901의 IC50를 보여준다. 데이터는 항체 친화도가 일반적으로 IC50과 상관관계 있음을 가리킨다: 보다 높은 친화도(보다 낮은 KD 값)를 갖는 항체는 방사선리간드 결합 검정에서 보다 낮은 IC50을 갖는다.
실시예 3: 랫트 복재 신경의 자극에 의해 유도된 피부 혈관확장에 대한 항- CGRP 길항제 항체의 효과
항-CGRP 항체의 길항제 활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랫트 복재 신경의 자극에 의한 피부 혈관확장에 대한 항체의 효과를 이전에 기재된 랫트 모델을 이용하여 테스트하였다. 문헌[에스콧트(Escott) , Br.J. Pharmacol .110:772-776, 1993]. 상기 랫트 모델에서, 복재 신경의 전기적 자극은 신경 종말로부터 CGRP의 방출을 유도하여, 피부 혈류에서의 증가를 초래한다. 수컷 스프래그 다우리 랫트 (170-300 g, Charles River Hollister)의 발 피부내 혈류를 복재 신경 자극 이후 측정하였다. 랫트를 2% 이소플루란으로 마취하에 유지하였다. 복재 신경의 교감성 섬유의 수반되는 자극으로 인한 혈관수축을 최소화하기 위해 브레틸리움 토실레이트 (30 mg/kg, 정맥내 투어)를 실험의 초기에 제공하였다. 온도 제어된 가열 패드에 자동온도조절로 연결된 직장 프로브의 사용에 의해 체온을 37℃로 유지하였다. 도 3에서 보여준 실험을 제외하고, 항체, 양성 대조군 (CGRP 8-37), 및 비히클 (PBS, 0.01% Tween 20)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오른쪽 대퇴 정맥을 통해 정맥 내로 제공하였고, 시험 화합물 및 대조군을 꼬리 정맥을 통해 주사하였고, 그리고 도 2a 및 2b에서 보여준 실험을 위해, 항체 4901 및 7D11을 복강내로 (IP) 주사하였다. 양성 대조군 화합물 CGRP 8-37 (혈관확장 길항제)은 그의 짧은 반감기로 인해 400 nmol /kg(200 μl)으로 신경 자극하기 3-5 분 전에 주어졌다. 문헌 [탄(Tan) , Clin . Sci. 89:656-73, 1995]. 상기 항체를 상이한 투약량(1 mg/kg, 2.5 mg/kg, 5 mg/kg, 10 mg/kg, 및 25 mg/kg)으로 제공하였다.
도 2a 및 2b에서 보여준 실험을 위해, 항체 4901 (25 mg/kg), 항체 7D11 (25 mg/kg), 또는 비히클 대조군 (0.01% Tween 20을 갖는 PBS)을 전기 펄스 자극전에 복강내로 (IP) 72 시간 투여하였다. 도 3에서 보여준 실험을 위해, 항체 4901 (1 mg/kg, 2.5 mg/kg, 5 mg/kg 또는 25 mg/kg) 또는 비히클 대조군 (0.01% Tween 20를 갖는 PBS)를 전기 펄스 자극 24시간 전에 정맥내 투여하였다. 상기 항체 또는 비히클 대조군 투여 이후, 오른쪽 뒷다리의 복재 신경을 수술로 노출시켰고, 근위로 절단하였고 플라스틱 랩으로 피복하여 건조를 예방하였다. 복재 신경에 의해 신경이 통하게 되는 영역인 뒷발 피부의 중배측 위에 레이저 도플러 프로브를 배치하였다. 혈구 유동으로서 측정된 피부 혈류를 레이저 도플러 유량계로 모니터링하였다. 안정한 기준선 유동 (5% 편차 미만)이 적어도 5분 동안 확립되었을 때, 상기 신경을 백금 양극성 전극 위에 놓고 60 펄스 (2Hz, 10 V, 1 ms, 30초 동안)로 전기 자극하였고, 이후, 20분 후에 다시 자극하였다. 전기 펄스 자극에 대한 각각의 유동 반응에 대하여 유동-시간 곡선 (AUC, 시간 변화를 곱한 유동 변화와 동일) 하의 면적으로 피부 혈류에서 누적 변화를 추정하였다. 2개 자극에 대한 혈류 반응의 평균을 뽑았다. 동물을 1 내지 3 시간의 기간 동안 마취하에 유지하였다.
도 2a 및 도 2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로 CGRP 8-37 (400 nmol/kg, 정맥내 투어), 항체 4901 (25 mg/kg, ip 투여), 또는 항체 7D11 (25 mg/kg, ip 투여)의 존재에 의해 복재 신경에 전기 펄스 적용으로 자극된 혈류 증가를 저해하였다. CGRP 8-37은 상기 복재 신경 자극의 3-5분 전에 투여하였고; 항체는 상기 복재 신경 자극 72시간 전에 투여하였다. 도 3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복재 신경에 전기 펄스를 적용함으로써 자극된 혈류 증가는 복재 신경 자극 24시간 전에 정맥내 투여된 상이한 투약량 (1 mg/kg, 2.5 mg/kg, 5 mg/kg 및 25 mg/kg)의 항체 4901의 존재에 의해 억제되었다.
도 4a 및 4b에서 보이는 실험을 위해, 복재 신경을 항체 투여전에 수술로 노출하였다. 오른쪽 뒷다리의 복재 신경을 수술로 노출하였고, 근위로 절단하였고 플라스틱 랩으로 피복하여 건조를 예방하였다. 복재 신경에 의해 신경이 통하게 되는 영역인 뒷발 피부의 중배측 위에 레이저 도플러 프로브를 배치하였다. 혈구 유동으로서 측정된 피부 혈류를 레이저 도플러 유량계로 모니터링하였다. 브레틸륨 토실레이트 주사 30 내지 45분 후에, 안정한 기준선 유동(5% 미만 편차)이 적어도 5분동안 확립되었을 때, 상기 신경을 백금 양극성 전극 상에 놓았고, 전기 자극하였고(2 Hz, 10V, 1 ms, 30분 동안), 20분 후에 다시 자극하였다. 상기 2개의 자극에 대한 혈류 유동 반응의 평균을 사용하여, 전기 자극에 대한 기준선 반응 (시간 0)을 확립하였다. 항체 4901 (1 mg/kg 또는 10 mg/kg), 항체 7E9 (10 mg/kg), 항체 8B6 (10 mg/kg), 또는 비히클 (0.01% Tween 20을 갖는 PBS)을 그 다음 정맥내로 (i.v.) 투여하였다. 그 뒤에, 항체 또는 비히클 투여 30분, 60분, 90분 및 120분 후에 상기 신경을 자극하였다(2Hz, 10V, 1ms, 30초). 동물을 대략 3 시간의 기간 동안 마취하에 유지하였다. 전기 펄스 자극에 대한 각각의 유동 반응에 대하여 유동-시간 곡선 (AUC, 시간 변화를 곱한 유동 변화와 동일) 하의 면적으로 피부 혈류에서 누적 변화를 추정하였다.
도 4a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상기 항체 투여 60분, 90분 및 120분 후에 전기 펄스 자극을 적용할 때 복재 신경에 전기 펄스를 적용하여 자극된 혈류 증가가, 정맥내 투어된 1 mg/kg의 항체 4901의 존재에 의해 유의미하게 억제되었고, 상기 항체 투여 30분, 60분, 90분 및 120분 후에 전기 펄스 자극을 적용할 때 복재 신경에 전기 펄스를 적용하여 자극된 혈류 증가가, 정맥내 투어된 10 mg/kg의 항체 4901의 존재에 의해 유의미하게 억제되었다. 도 4b는, 항체 투여 30분, 60분, 90분 및 120분 후에 전기 펄스 자극을 적용할 때 (정맥내 투어된 10 mg/kg의) 항체 7E9의 존재에 의해, 그리고, 항체 투여 30분 후에 전기 펄스 자극을 적용할 때 (정맥내 투어된 10 mg/kg의) 항체 8B6의 존재에 의해, 복재 신경에 전기 펄스를 적용하여 자극된 혈류 증가가 유의미하게 억제되었음을 보여준다.
상기 데이터는 항체 4901, 7E9, 7D11, 및 8B6이 랫트 복재 신경의 자극에 의해 유도된 피부 혈관확장으로 측정시 CGRP 활성 차단에 효과적임을 표시한다.
실시예 4. 항- CGRP 항체 G1 및 그 변이체의 특성규명
항-CGRP 항체 G1의 중쇄 가변 영역 및 경쇄 가변 영역에 대한 아미노산 서열을 도 5에서 보여준다. 항체 G1 및 그 변이체의 발현 및 특성규명을 위하여 하기 방법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발현 벡터.상기 항체의 Fab 단편의 발현은 하기 문헌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IPTG 유도성 lacZ 프로모터의 제어하에 있었다: 문헌[바르바스(Barbas) (2001) Phage display: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NY,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pg.2.10.Vector pComb3X], 그러나, 변형은 하기 추가적인 도메인 중 첨가 및 발현을 포함하였다: 인간 카파 경쇄 불변 도메인 및 IgG2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CH1 불변 도메인, Ig 감마-2 쇄 C 영역, 단백질 수탁 번호 P01859; 면역글로불린 카파 경쇄(호모 사피엔스), 단백질 수탁 번호 CAA09181.
소규모 Fab 제조. Fab 라이브러리에 의해 (전기천공-컴피턴트(competent) TG1 세포 또는 화학적-컴피턴트 상위 10개 세포를 사용하여) 형질전환된 대장균으로부터, 마스터 플레이트(아가 LB + 카르베니실린 (50 μg/mL) + 2% 포도당)와 작업 플레이트(2 mL/웰, 96-웰/플레이트)를 모두 접종하기 위해 단일 콜로니를 사용하였으며, 이 때, 각각의 웰은 1.5 mL의 LB + 카르베니실린 (50 μg/mL) + 2% 포도당을 함유하였다. 가스 투과성 접착제 씰 (ABgene, Surrey, UK)을 플레이트에 적용하였다. 양쪽 플레이트는 12 내지 16시간 동안 30℃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작업 플레이트를 격렬하게 진탕하였다. 상기 마스터 플레이트는 필요할 때까지 4℃에서 보관하였고, 그 동안 상기 작업 플레이트로부터의 세포는 펠렛화(4000 rpm, 4℃, 20분)하였고 1.0 mL LB + 카베니실린(50 μg/mL) + 0.5 mM IPTG에 재현탁하여, 30℃에서 5시간 동안 격렬하게 진탕함으로써 Fab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유도된 세포를 4000 rpm으로, 4℃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고, 0.6 mL 비아코어 HB-SEP 버퍼(10 mM HEPES pH 7.4, 150 mM NaCl, 3 mM EDTA, 0.005% v/v P20)에서 재현탁하였다. HB-SEP 재현탁된 세포의 용해는 동결(-80℃), 그리고 이후에, 37℃에서 해동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세포 용해물은 4000 rpm, 4℃에서 1시간동안 원심분리하여, Fab-함유 상청액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였고, 후속하여, Millipore MultiScreen Assay System 96-Well Filtration Plate) 및 진공 매니폴드를 사용하여 여과(0.2 μm)하였다. 센서 칩에 CGRPs를 거쳐 이들을 주입시킴으로써 여과된 상청액을 분석하기 위해 비아코어를 사용하였다. Fabs를 발현하는 친화도-선택된 클론을 마스터 플레이트로부터 구조하였고, PCR, 서열분석, 및 플라스미드 제조를 위해 주형 DNA를 제공하였다.
대규모 Fab 제조. 동력학 파라미터를 수득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대규모로 Fabs를 발현하였다. 150 mL LB + 카르베니실린 (50 μg/mL) + 2% 포도당을 함유하는 삼각플라스크는 친화도-선택된 Fab-발현 대장균 클론으로부터 1 mL의 "개시제"로 하룻밤 배양물로 접종하였다. 개시제 배양물 중 나머지(~3 mL)를 사용하여, 서열분석 및 추가 조작을 위해 플라스미드 DNA (QIAprep mini-prep, Qiagen 키트)를 제조하였다. OD600nm 1.0을 획득할 때까지 큰 배양액을 격렬히 흔들면서 30℃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전형적으로 12-16 시간). 세포를 4000 rpm, 4℃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펠렛화하였고, 150 mL LB + 카르베니실린(50 μg/mL) + 0.5 mM IPTG에서 재현탁하였다. 30℃에서 5시간 발현 후, 세포를 4000 rpm, 4℃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펠렛화하였고, 10 mL 비아코어 HBS-EP 버퍼에 재현탁하고, 1회의 동결(-80℃)/해동(37℃) 사이클을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세포 용해액을 4000 rpm, 4℃에서 1시간 동안 원심분리하여 펠렛화하였고, 상기 상청액을 수거 및 여과하였다(0.2 um). 여과된 상청액은 PBS, pH 8로 평형화된 Ni-NTA 슈퍼플로우 세파로즈(Qiagen, Valencia, Canada) 컬럼에 부하한 후에, PBS, pH 8의 5 컬럼 체적으로 세척하였다. 개개의 Fab를 PBS (pH 8) + 300 mM 이미다졸을 갖는 상이한 분획물로 용출하였다. Fabs를 함유하는 분획을 PBS에서 풀링 및 투석하였고, 그 다음 친화도 특성규명에 앞서 ELISA에 의해 정량화시켰다.
완전 항체 제조. 완전 항체의 발현을 위해,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을 포유동물 발현 벡터에서 클로닝하였고 리포펙타민을 이용하여 일시적 발현을 위하여 HEK 293 세포에 형질감염하였다. 표준 방법을 이용한 단백질 A를 이용하여 항체를 정제하였다.
벡터 pDb.CGRP.hFcGI는 G1 항체의 중쇄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이고, 그리고 중쇄의 일시적 또는 안정한 발현에 적합하다. 벡터 pDb.CGRP.hFcGI는 다음의 영역에 대응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갖는다: 쥣과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프로모터 영역 (뉴클레오타이드 7-612); 합성 인트론 (뉴클레오타이드 613-1679); DHFR 코딩 영역 (뉴클레오타이드 688-1253); 인간 성장 호르몬 신호전달 펩타이드 (뉴클레오타이드 1899-1976); G1의 중쇄 가변 영역 (뉴클레오타이드 1977-2621); 다음과 같은 돌연변이체를 포함하는 인간 중쇄 IgG2 불변 영역:A330P331 내지 S330S331 (야생형 IgG2 서열을 참조로 아미노산 넘버링; 참고 Eur.J. Immunol. (1999) 29:2613-2624). 벡터 pDb.CGRP.hFcGI는 2005년 7월 15일에 ATCC에 기탁되었고 ATCC 수탁 번호 PTA-6867를 부여받았다.
벡터 pEb.CGRP.hKGI는 G1 항체의 경쇄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이고, 그리고 상기 경쇄의 일시적 발현에 적합하다. 벡터 pEb.CGRP.hKGI는 다음의 영역에 대응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갖는다: 쥣과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프로모터 영역(뉴클레오타이드 2-613); 인간 EF-1 인트론 (뉴클레오타이드 614-1149); 인간 성장 호르몬 신호전달 펩타이드 (뉴클레오타이드 1160-1237); 항체 G1 경쇄 가변 영역(뉴클레오타이드 1238-1558); 인간 카파 쇄 불변 영역 (뉴클레오타이드 1559-1882). 벡터 pEb.CGRP.hKGI는 2005년 7월 15일에 ATCC에 기탁되었고 ATCC 수탁 번호 PTA-6866를 부여받았다.
친화도 결정을 위한 비아코어 검정. G1 단클론성 항체 및 그의 변이체의 친화도는 BIACORE3000™ 표면 플라스몬 공명 (SPR) 시스템(비아코어, INC, Piscataway NJ)을 사용하여 25℃ 또는 37℃에서 결정하였다. 미리-고정된 스트렙타비딘 (SA 센서 칩)을 통해 N-말단 바이오티닐화된 CGRP 또는 단편 포착 및 칩에서 CGRP 또는 단편을 거쳐 적정된 항체 G1 Fab 단편 또는 변이체의 결합 동역학 평가에 의해 친화도를 결정하였다. HBS-EP 작동 버퍼 (10 mM HEPES pH 7.4, 150 mM NaCl, 3 mM EDTA, 0.005% v/v 폴리소르베이트 P20)에서 모든 비아코어 검정을 수행하였다. N-바이오티닐화된 CGRP를 HBS-EP 버퍼에 0.001 mg/mL 미만의 농도로 희석하고, 이를, 가변성 접촉 시간을 사용하여 SA 센서 칩에 주입하여 CGRP 표면을 준비하였다. <50 반응 단위 (RU)의 수준에 상응하는 저용량 표면을 고-분해 동력학 연구에 사용하였고, 반면에 고용량 표면 (약 800 RU의 포착된 CGRP)을 농도 연구, 스크리닝, 및 용액 친화도 결정에 사용하였다. 항체 G1 Fab를 1 uM - 0.1 nM (0.1-10x 추정된 KD에서 목표) 범위의 농도에서 2- 또는 3-배 증분으로 연속해서 희석시킴으로써 동력학 데이터를 수득하였다. 샘플은 전형적으로 100μL/min으로 1 분 동안 주입하였고, 적어도 10분의 해리 시간을 허용하였다. 각각의 결합 사이클 이후, 25% v/v 에탄올에서 25 mM NaOH로 표면을 재생하였고, 이것을 수백 사이클에 걸쳐 용인하였다. 전체 적정 시리즈(일반적으로 2세트(duplicate)로 생성시킴)는 BIA 평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1:1 랭뮤어 결합 모델에 정합하였다. 이것은 각각의 결합 상호작용에 대하여 회합 및 해리 동력학 속도 상수 (각각, kon 및 koff)의 독특한 페어(pair)로 복귀되었으며, 이들의 비는 평형 해리 상수 (KD = koff/kon)를 제공하였다. 이 방법으로 결정된 친화도 (KD 값)는 표 5 및 6에 열거되어 있다.
극도로 낮은 오프레이트를 갖는 결합 상호작용의 고-분해 분석.극도로 낮은 오프레이트(특히, 25℃에서 칩 상에서 인간 □-CGRP에 결합하는 항체 G1 Fab)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친화도는 2-파트 실험에서 수득하였다. 상기 기재된 프로토콜을 하기 변형으로 사용하였다. 회합 속도 상수(kon)는 550 nM-1 nM에 걸쳐 2배 적정 시리즈(2세트)를 100 μL/min로 30초 동안 주사하고 단지 30초 해리 단계만을 허용함으로써 결정하였다. 해리 속도 상수(koff)를 동일한 적정 시리즈의 3가지 농도(높음, 중간, 낮음)를 30초 동안 2세트로 주입하고 2시간의 해리 단계를 허용함으로써 결정하였다. 각 상호작용의 친화도(KD)는, 표 4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두 가지 유형의 실험에서 수득된 kon과 koff 값을 결합하여 수득하였다.
비아코어에 의한 용액 친화도 결정. 랫트 α-CGRP 및 F37A(19-37) 인간 α-CGRP에 대한 항체 G1의 용액 친화도는 37℃에서 비아코어에 의해 측정하였다. 고용량 CGRP 칩 표면을 사용하였고(고-친화도 인간 α-CGRP는 검출 목적으로 선택됨) HBS-EP 작동 버퍼는 5 μL/min으로 유동하였다. 5 nM의 일정 농도에서의 항체 G1 Fab 단편(상기 용액-기반 상호작용의 예측된 KD 이하를 목적으로 함)은 3배 연속 희석에서 1 nM 내지 1 μM에 걸친 최종 농도에서, 랫트 α-CGRP 또는 F37A(19-37) 인간 α-CGRP 경쟁 펩타이드로 사전-인큐베이션하였다. 용액-기반 경쟁 펩타이드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서 항체 G1 Fab 용액을 칩에서 CGRP를 거쳐 주사하였고 그리고 용액 경쟁의 결과로서 칩 표면에서 검출된 결합 반응의 고갈을 모니터링하였다. 보정 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결합 반응을 "자유 Fab 농도"로 전환시켰고, 이는 칩에서 CGRP를 거쳐 항체 G1 Fab 단독 (5, 2.5, 1.25, 0.625, 0.325 및 0 nM)의 적정으로 제작하였다. 사용된 경쟁 용액-기반 펩타이드의 농도에 대하여 "자유 Fab 농도"를 작도하여 각각의 데이터 포인트를 발생시켰고 그리고 BIA평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용액 친화도 모델에 맞추었다. 상기 식으로 (간접적으로) 결정된 용액 친화도를 표 4 및 6에서 보여주고 Fabs가 SA 칩에서 N-바이오티닐화된 CGRPs를 거쳐 직접적으로 주사되는 경우 수득된 친화도를 인증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상기 2가지 방법에 의해 결정된 친화도 사이에서 밀접한 일치는 칩에 CGRP의 N-바이오티닐화된 버전의 묶음이 그 원상태 용액 결합 활성을 변경하지 않음을 확인한다.
아래 표 4는 SA 칩에서 N-바이오티닐화된 CGRPs를 거쳐 Fab 단편을 유동시킴으로써, 비아코어에 의해 결정된 인간 α-CGRP, 인간 β-CGRP, 랫트 α-CGRP, 및 랫트 β-CGRP에 대한 항체 G1의 결합 친화도를 보여준다. 극도로 낮은 오프레이트와 결합 상호작용의 친화도를 더 잘 분해하기 위해, 상기 검정 방향을 보충하기 위해 2-파트 실험에서 친화도를 또한 결정하였고, 랫트 α-CGRP 상호작용의 용액 친화도를 또한 (상기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결정하였다. 양쪽 검정 방향에서 측정된 친화도의 밀접한 일치는 용액에서 원상태 랫트 α-CGRP의 결합 친화도가 SA 칩에 N-바이오티닐화되고 묶여지는 경우 변경되지 않음을 확인한다.
표 4.칩에서 CGRP에 걸쳐 적정된 항체 G1 Fabs의 결합 친화도
Figure pct00005
*α-CGRPs (랫트 및 인간)에 대한 친화도를 고-분해 2-파트 실험에서 결정하였고, 여기에서 해리 상을 2 시간 동안 모니터링하였다 (kon, koff, 및 KD에 대한 값은 퍼센트 변동으로서 표현된 표준 편차를 갖는 n 반복 실험의 평균을 나타낸다). β-CGRPs (랫트 및 인간)에 대한 친화도는 단지 20 분 해리 단계만을 사용하여 전체 분석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이는 극단적인 오프레이트 (이들의 오프레이트는 여기에 명시된 것보다 더 느린 경향이 있고, 그러므로 이들의 친화도는 보다 높은 경향이 있다)를 정량화할만큼 충분히 정확하지는 않았다. 항체 G1 Fab는 (특히 25℃에서) 비아코어 검정의 분해 한계에 근접한 오프레이트를 갖는 모든 CGRPs (α-랫트 CGRP 제외)로부터 극히 느리게 해리되었다.
