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706A -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706A
KR20190129706A KR1020190046448A KR20190046448A KR20190129706A KR 20190129706 A KR20190129706 A KR 20190129706A KR 1020190046448 A KR1020190046448 A KR 1020190046448A KR 20190046448 A KR20190046448 A KR 20190046448A KR 20190129706 A KR20190129706 A KR 20190129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angle
setting
focus
zoom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0054B1 (ko
Inventor
쇼타 니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9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04N23/662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by using master/slave camera arrangements for affecting the control of camera image capture, e.g. placing the camera in a desirable condition to capture a desired image
    • H04N5/2329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3206
    • H04N5/232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촬상소자를 틸트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촬상장치의 제어장치는, 틸트 각도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틸트 각도 설정부와, 틸트 각도의 설정중에는, 틸트 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를 변경하지 않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촬상소자의 틸트의 구동부를 갖는 촬상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감시 카메라를 높은 위치에 설치하고(예를 들어, 오버헤드 카메라), 카메라의 광축을 비스듬히 아래측을 향하여, 감시 카메라가 도로를 통행하는 사람을 감시하거나, 차와 그것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 경우,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과 같이, 카메라의 광축에 수직한 평면에 놓이는) 카메라의 초점 평면이 촬상을 행하는 대상이 되는 피사체(예를 들어, 사람/차)와 다른 평면에 놓인다. 즉, 카메라가 상승된 위치에로부터 비스듬히 피사체를 관찰/촬영할 때, 촬상을 행할 피사체의 평면이 카메라의 광축에 수직하게 기울어지지 않을 수 있다. 그 때문에, 화면에서 피사체의 상을 관찰할 때, 화상의 일부만 초점이 맞추어지는 한편, 화상의 나머지는 초점이 맞지 않을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학계의 조리개 크기를 조이는 것에 의해 피사계 심도를 증가시켜, 초점 벗어남 상태를 방지/최소화하는 방법이 있다. 그렇지만, 저조도 상태에서 촬영을 행하는 감시 카메라에서는, 조리개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 또는 거의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촬영이 행해지는 일이 많다. 이 정도까지 조리개를 개방하면, 피사계 심도는 얕아져 버려, 전체 화상이 전체 화면 위에서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가 반드시 되지는 않는다. 그 결과, 전체 촬영, 또는 그것의 대부분이 초점벗어남 상태에서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tile-shift(TS) 렌즈 등의 틸트가능한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촬상소자에 대하여 카메라의 촬상 렌즈를 기울여, 피사계 심도 범위를 넓히는 방법이 있다. 한편, 렌즈에 대하여 촬상소자를 상대적으로 기울여, 피사계 심도 범위를 넓히는 기술이 있다.
일본국 특개 2017-163301호 공보에는 관련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이 기술에 따르면, 촬상소자의 틸트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한 회전 구동부를 구비하고, 촬상방향의 팬 또는 틸트 각도에 근거하여, 회전 구동부에 의해 틸트 각도를 제어한다. 일본국 특개 2010-130633호 공보에도 관련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이 기술에 따르면, 촬상장치의 틸트 각도, 촬상광학계의 초점거리 정보 및 주요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피사체 거리정보에 근거하여, 틸트 각도를 산출한다. 더구나, 산출한 틸트 각도에 근거하여 촬상소자의 틸트 각도를 조절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촬상소자의 틸트 각도를 조정하는 장치를 구비한 촬상장치(예를 들면, 카메라)의 줌 설정을 조정할 때, 촬상소자의 틸트 각도의 설정/조정중에 장치의 줌 렌즈가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촬상소자의 위치에 대해 줌렌즈의 위치가 바뀐다. 이에 따라, 포커스 위치도 바뀌기 때문에, 틸트 각도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은, 촬상소자의 각도를 틸트하는 회전장치를 갖는 촬상장치의 파라미터를 스무스하게 설정할 수 있는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촬상소자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촬상장치의 제어장치는, 유저 조작에 근거하여 틸트 각도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틸트 각도 설정부와, 틸트 각도의 설정중에는, 틸트 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를 변경하지 않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전체도다.
도 2는 감시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도 3은 줌 설정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포커스 설정 화면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틸트 각도 설정 화면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설정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7은 설정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8은 설정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9는 모드 관리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0은 파라미터 관리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전체도다. 감시 카메라(100)와 제어장치(110)는 네트워크를 거쳐 서로 통신가능한 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장치(110)는, 감시 카메라(100)에 대하여, 각종 코맨드를 송신한다. 감시 카메라(100)는, 그들 코맨드에 대한 리스폰스를 제어장치(110)에 송신한다. 감시 카메라(100)에서는, 줌 및 포커스의 조정이 가능하다.
도 2는, 감시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감시 카메라(100)는, 촬상부(201)와, 화상처리부(202)와, 시스템 제어부(203)와, 기억부(204)를 갖고 있다. 감시 카메라(100)는 또한, 렌즈 구동부(205)와, 화각 제어부(206)와, 포커스 제어부(207)와, 촬상소자 구동부(208)와, 촬상소자 제어부(209)와, 통신부(210)를 갖고 있다.
촬상부(201)는, 렌즈 및 촬상소자로 구성되고, 피사체의 촬상 및 전기신호로의 변환을 행한다. 촬상소자는 CMOS 촬상 소자, CCD 촬상 소자 또는 다른 종류의 촬상 소자이다. 화상처리부(202)는, 촬상부(201)가 촬상하고 촬상한 화상을 광전변환하여 얻어진 신호에 대해 소정의 화상처리 및 압축 부호화 처리를 행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시스템 제어부(203)는, 제어장치(110)의 전체를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부(203)는, 제어장치(110)에서 송신된 카메라 제어 코맨드를 해석하고, 코맨드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시스템 제어부(203)는, 예를 들면, 제어장치(110)로부터 라이브 영상을 요구하는 요구 코맨드를 수신한다. 이 요구에 응답하여, 시스템 제어부(203)는, 화상처리부(202)에서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통신부(210)를 거쳐 제어장치(110)에 송신한다.
