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876B1 - 희귀 진세노사이드 CSH1(Rg6)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희귀 진세노사이드 CSH1(Rg6)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876B1
KR101732876B1 KR1020160002619A KR20160002619A KR101732876B1 KR 101732876 B1 KR101732876 B1 KR 101732876B1 KR 1020160002619 A KR1020160002619 A KR 1020160002619A KR 20160002619 A KR20160002619 A KR 20160002619A KR 101732876 B1 KR101732876 B1 KR 101732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sh1
cells
taxol
rad51
indu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범준
송규용
조수현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2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876B1/ko
Priority to PCT/KR2017/000198 priority patent/WO201711976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 A61K31/573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substituted in position 21, e.g. cortisone, dexamethasone, prednisone or aldoste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희귀 진세노사이드 CSH1(Rg6)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CSH1(Rg6)은 BRCA1 및 Rad51의 결합을 촉진하고, 스트레스 호르몬-유도 γ-튜불린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암세포에서 탁솔에 대한 내성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CSH1(Rg6)은 항암 치료에 있어서 항암제 내성을 억제하는 약물 또는 항암 약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Description

희귀 진세노사이드 CSH1(Rg6)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anticancer agents resistance comprising rare ginsenosides CSH1(Rg6)}
본 발명은 희귀 진세노사이드 CSH1(Rg6)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흔하게 언급되는 가설과는 달리, 정신적 또는 신체적 스트레스가 실제로 암의 개시 또는 진행에 관련되어 있는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즉, 스트레스와 관련된 인간 암의 자세한 분자 기작은 명확하지 않다. 인간의 신체가 스트레스 조건에 직면하면, 뇌하수체 분비 부신피질 자극호르몬(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에 대한 반응으로 코르티솔(Cortisol) 및 에피네프린(Epinephrine)과 같은 스트레스 호르몬이 부신(adrenal gland)으로부터 방출된다. 코르티솔의 증가는 우울증, 면역체계의 감소 등과 같이 인간 신체에 여러 가지 해로운 반응을 일으킨다. 하지만, 상기 반응들이 암 개시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지는 않는다.
신장 암세포(Renal cell carcinoma; RCC)는 부신 근처에 있는 신장에 발생하는 인간 악성 종양이다. 비록 신장암은 노화 및 흡연과 같은 여러 가지 이유로 발병한다고 알려졌는데, 스트레스 또한 주요 발병 원인이다. 혈청 코르티솔 수준은 신장암 환자에게서 증가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면역 시스템 상에서의 스트레스 호르몬 억제 효과가 일반적으로 알려졌지만, 이는 스트레스-유도된 암에 대한 설명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여러 전염병학적 분석 결과, 스트레스는 대장암 및 폐암을 포함하는 여러 종류의 인간 암 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 보고에 의하면, VHL(von Hippel-Lindau syndrome gene)-결핍 조건하에서, 상승된 에스트로겐 수용체-α(estrogen receptor; ER-α) 또는 에스트로겐의 처리는 미세소관 조직화 중심(microtubule organizing center; MTOC) 증폭을 통한 탁솔(Taxol) 내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VHL은 ER-α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고, MTOC 증폭을 억제한다. VHL-결핍 조건하에서, 상승된 ER-α는 MTOC 증폭을 억제하는 BRCA1-Rad51 결합을 파괴한다. 타목시펜(tamoxifen) 또는 파슬로덱스(Faslodex)와 같은 ER-α 억제제에 의한 ER-α의 억제는 VHL-결핍 RCC 세포주에서 중심체 수를 회복시킬 수 있다. 또한, 스트레스 호르몬들은 스테로이드로부터 유래하고, 공통된 화학구조를 공유하기 때문에, 스트레스 호르몬이 MTOC 증폭 및 탁솔 내성을 촉진한다는 가설은 매우 합리적이다.
인삼(Panax Ginseng)은 오랫동안 암 및 신장 기능 장애를 포함하는 여러 종류의 인간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최근, 분리된 진세노사이드(ginsenoisdes)는 면역 시스템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하지만, 인간 암에 대한 진세노사이드의 분자생물학적 작용 기작은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인간 암에 대한 진세노사이드의 작용 기작 및 효과를 밝히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한국등록특허 10-0485936(2005.04.27)
