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743B1 -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 및 그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 및 그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6743B1 KR101216743B1 KR1020110098048A KR20110098048A KR101216743B1 KR 101216743 B1 KR101216743 B1 KR 101216743B1 KR 1020110098048 A KR1020110098048 A KR 1020110098048A KR 20110098048 A KR20110098048 A KR 20110098048A KR 101216743 B1 KR101216743 B1 KR 1012167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pansion joint
- bridge
- vertical member
- weight percent
- rubber shee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4636 vulcanized rubber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5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4073 vulcan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29920005549 butyl rub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HLKMEIITONDPGG-UHFFFAOYSA-L barium(2+);2-hydroxypropanoate Chemical compound [Ba+2].CC(O)C([O-])=O.CC(O)C([O-])=O HLKMEIITONDPGG-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395 magnesium 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CPLXHLVBOLITMK-UHFFFAOYSA-N magnes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Mg]=O CPLXHLVBOLITM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AXZKOIWUVFPNLO-UHFFFAOYSA-N magnesium;oxygen(2-) Chemical compound [O-2].[Mg+2] AXZKOIWUVFPNL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29920003049 isopr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 etc.)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62 Polybutadi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084 poly(chlor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857 polybutadi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903 response to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74 Styrene-butadi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55 halobuty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496 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44 reinfor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 및 신축이음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길이가 해당 교량의 상판 폭과 대응되도록 신축이음장치를 연속으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상,하부 금형 사이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수직부재를 배치하고, 각 수직부재 사이에, 물받이부재 형성용 미가황고무시트를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가 진행된 후, 상기 상,하부 금형을 프레스로 가압하면서 열을 가하여 상기 미가황고무시트가 상기 각 수직부재에 가황접착으로 일체화되어 물받이부재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수직부재 단부의 연결부위에 위치한 미가황고무시트를 제외한 영역에만 압력과 열을 가하여 각 수직부재와 가황접착으로 일체화된 물받이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위가 상기 상,하부 금형 사이에서 한쪽으로 치우쳐 위치하도록 물받이부재와 일체화된 수직부재들을 수평 이동시키는 단계; c) 먼저 가공된 상기 수직부재에 다음 차례로 가공될 수직부재들을 밀착 또는 근접시켜 배치하고, 다음 차례로 가공될 미가황고무시트를 가공될 수직부재들 사이에 배치하되, 가공될 미가황고무시트의 일부분은 상기 연결부위의 가공되지 않은 미가황고무시트와 겹쳐지도록 배치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 완료 후, 상기 상,하부 금형을 프레스로 가압하면서 열을 가하여 상기 연결부위에 남은 미가황고무시트와 가공될 미가황고무시트가 상기 각 수직부재에 가황접착으로 일체화되면서 물받이부재를 형성하도록 하되, 다음 차례로 가공되는 수직부재의 일단 영역에 형성되는 연결부위에 위치한 미가황고무시트에는 압력과 열을 가하지 않도록 하여 미가황고무시트 상태로 남기는 단계; 및 e) 각 수직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물받이부재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수직부재들의 길이가 상기 교량의 상판 폭과 대응되도록 상기 b) 단계 내지 d) 단계를 여러번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량의 상판과 상판을 신축이음하기 위한 신축이음장치의 길이를 상판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 또는 임의의 길이로 일체화시켜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 및 그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이루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이 수직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물받이를 고감쇠 고무 조성물로 구성하되, 고감쇠 고무를 수직부재 사이에 가황식으로 일체화시키는 제조 과정을 연속적으로 실시함으로써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연결부위 없이 교량의 폭과 일치되는 길이로 제작할 수 있는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 및 그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구조물은 온도변화 및 하중에 따라서 팽창하고 수축된다. 그러므로, 일정한 길이 이상으로 건설되는 교량구조물은 교량 상판과 상판 사이에 적정한 연결 틈새를 갖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교량 상판 간의 연결 틈새에는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신축이음장치로 인하여 온도변화나 하중에 따라서 팽창 수축되는 교량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여 차량이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교량의 파손이 방지되어 교량의 수명은 늘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신축이음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는 교량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마다 그리고, 교량 상판의 너비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된다. 이러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는 서로 맞물린 채로 상호 간에 삽입 및 이탈을 반복하는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11)와, 각각의 핑거 플레이트(11)로부터 하방으로 설치된 한 쌍의 수직부재(12)와, 마주하는 각 수직부재(12) 사이에 설치되어 핑거 플레이트(11)의 삽입 및 이탈에 의해 신축되고, "U"형 또는 폐 도형 형태로 형성된 물받이(13)로 구성된다.
