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099A - 통신 링크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 차량 통신 장치 및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링크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 차량 통신 장치 및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099A
KR20190129099A KR1020197030383A KR20197030383A KR20190129099A KR 20190129099 A KR20190129099 A KR 20190129099A KR 1020197030383 A KR1020197030383 A KR 1020197030383A KR 20197030383 A KR20197030383 A KR 20197030383A KR 20190129099 A KR20190129099 A KR 20190129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charging station
vehicle
transmission protoco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홀거 레게
미햐엘 게얼라흐
알렉산더 샨츠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129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0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1Setup of application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6Special purpose or proprietary protocols or archite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02T10/708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차량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과 충전 스테이션 간의 통신 링크의 구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기 차량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 내에서, 또는 대안적으로 충전 스테이션 내에서, 전기 차량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과 충전 스테이션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전송 프로토콜이 각각 선택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복수의 전송 프로토콜 중에서 하나의 전송 프로토콜을 선택함으로써, 전기 차량 및 하이브리드 차량과 충전 스테이션 간의 유연한 연결이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링크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 차량 통신 장치 및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
본 발명은, 차량 통신 장치와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 사이에 통신 링크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 차량 통신 장치,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 그리고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를 구비한 충전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공보 DE 10 2014 221 559 A1호는, 충전 스테이션과 차량 사이에 통신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차량과 충전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 링크는, 차량의 차량 통신 유닛과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 스테이션 통신 유닛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를 포함한다.
전기 구동 장치를 구비한 차량은, 차량의 전기 구동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에너지가 저장될 수 있는 전기 에너지 저장기를 갖는다. 차량 배터리는, 예를 들어 에너지 공급 네트워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로 충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터리는 에너지 공급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에너지 공급 네트워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가 차량의 배터리로 전달된다. 연결은, 충전 스테이션과 차량 사이에서 무선으로 또는 케이블 접속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차량 통신 장치와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 사이에 통신 링크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 특허 청구항 5의 특징들을 갖는 차량 통신 장치, 특허 청구항 7의 특징들을 갖는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 그리고 특허 청구항 8의 특징들을 갖는 충전 스테이션을 개시한다.
그에 따라, 차량 통신 장치와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 사이에 통신 링크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된다. 이 방법은,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와 차량 통신 장치를 연결하는 단계; 및 차량 통신 장치와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 간의 공통 전송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이 방법은, 식별된 공통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차량 통신 장치와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 사이에 통신 링크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1 통신 장치 및 제1 검출기 장치 통신 장치를 구비한 차량 통신 장치가 제안된다. 제1 통신 장치는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검출기 장치는, 제1 통신 장치와 제1 통신 장치에 연결된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 간의 공통 전송 프로토콜을 식별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제1 통신 장치는, 식별된 공통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제1 통신 장치와 제1 통신 장치에 연결된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 사이에 통신 링크를 구축하도록 설계된다.
더 나아가, 제2 통신 장치 및 제2 검출기 장치를 갖는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가 제안된다. 제2 통신 장치는 차량 통신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검출기 장치는, 제2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연결된 차량 통신 장치 사이에서 공통 전송 프로토콜을 식별하도록 설계된다. 제2 통신 장치는, 식별된 공통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제2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연결된 차량 통신 장치 사이에 통신 링크를 구축하도록 설계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를 구비한 충전 스테이션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장점
