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936B1 -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3936B1 KR102183936B1 KR1020180136222A KR20180136222A KR102183936B1 KR 102183936 B1 KR102183936 B1 KR 102183936B1 KR 1020180136222 A KR1020180136222 A KR 1020180136222A KR 20180136222 A KR20180136222 A KR 20180136222A KR 102183936 B1 KR102183936 B1 KR 1021839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plate
- lower mold
- mold
- waterproof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1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ast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6—Moulds or co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38—Heating or coo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는, 서로 연결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수직부를 포함하는 제1 유니트와, 서로 연결된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수직부를 포함하는 제2 유니트가 놓여지는 하부 금형; 상기 하부 금형을 덮는 상부 금형;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금형이 상기 하부 금형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방수 부재가 상기 제1 유니트 및 상기 제2 유니트에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 이음부에 설치되는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은 지반에 세워지는 다수의 교각과, 서로 인접한 교각의 상측에 올려져 그 양단이 지지되는 상판과, 상판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신축 이음 장치로 구성된다.
신축 이음 장치는 교량의 횡방향 진동이나 계절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신축 변위를 흡수하는 장치이다. 소정 길이의 신축 이음 장치를 여러 대 제작한 다음 교량의 횡방향 길이에 맞추어 여러 대의 신축 이음 장치를 횡방향으로 이어서 시공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8-087703호에는 봉합재를 사용하는 신축 이음 장치 기술이 개시되고 있으나 시공의 용이성과 성능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플레이트, 수직부, 앵커 등의 치수가 달라져도 하나의 금형으로 모든 형상의 신축 이음 장치에 모든 형상의 방수 부재를 가황 접착시킬 수 있는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는,
교량의 상판 이음부에 배수 홈을 형성하며 상기 교량의 표면과 동일 평면상에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부와, 상기 제1 수직부 및 상기 제2 수직부로부터 연장되는 앵커와, 상기 배수 홈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서로 연결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수직부를 포함하는 제1 유니트와, 서로 연결된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수직부를 포함하는 제2 유니트가 놓여지는 하부 금형; 상기 하부 금형을 덮는 상부 금형;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금형이 상기 하부 금형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방수 부재가 상기 제1 유니트 및 상기 제2 유니트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는, 제1 유니트 및 제2 유니트가 제1 정렬 상태에서 안착되는 하부 금형; 상기 하부 금형을 덮고, 상기 제1 유니트 및 상기 제2 유니트에 대하여 틈새를 형성하는 상부 금형;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틈새에 상기 방수 부재의 원재료를 넣고 가열하면 상기 방수 부재가 상기 제1 유니트 및 상기 제2 유니트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니트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니트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제1 유니트와 상기 제2 유니트의 안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에서 분리하면 상기 방수 부재가 결합된 상기 제1 유니트와 상기 제2 유니트의 안쪽면이 모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정렬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금형의 분리 방향과 일치하도록 세워진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교량의 상판 이음부에 배수 홈을 형성하며 상기 교량의 표면과 동일 평면상에 설치될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부와, 상기 제1 수직부 및 상기 제2 수직부로부터 연장되는 앵커와, 상기 배수 홈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수직부를 포함하는 제1 유니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수직부를 포함하는 제2 유니트를 서로 벌어지게 회전시킨 제1 정렬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니트 및 상기 제2 유니트를 하부 금형에 안착시키고,
상기 하부 금형을 상부 금형으로 덮고 상기 방수 부재를 상기 제1 유니트 및 상기 제2 유니트에 결합시키며,
상기 상부 금형을 분리하고,
상기 제1 유니트 및 상기 제2 유니트를 상기 하부 금형에서 분리하며,
상기 제1 유니트 또는 상기 제2 유니트를 회전시키고,
상기 배수 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접근시키면 상기 방수 부재의 차단부가 휨 변형되면서 상기 배수 홈과 대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유니트 및 제2 유니트의 가황 접착면이 금형 분리 방향으로 모두 노출되므로 어떠한 형상의 제1 유니트 및 제2 유니트에 대하여도 하나의 금형으로 대응할 수 있다.
