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638B1 -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또는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또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638B1
KR102380638B1 KR1020200045459A KR20200045459A KR102380638B1 KR 102380638 B1 KR102380638 B1 KR 102380638B1 KR 1020200045459 A KR1020200045459 A KR 1020200045459A KR 20200045459 A KR20200045459 A KR 20200045459A KR 102380638 B1 KR102380638 B1 KR 102380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ing
information
section
po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1988A (ko
Inventor
안순현
Original Assignee
렉스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렉스젠(주) filed Critical 렉스젠(주)
Publication of KR20210121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G08G1/05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photographing overspeeding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하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지점 간의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지점 각각에서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촬영 영상, 촬영 위치, 촬영 시간 및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을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획득하는 주행정보 생성부;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촬영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주행영상처리부; 상기 주행정보 및 상기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지점과 관련된 상기 차량의 운행 경로를 분석하는 주행정보 분석부; 및 상기 차량의 운행 경로 상에서, 두 지점으로 구성된 구간에 대한 상기 차량의 촬영 영상에 상기 차량의 전방 촬영 영상 및 후방 촬영 영상이 있는 경우, 상기 구간의 거리 또는 상기 차량의 상기 구간을 통과하는데 소요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주행정보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또는 방법{Apparatus, system or method for monitoring vehicle traffic}
본 발명은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또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카메라 또는 레이다를 활용하여 획득한 차량의 주행 정보를 활용하여 구간 속도를 산출하거나, 이러한 구간 속도를 산출하는데 있어서 사용될 수 있는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두 지점으로 이루어진 구간 내 차량의 주행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법규 위반을 검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1. 구간 단속
본 발명과 관련된 구간 단속은, 주로 고속도로 또는 고속화도로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구간 속도를 측정하여 과속 여부를 검출하는 단속 방법이다. 구간 단속은 구간의 시작 지점 그리고 종료 지점에 각각 설치된, 차량의 주행방향을 마주보도록 설정된 속도 측정 장비(카메라 및 레이다 등으로 구성됨) 2 세트가 두 지점을 통과하는데 소요된 시간과 상기 두 지점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해당 구간에서의 차량의 평균 주행 속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수반한다. 구간 단속의 대비되는 개념으로는 지점(spot) 단속 방식이 있는데, 이는 한 지점에서 하나의 속도 측정 장비 1 세트를 통해 주행 속도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다만, 지점 단속은 설치된 카메라 주변에서만 감속하는 캥거루 주행을 피해 회피할 수 있어, 운전자에게 제한 속도 내 운전을 유지하게 하는 효과가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로교통공단에서 발표한 연구자료("구간 단속 장비 효과 분석 및 설치 기준 연구")에 따르면, 구간 단속 장비 설치 전후에 따라 사고수, 대물 피해 환산 계수(EPDO; Equivalent Property Damage Only), 인명피해사고 발생율이 상당히 줄어들고, 구간 주행 평균 속도 및 제한 속도 초과 비율 역시 줄어듬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간 단속 장비 및 구간 설치는 확대될 것이라 기대되는 상황이다.