본 발명은 희귀 진세노사이드 CSH1(Rg6)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조성물 또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희귀 진세노사이드 CSH1(Rg6)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희귀 진세노사이드 CSH1(Rg6)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희귀 진세노사이드 CSH1(Rg6)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CSH1(Rg6)은 BRCA1 및 Rad51의 결합을 촉진하고, 스트레스 호르몬-유도 γ-튜불린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암세포에서 탁솔에 대한 내성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CSH1(Rg6)은 항암 치료에 있어서 항암제 내성을 억제하는 약물 또는 항암 약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은 스트레스 호르몬(Glucocoticoid hormone)이 탁솔 내성을 유도한다는 결과를 나타낸다. (a) 코르티손(Cortisone) 및 코르티솔(Cortisol)은 탁솔(Taxol; TAX)-유도 세포 사멸을 차단했으나, 알도스테론(aldosterone)은 차단하지 못하였다. 알도스테론(5μM), 코르티손(5μM), 코르티솔(5μM) 및 탁솔(3μM)을 VHL-양성 C2V 세포에 7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 생존능은 MTT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b) 코르티손은 에스트로겐과 유사하게 탁솔 내성을 나타낸다. ACHN 세포를 표시된 용량의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7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 생존능은 MTT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c) 코르티손 및 코르티솔은 비-신장암 세포주에서도 탁솔-유도 세포 사멸을 차단하였다(폐암 세포주; A549, H1299, 대장암 세포주; HCT116, SW480). 알도스테론(5μM), 코르티손(5μM), 코르티솔(5μM) 및 탁솔(3μM)을 각 암세포에 7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 생존능은 MTT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d) 탁솔-유도 세포 사멸에 있어 코르티손의 특이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탁솔과 달리, 코르티손은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 Adr) 및 에토포사이드(Etoposide; Etop)와 같은 DNA 손상 제제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세포들은 표시된 화합물(탁솔 3μM; 코르티손 5μM; Adr 2㎍/ml; Etop 10μM)과 함께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생존능은 MTT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e) 파슬로덱스(Faslodex; FST)를 통한 ER-α 억제가 글루코코티코이드 호르몬(Glucocorticoid Hormone; GH)-유도된 탁솔 내성을 차단하지 못한다는 결과를 나타낸다. ACHN 세포는 FST(3μM), 탁솔(3μM), 코르티손(5μM) 및 코르티솔(5μM)과 함께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생존능은 MTT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도 2는 스트레스 호르몬이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Glucocorticoid Receptor; GR)를 통해 MTOC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a) 코르티솔은 여러 세포주에서 γ-튜불린을 분명히 유도시켰다. 각 세포를 표시된 용량의 코르티솔로 7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γ-튜불린 발현을 측정하기 위해 웨스턴 블랏을 수행하였다. 액틴(Actin)은 로딩(loading)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b) GHs은 FST와 무관하게 γ-튜불린을 유도한다. A498 (VHL 결핍 세포주)은 FST(3μM) 유무에 따라 코르티손(5μM) 및 코르티솔(5μM)과 함께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BRCA1 발현은 FST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GH에 의한 BRCA1 발현 감소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p53 발현은 FST 또는 GH에 의해 변하지 않았다. 액틴(Actin)은 로딩(loading)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c 및 d) VHL-손상되지 않은 C2V 세포에서 코르티손 처리(5μM)에 의해 MTOC의 수가 증가하였다. 평균 MTOC 수를 확인하기 위해서 각 조건마다 약 50개의 세포를 계수하였고, 그래프로 나타냈다. MTOC를 검출하기 위해서 세포들을 항-γ-튜불린-항체(붉은색)로 염색하였고, DNA를 검출하기 위해 DAPI (파란색)로 염색하였다. (e) GR 및 코르티손이 MTOC 증폭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GR 형질감염 또는 코르티손(5μM) 처리 후, HEK293 세포를 항-γ-튜불린-항체(붉은색) 및 DAPI (파란색)로 염색하였다. (f) MTOC 증폭에 있어, GH 및 GR의 부가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MTOC 수를 측정하기 위해서 각 조건마다 약 50개의 세포를 계수하였다. (g) VHL-양성 C2V 세포에 있어서, 과발현된 GR은 탁솔에 대한 내성을 나타냈다. GR은 C2V 세포에 형질감염시켰고, 탁솔(3μM)을 처리하였다. 72시간 후, 세포 생존능은 MTT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h) GR은 Rad51-매개 탁솔-민감성을 차단한다. VHL-결핍 A498에서, Rad51 과발현을 통한 탁솔에 대한 재-민감성은 GR 과발현에 의해 사라졌다. A498 세포는 GR 및/또는 Rad51로 형질감염시켰고, 72시간 동안 탁솔과 함께 배양하였다. 세포 생존능은 MTT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i) GR은 Rad51-유도 γ-튜불린 감소를 회복시켰다. 또한, GR 과발현을 통해 Rad51은 명확하게 감소하였다. GFP-표지된 GR 및 HA-표지된 Rad51는 HEK 293 세포에 형질감염시켰다. 