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2443A - 혼선차의 가열 장치 및 가열 방법 - Google Patents

혼선차의 가열 장치 및 가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2443A
KR20190132443A KR1020197031225A KR20197031225A KR20190132443A KR 20190132443 A KR20190132443 A KR 20190132443A KR 1020197031225 A KR1020197031225 A KR 1020197031225A KR 20197031225 A KR20197031225 A KR 20197031225A KR 20190132443 A KR20190132443 A KR 20190132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air
cover
car
opening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우스케 모리오카
히로키 츠키가세
야스히코 오오타니
Original Assignee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2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4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05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 B22D41/01Heating means
    • B22D41/015Heating means with external heating, i.e. the heat source not being a part of the ladl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1/00Refining of pig-iron; Cast iron
    • C21C1/06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rs for pig-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Abstract

혼선차 본체의 측방에 수선구가 위치하도록 상기 혼선차 본체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혼선차의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이며, 상기 수선구로부터 혼선차의 내부에 삽입되는 버너와, 측면에서 보아 상기 수선구의 개구가 미리 설정한 개구율로 되도록 상기 수선구의 하측을 부분적으로 덮는 덮개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혼선차의 가열 장치 및 가열 방법
본 발명은, 혼선차의 내부의 가열을 행하는 가열 장치 및 가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에 있어서, 고로에서 제조된 용선은, 혼선차로 제강 공장까지 반송되고, 그 사이, 혼선차 내에 있어서, 탈규소 처리 등의 용선의 예비 처리가 행하여진다. 고온의 용선을 수용하기 위해서, 혼선차의 내벽은 내화물로 구성되어 있다. 고온의 용선을 다루는 혼선차의 반복 가동에 의해 내화물이 손상되면, 내화물의 교환 부착이 행하여진다. 그 후, 새로운 내화물을 시공한 혼선차에 다시 고온의 용선을 수용하기 위해서, 새로운 내화물의 건조 및 혼선차 내부의 예열, 혹은 일단 차가워진 혼선차를 다시 사용할 때에 내화물의 보호를 위하여 미리 버너 등에 의해 승열 및 보열하는 일이 행하여진다.
종래, 혼선차 내부의 건조 및 예열 작업 시에는, 수선구(受銑口)로부터 버너를 삽입하고 화염 및 연소 가스를 공급하여, 혼선차 내부의 가열을 행하고 있다. 혼선차 내부를 건조시킬 때에는, 내화물이 폭렬하지 않도록, 시간을 들여서 서서히 가열할 필요가 있다. 한편, 예열할 때는, 급속 가열에 의해, 신속히 수선할 수 있는 상태로 할 것이 요구된다. 건조 및 예열 시에는, COG(코크스로 가스)양과, COG양에 맞추어 일정한 공기비가 되도록 공기량을 조정하고 있다. 이때, 배기 가스는 혼선차의 수선구로부터 배출되는데, 버너를 출납하기 위하여 수선구가 개방되어 있어 수선구로부터 침입하는 공기에 의해 열 손실이 발생하고, 버너의 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공기의 침입에 의해, 혼선차 내부의 온도에 큰 변동을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 혼선차의 수선구의 덮개로서, 수선 후나 빈차일 때에 보온하기 위한 덮개는 사용되고 있지만, 그 경우는 수선구를 밀폐하는 덮개이고, 배기 가스의 배출구를 갖는 것은 아니다. 그 때문에, 버너를 사용한 건조 및 예열 시에는 사용할 수 없다.