이때, 물받이(13)는 핑거 플레이트(11)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질 및 빗물 등을 수용하여 교량의 하부인 교각으로 더 이상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물받이(13)는 그 양단이 양측의 수직부재(12)의 상면에 각 핑거 플레이트(11)에 의해 결합된다. 즉, 물받이(13)의 상부 양단이 각 수직부재(12)의 상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핑거 플레이트(11)가 각 수직부재(12)의 상면에 볼트로 결합됨으로써 물받이(13)의 양단이 수직부재(12)에 고정되면서 하나의 신축이음장치가 완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현재까지는 신축이음장치의 길이가 금형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고 있었고, 교량 상판의 폭과 일치하는 길이의 신축이음장치가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신축이음장치가 교량 상판의 폭과 일치하도록 다수개의 신축이음장치를 연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각 신축이음장치의 연결부위를 통해서 빗물이 유입되는 문제점과, 각각의 신축이음장치를 연결해야 하는 작업의 곤란성을 유발하였다.
예를 들면, 교량 상판의 폭이 20m인 경우, 대략 2m 길이의 신축이음장치를 5개 연결하여야 했고, 이 경우 각 신축이음장치의 연결부위를 별도의 연결부재 등으로 연결하여 그 연결부위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 작업의 곤란성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물받이의 양단이 핑거 플레이트에 의해 수직부재의 상단에 고정됨으로써, 물받이의 핑거 플레이트 사이로 빗물 등이 유입될 수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76775호에는 신축이음장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신축이음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축이음제조장치는 양측의 수직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그 폭을 선택적으로 크게만 할 수 있었고, 신축이음장치 자체의 길이를 원하는 크기로 제작할 수 없는 구조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길이를 교량의 폭, 즉 교량 상판의 폭에 상응하는 길이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량 상판의 폭에 일치하도록 다수개의 신축이음장치를 연결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각 핑거 플레이트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길이가 해당 교량의 상판 폭과 대응되도록 신축이음장치를 연속으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상,하부 금형 사이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수직부재를 배치하고, 각 수직부재 사이에, 물받이부재 형성용 미가황고무시트를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가 진행된 후, 상기 상,하부 금형을 프레스로 가압하면서 열을 가하여 상기 미가황고무시트가 상기 각 수직부재에 가황접착으로 일체화되어 물받이부재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수직부재 단부의 연결부위에 위치한 미가황고무시트를 제외한 영역에만 압력과 열을 가하여 각 수직부재와 가황접착으로 일체화된 물받이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위가 상기 상,하부 금형 사이에서 한쪽으로 치우쳐 위치하도록 물받이부재와 일체화된 수직부재들을 수평 이동시키는 단계;
c) 먼저 가공된 상기 수직부재에 다음 차례로 가공될 수직부재들을 밀착 또는 근접시켜 배치하고, 다음 차례로 가공될 미가황고무시트를 다음 차례로 가공될 수직부재들 사이에 배치하되, 가공될 미가황고무시트의 일부분을 상기 연결부위의 가공되지 않은 미가황고무시트와 겹쳐지도록 배치하여 상기 상,하부 금형을 프레스로 가압하면서 열을 가하여 상기 연결부위에 남은 미가황고무시트와 가공될 미가황고무시트가 상기 각 수직부재에 가황접착으로 일체화되면서 물받이부재를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
d) 각 수직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물받이부재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수직부재들의 길이가 상기 교량의 상판 폭과 대응되도록 상기 b) 단계 내지 c)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각 수직부재 사이에 물받이부재가 가황접착으로 결합이 완료된 후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각 수직부재의 상면에 핑거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d)단계는,
각 수직부재와 핑커 플레이트에 앵커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수직부재의 상면에 핑거 플레이트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의 핑커 플레이트를 미리 결합시키는 것이다.
상기 d)단계는,
신축이음장치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측면 물받이를 가공하기 위하여, 가장자리에 위치한 수직부재의 연결부위에 미가황고무시트를 남기는 단계; 및
상기 측면 물받이의 가장자리 영역에 있는 미가황고무시트와 상기 수직부재의 연결부위에 남은 미가황고무시트를 겹쳐지게 연결한 후, 프레스로 가압하면서 열을 가하여 상기 측면 물받이와 수직부재를 가황접착으로 일체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d)단계는,
완성된 신축이음장치의 양단에 별도로 제작된 측면 물받이를 각각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d)단계는,
상기 신축이음장치가 시공될 현장에서 별도로 제작된 측면 물받이와 보도 이음부 및 옹벽 이음부를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단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미가황고무시트는,
10 - 23 중량%의 천연고무;
19 - 21 중량%의 부틸고무;
8 - 10 중량%의 유산바륨;
33 - 35 중량%의 탄산칼슘;
10 - 12 중량%의 카본블랙;
4 - 7 중량%의 탄소섬유파우더; 및 3 - 5 중량%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35 - 45 중량%의 연화제;
35 - 38 중량%의 분산제;
9 - 12 중량%의 아연화;
5 - 6 중량%의 산화마그네슘;
3 - 4 중량%의 산화방지제;
0.5 - 1.5 중량%의 가황촉진제; 및
2.5 - 3.5 중량%의 황를 포함한 고감쇠 고무 조성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수직부재의 상면과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저면 사이에, 서로 마주보는 각 핑거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각 핑거 사이에 위치하는 유입방지판이 구비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교량 상판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로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양측에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물받이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수직부재와, 양측의 수직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물받이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면에 서로 마주보게 마련되는 핑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로서,
