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621B1 - 금속 용해로용 이동식 스웨트 로 - Google Patents
금속 용해로용 이동식 스웨트 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0621B1 KR101320621B1 KR1020127007909A KR20127007909A KR101320621B1 KR 101320621 B1 KR101320621 B1 KR 101320621B1 KR 1020127007909 A KR1020127007909 A KR 1020127007909A KR 20127007909 A KR20127007909 A KR 20127007909A KR 101320621 B1 KR101320621 B1 KR 1013206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rnace
- sweat
- opening
- wall
- fl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F27B3/1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harg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3/00—Apparatus for preheating charges; Arrangements for preheating char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025—Charging or loading melting furnaces with material in the solid state
- F27D3/003—Charging laterally, e.g. with a charging box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025—Charging or loading melting furnaces with material in the solid state
- F27D3/0031—Charging with tiltable dump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용해로용 이동식 스웨트 로에 관한 것으로서, 예시적 실시예는 금속 장입구가 제공된 벽을 갖는 금속 용해로에서 사용하는 이동식 스웨트 로를 제공한다. 상기 스웨트 로는 상기 장입구가 있는 용해로 벽과 접촉 및 비접촉으로 용해로에 대해 이동가능한 로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중공 내부를 둘러싸는 외부 벽을 갖고 이 외부 벽은 상기 중공 내부와 연통하는 개구부가 제공된 로 본체의 노-맞물림 측벽을 제외한 중공 내부를 둘러싸며, 상기 내부는 스크랩 금속의 장입물을 지탱하기에 적합한 플로어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는 용탕이 상기 내부에서 개구부를 통하여 유출되도록 상기 플로어에 대해 위치결정된다. 용해로 장입구와 정렬된 개구부를 갖는 용기가 용해로의 벽과 밀봉 맞물림으로 이동될 때 플로어는 수평에 대해 개구부 쪽으로 하향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로 설치되어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식 스웨트 로와 용해로 장입구가 제공된 전방 벽을 갖는 금속 용해로의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금속 스크랩 재료, 특히 알루미늄 스크랩 재료를 용융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금속 스크랩 재료를 전처리하고 이 전처리된 스크랩 재료를 용해로, 예를 들면 반사로 또는 직접-장입 대류식 용해로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 또는 여타 재료들(예를 들면, 구리)의 스크랩 재료들은 재사용을 위해 재용융될 수 있지만, 이 스크랩 재료들은 오염되어 있을 수 있어서 용해로에 직접 첨가하기 전에 그러한 오염물을 제거하거나 또는 줄이는 전처리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금속 제작자에 의한 최종적인 재사용을 위해 알루미늄 스크랩 재료를 재용융하는 데 반사로가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직접-장입 대류식 용해로는 배빗메탈(babbit metal) 또는 납과 같은 저융점을 갖는 금속을 용융하는 데 통상 사용된다. 재용융을 위한 스크랩 금속은 예를 들면 소우(sow)(대형 주물), 잉곳(예를 들면, T-바 잉곳) 및 다른 금속편(종종 "소형 폼(small form)"이라 칭함)의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금속박은 너무 얇기 때문에 이러한 용해로들에서는 거의 전부가 산화물로 변환되기 때문에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재용융시킨다.
반사로는 직접 화염 및 고온 내화 라이닝으로부터 나오는 복사열 둘 다에 의해서, 그리고 가능한 추가 가열 요소에 의해 노 내용물을 가열한다.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반사로는 알루미나 또는 다른 내화벽돌로 라이닝되어 있으며, 일단부에 노통(flue)을 갖고 타단부에 금속 장입물이 도입되는 노의 주 장입구를 폐쇄하는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승강하는 도어를 갖는 강철 박스이다. 전통적인 오일 또는 가스 버너는 노의 양편에 통상 위치되어 내화벽돌을 가열하고 금속을 용융시킨다. 그 후 얻어지는 용탕은 주조기에 주입되어 잉곳으로 제조된다. 고정식 용해로는 세라믹-피복 플러그(plug)를 단지 제거하기만 하면 그 하부의 탭을 열 수 있고, 이렇게 되면 용융 알루미늄을 론더(launder)로 유동시킨 후 주조기로 보낼 수 있게 된다. 대류식 용해로도 이와 마찬가지이긴 하지만 고온 가스를 이용하여 금속 장입물을 가열한다. 또 다시, 노의 주 장입구는 통상 승강식 도어에 의해 폐쇄된다.
이러한 용해로들에서 용융되는 알루미늄 스크랩은 유기 재료들(예를 들면, 플라스틱 코팅층)로 코팅될 수도 있고 아니면 코팅되지 않을 수도 있다. 코팅된 스크랩은 용해로의 사이드 웰(side-well)에서 용융되고, 그 사이드 웰에서 용융된 스크랩은 용탕이 용해로의 주 챔버로 들어가기 전에 오염물(부유물)을 걷어낼 수 있도록 한 플럭스와 혼합된다. 미코팅(깨끗한) 스크랩은 용해로의 주 챔버에 직접 첨가될 수 있지만, 스크랩은 보통 젖어있거나 또는 물(예를 들면, 대형 주물에 형성된 내부 수축 기공 내에 수용된 물)로 오염되어 있다. 물로 오염된 스크랩이 용해로에 직접 첨가되면 폭발의 위험이 있으며, 따라서 스크랩이 용해로 내로 도입되기 전에 오염수를 배출해야 한다. 이는 용해로의 장입구에 가깝게 스크랩을 위치시키고 용해로가 소정 시간 동안 금속 장입물을 예열하도록 용해로 도어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열은 용해로 사이드 웰에 위치된 건조 챔버내에서 다시 용해로로부터의 열을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건조 챔버는 서로 마주보는 대향 단부를 갖는 두 개의 도어를 갖는다. 제1 도어는 스크랩을 장입하도록 개방되며, 제2 도어는 스크랩이 건조된 후에 개방되고 고체 금속 장입물은 사이드 웰로 밀려지고 용해로의 주 챔버로 이송된다. 유감스럽게도, 양 방법은 용해로의 주 장입구용 도어 또는 사이드 웰의 장입구가 상당한 기간 동안 대기에 개방되어 유지되기 때문에 용해로로부터의 상당한 열손실을 야기한다. 건조 챔버가 사용되더라도, 금속 장입물이 사이드 웰로 이송되는 동안 양 도어가 통상 개방 상태를 유지하여 열풍과 복사열이 건조 챔버를 통해 외측으로 자유롭게 빠져나갈 수 있다.
1956년 8월 7일에 시.이.카르(C.E.Carr)에 의해 등록된 미국 특허 제2,757,925호는 개방 상부를 갖는 장입 카(용기)의 사용을 개시한다. 이 카(car)는 금속 장입물이 램(ram)에 의해 용해로 내로 밀려질 때 하향으로 선회하는 힌지 벽을 전방 벽에 갖는다. 이 힌지 벽은 용기의 거리를 확장하는 브릿지를 제공하며, 이에 의해 고체 장입물이 용해로의 전방 벽 내의 장입구를 통해 완전히 통과하도록 한다. 그러나 장입물이 용해로 내로 도입될 때 용해로 내부로부터 외부 대기로 열이 빠져나갈 있는 통로가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상기 문헌의 카는 오염수를 제거하기 위해 금속 장입물을 예열하도록 사용하는 것에 대한 제안은 없으며, 이는 카의 개방 상부가 장입물로부터 대기로 열이 빠져나가게 하고(불충분한 가열), 장입물이 용해로 내로 밀려질 때까지 힌지 벽은 직립을 유지하기 때문에(카 내의 장입물을 접촉하여 용해로로부터의 열을 차단) 설계도 용이하지 않다.
