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4668A -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4668A
KR20190124668A KR1020190130945A KR20190130945A KR20190124668A KR 20190124668 A KR20190124668 A KR 20190124668A KR 1020190130945 A KR1020190130945 A KR 1020190130945A KR 20190130945 A KR20190130945 A KR 20190130945A KR 20190124668 A KR20190124668 A KR 20190124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ovarian cancer
cells
paclitaxel
bgj398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호
민달희
원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모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모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모넥스
Publication of KR20190124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668A/ko
Priority to KR1020200093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55Amidines (), e.g. guanidine (H2N—C(=NH)—NH2), isourea (N=C(OH)—NH2), isothiourea (—N=C(SH)—NH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75Nitriles; Isonitriles
    • A61K31/277Nitriles; Isonitriles having a ring, e.g. verapam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our-membered rings, e.g. tax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condensed with a carbocyclic ring, e.g. coumaran, bufuralol, befunolol, clobenfurol, amioda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5Quinolines; Isoquinolines having an indole ring, e.g. yohimbine, reserpine, strychnine, vinblas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Non-condensed pipe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rifampin, thiothix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8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e.g. danazol, stanozolol, pancuronium or digitogenin
    • A61K31/58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e.g. danazol, stanozolol, pancuronium or digitogenin containing lactone rings, e.g. oxandrolone, buf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243Platin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4Copper;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eventing of metastatic ovarian cancer, endometrial cancer, or breast cancer}
본 발명은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난소암은 모든 부인과 암 중에서 가장 높은 사망률을 나타내는 암에 해당하며, 최근 생활양식이 서구화되고 노령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그 빈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난소암의 경우 초기에는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약 70% 이상의 환자가 3기 이상인 진행성 난소암으로 최초 발견되며 약 75% 이상의 환자에서 최초 치료 후 2년 내 재발 및 전이가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난소암의 치료 방법은 암의 종류 및 단계에 따라 결정되며, 수술 요법, 화합요법 등이 있지만, 재발에 의한 전이 암의 치료에는 크게 효과가 없다. 이는, 암 전이가 신생혈관의 생성 유도 및 세포의 이동을 수반하는 것이어서 암 자체와는 그 현상이 상이하며, 암의 전이를 막기 위해서는 신생혈관의 생성 유도 및 세포의 이동까지 억제하여야 하므로 항전이의 효과와 항암 효과는 서로 상이하기 때문이다.
난소암은 특별한 증상을 나타내지 않고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조기 발견이 어렵고 난소암으로 확인되는 경우는 대부분 암이 많이 진행되어 복강 내외로 전이가 일어난 경우가 많다. 또한 난소는 골반 내를 자유롭게 이동하기 때문에 암세포가 주위 조직으로 침윤하거나 다른 암종에 비해서 전이 속도가 빠른 특징이 있고, 이런 영향으로 전체 난소암 환자 중 약 70-75% 이상의 환자가 난소암 3기 이상의 진행성 난소암으로 진단받고 있다. 특히 말기 난소암세포는 복수(ascetic fluid)내에서 암세포의 구형 덩어리인 구형체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와 같은 난소암 세포의 특이적 성질에 따라, 다른 암에서 효과를 나타내는 항암제를 처리하더라도 암세포 사멸이 효과적으로 유도되지 않으며, 다양한 항암제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항암제 저항성 등의 문제는 자궁내막암, 유방암 등에서도 나타난다.
따라서 난소암의 특이적 전이 형태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항암 효과를 나타내어 전이성 난소암 세포를 효과적으로 사멸할 수 있는 새로운 항암제 개발, 그리고 자궁내막암, 유방암 등에 대해서도 우수한 약효를 나타낼 수 있는 항암제 개발, 항암제 저항성을 획득한 암세포의 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항암제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732876호
본 발명은 복수 내에서 부유하며 구형으로 존재하는 전이성 난소암, 그리고 자궁내막암과 유방암을 효과적으로 사멸할 수 있는 새로운 항암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암세포의 항암제 저항성을 차단할 수 있는 항암 보조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이성 난소암, 그리고 자궁내막암과 유방암에 대한 우수한 건강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이성 난소암, 그리고 자궁내막암과 유방암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특정 화합물의 전이성 난소암, 그리고 자궁내막암과 유방암에 치료용 의약의 제조에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1
.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은 그 암세포의 적어도 일부가 스페로이드 형태인, 약학적 조성물.
3. 위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암세포의 스페로이드(spheroid) 형태를 분해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위 1에 있어서, 상기 전이성 난소암은 난소암 3기 또는 4기인, 약학적 조성물.
5. 위 1에 있어서, 상기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은 화학항암제 저항성암인, 약학적 조성물.
6. 위 1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화학항암제와 병용 투여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7. 위 6에 있어서, 상기 화학항암제는 유사분열 저해제 또는 알킬화제또는 시스플라틴인, 약학적 조성물.
8. 위 6에 있어서, 상기 화학항암제는 파클리탁셀인, 약학적 조성물.
9. 위 1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유사분열 저해제 또는 알킬화제인 화학항암제를 더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10. 위 1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파클리탁셀을 더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1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에 대한 항암 보조제:
[화학식 1]
Figure pat00002
.
12. 위 11에 있어서, 상기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은 화학항암제 저항성암인, 항암 보조제.
13. 위 11에 있어서, 상기 항암 보조제는 화학항암제와 병용 투여하는, 항암 보조제.
14. 위 13에 있어서, 상기 화학항암제는 유사분열 저해제 또는 알킬화제인, 항암 보조제.
15. 위 13에 있어서, 상기 화학항암제는 파클리탁셀인, 항암 보조제.
16.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화학식 1]
Figure pat00003
.
17. 위 16에 있어서, 상기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은 그 암세포의 적어도 일부가 스페로이드 형태인, 건강기능식품.
18. 위 16에 있어서, 상기 전이성 난소암은 난소암 3기 또는 4기인, 건강기능식품.
19. 위 16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암세포의 스페로이드(spheroid) 형태를 분해하는, 건강기능식품.
20.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개채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치료 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04
.
21. 위 20에 있어서, 상기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은 그 암세포의 적어도 일부가 스페로이드 형태인, 방법.
22. 위 20에 있어서, 상기 전이성 난소암은 난소암 3기 또는 4기인, 방법.
23. 위 20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투여하여 암세포의 스페로이드(spheroid) 형태를 분해하는, 방법.
24. 위 20에 있어서, 상기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은 화학항암제 저항성암인, 방법.
25. 위 20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화학항암제와 병용 투여하는, 방법.
26. 위 25에 있어서, 상기 병용 투여 전에 상기 개체의 암의 화학항암제 저항성을 확인하고, 저항성 획득이 확인된 개체에 상기 화학항암제를 병용 투여하는 것인, 방법.
27. 위 25에 있어서, 상기 화학항암제는 유사분열 저해제 또는 알킬화제인, 방법.
28. 위 25에 있어서, 상기 화학항암제는 파클리탁셀인, 방법.
29.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의 제조에서의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
[화학식 1]
Figure pat00005
.
30. 위 29에 있어서, 상기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은 그 암세포의 적어도 일부가 스페로이드 형태인, 용도.
31. 위 29에 있어서, 상기 전이성 난소암은 난소암 3기 또는 4기인, 용도.
32. 위 29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암세포의 스페로이드(spheroid) 형태를 분해하는, 용도.
