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2481A -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과 점검기기 - Google Patents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과 점검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2481A
KR20190132481A KR1020197032157A KR20197032157A KR20190132481A KR 20190132481 A KR20190132481 A KR 20190132481A KR 1020197032157 A KR1020197032157 A KR 1020197032157A KR 20197032157 A KR20197032157 A KR 20197032157A KR 20190132481 A KR20190132481 A KR 20190132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image
data processing
camera modu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0098B1 (ko
Inventor
밍주 왕
빈 왕
최엔 고우
엔더 루
리펑 요우
Original Assignee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132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 H04L43/045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for graphical visualisation of monitoring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3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과 점검기기를 제공한다. 이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는 점검패널에 포함된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점검하여 얻어진 다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것인 바, 매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을 포함하는 이미지 수집 유닛; 다중채널 동영상 스트리밍 전송에 의하여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기 적합한 표시 데이터로 전환하는 것으로, 여기서, 매 하나의 동영상 스트리밍 채널은 하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이 수집한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이미지 전환 유닛; 과 표시화면에 표시 데이터에 기반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표시화면에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을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과 점검기기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의 일괄 점검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 및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과 점검기기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는 카메라 모듈의 일괄 점검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 및 표시하기 위한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과 점검기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기기의 발전에 따라, 더욱 많은 스마트 기기는 이미지 수집 기능과 갈라놓을 수 없다. 또한, 고성능의 촬영, 사진기능은 더욱 더 시장에 의해 추구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휴대식 컴퓨터 및 스마트 착용기기 등등은 모두 더욱 높은 성능을 갖는 촬영 기능 방향으로 발전한다. 성능지수 역시 시장변화에 따라, 부단히 업그레이드되어야 한다. 이러한 소형 촬영 적용장소는 카메라 모듈의 사용과 갈라놓을 수 없다.
현재, 카메라 모듈은 생산과정에서 아직도 많은 불안정요소가 존재하여, 제조완성된 카메라 모듈은 사용기기에 직접 장착될 수 없다. 이로써 매 하나의 카메라 모듈은 모두 상이한 성능 지수의 점검을 진행해야 하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는 카메라 모듈은 사용될 수 없다. 생산공장에 있어서, 제품의 양품률은 중요하지 않고, 출하제품의 양품률이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생산에서, 기본적으로 모든 제품에 대하여 전반적인 점검을 진행한다. 이로써 생산원가는 틀림없이 증가되고, 또한 생산효율이 떨어진다.
기존의 카메라 모듈 생산과정에서, 매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여 각종 점검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다시 말하자면, 큰 개수의 제품에 있어서, 점검은 여전히 별도로 진행된다. 그러나 현재 생산제조에서 대량생산추세로 나아가기에, 기존의 카메라 모듈 점검은 대량 제조되는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다. 예를 들어, 도 1은 기존의 카메라 모듈에 장착되는 패널의 외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e)에 다수의 동일한 단일 인쇄회로판(b)을 조립하고, 매 하나의 인쇄회로판(b)에 하나의 렌즈를 장착하여, 이렇게, 카메라 모듈의 일괄 장착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점검에서 카메라 모듈의 각항 성능에 대한 일괄 점검을 어떻게 진행할 지는 현재 부딪히는 문제이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일괄적인 점과 관련되는, 카메라 모듈의 일괄적인 점검 데이터에 대한 수집과 후속처리, 예를 들어 표시를 어떻게 진행할 지 역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과 점검기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는 카메라 모듈의 일괄 점검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 및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과 점검기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에 의하여 점검패널 중의 다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여, 다수의 카메라 모듈의 일괄 점검에 의해 발생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 및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과 점검기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다중채널 동영상 스트리밍 전송에 의해 다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여, 동일한 표시화면에 화면 분할 방식으로 다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과 점검기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카메라 모듈의 FPGA초기화 일련번호와 칩 일련번호에 의하여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의 64비트 ID비밀키를 생성하여,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을 바인딩할 수 있어, 동일한 표시화면에 대응되는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의 위치 색인의 유일성을 구현하여, 매 하나의 동영상 스트리밍 채널의 위치 유일성을 확보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과 점검기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모드 변환 유닛에 의하여 작동모드를 전환하여, 다중 모드 클라이언트 설계를 구현할 수 있어, 생산효율을 향상시키고 CPU 사용율을 줄인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과 점검기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모드 변환 유닛에 의하여 작동모드를 전환하여, 표시화면에 다른 내용이 표시되도록 하여, 생산라인 생산과 공정사 디버그의 이중모드가 적용될 수 있되, 여기서 생산라인 생산모드는 수집모듈만 제공하여, 표시 스레드, 처리 스레드를 취소하여, CPU로드율이 저하되고, 공정사 모드에서 수집, 처리, 표시 스레드를 시동하여, 위치 대립 배너, 문제 분석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과 점검기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에러 검출 유닛에 의하여 클라이언트 작동상황을 검출하여, 보호 프로세스와 서보 기술을 사용하여 점검 프로세스가 안정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는 점검패널에 포함된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점검하여 얻어진 다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것인 바,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는, 매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을 포함하는 이미지 수집 유닛; 다중채널 동영상 스트리밍 전송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으로부터 유래되는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기 적합한 표시 데이터로 전환하는 것으로, 여기서, 매 하나의 동영상 스트리밍 채널은 하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이 수집한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이미지 전환 유닛; 과, 표시화면에 상기 표시 데이터에 기반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표시화면에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을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 중의 매 하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은 카메라 모듈의 제 1 표지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 2 표지정보를 구비하여,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다수의 카메라 모듈에 대응되도록 한다.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지정보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FPGA초기화 일련번호와 칩 일련번호이고, 상기 제 2 표지정보는 64비트 ID비밀키이다.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예정된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이미지 전환 유닛과 상기 이미지 표시 유닛을 선택적으로 온/오프하기 위한 모드 변환 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전환 유닛이 오프될 경우, 상기 이미지 표시 유닛은 내용이 없는 상기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전환 유닛이 온될 경우, 상기 이미지 표시 유닛은 상기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에 이와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이 점검대상을 이미징한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 이미지 전환 유닛과 이미지 표시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에 검출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검출신호에 응답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에러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에러 검출 유닛은 예정된 시간 내에 특정된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에 대응되는 응답신호를 수신받지 못할 경우, 상기 특정된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과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의 처리실패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는 점검패널에 포함되는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점검하여 얻어진 다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것인 바,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은, 상기 다수의 카메라 모듈 중의 매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되, 여기서,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을 사용하여 상기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다중채널 동영상 스트리밍 전송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으로부터 유래되는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기 적합한 표시 데이터로 전환하되, 여기서, 매 하나의 동영상 스트리밍 채널은 하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이 수집한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단계; 와, 표시화면에 상기 표시 데이터에 기반한 이미지를 표시하되, 여기서, 상기 표시화면에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된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 중의 매 하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은 카메라 모듈의 제 1 표지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 2 표지정보를 구비하여,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다수의 카메라 모듈에 대응되도록 한다.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지정보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FPGA초기화 일련번호와 칩 일련번호이고, 상기 제 2 표지정보는 64비트 ID비밀키이다.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에 있어서, 예정된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수신 및 전환하는 단계 및 표시 데이터에 기반한 이미지의 표시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에 있어서, 점검 이미지 데이터의 수신 및 전환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을 경우, 내용이 없는 상기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에 있어서, 점검 이미지 데이터의 수신 및 전환의 단계를 수행할 경우, 상기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에 이와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이 점검 대상을 이미징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 이미지 전환 유닛과 이미지 표시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에 검출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검출신호에 응답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와 예정된 시간 내에 특정된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에 대응되는 응답신호를 수신받지 못할 경우, 상기 특정된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과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의 처리실패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점검기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점검기기는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는 점검패널에 포함되는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점검하여 얻어진 다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것인 바, 매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을 포함하는 이미지 수집 유닛; 다중채널 동영상 스트리밍 전송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으로부터 유래되는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기 적합한 표시 데이터로 전환하는 것으로, 여기서, 매 하나의 동영상 스트리밍 채널은 하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이 수집한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이미지 전환 유닛; 과 표시화면에 상기 표시 데이터에 기반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표시화면에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을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점검기기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 중의 매 하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은 카메라 모듈의 제 1 표지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 2 표지정보를 구비하여,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다수의 카메라 모듈에 대응되도록 한다.