1986년 3월 25일에 질레스피 존 알(Gillespie,John R.) 등에 의해 동록된 미국 특허 제4,578,111호는 잉곳 또는 대형 주물이 위치되는 스웨트 챔버와 플로어를 형성하는 스웨트 로를 갖는 금속 용해로를 개시한다. 주 용해로로부터의 연소 가스가 잉곳 또는 대형 주물을 예열하며, 그 후 잉곳 또는 대형 주물을 용융시키도록 스웨트 챔버 내의 버너를 조작한다. 그러나 스웨트 챔버는 용해로의 영구적인 부분이며, 금속 장입물의 스웨트 챔버로의 장입은 장입할 때 외부로 고온 가스가 방출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를 통해 이루어진다.
스크랩 재료를 용해로 내로 장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면서 열손실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 실시예는 금속 장입구가 제공된 벽을 갖는 금속 용해로에서 사용하는 이동식 스웨트 로(sweat hearth)를 제공한다. 상기 스웨트 로는 상기 장입구가 있는 용해로 벽과 접촉 및 비접촉으로 용해로에 대해 이동가능한 로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중공 내부를 둘러싸는 외부 벽을 갖고, 이 외부 벽은 상기 중공 내부와 연통하는 개구부가 제공된 스웨트 로 본체의 노-맞물림 측벽을 제외한 중공 내부를 둘러싸며, 상기 내부는 스크랩 금속의 장입물을 지탱하기에 적합한 플로어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는 용탕이 상기 내부에서 개구부를 통하여 유출되도록 상기 플로어에 대해 위치결정된다. 용해로 장입구와 정렬된 개구부를 갖는 스웨트 로 본체가 용해로의 벽과 밀봉 맞물림으로 이동될 때 플로어는 수평에 대해 개구부 쪽으로 하향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로 설치되어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식 스웨트 로와 용해로 장입구가 제공된 전방 벽을 갖는 금속 용해로의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조작시, 바람직하게는 플로어는 수평에 대해 예각으로 노-맞물림 측벽 쪽으로 하향 방향으로 경사진다. 이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5°내지 45°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5°내지 35°범위이다.
이동식 스웨트 로는 금속 용해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본질적으로 스웨트 로가 사용되는 용해로 개구부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스웨트 로는 용해로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거나 또는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용해로에 체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힌지 등에 의해 피봇 체결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개구부를 갖는 용해로 벽과 밀봉 맞물림 하도록 또는 용해로 벽과 멀어지도록 선회될 수 있다. 스웨트 로가 용해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다는 것은 스웨트 로가 건조 및 용융 조작 동안 용해로 내부와 접촉하는 단일 개구부를 통해 고체 스크랩이 장입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스웨트 로가 용해로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용해로로부터 멀어질 때 개구부가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동식 스웨트 로는 금속 용해로에서 직접 수용된 열(복사 또는 대류)을 스웨트 로가 사용하기 때문에 임의의 종류의 가열 설비가 없다(예를 들면, 스웨트 로는 가열되지 않고, 버너 또는 가열 요소와 같은 가열 수단이 없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스웨트 로는 스웨트 로가 사용될 때 용해로의 주 개구부와 대략 또는 완전히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한 개의 개구부만을 갖는다. 따라서 스웨트 로에는 용해로 또는 다른 곳에서 열풍 또는 가스를 수용하거나 또는 이들을 빠져나가게 하기 위한 추가의 개구부 또는 통풍구는 없다. 바람직하게는 스웨트 로의 개구부는 용해로 장입구와 크기와 형상이 조화를 이룬다. 금속 용해로의 주 개구부는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며, 스웨트 로의 개구부의 경우도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지만,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용해로 개구부의 상부 가장자리는 상방으로 만곡되거나 또는 아치형(측면 가장자리 보다 중앙이 더 높음)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스웨트 로의 개구부의 상부 가장자리도 대응하여 상방으로 아치형이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스웨트 로의 전체 상부 벽은 배럴 아치(반 또는 부분 원통형)의 형상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개구부의 상부 가장자리는 자연스럽게 상부 벽의 만곡부를 따른다.
주 개구부(또는 개구부 폐쇄 도어)가 제공된 용해로의 벽은 보통 수직이지만, 어떤 경우에서는 수직으로부터, 예를 들면 최대 약 30°로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스웨트 로의 전방 벽은 주 개구부를 모두 둘러싸는 용해로 벽을 접촉하도록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전방 벽 및/또는 플로어가 용해로 벽의 각도로 배치되어 있으며, 스웨트 로가 주 개구부를 모두 둘러싸는 용해로 벽과 밀봉 맞물림으로 접촉하도록 경사질 때, 플로어는 용해로 내부로 용탕의 소망 유동을 제공하도록 용해로 쪽으로 경사각을 갖는 각도로 배치되어 있다.
예시적 실시예는 네 개의 주요 형태의 배치를 포함하지만, 다른 배치들도 가능하다. 제1 배치에 있어서, 노-맞물림 벽은 스웨트 로의 저부 벽과 직각으로 배치되며, 스웨트 로의 라이닝(예를 들면, 내화층)은 노-맞물림 벽에 대향하는(예를 들면, 용해로 장입구로부터 멀어지는) 측벽 쪽으로 두꺼워지고 있다. 이는 노-맞물림 벽이 수직으로 유지될 때 중공 내부의 플로어가 개구부 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배치는 용해로의 전방 벽이 수직이고 스웨트 로가 경사지지 않은 용해로와 접촉하기 위해 이동될 때 적합하다. 스크랩 금속 장입물은 기울어진 플로어 상에 지탱되어 있다. 제2 배치에 있어서, 노-맞물림 벽과 저부 벽은 서로 직각으로 제공되어 있지만, 라이닝은 플로어를 가로질러 동일 두께를 가지며, 따라서 스웨트 로가 수평 저부 벽을 갖고 위치될 때, 예를 들면 스웨트 로가 스크랩으로 장입될 때 플로어는 기울어져 있지 않다. 이 배치는 용해로의 전방 벽이 수직에 대해 후방으로 경사진 각도를 가질 때 적합하다. 스웨트 로가 용해로와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될 때, 스웨트 로는 노-맞물림 측벽이 용해로와 밀봉 맞물림 하도록 기울어진다. 이는 금속이 용융할 때 유출을 허용하도록 개구부 쪽으로 스웨트 로의 플로어를 기울인다. 제3 배치는 저부 벽의 라이닝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으며, 따라서 장입을 위한 플로어는 수평으로 제공된다. 그러나 스웨트 로는 저부 벽이 수평인 것에 대해 저부로부터 상부로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노-맞물림 측벽을 갖는다. 이 종류의 배치는 용해로가 수직 전방 벽을 가질 때 채용될 수 있다. 스웨트 로가 용해로의 위치로 이동될 때, 기울어진 측벽이 용해로의 수직 전방 벽과 밀봉 맞물림되도록 스웨트 로는 후방으로부터 기울어진다. 스웨트 로의 경사 각도는 스웨트 로의 유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플로어를 개구부 쪽으로 기울인다. 제4 배치는 저부 벽에서 라이닝이 두꺼워지고 노-맞물림 벽을 후방으로 또는 전방으로 기울인다. 이 배치는 장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단지 작은 각도로 기울어진 플로어를 가지지만, 스웨트 로가 용해로와의 밀봉 맞물림으로 이동하여 경사질 때에는, 소망하는 큰 경사 각도를 갖는 내부를 허용한다.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전방 벽을 갖는 용해로를 사용할 때, 스웨트 로가 용해로와 맞물릴 때의 벽의 경사 각도는 라이닝이 두꺼워지는 정도와 용해로의 경사 각도의 양쪽에 의해 제공된다. 용해로 벽의 후방 경사가 크면, 스웨트 로의 노-맞물림 벽에는 전방으로의 경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스웨트 로가 용해로 벽과 만나도록 경사질 때 플로어의 각도는 소망 범위 내에서 유지된다. 이들 모든 배치는 장입 목적을 위해 용해로 장입구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는 스웨트 로를 제공하지만, 스웨트 로가 용해로와 접촉할 때 건조 및 용융 조작 동안 스웨트 로의 플로어에 대해 소망 기울기 각도를 제공할 수 있다.
