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386A - 아리피프라졸의 항암제 병용요법 - Google Patents

아리피프라졸의 항암제 병용요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386A
KR20200111386A KR1020190031002A KR20190031002A KR20200111386A KR 20200111386 A KR20200111386 A KR 20200111386A KR 1020190031002 A KR1020190031002 A KR 1020190031002A KR 20190031002 A KR20190031002 A KR 20190031002A KR 20200111386 A KR20200111386 A KR 20200111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aripiprazole
anticancer
cells
adjuv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2792B1 (ko
Inventor
윤성필
김형식
김지영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31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792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Non-condensed pipe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rifampin, thiothixene or sparflox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our-membered rings, e.g. tax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5Quinolines; Isoquinolines having an indole ring, e.g. yohimbine, reserpine, strychnine, vinblas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보조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아리피프라졸은 항암제에 대한 감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어, 항암제와 병용 투여한 경우 암세포 또는 다중약물내성 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증가시킴으로써, 특히, 항암제 내성 암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리피프라졸의 항암제 병용요법{Combination therapy of anticancer drugs and aripiprazole}
본 발명은 아리피프라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보조제; 및 아리피프라졸 및 항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항암제 내성암을 일으키는 기작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암세포의 세포막에 P-gp (P-glycoprotein) 단백질을 과발현(overexpression) 하는 것이다. 즉, 내성암세포는 P-gp를 과발현하여 세포내에 들어온 자신에게 toxic한 항암제를 밖으로 배출 (pumping-out 또는 efflux) 하는 방어기작으로 진화된 세포라고도 볼 수 있다. P-gp를 과발현하는 내성암세포는 기존의 항암제를 투여해도 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항암제 양을 늘려야 하기 때문에 항암제로 인한 인체의 독성이 증가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P-gp의 과발현을 억제하거나 배출 능력을 저하시켜서 내성암세포에 항암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약물의 병용투여가 요구된다.
P-gp를 과발현하는 내성암을 타겟할 수 있는 병용투여 약물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지난 10-20년간 진행되어 왔다. 1세대 약물인 베라파밀(verapamil)이 개발되었고, 이후 컴퓨터 시뮬레이션등을 통한 비-경쟁적 억제제인 3세대 약물의 개발에 까지 이르는 다양한 시도가 되어 오고 있다. 계속적으로 병용 투여 약물이 개발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P-gp 과발현 또는 활성을 막고 항암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임상 프로토콜이 만들어 지지 않은 상태다. 특히, 정상세포내에서도 발현되고 있는 P-gp 때문에 개발된 P-gp 억제제를 투여할 시, 인체내에 정상세포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정상세포에는 무해하거나 정상세포의 기능을 유지시키면서 P-gp를 과발현하는 내성암에만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약물을 찾는데 노력해 왔다. 이러한 노력으로 식물 추출물 중에서도 P-gp 억제 효과가 뛰어난 물질들이 보고되어 왔다. 예를 들어 curcumin, fumagillin, piperine 등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Biopharmaceutics & Drug Disposition, Volume 33, Issue 6
본 발명의 목적은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보조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 및 항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 및 항암제를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보조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리피프라졸은 항암제에 대한 감수성을 증진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할라벤(Halaven), 빈크리스틴(Vincristine), 빈블라스틴(Vinblastine), 비노렐빈(Vinorelvine), 파클리탁셀(Paclitaxel), 도세탁셀(Docetaxel), 에토포사이드(Etoposide), 토포테칸(Topotecan), 이리노테칸(Irinotecan),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독소루비신(Doxorubi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미토마이신(Mitomycin) 또는 블레오마이신(Bleomycin)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리피프라졸은 암세포 또는 다중약물내성 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리피프라졸은 암세포 또는 다중약물내성 암세포에서 과발현되는 P-gp (P-glycoprotein)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리피프라졸은 항암제와 병용하여 투여되는 것일 수 있고, 항암제와 동시에(simultaneous), 별도로(separate) 또는 순차적(sequential)으로 투여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리피프라졸은 0.1 내지 5 μM의 농도로 투여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 μM의 농도로 투여되는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μM의 농도로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암은 항암제 내성 암인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유방암, 난소암, 대장암, 간암, 갑상선암, 쓸개암, 담도암, 췌장암, 전립선암, 식도암, 자궁경부암, 결장암, 방광암, 중추신경종양, 구강암 및 뇌종양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 및 항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 및 항암제를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항암제에 대한 감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어, 항암제와 병용 투여한 경우 암세포 또는 다중약물내성 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증가시킴으로써, 특히, 항암제 내성 암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KBV20C 세포에 24시간(A) 또는 4시간(B) 동안 5 μM의 아리피프라졸(ARI-5) 또는 10 μM의 베라파밀(VER-10, 양성대조군)을 처리한 후, 로다민 염색법을 수행한 결과이다 (Con: 대조군, 0.1% DMSO 처리군).