다만 구간 단속의 경우, 단속 장치가 최소 2세트가 필요함에 따라, 설치 및 관리 비용의 증가가 필연적일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2. 어린이/노인 보호 구역과 같은 저속 구간 단속
초등학교 주변에 설정된 어린이 보호 구역, 그리고 도심 외곽의 노인층이 많은 지역에 설정된 노인 보호 구역과 같은 저속 구간에 대한 과속 단속은 지점 단속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지점 단속의 문제점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캥거루 주행 등의 방식으로 해당 보호 구역 설정의 취지에 반하는 운행이 여전하며, 해당 구역 내 어린이, 노약자 등의 인명사고가 끊이질 않아 최근 입법화된 일명 민식이법 등의 입법 취지에 따르면 이러한 보호 구역 내 구간 단속이 좀더 본질적인 단속 방식이 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구간 단속이기에 앞서 설명한 비용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대적으로 저속 구간이므로 주행 속도의 측정이 보다 정밀해야 하는 요구사항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구간 단속의 방식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과속 단속 또는 속도 측정을 위한 장비 또는 장치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는 정밀한 구간 속도 측정이 가능한 구간 속도 측정 장치 또는 방법, 또는 이를 활용한 구간 과속 단속 장치 또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며, 다음과 같은 해결 수단을 통해 달성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 지점으로 이루어진 구간 내 차량의 주행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법규 위반을 검출하기 위한 장비, 장치 또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며, 다음과 같은 해결 수단을 통해 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하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지점 간의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지점 각각에서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촬영 영상, 촬영 위치, 촬영 시간 및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을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획득하는 주행정보 생성부;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촬영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주행영상처리부; 상기 주행정보 및 상기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지점과 관련된 상기 차량의 운행 경로를 분석하는 주행정보 분석부; 및 상기 차량의 운행 경로 상에서, 두 지점으로 구성된 구간에 대한 상기 차량의 촬영 영상에 상기 차량의 전방 촬영 영상 및 후방 촬영 영상이 있는 경우, 상기 구간의 거리 또는 상기 차량의 상기 구간을 통과하는데 소요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주행정보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구간의 거리, 상기 구간을 통과하는데 소요된 시간 및 상기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구간의 주행속도를 산출하는 구간속도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보정정보는 상기 차량의 전장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주행정보 보정부는 상기 차량의 전장 정보를 상기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주행정보 보정부는 상기 차량의 전장 정보를 상기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주행정보 분석부는 상기 구간 또는 지점에 대한 상기 주행정보 및 상기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교통 법규 위반을 검출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주행정보 분석부는 시간 순으로 획득된 2개의 주행정보에서 획득된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구간 속도를 산출할 운행 경로를 선정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주행정보 및 상기 특징정보를 특정의 기준 정보에 따라 분류, 정렬 또는 검색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정보, 상기 특징정보, 상기 보정정보, 상기 구간 속도, 상기 교통 법규 위반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방범, 감염질병예방, 축산차량관리, 노후 차량 관리와 관련된 시스템과 연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주행정보 생성부는 차량주행속도 측정을 위한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지점 각각에서 산출된 상기 차량의 지점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주행정보 생성부는 상기 복수 개의 지점 각각에서 차량의 주행을 제어 또는 통제하기 위한 신호등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하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지점 간의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 개의 지점 각각에서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촬영 영상, 촬영 위치, 촬영 시간,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및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을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촬영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주행정보 및 상기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지점과 관련된 상기 차량의 운행 경로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운행 경로 상에서, 두 지점으로 구성된 구간에 대한 상기 차량의 촬영 영상에 상기 차량의 전방 촬영 영상 및 후방 촬영 영상이 있는 경우, 상기 구간의 거리 또는 상기 차량의 상기 구간을 통과하는데 소요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 해결방법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전후방 촬영 영상을 통해 구간 속도를 산출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주행방향과 마주보는 카메라의 추가 설치가 필요없고, 또한 구간 속도 산출을 위해 차량의 주행 거리 또는 주행 시간을 보정하므로 주행하는 차량의 구간 속도를 정밀하게 산출할 수 있어 속도 단속 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속도 단속 외에 불법 유턴, 불법 좌회전 등 교통 법규를 위반하는 차량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도로상에 설치된 속도 측정 장비 및 그 시스템 구성의 일례이다.
도 2는 속도 측정 장비의 카메라로 촬영된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영상을 도시한다.
도 3은 속도 측정 장비의 카메라로 촬영된 두 지점에서의 차량 촬영 영상의 모든 경우를 도시한다.
도 4는 두 지점에서 촬영 영상이 획득될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설명하는 도이다.
도 5는 두 지점 간의 거리 또는 시간 보정에 대해 설명하는 도이다.
도 6은 두 지점 간의 차량 운행 정보를 이용해 교통 법규 위반을 검출할 수 있는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정정보 생성하기 위한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1은 도로상에 설치된 차량 주행 속도 측정을 위한 장비 또는 그를 위한 시스템 구성의 일례이다.
