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930B1 -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930B1
KR102207930B1 KR1020200097295A KR20200097295A KR102207930B1 KR 102207930 B1 KR102207930 B1 KR 102207930B1 KR 1020200097295 A KR1020200097295 A KR 1020200097295A KR 20200097295 A KR20200097295 A KR 20200097295A KR 102207930 B1 KR102207930 B1 KR 102207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drainage material
air
drainag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호
이주현
Original Assignee
유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호 filed Critical 유영호
Priority to KR1020200097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4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 B26D1/1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with vertical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Storing of extruded material, e.g. by winding up or st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885External treatment, e.g. by using air rings for cooling tubular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3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27Cutting 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45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9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after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에 관련되며, 이는 폴리프로필렌(PP) 원료를 판형 보드로 압출 성형하는 단계에서 부터 필터지를 피복하여 배수재를 완성하기까지 수행되는 각 단계별 일련의 제조공정이 단일 공정으로 연속 수행되고, 기존 수냉방식을 공랭방식으로 전환하여 압출물을 냉각하도록 구조 개선함에 따라 기존 수냉식 제품 대비 인장강도, 측압이 20%이상 향상됨과 더불어 배수성능이 월등이 우수하게 개선되며, 특히 코어원판 사이즈를 광폭으로 확장 성형한 후, 이를 세절하여 한번에 복수의 코어를 제조하므로 수냉식 제조공정 대비 시간당 생산량이 크게 증가될 수 있도록 압출파트(100), 롤링파트(200), 하부 공랭파트(300), 상부 공랭파트(400), 제 1인출파트(500), 커팅파트(600), 제 2인출파트(700), 피복파트(800), 제 3인출파트(900), 와인딩파트(100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Air-cooled manufacturing device for drainage material for soft ground improvement}
본 발명은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PP) 원료를 판형 보드로 압출 성형하는 단계에서 부터 필터지를 피복하여 배수재를 완성하기까지 수행되는 각 단계별 일련의 제조공정이 단일 공정으로 연속 수행되고, 기존 수냉방식을 공랭방식으로 전환하여 압출물을 냉각하도록 구조 개선함에 따라 기존 수냉식 제품 대비 인장강도, 측압이 20%이상 향상됨과 더불어 배수성능이 월등이 우수하게 개선되며, 특히 코어원판 사이즈를 광폭으로 확장 성형한 후, 이를 세절하여 한번에 복수의 코어를 제조하므로 수냉식 제조공정 대비 시간당 생산량이 크게 증가될 수 있는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공사의 지층이 지중수를 함유한 연약지반인 경우에는 먼저 그 토양의 지중수를 배출시키고 지반을 압밀침하 시킨 후 기초공사를 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연약지반의 공사단계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지중수를 배출하도록 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자갈과 모래를 지층에 깔고 이를 성토함으로써 지층의 지중수를 빼내도록 하고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드레인 보드라고 불리우는 배수재를 이용하여 지층의 지중수를 배출하는 기술이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드레인 보드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는 다양한 형상의 드레인 보드가 시판되고 있으며, 재질적인 측면에서 모래보다 많이 저렴하고, 성능적인 측면에서도 효율이 높아 건설현장에서 많이 채택되고 있지만, 합성수지재로 성형제조된 배수코어를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재가 감싸도록 형성하는 구조적 특성상 제조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0935817호에서, 배수 코어를 공급하는 코어 공급부; 상기 코어의 진행 경로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진행되는 코어를 향해 필터재를 공급하는 필터재 공급부; 상기 코어와 필터재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터재가 상기 코어를 감싼 채로 양단부가 중첩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 상기 필터재의 중첩된 부분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중첩된 부분을 용융시켜 접합 되게 하고, 상기 중첩된 부분에 열을 가하는 가열기를 포함하는 용융 접합 유닛; 및 상기 중첩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가열기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가열기와 협동하여 용융 영역이 결정되게 하는 영역 결정부를 포함하는 기술이 선 제시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드레인 보드의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것이나, 압축된 코어가 냉각수 탱크에 저장된 물과 같은 액체에 의해 냉각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코어 제조 폭 확장에 한계가 따르고, 이로 인해 코어가 소폭으로 압출 성형되어 하나의 제조라인에서 생산가능한 배수재가 1줄로 제한되어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KR 10-0935817 B1 (2009.12.30.)