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348A -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348A
KR20190128348A KR1020180052404A KR20180052404A KR20190128348A KR 20190128348 A KR20190128348 A KR 20190128348A KR 1020180052404 A KR1020180052404 A KR 1020180052404A KR 20180052404 A KR20180052404 A KR 20180052404A KR 20190128348 A KR20190128348 A KR 20190128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wing
guide
drainage
filte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3833B1 (ko
Inventor
이임락
오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Priority to KR1020180052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833B1/ko
Publication of KR20190128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5Joining of substantially the whole surface of the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배수재에 수직배수재를 연결할 때 연결되는 부분을 덮어 이물질이 필터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날개부가 부착된 수평배수재를 편리하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인바, 본 발명은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배수코어를 공급하는 배수코어 공급수단과; 필터재를 제조하기 위한 부직포 원단을 공급하는 제1부직포공급수단과; 상기 제1부직포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부직포 원단에 날개편을 부착하기 위한 부직포를 공급하는 날개원단공급수단과; 상기 제1부직포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부직포 원단과 날개원단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날개편을 접합하는제1접합수단과; 상기 날개편이 접합된 부직포 원단과 배수코어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배수코어를 적층형태로 모아 이송시키는 집합가이드수단과; 상기 집합가이드수단을 통과한 배수코어는 안내하고 부직포 원단은 끝단이 겹쳐지면서 원형의 단면이 되도록 변형시키는 복합가이드수단과; 상기 복합가이드수단을 통과한 반원형으로 변형된 배수코어는 반원 형태를 유지하면서 안내하고 끝단이 겹쳐지면서 원형의 단면을 갖는 부직포 원단을 접합하는 제2접합장치로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of horizontal drainer with wings}
본 발명은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배수재에 수직배수재를 연결할 때 연결되는 부분을 덮어 이물질이 필터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날개부가 부착된 수평배수재를 편리하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이나 하천, 호수 항만 등을 간척이나 매립에 의하여 형성시킨 지역은 지표면이 물과 점성토 또는 물과 뻘이 혼합된 습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지반의 내부에는 간극수가 내재하여 지반의 강도가 매우 연약한 상태이므로, 이와 같은 지역을 공업지역이나 상업지역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용도에 맞게 개량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연약지반을 안정화하는 공법 중 하나인 PBD(Plastic Board Drain)공법은 수직배수공법으로서, 연약지반에 배수재인 플라스틱 드레인보드를 수직으로 삽입하여 설치한 후, 지중에 내재되어 있는 간극수를 타설된 수직배수재를 통하여 지표면으로 상승시켜 배출시키는 공법이다.
또한, 수직배수공법에 의하여 지표면으로 배출된 간극수를 수평으로 배출시키는 수평배수공법이 적용되고 있는데, 수평배수공법은 수직배수공법의 배수재를 통하여 지표면으로 배출된 간극수를 수평으로 배출시키는 역할과 함께 성토층 속으로 지하수가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고, 시공장비의 주행성능을 확보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이 수직 또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935817호의 드레인보드 제조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 등록된 드레인보드 제조 장치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로 성형 제조된 배수코어(C)를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재(F)가 감싸도록 형성되되 끝단이 결치어져 열융착에 의해 열융착선(J)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일반적인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일반적인 수직 및 수평배수재(DB)를 연결시켜 지표면으로 간극수를 유도배수시키는 시공방법이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직배수재와 수평배수재의 연결설치 방법은 첨부도면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수평배수재의 상부에 수직배수재의 끝단을 위치시킨 후 나사 또는 스테이플러 등의 고정수단으로 수직배수재와 수평배수재를 고정하여 수직배수재를 통해 배출되는 지중 간극수가 수평배수재의 필터를 투과한 후 수평배수재의 배수유로로 유입되어 배수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수직배수재와 수평배수재의 시공방법은 수직배수재를 통해 배출되는 간극수가 수평배수재의 필터층을 투과하여 배수유로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수평배수재에 온전히 유입되지 못하고 성토재 및 토사로 유실됨으로써 압밀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935817호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수직배수재를 수평배수재에 삽입시켜 시공하므로 간극수가 유실되지 않고 배수 및 집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배수코어를 공급하는 배수코어 공급수단과; 필터재를 제조하기 위한 부직포 원단을 공급하는 제1부직포공급수단과; 상기 제1부직포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부직포 원단에 날개편을 부착하기 위한 부직포를 공급하는 날개원단공급수단과; 상기 제1부직포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부직포 원단과 날개원단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날개편을 접합하는제1접합수단과; 상기 날개편이 접합된 부직포 원단과 배수코어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배수코어를 적층형태로 모아 이송시키는 집합가이드수단과; 상기 집합가이드수단을 통과한 배수코어는 안내하고 부직포 원단은 끝단이 겹쳐지면서 원형의 단면이 되도록 변형시키는 복합가이드수단과; 상기 복합가이드수단을 통과한 반원형으로 변형된 배수코어는 반원 형태를 유지하면서 통과되도록 안내하고 끝단이 겹쳐지면서 원형의 단면을 갖는 부직포 원단을 접합하는 