본 발명은, 현재 차량과 충전 스테이션 간의 통신을 위한 수많은 상이한 전송 프로토콜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이들 전송 프로토콜 각각은, 전기 차량의 배터리 충전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하여, 전기 차량과 충전 스테이션 간의 통신을 위한 고유 표준을 사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전기 차량과 충전 스테이션이 상이한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할 경우, 전기 차량을 충전 스테이션과 연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와 같은 사실을 고려하여 전기 차량과 충전 스테이션 사이에, 특별한 전송 프로토콜에 한정되지 않는, 유연하고 가급적 보편적인 링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사상은, 차량 및/또는 충전 스테이션에서 복수의 상이한 전송 프로토콜을 위한 통신을 제공하고, 충전 스테이션과 전기 차량을 연결할 때, 차량과 충전 스테이션에 의해 공동으로 이용될 수 있는 각각 하나의 적절한 전송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응하는 전기 차량이 상이한 충전 스테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충전 스테이션을 복수의 상이한 전기 차량과 연결하고, 관련 데이터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충전 스테이션과 전기 차량 사이에 통신 링크를 구축할 때, 충전 스테이션 및/또는 전기 차량의 유연한 매칭을 통해, 전기 차량과 충전 스테이션이 서로 훨씬 더 유연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기 차량에서 충전 스테이션으로의 훨씬 더 촘촘한 네트워크(dense network)가 이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전기 차량과 충전 스테이션 간의 통신을 위한 전송 프로토콜의 유연한 선택에 의해, 충전 시스템뿐만 아니라 충전 스테이션의 개선도 훨씬 더 간단하게 촉진될 수 있다. 기존의 표준 및 전송 프로토콜 외에도, 새로 개발된 표준 및 전송 프로토콜이 동일하게 가용하다면, 과거의 전기 차량 및 충전 스테이션뿐만 아니라 최근의 전기 차량 및 충전 스테이션도 서로 항시 신뢰성 있게 연결될 수 있는 점이 항상 보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통 전송 프로토콜을 식별하기 위한 단계에서, 복수의 예정된 전송 프로토콜로부터 하나의 전송 프로토콜이 선택된다. 이용 가능한 전송 프로토콜의 사전 지정은, 차량과 충전 스테이션의 연결에 따라 매우 간단하고 효율적인 통신의 매칭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정된 전송 프로토콜은 ISO/IEC 61851-23 및 ISO/IEC 61851-24, CHAdeMO, Powerline(PLC), Combined Charging System(CCS), Tesla 표준, WLAN 및/또는 GB/T 표준에 따른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와 차량 통신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단계에서, 차량 통신 장치가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와 무선으로 또는 케이블 접속 방식으로 연결된다. 특히 유도 충전을 위해, 차량과 충전 스테이션 간의 통신이 무선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에 상응하게, 전기 차량의 케이블 접속 방식 충전 시, 차량과 충전 스테이션 간의 통신도 케이블 접속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전기 차량의 케이블 접속 방식 충전 시 데이터 전송은 무선으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 통신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검출기 장치는, 코딩된 플러그 타입 연결, 전압 전위 및/또는 전송된 데이터 패턴을 사용해서 공통 전송 프로토콜을 식별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응하는 코딩을 통해 적절한 전송 프로토콜이 각각 매우 간단하게 결정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통신 장치는 또 다른 통신 장치와의 또 다른 통신 링크를 구축하도록 설계된다. 이 경우에도, 관련된 모든 통신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적절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이 각각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차량으로부터, 경우에 따라서는 충전 스테이션을 거쳐, 또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의 통신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으로부터 충전 스테이션을 거쳐 예컨대 이동 전화, 태블릿 PC 또는 여타의 단말 장치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로의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스테이션은 에너지 공급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제2 통신 장치는 충전 스테이션에 연결된 에너지 공급 네트워크와의 또 다른 통신 링크를 구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기 차량으로부터 충전 스테이션을 거쳐 에너지 공급 네트워크로 그리고 이로써 또 다른 단말점들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공급 네트워크의 부하에 맞춰 충전 과정을 매칭시키기 위해, 에너지 공급 네트워크의 운영자와 전기 차량 간의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에너지 공급 네트워크를 통해 전기 차량과 또 다른 단말 장치 사이에 통신을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 및 개선예들은, 유용하다면 서로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 개선예들 및 구현예들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전술한 또는 하기에 기술될 본 발명의 특징들의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조합들도 포함한다. 특히, 이 경우 토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각각의 기본 형태에 개선 또는 보완으로서의 개별 양태들을 부가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부의 각각의 개략도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량과 충전 스테이션 간 통신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량과 충전 스테이션 간에 가능한 연결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량들과 충전 스테이션 간에 가능한 연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에 기반하는 개략적 흐름도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모든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동일한 요소들 및 장치들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1은, 충전 스테이션(2)에서의 차량(1)의 개략도를 보여준다. 충전 스테이션(2)은 예를 들어 에너지 공급 네트워크(3)와 같은 전기 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차량(1) 내에서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전은 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2)과 차량(1) 간의 케이블 연결 방식의 링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충전 스테이션(2)과 차량(1) 간의, 예를 들어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을 이용한, 무선 에너지 전송도 가능하다.