상기 시스템은 카메라(1), 차량 검출 센서(2_a, 2_b, 2_c, 2_d), 제어기 함체(3) 및 서버(4)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는 차량과 차량의 번호판 등을 인식하기 위한 장치이며, 도로 상에 지주에 설치되거나 도로 외부에 이동식 카메라 설치함 등에 설치된다.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의 종류나 이미지 인식 특성 또는 물리적 특성에 따라 다양하다.
차량 검출 센서(2_a, 2_b, 2_c, 2_d)는 차량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자기적 센서, 레이더 센서, 영상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적 센서는 종래에 많이 사용된 도로에 매설하는 루프 검지기가 그 예이며, 도로에 매설된 두 개의 루프(2_a와 2_b 또는 2_c와 2_d)의 통과를 검출하여, 그 간의 시간을 통해 차량의 주행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도시된 것은 루프 검지기이다. 영상 센서는 획득된 고화질 영상을 통해 차량을 검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속도를 산출하며, 레이더 센서는 다차로를 동시에 감시하고, 매설 필요가 없는 방식이라 최근에 많이 국내에 설치되고 있으며 주로 카메라 옆에 별도의 유닛으로 설치된다.
제어기 함체(3)는 카메라 및 차량 검출 센서로부터 차량 운행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주행속도를 산출하거나 산출을 위해 서버 측으로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4)는 경찰청 등이 운영하고 있는 영상단속실 센터와 같은 상황실과 연동되며, 여러 속도 측정 장비에서 측정된 정보를 수집하여, 차량의 주행속도 산출, 제한속도 위반시에 과태료 통지서 등의 발급, 관리 등을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은 위의 어떠한 형태의 카메라 또는 차량 검출 센서에도 적용될 수 있는 차량 주행속도 계산을 위한 보정방법 또는 구간 속도 산출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의 도 1에 도시된 차량 주행 속도 측정을 위한 장비 또는 시스템에 국한되어 이용되는 것이 아니고, 그에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차량 주행 속도 측정을 위한 카메라로 촬영된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영상을 도시한다.
좌측 영상(21)은 상기 카메라에 촬영된 차량의 전방 영상의 예이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는 상기 좌측 영상처럼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여 번호판과 차량 앞모습 등이 획득되며, 이를 과태료 고지서 등에 첨부하여 차량 소유주에게 우편 발송된다.
우측 영상(22)은 상기 카메라에 촬영된 차량의 후방 영상의 예이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는 과속 단속 시에는 상기 좌측 영상처럼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여 번호판과 차량 앞모습 등이 획득되나, 주정차 위반 단속의 경우에는 상기 우측 영상처럼 후방 영상이 촬영되기도 한다.
이렇게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여 차량의 주행 속도 측정에 활용하려는 이유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다차로를 하나의 카메라 장비를 통해 촬영, 감시할 수 있는 기술이 보급되었고, 기존과 같이 각 차로마다 차량의 주행 속도 측정을 위한 장비를 설치하면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왕복 2차로의 구간 속도 측정을 위해서는 종래의 각 차로마다 설치하는 방식으로는 총 4대의 속도 측정 장비(카메라, 차량 검출 센서 등)가 필요할 것이나, 도 4에서는 2대의 속도 측정 장비를 통해 왕복 2차로의 구간 단속의 시행이 가능하다.
도 3은 차량 주행 속도 측정을 위한 카메라로 촬영된 두 지점에서의 차량 촬영 영상의 모든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속도 측정을 위해 종래와 같이 차량의 진행 방향과 마주하는 방향에서 상기 차량을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거나, 차량의 진행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에서 상기 차량을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는 경우를 모두 고려한다. 따라서, 가장 상단의 예(31)와 같이 두 지점(제1 및 제2 지점) 각각에서 획득된 동일한 차량 C에 대한 촬영 영상은 모두 차량 C의 전방 영상일 수 있고, 그 아래 두번째 예(32)와 같이 두 지점 각각에서 차량 C의 전방 및 후방 영상일 수 있고, 그 아래 세번째 예(33)와 같이 두 지점 각각에서 차량 C의 후방 및 전방 영상일 수 있으며, 그 아래 마지막 예(34)와 같이 두 지점 각각에서 모두 차량 C의 후방 영상일 수 있다. 이 때, 제1 지점은 제2 지점보다 시간 상 상기 차량이 먼저 지나간 위치라고 가정한다.