시스템 제어부(203)는 또한, 감시 카메라(100)의 줌, 포커스 및 틸트 각도의 설정값을 요구하는 요구 코맨드를 제어장치(110)로부터 수신한다. 이 수신된 코맨드에 응답하여, 시스템 제어부(203)는 화각 제어부(206), 포커스 제어부(207) 및 촬상소자 제어부(209) 각각의 설정값을, 통신부(210)를 거쳐 제어장치(110)에 송신한다. 시스템 제어부(203)는 또한, 제어장치(110)로부터 설정 코맨드를 수신해도 된다. 제어장치(110)로부터 설정 코맨드를 수신하였을 때는, 시스템 제어부(203)는 설정 코맨드에 대응하는 제어부(화각 제어부(206), 포커스 제어부(207) 및 촬상소자 제어부(209) 각각)에 대하여, 설정 코맨드에 포함된 설정값에 근거한 제어를 행하기 위한 명령을 내린다. 이에 따라, 제어장치(110)에 의해 설정한 줌, 포커스 및 틸트 각도에 관한 설정값이 감시 카메라(100)에 반영된다.
기억부(204)는, 내부 스토리지, 및, 외부 스토리지에 영상을 기억한다. 시스템 제어부(203)가 기억부(204)에 있는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제어장치(110)의 기능과 처리가 실현된다.
화각 제어부(206)는, 시스템 제어부(203)로부터 전달된 줌의 설정값에 근거하여, 렌즈 구동부(205)에 대하여, 줌렌즈 위치를 변경하는 명령을 내린다. 포커스 제어부(207)는, 시스템 제어부(203)로부터 전달된 포커스의 설정값에 근거하여, 렌즈 구동부(205)에 대하여, 포커스 렌즈 위치를 변경하는 명령을 내린다. 촬상소자 제어부(209)는, 시스템 제어부(203)로부터 전달된 틸트 각도의 설정값에 근거하여, 촬상소자 구동부(208)에 대하여, 촬상소자 틸트 각도를 변경하는 명령을 내린다.
통신부(210)는, 네트워크(120)를 거쳐 영상데이터를 제어장치(110)에 전달한다. 또한, 통신부(210)는, 제어장치(110)로부터 송신되는 각종 코맨드를 수신하고, 수신한 코맨드를 시스템 제어부(203)에 전달한다. 제어장치(110)로부터 송신되는 코맨드에는, 주로 라이브 영상을 요구하는 요구 코맨드, 감시 카메라(100)의 줌, 포커스 및 틸트 각도 각각의 설정값을 요구하는 요구 코맨드와, 감시 카메라(100)의 줌, 포커스 및 틸트 각도 각각을 설정하는 설정 코맨드가 포함된다.
제어장치(110)는, 통신부(221)와, 표시부(222)와, 시스템 제어부(223)와, 입력부(224)를 갖고 있다. 통신부(221)는, 감시 카메라(100)로부터 전달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장치(110)로부터 발행된 각종 코맨드를 송신한다. 각종 데이터에는, 주로 감시 카메라(100)의 줌을 포함하는 촬상 화각에 관한 정보, 포커스에 관한 정보, 회전에 관한 정보와, 영상데이터가 포함된다. 표시부(222)는, 액정표시장치 등의 장치이다. 표시부(222)는, 감시 카메라(100)로부터 취득한 화상과 카메라 제어를 행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표시한다.
시스템 제어부(223)는, 유저에 의해 행해진 GUI 조작에 근거하여 카메라 제어 코맨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카메라 제어 코맨드를 통신부(221)를 거쳐 감시 카메라(100)에 송신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223)는, 감시 카메라(100)로부터 통신부(221)를 거쳐 수신한 영상데이터와, 줌을 포함하는 촬상 화각, 포커스, 및 틸트 각도의 설정값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표시부(222)에 표시한다. 입력부(224)에 대해서는,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가 사용되고, 제어장치(110)의 유저는 입력부(224)를 거쳐 GUI를 조작한다.
도 3은, 줌 설정 화면(300)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줌 설정 화면(300)은, 제어장치(110)의 표시부(222)에 표시되는 GUI다. 줌 설정 화면(300)에 대해 유저 조작이 입력부(224)를 거쳐 행해진다. 줌 설정 화면(300)은, 영상 표시 영역(301), 텍스트 표시 영역(302), 줌 제어 슬라이더 바(303), 줌인 버튼(304), 줌아웃 버튼(305), 줌의 설정을 종료하고, 포커스의 설정 화면으로 이행하는 적용 버튼(306)을 포함한다. 제어장치(110)는, 감시 카메라(100)로부터 줌 정보를 수신하고, 줌 정보를 줌 설정 화면(300) 위에 표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줌 정보는, 줌에 관한 정보이며, 줌의 설정값을 포함한다. 줌 정보는, 수치, 텍스트 및 슬라이더 바 등의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식으로 줌 설정 화면(300) 위에 표현된다.
영상 표시 영역(301)에는, 감시 카메라(100)로부터 전달된 라이브 영상이 표시된다. 텍스트 표시 영역(302)에는, 줌의 설정을 유저에게 촉구하는 정보와, 줌의 현재 설정값을 포함하는 촬상 화각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더구나, 텍스트 표시 영역(302)에는 줌 설정 화면(300) 위에 있는 각종 버튼과 줌 제어 슬라이더 바(303)의 설명문이 표시된다.
유저는, 줌 제어 슬라이더 바(303), 줌인 버튼(304), 줌아웃 버튼(305)을 거쳐, 감시 카메라(100)의 줌을 제어할 수 있다. 유저가 줌 제어 슬라이더 바(303), 줌인 버튼(304), 줌아웃 버튼(305) 중 어느 한개를 조작했을 경우, 제어장치(110)는 네트워크(120)를 거쳐, 감시 카메라(100)에 대하여 줌의 설정 코맨드를 송신한다. 유저가 줌 제어 슬라이더 바(303)를 위쪽 방향으로 조작하거나 줌인 버튼(304)을 누른 경우, 감시 카메라(100)는, 제어장치(110)의 영상 표시 영역(301)에 표시된 촬상 화각에 근거하여 줌인하여 촬상한 영상을 얻는다. 유저가 줌 제어 슬라이더 바(303)를 아래쪽 방향으로 조작하거나 줌아웃 버튼(305)을 누른 경우에는, 감시 카메라(100)는, 제어장치(110)의 영상 표시 영역(301)에 표시된 촬상 화각에 근거하여 촬상을 행하여 줌아웃한 영상을 얻는다.