도 1C는 KBV20C 세포에 24시간 동안 0.1, 0.5, 2.5, 5 μM의 아리피프라졸(ARI) 또는 10 μM의 베라파밀(VER-10, 양성대조군)을 처리한 후, 로다민 염색법을 수행한 결과이다 (Con: 대조군, 0.1% DMSO 처리군).
도 2A 및 2B는 KBV20C 세포에 24시간 동안 0.5, 2.5 μM의 아리피프라졸(ARI-0.5, ARI-2.5), 10 μM의 베라파밀(VER-10), 50 ng/ml의 할라벤(HAL), 할라벤+아리피브라졸(HAL+ARI-0.5, HAL+ARI-2.5) 또는 할라벤+베라파밀(HAL+VER-10)을 처리한 후, 현미경 하(x4)에서 세포를 관찰한 결과(A) 및 아넥신 V 염색 결과(B)이다 (Con: 대조군, 0.1% DMSO 처리군).
도 2C는 KBV20C 세포에 24시간 동안 아리피프라졸(ARI), 할라벤(HAL) 또는 할라벤+아리피프라졸(HAL+ARI)을 처리한 후, 웨스턴블럿을 통해 C-PARP(cleaved poly ADP ribose polymerase), pERK(phosphorylated-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및 pH2AX(phosphorylated-H2A histone family member X)의 발현량을 분석한 결과이다 (Con: 대조군, 0.1% DMSO 처리군).
도 3A는 KBV20C 세포에 24시간 동안 0.5, 2.5 μM의 아리피프라졸(ARI-0.5, ARI-2.5), 50 ng/ml의 할라벤(HAL) 또는 할라벤+아리피프라졸(HAL+ARI-0.5, HAL+ARI-2.5)을 처리한 후, FACS를 통해 세포주기를 분석한 결과이다 (Con: 대조군, 0.1% DMSO 처리군).
도 3B는 KBV20C 세포에 24시간 동안 아리피프라졸(ARI), 할라벤(HAL) 또는 할라벤+아리피프라졸(HAL+ARI)을 처리한 후, 웨스턴블럿을 통해 Cyclin D1, CDK4, p21, pRb, Cyclin E, Cdc2, Cyclin B1 및 CDK2 단백질의 발현량을 분석한 결과이다 (Con: 대조군, 0.1% DMSO 처리군).
도 3C는 KBV20C 세포에 24시간 동안 2.5 μM의 아리피프라졸(ARI-2.5), 10 μM의 베라파밀(VER-10), 5 nM의 빈크리스틴(VIN), 빈크리스틴+아리피프라졸(VIN+ARI-2.5) 또는 빈크리스틴+베라파밀(VIN+VER)을 처리한 후, 현미경 하(x10)에서 세포를 관찰한 결과이다 (Con: 대조군, 0.1% DMSO 처리군).
도 4A는 KBV20C 세포에 24시간 동안 2.5 μM의 아리피프라졸(ARI-2.5) 또는 5 μM의 플루페나진(Fluphenazine; FLU-5)을 처리한 후, 로다민 염색법을 수행한 결과이다 (Con: 대조군, 0.1% DMSO 처리군).
도 4B는 KBV20C 세포에 24시간 동안 0.5, 2.5 μM의 아리피프라졸(ARI-0.5, ARI-2.5), 5 μM의 플루페나진(FLU-5), 50 ng/ml의 할라벤(HAL), 할라벤+아리피브라졸(HAL+ARI-0.5, HAL+ARI-2.5) 또는 할라벤+플루페나진(HAL+FLU-5)을 처리한 후, 현미경 하(x10)에서 세포를 관찰한 결과이다 (Con: 대조군, 0.1% DMSO 처리군).