제1 유니트 및 제2 유니트를 벌어지게 회전시킨 제1 정렬 상태만 이룰 수 있다면, 각 부재의 치수나 두께에 구애받지 않고 공통 금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방수 부재가 플렉시블하다는 점을 활용하여, 가황 접착면이 금형 분리 방향으로 모두 노출되도록 각 유니트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금형에 안착하고, 가황 접착이 완료되면 각 유니트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가황 접착면을 각 유니트의 안쪽면이 되도록 복구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통 금형으로 다양한 형상의 신축 이음 장치에 방수 부재를 접착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축 이음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코어 금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수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코어 금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수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며, 본 발명의 신축 이음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교량은 종방향으로 여러 조각의 상판을 이어서 만들어진다. 계절의 변화나 장시간 사용에 따른 신축 변형을 고려하여 상판 이음부에는 신축 이음 장치가 설치된다. 신축 이음 장치는 상판 이음부에 배수 홈(101)을 형성할 수 있고, 배수 홈(101)을 통하여 빗물이 신속히 배출될 수 있다. 배수 홈(101)에 유입된 빗물은 신축 이음 장치의 길이 방향을 타고 교량의 가장자리 쪽으로 배수될 수 있다. 배수 홈(101)에 유입된 빗물은 교량의 가장 자리에 도달하기 전에는 누수되면 안되고, 교량의 가장 자리까지 유도된 다음 교량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신축 이음 장치는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와, 제1 수직부(113) 및 제2 수직부(123)와, 앵커(130)와 방수 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0)와 제2 플레이트(120)는 교량의 상판 이음부에 배수 홈(101)을 형성하며 교량의 표면 또는 상판과 동일 평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차량의 타이어는 제1 플레이트(110), 배수 홈(101), 및 제2 플레이트(120)를 순차적으로 타고 넘으며, 신축 이음 장치에 높이 단차가 존재하면 승차감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를 지지하고, 교량에 붙이기 위하여 제1 수직부(113) 및 제2 수직부(123)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수직부(113)는 제1 플레이트(110)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제2 수직부(123)는 제2 플레이트(120)의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니트는 제1 플레이트(110)와 여기에 용접 또는 볼트로 결합된 제1 수직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니트는 제2 플레이트(120)와 여기에 용접 또는 볼트로 결합된 제2 수직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앵커(130)는 제1 유니트 및 제2 유니트를 상판 이음부의 일측 및 타측에 콘크리트 타설로 고정하는 부분이다.
앵커(130)는 제1 수직부(113) 및 제2 수직부(123)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방수 부재(200)는 배수 홈(101)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여 신축 이음 장치의 가장 자리 또는 교량의 가장 자리 쪽으로 유도할 수 있다. 방수 부재(200)는 고무 재질인 것이 비람직하다. 제1 유니트 및 제2 유니트를 금형에 넣고 방수 부재(200)의 원재료인 고무 재료 등을 금형에 투입한 후 열을 가하면, 고무 재료가 제1 유니트 및 제2 유니트에 가황 접착될 수 있고, 금형의 틈새 형상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모양이 완성되면 방수 부재(2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종래에는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의 두께, 폭, 길이 등이 다양할 때, 일일이 치수에 대응하는 여러 개의 금형을 둘 수 밖에 없어서, 생산 단가가 높아지고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앵커(130), 제1 수직부(113) 및 제2 수직부(123)의 두께, 폭, 길이가 달라지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플레이트, 수직부, 앵커(130) 등의 치수가 달라져도 하나의 금형으로 모든 형상의 신축 이음 장치에 모든 형상의 방수 부재(200)를 가황 접착시킬 수 있는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하부 금형(310)에는 제1 유니트 및 제2 유니트가 회전 상태로 안착될 수 있다. 상부 금형(320)이 하부 금형(310)을 덮은 상태에서 방수 부재(200)가 제1 유니트 및 제2 유니트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금형(320)은 하부 금형(310)을 덮는다.
제1 수직부(113) 및 제2 수직부(123)의 일면이 하부 금형(310)에 대면되고, 제1 수직부(113) 및 제2 수직부(123)의 타면이 상부 금형(320)에 대면되는 상태를 제1 정렬 상태라고 정의한다.
제1 정렬 상태가 되도록 제1 유니트는 제2 유니트에 대하여 회전된 상태로 하부 금형(310)에 놓여질 수 있다. 제1 정렬 상태에서 방수 부재(200)가 제1 유니트 및 제2 유니트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유니트 또는 제2 유니트가 제1 정렬 상태로 회전되면, 제1 수직부(113) 및 제2 수직부(123)는, 하부 금형(310) 또는 상부 금형(320)에 편평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가황 접착면이 금형의 분리 방향에 전부 노출될 수 있다.
