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848A -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848A
KR20220052848A KR1020210140698A KR20210140698A KR20220052848A KR 20220052848 A KR20220052848 A KR 20220052848A KR 1020210140698 A KR1020210140698 A KR 1020210140698A KR 20210140698 A KR20210140698 A KR 20210140698A KR 20220052848 A KR20220052848 A KR 20220052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c
sdp
evse
evid
reques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재용
신민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US18/032,61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382245A1/en
Priority to PCT/KR2021/014788 priority patent/WO2022086204A1/ko
Publication of KR20220052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26Methods for pairing a vehicle and a charging station, e.g. establishing a one-to-one relation between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5/00Arrangements for supplying energy stored within a vehicle to a power network, i.e. vehicle-to-grid [V2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6Transport layer protocols, e.g. TCP [Transport Control Protocol] over 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차 통신제어기(EVCC)의 V2GTP 통신 세션을 다시 시작할 필요가 없는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조기 페어링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전기차(EV)에 의해 수행되는 능동적 페어링 방법은, EV를 식별할 수 있는 EVID를 포함한 SECC 발견 프로토콜(SDP) 요청 메시지를 SDP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전력공급장치 통신제어기(SECC)와 통신하는 SDP 서버로부터 EV가 주차하거나 플러그 접속되는 전기차 전력공급장치(EVSE)를 제어하는 특정 SECC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SD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 및 장치{PROACTIVE PAI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WLAN-BASED V1G/V2G}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이나 전기차 충방전을 위한 페어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션을 다시 시작할 필요가 없는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능형 충전(smart charging)이나 지능형 충방전(smart charging and discharging) 환경에서 전력선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기반의 전력공급장치 통신제어기(supply equipment communication controller, SECC)나 전기차 전력공급장치(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와 전기차(electric vehicle, EV)와의 페어링(pairing)은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지능형 충전은 전력망(grid)에서 전기차로의 단방향 충전이 전력분배제어를 통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V1G(grid to vehicle)로도 지칭된다. 그리고 지능형 충방전은 전기차와 전력망(grid) 간의 양방향 충방전에 관한 것으로 V2G(vehicle to gird)로도 지칭된다.
한편,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WPT), 자동 연결 장치(automated connection device, ACD), 완속 충전기(이하 AC 충전기라고도 한다) 또는 급속 충전기(이하 DC 충전기라고도 한다)를 이용하는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기반의 지능형 충전이나 지능형 충방전에서는 EV가 적절한 충전이나 방전을 위해 적절한 SECC와 페어링을 형성하여 통신해야 한다.
하지만, 무선랜 통신은 불규칙적 특성과 일시적인 혹은 과도적인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무선랜 기반의 페어링에서 EV가 적절한 SECC와 연결하기가 쉽지 않고, 연결되더라도 안정적으로 통신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무선랜 기반의 SECC는 EV의 충전 또는 방전에서 적절한 제어를 위해 EV와 연결되는 EVSE 또는 EV가 주차된 스팟의 EVSE를 알아야할 하고, 해당 EVSE와 무선랜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즉, 무선 전력 전송, 자동 연결 장치, 완속 충전기 또는 급속 충전기를 이용하는 무선랜 기반의 전기차 충전이나 충방전 환경에서 SECC의 역할은 통신 채널을 통해 EV와 통신하는 것과 통신 채널을 통해 EVSE를 제어하는 것이다.
종래의 지능형 충전이나 충방전에서 페어링은 반응형 페어링(reactive pairing) 방식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종래의 반응형 페어링은 기존의 V2G 통신 세션을 위한 세션셋업과 같이 세션을 시작하고 EV와 EVSE 간의 신호와 EV와 SECC 간의 신호를 바인딩(binding)함으로써 페어링을 확인한다. 바로 페어링이 확인된다면 운이 좋은 경우이다. 통상적으로 페어링은 적어도 1회 이상 실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 경우 소정 규정에 따라 다시 페어링을 시작한다. 페어링의 또 다른 형태를 이용하는 정밀포지셔닝은 잘못된 페어링을 감지할 가능성이 높지만, 그대로 페어링에 반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이나 지능형 충방전 환경에서 SECC와 EV 간의 페어링과 SECC와 EVSE 간의 페어링 모두는 빈번한 실패를 가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이나 충방전에서 신뢰성 있는 페어링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이나 지능형 충방전 환경에서 세션이 시작되기 전에 EV와 EVSE의 바인딩 정보를 사용하여 EV와 SECC를 조기 페어링(early pairing)함으로써 세션을 다시 시작할 필요가 없는 능동적 페어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이나 지능형 충방전 환경에서 세션을 다시 시작할 필요가 없는 능동적인 페어링(proactive pairing)을 SDP(SECC discovery protocol)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은, 전기차(electric vehicle, EV)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으로서, 제1 EV를 식별할 수 있는 제1 EVID(first EV identifier)를 포함한 SDP(SECC discovery protocol) 요청 메시지를 SDP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SECC와 통신하는 상기 SDP 서버로부터 상기 SDP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SD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기차 전력공급장치(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는 제1 EVSE에 주차하거나 플러그가 접속되는 상기 제1 EV로부터 상기 제1 EV를 식별할 수 있는 제1 EVID를 획득하고, 획득한 제1 EVID를 제1 전력공급장치 통신제어기(supply equipment communication controller, SECC)에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SDP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EVID에 대응하는 SECC가 제1 SECC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능동적 페어링 방법은, 상기 SD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 EVID를 포함한 세션셋업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SECC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능동적 페어링 방법은, 상기 제1 EVID에 대응하는 SECC가 제1 SECC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상기 SD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SDP 요청 메시지를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일정 횟수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SDP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EVID에 대응하는 SECC가 제1 SECC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제1 SECC와 상기 SDP 서버 간의 통신으로 공유된 경우에 수신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능동적 페어링 방법은, 상기 SDP의 핸드셰이크에서 상기 제1 SECC로 TLS(transport layer security)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1 SECC로부터 TLS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은, 전력공급장치 통신제어기(supply equipment communication controller, SECC)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으로서, 제1 전기차 전력공급장치(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로부터 상기 제1 EVSE의 무선 전력 전송용 주차구역에 주차하거나 상기 제1 EVSE에 도전성 케이블로 접속되는 제1 EV(electric vehicle)에 대하여 상기 제1 EV를 식별할 수 있는 제1 EVID(EV identifier)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EV로부터 SDP(SECC discovery protocol)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제1 EVID를 포함하는 SDP 요청 메시지와 관련하여 상기 SDP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SECC는 상기 SDP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제1 EVID에 대응하는 SECC가 자신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SDP 서버와 공유하고, 상기 SDP 서버는 상기 정보를 포함한 SDP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EV로 전송한다.