33. 위 29에 있어서, 상기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은 화학항암제 저항성암인, 용도.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스페로이드로 존재하는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사멸할 수 있으므로,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유방암에 대한 새로운 의약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2차원 단층 배양 (2D MC) 및 3차원 구형 배양(3D SC) 후 배양된 SKOV3ip1 난소암 세포의 형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2차원 단층 배양 (MC) 및 3차원 구형 배양(SC) 후 배양된 SKOV3ip1 난소암 세포에서의 세포 생존 관련 신호전달 분자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2차원 단층 배양 (2D MC) (A) 및 3차원 구형 배양(3D SC) (B) 후 배양된 SKOV3ip1 난소암 세포에 파클리탁셀(PTX), BGJ398, TAE684 및 이마티닙을 농도를 달리하며 처리하고, 이에 따른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2차원 단층 배양 (2D MC) 및 3차원 구형 배양(3D SC) 후 배양된 SKOV3ip1 난소암 세포에 파클리탁셀(PTX), BGJ398, TAE684 및 이마티닙을 농도를 달리하며 처리하고, 이에 따른 세포의 생존율을 크리스털 바이올렛 염색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2차원 단층 배양 (2D MC) 및 3차원 구형 배양(3D SC) 후 배양된 SKOV3ip1 난소암 세포에 BGJ398, TAE684 및 이마티닙을 처리하고, 이에 따른 세포의 형태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2 차원 단층 배양 (MC) 및 3차원 구형 배양(SC) 후 배양된 SKOV3ip1 난소암 세포에 BGJ398을 처리한 후, 세포 생존 신호 분자인 AKT 및 STAT3 의 인산화 변화 여부를 확인한 결과 (A) 및 구형 배양된 SKOV3ip1를 5 μM BGJ398 (BGJ), 3 μM TAE648 (TAE), 및 5 μM 이마티닙 (IMT)으로 처리하고 AKT 및 STAT3 의 인산화 변화를 확인한 결과 (B), (C)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2 차원 단층 배양 (2D MC) 및 3차원 구형 배양(3D SC) 후 배양된 SKOV3ip1 난소암 세포에 AG490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세포 사멸 효과를 확인한 결과 (A) 및 3차원 구형 배양(3D SC) 후 배양된 SKOV3ip1 난소암 세포에 BGJ398 (BGJ) 및 AG490 (AG) 를 처리한 후 AKT 및 STAT3 인산화 정도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B) 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3차원 구형 배양(3D SC) 후 배양된 SKOV3ip1 난소암 세포에 파크리탁셀 단독 (PTX), 파클리탁셀과 BGJ398을 병용 처리하고 이에 따른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HEC1B 자궁내막암 세포주를 3차원 구형 배양(3D SC) 후 세포에 BGJ398을 처리하고, 이에 따른 세포의 형태를 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HEC1B 자궁내막암 세포주에 파클리탁셀 항암제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BGJ398을 병용 처리에 따른 세포의 사멸효과를 확인한 결과 크리스탈바이올렛 염색과 그래프로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HEC1B 자궁내막암 세포주에 파클리탁셀 항암제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BGJ398을 병용 처리에 따른 세포의 형태 변화를 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Hs578T 유방암 세포주를 3차원 구형 배양(3D SC) 후 세포에 BGJ398을 처리하고, 이에 따른 세포의 형태를 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Hs578T 유방암 세포주에 파클리탁셀 항암제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BGJ398을 병용 처리에 따른 세포의 사멸효과를 확인한 결과 크리스탈바이올렛 염색과 그래프로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Hs578T 유방암 세포주에 파클리탁셀 항암제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BGJ398을 병용 처리에 따른 세포의 형태 변화를 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5는 SKOV3와 SKOV3-TR의 파클리탁셀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항암제 파클리탁셀 저항성 난소암 세포주 SKOV3-TR에서 다양한 인산화효소 억제제 BGJ398, TAE648, AG490에 의한 항암제 저항성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SKOV3-TR 난소암 세포에 파클리탁셀(PTX)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BGJ398, TAE684 및 AG490을 병용 처리하여 이에 따른 세포의 생존율을 크리스탈바이올렛 염색으로 시각화한 것이다.
도 17은 파클리탁셀 저항성 난소암 세포주 SKOV3-TR 세포에 파클리탁셀 단독, BGJ398 단독 또는 파클리탁셀과의 병용 투여시 파클리탁셀에 대한 BGJ398의 농도의존적인 세포의 생존율 억제효과를 크리스탈바이올렛 염색으로 시각화하고 그래프로 수치화하여 비교한 것이다.
도 18은 파클리탁셀 저항성 난소암 세포주 SKOV3-TR 세포의 2D 평면배양과 3D 구형배양에서 파클리탁셀 단독 또는 파클리탁셀과 BGJ398의 병용 투여시 BGJ398에 대한 파클리탁셀의 농도의존적인 세포의 생존율 억제효과를 크리스탈바이올렛 염색으로 시각화하여 비교한 것이다.
도 19은 파클리탁셀 저항성 난소암 세포주 SKOV3-TR 세포에 파클리탁셀 단독 또는 파클리탁셀과 BGJ398의 병용 투여시 BGJ398에 대한 파클리탁셀의 농도의존적인 세포의 생존율 억제효과를 크리스탈바이올렛 염색으로 시각화하고 그래프로 수치화하여 비교한 것이다.
도 20는 파클리탁셀 저항성 난소암 세포주 SKOV3-TR 세포에 파클리탁셀 단독, BGJ398 단독 또는 파클리탁셀과의 병용 투여시 세포 독성에 의한 형태 변화를 현미경 분석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SKOV3ip1 난소암 세포주에 점진적인 파클리탁셀 농도 증가 처리를 통하여 제작한 파클리탁셀 저항성 세포주 SKOV3ip1-TR를 이용하여 다양한 농도의 파클리탁셀 단독 또는 BGJ398의 병용 투여시 세포 독성에 의한 형태 변화를 현미경 분석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2은 파클리탁셀 저항성 난소암 세포주 SKOV3-TR 세포에 파클리탁셀 단독, BGJ398 단독 또는 파클리탁셀과의 병용 투여시 세포 독성에 의한 세포사멸 효과를 FACS를 이용한 DNA content 변화 측정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3는 도 21에서 실시한 FACS 분석을 Sub-G1, G1, S/M, G2 세포주기로 그래프화 하여 세포사멸 정도(Sub-G1)를 비교한 것이다.
도 24은 SKOV3-TR 난소암 세포에 파클리탁셀 단독, BGJ398 단독 또는 파클리탁셀과의 병용 투여시 시간에 따른 세포사멸 효과를 cleaved PARP와 Actin의 면역염색법으로 확인한 것이다.
도 25는 SKOV3-TR 난소암 세포에 파클리탁셀 단독, BGJ398 단독 또는 파클리탁셀과의 병용 투여시 BGJ398의 농도의존적인 세포사멸 효과를 cleaved PARP와 Actin의 면역염색법으로 확인한 것이다.
도 26는 SKOV3-TR 난소암 세포에 파클리탁셀 단독 또는 BGJ398의 파클리탁셀과의 병용 투여시의 AKT의 인산화 저해, PARP cleavage의 유도를 PathScan Intracellular Signaling Array Kit (Cell Signaling Technology)로 확인한 것이다.
도 27은 SKOV3-TR 난소암 세포에 파클리탁셀 단독 또는 BGJ398의 파클리탁셀과의 병용 투여시 세포내에서 AKT 활성 변화에 따른 세포사멸 조절 하류 조절인자로 알려져있는 BAD의 인산화, XIAP의 발현량, CASP9의 발현량, p42/44의 인산화를 면역염색법으로 확인한 것이다.
도 28은 SKOV3-TR 난소암 세포에 파클리탁셀 단독 또는 AKT 선택적 저해제인 워트마닌(CAS 19545-26-7)을 병용 투여시 AKT 저해에 따른 파클리탁셀이 세포사멸 효과를 크리스탈바이올렛 염색법으로 확인한 것이다.