상기 점검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지정보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FPGA초기화 일련번호와 칩 일련번호이고, 상기 제 2 표지정보는 64비트 ID비밀키이다.
상기 점검기기에 있어서,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는 예정된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이미지 전환 유닛과 상기 이미지 표시 유닛을 선택적으로 온/오프하기 위한 모드 변환 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점검기기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전환 유닛이 오프될 경우, 상기 이미지 표시 유닛은 내용이 없는 상기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점검기기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전환 유닛이 온될 경우, 상기 이미지 표시 유닛은 상기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에 이와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이 점검대상을 이미징한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는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 이미지 전환 유닛과 이미지 표시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에 검출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검출신호에 응답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에러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에러 검출 유닛은 예정된 시간 내에 특정된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에 대응되는 응답신호를 수신받지 못할 경우, 상기 특정된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과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의 처리실패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과 점검기기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의 일괄 점검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 및 표시할 수 있어, 인력투하를 줄이고, 기기 공간을 줄이며, 생산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1은 기존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패널을 도시하는 외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패널을 도시하는 전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패널을 도시하는 분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패널의 지지판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모듈이 지지판에 안착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모듈이 지지판에 안착되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모듈의 전체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모듈이 카메라 모듈에 연결되는 전체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모듈이 카메라 모듈에 연결되는 또 다른 전체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의 표시화면의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가 처리되는 모니터링 프로세스의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기기가 점검패널에 안착되는 카메라 모듈을 점검하는 모식도이다.
아래의 설명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게시하기 위한 것이다. 아래의 설명 중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일 뿐,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기타 분명한 변형을 생각해낼 수 있을 것이다. 아래의 설명에 한정된 본 발명의 기본 원리는 기타 실시방안, 변형방안, 개선방안, 균등한 방안 및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기타 기술적 방안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명세서와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와 단어는 서면상의 뜻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자만이 사용하여 본 발명을 명확하고 일치하게 이해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단지 설명을 위한 목적일 뿐, 청구범위와 이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되는 본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목적이 아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하기의 기술된 내용을 제공하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양한 실시예의 목적을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형식은 복수형식도 포함되는 바, 상하문이 명백히 제시되는 경우가 아니면 된다. 이밖에, 용어 ‘포함하다’ 및/또는 ‘구비하다’는 이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상기의 특징, 개수, 단계, 조작, 어셈블리, 소자 또는 이들의 조합적인 존재를 지정하고, 하나 또는 다수의 기타 특징, 개수, 단계, 조작, 어셈블리, 소자 또는 이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이해해야 하는 것은, 용어 "종방향", "횡방향",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최상부", "밑", "내", "외" 등 표시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한 방위 또는 위치 관계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편리하게 설명하고 설명을 간소화시키기 위할 뿐이고, 제시한 장치나 부재가 특정한 방위를 가져야 하고 특정한 방위로 구성함과 조작한 것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전문 용어는 본 발명의 한정으로 이해하면 아니된다.
전문 용어 "하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또는 복수 개" 로 이해해야 하고, 즉 일 실시예에 하나의 부재의 수량은 한 개로 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 이 부재의 수량은 복수 개로 할 수도 있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전문 용어 "하나"는 수량의 한정으로 이해하면 아니된다.
기술과 과학용어가 포함되는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용어와 같은 뜻을 가져, 이 용어를 달리 한정하지 않으면 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적으로 한정되는 용어는 선행기술 중의 용어의 뜻과 일치한 뜻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 모듈의 일괄 점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점검패널을 제공하여,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카메라 모듈을 점검하는 카메라 모듈 점검패널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패널을 표시하는 전체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패널은 판체(10)와 다수의 매체모듈(20)을 포함하되, 여기서 매체모듈(20)은 카메라 모듈(30)과 연결되고, 카메라 모듈(30)은 조립이 완성된 점검할 완제품이고, 카메라 모듈(30)은 매체모듈(20)에 연결되어 카메라 모듈(30)에 대한 각종 성능 점검을 진행하도록 한다. 카메라 모듈(30)은 연결가능하고 탈착가능하게 매체모듈(20)에 고정되고, 매체모듈(20)은 카메라 모듈(30)이 모든 점검 조작을 진행하도록 이끌 수 있다. 언급할만 한 것은, 매체모듈(20)과 카메라 모듈(30)의 연결은 일대일이다. 다시 말하자면, 카메라 모듈(30)은 매체모듈(20)에 의하여 전반적인 점검 조작을 완성할 수 있어, 매체모듈(20)에 대해 반복적인 접입과 제거를 진행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점검 조작을 시작하기 전에, 점검할 카메라 모듈(30)은 매체모듈(20)에 연결 및 고정된다. 매체모듈(20)은 카메라 모듈(30)이 전반적인 점검을 진행하도록 이끌어, 카메라 모듈(30)의 점검통과여부를 막론하고, 매체모듈(20)은 카메라 모듈(30)과 항상 연결된다. 다시 말하자면, 매체모듈(20)은 점검이 통과되지 않은 카메라 모듈(30)에 대하여, 매체모듈(20)은 카메라 모듈(30)이 점검이 통과되지 않은 상응한 조작을 하도록 보조할 수도 있다. 점검이 통과된 카메라 모듈(30)에 대하여, 매체모듈(20)은 카메라 모듈(30)과 함께 기타 점검을 완성할 수도 있다. 매체모듈(20)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30)은 모든 점검, 운용과정을 포함하여 반복적인 접입과 제거를 모두 피할 수 있어, 카메라 모듈(30)에 대한 점검의 불리한 영향을 줄이고, 매 하나의 카메라 모듈(30) 점검에 수요되는 시간을 줄여, 점검의 전반적인 효율을 향상시킨다.
이밖에, 매체모듈(20)은 동시에 구조와 회로상에서 카메라 모듈(30)을 안정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매체모듈(20)은 카메라 모듈(30)이 점검수요에 따른 회로를 확장하여, 간접적으로 카메라 모듈(30)이 각종 성능 점검을 진행하도록 한다. 또한, 카메라 모듈(30)은 매체모듈(20)을 일정하게 보호할 수 있어, 카메라 모듈(30)이 매체모듈(20)에 의해 모든 점검 조작을 완성하도록 한다. 물론, 카메라 모듈(30)은 수요시 매체모듈(20)과 이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점검이 통과되지 않거나 모든 점검이 완성된 후, 카메라 모듈(30)은 점검 완료되어 매체모듈(20)로부터 이탈가능하여, 카메라 모듈(30)이 점검을 완성하도록 한다.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은, 매체모듈(20)은 상이한 종류의 카메라 모듈(30)에 적합할 수 있다. 또한, 매체모듈(20)은 원가가 낮아, 복잡한 공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렇게, 매체모듈(20)은 반복적으로 카메라 모듈(30)과 함께 점검하여, 점검 원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매체모듈(20)은 상이한 점검 항목에 대한 매칭도가 매우 높아, 매체모듈(20)은 상이한 점검 항목에 참여할 수 있다. 동일한 점검할 카메라 모듈(30)에 대하여, 이와 연결되는 매체모듈(20)을 교환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하자면, 매체모듈(20)은 상이한 유형의 카메라 모듈(30)이 점검을 진행하도록 이끌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카메라 모듈(30)의 점검 과정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30)과 매체모듈(20)은 서로 대응되는 것으로, 교환할 필요가 없다. 상이한 유형의 카메라 모듈(30)에 있어서, 매체모듈(20)은 모두 적합할 수 있고, 매체모듈(20)은 상이한 카메라 모듈(30)이 점검을 진행하도록 이끌 수 있다. 상이한 유형의 점검 항목에 대하여, 매체모듈(20)은 점검기기에 대한 매우 높은 적합성을 구비하여, 카메라 모듈(30)이 효과적으로 점검 조작을 완성하도록 확보할 수 있다.
