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758A - 과금 시스템, 과금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과금 시스템, 과금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758A
KR20190123758A KR1020197028031A KR20197028031A KR20190123758A KR 20190123758 A KR20190123758 A KR 20190123758A KR 1020197028031 A KR1020197028031 A KR 1020197028031A KR 20197028031 A KR20197028031 A KR 20197028031A KR 20190123758 A KR20190123758 A KR 20190123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rfid tag
point
rf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7741B1 (ko
Inventor
다츠야 히구치
아츠시 이다
요헤이 고지마
가즈요시 기타지마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3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08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06Q30/0185Product, service or business identity frau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 과금 시스템은, RFID 태그가 부착되어 주행하는 차량에 대하여, RFID 태그와 통신함으로써 차량에 관한 과금 처리를 행하는 과금 시스템에 있어서, RFID 태그와 통신하는 도로 측 통신 장치(40)에 의해 검출되는 RFID 태그에 기입된 RFID 정보를 취득하는 RFID 정보 취득부(53)와, RFID 태그 또는 차량의 차량 본체에 관한 외관 정보를 취득하는 외관 정보 취득부(55)와, RFID 정보와 외관 정보를 조합한 외관 판정용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정용 정보의 각 부당성을 판정하고, 부당성에 기초하여 포인트를 계산하는 포인트 연산부(56)와, 포인트에 기초하여 부정 차량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부(57)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과금 시스템, 과금 방법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은 과금 시스템, 과금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고속 도로 등의 유료 도로에서는 통행하는 차량의 차종 구분에 관련된 금액의 요금(통행 요금)을 과금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에 관련되는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통행하는 차량의 판별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요금 과금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09-167985호
요금 과금 시스템에 RFID를 이용하는 경우, 차량에 재치되는 RFID 태그를 다른 차량과 교체하는 부정을 행함으로써, 규정의 요금보다도 싼 요금으로 요금 과금 시스템을 통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요금 과금 시스템은 이러한 RFID 태그의 부정 사용을 행하고 있는 차량을 추정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RFID 태그의 부정 사용을 행하고 있는 차량을 추정할 수 있는 과금 시스템, 과금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양태의 과금 시스템(100)은, RFID 태그(α)가 부착되어 주행하는 차량(A)에 대하여, 당해 RFID 태그와 통신함으로써 당해 차량에 관한 과금 처리를 행하는 과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와 통신하는 도로 측 통신 장치(40)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RFID 태그에 기입된 RFID 정보를 취득하는 RFID 정보 취득부(53)와, 상기 RFID 태그 또는 상기 차량의 차량 본체에 관한 외관 정보를 취득하는 외관 정보 취득부(55)와, 상기 RFID 정보와 상기 외관 정보를 조합한 외관 판정용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정용 정보의 부당성을 판정하고, 상기 부당성에 기초하여 포인트를 계산하는 포인트 연산부(56)와, 상기 포인트에 기초하여 부정 차량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부(57)를 구비한다.
본 양태에 의하면, 과금 시스템은, RFID 정보와 외관 정보를 조합한 외관 판정용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정용 정보의 각 부당성을 포인트제로 판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과금 시스템은 하나의 외관 정보에 의지하지 않고 복수의 판정용 정보로부터 RFID 태그의 부정 사용을 행하고 있는 차량을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과금 시스템은 RFID 태그의 부정 사용을 행하고 있는 차량을 추정할 수 있다.
제2 양태의 과금 시스템은, 상기 포인트 연산부가 각 부당성으로서 부당성 포인트를 각각 판정하고, 상기 부당성 포인트를 적산(積算)하여 종합 포인트를 계산하는 제1 양태의 과금 시스템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부당성 포인트를 적산하여 종합 포인트를 계산하기 위해, 과금 시스템은 각 부당성을 종합하여 판정할 수 있다.
제3 양태의 과금 시스템은, 상기 포인트 연산부가 각 부당성 포인트에 중점을 두어 상기 종합 포인트를 계산하는 제2 양태의 과금 시스템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부당성 포인트에 중점을 두기 위해, 과금 시스템은 각 부당성에 중점을 두어 판정할 수 있다.
제4 양태의 과금 시스템은, 상기 RFID 태그가 검출한 탬퍼 알람 정보를 취득하는 알람 취득부(54)를 추가로 구비하고, 포인트 연산부가, 상기 부당성과 함께, 상기 탬퍼 알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트를 계산하는 제1부터 제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과금 시스템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탬퍼 알람 정보에 기초하여 포인트를 계산하기 때문에, 과금 시스템은, 과거에 RFID 태그가 벗겨진 적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과금 시스템은 교체하기 위해 부정하게 벗겨진 적이 있는 RFID 태그가 탑재된 부정 차량을 판정할 수 있다.
제5 양태의 과금 시스템은, 상기 외관 정보 취득부가 상기 외관 정보로서 상기 RFID 태그로부터의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는 추정 차고 정보를 취득하는 차고 정보 취득부(55A)를 갖는 제1부터 제4 양태 중 어느 하나의 과금 시스템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외관 정보로서 추정 차고 정보를 취득하기 때문에, 과금 시스템은 RFID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차종과 다른 차량을 갖는 부정 차량을 판정할 수 있다.
제6 양태의 과금 시스템은, 상기 외관 정보 취득부가 상기 외관 정보로서 화상 처리에 의해 상기 차량 번호를 취득하는 차량 번호 취득부(55B)를 갖는 제1부터 제5의 양태 중 어느 하나의 과금 시스템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외관 정보로서 차량 번호를 취득하기 때문에, 과금 시스템은 RFID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차량 번호와 다른 차량 번호를 갖는 부정 차량을 판정할 수 있다.
제7 양태의 과금 시스템은, 상기 외관 정보 취득부가 상기 외관 정보로서 화상 처리에 의해 상기 RFID 태그의 외관 패턴을 취득하는 태그 외관 취득부(55C)를 갖는 제1부터 제5의 양태 중 어느 하나의 과금 시스템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외관 정보로서 RFID 태그의 외관을 취득하기 때문에, 과금 시스템은 RFID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외관과 다른 외관을 갖는 RFID 태그를 재치하는 부정 차량을 판정할 수 있다.
