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365A - 막 형성 장치, 막 형성 방법 및 막 형성 장치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막 형성 장치, 막 형성 방법 및 막 형성 장치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365A
KR20190128365A KR1020180052462A KR20180052462A KR20190128365A KR 20190128365 A KR20190128365 A KR 20190128365A KR 1020180052462 A KR1020180052462 A KR 1020180052462A KR 20180052462 A KR20180052462 A KR 20180052462A KR 20190128365 A KR20190128365 A KR 20190128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space
reaction gas
film form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7770B1 (ko
Inventor
최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2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770B1/ko
Priority to US16/167,938 priority patent/US11021791B2/en
Priority to CN201910066321.4A priority patent/CN110459486B/zh
Publication of KR20190128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8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 H01L21/67109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mainly by conv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412Details relating to the exhausts, e.g. pumps, filters, scrubbers, particle trap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02Flow conditions in reaction chambe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63Gas nozz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63Gas nozzles
    • C23C16/45578Elongated nozzles, tubes with h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8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supporting substrates in the reaction chamber
    • C23C16/4582Rigid and flat substrates, e.g. plates or discs
    • C23C16/4583Rigid and flat substrates, e.g. plates or discs the substrate being support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C23C16/4584Rigid and flat substrates, e.g. plates or discs the substrate being support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the substrate being rot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52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6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89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atmosphere control
    • H01L21/67393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atmosphe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atmosphere modifying elements inside or attached to the closed carrier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막 형성 장치, 막 형성 방법 및 막 형성 장치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막 형성 장치는, 피처리 대상을 수용할 수 있고, 측벽 및 측벽과 연결된 상면이 제1 공간을 형성하는 내측 튜브, 제1 공간과 연결되는 배기관, 내측 튜브의 상면에 배치되고, 내측 튜브의 상면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상부 홀, 내측 튜브의 측벽에 배치되고, 내측 튜브의 측벽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측벽 홀, 내측 튜브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외측 튜브 및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 사이에,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가 형성하는 제2 공간과 연결되는 반응 가스 도입관을 포함하고, 반응 가스 도입관은, 배기관보다 높게 위치한다.

Description

막 형성 장치, 막 형성 방법 및 막 형성 장치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Film forming apparatus, film forming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film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막 형성 장치, 막 형성 장치를 이용한 막 형성 방법 및 막 형성 장치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막 형성 장치는, 막 형성 장치 내에 배치되는 반도체 웨이퍼에 반응 가스를 이용하여 막을 형성할 수 있다. 반도체 웨이퍼에 막을 형성하기 위해, 막 형성 장치 내로 반응 가스가 유입될 수 있다.
막 형성 장치가 종형 구조를 갖는 경우, 유입된 반응 가스의 농도는 막 형성 장치의 위치마다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 가스의 농도는, 막 형성 장치의 상부에서 높은 반면, 막 형성 장치의 하부에서는 매우 낮을 수 있다. 이 경우, 반도체 웨이퍼가 막 형성 장치 내에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불균형한 두께의 막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반응 가스를 막 형성 장치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긴 노즐이 이용되는 경우, 긴 노즐이 막히게 되면 반응 가스가 막 형성 장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반응 가스가 막 형성 장치 내부로 원활히 유입되도록 할 수 있는 막 형성 장치, 막 형성 방법 및 막 형성 장치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막 형성 장치의 각 영역에서 비교적 균일한 반응 가스의 농도를 구현할 수 있는 막 형성 장치, 막 형성 방법 및 막 형성 장치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막 형성 장치는, 피처리 대상을 수용할 수 있고, 측벽 및 측벽과 연결된 상면이 제1 공간을 형성하는 내측 튜브, 제1 공간과 연결되는 배기관, 내측 튜브의 상면에 배치되고, 내측 튜브의 상면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상부 홀, 내측 튜브의 측벽에 배치되고, 내측 튜브의 측벽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측벽 홀, 내측 튜브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외측 튜브 및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 사이에,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가 형성하는 제2 공간과 연결되는 반응 가스 도입관을 포함하고, 반응 가스 도입관은, 배기관보다 높게 위치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웨이퍼를 제공하고, 막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웨이퍼 상에 제1 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막 형성 장치는, 측벽 및 상기 측벽과 연결된 상면이 