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218B1 -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218B1
KR102091218B1 KR1020180052424A KR20180052424A KR102091218B1 KR 102091218 B1 KR102091218 B1 KR 102091218B1 KR 1020180052424 A KR1020180052424 A KR 1020180052424A KR 20180052424 A KR20180052424 A KR 20180052424A KR 102091218 B1 KR102091218 B1 KR 102091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ilter material
manufacturing
drain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8355A (ko
Inventor
이임락
오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Priority to KR1020180052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218B1/ko
Publication of KR20190128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65Heat treatment
    • B29C63/0069Heat treatment of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18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3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 B29C66/532Joining single elements to the wall of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 B29C66/5326Joining single elements to the wall of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said single elements being substantially fla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코어와 필터재를 각각 공급할 때 내측으로 배수코어를 안내하고 배수코어의 외측으로는 필터재를 안내하도록 한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인바, 본 발명은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바닥에 고정시키는 고정공을 형성한 고정부와 일체로 링 형태의 설치부를 구비한 홀더수단과; 상기 고정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링 형태의 설치부에 끼워져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면서 평면형태로 공급되는 배수코어는 반원형으로 절곡시키고 필터재는 반원형으로 형성된 배수코어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원형의 형상으로 변형시키면서 배수코어와 필터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몸체로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 {Guid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rain board}
본 발명은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코어와 필터재를 각각 공급할 때 내측으로 배수코어를 안내하고 배수코어의 외측으로는 필터재를 안내하도록 한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토목건설 공사용 배수재에 요구되는 기본특성은 가격이 저렴해야 하고 적용되는 토목건설공사에 적합한 정도의 강신도 및 흡수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에 강하고 산, 알카리 노출시에도 물성이 요구되는 내구성이 요구되며,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해야 하고 사용 환경 중에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토목건설공사용 배수재는 연약지반 처리공법에 사용된다. 이러한 배수재는 흙속에서 사용되며 빠른 시간 내에 배수기능을 발휘해야만 후속공사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기능을 담당하는 토목건설공사용 배수재의 특성의 고찰은 역학적 성질, 부직포의 기공크기, 투과성, 투과율 및 시간과 환경을 고려한 내구성에 대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배수재의 성질이 구조에 따라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도 고려하여야 한다.
플라스틱 드레인보드를 연약지반 내에 수직으로 설치하면 간극수가 여과기능을 가진 부직포 필터를 거쳐 내부 코어인 플라스틱 배수구를 통하여 상부로 쉽게 배출된다.
플라스틱 드레인보드의 코어는 압출 제품이며, 배수용량 및 여과면적이 크고 강도가 커야한다. 그리고 저온 및 고온에서 시공성이 좋아야 하며, 유연성이 좋고 수분에 의한 수축이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플라스틱 드레인보드의 필터는 부직포 또는 웹이며, 인장력이 커야하고 투 수성 및 여과효과가 탁월해야 한다. 또한, 구멍 막힘 현상이 없고 내구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필터부재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사용하고 코어부재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제조한 플라스틱 드레인보드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드레인보드의 제조장치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935817호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선 등록된 특허등록 제935817호의 드레인보드 제조 장치는 배수코어와 필터재를 각각 공급하되 상기 코어를 필터재가 감싸도록 한 후 배수코어를 필터재가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 필터재의 중첩된 부분을 고주파 또는 초음파로 용융시켜 접합하는 구조이다.
