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372A - 녹차기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녹차기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372A
KR20190131372A KR1020180056154A KR20180056154A KR20190131372A KR 20190131372 A KR20190131372 A KR 20190131372A KR 1020180056154 A KR1020180056154 A KR 1020180056154A KR 20180056154 A KR20180056154 A KR 20180056154A KR 20190131372 A KR20190131372 A KR 20190131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oil
weight
parts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준성
Original Assignee
문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준성 filed Critical 문준성
Priority to KR1020180056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1372A/ko
Publication of KR20190131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0Removing unwanted substan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기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조된 녹차를 선별하여 식용유지에 중탕하여 녹차향미유를 제조하는 1단계; 상기 녹차향미유를 냉각하는 2단계; 상기 냉각된 녹차향미유에 녹차풍미유를 투입하여 혼합녹차향미유를 제조하는 3단계; 및 상기 혼합녹차향미유를 여과 및 정제하는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녹차기름은, 식용유지 100 중량부 대비 건조된 녹차 12~25 중량부로 첨가하여 중탕하여 얻어지는 녹차향미유 및 녹차추출액과 식용유지를 6:4 중량비율로 혼합한 녹차풍미유를 혼합한 혼합녹차향미유로 이루어지고, 혼합녹차향미류 중량 100 대비 녹차풍미유를 0.5~1.5 중량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녹차기름을 이용하여 요리하는 경우에 향미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고, 비활성처리된 녹차추출액의 산패를 막고, 향이 보관기간 중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녹차기름 및 그 제조방법{Flavored oil with Green tea extra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녹차기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선 및 육류를 포함한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할때 재료의 잡냄새를 없애고, 별도의 향을 내기위한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요리에 향을 더할 수 있는 녹차기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향미유는 압착한 참기름, 압착한 들기름을 제외한 식용유지에 향신료, 향료, 천연추출물, 조미료 등을 혼합한 것으로, 조리 또는 가공시 풍미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식품공전에 소개되어 있다. 식용유지는 동물성 유지 또는 식물의 씨앗·견과류·열매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글리세롤의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음식물의 조리 시 풍미감을 내기 위하여 조미료로 첨가되거나 각종 생선류 또는 육류의 튀김요리나 볶음요리 등의 조리과정에서 사용되는 식용가능한 기름을 일컫는다. 대두유, 유채유, 참기름 등의 식물유, 돈지, 우지 등의 동물지 등 많은 것이 포함된다.
식용유지에는 튀김유와 같이 그 원료로부터 채취하고 정제하여 그대로의 형태로 시판되는 것과, 마가린 등과 같이 원료유를 가공하여 소위 이차제품으로 시판되는 것이 있다. 특수한 유지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유지는 식용이 되지만, 원료사정이나 기름의 성상 등에 의해서 식용유지로 되는 유지의 종류는 비교적 한정되어 있고, 올레산, 리놀레산계 유지, 에루스산계 유지, 리놀렌산계 유지, 고도불화산계 유지, 가축지, 식물지, 라우르산계 유지, 우유지방 등으로 분류된다. 한편, 용도에 의해서 식용유지는 샐러드유, 튀김유 등으로도 분류된다.