도 29 내지 31은 SKOV3ip1과 SKOV3-TR에 시스플라틴 단독, BGJ398 단독 또는 시스플라틴과의 병용 투여시에 따른 변화를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 분석법으로 분석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6
화학식 1의 화합물은 BGJ398 (CAS Number: 872511-34-7) 은 FGFR 억제제로, FGFR 1 내지 4를 모두 표적으로 할 수 있다. 이의 화학식은 C26H31Cl2N7O3 이며, 3-(2,6-dichloro-3,5-dimethoxyphenyl)-1-[6-[4-(4-ethylpiperazin-1 yl)anilino]pyrimidin-4-yl]-1-methylurea 의 명칭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있어서, 염의 종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유효성 및 특성을 보유하는 다양한 염을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 염은 무기산 및 유기산, 예를 들어 아세테이트, 아스파르테이트, 벤조에이트, 베실레이트, 바이카보네이트, 카보네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페이트, 캄포르 설포네이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 클로라이드, 클로르 테오필린로네이트, 시트레이트, 에탄디설폰네이트, 푸마레이트 옥살레이트, 팔미테이트, 파모에이트, 인산염, 인산 수소, 인산이수소, 프로피오네이트, 스테아레이트, 숙시네이트, 살리실레이트, 타르트레이트, 토실레이트 및 트리플루오로 아세테이트 염 등을 포함한다. 염이 유도될 수 있는 무기산은 예를 들어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BGJ398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바람직한 일 예로는 인산 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이성 난소암”(metastatic ovarian cancer)은 난소 표면 상피에서 유래되어 부착되어 있는 원발성 난소암과 달리 암세포가 복강으로 전이된 난소암을 의미한다. 말기 전이성 난소암 세포는 복수 내에서 구형체(스페로이드; spheroid)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난소암의 병기를 전이 정도와 관련하여 정의하자면, 난소암에서 복강 내로 암이 전이된 상태를 "난소암 3기"로 정의하며, 복강 내 위치하고 있는 간, 대장, 소장, 방광, 복강, 복막 내 림프절 등으로 전이된 상태를 말한다. “난소암 4기”는 암세포가 복강 바깥으로 퍼져 폐, 뼈, 목, 뇌 주위의 림프절 등의 다른 장기로 전이된 상태를 말하며, 이는 원격 전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자궁내막암”(endometrial cancer)은 자궁 내 공간을 덮고 있는 자궁내막에 발생하는 암을 의미하는 것으로, 자궁내막암의 병기를 전이 정도와 관련하여 정의하자면, “자궁내막암 3기”는 암이 자궁의 주변 조직으로 퍼졌으나 골반 밖으로 전이되지 않고 방광이나 직장을 침범하지 않은 상태로 정의되며, 암이 장막, 난소, 난관, 질, 골반 벽, 대동맥 주위 임파선 등으로 전이가 된 상태를 말하고, “자궁내막암 4기”는 암이 방광이나 직장을 침범했거나 골반 밖으로 전이된 상태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유방암”(breast cancer)은 유방에 발생한 암을 의미하는 것으로, 유방암의 병기를 전이 정도와 관련하여 정의하자면, “유방암 3기”는 암이 겨드랑이 밑의 림프절로 전이한데다가 림프절이 서로 똘똘 뭉쳐 있거나 주변 조직에 고정된 상태, 또는 쇄골의 위나 아래의 림프절로 전이된 상태로 정의되며, “유방암 4기”는 뼈, 폐, 간, 뇌 등의 장기로 원격 전이된 상태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암세포의 스페로이드(spheroid) 형태를 분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암세포의 스페로이드 형태란, 암 세포가 형성한 구형 덩어리인 구형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세포들이 삼차원적인 3D 집합체를 이루고 있는 구조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스페로이드는 스피어, 구형체, 구형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타원체, 구체 등도 제한없이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암세포를 전이성암과 같은 상태를 유도하기 위한 3D 배양 시, 암세포가 스페로이드 형태를 형성하며 부유형태를 띄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와 같은 스페로이드 응집 형태를 유지하는 암세포가 다른 항암제 처리와 달리 화학식 1의 화합물 처리에 의하여 정상적인 응집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스페로이드 형태가 분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암세포의 적어도 일부가 스페로이드 형태를 이루는 암에 대해 약효를 나타내는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복수 내에 스페로이드 형태로 부유하는 미세환경을 갖는 전이성 난소암 세포를 반영할 수 있는 3D 배양된 난소암 세포에서 스페로이드 형태 유지를 저해하고, 세포 생존성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함으로써, 일반적인 부착형 원발성 난소암보다 전이성 난소암에 특이적인 항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약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3기 또는 4기의 난소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AKT 및 STAT3의 인산화를 억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FGFR (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의 인산화가 증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성 난소암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3D 구형 배양을 통해 구현한 전이성 난소암세포에서는 세포 증식이 아닌 세포 생존성 신호가 증가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세포 생존 신호분자인 AKT 및 STAT3 의 인산화가 매우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인산화 증가는 일반적인 2D 단일 배양을 통해 확인된 부착 배양 난소암 세포에서는 확인되지 않아, 전이성 난소암의 세포 생존에 AKT 및 STAT3 신호기전이 이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증가된 AKT 및 STAT3 인산화 및 FGFR 인산화는 화학식 1의 화합물 처리에 의해 감소되며, 이를 통해 전이성 암세포의 세포 사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AKT 및 STAT3의 인산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전이성 난소암은 FGFR (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 의 인산화가 증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은 화학항암제에 대한 저항성 암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저항성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처리에 의하여 감소될 수 있다.
화학항암제는 당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나이트로젠 머스타드, 이마티닙, 옥살리플라틴, 리툭시맙, 엘로티닙, 트라스투주맙, 제피티닙, 보르테조밉, 수니티닙, 카보플라틴, 소라페닙, 베바시주맙, 세툭시맙, 비스쿰알붐, 아스파라기나제, 트레티노인, 하이드록시카바마이드, 다사티닙, 에스트라머스틴, 겜투주맵오조가마이신, 이브리투모맙튜세탄, 헵타플라틴, 메칠아미노레불린산, 암사크린, 알렘투주맙, 프로카르바진, 알프로스타딜, 질산홀뮴 키토산, 젬시타빈, 독시플루리딘, 페메트렉세드, 테가푸르, 카페시타빈, 기메라신, 오테라실, 아자시티딘, 시타라빈, 플루다가빈, 에노시타빈, 데시타빈, 머캅토푸린, 티오구아닌, 클라드리빈, 카르모퍼, 랄티트렉세드, 도세탁셀, 파클리탁셀, 벨로테칸, 토포테칸, 비노렐빈, 에토포사이드,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콜히친, 그리세오풀빈, 테니포시드, 이다루비신, 에피루비신, 미톡산트론, 미토마이신, 블레로마이신, 다우노루비신, 닥티노마이신, 피라루비신, 아클라루비신, 페프로마이신, 테모졸로마이드, 부설판, 이포스파미드,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멜파란, 알트레트민, 다카바진, 치오테파, 니무스틴, 클로람부실, 미토락톨, 탁소테레, 글리벡, 탁솔, 허셉틴, 타르세바, 아바스틴, 졸라덱스, 아드리아마이신, 이리노데칸(irinotecan), 10058-F4, 시스플라틴(cisplatin), 사이클로포스파미드 (cyclophosphamide), 니트로소 요소-기반 항암제,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독소루비신(doxorubicin)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학항암제는 유사분열 저해제 또는 알킬화제일 수 있다. 유사분열 저해제는 예를 들면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비노렐빈, 콜히친, 그리세오풀빈일 수 있고, 알킬화제는 예를 들면 시스플라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클리탁셀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저항성" 은 화학항암제를 처리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기대되는 수준의 암세포 사멸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암세포의 적어도 일부가 스페로이드(spheroid) 형태인 경우, 그렇지 않은 부착성 암세포와 비교하여 화학항암제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나타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암세포의 스페로이드 형태를 분해할 수 있어, 이와 같은 화학항암제 저항성 암에 대해서도 우수한 약효를 나타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화학항암제와 병용투여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화학항암제 내성암에 대해서도 우수한 약효를 나타내는 바, 화학항암제와 병용사용되어 그 약효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병용되는 화학항암제로는 전술한 화학항암제 중 적어도 1종을 예시할 수 있다.