72시간 후, 단백질 수준은 항-GFP 및 HA 항체로 검출하였다. (j) GR-형질감염된 HEK 293 세포에서 코르티손 처리에 의한 Rad51 감소를 명백히 확인하였다. GFP-표지된 GR은 HEK 293 세포로 형질감염시켰고, 코르티손(5μM)를 처리하였다. 72시간 후, 웨스턴 블랏을 수행하였다. (k) GR 발현은 VHL에 의해 변하지 않았다. GFP-표지된 GR 및 HA-표지된 VHL은 HEK 293 세포에 형질감염시켰고, 코르티손(5μM)를 처리하였다. 72시간 후, 웨스턴 블랏을 수행하였다. 액틴(Actin)은 로딩(loading)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도 3은 GR 억제가 MTOC 증폭을 차단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a 및 b) ACHN 세포에서 GR 길항제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PGT)은 MTOC를 차단시켰다. PGT(5μM) 처리된 세포는 MTOC 증폭을 차단시켰다. 평균 MTOC 수를 확인하기 위해서 각 조건마다 약 80개의 세포를 계수하였고(b), 사진으로 나타냈다(a). MTOC를 검출하기 위해서 세포들을 항-γ-튜불린-항체(붉은색)로 염색하였고, DNA를 검출하기 위해 DAPI (파란색)로 염색하였다. (c) PGT 처리는 스트레스 호르몬-유도 γ-튜불린 유도를 억제하였다. 표시된 항체로 웨스턴 블랏 분석을 수행하였다. 액틴(Actin)은 로딩(loading)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d) GR의 다른 화학적 길항제인 케토코나졸(Ketoconazole; KCZ) 또한, ACHN 세포에서 스트레스 호르몬 효과를 차단하였다. PGT(5μM) 및 KCZ(5μM)로 7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각 단백질 발현은 웨스턴 블랏으로 측정하였다. 액틴(Actin)은 로딩(loading)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e) GR 길항제는 코르티솔 유도 탁솔-내성을 극복하였다. ACHN 세포에서 코르티솔(5μM) 및 탁솔(3μM)을 7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PGT(5μM) 및 KCZ(5μM)은 동일한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 생존능은 MTT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도 4는 GR이 Rad51과 결합하고, Rad51-BRCA1 상호작용을 파괴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a) VHL-양성 ACHN 세포에서 코르티손(5μM) 및 코르티솔(5μM)은 Rad51-BRCA1 결합 상호작용을 파괴하지만, VHL-음성 A498 세포에서는 약한 효과를 나타냈다. 결합 분석을 위해서, 항-Rad51 항체에 의한 면역침전(immunoprecipitation; IP) 분석을 수행하였다. (a) VHL-손상되지 않은 ACHN 세포에서, Rad51-BRCA1 결합은 코르티손 처리에 의해 감소하였다. 항-BRCA1 항체는 IP 분석에 사용되었다. (c) GR은 오직 Rad51에만 결합하였고, BRCA1에는 결합하지 않았다. (d) GR-Rad51의 결합은 외인성(exogenous) 단백질에 의해 확인되었다. HEK293 세포에서, GFP-표지된 GR 및 HA-표지된 Rad51은 과발현되었고, 상기 세포들의 용해물(lysates)을 IP 분석에 사용하였다. (e) Rad51-GR의 결합 증가는 코르티손(5μM) 처리에 의해 검출되었다. IP 분석은 항-GR 항체로 수행하였다. (f) VHL-음성 C2 세포에서, FST에 의해 유도된 탁솔 민감성은 GR 과발현을 통해 차단되었다. (g) 탁솔 민감성을 갖는 VHL-손상되지 않은 C2V 세포에 있어서, 코르티손 유도 탁솔 내성은 ER-α 억제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GR 과발현을 위한 형질감염 후, 탁솔(3μM) 및 FST(3μM)를 처리하였다. 72시간 후, 세포 생존능을 측정하기 위해 MTT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 5는 희귀 진세노사이드 CSH1 (RG6)과 RG3, 에스트로겐 및 코르티손의 화학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탁솔-유도 세포 사멸에 있어, 희귀 진세노사이드의 효과를 나타낸다. (a) 탁솔-유도 세포 사멸에 있어 여러 진세노사이드의 효과를 나타낸다. C2 세포에 있어서, CSH1 (Rg6) 만이 탁솔 민감성 효과를 나타낸다. 각각 진세노사이드(5μM) 및 탁솔(3μM)을 처리하였다. 72시간 후, 세포 생존능은 MTT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b 및 c) 폐암세포주 A549에서 PGT 및 CSH1는 스트레스 호르몬-유도 γ-튜불린 발현을 억제하였다. PGT(5μM), CSH1(5μM), 코르티솔(5μM) 및 코르티손(5μM)을 7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γ-튜불린 발현을 측정하기 위해서 웨스턴 블랏을 수행하였다. 액틴(Actin)은 로딩(loading)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세포를 항-γ-튜불린-항체(붉은색) 및 DAPI (파란색)로 염색하였다. (d) GR 발현은 CSH1에 의해 억제되었다. GR 유도된 Rad51 발현 억제는 CSH1 처리에 의해 회복되었다. (e) CSH1은 BRCA1 및 Rad51의 상호작용을 촉진시켰고, GR에 의해 파괴된 결합을 회복시켰다. HEK293 세포에서 MYC-표지된 BRCA1, HA-표지된 Rad51 및 GFP-표지된 GR은 과발현되었고, 세포 용해물은 결합 분석을 위한 IP 분석에 사용되었다. IP 분석은 항-MYC 항체에 의해 수행되었다. (f 및 g) CSH1은 GR 또는 코르티손 유도된 MTOC 증폭을 차단할 수 있었다. 평균 MTOC 수를 확인하기 위해서 약 50개의 세포를 계수하였고, 사진으로 나타냈다. GFP-표지된 GR은 HEK 293 세포에 형질감염시켰다. CSH1(5μM) 및 코르티손(5μM)을 처리하였다. 세포를 항-γ-튜불린-항체(붉은색) 및 DAPI (파란색)로 염색하였다.
도 7은 CSH1-관련된 진세노사이드인 CSH2 내지 CSH4의 화학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은 스트레스 호르몬의 연속적인 처리가 형질전환(transformation)을 유도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2 종류의 정상 인간 섬유아세포를 낮은 혈청 농도하에서 코르티솔 및 CSH1의 첨가 유무에 따라 1달 동안 배양한 결과이다.