제어장치(110)는, 감시 카메라(100)로부터, 줌에 의해 촬상 화각이 변경된 후의 라이브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라이브 영상을 영상 표시 영역(301)에 표시한다. 유저가 적용 버튼(306)을 누른 경우, 표시부(222)의 표시는, 줌 설정 화면(300)으로부터 도 4에 나타내는 포커스 설정 화면(400)으로 바뀐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버튼식 및 슬라이더 바 방식 이외에, 줌의 설정 방법으로, 마우스 휠 식 및 텍스트 박스 식 등이 다양한 방식이 생각된다. 감시 카메라(100)가 경통부의 팬 구동기구, 틸트 구동기구, 및 회전 구동기구를 구비할 경우, 줌 설정 화면(300)에는 이들 기구의 설정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는, 제어장치(110)의 표시부(222)에 표시되는 포커스 설정 화면(400)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포커스 설정 화면(400)은, 영상 표시 영역(401), 텍스트 표시 영역(402), 포커스 모드의 표시 란(403), 포커스를 한번만 자동으로 행하는 원샷 오토포커스(AF)의 실행 버튼(404), 포커스의 근거리(near) 조절 버튼(405), 포커스의 원거리(far) 조절 버튼(406), 및 포커스의 설정을 종료하고, 틸트 각도의 설정 화면으로 이행하는 적용 버튼(407)을 포함한다. 제어장치(110)는, 감시 카메라(100)로부터 포커스에 관한 설정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설정값을 포커스 설정 화면(400) 위에 표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감시 카메라(100)의 포커스 모드의 예로는, 매뉴얼 모드, 오토포커스 모드 및 무한원 고정 모드 등이 생각된다. 매뉴얼 모드는, 포커스 렌즈의 렌즈 위치를 유저가 수동으로 조절하는 모드다. AF 모드는, 감시 카메라(100)가 촬상 화각의 중심에 초점맞춤 상태가 유지되도록, 포커스 렌즈의 렌즈 위치를 자동으로 계속해서 조절하는 모드다. 무한원 고정 모드는, 감시 카메라(100)가 포커스 렌즈에 기록된 무한 원방에서 초점맞춤 상태를 얻을 수 있는 렌즈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모드다. 이것은, 주로 멀리 떨어진 경치나 멀리 떨어진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모드이다. 무한원 고정 모드에서는, 가까이 존재하는 피사체는 일반적으로 초점을 맞출 수 없다. 또한, 감시 카메라(100)는, 포커스 모드가 매뉴얼 모드인 상태에 있어서, 촬상 화각에 대하여, 한번만 AF를 실행하고, 그후 포커스 모드를 매뉴얼 모드로 되돌리는 원샷 AF 기능을 갖는다.
영상 표시 영역(401)에는, 감시 카메라(100)로부터 전달된 라이브 영상이 표시된다. 텍스트 표시 영역(402)에는, 포커스의 설정을 유저에게 촉구하는 정보와, 포커스의 설정값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텍스트 표시 영역(402)에는, 포커스 설정 화면(400) 위에 있는 각종 버튼의 설명문 등의 정보도 표시된다. 회전의 설정에서는, 포커스 모드가 매뉴얼 모드로 고정되므로, 포커스 모드의 표시 란(403)에는, 포커스 모드로서 매뉴얼 모드 만 표시된다.
유저는 원샷 AF의 실행 버튼(404)을 누름으로써, 한번만 AF를 실행하여, 감시 카메라(100)의 촬상 화각의 중심영역이 초점 맞춤 상태가 될 수 있다. 덧붙여, 유저가 포커스의 근거리 조절 버튼(405)을 누른 경우, 감시 카메라(100)의 촬상 화각에서, 포커스가 근처 영역으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유저가 포커스의 원거리 조절 버튼(406)을 누른 경우, 포커스가 멀리 떨어진 영역으로 조절될 수 있다. 유저가 포커스의 근거리 조절 버튼(405) 또는 포커스의 원거리 조절 버튼(406)을 조작했을 경우, 제어장치(110)는 네트워크(120)를 거쳐, 감시 카메라(100)에 대하여 포커스를 설정하는 설정 코맨드를 송신한다. 유저가 적용 버튼(407)을 누른 경우, 제어장치(110)의 표시부(222)는 GUI의 표시를, 포커스 설정 화면(400)으로부터 후술하는 틸트 각도 설정 화면(500)으로 바꾼다.
도 5는, 제어장치(110)의 표시부(222)에 표시되는 틸트 각도 설정 화면(500)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틸트 각도 설정 화면(500)은, 영상 표시 영역(501), 텍스트 표시 영역(502), 잘라내기 영역의 지정 프레임(503)을 포함한다. 유저 조작에 의해 지정 프레임이 원하는 위치에 위치하면, 시스템 제어부(223)는, 지정 프레임 내부의 일부의 영역의 지정을 접수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223)는, 일부의 영역을 확대 표시 영역(504)에 표시한다. 일부의 영역의 지정을 접수하는 처리는, 영역 접수처리의 일례다. 틸트 각도 설정 화면(500)은, 촬상소자의 회전 제어 인터페이스(505), 촬상소자의 상하 회전 제어 슬라이더 바(506)와. 촬상소자의 좌우 회전 제어 슬라이더 바(507)를 더 포함한다. 틸트 각도 설정 화면(500)은, 촬상소자의 상하 틸트 각도의 표시 란(508), 촬상소자의 좌우 틸트 각도의 표시 란(509)과, 회전의 설정을 종료하는 적용 버튼(510)을 더 포함한다.
틸트 각도 설정 화면(500)에서는, 틸트 각도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카메라 파라미터 설정값을 변경하는 유저 조작이 금지된다. 제어장치(110)는, 감시 카메라(100)로부터 회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틸트 각도 설정 화면(500) 위에 표시한다.
영상 표시 영역(501)에는, 감시 카메라(100)로부터 전달된 라이브 영상이 표시된다. 텍스트 표시 영역(502)에는, 틸트 각도의 설정을 유저에게 촉구하는 정보와, 틸트 각도의 설정값과 설정가능한 회전 방향을 포함하는 회전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텍스트 표시 영역(502)에는, 틸트 각도 설정 화면(500) 위에 표시되는 제어 인터페이스와 영상 각각의 설명문 등의 정보가 더 표시된다.