상기 물받이부재는 고감쇠 고무 조성물로 된 고무재로 이루어져 가황접착식으로 양측의 수직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물받이부재에 의해 서로 일체화된 각 수직부재로 이루어진 신축이음블록들이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연결되면서 일체화되도록 연속 제조되되, 서로 연결된 신축이음블록들의 전체 길이가 교량의 상판 폭과 일치하도록 연속 제조되며,
상기 수직부재의 상면과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사이에는, 각 핑거 사이에 위치하여 각 핑거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입방지판이 형성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고무재는,
10 - 23 중량%의 천연고무;
19 - 21 중량%의 부틸고무;
8 - 10 중량%의 유산바륨;
33 - 35 중량%의 탄산칼슘;
10 - 12 중량%의 카본블랙;
4 - 7 중량%의 탄소섬유파우더; 및 3 - 5 중량%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35 - 45 중량%의 연화제;
35 - 38 중량%의 분산제;
9 - 12 중량%의 아연화;
5 - 6 중량%의 산화마그네슘;
3 - 4 중량%의 산화방지제;
0.5 - 1.5 중량%의 가황촉진제; 및
2.5 - 3.5 중량%의 황를 포함한 고감쇠 고무 조성물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량의 상판과 상판을 신축이음하기 위한 신축이음장치의 길이를 상판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 또는 임의의 길이로 일체화시켜 제조할 수 있음으로써, 다수개의 신축이음장치를 교량 상판의 폭에 대응되도록 서로 연결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각 수직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물받이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연결부위가 형성되지 않아 빗물의 유입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으며, 각 신축이음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부품이 불필요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교량 상판의 폭방향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측면 물받이와 신축이음장치를 가황접착으로 일체화시킴으로써 연결부위를 별도로 연결하기 위한 작업이 삭제되며, 빗물의 누수가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받이부재가 천연고무와 부틸고무, 그리고 유산바륨과 탄산칼슘, 카본블랙 및 첨가제 뿐만 아니라, 탄소섬유파우더가 첨가된 고감쇠 고무 조성물로 구성됨으로써 인강강도와 신장율이 양호하면서도 감쇠성이 우수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고,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적용된 상태의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신축이음장치에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가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신축이음장치가 시공 현장에서 측면 물받이와 보도 및 옹벽 이음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신축이음장치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고,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적용된 상태의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신축이음장치에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가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신축이음장치가 시공 현장에서 측면 물받이와 보도 및 옹벽 이음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신축이음장치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신축이음장치에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가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신축이음장치가 시공 현장에서 측면 물받이와 보도 및 옹벽 이음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신축이음장치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 방법은 신축이음장치를 이루는 한 쌍의 수직부재(20)와 이 수직부재(20) 사이에 배치되는 물받이부재(30)를 일체로 연속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물받이부재(30)를 각 수직부재(20)에 가황접착으로 일체화시킬 때, 각 수직부재(20)의 양단 영역의 연결부위(22)에 위치한 미가황고무시트(31)는 가압하여 가공하지 않고 남긴 후, 추가로 연결될 수직부재(20-1)의 미가황고무시트(31)와 겹쳐지게 배치한 후 이 부분을 가압하여 일체화함으로써, 각 수직부재(20,20-1,20N)가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신축이음장치는 서로 마주보도록 수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20)와, 이 수직부재(20)들 사이에 배치되는 물받이부재(30)와, 각 수직부재(20) 사이에 결합되는 핑거 플레이트(40)와, 각 수직부재(20)의 측면 또는 핑거 플레이트(40)의 저면에 결합되는 앵커부재(80)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직부재(20)와 핑거 플레이트(40)는 본 실시 예에와 같이 서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나, 핑거 플레이트(40)와 수직부재(20)가 일체화된 구조의 신축이음장치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양측의 수직부재(20) 사이에 고무재로 구성되어 각 수직부재(20) 사이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물받이부재(30)가 구비된 다양한 신축이음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다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에 따라 신축이음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길이가 해당 교량의 상판 폭과 대응되도록 신축이음장치를 연속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해당 교량의 상판의 폭을 파악한다. 본 실시 예에서 교량의 상판 폭이 20m인 것으로 가정하고, 신축이음장치를 이루는 수직부재(20)의 길이는 2m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신축이음장치의 각 단부에 결합되는 측면 물받이(50)의 형상은 신축이음장치의 각 단부 형상, 즉 수직부재(20)와 물받이부재(30)의 결합된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측면 물받이(50)도 양측의 지지체 사이에 신축성을 가진 고무재의 물받이가 구비된 구조를 갖으며, 인도(S)의 단차에 적용되도록 전체적으로 단차진 형상를 갖는다.