차량(1) 내에서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가 충전되어야 하는 충전 과정의 초기화를 위해,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충전 과정 중에도, 차량(1)과 충전 스테이션(2) 간에 데이터가 교환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교환은 케이블 연결 방식으로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충전 스테이션(2)과 차량(1) 간의 에너지 전송이 무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차량(1)과 충전 스테이션(2) 간의 데이터 교환도 무선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1)과 충전 스테이션(2) 간의 데이터 교환은 예를 들어 차량(1) 내에서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데이터 교환은, 차량(1) 내 에너지 저장 장치의 구성에 대한 정보, 또는 차량(1) 및 특히 차량(1)의 에너지 저장 장치와 관련된 여타의 데이터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데이터 교환은 승인, 인증, 식별에 대한 정보, 결재 데이터, 그리고 임의의 또 다른 데이터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예를 들어 차량(1) 내에서 달성하기 원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전 상태 또는 충전 과정 완료 시점에 대한 데이터, 그리고 충전 과정과 관련된 여타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차량(1)과 충전 스테이션(2) 사이에 임의의 또 다른 데이터도 물론 전송될 수 있다.
차량(1)과 충전 스테이션(2) 간의 데이터 교환은 일반적으로 사전 결정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토대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사전 결정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이 차량(1)의 차량 통신 장치(10)뿐만 아니라 충전 스테이션(2) 내의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에서도 구현되어야 한다. 이 경우, 그러한 공통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토대로 차량(1)과 충전 스테이션(2) 간의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ISO/IEC 61851-23 및 ISO/IEC 61851-24, 그리고 CHAdeMO, Combined Charging System(CCS), GB/T 표준 등에 따라 규정되어 있다. 또한, 차량(1)과 충전 스테이션(2) 간의 통신을 위해서도, 예를 들어 아시아, 특히 중국에서의 지역 표준 또는 예를 들어 테슬라 사(社)의 회사 전용 표준이 가능하다. 또한, 케이블 연결 방식의 통신을 위한 Powerline(PLC) 표준 등에 따른 통신도 가능하다. 케이블 연결 방식의 통신을 위해서는, 예컨대 WLAN, Bluetooth, ZigBee, Z-Wave, GSM, UMTS 등과 같은 임의의 무선 표준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1)과 충전 스테이션(2)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임의의 또 다른 독점 솔루션 또는 새로운 표준도 가능하다.
차량(1)과 충전 스테이션(2) 간의 통신의 시작 시, 차량(1) 및 충전 스테이션(2)이 두 가입자에 의해 구현된 공통 표준으로 통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차량(1)의 차량 통신 장치(10) 내에는 제1 통신 장치(11) 외에 제1 검출기 장치(1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검출기 장치(11)는, 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2) 내의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와 차량(1) 내의 차량 통신 장치(10)의 연결 후에, 먼저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 내에 어느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들)이 구현되어 있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이어서, 검출기 장치(11)는,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뿐만 아니라 차량 통신 장치(10)에도 구현되어 있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선택된 공통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에 기반해서, 차량(1)의 차량 통신 장치(10) 내의 제1 통신 장치(11)에 의해, 충전 스테이션(2) 내의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의 제2 통신 장치(21)와의 통신 링크가 구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량 통신 장치(10)뿐만 아니라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 내에도 구현되어 있는 적절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차량(1)과 충전 스테이션(2) 간에 데이터 전송이 항시 수행되는 점이 보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적절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의 선택이 충전 스테이션(2)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충전 스테이션(2)의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에서, 차량 통신 장치(10)와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의 연결 후에, 제2 검출기 장치(21)를 이용해서 차량 통신 장치(10)뿐만 아니라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 내에도 구현되어 있는 적절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이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1)으로부터의 또는 차량(1)으로의 데이터 전송이 차량(1)과 충전 스테이션(2) 간의 데이터 전송으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더 나아가, 차량(1)으로부터의 또는 차량(1)으로의 데이터 전송을 또 다른 통신 장치로 확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데이터 전송은, 예를 들어 먼저 차량(1)과 충전 스테이션(2) 간에 수행될 수 있고, 이어서 충전 스테이션(2)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가 또 다른 통신 장치(30)로 전송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충전 스테이션(2)은 또 다른 통신 장치(3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 데이터를 차량(1)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또 다른 통신 장치(30)는 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2)에 접속된 에너지 공급 네트워크(3) 내 통신 장치(30)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네트워크 운영자 또는 또 다른 가입자 장치도 차량(1)과의 통신을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네트워크 운영자는 차량(1) 내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전 과정을 의도한 바대로 제어할 수 있고, 에너지 공급 네트워크(3)의 현재 조건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임의의 또 다른 단말 장치도 차량(1)의 차량 통신 장치(10)와의 데이터 전송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임의의 다른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1)의 통신 장치(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차량(1) 내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전 과정을 통제 또는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차량(1)과 사용자 단말 장치 간에 또 다른 정보도 교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차량 통신 장치(10) 내의 제1 검출기 장치(12)에 의해 먼저, 차량 통신 장치(10)와 사용자의 단말 장치 간의 적합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적합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이 식별되고 선택될 수 있다.