병용시에 투여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화학항암제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며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식염수,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배지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에 대한 항암 보조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항암 보조제”는 화학항암제와 병용 사용되어 항암제의 약효를 보조/개선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암세포의 항암제 저항성/내성을 차단할 수 있어, 화학항암제와 병용사용되어 항암 약효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병용되는 화학항암제로는 전술한 화학항암제 중 적어도 1종을 예시할 수 있으며, 병용시에 투여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화학항암제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질병의 예방 또는 개선, 생체방어, 면역, 병후의 회복, 노화 억제 등 생체조절기능을 가지는 식품을 말하는 것으로, 장기적으로 복용하였을 때 인체에 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이 적용될 수 있는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은 전술한 바와 같을 수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그 자체로서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고, 식품에 첨가될 수도 있다.
식품에 첨가될 경우, 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1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개채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체는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인 것이 바람직하며, 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로 암 치료 중인 환자, 암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환자, 암 치료를 받을 필요가 있는 환자를 모두 포함하며, 암 치료를 위하여 암을 적출하는 외과적 수술을 시행한 환자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은 전술한 바와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화학항암제와 병용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이 적용되는 암은 화학항암제 저항성 암일 수 있는 바, 화학항암제의 병용 투여를 결정하기 전에 개체의 암이 화학항암제 저항성 암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화학항암제 저항성 암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화학항암제와 병용투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병용될 수 있는 화학항암제로는 전술한 화학항암제 중 적어도 1종을 예시할 수 있으며, 병용시에 투여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화학항암제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효 성분 외의 성분들과 함께 조성물로서 투여될 수 있으며, 이는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될 수 있다.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의 제조에서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용도에서의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은 전술한 바와 같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에 대한 우수한 약효를 나타내어, 이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은 전술한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통계적 분석은 3회의 독립실험을 통해 수행하였다. 각 군간의 차이를 student's t-test 를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p ≤≤ 0.05 을 유의적인 것으로 간주하였다. 모든 그래프들은 평균 및 표준 편차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1. 2D 단층 배양 모델 및 3D 구형 배양 모델에서 SKOV3ip1 난소암 세포의 비교
1.1 2D 단층 배양 (2D mono-layer culture) 및 3D 구형 배양 (3D Sphere culture) 방법
난소암 세포주로는 SKOV3 난소암 세포주를 모세포로 하는 SKOV3ip1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SKOV3 세포주는 사람 난소의 복수로부터 분리된 전이성 난소암의 특징을 가지며 동물모델로 사용되는 누드마우스의 복강 내에서 1차 증식된 후 분리된 세포주로 복강 전이 능력이 매우 높은 세포주이다. SKOV3ip1 세포주는 Sood AK 교수 (University of Texas MD Anderson Cancer Center, USA) 로부터 제공받았으며, 이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2D 단층 배양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세포들은 10% 우태아혈청(Gibco, NY, USA) 및 10 U/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Gibco) 이 보충된 RPMI 1640 (Corning, NY, USA) 배지를 이용하여 37℃, 5% CO2 가습화된 분위기에서 배양하였다.
3D 구형 배양 (sphere culture) 을 위하여, SKOV3ip1 cells (1 ⅹ 106)는 초저부착 6-well plate (Corning NY, USA)에 분주하고, 10% 우태아혈청(Gibco, NY, USA) 및 10 U/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Gibco) 이 보충된 RPMI 1640 배지를 이용하여,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1.2 배양 방법에 따른 형태학적 분석
SKOV3ip1 난소암 세포를 2D 단층 배양 (2D MC)과 3D 구형 배양(3D SC)으로 나누어 배양하고 배양 방식에 따라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관찰하기 위해 현미경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D 단층 배양에서는 응집체가 형성되지 않았으나, 3D 구형 배양 72시간 후에는 SKOV3ip1 난소암 세포가 느슨한 시트 모양의 응집체를 형성하며 조밀한 스페로이드 형태로 축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2D 단층 배양과 3D 구형 배양은 다른 형태의 세포를 유도할 수 있으며, 3D 구형 배양을 수행하는 경우, 부착된 상태가 아닌 복강 안의 복수에 부유하는 형태로 존재하는 전이된 상태의 난소암의 형태를 반영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1.3 배양방법에 따른 세포생존 신호 변화 분석
2D 단층 배양 (2D MC)과 3D 구형 배양(3D SC) 에 따라서 세포 생존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경로의 변화가 나타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면역염색법을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SKOV3ip1 세포 (1 ⅹ 106 ) 를 각각 1.1의 2D 단층 배양 또는 3D 구형 배양 방법에 따라 배양한 후, AKT, STAT3, p42/44 ERK 및 p38 MAPK 를 포함하는 세포성 신호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고, 단층 및 구형 배양 세포에서 활성화 상태를 비교하였다. 단층 배양 또는 구형 배양된 SKOV3ip1 세포를 수확하고 ice-cold 1X phosphate buffered saline 으로 1회 세척하였으며, 100 μl ice-cold RIPA 완충액 (20 mM Tris-Cl, pH 8.0, 125 mM NaCl, 100 mM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1 mM 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1% Triton X-100, 0.5% sodium deoxycholate, 0.1% sodium dodecyl sulfate, 1X cOmplete protease inhibitor cocktail (Roche, Mannheim, Germany))을 이용하여 얼음상에서 용해시켰다. 단백질 농도를 브래드포드 단백질 분석 키트 (Biorad, CA,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동일량의 단백질(30 μg) 을 SDS-PAGE로 분리하고 니트로셀룰로오스막으로 이동시킨 후 홀스라디쉬 과산화 접합 이차 항체 및 특이적 항체를 이용한 면역염색법을 수행하였다. 면역활성화 밴드는 Fusion Solo chemiluminescence analyzer (Vilber Rourmat Marne la Vallee, France) 를 이용한 SuperSignal West Pico Chemiluminescent Substrate (Thermo, IL, USA) 를 통해 검출하였다. STAT3 (H-190), Tyr 705 에서 인산화된 STAT3 (B-7) 및 Actin (C-2) 에 대한 항체는 Santa Cruz Biotechnology 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AKT, Ser 473 에서 인산화된 AKT (D9E), Tyr 653/654에서 인산화된 FGFR1, p42/44 MAPK, 인산화된 p42/44 MAPK, p38 MAPK, 및 Tyr 180/182에서 인산화된 p38 MAPK 에 대한 래빗 단일클론 항체들은 Cell Signaling Technology (MA, US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HRP 와 접합된 고트 항-마우스 및 래빗 이차 항체들은 Jackson Laboratories 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BGJ398 (against FGFR1/2/3) 은 Selleckchem (USA) 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AKT, STAT3, p42/44 ERK 및 p38 MAPK 를 포함하는 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세포성 신호분자의 발현을 확인하고, 단층 및 구형 배양 세포에서 활성화 상태를 비교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역 염색법을 수행한 결과, p42 / 44 ERK, AKT 및 STAT3의 인산화는 2D 단층 배양된 SKOV3ip1 세포에서보다 구형 배양된 SKOV3ip1 세포에서 활성화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산화된 FGFR1 은 구형 배양된 SKOV3ip1 세포에서 상향 조절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구형 배양 조건이 SKOV3ip1 세포에서 생존성 신호전달 경로 (pro-survival signaling pathway)를 상향 조절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난소암 세포주의 전이미세환경을 구현한 구형 증식환경이 SKOV3ip1 세포주의 세포 생존(cell survival)이 유지되는데 AKT와 STAT3의 신호기전을 이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3D 구형 배양된 SKOV3ip1 세포에서 생존성 신호전달 결로가 상향 조절되었다는 것은 증식 상태가 아닌 생존성 상태로 존재하는 전이된 상태의 난소암 상태를 반영하는 것으로 앞서 확인한 실시예 1.2 의 형태학적 특성과도 일치되는 결과이다.