상기 선 등록된 특허는 별도의 결합 안내장치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배수코어와 플렉시블한 부직포재로 이루어진 필터재를 각각 공급하여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필터재를 원통형으로 말아줄 수단이 없으므로 필터재 양 단부가 벌어지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되어 배수코어의 중심선에 필터재 양 단부를 중첩 시킨 일정한 열 융착선 확보가 어려우며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고 불량률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수코어를 가열기 쪽으로 공급할 때 판형상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필터부재를 접합하는 유도부 쪽에 고주파 가열기의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과 열융착하는 필터재는 원통형상이고 내측에 공급되는 배수코어는 평면 형태로 공급되기 때문에 배수코어를 감싸는 필터재가 너무 크거나 작게 제작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드레인보드 제조시 배수코어를 반원형으로 절곡 형성시키고 배수코어의 외측을 감싸는 필터재를 원통형으로 형성시켜 상기 배수코어와 필터재를 평면 형태로 변형시켰을 때 정확하게 필터재가 배수코어를 감싸도록 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공급되는 배수코어와 필터재의 중심선 정렬이 용이하고 중심이 흔들리지 않고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불량률을 감소 및 원가절감 효과 등의 이점이 있는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바닥에 고정시키는 고정공을 형성한 고정부와 일체로 링 형태의 설치부를 구비한 홀더수단과; 상기 고정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링 형태의 설치부에 끼워져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면서 평면형태로 공급되는 배수코어는 반원형으로 절곡시키고 필터재는 반원형으로 형성된 배수코어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원형의 형상으로 변형시키면서 배수코어와 필터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가이드몸체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측에 편심되게 설치되어 하사점이 접점되어 고정되고 내측 상단으로는 외통과의 사이에 편심공간부를 형성하며, 일부분이 절결되어 편심공간부 쪽으로 필터재의 일끝단을 안내하는 제1날개가이드통공부를 형성한 중간통과; 상기 중간통 내측에 설치되며 중간통과 사이에 배수코어와 필터재를 함께 안내하는 복합가이드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날개가이드통공부의 일측단과 연결되어 고정 설치되는 내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복합가이드공간은 배수코어를 반원형으로 형성시키면서 안내하는 제1가이드공간부와; 상기 제1가이드공간부와 일체로 연결되면서 배수코어를 감싸는 필터재의 일끝단이 끼워져 필터재의 일끝단을 정렬시키는 위치정열홈과; 상기 제1가이드부와 일체로 연결되면서 배수코어를 감싸는 필터재의 일끝단을 편심공간부 쪽으로 필터재를 안내하는 제2가이드공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위치정열홈 및 제2가이드공간부와 만나는 제1가이드공간부 끝단에는 배수코어의 유동을 방지하는 단턱을 더 형성하는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복합가이드공간은 원호의 길이가 1/2~1/3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다른 요부인 가이드몸체의 다른 구조로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측에 편심되게 설치되어 하사점이 접점되어 고정되고 내측 상단으로는 외통과의 사이에 편심공간부를 형성하며, 일부분이 절결되어 편심공간부 쪽으로 필터재의 일끝단을 안내하는 제1날개가이드통공부를 형성한 중간통과; 상기 중간통 내측에 설치되며 중간통과 사이에 필터재를 안내하는 복합가이드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날개가이드통공부의 일측단과 연결되어 고정 설치되며 중앙에는 필터재를 안내하는 공간이 구비된 내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드레인보드 제조시 배수코어를 반원형으로 절곡 형성시키고 배수코어의 외측을 감싸는 필터재를 원통형으로 형성시켜 상기 배수코어와 필터재를 평면 형태로 변형시켰을 때 정확하게 필터재가 배수코어를 감쌀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고, 공급되는 배수코어와 필터재의 중심선 정렬이 용이하고 중심이 흔들리지 않고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불량률을 감소 및 원가 절감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의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의 정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의 측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인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인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인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를 통과한 필터재와 배수코어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로써 고체 상태의 베이스칩을 용융장치(100)를 통해 액체상태로 용융시킨 후 T다이(200)를 사용하여 시트형태로 토출하고 상기 토출된 시트를 성형장치(300)를 이용하여 요철과 요홈을 연속 반복되게 형성시켜 배수코어를 제조한다.
상기 배수코어는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되는 시트성형장치(300)를 통해 1차 간접 냉각되고 이송 중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경화되며, 이때 처짐을 방지하도록 롤가이드장치(400)를 통과하며 상기 롤가이드장치(400)를 통과하는 배수코어는 평면 상태로 이송된다.
상기 롤가이드장치(400)를 통과하는 배수코어는 수평상태로 이동되다가 형상변경가이드장치(500)에 의해 반원형으로 형상이 변환되며, 이때 필터재가 필터재공급수단(600)에서 함께 공급되어 형상변경가이드장치(500)에서 배수코어를 반원형태로 감싸게 된다.
한편, 상기 필터재의 공급시 권취되어 있는 날개공급수단(610)에서 날개부재가 필터재의 밑으로 함께 공급되다가 제1접합장치(700)에 의해 고주파 또는 초음파에 의해 열융착되어 날개부재가 부착된 필터재를 제조하여 상기한 필터재를 공급한다.
