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516A - 맞접합 중공 구조를 갖는 판상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맞접합 중공 구조를 갖는 판상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516A
KR980008516A KR1019960029566A KR19960029566A KR980008516A KR 980008516 A KR980008516 A KR 980008516A KR 1019960029566 A KR1019960029566 A KR 1019960029566A KR 19960029566 A KR19960029566 A KR 19960029566A KR 980008516 A KR980008516 A KR 980008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hollow
reinforcing
flat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9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5714B1 (ko
Inventor
고두현
안덕노
Original Assignee
고두현
안덕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두현, 안덕노 filed Critical 고두현
Priority to KR1019960029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5714B1/ko
Publication of KR980008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7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4/00Producing articles with hollow walls
    • B29D24/001Producing articles with hollow walls formed of hollow ridges or ribs, e.g. separate ridges; continuous corrugated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urface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joining, lin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5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hollow-walled or honeycombs
    • B29C66/725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hollow-walled or honeycombs hollow-walled
    • B29C66/7252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hollow-walled or honeycombs hollow-walled multi-channelled or multi-tub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1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 B29C66/83413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cooperating rollers, cylinder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 등의 건축공 사용부재를 비롯한 각종 산업부재로서 이용되는 합성수지제 판상부재를 구성함에 있어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양 부재의 보강부가 서로 맞접합 융착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게 함으로써 중공부재의 집중압력이나 하중에도 충분히 견딜수 있도록 하여 부재의 변형이나 하중에도 충분히 견딜수 있도록 하여 부재의 변형이나 균열 또는 파손을 막아 더욱 다양한 종류의 산업부재를 보다 저렴하게 얻을 수 있게한 것으로서, 선정된 성형소재를 제1 및 제2압출수다(3)(4)을 통해 일정두께의 평판상으로 제1 및 제2성형수단 (2)(2')으로 각각 압출 이송하여 각 소재의 내측면에 특정형태의 보강부(13) 및 중공부(14)를 형성한 후, 상기 제1 및 제2성형수단(2)(2')을 통과하면서 보강부(13) 및 중공부(14)가 형성된 각 소재를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설치되는 압착로울러(61)로 되는 융착수단(6)으로 이송하여 이 융착수단(6)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양 소재의 보강부(13)(13)가 서로 맞접합 융착되게 함으로써 판상부재 내부에 다수의 중공부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접합 중공구조를 갖는 판상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이다.

Description

맞접합 중공 구조를 갖는 판상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제1도의 (가)(나)는 종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내부중공구조를 갖는 판상부재의 사시도.
제2도의 (가)(나)는 종래의 복층 내부 중공구조를 갖는 판상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측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의 맞접합 중공판상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의 각기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
제5도의 (가)(나)(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맞접합 중공구조를 갖는 판상부재에 있어 맞접합 중공구조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제1성형수단 2' : 제2성형수단
3 : 제1압출수단 4 : 제2압출수단
6 : 융착수단 11 : 제1평판부
12 : 제2평판부 13 : 보강부
14 : 중공부 21 : 드로우잉로울러
21a : 돌기부 23 : 평로울러
61 : 압착로울러
본 발명은 맞접합 중공판상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 등의 건축공 사용부재를 비롯한 각종 산업부재로서 이용되는 합성수지제, 세라믹제 또는 금속제 판상부재를 구성함에 있어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양 부재의 보강부가 서로 맞접합 융착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게 함으로써 중공부재의 강도를 높여 부재에 가해지는 임의 방향으로의 집중압력이나 하중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여 부재의 변형이나 균열 또는 파손을 막아 더욱 다양한 종류의 산업부재를 보다 저렴하게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지금까지 이러한 종류의 판상부재는 제2도에 도시한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내부 중공구조를 갖는 판상부재가 주로 안출 사용되고 있었다.