도 9는 FST와 유사한 효과를 보이는 CSH1에 대한 결과이다. (a) 에스트로겐-유도된 세포 증식에 있어 CSH1의 억제효과를 나타낸다. ER-α 양성 MCF-7 세포의 증식은 에스트로겐-처리에 의해 용량-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FST와 유사하게, CSH1은 MCF-7에 있어서 에스트로겐 유도된 증식을 억제하였다. 화합물은 표시된 대로 처리하였다. 72시간 후, 세포 생존능을 측정하기 위해 MTT 분석을 수행하였다. (b) FST에 의한 γ-튜불린 발현 억제는 MCF-7 세포에서만 나타났지만, CSH1은 MCF-7 및 MDA-MB-468 세포 모두에서 γ-튜불린을 감소시켰다. (c) ER-α 형질감염된 HEK293 세포에서, ER-α 매개 전사 활성은 CSH1 및 CSH3에 의해 감소되었다. ERE-루시퍼라제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ERE-루시퍼라제 벡터 및 ER-α는 HEK 293 세포에 동시 형질감염되었다. (d) MCF-7 세포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FST와 마찬가지로, CSH1은 ERE 루시퍼라제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ERE-루시퍼라제 벡터는 ERα-양성 MCF7 세포 및 ERα-음성 MDA-MB-468 세포에 형질감염되었다. ERE-루시퍼라제 분석은 각 화합물 처리 4시간 후에 수행하였다. (e) VHL-음성 C2 세포에서, CSH1에 의한 탁솔-유도된 세포 사멸은 FST와 유사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민감성을 나타냈다. (f) 웨스턴 블랏 분석 결과, CSH1의 처리에 의해 γ-튜불린 및 ER-α의 발현은 감소되었으나, Rad51 발현은 증가되었다. (g) CSH1에 의해 ER-α의 발현은 억제되었다. ER-α는 VHL-양성 ACHN 세포에 형질감염시켰다. 형질감염 후, CSH1 (5μM)을 처리하였다. 72시간 후, 웨스턴 블랏을 수행하였다. (h 및 i) VHL-음성 C2 세포에서, FST와 비슷하게 희귀 진세노사이드들에 의해 MTOC 증폭이 억제되었다. 평균 MTOC 수를 확인하기 위해서 각 표시된 조건마다 약 50개의 세포를 계수하였고, 사진으로 나타냈다. FST (5μM), CSH1 (5μM) 및 CSH3 (5μM)을 VHL-음성 C2 세포에 처리하였다. 72시간 후, IF 염색을 수행하였다. 세포를 항-γ-튜불린-항체(붉은색) 및 DAPI (파란색)로 염색하였다.
도 10은 스트레스 조건하에서, 스트레스 호르몬에 대응하여 GR 경로가 활성화되고, MTOC 증폭 및 염색체 불안정성이 유도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스트레스-유도 암에 대해 추정되는 종양 형성 기작 중 하나이다. 하지만, ER-α 경로와 달리, GR은 VHL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다. 희귀 진세노사이드인 CSH1은 스테로이드-유사 백본을 가지고 있으므로, ER-α 경로-유도 MTOC 증폭 및 탁솔 민감성 뿐만 아니라 GR도 차단시킨다. 이에, 암 예방 전략 및 항암 약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스트레스 호르몬의 종양 형성 효과, 특히 MTOC 증폭 및 항암제 내성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 여러 진세노사이드들이 스트레스 호르몬-관련 화학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MTOC 증폭 및 탁솔 내성에 대한 진세노사이드의 효과를 조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희귀 진세노사이드 CSH1(Rg6)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항암제 내성은 스트레스 호르몬에 의해 유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세하게는, 상기 희귀 진세노사이드 CSH1(Rg6)은 스트레스 호르몬에 의해 유도되는 γ-튜불린 발현을 억제하고, BRCA1 및 Rad51의 결합을 촉진하며, 미세소관 조직화 중심(microtubule organizing center; MTOC) 증폭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레스 호르몬은 코르티손(Cortisone) 또는 코르티솔(Cortisol)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암제는 탁솔(Taxol)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희귀 진세노사이드 CSH1(Rg6)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은 항암제 내성을 가진 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암제는 탁솔(Taxol)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은 신장암, 폐암, 대장암 또는 유방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약학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주사제, 과립제, 산제, 정제, 환제, 캡슐제, 좌제, 겔,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재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대상체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대상체의 상태 및 체중, 질환의 종류 및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일 투여량이 0.01 내지 200 mg/kg,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200 mg/kg,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00 mg/kg 일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하기의 실험예는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실시예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실험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실험예 >
1. 세포주 및 시약
ACHN (VHL+) 및 A498 (VHL-) 세포는 한국 세포주 은행으로부터 구입하였다. A549, HEK293, MCF-7 및 MDA-MB-468은 미국 세포주 은행(ATCC, Manassas, VA)으로부터 구입하였다. 다른 신장암 세포주(UMRC2; C2, UMRC2/VHL; C2V)는 Dr. Jung, YJ(부산대학교)로부터 제공받았다. 인간 섬유아세포는 Coriell Cell Repositories (New Jersey,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ACHN, A498, HEK293, MCF-7 및 MDA-MB-468은 37℃ 성장 챔버에서 10% FBS 및 1% 항생제가 포함된 액체 DMEM 배지로 유지시켰다. HCT116 세포주는 Dr. Vogelstein B (Johns Hopkins University)로부터 얻었다. A549, HCT116은 10% FBS 및 항생제가 포함된 RPMI-1640에서 유지되었다. 에스트로겐(Estrogen; 250155), 풀베스트란트(Fulvestrant; I4409), 탁솔(Taxol; T7402), 케토코나졸(Ketoconazole; UC280),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P0130), 코르티손(Cortisone; C2755) 및 코르티솔(Cortisol; H4001)은 Sigma (Missouri, USA)에서 구입하였다. Actin (sc-1616), ER-α (sc-8002), GFP (sc-7392) 및 HA (sc-9996)에 대한 항체는 Santa Cruz (California, USA)에서 구입하였다. Anti-γ-tubulin (T6557)은 Sigma (Missouri, USA)로부터 구입하였고, anti-glucocorticoid receptor (GR) Ab (12041)는 Cell signaling (Massachusetts,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Rad51 (05-530), BRCA1 (07-434)은 Milliopore (Darmstadt, Germany)로부터 구입하였다.
2. 벡터 및 형질감염
GFP-tagged GR (GR-GFP) 및 HA-tagged Rad51 (Rad51-HA) 벡터는 Addgene으로부터 구입하였다. Myc-tagged wild type BRCA1 (BRCA1-Myc)는 Dr. Livingston, DM (Harvard Medical School)로부터 얻었다. pVHL 동물세포 발현 벡터는 Dr. Jung, YJ (부산대학교)로부터 얻었다. 상기 벡터들의 동물세포 발현을 위한 형질감염(Transfection)은 Jetpei transfection agent (Polyplus New York, USA)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벡터(1.5 ㎍)는 150 mM NaCl 용액에 녹인 1.5㎕ Jetpei reagent와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은 상온에서 15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 후, 혼합물을 세포에 첨가하였다. 3시간 후, 무-혈청 배지는 10% FBS가 포함된 배지로 교체하였다.