제1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공간 내에 상기 반도체 웨이퍼를 수용하는 내측 튜브, 상기 제1 공간과 연결되는 배기관, 상기 내측 튜브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내측 튜브의 상면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상부 홀, 상기 내측 튜브의 측벽에 배치되고, 상기 내측 튜브의 측벽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측벽 홀, 상기 내측 튜브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외측 튜브 및 상기 내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 사이에, 상기 내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가 형성하는 제2 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배기관보다 높게 위치되는 반응 가스 도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막 형성 방법은, 내측 튜브의 측벽 및 상기 내측 튜브의 측벽과 연결된 상면이 형성하는 제1 공간 내로 피처리 대상을 수용하고, 상기 내측 튜브와 상기 내측 튜브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외측 튜브가 형성하는 제2 공간과 연결되는 반응 가스 도입관을 통해 제1 막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반응 가스를 유입시키되, 상기 반응 가스는 상기 내측 튜브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내측 튜브의 상면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상부 홀과, 상기 내측 튜브의 측벽에 배치되고 상기 내측 튜브의 측벽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측벽 홀을 통해, 상기 피처리 대상이 수용된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반응 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처리 대상에 제1 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공간과 연결되는 배기관을 통해, 상기 제1 공간 내의 상기 반응 가스를 배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반응 가스 도입관은 상기 배기관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막 형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내측 튜브 및 측벽 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막 형성 장치의 내측 튜브 및 측벽 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막 형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B-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막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막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막 형성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막 형성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막 형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내측 튜브(120) 및 측벽 홀(sh)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에서는 도시의 명확성을 위해, 외측 튜브(110)와 내측 튜브(120)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3에서는 도시의 명확성을 위해 내측 튜브(120)만을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막 형성 장치는, 외측 튜브(110), 내측 튜브(120), 반응 가스 도입관(131), 노즐(132), 튜브 지지대(100), 가열 장치(160) 및 배기관(135)을 포함할 수 있다.
튜브 지지대(100)는, 제1 지지대(101), 제2 지지대(102) 및 제3 지지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대(102) 및 제3 지지대(103)는, 제1 지지대(10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튜브 지지대(100)는, 외측 튜브(110)와 내측 튜브(120)를 지지할 수 있다.
도면에서, 튜브 지지대(100)가 특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튜브 지지대(100)는, 임의의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 지지대(100)는, 내측 튜브(120)와 외측 튜브(110)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튜브 지지대(100)에 임의의 개수의 지지대가 포함될 수 있고,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지지대(101)는, 제1 지지대(101)를 관통하는 시일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일 부재 내에 배치되는 회전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내측 튜브(120)는, 튜브 지지대(100) 상에 배치되어, 튜브 지지대(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내측 튜브(120)는, 측벽(120S) 및 측벽(120S)과 연결되는 상면(120U)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튜브(120)의 측벽(120S)과 상면(120U)은, 제1 공간(SP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공간(SP1)은 예를 들어, 내측 튜브(120)의 내부 공간일 수 있다. 제1 공간(SP1)은 예를 들어, 내측 튜브(120) 내로 피처리 대상이 수용될 공간일 수 있다. 제1 공간(SP1)은 예를 들어, 배기관(135)에 의해 막 형성 장치의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내측 튜브(120)는, 제1 상부 홀(th1)과 측벽 홀(sh)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상부 홀(th1)은, 내측 튜브(120)의 상면(120U)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상부 홀(th1)은, 내측 튜브(120)의 상면(120U)의 일부분을 관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상부 홀(th1)은, 내측 튜브(120)의 상면(120U)을 전부 개방시키지 않을 수 있다. 제1 상부 홀(th1)의 측벽은, 내측 튜브(120)의 상면(120U)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1 상부 홀(th1)은, 제1 공간(SP1)과 제2 공간(SP2)을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상부 홀(th1)은, 내측 튜브(120)의 상면(120U)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측벽 홀(sh)은, 내측 튜브(120)의 측벽(120S)에 배치될 수 있다. 측벽 홀(sh)은, 내측 튜브(120)의 측벽(120S)의 일부분을 관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측벽 홀(sh)은, 내측 튜브(120)의 측벽(120S)을 전부 개방시키지 않을 수 있다. 측벽 홀(sh)은, 제1 공간(SP1)과 제2 공간(SP2)을 연결할 수 있다.
측벽 홀(sh)은, 예를 들어, 내측 튜브(120)의 측벽(120S)의 제1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내측 튜브(120)의 측벽(120S)의 제1 부분은, 반응 가스가 배출(GAS OUT)될 배기관(135)과 인접한 내측 튜브(120)의 측벽(120S)의 부분일 수 있다. 내측 튜브(120)의 측벽(120S)의 제2 부분은, 반응 가스가 유입(GAS IN)될 반응 가스 도입관(131)과 인접한 내측 튜브(120)의 측벽(120S)의 부분일 수 있다. 내측 튜브(120)의 측벽(120S)의 제1 부분은, 제2 부분보다 배기관(135)과 더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튜브(120)의 측벽(120S)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서로 마주보는 내측 튜브(120)의 측벽(120S)의 일부분들일 수 있다.