이밖에,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제공되는 판체(10)는 다수의 매체모듈(20)에 안착되어, 점검 중에서 다수의 카메라 모듈(30)에 대해 점검을 진행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판체(10)에는 m×n개의 매체모듈(20)이 안착될 수 있어, 어레이 형식으로 배열되되, 여기서 m, n는 모두 2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판체(10)는 어레이 형식을 이루는 매체모듈(20)을 고정하여, 점검과정에서 매체모듈(20)이 위치하는 환경이 일치하도록 확보한다. 다시 말하자면, 점검판에 안착되는 모든 매체모듈(20)의 점검조건은 일치하다. 이렇게, 매체모듈(20)에 의해 이끌리는 카메라 모듈(30)의 점검 환경이 안정되도록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점검판(10)은 네개의 매체모듈(20)을 안착할 수 있고, 매 하나의 매체모듈(20)은 상응하게 카메라 모듈(30)과 연결될 수 있다.
점검 과정에서, 매체모듈(20)은 판체(10)에서 이탈될 수 있고, 판체(10)에 다시 안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전반적인 점검 과정에서, 매체모듈(20)은 판체(10)에 대하여 탈착가능하다. 상이한 수요에 따라, 매체모듈(20)은 카메라 모듈(10)이 제거가능하게 판체(10)에 안착되도록 이끌어 준다. 이렇게 점검 과정에서, 카메라 모듈(30)을 제거할 필요가 없이, 매체모듈(20)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30)을 조작한다. 카메라 모듈(30)을 어느정도 보호한다. 또한 매체모듈(20)은 바람직하게 견고한 재질로 제조되어, 기계적으로 매체모듈(20)을 제어하기 적합하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성능 점검을 거친 후, 네개의 매체모듈(20) 중의 하나에 이끌리는 카메라 모듈(30)은 점검을 통과할 수 없어, 이와 대응되는 매체모듈(20)을 제거함으로써, 통과되지 못한 카메라 모듈(30)을 제거한다. 상응하게, 점검이 통과되어야 하는 카메라 모듈(30)이 판체(10)에 안착될 때에도, 매체모듈(20)을 판체(10)에 안착시켜 이에 의해 이끌리는 카메라 모듈(30)을 판체(10)에 안착시킨다. 물론, 판체(10) 중의 어느 하나의 매체모듈(20)을 제거하고 안착하는 것 이외에, 판체(10) 역시 어느 하나의 매체모듈(20)에 대하여 표기, 위치결정 등등 조작을 진행한다. 따라서, 매체모듈(20)은 서로 위치하는 점검 환경이 일치하여, 어느 하나의 매체모듈(20)에 별도의 조작을 진행할 수도 있다. 어레이 배열 형식을 이용하여, 판체(10) 중의 매체모듈(20)은 간편하게 찾고 위치결정될 수 있다.
언급할만 한 것은, 매체모듈(20)은 점검 과정에서 카메라 모듈(30)과 일일이 대응된다. 매체모듈(20)은 판체(10)중의 위치가 다른 것 이외에, 판체(10)는 매 하나의 매체모듈(20)이 동일한 높이 또는 동일한 시간차원에 놓이도록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매체모듈(20)과 판체(10)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30)은 일괄로 조작될 수 있다. 특히는, 일괄적인 카메라 모듈(30)에 대한 점검 조작에 있어서, 매체모듈(20)과 판체(10)는 매 하나의 카메라 모듈(30) 점검의 일치성,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매체모듈(20)의 직접적인 조작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30)에 불리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판체(10)의 상응한 매체모듈(20)의 간접적인 조작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30)은 더욱 효과적으로 점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계화 또는 자동화된 점검선에 있어서, 매체모듈(20)과 판체(10)는 모두 생산력을 해방하여, 생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특히는, 점검패널의 판체(10)와, 판체(10)와 매체모듈(20) 사이, 매체모듈(20)과 카메라 모듈(30) 사이에는 모두 대응되는 위치결정 구조가 있어 점검 운용 과정에서 점검판(10), 매체모듈(20) 및 카메라 모듈(30)을 찾을 수 있도록 확보한다. 바람직하게는, 매 하나의 카메라 모듈(30) 높이가 매체모듈(20)과 일치할 수 있어, 매 하나의 매체모듈(20)과 판체(10)는 높이가 일치하게 유지되어, 매 하나의 카메라 모듈(30)의 점검중에서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매 하나의 카메라 모듈(30)은 매체모듈(20)에 대하여 위치결정하고, 매체모듈(20)은 판체(10)에 대하여 위치결정함으로써, 카메라 모듈(30)이 점검중에서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패널을 나타내는 분해 모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패널의 판체(10)는 구체적으로 지지판(11)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11)은 매체모듈(20)이 안착되어, 매체모듈(20)이 일정한 배열에 따라 판체(10)에 고정될 수 있어 점검판(10)에 의하여 매체모듈(20)을 조작한다. 판체(10)의 지지판(11)은 탈착가능하게 매체모듈(20)에 연결되어, 판체(10)에 위치하는 매체모듈(20)이 일치한 점검 환경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매 하나의 매체모듈(20)은 탈착가능하게 지지판(11)에 연결되어, 매체모듈(20)이 수요에 따라 판체(10)에 안착되거나 이탈되도록 한다. 매체모듈(20)은 바람직하게는 지지판(11)에 걸림된다. 매체모듈(20)은 바람직하게는 지지판(11)에 끼움방식으로 점착된다. 매체모듈(20)은 바람직하게는 지지판(11)에 자기 흡인되기 적합하다. 매체모듈(20)은 바람직하게는 기둥구멍에 의하여 지지판(11)에 연결되기 적합하다. 판체(10)는 커버판(12) 및 걸림부재(13)를 더 포함하되, 여기서 커버판(12)은 탈착가능하게 지지판(11)에 커버되어 지지판(11)에 안착되는 매체모듈(20)을 보호하도록 하되, 여기서 걸림부재(13)는 지지판(11)과 커버판(12)에 설치되어 커버판(12)을 지지판(11)에 탈착가능하게 연결한다. 자명한 것은, 매체모듈(20)이 지지판(11)에 안착된 후, 걸림부재(13)는 커버판(12)을 지지판(11)에 고정하는데, 이로써 매체모듈(20)은 판체(10)에서 이탈될 수 없다. 이와 상응하게, 매체모듈(20)을 판체(10)에서 이탈시켜야 할 때, 걸림부재(13)는 개방되어 커버판(12)이 지지판(11)과 이탈될 수 있도록 하여, 매체모듈(20)을 인출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분야의 당업자들이 이해가능 한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체(10)는 상기 커버판(12)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매체모듈(20)이 지지판(11)에 직접 고정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체(10)는 단일한 지지판(11)만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판체(10)에 매체모듈(20)이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실시예로 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판체(10)는 매체모듈(20)과 결합되는 점검판과 별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점검판과 카메라 모듈(30)을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매체모듈(20)은 없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패널에 다수의 카메라 모듈(30)을 연결하여, 마찬가지로 카메라 모듈(30)의 광학성능을 일괄로 점검할 수 있어, 점검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구현한다. 또는, 점검패널은 매체모듈(20)과 판체(10)가 일체로 성형되어 제조되어, 이로써 카메라 모듈(30)은 점검패널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점검을 진행하기 적합하다.