상기 반원형으로 절곡되어 공급되는 배수코어와 필터재는 본 발명인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1)에 의해 필터부재는 중첩부를 형성하도록 말려 그 단면 형상이 원형을 형성하도록 감겨지고 내측으로는 반원형의 배수코어가 통과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인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1)를 통과한 필터재는 후단의 드레인보드용 필터재의 접합장치(800)에 의해 필터재가 고주파 또는 초음파에 의해 열융착되고 상기 원형으로 형상 변경된 필터부재 및 반원형으로 형상이 변경된 배수코어가 다시 판상 형태로 형상을 다시 변경하면서 권취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배수재 제조시 설치되는 본 발명의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1)는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닥에 고정시키는 고정공을 형성한 고정부(11)와 일체로 링 형태의 설치부(12)를 구비한 홀더수단(10)과 상기 링 형태의 설치부(12)에 끼워져 고정볼트(20)에 의해 고정되면서 평면형태로 공급되는 배수코어는 반원형으로 절곡시키고 필터재는 반원형으로 형성된 배수코어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원형의 형상으로 변형시키면서 배수코어(C)와 필터재(B)를 안내하는 가이드몸체(30)로 이루어진 구조로 대별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몸체(3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는 외통(31)과 상기 외통(31)의 내측에 편심되게 설치되어 하사점이 접점되는 부분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고 내측 상단으로는 외통(31)과의 사이에 편심공간부(31-1)를 형성하며, 일부분이 절결되어 편심공간부(31-1) 쪽으로 필터재(B)의 일끝단을 안내하는 제1날개가이드통공부(31-2)를 형성한 중간통(32)을 설치한다.
상기 외통(31)의 내측에 설치된 중간통(32)의 안쪽으로는 중간통(32)과 사이에 배수코어(C)와 필터재(B)를 함께 안내하는 복합가이드공간(33-1)을 형성하도록 되 상기 제1날개가이드통공부(31-2)의 일측단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 고정 설치되는 내통(33)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중간통(32)에 구비된 제1날개가이드통공부(31-2)는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최상점을 지나쳐 일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제1날개가이드통공부(31-2)의 일 끝단면과 내통(33)의 연결부분은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제1날개가이드통공부(31-2)에 끼워져 형성되는 날개부(B-1)를 형성하는 필터재(B)의 끝단이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여 외통(31)과 중간통(32)의 결합 구조는 "
Figure 112018044887521-pat00001
"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통(31)과 중간통(32) 사이의 공간 즉, 편심공간부(31-1)는 상부 쪽 공간이 비교적 넓고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일어진다.
한편, 상기 복합가이드공간(33-1)은 배수코어(B)를 반원형으로 형성시키면서 안내하는 제1가이드공간부(33-1-1)와 상기 제1가이드공간부(33-1-1)와 일체로 연결되면서 배수코어(B)를 감싸는 필터재(T)의 일끝단이 끼워져 필터재(T)의 일끝단을 정렬시키는 위치정열홈(33-1-2)과 상기 제1가이드공간부(33-1-1)와 일체로 연결되면서 배수코어(B)를 감싸는 필터재(T)의 일끝단을 편심공간부(31-1) 쪽으로 필터재(T)를 안내하는 제2가이드공간부(33-1-3)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위치정열홈(33-1-2) 및 제2가이드공간부(33-1-3)와 만나는 제1가이드공간부(33-1-1) 끝단에는 배수코어(C)의 유동을 방지하는 단턱(33-1-1a)을 더 형성되며, 상기 복합가이드공간(33-1)은 원호의 길이가 1/2~1/3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인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의 사용은 첨부도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절곡되어 이송되어온 배수코어(C)는 제1가이드공간부(31-1-1)에 끼워져 이송되며, 배수코어(C)의 일 끝단이 단턱(33-1-1a)에 걸려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면서 이동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복합가이드공간(33-1)을 형성하는 제1가이드공간부(31-1-1)에 배수코어(B)가 끼워지기 전 날개가 붙어있는 필터재(T)가 먼저 제1가이드공간부(31-1-1)에 끼워지며, 이때 상기 날개가 붙어있는 필터재(T)의 일 끝단은 단턱(33-1-1a)을 지나쳐 위치정열홈(33-1-2)에 끼워지는데 필터재(T)의 끝단이 위치정열홈(33-1-2)에 끼워져 끝단부에서 걸리게 되며 인입이 제한될 때까지 필터재(T)를 위치정열홈(33-1-2)에 집어넣으면 상기한 위치정열홈(33-1-2)에 끼워진 필터재(T)가 접합장치에 의해 원형으로 감겨진 필터재(T)를 접합시키면 접합점 측부에 형성된 여분의 필터가 날개부가 되는 것이다.