측벽 홀(sh)은, 제1 측벽 홀(sh1), 제2 측벽 홀(sh2) 및 제3 측벽 홀(sh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 홀(sh1)은 제2 측벽 홀(sh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측벽 홀(sh3)은, 제1 측벽 홀(sh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측벽 홀(sh1), 제2 측벽 홀(sh2) 및 제3 측벽 홀(sh3)은, 내측 튜브(120)의 상면(120U)에 수직인 제1 방향(D1)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D1)은, 내측 튜브(120)의 상면(120U)과 평행한 제1 평행선(PL1)에 수직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외측 튜브(110)와 내측 튜브(120)가 원통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외측 튜브(110)와 내측 튜브(120) 각각은, 막 형성 장치에 적합한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 제1 상부 홀(th1)과 측벽 홀(sh)이 각각 원형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상부 홀(th1)과 측벽 홀(sh) 각각은, 제1 공간(SP1)과 제2 공간(SP2)을 연결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배기관(135)은, 예를 들어, 제1 지지대(101)와 제3 지지대(1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배기관(135)은, 제1 공간(SP1)과 막 형성 장치의 외부를 연결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배기관(135)이 도면에서 특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배기관(135)은, 제1 공간(SP1)과 막 형성 장치의 외부를 연결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배기관(135)은, 막 형성 장치 내에 반응 가스가 유입(GAS IN)되는 경우, 제1 공간(SP1) 내로 유입된 반응 가스를 막 형성 장치의 외부로 배출(GAS OUT)시킬 수 있다.
외측 튜브(110)는 튜브 지지대(100) 상에 배치되어, 튜브 지지대(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외측 튜브(110)는, 내측 튜브(120)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내측 튜브(120)는 외측 튜브(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내측 튜브(120)가 외측 튜브(110) 내에 배치됨에 따라, 내측 튜브(120)와 외측 튜브(110)는 제2 공간(SP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공간(SP2)은, 내측 튜브(120)와 외측 튜브(110)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
제2 공간(SP2)은, 배기관(135)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공간(SP2)은, 제1 공간(SP1)과 배기관(135)을 통해, 막 형성 장치의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공간(SP2)은, 예를 들어, 제1 상부 홀(th1) 및 측벽 홀(sh)을 통해, 제1 공간(SP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공간(SP2)은 예를 들어, 반응 가스 도입관(131)을 통해 반응 가스가 유입(GAS IN)되는 공간일 수 있다.
반응 가스 도입관(131)은 예를 들어, 외측 튜브(110)와 제2 지지대(1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 가스 도입관(131)은, 예를 들어, 제2 공간(SP2)으로 반응 가스를 유입(GAS IN)시킬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반응 가스 도입관(131)이 도면에서 특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반응 가스 도입관(131)은, 제2 공간(SP2)에 반응 가스를 유입(GAS IN)시킬 수 있는 형상이라면,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반응 가스 도입관(131)은, 제2 공간(SP2)과 연결될 수 있다. 반응 가스 도입관(131)은, 막 형성 장치 내에 반응 가스를 유입(GAS IN)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제2 공간(SP2)으로 반응 가스를 유입(GAS IN)시킬 수 있다.
반응 가스 도입관(131)은, 배기관(135)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막 반응 가스 도입관(131)은 제1 높이(H1)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배기관(135)은 제2 높이(H2)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높이(H1)는 제2 높이(H2)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제1 높이(H1)는 막 형성 장치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반응 가스 도입관(131)의 임의의 위치까지의 높이일 수 있다. 반응 가스 도입관(131)의 임의의 위치는 예를 들어, 반응 가스를 제2 공간(SP2) 내로 유입(GAS IN)시키기 위한 노즐(132)이 삽입될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제2 높이(H2)는 막 형성 장치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배기관(135)의 임의의 위치까지의 높이일 수 있다. 배기관(135)의 임의의 위치는 예를 들어, 제1 공간(SP1)내의 반응 가스가 막 형성 장치의 외부로 유출되는 배기관(135)의 홀이 형성된 위치일 수 있다.