모든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플로어의 기울기(스웨트 로가 조작 위치에 있을 때)는 스웨트 로 내에 장입된 고체 금속이 미끄러지거나 또는 불안정하지 않도록 하는 기울기를 갖지만, 용탕은 유출될 수 있는 기울기를 갖는다.
스웨트 로와 용해로 사이의 접촉에 대해 언급된 용어 "밀봉 맞물림"은 용해로와 접촉하는 스웨트 로가 개구부의 주변부를 긴밀하게(그러나 반드시 밀폐형은 아님) 모두 둘러싸는 것을 의미한다. 이 맞물림은 용해로로부터, 그리고 대기로부터 또는 용해로와 대기로부터의 가스 및/또는 열의 과도한 유동을 방지하고, 그리고 용탕의 누설을 방지하는 데 충분하면 된다. 따라서 노-맞물림 벽의 외관은 용해로 장입구의 둘레부와 밀접하게 매치된다. 보통, 용해로 벽은 평탄하며, 따라서 노-맞물림 벽도 평탄하게 제조되며, 밀봉 맞물림은 이들 벽이 공통 평면일 때 발생한다.
예시적 실시예의 이점은 금속 장입물이 물 및 다른 가능한 오염물을 제거하도록 균열처리되고 그 후 완전하게 용융되며, 이에 의해 금속 장입물은 용해로 챔버 내로 용융 액상으로서 공급된다. 효과에 있어서, 스웨트 로는 일시적으로 용해로 챔버의 일부가 되지만, 장입물이 용융될 때까지 장입물을 용탕으로부터 분리하여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스웨트 로는 장입물이 용해로로부터의 열만으로 가열되어 완전하게 용융될 수 있는 범위로 열손실(예를 들면, 내화 라이닝 및/또는 외부 절연의 적용에 의한)에 대해 절연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용해로로부터의 열손실이 최소화된다(예를 들면, 용해로 벽으로부터 열손실이 적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힌지식 스웨트 로를 갖는 용해로(반사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웨트 로와 용해로의 인접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2 상당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스웨트 로가 장전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스웨트 로가 용해로에 연결된 작동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스웨트 로가 장전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스웨트 로가 용해로에 연결된 작동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스웨트 로가 장전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스웨트 로가 용해로에 연결된 작동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웨트 로와 용해로의 인접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2 상당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스웨트 로가 장전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스웨트 로가 용해로에 연결된 작동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스웨트 로가 장전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스웨트 로가 용해로에 연결된 작동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스웨트 로가 장전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스웨트 로가 용해로에 연결된 작동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의 제1 예시적 실시예는 첨부한 도면 중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는 용해로(10)와 이동식 스웨트 로(20)의 결합체이다. 도 2는 스웨트 로(20)와 용해로의 인접부를 도시한다.
용해로(10)는 일반적으로 용해로의 평면 수직 전방 벽(16)에 형성되어 통상적으로 금속 장입에 사용되는 주 장입구(15)가 제공된 주 챔버(14)를 구비하며, 상기 장입구는 스크랩 또는 새로운 금속을 장입하는 데 사용되며,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용해로 도어(17)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도 1에서는 개방 위치로 도시됨). 용해로 도어가 폐쇄되면 용해로로부터 금속 장입구(15)를 통해 열풍과 복사열 형태로 빠져나가는 과도한 열 손실을 방지한다. 용해로(10)는 주 챔버 내의 용융 알루미늄 합금의 정상 표면 레벨 아래에 있는 개구부(도시되지 않음)들을 통해 주 챔버(14)와 연통하는 사이드 웰(18)을 구비한다. 사이드 웰(18)은 용해로의 주 장입구(15)와 유사한 개구부(도시되지 않음)와 개방용 폐쇄식 도어(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사이드 웰(18)에는 부유물을 걷어내는 데 사용되는 공구가 접근가능하도록 추가 개구부(21)가 제공되어 있으며, 승하강식 도어(22)가 이 개구부의 개폐를 위해 제공되어 있다. 버너(23)는 사이드 웰에 열을 제공하며, 다른 버너(도시되지 않음)는 용해로의 주 챔버(14)에 열을 제공한다. 사이드 웰의 개구부의 전방에 위치된 에이프런(apron)(24)은 장입 챔버(25)의 개방 측벽들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전후방 도어(26, 27)를 갖는 제거가능한 장입 챔버(25)를 지탱한다. 장입 챔버(25) 내에 위치된 스크랩 금속의 장입물(도시되지 않음)은 후방 도어(27)와 전방 도어(26) 양쪽을 개방하고, 후방으로부터 측벽 내로 장입물을 미는 것에 의해(예를 들면, 차량-장착 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사이드 웰 내로 장입될 수 있다. 그러나 양 도어(26, 27)를 동시에 개방할 것을 요구하거나 사이드 웰용 도어를 개방할 것을 요구할 때, 열은 사이드 웰로부터 장입 챔버(25)를 통해 대기로 직접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장입물이 유기 재료로 오염되어 부유물 제거가 요구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사이드 웰을 통해 용해로 내로 금속 스크랩을 장입하는 배치는 이상적이지 않다.