한편 필터재(T)의 다른 끝단은 내통(33)을 따라 감겨지게 되다가 제2가이드공간부(33-1-3)를 경유하여 제1날개가이드통공부(31-2)를 통해 외통(31)과 중간통(32) 사이의 편심공간부(31-1)로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1)를 통과한 필터재(T)와 배수코어(B)는 첨부도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형성된 상태에서 필터재의 내측에 배수코어(B)가 인입되어 있는 구조로 안내된다.
상기와 같이 안내되는 필터재(T)의 접합위치를 조절할 경우에는 고정볼트(20)를 풀어 가이드몸체(30)를 회전시키면 날개부를 형성시키기 위해 필터재(T)의 접합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반원형으로 절곡되어 이송되어온 배수코어(C)를 내통(33)의 중앙 쪽에 형성된 중공된 공간으로 인입시켜 통과시키고 복합가이드공간(33-1)을 형성하는 제1가이드공간부(31-1-1)에 날개가 붙어있는 필터재(T)를 끼워 설치하면 상기 날개가 붙어있는 필터재(T)의 일 끝단은 위치정열홈(33-1-2)에 끼워지는데 필터재(T)의 끝단이 위치정열홈(33-1-2)에 끼워져 끝단부에서 걸리게 되며 인입이 제한될 때까지 필터재(T)를 위치정열홈(33-1-2)에 집어 넣으면 상기한 위치정열홈(33-1-2)에 끼워진 필터재(T)가 접합장치에 의해 원형으로 감겨진 필터재(T)를 접합시키면 접합점 측부에 형성된 여분의 필터가 날개부가 되는 것이다.
한편 필터재(T)의 다른 끝단은 내통(33)을 따라 감겨지게 되다가 제2가이드공간부(33-1-3)를 경유하여 제1날개가이드통공부(31-2)를 통해 외통(31)과 중간통(32) 사이의 편심공간부(31-1)로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1)를 통과한 필터재(T)와 배수코어(B)는 첨부도면 도 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를 갖는 드레인보드를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드레인보드 제조시 배수코어를 반원형으로 절곡 형성시키고 배수코어의 외측을 감싸는 필터재를 원통형으로 형성시켜 상기 배수코어와 필터재를 평면 형태로 변형시켰을 때 정확하게 필터재가 배수코어를 감싸도록 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공급되는 배수코어와 필터재의 중심선 정렬이 용이하고 중심이 흔들리지 않고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불량률이 감소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10 : 홀더수단 11 : 고정부
12 : 설치부 20 : 고정볼트
30 : 가이드몸체 31 : 외통
31-1 : 편심공간부 31-2 : 제1날개가이드통공부
32 : 중간통 33 : 내통
33-1 : 복합가이드공간 33-1-1 : 제1가이드공간부
33-1-2 : 위치정열홈 33-1-3 : 제2가이드공간부

Claims (6)

  1.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바닥에 고정시키는 고정공을 형성한 고정부와 일체로 링 형태의 설치부를 구비한 홀더수단과;
    상기 고정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링 형태의 설치부에 끼워져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면서 평면형태로 공급되는 배수코어는 반원형으로 절곡시키고 필터재는 반원형으로 형성된 배수코어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원형의 형상으로 변형시키면서 배수코어와 필터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몸체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측에 편심되게 설치되어 하사점이 접점되어 고정되고 내측 상단으로는 외통과의 사이에 편심공간부를 형성하며, 일부분이 절결되어 편심공간부 쪽으로 필터재의 일끝단을 안내하는 제1날개가이드통공부를 형성한 중간통과;
    상기 중간통 내측에 설치되며 중간통과 사이에
    배수코어와 필터재를 함께 안내하는 복합가이드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날개가이드통공부의 일측단과 연결되어 고정 설치되는 내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가이드공간은
    배수코어를 반원형으로 형성시키면서 안내하는 제1가이드공간부와;
    상기 제1가이드공간부와 일체로 연결되면서 배수코어를 감싸는 필터재의 일끝단이 끼워져 필터재의 일끝단을 정렬시키는 위치정열홈과;
    상기 제1가이드공간부와 일체로 연결되면서 배수코어를 감싸는 필터재의 일끝단을 편심공간부 쪽으로 필터재를 안내하는 제2가이드공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열홈 및 제2가이드공간부와 만나는 제1가이드공간부 끝단에는 배수코어의 유동을 방지하는 단턱을 더 형성하는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가이드공간은 1/2~1/3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몸체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측에 편심되게 설치되어 하사점이 접점되어 고정되고 내측 상단으로는 외통과의 사이에 편심공간부를 형성하며, 일부분이 절결되어 편심공간부 쪽으로 필터재의 일끝단을 안내하는 제1날개가이드통공부를 형성한 중간통과;