한편 녹차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 O. Kuntze)의 싹이나 잎을 가공한 것으로 녹차에는 카테킨, 카페인, 아미노산, 섬유소, 비타민, 무기질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들 성분들에 의해 항산화작용, 항균작용, 소취작용, 콜레스테롤 재흡수 억제 등의 다양한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녹녹차는 일찍이 생선, 육류 등과 같은 재료의 잡냄새를 제거하고 녹차 고유의 향을 부여하여 요리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녹차는 그 잎을 사용하는 경우 요리재료에 혼입되어 다소 완성된요리가 지저분하게 보일 수 있고, 녹차를 우려낸 물을 사용하는 경우 튀김이나 볶음 요리를 할때 요리자의 숙련도에 따라 수분으로 인해 기름이 튀는 등 위험이 있고, 풍부하고 균일한 향미를 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요리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식물성 유지는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저장 및 조리가공시 산패되어 과산화물의 생성, 불쾌취의 형성, 영양소의 손실 등이 나타나고 이에 의한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천연 및 합성 항산화제를 사용하여 산화를 억제시키고 있다. BHT(Butylated hydroxytolulene), BHA(Butylated hydroxyanisole) 등의 합성 항산화제는 뛰어난 효과와 경제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과량 사용시에 안정성에 문제가 있어 사용량이 법적으로 규제되고 있으며,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천연 항산화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천연항산화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토코페롤은 인체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나 항산화 효과가 제한적이고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인체에 무해하면서 항산화력이 우수하고, 경제적인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차의 항산화작용을 이용하여 식용유지의 산폐를 막기위해 식용유지에 녹차성분을 가미한 식용유지가 개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녹차 식용유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118341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033332호 등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 제10-2009-0118341호는 녹차 추출물 제조시 100℃ 이상의 기름과 스팀으로 녹차성분을 추출함에 따른 원가상승 요인이 높고, 수용성 녹차추출물과 식용유의 균질혼합이 어려워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제10-2010-0033332호는 초임계 방식으로 녹차성분을 추출함에 따라 초기시설비 및 전기료 등 운전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053985호는 녹차성분 함유 식용유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0-60℃에서 녹차엽 또는 분쇄된 차엽을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이를 농축하고 유화제를 혼합하여 식용유에 혼합하여 녹차성분이 함유된 식용유를 제조하는 것이나, 녹차 추출물의 저장안정성이 떨어져 이를 혼합하여 만들어진 식용유지가 변질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1834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3333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3985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요리과정에서 간편하게 생선 및 육류 등 재료에서의 냄새를 제거하고 녹차향미가 있는 요리를 할 수 있고, 간편비숙련자도 풍부하고 균일한 향미를 낼 수 있는 녹차기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산화 유용성분이 함유된 녹차추출물을 식용유지에 혼합하여 보존기간 동안 산폐의 위험을 방지하고, 녹추추출물의 저장안정성을 개선하여 식용유지의 보존기간 동안 녹차향이 유지되는 녹차기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조된 녹차를 선별하여 식용유지에 중탕하여 녹차향미유를 제조하는 1단계; 상기 녹차향미유를 냉각하는 2단계;
상기 냉각된 녹차향미유에 녹차풍미유를 투입하여 혼합녹차향미유를 제조하는 3단계; 및 상기 혼합녹차향미유를 여과 및 정제하는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녹차풍미유는 녹차추출액과 식용유지를 6:4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혼합녹차향미유 총중량대비 0.5~1.5 중량부로 첨가하고, 상기 녹차추출액은 녹차를 에탄올에 혼입하여 교반하고 50~ 60℃에서 100~150분간 녹차성분을 추출하고, 100~110℃ 로 10분간 가열한 후 여과하여 녹차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녹차추출물에 에탄올과 유화제를 각각 3:2:5의 비율로 혼합하여 90~95℃에서 60분간 유화시킨 다음, 75~85℃에서 10~20 시간 가열한 후 냉각 및 여과시켜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녹차기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단계는 식용유지 100 중량부에 건조된 녹차 12~25 중량부로 첨가하여, 90~ 120℃ 에서 50~70분간 중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식용유지 100 중량부, 건조된 녹차 12~25 중량부, 녹차추출액과 식용유지를 6:4 중량비율로 혼합한 녹차풍미유 0.5~1.5 중량부를 포함하여 함유되는 녹차기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녹차기름을 이용하여 생선류나 육류 등의 식재료를 튀기거나 볶아 익히는 경우에 녹차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에 의해 해당 식재료로부터 발생되는 특유의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고, 향미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발명에 따른 녹차기름 및 그 제조방법은 녹차성분의 추출액이 포함되어 녹차성분의 약리작용에 의하여 식용유지의 산패를 막고, 녹차추출물의 저장안정성이 확보되어 녹차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보관기간 중에 변질없이 녹차향미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차기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차기름을 제조하기 위한 가열탱크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차기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차기름을 제조하기 위한 가열탱크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먼저 건향신재료를 준비한다.
제1단계
녹차를 선별하고 세척한 다음, 재료의 특성 상 필요시 재료를 절단하여 건조시킨다.