특허문헌 1에는, 혼선차의 예열 시나 건조 시에, 혼선차 내부에 버너를 삽입하는 일 없이 내부 분위기를 가열할 수 있는 혼선차용 가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혼선차의 건조 시에, 혼선차 내부에 버너를 삽입하고, 수선구에 상부를 10mm 정도 개방하여 차폐판을 설치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465823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8-27510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가열 장치는, 리제네레이티브 버너를 사용하고 있어, 설비 비용이 높다. 게다가, 선철 주입 배출구에는 기밀하게 봉쇄하는 덮개 부재를 사용하여 블로어로 배기 가스를 강제적으로 배출하는 구조이고, 이에 비해 저비용의 통상의 버너의 경우에는 배기 가스를 자연스럽게 배출하기 위하여 개구부가 필요해서, 상기와 같은 기밀 구조의 리제네레이티브 버너는 적용할 수 없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방법에서는, 수선구를 정면에 보아, 당해 수선구의 전체가 차폐판으로 덮여 있다. 이러한 경우, 수선구의 상부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는 차폐판의 이면에 접촉하면서 배출되어, 고온의 배기 가스와 차폐판의 접촉이 많아지기 때문에, 열부하가 많이 작용하고, 차폐판의 열변형 등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리제네레이티브 버너 이외의 저비용의 버너를 사용하여 혼선차 내부의 건조나 예열 등을 행할 때, 외기의 침입을 억제하면서 배기 가스를 배출하고, 고효율이면서도 균일한 가열을 행할 수 있는 가열 장치 및 가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혼선차 본체의 측방에 수선구가 위치하도록 상기 혼선차 본체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혼선차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이며, 상기 수선구로부터 혼선차의 내부에 삽입되는 버너와, 측면에서 보아 상기 수선구의 개구가 미리 설정한 개구율로 되도록 상기 수선구의 하측을 부분적으로 덮는 덮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율은, 상기 수선구의 개구 면적으로부터 상기 버너의 단면적을 제외한 면적의 1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가, 상기 수선구를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체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의 상기 수선구측의 면의, 상기 덮개와 상기 혼선차가 접하는 부분에, 탄력성을 갖는 내화물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덮개는, 연직 방향에 대한 설치 각도가 가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는 상부 덮개와 하부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덮개는, 상기 수선구의 하측을 부분적으로 덮고, 상기 상부 덮개는, 상기 하부 덮개와의 경계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다른 관점에 의한 본 발명은, 혼선차의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 방법이며, 혼선차 본체의 측방에 수선구가 위치하도록 상기 혼선차 본체를 회전시켜, 측면에서 보아 상기 수선구의 개구가 미리 설정한 개구율로 되는 덮개로 상기 수선구의 하측을 덮고, 상기 수선구로부터 혼선차의 내부에 버너를 삽입하여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율은, 혼선차 내부를 가열할 때에 당해 혼선차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유량에 따라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선구의 하부에 덮개를 마련함으로써, 외기의 침입을 방지하고, 또한 배기 가스를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버너에 의한 가열을 효율적으로 행하여, 혼선차 내부의 균일한 온도 분포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혼선차의 가열에 드는 연료의 삭감이나 시간의 단축을 할 수 있고, 비용을 삭감하여 효율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또한, 측면에서 보아 수선구의 하측이 덮개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여 있고, 환언하면 수선구의 상측은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수선구의 상부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배기 가스가 덮개에 접촉하는 것에 의한 열부하를 경감하여, 덮개의 열변형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가열 장치의 사용 시의 상태를 혼선차의 상방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가열 장치의 사용 시의 상태를 혼선차의 측방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가열 장치의 덮개의 형상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가열 장치의 사용 시의 상태를 혼선차의 측방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가열 장치의 사용 시의 상태를 혼선차의 측방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가열 장치의 덮개의 형상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열전대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혼선차의 긴 변 방향, (b)는 긴 변 방향에 직각인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요소에 있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가열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은 혼선차(10)의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 2는 혼선차(10)의 측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 3은 혼선차(10)의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혼선차(10)는, 고로에서 제조된 용선을 수용하는 대략 긴 통형의 혼선차 본체(11)를 갖고 있다. 혼선차 본체(11)는, 장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혼선차 본체(11)의 내벽에는 내화물(12)이 시공되고, 긴 변 방향 중앙부에는, 용선의 출납을 위한 수선구(13)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선 전의 건조 및 예열 작업에 있어서 가열 장치(1)를 사용할 때에, 우선, 혼선차(10)의 수선구(13)가 혼선차 본체(11)의 측방에 위치하고 수선구(13)가 대략 연직 방향이 되도록, 혼선차 본체(11)를 회전시킨다.
가열 장치(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너(2)와, 지지 브래킷(3)을 통해 버너(2)에 고정된 덮개(4)를 갖고 있다. 버너(2)는, 리제네레이티브 버너를 제외한 각종 버너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이 좌우 양측으로 분기되어, 혼선차(10)의 긴 변 방향 양측으로 화구가 향해진다. 버너(2)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이동 가능한 대차(5)에 탑재되어, 수평 궤도 상을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4)가 버너(2)에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버너(2)를 혼선차(10)의 내부에 삽입할 때에, 동시에 수선구(13)의 위치에 덮개(4)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단, 덮개(4)는, 버너(2) 이외의 가열 장치(1)의 구조체 부분에 고정되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혼선차 본체(11)의 긴 변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고, 수평면에 있어서 좌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혼선차(10)측을 전방)으로 한다.