틸트 각도 설정 화면(500)은, 멀리 떨어져서 작게 보이는 피사체가 초점 맞춤 상태에 있는 것을 유저가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 표시 영역(501)에 표시된 영상의 일부를 잘라내어 잘라낸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유저는 영상 표시 영역(501) 위에 잘라내기 영상의 지정 프레임(503)으로서 적어도 1개의 프레임을 설정할 수 있어, 지정된 영역에 의해 잘라내어진 영상이 확대 표시 영역(504)에 확대 표시된다. 영상의 잘라내기 처리는 제어장치(110)에 의해 행해지거나, 감시 카메라(100)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촬상소자의 회전의 회전축에 대해, 다양한 회전축이 생각된다. 회전축의 예로는, 촬상소자를 감시 카메라(100)의 촬상방향에 대하여 수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상하 회전과, 촬상소자를 감시 카메라(100)의 촬상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좌우 회전을 들 수 있다. 일례로서, 회전 제어 인터페이스(505)에서는, 유저는, 영상 표시 영역(501) 및 확대 표시 영역(504) 중 적어도 1개를 관찰하면서, 인터페이스를 드래그하여, 회전 제어 인터페이스(505)에 표시된 촬상소자의 3차원 모델을 상하 회전 또는 좌우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즉, 수직한 축 및 수평한 축을 중심으로 촬상소자를 회전시켜, 감시 카메라(100)의 촬상소자의 상하 틸트 각도, 및 좌우 틸트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제어 인터페이스(505)에는, 감시 카메라(100)의 촬상소자에 대하여 제어가능한 회전축과 회전의 방향도 표시된다. 덧붙여, 상하 회전 제어 슬라이더 바(506) 및 좌우 회전 제어 슬라이더 바(507)를 각각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유저는 촬상소자의 상하 틸트 각도 및 좌우 틸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하 회전 제어 슬라이더 바(506)의 양단에는 상하 틸트 각도의 유효 범위가 표시되고, 좌우 회전 제어 슬라이더 바(507)의 양단에는 좌우 틸트 각도의 유효 범위가 표시된다.
유저가 회전 제어 인터페이스(505), 상하 회전 제어 슬라이더 바(506)와 좌우 회전 제어 슬라이더 바(507)를 조작했을 경우, 제어장치(110)는 네트워크(120)를 거쳐, 감시 카메라(100)에 대하여 틸트 각도를 설정하는 설정 코맨드를 송신한다. 송신되는 틸트 각도의 설정 코맨드에는, 회전축, 회전방향 및 설정된 틸트 각도 등의 회전 정보가 포함된다. 회전 제어 인터페이스(505), 상하 회전 제어 슬라이더 바(506) 및 좌우 회전 제어 슬라이더 바(507) 각각은 유저 인터페이스 화상의 일례다. 상하 틸트 각도의 표시 란(508)과 좌우 틸트 각도의 표시 란(509)에는, 감시 카메라(100)로부터 수신한 촬상소자의 회전 정보 중, 상하 틸트 각도의 유효 범위와 설정값 및 좌우 틸트 각도의 유효 범위와 설정이 표시된다. 유저가 적용 버튼(510)을 누른 경우, 제어장치(110)는 회전의 설정을 종료한다.
도 6 내지 도8은, 제어장치(110)에 의해 행해지는 설정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6의 스텝 S600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감시 카메라(100)로부터 사전에 취득해 둔 커패시티 정보를 기초로, 감시 카메라(100)가 줌 제어기구를 갖는지 여부와, 제어장치(110)로부터 줌의 제어가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감시 카메라(100)가 줌 제어 기구와 제어장치(110)로부터의 줌 제어를 갖는 경우에는(스텝 S600에서 YES), 처리를 스텝 S601로 진행한다. 제어장치(110)로부터의 줌 제어가 가능하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600에서 NO), 처리를 도 7의 스텝 S700으로 진행한다.
스텝 S601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감시 카메라(100)의 줌 정보를 제공하도록 감시 카메라(100)에 대하여 요구한다. 스텝 S602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감시 카메라(100)의 줌 정보를 감시 카메라(100)로부터 수신한다. 스텝 S603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표시부(222)에, 수신한 줌 정보와 함께, 줌 설정 화면(300)을 표시한다.
스텝 S604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유저 조작에 의해 줌이 설정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223)는, 줌 설정 화면(300) 위에서 유저가 줌의 설정 조작을 행하면, 제어장치(110)로부터 줌의 설정 지시를 접수한다. 그후, 시스템 제어부(223)는, 설정 지시에 따라 줌의 설정을 행한다. 본처리는, 표시 화면에 행해진 입력 조작에 따라 줌을 설정하는 화각 설정 처리의 일례다. 유저가 줌 제어 슬라이더 바(303)에 커서(예를 들어, 마우스 커서 또는 다른 네비게이션 커서)를 놓고, 마우스 버튼을 누르면서 줌 제어 슬라이더 바(303)를 이동시키면, 시스템 제어부(223)는, 이 유저 조작에 따라 줌 설정을 행한다. 유저는, 줌인 버튼(304)이나 줌아웃 버튼(305) 위에 마우스 커서를 위치키고, 마우스 버튼을 누름으로써 줌 조작을 행해도 된다. 줌이 설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604에서 YES), 처리를 스텝 S605로 진행한다. 줌이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에는(스텝 S604에서 NO), 처리를 스텝 S700으로 진행한다.
스텝 S605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줌 설정을 위한 설정 코맨드를 감시 카메라(100)에 송신한다. 줌의 설정을 위한 설정 코맨드의 송신은, 줌 설정 화면(300) 위에서, 줌 제어 슬라이더 바(303), 줌인 버튼(304) 및 줌아웃 버튼(305) 중 어느 한개로부터, 유저가 마우스 버튼을 떼었을 때에 행해진다. 시스템 제어부(223)는 줌의 설정을 위한 설정 코맨드와 함께, 지정된 줌의 설정값을 감시 카메라(100)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상에서, 줌 설정이 종료한다.