일실시예에서, 능동적 페어링 방법은, 상기 제1 EVID를 포함한 세션셋업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EV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능동적 페어링 방법은, 상기 세션셋업 요청 메시지의 수신 전에 SDP의 핸드셰이크(handshake)에서 TLS(transport layer security)를 사용하여 상기 EV의 전기차 통신제어기(EV communication controller, EVCC)의 TLS 요청에 응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은, 전기차(electric vehicle, EV)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으로서, 제1 전기차 전력공급장치(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로부터 상기 제1 EVSE를 식별할 수 있는 제1 EVSEID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EVSE를 제어하는 전력공급장치 통신제어기(supply equipment communication controller, SECC)를 탐색하기 위해, 상기 제1 EV의 전기차 통신제어기(EV communication controller, EVCC)가 상기 제1 EVSEID를 포함한 SDP(SECC discovery protocol) 요청 메시지를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다수의 SECC가 연결된 로컬 링크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SDP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EVSEID에 대응하는 특정 SECC가 자신임을 나타내는 제1 SECC 관련 정보를 포함한 SDP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SECC와 통신하는 SDP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EVSE는 상기 제1 EV가 주차하거나 상기 제1 EV에 도전성 케이블로 연결된 EVSE이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EV의 제1 EVID는 상기 제1 SECC에 의해 기억되고, 상기 제1 SECC로부터 상기 제1 EVSE로 전달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SDP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EV의 제1 EVID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EVID는 일정한 값, 숫자, 문자, 기호, 색상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고정적으로 정해지는 정적 식별자이거나 사용 시마다 변경가능한 동적 식별자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SDP 요청 메시지의 페이로드는 보안(security), 전송 프로토콜(transport protocol), 전기차 식별자(EVID) 및 전기차 전력전송장치 식별자(EVSEID) 각각에 대한 매개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은, 전기차(electric vehicle, EV)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으로서, 제1 전기차 전력공급장치(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로부터 제1 EVSE를 식별할 수 있는 제1 EVSEID(EV supply equipment identifier)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EVSEID에 대응하는 제1 전력공급장치 통신제어기(supply equipment communication controller, SECC)로 상기 제1 EVSEID를 포함한 세션셋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EVSE는 제1 EV가 주차하거나 제1 EV에 도전성 케이블로 연결되는 EVSE이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EV는 상기 제1 EVSE에서 상기 제1 SECC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 및 포트(port) 번호를 포함한 QR(quick response) 코드를 감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ECC는 제어 대상에 속한 각 EVSE에 서로 다른 포트 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은, 전기차 전력공급장치(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으로서, 제1 EVSE에 주차하거나 플러그가 연결되는 제1 전기차(electric vehicle, EV)의 EVID(EV identifier)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EV를 식별할 수 있는 EVID를 제1 전력공급장치 통신제어기(supply equipment communication controller, SECC)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SECC는 상기 EVID를 SDP(SECC discovery protocol) 서버에 제공한다. 상기 SDP 서버는 상기 제1 EV로부터 상기 EVID를 포함한 SDP 요청 메시지를 받고, 상기 제1 SECC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포함한 SDP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EV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1 EV는 상기 EVID와 상기 제1 EVSE를 기억하는 상기 제1 SECC로 상기 EVID를 포함한 세션셋업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은, 전기차(electric vehicle, EV)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으로서, 전기차 전력공급장치(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를 식별할 수 있는 EVSEID(EVSE identifier)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EVSEID와 상기 EV를 식별할 수 있는 EVID를 포함한 SDP(SECC discovery protocol) 요청 메시지를 SDP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SDP 서버로부터 전력공급장치 통신제어기(supply equipment communication controller, SECC)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포함한 SD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SDP 서버는 상기 EVID 및 상기 EVSEID에 대한 정보를 상기 SECC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장치는, 전력망에 연결되어 제1 전기차(electric vehicle, EV)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전기차 전력공급장치(EV supply equipment, EVSE); 상기 제1 EVSE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제1 EV의 전기차 통신제어기(EV communication controller, EVCC)와 통신하는 제1 전력공급장치 통신제어기(supply equipment communication controller, SECC); 및 SECC 디스커버리 프로토콜(SECC discovery protocol, SDP)를 사용하여 상기 제1 EV와 통신하는 SDP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EVSE는 상기 제1 EVSE에 주차하거나 플러그가 꽂히는 상기 제1 EV로부터 상기 제1 EV를 식별할 수 있는 EVID(EV identifier)를 획득하고, 획득한 EVID를 상기 제1 SECC에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1 EV는 상기 EVID를 포함한 SDP 요청 메시지를 상기 SDP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1 SECC와 통신하는 상기 SDP로부터 상기 SDP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EVID에 대응하는 SECC가 제1 SECC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SD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EV는 상기 제1 SECC를 탐색하기 위해, 상기 제1 EVSE를 식별할 수 있는 EVSEID를 포함한 SDP 요청 메시지를 멀티캐스팅 방식으로 로컬 링크로 전송하고, 상기 로컬 링크에서 상기 제1 SECC와 통신하는 상기 SDP 서버로부터 상기 EVSEID와 매칭되는 제1 SECC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SD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EV는 상기 제1 EVSE로부터 상기 EVSEID를 획득하거나, 상기 제1 EVSE가 설치된 장소에서 상기 EVSEID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EV는 상기 제1 SECC의 IP 주소 및 포트 번호를 포함한 QR(quick response) 코드를 감지하여 상기 EVSEID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이나 지능형 충방전 환경에서 세션이 시작되기 전에 전기차(EV)와 전기차 전력공급장치(EVSE)의 바인딩 정보를 사용하여 EV와 SECC를 조기 페어링(early pairing)함으로써 세션을 다시 시작할 필요가 없는 능동적 페어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기차 유선충전 시 전력선통신(PLC)을 이용하여 전기차와 충전기가 다수 대 다수(N:N) 접속을 시도할 때 PLC의 오류로 인하여 옆의 충전기와 연결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기 커넥터의 탈거 없이도 페어링(Pairing)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로서, SDP(SECC discovery protocol)을 이용하여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이나 지능형 충방전 환경에서 V2GTP 통신 세션을 다시 시작할 필요가 없는 능동적 페어링(proactive pairing) 방안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매칭된 SECC만의 응답에 따라 페어링을 손쉽게 완료할 수 있고, 반복적인 SDP 요청 메시지가 필요하지 않아 신속하고 안정적인 페어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SDP 메시지를 이용함으로써, EV는 EVSE로부터 획득한 EVSEID를 이용하여 SECC의 SDP 클라이언트를 탐색할 수 있고, 그에 의해 EV는 사용할 때마다 변경가능한 동적인 EVID를 SECC로 전달할 수 있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EV는 SECC의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포함한 EVSEID를 이용하여 연결 대상인 SECC에 바로 세션셋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그에 의해 페어링 절차를 조기에 신속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EV는 SECC로부터 EVID를 받는 SDP 서버로부터 SD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SECC와의 페어링을 SDP 서버를 통해 조기 페어링 형태로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세션을 다시 시작할 필요가 없는 안정적인 페어링을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SDP 서버를 통해 EVID 및 EVSEID를 포함한 SDP 응답 메시지가 SECC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EV는 EVID를 포함한 세션셋업 요청 메시지를 SECC로 전달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이하 간략히 '능동적 페어링 방법'이라고 한다)을 적용할 수 있는 전기차(electric vehicle, EV)의 무선 전력 전송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페어링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EV 유선 충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비교예의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기반 지능형 충방전 환경에서의 페어링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다른 비교예의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기반 지능형 충방전 환경에서의 페어링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페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페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페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페어링 방법에 채용할 수 있는 SDP 요청 메시지 페이로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능동적 페어링 방법을 채용할 수 있는 자동 연결 장치(automated connection device, ACD) 기반 충전인프라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페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페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장치(이하 간략히 '능동적 페어링 장치'라고 한다)의 아키텍처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능동적 페어링 장치의 아키텍처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도 12의 능동적 페어링 장치의 아키텍처에 대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페어링 장치에 채용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일부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전기차(Electric Vehicle, EV)'는 49 CFR(code of federal regulations) 523.3 등에서 정의된 자동차(automobile)를 지칭할 수 있다. 전기차는 고속도로 이용 가능하고, 차량 외부의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등의 차량 탑재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전원공급원은 주거지나 공용 전기서비스 또는 차량 탑재 연료를 이용하는 발전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차(electric vehicle, EV)는 일렉트릭 카(electric car), 일렉트릭 오토모바일(electric automobile), ERV(electric road vehicle), PV(plug-in vehicle), xEV(plug-in vehicle) 등으로 지칭될 수 있고, xEV는 BEV(plug-in all-electric vehicle 또는 battery electric vehicle), PEV(plug-in electric vehicle), HEV(hybrid electric vehicle), HPEV(hybrid plug-in electric vehicle),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등으로 지칭되거나 구분될 수 있다.
'플러그인 전기차(PEV: Plug-in Electric Vehicle)'는 전력 그리드에 연결하여 차량 탑재 일차 배터리를 재충전하는 전기차를 지칭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시스템(WCS: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은 그라운드 어셈블리(GA: Ground assembly)와 차량 어셈블리(VA: Vehicle assembly) 간의 무선전력전송과 얼라인먼트 및 통신을 위한 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WPT: Wireless power transfer)'은 유틸리티(Utility), 그리드(Grid), 에너지 저장 장치, 연료전지 발전기 등의 전원공급원에서 전자기 유도, 공진 등의 무접촉 수단을 통해 전기차와 전력을 전달하거나 전달받는 것을 지칭할 수 있다.
'유틸리티(Utility)'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제공하며 통상 고객 정보 시스템(Customer Information System, CIS), 양방향 검침 인프라(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요금 및 수익(Rates and Revenue) 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시스템들의 집합으로 지칭될 수 있다. 유틸리티는 가격표 또는 이산 이벤트(discrete events)를 통해 전기차가 전기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유틸리티는 세율, 계측 전력 소비에 대한 인터벌 및 전기차에 대한 전기차 프로그램의 검증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충전(Smart charging)'은 전력 그리드와 통신하면서 EVSE 및/또는 전기차가 그리드 용량이나 사용 비용에 따라 차량 충전율이나 방전율을 최적화하는 동작 방식이나 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상호운용성(Interoperabilty)'은 서로 상대적인 시스템의 성분들이 전체 시스템의 목적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함께 작동할 수 있는 상태를 지칭할 수 있다. 정보 상호운용성(Information interoperability)은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들,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성분들이 사용자가 거의 또는 전혀 불편함 없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지칭할 수 있다.
'유도성 충전 시스템(Inductive charging system)'은 두 파트가 느슨하게 결합된 트랜스포머를 통해 전기 공급 네트워크에서 전기차로 정방향에서 전자기적으로 에너지를 전송하는 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도성 충전 시스템은 전기차 무선 충전 시스템에 대응할 수 있다.