제8 양태의 과금 방법은, RFID 태그가 부착되어 주행하는 차량에 대하여, 당해 RFID 태그와 통신함으로써 당해 차량에 관한 과금 처리를 행하는 과금 방법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와 통신하는 도로 측 통신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RFID 태그에 기입된 RFID 정보를 취득하는 RFID 정보 취득 스텝과, 상기 RFID 태그 또는 상기 차량의 차량 본체에 관한 외관 정보를 취득하는 외관 정보 취득 스텝과, 상기 RFID 정보와 상기 외관 정보를 조합한 외관 판정용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정용 정보의 각 부당성을 판정하고, 상기 부당성에 기초하여 포인트를 계산하는 포인트 연산 스텝과, 상기 포인트에 기초하여 부정 차량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포인트 판정 스텝을 실시한다.
제9 양태의 프로그램은, RFID 태그가 부착되어 주행하는 차량에 대하여, 당해 RFID 태그와 통신함으로써 당해 차량에 관한 과금 처리를 행하는 과금 시스템의 컴퓨터를, 상기 RFID 태그와 통신하는 도로 측 통신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RFID 태그에 기입된 RFID 정보를 취득하는 RFID 정보 취득부, 상기 RFID 태그 또는 상기 차량의 차량 본체에 관한 외관 정보를 취득하는 외관 정보 취득부, 상기 RFID 정보와 상기 외관 정보를 조합한 외관 판정용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정용 정보의 각 부당성을 판정하고, 상기 부당성에 기초하여 포인트를 계산하는 포인트 연산부, 및 상기 포인트에 기초하여 부정 차량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포인트 판정부로서 기능시킨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RFID 태그의 부정 사용을 행하고 있는 차량을 추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과금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 판별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 판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RFID 태그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과금 방법의 플로 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과금 통신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과금 시스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과금 시스템(100)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과금 시스템(10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금 수수 설비(10)와, 중앙 결재 처리 장치(70)를 갖고 있다.
요금 수수 설비(10)는 유료 도로인 고속 도로의 출구 요금소(요금 형식에 따라서는 입구 요금소)에 설치되어, 고속 도로의 이용자로부터, 당해 이용자가 승차하는 차량(A)에 관련된 금액의 요금 수수를 행하기 위한 설비이다.
차량(A)은 출구 요금소에 설치된 과금 시스템(100)에 있어서 고속 도로 측으로부터 일반 도로 측으로 통하는 차선(LN)을 주행하고 있다. 차선(LN)의 양측에는, 아일랜드(IL)가 부설되어 있고, 요금 수수 설비(10)를 구성하는 각종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차선(LN)이 연재(延在)하는 방향(도 1에 있어서의 ±X 방향)을 「차선 방향」이라고 기재하고, 또한 차선(LN)의 차선 방향에 있어서의 고속 도로 측(도 1에 있어서의 +X 방향 측)을 「상류 측」이라고 기재한다. 또한, 차선(LN)의 차선 방향에 있어서의 일반 도로 측(도 1에 있어서의 -X 방향 측)을 「하류 측」이라고 기재한다.
또한, 차선(LN)의 폭 방향을 차선 폭 방향(도 1에 있어서의 ±Y 방향)이라고 부르고, 차량(A)의 차량 방향을 상하 방향(도 1에 있어서의 ±Z 방향)이라고 부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금 수수 설비(10)는, 차량 판별 시스템(20), 진입 측 차량 검지기(91)와, 발진 제어기(92)와, 발진 측 차량 검지기(93)를 구비한다.
요금 수수 설비(10)는 출구 요금소를 통과하려고 하는 차량(A)과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 처리(이하, 단지 「무선 통신」이라고 표기)를 행하여 차량(A)의 차종에 관련된 과금 처리를 행하는 장치이다.
차량 판별 시스템(20)은, 촬영부(30)와, RFID 리더(40)(도로 측 통신 장치)와,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금 수수 설비(10)의 각 장치는,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을 향하여, 진입 측 차량 검지기(91), 촬영부(30), RFID 리더(40),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 발진 제어기(92), 발진 측 차량 검지기(93)가 순서대로 도로 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FID 리더(40)는 주행하는 차량(A)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RFID 리더(40)는 후술하는 RFID 태그(α)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여 RFID 태그(α)에 기입된 RFID 정보를 수신한다.
RFID 리더(40)는 소정 주파수대(UHF대, 마이크로파 주파수대 등)의 전자파를 송수신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당해 전자파를 통함으로써 도래한 차량(A)에 탑재되는 RFID 태그(α)와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는 요금 수수 설비(10)에 의한 일련의 과금 처리를 담당하는 처리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컴퓨터를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로서 기능시키고 있다.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는, 촬영부(30)가 촬영하여 취득한 정보를 촬영부(30)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수신한다. 또한,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는, RFID 리더(40)가 수신한 정보를 RFID 리더(40)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수신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는 취득된 정보나 결정된 과금 액수의 정보 등을, 통신 회선을 통하여 원격지(J)에 설치된 중앙 결재 처리 장치(70)(상위 장치)에 출력한다.
진입 측 차량 검지기(91)는, 아일랜드(IL) 상에 설치되어, 차선(LN)을 차선 폭 방향(±Y 방향)에 협지하여 대향하는 투광탑 및 수광탑을 통하여, 차선(LN)을 주행하는 차량(A)(차체)의 존재의 유무를 판정하고, 차량 통과 정보로서 차체 1대분의 소정 위치의 통과(진입)를 검출한다.
발진 제어기(92)는 차선(LN)의 하류 측에 설치되어 차선(LN)을 주행하는 차량(A)의 발진의 제어를 행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발진 제어기(92)는, 차량(A)과의 과금 처리가 정규로 행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차량(A)의 퇴출을 제한하기 위해 차선(LN)을 폐쇄한다. 또한, 발진 제어기(92)는, 차량(A)에 대한 과금 처리가 정규로 완료한 경우에는 차선(LN)을 개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금 수수 설비(10)는 발진 제어기(92)를 구비하고 있지만, 차량(A)의 퇴출 제한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는, 요금 수수 설비(10)는 발진 제어기(92)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발진 측 차량 검지기(93)는 차선(LN)의 가장 하류 측에 설치되어 차량(A)의 요금 수수 설비(10)로부터의 퇴출을 검지한다.