도 4는 도 3에 예시된 두 지점에서 획득된 차량의 촬영 영상이 획득될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4에 도시된, 두 구간(각각 A'-B' 구간과 C'-D' 구간)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A'-B' 구간과 C'-D' 구간은 서로 독립적인 구간이며, 서로 떨어져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차량은 시간 순서대로 A', B' 그리고 C', D'지점을 통과하여 주행할 수 있으나, B'와 C' 사이에는 어떤 경로를 주행하는지는 고려하지 않도록 하며, 또는 상기 차량은 시간 순서대로 C', D' 그리고 B', A' 지점을 통과하며 주행할 수 있다. 가능한 모든 예를 설명하면, 상기 차량은 시간 순서대로 A', B' 그리고 D', C' 지점을 통과하며 주행할 수 있고, 또는 B', A' 그리고 C', D' 지점을 통과하며 주행할 수 있고, 또는 B', A' 그리고 D', C' 지점을 통과하며 주행할 수 있고, 또는 C', D' 그리고 A', B' 지점을 통과하며 주행할 수 있고, D', C' 그리고 A', B' 지점을 통과하며 주행할 수 있고, 또는 D', C' 그리고 B', A' 지점을 통과하며 주행할 수 있다. 시간 순서대로 가능한 모든 경로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제1예: (A', B', C', D')
제2예: (A', B', D', C')
제3예: (B', A', C', D')
제4예: (B', A', D', C')
제5예: (C', D', A', B')
제6예: (C', D', B', A')
제7예: (D', C', A', B')
제8예: (D', C', B', A')
도시된 것처럼, A'-B' 구간에서 속도 측정 카메라(43)에 의해 일정 영역의 범위(45)가 촬영될 수 있으며, 이는 적어도 도시된 두 차로가 촬영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두 차로에서 차량의 주행 방향은 서로 반대방향(d)이며, 이는 곧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왕복 2차로에 해당한다.
카메라(43)에 의해 두 차로에서 주행하는 모든 차량이 촬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A'지점에서 B'로 주행하는 차량의 전방 영상을 획득하고, B'지점에서 A'로 주행하는 차량의 후방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44)도 C'-D' 구간에서 일정 영역의 범위(46)를 촬영할 수 있으며, 적어도 두 차로를 촬영할 수 있다. 두 차로에서, 차량의 주행 방향은 서로 반대방향(d)이다. 카메라(44)는 C'지점에서 D'로 주행하는 차량의 후방 영상을 획득하며, D'지점에서 C'지점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전방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위의 예시된 8개의 경로에 따라서, 카메라(43, 44)에서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면, 제1예, 제8예는 도 3의 32와 같은 전방/후방영상이 획득되고, 제2예, 제7예는 도 3의 31과 같은 전방/전방영상이 획득되며, 제3예, 제6예는 도 3의 34와 같은 후방/후방영상이 획득되고, 제4예, 제5예는 도 3의 33과 같은 후방/전방영상이 획득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모두 양방향으로 주행하는 2차선 도로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적용은 이러한 경우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단방향 2차선 이상의 도로에도 적용될 수 있고, 구간을 이루는 두 지점 중 하나는 양방향 2차선 이상의 도로, 나머지 하나는 단방향 2차선 이상의 도로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도로 상의 두 지점에 설치된 속도 측정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차량의 영상은 도 3에 도시된 4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도 5는 구간 속도 측정과 관련된 두 지점 간의 거리 또는 시간 보정에 대해 설명하는 도이다.
도 5의 (a), (b), (c), (d)는 각각 서로 다른 경우를 예시하는 도이고, 두 개의 카메라(51, 52, 53, 54, 55, 56, 57, 58)이 설치된 두 지점에서 차량(C1, C2, C3, C4)이 도시된 화살표 방향에 따라 주행하는 모습을 도시하며, 각 카메라는 차량을 촬영하고 있음을 도시한다. 각 도에 차량이 두 개씩 도시되어 있으나, 시간 순서상 하단에 상단으로 주행하는 한 차량의 모습을 겹쳐서 도시한 것임을 알려둔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구간 단속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구간 단속은 두 지점 사이에서의 차량의 평균 주행 속도를 측정하여, 제한속도 초과 여부에 따라 과태료를 부과하는 단속 방식이다. 예를 들어, 두 지점 간의 거리가 10킬로미터이고, 제한(규정) 속도가 시속 100킬로미터라면, 차량이 두 지점을 6분(0.1시간) 이내로 통과하면 제한 속도를 초과하므로, 제한 속도 위반에 해당한다.