그리고, 물받이부재(30) 및 측면 물받이(50)를 구성하는 고무재는 10 - 23 중량%의 천연고무와, 19 - 21 중량%의 부틸고무와, 8 - 10 중량%의 유산바륨과, 33 - 35 중량%의 탄산칼슘과, 10 - 12 중량%의 카본블랙과, 4 - 7 중량%의 탄소섬유파우더와, 3 - 5 중량%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고감쇠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이때, 첨가제는 35 - 45 중량%의 연화제와, 35 - 38 중량%의 분산제와, 9 - 12 중량%의 아연화와, 5 - 6 중량%의 산화마그네슘와, 3 - 4 중량%의 산화방지제와, 0.5 - 1.5 중량%의 가황촉진제와, 2.5 - 3.5 중량%의 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고감쇠 고무재를 이루는 구성성분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천연고무는 본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되는 미가황 고무이다. 이러한 천연고무(NR)이나 이소프렌 고무(IR)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연고무와 이소프렌 고무를 같이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천연 고무(NR) 또는 이소프렌 고무(IR)의 첨가량이 10중량% 이하일 경우 인장력이 저하되고, 23중량% 이상일 경우 반발강성의 성질로 탄성은 높아지나 감쇄율이 저하되고, 오존균열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17중량%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천연고무(NR) 또는 이소프렌 고무(IR) 이외에도 배합할 수 있는 미가황 고무로서 부타디엔 고무(BR),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 고무(SB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 고무(NBR), 부틸 고무(IIR), 할로겐화 부틸 고무(Br-IIR, Cl-IIR 등), 클로로프렌 고무(CR) 등의 각종 미가황고무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부틸고무는 분자구조상 메틸기가 주쇄를 둘러싸서 주쇄의 회전을 곤란하게 하는 형태로 여러종류의 고무중 반발탄성이 가장 낮다. 따라서 충격을 감쇠해야하는 고감쇠 고무에는 꼭 필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구성, 내오존성, 내노화성의 성질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부틸고무의 경우 19중량% 이하일 경우 감쇠율이 저하되고, 21중량% 이상일 경우 인장강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경도가 높아지게 되어 성형 안정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20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유산바륨은 충전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8중량% 이하로 첨가되면 감쇠율이 저하되고, 10 중량% 이상이면 인장력이 저하되고, 경도가 높아지게 되어 성형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9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탄산칼슘은 보강제로 사용되는 것으로, 33중량%이하로 첨가되면 감쇠율이 저하되고, 35중량% 이상이 첨가되면 인장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경도가 높아지게 되어 성형 안정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34중량%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본블랙이 10중량%이하로 첨가되면 감쇠율이 저하되고, 12중량%로 첨가되면 인장력이 저하되고, 경도가 높아지게 되어 성형 안정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11중량%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탄소섬유파우더는 부틸고무와 더불어 고무의 감쇠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나노입자형태 또는 미세한 탄소섬유파우더가 혼합됨으로써 고무 조성물의 강성은 향상된다. 즉, 미세한 탄소섬유파우더 입자가 고무 조성물의 주쇄 사이에 골고루 침투하여 섞이게 되면 천연고무의 주쇄의 움직임을 감소시키므로 고무 조성물 자체의 강성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탄소섬유파우더 입자가 고무의 주쇄 사이에서 주쇄의 회전과 같은 움직임을 제어하게 되므로 감쇠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탄소섬유파우더는 3중량%이하로 첨가되면 감쇠율이 저하되고, 7중량%이상이 첨가되면 인장력이 저하됨은 물론, 경도가 높아져 성형 안전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5중량%를 첨가한다.
한편, 첨가제 중에서 황을 2.5중량% 이하로 첨가하면 상온 내구력이 저하될 수 있고, 3.5중량% 이상으로 첨가될 경우 내열 내구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가황촉진제(또는 가황제)는 가황고무의 가교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과소 배합시 유효 가황계가 형성되지 않아 다황 결합을 이룰 수 없고 과다 배합시 스코치가 발생하여 공정 불량이 발생한다.
산화방지제는 고무의 내열성, 내굴곡성, 내산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분산제, 아연화, 산화마그네슘은 고무의 동적 특성과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내열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분산제, 아연화, 산화마그네슘 등이 과소 배합일 경우 가황속도의 활성화가 약해지며 과대 배합일 경우 가황 속도 활성화가 커져서 스코치가 발생되어 고무의 성질이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첨가제는 4 중량%가 첨가되는 것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고감쇠 고무 조성물로 된 고무재(미가항고무시트)를 이용하여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신축이음장치를 원하는 길이로 연속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a) 단계
상,하부 금형(10A,10B) 사이에 소정의 길이(대략 2m)를 갖는 한 쌍의 수직부재(20)를 배치한다. 즉, 프레스장치에 상,하부 금형(10A,10B)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금형(10B)에 한 쌍의 수직부재(20)를 설치한다.