이는 판상부재의 몸체(01)를 이루는 제1평판부(011)와 제2평판부(012) 사이에 일정 압력 및 하중에 견딜 수 있는 복층(또는 단층)의 보강(013)를 일정간격을 두고 격자형으로 일체로 성형하여 된 것으로 상기 각 보강부(013) 사이에 몸체(01)에 전달되는 압력이나 진동 또는 소음 등을 흡수 차단하기 위한 다수의 중공부(014)를 형성하고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종래의 내부 중공구조를 갖는 판상부재는 몸체(01)를 이루는 제1평판부(011)와 제2평판부(012) 사이에 복층 또는 단층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부(013) 및 중공부(014)가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인바, 이는 제2도에서 잘 알 수 있듯이 먼저 외부로부터 소재를 공급받는 제1압출수단(03)의 압출작용에 의해 압출되어진 소재가 성형수단(02)의 양 드로우잉 로울러(021)(022)사이로 인입되고, 이후 소재는 양 드로우잉 로울러(021)(022) 사이를 통과하면서 양 드로우잉 로울러(021)(022) 외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부(021a)(022a)에 의해 다수의 보강부(013)와 중공부(014)를 연속적으로 반복 성형하여 하나의 골조 형태로 안내 이송로울러(09)를 타고 융착수단(06)으로 보내져 제2, 제3압출수단(04)(05)에 의해 그 상하면에 제1평판부(011)와 제2평판부(012)가 융착되게 하여 보강부(013)의 상하면에 하나의 몸체(01)를 이루도록 순간적으로 압착되면서 융착 결합됨으로써 비로소 내부 중공구조를 갖는 판상부재가 제작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종래의 내부 중공구조를 갖는 판상부재는 반드시 제1압출수단(03)으로 소재를 압출하여 먼저 보강부(013) 및 중공부(014)를 골조형태로 형성한 뒤 이 골조형태의 보강부(013) 및 중공부(014) 양면에 제2, 제3압출수단(04)(05)으로서 다시 별도의 소재를 압출하여 융착수단(06)에 의해 제1평판부(011)와 제2평판부(012)를 일체로 융착시켜야만 하는 것인바, 이는 소재특성상 제1압출수단(03)에 의해 압출되어 일정시간이 지나 보강부(013) 및 중공부(014) 양면에 제2, 제3압출수단(04)(05)으로부터의 제1 및 제2평판부(011)(012)가 시차를 두고 융착되게 되므로 소재의 물성(物性)변화에 따른 특성차이로 인해 그 융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없어 보강부(013)와 제1 및 제2평판부(011)(012)의 일체화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질 않기 때문에 판상부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 이외에도, 골조형태의 보강부(013) 및 중공부(014) 형성을 위한 제1압출수단과는 별도로 그 양면에 평판부(011)(012)를 형성하기 위한 제2, 제3압출수단(04)(05)이 반드시 필요하게 되는등 내부 중공구조를 갖는 판상부재의 제조를 위한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여 제품이 제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동시에 그만큼 원가상승의 요인으로도 작용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바와 같은 종래 내부 중공구조를 갖는 판상부재의 제조방법이 지닌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골조형태의 보강부와 평판부를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이렇게 일체로 형성된 평판부의 보강부를 서로 맞접합 융착시켜 중공부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중공판상부재를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그만큼 중공 판상부재의 제조를 위한 장치의 구성 및 제조공정을 단순화 하여 제조원가를 현격히 낮추어 양질의 중공판상부재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는 맞접합 중공판상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맞접합 중공 구조를 갖는 판상부재의 제조방법은, 선정된 성형 소재를 제1 및 제2압출수단을 통해 일정두께의 평판상으로 평로울러와 드로우잉 로울러로 되는 제1 및 제2성형수단으로 각각 압출 이송하여, 각 소재의 내측면에 특정형태의 보강부 및 중공부를 형성한 후 상기 제1 및 제2성형수단에 의해 보강부 및 중공부가 형성된 소재를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 