도 2는, 차량(1)으로의 복수의 충전 스테이션(2-i)의 연결의 개략도이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1 충전 스테이션(2-1)에는 제1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이 구현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충전 스테이션(2-2)에는 제2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이 구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3 충전 스테이션(2-3)에는 제3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이 구현되어 있을 수 있다. 차량(1)이 3개의 충전 스테이션(2-i) 중 하나와 연결되면, 이 경우 차량 통신 장치(10)의 제1 통신 장치(11) 내의 제1 검출기 장치(12)가, 연결된 충전 스테이션(2-i)과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각각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통신 장치(10)에서는 이를 위해 각각 적합한 프로그램 블록이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적합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식별한 후, 이어서 상기 적합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과의 데이터 전송을 실시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부터 상응하는 프로그램이 로딩될 수 있다.
도 3은, 충전 스테이션(2)으로의 복수의 차량(1-i)의 연결의 개략도이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1 차량(1-1)에는 제1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이 구현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차량(1-2)에는 제2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이 구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3 차량(1-3)에서는 제3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이 구현될 수 있다. 차량들 중 하나(1-i)가 충전 스테이션(2)과 연결되면, 이 경우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의 제2 통신 장치(21) 내의 제2 검출기 장치(22)가, 연결된 차량(1-i)과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각각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통신 장치(10)와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 사이에 통신 링크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개략적 흐름도이다. 단계 "S1"에서, 차량 통신 장치(10)가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와 연결된다. 이 연결은,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연결 방식으로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S2"에서는, 차량 통신 장치(10)와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 사이의 공통 전송 프로토콜이 식별된다. 이러한 공통 전송 프로토콜의 식별은, 예를 들어 케이블 연결 방식의 연결에서 코딩된 플러그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공통 전송 프로토콜의 식별은, 수신된 데이터 패킷 등의 분석에 의해서도 수해오딜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데이터 내의 데이터 패턴을 식별함으로써, 개별 전송 프로토콜이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통신 장치(10) 또는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로부터, 상대편에 의해 수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broadcast message)가 송신될 수 있다. 수신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이어서, 사용된 데이터 프로토콜을 결정하기 위해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또 다른 파라미터, 예를 들어 인가되는 전압 전위 등에 기반해서도 적합한 데이터 프로토콜이 수행될 수 있다.
차량 통신 장치(10)와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 사이의 공통 전송 프로토콜이 식별된 후, 단계 "S3"에서, 차량 통신 장치(10)와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 사이에 통신 링크가 구축된다.
요컨대, 본 발명은, 전기 차량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과 충전 스테이션 간의 통신 링크의 구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기 차량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또는 대안적으로 충전 스테이션에서, 전기 차량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과 충전 스테이션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전송 프로토콜이 각각 선택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복수의 전송 프로토콜로부터 하나의 전송 프로토콜을 선택함으로써, 전기 차량 및 하이브리드 차량과 충전 스테이션 간의 유연한 연결이 달성될 수 있다.

Claims (10)

  1. 차량 통신 장치(10)와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 사이에 통신 링크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와 차량 통신 장치(10)를 연결하는 단계(S1);
    차량 통신 장치(10)와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 사이의 공통 전송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단계(S2);
    상기 식별된 공통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차량 통신 장치(10)와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 사이에 통신 링크를 구축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통신 링크 구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공통 전송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단계(S2)는, 복수의 예정된 전송 프로토콜로부터 하나의 전송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통신 링크 구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예정된 전송 프로토콜이 ISO/IEC 61851-23 및 ISO/IEC 61851-24, CHAdeMO, Powerline(PLC), Combined Charging System(CCS), Tesla 표준, WLAN 및/또는 GB/T 표준에 따른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통신 링크 구축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와 차량 통신 장치(10)를 연결하기 위한 단계는, 차량 통신 장치(10)를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와 무선으로 또는 케이블 접속 방식으로 연결하는, 통신 링크 구축 방법.