실시예 2. BGJ398에 의한 구형 배양 SKOV3ip1 세포의 생존율 감소
SKOV3ip1 세포에 선택적인 pan-FGFR 억제제 BGJ398가 처리가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의 배양 환경에서 배양된 SKOV3ip1 세포에 BGJ398를 처리하고 이에 따른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또한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 TAE684(NVP-TAE684, CAS 761439-42-3)와 글리벡으로도 알려진 이마티닙(imatinib), 그리고 표준 항-난소암 화학치료제인 파클리탁셀을 이용하여 SKOV3ip1 세포에서 항종양 활성을 비교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TAE684 (against ALK), 및 이마티닙(imatinib) (against Abl) 은 Selleckchem (USA) 으로부터, AG490 (against JAK, CAS 133550-30-8) 은 Tocris (Bristol, UK) 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단층 배양 및 구형 배양된 세포 모델에서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법을 수행하였다. 단층 배양된 모델에서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을 수행하기 위하여 SKOV3ip1 cells (5 ⅹ 104) 을 상용의 24-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약물을 각각의 웰에 실험에 필요한 농도만큼 주입하고 72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300 마이크로리터 0.2% 크리스탈 바이올렛 용액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부드럽게 교반하면서 20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염색된 세포들을 깨끗한 배경이 확인될때까지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비색계수기 분석을 위하여,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약을 1% SDS/PBS으로 추출하였고, 흡광도를 570nm 파장에서 EMax PLUS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 USA)로 측정하였다.
구형 배양된 세포에서 세포 생존율을 분석하기 위하여, SKOV3ip1 cells (5 ⅹ 104) 를 초 저부착 24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하룻밤동안 배양하였다. 각 웰의 세포들을 수확하고 상용의 24 웰 플레이트로 이동시켜 12사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부착된 가시화된 세포들을 0.2% 크리스탈 바이올렛 용액으로 부드럽게 교분하면서 20분 동안 염색하였다. 염색된 세포들을 증류수로 세척하고, 비색계수기로 분색하기 위하여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약을 1% SDS/PBS으로 추출하였고, 흡광도를 570nm 파장에서 EMax PLUS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 USA)로 측정하였다.
단층 또는 구형 배양된 SKOV3ip1 세포를 다양한 농도의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클리탁셀로 72시간 동안 처리하였고, 세포 생존율은 크리스탈 바이올렛 비색지시계를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층 배양된 SKOV3ip1 세포 생존율은 파클리탁셀과 TAE648 에 의하여 용량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단층 배양된 SKOV3ip1 의 세포 생존율은 BGJ398 및 이마티닙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특히 구형 배양된 SKOV3ip1 의 세포는 뚜렷하게 단층 배양된 SKOV3ip1 세포보다 파클리탁셀에 더욱 저항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TAE648 저항성은 구형 배양 SKOV3ip1 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이마티닙도 구형 배양 SKOV3ip1 세포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BGJ398는 단층 배양 및 구형 배양 여부에 따라 SKOV3ip1 세포의 생존율에 다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BGJ398는 구형 배양된 SKOV3ip1 세포 특이적으로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세포 사멸 효과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용량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을 감소시켰다.
또한 파클리탁셀 또는 각종 억제제들 처리 72시간 후의 세포 생존율을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을 통해 시각화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으며,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된 세포를 관찰한 도 4의 결과 역시 비색분석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BGJ398 를 단층 배양된 SKOV3ip1 세포에 처리하는 경우 5uM 까지 농도를 높여도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3차원 구형 배양된 SKOV3ip1 세포에서는 3일 차에서 1uM 처리만으로도 세포 독성이 나타났으며,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독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즉, BGJ398 는 부착성 암을 반영하는 2D 단층 배양 난소암세포에서는 항암 활성을 나타내지 않으나, 3D 구형 배양된 난소암 세포, 즉, 전이성 난소암 세포에 특이적으로 높은 항암 활성을 나타낸다.
또한 단층 배양 (2D MC) 또는 3D 구형 배양(3D SC) 과 5 μM BGJ398 (BGJ), 3 μM TAE648 (TAE), 및 5 μM imatinib (IMT) 처리에 따른 SKOV3ip1 세포의 응집 형태를 확인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BGJ398 처리된 구형 배양 SKOV3ip1세포는 정상적인 응집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였다. 반면 TAE684 및 이마티닙 처리된 구형 배양 SKOV3ip1세포에서는 이와 같은 스페로이드의 분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BGJ398이 스페로이드를 형성하는 전이성 난소암 SKOV3ip1 세포에 대한 잠재적 화학항암 치료제가 될 수 있음을 나타내며, 난소암의 전이 미세환경을 반영하는 구형 배양에서 특이적으로 세포 독성을 유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3. BGJ398 의 AKT 및 STAT3 인산화 억제 효과 확인
실시예 2를 통해 BJG398이 전이 미세환경인 구형 배양에서 특이적으로 우수한 항암 활성을 타나냄을 확인하였으므로, BJG398이 어떠한 세포신호기전을 이용하여 스피어 배양환경에서 특이적으로 세포독성을 유도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생존과 증식에 관련된 다양한 인자의 발현 및 활성을 웨스턴 블랏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형 배양 SKOV3ip1 세포에서는 세포 생존 신호 분자인 AKT 및 STAT3가 활성화되어 있음을 앞서 실시예 1을 통해 확인하였으므로, BGJ398 가 구형 배양된 SKOV3ip1 세포에서 AKT 및 STAT3 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단층 (MC) 또는 구형 배양 (SC) 된 SKOV3ip1 세포에 BGJ398 를 5uM 처리하고 이에 따른 인산화 정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구형 배양된 SKOV3ip1를 5 μM BGJ398 (BGJ), 3 μM TAE648 (TAE), 및 5 μM 이마티닙 (IMT)으로 처리하고 72시간 후 세포 용해물을 얻고 이에 대하여 면역염색법을 수행하였으며, AKT 및 STAT3 의 활성화 세포성 발현을 이에 대한 항체로 분석하였다. 또한 FGFR1의 인산화 수준을 BGJ 처리군의 양성 대조군으로 나타내었으며 액틴은 로딩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면역염색 분석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역염색분석 결과는 BGJ398 가 구형 배양된 SKOV3ip1 세포에서 인산화된 AKT를 Ser 473 잔기에서 억제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A). 반면 TAE684 및 이마티닙은 이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B). 이러한 결과는 BGJ398 가 단층 배양이 아닌 구형 배양된 SKOV3ip1 세포에서 활성화된 AKT 및 STAT3 신호전달 경로를 특이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BGJ398을 구형 배양된 SKOV3ip1에 처리할 경우 구형 배양에서 활성화된 AKT와 STAT3의 인산화가 다시 억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난소암 전이환경에서 활성화된 AKT, STAT3의 인산화가 BGJ398에 의한 FGFR 신호기전의 저해를 통하여 다시 억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2차원 단층 배양된 SKOV3ip1의 경우는 증가되는 AKT와 STAT3의 인산화도 관찰되지 않았으며 BGJ398에 의한 인산화 감소 및 세포독성도 나타내지 않았다.