설치되는 한쌍의 압착로울러로 되는 융착 수단으로 이송하여 이 융착수단을 통과하면서 양 소재의 보강부가 서로 맞접합 융착되게 함으로써 판상부재 내부에 다수의 맞접합 중공부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맞접합 중공 판상부재의 제조장치는, 소재를 공급받아 일정두께의 평판상으로 압출시키는 제1 및 제2압출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압출수단에 의해 압출되어진 평판상의 소재를 다양한 형태의 보강부와 평판부로 연속성형하는 제1 및 제2성형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성형수단에 의해 형성된 제1 및 제2평판부의 각 보강부 끼리를 서로 맞접합 융착시켜 제1 및 제2평판부가 서로 한몸체를 이루도록 하는 융착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맞접합 중공구조를 갖는 판상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 및 4도는 본 발명의 맞접합 중공 판상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의 각기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판상부재(A)를 이루는 몸체(1)는 합성수지, 세라믹 또는 금속을 주재(主材)로 하는 것으로, 일정두께로 되는 평판상의 제1 및 제2평판부(11)(12)와 이 제1 및 제2평판부(11)(12)상에 일체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맞접합되는 보강부(13)와, 상기 다양한 형태의 보강부(13)에 의해 일정 모양 및 일정 크기로 구획형성되어 몸체(1)에 가해지는 압력, 진동 및 소음을 흡수, 차단하도록 한 다수개의 중공부(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부(13)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평판부(11)(12)의 두께는 임의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보강부(13)의 크기(높이)또한 판상부재(A)의 조건에 따라 역시 변형실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중공부(14)는 그 면적형상, 다시말해 평면형상이 원형이나 타원형 등의 곡형,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 등의 사각형, 정삼각형이나 직삼각형 등의 삼각형 또는 다각형 및 겹다각형 형태 또는 전기한 각 형태를 제외하는 부분을 중공부(14)로 하는등 다양하게 변형실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맞접합 중공 구조를 갖는 판상부재의 제조장치는, 제3도에 도시하고 있는바와 같이 소재를 공급받아 일정두께의 제1 및 제2평판부(11)(12)와 일정높이의 보강부(13)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하기 위해 일정면적, 일정두께의 평판상으로 압출시키는 제1 및 제2압출수단(3)(4)과, 상기제1 및 제2압출수단(3)(4)에 의해 압출되어진 평판상의 소재를 보강부(13)로서 성형하는 제1 및 제2성형수단(2)(2')과, 상기 제1 및 제2성형수단(2)(2')에 의해 형성된 보강부(13)(13)을 서로 맞접합 융착시켜 제1평판부(11)와 제2평판부(12)가 서로 보강부(13)를 개재하여 한몸체를 이루도록 하기위한 융착수단(6)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 및 제2성형수단(2)(2')은, 제1 및 제2압출수단(3)(4)으로부터 인출되는 일정두께의 소재를 받쳐줌과 동시에 특정형태의 보강부(13)가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평판부(11)(12)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평로울러(23)와, 상기 평로울러(23)의 대응위치에 평로울러(23)와의 그 설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평로울러(23)의 회전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 및 제2압출수단(3)(4)으로부터 인출되는 소재에 다양한 형태의 보강부(13) 및 중공부(14)를 연속적으로 반복형성 시키도록 둘레에 일정간격을 두고 돌기부(21a)를 형성한 드로우잉 로울러(21)로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융착수단(6)은 소재진행 방향으로 회전되며, 제1 및 제2압출수단(3)(4)으로 부터 압출되는 각 소재의 두께의 합에 해당하는 간격을 두고 대항설치되는 두개의 압착로울러(61)로서 구성된다.