반응 가스 도입관(131)이 배기관(135)보다 높게 위치함에 따라, 후에 막 형성 장치 내로 반응 가스를 유입(GAS IN)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반응 가스는 제2 공간(SP2)에서 제1 공간(SP1)으로 원활히 유입(GAS IN)될 수 있다. 반응 가스가 제2 공간(SP2)에서 제1 공간(SP1)으로 유입(GAS IN)됨에 따라, 내측 튜브(120)의 여러 위치에서 반응 가스는 비교적 균일한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노즐(132)은, 반응 가스 도입관(131)에 삽입될 수 있다. 노즐(132)은, 제2 공간(SP2)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노즐(132)은 예를 들어, 내측 튜브(120)의 측벽(120S)을 따라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막 형성 장치 내에 반응 가스를 유입(GAS IN)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반응 가스는 반응 가스 도입관(131)에 삽입된 노즐(132)을 따라 제2 공간(SP2)으로 유입(GAS IN)될 수 있다.
가열 장치(160)는 외측 튜브(110)의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장치(160)는 내측 튜브(120)의 제1 공간(SP1)을 가열할 수 있다. 가열 장치(160)는, 막 형성 장치에 반응 가스가 유입(GAS IN)되는 경우, 유입된 반응 가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가열 장치(160)는, 제1 공간(SP1)에 피처리 대상이 배치되는 경우, 피처리 대상을 가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막 형성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막 형성 장치의 내측 튜브(120) 및 측벽 홀(sh)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4에서는 도시의 명확성을 위해, 내측 튜브(120)만을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내측 튜브(120)는, 도 1에 도시된 내측 튜브(120)를 대체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측벽 홀(sh1)과 제2 측벽 홀(sh2)은 제2 방향(D2)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제2 방향(D2)은, 내측 튜브(120)의 상면(120U)에 대해 제1 각도(θ1)를 갖는 방향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방향(D2)은, 예를 들어, 제2 평행선(PL2)과 제1 각도(θ1)를 가질 수 있다. 제2 평행선(PL2)은, 내측 튜브(120)의 상면(120U)과 평행할 수 있다. 제1 각도(θ1)는 예를 들어, 제2 평행선(PL2)에 대해 수직이 아닌 예각일 수 있다.
제1 측벽 홀(sh1)과 제3 측벽 홀(sh3)은 제3 방향(D3)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제3 방향(D3)은, 내측 튜브(120)의 상면(120U)에 대해 제2 각도(θ2)를 갖는 방향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3 방향(D3)은, 예를 들어, 제2 평행선(PL2)과 제2 각도(θ2)를 가질 수 있다. 제2 각도(θ2)는 예를 들어, 제2 평행선(PL2)에 대해 수직이 아닌 예각일 수 있다.
제2 방향(D2)과 제3 방향(D3)은 서로 일치하거나, 서로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막 형성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막 형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B-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에서는 도시의 명확성을 위해, 외측 튜브(110)와 내측 튜브(120)만을 도시하였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내측 튜브(120)의 상면(120U)은, 제1 상부 홀(th1) 및 제2 상부 홀(th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부 홀(th2)은, 제1 상부 홀(th1)과 이격되어 내측 튜브(120)의 상면(120U)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상부 홀(th2)은, 내측 튜브(120)의 상면(120U)의 일부를 관통할 수 있다. 제1 공간(SP1)과 제2 공간(SP2)은, 제1 상부 홀(th1)과 제2 상부 홀(th2)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상부 홀(th2)은,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상부 홀(th2)은 예를 들어, 제1 상부 홀(th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상부 홀(th2) 각각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면에서, 제1 상부 홀(th1)과 제2 상부 홀(th2)의 크기가 상이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상부 홀(th1)과 제2 상부 홀(th2)의 크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고, 또는 제2 상부 홀(th2)의 크기가 제1 상부 홀(th1)의 크기보다 클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제2 상부 홀(th2)이 6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제2 상부 홀(th2)은 임의의 개수가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면에서, 제2 상부 홀(th2)이 제1 상부 홀(th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상부 홀(th1)과 제2 상부 홀(th2)은, 제1 공간(SP1)과 제2 공간(SP2)을 연결시킬 수 있다면, 내측 튜브(120)의 상면(120U)의 임의의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막 형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막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막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막 형성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단계(S101)에서, 피처리 대상은 내측 튜브의 제1 공간 내로 수용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피처리 대상(W)은 제1 공간(SP1) 내로 수용될 수 있다. 피처리 대상(W)은, 보트(151)에 수용되어, 제1 공간(SP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피처리 대상(W)은, 보트(151)의 지주(15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피처리 대상(W)은, 예를 들어, 반도체 웨이퍼일 수 있다.