덮개(4)는, 수선구(13)의 개구 면적에 대하여, 가열 시의 상황에 따른 개구율을 실현하기 위해서, 수선구(13)를 정면으로 본 측면에서 보아 당해 수선구(13)의 일부를 막는다. 이 측면 시에 있어서의 개구율이 너무 작으면, 배기를 충분히 행할 수 없고 내부 압력의 상승에 의해 개구부로부터의 배기 가스 유속이 높아져 설비 부하가 높아지고, 버너(2)로부터의 소정의 연료가 흐르지 못하여 연소 부족이 되고, 개구율이 너무 크면, 외기가 침입하여 가열 효율이 저하되는 데다 온도가 불균일해진다. 개구율은, 혼선차(10)의 용적, 수선구(13)의 개구 면적, 버너(2)의 사양, 가열 조건 등에 따라 최적값을 설정하면 되지만, 특히 혼선차(10)의 내부를 가열할 때에 당해 혼선차(10)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유량에 따라서 최적값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선구(13)의 개구 면적으로부터 버너(2)의 단면적을 제외한 개구 면적의 10% 내지 80%로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4)에 의해 수선구(13)의 개구 면적을 저감시킴으로써, 외기의 침입을 방지하고, 동시에, 배기 가스가 배출되기 위한 개구 면적을 확보한다.
덮개(4)는, 대략 연직 방향으로 향한 수선구(13)의 하측을 덮도록 설치된다. 덮개(4)를 수선구(13)의 상부에 배치하면, 배기 가스가 덮개(4)의 이면에 접촉하면서 배출되어, 고온의 배기 가스와 덮개(4)의 접촉이 많아지기 때문에, 열부하가 많이 작용하여, 덮개(4)의 열변형 등이 일어난다. 이에 비해, 하측은 배기 가스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덮개(4)의 형상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반원형으로부터, 버너(2)가 삽입되는 수선구(13)의 중앙부의 일부를 절결한 반달형 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4)의 상부는, 지지 브래킷(3)을 통해 버너(2)에 고정되어 있다. 덮개(4)의 하부는, 전후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스프링(6)을 개재하여 대차(5)에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6)은 대차(5)에 고정되어, 덮개(4)의 하부를 혼선차(10)측으로 밀어붙이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고 있다. 스프링(6)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4)의 하부 좌우 2군데에 얻어진 하부 브래킷(7)을 통해, 2군데에 설치된다. 또한, 덮개(4)의 이면, 즉 수선구(13)측의 면의, 수선구(13)의 주연부(14)와 접촉하는 부분에, 예를 들어 세라믹 로프 등과 같은 탄력성을 갖는 내화물(8)이 설치된다. 혼선차(10)에 시공되는 내화물(12)은, 혼선차를 반복하여 사용할 때마다 부착물의 영향에 의해 요철 형상이 상이하고, 주연부(14)의 요철도 변화되기 때문에, 탄성체(스프링(6))로 덮개(4)의 하부를 수선구(13)측으로 밀어붙임과 함께, 내화물(8)을 마련함으로써, 주연부(14)의 요철 형상을 흡수하고, 수선구(13)의 주연부(14)와의 간극을 없애서 원하는 개구율을 실현한다. 내화물(8)은, 적어도 주연부(14)의 하단부 주변에 접촉하는 부분에 설치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4)의 외주 전체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덮개(4)에는, 혼선차(10)의 내부를 눈으로 보기 위한 창(21)을 마련해도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선구(13)의 상부 부근에, 수선구(13)로부터 적절히 거리를 이격하여, 방염판(22)을 설치해도 된다.
이상의 가열 장치(1)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혼선차(10) 내부의 내화물(12)을 교환 부착한 후, 혼선차 본체(11)의 중앙에 형성된 수선구(13)가 혼선차 본체(11)의 측방에 위치하고, 수선구(13)가 대략 연직 방향이 되도록, 혼선차 본체(11)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수선구(13)에 상대하여 가열 장치(1)를 배치하고, 대차(5)를 이동시켜서 버너(2) 및 덮개(4)를 수선구(13)를 향하여 슬라이드시켜, 버너(2)를 수선구(13)로부터 혼선차(10)의 내부에 삽입한다. 이때, 덮개(4)는, 스프링(6)에 의해 수선구(13)측으로 밀어붙여지고, 덮개(4)의 이면에 설치된 탄성을 갖는 내화물(8)이 수선구(13)의 주연부(14)에 접촉함으로써, 주연부(14)의 요철에도 대응하고, 간극 없이 덮개(4)가 설치된다.