서로 대면되는 하부 금형의 표면(317) 및 상부 금형(320)의 표면에 대하여, 제1 수직부(113) 및 제2 수직부(123)는 편평한 상태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는, 서로 대면되는 하부 금형의 표면(317) 및 상부 금형(320)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로, 하부 금형(310)에 놓여질 수 있다.
서로 대면되는 하부 금형의 표면(317) 및 상부 금형(320)의 표면이 형성하는 틈새에 방수 부재(200)의 원재료가 투입될 수 있다. 원재료가 가열되면, 방수 부재(200)는 제1 유니트 및 제2 유니트의 안쪽면에 가황 접착될 수 있다.
방수 부재(200)의 제1 벽부(210)가 제1 수직부(113)에 가황 접착될 수 있다. 방수 부재(200)의 제2 벽부(220)가 제2 수직부(123)에 가황 접착될 수 있다. 방수 부재(200)의 차단부(230)가 휨 변형이 가능한 상태로 제1 벽부(210)와 제2 벽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차단부(230)의 단부는 제1 연결부(231)를 통하여 제1 벽부(210)에 연결되고, 제2 연결부(232)에 의하여 제2 벽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유니트 및 제2 유니트의 회전 각도 및 회전 중심을 고려하면, 도 5와 같이 방수 부재(200)가 늘어난 상태에서 성형되고 원위치로 복구될 때, 방수 부재(200)의 길이가 너무 길 수 있으므로, 도 4의 실시예를 채택할 수 있다.
즉, 차단부(230)가 제1 벽부(210) 또는 제2 벽부(220)의 중간 부분이나 아래 부분으로 위치할수록 길이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부(231)는 제1 벽부(210)의 단부로부터 제1 벽부(210)의 중앙 쪽으로 들어온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232)는 제2 벽부(220)의 단부로부터 제2 벽부(220)의 중앙 쪽으로 들어온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차단부(230)의 상측은 빗물이 이동하는 트렌치(239)를 형성할 수 있다.
방수 부재(200)의 형상을 고려하여 코어 금형(330)이 사용될 수 있다.
코어 금형(330)은 하부 금형(310)과 상부 금형(32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상부 금형(320)은 하부 금형(310)의 상측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코어 금형(330)은 상부 금형(320) 및 하부 금형(310)의 연장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코어 금형(330)은 상부 금형(320) 및 하부 금형(310)이 분리되는 금형 분리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착탈될 수 있다.
코어 금형(330)과 제1 수직부(113) 사이의 틈새 및 코어 금형(330)과 제2 수직부(123) 사이의 틈새에서 방수 부재(200)의 제1 벽부(210) 및 제2 벽부(220)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코어 금형(330)의 상측은 차단부 성형부(326)이고, 측면은 벽부 대면부(333)이고, 하측은 지지부(335)일 수 있다.
코어 금형(330)의 벽부 대면부(333)와 제1 수직부(113) 사이의 틈새에서 제1 벽부(210)의 일부가 성형될 수 있다. 상부 금형(320)의 벽부 성형부(324)와 제1 수직부(113) 사이의 틈새에서 제1 벽부(210)의 나머지 일부가 성형될 수 있다.
제1 수직부(113) 및 제2 수직부(123)는 하부 금형(310)의 수직부 지지대(315)에 안착될 수 있다.
코어 금형(330)의 벽부 대면부(333)와 제2 수직부(123) 사이의 틈새에서 제2 벽부(220)의 일부가 성형될 수 있다. 상부 금형(320)의 벽부 성형부(324)와 제2 수직부(123) 사이의 틈새에서 제2 벽부(220)의 나머지 일부가 성형될 수 있다.
코어 금형(330)과 상부 금형(320) 사이의 틈새에서 방수 부재(200)의 차단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코어 금형(330)의 상측에 형성된 차단부 대면부(331)와 상부 금형(320) 사이의 틈새에서 차단부(230)가 형성될 수 있고, 차단부(230)는 플렉시블한 고무 재료로 형성되므로 휨 변형이 자유로우며, 방수 부재(200)의 가황 접착 후에 제1 유니트 및 제2 유니트를 서로 마주보게 회전시키면 방수 부재(200)도 휨 변형되면서 배수 홈(101)과 대면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앵커(130), 제1 플레이트(110), 제2 플레이트(120)의 돌출된 부분을 금형의 접촉면으로부터 도피시키는 수단이 필요하다.