** 용액-기반 랫트 α-CGRP 경쟁자로 미리-인큐베이션된 항체 G1 Fab에 대하여 칩 상의 CGRP에서 검출된 결합 반응의 고갈 평가로 결정된 용액 친화도.
아래 표 5은 항체 G1에 비교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 변화 및 양쪽 랫트 α-CGRP 및 인간 α-CGRP에 대한 그 친화도를 갖는 항체를 보여준다. 표 5에서 보이는 변이체의 모든 아미노산 치환은 G1의 서열에 비해 기재된다. Fab 단편의 결합 친화도를 SA 칩에서 CGRP를 거쳐 이들을 유동시킴으로써 비아코어에 의해 결정하였다.
표 5. 비아코어에 의해 37℃에서 결정된 항체 G1 변이체에 대한 아미노산 서열 및 결합 친화도 데이타.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양쪽 카밧 및 초티아 CDRs를 포함하는 모든 CDRs. 아미노산 모이어티를 순차적으로 넘버링한다 (참고 도 5). 모든 클론은 G1에 동일한 L3+H1+H3 서열을 갖는다.
KD = koff/kon. Fab 농도 시리즈 (G1을 고-분해 방식으로 분석하였다)의 전면적인 분석으로 수득되었던, 밑줄친 것을 제외한 모든 koff 값을 스크리닝 방식으로 결정하였다. kon를 측정함으로써 따라서 밑줄친 KD 값을 실험적으로 결정하였다. 다른 kon 값을 M25와 동일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n.d.= 결정되지 않음
항체 G1에 의해 인식되는 인간 α-CGRP에 에피토프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기재된 비아코어 검정을 사용하였다. SA 센서 칩을 통해 그 고-친화도 포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N-바이오티닐화된 버전으로서 인간 α-CGRP를 구매하였다. CGRP 펩타이드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 칩위 인간 α-CGRP에 G1 Fab 단편의 결합을 결정하였다. 전형적으로, 2000:1 몰 펩타이드/Fab 용액(예를 들어, 50nM G1 Fab에서 10 μM 펩타이드)을 상기칩 상에서 인간 α-CGRP에 걸쳐 주입하였다. 도 6은 경쟁 펩타이드에 의해 차단된 결합의 백분율을 보여준다. 도 6에서 보여준 데이터는 인간 α-CGRP에 G1 Fab의 100% 결합을 차단하는 펩타이드가 하기임을 표시한다: 인간 α-CGRP의 1-37 (WT), 8-37, 26-37, P29A (19-37), K35A (19-37), K35E (19-37), 및 K35M (19-37); β-CGRP (WT)의 1-37; 랫트 α-CGRP (WT)의 1-37; 및 랫트 β-CGRP (WT)의 1-37. 모든 이들 펩타이드는 C-말단에서 아미드화된다. 인간 α-CGRP의 펩타이드 F37A (19-37) 및 19-37 (후자는 C-말단에서 아미드화되지 않음)은 또한 인간 α-CGRP에 G1 Fab의 결합의 약 80% 내지 90% 차단되었다. 인간 α-CGRP의 펩타이드 1-36 (C-말단에서 아미드화되지 않음)은 인간 α-CGRP에 G1 Fab의 결합의 약 40% 차단하였다. 인간 α-CGRP의 펩타이드 단편 19-36 (C-말단에서 아미드화되지 않음); 인간 α-CGRP의 펩타이드 단편 1-13 및 1-19 (모두 C-말단에서 아미드화되지 않음); 및 인간 아밀린, 칼시토닌, 및 아드레노메둘린 (모두 C-말단에서 아미드화됨)은 칩위 인간 α-CGRP에 G1 Fab의 결합과 경쟁하지 않았다. 상기 데이터는 G1이 CGRP의 C-말단 에피토프를 표적하고 최말단 모이어티 (F37) 및 그 아미드화의 동일성이 결합에 중요함을 증명한다.
인간 α-CGRP (37℃에서)의 변이체에 G1 Fab의 결합 친화도를 또한 결정하였다. 아래 표 6은 N-바이오티닐화된 인간 α-CGRP를 거쳐 G1 Fab 및 칩위 변이체를 적정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측정된 바와 같은 친화도를 보여준다. 표 6에서 데이터는 가장 중요한 모이어티인 F37 및 G33으로 C-말단 에피토프에 항체 G1이 결합함을 표시한다. 추가의 아미노산 모이어티 (알라닌)가 (아미드화된) C-말단에서 부가된 경우 G1은 CGRP에 결합하지 않는다.
표 6. 37℃에서 측정된 인간 α-CGRP 및 변이체에 대한 G1 Fab의 결합 친화도 (참고 그 아미노산 서열에 대한 표 3)
Figure pct00012
상기 데이터는 항체 G1이 결합하는 에피토프가 인간 α-CGRP의 C-말단 끝에 있고, 그리고 인간 α-CGRP에서 아미노산 33 및 37은 항체 G1의 결합에 중요함을 표시한다. 또한, 모이어티 F37의 아미드화는 결합에 중요하다.
실시예 5: 인간화된 단클론성 항- CGRP 항체에 의한 삼차신경혈관 뉴런의 선택적 억제 ( 프레마네주맙 , TEV -48125)
본 연구의 목적은 CGRP-mAb 프레마네주맙 (TEV-48125)이 수막 관능 경로를 조절하는 방법을 더 잘 이해하는 것이었다. 본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마취된 수컷 및 암컷 랫트의 척추 삼차신경 핵에서 미감작(na
Figure pct00013
ve) 및 CSD-감작된 삼차신경혈관 뉴런에서의 자발적 및 유발된 활성에 대한 프레마네주맙 (30 mg/kg IV) 및 IgG2 아이소타입 대조군 항체 (아이소타입-conAb)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 단-단위 기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양쪽 성별 모두에서 프레마네주맙이 미감작 고 역치(HT)를 억제하였지만 광역학 범위 삼차신경혈관 뉴런을 억제하지 않았음을 실증하였고, 상기 뉴런에 대한 억제 효과는 얼굴 피부 또는 각막이 아닌 두개내 경막으로부터의 활성화로 제한되었음을 실증하였다. 또한, 충분한 시간이 주어질 때 프레마네주맙은 피질 확산성 억제에 의해 HT 뉴런의 활성화 및 감작을 방지한다.
A. 물질 및 방법
수술 준비
실험은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와 Harvard Medical School 동물 관리 상임위원회에 의해 실험실 동물의 관리 및 사용에 대한 건강 가이드의 미국 학회(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Guide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에 따라 승인되었다. 수컷 및 암컷 스프라그-둘리 랫트 (250-350 g)를 우레탄(0.9-1.2 g/kg i.p.)으로 마취시켰다. 이들에 인공 환기를 허용하는 기관 내 튜브(O2 0.1 L/min), 및 약물의 후속 투입을 위한 대퇴 정맥내 캐뉼라를 장착시켰다. 랫트를 정위고정 장치에 놓고, 가열 블랭킷을 이용하여 코어 온도를 37℃로 유지하였다. 호기종말 CO2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였고, 생리적 범위(3.5-4.5 pCO2) 내로 유지하였다. 일단 안정화되면, 랫트를 로쿠로늄 브로마이드 (10 mg/ml, 1 ml/hr 연속 정맥 투입)로 마비시켰고 환기시켰다. 실험의 후반부에서 상기 두개골 경막의 자극을 위해, 왼쪽 횡부비동 바로 위에서, 람다 봉합사 앞과 뒤에 있는 두정골 및 후두골에서 5 x 5 mm 개구부를 신중하게 조각하였다. 변형된 합성 간질액(135 mM NaCl, 5 mM KCl, 1 mM MgCl2, 5 mM CaCl2, 10 mM 포도당 및 10 mM Hepes, pH 7.2)을 사용하여, 상기 노출된 경막을 촉촉하게 유지하였다. 척추 삼차신경 핵에서 단-단위 기록을 위해, 오벡스(obex)와 C2 사이의 척수 세그멘트는 덮고있는 조직으로부터 노출되었고, 경질막을 벗겨내고, 광유로 촉촉하게 유지하였다.
뉴런 식별 및 선택
신경 활성을 기록하기 위해 텅스텐 마이크로전극 (임피던스 3-4 M
Figure pct00014
)을 경막 및 안면 피부로부터 수렴된 입력을 수신하는 중추 삼차신경혈관 뉴런을 찾아 척추 삼차신경 핵(STN)으로 반복되게 내려졌다. 삼차신경혈관 뉴런은 상기 경막의 전기자극에 대한 이들의 반응에 기반하여 우선 식별되었다. 이들은 노출된 두개골 경막의 동측성(ipsilateral) 전기적 (0.1-3.0 mA, 0.5 msec, 0.5 Hz 펄스) 및 기계적 (보정된 폰 프레이(von Frey) 모노필라멘트를 의함) 자극에 대한, 또한, 안면 피부 및 각막의 기계적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불연속 발화 바우트를 나타내었다면 본 연구를 위해 선택되었다. 경막 수용 필드는 1mm 중외측으로(mediolaterally) 및 로스트로카우드(rostrocaudally)로 구분된 포인트에서 상기 경막을 (4.19 g VFH 모노필라멘트에 의함) 만입으로써 맵핑되었다. 상기 시도의 ≥50%에서 반응을 발생시키는 경막 만입의 포인트를 상기 뉴런 수용 필드 내인 것으로 고려하였다. 무해한 및 유해한 기계적 자극을 모든 안면 피부 영역 및 각막에 적용함으로써 피부의 수용 필드를 맵핑하였다. 자극이 상기 시도의 ≥50%에서 반응을 발생시키지 않는다면 영역이 상기 수용 필드 외에 있는 것으로 고려하였다. 짧은(10s) 무해한 및 유해한 자극을 상기 피부 수용 필드의 가장 만김한 부위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피부의 기계적 자극에 대한 반응을 결정하였다. 무해 자극은 상기 피부 수용 필드에 걸쳐 부드러운 강모 브러쉬를 천천히 가로지르게 하는 것 (미측(caudal)에서 전측(rostral)까지 1회 5-s 브러쉬 스트로크 및 전측에서 미측까지 1회 5-s 브러쉬 스트로크)과 느슨한 동맥 클립에 의해 인가되는 압력으로 이루어졌다. 유해 자극은 강한 동맥 클립에 의한 핀치로 이루어졌다(문헌[팔레세크(Palecek) , 1992, J. Neurophysiol.67:1562-1573; 다도(Dado) , 1994, J. Neurophysiol .71:981-1002; 부르스타인(Burstein) , 1998, J. Neurophysiol .79:964-982)].자발적인 뉴런 방출 또는 반응 특성에서 장기간 변화 유도를 피하기 위해 더 강렬한 또는 장기간 자극을 사용하지 않았다. 상기 각막의 기계적 자극에 대한 반응은 얇은 페인트브러쉬 (약 10 모낭)로 부드럽고 느린 브러쉬 스트로크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2종의 뉴런 클라스가 식별되었다: 광역학-범위 (WDR) 뉴런 (브러쉬, 압력 및 핀치에 대해 증분적으로 반응), 및 고-역치 (HT) 뉴런 (브러쉬에 반응하지 않음). 실시간 파형 판별기는 상기 경막에 대한 전기 펄스에 의한 연구하의 뉴런에서 유발되는 동작 전위에 대한 템플릿을 생성하고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스파이크(Spike) 2 소프트웨어 (CED, Cambridge, UK)를 사용하여, 상기 템플릿 파형과 매칭되는 활성의 스파이크를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획득 및 분석하였다.
피질 확산성 억제의 유도 및 기록
피질 확산성 억제(CSD)는 10초 동안 시각 피질내로 유리 마이크로피펫(팁 직경 25 μm)을 약 1 mm 삽입함으로써 기계적으로 유도하였다. 3 내지 5 mm/min의 전파 속도로, CSD의 단일 파가 피질 자극의 1 내지 2 분 내에 상기 신경 수용 필드에 유입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CSD의 검증을 위해, 대뇌 피질의 표면의 바로 아래에 놓인(약 100 μm) 유리 마이크로피펫(0.9% 식염수, ~1 메그옴, 7um 팁)으로 피질 활성(피질전도)를 기록하였다. 상기 피질전도 전극을 상기 시각 피질에 대한 전방 약 6 mm에 위치시켰다.
단클론성 항- CGRP 항체 프레마네주맙 ( TEV - 48125)에 의한 처리
프레마네주맙 (TEV-48125/LBR-101/RN-307으로도 공지되어 있음)(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Israel)은 인간화된 단클론성 항-CGRP 항체(CGRP-mAb)이다. 이것을 식염수 중에서 30 mg/kg의 최종 투약량으로 희석하였고, 정맥내로 투여하였다(볼루스 주사, 총 체적 0.6 내지 0.7 ml). 상응하는 인간 IgG2 아이소타입 대조군 항체(아이소타입-conAb)를 또한 식염수 중에서 30 mg/kg의 최종 투약량으로 희석하였고, 정맥내 투여하였다(볼루스 주사, 총 체적 1.6 내지 2.0 ml).
실험 프로토콜
실험 프로토콜은 두 파트를 포함하였다. 제1 파트는 미감작 삼차신경혈관 뉴런의 자발 및 유도 활성에 대한 CGRP-mAb vs. 아이소타입-conAb 효과를 비교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제2 파트는 CSD에 의한 삼차신경혈관 뉴런의 활성화 및 감작에 대한 CGRP-mAb vs. 아이소타입-conAb 효과를 테스트하도록 설계되었다. 두 파트 모두 수컷 및 암컷 랫트에서 WDR 및 HT 뉴런의 샘플링을 포함하였다. 상기 제1 파트에서, 기저선 뉴런 프로파일은, (a) 상기 경막, 피부 및 각막 수용 필드의 맵핑; (b) 경막(고정된 힘에 의함), 피부(브러쉬, 압력, 핀치) 및 각막(브러쉬)의 기계적 자극에 대한 반응(평균 스파이크/초)의 측정, 및 (c) 자발적 발화율(치료 전 30분에 걸쳐 기록)의 측정에 의해 확립하였다. 상기 기준선이 확립되면, CGRP-mAb 또는 아이소타입-conAb를 투여하고 수용필드를 리맵핑하고, 상기 경막, 피부 및 각막의 자극에 대한 뉴런 반응을 재-검사하고, 상기 자발 활성율을 치료후 1, 2, 3 및 4 시간에 재-샘플링하였다. 그 다음, 각 측정에서의 결과 값을 치료 전에 수득한 각 기준선 값과 비교하였다. 상기 제2 파트에서, CGRP-mAb 또는 아이소타입-conAb의 투여 4시간 후에 CSD를 유도하였고 2시간 후(즉, 치료 6시간후)에 수용성 필드 크기, 자발 활성율, 및 경막, 피부 및 각막의 자극에 대한 반응 크기를 다시 측정하였다. 그 다음, 각 측정에서의 생성된 CSD-후 값을 치료 4시간후 시간에 수득한 각각의 CSD-전 값과 비교하였다. 본 파트는 상기 랫트의 생리학적 조건(심박수, 혈압, 호흡, 호기말 CO2)와 신경 절연 신호(신호-대-노이즈 비 ≥ 1:3)는 치료 4시간후 시간에 안정한 경우에만 시작되었다.
각 실험을 끝맺음에 있어서, 기록 부위에서 작은 병변이 생성되었고(15 초 동안 15 μA의 애노드 DC), 하기 문헌 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직학적 분석을 사용하여 척수후각에서 그의 편재화를 사후평가 결정하였다: (문헌[장(Zhang) . (2011) Ann. Neurol .69:855-865). 단 1종의 뉴런을 각 동물에서 연구하였다.
데이터 분석
각 자극에 대한 반응 크기를 계산하기 위해, 첫 번째 자극의 개시 전에 발생하는 평균 발화 빈도(자발 활성을 위해서는 30분, 경막, 피부 및 각막의 기계적 자극을 위해서는 10초)를, 각 자극의 지속기간에 걸쳐 발생한 평균 발화 빈도로부터 차감하였다. 본 연구의 제1 파트에서, 각 측정에 대해 상응하는 값 (치료 1, 2, 3, 4 시간 후에 결정됨)을 프레마네주맙 또는 아이소타입-conAb 투여 전에 수득한 각각의 기준선 값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제2 파트에서, 각 측정에 대한 결과 값(CSD 유도 2시간 후에 결정됨)을 2개의 치료 그룹(프레마네주맙 및 아이소타입-conAb)에서 CSD 유도 이전에 수득한 각각의 값과 비교하였다. CSD 이후에 그의 평균 발화율이 그의 평균 기준선 활성을 >10분 기간동안 상기 중간값의 2 표준 편차만큼 초과할 때, 즉, 활성이 ≥33% 증가한 것으로 해석될 때, 뉴런이 활성화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CSD 발생 2시간 후에 다음의 5 자극 중 적어도 3 자극에 대해 강화된 반응을 나타낸다면 뉴런이 감작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경구 만입, 브러쉬, 피부의 가압 또는 핀치, 및 각막의 브러쉬.각 값의 평균 발화율은 비모수 통계 (Wilcoxon 부호 순위 테스트)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양측 검정(two-tailed)의 유의도 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B. 결과
63개 뉴런으로 이루어진 미감작 삼차신경혈관 뉴런의 자발 및 유도 활성에 대한 CGRP-mAb vs 아이소타입-conAb 효과를 테스트하기 위한 데이터데이스. 이 중 31개는 WDR로 분류되었고, 32개는 HT로 분류되었다. 상기 31개 WDR 뉴런 중에서, 18 (수컷에서 11개, 암컷에서 7개)를 상기 CGRP-mAb 투여 이전 및 이후에 테스트하였고, 13개 (수컷에서 7개, 암컷에서 6개)를 상기 아이소타입-conAb 투여 이전 및 이후에 테스트하였다. 상기 32개 HT 뉴런 중에서, 18개 (수컷에서 11개, 암컷에서 7개)를 상기 CGRP-mAb 투여 이전 및 이후에 테스트하였고, 14개 (수컷에서 8개, 암컷에서 6개)를 상기 아이소타입-conAb 투여 이전 및 이후에 테스트하였다.
CSD에 의한 뉴런의 활성화 및 감작에 대한 CGRP-mAb vs 아이소타입-conAb 효과를 테스트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50개 뉴런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에서, 23개는 WDR로 분류되었고, 27개는 HT로 분류되었다. 상기 23개 WDR 뉴런 중에서, 13개 (수컷에서 7개, 암컷에서 6개)를 상기 CGRP-mAb 치료된 동물에서 테스트하였고 10개 (수컷에서 5개, 암컷에서 5개)은 아이소타입-conAb 치료된 동물에서 테스트하였다. 상기 27개 HT 뉴런 중에서, 14개 (수컷에서 8개, 암컷에서 6개)를 CGRP-mAb 치료된 동물에서 테스트하였고, 13개 (수컷에서 7개, 암컷에서 6개)에서 아이소타입-conAb 치료된 동물에서 테스트하였다.
기록 부위, 수용 필드 및 뉴런 클라스
기록 부위, 경막 및 피부 수용 필드의 맵, 및 세포 유형은 CGRP-mAb를 위해 테스트된 뉴런 및 아이소타입-conAb를 위해 테스트된 뉴런 사이에서 차이나지 않았다 (도 7a-7j). 모든 식별된 기록 부위는 척수의 제1 자궁경부 세그먼트의 라미나 I-II 및 IV-V 및 핵 카우달리스(nucleus caudalis)의 미측 부분에 편재되었다. 모든 경우에, 상기 경막 수용 필드의 가장 민감한 영역은 횡부비동을 따라 있었으며, 상기 피부 수용 필드의 가장 민감한 지역은 사례의 90% 초과에서 각막을 포함한 눈 주위에 있었다.
미감작 중추 삼차신경혈관 뉴런 자발 활성
수컷 랫트에서, 상기 CGRP-mAb의 정맥 투여는 HT의 자발 활성을 감소시켰지만 WDR 뉴런에서는 그렇지 않았다(도 8a 및 8b). 상기 HT 그룹에서, 뉴런 발화는 3 내지 4 시간 이내에 90% 감소하였다 (p=0.040). 때때로, 일부 HT 뉴런의 발화율은 CGRP-mAb의 정맥내 투여 후 1 내지 2 시간 이내에 감소하였다 (도 8d). 대조적으로, 상기 아이소타입-conAb의 정맥내 투여는 뉴런의 어떠한 그룹의 자발 활성도 변경시키지 않았다 (도 8e 및 8f).
암컷에서는, 수컷과 달리, 상기 CGRP-mAb의 정맥내 투여는 HT 또는 WDR 뉴런의 자발 활성을 감소시키지 않았다 (도 8c). 유사하게, 상기 아이소타입-conAb의 정맥내 투여는 뉴런의 어떠한 그룹의 자발 활성도 변경시키지 않았다 (도 8g). 임계적으로, HT 및 WDR 뉴런의 기준선(즉, 임의의 치료 이전) 자발 발화율은 상기 수컷과 암컷 랫트 사이에서 차이나지 않았다 (p=0.14). 상기 HT 뉴런의 경우에, 임의의 치료 이전의 평균 스파이크/초은 상기 수컷에서 1.7±1.1 vs 상기암컷에서 1.9±1.0 이었다 (p=0.55). 상기 WDR 뉴런의 경우, 임의의 치료 이전의 평균 스파이크/초는 상기 수컷에서 0.3±0.6 vs 상기암컷에서 2.2±1.1 이었다 (p=0.16).
경막 만입에 대한 미감작 중추 삼차신경혈관 뉴런의 민감도
수컷 및 암컷 랫트 모두에서, 상기 CGRP-mAb의 정맥내 투여는 상기 HT에서 경막의 기계적 자극에 대한 민감도를 감소시켰으나, WDR 뉴런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도 9a-9c). 수컷에서 HT 뉴런의 발화는 75% 감소한 반면(p = 0.047), 암컷에서는 61% 감소하였다 (p=0.017). 성별에 상관없이, 상기 아이소타입-conAb의 정맥내 투여는 뉴런의 어떠한 그룹에서도 경막 자극에 대한 민감도를 변경시키지 않았다(도 9d-9f).