녹차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 L)에 속하는 것으로 다년생 상록 관목수로 현재 차는 커피, 카카오와 함께 세계 3대 기호음료로 음용되고 있다. 차는 생체의 복잡한 생명활동을 조절하는 식품의 3차 기능으로서 생체리듬의 조절, 면역력의 증진, 질병의 예방이나 회복, 노화억제 등의 신체조절기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그 효능이 지속적으로 연구개발되고 있다. 녹차는 비타민과 무기질의 영양소를 공급하고, 떫은 맛의 주성분인 카테킨(catechin)류는 각성작용, 이뇨작용, 피로회복작용 등이 있다고 알려져있고, 특유의 독특한 맛을 내는 테아닌(theaine) 성분이 맛과 향 등의 기호를 충족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20여종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고, 항산화작용 등 여러가지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재배된 녹차 잎을 채취하여 1차 건조시킨 후 220℃에서 볶음처리하여 산화효소를 파괴시켜 녹색을 유지하도록 하고, 2차 건조시킨 것을 사용한다. 상기 녹차잎은 자연건조, 열풍, 동결 및 감압 등에 의한 건조방법으로 건조하여 사용한다. 수분을 제거하지 않거나 수분함량이 높은 경우 식용 유지에 넣고 향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증발하지 못한 수분은 유지를 변질 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건조과정을 통해 수분함량을 5% 이하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된 녹차는 식용유지 100 중량부에 건조된 녹차 12~25 중량부로 첨가하여, 90~ 120℃ 에서 50~70분간 중탕하여 식용유지에 녹차의 향미를 추출한다.
가열탱크에 식용유지를 넣고, 상기 건녹차가 들어간 추출망을 가열탱크에 투입하여, 중탕으로 가열한다. 식용유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건조된 녹차 12~25 중량부를 첨가한다. 건조 녹차를 12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경제적이나 향미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25 중량부 초과하여 건조된 녹차를 첨가하는 경우 녹차의 함량이 높아져 가격이 높아지고 향미가 과다하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가열탱크(10) 내에 장착된 히터봉(20)으로 식용유지를 90~ 120℃ 로 가열하여 50~70분간 중탕하여 가열한다. 가열탱크(10)에는 식용유지 공급관(50)이 연결되어 있어 식용유지를 공급관(50)을 통해 가열탱크(10) 내로 유입한다.
이 단계를 통해 1차로 식용유지에 녹차 향미 특성을 부여한다. 건조된 찻잎의 성분의 20~30%는 수용성 성분이고, 70~80%는 불용성 성분으로, 지용성 성분으로 비타민 E, 베타카로틴, 케테킨(일부)가 포함되고 수용성 성분으로는 카테킨류, 비타민C, 아미노산, 당질 등이 있다. 식용유지에 중탕함으로써 녹차에 포함되는 지용성 유용성분이 추출되고 이들 유용성분은 녹차의 향미와 함께 항산화효능을 부여한다.
120℃를 초과하여 가열하는 경우 녹차의 영양성분 추출이 감소되고, 높은 가열온도에 의해 향미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90℃ 미만으로 가열하는 경우 향신성분의 추출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떨어진다.
제2단계
상기 녹차향미유를 15~ 20℃ 정도의 상온으로 냉각한다.
가열탱크(10)의 표면으로 따라 냉각수를 순환 공급하여 빠른 시간내에 냉각시킨다. 도 2의 가열탱크(10)에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파이프(45)가 연결되어 펌프의 유입관(40)으로 냉각수가 공급되고, 가열탱크표면의 열을 식하고 데워진 냉각수는 배출관(45)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빠른 시간내에 녹차향미유를 냉각함으로써 향미의 증발을 막고 산폐를 방지할 수 있다.
제3단계
상기 냉각된 녹차향미유에 녹차풍미유를 투입하여 혼합녹차향미유를 제조한다.
상기 제2단계에 의한 녹차향미유는 가열탱크(10)에 연결된 혼합기(30)로 이동하고, 혼합기(30)에서 균일하게 혼합된다. 녹차향미유는 녹차의 유용성분 가운데 지용성 유용성분이 포함되나, 식용유지의 보존기간이 통상 1년정도로 비교적 장기간 균일한 향이 발산되어야 하므로 이 단계에서 녹차풍미유를 추가하여 향미를 증대하고, 또한 이 과정에서 천연항산화제인 녹차추출액를 혼입함으로써 산폐를 지연시키고 보존안정성을 높인다.