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폴리프로필렌(PP) 원료를 판형 보드로 압출 성형하는 단계에서 부터 필터지를 피복하여 배수재를 완성하기까지 수행되는 각 단계별 일련의 제조공정이 단일 공정으로 연속 수행되고, 기존 수냉방식을 공랭방식으로 전환하여 압출물을 냉각하도록 구조 개선함에 따라 기존 수냉식 제품 대비 인장강도, 측압이 20%이상 향상됨과 더불어 배수성능이 월등이 우수하게 개선되며, 특히 코어원판 사이즈를 광폭으로 확장 성형한 후, 이를 세절하여 한번에 복수의 코어를 제조하므로 수냉식 제조공정 대비 시간당 생산량이 크게 증가될 수 있는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압출기(110)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PP) 원료를 180~240℃에서 판형 보드(B1)를 연속 압출 성형하는 압출파트(100); 상기 판형 보드(B1) 양면을 가압하는 한 쌍의 성형롤러(220)를 이용하여, 판형 보드(B1) 양면에 복수의 배수골(B2-2)이 형성된 코어원판(B2)을 성형하는 롤링파트(200); 상기 롤링파트(200)를 통과한 코어원판(B2) 저면에 대향하도록 하부 에어노즐(320)이 설치되고, 하부 에어노즐(320)을 통하여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코어원판(B2)을 하부 방향에서 냉각하는 하부 공랭파트(300); 상기 하부 공랭파트(300)를 통과한 코어원판(B2) 상면과 대향하도록 상부 에어노즐(420)이 설치되고, 상부 에어노즐(420)을 통하여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코어원판(B2)을 상부 방향에서 냉각하는 상부 공랭파트(400); 상기 상부 공랭파트(400)를 통과한 코어원판(B2) 상, 하면에 가압되는 한 쌍의 제 1피딩롤러(520)가 설치되고, 제 1피딩롤러(520) 회전력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코어원판(B2)을 피딩하도록 구비되는 제 1인출파트(500); 상기 제 1인출파트(500)를 거친 코어원판(B2) 상면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원형날(622)이 설치되는 커팅롤러(620)가 구비되고, 커팅롤러(620)에 의해 코어원판(B2)이 이동되는 중에 소정의 폭으로 커팅되어 코어(B)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커팅파트(600); 상기 커팅파트(600)를 통과한 코어(B) 상, 하면에 가압되는 한 쌍의 제 2피딩롤러(720)가 설치되고, 제 2피딩롤러(720) 구동력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복수의 코어(B)를 일괄 피딩하도록 구비되는 제 2인출파트(700); 상기 제 2인출파트(700)를 통과하는 코어(B) 측으로 필터지(F)를 공급하는 필터공급부(820)가 설치되고, 필터공급부(820)로부터 공급되는 필터지(F)는 코어(B)를 감싸도록 피복된 상태로 초음파 접착부(840)에 의해 접착고정되어 배수재(10)를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피복파트(800); 상기 피복파트(800)를 통과한 배수재(10) 상, 하면에 가압되는 한 쌍의 제 3피딩롤러(920)가 설치되고, 제 3피딩롤러(920) 구동력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배수재(10)를 피딩하도록 구비되는 제 3인출파트(900); 및 상기 제 3인출파트(900)를 통하여 피딩되는 배수재(10)를 와인더(1010)에 와인딩하여 롤형태로 포장하도록 구비되는 와인딩파트(1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인출파트(500)와 커팅파트(6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인출파트(500)를 거친 코어원판(B2) 상부에서 캠부재(1120)에 의해 상하 왕복 운동하는 펀칭코어(1130)가 설치되고, 펀칭코어(1130)에 의해 코어원판(B2) 상에 타공(B2-3)을 가공하도록 구비되는 천공파트(1100)와, 상기 천공파트(1100)에서 타공(B2-3)이 가공된 코어원판(B2)을 인출하도록 서보모터에 의해 제어되는 한 쌍의 펀칭피딩롤러(1220)가 설치되고, 펀칭피딩롤러(1220)에 의해 코어원판(B2)이 천공파트(1100) 측으로 간헐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펀칭피딩파트(12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출파트(100)의 압출기(110)는, 폴리프로필렌(PP) 원료를 180~240℃에서 용융하여 압출하는 압출기본체(112)와, 압출기본체(112)에서 압출되는 폴리프로필렌(PP) 용융물을 판형 보드(B1) 형태로 연속 압출 성형하는 판형 노즐(1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링파트(200)의 성형롤러(220)는 내부에 복수의 냉각유로(224)가 형성되고, 냉각 유로의 입, 출구는 성형롤러(220) 양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회전축관(225)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관(225)의 어느 일측에 공급관(226)이 연결되어 냉각수가 공급되고, 회전축관(225)의 다른 일측에 배출관(227)이 연결되어 냉각수가 배출되며, 배출관(227)을 통하여 회수된 냉각수는 냉각부(228)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냉각된 상태로 공급관(226)을 통하여 성형롤러(220) 측으로 공급되는 순환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링파트(200)의 성형롤러(220)는 한 쌍으로 상, 하부에 배치되어 상호 역방향으로 연계 구동되고, 상, 하부 성형롤러(220)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의 음각 골(222)이 형성되며, 음각 골(222)에 의해 보드(B1) 상, 하면에 격벽라인(B2-2)을 형성되어 종단면 형상이 '+'형으로 성형되고, 이웃하는 격벽라인(B2-1) 사이 공간에 배수골(B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링파트(200)의 성형롤러(220)는 한 쌍으로 상, 하부에 배치되어 상호 역방향으로 연계 구동되고, 상, 하부 성형롤러(220)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음각 골(222)과 양각 띠(223)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음각 골(222)과 양각 띠(223)의 서로 맞물림 구조에 의해 보드(B1) 종단면이 사각 치형으로 성형되면서 보드(B1) 상, 저면에 'ㄷ'형 격벽라인(B2-1)과 'ㄷ'형 배수골(B2-2)이 교대로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공랭파트(300)와 상부 공랭파트(400)는 사인파형 냉각이송파트(350)에 설치되고, 상기 사인파형 냉각이송파트(350)는, 하부 공랭파트(300)와 상부 공랭파트(400)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받침프레임(352)과, 받침프레임(352) 상, 하부에 교대로 설치되는 상, 하부텐션롤러(353)(354)를 포함하고, 상기 보드(B1)는 상, 하부텐션롤러(353)(354)를 교대로 경유하여 사인파형 이송라인(S)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 공랭파트(300)의 하부 에어노즐(320)은 사인파형 이송라인(S)의 하사점(S1)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향 분사되어 코어원판(B2) 저면을 타고 사인파형 이송라인(S)의 상사점(S2) 방향으로 경사 이동되면서 코어원판(B2) 저면을 냉각하고, 상기 상부 공랭파트(400)의 상부 에어노즐(420)은 사인파형 이송라인(S)의 상사점(S2)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하향 분사되어 코어원판(B2) 상면을 타고 사인파형 이송라인(S)의 하사점(S1) 방향으로 경사 이동되면서 코어원판(B2) 상면을 냉각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인출파트(500)의 제 1피딩롤러(520)에 의한 코어원판(B2) 피동 속도는 상기 롤링파트(200)의 성형롤러(220)와 연계되어 코어원판(B2) 성형 인출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팅파트(600)의 커팅롤러(620) 일측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코어원판(B2) 측면에 접촉되어 커팅 기준점을 결정하는 고정측 세팅롤러(630)와, 고정측 세팅블록(630)과 대향하는 커팅롤러(620) 다른 일측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탄성체(642)에 의해 코어원판(B2) 다른 측면을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유동측 세팅롤러(64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측 세팅롤러(630)를 기준으로 커팅롤러(620)의 원형날(622)에 의한 코어원판(B2) 커팅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팅파트(600)의 커팅롤러(620)는 