제1 유니트의 앵커(130) 및 제2 유니트의 앵커(130)가 서로 평행한 상태로 삽입되도록, 하부 금형(310)의 일부를 함몰시킨 앵커 삽입부(312)가 마련될 수 있다. 앵커 삽입부(312)는 앵커(130)를 금형의 접촉면으로부터 도피시킬 수 있다.
제1 유니트의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유니트의 제2 플레이트(120)가 세위진 상태로 삽입되도록, 하부 금형(310) 또는 상부 금형(320)의 일부를 함몰시킨 플레이트 삽입부(313, 323)가 마련될 수 있다. 플레이트 삽입부(313, 323)는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의 돌출된 부분을 금형의 접촉면으로부터 도피시킬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의 두께보다 플레이트 삽입부(313, 323)의 폭이 더 커야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가 플레이트 삽입부(313, 323)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 삽입부(313, 323)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을 기준면으로 하고, 이 기준면에 대하여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를 눌러주는 보조 고정부(350)가 하부 금형(310) 또는 상부 금형(320)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0)가 삽입되는 플레이트 삽입부(313, 323), 제1 유니트의 앵커(130)가 삽입되는 앵커 삽입부(312), 제2 유니트의 앵커(130)가 삽입되는 앵커 삽입부(312), 제2 플레이트(120)가 삽입되는 플레이트 삽입부(313, 323)의 순서대로 하부 금형(310) 또는 상부 금형(320)의 표면이 함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유니트 및 제2 유니트가 제1 정렬 상태에서 하부 금형(310) 또는 상부 금형(320)에 안착될 수 있다. 상부 금형(320)은 제1 유니트 및 제2 유니트에 대하여 방수 부재(200)의 원재료가 투입될 틈새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틈새에 방수 부재(200)의 원재료를 넣고 가열하면 방수 부재(200)가 제1 유니트 및 제2 유니트에 결합 또는 가황 접착될 수 있다.
방수 부재(200)는 제1 유니트와 제2 유니트의 안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금형(320)을 하부 금형(310)에 대하여 금형 분리 방향을 따라 분리하면, 방수 부재(200)가 결합된 제1 유니트와 제2 유니트의 안쪽면이 모두 노출될 수 있다. 제1 정렬 상태에서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는 상부 금형(320)의 분리 방향과 일치하도록 세워진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유니트와 제2 유니트를 서로 벌어지게 회전시킨 제1 정렬 상태에서 제1 유니트 및 제2 유니트를 하부 금형(310)에 안착시킬 수 있다.
하부 금형(310)을 상부 금형(320)으로 덮고 방수 부재(200)를 제1 유니트 및 제2 유니트에 결합 또는 가황 접착시킬 수 있다. 상부 금형(320)을 분리하고, 제1 유니트 및 제2 유니트를 하부 금형(310)에서 분리하며, 제1 유니트 또는 제2 유니트를 신축 이음 장치의 완성된 형상이 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에 따라, 배수 홈(101)을 형성하도록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를 접근시키면 방수 부재(200)의 차단부(230)가 휨 변형되면서 배수 홈(101)과 대면되는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100...신축 이음 장치 101...배수 홈
110...제1 플레이트 120...제2 플레이트
113...제1 수직부 123...제2 수직부
130...앵커 200...방수 부재
210...제1 벽부 220...제2 벽부
230...차단부 231...제1 연결부
232...제2 연결부 239...트렌치
310...하부 금형 312...앵커 삽입부
313, 323...플레이트 삽입부 315...수직부 지지대
317...하부 금형의 표면 320...상부 금형
324...벽부 성형부 326...차단부 성형부
330...코어 금형 331...차단부 대면부
333...벽부 대면부 335...지지부
350...보조 고정부
110...제1 플레이트 120...제2 플레이트
113...제1 수직부 123...제2 수직부
130...앵커 200...방수 부재
210...제1 벽부 220...제2 벽부
230...차단부 231...제1 연결부
232...제2 연결부 239...트렌치
310...하부 금형 312...앵커 삽입부
313, 323...플레이트 삽입부 315...수직부 지지대
317...하부 금형의 표면 320...상부 금형
324...벽부 성형부 326...차단부 성형부
330...코어 금형 331...차단부 대면부
333...벽부 대면부 335...지지부
350...보조 고정부
Claims (12)
- 교량의 상판 이음부에 배수 홈을 형성하며 상기 교량의 표면과 동일 평면상에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부와, 상기 제1 수직부 및 상기 제2 수직부로부터 연장되는 앵커와, 상기 배수 홈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서로 연결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수직부를 포함하는 제1 유니트와, 서로 연결된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수직부를 포함하는 제2 유니트가 놓여지는 하부 금형;
상기 하부 금형을 덮는 상부 금형;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금형이 상기 하부 금형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방수 부재가 상기 제1 유니트 및 상기 제2 유니트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수직부 및 상기 제2 수직부의 일면이 상기 하부 금형에 대면되고 상기 제1 수직부 및 상기 제2 수직부의 타면이 상기 상부 금형에 대면되는 상태를 제1 정렬 상태라고 할 때,
상기 제1 정렬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1 유니트는 상기 제2 유니트에 대하여 회전된 상태로 상기 하부 금형에 놓여지고,