다음에, 도 7에 나타내는 스텝 S700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감시 카메라(100)로부터 사전에 취득한 커패시티 정보를 기초로, 감시 카메라(100)가 포커스 제어기구를 구비하는지 아닌지와, 제어장치(110)로부터 포커스의 제어가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감시 카메라(100)가 포커스 제어기구를 갖고 제어장치(110)로부터 포커스의 제어가 가능한 경우에는(스텝 S700에서 YES), 처리를 스텝 S701로 진행한다. 제어장치(110)로부터 포커스의 제어가 가능하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700에서 NO), 처리를 도 8의 S800으로 진행한다.
스텝 S701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감시 카메라(100)의 포커스 정보를 제공하도록 감시 카메라(100)에 대하여 요구한다. 포커스 정보는, 포커스에 관한 정보이며, 포커스의 설정값을 포함한다. 스텝 S702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감시 카메라(100)의 포커스에 관한 정보를 감시 카메라(100)로부터 수신한다. 스텝 S703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감시 카메라(100)의 포커스 모드가 AF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포커스 모드가 AF 모드인 경우에는(스텝 S703에서 YES), 처리를 스텝 S705로 진행한다. 포커스 모드가 AF 모드가 아닐 경우에는(스텝 S703에서 NO), 처리를 스텝 S704로 진행한다.
포커스 모드가 AF 모드가 아닌 상태에서는, 촬상 화각의 중심영역이 초점이 맞지 않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스텝 S704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촬상 화각의 중심영역이 초점맞춤 상태가 되도록, 원샷 AF를 행하는 코맨드를 감시 카메라(100)에 대하여 송신한다. 스텝 S705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포커스 모드를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는 코맨드를 감시 카메라(100)에 대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223)는, 포커스 모드의 표시 란(403)에, 포커스 모드로서 매뉴얼 모드를 표시한다. 스텝 S706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수신한 포커스에 관한 정보와 함께, 포커스 설정 화면(400)을 표시부(222)에 표시한다.
다음에, 스텝 S707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유저에 의한 매뉴얼 조작에 의해 포커스 설정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223)는, 유저가 포커스의 근거리 조절 버튼(405) 또는 포커스의 원거리 조절 버튼(406)을 누름으로써, 포커스를 매뉴얼 모드로 조절했을 경우에, 포커스의 설정 지시를 접수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223)는, 설정 지시에 따라 포커스의 설정을 행한다. 본처리는, 포커스 설정 처리의 일례다. 포커스가 설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707에서 YES), 처리를 스텝 S708로 진행한다. 포커스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707에서 NO), 처리를 도 8의 스텝 S800으로 진행한다. 스텝 S708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매뉴얼 포커스를 설정하는 설정 코맨드를 감시 카메라(100)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상에서, 포커스 설정이 종료한다.
다음에, 도 8에 나타내는 스텝 S800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감시 카메라(100)의 커패시티 정보를 제공하도록 감시 카메라(100)에 요구한다. 커패시티 정보는, 감시 카메라(100)가 촬상소자를 틸트하는 회전 제어기구를 구비하는지 여부와, 제어장치(110)로부터 틸트 각도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스텝 S801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감시 카메라(100)로부터 커패시티 정보를 수신한다. 스텝 S802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감시 카메라(100)가 촬상소자를 틸트하는 회전 제어기구를 구비하는지 아닌지와, 제어장치(110)로부터 틸트 각도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감시 카메라(100)가 촬상소자를 위한 회전 제어기구를 구비하고 제어장치(110)로부터 틸트 각도의 제어가 가능할 경우에는(스텝 S802에서 YES), 처리를 스텝 S803으로 진행한다. 제어장치(110)로부터 틸트 각도의 제어가 가능할 가능하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802에서 NO), 시스템 제어부(223)가 설정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803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틸트 각도의 설정 개시를 선언하는 설정 개시 코맨드를 감시 카메라(100)에 송신한다. 이후, 제어장치(110)는, 틸트 각도의 설정중에는, 감시 카메라(100)에 대하여, 틸트 각도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카메라 파라미터의 설정값을 변경하는 변경 코맨드를 송신할 수 없다. 틸트 각도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카메라 파라미터의 예로는, 촬상 화각을 변경하는 카메라 파라미터, 포커스 파라미터 및 데이 나이트(day and night) 모드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그러나, 틸트 각도 조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카메라 파라미터의 설정값을 변경하는 변경 코맨드는, 틸트 각도의 설정중에도, 제어장치(110)로부터 감시 카메라(100)에 대하여 송신할 수 있다. 틸트 각도 조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카메라 파라미터의 예로는, 게인 파라미터, 셔터 스피드 파라미터 및 화이트 밸런스 파리미터가 포함된다.
다음에, 스텝 S804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감시 카메라(100)에 대하여, 라이브 영상을 제공하도록 요구한다. 스텝 S805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틸트 각도 설정 화면(500)을 표시부(222)에 표시하고, 틸트 각도 설정 화면(500) 위의 영상 표시 영역(501)에 감시 카메라(100)로부터 수신한 라이브 영상을 표시한다. 스텝 S806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틸트 각도 설정 화면(500) 위의 텍스트 표시 영역(502)에 틸트 각도의 설정을 위한 가이드 라인이 되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다음에, 스텝 S807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감시 카메라(100)의 촬상소자의 회전 정보를 제공하도록 감시 카메라(100)에 대하여 요구한다. 회전 정보는, 회전에 관한 정보로, 제어가능한 회전축, 회전 방향, 틸트 각도의 현재값, 틸트 각도의 유효 범위의 정보이다. 다음에, 스텝 S808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감시 카메라(100)로부터 촬상소자의 회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223)는, 틸트 각도 설정 화면(500)을 표시한다. 시스템 제어부(223)는, 틸트 각도 설정 화면(500)의 회전 제어 인터페이스(505)에, 제어가능한 회전축, 회전의 방향, 및 촬상소자의 현재의 자세를 표현하는 도면을 표시한다. 덧붙여, 시스템 제어부(223)는, 상하 회전 제어 슬라이더 바(506)에 상하 틸트 각도의 현재값과 상하 틸트 각도의 유효 범위를 표시하고, 좌우 회전 제어 슬라이더 바(507)에 좌우 틸트 각도의 현재값과 좌우 틸트 각도의 유효 범위를 표시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223)는, 표시 란 508에 상하 틸트 각도의 현재값 및 유효 범위를 표시하고, 표시 란 509에 좌우 틸트 각도의 현재값 및 유효 범위를 표시한다.