'유도성 결합(Inductive coupling)'은 두 코일들 간의 자기 결합을 지칭할 수 있다. 두 코일은 그라운드 어셈블리 코일(Ground assembly coil)과 차량 어셈블리 코일(Vehicle assembly coil)을 지칭할 수 있다.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은 전기차 제조사 또는 전기차 제조사가 운영하는 서버로서 OEM 루트인증서를 발급하는 최상위 인증기관(CA: Certificate Authority)이나 최상위 인증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망 사업자(V2G operator)'는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V2G 통신에 참여하는 1차 액터(primary actor)를 지칭하거나, 전기차 또는 전기차 사용자의 자동인증을 위한 블록체인 시작과 블록체인 상의 스마트 계약서 생성을 위한 엔티티를 지칭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뢰된 인증기관이나 신뢰된 인증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서비스 사업자(MO: Mobility operator)'는 EV 운전자가 충전 스테이션에서 EV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EV 소유자와 충전, 승인 및 결제에 관한 계약 관계를 맺고 있는 PnC 아키텍처 내 엔티티들 중 하나를 지칭할 수 있고, 자신의 인증서를 발급하고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증기관이나 인증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서비스 제공자(CSP: Charge service provider)'는 전기차 사용자의 크리덴셜을 관리하고 인증하며, 요금청구 및 기타 부가가치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엔티티를 지칭할 수 있으며, MO의 특별한 유형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고 MO와 합체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CS: Charging station)'은 하나 이상의 EV 전원공급장치(supply equipment)를 구비하며 EV에 대한 충전을 실제로 실행하는 시설이나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 사업자(CSO: Charging station operator)'는 전기차에서 요청하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력망에 연결되어 전력을 관리하는 엔티티를 지칭할 수 있으며, 충전인프라 운영사업자(CPO: Charge point operator) 또는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자(eMSP: eMobility Service Provider)와 동일한 개념의 용어일 수 있고, 혹은 CPO 또는 eMSP에 포함되거나 CPO 또는 eMSP를 포함하는 개념의 용어일 수 있다. CSO, CPO 또는 eMSP는 자신의 인증서를 발급하거나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증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모빌리티 계정 식별자(eMAID: e-Mobility Authentication Identifier)'는 계약 인증서를 전기를 사용하는 이동체(electroMobility)의 소유주의 결제 계정에 연결시키는 고유 식별자를 지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빌리티 계정 식별자는 전기차 인증서의 식별자 또는 프로비저닝 인증서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용어 eMAID는 'e-Mobility Account Identifier'를 지칭하도록 대체되거나 계약 ID(contract ID)로 대체될 수 있다.
'클리어링 하우스(CH: Clearing house)'는 MO들, CSP들, 및 CSO들 사이의 협력 사항을 처리하는 엔티티로서, 특히 두 정산 사이 또는 두 정산 당사자 사이에서 EV 충전서비스 로밍에 대한 승인, 요금청구, 정산 절차를 원활하게 해주는 중간 관여자 역할을 할 수 있다.
'로밍(roaming)'은 전기차 사용자들이 하나의 크리덴셜과 계약을 사용하여, 다수의 모빌리티 네트웍에 속하는 다수의 CSP들 또는 CSO들에 의해 제공되는 충전서비스를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정보 교환 및 관련 사항(provision)과 체계(scheme)를 지칭할 수 있다.
'크리덴셜(credential)'은 전기차 또는 전기차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나타내는 물리적 또는 디지털 자산으로서, 신원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하는 암호학적 정보인 패스워드,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에서 사용하는 공개키/개인키 쌍, 인증기관이 발행하는 공개키 인증서, 신뢰하는 루트 인증기관 관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서(Certificate)'는 디지털 서명에 의해 공개키를 식별자(ID)와 바인딩하는 전자 문서를 지칭할 수 있다.
'서비스 세션'은 고유의 식별자를 가진 일정한 타임프레임에서의 어떤 고객에게 할당된, 충전 지점에서의 전기차 충전에 관한 서비스들의 집합을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통신제어기와 전력공급장치 통신제어기 간의 능동적 페어링(proactive pairing) 방법 또는 조기 페어링(early pairing) 방법')은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기반의 지능형 충전(smart charging) 또는 지능형 충방전(smart charging and discharging) 환경에서 세션을 다시 시작할 필요가 없는 신속하고 안정적인 페어링 절차에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이하 간략히 '능동적 페어링 방법'이라고 한다)을 적용할 수 있는 전기차(electric vehicle, EV)의 무선 전력 전송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차(10, 이하 'EV'라고도 한다)에 대한 무선전력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WPT)은 전력망(grid, G1)으로부터의 전기 에너지를 갈바닉 연결을 통한 직접적인 전류 흐름 없이 자기유도 혹은 자기공명 상태에서 자기장을 통해서 공급자측 디바이스로부터 소비자측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무선전력전송은 충전 스테이션(charging station, GA1)에서 EV(10)로 전력을 전송하여 EV(10)의 배터리(150)를 충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EV(10)는 충전 스테이션(GA1)의 전송 패드(GAP1)으로부터 무선으로 전자기 에너지를 받아들이기 위한 수신 코일을 구비한 수신 패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패드(130)에 있는 수신 코일은 충전 스테이션(GA1)에 있는 송신 패드(GAP1)의 송신 코일로부터 전자기유도나 자기공명에 의해 자기 에너지를 전달받는다. EV(10)에 수신된 자기 에너지는 유도전류로 변환되고, 유도전류는 직류전류로 정류된 후 배터리(150)를 충전시키는데 이용된다.
충전 스테이션(GA1)은 상용 전력망(G1)이나 전력 백본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송신 패드(GAP1)를 통해 EV(10)에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GA1)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전기차 전원공급장치(EV supply equipment, EVSE)는 EV(10) 소유자의 집에 부속된 차고나 주차장, 주유소에서 EV 충전을 위한 주차구역, 쇼핑센터나 업무용 건물의 주차구역 등과 같이 다양한 장소에 위치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GA1)은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력망(G1)을 관리하는 전력 기반구조 관리 시스템(power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이나 인프라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스테이션(GA1)은 EV(10)와도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IEEE 802.11 규약에 따른 와이파이(WiFi) 등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기반 통신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무선 통신은 저주파(low frequency, LF) 자기장 신호 및/또는 저출력 자기장(low power excitation, LPE) 신호를 이용한 P2PS(peer to peer signaling)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GA1)과 EV(10) 간의 무선 통신 방식은 전술한 무선 통신 방식 외에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셀룰러(cellular) 등 다양한 통신방식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거나 대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EV(10) 및 충전 스테이션(GA1)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이나 EXI(efficient XML interchange) 기반 데이터 표현 포맷에 따라 메시지를 교환하여 충전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즉, 전기차 통신제어기(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EVCC, 100)와 전력공급장치 통신제어기(supply equipment communication controller, SECC, 200) 사이에 충전 프로세스를 위한 통신이 무선랜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무선랜 기반의 페어링에서 무선랜 특성에 의한 페어링 실패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SDP(SECC discovery protocol)을 이용한 능동적 페어링 또는 조기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충전 프로세스를 위한 통신 과정에서 EV는 먼저 충전 스테이션이 신뢰할 수 있는 시설인지 확인하기 위해 충전 스테이션의 신원을 확인하고, 무단 액세스로부터 통신을 보호하기 위해 충전 스테이션과 보안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보안 채널은 전송 계층 보안(transport layer security, TLS) 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LS 세션은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기반의 통신 연결 설정 절차 이후에 TLS 세션 설정 절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페어링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EV 유선 충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차 유선 충전은 EV(10)를 자동 연결 장치나 충전 케이블(30)에 의해 충전 스테이션의 전기차 전력공급장치(EVSE)에 접속시키고 EV(10)의 전기차 통신제어기(EVCC)와 EVSE를 제어하는 전력공급장치 통신제어기(200)와의 세션셋업과 페어링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EV(10)는 충전 케이블(30)의 차량 커넥터에 접속될 수 있는 차량 인렛을 구비할 수 있다. EV(10)에 구비되는 차량 인렛은 완속 충전을 지원하거나 급속 충전을 지원하거나 완속 충전과 급속 충전을 함께 지원할 수 있다.
또한, EV(10)는 완속 충전 또는 일반적인 전력 계통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통한 충전을 지원하기 위하여 온보드 충전기(on board charger)를 구비할 수 있다. 온보드 충전기는 완속 충전시 외부에서 유선으로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승압하고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EV(10)에 내장된 배터리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인렛에 급속 충전을 위한 직류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직류 전력은 온보드 충전기를 거치지 않고 배터리에 공급되어 충전될 수 있다.
충전 케이블(30)은 그 양단에 차량 커넥터 및 플러그를 구비하고, EV(10)의 EVCC와 SECC(200)가 PLC(power line communication, PLC) 방식으로 서로 통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차량 커넥터는 EV(10)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접속부이고, 플러그는 충전 스테이션이나 전력망(grid)에 연결된 소켓-아울렛에 접속될 수 있다. 소켓-아울렛은 상업적인 전문 충전 스테이션 시설 이외에, EV(10) 소유자의 집에 부속된 차고나 주차장, 주유소에서 EV 충전을 위해 할당된 주차구역, 쇼핑 센터나 직장의 주차구역 등과 같은 충전 시설물에 설치된 월 잭(wall jack) 등을 가리킬 수 있다.
한편, EV(10)의 지능형 충전이나 지능형 충방전을 위하여 EVCC와 SECC(200)는 무선랜 기반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랜 특성에 의한 페어링 실패가 매 페어링시마다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SDP(SECC discovery protocol)을 이용한 능동적 페어링 또는 조기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비교예의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기반 지능형 충방전 환경에서의 페어링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다른 비교예의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기반 지능형 충방전 환경에서의 페어링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교예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에서, 제1 EV(EV1)는 제1 EVSE(EVSE1)에 플러그로 접속되고(plugged) 교류(AC) 충전이나 직류(DC) 충전을 수행하기 위해 전력선 통신(PLC)을 통해 제1 SECC(SECC1)과 통신(Communication)한다. 제1 SECC는 제1 EVSE를 제어(control)한다.