상기 녹차향미유는 녹차추출액과 식용유지를 6:4 중량부로 혼합한 것으로, 혼합녹차향미유 총중량대비 0.5~1.5 중량부로 첨가한다.
상기 녹차추출액은 녹차를 에탄올에 혼입하여 교반하고 50~ 60℃에서 100~150분간 녹차성분을 추출하고, 100~110℃ 로 10분간 가열한 후 여과하여 녹차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녹차추출물에 유화제와 에탄올을 각각 3:5: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90~95℃에서 60분간 유화시킨 다음, 75~85℃에서 10~20 시간 가열한 후 냉각 및 여과시켜 제조한다. 녹차는 천연항산화제로 식용유지의 산폐를 막고 보전안정성을 높인다.
본 발명에 따른 녹차추출물은 1차로 50~ 60℃에서 유용성분을 추출하고, 2차로 100~90℃ 로 가열하여 비활성화시킴으로써 녹차추출물의 저장안정성을 개선하여 보존안정성이 높은 향이 가미된 식용유지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55℃에서 추출하는 것이 항산화물질을 포함한 유용성분의 추출효율이 우수하다.
한편, 녹차잎으로부터 유효 성분의 추출은 물, 에탄올 등의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녹차추출물은 액상 혹은 분말화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식용 유지에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해 수분을 제거한 분말화된 녹차추추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녹차잎에 부피비로 3∼5배의 용매를 가하고, 50~60℃정도로 유지하면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한다.이후 2차로 100~110℃ 로 가열하여 비활성화시킨다. 녹차추출물을 60℃ 이하의 온도에서 유용성분을 추출하여 유화시켜 사용하는 경우 추출물의 효소활성화로 인한 변질의 우려가 있으므로, 100~110℃ 로 가열하여 비활성화시킴으로써 녹차추출물을 안정화시킬수 있다. 비활성화시킨 추출액을 여과한 후 원심 분리를 통하여 잔사를 완전히 제거한 후 감압농축기에서 수분함량 15∼20%까지 농축한 후 진공 건조기 또는 분무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분말로 만든다.
녹차추출물에는 우수한 항산화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지만 추출된 수용성 유용성분을 유지에 첨가하였을 경우 혼탁해지고 불균일하게 분포하게 된다. 따라서 유지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유용성 항산화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화과정을 거쳐야한다. 녹차추출물을 에탄올과 혼합하고 여기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균질하게 혼합, 유화시킴으로써 식용유지에 혼합하였을때 식용유지가 균일하게 혼합되어 혼탁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유화시키기 위해 2가지 이상의 유화제를 혼합 사용하면 유화제의 지방산기가 계면에서 분자간 인력에 의해서 회합되기 때문에 안정한 유화액을 만들 수 있다. 글리세린지방산에스터, 자당지방산에스터, 소비탄지방산에스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터, 대두인지질, 스테아릴젖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일 이상 선택하여 사용된다. 수용성 성분을 유화시키기 위해서는 단계적으로 수용성 성분을 유용화시켜야 유화액의 안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단계적으로 HLB가 높은 단계에서 낮은 단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녹차추출물과 에탄올 및 유화제는 각각 3:2:5 중량비로 혼합하여 녹차추출물을 유화시킨다. 유화제가 위 중량비에 비해 적게 첨가되는 경우 유화효과가 달성되지 못하고,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에는 유화에는 문제가 없지만 녹차추출물이 희석되어 원하는 항산화력을 얻지 못하게 된다. 교반 유화시 온도는 90~95℃로 유지하고 30분 이상 60분 가량 교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녹차추출물에 에탄올을 혼합하고 유화제를 투입하여 교반시킨 후, 75~85℃에서 10~20 시간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이후 냉각 및 여과시켜 녹차추출액을 제조한다.