3. 웨스턴 블랏 분석 및 단백질 상호작용 연구
단백질은 RIPA 완충액 (50 mM Tris-Cl, pH 7.5, 150 mM NaCl, 1% NP-40, 0.1% SDS 및 10% sodium deoxycholate)을 사용하여 세포로부터 추출하였다. 샘플들을 SDS-PAGE에 적용하였고, PVDF 멤브레인으로 옮겼다. 블랏된 멤브레인을 4℃에서 1시간 동안 1차 항체로 반응시켰고, HRP-conjugate species-matched secondary antibodies를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퍼옥시다제 활성은 ECL kit (Intron, Seoul, Korea)으로 화학적 발광(chemi-luminescence)을 통해 검출하였다. 면역침전(immunoprecipitation; IP) 분석을 위해, 우선 전체 세포 용해물을 적절한 항체로 4℃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protein A/G agarose beads (Invitrogen, California, USA)로 4℃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원심분리하고 RIPA로 씻어낸 후, 침전된 면역-복합체를 SDS-PAGE 및 웨스턴 블랏 분석에 적용하였다.
4. 면역형광 염색
세포들을 커버 글라스에 놓고, 표시된 벡터로 형질감염시키거나, 표시된 화합물로 처리하였다. Me-OH로 30분 동안 고정시킨 후, 세포들을 차단 완충액[PBS + anti-human-Ab (1:500)]으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PBS로 씻어낸 후, 세포들을 차단 완충액에 녹인 Anti-γ-tubulin 항체(1: 100 내지 200)로 4시간 동안 반응시켰고, 차단 완충액에 녹인 FITC-접합된 또는 Rhodamine-접합된 2차 항체(1: 500)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핵은 DAPI로 염색하였다. PBS로 씻어낸 후, 커버 글라스를 마운팅 용액(Vector Laboratories, Cambridgeshire, UK)에 마운팅하였다. 면역형광 신호는 형광현미경(Zeiss, Jena, Germany)을 통하여 검출하였다.
5. MTT 분석
세포 생존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세포들은 표시된 화합물로 4일 동안 처리하였다. MTT 분석을 위해, 세포들을 0.5 mg/ml MTT 용액 (Calbiochem, Darmstadt, Germany)으로 37℃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잔여 용액을 제거한 후, 침전물을 200㎕ DMSO에 녹였고, 540 nm 흡광도에서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6. 루시퍼라제 ( Luciferase ) 분석
ER-α 프로모터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ERE-Luc 벡터를 세포에 24시간 동안 형질감염시켰고, 세포들을 표시된 화합물로 처리하였다. 세척 완충액 (Promega, Wisconsin, USA)으로 씻어낸 후, 세포들을 용해 완충액 (Promega, Wisconsin, USA)으로 용해시켰다. 루시퍼라제 활성은 luminometer (MicroDigital, Gyeonggi-do, South Korea)로 측정하였다.
7. 통계 분석
모든 결과는 평균 + s.e.m.으로 표시하였고, 적어도 그룹당 n=4으로 수행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을 얻기 위해서, Student's t-test를 수행하였다.
< 실시예 1> 탁솔 내성을 유발하는 스트레스 호르몬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cortisol) 및 이와 관련된 호르몬들(코르티손 및 알도스테론)은 콜레스테롤로부터 유래하였고,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화학구조를 나타내기 때문에, 탁솔-유도 세포 사멸에 있어서 이들의 생물학적 효과를 시험하였다. 알도스테론은 아니지만, 코르티손 및 코르티솔은 에스트로겐과 유사하게 두 종류의 RCC 세포주에 있어서 탁솔 내성을 나타냈다(도 1a). 이들의 억제 효과는 용량-의존적으로 나타났다(도 1b). 스트레스 호르몬은 여러 종류의 조직 및 세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본 발명자들은 폐암 및 대장암 세포주에서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 호르몬들의 효과를 확인하였고, 코르티솔 및 코르티손이 용량-의존적 방법으로 탁솔-유도 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것과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도 1c). 상기 세포주에서, 알도스테론은 고용량에서도 탁솔-민감성이 바뀌지 않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자들은 다른 종류의 항암제에 대한 코르티손 및 코르티솔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에스트로겐과 유사하게, 코르티솔 및 코르티손은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 또는 에토포사이드(etoposide)에 대한 민감성이 바뀌지 않았다(도 1d). 코르티솔/코르티손-유도 탁솔 내성은 ER-α/Est 신호전달 기작에 의해 획득된다고 알려졌으므로, 본 발명자들은 ER-α 억제제인 풀베스트란트(Fulvestrant; FST)를 처리하였고, 탁솔-민감성을 측정하였다. 하지만, FST는 코르티손/코르티솔-유도 탁솔 내성을 차단하지 못했고, 이는 탁솔-유도된 세포 사멸에 대한 상기 호르몬들의 효과가 ER-α 독립적인 기작에 의해 일어난다는 것을 나타낸다(도 1e).