  5.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와 연결될 수 있는 제1 통신 장치(11); 및
    제1 통신 장치(11)와 상기 제1 통신 장치(11)에 연결된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 간의 공통 전송 프로토콜을 식별하도록 설계된 제1 검출기 장치(12);를 구비한 차량 통신 장치(10)로서,
    상기 제1 통신 장치(11)는, 식별된 공통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제1 통신 장치(11)와 상기 제1 통신 장치(11)에 연결된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 사이에 통신 링크를 구축하도록 설계되는, 차량 통신 장치(10).
  6. 제1 검출기 장치(12)가, 코딩된 플러그 타입 연결, 전압 전위 및/또는 전송된 데이터 패턴을 사용해서 공통 전송 프로토콜을 식별하도록 설계되는, 차량 통신 장치(10).
  7. 차량 통신 장치(10)와 연결될 수 있는 제2 통신 장치(21); 및
    제2 통신 장치(21)와 상기 제2 통신 장치(21)에 연결된 차량 통신 장치(10) 간의 공통 전송 프로토콜을 식별하도록 설계된 제2 검출기 장치(22);를 구비한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로서,
    상기 제2 통신 장치(21)는, 식별된 공통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제2 통신 장치(21)와 상기 제2 통신 장치(21)에 연결된 차량 통신 장치(10) 사이에 통신 링크를 구축하도록 설계되는,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
  8. 제7항에 따른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20)를 구비한 충전 스테이션(2).
  9. 제8항에 있어서, 제2 통신 장치(21)가 또 다른 통신 장치(30)와의 또 다른 통신 링크를 구축하도록 설계되는, 충전 스테이션(2).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충전 스테이션(2)이 에너지 공급 네트워크(3)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통신 장치(21)는, 충전 스테이션(2)에 연결된 에너지 공급 네트워크(3)와의 또 다른 통신 링크를 구축하도록 설계되는, 충전 스테이션(2).
KR1020197030383A 2017-03-21 2018-02-21 통신 링크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 차량 통신 장치 및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 KR201901290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04727.5 2017-03-21
DE102017204727.5A DE102017204727A1 (de) 2017-03-21 2017-03-21 Verfahren zum Aufbau einer Kommunikationsverbindung, Fahrzeug-Kommunikationsvorrichtung und Ladestations-Kommunikationsvorrichtung
PCT/EP2018/054250 WO2018172007A1 (de) 2017-03-21 2018-02-21 Verfahren zum aufbau einer kommunikationsverbindung, fahrzeug- kommunikationsvorrichtung und ladestations-kommunikations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099A true KR20190129099A (ko) 2019-11-19

Family

ID=61258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383A KR20190129099A (ko) 2017-03-21 2018-02-21 통신 링크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 차량 통신 장치 및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092379A1 (ko)
EP (1) EP3600948A1 (ko)
KR (1) KR20190129099A (ko)
CN (1) CN110402209A (ko)
DE (1) DE102017204727A1 (ko)
WO (1) WO201817200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152B1 (ko) * 2020-06-29 2021-03-29 주식회사 일렉오션 Ocpp 프로토콜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KR102662798B1 (ko) * 2023-09-14 2024-05-03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배터리 충전 스테이션 및 그 작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1404A1 (de) * 2018-09-03 2020-03-0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Ladeablaufsteuerung einer Leistungselektronik
JP7172676B2 (ja) * 2019-02-05 2022-1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ならびに車両の制御方法
CN109795362A (zh) * 2019-02-15 2019-05-24 东软睿驰汽车技术(沈阳)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的方法及装置
US20220158464A1 (en) * 2019-03-19 2022-05-19 dcbel Inc. Ev charger with adaptable charging protocol
CN112124131A (zh) * 2019-06-24 2020-12-25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多通信协议充电桩统一接入管理方法及系统
DE102019121773A1 (de) * 2019-08-13 2021-02-18 Innogy Se Erweiterung von Ladepunkten
RU197676U1 (ru) * 2019-12-30 2020-05-2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иловая электроника" Станция для зарядки электромобилей
CN113212225B (zh) * 2020-01-21 2022-10-04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的充电方法、装置及充电机
CN112291219B (zh) * 2020-10-22 2023-06-13 格力博(江苏)股份有限公司 通信交互方法及系统