다음에, 스텝 S809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틸트 각도의 설정을 행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223)는, 회전 제어 인터페이스(505), 상하 회전 제어 슬라이더 바(506) 또는 좌우 회전 제어 슬라이더 바(507)를 거쳐 틸트 각도가 설정되었을 경우에, 설정 지시를 접수하고, 설정 지시에 따라 틸트 각도의 설정을 행한다. 본처리는, 틸트 각도 설정 처리의 일례다. 틸트 각도가 설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809에서 YES), 처리를 스텝 S810으로 진행한다. 틸트 각도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809에서 NO), 처리를 스텝 S811로 진행한다.
스텝 S810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감시 카메라(100)에 대하여, 틸트 각도를 설정하는 설정 코맨드를 송신한다. 송신되는 틸트 각도를 설정하는 설정 코맨드에는, 회전축, 회전 방향, 및 설정된 틸트 각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스텝 S803에 있어서 설정 개시 코맨드가 이미 송신되었기 때문에, 감시 카메라(100)에 있어서, 스텝 S810에 있어서 송신된 설정 코맨드에 대응하는 틸트 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의 변경이 제한된다. 스텝 S803의 처리는, 틸트 각도 설정이 행해진 후에, 틸트 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를 변경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 처리의 일례다.
다음에, 스텝 S811에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틸트 각도 설정 화면(500) 위의 적용 버튼(510)의 누름을 통해 틸트 각도의 설정이 종료하였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행한다. 틸트 각도의 설정이 종료했을 경우에는(스텝 S811에서 YES), 처리를 스텝 S812로 진행한다. 틸트 각도의 설정이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811에서 NO), 처리를 스텝 S805로 되돌려 처리를 계속한다. 스텝 S812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223)는, 틸트 각도의 설정 종료를 선언하는 설정 종료 코맨드를 감시 카메라(100)에 송신한다. 이상에서, 설정 처리가 종료한다.
도 9는, 감시 카메라(100)에 의한 모드 관리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스텝 S900에서, 시스템 제어부(203)는, 제어장치(110)로부터 틸트 각도의 설정을 개시하는 설정 개시 코맨드를 수신한다. 스텝 S901에서, 시스템 제어부(203)는, 틸트 각도 조절 모드로 이행한다. 틸트 각도 조절 모드는, 틸트 각도 설정시의 감시 카메라(100)의 모드다. 시스템 제어부(203)는, 틸트 각도 조정 모드 중에는, 틸트 각도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카메라 파라미터 설정값이 변경되지 않도록 제어를 행하는데, 예를 들어, 시스템 제어부(203)는 카메라(100)의 줌 설정값이 변경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틸트 각도 조절 모드에서 틸트 각도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카메라 파라미터 설정값을 변경하는 변경 코맨드를 수신하였을 때, 시스템 제어부(203)는 설정값을 파기하고, 리퀘스트 에러를 나타내는 리스폰스를 송신해도 된다. 이와 달리, 시스템 제어부(203)는, 설정값을 버퍼에 보존해도 되고, 틸트 각도 조절 모드 종료후에 변경을 해도 된다. 이와 달리, 시스템 제어부(203)는, 틸트 각도 조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로 설정값을 라운딩(round)하고, 라운딩된 설정값을 반영해도 된다.
다음에, 스텝 S902에서, 시스템 제어부(203)는, 제어장치(110)로부터 틸트 각도의 설정 종료 코맨드를 수신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설정 종료 코맨드를 수신하지 않았으면(스텝 S902에서 NO), 시스템 제어부(203)는, 설정 종료 코맨드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설정 종료 코맨드를 수신했을 경우에는(스텝 S902에서 YES), 처리를 스텝 S9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903에서, 시스템 제어부(203)는, 틸트 각도 조절 모드를 종료한다. 틸트 각도 조정 모드가 종료하면, 시스템 제어부(203)는, 틸트 각도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카메라 파라미터 설정값의 변경을 허용한다.
도 10은, 감시 카메라(100)에 의한 파라미터 관리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스텝 S1000에서, 시스템 제어부(203)는, 제어장치(110)로부터 카메라 파라미터의 설정값을 변경하는 변경 코맨드를 수신한다. 스텝 S1001에서, 시스템 제어부(203)는, 감시 카메라(100)가 현재 틸트 각도 조절 모드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감시 카메라(100)가 틸트 각도 조절 모드에 있는 경우에는(스텝 S1001에서 YES), 처리를 스텝 S1002로 진행한다. 감시 카메라(100)가 틸트 각도 조절 모드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001에서 NO), 처리를 스텝 S1009로 진행한다.
스텝 S1002에서, 시스템 제어부(203)는, 스텝 S1000에서 수신한 코맨드가 틸트 각도를 포함하는 카메라 파라미터 설정값을 변경하는 변경 코맨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수신된 코맨드에 틸트 각도가 포함되는 경우에는(스텝 S1002에서 YES), 처리를 스텝 S1003으로 진행한다. 수신된 코맨드에 틸트 각도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002에서 NO), 처리를 스텝 S1007로 진행한다. 스텝 S1003에서, 시스템 제어부(203)는, 틸트 각도 조절 모드에서 틸트 각도를 포함하는 카메라 파라미터 설정값을 변경하는 변경 코맨드를 수신했다고 판단하고, 처리 시점에 있어서의 틸트 각도를 포함하는 카메라 파라미터의 설정값을 변경한다. 다음에, 스텝 S1004에서, 시스템 제어부(203)는, 제어장치(110)에 대하여, 스텝 S1000에서 수신한 설정 코맨드에 대한 리스폰스를 송신한다.
다음에, 스텝 S1005에서, 시스템 제어부(203)는, 일정 시간의 경과전에, 틸트 각도를 포함하는 카메라 파라미터의 설정값을 변경하는 다음의 변경 코맨드를 수신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다음의 변경 코맨드를 수신했을 경우에는(스텝 S1005에서 YES), 시스템 제어부(203)는 틸트 각도 조절 모드를 유지한 채, 파라미터 관리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의 변경 코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채, 일정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에는(스텝 S1005에서 NO), 처리를 스텝 S10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06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203)는, 틸트 각도 조절 모드를 종료한다. 이상에서, 파라미터 관리 처리가 종료한다.