예를 들어, 매체모듈(20)이 없는 상황에서, 카메라 모듈의 모든 핀을 연결하여, 적어도 두층의 걸림구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을 판체(10)에 장착한다. 접촉된 핀은 비교적 집중되어, 배선을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의 회로에 접속하여, 점검기기에 접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패널은 조립이 완성된 카메라 모듈만 수용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에 연결되는 매체모듈만 수용하거나, 또는 카메라 모듈과 매체모듈 양자를 동시에 수용한다. 점검패널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30)은 전반적인 점검에서, 운용과정을 포함하여, 일괄적인 처리를 모두 구현할 수 있어, 매 하나의 카메라 모듈(30) 점검에 수요되는 시간을 줄여, 점검의 전반적인 효율을 향상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패널의 구조를 추가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점검패널의 지지판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모듈이 지지판에 장착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모듈이 지지판에 장착되는 저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매체모듈(20)은 2×2의 어레이 형식에 따라 점검패널의 판체(10)의 지지판(11)에 안착된다. 매 하나의 매체모듈(20)은 모두 일정한 결정위치에 따라 안착된다. 지지판(11)은 적어도 하나의 점검부위(111)를 제공하되, 상기 점검부위(111)에는 매체모듈(20)이 상응하게 안착되어, 매체모듈(20)에 의해 이끌리는 카메라 모듈(30)을 결정된 위치에 위치시킨다. 점검패널의 지지판(11)은 네개의 점검부위(111)를 구비하여, 상응하게 네개의 매체모듈(20)에 의해 거치된다. 점검부위(111)는 점검 인터페이스부(1111), 식별부(1112)와, 위치결정부(1113), 및 거치부(1114)를 더 포함한다. 언급할만 한 것은, 점검부위(111)의 구조와 매체모듈(20)의 구조는 대응된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점검 인터페이스부(1111)는 매체모듈(20)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통공이고, 식별부(1112)는 매체모듈(20)에 의해 이끌리는 카메라 모듈(30)에게 신분을 식별해주는 통공이며, 위치결정부(1113)는 매체모듈(20)에 대한 위치결정 구조이고, 거치부(1114)는 매체모듈(20)과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30)의 거치위치이다. 언급할만 한 것은, 매 하나의 점검부위(111)의 구조는 모두 일치하여, 매체모듈(20)을 적합하게 거치하기 간편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점검 인터페이스부(1111)는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두개의 대칭되는 통공으로서, 점검 인터페이스부(1111)는 점검기기의 인터페이스와 매체모듈(20)이 연결되도록 허용한다. 물론, 매체모듈(20)의 설계에 의하여, 점검 인터페이스부(1111)의 위치와 형상은 상응하게 조절될 필요가 있다. 식별부(1112)는 이끌리는 카메라 모듈(30)이 표기한 위치와 대응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식별부(1112)는 카메라 모듈(30)의 신분을 식별할 수 있는 통공이다. 식별부(1112)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30)의 신분은 식별될 수 있다. 물론, 식별부(1112)의 형상과 형식은 모두 카메라 모듈(30) 식별방식에 의하여 상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분코드를 스캔하여 식별해야 할 때, 식별부(1112)는 광투과되는 통공으로서, RFID 정보를 식별해야 할 때, 식별부(1112)는 식별될 수 있는 상응위치이다. 위치결정부(1113)는 매체모듈(20)과 서로 위치결정되는 구조로서, 점검 인터페이스부(1111)와 식별부(1112)가 지지판(11)에 대해 위치결정되도록 한다. 매 하나의 위치결정부(1113)와 매체모듈(20)의 위치는 서로 결정되어, 모든 매체모듈(20)이 지지판(11)에 대한 위치결정을 확보할 수도 있다. 이는 매체모듈(20) 점검 조작의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매체모듈(20)은 사각형이고, 위치결정부(1113)는 매체모듈(20)의 대각방향에 대한 위치결정컬럼이다. 기타 실시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위치결정부(1113)는 구체적으로 자기 흡인편, 걸림 파일(pile) 등등일 수 있다. 거치부(1114)는 점검부위(111)에 고정되는 연성편으로서, 매체모듈(20)의 카메라 모듈(30)의 높이를 보충하고 완충한다. 물론, 거치부(1114)의 설계는 매체모듈(20)의 설계에 의하여 조절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부(111)의 설계는 매체모듈(20)의 설계와 대응되고, 매 하나의 점검부(111)의 구체적인 구조는 주로 매체모듈(20)의 안정과 전기도통 조건을 충족하기 위한 것이다.
언급할만 한 것은,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점검패널의 지지판(11)은 적어도 하나의 표기부위(112)를 구비하고, 표기부위(112)는 지지판(11)의 중축선에 위치한다. 표기부위(112)는 지지판(11) 위치를 표기하되, 다시 말하자면, 표기부위(112)에 의하여 지지판(11)의 구체적인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밖에, 커버판(12)에도 지지판(11)과 대응되는 표기부위(122)가 구비되되, 다시 말하자면, 지지판(11)의 표기부위(112)와 커버판(12)의 표기부위(122)는 서로 표기되어, 판체(10)의 전체적인 위치는 결정될 수 있다. 이밖에, 커버판(12)은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구(120)를 더 제공하여, 카메라 모듈(30)의 점검에 광투과 조건을 제공한다. 본 분야의 당업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것은, 광투과구(120)는 카메라 모듈(30)과 일일이 대응될 수 있고, 한쌍으로 개구설치될 수도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매체모듈(20)은 판체(10)의 지지판(11)에 안착되고, 커버판(12)은 매체모듈(20)을 커버하여 지지판(11)에 고정한다. 이때, 걸림부재(미도시)는 커버판(12)과 지지판(11)을 걸림 고정하여, 매 하나의 매체모듈(20)의 위치를 고정한다. 점검과정과 운용에서, 판체(10)는 매 하나의 매체모듈(2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매 하나의 매체모듈(20)에 의해 이끌리는 카메라 모듈(30)은 동일한 점검 환경에 있다. 언급할만 한 것은, 점검에 사용되는 매 하나의 판체(10)에 있어서, 판체(10) 사이의 매체모듈(20)의 위치는 모두 상대적으로 결정된 것이다. 매체모듈(20)의 카메라 모듈(30)은 판체(10)를 찾아, 판체(10)의 매체모듈(20)을 찾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매체모듈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매체모듈의 전체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모듈이 카메라 모듈에 연결되는 전체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모듈이 카메라 모듈에 연결되는 또 다른 전체 모식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체모듈(20)은 구체적으로 기판(21)과 신장회로(22)를 더 포함하되, 신장회로(22)는 기판(21)에 사전 매설되고, 기판(21)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체모듈(20)은 카메라 모듈(30)에 연결되기 적합하다. 카메라 모듈(30)은 매체모듈(20)에 의하여 점검기기에 연결되어, 매체모듈(20)에 의해 보호된다. 점검과정과 운용에서, 카메라 모듈(30)에 대한 조작은 모두 매체모듈(20)에 의해 완성된다. 설명의 편리를 위하여, 여기서 카메라 모듈(30)의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면, 주로 렌즈(31), 플러그(32) 및 표지(33)로서, 여기서 표지(33)는 카메라 모듈(30)에 대한 신분 표지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1)은 고정부위(211)를 더 포함하여 카메라 모듈(30)에 연결되기 적합하여 이를 고정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고정부위(211)는 카메라 모듈(30)의 렌즈(31)를 거치하기 위한 렌즈홈(2111)을 제공한다. 기판(21)의 고정부위(211)는 소켓(2112)을 더 포함하고, 소켓(2112)은 카메라 모듈(30)의 플러그(32)와 밀착되게 연결될 수 있다. 렌즈홈(2111)과 소켓(2112)의 연결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30)은 기판(21)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위(211)는 적합성을 구비하여, 상이한 모델의 카메라 모듈(30)을 거치하고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30)은 단일 촬영모듈이고, 렌즈홈(2111)은 카메라 모듈(30)의 렌즈(31)가 완전하게 거치되게 할 수 있다. 소켓(2112) 역시 카메라 모듈(30)의 플러그(32)와 서로 적합하게 적용된다. 다시 말하자면, 카메라 모듈(30)에 적용되기 위하여, 고정부위(211)의 구조는 이에 상응하게 설치된다. 