제2접합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집합가이드수단은 반원형의 가이드홈부를 구비한 바디부의 상부에 고정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실린더수단이 설치되며 실린더에는 가이드홈부에 삽입되는 반원형상의 삽입안내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복합가이드수단은 바닥에 고정시키는 고정공을 형성한 고정부와 일체로 링 형태의 설치부를 구비한 홀더수단과; 상기 고정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링 형태의 설치부에 끼워져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면서 평면형태로 공급되는 배수코어는 반원형으로 절곡시키고 필터재는 반원형으로 형성된 배수코어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원형의 형상으로 변형시키면서 배수코어와 필터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2접합장치는 반원형상을 갖는 배수코어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슬롯홈부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연결 설치된 고정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몸체프레임과; 상기 슬롯에 끼워지며 슬롯과의 사이에 배수코어와 필터재가 통과하는 안내공간부를 구비하는 일끝단에는 원형단면으로 말려있는 필터재를 판형으로 펼치는 펼침플레이트가 부착되어 이루어진 형상유지파이프부재과; 필터날개안내공을 구비한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되어 형상유지파이프부재를 승강 및 하강 이동시키는 제1실린더수단과; 형상유지파이프부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면서 외측면의 일부를 감싸면서 안내공간부를 경유한 필터재를 통과되도록 유동되지 않게 하면서 형태를 유지시키며 안내하고 열융착이 가능하도록 통공이 구비된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2실린더수단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안내판에 구비된 통공의 하부를 지나가는 필터재를 열융착하는 제2접점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수평배수재에 수직배수재를 연결할 때 연결되는 부분을 덮어 이물질이 필터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날개부가 부착된 수평배수재를 편리하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이점 등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수평배수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a, 2b는 종래 수평배수재와 수직배수재의 연결체결을 나타낸 실시예.
도 3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필터재와 날개부의 접착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집합가이드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집합가이드수단의 작동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복합가이드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인 복합가이드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인 복합가이드수단의 작동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요부인 제2접합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요부인 제2접합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12는 필터재의 접합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3은 접합된 필터재가 플레이트 형태로 펼쳐지는 것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
도 14a는 제2접합수단에 의해 접합된 필터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4b는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해 완성된 수평배수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예시도로써 이에 따른 본 발명은 배수코어(B)를 공급하는 배수코어 공급수단(100)과; 필터재를 제조하기 위한 부직포 원단 즉, 필터재(T)을 공급하는 제1부직포공급수단(200)과; 상기 제1부직포공급수단(200)에 의해 공급되는 부직포 원단에 날개편을 부착하기 위한 부직포를 공급하는 날개원단공급수단(300)과; 상기 제1부직포공급수단(200)에 의해 공급되는 부직포 원단과 날개원단공급수단(300)에 의해 공급되는 날개편을 접합하는 제1접합수단(400)과; 상기 날개편이 접합된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재(T)와 배수코어 공급수단(100)에서 공급되는 배수코어(B)를 적층형태로 모아 이송시키는 집합가이드수단(500)과; 상기 집합가이드수단(500)을 통과한 배수코어(B)는 안내하고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재(T)는 끝단이 겹쳐지면서 원형의 단면이 되도록 변형시키는 복합가이드수단(600)과; 상기 복합가이드수단(600)을 통과한 반원형으로 변형된 배수코어(B)는 통과되도록 반원 형태를 유지하면서 안내하고 끝단이 겹쳐지면서 원형의 단면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재(T)을 접합하는 제2접합장치(7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배수코어 공급수단(100)은 통상의 배수코어(B)를 별도로 제작하여 권취시킨 롤에서 필터재(T)와 함께 공급할 수도 있고, 합성수지용 베이스 칩을 용융기에 넣고 가열하여 압출기로 토출시키되 성형기를 압출기 후단에 형성시키거나 또는 압출기와 성형시 사이에 T-다이를 설치하여 시트형태로 토출시킨 후 성형기로 배수코어를 제조와 동시에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재(T)와 함께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배수코어 공급수단(100)은 도면상에는 하나의 제조라인에 배수코어(B)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를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미리 생산된 배수코어를 사용하는 방법 모두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부직포공급수단(200)과 상기 제1부직포공급수단(200)에 의해 공급되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재(T)에 날개편을 부착하기 위한 띠 형태의 부직포를 공급하는 날개원단공급수단(300)은 제1부직포공급수단(200)에서 공급되는 필터재(T) 밑으로 날개편을 부착하기 위한 띠 형태의 부직포가 중첩되게 공급된다. 상기 중첩되게 공급되는 각각의 부직포들은 제1접합수단(400)에 의하여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융착되어 접합된다. 상기 접착방법은 통상의 열융착방법으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날개편이 부착된 부직포 원단 즉, 필터재(T)는 평면 형태이고 배수코어(B) 또한 평면 형태로 공급되다가 상기 날개편이 접합된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재(T)와 배수코어 공급수단(100)에서 공급되는 배수코어(B)를 적층형태로 모아 안내하는 집합가이드수단(500)의해 포게어진다.