이러한 열 손실을 회피하기 위해, 무도장("깨끗한") 스크랩 금속을 최소한 건조하여 장입할 때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는 용해로(10)에 피봇 부착되는 스웨트 로(20)를 제공한다. 스웨트 로(20)는 중공 스웨트 로 본체(30) 형태로,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예를 들면, 박스 형상)으로, 모든 측면들 중에서 한쪽 면, 즉, 용해로와 맞물림가능한 일반적으로 평평한 측벽(32)을 제외한 모든 측면이 폐쇄된 형태이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웨트 로 본체(30)는 스웨트 로의 중공 내부(33)를 둘러싸며, 노-맞물림 측벽(32)을 제외하고 모든 측면에서 외부 분위기로부터 내부를 밀봉한다. 스웨트 로의 내부는 금속 장입물(29)(예를 들면, 스크랩 금속 대형 주물, 잉곳 또는 조각의 스택)을 지탱할 수 있는 플로어(34)를 구비한다. 스웨트 로 본체(30)의 노-맞물림 측벽(32)에는 (직사각) 형상을 갖고 용해로의 주 장입구와 유사한 또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 개구부(35)가 제공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웨트 로(20)는 절연, 내식성 및 용탕에 의한 공격에 대한 저항을 가지면서 양호한 내열충격성을 유지하는 내화 단열재 층(38)으로 라이닝된 강(또는 여타 내열 금속)으로 제조된 외부 쉘(37)을 구비한다. 적절한 내화재들의 예로서는 40 내지 95 중량%의 알루미나와 잔부는 주로 실리카를 함유하는 재료이다. 적은 양의 결합제와 비-습윤제가 강도, 금속 저항 및 가공성을 개선하도록 첨가될 수 있다. 내화물의 대표적인 선택은 하비슨-워커 내화물(Harbison-Walker Refractories)(미국 펜실베니아주 15108 문 타운쉽 페어웨이 드라이브 400 소재의 AHN Refractories of Cherrington Corporate Center의 사업부)에 의해 판매된 상표명 '울트라 익스프레스(Ultra Express)' 70 AL로서 판매된 내화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층(38)의 두께는 용해로에서의 열로부터 금속 스크랩의 용융점 이상으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절연을 제공하면 충분하다.
스웨트 로(20)는 가장자리(39)를 따라 힌지(11)들에 의해 용해로 벽에 체결된다. 이러한 힌지들은 스웨트 로의 상당한 무게와 금속 장입물을 견디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핀, 베어링 등은 그에 맞춘 크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힌지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웨트 로의 노-맞물림 측벽(32)이 용해로의 전방 벽(16)과 부드럽게 도킹하도록 화살표 "12"로 나타낸 방향으로 선회되도록 한다. 그 후 노-맞물림 측벽(32)은 용해로 장입구(15)의 둘레 벽부(잼(jamb), 린텔(lintel) 등)에 대해 맞물리며, 바람직하게는 노-맞물림 벽(32) 내의 개구부(35)의 하부 가장자리(40)를 용해로 장입구(15)의 하부 가장자리(41)와 정렬시켜 이들 하부 가장자리들이 모두 동일한 수직 레벨이 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스웨트 로(20)의 노-맞물림 벽(32) 내의 개구부(35)는 용탕의 완전한 유출을 허용하도록 내부(33)의 플로어(34)와 동일 평면상에 있다. 래치(19A)는 힌지(11)들과의 대향 측면 상에서 노-맞물림 벽에 인접하여 제공되어 용해로 벽 상의 대응 부분(19B)과 맞물리고, 건조 및 용융 조작 동안 스웨트 로가 용해로 벽과 단단하게 맞물리는 것을 유지한다.
스웨트 로가 도 1에 도시된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 금속 장입물(29)로 언급된 스크랩 금속 조각(예를 들면, 대형 주물 또는 잉곳)들이 개구부(35)를 통해 장입될 수 있다. 이 조작 동안, 용해로 주 챔버의 도어(17)는 용해로 주 장입구(15)를 통한 열손실을 방지하도록 폐쇄(하강된) 위치에서 유지된다. 스웨트 로의 장입이 완료되면, 도어(17)는 상부(개방) 위치로 상승되며, 스웨트 로는 도 2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 빠르게 선회하여 그 위치에서 래치된다. 이들 조작(도어 개방과 스웨트 로의 이동)에 요구된 시간은 매우 짧으며(겨우 몇 초), 따라서 개구부(15)를 통한 열손실이 최소로 유지된다. 스웨트 로가 도 2의 폐쇄 위치에 있으면, 스웨트 로의 내부(33)는 스웨트 로 개구부(35)와 용해로 장입구(15)를 통해 용해로 주 챔버(14)의 내부(42)와 연통한다. 용해로 내부로부터의 열은 금속 장입물(29)을 가열하여 어떠한 오염수를 내보낸다. 스웨트 로가 용해로를 맞무는(예를 들면, 용해로와 도킹하는) 측벽(32)을 제외하고는 모든 측면에서 폐쇄되기 때문에, 이 가열 기간 동안 용해로 내부로부터의 상당한 열손실은 없다. 스웨트 로를 둘러싸는 벽들(측벽, 상부 벽 및 저부 벽)은 용해로와 외부 대기 사이의 직접적인 연통을 차단한다.
일정 시간(용해로 온도에 따라 통상 최대 약 30분)이 지난 후에, 오염수는 내보내지고 금속 장입물(39)이 용융되기 시작한다. 이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스웨트 로의 플로어(3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각도 "α"로 하향으로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금속이 용융할 때 용탕은 화살표 "4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 장입구(15)를 통해 용해로 내로 유동한다. 그 결과, 용해로 주 챔버로부터의 열은 전체 장입물의 온도를 융점 이상으로 충분히 상승시키기 때문에 금속 장입물(39)을 용해로 내로 밀지 않아도 된다. 또한 금속 장입물이 그의 용융 온도까지 가열될 때 건조가 일어나기 때문에 개별 건조 조작이 필요 없다.