본 발명의 용어, "항암제 내성(drug-resistance)"은 항암제 치료 요법에 대하여 극히 낮은 감수성을 나타내어 상기 치료 요법에 의하여 암의 증세가 호전, 완화, 경감 또는 치료증상을 나타내지 않는 증상을 말한다. 항암제 내성은 암이 특정 항암제 치료 요법에 대하여 처음부터 내성을 가질 수 있고, 최초에는 내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긴 시간의 치료로 인하여 암세포의 성질이 변하여 동일한 치료제에 대해 더이상 감수성을 나타내지 않게 되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항암 보조제"는 항암제의 항암효과를 개선, 향상 또는 증대시킬 수 있는 제제로서, 그 자체로는 항암활성을 나타내지 않으나 항암제와 함께 사용될 경우, 상기 항암제의 항암효과를 개선, 향상 또는 증대시킬 수 있는 제제일 수 있다. 또한, 농도의존적인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제제를 그 자체로는 항암활성을 나타내지 않은 수준으로 항암제와 함께 사용할 경우, 상기 항암제의 항암효과를 개선, 향상 또는 증대시킬 수 있는 제제일 수 있다.
항암 보조제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암 보조제는 목적하는 바에 따라 복강 내 투여, 정맥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비 내 투여, 폐 내 투여, 직장 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항암 보조제는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치료 또는 예방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사용된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사용된 본 발명의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사용목적, 질환의 중독도,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기왕력, 또는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되는 물질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성인 1인당 약 0.1 ng 내지 약 100 mg/kg, 바람직하게는 1 ng 내지 약 10 mg/kg로 투여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험방법
1.1. 사용된 내성세포주
본 발명에서는 사람구강편평상피암세포주(Human oral squamous carcinoma cell line)인 KB 세포 및 이의 다중약물내성 세포주(multidrugresistant subline)인 KBV20C 세포 (Dr. Yong Kee Kim, College of Pharmac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가 사용되었다. KBV20C 세포는 KB 세포에 항암제를 오랫동안 처리하여 P-gp(P-glycoprotein)의 과발현을 통해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가지게 된 세포주이다. 상기 세포는 10% FBS(fetal bovine serum), 100 U/ml penicillin 및 100 μg/ml streptomycin이 포함된 RPMI 1640 배지(WelGENE, Daegu, South Korea)에서 배양되었다.
1.2. 로다민 염색법(Rhodamine123 staining)
KBV20C 세포는 60-mm 디쉬에 30-40% confluence로 분주하고, 4시간 또는 24시간 동안 0.1% DMSO (Con, 대조군), 0.1, 0.5, 2.5, 5 μM의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 ARI) 또는 10 μM의 베라파밀(verapamil, VER, 양성대조군)을 처리하였다. 이후, 세포는 37℃ 에서 약 1시간 동안 2 μg/ml의 로다민123이 처리되었고, 배지를 제거한 후, PBS로 세척하였다. 염색된 세포는 Guava EasyCyte Plus Flow Cytometer (Merck Millipore, Billerica, MA,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1.3. 아넥신 V 염색법(annexin V staining)
KBV20C 세포는 60-mm 디쉬에 30-40% confluence로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0.1% DMSO (Con, 대조군), 0.5, 2.5 μM의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 ARI), 10 μM의 베라파밀(verapamil, VER, 양성대조군), 50 ng/ml의 할라벤(Halaven, HAL) 단독 또는 이의 조합을 처리하였다. 이후, 세포는 트립신으로 떼어내고 원심분리하여 펠릿을 얻은 후, PBS로 세척하였다. 세포는 5 μl의 아넥신 V-FITC 및 5 μl의 PI를 추가한 100 μl의 바인딩 버퍼(binding buffer)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15분 동안 반응시켰다. 염색된 세포는 Guava EasyCyte Plus Flow Cytometer (Merck Millipore, Billerica, MA, USA)를 사용하여 세포사멸 정도를 분석하였다.