이때 상기 집합가이드수단(500)의 구조는 첨부도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의 가이드홈부(511)를 구비한 바디부(510)의 상부에 고정프레임(520)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실린더수단(530)이 설치되며 실린더수단(530)에는 가이드홈부(511)에 삽입되는 반원형상의 삽입안내부(540)가 가이드봉(541)에 의해 안내되도록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집합가이드수단(500)의 작동은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부(511)에 끼워진 삽입안내부(540)를 실린더수단(530)을 작동시켜 들어올린 후 공간이 확보되면 상기 가이드홈부(511)에 배수코어(B)가 상부에 필터재(T)가 하부에 위치하면서 겹쳐지게 관통시킨다.
상기 가이드홈부(511)에 배수코어(B)와 필터재(T)가 평행하게 설치되면 실린더수단(530)를 하방향으로 하강시켜 배수코어(B)와 필터재(T)를 가압하여 가이드홈부(511)의 곡선과 유사하게 배수코어(B)와 필터재(T)가 절곡 변형된다. 이때 절곡변형 모양은 반원으로 구부러지는 것으로 외력을 해지하면 배수코어(B)의 탄성력에 의해 평면형태로 복원되는 형태이다.
상기 반원으로 구부러진 모양을 하고 있는 배수코어(B)와 필터재(T)를 복합가이드수단(600)을 관통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복합가이드수단(600)의 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고정시키는 고정공을 형성한 고정부(610)와 일체로 링 형태의 설치부(620)를 구비한 홀더수단(600a)과; 상기 고정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볼트(630)와; 상기 링 형태의 설치부(620)에 끼워져 고정볼트(630)에 의해 고정되면서 반원형상으로 공급되는 배수코어(B)는 반원형으로 끼워지고 필터재(T)는 반원형으로 형성된 배수코어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원형의 형상으로 변형시키면서 배수코어(B)와 필터재(T)를 안내하는 가이드몸체(64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가이드몸체(640)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는 외통(640-1)과, 상기 외통(640-1)의 내측에 편심되게 설치되어 하사점이 접점되어 고정되고 내측 상단으로는 외통(640-1)과의 사이에 편심공간부(640-2)를 형성하며, 일부분이 절결되어 편심공간부(640-2) 쪽으로 필터재(T)의 일끝단을 안내하는 제1날개가이드통공부(640-3)를 형성한 중간통(640-4)과, 상기 중간통(640-4) 내측에 설치되며 중간통(640-4)과 사이에 배수코어(B)와 필터재(T)를 함께 안내하는 복합가이드공간(640-5)을 형성하고 상기 제1날개가이드통공부(640-3)의 일측단과 연결되어 고정 설치되는 내통(640-6)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한 복합가이드수단(600)의 작동은 첨부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절곡되어 이송되어온 배수코어(B)는 링 형태의 홀더수단(600a)에 설치되어 고정볼트(630)에 의해 고정된 가이드몸체(640)를 통과하게 되면서 배수코어(B)는 반원형으로 필터재(T)는 원형으로 감겨지게 된다.