그 후, 버너(2)에 의해, 수선구(13)가 형성된 중앙부로부터, 혼선차 본체(11)의 긴 변 방향 양단부에 걸치는 내벽면에 시공된 내화물(12)을 건조 및 예열함으로써, 하부의 덮개(4)로 외기의 침입을 억제하면서, 상측의 개구로부터 배기 가스를 배출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혼선차(10) 내부의 가열 시에, 외기의 침입을 억제하면서 배기 가스의 출구를 확보한 덮개(4)를 설치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균일한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승온 효율이 상승함으로써, 연료의 삭감, 예열 시간의 단축,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덮개(4)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각각, 설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한 핀(31, 32)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있어서는 대차(5)의 도시를 생략한다. 이러한 경우, 핀(31)에서 덮개(4)의 상단부가 회동하고, 핀(32)에서 덮개(4)의 하단부가 회동하므로, 덮개(4)를 연직 방향으로부터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선구(13)가 엄밀하게 연직 방향이 아닌 경우에도, 수선구(13)의 각도에 따라서 덮개(4)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혼선차(10)의 내화물(12)을 정비한 후의 건조 시와 예열 시는 배기 가스의 양 등이 상이하기 때문에, 가열 상황에 따라서 수선구(13)의 개구율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건조 시에는 연소 가스의 유량(COG양)이 적고, 배기 가스의 유량이 적기 때문에, 개구율은 10% 내지 50%가 바람직하다. 한편, 예열 시는 배기 가스의 유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개구율은 30% 내지 80%가 바람직하다.
개구율의 조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4)를 상부 덮개(4a)와 하부 덮개(4b)로 분할하고, 상부 덮개(4a)에 대하여 하부 덮개(4b)를 회동시켜서 개방도를 조정해도 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대차(5)의 도시를 생략한다. 하부 덮개(4b)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스프링(6)이 마련되어 있고, 이 스프링(6)에 의해 하부 덮개(4b)는 혼선차(10)측에 가압되어, 수선구(13)의 하부를 부분적으로 덮는다. 상부 덮개(4a)와 하부 덮개(4b)는 그 경계에 있어서, 예를 들어 힌지 등의 관절부(41)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부 덮개(4a)에는, 상부 덮개(4a)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42)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부 덮개(4a)는, 상부 덮개(4a)와 하부 덮개(4b)의 경계, 즉 상부 덮개(4a)의 하단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하부 덮개(4b)만으로 수선구(13)로 덮는 경우가 수선구(13)의 최대 개구율 80%로 되고, 상부 덮개(4a)와 하부 덮개(4b)의 전체로 수선구(13)로 덮는 경우가 수선구(13)의 최소 개구율 10%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부 덮개(4a)가 수선구(13)의 70%를 덮고, 하부 덮개(4b)가 수선구(13)의 10%를 덮는 경우, 이들 상부 덮개(4a)와 하부 덮개(4b)에 의해, 수선구(13)의 개구율을 10% 내지 80% 사이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덮개(4a)의 이면과 하부 덮개(4b)의 이면에는, 각각 내화물(8)이 설치되어 있다.
개구율의 조정 방법은 상술한 방법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덮개(4)의 상단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덮개(4)의 수선구(13)에 대한 설치 각도를 가변으로 하여, 개구율을 높일 때에는 덮개(4)의 상단을 후방으로 이동시켜서 개방도를 조정하게 해도 된다.
여기서, 상술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방법에서는, 수선구에 상부를 10mm 정도 개방하여 차폐판을 설치하고 있지만, 이 10mm는 일률적이고 차폐판은 고정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 2에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수선구(13)의 개구율을 조정하는 것은 개시되어 있지 않고, 그 시사도 없다. 이 점,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수선구(13)의 개구율을 조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가열 장치(1)의 자유도를 훨씬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고, 그것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실시예
본 발명예로서, 혼선차(10)의 수선구(13)의 하측에,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덮개(4)를 마련하여, 혼선차(10)의 내부 건조 및 예열을 실시하였다. 또한, 비교예로서, 덮개를 마련하지 않고 수선구(13)를 개방한 채로, 혼선차(10)의 내부 건조 및 예열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혼선차(10)의 용량은 60㎥(용선 300ton), 수선구(13)의 개구 면적은 1.17㎡, 버너(2)의 단면적은 0.23㎡이다. 또한, 덮개(4)의 크기를 0.75㎡, 0.47㎡, 0.19㎡로 바꾸어, 이들 덮개(4)로 막히는, 버너(2)를 제외한 수선구(13)의 개구율을 80%, 50%, 20%로 바꾸었다.