스텝 S1007에서, 시스템 제어부(203)는, 틸트 각도 조절 모드중에, 틸트 각도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변경 코맨드를 수신했다고 판단하여, 처리 시점의 파라미터의 설정값을 변경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부(203)는, 수신한 틸트 각도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의 설정값을 파기해도 된다. 이와 달리, 시스템 제어부(203)는, 수신된 설정값을 버퍼에 보존하고, 틸트 각도 조절 모드 종료후에 변경해도 된다. 다음에, 스텝 S1008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203)는, 제어장치(110)에 대하여, 스텝 S1000에서 수신한 설정 코맨드에 대한 리스폰스를 송신한다. 이상에서, 파라미터 관리 처리가 종료한다.
스텝 S1009에서, 시스템 제어부(203)는, 스텝 S1000에서 수신한 코맨드가 틸트 각도를 포함하는 카메라 파라미터 설정값을 변경하는 변경 코맨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틸트 각도가 수신된 코맨드에 포함되는 경우에는(스텝 S1009에서 YES), 처리를 스텝 S1010으로 진행한다. 틸트 각도가 수신된 코맨드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009에서 NO), 처리를 스텝 S1011로 진행한다. 스텝 S1010에서, 시스템 제어부(203)는, 감시 카메라(100)가 틸트 각도 조절 모드에 있지 않을 때, 틸트 각도를 포함하는 카메라 파라미터 설정값을 변경하는 변경 코맨드를 수신했다고 판단하여, 처리 시점의 카메라 파라미터 설정값을 변경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후 처리를 스텝 S1008로 진행한다. 스텝 S1011에서, 시스템 제어부(203)는, 감시 카메라(100)가 틸트 각도 조절 모드에 있지 않을 때, 틸트 각도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카메라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변경 코맨드를 수신했다고 판단하여, 처리 시점의 카메라 파라미터 설정값을 변경한다. 그후, 처리를 스텝 S1008로 진행한다.
리스폰스에 대해서는, 시스템 제어부(203)는, 카메라 파라미터 설정값 변경의 결과에 무관하게, 리퀘스트 성공을 나타내는 리스폰스를 송신하거나, 리퀘스트 에러를 나타내는 리스폰스를 송신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감시 카메라(100)는, 제어장치(110)로부터 틸트 각도의 설정 개시를 선언하는 코맨드를 수신시에, 각도 조절 모드로 이행하고, 틸트 각도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카메라 파라미터 설정값의 변경을 삼간다. 그후, 감시 카메라(100)가 설정 종료 코맨드를 수신했을 경우, 또는 다음의 틸트 각도를 포함하는 다음의 변경 코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채, 일정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 감시 카메라(100)는 틸트 각도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카메라 파라미터 설정값의 변경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감시 카메라(100)는, 틸트 각도의 조절중에는, 틸트 각도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카메라 파라미터 설정값의 변경을 행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이상과 같이, 제어장치(110)는, 유저 조작에 의해 틸트 각도를 설정할 경우, 우선 줌 설정 화면(300)을 표시함으로써, 유저 조작에 근거하여 줌 설정을 행한다. 제어장치(110)는, 다음에, 포커스 설정 화면(400)을 표시함으로써, 유저 조작에 근거한 포커스 설정을 행한다. 그리고, 제어장치(110)는, 줌 설정 및 포커스 설정이 행해진 후에, 설정된 줌 상태 및 포커스 상태에 있어서, 틸트 각도 설정 화면(500)을 표시함으로써, 유저 조작에 근거한 틸트 각도의 설정을 행한다. 제어장치(110)는, 이렇게 설정 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틸트 조정중에 포커스 상태 및 줌 상태가 고정되지 않으면, 최적의 틸트 각도를 설정할 수 없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어장치(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줌의 설정을 포함하는 화각의 설정과, 포커스의 설정이 완료한 후에, 틸트 각도의 설정을 행한다. 이 때문에, 포커스 및 줌이 설정된 상태에 있어서 최적의 틸트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덧붙여, 유저는, 틸트 각도 설정 화면(500)에 있어서, 영상 표시 영역(501)에서 지정된 주시 영역의 확대 화상을 표시하는 확대 표시 영역(504)을 관찰할 수 있다. 그리고, 유저는, 먼거리에 작게 보이는 피사체가 초점 맞춤 상태에 있는 것을 확인하면서, 회전 제어 인터페이스(505)에서, 촬상소자의 틸트 각도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3차원 모델을 조작함으로써, 틸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피사계 심도를 넓히기 위한 틸트 각도의 설정을, 유저가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즉, 제어장치(110)는, 번잡한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이, 유저가 원하는 틸트 각도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감시 카메라(100)의 파라미터의 설정을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더구나, 제어장치(110)는, 틸트 각도의 설정중에는, 틸트 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를 변경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틸트 각도 조절중에, 틸트 각도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카메라 파라미터가 변경되면, 촬상 화상에 틸트 각도 조절과는 관계가 없는 변화가 발생하여, 틸트 각도 조절을 교란시킨다. 예를 들면, 틸트 조절중에 포커스가 고정되지 않으면, 예를 들어, 오토포커스의 기능에 의해, 렌즈나 촬상소자의 위치가 광축을 따라 이동하여, 포커스 상태가 변경된다. 이 때문에, 변경후의 포커스 상태에 대한 촬상소자의 틸트 각도가 최적 각도가 되지 않아, 초점 벗어남 상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장치(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틸트 각도의 설정중에 파라미터의 변경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제어장치(110)는, 번잡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유저가 원하는 틸트 각도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줌의 설정은, 화각의 설정의 일례이다. 그러나, 화각의 설정에는, 줌 설정 이외에도, 감시 카메라(100)의 경통부의 팬, 틸트 및 회전을 포함하는, 촬상 화각에 변경을 일으키는 다양한 설정을 포함한다.