< 실시예 2> MTOC 증폭을 촉진하는 스트레스 호르몬
γ-튜불린(γ-tubulin)의 상승 발현이 탁솔-유도된 세포 사멸을 극복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자들은 우선 γ-튜불린 발현을 측정하였다. 예상대로, 코르티솔/코르티손은 모든 시험 세포주에서 γ-튜불린을 확실히 유도하였고(도 2a), FST는 γ-튜불린 유도를 차단하지 못했다(도 2b). 또한, 상기 실험에서 본 발명자들은 코르티솔 및 코르티손에 대한 반응에 있어 BRCA1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b). 실제로, BRCA1의 감소는 Est-매개 γ-튜불린 유도된 조건에서 확인되어 왔다. 하지만, ER-α 음성 세포주에서 코르티손은 γ-튜불린을 유도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호르몬은 MTOC 증폭을 촉진할 수 있었다. 실제로, 코르티손-처리는 유사분열성(mitotic) MTOC의 평균 수를 2에서 3으로 증가시킬 수 있었다(도 2c 및 도 2d).
< 실시예 3> MTOC 증폭을 촉진할 수 있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코르티솔 및 코르티손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호르몬이고, 이들의 신호전달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glucocorticoid receptor; GR)에 의해 매개되므로, 본 발명자들은 MTOC 증폭에 대한 GR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GR 단독으로 형질감염시키면, 코르티손 처리와 마찬가지로 MTOC 수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도 2e 및 도 2f). 또한, GR은 탁솔-유도된 세포 사멸을 차단할 수 있다(도 2g). 이에, 본 발명자들은 Rad51-매개 탁솔 민감성에 대한 GR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전 연구를 통해, Rad51 과발현이 탁솔-내성 ER-α 상승된 세포 및 VHL 결핍 세포주에서 민감성을 다시 회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흥미롭게도, GR 과발현은 Rad51을 감소시켜 Rad51-매개 탁솔 재-민감성을 차단할 수 있었다(도 2h 및 2i). 실제로, GR 과발현 및 코르티손 처리는 내재성 Rad51 발현을 감소시켰다(도 2j). 하지만, ER-α와는 달리, GR 발현은 VHL 상태에 따라 바뀌지는 않았다. VHL 과발현 또는 녹다운(knock down)은 GR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고, FST도 GR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도 2k). 상기 결과는 스트레스 호르몬이 MTOC 증폭을 유도하고, γ-튜불린 상승은 VHL 독립적 기작을 통해 GR에 의해 일어난다는 것을 나타낸다.
< 실시예 4> 스트레스 호르몬-매개 MTOC 조절 억제에 있어 GR 억제제의 선호 효과
MTOC 증폭에 있어 GR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스트레스 호르몬-유도 MTOC 증폭에 있어서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PGT)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PGT는 GR의 길항제(antagonist)로서 잘 알려져 있다. PGT의 처리는 γ-튜불린 유도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호르몬-유도 MTOC 증폭도 억제시켰다(도 3a, 도3b 및 도 3c). PGT 또한 호르몬이므로, 본 발명자들은 GR의 다른 화학적 길항제인 케토코나졸(ketoconazole; KCZ)을 사용하였다. PGT와 일관되게, KCZ 또한 γ-튜불린 유도 및 Rad51과 BRCA1 감소를 억제하였다(도 3d). 또한, 상기 억제제들은 코르티솔 유도된 탁솔-내성을 극복하였다(도 3e).
< 실시예 5> Rad51에 결합하여 BRCA1 - Rad51 결합을 파괴하는 GR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호르몬이 어떻게 MTOC 증폭을 촉진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Rad51-BRCA1 결합에 있어 상기 호르몬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제로, VHL이 손상되지 않은 ACHN 세포에서 BRCA1-Rad51 사이의 결합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호르몬에 의해 분명히 감소하였다(도 4a). 대신, VHL-결핍된 A498에서 상기 결합은 약하고,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호르몬에 의해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4a). 코르티손에 의한 BRCA1-Rad51의 분리는 BRCA1 Ab를 사용한 IP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도 4b). BRCA1 및 Rad51 중 하나는 GR의 결합 표적이다. BRCA1 및 Rad51 중 어느 것이 GR의 표적인지 확인하기 위해서, GR을 사용하여 IP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기 두 개의 단백질과 대등하게 관여하는 ER-α와 다르게, GR은 오직 Rad51에서만 결합 친화도를 나타냈다(도 4c). Rad51 및 GR 사이의 결합은 외인성 단백질에 의해 확인할 수 있었다(도 4d). 비록 Rad51 및 GR의 결합이 코르티손 없이도 검출되었으나 GH는 결합을 촉진시켰는데(도 4e), 이는 아마도 핵으로의 GR 전이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상기 반응에 있어서 ER-α의 연관성을 제거하기 위해, FST-처리 조건 하에서 GR-유도 탁솔 내성을 측정하였다. VHL-결핍된 C2에서 FST가 탁솔 민감성을 나타내지만, GR은 FST-유도 민감성을 극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4f). 또한, VHL이 손상되지 않은 C2V에서, FST는 GR-유도된 탁솔 내성을 차단하지 않는다(도 4g). 상기 결과는 GR/GH 신호전달이 ER-α 독립적인 기작을 통해 Rad51-BRCA1 결합을 파괴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 실시예 6> 탁솔 -유도 세포 사멸에 민감성을 나타내는 희귀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s)
본 발명자들은 스트레스 호르몬 신호전달에 대한 적절한 억제가 MTOC 조절 억제 뿐만 아니라 탁솔에 대한 민감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이에, 본 발명자들은 스트레스 호르몬-GR 네트워크를 억제할 수 있는 후보 화합물을 검색하였다. 한의학에서, 인삼(Panax Ginseng)은 암 및 신장 질환에 사용되고 있다. 실제로, 몇몇 종류의 진세노사이드들, 특히 희귀 진세노사이드 CSH1 (RG6)은 에스트로겐 또는 코르티손과 매우 유사한 화학 구조를 가지고 있다(도 5). 따라서, 탁솔-유도 세포 사멸에 대한 Rg6의 효과를 다른 일반적인 진세노사이드들과 비교하여 시험하였다. 흥미롭게도, CSH1은 C2 세포에서 탁솔에 대한 민감성을 분명히 나타냈다. 하지만, 다른 일반적인 진세노사이드들은 명확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도 6a). 또한, A498 세포에서도 CSH1은 유사한 효과를 나타냈다. 이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CSH1-관련된 진세노사이드(CSH2 내지 CSH4; 도 7)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ER-α 상승에 의해 탁솔에 내성을 나타내는 VHL-결핍된 C2 세포에서, CSH1 및 CSH3은 FST와 비슷하게 탁솔 민감성이 증가되었다. 하지만, C2V(탁솔 민감성 세포주)에서는 탁솔에 대한 추가적인 민감성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코르티솔 및 코르티손에 의한 γ-튜불린 유도에 있어서 CSH1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PGT와 유사하게, CSH1는 인간 폐암 세포주 A549에서 MTOC 증폭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호르몬-유도 γ-튜불린 발현을 억제시켰다(도 6b 및 도 6c). 본 발명자들은 인간 대장암 세포주 HCT116에서도 CSH1의 유익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CSH1이 암세포 타입와 무관하게 MTOC 증폭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 실시예 7> 스트레스 호르몬-유도된 기능 이상을 차단하는 CSH1