상기 필터재(T)가 원형으로 감겨지는 방법은 중간통(640-4)과 내통(640-6) 사이의 복합가이드공간(640-5)으로 배수코어(B)와 필터재(T)가 끼워져 관통되되 상기 배수코어(B)는 반원형으로 끼워지고 필터재(T)는 상기 배수코어를 감싸여지게 말리되 일끝단은 중간통과 내통 사이의 공간인 위치정열홈에 끼워져 관통하게 되고 다른 일 끝단은 중간통(640-4)과 외통(640-1)을 연결하는 제1날개가이드통공부(640-3)를 통해 외통(640-1)과 중간통(640-4)의 사이에 형성되는 편심공간부(640-2)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 복합가이드수단(600)을 통과한 배수코어(B)와 필터재(T) 중 배수코어(B)는 반원 형태를 유지하면서 통과되도록 안내하고 끝단이 겹쳐지면서 원형의 단면을 갖는 부직포 원단 즉, 필터재(T)를 접합하는 제2접합장치(700)에 의해 접합되면서 첨부도면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접합된 후 필터재(T)를 평면상태로 펼쳐지게 하여 첨부도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필터재(T)에 의해 탄성변형이 제한되어 있던 배수코어(B)도 평면으로 펼쳐지게 됨으로 양쪽으로 날개가 구비된 수평배수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접합장치(700)의 구조는 첨부도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상을 갖는 배수코어(B)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슬롯홈부(710-1)를 구비한 하우징(710a)과 상기 실린더가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710b)로 이루어진 몸체프레임(710)과, 상기 슬롯홈부(710-1)에 끼워지며 슬롯홈부(710-1)와의 사이에 배수코어(B)와 필터재(T)가 통과하는 안내공간부(720-1)를 구비하는 일끝단에는 원형단면으로 말려있는 필터재(T)를 판향으로 펼치는 펼침플레이트(720-2)가 부착되어 이루어진 형상유지파이프부재(720)와, 필터날개안내공을 구비한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되어 형상유지파이프부재(720)를 승강 및 하강 이동시키는 제1실린더수단(730)과, 형상유지파이프부재로(720)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면서 외측면의 일부를 감싸면서 안내공간부(720-1)를 경유한 필터재(T)를 통과시키고 유동되지 않게 하면서 형태를 유지 및 안내하고 열융착이 가능하도록 통공이 구비된 안내판(760)과, 상기 안내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2실린더수단(740)과, 상기 고정플레이트(710b)에 설치되어 안내판(760)에 구비된 통공(730-1)의 하부를 지나가는 필터재를 열융착하는 제2접점수단(750)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제2접합장치(700)의 작동은 첨부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상을 갖는 배수코어(B)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슬롯홈부(710-1)에 배수코어(B)와 필터재(T)를 끼워넣기 용이하도록 형상유지파이프부재(720)를 제1실린더수단(730)을 이용하여 들어올리며, 이때 상기 형상유지파이프부재(720)의 외주면을 일부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 안내판(760)도 제2실린더수단(740)에 의해 먼저 들어 올려져 있는 상태이다.
상기 제1실린더수단(730)의 작동으로 형상유지파이프부재(720)가 슬롯홈부(710-1)에서 빠져 나오면 형상유지파이프부재(720)와 슬롯홈부(710-1) 사이의 공간이 넓어져 배수코어(B)와 필터재(T)를 용이하게 형상유지파이프부재(720)와 슬롯홈부 사이의 공간에 편리하고 쉽게 삽입하게 된다.
상기 형상유지파이프부재(720)와 슬롯홈부(710-1) 사이의 공간에 배수코어(B)와 필터재(T)가 관통되도록 끼워 설치한 후 제1실린더수단(730)을 작동시켜 하강시키면 상부로 들어 올려졌던 형상유지파이프부재(720)가 배수코어(B)와 필터재(T)를 누르면서 하강하게 되고 마치 형상유지파이프부재(720)를 배수코어와 필터재(T)가 감싸고 있는 구조가 되어 배수코어(B)와 필터재(T)가 이송된다.
이때 상기 배수코어(B)는 반원형이어서 형상유지파이프부재(720)와 제1실린더수단(730)의 연결부에 간섭되지 않고 이송이 자유스럽지만 일부가 겹쳐지게 말려 원형의 단면을 갖는 필터재(T)는 연결부에 걸려 이송이 제한되므로 필터재(T)가 연결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날개안내홈(730-1a)에 의해 필터재(T))의 일 끝단이 통과되고 형상유지파이프부재(720)를 360도 감싼 상태의 필터재(T)에 있어서 중첩되게 말리는 부분 즉 날개부를 형성하게 되는 날개안내홈(730-1a)을 통과한 필터재(T)는 형상유지파이프부재(720)와 안내판(760) 사이로 들어가 밀착되게 되고 밀착된 상태에서 안내판(760)에 접합통공부(760-1)와 중심이 일치하게 설치된 제2접합수단에 의해 열융착된다.