감시 카메라(100)에 대하여 송신되는 설정 코맨드에 포함되는 틸트 각도에 대해서는, 각도값이나 틸트 각도의 유효 범위로 정규화된 값 등의 다양한 표현을 이용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형태를 사용하여 상세한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들 특정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다양한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한 실시형태의 일부를 적절히 조합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해도 된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거나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5)

  1. 촬상소자를 틸트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촬상장치의 제어장치로서,
    상기 촬상소자의 틸트 각도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틸트 각도 설정부와,
    상기 틸트 각도의 설정중에는, 상기 틸트 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를 변경하지 않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한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 각도 설정부는, 화각 및 포커스 상태의 설정 후에, 상기 틸트 각도를 설정하는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화각 설정 파라미터 및 포커스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데이 나이트 모드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어장치.
  5. 촬상소자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촬상장치의 제어장치가 실행하는 제어방법으로서,
    유저 조작에 근거하여 틸트 각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틸트 각도의 설정중에는, 상기 틸트 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를 변경하지 않도록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
KR1020190046448A 2018-05-11 2019-04-22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2470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92329 2018-05-11
JPJP-P-2018-092329 2018-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706A true KR20190129706A (ko) 2019-11-20
KR102470054B1 KR102470054B1 (ko) 2022-11-23

Family

ID=66439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448A KR102470054B1 (ko) 2018-05-11 2019-04-22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58844B2 (ko)
EP (1) EP3567844B1 (ko)
JP (1) JP7313869B2 (ko)
KR (1) KR102470054B1 (ko)
CN (1) CN1104750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05485B2 (ja) * 2019-08-29 202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撮像装置、レンズ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266561B2 (ja) * 2020-07-30 2023-04-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
US11722775B2 (en) * 2021-08-17 2023-08-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TWI814306B (zh) * 2022-03-25 2023-09-0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數位拍攝裝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9926B1 (en) * 2000-11-17 2010-11-23 Metzger Raymond R Bandwidth management and control
WO2013055737A1 (en) * 2011-10-14 2013-04-18 Pelco, Inc. Focus control for ptz cameras
KR20150136016A (ko) * 2014-05-26 2015-12-04 엑시스 에이비 대체 카메라의 자동적인 구성
JP2017200211A (ja) * 2017-06-15 2017-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5177B2 (en) * 2000-07-04 2006-01-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US7538815B1 (en) * 2002-01-23 2009-05-26 Marena Systems Corporation Autofocus system and method using focus measure gradient
KR100457519B1 (ko) 2002-05-17 2004-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틸트 보정 장치 및 방법
JP2005117253A (ja) * 2003-10-06 2005-04-28 Tamron Co Ltd 撮像装置
JP4427725B2 (ja) * 2004-03-31 2010-03-10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6157834A (ja) * 2004-12-01 2006-06-15 Pentax Corp 撮像装置
JP2006254413A (ja) * 2005-02-08 2006-09-21 Nikon Corp 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ボディ
US7379664B2 (en) * 2005-07-26 2008-05-27 Tinkers & Chance Remote view and controller for a camera
JP2008035308A (ja) * 2006-07-31 2008-02-14 Casio Comput Co Ltd 電子カメラ及びレンズユニット
JP4802202B2 (ja) * 2008-03-10 2011-10-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カメ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176912B2 (ja) 2008-12-01 2013-04-03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JP5653636B2 (ja) 2010-02-26 2015-01-14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フォーカス制御装置
JP2011205573A (ja) * 2010-03-26 2011-10-13 Sony Corp 制御装置、カメラ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EP2485474B1 (en) * 2011-02-08 2013-05-01 Axis AB Digital camera with adjustable sensor
JP5709829B2 (ja) 2012-12-17 2015-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外部装置、外部装置の制御方法、撮像システムおよび撮像システムの制御方法
EP2942942A4 (en) * 2013-03-15 2016-08-31 Sony Corp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DESIGNING A GUI STRUCTURE OF IMAGE PROCESSING DEVICE
CN203311078U (zh) 2013-06-18 2013-11-27 红蝶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调焦装置和投影系统
CN103792760B (zh) 2014-01-14 2016-06-01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一种自动调焦执行机构的定位计算与位置校正方法
JP2017009632A (ja) * 2015-06-17 2017-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608196B2 (ja) * 2015-06-30 2019-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JP6633862B2 (ja) * 2015-08-04 2020-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9955057B2 (en) * 2015-12-21 2018-04-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ational scheimpflug camera
JP6788348B2 (ja) * 2016-01-06 2020-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制御装置、光学機器、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JP2017163301A (ja) 2016-03-09 2017-09-1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10341567B2 (en) * 2016-03-16 2019-07-02 Ricoh Imaging Company, Ltd. Photographing apparatus
WO2019065553A1 (ja) * 2017-09-28 2019-04-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プログラム
JP7146444B2 (ja) * 2018-05-11 2022-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9926B1 (en) * 2000-11-17 2010-11-23 Metzger Raymond R Bandwidth management and control
WO2013055737A1 (en) * 2011-10-14 2013-04-18 Pelco, Inc. Focus control for ptz cameras
KR20150136016A (ko) * 2014-05-26 2015-12-04 엑시스 에이비 대체 카메라의 자동적인 구성
JP2017200211A (ja) * 2017-06-15 2017-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054B1 (ko) 2022-11-23
JP7313869B2 (ja) 2023-07-25
US10958844B2 (en) 2021-03-23
EP3567844B1 (en) 2022-04-13
CN110475060B (zh) 2021-08-17
CN110475060A (zh) 2019-11-19
EP3567844A1 (en) 2019-11-13
JP2019201401A (ja) 2019-11-21
US20190349530A1 (en) 2019-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0054B1 (ko)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7146444B2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830947B2 (en) Image-capturing device
WO2016119301A1 (zh) 一种终端、图像拍摄方法及装置
JP7210246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撮像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6370140B2 (ja) ズーム制御装置、撮像装置、ズーム制御装置の制御方法、ズーム制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07081473A (ja) 複数光学系を有する撮像装置
JP6774233B2 (ja) 焦点検出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352334B2 (ja) 撮像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589635B2 (ja) 撮像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8088624A (ja) 撮影システム
JP5039607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60745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1017754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2209626A (ja) 会議装置、会議装置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2017055266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H11112844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WO2023058328A1 (ja) 撮像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WO2022137927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2009048126A (ja)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
JP2020052400A (ja) ズーム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610889B2 (ja) 焦点調節装置及び方法
JP5544874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21019227A (ja)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048122A (ja)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