안와주위 피부 및 각막의 기계적 자극에 대한 미감작 중추 삼차신경혈관 뉴런의 민감도
상기 CGRP-mAb의 정맥내 투여 (도 10a-10d) 또는 아이소타입-conAb(도 10e-10h)는 수컷 또는 암컷 랫트에서 피부 또는 각막 도 11a-11f의 무해(브러쉬, 압력) 또는 유해(핀치)한 기계적 자극에 대한 HT 또는 WDR 뉴런의 반응을 변경시키지 않았다
피질 확산성 억제
CSD에 의한 중추 삼차신경혈관 뉴런의 활성화에 대한 CGRP-mAb(n=27) 또는 아이소타입-conAb(n=23)의 효과를, 기준선 발화율(즉, CSD의 유도 전의 평균 스파이크/초)이 수 시간에 걸쳐 신뢰성 및 일관성있었던 50개 뉴런에서 테스트하였다. 기준선 (즉, CSD 이전)에서, HT 및 WDR 뉴런의 자발 발화율은 상기 수컷 및 암컷 랫트 사이에서 차이나지 않았다 (p=0.14). 상기 HT 뉴런의 경우, CSD의 유도 이전의 평균 스파이크/초는 상기 수컷에서 1.2±0.6 vs. 상기 암컷에서 3.3±1.7이었다 (p=0.29). WDR 뉴런의 경우, CSD 유도 이전의 평균 스파이크/초는 상기 수컷에서 1.5±0.6 vs. 상기 암컷에서 3.5±2.2 이었다 (p=0.37).
중추 삼차신경혈관 뉴런에서 CSD -유도 활성
수컷 랫트에서, CSD의 유도 2시간 이후 및 아이소타입-conAb 투여 6시간 이후에, 상기 7HT 뉴런의 평균 발화율은 CSD 이전의 1.1±0.8 스파이크/초로부터 CSD 이후의 10.2±2.1로 증가한 반면 (p=0.019), 상기 5 WDR 뉴런의 평균 발화율은 증가하지 않았다 (CSD 이전의 0.5±0.3 스파이크/초 vs. CSD 이후의 1.6±0.5, p=0.14) (도 12a 및 12b). 대조적으로, 상기 CGRP-mAb 치료된 랫트에서, 상기 8 HT 뉴런의 반응 크기는 CSD의 유도 이후 2 시간 및 CGRP-mAb 투여 이후 6 시간에서 변하지 않은 채로 있었다 (CSD 이전의 1.2±0.6 스파이크/초 vs. CSD 이후의 1.9±1.5, p=0.29) (도 12d 및 12e). 즉, 상기 HT 뉴런의 예측된 CSD-유도 활성화는 상기 CGRP-mAb 치료에 의해 예방되었다.
암컷 랫트에서, CSD의 유도 이후 2 시간 및 아이소타입-conAb 투여 이후 6 시간에, 상기 6 HT 뉴런의 평균 발화율은 CSD 이전의 1.9±1.0 스파이크/초로부터 CSD 이후의 10.0±4.5로 증가한 반면 (p = 0.027), 상기 5 WDR 뉴런의 평균 발화율은 변화되지 않은 채로 있었다 (CSD 이전의 2.6±1.2 스파이크/초 vs. CSD 이후의 2.2±0.9 p=0.73) (도 12c). 대조적으로, 상기 CGRP-mAb 치료된 랫트에서, 상기 6 HT 뉴런의 반응 크기는 CSD의 유도 이후 2 시간 및 CGRP-mAb 투여 이후 6 시간에 변하지 않은 채로 있었다 (CSD 이전의 3.3±1.7 스파이크/초 vs. CSD 이후의 5.0±3.4, p=0.45) (도 12f). 상기 수컷에서와 같이, 상기 HT 뉴런의 예측된 CSD-유도 활성화는 상기 CGRP-mAb 치료에 의해 예방되었다.
CSD에 의한 WDR 및 HT 뉴런의 활성화에 대한 CGRP-mAb 효과를 추가로 검사하기 위해, 사례별 분석을 또한 수행하였다. 모든 CGRP-mAb 및 아이소타입-conAb 치료된 WDR 뉴런 중에서, 5/13 및 4/10이 CSD에 의해 활성화되었고, 이는 단지 2% 차이에 불과하였다. 대조적으로, 모든 CGRP-mAb 및 아이소타입-conAb 치료된 HT 뉴런 중에서, 2/14 및 13/13은 CSD에 의해 활성화되었고, 이는 86% 차이였다.
CSD -유도된 감작
CSD에 의한 활성화에 관계없이, 11/13 HT 및 WDR 뉴런 중 0 (none)이 감작의 발달에 대한 기준(데이터 분석 섹션에 정의됨)을 충족하였다. 그러므로, CSD 이후의 감작 발달을 방해하는 CGRP-mAb의 능력은 HT에 제시되었지만 WDR 뉴런에는 제시되지 않았다.
CSD 이후 경막의 기계적 자극에 대한 경막 수용 필드의 확장 및 보강된 반응
상기 아이소타입-conAb 처리된 그룹에서, 수컷에서 5/7 HT 뉴런 및 암컷에서 6/6 HT 뉴런에서 경막 수용 필드가 확장되었다 (도 13a). CSD의 유도 2 시간 이후 (아이소타입-conAb 투여 6 시간 이후), VFH에 의한 경막 만입에 대한 뉴런 반응이 상기 수컷에서 모든 7 HT 뉴런에서 증가하였고 (CSD 이전의 12.8±3.9 스파이크/초 vs. CSD 이후의 22.0±3.7, p= 0.026), 및 상기 암컷에서 모든 6 HT 뉴런에서 (CSD 이전의 8.5±1.7 vs. CSD 이후의 21.6±5.1, p=0.047) 증가하였다 (도 14a-14c).
대조적으로, 상기 CGRP-mAb 치료된 그룹에서, 경막 수용 필드의 확장은 발생하였을 때 보다 작았으며, 상기 수컷에서 단지 2/8 HT 뉴런 및 상기 암컷에서 0/6에서 기록되었다 (도 13b). CSD의 유도 2 시간 이후 (CGRP-mAb 투여 6 시간 이후), VFH에 의한 경막 만입에 대한 뉴런 반응은 상기 수컷 (CSD 이전의 1.8±0.6 vs. CSD 이후의 1.9 ±1.5, p=0.83) 및 상기 암컷 (CSD 이전의 10.5±1.6 vs. CSD 이후의 8.1 ±6.4, p=0.72, 도 14d-14f) 모두에서 모든 HT 뉴런에서 변하지 않은 채로 있었다 - 감작 예방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CGRP-mAb는 수컷 및 암컷 랫트 모두에서 HT 뉴런에서의 두개내 기계적 과민증의 발달을 예방하였다.
CSD (즉, 중추 감작 ) 이후에 피부 수용 필드의 확장 및 기계적 자극에 대한 안와주위 피부의 보강된 반응
상기 아이소타입-conAb 치료된 그룹에서, 안면 수용 필드는 수컷에서 5/7 HT 뉴런 및 암컷에서 6/6 HT 뉴런에서 확장되었다 (도 13a). CSD 유도 2 시간 이후 (아이소타입-conAb 투여 6 시간 이후), 브러쉬 및 압력에 대한 반응은 모든 13 HT 뉴런 (수컷에서 7, 암컷에서 6)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도 15a-15c). 수컷에서, 브러쉬 및 압력에 대한 반응이 각각 0.0로부터 18.2±9.1 스파이크/초까지 증가하였고 (p=0.046), 16.6±4.2로부터 35.8±9.1 스파이크/초까지 증가하였다 (p=0.045) (도 15b). 암컷에서, 브러쉬 및 압력에 대한 반응이 각각 0.0로부터 8±6.5 스파이크/초까지 증가하였고 (p=0.027), 9.3±2.7로부터 31.8±13.6 스파이크/초까지 증가하였다 (p=0.016) (도 15c). 대조적으로, 핀치에 대한 반응은 암컷에서 모든 HT 뉴런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지만 (CSD 이전의 19.3±5.0 스파이크/초 vs. CSD 이후의 45.8±12.4 스파이트/초, n=6, p=0.027), 수컷에서는 그렇지 않았다(CSD 이전의 33.8 ± 7.1 스파이크/초. vs. CSD 이후의 52.4±10.3 스파이크/초, n=6, p=0.068) (도 15b 및 15c).
상기 CGRP-mAb 치료된 랫트에서, 안면 수용 필드는 단지 수컷에서 2/8 HT 뉴런 및 암컷에서 0/6 HT 뉴런에서만 확장되었다 (도 13b). CSD의 유도 2 시간 이후 (CGRP-mAb 투여 6 시간 이후), 브러쉬 (p = 0.35), 압력 (p = 0.63) 및 핀치 (p = 0.78)에 대한 뉴런 반응은 수컷 및 암컷 모두에서 모든 HT 뉴런에서 변경되지 않은 채로 있었다 (도 15d 내지 15f) - 상기 CGRP-mAb이 감작 유도를 예방하였음을 시사한다.
CSD 이후 각막 자극에 대한 보강된 반응
상기 아이소타입-conAb 치료된 랫트에서, CSD 이후 각막 자극에 대한 반응은 HT 뉴런에서 암컷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CSD 이전의 7.6±1.9 스파이크/초. vs. CSD 이후의 21.0±6.4 스파이크/초, n = 6, p = 0.044), 수컷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CSD 이전의 11.0±2.6 스파이크/초. vs. CSD 이후의 21.6±8.7 스파이크/초, n = 7, p = 0.19) (도 16a-16c).
상기 CGRP-mAb 치료된 여성 랫트에서, 상기 각막을 브러쉬한 반응은 상기 6 HT 뉴런 (p = 0.51)에서 변하지 않은 채로 있어서 - 감작의 예방을 시사하였다; 그리고, 예상한 바와 같이, 그것은 또한 상기 수컷에서 8 HT 뉴런에서 변하지 않은 채로 있었다 (CSDS 이전의 10.8±3.3 스파이크/초 vs. CSD 이후의 9.4±1.8 (스파이크/초, p = 0.60) (도 16d-16f). 따라서, 상기 CGRP-mAb는 암컷에서 HT 뉴런에서 각막 과민증의 발달을 예방한 반면, 수컷 랫트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C. 검토
본 연구는 상기 인간화된 단클론성 항-CGRP 항체 프레마네주맙이 HT의 활성화 및 감작을 억제하지만 WDR 삼차신경혈관 뉴런은 억제하지 않음을 실증한다 (도 17). 수컷에서, 상기 CGRP-mAb는 미감작 HT 뉴런의 자발 활성 및 두개내 경막의 자극에 대한 이들의 반응을 억제하였지만, 안면 피부 또는 각막에서는 그렇지 않은 반면, 암컷에서는 상기 두개내 경막의 자극에 대한 이들의 반응을 단지 억제하였다. 그러나, 충분한 시간이 주어질 때, 상기 CGRP-mAb는 양쪽 성별 모두에서 CSD에 의한 HT 뉴런의 활성화 및 결과적인 감작을 예방하였지만, WDR 뉴런의 부분 활성화는 예방하지 않았다. 기계론적으로, 이들 발견은 HT 뉴런이 두통의 인지의 개시 및 이질통 및 중추 감작의 발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 (이전에 인식되지 않았음)을 제시한다. 임상적으로, 본 발견은 편두통과 같은 두개내 기원의 두통을 예방하는데 있어서 CGRP-mAb의 치료 유효성 및 상기 치료적 접근법이 모든 편두통 환자를 위해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추 삼차신경혈관 뉴런의 상이한 클라스의 반응성에 대한 CGRP-mAb에 대한 효과를 테스트하였다. 이전에, 스토러(Storer) 및 동료는 상기 CGRP-R 길항제 BIBN4096BS가 상시상 부비동의 전기적 자극 및 L-글루타메이트의 전기적 미소이온주입 관리에 대한 미감작 중추 삼차신경혈관 뉴런 반응을 억제함을 보여주었다. (문헌[스토러(Storer) , 2004, Br.J. Pharmacol .142:1171-1181)].
HT vs. WDR에 대한 프레마네주맙 효과
정맥내로 주어질 때, CGRP-mAb는 HT에서의 기준선 자발 활성을 감소시켰으나, WDR 뉴런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WDR 삼차신경혈관 뉴런이 편두통의 병리생리학을 연구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경막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다는 현재 및 이전의 징후를 고려하여(문헌 [데이비스(Davis) 및 도스트로프스키(Dostrovsky), 1988, J. Neurophysiol . 59:648-666; 부르스타인(Burstein) , 1998, J. Neurophysiol.79:964-982; 스토러(Storer) , 2004, Brit.J. Pharmacol.142:1171-1181; 장(Zhang) , 2011, Ann. Neurol .69:855-865)], WDR 단독의 활성화는 CGRP-mAb 치료에 의해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예방되는 두통을 갖는 간헐성 편두통 환자에서 두통 인지를 유도하기에 불충분하다는 결론을 내리기에 합리적이다 (문헌[비갈(Bigal) , 2015, Lancet Neurol.14:1081-1090]). 역으로, WDR 삼차신경혈관 뉴런 단독의 활성화는 CGRP-mAb 치료로부터 이익을 얻지 않는 상기 간헐성 편두통 환자의 두통 인지를 유도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고 추측하는 것이 또한 합리적인데, HT 삼차신경혈관 뉴런으로부터 시상으로 전송되는 신호의 제거에 의해 두통이 영향받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편두통 및 상기 삼차신경혈관 시스템 외에, HT 및 WDR 뉴런은 유해 자극의 프로세싱 및 통증의 인지에서 다른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문헌[크레이그 에이디(Craig AD), 2002, Nat. Rev. Neurosci . 3:655-666; 크레이그 에이디(Craig AD), 2003, Trends Neurosci .26:303-307; 크레이그 에이디(Craig AD), 2003, Annu.Rev. Neurosci .26:1-30]). 대부분의 HT 뉴런은 작은 수용 필드를 나타내고 유해 기계적 자극에 대해 배타적으로 반응하는 반면, 대부분의 WDR 뉴런은 큰 수용 필드를 나타내고 기계적 및 열적 유해 자극 모두에 반응한다 (프라이스(Price) , 1976, J. Neurophysiol .39:936-953; 프라이스(Price) , 1978, J. Neurophysiol.41:933-947; 호프만(Hoffman) , 1981, Neurophysiology 46:409-427; 더브너(Dubner) 및 벤넷트(Bennett), 1983, Annu .Rev. Neurosci.6:381-418; 부쉬넬(Bushnell) , 1984, J. Neurophysiol .52:170-187; 수르메이어(Surmeier) , 1986, J. Neurophysiol .56:328-350; 페링톤(Ferrington) , 1987, J. Physiol . (Lond) 388:681-703; Dubner , 1989, J. Neurophysiol.62:450-457; 메익스너(Maixner) 등, 1989, J. Neurophysiol.62:437-449; 레어드(Laird) 및 세르베로(Cervero), 1991, J. Physiol. 434:561-575)].이러한 차이에 기반하여, HT 뉴런은 통증의 공간 인코딩(크기, 위치)에 보다 큰 기여를 하고 통증 양상의 인코딩에 보다 적은 기여를 하는 반면, WDR 뉴런은 상기 통증의 방사 품질에 보다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믿어진다. 이 점에 대해서, 프레마네주맙에 반응하지 않는 이들 환자는 두부 (즉, 전두엽, 측두엽, 후두, 양측)의 넓은 영역에 영향을 주는 두통을 갖는 환자인 반면, 작은 별개의 영역에 잘 편재되어 있는 두통을 갖는 환자가 상기 반응자들 중에 있을 것임이 또한 합리적이다.
두통에 유효성
프레마네주맙은 상기 경막의 기계적 자극에 대한 반응성을 감소시켰으나(수컷 및 암컷 모두에서), 상기 피부 또는 각막의 무해 또는 유해 자극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았다. 이 발견은, 상기 CGRP-mAb가 또한 CSD에 의해 HT 삼차신경혈관 뉴런의 활성화를 예방하였다는 사실과 함께, 두개내 기원 두통의 예방에서 프레마네주맙의 유효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한다. 역으로, 안면 피부 및 각막에서 발생하는 감각 및 통각수용 신호의 프로세싱의 조절에 대한 효과의 결여는, 이러한 약물 클라스가 안구건조증 및 헤르페스-유도된 삼차신경 신경통과 같은 장기간 삼차신경 통증 증상의 치료에 대해 거의 치료적 효과를 갖지 않을 것임을 예측한다. 프레마네주맙이 상기 경막 (기계적, CSD)으로부터 중추 삼차신경혈관 뉴런의 활성화를 억제하였지만 피부 또는 각막에서는 그렇지 않은 점과, 이 분자의 크기가 너무 커서 혈액 뇌 장벽을 쉽게 침투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상기 기재된 억제 효과는 경막 만입에 대한 반응의 (일차적인) 억제 및 말초 삼차신경혈관 뉴런에서 CSD에 대해 이차적이었음을 제시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CGRP 섬유의 신체 전체에 걸친 넓은 분포(문헌[크루거(Kruger) , 1988, J. Comp.Neurol.273:149-162; 크루거(Kruger) , 1989, J. Comp. Neurol .280:291-302; 실버만(Silverman) 및 크루거(Kruger), 1989, J. Comp. Neurol .280:303-330)], 여러 척수 세그먼트에서 이들의 존재(문헌[한센(Hansen) , 2016, Pain 157:666-676; Nees , 2016, Pain 157:687-697]), 그리고 다수의 감각 배근 신경절에서 이들의 존재(문헌[에드빈슨(Edvinsson), 1998, J. Auton . Nerv .Syst.70:15-22; 에드빈슨(Edvinsson) 등, 2001, Microsc .Res. Techniq .53:221-228; 조(Cho) , 2015, J. Korean Med . Sci . 30:1902-1910; 케스텔(Kestell) , 2015, J. Comp.Neurol.523:2555-2569; 스펜서(Spencer) , 2016, J. Comp.Neurol.524:3064-3083)]를 고려할 때, 상기 CGRP-mAb가 상기 피부 및 각막의 유해 자극에 대한 중추 뉴런의 반응에 대해 거의 또는 전혀 효과를 갖지 않음은 놀랍다. 상기 CGRP-mAb가 주로 주변부에서 작용한다는 개념을 받아들인다면, 상기 수막의 감각 신경분포의 주변부 측면 및 상기 신경분포가 척수후각에서의 감각 전달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이 피부, 각막 또는 기타 (신체적) 통증의 발생에 관련된 것과 상이함을 제안하는 것이 또한 합리적이다. 다른 통증 증상의 동물 모델에서 프레마네주맙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경막 vs. 편두통에서 뚜렷한 개시 역할을 갖는 것으로 믿어지지 않는 두개외 조직에서의 CGRP-mAb의 효과간 차이를 보다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CSD -유도 활성화 및 감작의 억제
본 연구는 CSD에 의한 중추 삼차신경혈관 뉴런의 감작을 실증한다. 이 감작 - 수컷 및 암컷 모두에서 HT에서는 관찰되지만 WDR 뉴런에서는 그렇지 않음-는 상기 CGRP-mAb 투여에 의해 예방되었다. 이러한 발견은 전조에 선행된 공격에서의 피부 이질통(문헌[부르스타인(Burstein) , 2000, Ann. Neurol .47:614-624)]이, 기준선에서(환자에서는 발작사이에 및 동물에서는 CSD 유도 이전에) 상기 피부의 무해한 기계적 자극에 대해 미반응성인 HT 뉴런에 의해 매개되지만, 상기 CSD 이후의 브러쉬에 대해 기계적으로 반응하게 된다. 이 시나리오에 따르면, 편두통 전조 환자 중에서, CGRP-mAb에 의한 예방적 치료에 대한 반응자가 피부 이질통의 징조를 보이지 않을 것이다.
수컷 v. 암컷
본 연구는 또한 수컷 및 암컷 모두에서 CGRP-mAb의 효과를 테스트하였다. 성별에 의한 전체 분석은 이 약물 클라스의 치료적 이익이 수컷 및 암컷 편두통환자에서 유사함을 제시하는 반면, 또한 미감작 상태에서, CGRP-mAb가 수컷에서의 자발 활성을 감소시키지만 여성 HT 뉴런에서는 그렇지 않음과 CSD에 의한 감작의 유도 이후에, 암컷에 기록된 HT 뉴런만이 상기 피부 및 각막의 유해 자극에 대한 감작의 징후를 나타내었음을 또한 보여준다. 편두통이 남성보다 여성에서 보다 흔하다고 할 때, 상기 차이는 전조 동반 편두통 동안에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이질통보다는) 통각과민이 발달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과 발작사이 상태에서 (즉, 예방으로) CGRP-mAb에 의해 뉴런 피자극성을 감소시키려는 시도가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보다 어려울 수 있음을 제시할 수 있다. 기계론적으로, 3가지 관찰된 차이는 이들 뉴런의 내부 속성으로 인해 또는 이들이 말초 통각수용체로부터 받는 입력 강도의 차이로 인해 여성 HT 뉴런의 보다 큰 피자극성에 기인할 수 있었다. 제1 옵션을 뒷받침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반면, 수컷에 비해 암컷의 경막 면역 세포 및 염증성 분자의 활성화의 차이(맥클브라이드(McIlvried) . (2015) Headache 55:943-957)가 제2 옵션을 뒷받침할 수 있다. 수컷에서는 자발 활성을 감소시키지만 암컷 랫트에서는 그렇지 않은 프레마네주맙의 능력에 관련하여, 암컷 랫트가 삼차신경절 및 척추 삼차신경 핵에서 보다 적은 CGRP 수용체, 및 상기 척수후각에서 보다 높은 수준의 CGRP 인코딩 mRNA를 발현함을 보여주는 데이터를 고려할 수 있다 (문헌[스턱키(Stucky) . (2011) Headache 51:674-692]).
마지막으로, CGRP-mAb의 억제 효과는 유의성에 도달하는 데 단지 수 시간만이 요구되었다. 정맥내 투여를 이용하여 이러한 비교적 짧은 시간 (일(day) 보다는 시간(hours)) 달성되었다.