(촬영부의 구성)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부(30)는 요금 수수 설비(10)에 진입한 차량(A)의 차체를 진행 방향 전방 측으로부터 촬영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촬영부(30)는, 진입 측 차량 검지기(91)로부터 차량(A)의 진입이 검지되면 차량(A)을 전방 측으로부터 촬영하여, 당해 차량(A)의 번호판(number plate) 및 RFID 태그(α)를 포함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도로 측 통신 장치의 구성)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FID 리더(40)는 리더 본체(41), RSSI 검파기(42) 및 알람 검출부(43)를 구비한다.
리더 본체(41)는 요금 수수 설비(10)에 진입한 차량(A)에 탑재되는 RFID 태그(α)로부터 RFID 태그(α)에 기입된 RFID 정보를 수신한다.
RSSI 검파기(42)는 RFID 태그(α)로부터 RFID 정보를 수신할 때에, 수신한 전자파의 RSSI(수신 신호 강도)를 계측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알람 검출부(43)는, RFID 태그(α)가 검출한 탬퍼 알람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탬퍼 알람 정보를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RFID 태그(α)는 카드 형상을 갖고, 카드 면의 한쪽이 점착면(αs)으로 된 스티커 타입의 RFID 태그이다. RFID 태그(α)는, 카드 면 전면(全面)에 걸쳐서 넣어진 절입부(切入部)(PRC)와, 절입부(PRC)에 걸쳐서 연장되는 복수의 알람 검색 패턴(PTT)을 갖고 있다. 알람 검색 패턴(PTT)은 도전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RFID 태그(α)는, 알람 검색 패턴(PTT)의 점(PA)과 점(PB) 사이의 도통(導通)의 유무를 전기적으로 검출함으로써, 알람 검색 패턴(PTT)의 절단의 유무를 검출하고, 「절단 있음」 또는 「절단 없음」의 탬퍼 알람 신호를 포함하는 탬퍼 알람 정보를 알람 검출부(43)에 송신한다.
RFID 태그(α)는 한번 붙인 후에 강제적으로 벗겨지면, 절입부(PRC)를 걸친 부분에 있어서 알람 검색 패턴이 절단된다. 이때, RFID 태그(α)는 「절단 있음」을 검출하여 「절단 있음」이라는 탬퍼 알람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절단 있음」이라는 탬퍼 알람 신호를 포함하는 탬퍼 알람 정보는 알람 검출부(43)에 송신된다.
도 4에서는, 점(PA)과 점(PB) 사이에 있어서, 복수의 알람 검색 패턴(PTT)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변형예로서, 점(PA)과 점(PB) 사이에 있어서, 복수의 알람 검색 패턴(PTT)은 직렬로 접속되어도 좋다. 다른 변형예로서, 점(PA)과 점(PB) 사이의 복수 알람 검색 패턴(PTT)은 단일의 알람 검색 패턴(PTT)이라도 좋다.
(과금 통신 처리 장치의 구성)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51)를 구비한다. CPU(5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금 결정부(52), RFID 정보 취득부(53), 알람 취득부(54), 외관 정보 취득부(55), 포인트 연산부(56) 및 판정부(57)를 기능적으로 구비한다.
또한, 외관 정보 취득부(55)는 차고 정보 취득부(55A), 차량 번호 취득부(55B) 및 태그 외관 취득부(55C)를 기능적으로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는 후술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CPU(51)를 요금 결정부(52), RFID 정보 취득부(53), 알람 취득부(54), 외관 정보 취득부(55), 포인트 연산부(56) 및 판정부(57)로서 기능시키고 있다. 또한,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는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외관 정보 취득부(55)를 차고 정보 취득부(55A), 차량 번호 취득부(55B) 및 태그 외관 취득부(55C)로서 기능시키고 있다.
요금 결정부(52)는 통행 요금으로서, RFID 정보 취득부(53)가 특정하는 후술의 등록 차종 정보(VCR)에 관련된 금액의 요금을 결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리 차종 정보가, 차종 구분에 관련되어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 또는 중앙 결재 처리 장치(70)에 격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요금 결정부(52)는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 또는 중앙 결재 처리 장치(70)에 격납된 데이터에 액세스하여 차종 정보에 관련된 차종 구분을 특정한다. 예를 들어, 차종 구분은 「경자동차」, 「보통차」, 「중형차」, 「대형차」 및 「특대차」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따라서 요금 결정부(52)는 특정된 차종 구분에 관련된 금액의 요금을 결정할 수 있다.
RFID 정보 취득부(53)는 RFID 리더(40)에 의해 검출되는 RFID 태그(α)에 기입된 RFID 정보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RFID 태그(α)에는, 적어도 다른 RFID 태그와 식별할 수 있는 태그 ID가 기입되어 있다. 그 때문에, RFID 정보 취득부(53)는 태그 ID를 포함하는 RFID 정보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태그 ID는 미리 등록된 차종 정보에 관련되어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 또는 중앙 결재 처리 장치(70)에 격납되어 있다. 이에 의해, RFID 정보 취득부(53)는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 또는 중앙 결재 처리 장치(70)에 격납된 데이터에 액세스하여, 취득된 태그 ID에 관련된 등록 차종 정보(VCR)를 RFID 정보로서 특정한다.
알람 취득부(54)는 RFID 리더(40)의 알람 검출부(43)로부터 탬퍼 알람 정보를 취득한다.
외관 정보 취득부(55)는 RFID 리더(40)로부터 복수의 외관 정보를 취득한다. 자세한 내용은 이하에 나타낸다.
차고 정보 취득부(55A)는 외관 정보로서 차량(A)의 추정 차고 정보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추정 차고 정보로서 최대 RSSI를 취득한다.
차고 정보 취득부(55A)는 RFID 리더(40)의 RSSI 검파기(42)로부터 RSSI 검파기(42)가 검출한 RSSI 중 최대 RSSI를 취득한다. RSSI는, 주행하는 차량(A)이 RFID 리더(40)에 근접할수록 커지고, RFID 리더(40)의 하방을 통과할 때 최대치로 된다. RFID 리더(40)의 하방을 통과한 후, 검출되는 RSSI는, 주행하는 차량(A)이 RFID 리더(40)로부터 떨어질수록 작아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고 정보 취득부(55A)는 RFID 리더(40)의 하방을 통과할 때 최대치를 신호 조절에 의해 특정하고, 최대 RSSI로서 취득한다.