    상기 중간통 내측에 설치되며 중간통과 사이에 필터재를 안내하는 복합가이드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날개가이드통공부의 일측단과 연결되어 고정 설치되며 중앙에는 필터재를 안내하는 공간이 구비된 내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
KR1020180052424A 2018-05-08 2018-05-08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 KR102091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424A KR102091218B1 (ko) 2018-05-08 2018-05-08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424A KR102091218B1 (ko) 2018-05-08 2018-05-08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355A KR20190128355A (ko) 2019-11-18
KR102091218B1 true KR102091218B1 (ko) 2020-03-19

Family

ID=68727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424A KR102091218B1 (ko) 2018-05-08 2018-05-08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2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930B1 (ko) * 2020-08-04 2021-01-26 유영호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KR102216565B1 (ko) * 2020-12-30 2021-02-16 유영호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962B1 (ko) 2007-05-22 2007-09-04 지운용 개폐가 용이한 맨홀
KR101690875B1 (ko) 2015-05-08 2016-12-28 (주)에어릭스 집진기용 필터체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817B1 (ko) * 2008-02-18 2010-01-08 윤한샘 드레인 보드 제조 장치
KR101883402B1 (ko) * 2012-12-27 2018-07-3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나트륨 유황 전지의 양극재 펠트 성형 장치
KR101918235B1 (ko) * 2016-09-22 2018-11-1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탄소섬유 소프트 단열재의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962B1 (ko) 2007-05-22 2007-09-04 지운용 개폐가 용이한 맨홀
KR101690875B1 (ko) 2015-05-08 2016-12-28 (주)에어릭스 집진기용 필터체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355A (ko) 201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218B1 (ko)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
US9192108B2 (en) Method for producing drip irrigation tubes
CN105792638B (zh) 发射器及滴灌用输送管
TW576893B (en) Air intake du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3691704B2 (ja) 吸気ダ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211311A (ja) 圧力補整式灌漑用水滴下装置
CN101014238A (zh) 盘形滴头
WO2007048896A3 (fr) Dispositif de raccordement a corps soude
US20180353908A1 (en) Tubular filter membrane elem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20040014856A (ko) 열선이 매입된 합성수지관용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
US10493704B2 (en) Resin line with flow aid
KR101090296B1 (ko)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JP2009270531A (ja) 内燃機関の吸気ダ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213488673U (zh) 一种焊接式的喷臂供水连接结构及其洗碗机
KR200323558Y1 (ko) 나선관 성형용 압출도관의 접합장치
KR100422901B1 (ko)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
CN215103706U (zh) 一种注胶均匀的口罩熔喷布模具
KR20190128348A (ko)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
KR100564154B1 (ko) 나선관 성형용 압출도관의 접합장치 및 그 방법
CN208831906U (zh) 一种多层复合增强缠绕管及管路
CN219221523U (zh) 水管接头结构
KR101912147B1 (ko) 아스팔트 보강재,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CN106286986A (zh) 一种汽车油管卡扣
KR101152220B1 (ko)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JPS5817613Y2 (ja) 潅水チユ−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