상기 제1 정렬 상태에서 상기 방수 부재가 상기 제1 유니트 및 상기 제2 유니트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유니트의 앵커 및 상기 제2 유니트의 앵커가 서로 평행한 상태로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 금형의 일부를 함몰시킨 앵커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유니트의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유니트의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세위진 상태로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 금형 또는 상기 상부 금형의 일부를 함몰시킨 플레이트 삽입부를 구비하는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부 및 상기 제2 수직부는,
서로 대면되는 상기 하부 금형의 표면 및 상기 상부 금형의 표면에 대하여 편평한 상태로, 상기 하부 금형에 놓여지는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서로 대면되는 상기 하부 금형의 표면 및 상기 상부 금형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로, 상기 하부 금형에 놓여지는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대면되는 상기 하부 금형의 표면 및 상기 상부 금형의 표면이 형성하는 틈새에 상기 방수 부재의 원재료가 투입된 후 상기 원재료가 가열되면,
상기 방수 부재의 제1 벽부가 상기 제1 수직부에 가황 접착되고,
상기 방수 부재의 제2 벽부가 상기 제2 수직부에 가황 접착되며,
상기 방수 부재의 차단부가 휨 변형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에 연결되는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과 상기 상부 금형 사이에 삽입되는 코어 금형; 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 금형과 상기 제1 수직부 사이의 틈새 및 상기 코어 금형과 상기 제2 수직부 사이의 틈새에서 상기 방수 부재의 제1 벽부 및 제2 벽부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 금형과 상기 상부 금형 사이의 틈새에서 상기 방수 부재의 차단부가 형성되는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삽입부에 대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를 눌러주는 보조 고정부가 상기 하부 금형 또는 상기 상부 금형에 마련되는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상기 플레이트 삽입부, 상기 제1 유니트의 앵커가 삽입되는 상기 앵커 삽입부, 상기 제2 유니트의 앵커가 삽입되는 상기 앵커 삽입부,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상기 플레이트 삽입부의 순서대로 상기 하부 금형의 표면이 함몰되는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
- 제1 유니트 및 제2 유니트가 제1 정렬 상태에서 안착되는 하부 금형;
상기 하부 금형을 덮고, 상기 제1 유니트 및 상기 제2 유니트에 대하여 틈새를 형성하는 상부 금형;
상기 제1 유니트의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유니트의 제2 플레이트가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 금형 또는 상기 상부 금형의 일부를 함몰시킨 플레이트 삽입부;
를 포함하고,
상기 틈새에 방수 부재의 원재료를 넣고 가열하면 상기 방수 부재가 상기 제1 유니트 및 상기 제2 유니트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유니트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니트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 수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제1 유니트와 상기 제2 유니트의 안쪽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에서 분리하면 상기 방수 부재가 결합된 상기 제1 유니트와 상기 제2 유니트의 안쪽면이 모두 노출되며,
상기 제1 정렬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금형의 분리 방향과 일치하도록 세워진 상태인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
- 교량의 상판 이음부에 배수 홈을 형성하며 상기 교량의 표면과 동일 평면상에 설치될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부와, 상기 제1 수직부 및 상기 제2 수직부로부터 연장되는 앵커와, 상기 배수 홈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수직부를 포함하는 제1 유니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수직부를 포함하는 제2 유니트를 서로 벌어지게 회전시킨 제1 정렬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니트 및 상기 제2 유니트를 하부 금형에 안착시키고,
상기 하부 금형의 일부를 함몰시킨 앵커 삽입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유니트의 앵커 및 상기 제2 유니트의 앵커가 서로 평행한 상태로 삽입하고,
상기 하부 금형 또는 상부 금형의 일부를 함몰시킨 플레이트 삽입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유니트의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유니트의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삽입하며,
상기 하부 금형을 상부 금형으로 덮고 상기 방수 부재를 상기 제1 유니트 및 상기 제2 유니트에 결합시키며,
상기 상부 금형을 분리하고,
상기 제1 유니트 및 상기 제2 유니트를 상기 하부 금형에서 분리하며,
상기 제1 유니트 또는 상기 제2 유니트를 회전시키고,
상기 배수 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접근시키면 상기 방수 부재의 차단부가 휨 변형되면서 상기 배수 홈과 대면되는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6222A KR102183936B1 (ko) | 2018-11-07 | 2018-11-07 |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6222A KR102183936B1 (ko) | 2018-11-07 | 2018-11-07 |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2794A KR20200052794A (ko) | 2020-05-15 |