아울러, 상기 두 지점 사이에서 측정된 차량의 평균 주행 속도가 해당 구간의 최저 속도에 못미치는 경우, 최저 속도의 위반도 적발될 수 있다.
또한, 해당 구간을 통과하는 차량들의 평균 주행 속도를 모니터링함으로써, 해당 구간의 교통 소통 상황이 판단될 수 있다. 즉, 해당 차량들의 평균 주행 속도의 값, 분포 분석 등을 통해서 해당 구간의 교통 소통이 원활한지, 교통 정체가 심한지 여부, 또는 그 수준 등이 판단될 수 있다.
종래부터 현재까지는, 도 4에서 예시한 두 지점에서 카메라를 사용하여 주행하는 차량의 방향과 마주보는 방향에서 카메라를 통해 차량의 주행 속도 측정을 수행했고, 이는 도 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식이며, 이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고려하고자 하는 보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차량의 구간 주행 속도를 제대로 산출할 수 있다. 즉, 이는 도 5의 (a)에 도시된 S은 미리 측정되거나 미리 설정된, 설치된 카메라 두 대 사이의 구간의 거리 또는 길이이며(이는 나머지 도 5의 (b), (c), (d)에서도 동일함), 설치된 카메라(51, 52)에 의해 촬영된 차량 영상이 서로 D1(D1은 차량이 실제 이동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획득됨을 가정한다. 이는, 도 5의 (d)에 도시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며, 즉 S(=D4) 및 두 카메라(57, 58)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영상이 서로 D4만큼 정확히 떨어진 위치에서 획득될 수 있다. 도 5의 (a) 및 (d)에서 도시된 차량(C1, C4)의 구간 주행 속도(V)는 S/t이며, t는 해당 구간을 통과하는데 소요된 시간이며, 상기 구간의 시작 및 종료 지점에서 촬영된 영상의 촬영 시간의 차이로 결정될 수 있다.
도 5의 (a)와 (d)의 예는, 앞서 설명한대로, 실제 구간의 길이(S)와 실제 차량이 이동한 거리(각각 D1, D4)가 같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보정은 필요하지 않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주행 속도 측정 시스템(또는 카메라)에 의해 단속하려는 구간(S)은 미리 정해져있다. 그러나, 카메라(54)가 차량(C2)의 후방을 촬영하게 설치 또는 구성되어 있으므로, 차량이 실제로 이동한 거리(D2)가 상기 구간의 길이(S)와 동일하지 않다. 차량(C2)이 실제로 이동한 거리(D2)는 상기 구간의 길이(S)에서 차량의 길이 또는 전장(L)을 더한 만큼이 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C2)의 구간 주행 속도(V)는 (S+L)/t이며, t는 해당 구간을 통과하는데 소요된 시간이며, 상기 구간의 시작 및 종료 지점에서 촬영된 영상의 촬영 시간의 차이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c)를 참조하면, 주행 속도 측정 시스템(또는 카메라)에 의해 단속하려는 구간(S)은 미리 정해져있다. 그러나, 카메라(55)가 차량(C3)의 후방을 촬영하게 설치 또는 구성되어 있으므로, 차량이 실제로 이동한 거리(D3)가 상기 구간의 길이(S)와 동일하지 않다. 차량(C3)이 실제로 이동한 거리(D3)는 상기 구간의 길이(S)에서 차량의 길이 또는 전장(L)을 뺀 만큼이 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C2)의 구간 주행 속도(V)는 (S-L)/t이며, t는 해당 구간을 통과하는데 소요된 시간이며, 상기 구간의 시작 및 종료 지점에서 촬영된 영상의 촬영 시간의 차이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길이 또는 전장을 고려해야 하는 이유는 실제 구간의 길이(S)가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설치된 고속도로 상의 구간 단속을 위한 구간은, 차량의 길이에 비해 구간 길이가 상당히 길기 때문에 차량의 길이가 산출된 구간 속도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 그러나, 앞서 설명했듯이, 어린이 보호 구역과 같은 구간에서는 캥거루 주행 등의 단속을 회피할 수 있는 방법이 있고, 이는 보호 구역 지정의 취지 그리고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기에, 구간 단속이 좀더 적절한 방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어린이 보호 구역과 같이 짧고 제한 속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구역에서는, 만약 구간 단속을 한다면 구간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차량의 길이가 구간 속도 또는 구간 속도의 계산/산출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의 길이와 관련된 보정은 최저 속도의 측정에도 마찬가지로 영향을 미치며, 속도 측정에 고려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길이가 구간 단속을 위한 속도 산출에 고려되어야 하며,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보정이 필요하다.