구형 배양된 SKOV3ip1 세포의 세포 생존이 BGJ398 처리에 의해 억제되므로, 이와 같은 세포생존율 억제가 JAK / STAT3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매개되는 것인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택적인 JAK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 AG490을 단층 또는 구형 배양 된 SKOV3ip1 세포에 농도를 3.125 내지 50uM까지 변화시키며 처리하고 72시간 후, 세포 생존율 및 AKT 및 STAT3 상태의 활성화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를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 및 면역 염색분석법을 통해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액틴은 로딩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AG490의 처리는 구형 배양 된 SKOV3ip1 세포의 세포 성장을 억제하지 않았다 (A). 또한, AKT 및 STAT3의 인산화 역시 구형 배양 된 SKOV3ip1 세포에서 AG490의 처리에 의해 억제되지 않았다 (B). 이러한 결과는 BGJ398이 JAK / STAT3 신호 전달 경로와 무관하게 주요 생존 신호 분자 AKT 및 STAT3 활성화의 억제를 통해 구형 배양 된 SKOV3ip1의 세포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임을 나타낸다.
실시예 4. 암 세포주별 BGJ398의 약효 확인
하기 표 1의 암세포주에 대하여 추가로 파클리탁셀 및 BGJ398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앞서 실시예와 동일하게 각 세포주를 2D 단층 배양과 3D 구형 배양으로 나누어 배양하여 BGJ398 투여에 따른 변화를 형태학적 분석,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세포주는 ATCC로부터 구입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표 3에 나타내었다.
세포주 기원
HEC1B Endometrial
Hs578T Breast
자궁내막암 세포주 HEC1B에 대한 결과는 도 9, 10, 11에, 난소암 세포주 Hs578T에 대한 결과는 도 12, 13, 14에 나타내었다.
도 9 내지 12를 참조하면, 구형 배양된 자궁내막암 세포주 및 유방암 세포주에서 SKOV(난소암) 세포주와 마찬가지로 BGJ398의 투여시 세포사멸이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 암 세포주별 파클리탁셀 및 BGJ398의 시너지 효과 확인
5.1 SKOV3ip1
BGJ398이 3차원 구형 배양 난소암 세포에 효과적인 항암제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므로, 기존 난소암의 1차적 항암치료제로 사용되는 파클리탁셀과 함께 투여하는 경우, 파클리탁셀에 대한 구형 배양된 세포의 저항성을 극복하고 저항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즉 BGJ398 및 파클리탁셀의 조합이 구형 배양된 SKOV3ip1 세포의 사멸에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연속 희석된 파클리탁셀과 투여량을 0, 1.25 및 5μM로 달리한 BGJ398 의 조합을 구형 배양된 SKOV3ip1 에 처리하고 72시간 후 크리스탈 바이올렛 비색 분석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클리탁셀과 BGJ398 가 병용 처리된 구형 배양된 SKOV3ip1 세포는 파클리탁셀 단독으로 처리된 세포와 비교하여 높은 세포 사멸이 확인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3차원 배양 SKOV3ip1에 농도별로 파클리탁셀만 처리한 그룹과 BGJ398을 1.25와 5 uM로 처리한 2개의 그룹을 비교하였을 때 BGJ398을 처리한 그룹이 처리하지 않은 그룹에 비해 파클리탁셀에 대한 민감성을 농도의존적으로 높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파클리탁셀과 BGJ398을 병용 투여하는 경우, 구형 배양된 SKOV3ip1 난소암 세포를 효과적으로 사멸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난소암의 전이미세환경인 3차원 구형 배양에서 BGJ398을 이용한 섬유아세포증식 인자의 활성억제가 전이 난소암의 증식억제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즉, BGJ398 은 전이성 난소암 상태를 반영할 수 있는 구형 배양된 난소암 세포에서 효과적인 항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5.2 그 외 세포주
하기 표 2의 암세포주에 대하여 추가로 파클리탁셀 및 BGJ398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앞서 실시예와 동일하게 각 세포주를 2D 단층 배양과 3D 구형 배양으로 나누어 배양하여 BGJ398 단독 또는 파클리탁셀과의 병용 투여시에 따른 변화를 형태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자궁내막암 세포주 HEC1B과 유방암 세포주 Hs578T 세포주의 3D 구형 배양에서 모두 세포 스피어가 허물어지고 단일세포화가 유도되는 세포독성이 관찰되었다. 도 10과 1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자궁내막암 세포주 HEC1B과 유방암 세포주 Hs578T 세포주의 2D 단층 배양에서 파클리탁셀과의 병용 투여시에 따른 파클리탁셀의 항암효과가 BGJ398에 의해 증진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세포주 기원
HEC1B Endometrial
Hs578T Breast
HEC1B에 대한 결과는 도 9, 10, 11에, Hs578T에 대한 결과는 도 12, 13, 14에 나타내었다.
도 9 내지 13을 참조하면, 구형 배양된 자궁내막암 세포주, 유방암 세포주 에서 SKOV(난소암) 세포주와 마찬가지로 BGJ398의 단독 투여시 세포사멸이 확인되고, 도 10, 11과 도 13, 14에서 알 수 있듯이 파클리탁셀과 병용투여시 세포사멸이 더욱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pan-FGFR 억제제인 BGJ398이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악, 유방암에 대하여 매우 효과적인 치료제가 될 수 있으며, 난소암 세포의 스페로이드 유지에 FGFR 이 특이적인 생존 촉진 역할을 하는 것을 타깃으로 하여 전이성 난소암의 스페로이드 분해를 촉진하고 이를 통해 전이성 남소암을 사멸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SKOV3/SKOV3-TR에 대한 파클리탁셀 및 BGJ398의 시너지 효과 확인
6.1 SKOV3/SKOV3-TR의 파클리탁셀 저항성 비교
SKOV3-TR(Taxol Resistant)은 SKOV3 난소암 세포주를 모세포로 하며 파클리탁셀의 점진적인 농도증가 처리로 장기간 배양하여 만들어진 파클리탁셀 저항성 난소암 세포주이다. SKOV3-TR 세포주는 MD-Anderson Cancer Center (USA)의 Sook AK 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SKOV3과 SKOV3-TR의 파클리탁셀에 대한 저항성을 전술한 방법으로의 크리스탈 바이올렛 비색 분석으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하였다. 실험은 3회 수행되었고, 결과는 차이는 student's t-test로 계산되었다.