코어원판(B2)이 공급되는 측에 위치보정롤러(650)가 설치되고, 위치보정롤러(650)는 코어원판(B2)에 형성되는 격벽라인(B2-1)과 맞물리도록 경사날(652)이 형성되며, 격벽라인(B2-1)이 경사날(652)에 안내되어 경사운동되면서 배수골(B2-2)이 경사날(652) 중앙으로 위치 이동되어 코어원판(B2)이 폭방향으로 위치 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복파트(800)는, 필터지(F) 상에 코어(B)가 중첩된 상태로 이송되는 피복테이블(850)과, 피복테이블(850) 양단에 설치되어, 필터지(F) 양단부를 단계적으로 절곡하여 코어(B) 상면을 피복한 상태로 중첩부(F1)를 형성하도록 구비하는 복수의 절곡가이드(860)와, 피복테이블(850) 상부에 설치되어, 필터지(F) 중첩부(F1)를 초음파 접착하는 초음파 접착부(8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복파트(800)는, 필터지(F) 상에 제 2인출파트(700)를 통하여 공급되는 복수의 코어(B) 중 어느 하나가 안착되어 하부코어층(B-1)을 형성하고, 상기 제 2인출파트(700)를 통하여 공급되는 복수의 코어(B) 중 다른 하나는 하부코어층(B-1) 상면에 안착되어 상부코어층(B-2)을 형성하며, 상기 필터지(F) 상에 안착된 상, 하부코어층(B-1)(B-2)은 필터지(F) 양단부의 절곡성형에 의해 피복된 상태로 중첩부(F1)가 초음파 접착되어 배수재(10)를 형성하고, 상기 배수재(10)는 상, 하층코어(B-1)(B-2) 사이에 배수유로(B-3)가 형성되며, 배수유로(B-3) 내부로 타공(B2-3)을 통하여 유체가 유입되어 배수재(10)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복파트(800)를 통하여 제조되는 배수재(10) 저면에 상방향으로 광원을 조사하는 검사램프(880)가 설치되고, 상기 검사램프(880)에서 출력되는 광원은 필터지(F), 코어(B), 중첩부(F1)를 투과하면서 광원 투과율에 의한 광원 투과 밝기를 육안으로 식별하여 코어(B) 배치상태, 중첩부(F1) 영역 길이, 중첩부(F1) 초음파 접착 상태를 검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인딩파트(1000)는, 베이스프레임(1020)과, 베이스프레임(1020)과 직교하도록 직립설치되는 메인암(1030)과, 메인암(1030) 상부에 설치되어 힌지를 축으로 선회각도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선회암(1040)과, 선회암(1040) 양단부에 설치되어 배수재(10)를 권취하는 축심(1050)이 구비되는 한 쌍의 와인더(1010)와, 베이스프레임(1020)에 하단부가 힌지로 결합되어 구동부에 의해 선회운동되도록 구비되는 멀티암(1060)과, 멀티암(1060) 상단부에 설치되고, 한 쌍의 와인더(1010)가 종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된 선회각도에서 하부에 위치되는 와인더(1010)의 축심(1050)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아치형 가이드암(1070)과, 아치형 가이드암(1070) 상에 설치되어 구동부에 의해 돌출되어 와인더(1010)의 축심(1050)에 권취된 배수재(10)를 커팅하는 절단날(1072)과, 한 쌍의 와인더(1010)가 종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된 선회각도에서 상부에 위치되는 와인더(1010)에 권취된 배수재(10) 외주면에 가압하는 가압롤러(1080)와, 가압롤러(1080) 일측에 배치되어 와인더(1010)에 권취된 배수재(10) 단부를 관통하는 고정클립(1092)을 삽입하는 타카모듈(1090)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와인더(1010)가 종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된 선회각도에서 하부에 위치되는 와인더(1010)에 배수재가 설정된 길이로 권취되면, 선회암이 180° 선회운동되어 한 쌍의 와인더(1010)가 상, 하 방향으로 위치 변경되고, 상기 제 3인출파트(900)를 통하여 피딩되는 배수재(10)는 하부에 위치된 빈 와인더의 축심(1050)을 경유하여 상부에 위치된 와인더(1010)에 연결되며, 상기 멀티암(1060)의 선회운동에 의해 아치형 가이드암(1070)이 하부에 위치된 와인더(1010)의 축심(1050)을 경유하는 배수재(10)를 감싸도록 가압한 상태로 절단날(1072)이 축심(1050) 측으로 돌출되어 배수재(10)를 커팅하고, 커팅된 배수재(10) 일측 단부는 상부 와인더(1010)의 축심(1050)에 권취된 상태로 타카모듈(1090)에 의해 고정클립(1092)이 삽입되고, 상기 커팅된 배수재(10) 다른 일측 단부는 아치형 가이드암(1070)에 안내되어 하부에 위치된 와인더(1010)의 축심(1050)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 3인출파트(900)를 통하여 피딩되는 측 배수재(10)와 축심(1050) 사이로 삽입 고정되어 권취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복파트(800)는, 상기 절곡가이드(860) 중 어느 하나는 코어(B)종단면 형상이 아치형을 이루도록 양측에서 가압하여 임시 절곡하고, 코어(B)가 아치형으로 절곡되는 구간에서 필터지(F)가 코어(B) 외주면 사이즈(L)와 같거나 1~3% 작은 사이즈로 감싸도록 원형으로 절곡되어 접합되며, 코어(B)와 필터지(F)가 절곡가이드(860)를 통과하는 순간 코어(B)가 복원력에 의해 일자형으로 펼쳐지면서 필터지(F)를 확장하려는 가압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PP) 원료를 판형 보드로 압출 성형하는 단계에서 부터 필터지를 피복하여 배수재를 완성하기까지 수행되는 각 단계별 일련의 제조공정이 단일 공정으로 연속 수행되고, 기존 수냉방식을 공랭방식으로 전환하여 압출물을 냉각하도록 구조 개선함에 따라 기존 수냉식 제품 대비 인장강도, 측압이 20%이상 향상됨과 더불어 배수성능이 월등이 우수하게 개선되며, 특히 코어원판 사이즈를 광폭으로 확장 성형한 후, 이를 세절하여 한번에 복수의 코어를 제조하므로 수냉식 제조공정 대비 시간당 생산량이 크게 증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에 의한 배수재 제조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의 압출파트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의 롤링파트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의 상, 하부 공랭파트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의 커팅파트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의 피복파트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배수재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의 와인딩파트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의 코어에 의한 필터지 확장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에 의한 배수재 제조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에 관련되며, 이는 폴리프로필렌(PP) 원료를 판형 보드로 압출 성형하는 단계에서 부터 필터지를 피복하여 배수재를 완성하기까지 수행되는 각 단계별 일련의 제조공정이 단일 공정으로 연속 수행되고, 기존 수냉방식을 공랭방식으로 전환하여 압출물을 냉각하도록 구조 개선함에 따라 기존 수냉식 제품 대비 인장강도, 측압이 20%이상 향상됨과 더불어 배수성능이 월등이 우수하게 개선되며, 특히 코어원판 사이즈를 광폭으로 확장 성형한 후, 이를 세절하여 한번에 복수의 코어를 제조하므로 수냉식 제조공정 대비 시간당 생산량이 크게 증가될 수 있도록 압출파트(100), 롤링파트(200), 하부 공랭파트(300), 상부 공랭파트(400), 제 1인출파트(500), 커팅파트(600), 제 2인출파트(700), 피복파트(800), 제 3인출파트(900), 와인딩파트(100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파트(100)는 압출기(110)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PP) 원료를 180~240℃에서 판형 보드(B1)를 연속 압출 성형하도록 구비된다.