1.4. 웨스턴블럿
KBV20C 세포는 60-mm 디쉬에 30-40% confluence로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0.1% DMSO (Con, 대조군),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 ARI), 50 ng/ml의 할라벤(Halaven, HAL) 단독 또는 이의 조합을 처리하였다. 이후, 세포는 차가운 PBS로 2번 세척되었고, 스크래퍼로 떼어냈다. 전체 단백질 분리를 위해, 세포는 PRO-PREP™ protein extract solution (iNtRON, Seongnam, South Korea)에 부유시킨 후 30분 동안 얼음 위에 두었다. 이후, 4℃, 15,000 × g 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단백질의 양은 protein assay kit (Bio-Rad, Hercules, CA, USA)을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측정되었다. 이후, SDS-PAGE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를 수행한 후, 멤브레인으로 블럿팅시키고, 각 단백질에 대한 특이적인 항체를 사용하여 단백질의 발현량을 분석하였다.
1.5. 세포주기 분석
KBV20C 세포는 60-mm 디쉬에 30-40% confluence로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0.1% DMSO (Con, 대조군), 0.5, 2.5 μM의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 ARI), 50 ng/ml의 할라벤(Halaven, HAL) 단독 또는 이의 조합을 처리하였다. 이후, 세포는 트립신으로 떼어내고 원심분리하여 펠릿을 얻었고, PBS로 세척한 후, 4℃에서 1시간 동안 75% 에탄올을 첨가하여 부유시켰다. 이후, PBS로 세척하였고, 차가운 PI(propidium iodide) 용액(PBS에 100 μg/ml RNase A 및 50 μg/ml PI)에서 30분 동안 재부유시켰다. 염색된 세포는 Guava EasyCyte Plus Flow Cytometer (Merck Millipore, Billerica, MA, USA)를 사용하여 세포주기를 분석하였다.
실시예 2.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의 P-gp (P-glycoprotein) 활성억제 효과
본 발명자들은 약물이 P-gp (P-glycoprotein) 활성을 억제하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로다민 염색법(Rhodamine123 staining)을 수행하였다. 로다민은 P-gp의 기질로서 P-gp의 활성이 억제되면 로다민이 세포에 축적되므로, 로다민의 양을 통해 P-gp의 활성억제에 대한 정량분석이 가능한 방법이다.
그 결과, 4시간 또는 24시간 동안 아리피프라졸(5 μM)을 내성세포주인 KBV20C 세포에 처리한 경우 양성대조군인 10 μM의 베라파밀에 비해 낮은 농도에서도 P-gp의 활성을 현저히 억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도 1A 및 1B). 또한, 24시간 동안 주어진 농도에 따라 아리피프라졸을 처리한 경우 0.1 μM 농도에서 부터 음성대조군에 비해 높은 P-gp의 활성억제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2.5 μM이상의 농도에서는 양성대조군인 베라파밀보다 P-gp의 활성억제 효과가 훨씬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C).
상기 결과로부터 낮은 농도의 아리피프라졸(2.5 내지 5 μM)은 내성세포주에서 베라파밀보다 P-gp의 활성억제 효과가 현저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 및 항암제(할라벤, Halaven)에 의한 내성세포주의 세포사멸(apoptosis) 증가 효과
본 발명자들은 아리피프라졸 및 항암제를 내성세포주인 KBV20C 세포에 병용 처리한 후 세포사멸(apoptosis)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early 및 late apoptosis의 증가를 측정할 수 있는 아넥신 V 염색(annexin V staining)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내성세포주인 KBV20C 세포에 아리피프라졸 및 할라벤을 병용 처리한 경우에는 각각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세포증식이 감소하고, 세포사멸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음을 현미경 하(x4 배율)에서 확인하였다 (도 2A). 또한, 아넥신 V 염색결과에서는 0.5 μM의 아리피프라졸 및 할라벤을 병용 처리한 경우 할라벤을 단독 처리한 경우보다 세포사멸 효과가 증가되었고, 특히, 2.5 μM의 아리피프라졸을 항암제인 할라벤과 병용 처리한 경우에는 10 μM의 베라파밀을 할라벤과 병용 처리한 경우보다 높은 정도의 세포사멸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2B).
또한, 본 발명자들은 아리피프라졸 및 항암제를 내성세포주인 KBV20C 세포에 병용 처리한 후 세포사멸(apoptosis)의 효과와 어떠한 cellular signaling pathway와의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C-PARP(cleaved poly ADP ribose polymerase), pERK(phosphorylated-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pH2AX(phosphorylated-H2A histone family member X) 및 β-actin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웨스턴블럿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내성세포주인 KBV20C 세포에 아리피프라졸 및 할라벤을 병용 처리한 경우에는 각각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세포사멸의 중요 단백질인 C-PARP 및 DNA 손상 마커인 pH2AX의 발현량이 현저히 증가되었고, 세포성장 signaling pathway의 주요인자인 pERK의 발현량은 현저히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2C).