차고 정보 취득부(55A)는 추가로 최대 RSSI로부터 차종 정보(VCX)를 특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차종의 차량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는 최대 RSSI가, 미리 차종 정보에 관련되어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 또는 중앙 결재 처리 장치(70)에 격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차고 정보 취득부(55A)는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 또는 중앙 결재 처리 장치(70)에 격납된 데이터에 액세스하여, 취득된 최대 RSSI에 관련된 차종 정보(VCX)를 특정한다.
차량 번호 취득부(55B)는 외관 정보로서 차량(A)의 차량 번호정보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번호 취득부(55B)는 촬영부(3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차량 번호 취득부(55B)는, 취득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화상 처리에 의해, 화상 데이터에 비춰진 차량(A)의 번호판에 적힌 차량 번호를 검출 차량 번호(DNM)로서 취득한다.
차량 번호 취득부(55B)는, 추가로, RFID 정보 취득부(53)가 취득한 태그 ID로부터 등록 차량 번호(RNM)를 특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태그 ID는 미리 등록된 차량 번호에 관련되어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 또는 중앙 결재 처리 장치(70)에 격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차량 번호 취득부(55B)는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 또는 중앙 결재 처리 장치(70)에 격납된 데이터에 액세스하여, 취득된 태그 ID에 관련된 등록 차량 번호(RNM)를 특정한다.
태그 외관 취득부(55C)는 외관 정보로서 RFID 태그(α)의 외관 정보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태그 외관 취득부(55C)는 촬영부(3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태그 외관 취득부(55C)는, 취득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화상 처리에 의해, 화상 데이터에 비춰진 RFID 태그(α)의 색 패턴 또는 반사재 패턴을 태그 패턴(TPN)으로서 취득한다.
태그 외관 취득부(55C)는 취득된 태그 패턴(TPN)으로부터 차종 정보(VCY)를 특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차종의 RFID 태그의 태그 패턴이 미리 차종 정보에 관련되어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 또는 중앙 결재 처리 장치(70)에 격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태그 외관 취득부(55C)는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 또는 중앙 결재 처리 장치(70)에 격납된 데이터에 액세스하여, 취득된 태그 패턴(TPN)에 관련된 차종 정보(VCY)를 특정한다.
예를 들어, 「보통차」, 「중형차」, 「대형차」에 관련된 색 패턴이 각각 「적」, 「청」, 「황」인 경우, 태그 패턴(TPN)으로서 「황」의 색 패턴이 추출되었다면, 차종 정보(VCY)는 「대형차」라고 특정된다.
또한, 「보통차」, 「중형차」, 「대형차」에 관련된 반사재 패턴이 각각 「사각」, 「삼각」, 「둥근(丸)」인 경우, 태그 패턴(TPN)으로서 「사각」의 반사재 패턴이 취득되었다면, 차종 정보(VCY)는 「보통차」라고 특정된다.
포인트 연산부(56)는 RFID 정보와 외관 정보를 조합한 외관 판정용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정용 정보의 각 부당성을 판정하고, 부당성에 기초하여 포인트를 계산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인트 연산부(56)는 부당성으로서 탬퍼 알람 정보에 기초하여 부당성 포인트(P1)를 판정한다.
또한, 포인트 연산부(56)는 각 부당성으로서 추정 차고 정보에 기초하여 부당성 포인트(P2)를 판정하고, 차량 번호에 기초하여 부당성 포인트(P3)를 판정하고, RFID 태그의 외관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부당성 포인트(P4)를 판정한다.
탬퍼 알람 정보에 기초하는 부당성 포인트(P1)의 판정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포인트 연산부(56)는 알람 취득부(54)로부터 탬퍼 알람 정보를 판정용 정보로서 취득한다.
포인트 연산부(56)는 알람 취득부(54)로부터 알람 정보로서 「절단 있음」이라는 탬퍼 알람 신호를 취득하지 않았다면, 부당성 포인트(P1)=0으로 판정한다. 포인트 연산부(56)는 「절단 있음」이라는 탬퍼 알람 신호를 취득하였다면, 부당성 포인트(P1)=1로 판정한다.
이 때문에, 한번 붙여진 후, 벗겨진 적이 없는 RFID 태그를 재치하고 있는 차량에 비하여, 부정한 교체에 의해 벗겨진 적이 있는 RFID 태그를 재치하고 있는 차량 쪽이, 부당성 포인트(P1)가 큰 값이 된다.
추정 차고 정보에 기초하는 부당성 포인트(P2)의 판정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포인트 연산부(56)는 차고 정보 취득부(55A)에서 특정된 차종 정보(VCX), 및 RFID 정보 취득부(53)에서 특정된 등록 차종 정보(VCR)를 외관 판정용 정보로서 취득한다. 포인트 연산부(56)는 취득된 차종 정보(VCX)와 등록 차종 정보(VCR)를 비교한다.
포인트 연산부(56)는, 차종 정보(VCX)와 등록 차종 정보(VCR)가 일치하면, 부당성 포인트(P2)=0으로 판정한다. 포인트 연산부(56)는, 차종 정보(VCX)와 등록 차종 정보(VCR)가 일치하지 않으면, 부당성 포인트(P2)=1로 판정한다.
예를 들어, 대형차인 트럭은, 보통차에 비해 차량이 크기 때문에, RFID 태그(α)는 보통차에 재치되었을 때에 비하여, 트럭에 재치되었을 때가 RFID 리더(40)에 가깝다. 이 때문에, 보통차에 재치되었을 때에 비하여, 트럭에 재치되었을 때가, RFID 리더(40)의 RSSI 검파기(42)에서 계측되는 RSSI는 커진다. 이 때문에, 차고 정보 취득부(55A)는 차종 정보(VCX)를 「대형차」라고 특정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다른 한편으로, RFID 태그(α)가 보통차로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등록 차종 정보(VCR)는 「보통차」라고 특정된다.
따라서 부정한 교체에 의해 보통차의 RFID 태그(α)를 재치하고 있는 트럭은 부당성 포인트(P2)=1로 판정되어, 부당성 포인트(P2)는 큰 값이 된다.