도 3에서, 상기 압출파트(100)의 압출기(110)는, 폴리프로필렌(PP) 원료를 180~240℃에서 용융하여 압출하는 압출기본체(112)와, 압출기본체(112)에서 압출되는 폴리프로필렌(PP) 용융물을 판형 보드(B1) 형태로 연속 압출 성형하는 판형 노즐(114)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롤링파트(200)는 상기 판형 보드(B1) 양면을 가압하는 한 쌍의 성형롤러(220)를 이용하여, 판형 보드(B1) 양면에 복수의 배수골(B2-2)이 형성된 코어원판(B2)을 성형하도록 구비된다.
도 4에서, 상기 롤링파트(200)의 성형롤러(220)는 내부에 복수의 냉각유로(224)가 형성되고, 냉각 유로의 입, 출구는 성형롤러(220) 양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회전축관(225)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관(225)의 어느 일측에 공급관(226)이 연결되어 냉각수가 공급되고, 회전축관(225)의 다른 일측에 배출관(227)이 연결되어 냉각수가 배출되며, 배출관(227)을 통하여 회수된 냉각수는 냉각부(228)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냉각된 상태로 공급관(226)을 통하여 성형롤러(220) 측으로 공급되는 순환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4 (a)에서, 상기 롤링파트(200)의 성형롤러(220)는 한 쌍으로 상, 하부에 배치되어 상호 역방향으로 연계 구동되고, 상, 하부 성형롤러(220)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의 음각 골(222)이 형성되며, 음각 골(222)에 의해 보드(B1) 상, 하면에 격벽라인(B2-2)을 형성되어 종단면 형상이 '+'형으로 성형되고, 이웃하는 격벽라인(B2-1) 사이 공간에 배수골(B2-2)이 형성된다.
도 4 (b)에서, 상기 롤링파트(200)의 성형롤러(220)는 한 쌍으로 상, 하부에 배치되어 상호 역방향으로 연계 구동되고, 상, 하부 성형롤러(220)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음각 골(222)과 양각 띠(223)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음각 골(222)과 양각 띠(223)의 서로 맞물림 구조에 의해 보드(B1) 종단면이 사각 치형으로 성형되면서 보드(B1) 상, 저면에 'ㄷ'형 격벽라인(B2-1)과 'ㄷ'형 배수골(B2-2)이 교대로 반복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부 공랭파트(300)는 상기 롤링파트(200)를 통과한 코어원판(B2) 저면에 대향하도록 하부 에어노즐(320)이 설치되고, 하부 에어노즐(320)을 통하여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코어원판(B2)을 하부 방향에서 냉각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공랭파트(300)를 통과한 코어원판(B2) 상면과 대향하도록 상부 에어노즐(420)이 설치되고, 상부 에어노즐(420)을 통하여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코어원판(B2)을 상부 방향에서 냉각하는 상부 공랭파트(400)가 구비된다.
도 5에서, 상기 하부 공랭파트(300)와 상부 공랭파트(400)는 사인파형 냉각이송파트(350)에 설치되고, 상기 사인파형 냉각이송파트(350)는, 하부 공랭파트(300)와 상부 공랭파트(400)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받침프레임(352)과, 받침프레임(352) 상, 하부에 교대로 설치되는 상, 하부텐션롤러(353)(354)를 포함하고, 상기 보드(B1)는 상, 하부텐션롤러(353)(354)를 교대로 경유하여 사인파형 이송라인(S)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공랭파트(300)의 하부 에어노즐(320)은 사인파형 이송라인(S)의 하사점(S1)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향 분사되어 코어원판(B2) 저면을 타고 사인파형 이송라인(S)의 상사점(S2) 방향으로 경사 이동되면서 코어원판(B2) 저면을 냉각하도록 구비된다.
또, 상기 상부 공랭파트(400)의 상부 에어노즐(420)은 사인파형 이송라인(S)의 상사점(S2)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하향 분사되어 코어원판(B2) 상면을 타고 사인파형 이송라인(S)의 하사점(S1) 방향으로 경사 이동되면서 코어원판(B2) 상면을 냉각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인출파트(500)는 상기 상부 공랭파트(400)를 통과한 코어원판(B2) 상, 하면에 가압되는 한 쌍의 제 1피딩롤러(520)가 설치되고, 제 1피딩롤러(520) 회전력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코어원판(B2)을 피딩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 1인출파트(500)의 제 1피딩롤러(520)에 의한 코어원판(B2) 피동 속도는 상기 롤링파트(200)의 성형롤러(220)와 연계되어 코어원판(B2) 성형 인출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제어된다.
도 6에서, 본 발명에 따른 커팅파트(600)는 상기 제 1인출파트(500)를 거친 코어원판(B2) 상면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원형날(622)이 설치되는 커팅롤러(620)가 구비되고, 커팅롤러(620)에 의해 코어원판(B2)이 이동되는 중에 소정의 폭으로 커팅되어 코어(B)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도 7 (a)에서, 상기 커팅파트(600)의 커팅롤러(620) 일측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코어원판(B2) 측면에 접촉되어 커팅 기준점을 결정하는 고정측 세팅롤러(630)와, 고정측 세팅블록(630)과 대향하는 커팅롤러(620) 다른 일측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탄성체(642)에 의해 코어원판(B2) 다른 측면을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유동측 세팅롤러(64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측 세팅롤러(630)를 기준으로 커팅롤러(620)의 원형날(622)에 의한 코어원판(B2) 커팅 위치가 결정되도록 구비된다.
도 7 (b)에서, 상기 커팅파트(600)의 커팅롤러(620)는 코어원판(B2)이 공급되는 측에 위치보정롤러(650)가 설치되고, 위치보정롤러(650)는 코어원판(B2)에 형성되는 격벽라인(B2-1)과 맞물리도록 경사날(652)이 형성되며, 격벽라인(B2-1)이 경사날(652)에 안내되어 경사운동되면서 배수골(B2-2)이 경사날(652) 중앙으로 위치 이동되어 코어원판(B2)이 폭방향으로 위치 보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인출파트(700)는 상기 커팅파트(600)를 통과한 코어(B) 상, 하면에 가압되는 한 쌍의 제 2피딩롤러(720)가 설치되고, 제 2피딩롤러(720) 구동력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복수의 코어(B)를 일괄 피딩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복파트(800)는 상기 제 2인출파트(700)를 통과하는 코어(B) 측으로 필터지(F)를 공급하는 필터공급부(820)가 설치되고, 필터공급부(820)로부터 공급되는 필터지(F)는 코어(B)를 감싸도록 피복된 상태로 초음파 접착부(840)에 의해 접착고정되어 배수재(10)를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도 8에서, 상기 피복파트(800)는, 필터지(F) 상에 코어(B)가 중첩된 상태로 이송되는 피복테이블(850)과, 피복테이블(850) 양단에 설치되어, 필터지(F) 양단부를 단계적으로 절곡하여 코어(B) 상면을 피복한 상태로 중첩부(F1)를 형성하도록 구비하는 복수의 절곡가이드(860)와, 피복테이블(850) 상부에 설치되어, 필터지(F) 중첩부(F1)를 초음파 접착하는 초음파 접착부(840)를 포함한다.