그러나, 고정부위(211)는 카메라 모듈(30)을 기판(21)에 연결하는 동시에 점검과정과 운용에서 카메라 모듈(30)이 항상 매체모듈(20)에 의해 조작되도록 확보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점검과정과 운용에서, 매 하나의 매체모듈(20)은 모두 카메라 모듈(30)에 대응되는데, 이로써 고정부위(211)는 카메라 모듈(30)의 구조상과 회로 연결상에서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언급할만 한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부위(211)의 소켓(2112)은 연결기의 형식을 사용하여, 카메라 모듈(30)이 조작되는 과정에서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다시 말하자면, 고정부위(211)에 의한 고정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30)은 매체모듈(20)에 대하여 안정된 연결관계를 유지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매체모듈(20)의 신장회로(22)는 모듈 인터페이스(221), 점검 인터페이스(222) 및 모듈 인터페이스(221)와 점검 인터페이스(222)에 연결되는 배선(223)을 더 포함한다. 모듈 인터페이스(221)와 점검 인터페이스(222)는 배선(223)에 의하여 대응되게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모듈 인터페이스(221)와 점검 인터페이스(222)는 일정한 방식과 대응관계로 서로 연결된 것이다. 모듈 인터페이스(221)는 고정부위(211)의 소켓(2112)에 내장되어, 카메라 모듈(30)의 플러그(32)가 소켓(2112)과 연결되도록 할 때, 카메라 모듈(30)의 회로는 신장회로(22)와 서로 연결되기 편리하다. 더욱이, 카메라 모듈(30)의 회로는 신장회로(22)와 연통되어, 신장회로(22)의 점검 인터페이스(222)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30)이 점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자면, 카메라 모듈(30)이 신장회로(22)에 연결된 후, 카메라 모듈(30)의 점검은 신장회로(22)의 점검 인터페이스(222)에 의해 진행된다. 점검 인터페이스(222)는 점검기기와 상응하는 입력 포트를 제공하여 매체모듈(20)에 의해 이끌리는 카메라 모듈(30)을 점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점검 인터페이스(222)는 바람직하게는 전기접점의 형식으로 기판(21)의 표면에 설치되어, 점검기기의 프로브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점검 인터페이스(222)는 분포식 배치방식으로, 점검 인터페이스(222)가 더욱 안정적이고 더욱 정확하게 접촉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점검 인터페이스(222)는 두가지 부분으로 분할되어 대칭되게 기판(21) 표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타 실시가능한 모드에서, 점검 인터페이스(222)는 원블록식 배열일 수 있되,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점검 인터페이스(222)의 배치방식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더욱이, 매체모듈(20)의 기판(21)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구(213)를 더 포함하고, 위치결정구(213)는 판체(10)의 지지판(11)의 점검부위(111)의 위치결정부(1113)와 대응되게 설치된다. 다시 말하자면, 매체모듈(20)의 위치결정구(213)와 판체(10)의 위치결정부(1113)는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어, 매체모듈(20)과 판체(10)가 상대적으로 위치결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매체모듈(20)은 사각형이고, 위치결정구(213)는 매체모듈(20) 대각방향에 대한 위치결정홀이다. 기타 실시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위치결정구(213)는 구체적으로 자기 흡인편, 걸림 파일 등등일 수 있다. 주의할만 한 것은, 위치결정구(213)와 위치결정부(1113)는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위치결정구(213)와 위치결정부(1113)는 쌍을 이루면서 존재한다. 위치결정구(213)와 위치결정부(1113)가 서로 대응되게 매칭된 후, 매체모듈(20)은 판체(10)의 점검부위(111)와 서로 위치결정하기 편리하다. 판체(10) 중의 매 하나의 매체모듈(20)은 모두 위치결정구(213)에 의하여 위치결정부(1113)와 서로 위치결정된 후, 매체모듈(20)은 모두 판체(10)와 위치결정된다. 이로써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카메라 모듈(30)과 매체모듈(20)이 서로 고정되고, 매체모듈(20)과 판체(10)가 서로 위치결정되면, 매 하나의 카메라 모듈(30)이 판체(10)에서의 위치 역시 결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판체(10)가 표기부위(112)에 의해 위치결정될 수 있기에, 카메라 모듈(30)이 점검 과정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는 결정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카메라 모듈(30)이 어느 판체(10)의 위치에 있는 지를 나타내는 매체모듈(20)의 위치결정 정보는 전반적인 일괄 점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점검패널, 및 바람직하게는 매체모듈에 의하면,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동시에 점검할 수 있다. 점검과정에서, 카메라 모듈은 점검대상, 예를 들어 배너를 이미징하여 점검 데이터를 얻는다. 점검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통하여, 카메라 모듈이 특정된 점검의 통과여부를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점검패널은 카메라 모듈을 일괄 점검할 수 있어, 매 하나의 카메라 모듈은 모두 점검용의 이미지 데이터를 발생할 수 있기에,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 지 예를 들어 수집과 표시는 해결해야 할 과제로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를 제공하되, 점검패널에 포함된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점검하여 얻어진 다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이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는 매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을 포함하는 이미지 수집 유닛; 다중채널 동영상 스트리밍 전송에 의하여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으로부터 유래되는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기 적합한 표시 데이터로 전환하는 것으로, 여기서, 매 하나의 동영상 스트리밍 채널은 하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이 수집한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이미지 전환 유닛; 과 표시화면에 상기 표시 데이터에 기반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표시화면에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을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 유닛을 포함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300)는 점검패널에 포함된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점검하여 얻어진 다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300)는 매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을 포함하는 이미지 수집 유닛(301); 다중채널 동영상 스트리밍 전송에 의하여 이미지 수집 유닛(301)의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으로부터 유래되는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기 적합한 표시 데이터로 전환하는 것으로, 여기서, 매 하나의 동영상 스트리밍 채널은 하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이 수집한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이미지 전환 유닛(302); 과 표시화면에 이미지 전환 유닛(302)에 의해 전환된 표시 데이터에 기반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표시화면에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을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 유닛(303)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매트릭스 형식으로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점검패널에 대응하여,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는 마찬가지로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서, 매 하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은 하나의 카메라 모듈에 대응하여, 점검과정에서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로부터 이미지를 수집한다.
여기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중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의 개수는 점검패널에 포함되는 카메라 모듈의 개수와 동일하고, 점검패널에 포함되는 카메라 모듈의 개수보다 작을 수도 있되, 예를 들어 점검패널에 포함되는 카메라 모듈의 개수의 절반이다. 이렇게, 점검패널에 포함되는 카메라 모듈의 개수가 클 때, 과도하게 많은 개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과 상응하게 매칭될 필요가 없어, 모든 점검 시스템의 복잡도를 줄여, 원가의 최적화에 유리하기도 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에 의하여 점검패널 중의 다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여, 다수의 카메라 모듈의 일괄 점검에 의해 발생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 및 처리할 수 있다.