CSH1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생물학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Rad51 및 GR 발현에 있어 CSH1의 효과를 관측하였다. CSH1은 GR 발현을 억제하였고, GR-과발현에 의한 Rad51의 감소를 억제하였다(도 6d). 또한, CSH1은 BRCA1 및 Rad51의 상호작용을 촉진시켰고, GR에 의해 파괴되는 이들의 결합을 극복할 수 있었다(도 6e).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발명자들은 MTOC의 수를 확인하였다. 예상대로, 코르티손 또는 GR 과발현에 의한 MTOC의 증가가 CSH1 처리에 의해 완전히 억제되었다(도 6f 및 도 6g). CSH1이 MTOC 증폭 및 γ-튜불린 조절 억제를 차단하므로, 상기 화합물이 암 예방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스트레스 호르몬의 연속적인 처리가 형질전환(transformation)을 유도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2 종류의 정상 인간 섬유아세포를 낮은 혈청 농도하에서 코르티솔 및 CSH1의 첨가 유무에 따라 1달 동안 배양하였다. 1달 후, 세포들을 96 웰 플레이트에 접종시켰고, 혈청 없이 추가로 2주일 동안 배양하였다. 가혹한 조건 하에서, 정상 섬유아세포는 오직 2 웰에서만 살아남았다. 반면, 코르티솔-처리한 세포에서는 대부분 살아남았다(61/96 웰, 85/96 웰). 상기 조건에서 CSH1을 동시 처리하면 생존율은 크게 감소하였다(도 8). 상기 결과, 불리한 조건하에서 코르티솔은 세포 생존을 촉진할 수 있고, CSH1을 통해 GR 경로를 억제하면 스트레스-호르몬 유도로 인한 부적절한 세포 생존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 실시예 8> FST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CSH1
FST와 유사하게, CSH1은 C2 세포에서 탁솔에 대한 민감성을 나타내므로, CSH1이 FST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우선, 에스트로겐-유도된 세포 증식을 관측하였다. ER-α 양성 MCF-7 세포주에서 FST와 유사하게, CSH1은 에스트로겐-유도된 세포 증식을 차단할 수 있었다(도 9a). 또한, CSH1은 에스트로겐-유도-γ-튜불린 및 ER-α를 억제시킬 수 있었다(도 9b). 하지만, 이들은 기본적인 Rad51 발현은 변화시키지 않았다(도 9b). 또한, 외인성 ER-α 형질감염된 293세포에서 ER-α-매개 전사 활성은 CSH1에 의해 감소하였다(도 9c). 또한, MCF-7에서도 CSH1에 의해 ERE-Luc 활성이 FST 만큼 강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9d). 상기 결과는 CSH1이 ER-α 억제제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탁솔-민감성도 확인하였다. FST의 용량-의존성 민감성과 유사하게, CSH1도 C2 세포에서 용량에 따라 탁솔-유도 세포 사멸이 증가하였다(도 9e). 추가로, CSH1은 VHL-결핍 C2 세포에서 FST와 마찬가지로 Rad51 발현도 증가시켰다(도 9f). FST는 ER-α 발현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이 부분도 또한 시험하였다. 외인성 ER-α는 CSH1에 의해 명확하게 감소되었는데(도 9g), 이는 CSH1이 FST와 매우 유사한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최종적으로, MTOC를 회복시킬 수 있는 FST와 비교하여 MTOC 증폭을 관측하였다. CSH3 뿐만 아니라 CSH1도 MTOC를 회복시켰다(도 9h 및 도 9i). 이러한 결과는 CSH3 뿐만 아니라 CSH1도 FST 대체 화합물의 하나로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희귀 진세노사이드 CSH1(Rg6)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인 탁솔(Taxol) 내성 억제용 약학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인 탁솔(Taxol) 내성은 스트레스 호르몬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인 탁솔(Taxol) 내성 억제용 약학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희귀 진세노사이드 CSH1(Rg6)은 스트레스 호르몬에 의해 유도되는 γ-튜불린 발현을 억제하고, BRCA1 및 Rad51의 결합을 촉진하며, 미세소관 조직화 중심(microtubule organizing center; MTOC) 증폭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인 탁솔(Taxol) 내성 억제용 약학조성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 호르몬은 코르티손(Cortisone) 또는 코르티솔(Cortis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인 탁솔(Taxol) 내성 억제용 약학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60002619A 2016-01-08 2016-01-08 희귀 진세노사이드 CSH1(Rg6)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조성물 KR101732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619A KR101732876B1 (ko) 2016-01-08 2016-01-08 희귀 진세노사이드 CSH1(Rg6)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조성물
PCT/KR2017/000198 WO2017119767A1 (ko) 2016-01-08 2017-01-06 희귀 진세노사이드 CSH1(Rg6)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619A KR101732876B1 (ko) 2016-01-08 2016-01-08 희귀 진세노사이드 CSH1(Rg6)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876B1 true KR101732876B1 (ko) 2017-05-08

Family

ID=60164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619A KR101732876B1 (ko) 2016-01-08 2016-01-08 희귀 진세노사이드 CSH1(Rg6)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8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675A (ko) 2017-01-06 2018-07-17 주식회사 레모넥스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0406A (zh) * 2013-05-08 2013-08-07 江苏省中医药研究院 人参皂苷Rg6在制备治疗淋巴瘤药物中的应用
US20150297727A1 (en) * 2013-04-28 2015-10-22 Fujian South Pharmaceutical Co. Ltd. Saponin nano micelle, preparing method, applic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97727A1 (en) * 2013-04-28 2015-10-22 Fujian South Pharmaceutical Co. Ltd. Saponin nano micelle, preparing method, applic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CN103230406A (zh) * 2013-05-08 2013-08-07 江苏省中医药研究院 人参皂苷Rg6在制备治疗淋巴瘤药物中的应用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4. Vol.2014, Article ID 168940.*