이때, 상,하부 금형(10A,10B)의 길이는 수직부재(20)의 길이보다 짧거나, 갖도록 구성한다. 이는 수직부재(20)와 물받이부재(30)를 형성하기 위한 미가항고무시트의 일부가 가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부 금형(10A,10B)의 길이는 수직부재(20)의 길이보다 짧을 경우에는 수직부재(20)의 양측에 미 가공 영역이 남게 되고, 길이가 같을 경우에는 수직부재(20)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일측에 미 가공 영역이 남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하부 금형(10A,10B)의 길이는 수직부재(20)의 길이보다 짧을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어서, 각 수직부재(20) 사이에, 물받이부재(30) 형성하기 위한 미가황고무시트(31)를 배치한다. 미가황고무시트(31)는 압력과 열이 가해지지 않은 생지 상태의 고무로, 전술한 바와 같이 고감쇠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진 고무재이다.
이때, 미가황고무시트(31)가 부착될 각 수직부재(20)의 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추후 미가황고무시트(31)가 압력과 열에 의해 각 수직부재(20)와 가황접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b)단계
전술한 a) 단계가 진행된 후, 상,하부 금형(10A,10B)을 프레스로 가압하면서 열을 가하여 미가황고무시트(31)가 각 수직부재(20)에 가황접착으로 일체화되어 물받이부재(30)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미가황고무시트(31)에 압력과 열을 가하게 되면, 압력과 열에 의해 가황고무시트가 되면서 일정한 형태(물받이부재의 형태)가 되면서 양측의 수직부재(20)에 견고하게 가황 접착되어 일체화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수직부재(20) 단부의 연결부위(22)에 위치한 미가황고무시트(31)를 제외한 영역에만 압력과 열을 가하여 각 수직부재(20)와 가황접착으로 일체화된 물받이부재(30)를 형성한다. 즉,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금형(10A,10B)의 크기(폭)가 수직부재(2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수직부재(20)의 양측에 위치하는 미가황고무시트(31)는 압력과 열이 가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수직부재(20) 양측의 연결부위(22)에 위치하는 미가황고무시트(31)는 열과 압력에 노출되지 않게 되어 가공되지 않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어서, 수직부재(20)의 양측 연결부위(22)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물받이부재(30)를 형성한 후, 일측의 연결부위(22)가 상,하부 금형(10A,10B) 사이에서 한쪽으로 치우쳐 위치하도록 물받이부재(30)와 일체화된 수직부재(20)들을 수평 이동시킨다.
c) 단계
한편, 전술한 b) 단계에 의해 양측의 수직부재(20) 사이에 물받이부재(30)가 가황접착에 의해 일체화되고, 연결부위(22)의 미가황고무시트(31)는 가공되지 않은 상태로 된 상태에서, 먼저 가공된 수직부재(20)의 길이방향 일단면에 다음 차례로 가공될 수직부재(20-1)들의 단부를 밀착 또는 근접시켜 배치한다. 그리고, 다음 차례로 가공될 미가황고무시트(31)를 가공될 수직부재(20-1)들 사이에 배치하되, 가공될 미가황고무시트(31)의 일부분은 연결부위(22)의 가공되지 않은 미가황고무시트(31)와 겹쳐지도록 배치한다. 즉,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가공된 수직부재(20)와 추가로 가공될 수직부재(20-1)를 밀착시켜 배치하고, 추가로 가공될 수직부재(20-1)에 배치되는 미가황고무시트(31)의 일부를 연결부위(22)의 미가황고무시트(31)와 겹쳐지게 배치한다.
d) 단계
전술한 c) 단계 완료 후, 상,하부 금형(10A,20B)을 프레스로 가압하면서 열을 가하여 연결부위(22)에 남은 미가황고무시트(31)와 추가로 배치되어 가공될 미가황고무시트(31)가 각 수직부재(20,20-1)에 가황접착으로 일체화되면서 물받이부재(30)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다음 차례로 가공되는 수직부재(20-1)의 일단 영역에 형성되는 연결부위(32-1)에 위치한 미가황고무시트(31)에는 압력과 열을 가하지 않도록 하여 미가황고무시트(31) 상태로 남긴다. 이는 추가로 연결될 수직부재(20-N)들의 미가황고무시트(31)와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과정으로 각 수직부재(20,20-1,20-N) 사이에 형성되는 물받이부재(3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각 신축이음블록(B), 즉 물받이부재(30)에 의해 서로 결합된 각 수직부재(20,20-1,20-N)들로 이루어진 신축이음블록(B)들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서로 연결된 길이가 교량의 상판 폭과 대응되도록 전술한 b) 단계 내지 c) 단계를 여러 번 반복 수행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부재(20,20-1,20-N)들에 배치되는 미가황고무시트(31)의 양측은 가공하지 않고, 압력과 열에 의해 가공될 영역을 남기고, 남긴 영역을 서로 겹쳐지게 배치한 후 열을 가하면서 가압하여 서로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각 수직부재(20,20-1,20-N)들이 미가황고무시트(31)의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물받이부재(30)에 의해 일체화되도록 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수직부재(20,20-1,20-N)들의 전체 길이, 즉 신축이음블록(B)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된 길이가 해당 교량의 상판 폭과 일치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a) 단계 내지 d)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신축이음장치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물받이부재(30)를 구비한 수직부재(20)의 길이를 임의로 선택하여 일체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d) 단계에 의해 수직부재(20) 사이에 물받이부재(30)가 형성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각 수직부재(20,20-1,20-N)의 상면에 핑거 플레이트(40)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단계는 각각의 핑거 플레이트(40)를 각 핑거가 서로 마주보도록 각 수직부재(20,20-1,20-N)의 상에 결합한다.