도 15을 참조하면, SKOV3-TR 세포주의 파클리탁셀에 대한 저항성이 SKOV3 세포주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6.2 파클리탁셀 저항성 세포주 SKOV3-TR에서 BGJ398의 파클리탁셀 항암 증진 효과
앞서 실시예와 동일하게 각 세포주를 2D 단층 배양과 3D 구형 배양으로 나누어 배양하여 파클리탁셀 단독, BGJ398 단독 또는 파클리탁셀과의 병용 투여에 따른 변화를 형태학적 분석,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도 16은 SKOV3-TR 난소암 세포에 파클리탁셀(PTX) 단독 또는 BGJ398, TAE684 및 AG490을 병용하여 처리하고, 이에 따른 세포의 생존율을 시각화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파클리탁셀 단독 처리시에 비해 BGJ398의 병용 처리시에 현저히 개선된 항암 활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7은 파클리탁셀 저항성 세포주 SKOV3-TR의 2D 단층 배양과 3D 구형 배양으로 나누어 배양하여 난소암 세포에 파클리탁셀 단독, BGJ398 단독 또는 파클리탁셀과의 병용 투여시에 따른 세포의 생존율을 나타낸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두 배양법에서 모두 BGJ398의 파클리탁셀과의 병용 처리시의 더욱 개선된 항암 활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8은 SKOV3-TR 난소암 세포에 파클리탁셀 처리에 따른 BGJ398의 농도 의존적인 항암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파클리탁셀 단독, BGJ398 단독 또는 파클리탁셀과의 병용 투여시에 따른 세포의 생존율을 나타낸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파클리탁셀 단독 처리시에는 항암 활성이 미미하지만, BGJ398을 병용처리하면 저항성이 차단되어 BGJ398의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9는 SKOV3-TR 난소암 세포에 BGJ398 처리에 따른 파클리탁셀의 농도 의존적인 항암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파클리탁셀 단독, BGJ398 단독 또는 파클리탁셀과의 병용 투여시에 따른 세포의 생존율을 나타낸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파클리탁셀 단독 처리시에는 항암 활성이 미미하지만, BGJ398을 병용처리하면 저항성이 차단되어 파클리탁셀의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0은 SKOV3-TR 난소암 세포에 파클리탁셀 단독, BGJ398 단독 또는 파클리탁셀과의 병용 투여시에 따른 세포 형태학적 변화를 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SKOV3-TR세포에서 2.5 μM의 BGJ398의 처리와 50 nM의 파클리탁셀의 처리는 세포 독성이 미미하고 형태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두약물의 병용처리시 세포 독성에 따라 detachment 현상과 부정형 세포화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1은 SKOV3ip1 세포주로부터 점진적인 파클리탁셀 농도상승 처리에따라 본 연구실에서 제작한 파클리탁셀 저항성 난소암 세포주이다. SKOV3ip1-TR 난소암 세포에서의 파클리탁셀 단독, BGJ398 단독 또는 파클리탁셀과의 병용 투여시에 따른 세포의 형태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BGJ398을 병용처리하면 파클리탁셀 저항성이 차단되어 항암 활성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2는 SKOV3-TR 난소암 세포에 파클리탁셀 단독, BGJ398 단독 또는 파클리탁셀과의 병용 투여시에 따른 세포독성 정도를 FACS 분석으로 나타낸 것으로 세포내 DNA content를 프로피디움아이오다이드(propidium iodide, PI)로 염색하여 FACS로 확인하면 세포사멸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세포사멸이 일어나는 경우 세포내 유전체 파괴에 의해 G1아래의 Sub-G1 부위가 증가하게 된다. 이를 참조하면 BGJ398과 파클리탁셀의 병용 처리시에 G1아래 부위가 급격히 높아지고 apoptotic cell의 수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Sub-G1의 세포의 증가).
도 23은 위의 동일한 실험에서 FACS의 결과를 각각의 세포주기 별로 구분하여 그래프로 나타낸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SKOV3-TR세포에서 2.5 μM의 BGJ398와 50 nM의 파클리탁셀의 병용처리는 50 nM의 파클리탁셀의 단독처리에 비해 약 2.5배의 Sub-G1의 세포 증가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여 항암 활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24, 25는 SKOV3-TR 난소암 세포에 파클리탁셀 단독, BGJ398 단독 또는 파클리탁셀과의 병용 투여시에 따른 cleaved PARP와 Actin의 발현을 전술한 바와 같은 면역염색법으로 확인한 것으로, BGJ398과 파클리탁셀의 병용 처리시에 농도 및 시간 의존적으로 cleaved PARP와 Actin의 발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6은 SKOV3-TR 난소암 세포에 파클리탁셀 단독 또는 BGJ398 의 파클리탁셀과의 병용 투여시의 AKT의 인산화 저해, PARP cleavage의 유도를 PathScan Intracellular Signaling Array Kit (Cell Signaling Technology)로 확인한 것으로, BGJ398 의 파클리탁셀과의 병용 투여시에 serine 473에의 AKT의 인산화가 감소하고, cleaved PARP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7은 SKOV3-TR 난소암 세포에 파클리탁셀 단독 또는 BGJ398 의 파클리탁셀과의 병용 투여시 세포내에서 세포의 생존과 사멸에 관련된 AKT 하류 신호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AKT, 인산화 AKT, BAD, 인산화 BAD, XIAP, CASP9, p42/44, 인산화 p42/44의 발현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를 참조하면 SKOV3-TR 세포에서 BGJ398의 처리에 의해 세포내 인산화 AKT의 수준이 매우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이적으로 XIAP의 발현이 줄어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세포내에서 XIAP의 발현 수준이 저해되어 파클리탁셀 감수성을 높이는 것으로 여겨진다.
도 28은 SKOV3-TR 세포에 PI3K/AKT의 저해제로 알려져 있는 워트마닌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파클리탁셀의 항암효과가 높아지는지 확인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SKOV3-TR 세포에서 워트마닌의 처리에 의해 다소 파클리탁셀의 항암효과가 농도 의존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SKOV3-TR세포에서 파클리탁셀 항암제 저항성을 극복하는데 AKT 신호기전이 매우 중요한 중요 조절인자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7. SKOV3ip1/SKOV3-TR에 대한 시스플라틴 및 BGJ398의 시너지 효과 확인
앞서 실시예와 동일하게 각 세포주를 2D 단층 배양하여 시스플라틴 단독, BGJ398 단독 또는 시스플라틴과의 병용 투여시에 따른 변화를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도 29를 참조하면, SKOV3ip1과 SKOV3-TR은 모두 시스플라틴에 대한 감수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도 30, 31을 참조하면 BGJ398을 시스플라틴과 병용 투여시에 항암 활성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험에서 사용된 세포주들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세포주 기원 설명
OSE (ovarian surface epithelial cells) Normal ovary epithelial cells MD Anderson Cancer Center (Sood A)로부터 제공
SKOV3 Epithelial ovarian adenocarcinoma MD Anderson Cancer Center (Sood A)로부터 제공
SKOV3ip1 SKOV3 - SKOV3으로부터 얻어짐 - SKOV3를 복강 주사한지 7주 경과 후의 누드 마우스의 복수로부터 얻어짐 - MD Anderson Cancer Center (Sood A)로부터 제공
A2780 Epithelial ovarian adenocarcinoma MD Anderson Cancer Center (Sood A)로부터 제공
HeyA8 Epithelial ovarian carcinoma MD Anderson Cancer Center (Sood A)로부터 제공
HeyA8-MDR Epithelial ovarian carcinoma - HeyA8로부터 얻어짐 - HeyA8을 파클리탁셀에 연속적으로 노출시켜 얻어짐 - MD Anderson Cancer Center (Sood A)로부터 제공
SKOV3-TR SKOV3 - SKOV3로부터 얻어짐 - SKOV3을 파클리탁셀에 연속적으로 노출시켜 얻어짐 - MD Anderson Cancer Center (Sood A)로부터 제공
SKOV3ip1-TR SKOV3ip1 - SKOV3ip1로부터 얻어짐 - SKOV3ip1을 파클리탁셀에 연속적으로 노출시켜 얻어짐 - MD Anderson Cancer Center (Sood A)로부터 제공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그 암세포의 적어도 일부가 스페로이드 형태이며, AKT 및 STAT3 의 인산화 수준이 증가된 전이성 난소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7
    .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암세포의 스페로이드(spheroid) 형태를 분해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이성 난소암은 난소암 3기 또는 4기인, 약학적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이성 난소암은 파클리탁셀 저항성암인, 약학적 조성물.