실시예 6. 행동 및 정신물리학적 도구를 사용하여 항 CGRP 항체 ( TEV -48125) 반응자의 평가
이차 또는 삼차 의료케어를 추구하는 간헐성 편두통환자의 대다수는 편두통의 급성 단계 동안에 피부 이질통 및 통각과민의 징후를 나타내지만, 통증이 없을 때에는 그렇지 않았다(문헌[부르스타인 알(Burstein R) . (2000) Ann.Neurol.47:614-624)]. 대조적으로, 만성 편두통 환자는 통상적으로 급성 편두통 공격 동안에 및 발작사이의 단계동안 둘다에 피부 이질통 및 통각과민의 징후를 나타낸다. 기계론적으로, 이질통 및 통각과민은 척추 삼차신경 핵에서 중추 삼차신경혈관 신경의 감작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부르스타인 알(Burstein R) . (1998) J. Neurophysiol .79(2):964-982; 부르스타인 알(Burstein R) . (2000) Ann. Neurol.47:614-624; 및 립톤(Lipton) (2008) Ann.Neurol.63(2):148-58]). 대조적으로, 만성 편두통 환자는 통상적으로 급성 편두통 공격 동안에 및 발작사이의 단계동안 둘다에 피부 이질통 및 통각과민의 징후를 나타낸다. 기계론적으로, 이질통 및 통각과민은 척추 삼차신경 핵에서 중추 삼차신경혈관 뉴런의 감작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참고 문헌[부르스타인(Burstein) (1998)]). 실시예 5는 TEV-48125가 말초 수막 통각수용체에서의 억제 작용을 통해, 광역학 범위(WDR) 뉴런을 억제하는 능력보다 훨씬 우수한 정도로, 척추 삼차신경 핵에서 고-역치(HT) 뉴런의 활성화 및 감작을 예방할 수 있음을 실증한다(멜로-카릴로(Melo-Carrillo) (2017) J. Neurosci .37(30):7149-63]를 또한 참고). HT 뉴런이 유해 (통증있는) 자극에 대해 독점적으로 반응하는 반면 WDR 뉴런은 유해 자극에 대해 우선적으로 반응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즉, 유해 자극에 대한 이들의 반응이 무해 자극에 대한 이들의 반응보다 크다), HT의 봉쇄가 이질통보다는 통각과민을 더욱 효과적으로 예방할 것이라는 가설세우는 것이 합리적이다.
현재까지 척추 삼차신경 핵에서 통각수용 뉴런의 이들 2가지 클라스 중 단 하나의 활성화 및 감작을 감소시키는 약물의 예가 문헌에 예시 또는 암시되어 있지 않다. 프레마네주맙이 수막 Aδ를 억제- C-섬유는 그렇지 않음-하는 점을 고려할 때 상기 Aδ-섬유의 선택적 억제가 항체의 HT 뉴런의 선택적 억제를 잠재적으로 설명한다(문헌[멜로-카릴로(Melo-Carillo) . (2017) J. Neurosci .37(44):10587-96] 참고). 또한, C-섬유는 HT 뉴런의 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프레마네주맙은 말초부에서 CGRP 방출에 좌우되는 활성을 갖는 것-증가하는 통각과민 삼차신경혈관 경로에 대해 매우 선택적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구속되기를 원하지 않지만, 반응자는 WDR및 HT 뉴런에서 중추 감작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말초 입력이 요구되는 대상체인 반면, 비-반응자는 WDR 및 HT 뉴런에서 중추 감작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말초 입력이 요구되지 않는 대상체이다. 프레마네주맙은 상기 Aδ-섬유의 활성화를 차단하기 때문에, 반응자에서 이 봉쇄는 HT 뉴런을 완전히 정지(즉, 그의 감작을 종료)시키기에 충분할 수 있다. 프레마네주맙은 또한, 차단되지 않은 C-섬유로부터 뉴런이 받는 입력이 단지 피자극성 시냅스후 전위(EPSP)를 유도하지만 실제 활동 전위는 유도하지 않는 정도로 WDR 뉴런의 감작 상태를 추진하는 전체 입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WDR 및 HT 뉴런 모두의 감작 상태는 프레마네주맙에 의해 역전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이질통/통각과민이 상기 반응자에서 역전될 것이다. 역으로, 비-반응자에서, HT 또는 WDR 뉴런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감작은 상기 Aδ- 또는 C-섬유에서 유래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말초 입력과 완전히 독립적이다따라서, 상기 비-반응자는 치료 후에 이질통 및/또는 통각과민일 것이다. 다른 항-CGRP 항체(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항-CGRP 항체)가 프레마네주맙과 동일한 양태를 나타낼 것으로 예측된다.
연구 설계:
전반적인 전략: 4가지 상이한 조건 하에서 만성 편두통 환자에서 반복된 역치상 기계적 및 열적 자극(통각과민을 위해 테스트함)에 반응하여 피부 통증 역치(이질통을 위해 테스트함) 및 통증 등급을 결정하기 위함:(a) 편두통이 없는 동안의 치료 이전, (b) 편두통이 없는 동안의 치료 이후, 및 가능하다면, (c) 급성 편두통 공격 중에 있는 동안의 치료 이전 및 이후.참고: CM 개체군 중 반응자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c) 파트가 필요하지 않다. 이는 고-빈도 간헐성 환자 중에서 반응자를 식별하는 것과 관련될 수 있다.
참가자 선별 및 모집:만성 편두통을 가진 개체가 본 연구에 참가를 위해 고려될 것이다. 1차 포함 기준은 (1) 18-64세 연령, (2) 국제 두통 장애 분류(제3판)에 기반하여 적어도 3년 동안 전조 동반 만성 편두통 또는 전조 비동반 만성 편두통의 병력, 및 (3) 영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테스트 설명서를 이해하고 따르기 위함). 배제 기준은 다음을 포함할 것이다: (1) 한 달에 15일 미만의 두통; (2) 임신; (3) 관상동맥 우회수술, 심장마비, 협심증, 뇌졸중, 중증 위장출혈, 소화성 궤양질환; 또는 만성 신장 질환의 병력; (5) 이뇨제 또는 일일 항응고제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의료 증상을 가짐.
오픈-라벨(Open-label) 설계: 사전 예정된 날(방문 1)에 수행될 스크리닝 후에, 설문지를 이용하여 연구 참가자의 편두통 병력을 포착하고, 이질통 및 통각과민에 대한 정량적 감각 검사가 수행될 것이다. 방문 1은 방문 2의 적어도 30 일전에 일어날 것이고, 이 때 상기 참가자는 두통을 갖지 않는다. 참가자는 이 기간 동안 매일 두통 일지를 쓰도록 지시받을 것이다.
방문 2는 상기 연구 참가자가 편두통을 가질 때 일어날 것이고, 이질통과 통각과민의 평가를 위해 3사이클의 통증 등급 및 QST을 포함할 것이다. 통증 등급의 첫 번째 사이클은 치료 전에 일어날 것이고, 공격 개시 후 적어도 2시간 후에 발생할 것이다. 환자는 무작위추출되어, 위약 (아이소타입 대조군 항체) 또는 675 mg의 프레마네주맙을 피하내로 받았다. 통증 등급의 두 번째 사이클은 치료 후 2 시간에 진행될 것이다. 통증 등급의 세 번째 사이클은 치료 4 시간 후에 일어날 것이다. 참가자들은 본 연구 전반에 걸쳐 매일 두통 일지를 쓰도록 지시받을 것이다.
방문 3은 치료 1 주후에 발생할 것이고, 두통 일지 리뷰, 두통 강도 등급화, 및 이질통 및 통각과민에 대한 QST 테스트를 포함할 것이다.
방문 3은 치료 4 주후에 발생할 것이고, 두통 일지 리뷰, 두통 강도 등급화, 및 이질통 및 통각과민에 대한 QST 테스트를 포함할 것이다.
각각의 방문에서, 기준선 두통 강도, 정량적인 기계적 및 열적 자극에 대한 통증 역치, 및 역치상 기계적 및 열적 자극에 반응한 두통 강도 스코어가 서류화될 것이다.
정량적인 감각 테스트(QST): 테스트는 소음 및 집중방해물이 없는 조용한 방에서 수행될 것이다. 환자는 감각 테스트 동안 그의 가장 편안한 자세(의자에 앉거나 또는 침대에 누음)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테스트 세션에서, 고온 및 기계적 자극에 대한 통증 역치는 상기 통증이 언급된 부위 상의 피부에서 결정될 것이다. 이 부위는 가장 일반적으로 안와주위 및 관자놀이 영역을 포함한다. 열 피부 자극은 일정 압력으로 피부에 부착된 30 x 30 mm2 써모드 (Q-Sense 2016, Medoc)를 통해 전달될 것이고, 그의 통증 역치는 문헌[Method of Limit]를 이용하여 결정될 것이다.
이질통 테스트: 통증 역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피부는 5분동안 32℃의 온도에 적응하도록 허용될 것이고, 그 다음에 통증 감각이 인식될 때까지 느린 속도(1 ℃/초)로 가온될 것이고, 이 때 상기 대상체는 환자 반응 유닛 상의 버튼을 눌러 상기 자극을 중지시킨다. 열 자극은 각각 3회 반복될 것이고, 기록된 온도의 중간값을 역치로 간주할 것이다. 기계적 자극에 대한 통증 역치는 20개의 보정된 폰 프레이 헤어(VFH, 스토엘팅(Stoelting))의 세트를 사용하여 결정될 것이다. 각각의 VFH 모노필라멘트는 오름차순으로 스칼라 번호를 할당받는다(1 = 0.0045g, 2 = 0.023g, 3 = 0.027g, 4 = 0.07g, 5 = 0.16g, 6 = 0.4g, 7 = 0.7g, 8 = 1.2g, 9 = 1.5g, 10 = 2.0g, 11 = 3.6g, 12 = 5.4g, 13 = 8.5g, 14 = 11.7g, 15 = 15.1g, 16 = 28.8g, 17 = 75g, 18 = 125g, 19 = 281g). 로그 힘과 등급화된 수치 사이에 선형 관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기계적 통증 역치는 그의 힘(g) 보다는 VFH 수치(#)로 표기된다. 각 모노필라멘트는 상기 피부에 3회 (2초 동안) 적용되며, 3번의 시도 중 2번의 시도에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최저 VFH 수치가 역치로 간주될 것이다. 피부 민감도는 또한 대상체가 부드러운 피부 브러쉬의 인식을 기록함으로써 결정될 것이며, 상기 부드러운 피부 브러쉬는 정적 기계적 자극인 VFH와 구별되는 바와 같은, 정적 기계적 자극인 VFH와 구별되는 바와 같은, 동적 기계적 자극이다.
통각과민 테스트: 통증있는 자극이 평소보다 더 고통스럽다고 인식될 때, 상기 대상체는 통각과민인 것으로 간주된다. 상기 대상체가 통각과민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3회의 상역치 열적 및 기계적 자극이 상기 피부에 적용될 것이다. 상역치 자극의 값은 상기 이질통 테스트 동안에 결정될 것이다. 예를 들어 열 통증 역치가 45℃인 경우, 우리는 상기 통각과민 테스트에서 46℃로 할 것이다. 이 테스트에서, 상기 피부는 3회의 상-역치 자극(1-상기-역치)에 노출될 것이고, 각각은 10초 지속되고 10초 분리된다(즉, 10초의 자극간 간격). 각 자극의 끝에, 상기 환자는 0 내지 10 (0 = 통증 없음, 10 = 상상가능한 최고의 통증)의 시각적 아날로그 스케일 (VAS)을 사용하여 상기 통증의 강도를 식별하는 10 초를 가질 것이다 유사한 테스트는 상역치 기계적 자극을 사용하여 관리될 것이다.
정량적 감각 테스트를 위해 사용된 장비는 FDA 승인을 받는다. 이는 전국에 있는 신경학자, 간호사 및 통증 전문가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위험 또는 불편을 유발하지 않고, 이는 환자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자극은 언제든지 중지될 수 있다.
QST의 해석:
이질통: 통증 역치의 검출이 주관적인 데이터 입력에 따라 좌우되므로, 주관적인 편차를 최소화하고 상기결과를 가능한 한 객관화하기 위해 여러 알고리즘이 개발되어 왔다. 이들 알고리즘은 열적 및 기계적 감각 분석기 (Q-Sense 2016)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통합된다. 건강한 대상체에서, 열 및 기계적 피부 자극 범위에 대한 통증 역치는 각각 42 내지 47℃ 및 75 내지 281g 범위이다 (참고, 문헌[Lindblom (1994) Analysis of abnormal touch, pain, and temperature sensation in patients. In: Boivie J, Hansson P, Lindblom U, eds. Touch, temperature and pain in health and disease: mechanism and assessments. Vol, 3. Progress in brain research and management. Seattle: IASP press. p 63-84; and Strigo et al. (2000) Anesthesiology 92(3): 699-707]). 보다 엄격한 기준을 사용하여, 대상체는 그녀/그의 통증 역치가 열에 대해 41 ℃ 미만이고 보정된 폰 프레이 헤어에 의한 피부 만입에 대해 30 g 미만이라면 이질통인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임의의 하나의 모달리티에 대한 기준의 충족은 상기 대상체가 이질통인 것을 결정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Burstein . (2004) Ann. Neurol .47(5):614-24; 및 Burstein (2004) Ann.Neurol.55(1):19-26)].
통각과민: 30%보다 큰 통증 등급의 임의의 변화는 통각과민 에 대한 징후로 간주될 것이다: (예를 들어, 상역치 자극 #1이 VAS 상에서 6/10 등급화된 경우, 상역치 자극 #3은 8/10 이상으로 등급화되어야 할 것이다).
데이터 분석은 치료 이전 및 이후의 기계적 및 열 통증 역치의 값을 고려할 것이다.
데이터 분석:
데이터 분석은 모든 4회 방문 및 6회 테스트 세션을 완료한 대상체를 포함할 것이다.
일차 결과 측정은 반응자 vs. 비-반응자에서의 개입 (1 달) 후에 이질통의 존재 또는 부재이다. 반응자는 주로 매달 두통 일에서 50 %의 최소 감소를 경험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비-반응자는 매달 두통 일에서 50 % 미만의 최대 감소를 경험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차 정의는 매달 두통 일에서 60 %의 최소 감소를 경험하는 반응자를 지칭하고; 비-반응자는 매달 두통 일에서 40 % 미만의 최대 감소를 경험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추가적인 이차 정의는 매달 두통 일에서 75 %의 최소 감소를 경험하는 반응자를 지칭하고; 비-반응자는 매달 두통 일에서 25 % 미만의 최대 감소를 경험한 것으로 정의된다.
일차 결과 측정은 이질통의 존재 (예/아니오) 및 대상체의 반응성(예/아니오) 사이의 범주적 연관성을 평가하는 카이-스퀘어(χ2) 테스트를 사용하여 검사될 것이다이차 결과 측정은 상기 개입 (1개월)의 이전 및 이후의 편두통 지속기간(시간) 및 개재 이후 2시간 및 4시간에서의 두통 강도 변화이다.
파라미터 또는 비-파라미터 분석이 적절한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연속적인 이차 결과 측정의 데이터는 먼저 정규성에 대해 테스트될 것이다. 따라서 중앙 분포(평균/중앙값)의 파라미터는 반응자와 비-반응자 사이의 이들 변수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이용될 것이다.
분석은 또한 일차 및 이차 결과 측정에 대한 하기 요인의 효과를 검사할 것이다: 편두통을 가진햇수, CM를 가진 햇수, 가족 병력, 연관 징후 (예를 들면, 구역질, 구토, 광공포증, 소리공포증, 냄새공포증, 전조, 근육 압통), 공통 유인 (예를 들어, 스트레스, 장기 각성, 음식 박탈, 생리), 및 급성 뿐만 아니라 예방적 치료 이력.
전력 분석:
전력 분석은 카이-스퀘어(χ2) 적합도 검정 및 비율 테스트의 Z 비교를 기반으로 하였다. 5%의 α (유의 수준), 90%의 1-β 오차 확률 (전력), 0.36의 w (효과 크기; χ2 적합도 검정 테스트), 및 1:1의 할당 비(비율 테스트의 Z 비교)를 통합하였다. 계층화 분석은 변수 그룹(위약 vs. 치료), 반응성(반응자 vs. 비-반응자, 전술한 정의 참조) 및 이질통(존재 vs. 부재)을 포함한다. 주요 가설은 상기 치료 및 위약 그룹에서 반응자의 개입후 비율 (매달 두통 일에서 50% 감소 역치의 전술한 정의에 따름)이 각각 55% 및 25%일 것이라는 것이었다 (문헌 [비갈(Bigal). (2015) Lancet Neurol.14(11):1091-100]에 의한 공개 데이터에 기반함). 이 계산은 상기 위약 및 치료 그룹 각각에서 64명 대상체의 필요 수치를 산출하였다(df = 5; 임계 χ2 = 11.07; 비중심성 파라미터 λ = 16.51, 도 4)추가적인 20%는 잠재적인 탈락이 차지하였다. 따라서, 전체 연구에서 총 144명의 환자를 산출하며, 총 77명 환자가 각 그룹에 등록되어야 한다.
실시예 7.항 - CGRP 항체에 의한 1차 삼차신경혈관 내 뉴런의 선택적 억제 ( 프레마네주맙 )
대규모 징후는 편두통의 병리생리학에서 CGRP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뒷받침한다. 이 징후는 편두통환자에서 CGRP의 가용성을 감소시키는 새로운 치료제 세대를 개발하기 위하여 전반적 노력을 일으켰다. 최근, 이러한 약물인 CGRP-mAb의 제2 세대가 만성 또는 간헐성 편두통 빈도의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치료적 작용에 대한 신경 기저를 조사하기 위해, 수막 감각 경로에서 1차 및 2차 뉴런의 활성에 대한 프레마네주맙, CGRP-mAb의 효과를 테스트하였다. 이 연구는 삼차 신경절에서 1차 뉴런에 대한 프레마네주맙의 효과를 보여준다(도 18a-21b).
설계/방법:
우레탄-마취된 수컷 랫트에서 피질 확산성 억제(CSD)에 의해 유발된 삼차신경절에서 1차 삼차신경혈관 뉴런의 활성에 대한 프레마네주맙 (30 mg/kg IV) 및 그의 아이소타입(대조군)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 단-단위 세포외 기록 기술을 이용하였다.   CSD는 약물/아이소타입 주입 4시간 후에 핀프릭에 의해 유도하였다.
결과:
CSD는 아이소타입-치료된 동물에서 테스트된 뉴런의 40% 및 프레마네주맙-치료된 동물에서 테스트된 뉴런의 20%의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도 21a (a-델타)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아이소타입-치료된 동물에서, CSD는 모든 a-델타 섬유의 54%를 활성화하였는데, 이는 미치료된 동물에서 CSD에 의해 활성화된 a-델타 섬유의 백분율과 유사하였다. 이에 반해, 프레마네주맙으로 치료된 동물에서, CSD는 모든 a-델타 섬유의 14%만을 활성화하였다.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Z 테스트 p=.001). 아이소타입 치료된 동물에서(도 21b; C-유형), CSD는 모든 C-섬유의 31%를 활성화하였고, 이는 미치료된 동물에서 CSD에 의해 활성화된 C-섬유의 백분율과 유사하였다. 유사하게, 프레마네주맙으로 치료된 동물에서, CSD는 모든 C 섬유의 23%를 활성화시켰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Z 테스트 p>0.05).
따라서, 프레마네주맙의 효과는 A-델타 뉴런에 대해 선택적이었다: CSD에 반응한 A-델타 뉴런의 백분율은 54%(아이소타입)에서 14%(프레마네주맙)로 유의미하게(p<0.05) 감소한 반면(도 21a), CSD에 반응한 C-섬유 뉴런의 백분율은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31% vs. 23%, 아이소타입 vs. 프레마네주맙) (도 21b).
C-섬유 1차 뉴런이 아닌 A-델타에 대한 프레마네주맙의 선택적 작용은 2차 고-역치의 선택적 억제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나, 광역학 범위 뉴런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프레마네주맙에 의해 경감되는 만성 및 간헐성 편두통을 갖는 환자의 경우, 상기 발견은 A-델타 뉴런이 두통 인식의 개시 및 만성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반면 C-섬유 뉴런이 연관 이질통 및 중추 감작에 기여한다는 가능성을 야기한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의해 구속되기를 원하지 않지만, 항-CGRP 단클론성 항체에 의한 편두통의 예방을 위한 제안된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간략하게, CSD는 CGRP를 포함하는 C-섬유 수막 통각수용체의 즉각적인 및 지연된 활성화 뿐만 아니라, 연막 동맥(pial arteries)의 짧은 수축, 짧은 확장 및 장기간 수축을 유도한다. 이들의 CGRP-독립적 활성화시에, 수막 C-섬유는 상기 경막에서 CGRP를 방출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근접한 Aδ-섬유의 CGRP-의존적인 활성화를 매개한다. 일단 활성화되면, C-섬유 수막 통각수용체가 척추 삼차신경 핵에 있는 WDR 뉴런에서 수렴하여 이를 활성화하는 반면 Aδ-섬유는 WDR과 HT 뉴런 모두에 수렴하고 이들을 활성화하여 최종적으로는 상기 경막으로부터 시상으로 통각수용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수막 C-섬유에서 CGRP 수용체의 부재는 C-WDR 경로의 활성화가 CGRP-독립적이 되게 하고, 따라서, 상기 항-CGRP 단클론성 항체에 비반응성이 되게 한다. 대조적으로, 상기 수막 Aδ-섬유에 대한 CGRP 수용체의 존재는 상기 Aδ-HT 경로의 활성화를 CGRP-의존적으로 되게 하고, 따라서, 상기 항-CGRP 단클론성 항체에 반응성으로 되게 한다.
실시예 8:항 - CGRP 길항제 항체는 발작후 두통( PIH )을 예방함
미처리된 랫트와 비교할 때 프레마네주맙(TEV-48125)으로 처리된 랫트에서 발작 발생에 대해 반응하여 척추 삼차신경 핵에서 말초 및 중추 삼차신경혈관 뉴런의 반응 프로파일을 연구하기 위해 단-단위 전기생리학적 기술을 사용하였다. 간질 발작의 크기, 범위 및 진행을 추적하기 위해 피질 전극을 사용하였다.