이때, 각 수직부재(20,20-1,20-N)와 핑커 플레이트(40)에 앵커부재(80)를 각각 결합한다. 이 앵커부재(80)는 교량의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앵커부재(80)는 수직부재(20,20-1,20-N)의 수직벽과 수평벽에 등간격으로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수직부재(20,20-1,20-N)의 상면에 핑거 플레이트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의 핑커 플레이트를 미리 결합시킨 후 물받이부재(30)를 형성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과정으로 해당 교량의 폭과, 서로 연결된 각 수직부재(20,20-1,20-N)의 길이가 일치되면, 다음과 같은 단계를 수행하여 양측 단부에 측면 물받이(50)를 결합한다. 이때, 신축이음블록(B)은 핑거 플레이트(40)가 결합된 상태로 측면 물받이(50)를 결합하는 작업을 할 수도 있으나, 핑거 플레이트(40)를 추후에 결합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핑거 플레이트(40)는 최종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각 신축이음블록(B)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구성된 신축이음장치(수직부재와 물받이부재가 일체화된 상태)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측면 물받이(50)를 가공하되, 가장자리 영역(52)에 미가황고무시트(31)를 남기고 가압하고 열을 가한다. 이때, 측면 물받이(50)의 측면 형상은 적용될 신축이음블록(B)의 측 단면, 즉 수직부재(20)와 물받이부재(30)의 결합된 단면과 동일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측면 물받이(50)와 신축이음블록(B)이 원활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전술한 단계에 의해 측면 물받이(50)의 가장자리 영역(52)에 미가황고무시트(31)가 남은 상태에서, 가장자리 영역(52)에 있는 미가황고무시트(31)와 수직부재의 연결부위(22)에 남은 미가황고무시트(31)를 겹쳐지게 연결한 후, 금형들을 프레스로 가압하면서 열을 가하여 측면 물받이(50)와 수직부재(20)를 가황접착으로 일체화시킨다. 즉, 가장자리 영역(52)에 위치한 미가황고무시트(31)와 연결부위(22)에 위치한 미가황고무시트(31)를 겹쳐지게 한 후 이를 가압하면서 열을 가하여 측면 물받이(50)와 신축이음블록(B)을 일체화시킨다.
이는 압력과 열에 의해 가공되어 성형되는 가황고무시트(물받이부재와 측면 물받이의 물받이부를 이루는 고무)에 의해 측면 물받이(50)와 신축이음블록(B)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측면 물받이(50)와 신축이음장치(물받이부재)가 가황접착에 의해 일체화되므로 그 사이로 빗물이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측면 물받이(50)를 일반적인 방법으로 신축이음장치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20)의 상면과 핑거 플레이트(40)의 저면 사이에는 서로 마주보는 각 핑거(42)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각 핑거(42) 사이에 위치하는 유입방지판(62)이 구비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60)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60)는 핑거 플레이트(40)의 각 핑거(42) 사이에 위치하도록 각 핑거(42)와 각 유입방지판(62)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어긋나게 마주보는 각 핑거(42)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이 각 핑커(42)와 어긋나게 설치되는 유입방지판(62)에 의해 차단되므로, 각 핑거(42)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신축이음장치의 한 예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신축이음장치는 기존의 신축이음장치와는 다르게 그 길이가 교량 상판의 폭과 대응되는 것으로, 그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제조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각 수직부재(20)의 상면에 핑거 플레이트(40)와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60)를 설치함으로써 각 상판 사이의 간격이 메워질 수 있고, 이물질의 유입이 최소화되며, 빗물이 상판의 하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제조방법은, 각 수직부재(20)들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신축이음블록(B)의 단부에 측면 물받이(50)와 보도 및 옹벽 이음부(90)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물받이부재(30)에 의해 서로 일체화된 각 수직부재(20)로 이루어진 신축이음블록(B)들이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연결되면서 일체화된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현장으로 이송한 후, 신축이음장치의 양측 단부에 서로 연결될 각 보도(S) 사이와, 서로 연결될 각 옹벽(R)에 사이에 설치될 보도 및 옹벽 이음부(90)를 결합하는 것이다. 이때, 보도(S)는 교량의 상판보다 높게 단차지게 형성되므로 그 단차진 높이 만큼의 단차 연결부(70)를 설치하여 신축이음블록(B)의 단부에 단차 연결부(70)가 결합되고, 단차 연결부(70)에는 보도 및 옹벽 이음부(90)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 경우, 측면 물받이(50)는 신축이음블록(B)의 물받이부재(30)와 단차 연결부(70)의 연결영역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신축이음블록(B)에 단차 연결부(70)와 보도 및 옹벽 이음부(90)가 연이어 결합되므로, 교량의 상판 뿐만 아니라, 보도(S)와 옹벽(R)의 이음영역도 신축이음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A,10B : 상,하부 금형 20,20-1,20-N : 수직부재
30 : 물받이부재 31 : 미가황고무시트
32,32-1 : 연결부위 40 : 핑거 플레이트
42 : 핑거 50 : 측면 물받이
52 : 가장자리 영역 60 :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
62 : 유입방지판 80 : 앵커부재
90 : 보도 및 옹벽 이음부 B : 신축이음블록
S : 보도 R : 옹벽
30 : 물받이부재 31 : 미가황고무시트
32,32-1 : 연결부위 40 : 핑거 플레이트
42 : 핑거 50 : 측면 물받이
52 : 가장자리 영역 60 :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