도 9에서, 상기 피복파트(800)는, 필터지(F) 상에 제 2인출파트(700)를 통하여 공급되는 복수의 코어(B) 중 어느 하나가 안착되어 하부코어층(B-1)을 형성하고, 상기 제 2인출파트(700)를 통하여 공급되는 복수의 코어(B) 중 다른 하나는 하부코어층(B-1) 상면에 안착되어 상부코어층(B-2)을 형성하며, 상기 필터지(F) 상에 안착된 상, 하부코어층(B-1)(B-2)은 필터지(F) 양단부의 절곡성형에 의해 피복된 상태로 중첩부(F1)가 초음파 접착되어 배수재(10)를 형성한다.
이에 상기 배수재(10)는 상, 하층코어(B-1)(B-2) 사이에 배수유로(B-3)가 형성되며, 배수유로(B-3) 내부로 타공(B2-3)을 통하여 유체가 유입되어 배수재(10)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도 8 (b)에서, 상기 피복파트(800)를 통하여 제조되는 배수재(10) 저면에 상방향으로 광원을 조사하는 검사램프(880)가 설치된다. 상기 검사램프(880)에서 출력되는 광원은 필터지(F), 코어(B), 중첩부(F1)를 투과하면서 광원 투과율에 의한 광원 투과 밝기를 육안으로 식별하여 코어(B) 배치상태, 중첩부(F1) 영역 길이, 중첩부(F1) 초음파 접착 상태를 검사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3인출파트(900)는 상기 피복파트(800)를 통과한 배수재(10) 상, 하면에 가압되는 한 쌍의 제 3피딩롤러(920)가 설치되고, 제 3피딩롤러(920) 구동력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배수재(10)를 피딩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인딩파트(1000)는 상기 제 3인출파트(900)를 통하여 피딩되는 배수재(10)를 와인더(1010)에 와인딩하여 롤형태로 포장하도록 구비된다.
도 10에서, 상기 와인딩파트(1000)는, 베이스프레임(1020)과, 베이스프레임(1020)과 직교하도록 직립설치되는 메인암(1030)과, 메인암(1030) 상부에 설치되어 힌지를 축으로 선회각도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선회암(1040)과, 선회암(1040) 양단부에 설치되어 배수재(10)를 권취하는 축심(1050)이 구비되는 한 쌍의 와인더(1010)와, 베이스프레임(1020)에 하단부가 힌지로 결합되어 구동부에 의해 선회운동되도록 구비되는 멀티암(1060)과, 멀티암(1060) 상단부에 설치되고, 한 쌍의 와인더(1010)가 종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된 선회각도에서 하부에 위치되는 와인더(1010)의 축심(1050)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아치형 가이드암(1070)과, 아치형 가이드암(1070) 상에 설치되어 구동부에 의해 돌출되어 와인더(1010)의 축심(1050)에 권취된 배수재(10)를 커팅하는 절단날(1072)과, 한 쌍의 와인더(1010)가 종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된 선회각도에서 상부에 위치되는 와인더(1010)에 권취된 배수재(10) 외주면에 가압하는 가압롤러(1080)와, 가압롤러(1080) 일측에 배치되어 와인더(1010)에 권취된 배수재(10) 단부를 관통하는 고정클립(1092)을 삽입하는 타카모듈(1090)을 포함한다.
상기 와인딩파트(1000)의 자동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10a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와인더(1010)가 종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된 선회각도에서 하부에 위치되는 와인더(1010)에 배수재가 설정된 길이로 권취되면, 도 10b처럼 선회암이 180° 선회운동되어 한 쌍의 와인더(1010)가 상, 하 방향으로 위치 변경되고, 상기 제 3인출파트(900)를 통하여 피딩되는 배수재(10)는 하부에 위치된 빈 와인더의 축심(1050)을 경유하여 상부에 위치된 와인더(1010)에 연결된다.
이후, 도 10c와 같이 상기 멀티암(1060)의 선회운동에 의해 아치형 가이드암(1070)이 하부에 위치된 와인더(1010)의 축심(1050)을 경유하는 배수재(10)를 감싸도록 가압한 상태로 절단날(1072)이 축심(1050) 측으로 돌출되어 배수재(10)를 커팅하고, 도 10d처럼 커팅된 배수재(10) 일측 단부는 상부 와인더(1010)의 축심(1050)에 권취된 상태로 타카모듈(1090)에 의해 고정클립(1092)이 삽입되고, 상기 커팅된 배수재(10) 다른 일측 단부는 아치형 가이드암(1070)에 안내되어 하부에 위치된 와인더(1010)의 축심(1050)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 3인출파트(900)를 통하여 피딩되는 측 배수재(10)와 축심(1050) 사이로 삽입 고정되어 권취되도록 구비되면서 배수재(10) 권취 축심(105)이 자동 교체되어 장시간 무인 자동화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 1인출파트(500)와 커팅파트(6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인출파트(500)를 거친 코어원판(B2) 상부에서 캠부재(1120)에 의해 상하 왕복 운동하는 펀칭코어(1130)가 설치되고, 펀칭코어(1130)에 의해 코어원판(B2) 상에 타공(B2-3)을 가공하도록 천공파트(11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천공파트(1100)에서 타공(B2-3)이 가공된 코어원판(B2)을 인출하도록 서보모터에 의해 제어되는 한 쌍의 펀칭피딩롤러(1220)가 설치되고, 펀칭피딩롤러(1220)에 의해 코어원판(B2)이 천공파트(1100) 측으로 간헐 공급하는 펀칭피딩파트(1200)가 구비된다.