차량 번호에 기초하는 부당성 포인트(P3)의 판정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포인트 연산부(56)는 차량 번호 취득부(55B)에서 특정된 등록 차량 번호(RNM)와 검출 차량 번호(DNM)를 외관 판정용 정보로서 취득한다. 포인트 연산부(56)는 취득된 등록 차량 번호(RNM)와 검출 차량 번호(DNM)를 정보 처리에 의해 대조한다.
포인트 연산부(56)는 등록 차량 번호(RNM)와 검출 차량 번호(DNM)를 대조하여, 등록 차량 번호(RNM)와 검출 차량 번호(DNM)가 일치하면, 부당성 포인트(P3)=0으로 판정한다. 포인트 연산부(56)는, 등록 차량 번호(RNM)와 검출 차량 번호(DNM)가 일치하지 않으면, 부당성 포인트(P3)=1로 판정한다.
만일 차량(A)의 RFID 태그(α)가 다른 차량에 부정하게 교체되어, RFID 태그(α)가 탑재된 다른 차량이 요금 수수 설비(10)를 통과했다로 한다.
이 경우, 등록 차량 번호(RNM)로서, 태그 ID에 관련된 등록 차량 번호가 특정된다.
다른 한편으로, 검출 차량 번호(DNM)로서, 다른 차량의 번호판에 적힌 차량 번호가 특정되기 때문에, 등록 차량 번호(RNM)와 일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부정하게 교체된 RFID 태그(α)가 탑재된 다른 차량은, 검출 차량 번호(DNM)가 등록 차량 번호(RNM)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부당성 포인트(P3)=1로 판정되고, 부당성 포인트(P3)는 큰 값이 된다.
RFID 태그의 외관 정보에 기초하는 부당성 포인트(P4)의 판정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포인트 연산부(56)는 태그 외관 취득부(55C)에서 특정된 차종 정보(VCY), 및 RFID 정보 취득부(53)에서 특정된 등록 차종 정보(VCR)를 외관 판정용 정보로서 취득한다. 포인트 연산부(56)는 취득된 차종 정보(VCY)와 등록 차종 정보(VCR)를 비교한다.
포인트 연산부(56)는, 차종 정보(VCY)와 등록 차종 정보(VCR)가 일치하면, 부당성 포인트(P4)=0으로 판정한다. 포인트 연산부(56)는, 차종 정보(VCY)와 등록 차종 정보(VCR)가 일치하지 않으면, 부당성 포인트(P4)=1로 판정한다.
만일 차량(A)의 RFID 태그(α)가 다른 차량에 부정하게 교체되어, RFID 태그(α)가 탑재된 다른 차량의 차종에 맞도록, RFID 태그(α)에 대하여, 색 패턴의 색바꿈, 색 패턴의 새로 붙임, 반사재 패턴의 새로 붙임 등과 같은 부정한 가공이 실시되었다로 한다.
이 경우, 태그 외관 취득부(55C)는 색 바꿈된 색 패턴, 새로 붙여진 색 패턴, 새로 붙여진 반사재 패턴 등에 관련된 차종 정보를 차종 정보(VCY)로서 특정한다.
다른 한편으로, RFID 정보 취득부(53)는 RFID 태그(α)의 태그 ID에 관련된 차종 정보를 등록 차종 정보(VCR)로서 특정한다.
이 때문에, 차종 정보(VCY)와 등록 차종 정보(VCR)가 일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부정하게 가공된 RFID 태그(α)가 탑재된 다른 차량이 요금 수수 설비(10)를 통과하려고 하면, 차종 정보(VCY)와 등록 차종 정보(VCR)가 일치하지 않게 되고, 부당성 포인트(P4)=1로 판정되어, 부당성 포인트(P4)는 큰 값이 된다.
포인트 연산부(56)는 부당성 포인트(P1∼P4)를 적산하여 종합 포인트를 계산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합 포인트(Pt)를 계산하는 연산을 이하의 식(1)에 나타낸다.
Pt=W1ХP1+W2ХP2+W3ХP3+W4ХP4?(1)
여기서, W1∼W4는 각 부당성 포인트(P1∼P4)의 가중치 계수이다. W1∼W4는 각 부당성 포인트의 중요도에 관련하여 미리 설정한 값으로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에 격납되어 있어 미리 설정 가능하다. 이에 의해, 종합 포인트(Pt)는 각 부당성 포인트에 중점을 두어 계산된다.
판정부(57)는 포인트에 기초하여 부정 차량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정부(57)는 종합 포인트(Pt)와 미리 설정된 판정 값(Pv)을 비교한다.
비교의 결과, 판정부(57)는, 종합 포인트(Pt)>판정 값(Pv)인 경우, 부정 차량이라고 판정한다. 판정부(57)는, 종합 포인트(Pt)>판정 값(Pv)이 아닌 경우, 정상 차량이라고 판정한다.
판정 값(Pv)은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에 미리 격납되어 미리 설정 가능하다.
판정부(57)는 차량(A)을 부정 차량이라고 판정한 경우, 재치되는 RFID 태그의 태그 ID를 포함하는 차량(A)에 관한 정보를 부정 차량으로서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 또는 중앙 결재 처리 장치(70)에 격납함으로써 등록한다. 차량(A)을 부정 차량이라고 판정하지 않았을 경우, 재치되는 RFID 태그의 태그 ID를 포함하는 차량(A)에 관한 정보를 정상 차량으로서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 또는 중앙 결재 처리 장치(70)에 격납함으로써 등록한다.
(기타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인트 연산부(56)는 P1∼P4를 0과 1의 2단계 값을 판정하고 있지만, 변형예로서 부당성의 가능성에 관련하여 3단계 이상의 값을 판정해도 좋다.
예를 들어, 부당성 포인트(P1)의 경우, RFID 태그(α)가 복수의 알람 검색 패턴(PTT)의 절단을 개별로 검출하여 복수의 탬퍼 알람 신호를 포함하는 탬퍼 알람 정보를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포인트 연산부(56)는 「절단 있음」이라는 탬퍼 알람 신호의 수에 관련하여 부당성 포인트(P1)를 3단계 이상의 값으로 판정해도 좋다. 이에 의해, 포인트 연산부(56)는, 부정한 벗김이 되풀이된 RFID 태그일수록 부당성 포인트(P1)가 커지도록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부당성 포인트(P3)의 경우, 포인트 연산부(56)는 등록 차량 번호(RNM)와 검출 차량 번호(DNM)와의 일치도에 관련하여, 일치도가 작을수록 부당성 포인트(P3)가 커지도록 3단계 이상의 값을 판정한다.