여기서, 제1 EV는 제1 EVSE와 접속된 상태에서 제2 SECC(SECC2)와 거의 연결되기 어렵다. 그리고 제1 SECC는 제어 대상이 아닌 제2 EVSE(EVSE2)와 결코 연결될 수 없다.
이와 같이, PLC를 이용하는 EVCC와 SECC 또는 EVSE와의 페어링은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비교예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에서, 제1 EV(EV1)는 교류(AC) 충전이나 직류(DC) 충전을 위해 제1 EVSE(EVSE1)에 플러그로 접속되거나(plugged),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해 제1 EVSE의 1차 패드 혹은 송신 패드가 설치된 주차구역에 주차되고(parked), 무선랜(WLAN)을 통해 제1 SECC(SECC1)과 페어링(pairing)된다(P1). 제1 SECC는 제1 EVSE와도 무선랜을 통해 페어링된다(P2).
한편, 무선랜(WLAN)을 통한 페어링 과정에서 제1 EV는 제2 SECC(SECC2)와 잘못된 페어링으로 연결될 수 있다(WP1). 이 경우, 제1 EV와 제1 SECC 간의 정상적인 페어링이 실패할 수 있다.
또한, 무선랜(WLAN)을 통한 페어링 과정에서 제1 SECC는 제2 EVSE(EVSE2)와 잘못된 페어링으로 연결될 수 있다(WP2). 제2 EVSE는 제2 EV(EV2)가 플러그로 접속되거나(plugged) 특정 주차구역에 주차된(parked) 제1 EVSE와 다른 EVSE를 지칭한다. 이 경우, 제1 SECC와 제2 EVSE 간의 정상적인 페어링이 실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능형 충전이나 충방전에서 무선랜 기반의 통신을 위한 EV와 SECC 간의 페어링과 SECC와 EVSE 간의 페어링은 무선랜의 불규칙적 특성과 일시적인 혹은 과도적인 특성으로 인해 쉽게 혹은 자주 실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페어링 방법은 전술한 비교예의 무선랜 기반 페어링에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능동적 페어링 방법은 EV와 SECC 간에 세션셋업을 시작하기 전에 조기 페어링을 수행한다. 세션셋업은 기존 절차에 따른 세션 예컨대, ISO 15118에 규정된 세션을 설정하기 시작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능동적 페어링 방법은 SECC 디스커버리 프로토콜(SECC discovery protocol, SDP)을 이용함으로써, EV 충전 또는 충방전 프로세스를 위한 세션을 다시 시작할 필요가 없다. SDP의 이용은 SDP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포함하거나 SDP 서버를 통한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은 EV와 EVSE 간에 생성되는 EV-EVSE 바인딩 정보(binding information)를 이용함으로써 간편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페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능동적 페어링 방법은 EVSE를 중심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1 EVSE(EVSE1)는 제1 EVSE의 주차구역에 주차하는 제1 EV(EV1)나 제1 EVSE에 플러그로 접속되는 제1 EV를 감지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EVSE(EVSE2)는 제2 EVSE의 주차구역에 주차하는 제2 EV(EV2)나 제2 EVSE에 플러그로 접속되는 제2 EV를 감지한다.
제1 EVSE는 카메라 영상 인식이나 전력선 통신 등을 통해 제1 EV의 제1 EVID(EV identifier)를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EVID는 제1 EV를 식별할 수 있는 범용의 고유한 식별자로서, 복수의 엔티티에 해당 정보가 공유되어 변경이 쉽지 않은 정적인(static) 식별자일 수 있다.
카메라 영상 인식을 통해 EVID를 획득하는 것은 제1 EV의 차량 번호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EVID를 추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로 접속된 제1 EV로부터 전력선 통신을 통해 EVID를 획득하는 것은 세션셋업의 시작 전에 미리 설정된 규정에 따른 것일 수 있다. 전술한 방식 외에, 무선랜을 통한 사용자 접속 등의 방법을 통해 제1 EVSE는 제1 EV의 EVID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EVID 획득 방식들은 제2 EVSE에도 동일하게 혹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 제1 EVSE는 제1 SECC로 제1 EVID를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SECC는 제1 EVSE를 제어하지만, 제2 EVSE를 제어하지 않는 경우이며, 제2 EVSE는 제2 SECC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다음, 제1 EV는 SDP 기반으로 제1 EVID를 포함한 페어링 메시지를 SDP 서버(SDP server, SDPS)로 전송한다. SDP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SECC와 정보를 주고받거나 미리 설정된 규칙, 정책 또는 절차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SDP 서버는 SECC와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고, 동일한 IP 주소에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제1 EV(EV1)에서 SDP 서버(SDPS)로 전송되는 페어링 메시지는 SDP 기반의 요청메시지(이하 'SDP 요청 메시지' 또는 'SDPReq'로 지칭될 수 있다.)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SDP 요청 메시지의 페이로드 길이는 2바이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각 EV의 SDP 클라이언트는 SDP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제1 EV는 SDP 요청 메시지의 전송에 있어서 목적지 로컬 링크의 멀티캐스트 주소로 미리 정의된 페이로드 유형(SDPRequestPayloadID)을 갖는 페이로드들을 미리 정해진 바이트(byte) 순서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EV의 SDP 요청 메시지는 제1 EVID가 제1 SECC에 도착하기 전에 먼저 제1 SECC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EV는 매칭되는 SECC를 찾을 때까지 SDP 요청 메시지를 반복해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SDP 요청 메시지의 반복 전송은 적어도 250㎳을 간격을 두고 수행될 수 있고, 최대 50회 연속 수행할 때까지 정상적인 SD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SDP 요청 메시지의 반복 전송은 중지될 수 있다.
이때, 여러 SECC 중에서 제1 EVID을 갖고 있거나 제1 EVID와 매칭되는 정보를 가진 제1 SECC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SDP 서버(SDP server, SDPS)는 SDP 응답 메시지를 제1 EV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1 SECC와 통신하는 SDP 서버는 제1 EV의 SDP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1 EVID에 대응하는 SECC가 제1 SECC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SDP 응답 메시지를 제1 EV로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은, 제1 SECC를 중심으로 설명할 때, 제1 SECC가 제1 EVID에 대응하는 SECC가 자신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SDP 응답 메시지를 SDP 서버를 통해 제1 EV로 전송하는 경우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제1 SECC와 SDP 서버의 결합 관계에 따라 구현가능하다.
한편, 제1 EV의 SDP 요청 메시지와 관련하여 제2 SECC는 제1 EVID 또는 이에 대응하는 정보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SDP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SDP 응답 메시지를 제1 EV로 전송하지 않거나 전송할 수 없다.
또한, 제1 SECC와 통신하는 SDP 서버(SDPS)는 제2 EV로부터 SDP 요청(SDPReq) 메시지를 받을 수 있지만, 제1 SECC의 제어 대상이 아닌 제2 EVSE로부터 제1 EVID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제2 EV의 SDP 요청 메시지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정상적인 응답을 처리할 수 없다.
다음으로, 제1 EV는 제1 EVID를 포함한 세션셋업요청(SessionSetupReq) 메시지를 제1 SECC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SECC는 전술한 과정을 통해 제1 EV와 제1 EVID에 대응되거나 제1 EVID에 대하여 배정된 제1 EVSE를 알고 있으며, 따라서 제1 EV의 세션셋업요청 메시지에 정상적으로 응답하여 제1 EV의 충전 또는 충방전 프로세스를 위한 통신 세션을 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에에 의하면, EVSE를 중심으로 단일 SDP 서버와 통신하는 EV의 SDP 클라이언트 간의 SDP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간편하게 세션셋업의 시작 전에 조기 페어링 또는 능동적 페어링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SDP 서버는 각 V2G 엔티티의 SDP 클라이언트의 SDP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만 SDP 응답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페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능동적 페어링 방법은 EV를 중심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1 EV(EV1)는 제1 EVSE(EVSE1)의 주차구역에 주차하거나 제1 EVSE에 플러그로 접속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EV는 제1 EVSE의 제1 EVSEID를 감지한다. 제1 EVSE는 제1 SECC(SECC1)에 의해 제어되지만, 제2 SECC(SECC2)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EV(EV2)는 제2 EVSE(EVSE2)의 주차구역에 주차하거나 제2 EVSE에 플러그로 접속될 수 있으며, 이때 제2 EV를 제2 EVSE의 제2 EVSEID를 감지한다. 제2 EVSE는 제2 SECC(SECC2)에 의해 제어되지만, 제1 SECC(SECC1)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전술한 제1 또는 제2 EVSEID는 해당 EVSE에 대하여 사이트 고유한(site unique) 식별자일 수 있다.