도 11에서, 상기 피복파트(800)는, 상기 절곡가이드(860) 중 어느 하나는 코어(B)종단면 형상이 아치형을 이루도록 양측에서 가압하여 임시 절곡하고, 코어(B)가 아치형으로 절곡되는 구간에서 필터지(F)가 코어(B) 외주면 사이즈(L)와 같거나 1~3% 작은 사이즈로 감싸도록 원형으로 절곡되어 접합되며, 코어(B)와 필터지(F)가 절곡가이드(860)를 통과하는 순간 코어(B)가 복원력에 의해 일자형으로 펼쳐지면서 필터지(F)를 확장하려는 가압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코어(B)가 복원력에 의해 필터지(F)가 양측방향으로 확장되면서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로 지지되므로, 배수재를 현장 시공후, 토압에 의한 필터지(F)의 처짐 및 주름발생이 방지되어 배수능력이 고도로 향상된다.
이처럼, 폴리프로필렌(PP) 원료를 판형 보드로 압출 성형하는 단계에서 부터 필터지를 피복하여 배수재를 완성하기까지 수행되는 각 단계별 일련의 제조공정이 단일 공정으로 연속 수행되고, 기존 수냉방식을 공랭방식으로 전환하여 압출물을 냉각하도록 구조 개선함에 따라 기존 수냉식 제품 대비 인장강도, 측압이 20%이상 향상됨과 더불어 배수성능이 월등이 우수하게 개선되며, 특히 코어원판 사이즈를 광폭으로 확장 성형한 후, 이를 세절하여 한번에 복수의 코어를 제조하므로 수냉식 제조공정 대비 시간당 생산량이 크게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물성 시험]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어와 필터지 결합으로 이루어진 완제품 형태의 배수재(공랭식 제조 드레인보드) 물성비교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여기서, 수냉식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배수재(수냉식 제조 드레인보드)는 종래에 수조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어를 이용한 제품이다.
Figure 112020081756823-pat00001
여기서, 상기 [표 1]의 분석을 위해 적용된 품질시방 기준은 한국토지주택공사 전문 시방기준을 인용 하였으며, 비교 분석 결과 동일 중량 제품 사용 시 공랭식 제조 제품은 시방 기준을 모두 만족하였으나, 수냉식 제조 제품의 경우 시방기준 중 가장 주요 항목인 배수성능시험 부분에서 시방기준에 못미치는 결과로 나타났으며, 수냉식 대비 공랭식 제품이 약 1.5배 가량 물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100: 압출파트 200: 롤링파트 300: 하부 공랭파트
400: 상부 공랭파트 500: 제 1인출파트 600: 커팅파트
700: 제 2인출파트 800: 피복파트 900: 제 3인출파트
1000: 와인딩파트 1100: 천공파트 1200: 펀칭피딩파트

Claims (15)

  1. 압출기(110)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PP) 원료를 180~240℃에서 판형 보드(B1)를 연속 압출 성형하는 압출파트(100);
    상기 판형 보드(B1) 양면을 가압하는 한 쌍의 성형롤러(220)를 이용하여, 판형 보드(B1) 양면에 복수의 배수골(B2-2)이 형성된 코어원판(B2)을 성형하는 롤링파트(200);
    상기 롤링파트(200)를 통과한 코어원판(B2) 저면에 대향하도록 하부 에어노즐(320)이 설치되고, 하부 에어노즐(320)을 통하여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코어원판(B2)을 하부 방향에서 냉각하는 하부 공랭파트(300);
    상기 하부 공랭파트(300)를 통과한 코어원판(B2) 상면과 대향하도록 상부 에어노즐(420)이 설치되고, 상부 에어노즐(420)을 통하여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코어원판(B2)을 상부 방향에서 냉각하는 상부 공랭파트(400);
    상기 상부 공랭파트(400)를 통과한 코어원판(B2) 상, 하면에 가압되는 한 쌍의 제 1피딩롤러(520)가 설치되고, 제 1피딩롤러(520) 회전력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코어원판(B2)을 피딩하도록 구비되는 제 1인출파트(500);
    상기 제 1인출파트(500)를 거친 코어원판(B2) 상면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원형날(622)이 설치되는 커팅롤러(620)가 구비되고, 커팅롤러(620)에 의해 코어원판(B2)이 이동되는 중에 소정의 폭으로 커팅되어 코어(B)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커팅파트(600);
    상기 커팅파트(600)를 통과한 코어(B) 상, 하면에 가압되는 한 쌍의 제 2피딩롤러(720)가 설치되고, 제 2피딩롤러(720) 구동력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복수의 코어(B)를 일괄 피딩하도록 구비되는 제 2인출파트(700);
    상기 제 2인출파트(700)를 통과하는 코어(B) 측으로 필터지(F)를 공급하는 필터공급부(820)가 설치되고, 필터공급부(820)로부터 공급되는 필터지(F)는 코어(B)를 감싸도록 피복된 상태로 초음파 접착부(840)에 의해 접착고정되어 배수재(10)를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피복파트(800);
    상기 피복파트(800)를 통과한 배수재(10) 상, 하면에 가압되는 한 쌍의 제 3피딩롤러(920)가 설치되고, 제 3피딩롤러(920) 구동력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배수재(10)를 피딩하도록 구비되는 제 3인출파트(900); 및
    상기 제 3인출파트(900)를 통하여 피딩되는 배수재(10)를 와인더(1010)에 와인딩하여 롤형태로 포장하도록 구비되는 와인딩파트(100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공랭파트(300)와 상부 공랭파트(400)는 사인파형 냉각이송파트(350)에 설치되고, 상기 사인파형 냉각이송파트(350)는, 하부 공랭파트(300)와 상부 공랭파트(400)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받침프레임(352)과, 받침프레임(352) 상, 하부에 교대로 설치되는 상, 하부텐션롤러(353)(354)를 포함하고, 상기 보드(B1)는 상, 하부텐션롤러(353)(354)를 교대로 경유하여 사인파형 이송라인(S)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 공랭파트(300)의 하부 에어노즐(320)은 사인파형 이송라인(S)의 하사점(S1)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향 분사되어 코어원판(B2) 저면을 타고 사인파형 이송라인(S)의 상사점(S2) 방향으로 경사 이동되면서 코어원판(B2) 저면을 냉각하고,
    상기 상부 공랭파트(400)의 상부 에어노즐(420)은 사인파형 이송라인(S)의 상사점(S2)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하향 분사되어 코어원판(B2) 상면을 타고 사인파형 이송라인(S)의 하사점(S1) 방향으로 경사 이동되면서 코어원판(B2) 상면을 냉각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인출파트(500)와 커팅파트(6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인출파트(500)를 거친 코어원판(B2) 상부에서 캠부재(1120)에 의해 상하 왕복 운동하는 펀칭코어(1130)가 설치되고, 펀칭코어(1130)에 의해 코어원판(B2) 상에 타공(B2-3)을 가공하도록 구비되는 천공파트(1100)와, 상기 천공파트(1100)에서 타공(B2-3)이 가공된 코어원판(B2)을 인출하도록 서보모터에 의해 제어되는 한 쌍의 펀칭피딩롤러(1220)가 설치되고, 펀칭피딩롤러(1220)에 의해 코어원판(B2)이 천공파트(1100) 측으로 간헐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펀칭피딩파트(12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파트(100)의 압출기(110)는, 폴리프로필렌(PP) 원료를 180~240℃에서 용융하여 압출하는 압출기본체(112)와, 압출기본체(112)에서 압출되는 폴리프로필렌(PP) 용융물을 판형 보드(B1) 