이밖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에 의해 수집되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는 다중채널 동영상 스트리밍 전송에 의하여 이미지 전환 유닛에 전송되어, 이미지 전환 유닛에 의하여 매 하나의 채널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기 적합한 표시 데이터로 전환한다. 이렇게, 이미지 표시 유닛이 표시화면에 상기 표시 데이터에 기반한 이미지를 표시할 때, 다중채널의 표시 데이터에 의하여 동일한 표시화면에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의 방식으로 다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매 하나의 서브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하나의 서브 이미지 수집 유닛이 수집한 점검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할 수 있어, 점검패널 상의 하나의 카메라 모듈에 추가적으로 대응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는 점검패널 상에 직관적으로 대응되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점검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현재 모듈 업계에서 주류적인 동영상 이미지 전송은 최대로 800만 화소의 단일 채널 동영상 스트리밍 전송만 지원하는 바, 기존의 방식으로 점검패널에 포함되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점검하여 얻어진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 및 표시하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한대의 컴퓨터로 카메라 모듈의 점검 데이터를 볼 때, 한대의 컴퓨터가 동일한 시간에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만 볼 수 있어, 점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컴퓨터의 개수를 증가할 필요가 있어 다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를 동시에 볼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일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의 개수를 증가하여 원가를 높이고,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매 하나의 컴퓨터마다 모두 로그인 또는 등록 등 조작을 거쳐야만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볼 수 있어, 생산라인의 인력투하도 증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제상에서 컴퓨터 한대로 여러대의 이미지 수집 장치를 이끄는 설계방안을 제공하였는 바, 예를 들어, 컴퓨터 한대로 8대의 이미지 수집장치를 이끌 수 있어, 예를 들어 비월주사 방식으로, 16개의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동시에 동영상 이미지를 수집 및 표시할 수 있다. 이렇게, 원래 컴퓨터 한대가 이미지 수집 장치 한대에만 대응되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어, 컴퓨터 수량을 줄이고, 생산라인 인력투하를 줄이며, 전체 기기 공간을 줄여, 단일 기기의 생산율을 증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의 구현과정에서, 기존의 점검기기를 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셈블리 기술을 사용하여 기존의 점검기기의 밑층 이미지 수집 공정장비 모듈을 패키징하여, 점검된 카메라 모듈의 FPGA와 칩 출하 번호에 설정된 유일성을 이용하여, 64비트의 공정장비 ID비밀키를 생성하여, 공정장비를 로그인하여 바인딩한다. 이렇게, 컴퓨터 한대로 여러대의 공정장비에 대한 위치 색인의 유일성을 구현하여, 매 하나의 동영상 스트리밍 채널의 위치 유일성을 확보하였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의 FPGA초기화 일련번호와 칩 일련번호를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64비트의 공정장비 ID비밀키를 생성하는 것에 한정되지도 않으며, 매 하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의 표기정보가 매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표기정보와 일일이 대응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 중의 매 하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은 카메라 모듈의 제 1 표지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 2 표지정보를 구비하여,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다수의 카메라 모듈에 대응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지정보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FPGA초기화 일련번호와 칩 일련번호이고, 상기 제 2 표지정보는 64비트 ID비밀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는 카메라 모듈의 FPGA초기화 일련번호와 칩 일련번호에 의하여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의 64비트 ID비밀키를 생성하여,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을 바인딩할 수 있어, 동일한 표시화면에 대응되는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의 위치 색인의 유일성을 구현하여, 매 하나의 동영상 스트리밍 채널의 위치 유일성을 확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점검패널에 포함되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점검하여 얻어진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 및 처리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매 하나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의 해상도가 떨어지지 않기에,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의 성능에 대하여 더욱 높은 요구를 제출하였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가 서버-클라이언트 프레임워크일 경우,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CPU성능에 대하여 모두 아주 높은 요구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다중 모드 방식을 사용한다. 여기서 생산라인 모드에서, 동영상 수집만 지원할 수 있으나, 처리 및 표시를 하지 않으며, 알고리즘 연산을 진행해야 할 때야만 이미지 처리 전환과 표시를 진행하여, CPU의 로드를 줄인다. 이렇게, 다중 채널 동영상 스트리밍 알고리즘 연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밖에, 공정사 모드에서, 이미지의 실시간 처리 스레드와 표시 스레드 모듈을 시동할 수 있되, 이렇게, 공정사는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검사할 수 있음으로써, 점검기기의 생산라인 배너의 위치결정, 위치대립, 모듈 이미징, 기기 이상 등에 대하여 순서에 따라 조사와 분석을 진행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의 표시화면의 모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산라인 모드하에서, 동영상 스트리밍 데이터만 수집하고, 처리와 표시를 진행하지 않음으로써, CPU 로드를 줄인다. 여기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산라인 모드하에서, 이미지 전환 유닛과 이미지 표시 유닛은 직접 오프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드 사이의 전환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공정사 모드일 경우의 그래픽 처리유닛(GPU)과 디스플레이의 작동시간으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고, 표시화면에 빈 내용을 표시할 수도 있다. 공정사 모드일 경우,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 처리 및 표시함으로써, 표시화면에 카메라 모듈을 점검하여 얻어진 점검 이미지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는, 예정된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이미지 전환 유닛과 상기 이미지 표시 유닛을 선택적으로 온/오프하기 위한 모드 변환 유닛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전환 유닛이 오프될 경우, 상기 이미지 표시 유닛은 내용이 없는 상기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을 표시한다.
이밖에,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전환 유닛이 온될 경우, 상기 이미지 표시 유닛은 상기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에 이와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이 점검대상을 이미징한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는 모드 변환 유닛에 의하여 작동모드를 전환하여, 다중 모드 클라이언트를 설계할 수 있어, 생산효율을 향상시키고, CPU 사용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는 모드 변환 유닛에 의하여 작동모드를 전환하여, 표시화면에 다른 내용이 표시되도록 하고, 생산라인 생산과 공정사 디버그의 이중모드가 적용될 수 있되, 여기서 생산라인 생산모드는 수집모듈만 제공하여, 표시 스레드, 처리 스레드를 취소하여, CPU로드율이 저하되고, 공정사 모드에서 수집, 처리, 표시 스레드를 시동하여, 위치 대립 배너, 모듈 이미징 검사, 문제 분석 등에 적용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가 장치 성능에 대한 요구가 비교적 높기에, 예를 들어, 서버-클라이언트 프레임 워크를 사용할 경우,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CPU 성능에 대하여 모두 아주 높은 요구가 있다. 이러할 경우, 특히 CPU 성능이 낮은 클라이언트는, 성능이 부족하여 시스템이 붕괴되는 상황이 초래될 수 있기에, 이 문제에 대하여 대응방안을 찾을 필요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가 처리되는 모니터링 프로세스의 모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보 서버를 이용하여 하트비트 명령을 이용하여, 정해진 시간에 클라이언트 프로세스에 하트비트 명령을 송출한다. 클라이언트는 하트비트를 수신한 후 실시간으로 하트비트 피드백 명령을 송출하여, 서보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데이터 처리와 표시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도록 한다. 서보 서버가 단위 시간 내에 하트비트 피드백 명령 수신이 실패하였음을 발견할 경우, 서보 서버는 메인 제어 소프트웨어에 클라이언트 타임아웃 명령을 송출하여,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가 비정상적임을 알리고 클라이언트 프로세스를 재부팅해야 한다. 그 다음, 메인 제어 소프트웨어는 브레이크 다운된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오프하여 클라이언트를 재부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서보 서버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를 동적 관리하여,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가 비정상적으로 브레이크 다운되어 자가적으로 시동된다.
이밖에,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에 의하여 다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다중채널 동영상 스트리밍 전송에 의하여 데이터를 처리 및 표시하였기에, 이미지 표시 유닛이 전반적으로 오류가 생기지 않고, 일부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 또는 일부 동영상 스트리밍 전송 채널에 오류가 생길 때, 응답신호의 상태에 의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한 종류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의 처리와 표시에만 문제가 생기면, 모든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재부팅할 필요가 없고, 이 종류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와 관련되는 데이터 처리 부분만 재부팅할 필요가 있어, 데이터 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현저한 도움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 이미지 전환 유닛과 이미지 표시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에 검출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검출신호에 응답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에러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에러 검출 유닛은 예정된 시간 내에 특정된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에 대응되는 응답신호를 수신받지 못할 경우, 상기 특정된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과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의 처리실패를 결정한다.
또한, 에러 검출 유닛에 의하여 클라이언트 작동상황을 검출하여, 보호 프로세스와 서보 기술을 사용하여 점검 프로세스가 안정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의 일괄 점검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 및 표시할 수 있어, 인력투하를 줄이고, 기기 공간을 줄이며, 생산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 측면에 따르면,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바, 이는 점검패널에 포함되는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점검하여 얻어진 다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은, 상기 다수의 카메라 모듈 중의 매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되, 여기서,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을 사용하여 상기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다중채널 동영상 스트리밍 전송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으로부터 유래되는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기 적합한 표시 데이터로 전환하되, 여기서, 매 하나의 동영상 스트리밍 채널은 하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이 수집한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단계; 와, 표시화면에 상기 표시 데이터에 기반한 이미지를 표시하되, 여기서, 상기 표시화면에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된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은 점검패널에 포함되는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점검하여 얻어진 다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S101, 상기 다수의 카메라 모듈 중의 매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되, 여기서,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을 사용하여 상기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S102, 다중채널 동영상 스트리밍 전송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으로부터 유래되는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기 적합한 표시 데이터로 전환하되, 여기서, 매 하나의 동영상 스트리밍 채널은 하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이 수집한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단계; 와 S103, 표시화면에 상기 표시 데이터에 기반한 이미지를 표시하되, 여기서, 상기 표시화면에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된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 중의 매 하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은 카메라 모듈의 제 1 표지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 2 표지정보를 구비하여,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다수의 카메라 모듈에 대응되도록 한다.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지정보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FPGA초기화 일련번호와 칩 일련번호이고, 상기 제 2 표지정보는 64비트 ID비밀키이다.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에 있어서, 예정된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수신 및 전환하는 단계 및 표시 데이터에 기반한 이미지의 표시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에 있어서, 점검 이미지 데이터의 수신 및 전환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을 경우, 내용이 없는 상기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에 있어서, 점검 이미지 데이터의 수신 및 전환의 단계를 수행할 경우, 상기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에 이와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이 점검 대상을 이미징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 이미지 전환 유닛과 이미지 표시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에 검출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검출신호에 응답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와, 예정된 시간 내에 특정된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에 대응되는 응답신호를 수신받지 못할 경우, 상기 특정된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과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의 처리실패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의 기타 세부사항과 이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기술되는 상응한 세부사항과 온전히 동일하기에, 쓸데없는 내용을 피하기 위하여 더이상 진술하지 않는다.