상기 성형수단(2) 및 융착수단(6)을 이루는 로울러(21)(23)(61)는 모두 그 대향 설치간격을 임의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판상부재(A)의 전체두께를 적절히 조절해가며 성형제작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 제1 및 제2압출수단(3)(4)에 의해 압출되어 보강부(13)를 서로 맞접합하여 중공부(14)를 단층으로 형성하는 대신에 제4도에 도시하고 있는바와 같이 제3압출수단(5)에 의해 제1평판부재(11)와 제2평판부재(12)의 각 보강부(13)사이로, 별도의 접합편(51)을 압출하여 양 보강부(13)로 하여금 접합편(51)을 개재하여 일체로 융착되게 함으로써 보강부(13)의 강도를 높이는 동시에 단층의 중공부(14)를 복층의 중공부(14')(14')로서 분리 구획형성하여 외부로부터 판상부재(A)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하중으로 부터 보다 잘 견딜 수도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7은 성형수단(2) 및 융착수단(6)을 거치면서 형성된 몸체(1)를 자연스럽게 안내 이송하기 위한 다수의 안내 이송로울러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의한 맞접합 중공을 갖는 판상부재의 제조장치에 의한 제조방법 및 그 작용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3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동시에 작동되는 제1 및 제2압출수단(3)(4)에 의해 일정두께로 압출되어진 소재가 성형수단(2)의 양로울러(21)(23)사이로 인입되면 소재는 서로 대향설치된 드로우잉 로울러(21)와 평로울러(23)사이를 통과하게 되고 이때 일측의 드로우잉 로울러(21) 외주에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돌기부(21a)에 의해 소재는 일정두께를 제1 및 제2평판부(11)(12)로서 남겨둔채 그 일측에 보강부(13)와 중공부(14)를 연속적으로 반복 성형한 상태로 다음단계인 융착수단(6)의 압착로울러(61) 사이의 간극으로 각각 인입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보강부(13) 및 중공부(14)를 형성한 상태로 보강부(13)를 서로 마주한채 각각 압착로울러(61)에 도달되면, 양 압착로울러(61)에 의해 양 보강부(13)는 순간적으로 서로 맞접합 융착 결합되면서 제1평판부(11)와 제2평판부(12)는 보강부(13)를 개재하여 하나의 몸체(1)를 이루면서 그 내부에는 다수의 밀폐형 중공부(14) 자연스럽게 형성되면서 연속적인 맞접합 중공구조를 갖는 판상부재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맞접합 중공구조를 갖는 판상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하면, 판상부재를 이루는 몸체인 제1평판부와 제2평판부가 그 일측면에 각각 보강부를 일체로 형성한 상태로 압출되어 다시 보강부끼리 맞접합 융착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하나의 몸체되어 내부에 다수의 중공부가 형성된 판상부재로서 제조되는 것인바 판상부재의 자체강도를 보다 향상시켜 몸체에 압력이나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몸체가 휘어져 변형되거나 균열이 발생되지 않아 판상부재의 수명연장을 기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그만큼 제조장치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게되므로 제작원가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선정된성형소재를 제1 및 제2압출수단(3)(4)을 통해 일정두께의 평판상으로 제1 및 제2성형수단(2)(2')으로 각각 압출 이송하여 각 소재의 내측면에 특정형태의 보강부(13) 및 중공부(14)를 형성한 후, 상기 제1 및 제2성형수단(2)(2')을 통과하면서 보강부(13) 및 중공부(14)가 형성된 각 소재를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 설치되는 압착로울러(61)로 되는 융착수단(6)으로 이송하여 이 융착수단(6)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양 소재의 보강부(13)(13)가 서로 맞접합 융착되게 함으로써 판상부재 내부에 다수의 중공부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접합 중공구조를 갖는 판상부재의 제조방법.