또한, 본 발명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도 7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혼선차(10)의 내부 3군데에 열전대 No.1, No.2, No.3을 설치하여, 가열 시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열전대 No.1은 혼선차(10)의 긴 변 방향 단부, 열전대 No.2와 열전대 No.3은 모두 긴 변 방향이 수선구(13) 가까이서, 수선구(13)로부터의 깊이의 거리가 다른 위치로 하였다. 가열 개시로부터 15시간 후의 건조 시와, 30시간 후의 예열 시에 대해서, 각 위치의 온도 및 산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개구율 80%의 경우의 결과를 표 1, 개구율 50%의 경우의 결과를 표 2, 개구율 20%의 경우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표 1 내지 표 3으로부터, 개구율 20% 내지 80%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본 발명예는, 비교예보다도, 혼선차의 내부 온도가 균일하게 승온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산소 농도에 관하여, 본 발명예는 비교예에 비하여 낮아, 공기의 침입이 억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토탈 COG양에 대해서는, 약 15%의 에너지 절감을 달성할 수 있었다. 한편, 개구율을 더욱 저하시켜, 10%로 한 경우에 있어서, 내부 압력의 상승에 의해 개구부로부터의 배기 가스 유속이 높아져 설비 부하가 증대되었다. 또한, 버너(2)로부터의 소정의 연료가 흐르지 못해 연소 부족이 발생했기 때문에, 연속하여 실시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혼선차의 내부를 버너로 가열할 때의 가열 장치로서 적용할 수 있고, 리제네레이티브 버너 이외의 버너를 사용하여 가열할 때에 유용하다.
1: 가열 장치
2: 버너
3: 지지 브래킷
4: 덮개
5: 대차
6: 스프링
7: 하부 브래킷
8: 내화물
10: 혼선차
11: 혼선차 본체
12: 내화물
13: 수선구
14: 주연부
21: 창
22: 방재판
31, 32: 핀
41: 관절부
42: 이동 기구

Claims (8)

  1. 혼선차 본체의 측방에 수선구가 위치하도록 상기 혼선차 본체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혼선차의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이며,
    상기 수선구로부터 혼선차의 내부에 삽입되는 버너와,
    측면에서 보아 상기 수선구의 개구가 미리 설정한 개구율이 되도록 상기 수선구의 하측을 부분적으로 덮는 덮개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선차의 가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율은, 상기 수선구의 개구 면적으로부터 상기 버너의 단면적을 제외한 면적의 1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선차의 가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상기 수선구를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체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선차의 가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상기 수선구측의 면의, 상기 덮개와 상기 혼선차가 접하는 부분에, 탄력성을 갖는 내화물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선차의 가열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연직 방향에 대한 설치 각도가 가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선차의 가열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부 덮개와 하부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덮개는, 상기 수선구의 하측을 부분적으로 덮고,
    상기 상부 덮개는, 상기 하부 덮개와의 경계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선차의 가열 장치.
  7. 혼선차의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 방법이며,
    혼선차 본체의 측방에 수선구가 위치하도록 상기 혼선차 본체를 회전시키고,
    측면에서 보아 상기 수선구의 개구가 미리 설정한 개구율이 되는 덮개로 상기 수선구의 하측을 덮고,
    상기 수선구로부터 혼선차의 내부에 버너를 삽입하여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선차의 가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율은, 혼선차의 내부를 가열할 때에 당해 혼선차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유량에 따라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선차의 가열 방법.