한편 열융착 되어 접합된 필터재(T)는 첨부도면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를 2개 형성하게 되며 원형상태로 말려 있는 필터재(T)는 판상으로 필터재를 펼치는 펼침플레이트(720-2)에 의해 판형으로 넓게 펼쳐지게 되며 이때 필터재(T)의 지름이 넓어져 수평배수재의 폭이 됨으로 좁아 있던 필터재(T)에 내측에 설치된 배수코어(B)도 펼쳐지게 되면서 첨부도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되며, 따라서 상기와 같이 완성된 수평배수재는 일정한 길이로 절단 또는 권취되어 보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수평배수재에 수직배수재를 연결할 때 연결되는 부분을 덮어 이물질이 필터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날개부가 부착된 수평배수재를 편리하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이점 등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B : 배수코어 T : 필터재
100 : 배수코어 공급수단 200 : 제1부직포공급수단
300 : 날개원단공급수단 500 : 집합가이드수단
511 : 가이드홈부 520 : 고정프레임
530 : 실린더수단 540 : 삽입안내부
541 : 가이드봉 600 : 복합가이드수단
600a : 홀더수단 610 : 고정부
620 : 설치부 630 : 고정볼트
640 : 가이드몸체 640-1 : 외통
640-2 : 편심공간부 640-3 : 제1날개가이드통공부
640-4 : 중간통 640-5 : 복합가이드공간
640-6 : 내통 700 : 제2접합장치
710a : 하우징 710b : 고정플레이트
710-1 : 슬롯홈부 720 : 형상유지파이프부재
720-1 : 안내공간부 720-2 : 펼침플레이트
730 : 제1실린더수단 730-1 : 통공
740 : 제2실린더수단 750 : 제2접점수단
760 : 안내판

Claims (4)

  1.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배수코어를 공급하는 배수코어 공급수단과;
    필터재를 제조하기 위한 부직포 원단을 공급하는 제1부직포공급수단과;
    상기 제1부직포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부직포 원단에 날개편을 부착하기 위한 부직포를 공급하는 날개원단공급수단과;
    상기 제1부직포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부직포 원단과 날개원단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날개편을 접합하는 제1접합수단과;
    상기 날개편이 접합된 부직포 원단과 배수코어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배수코어를 적층형태로 모아 이송시키는 집합가이드수단과;
    상기 집합가이드수단을 통과한 배수코어는 안내하고 부직포 원단은 끝단이 겹쳐지면서 원형의 단면이 되도록 변형시키는 복합가이드수단과;
    상기 복합가이드수단을 통과한 반원형으로 변형된 배수코어는 반원 형태를 유지하면서 통과되도록 안내하고 끝단이 겹쳐지면서 원형의 단면을 갖는 부직포 원단을 접합하는 제2접합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가이드수단은 반원형의 가이드홈부를 구비한 바디부의 상부에 고정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실린더수단이 설치되며 실린더에는 가이드홈부에 삽입되는 반원형상의 삽입안내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가이드수단은 바닥에 고정시키는 고정공을 형성한 고정부와 일체로 링 형태의 설치부를 구비한 홀더수단과; 상기 고정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링 형태의 설치부에 끼워져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면서 평면형태로 공급되는 배수코어는 반원형으로 절곡시키고 필터재는 반원형으로 형성된 배수코어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원형의 형상으로 변형시키면서 배수코어와 필터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합장치는 반원형상을 갖는 배수코어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슬롯홈부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연결 설치된 고정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몸체프레임과;
    상기 슬롯에 끼워지며 슬롯과의 사이에 배수코어와 필터재가 통과하는 안내공간부를 구비하는 일끝단에는 원형단면으로 말려있는 필터재를 판향으로 펼치는 펼침플레이트가 부착되어 이루어진 형상유지파이프부재과;
    필터날개안내공을 구비한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되어 형상유지파이프부재를 승강 및 하강 이동시키는 제1실린더수단과;
    형상유지파이프부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면서 외측면의 일부를 감싸면서 안내공간부를 경유한 필터재를 통과되도록 유동되지 않게 하면서 형태를 유지시키며 안내하고 열융착이 가능하도록 통공이 구비된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2실린더수단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안내판에 구비된 통공의 하부를 지나가는 필터재를 열융착하는 제2접점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
KR1020180052404A 2018-05-08 2018-05-08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 KR102113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404A KR102113833B1 (ko) 2018-05-08 2018-05-08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404A KR102113833B1 (ko) 2018-05-08 2018-05-08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348A true KR20190128348A (ko) 2019-11-18
KR102113833B1 KR102113833B1 (ko) 2020-05-21

Family