RFID 태그가 교체된 경우, 등록 차량 번호(RNM)와 검출 차량 번호(DNM)와의 일치도는 극히 작아진다. 그 때문에, 포인트 연산부(56)는 촬영 조건이나 번호판의 오염 등에 의한 검출 차량 번호(DNM)의 오검출의 경우에 비하여, RFID 태그가 교체된 경우에 부당성 포인트(P3)가 커지도록 판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RFID 정보 취득부(53)는 태그 ID로부터 등록 차종 정보(VCR)를 특정하고 있지만, 변형예로서 RFID 리더(40)가 RFID 태그에 기입된 차종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RFID 리더(40)에 의해 검출된 차종 정보를, RFID 정보 취득부(53)가 등록 차종 정보(VCR)로서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영부(30)가 RFID 리더(40)의 상류에 설치되어 있지만, 변형예로서 촬영부(30)는 차선 방향(±X 방향)에 관하여 RFID 리더(40)와 거의 동일한 위치로서, Y 방향에 따라 RFID 리더(40)와 나란하도록 설치되어도 좋다. 다른 변형예로서 촬영부(30)는 RFID 리더(40)에 내장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인트 연산부(56)는 부당성 포인트(P1∼P4)의 모두를 판정하여 종합 포인트(Pt)를 계산하고 있지만, 변형예로서 부당성 포인트(P1∼P4) 중 적어도 복수의 부당성 포인트를 판정하여 종합 포인트(Pt)를 계산해도 좋다.
다른 변형예로서 부당성 포인트(P1∼P4) 이외의 다른 부당성의 판정을 조합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RFID 정보 취득부(53), 알람 취득부(54), 외관 정보 취득부(55), 포인트 연산부(56) 및 판정부(57)가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에 설치되어 있지만, 변형예로서 중앙 결재 처리 장치(70)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RFID 정보 취득부(53), 알람 취득부(54), 외관 정보 취득부(55), 포인트 연산부(56) 및 판정부(57)의 전부 또는 어느 하나가 중앙 결재 처리 장치(70)에 설치되어도 좋다.
(과금 방법)
본 발명에 관한 과금 방법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과금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과금 방법은, RFID 태그(α)가 부착되어 주행하는 차량(A)에 대하여 RFID 태그(α)와 무선 통신함으로써 차량(A)에 관한 과금 처리를 행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FID 정보 취득부(53)는, RFID 리더(40)로부터, RFID 태그(α)에 기입된 태그 ID를 RFID 정보로서 취득한다(ST1: RFID 정보 취득 스텝).
다음에, 알람 취득부(54)는, RFID 리더(40)로부터, RFID 태그(α)가 생성하는 탬퍼 알람 정보를 취득한다(ST2: 알람 취득 스텝).
다음에, 외관 정보 취득부(55)는, RFID 리더(40)로부터, RFID 태그(α) 또는 차량(A)의 차량 본체에 관한 외관 정보를 취득한다(ST3: 외관 정보 취득 스텝). 구체적으로는, 차고 정보 취득부(55A)가 RFID 태그(α)로부터의 수신 신호 강도(RSSI)에 기초하는 최대 RSSI(추정 차고 정보)를 취득하고, 차량 번호 취득부(55B)가 화상 처리에 의해 차량(A)의 검출 차량 번호(DNM)를 취득하며, 태그 외관 취득부(55C)가 화상 처리에 의해 태그 패턴(TPN)(외관 패턴)을 취득한다.
다음에, 포인트 연산부(56)는 RFID 정보와 외관 정보를 조합한 외관 판정용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정용 정보를 취득한다. 포인트 연산부(56)는 취득된 RFID 정보와 외관 정보를 조합한 외관 판정용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정용 정보에 의해 부당성 포인트(P1∼P4)를 판정하고, 부당성 포인트(P1∼P4) 및 가중치 계수(W1∼W4)에 기초하여 종합 포인트(Pt)를 계산한다(ST4: 포인트 연산 스텝).
다음에, 판정부(57)는 종합 포인트(Pt)와 미리 설정된 판정 값(Pv)을 취득한다. 판정부(57)는 취득된 종합 포인트(Pt)와 판정 값(Pv)에 기초하여 부정 차량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T5: 포인트 판정 스텝). 구체적으로는, 종합 포인트(Pt)와 판정 값(Pv)을 비교한다.
비교의 결과, 종합 포인트(Pt)>판정 값(Pv)인 경우(ST5: 예), 판정부(57)는 차량(A)을 부정 차량이라고 판정하여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 또는 중앙 결재 처리 장치(70)에 부정 차량으로서 등록한다(ST6: 부정 차량 등록 스텝). 그때, 재치되는 RFID 태그(α)의 태그 ID를 포함하는 차량(A)에 관한 정보를 부정 차량으로서 등록한다.
비교의 결과, 종합 포인트(Pt)>판정 값(Pv)이 아닌 경우(ST5: 아니오), 판정부(57)는 차량(A)을 정상 차량이라고 판정하여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 또는 중앙 결재 처리 장치(70)에 정상 차량으로서 등록한다(ST7: 부정 차량 등록 스텝). 그때, 재치되는 RFID 태그(α)의 태그 ID를 포함하는 차량(A)에 관한 정보를 정상 차량으로서 등록한다.
본 실시형태의 과금 방법은, 차량(A)이 요금 수수 설비(10)를 통과하고 있는 한가운데에 실시되어도 좋고, 요금 수수 설비(10)를 통과한 후에 실시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과금 방법은 알람 취득 스텝(ST2)의 다음에 외관 정보 취득 스텝(ST3)을 실시하고 있지만, 외관 정보 취득 스텝(ST3)의 다음에 알람 취득 스텝(ST2)을 실시해도 좋고, 동시에 실시해도 좋다.
(하드웨어 구성)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는, CPU(51)와 함께, 메모리(510)와, 기억/재생 장치(520)와, IO I/F(Input Output Interface)(530)와, 통신 I/F(Interface)(540)를 추가로 구비한다.
메모리(510)는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의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매체이다.
기억/재생 장치(520)는 CD-ROM, DVD, 플래시 메모리 등의 외부 미디어에 데이터 등을 기억하거나, 외부 미디어의 데이터 등을 재생하거나 하기 위한 장치이다.