이밖에,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더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와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은 전술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점검패널 구조에 반드시 대응되는 것이 아니라, 점검패널에 의하여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동시에 점검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와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에 모두 적용된다. 또한, 여기서 다수의 카메라 모듈의 동시적인 점검은 전체적인 점검패널 상의 모든 카메라 모듈의 동시적인 점검에 한정되지 않고, 전체적인 점검패널 상의 일부분 카메라 모듈을 동시에 점검할 수도 있다. 이밖에, 이러한 동시적인 점검은 반드시 동일한 시각에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점검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되, 예를 들어, 광원 스캔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점검하여 상응한 점검결과를 얻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찬가지로 이러한 상황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점검기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점검기기는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는 점검패널에 포함되는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점검하여 얻어진 다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매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을 포함하는 이미지 수집 유닛; 다중채널 동영상 스트리밍 전송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으로부터 유래되는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기 적합한 표시 데이터로 전환하는 것으로, 여기서, 매 하나의 동영상 스트리밍 채널은 하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이 수집한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이미지 전환 유닛; 과, 표시화면에 상기 표시 데이터에 기반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표시화면에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을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 유닛을 포함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기기(400)는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410)를 포함한다.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410)는 점검패널에 포함되는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점검하여 얻어진 다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410)는 매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이미지 수집 유닛(411)을 포함하되, 여기서, 이미지 수집 유닛(411)은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을 포함하고; 다중채널 동영상 스트리밍 전송에 의하여 이미지 수집 유닛(411)의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으로부터 유래되는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기 적합한 표시 데이터로 전환하는 것으로, 여기서, 매 하나의 동영상 스트리밍 채널은 하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이 수집한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이미지 전환 유닛(412); 과 표시화면에 이미지 전환 유닛(412)에 의해 전환된 표시 데이터에 기반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표시 유닛(413)을 포함하되, 여기서, 이미지 표시 유닛(413)은 상기 표시화면에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점검기기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 중의 매 하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은 카메라 모듈의 제 1 표지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 2 표지정보를 구비하여,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다수의 카메라 모듈에 대응되도록 한다.
상기 점검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지정보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FPGA초기화 일련번호와 칩 일련번호이고, 상기 제 2 표지정보는 64비트 ID비밀키이다.
상기 점검기기에 있어서,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는 예정된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이미지 전환 유닛과 상기 이미지 표시 유닛을 선택적으로 온/오프하기 위한 모드 변환 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점검기기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전환 유닛이 오프될 경우, 상기 이미지 표시 유닛은 내용이 없는 상기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점검기기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전환 유닛이 온될 경우, 상기 이미지 표시 유닛은 상기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에 이와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이 점검대상을 이미징한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는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 이미지 전환 유닛과 이미지 표시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에 검출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검출신호에 응답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에러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에러 검출 유닛은 예정된 시간 내에 특정된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에 대응되는 응답신호를 수신받지 못할 경우, 상기 특정된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과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의 처리실패를 결정한다.
여기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도 14에 도시된 점검기기(400)는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410)만 포함하고, 점검기기(400)는 도 14에 도시되지 않은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을 점검하기 위하여, 점검기기(400)는 반드시 광원, 카메라 모듈에 의해 이미징하는 대상, 예를 들어 배너, 및 기타 부재를 포함해야 한다.
또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기기의 기타 세부사항은 이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데이터 저장 장치에서 기술되는 상응한 세부사항은 완전히 같기에, 불필요한 내용을 피하기 위하여 더이상 진술하지 않는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기기로 점검패널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을 점검하는 모식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기기는 판체(10)와 적합한 점검회로(40)를 구비한다. 상기 점검기기는 점검 회로(40)에 의한 판체(10)와 매체모듈(20)의 연결에 의하여, 판체(10)에 안착되는 다수의 매체모듈(20)을 동시에 연결하여, 매체모듈(20)에 의해 이끌리는 카메라 모듈(30)이 동시에 점검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밖에, 매체모듈(20)과 카메라 모듈(30)은 일대일로 연결된다. 다시 말하자면, 카메라 모듈(30)은 매체모듈(20)에 의하여 전반적인 점검 조작을 완성할 수 있어, 매체모듈(20)에 대해 반복적인 접입과 제거를 진행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점검 조작을 시작하기 전에, 점검할 카메라 모듈(30)은 매체모듈(20)에 연결 및 고정된다. 매체모듈(20)은 카메라 모듈(30)이 전반적인 점검을 진행하도록 이끌어, 카메라 모듈(30)의 점검통과여부를 막론하고, 매체모듈(20)은 카메라 모듈(30)과 항상 연결된다. 다시 말하자면, 매체모듈(20)은 점검이 통과되지 않은 카메라 모듈(30)에 대하여, 매체모듈(20)은 카메라 모듈(30)이 점검이 통과되지 않은 상응한 조작을 하도록 보조할 수도 있다. 점검이 통과된 카메라 모듈(30)에 대하여, 매체모듈(20)은 카메라 모듈(30)과 함께 기타 점검을 완성할 수도 있다. 또한 매체모듈(20)에 적합한 점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에, 점검 회로(40)는 상응한 인터페이스만 필요로 하기에, 매체모듈(20)은 상이한 성능 점검 항목을 완성할 수 있다. 매체모듈(20)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30)은 모든 점검에서, 운용과정을 포함하여, 반복적인 접입과 제거를 모두 피할 수 있어, 매 하나의 카메라 모듈(30) 점검에 수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점검의 전반적인 효율을 향상하여, 카메라 모듈(30)의 일괄 점검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과 점검기기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의 일괄 점검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 및 표시할 수 있어, 인력 투입을 줄이고, 기기 공간을 줄여, 생산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분야의 당업자들이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기술적 내용 및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 완전하여 효과적으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기능 및 구조원리는 실시예에서 표시되고 설명되어, 상기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본 발명의 실시방식은 임의로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Claims (15)

  1. 점검패널에 포함되는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점검하여 얻어진 다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는,
    매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을 포함하는 이미지 수집 유닛;
    다중채널 동영상 스트리밍 전송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으로부터 유래되는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기 적합한 표시 데이터로 전환하는 것으로, 여기서, 매 하나의 동영상 스트리밍 채널은 하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이 수집한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이미지 전환 유닛; 과
    표시화면에 상기 표시 데이터에 기반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표시화면에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을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 중의 매 하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은 카메라 모듈의 제 1 표지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 2 표지정보를 구비하여,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다수의 카메라 모듈에 대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지정보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FPGA초기화 일련번호와 칩 일련번호이고, 상기 제 2 표지정보는 64비트 ID비밀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예정된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이미지 전환 유닛과 상기 이미지 표시 유닛을 선택적으로 온/오프하기 위한 모드 변환 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전환 유닛이 오프될 경우, 상기 이미지 표시 유닛은 내용이 없는 상기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전환 유닛이 온될 경우, 상기 이미지 표시 유닛은 상기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에 이와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이 점검대상을 이미징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 이미지 전환 유닛과 이미지 표시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에 검출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검출신호에 응답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에러 검출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러 검출 유닛은 예정된 시간 내에 특정된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에 대응되는 응답신호를 수신받지 못할 경우, 상기 특정된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과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의 처리실패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8. 점검패널에 포함되는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점검하여 얻어진 다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은,
    상기 다수의 카메라 모듈 중의 매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되, 여기서,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을 사용하여 상기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다중채널 동영상 스트리밍 전송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으로부터 유래되는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기 적합한 표시 데이터로 전환하되, 여기서, 매 하나의 동영상 스트리밍 채널은 하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이 수집한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단계; 와
    표시화면에 상기 표시 데이터에 기반한 이미지를 표시하되, 여기서, 상기 표시화면에 매트릭스 형식으로 배치된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 중의 매 하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은 카메라 모듈의 제 1 표지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 2 표지정보를 구비하여, 다수의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다수의 카메라 모듈에 대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지정보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FPGA초기화 일련번호와 칩 일련번호이고, 상기 제 2 표지정보는 64비트 ID비밀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예정된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점검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수신 및 전환하는 단계 및 표시 데이터에 기반한 이미지의 표시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점검 이미지 데이터의 수신 및 전환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을 경우, 내용이 없는 상기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점검 이미지 데이터의 수신 및 전환의 단계를 수행할 경우, 상기 다수의 서브 표시화면에 이와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이 점검 대상을 이미징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
  14.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 이미지 전환 유닛과 이미지 표시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에 검출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검출신호에 응답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와
    예정된 시간 내에 특정된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에 대응되는 응답신호를 수신받지 못할 경우, 상기 특정된 이미지 수집 서브유닛과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의 점검 이미지 데이터의 처리실패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점기기.