EVSEID를 획득하는 것은 EV가 EVSE의 주차구역에 주차하거나 EVSE에 플러그로 접속될 때 EV에 탑재된 카메라에 EVSE에 설치되거나 노출된 EVSEID 표시가 촬영되고, 카메라에 연결된 차량 제어기가 촬영된 EVSEID를 해독한 것을 EVCC에서 획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EVSEID를 획득하는 것은 EV가 플러그로 접속된 EVSE로부터 전력선 통신을 통해 EVSEID를 받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방식 외에, 무선랜을 통한 사용자 접속 등의 방법을 통해 EV는 EVSEID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 제1 EV는 제1 EVSEID를 포함하는 SDP 요청 메시지를 제1 SECC로 엄밀히 말해서는 제1 SECC와 정보를 주고받는 SDP 서버(SDPS)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EV는 제1 SECC를 포함한 복수의 SECC로 제1 EVSEID를 포함한 SDP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SDP 서버(SDPS)는 제1 EV의 SDP 클라이언트와 통신하며, 제1 EVSEID를 갖고 있거나 제1 EVSEID와 매칭되는 정보를 가진 제1 SECC와의 정보 교환에 기초하여 SDP 응답 메시지를 제1 EV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1 SECC는 제1 EV의 SDP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1 EVSEID에 대응하는 SECC가 자신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SDP 응답 메시지를 SDP 서버를 통해 제1 EV로 전송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SECC는 SDP 서버를 통해 제1 EV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알 수 있다. 그리고 SDP 응답 메시지는 제1 EV와 제1 SECC가 능동적 페어링을 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포함할 수 있다.
제1 EV의 SDP 요청 메시지와 관련하여, 제2 SECC는 제1 EVID 또는 이에 대응하는 정보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SDP 요청 메시지와 관련하여 어떠한 동작이나 응답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SECC와 통신하는 SDP 서버(SDPS)는 제2 EV로부터 SDP 요청(SDPReq) 메시지를 받을 수 있지만, 제1 SECC의 제어 대상이 아닌 제2 EVSE로부터 제1 EVID를 받거나 저장하지 않을 수 있고 제1 EV로부터 제1 EVSEID를 수신하더라도 관련 없는 정보에 해당하기 때문에, 제2 EV의 SDP 요청 메시지에 대하여 어떠한 동작이나 응답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EV는 제1 EVID를 포함한 세션셋업요청(SessionSetupReq) 메시지를 제1 SECC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SECC는 전술한 과정을 통해 제1 EV와 제1 EVSE를 알고 있고 해당 정보를 일시적으로나마 저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EV의 세션셋업요청 메시지에 정상적으로 응답하여 조기 페어링 상태에서 제1 EV의 충전 또는 충방전 프로세스의 통신 세션을 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EV를 중심으로 단일 SDP 서버와 통신하는 EV의 SDP 클라이언트 간의 SDP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간편하게 세션셋업의 시작 전에 조기 페어링 또는 능동적 페어링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일 SDP 서버는 실질적으로 정적인 식별자를 가진 SECC와 통신할 필요가 없으며, EV가 SDP 요청 메시지를 반복 전송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실시예의 능동적 페어링 방법의 변형예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EV가 SDP 서버(SDPS)를 통해 제1 SECC로 SDP 요청(SDPReq) 메시지를 전송할 때, 제1 EVID와 제1 EVSEID를 포함한 SDP 요청(SDPReq)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EVID는 매번 변경가능한 동적(dynamic) 식별자로서 SECC에 대하여 고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SECC와 통신하는 SDP 서버는 제1 EV에 제1 EVID 및/또는 제1 EVSEID에 대응하는 SECC가 제1 SECC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한 SDP 응답 메시지를 제1 EV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SECC는 EV로부터 받은 EVID를 EVSE에 전달함으로써 응용 계층을 통한 교차 통신을 생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페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능동적 페어링 방법은 전기차(EV)를 중심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 EV(EV1)는 제1 EVSE(EVSE1)의 주차구역에 주차되거나 제1 EVSE에 플러그로 접속된다. 그리고, 제1 EV는 제1 EVSE의 제1 EVSEID를 감지한다. 여기서, 제1 EVSEID는 제1 SECC(SECC1)의 IP 주소를 포함하거나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EV는 SDP 서버와 SDP 기반 통신을 수행하고 조기 페어링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EV는 제1 EVSE에 설치되거나 제1 EVSE가 설치된 장소에 위치하는 QR 코드를 통해 제1 EVSEID를 감지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식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 제1 EV는 제1 SECC(SECC1)로 제1 EVID를 포함한 세션셋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SECC는 제1 EVID를 확인하고 세션셋업 요청 메시지에 응답함으로서 제1 EV와 EVCC V2G 통신 세션을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세션셋업을 포함하는 제1 EV의 EVCC V2G 통신 세션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TLS(transport layer security) 연결 설정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통신 세션에서 SDP 핸드셰이크(handshake) 이후의 모든 통신은 TLS 및 TCP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매개변수 보안(security)은 TLS로 설정되고, 매개변수 전송 프로토콜(transport protocol)은 TCP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2 SECC(SECC2)는 제1 SECC와 다른 IP 주소 또는 다른 포트 번호를 사용하므로, 제1 EVSE와 연관된 제1 EV와는 통신 세션을 연결할 수 없다. 또한, 제2 EVSE(EVSE2)의 주차구역에 주차하거나 제2 EVSE에 플러그로 접속되는 제2 EV(EV2)가 제1 SECC와 TCP/TLS 연결 설정을 시도하거나 제1 SECC로 세션셋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 경우에 제1 SECC는 해당 메시지에 포함된 IP 주소나 포트 번호가 현재 능동적 페어링 대상이 아닌 제2 EV의 것이므로, 제2 EV의 연결 설정이나 요청 메시지에 대하여 실패 또는 실패 정보가 담긴 응답 메시지로 처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SDP 서버를 통해 조기 페어링을 수행할 때, 통신 세션의 보안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정적인 지도(static map)를 지원하는 경우, SECC는 자신의 상태 또는 연결 상태를 저장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EVCC 관점의 V2G 통신 상태에서 SECC 발견(discovery) 전에 EV 또는 EVSE가 자신의 식별자들(EVID/EVSEID)이나 해당 IP 주소를 할당할 필요가 없어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EVCC 관점에서 V2G 통신의 일반적인 통신 상태는, IP 주소 할당, SECC 발견, TCP/TLS 연결 설정, EVCC V2G 통신 세션, TCP/TLS 연결 종료가 기재된 순서대로 전환될 수 있고, IP 주소 할당, SECC 발견 또는 TCP/TLS 연결 설정이 적절하게 완료되지 못한 경우, 해당 통신 세션을 종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페어링 방법에 채용할 수 있는 SDP 요청 메시지 페이로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SDP 요청 메시지 페이로드는 그 길이가 2바이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예의 능동적 페어링 방법에 효과적으로 채용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 예컨대, 22바이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경우, 첫번째 바이트인 제1 바이트는 매개변수 보안(security)의 설정을 위해, 두번째 바이트인 제2 바이트는 매개변수 전송 프로토콜(transport protocol)의 설정을 위해, 세번째 내지 열두번째 바이트들인 제3-12 바이트들은 매개변수 EVID의 설정을 위해, 그리고 열세번째 내지 스물두번째 바이트들인 제13-22 바이트들은 매개변수 EVSEID의 설정을 위해 할당될 수 있다.
EVID는 사이트별 혹은 EV별로 고유(unique)할 수 있다. 그리고 EVSEID는 사이트별로 고유할 수 있으며, SECC의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EV의 SDP 클라이언트는 전술한 페이로드를 가진 SECC 탐색 요청 메시지 또는 SDP 요청 메시지를 SDP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SDP 클라이언트는 바이트 번호 순서대로 페이로드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SDP 클라이언트는 제1 바이트에서 제22 바이트까지 바이트 번호가 낮은 순서대로 페이로드를 전송할 수 있다.
SDP 응답 메시지 페이로드는 16바이트의 IP 주소 매개변수, 2바이트의 포트(port) 번호 매개변수, 1바이트의 보안 매개변수 및 1바이트의 전송 프로토콜 매개변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능동적 페어링 방법을 채용할 수 있는 자동 연결 장치(automated connection device, ACD) 기반 충전인프라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EV(EV1)가 주차하거나 플러그에 접속되기 전에 페어링을 시도할 수 있다. 하지만, 제1 EV와 특정 EVSE 간의 바인딩(binding)이 없으면, 페어링 목적이 명확하지 않고 모호해진다. 물론 예약된 EVSE의 경우는 제외한다.
특히, 자동 연결 장치(automated connection device, ACD)를 통해 접속된 제1 EV를 제1 SECC(SECC1)가 인식한 후에, 제1 EV가 계속 움직이면, 제1 SECC와 제1 EV 간의 ACD 초기 페어링은 실패할 수 있다.