녹차풍미유는 상기 녹차추출액과 식용유지를 6:4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녹차추출액과 식용유지를 미리 혼합함으로써 이후 다량의 혼합녹차향미유에 첨가하여 혼합하는 경우 용이하게 혼합된다.
상기 녹차풍미유는 혼합녹차향미유 총중량대비 0.5~1.5 중량부로 첨가한다. 녹차풍미유를 0.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하는 경우 항산화효과가 떨어지고,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유지가 혼탁하여 제품성이 떨어진다.
제4단계
상기 혼합대파향신유를 여과 및 정제하여 제조한다.
상온에서 혼합대파향신유를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시키고 정제하여 상등액을 분리하여 추출한 다음, 포장하여 출하한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녹차기름은 식용유지 100 중량부, 건조된 녹차 12~25 중량부, 녹차추출액과 식용유지를 6:4 중량비율로 혼합한 녹차풍미유를 0.5~1.5 중량부로 포함하여 함유하고, 녹차에 의한 특유의 향이 함유되어 이를 이용하여 식재료를 튀기거나 볶아 익히는 등의 조리시에 재료 특유의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고, 향미를 증진시킨다.
또한 녹차추출액 항산화작용을 이용하여 식용유지의 산폐를 막을 수 있으며, 녹차추출액을 고온에서 가열하여 비활성화하므로 저장안정성이 확보되어 통상의 유통기간인 12개월 동안 향이 지속되어 식용유지의 보관기간 중의 저장안정성이 향상되었다.
수분함량이 5%인 건조된 녹차를 준비하고 165g 계량하여 추출망에 투입하였다.
가열탱크에 식용유지로 대두 773g 투입하고, 상기 추출망을 챔버에 넣어 100℃에서 60분간 중탕으로 가열하였다. 이후 가열탱크를 급냉각하여 20℃ 상온으로 녹차향미유를 냉각시키고, 추출망을 제거하였다. 냉각된 녹차향미유는 200mesh의 필터로 걸러 녹차재료 찌꺼기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혼합챔버에 이송하였다. 혼합챔버에 상기 녹차향미유에 녹차풍미유 7g을 투입하여 60분간 혼합하였다. 녹차풍미유는 녹차추출액과 옥배유를 6:4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으로, 녹차추출액은 녹차를 에탄올에 혼입하여 교반하고 50~ 60℃에서 100~150분간 녹차성분을 추출하고, 100~110℃ 로 10분간 가열하여 비활성화한 후 여과하여 녹차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녹차추출물에 에탄올과 유화제를 각각 3:2:5의 비율로 혼합하여 90~95℃에서 60분간 유화시킨 다음, 75~85℃에서 10~20 시간 가열한 후 냉각 및 여과시켰다.
한편, 본원 발명에 따른 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맛과, 향에 대해 50명에 블라인드 테스트를 실시하였고 각각 양호(5점), 보통(3점), 부족(1점)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1에 의한 녹차향미유는 녹차향이 양호(5)하다고 평가되었고, 육안으로 관찰하였을때 녹차향미유의 색상도 맑고 투명하여 품질이 양호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4)

  1. 건조된 녹차를 선별하여 식용유지에 중탕하여 녹차향미유를 제조하는 1단계;
    상기 녹차향미유를 냉각하는 2단계;
    상기 냉각된 녹차향미유에 녹차풍미유를 투입하여 혼합녹차향미유를 제조하는 3단계; 및
    상기 혼합녹차향미유를 여과 및 정제하는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녹차풍미유는 녹차추출액과 식용유지를 6:4의 중량부로 혼합한 것으로, 혼합녹차향미유 총중량 대비 0.5~1.5 중량부로 첨가하고,
    상기 녹차추출액은
    녹차를 에탄올에 혼입하여 교반하고 50~ 60℃에서 100~150분간 녹차성분을 추출하고, 100~110℃ 로 10분간 가열하여 비활성화한 후 여과하여 녹차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녹차추출물에 에탄올과 유화제를 각각 3:2:5의 중량부로 혼합하여 90~95℃에서 60분간 유화시킨 다음, 75~85℃에서 10~20 시간 가열한 후 냉각 및 여과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기름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식용유지 100 중량부 대비 건조된 녹차 12~25 중량부로 첨가하여, 90~ 120℃ 에서 50~70분간 중탕하여 녹차향미유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기름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며, 식용유지 100 중량부 대비 건조된 녹차 12~25 중량부로 첨가하여 중탕하여 얻어지는 녹차향미유; 및 녹차추출액과 식용유지를 6:4 중량비율로 혼합한 녹차풍미유;를 혼합한 혼합녹차향미유로 이루어지고, 혼합녹차향미류 중량 100 대비 녹차풍미유를 0.5~1.5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기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녹차추출액은
    녹차를 에탄올에 혼입하여 교반하고 50~ 60℃에서 100~150분간 녹차성분을 추출하고, 100~110℃ 로 10분간 가열하여 비활성화한 후 여과하여 녹차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녹차추출물에 에탄올과 유화제를 각각 3:2:5의 중량부로 혼합하여 90~95℃에서 60분간 유화시킨 다음, 75~85℃에서 10~20 시간 가열한 후 냉각 및 여과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기름.