수술 준비 및 단-단위 기록.이전 연구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삼차신경절 및 척수후각에서 뉴런으로부터 단-단위 기록을 수득하였다(문헌[부르스타인(Burstein) . (1998) J. Neurophysiol.79:964-82; 스트래스만(Strassman) 및 레비(Levy) (2006) J. Neurophysiol .95:1298-306; 스트래스만(Strassman) . (1996) Nature 384:560-4; 장(Zhang) . (2010) J. Neurosci.30:8807-14; 및 장(Zhang) . (2011) Ann. Neurol .69:855-65]). 실험은 성체 스프라그-둘리 랫트(250 g 내지 350 g)에서 수행하였다. 동물은 산소로 인위적으로 환기하면서 우레탄 (1.2 내지 1.5 g/kg)으로 마취하였고, 마비시켰다. 체온을 제어하고, 호흡종기 CO2 및 산소 포화도를 모니터링하였다. 신경절 기록을 위해, 4개의 별도 개두술이 이루어졌다: 대측성 피질 상에는 마이크로전극을 전진시킴; 동측성 전측 피질 및 동측성 후두 피질 상에는 피크로톡신을 적용하고 피질전도 활성을 기록함; 그리고, 등측성 횡부비동 상에는 경막 구심성신경의 전기적 및 기계적 자극, 및 리도카인 적용을 함. 척수후각 기록을 위해서는, 동측성 피질 및 동측성 횡부비동 상에서 동일한 두개술이 이루어졌지만 대측성 두개술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신, 마이크로전극 기록을 위해 상부 자궁경부 척수(C1-2)를 노출하도록 추궁절제가 이루어졌다. 삼차신경절과 척수후각 기록 실험 모두에서, 경막-민감성 뉴런을 찾기 위한 검색 자극은 상기 횡부비동을 덮는 경막에 적용된 단일-충격 전기 자극이다.
발작 유도 및 피질전도 기록. 대뇌 피질의 표면에 피크로톡신을 적용하여 발작을 유도하였다(10 μl, 각각 초점 또는 전신 발작을 위해 5 mM 또는 100 mM 중 어느 하나의 농도로 겔폼을 작은 시편에 적용함). 발작 유도의 검증을 위해, 전측 및 후두 부위에서 대뇌 피질의 표면 바로 아래에 위치한 유리 마이크로피펫 (0.9 % 식염수, ~ 1 메그옴, 7 μm 팁)으로 피질 활성을 기록하였다.
단클론성 항- CGRP 항체 TEV -48125에 의한 처리. TEV-48125 (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Israel)은 인간화된 단클론성 항-CGRP 항체 (CGRP-mAb)이다. 그것은 30 mg/kg의 최종 투약량으로 식염수에 희석하였고, 발작 유도 4 시간 이전에 정맥내로 투여하였다 (총 체적 0.8 ml).
결과. 미치료된 동물에서, 발작 유도는 말초 및 중추 삼차신경혈관 뉴런에서 장기간 활성화를 유발하였다. 신경절에서, 상기 발작이 그들의 수용 필드에 도달한 후에 활성이 극미하게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발작 활성이 지속되는 동안 상승하며 있었다 (도 22a-22d). 수질 척수후각에서, 28/30 (93%) 뉴런은 발작에 의해 2시간넘는 동안 활성화되었다(도 23a-23e). 대조적으로, 상기 TEV-48125 치료된 동물에서는, 단지 2/13 (15%) 뉴런만이 상기 발작에 의해 활성화되었다(도 24).
결론. 이 실시예는 TEV-48125에 의한 상기 활성화의 발작 및 예방에 의한 삼차신경혈관 경로의 활성화를 보여준다. 상기 삼차신경혈관 경로는 발작후 두통(PIH)을 매개하기 때문에, 상기 발견은 TEV-48125가 예방적으로 주어진 경우에 PIH를 예방할 수 있음을 실증한다. 임계적으로, 상기 결과는 미치료된 동물에서, 발작의 유도가 28/30 (93%) 뉴런에서 장기 활성화를 유발하는 반면, 상기 TEV-48125 치료된 동물에서는 단지 2/13 (15%) 뉴런만이 상기 발작에 의해 활성화되었음을 보여준다.
항체 서열
G1 중쇄 가변 영역 아미노산 서열 ( 서열번호:1 )
EVQLVESGGGLVQPGGSLRLSCAASGFTFSNYWISWVRQAPGKGLEWVAEIRSESDASATHYAEAVKGRFTISRDNAKNSLYLQMNSLRAEDTAVYYCLAYFDYGLAIQNYWGQGTLVTVSS
G1 경쇄 가변 영역 아미노산 서열 ( 서열번호:2 )
EIVLTQSPATLSLSPGERATLSCKASKRVTTYVSWYQQKPGQAPRLLIYGASNRYLGIPARFSGSGSGTDFTLTISSLEPEDFAVYYCSQSYNYPYTFGQGTKLEIK
G1 CDR H1 (확장된 CDR ) ( 서열번호:3 )
GFTFSNYWIS
G1 CDR H2 (확장된 CDR ) ( 서열번호:4 )
EIRSESDASATHYAEAVKG
G1 CDR H3 ( 서열번호:5 )
YFDYGLAIQNY
G1 CDR L1 ( 서열번호:6 )
KASKRVTTYVS
G1 CDR L2 ( 서열번호:7 )
GASNRYL
G1 CDR L3 ( 서열번호:8 )
SQSYNYPYT
G1 중쇄 가변 영역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 서열번호:9 )
GAAGTTCAGCTGGTTGAATCCGGTGGTGGTCTGGTTCAGCCAGGTGGTTCCCTGCGTCTGTCCTGCGCTGCTTCCGGTTTCACCTTCTCCAACTACTGGATCTCCTGGGTTCGTCAGGCTCCTGGTAAAGGTCTGGAATGGGTTGCTGAAATCCGTTCCGAATCCGACGCGTCCGCTACCCATTACGCTGAAGCTGTTAAAGGTCGTTTCACCATCTCCCGTGACAACGCTAAGAACTCCCTGTACCTGCAGATGAACTCCCTGCGTGCTGAAGACACCGCTGTTTACTACTGCCTGGCTTACTTTGACTACGGTCTGGCTATCCAGAACTACTGGGGTCAGGGTACCCTGGTTACCGTTTCCTCC
G1 경쇄 가변 영역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 서열번호:10 )
GAAATCGTTCTGACCCAGTCCCCGGCTACCCTGTCCCTGTCCCCAGGTGAACGTGCTACCCTGTCCTGCAAAGCTTCCAAACGGGTTACCACCTACGTTTCCTGGTACCAGCAGAAACCCGGTCAGGCTCCTCGTCTGCTGATCTACGGTGCTTCCAACCGTTACCTCGGTATCCCAGCTCGTTTCTCCGGTTCCGGTTCCGGTACCGACTTCACCCTGACCATCTCCTCCCTGGAACCCGAAGACTTCGCTGTTTACTACTGCAGTCAGTCCTACAACTACCCCTACACCTTCGGTCAGGGTACCAAACTGGAAATCAAA
G1 중쇄 완전 항체 아미노산 서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형된 IgG2 포함) (서열번호:11)
EVQLVESGGGLVQPGGSLRLSCAASGFTFSNYWISWVRQAPGKGLEWVAEIRSESDASATHYAEAVKGRFTISRDNAKNSLYLQMNSLRAEDTAVYYCLAYFDYGLAIQNYWGQGTLVTVSSASTKGPSVFPLAPCSRSTSESTAALGCLVKDYFPEPVTVSWNSGALTSGVHTFPAVLQSSGLYSLSSVVTVPSSNFGTQTYTCNVDHKPSNTKVDKTVERKCCVECPPCPAPPVA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HEDPEVQFNWYVDGVEVHNAKTKPREEQFNSTFRVVSVLTVVHQDWLNGKEYKCKVSNKGLPSSIEKTISKTKGQPREPQVYTLPPSREEMTKNQVSLT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MLDSDGSFFLYSKLTVDKSRWQQGNVFSCSVMHEALHNHYTQKSLSLSPGK
G1 경쇄 완전 항체 아미노산 서열 ( 서열번호:12 )
EIVLTQSPATLSLSPGERATLSCKASKRVTTYVSWYQQKPGQAPRLLIYGASNRYLGIPARFSGSGSGTDFTLTISSLEPEDFAVYYCSQSYNYPYTFGQGTKLEIKRTVAAPSVFIFPPSDEQLKSGTASVVCLLNNFYPREAKVQWKVDNALQSGNSQESVTEQDSKDSTYSLSSTLTLSKADYEKHKVYACEVTHQGLSSPVTKSFNRGEC
G1 중쇄 완전 항체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형된 IgG2 포함) ( 서열번호:13 )
GAAGTTCAGCTGGTTGAATCCGGTGGTGGTCTGGTTCAGCCAGGTGGTTCCCTGCGTCTGTCCTGCGCTGCTTCCGGTTTCACCTTCTCCAACTACTGGATCTCCTGGGTTCGTCAGGCTCCTGGTAAAGGTCTGGAATGGGTTGCTGAAATCCGTTCCGAATCCGACGCGTCCGCTACCCATTACGCTGAAGCTGTTAAAGGTCGTTTCACCATCTCCCGTGACAACGCTAAGAACTCCCTGTACCTGCAGATGAACTCCCTGCGTGCTGAAGACACCGCTGTTTACTACTGCCTGGCTTACTTTGACTACGGTCTGGCTATCCAGAACTACTGGGGTCAGGGTACCCTGGTTACCGTTTCCTCCGCCTCCACCAAGGGCCCATCTGTCTTCCCACTGGCCCCATGCTCCCGCAGCACCTCCGAGAGCACAGCCGCCCTGGGCTGCCTGGTCAAGGACTACTTCCCAGAACCTGTGACCGTGTCCTGGAACTCTGGCGCTCTGACCAGCGGCGTGCACACCTTCCCAGCTGTCCTGCAGTCCTCAGGTCTCTACTCCCTCAGCAGCGTGGTGACCGTGCCATCCAGCAACTTCGGCACCCAGACCTACACCTGCAACGTAGATCACAAGCCAAGCAACACCAAGGTCGACAAGACCGTGGAGAGAAAGTGTTGTGTGGAGTGTCCACCTTGTCCAGCCCCTCCAGTGGCCGGACCATCCGTGTTCCTGTTCCCTCCAAAGCCAAAGGACACCCTGATGATCTCCAGAACCCCAGAGGTGACCTGTGTGGTGGTGGACGTGTCCCACGAGGACCCAGAGGTGCAGTTCAACTGGTATGTGGACGGAGTGGAGGTGCACAACGCCAAGACCAAGCCAAGAGAGGAGCAGTTCAACTCCACCTTCAGAGTGGTGAGCGTGCTGACCGTGGTGCACCAGGACTGGCTGAACGGAAAGGAGTATAAGTGTAAGGTGTCCAACAAGGGACTGCCATCCAGCATCGAGAAGACCATCTCCAAGACCAAGGGACAGCCAAGAGAGCCACAGGTGTATACCCTGCCCCCATCCAGAGAGGAGATGACCAAGAACCAGGTGTCCCTGACCTGTCTGGTGAAGGGATTCTATCCATCCGACATCGCCGTGGAGTGGGAGTCCAACGGACAGCCAGAGAACAACTATAAGACCACCCCTCCAATGCTGGACTCCGACGGATCCTTCTTCCTGTATTCCAAGCTGACCGTGGACAAGTCCAGATGGCAGCAGGGAAACGTGTTCTCTTGTTCCGTGATGCACGAGGCCCTGCACAACCACTATACCCAGAAGAGCCTGTCCCTGTCTCCAGGAAAGTAA
G1 경쇄 완전 항체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서열번호:14)
GAAATCGTTCTGACCCAGTCCCCGGCTACCCTGTCCCTGTCCCCAGGTGAACGTGCTACCCTGTCCTGCAAAGCTTCCAAACGGGTTACCACCTACGTTTCCTGGTACCAGCAGAAACCCGGTCAGGCTCCTCGTCTGCTGATCTACGGTGCTTCCAACCGTTACCTCGGTATCCCAGCTCGTTTCTCCGGTTCCGGTTCCGGTACCGACTTCACCCTGACCATCTCCTCCCTGGAACCCGAAGACTTCGCTGTTTACTACTGCAGTCAGTCCTACAACTACCCCTACACCTTCGGTCAGGGTACCAAACTGGAAATCAAACGCACTGTGGCTGCACCATCTGTCTTCATCTTCCCTCCATCTGATGAGCAGTTGAAATCCGGAACTGCCTCTGTTGTGTGCCTGCTGAATAACTTCTATCCGCGCGAGGCCAAAGTACAGTGGAAGGTGGATAACGCCCTCCAATCCGGTAACTCCCAGGAGAGTGTCACAGAGCAGGACAGCAAGGACAGCACCTACAGCCTCAGCAGCACCCTGACCCTGAGCAAAGCAGACTACGAGAAACACAAAGTCTACGCCTGCGAAGTCACCCATCAGGGCCTGAGTTCTCCAGTCACAAAGAGCTTCAACCGCGGTGAGTGCTAA
인간 및 랫트 CGRP (인간 α- CGRP ( 서열번호:15 ); 인간 β- CGRP ( 서열번호:43 ); 랫트 α- CGRP ( 서열번호:41 ); 및 랫트 β- CGRP ( 서열번호:44 ))의 아미노산 서열 비교
NH2-ACDTATCVTHRLAGLLSRSGGVVKNNFVPTNVGSKAF-CONH2 (인간 α-CGRP)
NH2-ACNTATCVTHRLAGLLSRSGGMVKSNFVPTNVGSKAF-CONH2 (인간 β-CGRP)
NH2-SCNTATCVTHRLAGLLSRSGGVVKDNFVPTNVGSEAF-CONH2 (랫트 α-CGRP)
NH2-SCNTATCVTHRLAGLLSRSGGVVKDNFVPTNVGSKAF-CONH2 (랫트 β-CGRP)
경쇄 가변 영역 LCVR17 아미노산 서열 ( 서열번호:58 )
DIQMTQSPSSLSASVGDRVTITCRASQDIDNYLNWYQQKPGKAPKLLIYYTSEYHSGVPSRFSGSGSGTDFTFTISSLQPEDIATYYCQQGDALPPTFGQGTKLEIK
중쇄 가변 영역 HCVR22 아미노산 서열 ( 서열번호:59 )
QVQLVQSGAEVKKPGASVKVSCKASGYTFGNYWMQWVRQAPGQGLEWMGAIYEGTGDTRYIQKFAGRVTMTRDTSTSTVYMELSSLRSEDTAVYYCARLSDYVSGFSYWGQGTLVTVSS
경쇄 가변 영역 LCVR18 아미노산 서열 ( 서열번호:60 )
DIQMTQSPSSLSASVGDRVTITCRASQDIDNYLNWYQQKPGKAPKLLIYYTSEYHSGVPSRFSGSGSGTDFTFTISSLQPEDIATYYCQQGDALPPTFGQGTKLEIK
중쇄 가변 영역 HCVR23 아미노산 서열 ( 서열번호:61 )
QVQLVQSGAEVKKPGASVKVSCKASGYTFGNYWMQWVRQAPGQGLEWMGAIYEGTGKTVYIQKFAGRVTMTRDTSTSTVYMELSSLRSEDTAVYYCARLSDYVSGFSYWGQGTLVTVSS
경쇄 가변 영역 LCVR19 아미노산 서열 ( 서열번호:62 )
DIQMTQSPSSLSASVGDRVTITCRASKDISKYLNWYQQKPGKAPKLLIYYTSGYHSGVPSRFSGSGSGTDFTLTISSLQPEDFATYYCQQGDALPPTFGGGTKVEIK
중쇄 가변 영역 HCVR24 아미노산 서열 ( 서열번호:63 )
QVQLVQSGAEVKKPGSSVKVSCKASGYTFGNYWMQWVRQAPGQGLEWMGAIYEGTGKTVYIQKFADRVTITADKSTSTAYMELSSLRSEDTAVYYCARLSDYVSGFGYWGQGTTVTVSS
경쇄 가변 영역 LCVR20 아미노산 서열 ( 서열번호:64 )
DIQMTQSPSSLSASVGDRVTITCRASRPIDKYLNWYQQKPGKAPKLLIYYTSEYHSGVPSRFSGSGSGTDFTFTISSLQPEDIATYYCQQGDALPPTFGQGTKLEIK
중쇄 가변 영역 HCVR25 아미노산 서열 ( 서열번호:65 )
QVQLVQSGAEVKKPGASVKVSCKASGYTFGNYWMQWVRQAPGQGLEWMGAIYEGTGKTVYIQKFAGRVTMTRDTSTSTVYMELSSLRSEDTAVYYCARLSDYVSGFGYWGQGTLVTVSS
경쇄 가변 영역 LCVR21 아미노산 서열 ( 서열번호:66 )
DIQMTQSPSSLSASVGDRVTITCRASQDIDKYLNWYQQKPGKAPKLLIYYTSGYHSGVPSRFSGSGSGTDFTLTISSLQPEDFATYYCQQGDALPPTFGGGTKVEIK
중쇄 가변 영역 HCVR26 아미노산 서열 ( 서열번호:67 )
QVQLVQSGAEVKKPGSSVKVSCKASGYTFGNYWMQWVRQAPGQGLEWMGAIYEGTGKTVYIQKFAGRVTITADKSTSTAYMELSSLRSEDTAVYYCARLSDYVSGFGYWGQGTTVTVSS
경쇄 가변 영역 LCVR27 아미노산 서열 ( 서열번호:68 )
QVLTQSPSSLSASVGDRVTINCQASQSVYHNTYLAWYQQKPGKVPKQLIYDASTLASGVPSRFSGSGSGTDFTLTISSLQPEDVATYYCLGSYDCTNGDCFVFGGGTKVEIKR
중쇄 가변 영역 HCVR28 아미노산 서열 ( 서열번호:69 )
EVQLVESGGGLVQPGGSLRLSCAVSGIDLSGYYMNWVRQAPGKGLEWVGVIGINGATYYASWAKGRFTISRDNSKTTVYLQMNSLRAEDTAVYFCARGDIWGQGTLVTVSS
경쇄 가변 영역 LCVR29 아미노산 서열 ( 서열번호:70 )
QVLTQSPSSLSASVGDRVTINCQASQSVYDNNYLAWYQQKPGKVPKQLIYSTSTLASGVPSRFSGSGSGTDFTLTISSLQPEDVATYYCLGSYDCSSGDCFVFGGGTKVEIKR
중쇄 가변 영역 HCVR30 아미노산 서열 ( 서열번호:71 )
EVQLVESGGGLVQPGGSLRLSCAVSGLDLSSYYMQWVRQAPGKGLEWVGVIGINDNTYYASWAKGRFTISRDNSKTTVYLQMNSLRAEDTAVYFCARGDIWGQGTLVTVSS
경쇄 가변 영역 LCVR31 아미노산 서열 ( 서열번호:72 )
QVLTQSPSSLSASVGDRVTINCQASQSVYDNNYLAWYQQKPGKVPKQLIYSTSTLASGVPSRFSGSGSGTDFTLTISSLQPEDVATYYCLGSYDCSSGDCFVFGGGTKVEIKR
중쇄 가변 영역 HCVR32 아미노산 서열 ( 서열번호:73 )
EVQLVESGGGLVQPGGSLRLSCAVSGLDLSSYYMQWVRQAPGKGLEWVGVIGINDNTYYASWAKGRFTISRDNSKTTVYLQMNSLRAEDTAVYFCARGDIWGQGTLVTVSS
경쇄 가변 영역 LCVR33 아미노산 서열 ( 서열번호:74 )
QVLTQTPSPVSAAVGSTVTINCQASQSVYHNTYLAWYQQKPGQPPKQLIYDASTLASGVPSRFSGSGSGTQFTLTISGVQCNDAAAYYCLGSYDCTNGDCFVFGGGTEVVVKR
중쇄 가변 영역 HCVR34 아미노산 서열 ( 서열번호:75 )
QSLEESGGRLVTPGTPLTLTCSVSGIDLSGYYMNWVRQAPGKGLEWIGVIGINGATYYASWAKGRFTISKTSSTTVDLKMTSLTTEDTATYFCARGDIWGPGTLVTVSS
경쇄 가변 영역 LCVR35 아미노산 서열 ( 서열번호:76 )
QVLTQSPSSLSASVGDRVTINCQASQSVYHNTYLAWYQQKPGKVPKQLIYDASTLASGVPSRFSGSGSGTDFTLTISSLQPEDVATYYCLGSYDCTNGDCFVFGGGTKVEIKR
중쇄 가변 영역 HCVR36 아미노산 서열 ( 서열번호:77 )
EVQLVESGGGLVQPGGSLRLSCAVSGIDLSGYYMNWVRQAPGKGLEWVGVIGINGATYYASWAKGRFTISRDNSKTTVYLQMNSLRAEDTAVYFCARGDIWGQGTLVTVSS
경쇄 가변 영역 LCVR37 아미노산 서열 ( 서열번호:78 )
QSVLTQPPSVSAAPGQKVTISCSGSSSNIGNNYVSWYQQLPGTAPKLLIYDNNKRPSGIPDRFSGSKSGTSTTLGITGLQTGDEADYYCGTWDSRLSAVVFGGGTKLTVL
중쇄 가변 영역 HCVR38 아미노산 서열 ( 서열번호:79 )
QVQLVESGGGVVQPGRSLRLSCAASGFTFSSFGMHWVRQAPGKGLEWVAVISFDGSIKYSVDSVKGRFTISRDNSKNTLFLQMNSLRAEDTAVYYCARDRLNYYDSSGYYHYKYYGMAVWGQGTTVTVSS
<110>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INC. <120> SELECTING HEADACHE PATIENTS RESPONSIVE TO ANTIBODIES DIRECTED AGAINST CALCITONIN GENE RELATED PEPTIDE <130> 43612-0017WO1 <140> PCT/US2018/020536 <141> 2018-03-01 <150> 62/516,406 <151> 2017-06-07 <150> 62/514,346 <151> 2017-06-02 <150> 62/490,953 <151> 2017-04-27 <150> 62/466,158 <151> 2017-03-02 <160> 109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12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1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Asn Tyr 20 25 30 Trp Ile Ser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Ala Glu Ile Arg Ser Glu Ser Asp Ala Ser Ala Thr His Tyr Ala Glu 50 55 60 Ala Val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Ala Lys Asn Ser 65 70 75 80 Leu Tyr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Thr Ala Val Tyr 85 90 95 Tyr Cys Leu Ala Tyr Phe Asp Tyr Gly Leu Ala Ile Gln Asn Tyr Trp 100 105 110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120 <210> 2 <211> 10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2 Glu Ile Val Leu Thr Gln Ser Pro Ala Thr Leu Ser Leu Ser Pro Gly 1 5 10 15 Glu Arg Ala Thr Leu Ser Cys Lys Ala Ser Lys Arg Val Thr Thr Tyr 20 25 30 Val Ser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Ala Pro Arg Leu Leu Ile 35 40 45 Tyr Gly Ala Ser Asn Arg Tyr Leu Gly Ile Pro Ala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u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Val Tyr Tyr Cys Ser Gln Ser Tyr Asn Tyr Pro Tyr 85 90 95 Thr Phe Gly Gln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210> 3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3 Gly Phe Thr Phe Ser Asn Tyr Trp Ile Ser 1 5 10 <210> 4 <211> 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4 Glu Ile Arg Ser Glu Ser Asp Ala Ser Ala Thr His Tyr Ala Glu Ala 1 5 10 15 Val Lys Gly <210> 5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5 Tyr Phe Asp Tyr Gly Leu Ala Ile Gln Asn Tyr 1 5 10 <210> 6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6 Lys Ala Ser Lys Arg Val Thr Thr Tyr Val Ser 1 5 10 <210> 7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7 Gly Ala Ser Asn Arg Tyr Leu 1 5 <210> 8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8 Ser Gln Ser Tyr Asn Tyr Pro Tyr Thr 1 5 <210> 9 <211> 36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nucleotide <400> 9 gaagttcagc tggttgaatc cggtggtggt ctggttcagc caggtggttc cctgcgtctg 60 tcctgcgctg cttccggttt caccttctcc aactactgga tctcctgggt tcgtcaggct 120 cctggtaaag gtctggaatg ggttgctgaa atccgttccg aatccgacgc gtccgctacc 180 cattacgctg aagctgttaa aggtcgtttc accatctccc gtgacaacgc taagaactcc 240 ctgtacctgc agatgaactc cctgcgtgct gaagacaccg ctgtttacta ctgcctggct 300 tactttgact acggtctggc tatccagaac tactggggtc agggtaccct ggttaccgtt 360 tcctcc 366 <210> 10 <211> 3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nucleotide <400> 10 gaaatcgttc tgacccagtc cccggctacc ctgtccctgt ccccaggtga acgtgctacc 60 ctgtcctgca aagcttccaa acgggttacc acctacgttt cctggtacca gcagaaaccc 120 ggtcaggctc ctcgtctgct gatctacggt gcttccaacc gttacctcgg tatcccagct 180 cgtttctccg gttccggttc cggtaccgac ttcaccctga ccatctcctc cctggaaccc 240 gaagacttcg ctgtttacta ctgcagtcag tcctacaact acccctacac cttcggtcag 300 ggtaccaaac tggaaatcaa a 321 <210> 11 <211> 44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11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Asn Tyr 20 25 30 Trp Ile Ser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Ala Glu Ile Arg Ser Glu Ser Asp Ala Ser Ala Thr His Tyr Ala Glu 50 55 60 Ala Val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Ala Lys Asn Ser 65 70 75 80 Leu Tyr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Thr Ala Val Tyr 85 90 95 Tyr Cys Leu Ala Tyr Phe Asp Tyr Gly Leu Ala Ile Gln Asn Tyr Trp 100 105 110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Ala Ser Thr Lys Gly Pro 115 120 125 Ser Val Phe Pro Leu Ala Pro Cys Ser Arg Ser Thr Ser Glu Ser Thr 130 135 140 Ala Ala Leu Gly Cys Leu Val Lys Asp Tyr Phe Pro Glu Pro Val Thr 145 150 155 160 Val Ser Trp Asn Ser Gly Ala Leu Th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165 170 175 Ala Val Leu Gln Ser Ser Gly Leu Tyr Ser Leu Ser Ser Val Val Thr 180 185 190 Val Pro Ser Ser Asn Phe Gly Thr Gln Thr Tyr Thr Cys Asn Val Asp 195 200 205 His Lys Pro Ser Asn Thr Lys Val Asp Lys Thr Val Glu Arg Lys Cys 210 215 220 Cys Val Glu Cys Pro Pro Cys Pro Ala Pro Pro Val Ala Gly Pro Ser 225 230 235 240 Val Phe Leu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245 250 255 Thr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Ser His Glu Asp Pro 260 265 270 Glu Val Gln Phe Asn Trp Tyr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275 280 285 Lys Thr Lys Pro Arg Glu Glu Gln Phe Asn Ser Thr Phe Arg Val Val 290 295 300 Ser Val Leu Thr Val Val His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305 310 315 320 Lys Cys Lys Val Ser Asn Lys Gly Leu Pro Ser Ser Ile Glu Lys Thr 325 330 335 Ile Ser Lys Thr Lys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340 345 350 Pro Pro Ser Arg Glu Glu Met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355 360 365 Leu Val Lys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370 375 380 Asn Gly Gln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Met Leu Asp 385 390 395 400 Ser Asp Gly Ser Phe Phe Leu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405 410 415 Arg Trp Gln Gln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420 425 430 Leu His Asn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Pro Gly Lys 435 440 445 <210> 12 <211> 2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12 Glu Ile Val Leu Thr Gln Ser Pro Ala Thr Leu Ser Leu Ser Pro Gly 1 5 10 15 Glu Arg Ala Thr Leu Ser Cys Lys Ala Ser Lys Arg Val Thr Thr Tyr 20 25 30 Val Ser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Ala Pro Arg Leu Leu Ile 35 40 45 Tyr Gly Ala Ser Asn Arg Tyr Leu Gly Ile Pro Ala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u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Val Tyr Tyr Cys Ser Gln Ser Tyr Asn Tyr Pro Tyr 85 90 95 Thr Phe Gly Gln Gly Thr Lys Leu Glu Ile Lys Arg Thr Val Ala Ala 100 105 110 Pro Ser Val Phe Ile Phe Pro Pro Ser Asp Glu Gln Leu Lys Ser Gly 115 120 125 Thr Ala Ser Val Val Cys Leu Leu Asn Asn Phe Tyr Pro Arg Glu Ala 130 135 140 Lys Val Gln Trp Lys Val Asp Asn Ala Leu Gln Ser Gly Asn Ser Gln 145 150 155 160 Glu Ser Val Thr Glu Gln Asp Ser Lys Asp Ser Thr Tyr Ser Leu Ser 165 170 175 Ser Thr Leu Thr Leu Ser Lys Ala Asp Tyr Glu Lys His Lys Val Tyr 180 185 190 Ala Cys Glu Val Thr His Gln Gly Leu Ser Ser Pro Val Thr Lys Ser 195 200 205 Phe Asn Arg Gly Glu Cys 210 <210> 13 <211> 134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nucleotide <400> 13 gaagttcagc tggttgaatc cggtggtggt ctggttcagc caggtggttc cctgcgtctg 60 tcctgcgctg cttccggttt caccttctcc aactactgga tctcctgggt tcgtcaggct 120 cctggtaaag gtctggaatg ggttgctgaa atccgttccg aatccgacgc gtccgctacc 180 cattacgctg aagctgttaa aggtcgtttc accatctccc gtgacaacgc taagaactcc 240 ctgtacctgc agatgaactc cctgcgtgct gaagacaccg ctgtttacta ctgcctggct 300 tactttgact acggtctggc tatccagaac tactggggtc agggtaccct ggttaccgtt 360 tcctccgcct ccaccaaggg cccatctgtc ttcccactgg ccccatgctc ccgcagcacc 420 tccgagagca cagccgccct gggctgcctg gtcaaggact acttcccaga acctgtgacc 480 gtgtcctgga actctggcgc tctgaccagc ggcgtgcaca ccttcccagc tgtcctgcag 540 tcctcaggtc tctactccct cagcagcgtg gtgaccgtgc catccagcaa cttcggcacc 600 cagacctaca cctgcaacgt agatcacaag ccaagcaaca ccaaggtcga caagaccgtg 660 gagagaaagt gttgtgtgga gtgtccacct tgtccagccc ctccagtggc cggaccatcc 720 gtgttcctgt tccctccaaa gccaaaggac accctgatga tctccagaac cccagaggtg 780 acctgtgtgg tggtggacgt gtcccacgag gacccagagg tgcagttcaa ctggtatgtg 840 gacggagtgg aggtgcacaa cgccaagacc aagccaagag aggagcagtt caactccacc 900 ttcagagtgg tgagcgtgct gaccgtggtg caccaggact ggctgaacgg aaaggagtat 960 aagtgtaagg tgtccaacaa gggactgcca tccagcatcg agaagaccat ctccaagacc 1020 aagggacagc caagagagcc acaggtgtat accctgcccc catccagaga ggagatgacc 1080 aagaaccagg tgtccctgac ctgtctggtg aagggattct atccatccga catcgccgtg 1140 gagtgggagt ccaacggaca gccagagaac aactataaga ccacccctcc aatgctggac 1200 tccgacggat ccttcttcct gtattccaag ctgaccgtgg acaagtccag atggcagcag 1260 ggaaacgtgt tctcttgttc cgtgatgcac gaggccctgc acaaccacta tacccagaag 1320 agcctgtccc tgtctccagg aaagtaa 1347 <210> 14 <211> 