보트(151)는 예를 들어, 보트 지지대(143, 14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보트(151)는, 보트 지지대(143, 14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트 지지대(143, 144)는, 제1 지지대(101)를 관통하는 회전축(14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트 지지대(143, 144)는, 회전축(14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회전축(141)이 관통하는 제1 지지대(101)의 부분에는, 예를 들어, 시일 부재(142)가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141)은, 제1 공간(SP1)을 시일하면서 회전될 수 있다. 회전축(141)은, 승강 기구와 연결된 아암(1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트(151) 및 제1 지지대(101)는, 일체적으로 승강 기구에 의해 승강되어, 내측 튜브(120) 내로 삽탈될 수 있다.
도 7의 단계(S103)에서, 반응 가스는 상부 홀과 측벽 홀을 통해 제1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반응 가스(GF)는, 노즐(132) 및 반응 가스 도입관(131)을 통해 제2 공간(SP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공간(SP2)으로 유입된 반응 가스(GF)는, 제1 상부 홀(th1), 제1 측벽 홀(sh1), 제2 측벽 홀(sh2) 및 제3 측벽 홀(sh3)을 통해 제1 공간(SP1)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9에서와 같이 내측 튜브(120)가 제2 상부 홀(th2)을 더 포함하는 경우, 반응 가스(GF)는 제1 상부 홀(th1), 제2 상부 홀(th2), 제1 측벽 홀(sh1), 제2 측벽 홀(sh2) 및 제3 측벽 홀(sh3)을 통해 제1 공간(SP1)으로 유입될 수 있다.
반응 가스(GF)가 상부 홀(제1 상부 홀(th1) 및 제2 상부 홀(th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제1 측벽 홀(sh1), 제2 측벽 홀(sh2) 및 제3 측벽 홀(sh3)을 통해 제1 공간(SP1)으로 유입됨에 따라, 반응 가스(GF)는 제1 공간(SP1)에 비교적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반응 가스(GF)는, 피처리 대상(W)에 제1 막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가스일 수 있다.
도 7의 단계(S105)에서, 반응 가스를 이용하여 피처리 대상에 제1 막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부 홀(제1 상부 홀(th1) 및 제2 상부 홀(th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과 측벽 홀(sh)을 통해 제1 공간(SP1)으로 유입된 반응 가스는, 피처리 대상(W)에 제1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 높이(H1)는 제2 높이(H2)보다 크기 때문에, 긴 노즐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반응 가스는 제2 공간(SP2)에서 상부 홀(제1 상부 홀(th1) 및 제2 상부 홀(th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과 측벽 홀(sh)을 통해 제1 공간(SP1)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내측 튜브(120)의 상면(120U)에 홀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내측 튜브의 상면(120U)이 완전히 개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반응 가스(GF)는 내측 튜브(120)의 상부 영역(U), 중앙 상부 영역(CU), 중앙 영역(C), 중앙 하부 영역(CL) 및 하부 영역(L) 각각의 영역에서 적절한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그래프(G1), 제2 그래프(G2) 및 제3 그래프(G3)는, 반응 가스(GF)가 제1 공간(SP1)으로 유입된 경우, 내측 튜브(120)의 각 영역에서 반응 가스(GF)의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그래프의 x축은 내측 튜브(120)의 상부 영역(U), 중앙 상부 영역(CU), 중앙 영역(C), 중앙 하부 영역(CL) 및 하부 영역(L) 각각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도 10의 그래프의 y축은 반응 가스(GF)의 농도(단위: Arbitrary Unit(AU))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제1 그래프(G1)는, 내측 튜브(120)의 상면(120U)이 완전히 개방된 경우, 내측 튜브(120)의 상부 영역(U), 중앙 상부 영역(CU), 중앙 영역(C), 중앙 하부 영역(CL) 및 하부 영역(L) 각각에서의 반응 가스(GF)의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2 그래프(G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측 튜브(120)와 같이, 내측 튜브(120)에 상부 홀(제1 상부 홀(th1) 및 제2 상부 홀(th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 존재하는 경우, 내측 튜브(120)의 상부 영역(U), 중앙 상부 영역(CU), 중앙 영역(C), 중앙 하부 영역(CL) 및 하부 영역(L) 각각에서의 반응 가스(GF)의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3 그래프(G3)는, 내측 튜브(120)의 상면(120U)에 홀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내측 튜브(120)의 상부 영역(U), 중앙 상부 영역(CU), 중앙 영역(C), 중앙 하부 영역(CL) 및 하부 영역(L) 각각에서의 반응 가스(GF)의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1 그래프(G1)와 제2 그래프(G2)를 비교하면, 내측 튜브(120)의 상부 영역(U)에서 반응 가스의 농도는, 제2 그래프(G2)의 값이 제1 그래프(G1)의 값보다 크다. 다시 말해서, 내측 튜브(120)의 상부 영역(U)에서 반응 가스의 농도는, 내측 튜브(120)의 상면(120U)이 완전히 개방된 경우 보다, 내측 튜브(120)에 상부 홀(제1 상부 홀(th1) 및 제2 상부 홀(th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 존재하는 경우 더 높을 수 있다.