ID=68727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404A KR102113833B1 (ko) 2018-05-08 2018-05-08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8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758B1 (ko) * 2020-10-15 2021-05-28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수평배수재의 필터부 제조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날개부를 구비하는 수평배수재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516A (ko) * 1996-07-22 1998-04-30 고두현 맞접합 중공 구조를 갖는 판상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80055930A (ko) * 2005-10-20 2008-06-19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고속 가압 접합된, 얇은 시트 라미네이트
KR100893077B1 (ko) * 2007-11-05 2009-04-10 연일화섬공업(주) 방수시트의 제조 및 그것을 위한 고정날개 부착장치 및방법
KR20090128209A (ko) * 2008-06-10 2009-12-15 김용래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35817B1 (ko) 2008-02-18 2010-01-08 윤한샘 드레인 보드 제조 장치
KR20120047120A (ko) * 2010-11-03 2012-05-11 김윤보 장형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보드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649595B1 (ko) * 2014-12-22 2016-08-19 이영진 드레인보드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60131593A (ko) * 2015-05-08 2016-11-16 (주)에어릭스 집진기용 필터체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516A (ko) * 1996-07-22 1998-04-30 고두현 맞접합 중공 구조를 갖는 판상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80055930A (ko) * 2005-10-20 2008-06-19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고속 가압 접합된, 얇은 시트 라미네이트
KR100893077B1 (ko) * 2007-11-05 2009-04-10 연일화섬공업(주) 방수시트의 제조 및 그것을 위한 고정날개 부착장치 및방법
KR100935817B1 (ko) 2008-02-18 2010-01-08 윤한샘 드레인 보드 제조 장치
KR20090128209A (ko) * 2008-06-10 2009-12-15 김용래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20047120A (ko) * 2010-11-03 2012-05-11 김윤보 장형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보드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649595B1 (ko) * 2014-12-22 2016-08-19 이영진 드레인보드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60131593A (ko) * 2015-05-08 2016-11-16 (주)에어릭스 집진기용 필터체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758B1 (ko) * 2020-10-15 2021-05-28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수평배수재의 필터부 제조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날개부를 구비하는 수평배수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833B1 (ko) 202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8348A (ko)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
CA2661964A1 (en) Method for producing joined belt
CN107148372B (zh) 线束的组装方法、干扰抑制构件以及线束的组装结构
KR20120020018A (ko)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일체화된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방수공법
KR101554025B1 (ko) 콘크리트 저수조의 pe라이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85024B1 (ko) 터널용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터널용 방수부재
KR101415810B1 (ko) 온수매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406964Y1 (ko) 방수시트
KR102091218B1 (ko)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
KR100339648B1 (ko) 배수관 연결용 체결판의 제조방법
CN116025617A (zh) 一种液压控制及调控一体机
KR100815986B1 (ko) 드레인 보드 제조장치 및 그 드레인 보드
KR100783116B1 (ko) 방수시트의 고정 구조물 및 그 고정 구조물을 이용한방수시트의 고정방법
KR101742702B1 (ko) 막구조물 하이테크 클램핑 시스템
KR20090086735A (ko) 열융착에 의한 연료필터 여과지 유닛의 제조방법과 그여과지 유닛을 갖는 연료필터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해 제조된 여과지 유닛 및 연료필터
KR100776241B1 (ko) 방수시트
KR101311204B1 (ko) 방수 시트와 그 제조방법
JP5636354B2 (ja) 下水本管の耐震性マンホール接続構造の施行方法
JP6442798B2 (ja) 防水用樹脂シート、接合方法および接合体
KR102183936B1 (ko)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JP5555571B2 (ja) ドレーン材の連結構造
JP4609793B2 (ja) プラスチックボードドレーン材
KR100437718B1 (ko) 교량의 침투수 배수 시공방법
KR101843799B1 (ko) 수평배수재
KR200261154Y1 (ko) 폴리에틸렌 시트를 사용한 콘트리트 수조의 방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