64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nucleotide <400> 14 gaaatcgttc tgacccagtc cccggctacc ctgtccctgt ccccaggtga acgtgctacc 60 ctgtcctgca aagcttccaa acgggttacc acctacgttt cctggtacca gcagaaaccc 120 ggtcaggctc ctcgtctgct gatctacggt gcttccaacc gttacctcgg tatcccagct 180 cgtttctccg gttccggttc cggtaccgac ttcaccctga ccatctcctc cctggaaccc 240 gaagacttcg ctgtttacta ctgcagtcag tcctacaact acccctacac cttcggtcag 300 ggtaccaaac tggaaatcaa acgcactgtg gctgcaccat ctgtcttcat cttccctcca 360 tctgatgagc agttgaaatc cggaactgcc tctgttgtgt gcctgctgaa taacttctat 420 ccgcgcgagg ccaaagtaca gtggaaggtg gataacgccc tccaatccgg taactcccag 480 gagagtgtca cagagcagga cagcaaggac agcacctaca gcctcagcag caccctgacc 540 ctgagcaaag cagactacga gaaacacaaa gtctacgcct gcgaagtcac ccatcagggc 600 ctgagttctc cagtcacaaa gagcttcaac cgcggtgagt gctaa 645 <210> 15 <211> 3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5 Ala Cys Asp Thr Ala Thr Cys Val Thr His Arg Leu Ala Gly Leu Leu 1 5 10 15 Ser Arg Ser Gly Gly Val Val Lys Asn Asn Phe Val Pro Thr Asn Val 20 25 30 Gly Ser Lys Ala Phe 35 <210> 16 <211> 30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6 Val Thr His Arg Leu Ala Gly Leu Leu Ser Arg Ser Gly Gly Val Val 1 5 10 15 Lys Asn Asn Phe Val Pro Thr Asn Val Gly Ser Lys Ala Phe 20 25 30 <210> 17 <211> 1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7 Ser Gly Gly Val Val Lys Asn Asn Phe Val Pro Thr Asn Val Gly Ser 1 5 10 15 Lys Ala Phe <210> 18 <211> 1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8 Ser Gly Gly Val Val Lys Asn Asn Phe Val Ala Thr Asn Val Gly Ser 1 5 10 15 Lys Ala Phe <210> 19 <211> 1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9 Ser Gly Gly Val Val Lys Asn Asn Phe Val Pro Thr Asn Val Gly Ser 1 5 10 15 Ala Ala Phe <210> 20 <211> 1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0 Ser Gly Gly Val Val Lys Asn Asn Phe Val Pro Thr Asn Val Gly Ser 1 5 10 15 Glu Ala Phe <210> 21 <211> 1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1 Ser Gly Gly Val Val Lys Asn Asn Phe Val Pro Thr Asn Val Gly Ser 1 5 10 15 Met Ala Phe <210> 22 <211> 1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2 Ser Gly Gly Val Val Lys Asn Asn Phe Val Pro Thr Asn Val Gly Ser 1 5 10 15 Gln Ala Phe <210> 23 <211> 1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3 Ser Gly Gly Val Val Lys Asn Asn Phe Val Pro Thr Asn Val Gly Ser 1 5 10 15 Lys Ala Ala <210> 24 <211> 14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4 Asn Asn Phe Val Pro Thr Asn Val Gly Ser Lys Ala Phe Ala 1 5 10 <210> 25 <211> 1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5 Asn Asn Phe Val Pro Thr Asn Val Gly Ser Lys Ala Phe 1 5 10 <210> 26 <211> 1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6 Asn Asn Ala Val Pro Thr Asn Val Gly Ser Lys Ala Phe 1 5 10 <210> 27 <211> 1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7 Asn Asn Phe Ala Pro Thr Asn Val Gly Ser Lys Ala Phe 1 5 10 <210> 28 <211> 1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8 Asn Asn Phe Val Ala Thr Asn Val Gly Ser Lys Ala Phe 1 5 10 <210> 29 <211> 1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9 Asn Asn Phe Val Pro Ala Asn Val Gly Ser Lys Ala Phe 1 5 10 <210> 30 <211> 1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0 Asn Asn Phe Val Pro Thr Ala Val Gly Ser Lys Ala Phe 1 5 10 <210> 31 <211> 1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1 Asn Asn Phe Val Pro Thr Asn Ala Gly Ser Lys Ala Phe 1 5 10 <210> 32 <211> 1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2 Asn Asn Phe Val Pro Thr Asn Val Ala Ser Lys Ala Phe 1 5 10 <210> 33 <211> 1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3 Asn Asn Phe Val Pro Thr Asn Val Gly Ala Lys Ala Phe 1 5 10 <210> 34 <211> 1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4 Asn Asn Phe Val Pro Thr Asn Val Gly Ser Lys Ala Ala 1 5 10 <210> 35 <211> 12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5 Asn Phe Val Pro Thr Asn Val Gly Ser Lys Ala Phe 1 5 10 <210> 36 <211> 1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6 Ser Gly Gly Val Val Lys Asn Asn Phe Val Pro Thr Asn Val Gly Ser 1 5 10 15 Lys Ala Phe <210> 37 <211> 18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7 Ser Gly Gly Val Val Lys Asn Asn Phe Val Pro Thr Asn Val Gly Ser 1 5 10 15 Lys Ala <210> 38 <211> 36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8 Ala Cys Asp Thr Ala Thr Cys Val Thr His Arg Leu Ala Gly Leu Leu 1 5 10 15 Ser Arg Ser Gly Gly Val Val Lys Asn Asn Phe Val Pro Thr Asn Val 20 25 30 Gly Ser Lys Ala 35 <210> 39 <211> 1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9 Ala Cys Asp Thr Ala Thr Cys Val Thr His Arg Leu Ala Gly Leu Leu 1 5 10 15 Ser Arg Ser <210> 40 <211> 1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0 Ala Cys Asp Thr Ala Thr Cys Val Thr His Arg Leu Ala 1 5 10 <210> 41 <211> 37 <212> PRT <213> Rattus sp. <400> 41 Ser Cys Asn Thr Ala Thr Cys Val Thr His Arg Leu Ala Gly Leu Leu 1 5 10 15 Ser Arg Ser Gly Gly Val Val Lys Asp Asn Phe Val Pro Thr Asn Val 20 25 30 Gly Ser Glu Ala Phe 35 <210> 42 <211> 19 <212> PRT <213> Rattus sp. <400> 42 Ser Gly Gly Val Val Lys Asp Asn Phe Val Pro Thr Asn Val Gly Ser 1 5 10 15 Glu Ala Phe <210> 43 <211> 3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3 Ala Cys Asn Thr Ala Thr Cys Val Thr His Arg Leu Ala Gly Leu Leu 1 5 10 15 Ser Arg Ser Gly Gly Met Val Lys Ser Asn Phe Val Pro Thr Asn Val 20 25 30 Gly Ser Lys Ala Phe 35 <210> 44 <211> 37 <212> PRT <213> Rattus sp. <400> 44 Ser Cys Asn Thr Ala Thr Cys Val Thr His Arg Leu Ala Gly Leu Leu 1 5 10 15 Ser Arg Ser Gly Gly Val Val Lys Asp Asn Phe Val Pro Thr Asn Val 20 25 30 Gly Ser Lys Ala Phe 35 <210> 45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5 Cys Gly Asn Leu Ser Thr Cys Met Leu Gly Thr Tyr Thr Gln Asp Phe 1 5 10 15 Asn Lys Phe His Thr Phe Pro Gln Thr Ala Ile Gly Val Gly Ala Pro 20 25 30 <210> 46 <211> 3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6 Lys Cys Asn Thr Ala Thr Cys Ala Thr Gln Arg Leu Ala Asn Phe Leu 1 5 10 15 Val His Ser Ser Asn Asn Phe Gly Ala Ile Leu Ser Ser Thr Asn Val 20 25 30 Gly Ser Asn Thr Tyr 35 <210> 47 <211> 52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7 Tyr Arg Gln Ser Met Asn Asn Phe Gln Gly Leu Arg Ser Phe Gly Cys 1 5 10 15 Arg Phe Gly Thr Cys Thr Val Gln Lys Leu Ala His Gln Ile Tyr Gln 20 25 30 Phe Thr Asp Lys Asp Lys Asp Asn Val Ala Pro Arg Ser Lys Ile Ser 35 40 45 Pro Gln Gly Tyr 50 <210> 48 <400> 48 000 <210> 49 <400> 49 000 <210> 50 <400> 50 000 <210> 51 <400> 51 000 <210> 52 <400> 52 000 <210> 53 <400> 53 000 <210> 54 <400> 54 000 <210> 55 <400> 55 000 <210> 56 <400> 56 000 <210> 57 <400> 57 000 <210> 58 <211> 10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58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Gln Asp Ile Asp Asn Tyr 20 25 30 Leu Asn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Tyr Thr Ser Glu Tyr His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Phe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Il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Gly Asp Ala Leu Pro Pro 85 90 95 Thr Phe Gly Gln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210> 59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59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Gly Asn Tyr 20 25 30 Trp Met Gl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Ala Ile Tyr Glu Gly Thr Gly Asp Thr Arg Tyr Ile Gln Lys Phe 50 55 60 Ala Gly Arg Val Thr Met Thr Arg Asp Thr Ser Thr Ser Thr Val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Leu Ser Asp Tyr Val Ser Gly Phe Ser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60 <211> 10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60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Gln Asp Ile Asp Asn Tyr 20 25 30 Leu Asn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Tyr Thr Ser Glu Tyr His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Phe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Il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Gly Asp Ala Leu Pro Pro 85 90 95 Thr Phe Gly Gln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210> 61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61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Gly Asn Tyr 20 25 30 Trp Met Gl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Ala Ile Tyr Glu Gly Thr Gly Lys Thr Val Tyr Ile Gln Lys Phe 50 55 60 Ala Gly Arg Val Thr Met Thr Arg Asp Thr Ser Thr Ser Thr Val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Leu Ser Asp Tyr Val Ser Gly Phe Ser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62 <211> 10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62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Lys Asp Ile Ser Lys Tyr 20 25 30 Leu Asn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Tyr Thr Ser Gly Tyr His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Gly Asp Ala Leu Pro Pro 85 90 95 Thr Phe Gly Gly Gly Thr Lys Val Glu Ile Lys 100 105 <210> 63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63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Ser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Gly Asn Tyr 20 25 30 Trp Met Gl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Ala Ile Tyr Glu Gly Thr Gly Lys Thr Val Tyr Ile Gln Lys Phe 50 55 60 Ala Asp Arg Val Thr Ile Thr Ala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Leu Ser Asp Tyr Val Ser Gly Phe Gly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Thr Val Thr Val Ser Ser 115 <210> 64 <211> 10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64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Arg Pro Ile Asp Lys Tyr 20 25 30 Leu Asn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Tyr Thr Ser Glu Tyr His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Phe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Il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Gly Asp Ala Leu Pro Pro 85 90 95 Thr Phe Gly Gln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210> 65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65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Gly Asn Tyr 20 25 30 Trp Met Gl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Ala Ile Tyr Glu Gly Thr Gly Lys Thr Val Tyr Ile Gln Lys Phe 50 55 60 Ala Gly Arg Val Thr Met Thr Arg Asp Thr Ser Thr Ser Thr Val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Leu Ser Asp Tyr Val Ser Gly Phe Gly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66 <211> 10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66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Gln Asp Ile Asp Lys Tyr 20 25 30 Leu Asn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Tyr Thr Ser Gly Tyr His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Gly Asp Ala Leu Pro Pro 85 90 95 Thr Phe Gly Gly Gly Thr Lys Val Glu Ile Lys 100 105 <210> 67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67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Ser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Gly Asn Tyr 20 25 30 Trp Met Gl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Ala Ile Tyr Glu Gly Thr Gly Lys Thr Val Tyr Ile Gln Lys Phe 50 55 60 Ala Gly Arg Val Thr Ile Thr Ala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Leu Ser Asp Tyr Val Ser Gly Phe Gly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Thr Val Thr Val Ser Ser 115 <210> 68 <211> 1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68 Gln Val Leu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Asp 1 5 10 15 Arg Val Thr Ile Asn Cys Gln Ala Ser Gln Ser Val Tyr His Asn Thr 20 25 30 Tyr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Val Pro Lys Gln Leu 35 40 45 Ile Tyr Asp Ala Ser Thr Leu Ala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50 55 60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65 70 75 80 Pro Glu Asp Val Ala Thr Tyr Tyr Cys Leu Gly Ser Tyr Asp Cys Thr 85 90 95 Asn Gly Asp Cys Phe Val Phe Gly Gly Gly Thr Lys Val Glu Ile Lys 100 105 110 Arg <210> 69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69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Val Ser Gly Ile Asp Leu Ser Gly Tyr 20 25 30 Tyr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Gly Val Ile Gly Ile Asn Gly Ala Thr Tyr Tyr Ala Ser Trp Ala Lys 50 55 60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Ser Lys Thr Thr Val Tyr Leu 65 70 75 80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Thr Ala Val Tyr Phe Cys Ala 85 90 95 Arg Gly Asp Ile Trp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70 <211> 1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70 Gln Val Leu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Asp 1 5 10 15 Arg Val Thr Ile Asn Cys Gln Ala Ser Gln Ser Val Tyr Asp Asn Asn 20 25 30 Tyr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Val Pro Lys Gln Leu 35 40 45 Ile Tyr Ser Thr Ser Thr Leu Ala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50 55 60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65 70 75 80 Pro Glu Asp Val Ala Thr Tyr Tyr Cys Leu Gly Ser Tyr Asp Cys Ser 85 90 95 Ser Gly Asp Cys Phe Val Phe Gly Gly Gly Thr Lys Val Glu Ile Lys 100 105 110 Arg <210> 71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71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Val Ser Gly Leu Asp Leu Ser Ser Tyr 20 25 30 Tyr Met Gl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Gly Val Ile Gly Ile Asn Asp Asn Thr Tyr Tyr Ala Ser Trp Ala Lys 50 55 60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Ser Lys Thr Thr Val Tyr Leu 65 70 75 80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Thr Ala Val Tyr Phe Cys Ala 85 90 95 Arg Gly Asp Ile Trp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72 <211> 1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72 Gln Val Leu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Asp 1 5 10 15 Arg Val Thr Ile Asn Cys Gln Ala Ser Gln Ser Val Tyr Asp Asn Asn 20 25 30 Tyr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Val Pro Lys Gln Leu 35 40 45 Ile Tyr Ser Thr Ser Thr Leu Ala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50 55 60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65 70 75 80 Pro Glu Asp Val Ala Thr Tyr Tyr Cys Leu Gly Ser Tyr Asp Cys Ser 85 90 95 Ser Gly Asp Cys Phe Val Phe Gly Gly Gly Thr Lys Val Glu Ile Lys 100 105 110 Arg <210> 73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73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Val Ser Gly Leu Asp Leu Ser Ser Tyr 20 25 30 Tyr Met Gl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Gly Val Ile Gly Ile Asn Asp Asn Thr Tyr Tyr Ala Ser Trp Ala Lys 50 55 60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Ser Lys Thr Thr Val Tyr Leu 65 70 75 80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Thr Ala Val Tyr Phe Cys Ala 85 90 95 Arg Gly Asp Ile Trp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74 <211> 1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74 Gln Val Leu Thr Gln Thr Pro Ser Pro Val Ser Ala Ala Val Gly Ser 1 5 10 15 Thr Val Thr Ile Asn Cys Gln Ala Ser Gln Ser Val Tyr His Asn Thr 20 25 30 Tyr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Pro Pro Lys Gln Leu 35 40 45 Ile Tyr Asp Ala Ser Thr Leu Ala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50 55 60 Gly Ser Gly Ser Gly Thr Gln Phe Thr Leu Thr Ile Ser Gly Val Gln 65 70 75 80 Cys Asn Asp Ala Ala Ala Tyr Tyr Cys Leu Gly Ser Tyr Asp Cys Thr 85 90 95 Asn Gly Asp Cys Phe Val Phe Gly Gly Gly Thr Glu Val Val Val Lys 100 105 110 Arg <210> 75 <211> 10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75 Gln Ser Leu Glu Glu Ser Gly Gly Arg Leu Val Thr Pro Gly Thr Pro 1 5 10 15 Leu Thr Leu Thr Cys Ser Val Ser Gly Ile Asp Leu Ser Gly Tyr Tyr 20 25 30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Ile Gly 35 40 45 Val Ile Gly Ile Asn Gly Ala Thr Tyr Tyr Ala Ser Trp Ala Lys Gly 50 55 60 Arg Phe Thr Ile Ser Lys Thr Ser Ser Thr Thr Val Asp Leu Lys Met 65 70 75 80 Thr Ser Leu Thr Thr Glu Asp Thr Ala Thr Tyr Phe Cys Ala Arg Gly 85 90 95 Asp Ile Trp Gly Pro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00 105 <210> 76 <211> 1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76 Gln Val Leu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Asp 1 5 10 15 Arg Val Thr Ile Asn Cys Gln Ala Ser Gln Ser Val Tyr His Asn Thr 20 25 30 Tyr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Val Pro Lys Gln Leu 35 40 45 Ile Tyr Asp Ala Ser Thr Leu Ala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50 55 60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65 70 75 80 Pro Glu Asp Val Ala Thr Tyr Tyr Cys Leu Gly Ser Tyr Asp Cys Thr 85 90 95 Asn Gly Asp Cys Phe Val Phe Gly Gly Gly Thr Lys Val Glu Ile Lys 100 105 110 Arg <210> 77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77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Val Ser Gly Ile Asp Leu Ser Gly Tyr 20 25 30 Tyr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Gly Val Ile Gly Ile Asn Gly Ala Thr Tyr Tyr Ala Ser Trp Ala Lys 50 55 60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Ser Lys Thr Thr Val Tyr Leu 65 70 75 80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Thr Ala Val Tyr Phe Cys Ala 85 90 95 Arg Gly Asp Ile Trp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78 <211> 1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78 Gln Ser Val Leu Thr Gln Pro Pro Ser Val Ser Ala Ala Pro Gly Gln 1 5 10 15 Lys Val Thr Ile Ser Cys Ser Gly Ser Ser Ser Asn Ile Gly Asn Asn 20 25 30 Tyr Val Ser Trp Tyr Gln Gln Leu Pro Gly Thr Ala Pro Lys Leu Leu 35 40 45 Ile Tyr Asp Asn Asn Lys Arg Pro Ser Gly Ile Pro Asp Arg Phe Ser 50 55 60 Gly Ser Lys Ser Gly Thr Ser Thr Thr Leu Gly Ile Thr Gly Leu Gln 65 70 75 80 Thr Gly Asp Glu Ala Asp Tyr Tyr Cys Gly Thr Trp Asp Ser Arg Leu 85 90 95 Ser Ala Val Val Phe Gly Gly Gly Thr Lys Leu Thr Val Leu 100 105 110 <210> 79 <211> 1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79 Gln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Val Val Gln Pro Gly Arg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Ser Phe 20 25 30 Gly Met His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Ala Val Ile Ser Phe Asp Gly Ser Ile Lys Tyr Ser Val Asp Ser Val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Ser Lys Asn Thr Leu Phe 65 70 75 80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Asp Arg Leu Asn Tyr Tyr Asp Ser Ser Gly Tyr Tyr His Tyr 100 105 110 Lys Tyr Tyr Gly Met Ala Val Trp Gly Gln Gly Thr Thr