  5.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그 암세포의 적어도 일부가 스페로이드 형태이며, AKT 및 STAT3 의 인산화 수준이 증가된 전이성 난소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화학식 1]
    Figure pat00008
    .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이성 난소암은 난소암 3기 또는 4기인, 건강기능식품.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암세포의 스페로이드(spheroid) 형태를 분해하는, 건강기능식품.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이성 난소암은 파클리탁셀 저항성암인, 건강기능식품.
KR1020190130945A 2017-01-06 2019-10-21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246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338A KR102269666B1 (ko) 2017-01-06 2020-07-27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02180 2017-01-06
KR1020170002180 2017-01-0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019A Division KR20180130090A (ko) 2017-01-06 2018-11-19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338A Division KR102269666B1 (ko) 2017-01-06 2020-07-27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668A true KR20190124668A (ko) 2019-11-05

Family

ID=63048777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491A KR20180081675A (ko) 2017-01-06 2018-01-08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80143019A KR20180130090A (ko) 2017-01-06 2018-11-19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80168596A KR102004959B1 (ko) 2017-01-06 2018-12-24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90130945A KR20190124668A (ko) 2017-01-06 2019-10-21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00093338A KR102269666B1 (ko) 2017-01-06 2020-07-27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491A KR20180081675A (ko) 2017-01-06 2018-01-08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80143019A KR20180130090A (ko) 2017-01-06 2018-11-19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80168596A KR102004959B1 (ko) 2017-01-06 2018-12-24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338A KR102269666B1 (ko) 2017-01-06 2020-07-27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779582B2 (ko)
EP (1) EP3566705B1 (ko)
JP (1) JP6831135B2 (ko)
KR (5) KR20180081675A (ko)
CN (1) CN110402143B (ko)
AU (1) AU2018206372B2 (ko)
ES (1) ES2932262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253A (ko) 2020-03-04 2021-09-14 (주)파로스아이바이오 2,3,5-치환된 싸이오펜 화합물의 난소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7879A (ko) 2021-10-01 2023-04-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탈리도마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세포 부유성 억제용 조성물 및 암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
WO2023128697A1 (ko) * 2021-12-30 2023-07-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유방암 세포주를 이용한 3차원 스페로이드 배양방법 및 이의 용도
KR20230140678A (ko) 2022-03-29 2023-10-1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Rbm15 억제제를 포함하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240048415A (ko) 2022-10-06 2024-04-1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알피눔이소플라본을 포함하는 난소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876B1 (ko) 2016-01-08 2017-05-0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희귀 진세노사이드 CSH1(Rg6)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12324D0 (en) * 2005-06-16 2005-07-27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WO2008098129A2 (en) * 2007-02-07 2008-08-14 Indiana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Material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treating peritoneal ovarian tumor dissemination involving tissue transglutaminase
US9487582B2 (en) * 2010-01-08 2016-11-08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Inserm) Methods for treating pancreatic cancer
US8753880B2 (en) * 2011-07-08 2014-06-17 University Of Rochester Method of enriching stem and/or progenitor cells
KR102126092B1 (ko) 2012-03-30 2020-06-24 노파르티스 아게 저인산혈증성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fgfr 억제제
US9254288B2 (en) * 2012-05-07 2016-02-09 The Translational Genomics Research Institute Susceptibility of tumors to tyrosine kinase inhibitors and treatment thereof
US9750741B2 (en) 2013-03-15 2017-09-05 The Translational Genomics Research Institute Targeted therapies for cancer
WO2014191938A1 (en) * 2013-05-31 2014-12-04 Novartis Ag Combination therapy containing a pi3k-alpha inhibitor and fgfr kinase inhibitor for treating cancer
DK3122359T3 (da) * 2014-03-26 2021-03-08 Astex Therapeutics Ltd Kombinationer af en fgfr-inhibitor og en igf1r-hæmmer
US9303069B2 (en) * 2014-05-05 2016-04-05 University Of Mississippi Medical Center Peptides for treating cancer
CN106659788A (zh) * 2014-06-13 2017-05-10 基因泰克公司 治疗和预防癌症耐药性的方法
WO2016091849A2 (en) 2014-12-11 2016-06-16 Bayer Pharma Aktiengesellschaft Use of pan fgfr inhibitors and method of identifying patients with cancer eligible for treatment with a pan fgfr inhibi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876B1 (ko) 2016-01-08 2017-05-0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희귀 진세노사이드 CSH1(Rg6)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253A (ko) 2020-03-04 2021-09-14 (주)파로스아이바이오 2,3,5-치환된 싸이오펜 화합물의 난소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666B9 (ko) 2023-04-17
CN110402143A (zh) 2019-11-01
KR20180081675A (ko) 2018-07-17
EP3566705A4 (en) 2020-10-14
US20210137922A1 (en) 2021-05-13
JP6831135B2 (ja) 2021-02-17
US11779582B2 (en) 2023-10-10
AU2018206372B2 (en) 2020-10-08
CN110402143B (zh) 2022-11-22
AU2018206372A1 (en) 2019-08-08
KR20200096185A (ko) 2020-08-11
JP2020515515A (ja) 2020-05-28
KR102269666B1 (ko) 2021-06-28
EP3566705A1 (en) 2019-11-13
KR20180130090A (ko) 2018-12-06
KR20190001596A (ko) 2019-01-04
KR102004959B9 (ko) 2023-04-17
ES2932262T3 (es) 2023-01-17
KR102004959B1 (ko) 2019-07-31
EP3566705B1 (en) 202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9666B1 (ko)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70071976A1 (en) Pharmaceutical solution having anti-tumor effect-enhancing and toxicity-reducing effec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20170007637A (ko) 감귤 콤부차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광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ang et al. Celastrus orbiculatus extract potentiates the sensitivity of cisplatin via caspase-depenent apoptosis in gastric cancer
US20210386822A1 (en) Anticanc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if1 as active ingredient
KR101308144B1 (ko) 아젤라신 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A2772992A1 (en) Use of an oligofructose for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psoriasis
US11185553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reperfusion injury comprising bile acids
KR102043454B1 (ko) 글리오톡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내성 폐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32074B1 (ko) 에스큘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손실 억제용 조성물
WO2018128510A1 (ko)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25259A (ko) 후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소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4264B1 (ko) 익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49013B1 (ko) 멜라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0237081A (zh) 低极性稀有人参皂苷混合物δ(20-21)ppd/δ(20-22)ppd及其用途
WO2023249075A1 (ja) 非アルコール性脂肪肝炎由来の肝細胞がんの予防又は治療剤
CN102440987A (zh) 含有芹菜素及芹菜素类衍生物和青蒿素及青蒿素类衍生物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US20220362322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tumor proliferation comprising salvia plebeia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KR102236686B1 (ko) 2-(3-[2-(1-시클로헥센-1-일)에틸]-6,7-디메톡시-4-옥소-3,4-디히드로-2-퀴나졸리닐술파닐)-n-(4-에틸페닐)부탄아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N105963302A (zh) 一种含egfr酪氨酸激酶的低剂量药物组合物及其在制备预防肿瘤转移药物中的应用
US20180221329A1 (en) Cis- and trans-suffruticosol d as therapeutic agents
TWI607752B (zh) 含4-乙醯基-安卓奎諾-b之組合物用於製備抑制卵巢癌細胞生長之藥物的用 途
KR20240041441A (ko) 제주 황칠나무 유래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방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20037925A (ko) 봉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 관련 질환,폐암 또는 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BR102018005251A2 (pt) Formulação farmacêutica a base de zinco e quercetina para a produção de medicação antiviral para dengue, zika, chikungunya, gripe e resfriados, h1n1, n5n1, rotavirus, rinovírus e febre amare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