완전한 용융 전에 금속 장입물(29)이 용해로 내로 슬라이딩하게 되면, 용해로 주 챔버 내측의 용탕(44) 내에 위험한 파동이 형성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또는 (오염수를 내보내기 위한 충분한 시간 전에 용해로 내로 금속 장입물이 미끄러지는 것에 의한) 금속 내의 수분에 의한 폭발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기울기 각도 "α"는 너무 크지 않아야 한다. 한편, 기울기 각도가 너무 얕거나 또는 금속 장입물이 용융할 때 빠르게 또는 완전하게 용해로 챔버내로 유동하지 않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기울기는 용탕과 플로어 재료 사이의 마찰을 해소하기 위한 중력을 부여할 수 있는 정도로 얕으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기울기 각도 "α"는 5°내지 45°범위, 바람직하게는 15°내지 35°범위에서 유지된다. 바람직한 각도는 저 마찰계수를 갖는 재료가 고 마찰계수를 갖는 재료보다 더 쉽게 금속 장입물의 미끄러짐을 허용하기 때문에 플로어(34) 재료의 마찰계수가 어떤 범위인가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내화 단열재는 비교적 높은 비슷한 마찰계수를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각도의 고려는 본질적으로 중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금속 장입물 스택의 폭과 높이는 안정적인 장입을 유지하도록 선택되어야 하며, 이는 금속의 마찰계수 및 금속 조각들의 크기와 형상이 어떤 범위인가에 따라 변한다. 세부 사항은 간단한 시험이나 실험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금속 조각 장입물(29)들을 스웨트 로 내에서 건조할 때, 수증기가 생산되고, 이 수증기는 용해로 내의 분위기 내로 흩어지고, 용해로 배기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외부로 통기되기 때문에 수증기를 스웨트 로에서 제거하기 위한 특정 통기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웨트 로(20)와 용해로 벽(16) 사이의 밀봉은 밀폐형일 필요는 없으며, 수증기는 또한 어떠한 작은 갭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물론, 용해로와 스웨트 로 사이의 밀봉은 과도한 열손실을 회피하고 하부 가장자리(40)에서의 용해로와 스웨트 로 사이의 어떤 갭들을 통해 용탕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당히 엄격한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어떤 갭들의 전체 영역은 외부와 비교하여 용해로 내에 약간의 정압(positive pressure)의 유지를 허용하는 데 충분하도록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갭들의 큰 영역은 냉기가 유입되어 용해로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건조 및 용융 조작의 진행을 외측에서 감시하기를 원한다면, 내열 유리 또는 다른 투명 재료로 형성되거나 또는 일시적으로 일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금속 커버(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된 관찰 포트(viewing port)(45)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웨트 로(20)를 힌지(11)에 의해 용해로(10)에 체결하는 대신에, 스웨트 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해로에서 완전하게 분리되어 유지될 수 있으며, 용해로와의 도킹 접촉(밀봉 맞물림) 이동 및 분리 이동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웨트 로(20)에는 지지체(49) 상에 장착된 레일(48)을 활주하는 플랜지형 휠(47A, 48B)이 적절한 높이로 제공되어 있다. 레일은 용해로 쪽으로 또는 용해로로부터 떨어지는 방향(화살표 "50"으로 나타냄)으로 전후로 간단하게 이동될 수 있거나 또는 레일은 1/4 원으로 만곡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웨트 로가 용해로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스웨트 로를 회전시켜 장입용 노-맞물림 측벽(32)에 쉬운 접근을 제공한다. 스웨트 로는 조작자가 미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또는 차량 또는 온보드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밀려지거나 또는 끌어당져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웨트 로에는 래칭 메커니즘(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의 래치(19A)와 유사한 래치)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스웨트 로가 용해로와 맞물리기 위해 이동될 때 용해로에 대한 맞물림 위치에서 단단하게 유지된다.
도 4a와 도 4b는 스웨트 로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해로로부터 분리될 때 스웨트 로(20)의 플로어(34)가 수평인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는 스웨트 로의 장입을 쉽게 한다. 그러나 스웨트 로의 노-맞물림 측벽(32)이 저부로부터 상부로 예각 "β" 만큼 후방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스웨트 로가 용해로(10)의 수직 전방 벽과 접촉하기 위해 이동할 때 스웨트 로는 개구부(15)의 모든 둘레가 열, 가스 및 용탕의 손실에 대한 효과적인 밀봉을 형성하도록 화살표 "51"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울기를 갖고 스웨트 로와 용해로 사이에 적절한 접촉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도 2의 실시예의 각도 "α"와 등가로 스웨트 로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플로어(34)에 대한 상방으로의 기울기(α=90°-β)를 형성하며, 이에 의해 용탕은 전술한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용해로 내로 유출된다. 따라서 각도 "α"가 5°내지 45°(바람직하게는 15°내지 35°) 범위에 있으면, 각도 "β"는 45°내지 85°(바람직하게는 55°내지 75°) 범위에 있다. 요구된 기울기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은 리어 휠(47B)에 대해 유압 또는 공압으로 구동되는 신축자재의 지지체를 만들어 달성하거나 또는 스웨트 로의 후방에 기계식 또는 유압식 잭 또는 스크류(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 스웨트 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달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웨트 로(20)를 기울이는 데 사용할 수 있고, 모든 금속이 건조, 용융 및 용해로 내로 유출될 때까지 경사진 방향을 유지할 수 있는 프론트 엔드 로드(front end loader)와 같은 승강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웨트 로에는 스웨트 로를 용해로에 대해 업-경사 위치(up-tilted position)에서 단단하게 유지하기 위한 래치 수단이 다시 제공되거나 또는 스웨트 로에 더욱 정교한 안내 및 록킹 장치, 예를 들면 기울어지는 스웨트 로에 대한 용해로의 실 라인(sill line) 아래에 후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스웨트 로의 하부에 장착되어 스웨트 로의 일환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용해로 또는 스웨트 로의 상부에 장착되어 용해로 또는 스웨트 로의 일환으로 제조될 수 있다.
어떤 용해로의 경우에 있어서, 용해로의 전방 벽(16)은 수직이 아닌 최대 약 30°의 각도로 저부로부터 상부로 후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이러한 용해로의 예는 도 5a와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용해로의 전방 벽(16)의 후방 기울기 각도가 충분히 크면, 스웨트 로가 용해로로부터 분리될 때 스웨트 로는 수평 플로어(34)를 가질 수 있다(예를 들면, 플로어(34)를 형성하는 스웨트 로의 저부 벽 상의 라이닝 두께가 저부 벽 상의 모든 지점들에서 동일할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스웨트 로의 노-맞물림 벽(32)은 수직이 될 것이며, 스웨트 로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해로의 기울어진 전방 벽(16)을 완전하게 맞물도록 경사질 것이다. 이는 스웨트 로가 용해로와 맞물릴 때 플로어(34)가 경사지도록 하여, 용탕은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웨트 로로부터 용해로 내로 유출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노-맞물림 벽(32) 상에 제공된 수평-돌출 실(sill)(55)은 플로어(34)와 동일 평면이다. 스웨트 로(20)가 용해로와 접촉하면서 이동할 때 스웨트 로는 실(55)이 노 장입구(15) 내로 돌출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용해로 장입구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의 실의 간극은 스웨트 로가 용해로와의 밀봉 맞물림을 달성하도록 경사질 때(도 5b 참조), 용해로 장입구의 하부 가장자리에 대해 실이 구속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는 용탕이 스웨트 로와 용해로 사이의 하부 가장자리에서의 누설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모든 예시적 실시예는 이러한 목적으로 돌출 실을 포함할 수 있다.
용해로의 전방 벽(16)의 후방 기울기의 각도가 얕으면, 스웨트 로의 노-맞물림 위치에서의 플로어(34)의 요구 각도는 노-맞물림 벽(32)에 얕은 후방 기울기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보장하며, 이에 의해 스웨트 로는 용해로 벽(16)과의 완전한 맞물림을 위해 더 경사지게 된다. 대안적으로,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해로의 전방 벽(16)의 기울기 각도가 크면, 스웨트 로(20)의 노-맞물림 벽(32)에는 (파선 "5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수직에 대한) 얕은 전방 기울기가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부 벽용 라이닝은 후방 쪽으로 약간 두껍지만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두껍지 않으며, 따라서 플로어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선 "57"로 나타낸 바와 같은, 수평에 대해) 얕은 각도로만 기울어진다. 이는 장입을 위해 스웨트 로가 용해로로부터 이격될 때에도 플로어(34)에 기울기를 제공하지만, 이 기울기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해로와의 완전한 맞물림을 위해 기울어질 때 증가한다. 따라서 노-맞물림 위치에 있어서, 플로어의 기울기는 용탕 유출에 적합하며, 플로어의 기울기와 밀봉 맞물림을 형성하기 위해 요구된 기울기의 구성의 조합이다. 이런 이유로, 전방 벽, 플로어 및 용해로 벽의 기울기는 스웨트 로가 조작 위치에 있을 때 요구된 기울기 정도를 플로어에 제공하도록 모두 조정되거나 또는 맞추어질 수 있다.