형태로 연속 압출 성형하는 판형 노즐(1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파트(200)의 성형롤러(220)는 내부에 복수의 냉각유로(224)가 형성되고, 냉각 유로의 입, 출구는 성형롤러(220) 양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회전축관(225)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관(225)의 어느 일측에 공급관(226)이 연결되어 냉각수가 공급되고, 회전축관(225)의 다른 일측에 배출관(227)이 연결되어 냉각수가 배출되며, 배출관(227)을 통하여 회수된 냉각수는 냉각부(228)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냉각된 상태로 공급관(226)을 통하여 성형롤러(220) 측으로 공급되는 순환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파트(200)의 성형롤러(220)는 한 쌍으로 상, 하부에 배치되어 상호 역방향으로 연계 구동되고, 상, 하부 성형롤러(220)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의 음각 골(222)이 형성되며, 음각 골(222)에 의해 보드(B1) 상, 하면에 격벽라인(B2-2)을 형성되어 종단면 형상이 '+'형으로 성형되고, 이웃하는 격벽라인(B2-1) 사이 공간에 배수골(B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파트(200)의 성형롤러(220)는 한 쌍으로 상, 하부에 배치되어 상호 역방향으로 연계 구동되고, 상, 하부 성형롤러(220)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음각 골(222)과 양각 띠(223)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음각 골(222)과 양각 띠(223)의 서로 맞물림 구조에 의해 보드(B1) 종단면이 사각 치형으로 성형되면서 보드(B1) 상, 저면에 'ㄷ'형 격벽라인(B2-1)과 'ㄷ'형 배수골(B2-2)이 교대로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인출파트(500)의 제 1피딩롤러(520)에 의한 코어원판(B2) 피동 속도는 상기 롤링파트(200)의 성형롤러(220)와 연계되어 코어원판(B2) 성형 인출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파트(600)의 커팅롤러(620) 일측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코어원판(B2) 측면에 접촉되어 커팅 기준점을 결정하는 고정측 세팅롤러(630)와, 고정측 세팅블록(630)과 대향하는 커팅롤러(620) 다른 일측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탄성체(642)에 의해 코어원판(B2) 다른 측면을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유동측 세팅롤러(64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측 세팅롤러(630)를 기준으로 커팅롤러(620)의 원형날(622)에 의한 코어원판(B2) 커팅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파트(600)의 커팅롤러(620)는 코어원판(B2)이 공급되는 측에 위치보정롤러(650)가 설치되고, 위치보정롤러(650)는 코어원판(B2)에 형성되는 격벽라인(B2-1)과 맞물리도록 경사날(652)이 형성되며, 격벽라인(B2-1)이 경사날(652)에 안내되어 경사운동되면서 배수골(B2-2)이 경사날(652) 중앙으로 위치 이동되어 코어원판(B2)이 폭방향으로 위치 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파트(800)는, 필터지(F) 상에 코어(B)가 중첩된 상태로 이송되는 피복테이블(850)과, 피복테이블(850) 양단에 설치되어, 필터지(F) 양단부를 단계적으로 절곡하여 코어(B) 상면을 피복한 상태로 중첩부(F1)를 형성하도록 구비하는 복수의 절곡가이드(860)와, 피복테이블(850) 상부에 설치되어, 필터지(F) 중첩부(F1)를 초음파 접착하는 초음파 접착부(8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파트(800)는, 필터지(F) 상에 제 2인출파트(700)를 통하여 공급되는 복수의 코어(B) 중 어느 하나가 안착되어 하부코어층(B-1)을 형성하고, 상기 제 2인출파트(700)를 통하여 공급되는 복수의 코어(B) 중 다른 하나는 하부코어층(B-1) 상면에 안착되어 상부코어층(B-2)을 형성하며, 상기 필터지(F) 상에 안착된 상, 하부코어층(B-1)(B-2)은 필터지(F) 양단부의 절곡성형에 의해 피복된 상태로 중첩부(F1)가 초음파 접착되어 배수재(10)를 형성하고, 상기 배수재(10)는 상, 하층코어(B-1)(B-2) 사이에 배수유로(B-3)가 형성되며, 배수유로(B-3) 내부로 타공(B2-3)을 통하여 유체가 유입되어 배수재(10)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파트(800)를 통하여 제조되는 배수재(10) 저면에 상방향으로 광원을 조사하는 검사램프(880)가 설치되고, 상기 검사램프(880)에서 출력되는 광원은 필터지(F), 코어(B), 중첩부(F1)를 투과하면서 광원 투과율에 의한 광원 투과 밝기를 육안으로 식별하여 코어(B) 배치상태, 중첩부(F1) 영역 길이, 중첩부(F1) 초음파 접착 상태를 검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파트(1000)는, 베이스프레임(1020)과, 베이스프레임(1020)과 직교하도록 직립설치되는 메인암(1030)과, 메인암(1030) 상부에 설치되어 힌지를 축으로 선회각도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선회암(1040)과, 선회암(1040) 양단부에 설치되어 배수재(10)를 권취하는 축심(1050)이 구비되는 한 쌍의 와인더(1010)와, 베이스프레임(1020)에 하단부가 힌지로 결합되어 구동부에 의해 선회운동되도록 구비되는 멀티암(1060)과, 멀티암(1060) 상단부에 설치되고, 한 쌍의 와인더(1010)가 종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된 선회각도에서 하부에 위치되는 와인더(1010)의 축심(1050)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아치형 가이드암(1070)과, 아치형 가이드암(1070) 상에 설치되어 구동부에 의해 돌출되어 와인더(1010)의 축심(1050)에 권취된 배수재(10)를 커팅하는 절단날(1072)과, 한 쌍의 와인더(1010)가 종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된 선회각도에서 상부에 위치되는 와인더(1010)에 권취된 배수재(10) 외주면에 가압하는 가압롤러(1080)와, 가압롤러(1080) 일측에 배치되어 와인더(1010)에 권취된 배수재(10) 단부를 관통하는 고정클립(1092)을 삽입하는 타카모듈(1090)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와인더(1010)가 종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된 선회각도에서 하부에 위치되는 와인더(1010)에 배수재가 설정된 길이로 권취되면, 선회암이 180° 선회운동되어 한 쌍의 와인더(1010)가 상, 하 방향으로 위치 변경되고, 상기 제 3인출파트(900)를 통하여 피딩되는 배수재(10)는 하부에 위치된 빈 와인더의 축심(1050)을 경유하여 상부에 위치된 와인더(1010)에 연결되며, 상기 멀티암(1060)의 선회운동에 의해 아치형 가이드암(1070)이 하부에 위치된 와인더(1010)의 축심(1050)을 경유하는 배수재(10)를 감싸도록 가압한 상태로 절단날(1072)이 축심(1050) 측으로 돌출되어 배수재(10)를 커팅하고, 커팅된 배수재(10) 일측 단부는 상부 와인더(1010)의 축심(1050)에 권취된 상태로 타카모듈(1090)에 의해 고정클립(1092)이 삽입되고, 상기 커팅된 배수재(10) 다른 일측 단부는 아치형 가이드암(1070)에 안내되어 하부에 위치된 와인더(1010)의 축심(1050)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 3인출파트(900)를 통하여 피딩되는 측 배수재(10)와 축심(1050) 사이로 삽입 고정되어 권취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파트(800)는, 