이로써, 본 발명자들은 아리피프라졸 및 항암제를 병용 처리한 경우 낮은 농도에서도 내성세포주의 세포사멸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고, 그 기작으로서 pERK 경로의 감소와 더불어 DNA 손상 및 세포사멸 인자의 발현량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 및 항암제(할라벤, Halaven)에 의한 내성세포주의 세포주기 분석 결과
본 발명자들은 아리피프라졸 및 항암제를 내성세포주인 KBV20C 세포에 병용 처리한 후 세포주기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주기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내성세포주인 KBV20C 세포에 아리피프라졸 및 할라벤을 병용 처리한 경우에는 각각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G2 phase가 현저히 증가되었다 (도 3A). 특히, 0.5 μM의 아리피프라졸을 할라벤과 병용 처리한 경우에는 G2 phase가 50% 로 나타났고, 2.5 μM의 아리피프라졸을 할라벤과 병용 처리한 경우에는 G2 phase가 92% 로서 G2 arrest가 확연하게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세포주기 관련 인자인 Cyclin D1, CDK4, p21, pRb, Cyclin E, Cdc2, Cyclin B1 및 CDK2 단백질의 발현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웨스턴블럿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CDK2, CDK4, Cyclin E 및 p21의 발현량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Cyclin D1 및 Cyclin B1에서 약간의 증가를 보였으나 미미한 정도였다 (도 3B). 그런데, 내성세포주인 KBV20C 세포에 아리피프라졸 및 할라벤을 병용 처리한 경우에는 각각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pRB의 발현량이 확연히 증가되었고, Cdc2의 발현량은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가 있었고 (도 3B), 이는 상기 세포주기 분석에서 G2 arrest와 일치된 결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본 발명자들은 아리피프라졸 및 항암제를 병용 처리한 경우 G2 arrest를 통해 내성세포주의 세포사멸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 및 항암제(빈크리스틴, Vincristine)에 의한 효과
본 발명자들은 아리피프라졸이 할라벤 뿐만 아니라 다른 항암제와의 병용 처리에도 세포증식 또는 세포사멸에 대한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간단히, KBV20C 세포는 60-mm 디쉬에 30-40% confluence로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0.1% DMSO (Con, 대조군), 2.5 μM의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 ARI), 10 μM의 베라파밀, 5 nM의 빈크리스틴(Vincristine, VIN) 단독 또는 이의 조합을 처리하였다. 이후, 현미경 하에서 세포증식 또는 세포사멸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항암제인 빈크리스틴을 단독으로 처리하거나 아리피프라졸 또는 베라파밀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베라파밀 또는 아리피프라졸을 빈크리스틴과 병용 처리한 경우에는 세포사멸이 현저히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아리피프라졸의 경우에는 베라파밀보다 더 낮은 농도에서 더 현저히 세포사멸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도 3C).
이로써, 본 발명자들은 아리피프라졸 및 다양한 항암제를 병용 처리한 경우 낮은 농도에서 내성세포주의 세포사멸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과 플루페나진(Fluphenazine)의 효과 비교
본 발명자들이 3년전에 논문으로 보고한 플루페나진과의 상대적인 비교를 통해 아리피프라졸이 어느정도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지를 분석하였다. 즉, 아리피프라졸과 플루페나진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로다민(Rhodamine123) 염색법을 통해 P-gp 활성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간단히, KBV20C 세포는 60-mm 디쉬에 30-40% confluence로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0.1% DMSO (Con, 대조군), 2.5 μM의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 ARI) 또는 5 μM의 플루페나진(Fluphenazine, FLU)을 처리하였다. 이후, 로다민으로 염색한 후, FACS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아리피프라졸은 2.5 μM의 낮은 농도에서도 높은 농도의 플루페나진보다 P-gp 활성억제 효과가 뛰어났음을 확인하였다 (도 4A).