62 : 유입방지판 80 : 앵커부재
90 : 보도 및 옹벽 이음부 B : 신축이음블록
S : 보도 R : 옹벽
Claims (12)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길이가 해당 교량의 상판 폭과 대응되도록 신축이음장치를 연속으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상,하부 금형 사이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수직부재를 배치하고, 각 수직부재 사이에, 물받이부재 형성용 미가황고무시트를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가 진행된 후, 상기 상,하부 금형을 프레스로 가압하면서 열을 가하여 상기 미가황고무시트가 상기 각 수직부재에 가황접착으로 일체화되어 물받이부재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수직부재 단부의 연결부위에 위치한 미가황고무시트를 제외한 영역에만 압력과 열을 가하여 각 수직부재와 가황접착으로 일체화된 물받이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위가 상기 상,하부 금형 사이에서 한쪽으로 치우쳐 위치하도록 물받이부재와 일체화된 수직부재들을 수평 이동시키는 단계;
c) 먼저 가공된 상기 수직부재에 다음 차례로 가공될 수직부재들을 밀착 또는 근접시켜 배치하고, 다음 차례로 가공될 미가황고무시트를 다음 차례로 가공될 수직부재들 사이에 배치하되, 가공될 미가황고무시트의 일부분을 상기 연결부위의 가공되지 않은 미가황고무시트와 겹쳐지도록 배치하여 상기 상,하부 금형을 프레스로 가압하면서 열을 가하여 상기 연결부위에 남은 미가황고무시트와 가공될 미가황고무시트가 상기 각 수직부재에 가황접착으로 일체화되면서 물받이부재를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
d) 각 수직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물받이부재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수직부재들의 길이가 상기 교량의 상판 폭과 대응되도록 상기 b) 단계 내지 c)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각 수직부재 사이에 물받이부재가 가황접착되어 결합이 완료된 후,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각 수직부재의 상면에 핑거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각 수직부재의 상면에 핑거 플레이트를 결합하기 전에, 상기 수직부재의 상면과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저면 사이에, 서로 마주보는 각 핑거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각 핑거 사이에 위치하는 유입방지판이 구비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수직부재의 상면에 핑거 플레이트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의 핑커 플레이트를 미리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신축이음장치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측면 물받이를 가공하기 위하여, 가장자리에 위치한 수직부재의 연결부위에 미가황고무시트를 남기는 단계; 및
상기 측면 물받이의 가장자리 영역에 있는 미가황고무시트와 상기 수직부재의 연결부위에 남은 미가황고무시트를 겹쳐지게 연결한 후, 프레스로 가압하면서 열을 가하여 상기 측면 물받이와 수직부재를 가황접착으로 일체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완성된 신축이음장치의 양단에 별도로 제작된 측면 물받이를 각각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신축이음장치가 시공될 현장에서 별도로 제작된 측면 물받이와 보도 및 옹벽 이음부를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단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가황고무시트는,
10 - 23 중량%의 천연고무;
19 - 21 중량%의 부틸고무;
8 - 10 중량%의 유산바륨;
33 - 35 중량%의 탄산칼슘;
10 - 12 중량%의 카본블랙;
4 - 7 중량%의 탄소섬유파우더; 및 3 - 5 중량%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
35 - 45 중량%의 연화제;
35 - 38 중량%의 분산제;
9 - 12 중량%의 아연화;
5 - 6 중량%의 산화마그네슘;
3 - 4 중량%의 산화방지제;
0.5 - 1.5 중량%의 가황촉진제; 및
2.5 - 3.5 중량%의 황를 포함한 고감쇠 고무 조성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각 수직부재에 핑거 플레이트가 결합된 후에 상기 각 수직부재와 핑커 플레이트에 앵커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 - 삭제
- 양측에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물받이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수직부재와, 양측의 수직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물받이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면에서 각 핑거가 서로 맞물리게 마련되는 핑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로서,
상기 물받이부재는 고감쇠 고무 조성물로 된 고무재로 이루어져 가황접착식으로 양측의 수직부재에 결합하고,
상기 물받이부재에 의해 서로 일체화된 각 수직부재로 이루어진 신축이음블록들이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연결되면서 일체화되도록 신축이음장치를 연속 제조하되, 서로 연결된 신축이음장치의 전체 길이가 교량의 상판 폭과 일치하도록 연속 제조하며,
서로 맞물리게 배치된 상기 각 핑거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입방지판이 형성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를 상기 수직부재의 상면과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하되, 상기 각 유입방지판이 상기 각 핑거와 어긋나게 배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각 핑거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재는,
10 - 23 중량%의 천연고무;
19 - 21 중량%의 부틸고무;
8 - 10 중량%의 유산바륨;
33 - 35 중량%의 탄산칼슘;
10 - 12 중량%의 카본블랙;
4 - 7 중량%의 탄소섬유파우더; 및 3 - 5 중량%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35 - 45 중량%의 연화제;
35 - 38 중량%의 분산제;
9 - 12 중량%의 아연화;
5 - 6 중량%의 산화마그네슘;
3 - 4 중량%의 산화방지제;
0.5 - 1.5 중량%의 가황촉진제; 및