한편, 앞서 설명한 차량이 전장 또는 길이에 따른 구간의 길이의 보정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이 해당 구간을 통과하는데 소요된 시간에 대한 보정도 가능하다. 도 5의 (b)와 같은 예에서는, 실제로 두 영상이 촬영된 시간의 차이에서, 상기 차량의 길이만큼을 주행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가산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도 5의 (c)와 같은 예에서는, 실제로 두 영상이 촬영된 시간의 차이에서, 상기 차량의 길이만큼을 주행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차감하는 방식으로, 구간 통과를 위한 소요 시간을 보정할 수 있다.
차량의 길이만큼 주행한 시간을 결정하는 예로써, 해당 구간의 길이와 상기 차량의 길이의 비율이, 상기 두 영상이 촬영된 시간의 차이(즉, 해당 구간 통과에 소요된 시간)과 상기 차량의 길이만큼 주행한 시간의 비율과 같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 예에선, 차량의 길이만큼 주행한 시간은 해당 구간 통과에 소요된 시간에 상기 차량의 길이와 상기 구간의 길이의 비율을 곱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두 지점 간의 차량 운행 정보를 이용해 교통 법규 위반을 검출할 수 있는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것은 교차로에서의 모습이다. 해당 교차로에서 좌회전 금지에 의해, A방향으로의 주행에서 B방향으로의 주행이 허용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다. 그러나, 특정 차량이 A방향으로 주행하는 모습이 카메라(61)에 의해 촬영되었고, 그리고나서 동일한 차량이 카메라(62)에 의해 B방향으로 주행하는 모습이 촬영되었다고 가정하자. 각 카메라는 속도 측정을 위한 카메라 내지는 교통 법규 위반 단속을 위한 카메라일 수 있다. 각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은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카메라(61)에서 촬영된 영상의 촬영 시간과 카메라(62)에서 촬영된 영상의 촬영 시간의 차이에 따라 상기 차량의 위법 운행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촬영 시간의 차이가 소정의 시간보다 짧다면, 상기 차량이 불법 좌회전 주행을 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시간은 상기 차량이 불법 좌회전을 하지 않으면 통과하지 못했을 정도의 시간이 될 것이다. 즉, 상기 교통 법규 위한 검출에는 해당 차량이 두 지점을 통과하는데 소요된 시간, 해당 차량의 주행 방향, 상기 두 지점 간의 거리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하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지점 간의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상기 방법은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또는 속도 측정을 위한 장치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촬영 영상, 촬영 위치, 촬영 시간,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및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710). 상기 주행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주행속도 측정을 위한 장비로부터 획득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주행속도 측정을 위한 장비'는 해당 명칭에 국한되지 않고, 도 1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차량을 감지하고 해당 차량의 주행속도를 산출할 수 있는 장치, 장치 또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상기 장치는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특징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720). 상기 차량의 특징정보는 차량 번호, 차량 종류, 또는 차량 색상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의 특징 정보는 적어도 상기 차량의 차량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주행정보 및 상기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지점과 관련된 상기 차량의 운행 경로를 분석할 수 있다(S730).