Journal of Agricultural & Food Chemistry. 2014. Vol.62, pp.2830-2836.*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675A (ko) 2017-01-06 2018-07-17 주식회사 레모넥스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01596A (ko) 2017-01-06 2019-01-04 주식회사 레모넥스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24668A (ko) 2017-01-06 2019-11-05 주식회사 레모넥스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96185A (ko) 2017-01-06 2020-08-11 주식회사 레모넥스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1779582B2 (en) 2017-01-06 2023-10-10 Lemonex Inc.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static ovarian cancer, endometrial cancer or breast canc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makrishnan et al. Silymarin inhibited proliferation and induced apoptosis in hepatic cancer cells
Sp et al. Tannic acid inhibits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stemness by inducing G0/G1 cell cycle arrest and intrinsic apoptosis
Liu et al. Phosphodiesterase 5/protein kinase G signal governs stemness of prostate cancer stem cells through Hippo pathway
Das et al. Withaferin A modulates the Spindle Assembly Checkpoint by degradation of Mad2–Cdc20 complex in colorectal cancer cell lines
Turner et al. CRM1 inhibition sensitizes drug resistant human myeloma cells to topoisomerase II and proteasome inhibitors both in vitro and ex vivo
Xu et al. Tetrandrine and cepharanthine induce apoptosis through caspase cascade regulation, cell cycle arrest, MAPK activation and PI3K/Akt/mTOR signal modification in glucocorticoid resistant human leukemia Jurkat T cells
D'Anneo et al. Parthenolide induces caspase‐independent and AIF‐mediated cell death in human osteosarcoma and melanoma cells
Han et al. Triptolide inhibits the AR signaling pathway to suppress the proliferation of enzalutamide resistant prostate cancer cells
Li et al. Anterior gradient 2 is a binding stabilizer of hypoxia inducible factor‐1α that enhances CoCl2‐induced doxorubicin resistance in breast cancer cells
Liu et al. Andrographolide targets androgen receptor pathway in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Kim et al. Ursolic acid facilitates apoptosis in rheumatoid arthritis synovial fibroblasts by inducing SP1-mediated Noxa expression and proteasomal degradation of Mcl-1
Ling et al. Protective effects of Oviductus Ranae-containing serum on oxidative stress-induced apoptosis in rat ovarian granulosa cells
Liang et al. Panax notoginseng saponins mitigate cisplatin induced nephrotoxicity by inducing mitophagy via HIF-1α
Forestier-Román et al. Andrographolide induces DNA damage in prostate cancer cells
Lin et al. Catalpol protects glucose-deprived rat embryonic cardiac cells by inducing mitophagy and modulating estrogen receptor
Chen et al. Purified vitexin compound 1, a new neolignan isolated compound, promotes PUMA‐dependent apoptosis in colorectal cancer
Wirries et al. Panobinostat mediated cell death: a novel therapeutic approach for osteosarcoma
Li et al. Protein arginine methyltransferase 1 may be involved in pregnane x receptor-activated overexpression of multidrug resistance 1 gene during acquired multidrug resistant
KR20200111386A (ko) 아리피프라졸의 항암제 병용요법
Rasheduzzaman et al. Cardiac glycoside sensitized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to TRAIL via ROS generation, p38MAPK, mitochondrial transition, and autophagy mediation
Ku et al. Synergistic anticancer effect of combined use of Trichosanthes kirilowii with cisplatin and pemetrexed enhances apoptosis of H1299 non-small-cell lung cancer cells via modulation of ErbB3
Li et al. Propofol postconditioning protects H9c2 cells from hypoxia/reoxygenation injury by inducing autophagy via the SAPK/JNK pathway
Alevizopoulos et al. Functional characterization and anti-cancer action of the clinical phase II cardiac Na+/K+ ATPase inhibitor istaroxime: in vitro and in vivo properties and cross talk with the membrane androgen receptor
Chen et al. Wilms’ tumor 1 silencing decreases the viability and chemoresistance of glioblastoma cells in vitro: a potential role for IGF-1R de-repression
Zhu et al. Polyphyllin I induces cell cycle arrest and cell apoptosis in human retinoblastoma Y-79 cells through targeting p53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