상기 절곡가이드(860) 중 어느 하나는 코어(B)종단면 형상이 아치형을 이루도록 양측에서 가압하여 임시 절곡하고, 코어(B)가 아치형으로 절곡되는 구간에서 필터지(F)가 코어(B) 외주면 사이즈(L)와 같거나 1~3% 작은 사이즈로 감싸도록 원형으로 절곡되어 접합되며, 코어(B)와 필터지(F)가 절곡가이드(860)를 통과하는 순간 코어(B)가 복원력에 의해 일자형으로 펼쳐지면서 필터지(F)를 확장하려는 가압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KR1020200097295A 2020-08-04 2020-08-04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KR102207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295A KR102207930B1 (ko) 2020-08-04 2020-08-04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295A KR102207930B1 (ko) 2020-08-04 2020-08-04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944A Division KR102216565B1 (ko) 2020-12-30 2020-12-30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930B1 true KR102207930B1 (ko) 2021-01-26

Family

ID=74310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295A KR102207930B1 (ko) 2020-08-04 2020-08-04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93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7172A (ja) * 1998-02-26 1999-09-14 Bando Chem Ind Ltd ドレーン材
KR19990079572A (ko) * 1998-04-07 1999-11-05 이해규 모서리 가공장치
JP2001060605A (ja) * 1999-08-24 2001-03-06 Murata Mfg Co Ltd 実装基板上での電子部品の接合部の検査方法および装置
KR20090011060A (ko) * 2007-07-25 2009-02-02 윤영권 유공관 보호부재가 구비된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천공장치
KR100935817B1 (ko) 2008-02-18 2010-01-08 윤한샘 드레인 보드 제조 장치
KR20150011641A (ko) * 2013-07-23 2015-02-02 주식회사 제이피글로벌 합성수지를 이용한 다중 압출 패널 제조 장치 및 제조방법
KR101848782B1 (ko) * 2017-02-28 2018-04-13 배승환 수평배수재의 겹침 시공 방법, 삽입안내부를 구비한 수평배수재 및 수평배수재와 수직배수재의 연결방법
KR20190054625A (ko) * 2017-11-14 2019-05-22 장현봉 열변형 방지를 위한 블로우 필름 성형기의 필름 냉각장치
KR20190128355A (ko) * 2018-05-08 2019-11-18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7172A (ja) * 1998-02-26 1999-09-14 Bando Chem Ind Ltd ドレーン材
KR19990079572A (ko) * 1998-04-07 1999-11-05 이해규 모서리 가공장치
JP2001060605A (ja) * 1999-08-24 2001-03-06 Murata Mfg Co Ltd 実装基板上での電子部品の接合部の検査方法および装置
KR20090011060A (ko) * 2007-07-25 2009-02-02 윤영권 유공관 보호부재가 구비된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천공장치
KR100935817B1 (ko) 2008-02-18 2010-01-08 윤한샘 드레인 보드 제조 장치
KR20150011641A (ko) * 2013-07-23 2015-02-02 주식회사 제이피글로벌 합성수지를 이용한 다중 압출 패널 제조 장치 및 제조방법
KR101848782B1 (ko) * 2017-02-28 2018-04-13 배승환 수평배수재의 겹침 시공 방법, 삽입안내부를 구비한 수평배수재 및 수평배수재와 수직배수재의 연결방법
KR20190054625A (ko) * 2017-11-14 2019-05-22 장현봉 열변형 방지를 위한 블로우 필름 성형기의 필름 냉각장치
KR20190128355A (ko) * 2018-05-08 2019-11-18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드레인보드 제조용 복합 가이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6700B1 (ko)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방법
JP4219428B2 (ja) 熱絶縁された導管の製造方法
RU245794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перечно ориентированной пленки термопластичного полимер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продукты, получаемые таким способом
US7846283B2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a paint roller with perforated substrate
KR102216565B1 (ko)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US20210206042A1 (en) Continuous Polymeric Liner Production Methods for Conformable Pressure Vessels
CN207406705U (zh) 一种超长无接缝聚氨酯同步带生产设备
KR102207930B1 (ko)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의 공랭식 제조장치
US586259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aint rollers
CN107191539A (zh) 一种超长无接缝聚氨酯同步带及其生产设备和制备方法
CN110713044A (zh) 全自动生胶带拉伸分切缠绕卷带机
CN211418973U (zh) 全自动生胶带拉伸分切缠绕卷带机
KR20120047120A (ko) 장형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보드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454590B1 (ko) 유공관의 천공장치
JP7146033B1 (ja) 連続回転押出式表面補強型クッション、成形装置および方法
US874771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mesh-reinforced thermoplastic membranes
US4274964A (en) Dialysator
CN111361123B (zh) 大口径frpp加筋管的缠绕加工方法
EP1797227B8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bändchen
KR100703634B1 (ko) 형상변형 방지용 보강 홈을 가진 비대칭 나선형 주름 유공 배수관 코로게이트 성형 제조공법
KR100590824B1 (ko)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의 제조방법과 장치
KR101161325B1 (ko) 재활용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사용한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터널방수공법
US3765982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large sheets of thermoplastic material from extruded strips joined together along their edges
CN215397044U (zh) 一种隧道自粘式防水板/防排水板用粘接带生产装备
KR200349619Y1 (ko)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 및 그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