또한, 본 발명자들은 아리피프라졸과 플루페나진의 세포증식 또는 세포사멸 효과를 분석하였다. 간단히, KBV20C 세포는 60-mm 디쉬에 30-40% confluence로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0.1% DMSO (Con, 대조군), 0.5 μM, 2.5 μM의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 ARI), 5 μM의 플루페나진(Fluphenazine, FLU), 50 ng/ml의 할라벤(Halaven, HAL) 단독 또는 이의 조합을 처리하였다. 이후, 현미경 하에서 세포증식 또는 세포사멸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5 μM의 아리피프라졸 및 할라벤을 병용 처리한 경우에는 5 μM의 플루페나진 및 할라벤을 병용 처리한 경우보다 현저하게 세포사멸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4B).
이로써, 본 발명자들은 아리피프라졸이 플루페나진보다 P-gp 억제활성 효과가 더 현저하고, 아리피프라졸을 항암제와 병용 처리한 경우 기존 플루페나진보다 낮은 농도에서도 현저하게 내성세포주의 세포사멸을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5)

  1.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보조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리피프라졸은 항암제에 대한 감수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보조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할라벤(Halaven), 빈크리스틴(Vincristine), 빈블라스틴(Vinblastine), 비노렐빈(Vinorelvine), 파클리탁셀(Paclitaxel), 도세탁셀(Docetaxel), 에토포사이드(Etoposide), 토포테칸(Topotecan), 이리노테칸(Irinotecan),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독소루비신(Doxorubi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미토마이신(Mitomycin) 또는 블레오마이신(Bleomyc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보조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리피프라졸은 암세포 또는 다중약물내성 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보조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리피프라졸은 암세포 또는 다중약물내성 암세포에서 과발현되는 P-gp (P-glycoprotein)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보조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리피프라졸은 항암제와 병용하여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보조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리피프라졸은 항암제와 동시에(simultaneous), 별도로(separate) 또는 순차적(sequential)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보조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리피프라졸은 0.5 내지 2.5 μM의 농도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보조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항암제 내성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보조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유방암, 난소암, 대장암, 간암, 갑상선암, 쓸개암, 담도암, 췌장암, 전립선암, 식도암, 자궁경부암, 결장암, 방광암, 중추신경종양, 구강암 및 뇌종양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보조제.
  11.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 및 항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할라벤(Halaven), 빈크리스틴(Vincristine), 빈블라스틴(Vinblastine), 비노렐빈(Vinorelvine), 파클리탁셀(Paclitaxel), 도세탁셀(Docetaxel), 에토포사이드(Etoposide), 토포테칸(Topotecan), 이리노테칸(Irinotecan),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독소루비신(Doxorubi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미토마이신(Mitomycin) 또는 블레오마이신(Bleomyc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리피프라졸은 0.5 내지 2.5 μM의 농도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항암제 내성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유방암, 난소암, 대장암, 간암, 갑상선암, 쓸개암, 담도암, 췌장암, 전립선암, 식도암, 자궁경부암, 결장암, 방광암, 중추신경종양, 구강암 및 뇌종양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90031002A 2019-03-19 2019-03-19 아리피프라졸의 항암제 병용요법 KR102212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002A KR102212792B1 (ko) 2019-03-19 2019-03-19 아리피프라졸의 항암제 병용요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002A KR102212792B1 (ko) 2019-03-19 2019-03-19 아리피프라졸의 항암제 병용요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386A true KR20200111386A (ko) 2020-09-29
KR102212792B1 KR102212792B1 (ko) 2021-02-05

Family

ID=72661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002A KR102212792B1 (ko) 2019-03-19 2019-03-19 아리피프라졸의 항암제 병용요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7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27768A (zh) * 2023-05-12 2023-06-27 暨南大学 阿立哌唑在制备LAMP2a蛋白抑制剂以及具有抗癌作用的药物中的应用
WO2023219410A1 (ko) * 2022-05-10 2023-11-16 한국원자력의학원 아리피프라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raf 억제제의 항암 효과 증진용 조성물
WO2023219409A1 (ko) * 2022-05-10 2023-11-16 한국원자력의학원 아리피프라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kras g12c 유전변이 치료제의 항암 효과 증진용 조성물
WO2023219412A1 (ko) * 2022-05-10 2023-11-16 한국원자력의학원 아리피프라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erk 저해제의 항암 효과 증진용 조성물