KR1020180056154A 2018-05-16 2018-05-16 녹차기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313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154A KR20190131372A (ko) 2018-05-16 2018-05-16 녹차기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154A KR20190131372A (ko) 2018-05-16 2018-05-16 녹차기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372A true KR20190131372A (ko) 2019-11-26

Family

ID=68731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154A KR20190131372A (ko) 2018-05-16 2018-05-16 녹차기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13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68861A (zh) * 2019-11-29 2021-06-01 内蒙古伊利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咖啡或茶的提取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8341A (ko) 2008-05-13 2009-11-18 이건아 녹차유가 함유된 식용유의 제조방법
KR20100033332A (ko) 2009-04-29 2010-03-29 (주)보성녹차테크 다엽 식용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053985B1 (ko) 2010-11-17 2011-08-04 한국식품연구원 녹차성분 함유 식용유지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8341A (ko) 2008-05-13 2009-11-18 이건아 녹차유가 함유된 식용유의 제조방법
KR20100033332A (ko) 2009-04-29 2010-03-29 (주)보성녹차테크 다엽 식용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053985B1 (ko) 2010-11-17 2011-08-04 한국식품연구원 녹차성분 함유 식용유지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68861A (zh) * 2019-11-29 2021-06-01 内蒙古伊利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咖啡或茶的提取物及其制备方法
CN112868861B (zh) * 2019-11-29 2024-04-09 内蒙古伊利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咖啡或茶的提取物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780B1 (ko) 대파향이 가미된 식용유지 및 그 제조방법
CN1830307A (zh) 调味油及其制备方法
KR101860781B1 (ko) 야채기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018334B1 (ko) 기능성 조미 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조미 김
CN112352939A (zh) 一种卤味红油及其制作方法
KR100372754B1 (ko) 김의 새로운 조미가공 방법
KR20190131372A (ko) 녹차기름 및 그 제조방법
CN108936586A (zh) 一种香辣香菇鱼子酱及其制备方法
KR102077585B1 (ko) 아마씨를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812937B (zh) 富肽风味牛油及其制备方法
KR102077601B1 (ko)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40755B1 (ko) 마라향미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739448B1 (ko) 황칠추출액과 양파추출액이 혼합된 혼합액 및 황칠과 양파가 함침된 구운 소금을 이용한 된장 제조방법
KR102613945B1 (ko) 들깨를 포함하는 파스타 소스
KR20010057345A (ko) 색상을 갖는 기능성 두부의 제조방법
JPH05987B2 (ko)
KR20200141149A (ko) 홍삼 돈수육의 제조 방법
KR102022778B1 (ko) 식용유의 제조 방법
KR102344164B1 (ko) 통닭튀김 전용유 제조방법
KR102020300B1 (ko) 우지를 이용한 버터 대용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02119B1 (ko) 전복 김밥 및 그 제조방법
CN111436512B (zh) 一种甘薯叶茶及其制作方法
CN109393437B (zh) 一种香辣醇滑的牛蛙酱及其加工工艺
CN107637667A (zh) 一种调和型动植物混合食用油
KR100528568B1 (ko) 재첩과 효모엑기스를 주재료로 하는 천연 조미료 및 그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