IO I/F(530)는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와 요금 수수 설비(10)의 각 장치 사이에서 정보 등의 입출력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통신I/F(540)는 인터넷, 전용 통신 회선 등의 통신 회선을 통하여 과금 통신 처리 장치(50)와 중앙 결재 처리 장치(70)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작용 및 효과)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과금 시스템(100)은 RFID 정보와 외관 정보를 조합한 외관 판정용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정용 정보의 각 부당성을 포인트제로 판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과금 시스템(100)은 하나의 외관 정보에 의지하지 않고 복수의 판정용 정보로부터 RFID 태그의 부정 사용을 행하고 있는 차량을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과금 시스템(100)은 RFID 태그의 부정 사용을 행하고 있는 차량을 추정할 수 있다.
과금 시스템(100)은, RFID 정보로부터 등록 차종 정보(VCR)를 특정하기 위해, 차량 본체의 형상을 계측하는 센서를 추가하지 않아도 부정 차량을 판정할 수 있다.
과금 시스템(100)은 부당성 포인트(P1∼P4)를 적산하여 종합 포인트(Pt)를 계산하기 때문에, 과금 시스템(100)은 각 부당성을 종합하여 판정할 수 있다.
또한, 과금 시스템(100)은 부당성 포인트(P1∼P4)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과금 시스템(100)은 각 부당성에 중점을 두어 판정할 수 있다.
과금 시스템(100)에서는, 판정 값(Pv) 및 중점 계수가 설정 가능하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운용 실태에 맞춘 판정이 가능해진다.
탬퍼 알람 정보에 기초하여 포인트를 계산하기 때문에, 과금 시스템(100)은 과거에 RFID 태그가 벗겨진 적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과금 시스템(100)은 교체를 위해 부정하게 벗겨진 적이 있는 RFID 태그가 탑재된 부정 차량을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 RFID 태그의 교체는, 즉 부정 차량이라고 판정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즉, 부정 차량이라고 판정하지 않도록 하면, 예를 들어 동일 차종 간에서의 RFID 태그의 교체와 같은 RFID 태그의 교체를 부정으로 하지 않는 운용을 허용할 수 있다.
외관 정보로서 추정 차고 정보를 취득하기 때문에, 과금 시스템(100)은 RFID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차종과 다른 차량을 갖는 부정 차량을 판정할 수 있다.
외관 정보로서 차량 번호를 취득하기 때문에, 과금 시스템(100)은 RFID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차량 번호와 다른 차량 번호와 다른 차량 번호를 갖는 부정 차량을 판정할 수 있다.
외관 정보로서 RFID 태그의 외관을 취득하기 때문에, 과금 시스템(100)은 기록된 정보와 외관이 다른 RFID 태그를 재치하는 부정 차량을 판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과금 통신 처리 장치의 각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 들여 실행함으로써 각종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각 CPU의 각종 처리의 과정은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억되어 있고, 이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읽어 내어 실행함으로써 상기 각종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DVD-ROM, 반도체 메모리 등을 말한다. 또한, 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신 회선에 의해 컴퓨터에 전송하고, 이 전송을 받은 컴퓨터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과금 통신 처리 장치의 각종 기능이 네트워크로 접속되는 복수의 장치에 걸쳐서 구비되는 양태라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실시형태는, 기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의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면 동일하게,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의 균등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RFID 태그의 부정 사용을 행하고 있는 차량을 추정할 수 있다.
10: 요금 수수 설비
20: 차량 판별 시스템
30: 촬영부
40: RFID 리더
41: 리더 본체
42: RSSI 검파기
43: 알람 검출부
50: 과금 통신 처리 장치
51: CPU
52: 요금 결정부
53: RFID 정보 취득부
54: 알람 취득부
55: 외관 정보 취득부
55A: 차고 정보 취득부
55B: 차량 번호 취득부
55C: 태그 외관 취득부
56: 포인트 연산부
57: 판정부
70: 중앙 결재 처리 장치
91: 진입 측 차량 검지기
92: 발진 제어기
93: 발진 측 차량 검지기
100: 과금 시스템
510: 메모리
520: 재생 장치
530: IO I/F
540: 통신 I/F
A: 차량
IL: 아일랜드
J: 원격지
LN: 차선
PRC: 벤 자국
PTT: 알람 검색 패턴
α: RFID 태그
αs: 점착면

Claims (9)

  1. RFID 태그가 부착되어 주행하는 차량에 대하여, 당해 RFID 태그와 통신함으로써 당해 차량에 관한 과금 처리를 행하는 과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와 통신하는 도로 측 통신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RFID 태그에 기입된 RFID 정보를 취득하는 RFID 정보 취득부와,
    상기 RFID 태그 또는 상기 차량의 차량 본체에 관한 외관 정보를 취득하는 외관 정보 취득부와,
    상기 RFID 정보와 상기 외관 정보를 조합한 외관 판정용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정용 정보의 각 부당성을 판정하고, 상기 부당성에 기초하여 포인트를 계산하는 포인트 연산부와,
    상기 포인트에 기초하여 부정 차량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하는 과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연산부가 각 부당성으로서 부당성 포인트를 각각 판정하고, 상기 부당성 포인트를 적산하여 종합 포인트를 계산하는 과금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연산부가 각 부당성 포인트에 중점을 두어 상기 종합 포인트를 계산하는 과금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가 검출한 탬퍼 알람 정보를 취득하는 알람 취득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포인트 연산부가, 상기 부당성과 함께, 상기 탬퍼 알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트를 계산하는 과금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 정보 취득부가 상기 외관 정보로서 상기 RFID 태그로부터의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는 추정 차고 정보를 취득하는 차고 정보 취득부를 갖는 과금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 정보 취득부가 상기 외관 정보로서 화상 처리에 의해 상기 차량 번호를 취득하는 차량 번호 취득부를 갖는 과금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 정보 취득부가 상기 외관 정보로서 화상 처리에 의해 상기 RFID 태그의 외관 패턴을 취득하는 태그 외관 취득부를 갖는 과금 시스템.