또한, 내측 튜브(120)의 하부 영역(L)에서 반응 가스의 농도는, 제2 그래프(G2)의 값이 제1 그래프(G1)의 값보다 크다. 다시 말해서, 내측 튜브(120)의 하부 영역(L)에서 반응 가스의 농도는, 내측 튜브(120)의 상면(120U)이 완전히 개방된 경우 보다, 내측 튜브(120)에 상부 홀(제1 상부 홀(th1) 및 제2 상부 홀(th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 존재하는 경우 더 높을 수 있다.
따라서, 내측 튜브(120)에 상부 홀(제1 상부 홀(th1) 및 제2 상부 홀(th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 존재하는 경우, 내측 튜브(120)의 상면(120U)이 완전히 개방된 경우보다 내측 튜브(120)의 상부 영역(U) 및 하부 영역(L)에서 반응 가스의 농도를 높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내측 튜브(120)에 상부 홀(제1 상부 홀(th1) 및 제2 상부 홀(th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 존재하는 경우, 내측 튜브(120)의 상면(120U)이 완전히 개방된 경우보다 반응 가스가 제1 공간(SP1)으로 더욱 더 유입될 수 있다.
제2 그래프(G2)와 제3 그래프(G3)를 비교하면, 내측 튜브(120)의 중앙 영역(C), 중앙 하부 영역(CL) 및 하부 영역(L)에서 반응 가스의 농도는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내측 튜브(120)의 상부 영역(U)과 중앙 상부 영역(CU)에서 반응 가스의 농도는, 제3 그래프(G3)의 값이 제2 그래프(G2)의 값보다 크다.
예를 들어, 제3 그래프(G3)에서 내측 튜브(120)의 상부 영역(U)의 반응 가스의 농도와 중앙 영역(C)의 반응 가스의 농도 차이는, 제2 그래프(G2)에서 내측 튜브(120)의 상부 영역(U)의 반응 가스의 농도와 중앙 영역(C)의 반응 가스의 농도 차이보다 크다.
다시 말해서, 내측 튜브(120)에 홀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내측 튜브(120) 내부로 유입된 반응 가스는, 내측 튜브(120)의 상부 영역(U)에서 적체될 수 있다. 반면, 내측 튜브(120)에 상부 홀(제1 상부 홀(th1) 및 제2 상부 홀(th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 존재하는 경우, 제1 공간(SP1)으로 유입된 반응 가스가 내측 튜브(120)의 상부 영역(U)에서 적체되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내측 튜브(120)에 상부 홀(제1 상부 홀(th1) 및 제2 상부 홀(th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 존재하는 경우, 내측 튜브(120)의 상면(120U)이 완전히 개방되거나 내측 튜브(120)의 상면(120U)에 홀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내측 튜브(120)의 각 영역에서 비교적 균일한 반응 가스의 농도가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단계(S106)에서, 제1 공간 내의 반응 가스는, 배기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반응 가스(GF)는, 피처리 대상(W)에 제1 막을 형성시킨 후, 배기관(135)을 통해 막 형성 장치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S201)에서, 반도체 웨이퍼가 제공될 수 있다.