전술한 경우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능동적 페어링 방법은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제1 EV가 ACD로 특정 EVSE에 접속될 때 제1 EV와 특정 SECC 간의 페어링은 SDP를 이용하여 조기에(early) 수행할 수 있다. 또한, EV와 EVSE 간 바인딩 정보 즉, EVSE 또는 EV에서 인식된 바인딩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SECC V2G 통신 세션을 시작하기 전에 통신 세션을 위한 페어링을 조기에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조기 페어링(early pairing) 또는 능동적 페어링(proactive pairing)의 경우, 오류(error) 발생 시에도 세션을 다시 시작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페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능동적 페어링 방법은 EVSE를 중심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1 EVSE(EVSE1)는 제1 EVSE의 주차구역에 주차하는 제1 EV(EV1)나 제1 EVSE에 플러그로 접속되는 제1 EV를 감지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EVSE(EVSE2)는 제2 EVSE의 주차구역에 주차하는 제2 EV(EV2)나 제2 EVSE에 플러그로 접속되는 제2 EV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EVSE는 카메라 영상 인식이나 전력선 통신 등을 통해 제1 EV의 제1 EVID(EV identifier)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EVID는 제1 EV를 식별할 수 있는 범용의 고유한 식별자로서, 복수의 V2G 엔티티에 해당 정보가 공유되어 변경이 쉽지 않은 정적(static) 식별자일 수 있다.
다음, 제1 EVSE는 제1 SECC(SECC1)을 통해 SDP 서버(SDPS)로 제1 EVID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EV는 제1 EVID를 포함한 SDP 요청 메시지를 SDP 서버(SDPS)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 복수의 SECC(SECC1, SECC2)와 통신하는 SDP 서버(SDPS)는 제1 SECC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SDP 응답 메시지를 제1 EV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SECC는 전술한 과정을 통해 제1 EVID와 제1 EVSE를 알고 있다. SDP 응답 메시지는 메시지 교환 루프나 충전 루프 동안 SDP 처리에 대한 프로토콜이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제1 EV는 제1 SECC로 제1 EVID를 포함한 세션셋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SECC는 제1 EVSE를 알고 있으며, 세션셋업 요청 메시지 등에 따라 제1 EVSE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SDP 서버를 이용함으로써 EVCC V2G 세션 시작 전에 조기 페어링을 능동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페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능동적 페어링 방법은 전기차(EV)를 중심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 EV(EV1)는 제1 EVSE(EVSE1)의 주차구역에 주차하거나 제1 EVSE에 플러그로 접속되고, 제1 EVSE로부터 제1 EVSE를 식별할 수 있는 제1 EVSEID(EV identifier)를 획득하거나, 제1 EVSE가 설치된 장소에서 제1 EVSEID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EV는 카메라 영상 인식이나 전력선 통신 등을 통해 제1 EVSE의 제1 EVSDID를 인식할 수 있다. 제1 EVSEID는 사이트별로 고유할 수 있다.
다음, 제1 EV는 SDP 통신(SDP comm.)을 통해 제1 EVID와 제1 EVSEID를 포함한 SDP 요청 메시지를 SDP 서버(SDP server, SDPS)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1 EV는 SDP 서버로부터 제1 SECC(SECC1)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SD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SDP 서버는 제1 EVID 및 제1 EVSEID, 또는 이에 대한 정보를 제1 SECC에 제공한다. 또한 SDP 서버는 제1 EV의 IP 주소를 제1 SECC에 제공할 수 있다.
다음, 제1 EV는 제1 SECC로 제1 EVID를 포함한 세션셋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1 SECC는 제1 EVSEID를 토대로 제1 EVSE를 알고 있으며, 제1 EV의 세션셋업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고 제1 EVSE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SDP 서버와 EV 간의 통신을 이용하여 조기 페어링을 설정함으로써 세션셋업 요청 메시지를 반복 처리할 필요가 없다. 다만 능동적 페어링과 관련된 정보가 SDP 서버로부터 내부 통신을 통해 SECC로 제공되는 시간 차이에서 경쟁 조건을 가질 수 있으나, EV에서 SDP 요청 메시지의 초기 실패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일정 횟수 범위내에서 반복 전송함으로써 경쟁 조건에서의 문제를 간단히 해소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장치(이하 간략히 '능동적 페어링 장치'라고 한다)의 아키텍처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능동적 페어링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EVSE(300), 적어도 하나의 EVSE(300)를 제어하는 SECC(200), SECC(200)에 탑재되는 SDP 클라이언트(210), SECC(200)에 연결되는 액세스 포인트(AP, 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ECC(200), SDP 클라이언트(210) 및 AP(220)는 넓은 의미에서 단일 SECC(200a)에 포함될 수 있다. 단일 SECC(200a)는 그라운드 어셈블리로 지칭될 수 있다. 그리고 EV(10)는 특정 EVSE(300)에 플러그로 연결되거나 특정 EVSE(300)의 무선 충전 가능한 주차구역에 주차할 수 있다.
EV(10)에 탑재된 EVCC(100)는 SECC(200)과 V2G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EVCC(100)에는 EVCC(100)와 동일한 IP 주소를 사용하는 EV측 SDP 클라이언트(110)가 탑재될 수 있다. SDP 클라이언트(110)를 통해 EV(10)는 SDP 서버(SDPS, 400)와 SDP 기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SECC(200)는 SECC(200)와 동일한 IP 주소를 사용하는 SDP 클라이언트(210)를 탑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ECC(200)는 SDP 클라이언트(210)를 탑재하지 않고, 제조사에 의해 규정되는 별도의 내부 통신을 통해 SDP 서버(4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AP(220)는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무선랜(wireless LAN)에서 하나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가진 확장 서비스 그룹(extended service set, ESS)을 형성하며, 단일 SDP 서버(400)에 연결될 수 있다. 확장 서비스 그룹(ESS)는 하나의 로컬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SECC(200)는 복수의 EVSE 또는 특정 EVSE(300)에 포트 번호를 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포트 번호는 동적 포트 범위에서 V2GTP(V2G transport protocol) 목적지 포트 번호를 제공하는 V2GTP 엔티티의 포트 번호, SECC의 포트 번호, SECC가 관리하는 EVSE의 포트 번호 또는 이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포트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SDP 서버(400)는 EV(10)와의 SDP 통신을 통해 EV의 SDP 요청 메시지를 받고, 이에 기초하여 해당 EV를 특정 SECC(200)에 할당(assign)할 수 있다.
또한, SDP 서버(400)는 통상 외부에 별도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특정 SDP 클라이언트를 대신하여 특정 SECC에 일체로 탑재될 수 있다. 그 경우, SDP 서버는 특정 SECC와 동일한 IP 주소를 갖도록 구성되고, SECC(200)를 중심으로 복수의 EV의 각 EVCC와 SDP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의 능동적 페어링 장치는 앞서 설명한 여러 실시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능동적 페어링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EVSE는, 능동적 페어링 장치로서, 제1 EVSE에 주차하거나 플러그가 연결되는 제1 EV의 EVID(EV identifier)를 감지하거나 획득하고, 획득한 EVID를 제1 ECC로 전송함으로써 능동적 페어링 방법의 적어도 일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능동적 페어링 방법은 SDP 서버가 제1 SECC와의 통신을 통해 EVID를 얻고, 제1 EV로부터 EVID를 포함한 SDP 요청 메시지를 받을 때, 제1 SECC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포함한 SDP 응답 메시지를 제1 EV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EV는, 능동적 페어링 장치로서, 제1 EV를 식별할 수 있는 제1 EVID를 포함한 SDP(SECC discovery protocol) 요청 메시지를 SDP 서버로 전송하고, 제1 SECC와 통신하는 상기 SDP 서버로부터 SD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능동적 페어링 방법의 적어도 일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능동적 페어링 방법은 제1 EVSE가 제1 EVSE에 주차하거나 플러그가 접속되는 제1 EV로부터 제1 EVID를 획득하고, 획득한 제1 EVID를 제1 SECC에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제1 SECC는, 능동적 페어링 장치로서, 제1 EVSE로부터 제1 EVSE의 무선 전력 전송용 주차구역에 주차하거나 제1 EVSE에 도전성 케이블로 접속되는 제1 EV에 대하여 제1 EV를 식별할 수 있는 제1 EVID를 획득하고, 제1 EVID를 토대로 SDP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능동적 페어링 방법의 적어도 일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SDP 서버는 제1 EVID를 포함한 SDP 요청 메시지를 제1 EV로부터 받은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SECC는 제1 EVID에 대응하는 SECC가 자신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SDP 서버와 공유할 수 있다. 이 경우, 능동적 페어링 방법은 SDP 서버가 상기의 정보 또는 제1 SECC 관련 정보를 포함한 SDP 응답 메시지를 제1 EV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능동적 페어링 장치의 아키텍처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EV(EV1)과 제2 EV(EV2)를 포함하는 EV(10)에 탑재되는 EVCC(100)는 SECC 발견 프로토콜(SDP)를 사용하여 특정 SECC(200)의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얻을 수 있다. SECC(200)는 복수의 EVSE(EVSE1 내지 EVSEn, 300)에 연결되고 각 EVSE를 제어할 수 있다.
EVCC(100)을 탑재하는 EV(10)는 SDP 서버(SDP server, 400)가 SECC(200)의 IP 주소와 포트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SECC 발견 응답 메시지로 응답할 것을 기대하는 로컬 링크에 SECC 발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ECC 발견 요청 메시지는 SDP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거나 그 일종에 포함될 수 있다.
SECC 발견 요청 메시지는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로컬 링크로 전송될 수 있다. 로컬 링크는 SECC(200)에 연결된 AP(220)에 의해 형성되는 단일 확장 서비스 그룹(extended service set, ESS)을 포함할 수 있다.