모든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용해로 버너가 스웨트 로에서의 화염을 유지하기 위해 출력이 감소하거나 전용되더라도, 용해로는 정규 방식으로 조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많은 경우에 있어서 필요하지 않지만, 완전한 건조 전에 금속 장입물이 빠르게 용융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특히 용해로의 정상 온도가 1000℃를 초과할 때 유익하다.
Claims (26)
- 금속 장입구가 제공된 벽을 갖는 금속 용해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이동식 스웨트 로에 있어서,
상기 장입구가 있는 상기 용해로의 상기 벽과 접촉 및 비접촉으로 용해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중공 내부를 둘러싸는 외부 벽을 구비한 스웨트 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벽은 상기 중공 내부와 연통하는 단일의 개구부가 제공된 스웨트 로 본체의 노-맞물림 측벽을 제외하고 상기 중공 내부를 둘러싸며, 상기 단일의 개구부는 상기 내부로의 금속의 장입과 상기 내부로부터 상기 단일의 개구부를 통한 상기 용해로로의 용탕의 방출 모두를 위해 필요하고, 상기 내부는 금속 장입물을 지탱할 수 있는 플로어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는 용탕이 상기 내부에서 개구부를 통하여 유출되도록 상기 플로어에 대해 위치결정되며,
상기 스웨트 로 본체는 상기 용해로의 장입구와 정렬된 상기 개구부를 갖는 상기 스웨트 로 본체가 용해로의 벽과 밀봉 맞물림으로 이동될 때 상기 플로어는 수평에 대해 상기 개구부 쪽으로 하향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로 정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웨트 로 본체는 스웨트 로 본체의 개구부를 통해 금속 장입물을 스웨트 로 본체의 내부로 장입하기 위해 상기 스웨트 로 본체가 상기 용해로의 금속 장입구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어야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트 로. - 제1항에 있어서,
수평에 대한 상기 각도는 5°내지 45°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트 로. - 제1항에 있어서,
수평에 대한 상기 각도는 15°내지 35°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트 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플로어에 대해 90°로 배향되어 있고,
상기 스웨트 로 본체는 상기 용해로 벽과의 상기 접촉을 위해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트 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플로어에 대해 90°미만으로 배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트 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웨트 로 본체는 상기 개구부를 제외하고는 내화 단열재로 라이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트 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웨트 로 본체는 상기 내화 단열재를 둘러싸는 금속 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트 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는 상기 스웨트 로 본체의 수평 저부 벽의 상기 내화 단열재의 상부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내화 단열재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트 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맞물림 측벽 상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스웨트 로 본체의 플로어와 동일 평면인 상부면을 갖는 실(sill)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트 로. - 금속 장입구가 제공된 벽을 갖는 금속 용해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이동식 스웨트 로에 있어서,
상기 장입구가 있는 상기 용해로의 상기 벽과 접촉 및 비접촉으로 용해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중공 내부를 둘러싸는 외부 벽을 구비한 스웨트 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벽은 상기 중공 내부와 연통하는 개구부가 제공된 스웨트 로 본체의 노-맞물림 측벽을 제외하고 상기 중공 내부를 둘러싸며, 상기 내부는 금속 장입물을 지탱할 수 있는 플로어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는 용탕이 상기 내부에서 개구부를 통하여 유출되도록 상기 플로어에 대해 위치결정되며,
상기 스웨트 로 본체는 상기 용해로의 장입구와 정렬된 상기 개구부를 갖는 상기 스웨트 로 본체가 용해로의 벽과 밀봉 맞물림으로 이동될 때 상기 플로어는 수평에 대해 상기 개구부 쪽으로 하향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로 정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웨트 로 본체는 상기 용해로에 대해 피봇가능한 체결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트 로. - 금속 장입구가 제공된 벽을 갖는 금속 용해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이동식 스웨트 로에 있어서,
상기 장입구가 있는 상기 용해로의 상기 벽과 접촉 및 비접촉으로 용해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중공 내부를 둘러싸는 외부 벽을 구비한 스웨트 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벽은 상기 중공 내부와 연통하는 개구부가 제공된 스웨트 로 본체의 노-맞물림 측벽을 제외하고 상기 중공 내부를 둘러싸며, 상기 내부는 금속 장입물을 지탱할 수 있는 플로어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는 용탕이 상기 내부에서 개구부를 통하여 유출되도록 상기 플로어에 대해 위치결정되며,
상기 스웨트 로 본체는 상기 용해로의 장입구와 정렬된 상기 개구부를 갖는 상기 스웨트 로 본체가 용해로의 벽과 밀봉 맞물림으로 이동될 때 상기 플로어는 수평에 대해 상기 개구부 쪽으로 하향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로 정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웨트 로 본체는 상기 용해로의 벽과 접촉 및 비접촉으로 스웨트 로 본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레일-휠 조합 지지체(rails-wheels combination support)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트 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휠 조합 지지체는 플랜지형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트 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휠 조합 지지체는 상기 플랜지형 휠과 접촉하는 레일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레일은 직선이며, 용해로의 상기 벽에 직각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트 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휠 조합 지지체는 상기 플랜지형 휠과 접촉하는 레일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레일은 상기 스웨트 로 본체가 상기 용해로의 벽과 접촉 및 비접촉으로 이동될 때 만곡 경로를 따르도록 하는 아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트 로. - 금속 장입구가 제공된 벽을 갖는 금속 용해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이동식 스웨트 로에 있어서,
상기 장입구가 있는 상기 용해로의 상기 벽과 접촉 및 비접촉으로 용해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중공 내부를 둘러싸는 외부 벽을 구비한 스웨트 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벽은 상기 중공 내부와 연통하는 개구부가 제공된 스웨트 로 본체의 노-맞물림 측벽을 제외하고 상기 중공 내부를 둘러싸며, 상기 내부는 금속 장입물을 지탱할 수 있는 플로어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는 용탕이 상기 내부에서 개구부를 통하여 유출되도록 상기 플로어에 대해 위치결정되며,
상기 스웨트 로 본체는 상기 용해로의 장입구와 정렬된 상기 개구부를 갖는 상기 스웨트 로 본체가 용해로의 벽과 밀봉 맞물림으로 이동될 때 상기 플로어는 수평에 대해 상기 개구부 쪽으로 하향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로 정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밀봉 맞물림을 위해 상기 스웨트 로 본체를 기울이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트 로. - 금속 용해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이동식 스웨트 로에 있어서,