2.5 - 3.5 중량%의 황를 포함한 고감쇠 고무 조성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8048A KR101216743B1 (ko) | 2011-09-28 | 2011-09-28 |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 및 그 신축이음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8048A KR101216743B1 (ko) | 2011-09-28 | 2011-09-28 |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 및 그 신축이음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16743B1 true KR101216743B1 (ko) | 2012-12-28 |
Family
ID=47908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8048A KR101216743B1 (ko) | 2011-09-28 | 2011-09-28 |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 및 그 신축이음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1674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2998B1 (ko) * | 2017-06-29 | 2018-05-31 | 박민수 | 이탈방지용 핑거 조인트 |
CN109680605A (zh) * | 2019-01-29 | 2019-04-26 | 杨胜 | 一种梳齿式桥梁伸缩装置 |
KR101994039B1 (ko) * | 2018-03-13 | 2019-06-27 | 박민수 | 이탈방지용 핑거 조인트 |
KR20200052794A (ko) * | 2018-11-07 | 2020-05-15 | 주식회사 알앤비 |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1139Y1 (ko) | 2001-04-26 | 2001-10-12 | (주)엠피기술산업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2011
- 2011-09-28 KR KR1020110098048A patent/KR10121674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1139Y1 (ko) | 2001-04-26 | 2001-10-12 | (주)엠피기술산업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2998B1 (ko) * | 2017-06-29 | 2018-05-31 | 박민수 | 이탈방지용 핑거 조인트 |
KR101994039B1 (ko) * | 2018-03-13 | 2019-06-27 | 박민수 | 이탈방지용 핑거 조인트 |
KR20200052794A (ko) * | 2018-11-07 | 2020-05-15 | 주식회사 알앤비 |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KR102183936B1 (ko) * | 2018-11-07 | 2020-11-27 | 주식회사 알앤비 | 신축 이음 장치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CN109680605A (zh) * | 2019-01-29 | 2019-04-26 | 杨胜 | 一种梳齿式桥梁伸缩装置 |
CN109680605B (zh) * | 2019-01-29 | 2020-09-04 | 杨胜 | 一种梳齿式桥梁伸缩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6743B1 (ko) |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 및 그 신축이음장치 | |
US3363522A (en) | Expansion joint | |
US8297003B2 (en) | Gliding bed for concrete slabs,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concrete slab and structure with a gliding bed | |
KR100985039B1 (ko) |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KR101784721B1 (ko) |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116876B1 (ko) | 도로와 교량에 적용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EP2246474A2 (en) | Highway bridge equipped with a joint transition | |
KR20100089616A (ko) | 보강망을 구비한 신축이음 | |
KR101345565B1 (ko) | 덧씌운 아스콘 포장의 반사균열을 억제하기 위한 줄눈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2048803B1 (ko) | 압축 고정형 고탄성 재료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 |
JP5291328B2 (ja) | 伸縮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195774B1 (ko) | 교량용 또는 지하차보도용 신축 이음장치 | |
EP2147158B1 (de) | Verwendung eines belagsmaterials zur direkten anbindung an ein betonbauteil | |
KR101679841B1 (ko) | 배수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기능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 | |
KR101746409B1 (ko) | 하이브리드 탄성폴리머 조성물을 이용한 신축이음 및 그 시공방법 | |
KR101579058B1 (ko) |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 공법 | |
KR100843345B1 (ko) | 교량용 신축이음부의 시공방법 | |
JP2015067982A (ja) | 道路橋梁用ゴムコンクリートとその施工方法及び道路橋梁用ゴムコンクリートを用いた伸縮装置 | |
ITRM20080223A1 (it) | Tappeto multifunzione per campi sportivi. | |
JP3720030B2 (ja) | 道路橋用伸縮継手の製造方法 | |
CN207944332U (zh) | 模数式伸缩装置复合防水、密封装置 | |
KR102015836B1 (ko) | 응력흡수용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응력흡수용 시트 | |
KR102691508B1 (ko) | 신축이음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 보강방법 | |
KR101084668B1 (ko) |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우수한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 | |
KR101360788B1 (ko) | 연결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의 이음부 시공공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