EVCC(100)는 SECC(200)의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수신한 후 SECC(200)에 대한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전송 계층 연결 전에 능동형 페어링 방법이 수행되거나, TCP/TLS 연결 설정이 수행될 수 있다.
TLS 연결 설정 중에 EV(10)는 EVSE 인증서(certificate)를 통해 합법적이지 않은 SECC가 아니라 합법적인 SECC와 통신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EVSE 인증서는 충전 스테이션 사업자(charging station operator, CSO) 또는 충전소 사업자(charge point operator, CPO)가 발행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SECC(200)에 연결된 백엔드 인증서버(backend authentication server, 500)에 의해 발행될 수 있다.
전술한 능동형 페어링 장치는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능동형 페어링 방법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능동형 페어링 장치에 속한 EVCC(100) 또는 SECC(200)에 적용할 수 있는 주요 구성에 대하여는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14 내지 도 17은 도 12의 능동적 페어링 장치를 채용할 수 있는 전기차 지능형 충전/충방전 인프라구조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일 AP는 단일 SECC와 연결되고, 단일 SECC는 복수의 EVSE(EVSE1 내지 EVSEn)에 연결되며, 복수의 EVSE 중 일부는 복수의 전기차들(EVx, EVy, EVz) 각각과 도전성 케이블이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전자기적 결합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복수의 전기차들 각각은 대응하는 복수의 EVCC(EVCCx, EVCCy, EVCCz)를 각각 탑재한다. 단일 SECC는 무선랜을 통해 복수의 EVCC와 각각 통신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일 AP는 복수의 SECC(SECC1 내지 SECCn)에 연결되며, 복수의 SECC 중 제1 SECC(SECC1)는 제1 페어링 및 포지셔닝 장치(first pairing and positioning device, PPD1)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EVSE(EVSE1)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EVSE는 제1 자동 연결 장치(first automated connection device, ACD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n SECC(SECCn)은 제n 페어링 및 포지셔닝 장치(PPNn)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n EVSE(EVSEn)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n EVSE는 제n 자동 연결 장치(ACDn)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n는 2 이상의 임의의 자연수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AP(AP1)는 제1 SECC(SECC1)에 연결되며, 제1 SECC는 제1 페어링 및 포지셔닝 장치(PPD1)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EVSE(EVSE1)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EVSE는 제1 자동 연결 장치(ACD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AP(AP2)는 제2 SECC(SECC2)에 연결되며, 제2 SECC는 제2 페어링 및 포지셔닝 장치(PPD2)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EVSE(EVSE2)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EVSE는 제2 자동 연결 장치(ACD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n AP(APn)는 제n SECC(SECCn)에 연결되며, 제n SECC는 제n 페어링 및 포지셔닝 장치(PPDn)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n EVSE(EVSEn)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n EVSE는 제n 자동 연결 장치(ACDn)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3 이상의 임의의 자연수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복수의 AP(AP1 내지 APn) 각각은 복수의 SECC(SECC1 내지 SECCn) 각각에 다중 접속 형태로 연결되며, 복수의 SECC 중 제1 SECC(SECC1)는 제1 페어링 및 포지셔닝 장치(first pairing and positioning device, PPD1)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EVSE(EVSE1)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EVSE는 제1 자동 연결 장치(first automated connection device, ACD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n SECC(SECCn)은 제n 페어링 및 포지셔닝 장치(PPNn)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n EVSE(EVSEn)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n EVSE는 제n 자동 연결 장치(ACDn)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n는 2 이상의 임의의 자연수이다.
본 실시예에서 각 AP에 의해 형성되는 확장 서비스 그룹(extended service set, ESS)에는 하나의 SDP 서버가 연결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페어링 장치에 채용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능동형 페어링 장치(8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810) 및 메모리(820)를 포함하며,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능동형 페어링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 명령은 메모리(82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810)의 동작에 따라 프로세서(810)에 탑재될 수 있다.
또한, 능동형 페어링 장치(800)는 입력 인터페이스(830), 출력 인터페이스(840), 저장 장치(850) 및 통신 인터페이스(8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 메모리(820), 입력 인터페이스(830), 출력 인터페이스(840), 저장 장치(850) 및 통신 인터페이스(860)는 내부 버스(870)나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메모리(820) 또는 저장 장치(850)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차량 제어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밖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여타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820)는 예컨대 ROM(read only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와,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20)는 저장 장치(850)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을 로드하여, 프로세서(810)에 제공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830)와 출력 인터페이스(840)는 키보드, 마우스, 디스플레이 장치, 터치스크린, 음성 입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장치(850)는 프로그램 명령과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록매체로서, 예컨대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플래시 메모리나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또는 이들을 기반으로 제작되는 SSD(Solid State Drive)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장치(85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페어링을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그램 명령은 EV가 EVID를 포함한 SDP 요청 메시지를 SDP 서버로 전송하는 명령, SECC가 EVSE로부터 EVID를 획득하는 명령, EVSE가 EVSE에 주차하거나 플러그가 꽂히는 EV로부터 EV를 식별할 수 있는 EVID를 획득하는 명령, EV가 SDP 서버로부터 SDP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SD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명령 등을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860)는 전력망 사업자(V2G Operator), 충전서비스 사업자(MO: Mobility Operator), 충전서비스 제공자(CSP: Charging Service Provider),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자(EMP: eMobility Service Provider), 충전 스테이션 사업자(CSO: Charging Station Operator), 충전소 사업자(CPO: Charge Point Operator), 전기차(EV: Electric Vehicle), 전기차 통신제어기(EVCC: EV Communication Controller), 전력공급장치 통신제어기(SECC: Supply Equipment Communication Controller), SDP 서버(SECC Discovery Protocol Server)을 포함하는 엔티티들 간의 적어도 일부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서브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860)에서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은 무선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스테이션(station), AP MLD(multi-link device), 또는 non-AP MLD일 수 있다. 스테이션은 STA 또는 non-AP STA을 의미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나 스테이션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 채널 폭(operating channel width)은 20MHz, 80MHz, 160MHz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860)는 4G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LTE(long-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 LTE-A 통신 시스템), 5G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NR(new radio) 통신 시스템) 등을 지원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4G 통신 시스템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을 지원할 수 있고, 5G 통신 시스템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network)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LTE"는 "4G 통신 시스템", "LTE 통신 시스템" 또는 "LTE-A 통신 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고, "NR"은 "5G 통신 시스템" 또는 "NR 통신 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위에서 설명한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능동적 페어링 장치(800)는, EV를 식별할 수 있는 EVID를 포함한 SECC 발견 프로토콜(SDP) 요청 메시지를 SDP 서버로 전송하고, 전력공급장치 통신제어기(SECC)와 통신하는 SDP 서버로부터, EV가 주차하거나 플러그 접속되는 전기차 전력공급장치(EVSE)를 제어하는 특정 SECC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SD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전기차의 EVCC가 SECC와 조기에 페어링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능동형 페어링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을 나타낼 수도 있다. 즉,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이나 모듈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 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위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전기차(electric vehicle, EV)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으로서,
    제1 EV를 식별할 수 있는 제1 EVID(first EV identifier)를 포함한 SDP(SECC discovery protocol) 요청 메시지를 SDP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제1 전기차 전력공급장치(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는 제1 EVSE에 주차하거나 플러그가 접속되는 상기 제1 EV로부터 상기 제1 EV를 식별할 수 있는 제1 EVID를 획득하고, 획득한 제1 EVID를 제1 전력공급장치 통신제어기(supply equipment communication controller, SECC)에 제공함-; 및
    상기 제1 SECC와 통신하는 상기 SDP 서버로부터 상기 SDP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SD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SDP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EVID에 대응하는 SECC가 제1 SECC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함-;
    를 포함하는 능동적 페어링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D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 EVID를 포함한 세션셋업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SECC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능동적 페어링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EVID에 대응하는 SECC가 제1 SECC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상기 SD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SDP 요청 메시지를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일정 횟수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능동적 페어링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DP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EVID에 대응하는 SECC가 제1 SECC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제1 SECC와 상기 SDP 서버 간의 통신으로 공유된 경우에 수신되는, 능동적 페어링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DP의 핸드셰이크에서 상기 제1 SECC로 TLS(transport layer security)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1 SECC로부터 TLS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능동적 페어링 방법.
  6. 전력공급장치 통신제어기(supply equipment communication controller, SECC)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으로서,
    제1 전기차 전력공급장치(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로부터 상기 제1 EVSE의 무선 전력 전송용 주차구역에 주차하거나 상기 제1 EVSE에 도전성 케이블로 접속되는 제1 EV(electric vehicle)에 대하여 상기 제1 EV를 식별할 수 있는 제1 EVID(EV identifier)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EV로부터 SDP(SECC discovery protocol)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제1 EVID를 포함하는 SDP 요청 메시지와 관련하여 상기 SDP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제1 SECC는 상기 SDP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제1 EVID에 대응하는 SECC가 자신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SDP 서버와 공유하고, 상기 SDP 서버는 상기 정보를 포함한 SDP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EV로 전송함-;
    를 포함하는 능동적 페어링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EVID를 포함한 세션셋업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EV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능동적 페어링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세션셋업 요청 메시지의 수신 전에 SDP 핸드셰이크(handshake)에서 TLS(transport layer security)를 사용하여 상기 EV의 전기차 통신제어기(EV communication controller, EVCC)의 TLS 요청에 응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능동적 페어링 방법.