KR1020197031225A 2017-04-04 2018-03-27 혼선차의 가열 장치 및 가열 방법 KR201901324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74219 2017-04-04
JP2017074219 2017-04-04
PCT/JP2018/012479 WO2018186236A1 (ja) 2017-04-04 2018-03-27 混銑車の加熱装置および加熱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443A true KR20190132443A (ko) 2019-11-27

Family

ID=63712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225A KR20190132443A (ko) 2017-04-04 2018-03-27 혼선차의 가열 장치 및 가열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00017928A1 (ko)
EP (1) EP3575418A1 (ko)
JP (1) JP6801780B2 (ko)
KR (1) KR20190132443A (ko)
CN (1) CN110462067A (ko)
CA (1) CA3061380A1 (ko)
TW (1) TWI665306B (ko)
WO (1) WO20181862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7154B2 (en) 2020-02-20 2022-12-13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Wrong way driving prevention
US11603094B2 (en) 2020-02-20 2023-03-14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Poor driving countermeasures
JP7485939B2 (ja) 2020-08-24 2024-05-17 日本製鉄株式会社 銑鉄溶解装置、及び、銑鉄の溶解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10A (ja) 1994-07-12 1996-01-30 Kuchiku Kogyo Kk 混銑車耐火物の乾燥方法
JP4658231B1 (ja) 2010-10-07 2011-03-23 中外炉工業株式会社 トーピードカー用加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6411U (ko) * 1976-12-20 1978-07-15
JPS5919560Y2 (ja) * 1977-07-16 1984-06-06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注銑鍋用ふた
JPS5875742U (ja) * 1981-11-17 1983-05-21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混銑車予熱装置
JPS62110246U (ko) * 1985-12-28 1987-07-14
JP2005315519A (ja) * 2004-04-28 2005-11-10 Kobe Steel Ltd 混銑車耐火物の乾燥方法と乾燥装置
CN201237219Y (zh) * 2008-06-24 2009-05-13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鱼雷罐车预热燃烧装置
JP5386411B2 (ja) * 2010-03-11 2014-01-15 株式会社フジクラ 収納ケース、光モジュール及び光アダプタ
CN202119262U (zh) * 2011-05-06 2012-01-18 河北钢铁股份有限公司唐山分公司 一种可以自动调节的焙烧炉喷枪盖
CN104315214A (zh) * 2014-08-25 2015-01-28 北京都龙睿建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通风道或烟道引流防火止回装置
CN204775985U (zh) * 2015-06-19 2015-11-18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机设计研究所 一种飞机口盖铰链结构
CN205171287U (zh) * 2015-11-25 2016-04-20 中铁十七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旋转式自密实混凝土封边模板排气口闸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10A (ja) 1994-07-12 1996-01-30 Kuchiku Kogyo Kk 混銑車耐火物の乾燥方法
JP4658231B1 (ja) 2010-10-07 2011-03-23 中外炉工業株式会社 トーピードカー用加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42194A (zh) 2018-12-01
US20200017928A1 (en) 2020-01-16
WO2018186236A1 (ja) 2018-10-11
JP6801780B2 (ja) 2020-12-16
JPWO2018186236A1 (ja) 2019-11-14
CA3061380A1 (en) 2018-10-11
EP3575418A1 (en) 2019-12-04
CN110462067A (zh) 2019-11-15
TWI665306B (zh)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2443A (ko) 혼선차의 가열 장치 및 가열 방법
KR960004796B1 (ko) 제강용 전기아크로 및 그를 이용한 제강방법
CN206089744U (zh) 一种台车式回火炉
US4353532A (en) Aluminum melting furnace
KR20090007361A (ko) 액상 금속 이송 용기를 예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
US3857553A (en) Heat treatment furnace and method
US10337797B2 (en) Refractory delta cooling system
CA26138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characteristics of a furnace melt
CN103328913A (zh) 用于电炉的排渣门设备
KR20170001017U (ko) 레이들 예열 장치
TWI547564B (zh) 用於熱形成板料之設備及方法
EP1859215B1 (en) Melting apparatus having a loading device for loading a metal charge
JP7215224B2 (ja) アーク式電気炉における排滓方法及び溶融金属の製造方法
KR100833001B1 (ko) 코크스 장입 및 불출용 버켓장치
US20210325112A1 (en) Burner lance insert for an electric arc furnace
KR101320621B1 (ko) 금속 용해로용 이동식 스웨트 로
CN106705662A (zh) 一种钟罩式台车电阻炉
KR102018522B1 (ko) 코크스오븐의 도어 가스누출방지용 수리대차
CN117265231B (zh) 一种热处理设备
KR20030037228A (ko) 기밀형 충진 슬롯을 구비한 회전형 노상로
JP2022100508A (ja) 予熱装置及び予熱方法
JPS6346379A (ja) 製鋼炉に材料を連続的に供給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3849585A (en) Furnaces
WO2006089869A1 (en) Cover for a connection conveyor for loading a metal charge into a melting furnace and relative movement device
CN205329120U (zh) 无氧预热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