Val Thr Val 115 120 125 Ser Ser 130 <210> 80 <211> 1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80 Gln Val Leu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Asp 1 5 10 15 Arg Val Thr Ile Asn Cys Gln Ala Ser Gln Ser Val Tyr His Asn Thr 20 25 30 Tyr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Val Pro Lys Gln Leu 35 40 45 Ile Tyr Asp Ala Ser Thr Leu Ala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50 55 60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65 70 75 80 Pro Glu Asp Val Ala Thr Tyr Tyr Cys Leu Gly Ser Tyr Asp Cys Thr 85 90 95 Asn Gly Asp Cys Phe Val Phe Gly Gly Gly Thr Lys Val Glu Ile Lys 100 105 110 Arg <210> 81 <211> 2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81 Gln Val Leu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Asp 1 5 10 15 Arg Val Thr Ile Asn Cys Gln Ala Ser Gln Ser Val Tyr His Asn Thr 20 25 30 Tyr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Val Pro Lys Gln Leu 35 40 45 Ile Tyr Asp Ala Ser Thr Leu Ala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50 55 60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65 70 75 80 Pro Glu Asp Val Ala Thr Tyr Tyr Cys Leu Gly Ser Tyr Asp Cys Thr 85 90 95 Asn Gly Asp Cys Phe Val Phe Gly Gly Gly Thr Lys Val Glu Ile Lys 100 105 110 Arg Thr Val Ala Ala Pro Ser Val Phe Ile Phe Pro Pro Ser Asp Glu 115 120 125 Gln Leu Lys Ser Gly Thr Ala Ser Val Val Cys Leu Leu Asn Asn Phe 130 135 140 Tyr Pro Arg Glu Ala Lys Val Gln Trp Lys Val Asp Asn Ala Leu Gln 145 150 155 160 Ser Gly Asn Ser Gln Glu Ser Val Thr Glu Gln Asp Ser Lys Asp Ser 165 170 175 Thr Tyr Ser Leu Ser Ser Thr Leu Thr Leu Ser Lys Ala Asp Tyr Glu 180 185 190 Lys His Lys Val Tyr Ala Cys Glu Val Thr His Gln Gly Leu Ser Ser 195 200 205 Pro Val Thr Lys Ser Phe Asn Arg Gly Glu Cys 210 215 <210> 82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82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Val Ser Gly Ile Asp Leu Ser Gly Tyr 20 25 30 Tyr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Gly Val Ile Gly Ile Asn Gly Ala Thr Tyr Tyr Ala Ser Trp Ala Lys 50 55 60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Ser Lys Thr Thr Val Tyr Leu 65 70 75 80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Thr Ala Val Tyr Phe Cys Ala 85 90 95 Arg Gly Asp Ile Trp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83 <211> 44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83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Val Ser Gly Ile Asp Leu Ser Gly Tyr 20 25 30 Tyr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Gly Val Ile Gly Ile Asn Gly Ala Thr Tyr Tyr Ala Ser Trp Ala Lys 50 55 60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Ser Lys Thr Thr Val Tyr Leu 65 70 75 80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Thr Ala Val Tyr Phe Cys Ala 85 90 95 Arg Gly Asp Ile Trp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Ala 100 105 110 Ser Thr Lys Gly Pro Ser Val Phe Pro Leu Ala Pro Ser Ser Lys Ser 115 120 125 Thr Ser Gly Gly Thr Ala Ala Leu Gly Cys Leu Val Lys Asp Tyr Phe 130 135 140 Pro Glu Pro Val Thr Val Ser Trp Asn Ser Gly Ala Leu Thr Ser Gly 145 150 155 160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Gln Ser Ser Gly Leu Tyr Ser Leu 165 170 175 Ser Ser Val Val Thr Val Pro Ser Ser Ser Leu Gly Thr Gln Thr Tyr 180 185 190 Ile Cys Asn Val Asn His Lys Pro Ser Asn Thr Lys Val Asp Ala Arg 195 200 205 Val Glu Pro Lys Ser Cys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210 215 220 Ala Pro Glu Leu Leu Gly Gly Pro Ser Val Phe Leu Phe Pro Pro Lys 225 230 235 240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Thr Pro Glu Val Thr Cys Val 245 250 255 Val Val Asp Val Ser His Glu Asp Pro Glu Val Lys Phe Asn Trp Tyr 260 265 270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Thr Lys Pro Arg Glu Glu 275 280 285 Gln Tyr Ala Ser Thr Tyr Arg Val Val Ser Val Leu Thr Val Leu His 290 295 300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Cys Lys Val Ser Asn Lys 305 310 315 320 Ala Leu Pro Ala Pro Ile Glu Lys Thr Ile Ser Lys Ala Lys Gly Gln 325 330 335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Pro Ser Arg Glu Glu Met 340 345 350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Val Lys Gly Phe Tyr Pro 355 360 365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Gly Gln Pro Glu Asn Asn 370 375 380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Asp Gly Ser Phe Phe Leu 385 390 395 400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Arg Trp Gln Gln Gly Asn Val 405 410 415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Leu His Asn His Tyr Thr Gln 420 425 430 Lys Ser Leu Ser Leu Ser Pro Gly Lys 435 440 <210> 84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84 Gln Ala Ser Gln Ser Val Tyr His Asn Thr Tyr Leu Ala 1 5 10 <210> 8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85 Asp Ala Ser Thr Leu Ala Ser 1 5 <210> 86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86 Leu Gly Ser Tyr Asp Cys Thr Asn Gly Asp Cys Phe Val 1 5 10 <210> 87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87 Gly Tyr Tyr Met Asn 1 5 <210> 88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88 Ile Gly Ile Asn Gly Ala Thr Tyr Tyr Ala Ser Trp Ala Lys Gly 1 5 10 15 <210> 89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89 Gly Asp Ile 1 <210> 90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90 Gln Gln Gly Asp Ala Leu Pro Pro Thr 1 5 <210> 91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91 Arg Ala Ser Lys Asp Ile Ser Lys Tyr Leu 1 5 10 <210> 9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92 Tyr Thr Ser Gly Tyr His Ser 1 5 <210> 93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93 Gly Tyr Thr Phe Gly Asn Tyr Trp Met Gln 1 5 10 <210> 94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94 Ala Ile Tyr Glu Gly Thr Gly Lys Thr Val Tyr Ile Gln Lys Phe Ala 1 5 10 15 Asp <210> 95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95 Leu Ser Asp Tyr Val Ser Gly Phe Gly Tyr 1 5 10 <210> 96 <211> 10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96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Lys Asp Ile Ser Lys Tyr 20 25 30 Leu Asn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Tyr Thr Ser Gly Tyr His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Gly Asp Ala Leu Pro Pro 85 90 95 Thr Phe Gly Gly Gly Thr Lys Val Glu Ile Lys 100 105 <210> 97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97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Ser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Gly Asn Tyr 20 25 30 Trp Met Gl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Ala Ile Tyr Glu Gly Thr Gly Lys Thr Val Tyr Ile Gln Lys Phe 50 55 60 Ala Asp Arg Val Thr Ile Thr Ala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Leu Ser Asp Tyr Val Ser Gly Phe Gly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Thr Val Thr Val Ser Ser 115 <210> 98 <211> 2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98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Lys Asp Ile Ser Lys Tyr 20 25 30 Leu Asn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Tyr Thr Ser Gly Tyr His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Gly Asp Ala Leu Pro Pro 85 90 95 Thr Phe Gly Gly Gly Thr Lys Val Glu Ile Lys Arg Thr Val Ala Ala 100 105 110 Pro Ser Val Phe Ile Phe Pro Pro Ser Asp Glu Gln Leu Lys Ser Gly 115 120 125 Thr Ala Ser Val Val Cys Leu Leu Asn Asn Phe Tyr Pro Arg Glu Ala 130 135 140 Lys Val Gln Trp Lys Val Asp Asn Ala Leu Gln Ser Gly Asn Ser Gln 145 150 155 160 Glu Ser Val Thr Glu Gln Asp Ser Lys Asp Ser Thr Tyr Ser Leu Ser 165 170 175 Ser Thr Leu Thr Leu Ser Lys Ala Asp Tyr Glu Lys His Lys Val Tyr 180 185 190 Ala Cys Glu Val Thr His Gln Gly Leu Ser Ser Pro Val Thr Lys Ser 195 200 205 Phe Asn Arg Gly Glu Cys 210 <210> 99 <211> 44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99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Ser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Gly Asn Tyr 20 25 30 Trp Met Gl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Ala Ile Tyr Glu Gly Thr Gly Lys Thr Val Tyr Ile Gln Lys Phe 50 55 60 Ala Asp Arg Val Thr Ile Thr Ala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Leu Ser Asp Tyr Val Ser Gly Phe Gly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Thr Val Thr Val Ser Ser Ala Ser Thr Lys Gly Pro Ser Val Phe 115 120 125 Pro Leu Ala Pro Cys Ser Arg Ser Thr Ser Glu Ser Thr Ala Ala Leu 130 135 140 Gly Cys Leu Val Lys Asp Tyr Phe Pro Glu Pro Val Thr Val Ser Trp 145 150 155 160 Asn Ser Gly Ala Leu Th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165 170 175 Gln Ser Ser Gly Leu Tyr Ser Leu Ser Ser Val Val Thr Val Pro Ser 180 185 190 Ser Ser Leu Gly Thr Lys Thr Tyr Thr Cys Asn Val Asp His Lys Pro 195 200 205 Ser Asn Thr Lys Val Asp Lys Arg Val Glu Ser Lys Tyr Gly Pro Pro 210 215 220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Ala Ala Gly Gly Pro Ser Val Phe 225 230 235 240 Leu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Thr Pro 245 250 255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Ser Gln Glu Asp Pro Glu Val 260 265 270 Gln Phe Asn Trp Tyr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Thr 275 280 285 Lys Pro Arg Glu Glu Gln Phe Asn Ser Thr Tyr Arg Val Val Ser Val 290 295 300 Leu Thr Val Leu His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Cys 305 310 315 320 Lys Val Ser Asn Lys Gly Leu Pro Ser Ser Ile Glu Lys Thr Ile Ser 325 330 335 Lys Ala Lys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Pro 340 345 350 Ser Gln Glu Glu Met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Val 355 360 365 Lys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Gly 370 375 380 Gln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Asp 385 390 395 400 Gly Ser Phe Phe Leu Tyr Ser Arg Leu Thr Val Asp Lys Ser Arg Trp 405 410 415 Gln Glu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Leu His 420 425 430 Asn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Leu Gly 435 440 445 <210> 100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100 Ser Gly Ser Ser Ser Asn Ile Gly Asn Asn Tyr Val Ser 1 5 10 <210> 101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101 Asp Asn Asn Lys Arg Pro Ser 1 5 <210> 102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102 Gly Thr Trp Asp Ser Arg Leu Ser Ala Val Val 1 5 10 <210> 103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103 Ser Phe Gly Met His 1 5 <210> 104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104 Val Ile Ser Phe Asp Gly Ser Ile Lys Tyr Ser Val Asp Ser Val Lys 1 5 10 15 Gly <210> 105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105 Asp Arg Leu Asn Tyr Tyr Asp Ser Ser Gly Tyr Tyr His Tyr Lys Tyr 1 5 10 15 Tyr Gly Met Ala Val 20 <210> 106 <211> 1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106 Gln Ser Val Leu Thr Gln Pro Pro Ser Val Ser Ala Ala Pro Gly Gln 1 5 10 15 Lys Val Thr Ile Ser Cys Ser Gly Ser Ser Ser Asn Ile Gly Asn Asn 20 25 30 Tyr Val Ser Trp Tyr Gln Gln Leu Pro Gly Thr Ala Pro Lys Leu Leu 35 40 45 Ile Tyr Asp Asn Asn Lys Arg Pro Ser Gly Ile Pro Asp Arg Phe Ser 50 55 60 Gly Ser Lys Ser Gly Thr Ser Thr Thr Leu Gly Ile Thr Gly Leu Gln 65 70 75 80 Thr Gly Asp Glu Ala Asp Tyr Tyr Cys Gly Thr Trp Asp Ser Arg Leu 85 90 95 Ser Ala Val Val Phe Gly Gly Gly Thr Lys Leu Thr Val Leu 100 105 110 <210> 107 <211> 1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107 Gln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Val Val Gln Pro Gly Arg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Ser Phe 20 25 30 Gly Met His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Ala Val Ile Ser Phe Asp Gly Ser Ile Lys Tyr Ser Val Asp Ser Val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Ser Lys Asn Thr Leu Phe 65 70 75 80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Asp Arg Leu Asn Tyr Tyr Asp Ser Ser Gly Tyr Tyr His Tyr 100 105 110 Lys Tyr Tyr Gly Met Ala Val Trp Gly Gln Gly Thr Thr Val Thr Val 115 120 125 Ser Ser 130 <210> 108 <211> 23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108 Met Asp Met Arg Val Pro Ala Gln Leu Leu Gly Leu Leu Leu Leu Trp 1 5 10 15 Leu Arg Gly Ala Arg Cys Gln Ser Val Leu Thr Gln Pro Pro Ser Val 20 25 30 Ser Ala Ala Pro Gly Gln Lys Val Thr Ile Ser Cys Ser Gly Ser Ser 35 40 45 Ser Asn Ile Gly Asn Asn Tyr Val Ser Trp Tyr Gln Gln Leu Pro Gly 50 55 60 Thr Ala Pro Lys Leu Leu Ile Tyr Asp Asn Asn Lys Arg Pro Ser Gly 65 70 75 80 Ile Pro Asp Arg Phe Ser Gly Ser Lys Ser Gly Thr Ser Thr Thr Leu 85 90 95 Gly Ile Thr Gly Leu Gln Thr Gly Asp Glu Ala Asp Tyr Tyr Cys Gly 100 105 110 Thr Trp Asp Ser Arg Leu Ser Ala Val Val Phe Gly Gly Gly Thr Lys 115 120 125 Leu Thr Val Leu Gly Gln Pro Lys Ala Asn Pro Thr Val Thr Leu Phe 130 135 140 Pro Pro Ser Ser Glu Glu Leu Gln Ala Asn Lys Ala Thr Leu Val Cys 145 150 155 160 Leu Ile Ser Asp Phe Tyr Pro Gly Ala Val Thr Val Ala Trp Lys Ala 165 170 175 Asp Gly Ser Pro Val Lys Ala Gly Val Glu Thr Thr Lys Pro Ser Lys 180 185 190 Gln Ser Asn Asn Lys Tyr Ala Ala Ser Ser Tyr Leu Ser Leu Thr Pro 195 200 205 Glu Gln Trp Lys Ser His Arg Ser Tyr Ser Cys Gln Val Thr His Glu 210 215 220 Gly Ser Thr Val Glu Lys Thr Val Ala Pro Thr Glu Cys Ser 225 230 235 <210> 109 <211> 47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109 Met Asp Met Arg Val Pro Ala Gln Leu Leu Gly Leu Leu Leu Leu Trp 1 5 10 15 Leu Arg Gly Ala Arg Cys Gln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20 25 30 Val Val Gln Pro Gly Arg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35 40 45 Phe Thr Phe Ser Ser Phe Gly Met His Trp Val Arg Gln Ala Pro Gly 50 55 60 Lys Gly Leu Glu Trp Val Ala Val Ile Ser Phe Asp Gly Ser Ile Lys 65 70 75 80 Tyr Ser Val Asp Ser Val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85 90 95 Ser Lys Asn Thr Leu Phe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100 105 110 Thr Ala Val Tyr Tyr Cys Ala Arg Asp Arg Leu Asn Tyr Tyr Asp Ser 115 120 125 Ser Gly Tyr Tyr His Tyr Lys Tyr Tyr Gly Met Ala Val Trp Gly Gln 130 135 140 Gly Thr Thr Val Thr Val Ser Ser Ala Ser Thr Lys Gly Pro Ser Val 145 150 155 160 Phe Pro Leu Ala Pro Cys Ser Arg Ser Thr Ser Glu Ser Thr Ala Ala 165 170 175 Leu Gly Cys Leu Val Lys Asp Tyr Phe Pro Glu Pro Val Thr Val Ser 180 185 190 Trp Asn Ser Gly Ala Leu Th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Ala Val 195 200 205 Leu Gln Ser Ser Gly Leu Tyr Ser Leu Ser Ser Val Val Thr Val Pro 210 215 220 Ser Ser Asn Phe Gly Thr Gln Thr Tyr Thr Cys Asn Val Asp His Lys 225 230 235 240 Pro Ser Asn Thr Lys Val Asp Lys Thr Val Glu Arg Lys Cys Cys Val 245 250 255 Glu Cys Pro Pro Cys Pro Ala Pro Pro Val Ala Gly Pro Ser Val Phe 260 265 270 Leu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Thr Pro 275 280 285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Ser His Glu Asp Pro Glu Val 290 295 300 Gln Phe Asn Trp Tyr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Thr 305 310 315 320 Lys Pro Arg Glu Glu Gln Phe Asn Ser Thr Phe Arg Val Val Ser Val 325 330 335 Leu Thr Val Val His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Cys 340 345 350 Lys Val Ser Asn Lys Gly Leu Pro Ala Pro Ile Glu Lys Thr Ile Ser 355 360 365 Lys Thr Lys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Pro 370 375 380 Ser Arg Glu Glu Met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Val 385 390 395 400 Lys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Gly 405 410 415 Gln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Met Leu Asp Ser Asp 420 425 430 Gly Ser Phe Phe Leu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Arg Trp 435 440 445 Gln Gln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Leu His 450 455 460 Asn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Pro Gly Lys 465 470 475

Claims (143)

  1. 환자에서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a) 고 역치 (HT) 뉴런의 활성화 및 감작에 의해 매개되는 두통을 갖는 환자를 선택하는 단계로서, 상기 감작은 수막의 통증 신호에 의존하는, 상기 선택하는 단계; 및
    b) 상기 환자에서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감소시키는 단클론성 항체를 상기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만성 또는 간헐성 편두통(episodic migraine) 환자이고 상기 두통은 편두통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뇌수막염, 경막외 출혈, 경막하 출혈, 지주막 출혈, 또는 뇌종양을 갖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통은 뇌수막염, 경막외 출혈, 경막하 출혈, 지주막 출혈, 또는 뇌종양에 기인한,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상기 환자에게 정맥내 또는 피하내 투여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에게 상기 단클론성 항체의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투약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항-CGRP 길항제 항체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항-CGRP 수용체 항체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인간 또는 인간화(humanized)된, 방법.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인간화된 항-CGRP 길항제 항체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IgG1, IgG2, IgG3, 또는 IgG4 항체인,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가 두통이 없는 동안 상기 단클론성 항체가 투여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프리필드(pre-filled) 주사기, 바늘 안전 장치를 갖는 프리필드 주사기, 인젝션 펜(injection pen), 또는 자동-인젝터(auto-injector)로부터 투여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6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7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8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1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약 225mg 내지 약 900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18.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약 225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19.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월별로 또는 매 분기에 약 225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20.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약 675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투약량은 초기 투약량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초기 투약량이 상기 환자에게 투여되는 달(month)에 후속한 2개월 중 각각에 한 달에 한 번 약 225 mg의 상기 단클론성 항체의 추가적인 투약량을 상기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2.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월별로 또는 매 분기에 약 675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23.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약 900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24.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월별로 또는 매 분기에 약 900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25. 제14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적어도 약 150 mg/mL의 농도로 상기 단클론성 항체를 포함하는 제형으로서 투여되는, 방법.