상기 분석되는 운행 경로는 기본적으로 시간에 따라 상기 차량이 이동한 경로와 일치해야하며, 각 촬영 영상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와 촬영 시간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행정보 및 상기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실제 운행 경로가 추정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주행정보 및 상기 특징정보와, 그리고 미리 저장되거나 획득된 각 지점간의 거리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운행 경로는 시간 순으로 획득된 2개의 주행정보의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을 이용하여 선정될 수 있다. 이는 차량의 주행정보에 포함된 촬영 영상과 그 위치 정보만으로는 차량의 운행 경로를 특정하기엔 부정확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운행 경로는 시간 순으로 획득된 2개의 주행정보의 촬영 시간을 이용하여 선정될 수 있다. 시간 순서상 연속된 두 개의 주행정보에서, 두 주행정보가 획득된 시간(즉, 촬영 시간) 차가 미리 결정된 값 이상(또는 초과)이면, 해당 주행정보는 구간 속도 단속과 같은 유형의 단속에서는 유효하지 않은 정보로 분류하거나, 해당 차량의 운행 경로가 해당 부분을 기준으로 분리되는 것으로 관리, 분석해야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결정된 값은 상기 두 개의 주행정보가 획득된 위치 간의 거리 및/또는 해당 차량의 주행방향에 기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차량의 운행 경로 상에서, 상기 복수 개의 지점 중 두 지점으로 구성된 구간에 대한 상기 차량의 촬영 영상 두 개 중 하나는 상기 차량의 전방 촬영 영상이고 나머지가 상기 차량의 후방 촬영 영상이면, 상기 구간의 거리 또는 상기 차량의 상기 구간을 통과하는데 소요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보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740).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구간의 거리, 상기 구간을 통과하는데 소요된 시간 및 상기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구간의 주행속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보정정보는 상기 차량의 전장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전장 정보를 상기 특징정보 중 차량의 번호 또는 종류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차량 번호의 차적 조회 정보로부터 획득하거나, 해당 차량 종류의 전장 정보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종류는 실제 차량의 모델(이름) 및/또는 연식으로 구분될 수도 있고, 차량의 용도로 구분될 수 있다. 차량의 용도는 경차, 승용차, 레저용차량, 소형트럭, 소형버스, 중형버스, 대형트럭, 대형덤프트럭 등이 그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장 정보는 미리 상기 장치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이 경우엔 상기 전장 정보는 해당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장치는 상기 구간 또는 지점에 대한 상기 주행정보 또는 상기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교통 법규 위반을 검출할 수 있다. 이는 도 6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처럼, 교통 법규 상 주행이 불가능한 운행 경로를 주행한 경우를 검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구간 또는 지점에 대한 상기 주행정보 또는 상기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해당 도로(위치)에 대하여 통행제한 또는 진입제한에 해당하는 차량인지 여부 등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통행제한 또는 진입제한은 특정 차량(화물자동차, 건설기계 및 특수자동차, 고압가스 운반탱크로리 및 폭발물 운반자동차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의 특정 도로 구간에의 진입 또는 통행제한, 또는 노후 차량의 특정 도로 구간에의 진입 또는 통행 제한 등을 의미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구간 또는 지점에 대한 상기 주행정보 또는 상기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적재함에 대한 상태를 추출하여 적재불량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주행정보 및 상기 특징정보를 특정의 기준 정보에 따라 분류, 정렬 또는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지점 각각에서의 상기 차량을 위한 차량신호등의 정보 또는 상태 정보(예컨대, 적색등, 황색등, 청색등, 좌회전신호등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을 위한 차량신호등은 상기 차량의 주행을 제어 또는 통제하기 위한 신호등을 의미하며, 상기 차량이 정상적 또는 교통 법규에 맞게 주행하는 주행방향에 대한 해당 구간 또는 지점에서의 신호등을 의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주행정보 생성부(100), 주행영상처리부(200), 주행정보 분석부(300), 주행정보 보정부(400), 구간속도 산출부(500),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700) 및 상기 장치의 구성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기타 본 발명의 실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행정보 생성부(100)는 도로에 주행하는 차량을 특정 지점에서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그로부터 주행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주행정보는 차량 영상을 획득한 시간 및 