  2. 소재를 공급받아 일정두께의 평판상으로 압출시키는 제1 및 제2압출수단(3)(4)과 상기 제1 및 제2압출수단(3)(4)에 의해 압출되어진 평판상의 소재를 다양한 형태의 보강부(13)와 제1 및 제2평판부(11)(12)로 일체로 연속 성형되게 하는 제1 및 제2성형수단(2)(2')과, 상기 제1 및 제2성형수단(2)(2')에 의해 형성된 제1 및 제2평판부(11)(12)의 각 보강부(13)(13)끼리를 서로 맞접합 융착시켜 제1 및 제2평판부(11)(12)가 서로 한몸체를 이루도록 하는 융착수단(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접합 중공구조를 갖는 판상부재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성형수단(2)(2')은 제1 및 제2압출수단(3)(4)으로부터 이송되어진 일정두께의 소재를 받쳐주는 평로울러(23)와, 상기 평로울러(23)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평로울러(23)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압출수단(3)(4)으로부터 이송되어지는 소재 일측면에 다수의 보강부(13) 및 중공부(14)를 연속형성시키도록 둘레에 특정형태의 돌기부(21a)를 형성한 드로우잉 로울러(2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접합 중공구조를 갖는 판상부재의 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수단(6)은 상기 제1 및 제2압출수단(3)(4)으로부터 압출되는 각 소재의 두께의 합에 해당되는 간격을 유지한채 대향 설치되는 압착로울러(61)(6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접합 중공구조를 갖는 판상부재의 제조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29566A 1996-07-22 1996-07-22 맞접합 중공 구조를 갖는 판상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0175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566A KR0175714B1 (ko) 1996-07-22 1996-07-22 맞접합 중공 구조를 갖는 판상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566A KR0175714B1 (ko) 1996-07-22 1996-07-22 맞접합 중공 구조를 갖는 판상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516A true KR980008516A (ko) 1998-04-30
KR0175714B1 KR0175714B1 (ko) 1999-05-15

Family

ID=19466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9566A KR0175714B1 (ko) 1996-07-22 1996-07-22 맞접합 중공 구조를 갖는 판상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57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290B1 (ko) * 2005-03-17 2007-03-19 (주)두원씨앤씨 중공의 단열합판, 중공의 단열합판의 제조를 위한 금형과성형장치 및 중공의 단열합판의 제조방법
KR20190128348A (ko) * 2018-05-08 2019-11-18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
KR20210092904A (ko) * 2020-01-17 2021-07-27 조현숙 합성수지 판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328B1 (ko) * 2022-09-28 2023-04-20 (주)탱크마스타 멀티튜브판넬의 종방향 연속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290B1 (ko) * 2005-03-17 2007-03-19 (주)두원씨앤씨 중공의 단열합판, 중공의 단열합판의 제조를 위한 금형과성형장치 및 중공의 단열합판의 제조방법
KR20190128348A (ko) * 2018-05-08 2019-11-18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날개부를 갖는 수평배수재의 제조장치
KR20210092904A (ko) * 2020-01-17 2021-07-27 조현숙 합성수지 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5714B1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1566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огнутых деталей из термопластичного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US7807005B2 (en) Fabrication process for thermoplastic composite parts
FI93332C (fi) Dynaaminen mekaaninen liitosmenetelmä ja -laite
CZ299997A3 (cs) Způsob výroby vlnité trubky a vlnitá trubka vyrobená tímto způsobem
KR900002018A (ko) 파형관,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WO2008094227A1 (en) Thermoplastic composite parts having integrated metal fitting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980008516A (ko) 맞접합 중공 구조를 갖는 판상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JP2024003233A (ja) 中空構造体
US4715915A (en) Longitudinal seam and method of forming
JPH0221092A (ja) 多層管の製法および積層管
US200701637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ase member bearing projections, and base member bearing projections
US20040005431A1 (en) Rotary sonotrode allowing continuous welding over a large width
US6669884B1 (en) Method for producing an adhesive closing element
CN1224767C (zh) 结构元件和制造该元件的方法
KR101508332B1 (ko) 연결부가 구비된 섬유강화패널
JP4449287B2 (ja) タイヤ補強材料、タイヤ補強材料の製造方法及びタイヤ補強材料製造用のダイインサート
JP3552119B2 (ja) 合成樹脂製中空パネルおよび合成樹脂製中空パネル押出し成形用金型
KR0176730B1 (ko) 내부 중공구조를 갖는 판상 부재 및 그 제조장치
JP2935856B2 (ja) 複合パネル製造装置
JP7341026B2 (ja) 複合管、及び複合管の製造方法
JP3115012B2 (ja) 発泡樹脂から成る厚肉管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744418B1 (ko) 멀티 리브드 동력전달 벨트
KR20010106051A (ko) 구조용 나선관의 보강장치
IT202100003896U1 (it) Tappeto di convogliamento a maglie articolate provvisto di sfere di rotolamento
US20050112310A1 (en) Multi-layer laminated channel with interconnected metal and plastic layers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