중공 내부를 둘러싸고 용탕 내화재로 라이닝된 외부 벽을 구비한 스웨트 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벽은 상기 중공 내부와 연통하는 단일의 개구부가 제공된 스웨트 로 본체의 하나의 측벽을 제외하고 상기 중공 내부를 둘러싸며, 상기 단일의 개구부는 상기 내부로의 금속의 장입과 상기 내부로부터 상기 단일의 개구부를 통한 상기 용해로로의 용탕의 방출 모두를 위해 필요하고, 상기 내부는 금속 장입물을 지탱할 수 있는 플로어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는 용탕이 상기 내부에서 개구부를 통하여 유출되도록 상기 플로어와 동일 평면에 위치결정되며,
상기 플로어는 수평에 대해 상기 개구부 쪽으로 하향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로 배열되고,
상기 이동식 스웨트 로의 본체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금속 장입물을 상기 내부로 장입하기 위해 상기 본체가 상기 용해로의 금속 장입구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어야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트 로.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는 상기 본체의 저부 벽을 라이닝하는 상기 내화재의 상부면이며,
수평에 대한 상기 각도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서의 상기 벽을 라이닝하는 상기 내화재의 점진적인 두께 상승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트 로.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5°내지 45°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트 로.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15°내지 35°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트 로.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트 로. - 이동식 스웨트 로에 있어서,
중공 내부를 둘러싸고 용탕 내화재로 라이닝된 외부 벽을 구비한 이동식 스웨트 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벽은 상기 중공 내부와 연통하는 개구부가 제공된 스웨트 로 본체의 하나의 측벽을 제외하고 상기 중공 내부를 둘러싸며, 상기 내부는 금속 장입물을 지탱할 수 있는 플로어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는 용탕이 상기 내부에서 개구부를 통하여 유출되도록 상기 플로어와 동일 평면에 위치결정되며,
상기 플로어는 수평에 대해 상기 개구부 쪽으로 하향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로 배열되고,
상기 본체는 그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트 로. - 금속 장입구가 제공된 벽을 갖는 금속 용해로와 상기 용해로와 함께 사용하도록 된 이동식 스웨트 로의 결합체에 있어서,
상기 스웨트 로는 상기 장입구가 있는 상기 용해로의 상기 벽과 접촉 및 비접촉으로 용해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중공 내부를 둘러싸는 외부 벽을 구비한 스웨트 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벽은 상기 중공 내부와 연통하는 단일의 개구부가 제공된 스웨트 로 본체의 노-맞물림 측벽을 제외하고 상기 중공 내부를 둘러싸며, 상기 단일의 개구부는 상기 내부로의 금속의 장입과 상기 내부로부터 상기 단일의 개구부를 통한 상기 용해로로의 용탕의 방출 모두를 위해 필요하고, 상기 내부는 금속 장입물을 지탱할 수 있는 플로어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는 용탕이 상기 내부에서 개구부를 통하여 유출되도록 상기 플로어에 대해 위치결정되며,
상기 스웨트 로 본체는 상기 용해로의 장입구와 정렬된 상기 개구부를 갖는 상기 스웨트 로 본체가 용해로의 벽과 밀봉 맞물림으로 이동될 때 상기 플로어는 수평에 대해 상기 개구부 쪽으로 하향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로 정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웨트 로 본체는 스웨트 로 본체의 개구부를 통해 금속 장입물을 스웨트 로 본체의 내부로 장입하기 위해 상기 스웨트 로 본체가 상기 용해로의 금속 장입구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어야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해로와 이동식 스웨트 로의 결합체. - 금속 장입구가 제공된 벽을 갖는 금속 용해로와 상기 용해로와 함께 사용하도록 된 이동식 스웨트 로의 결합체에 있어서,
상기 스웨트 로는 상기 장입구가 있는 상기 용해로의 상기 벽과 접촉 및 비접촉으로 용해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중공 내부를 둘러싸는 외부 벽을 구비한 스웨트 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벽은 상기 중공 내부와 연통하는 단일의 개구부가 제공된 스웨트 로 본체의 노-맞물림 측벽을 제외하고 상기 중공 내부를 둘러싸며, 상기 내부는 금속 장입물을 지탱할 수 있는 플로어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는 용탕이 상기 내부에서 개구부를 통하여 유출되도록 상기 플로어에 대해 위치결정되며,
상기 스웨트 로 본체는 상기 용해로의 장입구와 정렬된 상기 개구부를 갖는 상기 스웨트 로 본체가 용해로의 벽과 밀봉 맞물림으로 이동될 때 상기 플로어는 수평에 대해 상기 개구부 쪽으로 하향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로 정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웨트 로가 상기 용해로와 밀봉 맞물림되고 상기 용해로에서 멀어지는 선회를 허용하도록, 상기 스웨트 로 본체가 상기 용해로에 피봇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해로와 이동식 스웨트 로의 결합체. - 금속 장입구가 제공된 벽을 갖는 금속 용해로와 상기 용해로와 함께 사용하도록 된 이동식 스웨트 로의 결합체에 있어서,
상기 스웨트 로는 상기 장입구가 있는 상기 용해로의 상기 벽과 접촉 및 비접촉으로 용해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중공 내부를 둘러싸는 외부 벽을 구비한 스웨트 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벽은 상기 중공 내부와 연통하는 단일의 개구부가 제공된 스웨트 로 본체의 노-맞물림 측벽을 제외하고 상기 중공 내부를 둘러싸며, 상기 내부는 금속 장입물을 지탱할 수 있는 플로어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는 용탕이 상기 내부에서 개구부를 통하여 유출되도록 상기 플로어에 대해 위치결정되며,
상기 스웨트 로 본체는 상기 용해로의 장입구와 정렬된 상기 개구부를 갖는 상기 스웨트 로 본체가 용해로의 벽과 밀봉 맞물림으로 이동될 때 상기 플로어는 수평에 대해 상기 개구부 쪽으로 하향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로 정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웨트 로가 상기 밀봉 맞물림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스웨트 로를 상기 용해로에 체결하기 위한 해체식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해로와 이동식 스웨트 로의 결합체. - 제22항에 있어서,
수평에 대한 상기 각도는 5°내지 45°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해로와 이동식 스웨트 로의 결합체. - 제22항에 있어서,
수평에 대한 상기 각도는 15°내지 35°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해로와 이동식 스웨트 로의 결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7538809P | 2009-08-28 | 2009-08-28 | |
US61/275,388 | 2009-08-28 | ||
PCT/CA2010/001300 WO2011022818A1 (en) | 2009-08-28 | 2010-08-25 | Movable sweat hearth for metal melting furna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1750A KR20120051750A (ko) | 2012-05-22 |
KR101320621B1 true KR101320621B1 (ko) | 2013-10-23 |
Family
ID=4362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07909A KR101320621B1 (ko) | 2009-08-28 | 2010-08-25 | 금속 용해로용 이동식 스웨트 로 |
Country Status (13)
Country | Link |
---|---|
US (1) | US8414825B2 (ko) |
EP (1) | EP2470849B1 (ko) |
JP (1) | JP5550730B2 (ko) |
KR (1) | KR101320621B1 (ko) |
CN (1) | CN102575902B (ko) |
AU (1) | AU2010286285B2 (ko) |
BR (1) | BR112012004471B1 (ko) |
CA (1) | CA2770623C (ko) |
IN (1) | IN2012DN01547A (ko) |
PL (1) | PL2470849T3 (ko) |
RU (1) | RU2527533C2 (ko) |
WO (1) | WO2011022818A1 (ko) |
ZA (1) | ZA20120111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493493A (en) * | 2011-06-27 | 2013-02-13 | Melting Solutions Ltd | A reverbatory furnace with a dry hearth for preheating scrap metals and a barrier to prevent waste gases entering the main chamber |