  8. RFID 태그가 부착되어 주행하는 차량에 대하여, 당해 RFID 태그와 통신함으로써 당해 차량에 관한 과금 처리를 행하는 과금 방법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와 통신하는 도로 측 통신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RFID 태그에 기입된 RFID 정보를 취득하는 RFID 정보 취득 스텝과,
    상기 RFID 태그 또는 상기 차량의 차량 본체에 관한 외관 정보를 취득하는 외관 정보 취득 스텝과,
    상기 RFID 정보와 상기 외관 정보를 조합한 외관 판정용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정용 정보의 각 부당성을 판정하고, 상기 부당성에 기초하여 포인트를 계산하는 포인트 연산 스텝과,
    상기 포인트에 기초하여 부정 차량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포인트 판정 스텝을 실시하는 과금 방법.
  9. RFID 태그가 부착되어 주행하는 차량에 대하여, 당해 RFID 태그와 통신함으로써 당해 차량에 관한 과금 처리를 행하는 과금 시스템의 컴퓨터를,
    상기 RFID 태그와 통신하는 도로 측 통신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RFID 태그에 기입된 RFID 정보를 취득하는 RFID 정보 취득부,
    상기 RFID 태그 또는 상기 차량의 차량 본체에 관한 외관 정보를 취득하는 외관 정보 취득부,
    상기 RFID 정보와 상기 외관 정보를 조합한 외관 판정용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정용 정보의 각 부당성을 판정하고, 상기 부당성에 기초하여 포인트를 계산하는 포인트 연산부, 및
    상기 포인트에 기초하여 부정 차량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부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
KR1020197028031A 2017-03-29 2017-03-29 과금 시스템, 과금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327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13019 WO2018179171A1 (ja) 2017-03-29 2017-03-29 課金システム、課金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758A true KR20190123758A (ko) 2019-11-01
KR102327741B1 KR102327741B1 (ko) 2021-11-17

Family

ID=6367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031A KR102327741B1 (ko) 2017-03-29 2017-03-29 과금 시스템, 과금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15128B2 (ko)
JP (1) JP6803970B2 (ko)
KR (1) KR102327741B1 (ko)
GB (1) GB2574354B (ko)
MY (1) MY197934A (ko)
SG (1) SG11201908834RA (ko)
WO (1) WO20181791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2448B (zh) * 2018-12-18 2021-10-26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基于灯光的车辆端通信方法
DE102019203872A1 (de) * 2019-03-21 2020-09-24 Continental Automotive Romania Srl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r Zeitdifferenz
CN110796751A (zh) * 2019-08-23 2020-02-14 新大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防盗刷的车载单元、etc系统及车载单元的防盗刷方法
TWI763051B (zh) * 2020-09-24 2022-05-0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路側裝置及其通訊波束指向調整方法
US11715335B2 (en) * 2021-02-09 2023-08-01 AtoBe—Mobility Technology, S.A. Automated computational method and tolling system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validity of the passage of a vehicle in a tol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7985A (ja) 1995-12-15 1997-06-24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内外信号伝達装置
JP2000182109A (ja) * 1998-12-15 2000-06-30 Toshiba Corp 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料金収受方法
JP2005044277A (ja) * 2003-07-25 2005-02-17 Fuji Xerox Co Ltd 不正通信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3664A (ja) * 2002-03-08 2003-09-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有料道路料金収受システム
JP4237509B2 (ja) * 2003-01-17 2009-03-11 株式会社東芝 料金収受システム、料金収受方法
GB0708720D0 (en) * 2007-05-04 2007-06-13 Nxp Bv Road toll system likning on baord unit with vehicle
JP5500930B2 (ja) * 2009-09-30 2014-05-21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 加入審査システム及び加入審査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321264B2 (en) * 2009-10-16 2012-11-27 Kapsch Trafficcom Ag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oll charging parameters
JP6535938B2 (ja) * 2015-06-08 2019-07-03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料金収受設備、料金収受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7985A (ja) 1995-12-15 1997-06-24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内外信号伝達装置
JP2000182109A (ja) * 1998-12-15 2000-06-30 Toshiba Corp 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料金収受方法
JP2005044277A (ja) * 2003-07-25 2005-02-17 Fuji Xerox Co Ltd 不正通信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15128B2 (en) 2022-04-26
US20200311743A1 (en) 2020-10-01
WO2018179171A1 (ja) 2018-10-04
SG11201908834RA (en) 2019-10-30
MY197934A (en) 2023-07-25
JP6803970B2 (ja) 2020-12-23
GB2574354A (en) 2019-12-04
GB2574354B (en) 2021-12-01
KR102327741B1 (ko) 2021-11-17
GB201913825D0 (en) 2019-11-06
JPWO2018179171A1 (ja)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3758A (ko) 과금 시스템, 과금 방법 및 프로그램
CN107004347A (zh) 驾驶判定装置和检测装置
JP6569138B2 (ja) 車軸数検出装置、車種判別システム、車軸数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396709B (zh) 基于超宽带通信的终端交互方法及装置、介质、电子设备
TW201702936A (zh) 雙嵌入式光學字元辨識(ocr)引擎
KR20180110040A (ko) 동일 차량 검출 장치, 요금 수수 설비, 동일 차량 검출 방법 및 프로그램
JP7225993B2 (ja) 同一車両判定装置、同一車両判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09691B2 (ja) 改札監視システム
JP6535938B2 (ja) 料金収受設備、料金収受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19568B1 (ko) 전기차 및 하이패스 인식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 운영 방법
KR102022786B1 (ko)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 차종 판별 장치, 타이어 패턴 판정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6945495B2 (ja) 不正通行検出装置、不正通行検出システムおよび不正通行検出方法
KR20190068210A (ko) 차량 인식 장치
JP6521294B2 (ja) 課金処理装置、課金処理システム、課金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048225A (ja) 車両認識装置及び車両認識方法
KR20090077114A (ko) 유료도로의 통행료 면탈 방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0218482A (ja) 不正車両検出装置及び不正車両検出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9199163A (ja) 料金収受システムおよび不正通行車両の抑止方法
JP7097193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料金収受方法
JP3562417B2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JP7161552B2 (ja) 課金装置、料金収受システム、課金方法、プログラム、及び、料金収受システムの製造方法
CN113269015B (zh) 车型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系统及存储介质
TWI734050B (zh) 車輛識別方法與系統以及物件識別方法與系統
JPH11232508A (ja) 料金徴収システム
JP2023137883A (ja) 不正検知装置、不正検知システム、不正検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