반도체 웨이퍼(도 8의 피처리 대상(W))는 막 형성 장치의 내측 튜브의 제1 공간(도 8의 제1 공간(SP1))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단계(S203)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막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반도체 웨이퍼 상에 제1 막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도 7의 각 단계(S101, S103, S105, S1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20: 내측 튜브 110: 외측 튜브
th1: 제1 상부 홀 sh: 측벽 홀
135: 배기관 131: 반응 가스 도입관

Claims (10)

  1. 피처리 대상을 수용할 수 있고, 측벽 및 상기 측벽과 연결된 상면이 제1 공간을 형성하는 내측 튜브;
    상기 제1 공간과 연결되는 배기관;
    상기 내측 튜브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내측 튜브의 상면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상부 홀;
    상기 내측 튜브의 측벽에 배치되고, 상기 내측 튜브의 측벽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측벽 홀;
    상기 내측 튜브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외측 튜브; 및
    상기 내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 사이에, 상기 내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가 형성하는 제2 공간과 연결되는 반응 가스 도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반응 가스 도입관은, 상기 배기관보다 높게 위치하는 막 형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홀은, 상기 내측 튜브의 상면의 중앙에 배치되는 제1 상부 홀을 포함하는 막 형성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홀은,
    상기 제1 상부 홀과 이격되고, 상기 제1 상부 홀의 둘레를 따라 상기 내측 튜브의 상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상부 홀을 더 포함하는 막 형성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홀은,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결하는 막 형성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홀은, 상기 내측 튜브의 측벽의 제1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 튜브의 측벽의 제1 부분은, 상기 반응 가스 도입관과 인접한 상기 내측 튜브의 측벽의 제2 부분의 반대측의 상기 내측 튜브의 측벽의 일부분인 막 형성 장치.
  6. 반도체 웨이퍼를 제공하고,
    막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웨이퍼 상에 제1 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막 형성 장치는,
    측벽 및 상기 측벽과 연결된 상면이 제1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공간 내에 상기 반도체 웨이퍼를 수용하는 내측 튜브;
    상기 제1 공간과 연결되는 배기관;
    상기 내측 튜브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내측 튜브의 상면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상부 홀;
    상기 내측 튜브의 측벽에 배치되고, 상기 내측 튜브의 측벽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측벽 홀;
    상기 내측 튜브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외측 튜브; 및
    상기 내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 사이에, 상기 내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가 형성하는 제2 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배기관보다 높게 위치되는 반응 가스 도입관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막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웨이퍼 상에 상기 제1 막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를 상기 제1 공간 내에 위치시키고,
    상기 반응 가스 도입관을 통해 상기 제2 공간으로 상기 제1 막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반응 가스를 유입시키되, 상기 반응 가스는 상기 상부 홀과 상기 측벽 홀을 통해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반응 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웨이퍼 상에 상기 제1 막을 형성하고,
    상기 배기관을 통해, 상기 제1 공간 내의 상기 반응 가스를 배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홀은, 상기 내측 튜브의 측벽의 제1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 튜브의 측벽의 제1 부분은, 상기 반응 가스 도입관과 인접한 상기 내측 튜브의 측벽의 제2 부분의 반대측의 상기 내측 튜브의 측벽의 일부분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홀은, 상기 내측 튜브의 상면의 중앙에 배치되는 제1 상부 홀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막 형성 장치는,
    상기 반응 가스 도입관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2 공간을 향하는 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내측 튜브의 측벽을 따라 연장되지 않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80052462A 2018-05-08 2018-05-08 막 형성 장치, 막 형성 방법 및 막 형성 장치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477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462A KR102477770B1 (ko) 2018-05-08 2018-05-08 막 형성 장치, 막 형성 방법 및 막 형성 장치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US16/167,938 US11021791B2 (en) 2018-05-08 2018-10-23 Film forming apparatus, film forming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film forming apparatus
CN201910066321.4A CN110459486B (zh) 2018-05-08 2019-01-24 成膜装置、成膜方法和制造半导体器件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462A KR102477770B1 (ko) 2018-05-08 2018-05-08 막 형성 장치, 막 형성 방법 및 막 형성 장치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365A true KR20190128365A (ko) 2019-11-18
KR102477770B1 KR102477770B1 (ko) 2022-12-14

Family

ID=68465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462A KR102477770B1 (ko) 2018-05-08 2018-05-08 막 형성 장치, 막 형성 방법 및 막 형성 장치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21791B2 (ko)
KR (1) KR102477770B1 (ko)
CN (1) CN11045948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1020A (zh) * 2020-06-10 2020-08-07 北京北方华创微电子装备有限公司 半导体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797A (ko) * 2004-12-14 2006-06-19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제조용 수직형 확산로 및 그의 반응가스 균등확산방법
KR20080012793A (ko) * 2006-08-04 2008-02-12 도쿄 엘렉트론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처리용의 열처리 장치