WO2023219411A1 (ko) * 2022-05-10 2023-11-16 한국원자력의학원 아리피프라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mek 저해제의 항암 효과 증진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ticancer Research, 36, 5153-5162, 2016.* *
Anticancer Research, 36, 5867-5874, 2016. *
Biopharmaceutics & Drug Disposition, Volume 33, Issue 6
Oncotarget, 9(5), 5979-5992, 2018. *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9410A1 (ko) * 2022-05-10 2023-11-16 한국원자력의학원 아리피프라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raf 억제제의 항암 효과 증진용 조성물
WO2023219409A1 (ko) * 2022-05-10 2023-11-16 한국원자력의학원 아리피프라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kras g12c 유전변이 치료제의 항암 효과 증진용 조성물
WO2023219412A1 (ko) * 2022-05-10 2023-11-16 한국원자력의학원 아리피프라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erk 저해제의 항암 효과 증진용 조성물
WO2023219411A1 (ko) * 2022-05-10 2023-11-16 한국원자력의학원 아리피프라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mek 저해제의 항암 효과 증진용 조성물
CN116327768A (zh) * 2023-05-12 2023-06-27 暨南大学 阿立哌唑在制备LAMP2a蛋白抑制剂以及具有抗癌作用的药物中的应用
CN116327768B (zh) * 2023-05-12 2023-08-08 暨南大学 阿立哌唑在制备LAMP2a蛋白抑制剂以及具有抗癌作用的药物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792B1 (ko) 202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792B1 (ko) 아리피프라졸의 항암제 병용요법
Ren et al. Synergistic anti-cancer effects of galangin and berberine through apoptosis induction and proliferation inhibition in oesophageal carcinoma cells
Salmani et al. Apigenin's anticancer properties and molecular mechanisms of action: Recent advances and future prospectives
Jiang et al. Anti-tumor effects of osthole on ovarian cancer cells in vitro
Wong et al. Saikosaponin‐d Enhances the Anticancer Potency of TNF‐α via Overcoming Its Undesirable Response of Activating NF‐Kappa B Signalling in Cancer Cells
El-Ashmawy et al. Ginger extract adjuvant to doxorubicin in mammary carcinoma: study of some molecular mechanisms
Stanisławska et al. The effects of urolithins on the response of prostate cancer cells to non-steroidal antiandrogen bicalutamide
Tee et al. Induction of apoptosis by Eurycoma longifolia Jack extracts
Chen et al. Functional and mechanistic analysis of telomerase: An antitumor drug target
Kwon et al. Induction of apoptosis by isoegomaketone from Perilla frutescens L. in B16 melanoma cells is mediated through ROS generation and mitochondrial-dependent,-independent pathway
Ling et al. Hydroxamic acid derivatives of β-carboline/hydroxycinnamic acid hybrids inducing apoptosis and autophagy through the PI3K/Akt/mTOR pathways
Shao et al. Esculentoside A protects against osteoarthritis by ameliorating inflammation and repressing osteoclastogenesis
Fan et al. Centipeda minima extract sensitizes lung cancer cells to DNA-crosslinking agents via targeting Fanconi anemia pathway
Wang et al. Silybin B exerts protective effect on cisplatin-induced neurotoxicity by alleviating DNA damage and apoptosis
Zhang et al. Synergistic effects of a novel lipid-soluble extract from Pinellia pedatisecta Schott and cisplatin on human cervical carcinoma cell lines through the regulation of DNA damage response signaling pathway
KR102203334B1 (ko) 피모자이드의 항암제 병용요법
Guo et al. Morusinol extracted from Morus alba induces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via inhibition of DNA damage response in melanoma by CHK1 degradation through the ubiquitin-proteasome pathway
KR20190106315A (ko) 비소세포폐암의 표피성장인자 수용체 표적 항암제에 대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Ali et al. In vitro anticancer activity of extracted oil from Parrotiopsis jacquemontiana (Decne) Rehder
Jayakumar et al. Purified Solasodine from Solanum mauritianum Scop. and its molecular mechanism of antimetastatic potential
Abdel-Sattar et al. Hypophyllanthin and Phyllanthin from Phyllanthus niruri Synergize Doxorubicin Anticancer Properties against Resistant Breast Cancer Cells
KR100583051B1 (ko) 암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계피 및 대추 추출물
JP7022064B2 (ja) 薬用のアンブローシア属植物抽出物
KR102103597B1 (ko) 메수프론 및 오라노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91042B1 (ko) 노랑붓꽃으로부터 분리된 아이리딘을 포함하는 신장 독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