KR1020197032157A 2017-04-26 2018-04-24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과 점검기기 KR1022900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282917.9A CN108810324B (zh) 2017-04-26 2017-04-26 测试数据处理装置、测试数据处理方法和测试设备
CN201710282917.9 2017-04-26
PCT/CN2018/084212 WO2018196734A1 (zh) 2017-04-26 2018-04-24 测试数据处理装置、测试数据处理方法和测试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481A true KR20190132481A (ko) 2019-11-27
KR102290098B1 KR102290098B1 (ko) 2021-08-13

Family

ID=63919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157A KR102290098B1 (ko) 2017-04-26 2018-04-24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과 점검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618432A4 (ko)
KR (1) KR102290098B1 (ko)
CN (1) CN108810324B (ko)
WO (1) WO20181967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6500B (zh) * 2020-08-05 2022-07-26 昆山软龙格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fpga和cpu、wifi 6的影像测试装置
CN112235500B (zh) * 2020-12-09 2021-03-02 荣旗工业科技(苏州)股份有限公司 基于深度学习的视觉检测系统及方法
CN113836021A (zh) * 2021-09-24 2021-12-24 昆仑芯(北京)科技有限公司 测试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4281447B (zh) * 2021-12-02 2024-03-19 武汉华工激光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载板激光加工软件界面处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5396634B (zh) * 2022-08-25 2024-01-26 昆山软龙格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FPGA的camerlink采集装置
CN116256267B (zh) * 2023-05-15 2023-08-01 微网优联科技(成都)有限公司 一种感应式整机测试装置
CN116381468B (zh) * 2023-06-05 2023-08-22 浙江瑞测科技有限公司 一种单一图像采集卡支持多芯片并行测试的方法及装置
CN117274720B (zh) * 2023-11-16 2024-05-14 深圳市七彩虹禹贡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计算机硬件异常检测方法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269A (ko) * 2004-02-26 200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암호화된 방송 데이터를 위한 제한수신기능과복제방지기능을 구비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80114324A (ko) * 2007-06-27 2008-12-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이의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WO2010134890A1 (en) * 2009-05-21 2010-11-25 Esa Group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nd managing camera modules
CN106210713A (zh) * 2016-08-30 2016-12-07 昆山软龙格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手机摄像头模组多模组同时测试装置
US20170034507A1 (en) * 2015-07-28 2017-02-02 Jds Uniphase Corporation Distance to fault measurements in cable tv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7698B2 (ja) * 1991-01-25 2000-02-07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システム
KR100814426B1 (ko) * 2001-07-14 2008-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 채널 영상 중계 처리기 및 이를 적용한 다 채널 영상보안 시스템
JP4102163B2 (ja) * 2002-11-11 2008-06-18 日本政策投資銀行 Catv伝送路監視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534023B1 (ko) * 2004-01-08 2005-12-07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카메라모듈 검사장치
EP1628495A1 (en) * 2004-08-17 2006-02-22 Dialog Semiconductor GmbH Multi-processing of a picture to speed up calculation for this picture
KR100822882B1 (ko) * 2007-05-10 2008-04-16 주식회사 엔텍로직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및 방법
US8736751B2 (en) * 2008-08-26 2014-05-27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Digital presenter for displaying image captured by camera with illumination system
ES2890752T3 (es) * 2012-02-06 2022-01-21 Univ California Lector de prueba de diagnóstico rápido portátil
CN103162940B (zh) * 2013-02-22 2016-01-06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一种手机摄像模组自动测试机
US9225977B2 (en) * 2013-02-25 2015-12-29 Teradyne, Inc. Matrix testing targets
US8866912B2 (en) * 2013-03-10 2014-10-21 Pelican Imaging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calibration of an array camera using a single captured image
CN203327181U (zh) * 2013-06-21 2013-12-04 豪威科技(上海)有限公司 多摄像头模组测试工装
CN203340224U (zh) * 2013-07-23 2013-12-11 江阴新晟电子有限公司 手机摄像头模组用测试装置
CN103412781B (zh) * 2013-08-27 2016-08-10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次性可编程芯片的烧录方法
CN105592308A (zh) * 2014-10-21 2016-05-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测试图纸、采用该测试图纸的摄像模组检测方法及系统
US10448007B2 (en) * 2015-07-28 2019-10-15 Spirent Communications, Inc. Discovery and identification of layer 2 coax problems in MoCA networks
CN105812638B (zh) * 2016-05-13 2019-09-24 昆山丘钛微电子科技有限公司 摄像头模组pdaf多工位测试烧录一体化机台
CN106231259B (zh) * 2016-07-29 2019-05-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监控画面的显示方法、视频播放器及服务器
CN205961333U (zh) * 2016-08-30 2017-02-15 昆山软龙格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手机摄像头模组多模组同时测试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269A (ko) * 2004-02-26 200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암호화된 방송 데이터를 위한 제한수신기능과복제방지기능을 구비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80114324A (ko) * 2007-06-27 2008-12-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이의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WO2010134890A1 (en) * 2009-05-21 2010-11-25 Esa Group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nd managing camera modules
US20170034507A1 (en) * 2015-07-28 2017-02-02 Jds Uniphase Corporation Distance to fault measurements in cable tv networks
CN106210713A (zh) * 2016-08-30 2016-12-07 昆山软龙格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手机摄像头模组多模组同时测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810324A (zh) 2018-11-13
KR102290098B1 (ko) 2021-08-13
EP3618432A1 (en) 2020-03-04
EP3618432A4 (en) 2020-05-13
WO2018196734A1 (zh) 2018-11-01
CN108810324B (zh) 2020-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0098B1 (ko) 점검 데이터 처리장치, 점검 데이터 처리방법과 점검기기
WO2018040142A1 (zh) 一种手机摄像头模组多模组同时测试装置
CN113302677A (zh) 用增强现实与传感器数据于数据中心内执行硬件管理及配置的系统及方法
CA2824031A1 (en) Workbench for manufacturing or checking electrical wiring harnesses
US20060156137A1 (en) Test program set generation tool
US20080067253A1 (en) Label for an electronic product that provides failure information when the product fails
CN101963648A (zh) 自动测试装置
EP3618433A1 (en) Module information storage method, module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module information storage device and test apparatus
US7696956B2 (en) Apparatus for video graphics array testing
US973632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hecking connected state of signal line thereof
JP4866895B2 (ja) バックプレーンおよび通信装置
KR20190137798A (ko) 카메라 모듈 점검 매체모듈, 점검패널 및 점검판
US9223097B2 (en) Connector indicia
WO2017101432A1 (zh) 智能光分配网络线卡及光分配网络设备
JP2018098028A (ja) 布線装置
WO2019172594A1 (ko) 전기 소자용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891209B1 (ko)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hdmi 매트릭스 라우팅 스위칭 시스템
US8959397B2 (en) Computer-on-module debug card assembly and a control system thereof
CN114740829A (zh) 一种域控制器测试系统
CN103824143A (zh) 零件组装指示系统及方法
US20110241981A1 (en) Input Routing for Simultaneous USB Connections of Similar Device Types
US20110145655A1 (en) Input/output hub to input/output device communication
KR101641099B1 (ko) 하네스용 비전 검사장치
KR20230000096A (ko) 디바이스 테스트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테스트 시스템
CN210223518U (zh) 一种显示面板的驱动模组和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