  9. 전기차(electric vehicle, EV)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으로서,
    제1 전기차 전력공급장치(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로부터 상기 제1 EVSE를 식별할 수 있는 제1 EVSEID를 획득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제1 EVSE는 상기 제1 EV가 주차하거나 상기 제1 EV에 도전성 케이블로 연결된 EVSE임-;
    상기 제1 EVSE를 제어하는 전력공급장치 통신제어기(supply equipment communication controller, SECC)를 탐색하기 위해, 상기 제1 EV의 전기차 통신제어기(EV communication controller, EVCC)가 상기 제1 EVSEID를 포함한 SDP(SECC discovery protocol) 요청 메시지를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다수의 SECC가 연결된 로컬 링크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SDP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EVSEID에 대응하는 특정 SECC가 자신임을 나타내는 제1 SECC 관련 정보를 포함한 SDP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SECC와 통신하는 SDP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능동적 페어링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EV의 제1 EVID는 상기 제1 SECC에 의해 기억되고, 상기 제1 SECC로부터 상기 제1 EVSE로 전달되는, 능동적 페어링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SDP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EV의 제1 EVID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EVID는 정적 식별자이거나 사용 시마다 변경가능한 동적 식별자인, 능동적 페어링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SDP 요청 메시지의 구조는 보안(security), 전송 프로토콜(transport protocol), EVID 및 EVSEID에 대한 매개변수들을 포함하는, 능동적 페어링 방법.
  13. 전기차(electric vehicle, EV)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으로서,
    제1 전기차 전력공급장치(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로부터 제1 EVSE를 식별할 수 있는 제1 EVSEID(EV supply equipment identifier)를 획득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제1 EVSE는 제1 EV가 주차하거나 제1 EV에 도전성 케이블로 연결되는 EVSE임-; 및
    상기 제1 EVSEID에 대응하는 제1 전력공급장치 통신제어기(supply equipment communication controller, SECC)로 상기 제1 EVSEID를 포함한 세션셋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능동적 페어링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EV가 상기 제1 EVSE에서 상기 제1 SECC의 IP 주소 및 포트 번호를 포함한 QR(quick response) 코드를 감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능동적 페어링 방법.
  15. 전기차 전력공급장치(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으로서,
    제1 EVSE에 주차하거나 플러그가 연결되는 제1 전기차(electric vehicle, EV)의 EVID(EV identifier)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EV를 식별할 수 있는 EVID를 제1 전력공급장치 통신제어기(supply equipment communication controller, SECC)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SECC는 상기 EVID를 SDP(SECC discovery protocol)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SDP 서버는 상기 제1 EV로부터 상기 EVID를 포함한 SDP 요청 메시지를 받고, 상기 제1 SECC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포함한 SDP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EV로 전송하며,
    상기 제1 EV는 상기 EVID와 상기 제1 EVSE를 기억하는 상기 제1 SECC로 상기 EVID를 포함한 세션셋업 메시지를 전송하는, 능동적 페어링 방법.
  16. 전기차(electric vehicle, EV)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으로서,
    전기차 전력공급장치(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를 식별할 수 있는 EVSEID(EVSE identifier)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EVSEID와 상기 EV를 식별할 수 있는 EVID를 포함한 SDP(SECC discovery protocol) 요청 메시지를 SDP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SDP 서버로부터 전력공급장치 통신제어기(supply equipment communication controller, SECC)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포함한 SD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SDP 서버는 상기 EVID 및 상기 EVSEID에 대한 정보를 상기 SECC에 제공함-;를 포함하는 능동적 페어링 방법.
  17.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장치로서,
    전력망에 연결되어 제1 전기차(electric vehicle, EV)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전기차 전력공급장치(EV supply equipment, EVSE);
    상기 제1 EVSE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제1 EV의 전기차 통신제어기(EV communication controller, EVCC)와 통신하는 제1 전력공급장치 통신제어기(supply equipment communication controller, SECC); 및
    SECC 디스커버리 프로토콜(SECC discovery protocol, SDP)를 사용하여 상기 제1 EV와 통신하는 SDP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EVSE는 상기 제1 EVSE에 주차하거나 플러그가 꽂히는 상기 제1 EV로부터 상기 제1 EV를 식별할 수 있는 EVID(EV identifier)를 획득하고, 획득한 EVID를 상기 제1 SECC에 제공하며,
    상기 제1 EV는 상기 EVID를 포함한 SDP 요청 메시지를 상기 SDP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1 SECC와 통신하는 상기 SDP로부터 상기 SDP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EVID에 대응하는 SECC가 제1 SECC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SD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능동적 페어링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EV는 상기 제1 SECC를 탐색하기 위해, 상기 제1 EVSE를 식별할 수 있는 EVSEID를 포함한 SDP 요청 메시지를 멀티캐스팅 방식으로 로컬 링크로 전송하고, 상기 로컬 링크에서 상기 제1 SECC와 통신하는 상기 SDP 서버로부터 상기 EVSEID와 매칭되는 상기 제1 SECC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SD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능동적 페어링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 EV는 상기 제1 EVSE 또는 상기 제1 EVSE가 설치된 장소에서 상기 EVSEID를 획득하는, 능동적 페어링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 EV는 상기 제1 SECC의 IP 주소 및 포트 번호를 포함한 QR(quick response) 코드를 감지하는, 능동적 페어링 장치.
KR1020210140698A 2020-10-21 2021-10-21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 및 장치 KR20220052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32,615 US20230382245A1 (en) 2020-10-21 2021-10-21 Active pairing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lan-based smart charging or smart charging and discharging
PCT/KR2021/014788 WO2022086204A1 (ko) 2020-10-21 2021-10-21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94462P 2020-10-21 2020-10-21
US63/094,462 2020-10-21
US202063106003P 2020-10-27 2020-10-27
US63/106,003 2020-10-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848A true KR20220052848A (ko) 2022-04-28

Family

ID=81446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698A KR20220052848A (ko) 2020-10-21 2021-10-21 무선랜 기반 지능형 충전 또는 충방전을 위한 능동적 페어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4215406A1 (ko)
KR (1) KR2022005284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604A1 (ko) * 2022-06-30 2024-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 충전을 위한 무선랜 기반의 충전 통신 장치 및 방법
WO2024085714A1 (ko) * 2022-10-21 2024-04-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적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무선랜 기반의 충전 통신 장치 및 방법, 및 핸드오프 방법
WO2024191148A1 (ko) * 2023-03-10 2024-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 충전을 위한 페어링, 포지셔닝 및 통신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604A1 (ko) * 2022-06-30 2024-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 충전을 위한 무선랜 기반의 충전 통신 장치 및 방법
WO2024085714A1 (ko) * 2022-10-21 2024-04-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적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무선랜 기반의 충전 통신 장치 및 방법, 및 핸드오프 방법
WO2024085716A1 (ko) * 2022-10-21 2024-04-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중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는 동적 무선 전력 전송에 의한 전기차 충전을 위한 충전 통신 핸드오프 방법 및 장치
WO2024191148A1 (ko) * 2023-03-10 2024-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 충전을 위한 페어링, 포지셔닝 및 통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15406A1 (en) 202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5979B2 (en) In-cable control box mounted o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ble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CN106853778B (zh) 用于发现evse的pd的方法和装置以及secc的操作方法
US11727106B2 (en) Charg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EP4215406A1 (en) Active pairing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lan-based smart charging or smart charging and discharging
CN113924749B (zh) 交叉认证方法、电力传输方法和交叉认证设备
US20220212559A1 (en) Ev user authorization method and system
KR102432038B1 (ko) 전기차 충전 케이블에 탑재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방법
KR20190011187A (ko) 전기차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200106826A (ko) 전기차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00126339A (ko) 전기차 충전을 위한 교차 인증 방법 및 장치
KR20200124621A (ko) Ev 사용자 인가 방법 및 시스템
EP4086109A1 (en) Bootstrap method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CN112706641B (zh) 交流充电桩充电控制方法、控制设备和存储介质
KR20240002968A (ko) 전기차 충전을 위한 무선랜 기반의 충전 통신 장치 및 방법
CN114206662A (zh) 电力传输中的配对控制方法和装置
US20240083267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pairing method and apparatus
EP4242041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pairing method and apparatus
US20230382245A1 (en) Active pairing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lan-based smart charging or smart charging and discharging
KR20220020142A (ko) 전자인증체계 기반 이동형 충전 장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CN116547167A (zh) 用于基于无线lan的智能充电或智能充放电的主动配对方法和装置
US202303650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arly renegotiation in message sequencing between electric vehicle and grid
EP42282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arly renegotiation in message sequencing between electric vehicle and grid
KR20240056440A (ko) 다중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는 동적 무선 전력 전송에 의한 전기차 충전을 위한 충전 통신 핸드오프 방법 및 장치
KR20240015044A (ko) 동적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무선랜 기반의 충전 통신장치 및 방법
KR20240138497A (ko) 전기차 충전을 위한 페어링, 포지셔닝 및 통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