KR20100031896A (ko) * 2008-09-16 2010-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형성 장치 및 반도체 소자 형성 방법
KR20100077813A (ko) * 2008-12-29 2010-07-0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반도체 제조용 수직형 확산로
KR20120112082A (ko) * 2011-03-31 2012-10-11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종형 배치식 성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015B2 (ja) 1991-02-19 2000-12-04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縦型バッチ処理装置
KR200303027Y1 (ko) * 1997-11-29 2003-03-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저압화학기상증착장치의노즐설치구조
JPH11288893A (ja) 1998-04-03 1999-10-19 Nec Corp 半導体製造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872636B2 (en) * 2001-03-21 2005-03-2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Method for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US20050287806A1 (en) * 2004-06-24 2005-12-29 Hiroyuki Matsuura Vertical CVD apparatus and CVD method using the same
KR20060035824A (ko) 2004-10-20 2006-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종형확산로
JP2009152359A (ja) * 2007-12-20 2009-07-09 Elpida Memory Inc 縦型化学気相成長装置
JP2012023073A (ja) 2010-07-12 2012-02-0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の製造方法
KR101313262B1 (ko) * 2010-07-12 2013-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학 기상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에피 박막의 제조 방법
JP3165928U (ja) 2010-11-30 2011-02-10 バイク・パーキングシステム株式会社 モーターバイク用駐車装置
KR20130008203A (ko) * 2011-07-12 2013-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에피 박막 성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KR20150082853A (ko) * 2014-01-08 2015-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로
JP2015156460A (ja) * 2014-02-21 2015-08-27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重合膜の成膜方法および成膜装置
JP6254459B2 (ja) * 2014-02-27 2017-12-27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重合膜の耐薬品性改善方法、重合膜の成膜方法、成膜装置、および電子製品の製造方法
SG11201705934UA (en) 2015-02-04 2017-09-28 Hitachi Int Electric Inc Substrate treatment apparatus and reaction tube
WO2016151684A1 (ja) 2015-03-20 2016-09-29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記録媒体及び基板処理装置
JP6529927B2 (ja) 2016-04-15 2019-06-12 株式会社Kokusai Electric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基板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585551B2 (ja) 2016-06-15 2019-10-02 株式会社Kokusai Electric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基板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559618B2 (ja) 2016-06-23 2019-08-14 株式会社Kokusai Electric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基板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80009853A (ko) * 2016-07-19 2018-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797A (ko) * 2004-12-14 2006-06-19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제조용 수직형 확산로 및 그의 반응가스 균등확산방법
KR20080012793A (ko) * 2006-08-04 2008-02-12 도쿄 엘렉트론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처리용의 열처리 장치
KR20100031896A (ko) * 2008-09-16 2010-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형성 장치 및 반도체 소자 형성 방법
KR20100077813A (ko) * 2008-12-29 2010-07-0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반도체 제조용 수직형 확산로
KR20120112082A (ko) * 2011-03-31 2012-10-11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종형 배치식 성막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1020A (zh) * 2020-06-10 2020-08-07 北京北方华创微电子装备有限公司 半导体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21791B2 (en) 2021-06-01
CN110459486B (zh) 2024-02-20
CN110459486A (zh) 2019-11-15
US20190345604A1 (en) 2019-11-14
KR102477770B1 (ko) 2022-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22725B (zh) 具有更均勻的邊緣清洗的基板支撐件
US10720312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US20180355481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US11615944B2 (en) Remote plasma oxidation chamber
US2021024923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flow uniformity in a process chamber
KR20140097609A (ko) 성막 장치
TW201602391A (zh) 旋轉批量磊晶系統
TW202006179A (zh) 用於改良式泵吹洗及前驅物輸送之氣體分配組件
KR102477770B1 (ko) 막 형성 장치, 막 형성 방법 및 막 형성 장치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US20160265107A1 (en) Substrate holder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US9920418B1 (en) Physical vapor deposition apparatus having a tapered chamber
JP5278376B2 (ja) 熱処理装置及び熱処理方法
KR20180003163U (ko) 가스 분배 플레이트
TW201611155A (zh) 基板處理裝置的反應器
US8377206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semiconductor devices
TWI700388B (zh) 用於可流動式cvd的雙遠端電漿源的集成
US20150191818A1 (en) Vertical furnace
TWI770258B (zh) 基板支撐元件和基板處理裝置
KR20150111319A (ko) 진공 처리 장치
JP6542594B2 (ja)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KR102303066B1 (ko) 챔버 내부의 유동을 확산시키는 것에 의한 더 낮은 입자 수 및 더 양호한 웨이퍼 품질을 위한 효과적이고 새로운 설계
US20220293439A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TW202335132A (zh) 半導體製造設備
JPS60200521A (ja) 処理装置
KR20210135357A (ko) 가변 유동 밸브를 갖는 프로세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