KR20240011642A (ko) * 2022-07-19 2024-0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소전기차 충전을 위한 상호운용성을 가지는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240044376A (ko) * 2022-09-28 2024-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소 충전을 위한 통신 상의 파라미터 교환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07824A1 (en) * 2009-03-31 2011-01-13 Gridpoint, Inc. System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 vehicle power management
DE102010011162A1 (de) * 2009-07-15 2011-02-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Kommunikation zwischen einem Elektrofahrzeug und einer Ladestelle zum elektrischen Laden zumindest eines Energiespeichers des Elektrofahrzeugs
DE102010026689A1 (de) * 2010-07-09 2012-01-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teuereinheit zum Laden eines Fahrzeugakkumulators
DE102011008676A1 (de) * 2011-01-15 2012-07-19 Daimler Ag System und Verfahren zum Aufladen von Batterien von Fahrzeugen
KR20130088456A (ko) * 2012-01-31 2013-08-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전기 자동차 충전방법
US9071074B2 (en) * 2012-02-20 2015-06-30 Eaton Corporation Multi-standard, alternating current or direct current compatible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DE102013205088B4 (de) * 2013-03-22 2024-01-1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von Daten zwischen einer Datenübertragungsvorrichtung eines Fahrzeugs und einer Datenübertragungsvorrichtung eines Kommunikationsnetzwerks im Rahmen eines Ladevorgangs eines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 des Fahrzeugs
DE102014221559A1 (de) 2014-10-23 2016-04-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ufbau einer Ladekommunikation zwischen Ladestation und Fahrzeug
DE102015206047A1 (de) * 2015-04-02 2016-10-0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dapter für ein Ladestecksystem
DE102015208786A1 (de) * 2015-05-12 2016-11-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ommunikationsmodul für den Ladevorgang eines Fahrzeugs
DE102015113799A1 (de) * 2015-08-20 2017-02-23 Rwe Ag Ladestation für Elektrofahrzeuge sowie Schnittstelleneinrichtung in einer solchen Ladestation als auc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Ladest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152B1 (ko) * 2020-06-29 2021-03-29 주식회사 일렉오션 Ocpp 프로토콜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KR102662798B1 (ko) * 2023-09-14 2024-05-03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배터리 충전 스테이션 및 그 작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00948A1 (de) 2020-02-05
WO2018172007A1 (de) 2018-09-27
DE102017204727A1 (de) 2018-09-27
US20200092379A1 (en) 2020-03-19
CN110402209A (zh)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9099A (ko) 통신 링크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 차량 통신 장치 및 충전 스테이션 통신 장치
CN102596632B (zh) 用于在第一站和第二站之间建立通信的方法和设备
CN110298460A (zh) 经由充电站向车辆的内容递送
WO2010150594A1 (ja) 車両充電システム
CN105338472B (zh) 无线路由设备、无线路由系统、通信方法
US11926238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CN105813070B (zh) 一种车载终端通过移动终端进行通信的方法及装置
JP2014117975A (ja) 車載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CN104869525A (zh) 无线地发送和接收电力的系统
CN105991164B (zh) 一种蓝牙的组网方法及系统
DE102016220783A1 (de) Robustes intelligentes Ladesystem für Elektrofahrzeuge
CN103546859A (zh) 一种移动中无线充电方法、装置及系统
EP3564064A1 (de) Ladestationssystem
CN107211358A (zh) 通信设备、通信设备的控制方法和程序
El Sayed A prototypical implementation of an ISO-15118-based wireless vehicle to grid communication for authentication over decoupled technologies
CN116569133A (zh) 换电站的服务器、电池的充电方法、系统、设备及介质
KR20220052848A (ko)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 및 장치
JP2020520618A (ja) インテリジェント車載ワイヤレス充電装置
CN104773087A (zh) 一种新型交流充电桩通讯管理系统及其实现方法
KR102128869B1 (ko)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CN109121121A (zh) 一种通信建立方法、终端及存储介质
JP2012005319A (ja) 充電システム
KR102518037B1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 및 그의 통신 방법
KR102606792B1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 및 그의 통신 방법
CN109769153A (zh) 一种分布式充电桩的通信系统及其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