  26. 제14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2 mL 미만의 체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27. 제1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정맥내 또는 피하내 투여되는, 방법.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87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88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89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8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8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86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하는, 방법.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8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80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방법.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83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8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방법.
  31.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약 100 mg, 약 300 mg, 또는 약 1000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32. 제28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정맥내 또는 피하내 투여되는, 방법.
  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9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9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9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91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92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90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하는, 방법.
  3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97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96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방법.
  3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99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98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방법.
  36. 제3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약 120 mg 또는 약 240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37. 제33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정맥내 또는 피하내 투여되는, 방법.
  3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0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10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10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100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101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102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하는, 방법.
  3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07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106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방법.
  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09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108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방법.
  41. 제38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약 70 mg 또는 약 140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42. 제38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정맥내 또는 피하내 투여되는, 방법.
  43. 환자에서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감소시키는 제1 단클론성 항체를 투여함으로써 감소가능한 통각과민증을 나타나는 환자를 선택하는 단계; 및
    b) 상기 환자에서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상기 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감소시키는 제2 단클론성 항체를 상기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통각과민증을 나타내는 상기 환자는 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감소시키는 상기 제1 단클론성 항체를 투여함으로써 역전되거나 제거되는 이질통증(allodynia)을 추가로 나타내는, 방법.
  45.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통각과민증을 나타내는 상기 환자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에게 정량적 감각 테스트(QST)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클론성 항체의 투여 이전 및 이후에 상기 환자가 두통이 없는 동안 상기 QST가 투여되는, 방법.
  47. 제43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만성 또는 간헐성 편두통 환자이고 상기 두통은 전조성 또는 무전조성 편두통인, 방법.
  48. 제43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뇌수막염, 경막외 출혈, 경막하 출혈, 지주막 출혈, 또는 뇌종양을 갖는, 방법.
  49. 제43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통은 뇌수막염, 경막외 출혈, 경막하 출혈, 지주막 출혈, 또는 뇌종양에 기인한, 방법.
  50. 제43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클론성 항체는 동일한 것인, 방법.
  51. 제43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클론성 항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환자에게 정맥내 또는 피하내 투여되는 것인, 방법.
  52. 제43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에게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의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투약량을 투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53. 제43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클론성 항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항-CGRP 길항제 항체 및 항-CGRP 수용체 항체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54. 제43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인간 또는 인간화인, 방법.
  55. 제43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클론성 항체는 인간화 항-CGRP 길항제 항체인, 방법.
  56. 제43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인간화 항-CGRP 길항제 항체인, 방법.
  57. 제43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클론성 항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IgG1, IgG2, IgG3, 및 IgG4 항체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58. 제43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상기 환자가 두통이 없는 동안 투여되는, 방법.
  59. 제43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클론성 항체는 프리필드 주사기, 바늘 안전 장치를 갖는 프리필드 주사기, 인젝션 펜, 또는 자동-인젝터로 상기 환자에게 투여되는, 방법.
  60. 제43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프리필드 주사기, 바늘 안전 장치를 갖는 프리필드 주사기, 인젝션 펜, 또는 자동-인젝터로 상기 환자에게 투여되는, 방법.
  61.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6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7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8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하는, 방법.
  62.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방법.
  63.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1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방법.
  64. 제61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클론성 항체는 약 225 mg to 약 900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65. 제61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클론성 항체는 약 225 mg, 약 675 mg, 또는 약 900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6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87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88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89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8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8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86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하는, 방법.
  67.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8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80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방법.
  68.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83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8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방법.
  69.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9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9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9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91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92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90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하는, 방법.
  70.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97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96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방법.
  71.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99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98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방법.
  72.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0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10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10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100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101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102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하는, 방법.
  73.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07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106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방법.
  7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09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108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방법.
  7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6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7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8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하는, 방법.
  7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방법.
  77.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1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방법.
  78. 제75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약 225 내지 약 900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79. 제75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약 225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80. 제75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월별로 또는 매 분기에 약 225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81. 제75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약 675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투약량은 초기 투약량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초기 투약량이 상기 환자에게 투여되는 달(month)에 후속한 2개월 중 각각에 한 달에 한 번 약 225 mg의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의 추가적인 투약량을 상기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83. 제75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월별로 또는 매 분기에 약 675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84. 제75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약 900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85. 제75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월별로 또는 매 분기에 약 900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86. 제75항 내지 제8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적어도 약 150 mg/mL의 농도로 상기 항체를 포함하는 제형으로서 투여되는, 방법.
  87. 제75항 내지 제8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2 mL 미만의 체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88. 제75항 내지 제8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정맥내 또는 피하내 투여되는, 방법.
  89.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87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88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89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8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8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86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하는, 방법.
  90.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8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상기 서열번호: 80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방법.
  91.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83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8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방법.
  92. 제89항 내지 제9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약 100 mg, 약 300 mg, 또는 약 1000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93. 제89항 내지 제9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정맥내 또는 피하내 투여되는, 방법.
  9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9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9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9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91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92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90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하는, 방법.
  9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97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96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방법.
  9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99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98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방법.
  97. 제94항 내지 제9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약 120 mg 또는 약 240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98. 제94항 내지 제9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정맥내 또는 피하내 투여되는, 방법.
  99.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0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10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10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100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101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102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하는, 방법.
  100.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07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106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방법.
  101.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09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108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방법.
  102. 제99항 내지 제10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약 70 mg 또는 약 140 mg의 투약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103. 제99항 내지 제10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클론성 항체는 정맥내 또는 피하내 투여되는, 방법.
  104. 환자에서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a) 머리의 일부에서 주로 경험되는 두통을 갖는 환자를 선택하는 단계; 및
    b) 상기 환자의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감소시키는 단클론성 항체를 상기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5. 제104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의 일부는 한쪽 안와주위, 한쪽 관자놀이 또는 한쪽 눈인, 방법.
  106. 고 역치 (HT) 뉴런의 활성화 및 감작에 의해 매개되는 두통을 갖는 환자에서 두통 빈도 감소를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해, 상기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감소시키는, 단클론성 항체의 용도.
  107. 상기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감소시키는 단클론성 항체를 투여함으로써 감소가능한 통각과민증을 나타나는 환자에서 두통 빈도 감소를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해, 상기 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감소시키는, 단클론성 항체의 용도.
  108. 머리의 일부에서 주로 경험되는 두통을 갖는 환자에서 두통 빈도 감소를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해, 상기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감소시키는 단클론성 항체의 용도.
  109. 제106항 내지 제10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6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7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8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하는, 용도.
  110. 제106항 내지 제10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용도.
  111. 제106항 내지 제10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1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용도.
  112. 제106항 내지 제10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87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88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89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8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8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86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하는, 용도.
  113. 제106항 내지 제10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8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80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용도.
  114. 제106항 내지 제10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83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8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용도.
  115. 제106항 내지 제10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9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9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9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91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92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90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하는, 용도.
  116. 제106항 내지 제10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97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96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용도.
  117. 제106항 내지 제10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99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98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용도.
  118. 제106항 내지 제10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0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10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10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100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101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102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하는, 용도.
  119. 제106항 내지 제10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07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106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용도.
  120. 제106항 내지 제10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클론성 항체는 서열번호: 109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108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용도.
  121. 환자에서 두통 빈도 감소에 사용하기 위한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감소시키는 단클론성 항체로서, 상기 환자는 고 역치 (HT) 뉴런의 활성화 및 감작에 의해 매개되는 두통을 갖는, 항체.
  122.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고 역치 (HT) 뉴런의 활성화 및 감작에 의해 매개되는 두통을 갖는 것으로 결정되는, 항체.
  123. 환자에서 두통 빈도 감소에 사용하기 위한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감소시키는 단클론성 항체로서, 상기 환자는 상기 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감소시키는 단클론성 항체를 투여함으로써 감소가능한 통각과민증을 나타나는, 항체.
  124. 제123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통각과민증을 나타나는 것으로 결정되는, 항체.
  125. 제124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상기 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감소시키는 단클론성 항체를 투여함으로써 감소가능한 통각과민증을 갖는 것으로 결정되는, 항체.
  126. 환자에서 두통 빈도 감소에 사용하기 위한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감소시키는 단클론성 항체로서, 상기 환자는 두통을 주로 머리의 일부에서 경험하는, 단클론성 항체.
  127. 제126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상기 머리 일부에서 두통을 주로 경험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항체.
  128. 제121항 내지 제1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6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7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8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하는, 항체.
  129. 제121항 내지 제1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130. 제121항 내지 제1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1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1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
  131. 제121항 내지 제1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87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88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89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8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8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86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하는, 항체.
  132. 제121항 내지 제1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8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80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133. 제121항 내지 제1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83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8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
  134. 제121항 내지 제1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9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9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9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91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92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90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하는, 항체.
  135. 제121항 내지 제1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97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96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136. 제121항 내지 제1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99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98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
  137. 제121항 내지 제1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103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1; 서열번호: 104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2; 서열번호: 105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H3; 서열번호: 100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1; 서열번호: 101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2; 및 서열번호: 102에 명시된 바와 같은 CDR L3을 포함하는, 항체.
  138. 제121항 내지 제1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107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106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139. 제121항 내지 제1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109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108에 명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
  140. 키트로서,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감소시키는 단클론성 항체의투약량을 포함하는 프리필드 주사기, 바늘 안전 장치를 갖는 프리필드 주사기, 인젝션 펜, 또는 자동-인젝터; 및
    환자의 두통이 고 역치 (HT) 뉴런의 활성화 및 감작에 의해 매개되는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지침을 포함하는, 키트.
  141. 키트로서,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감소시키는 단클론성 항체의투약량을 포함하는 프리필드 주사기, 바늘 안전 장치를 갖는 프리필드 주사기, 인젝션 펜, 또는 자동-인젝터; 및
    환자가 상기 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감소시키는 단클론성 항체를 투여함으로써 감소가능한 통각과민증을 나타나는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지침을 포함하는 키트.
  142. 키트로서,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감소시키는 단클론성 항체의투약량을 포함하는 프리필드 주사기, 바늘 안전 장치를 갖는 프리필드 주사기, 인젝션 펜, 또는 자동-인젝터; 및
    환자의 두통이 머리 일부에서 주로 경험되는 것인지를 결정하는 지침을 포함하는 키트.
  143. 환자에서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a)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감소시키는 제1 단클론성 항체를 투여함으로써 이질통 및 통각과민증의 제거를 나타내는 환자를 선택하는 단계; 및
    b) 상기 환자에서 두통 빈도를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상기 CGRP 경로를 차단, 억제, 억압 또는 감소시키는 제2 단클론성 항체를 상기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97028420A 2017-03-02 2018-03-01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티드에 대해 지시되는 항체에 반응하는 두통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 KR201901331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66158P 2017-03-02 2017-03-02
US62/466,158 2017-03-02
US201762490953P 2017-04-27 2017-04-27
US62/490,953 2017-04-27
US201762514346P 2017-06-02 2017-06-02
US62/514,346 2017-06-02
US201762516406P 2017-06-07 2017-06-07
US62/516,406 2017-06-07
PCT/US2018/020536 WO2018160896A1 (en) 2017-03-02 2018-03-01 Selecting headache patients responsive to antibodies directed against calcitonin gene related pepti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174A true KR20190133174A (ko) 2019-12-02

Family

ID=6162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420A KR20190133174A (ko) 2017-03-02 2018-03-01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티드에 대해 지시되는 항체에 반응하는 두통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4) US10766952B2 (ko)
EP (1) EP3589317A1 (ko)
JP (1) JP7195262B2 (ko)
KR (1) KR20190133174A (ko)
CN (1) CN110621343A (ko)
AU (1) AU2018226811A1 (ko)
CA (1) CA3055195A1 (ko)
MX (1) MX2019010397A (ko)
RU (1) RU2770066C2 (ko)
WO (2) WO20181608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A201891284A1 (ru) * 2011-05-20 2018-11-30 Олдербайо Холдингз Ллк Композиции антител против cgrp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CA2937315A1 (en) 2014-02-05 2015-08-13 Merck Sharp & Dohme Corp. Tablet formulation for cgrp-active compounds
KR20190133174A (ko) 2017-03-02 2019-12-02 베쓰 이스라엘 디코니스 메디칼 센터 인크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티드에 대해 지시되는 항체에 반응하는 두통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
TWI754772B (zh) * 2017-09-06 2022-02-11 美商美國禮來大藥廠 用於治療偏頭痛之拉米迪坦(lasmiditan)與cgrp拮抗劑之組合療法
US10899826B1 (en) 2018-09-13 2021-01-26 Teva Pharmaceuticals International Gmbh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an anti-CGRP antagonist antibody
CN116328103A (zh) 2018-09-20 2023-06-27 梯瓦制药国际有限责任公司 自动注射器和用于老化的预填充针筒的注射弹簧
WO2021005497A1 (en) * 2019-07-05 2021-01-14 Allergan Pharmaceuticals International Limited Cgrp antagonists and clostridial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cortical spreading depression associated disorders
AU2020355233A1 (en) * 2019-09-25 2022-05-19 Allergan Pharmaceuticals International Limited Combination therapy with CGRP antagonists
US11717515B2 (en) 2020-12-22 2023-08-08 Allergan Pharmaceuticals International Limited Treatment of migrain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6567A (en) 1983-04-08 1989-03-28 Genentech, Inc. Recombinant immunoglobin preparations
GB8823869D0 (en) 1988-10-12 1988-11-16 Medical Res Council Production of antibodies
US5625126A (en) 1990-08-29 1997-04-29 Genpharm International, Inc. Transgenic non-human animals for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US5661016A (en) 1990-08-29 1997-08-26 Genpharm International Inc. Transgenic non-human animals capable of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of various isotypes
DK0546073T3 (da) 1990-08-29 1998-02-02 Genpharm Int Frembringelse og anvendelse af transgene, ikke-humane dyr, der er i stand til at danne heterologe antistoffer
US5545806A (en) 1990-08-29 1996-08-13 Genpharm International, Inc. Ransgenic non-human animals for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US5633425A (en) 1990-08-29 1997-05-27 Genpharm International, Inc. Transgenic non-human animals capable of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ATE164395T1 (de) 1990-12-03 1998-04-15 Genentech Inc Verfahren zur anreicherung von proteinvarianten mit geänderten bindungseigenschaften
US5981568A (en) 1993-01-28 1999-11-09 Neorx Corporation Therapeutic inhibitor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GB9809951D0 (en) 1998-05-08 1998-07-08 Univ Cambridge Tech Binding molecules
EP1158997A2 (en) 1999-03-09 2001-12-05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Method of promoting myocyte proliferation and myocardial tissue repair
BRPI0618705B8 (pt) 2005-11-14 2021-05-25 Labrys Biologics Inc anticorpos antagonistas humanizados direcionados contra peptídeo relacionado ao gene da calcitonina,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uso dos mesmos
EP2265287B1 (en) * 2008-03-04 2018-09-05 Teva Pharmaceuticals International GmbH Methods of treating chronic pain
JO3382B1 (ar) * 2008-12-23 2019-03-13 Amgen Inc أجسام مضادة ترتبط مع مستقبل cgrp بشري
JO3330B1 (ar) * 2010-06-10 2019-03-13 Lilly Co Eli الأجسام المضادة cgrp
CN106279401A (zh) * 2011-03-11 2017-01-04 贝丝以色列女执事医疗中心 Cd40片段及其用途
CN108014334B (zh) 2011-05-20 2021-11-30 H.伦德贝克公司 抗cgrp抗体和抗体片段用于在有需要的受试者中预防或抑制畏光或厌光的用途
EA201891284A1 (ru) * 2011-05-20 2018-11-30 Олдербайо Холдингз Ллк Композиции антител против cgrp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JP6568099B2 (ja) * 2014-03-21 2019-08-28 テバ・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ターナショナル・ゲーエムベーハーTeva Pharmaceuticals International GmbH カルシトニン遺伝子関連ペプチドに対するアンタゴニスト抗体及びその使用方法
EP2987451A1 (en) * 2014-08-18 2016-02-24 Tools 4 Patient sa Method and tools for predicting a pain response in a subject
CN107206057A (zh) * 2014-11-12 2017-09-26 纽瑞莱特Hd有限公司 用hcg处理和治疗慢性疼痛的方法
JOP20200116A1 (ar) 2015-04-24 2017-06-16 Amgen Inc طرق لعلاج أو الوقاية من الصداع النصفي
US10287337B2 (en) * 2015-06-01 2019-05-14 Afasci,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acute and chronic pain by local antagonism of CGRP receptors, or combination with sodium channel inhibition or with anti-inflammatory agents
AR104847A1 (es) 2015-06-17 2017-08-16 Lilly Co Eli Formulación de anticuerpo anti-cgrp
KR20190133174A (ko) 2017-03-02 2019-12-02 베쓰 이스라엘 디코니스 메디칼 센터 인크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티드에 대해 지시되는 항체에 반응하는 두통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
US20190135927A1 (en) * 2017-09-29 2019-05-09 Bhl Patent Holdings, Llc Migraine, headache, chronic pain treatment, and prophylaxis options
BR102020007149A8 (pt) * 2020-04-06 2023-09-26 H Lundbeck As Usos de um anticorpo anti-cgrp ou anti-cgrp-r ou um fragmento dos mesmos para melhorar o sintoma mais incômodo (mbs) e a impressão global de mudança (pgic) associados com enxaquec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9010397A (es) 2020-08-20
WO2018160896A8 (en) 2019-09-26
US20190085061A1 (en) 2019-03-21
WO2018160897A1 (en) 2018-09-07
WO2018160896A1 (en) 2018-09-07
RU2019130867A3 (ko) 2021-07-02
US20200385449A1 (en) 2020-12-10
EP3589317A1 (en) 2020-01-08
RU2019130867A (ru) 2021-04-02
JP2020510667A (ja) 2020-04-09
RU2770066C2 (ru) 2022-04-14
CA3055195A1 (en) 2018-09-07
JP7195262B2 (ja) 2022-12-23
CN110621343A (zh) 2019-12-27
US10766952B2 (en) 2020-09-08
US20230303674A1 (en) 2023-09-28
US20190071490A1 (en) 2019-03-07
US11718664B2 (en) 2023-08-08
AU2018226811A1 (en) 2019-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8664B2 (en) Methods for reducing migraine frequency in a subject in need thereof
ES2371748T3 (es) Anticuerpos anti-ngf para el tratamiento de diversos trastornos.
ES2433251T3 (es) Anticuerpos antagonistas dirigidos contra un péptido relacionado con el gen de la calcitonina y procedimientos que utilizan los mismos
BR112019025188A2 (pt) Anticorpos anti-pdl1 ativáveis e métodos de uso dos mesmos
ES2846878T3 (es) Prevenir, tratar y reducir el dolor de cabeza post-traumático (persistente)
CN115814077A (zh) 抗-原肌生长抑制素/潜伏肌生长抑制素抗体及其使用方法
US20060147450A1 (en) Methods for treating cardiac arrhythmia and preventing death due to cardiac arrhythmia using ngf antagonists
KR20190067181A (ko) 군발성 두통의 치료
CN113244387A (zh) 针对降钙素基因相关肽的拮抗剂抗体及其使用方法
JP2008539266A (ja) 下位運動ニューロン疾患の治療方法およびそれを含む組成物
NO20170737A1 (no) Anvendelse av anti-CD3 antistoff for fremstilling av et medikament mot aterosklerose, samt et anti-CD3 antistoff
CN107614530A (zh) 用于多发性骨髓瘤(mm)的治疗
JP2003528890A5 (ko)
JP6560808B2 (ja) 抗(+)メタンフェタミンモノクローナル抗体
CN109414502A (zh) 治疗炎症性肠病的方法
KR20230157986A (ko) 편투통 발생의 치료 및/또는 저감
CN117999078A (zh) 偏头痛的发生的治疗和/或降低
CN117120092A (zh) 用于治疗儿科重症肌无力的组合物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