CN103898337B (zh) * | 2012-12-31 | 2016-08-24 | 保定安保能冶金设备有限公司 | 再生铝自动熔化铝铁分离工艺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45849A (en) | 1981-05-25 | 1984-05-01 | Swiss Aluminium Ltd. | Device for thermal treatment of scrap |
US4578111A (en) | 1985-05-03 | 1986-03-25 | Gillespie & Powers, Inc. | Furnace and process for providing a source of molten metal |
US6245122B1 (en) | 2000-01-20 | 2001-06-12 | J. W. Aluminum Company | Apparatus and method for reclaiming scrap metal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757925A (en) * | 1951-08-01 | 1956-08-07 | Nat Steel Corp | Open hearth charging container with end-gate bridging means |
US2763903A (en) * | 1953-07-09 | 1956-09-25 | Allegheny Ludlum Steel | Apparatus for melting and casting refractory material |
US2818247A (en) * | 1953-08-14 | 1957-12-31 | Charles B Francis | Steel making apparatus |
DE1145749B (de) | 1959-11-14 | 1963-03-21 | Rekuperator K G Dr Ing Schack | Schmelzofen fuer Schrott, Masseln u. dgl. und Verfahren zu seinem Betrieb |
DE1433431B2 (de) * | 1963-10-29 | 1971-12-16 | Fried Krupp GmbH, 4300 Essen | Schmelzofen zur herstellung von stahl und verfahren zum betrieb des ofens |
US3589692A (en) * | 1968-08-13 | 1971-06-29 | Pennsylvania Engineering Corp | Hot scrap charging |
SU382712A1 (ru) * | 1971-10-27 | 1973-05-25 | Вакуумная электропечь | |
JPS491505U (ko) * | 1972-04-11 | 1974-01-08 | ||
SU1211570A1 (ru) * | 1983-10-31 | 1986-02-15 |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ый Институт Вторичных Цветных Металлов |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огрева шихты |
US4681537A (en) * | 1986-05-29 | 1987-07-21 | Intersteel Technology,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charging a steelmaking furnace |
JP2873593B2 (ja) * | 1989-12-28 | 1999-03-24 | 中部電力株式会社 | アルミインゴットの冷材供給による急速溶解方法と装置 |
JP4305600B2 (ja) * | 2001-07-05 | 2009-07-29 |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材料投入装置および材料投入方法 |
CN100491881C (zh) * | 2004-08-04 | 2009-05-27 | 株式会社名铸 | 金属熔解炉 |
-
2010
- 2010-08-24 US US12/806,939 patent/US8414825B2/en active Active
- 2010-08-25 WO PCT/CA2010/001300 patent/WO201102281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8-25 AU AU2010286285A patent/AU2010286285B2/en not_active Ceased
- 2010-08-25 PL PL10811060T patent/PL2470849T3/pl unknown
- 2010-08-25 RU RU2012110145/02A patent/RU2527533C2/ru active
- 2010-08-25 KR KR1020127007909A patent/KR10132062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8-25 BR BR112012004471-0A patent/BR112012004471B1/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08-25 CN CN201080038666.6A patent/CN10257590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8-25 EP EP20100811060 patent/EP2470849B1/en active Active
- 2010-08-25 JP JP2012525828A patent/JP555073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8-25 CA CA2770623A patent/CA2770623C/en active Active
-
2012
- 2012-02-15 ZA ZA2012/01119A patent/ZA201201119B/en unknown
- 2012-02-21 IN IN1547DEN2012 patent/IN2012DN01547A/en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45849A (en) | 1981-05-25 | 1984-05-01 | Swiss Aluminium Ltd. | Device for thermal treatment of scrap |
US4578111A (en) | 1985-05-03 | 1986-03-25 | Gillespie & Powers, Inc. | Furnace and process for providing a source of molten metal |
US6245122B1 (en) | 2000-01-20 | 2001-06-12 | J. W. Aluminum Company | Apparatus and method for reclaiming scrap met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RU2527533C2 (ru) | 2014-09-10 |
AU2010286285A1 (en) | 2012-03-08 |
BR112012004471A2 (pt) | 2020-08-11 |
JP2013503315A (ja) | 2013-01-31 |
JP5550730B2 (ja) | 2014-07-16 |
KR20120051750A (ko) | 2012-05-22 |
AU2010286285B2 (en) | 2014-01-23 |
US20110049772A1 (en) | 2011-03-03 |
CN102575902A (zh) | 2012-07-11 |
AU2010286285A2 (en) | 2012-12-13 |
EP2470849B1 (en) | 2015-04-29 |
US8414825B2 (en) | 2013-04-09 |
ZA201201119B (en) | 2013-05-29 |
WO2011022818A1 (en) | 2011-03-03 |
EP2470849A4 (en) | 2013-12-18 |
IN2012DN01547A (ko) | 2015-06-05 |
RU2012110145A (ru) | 2013-10-10 |
EP2470849A1 (en) | 2012-07-04 |
BR112012004471B1 (pt) | 2021-04-20 |
CA2770623C (en) | 2013-11-12 |
CN102575902B (zh) | 2014-09-24 |
PL2470849T3 (pl) | 2015-09-30 |
CA2770623A1 (en) | 2011-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58022B2 (en) | Crucible-type continuous melting furnace | |
JP6178876B2 (ja) | 原料運搬バケット、予熱装置、溶解設備、および溶解設備の操業方法 | |
KR100920977B1 (ko) | 용탕 이송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용탕 이송 방법 | |
US5846480A (en) | Aluminum remelting furnace, in particular for melting aluminum scrap to be recycled | |
KR101320621B1 (ko) | 금속 용해로용 이동식 스웨트 로 | |
US20150036712A1 (en) | Electric glory hole furnace assembly | |
US11486642B2 (en) | Multi-chamber melting furnace and method for melting non-ferrous scrap metal | |
RU2715270C2 (ru) | Плав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лавления | |
KR101530700B1 (ko) | 알루미늄 용해로 | |
US4578111A (en) | Furnace and process for providing a source of molten metal | |
CN205309288U (zh) | 一种倾翻式兑铁运输车 | |
JPH11320079A (ja) | 坩堝炉式取鍋 | |
KR920001710B1 (ko) | 경사질 수 있는 레이들용 커버 | |
US455234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heating and charging scrap in steelmaking | |
JP2000061616A (ja) | 鋳物用取鍋 | |
JPH0330796Y2 (ko) | ||
JP2000046481A (ja) | 炉頂予熱装置付きアーク炉 | |
JPH05312475A (ja) | 連続スクラップ装入式アーク炉 | |
GB2131933A (en) | Installation for charging industrial furnaces | |
JPH08254306A (ja) | 電気式灰溶融炉のメタル排出方法および装置 | |
JPH10323750A (ja) | 取 鍋 | |
JP2001208307A (ja) | 溶融炉及びその出湯装置 | |
LU88440A1 (fr) | Dispositif de chargement d'un four électriqu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