KR102183936B1 true KR102183936B1 (ko) | 2020-11-27 |
Family
ID=7067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6222A KR102183936B1 (ko) | 2018-11-07 | 2018-11-07 |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393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44577A (zh) * | 2020-07-23 | 2020-10-30 | 安徽省力天新材料股份有限公司 | 一种易开模的塑料成型模具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2826B1 (ko) | 2011-08-26 | 2012-04-02 | 김영식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
KR101216743B1 (ko) * | 2011-09-28 | 2012-12-28 |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 및 그 신축이음장치 |
JP5291328B2 (ja) | 2007-11-20 | 2013-09-18 | 阪神高速道路株式会社 | 伸縮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KR101522344B1 (ko) * | 2014-07-28 | 2015-05-22 |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 이동형 교량용 신축이음 연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 연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87703A (ko) | 1998-09-10 | 1998-12-05 | 장익순 | 교량 및 일반 구조물용 방수형 신축이음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US7455473B1 (en) * | 2007-09-17 | 2008-11-25 | Il-Won Tech Co., Ltd. | Method of manufacturing, installing, and exchanging rubber seal for expansion joint |
-
2018
- 2018-11-07 KR KR1020180136222A patent/KR1021839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291328B2 (ja) | 2007-11-20 | 2013-09-18 | 阪神高速道路株式会社 | 伸縮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KR101132826B1 (ko) | 2011-08-26 | 2012-04-02 | 김영식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
KR101216743B1 (ko) * | 2011-09-28 | 2012-12-28 |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 및 그 신축이음장치 |
KR101522344B1 (ko) * | 2014-07-28 | 2015-05-22 |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 이동형 교량용 신축이음 연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 연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2794A (ko) | 2020-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46542A (en) | Joint for use in concrete deposit | |
KR102183936B1 (ko) |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
KR101963836B1 (ko) |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 | |
KR101127561B1 (ko) | 콘크리트 무타설 교량 연결 방법 | |
KR100805842B1 (ko) |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및 설치방법 | |
KR101419449B1 (ko) |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 | |
KR100865523B1 (ko) | 신축이음부용 배수로 시공방법 | |
KR101365436B1 (ko) |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 |
JP5260699B2 (ja) |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 |
KR102105095B1 (ko) | 신축 이음 장치, 그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
KR20150007201A (ko) | 중앙에 주름부를 갖는 지수판 | |
KR101560189B1 (ko) |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 |
KR101193013B1 (ko) | 콘크리트 타설물의 신축 및 수축 이음조인트장치 | |
KR20190046150A (ko) | 콘크리트 구조체의 균열 저감장치 | |
KR20050079965A (ko) | 경계석 줄눈 채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 |
KR102461339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지수판 | |
KR101589702B1 (ko) | 보조 탄성 봉함재의 보강 설치방법 | |
KR101301033B1 (ko) | 콘크리트 저수조 라이닝용 탄성커버 | |
KR101545812B1 (ko) | 터널용 매립 실런트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498806B1 (ko) | 분리형 매립 실런트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0268370Y1 (ko) | 콘크리트용 지수판 | |
KR102183843B1 (ko) | 슬래브 압출 시공시 그라우트 실링재를 이용한 슬래브-강재거더 전단연결부 합성방법 | |
KR100975649B1 (ko) | 건축용 층간 방수용 조인트 장치 | |
KR101826101B1 (ko) | 축열 건식 바닥난방블록 | |
KR101193919B1 (ko) | 신축 이음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