위치 정보(카메라 설치 위치에 대응), 해당 차량의 검출 및 산출된 해당 지점에서의 주행속도, 그리고 차량의 주행 방향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각 카메라(또는 속도 측정 장비 등)가 설치된 지점 간의 거리는 상기 장치의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차량의 검출을 위한 차량검출센서 또는 차량주행속도 측정을 위한 장비 는 레이더 센서, 영상센서, 전자기적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차량을 검출하고, 해당 차량의 주행속도를 산출하며 차량의 이동 방향 및 위치를 포함하여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주행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주행속도 측정을 위한 장비로부터 획득될 수 있으며, 상기 '차량검출센서' 또는 '차량주행속도 측정을 위한 장비'는 해당 명칭에 국한되지 않고, 도 1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차량을 감지하고 해당 차량의 주행속도를 산출할 수 있는 장치, 장치 또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도로에 주행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동영상 또는 복수(예컨대, 8 내지 30fps)의 정지영상을 촬영하면 차량의 진입과 진출하는 전체 과정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행하는 차량을 촬영하고 획득하는 방법은 카메라가 설치된 지주 방향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는 방식(도 2의 21)과 진출하는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는 방식(도 2의 22)으로 구성된다. 이하, 차량의 전방을 촬영한 영상을 "전방영상", 차량의 후방을 촬영한 영상을 "후방영상"이라 한다.
전방 촬영인 경우에는 차량이 소정의 지점에 진입하면 차량의 전방을 검출하여 전방영상을 획득하며, 후방 영상은 차량이 검출되고 통과하여 소정의 지점을 진출하는 시점에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행정보 생성부는 상기 복수 개의 지점 각각에서 상기 차량을 위한 차량신호등의 정보 또는 상태 정보(예컨대, 적색등, 황색등, 청색등, 좌회전신호등 등)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을 위한 차량신호등은 상기 차량의 주행을 제어 또는 통제하기 위한 신호등을 의미하며, 상기 차량이 정상적 또는 교통 법규에 맞게 주행하는 주행방향에 대한 해당 구간 또는 지점에서의 신호등을 의미할 수 있다.
주행영상처리부(200)는 도로에 주행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차량영상을 분석하여 특징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특징정보는 차량의 번호를 포함하며, 차량 영상에 포함된 정보 예를 들면, 차량의 종류, 차량의 색상, 탑승자의 상태(안전띠, 탑승자여부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영상처리부에는 상기 차량영상을 분석하는 알고리즘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주행정보 분석부(300)는 상기 주행정보 및 상기 특징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운행 경로를 추정 또는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주행정보 및 상기 특징정보는 특정 차량에 대해서 이용되어야 하며, 상기 특징정보 중 차량의 번호가 동일한 촬영 영상에 대해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분석되는 운행 경로는 기본적으로 시간에 따라 상기 차량이 이동한 경로와 일치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촬영 영상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와 촬영 시간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행정보 및 상기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실제 운행 경로가 추정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주행정보 및 상기 특징정보와, 그리고 미리 저장되거나 획득된 각 지점 간의 거리가 이용될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하나의 카메라로 양방향의 차로를 촬영할 수 있는 경우엔, 상기 운행 경로의 분석을 위해서는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도 필요하다. 속도 측정을 위한 카메라 등이 설치된 임의의 두 지점 간을 이동하는 경로는 실제로는 적어도 2개 이상인 경우가 있으므로, 상기 주행정보 분석부는 차량의 주행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이 이동했을 거라고 판단되는 운행 경로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주행정보 분석부는 시간 순으로 획득된 2개의 주행정보에서 획득된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운행 경로를 선택 또는 선정할 수 있고, 이렇게 선택 또는 선정된 운행 경로를 기준으로 구간 속도가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지점으로 구성된 구간에 대해 2개의 운행 경로가 가능한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을 고려하여 하나의 운행 경로가 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행 경로를 분석함에 있어서, 상기 주행정보 분석부는 해당 운행 경로에 위법성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인접한 지점의 주행정보 및/또는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운전자의 위반행위 판단을 위한 분석이 가능하다.
상기 차량의 촬영 영상이 특정 차선 상의 전방영상 또는 후방영상 인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운행 경로가 불법인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예컨대, 일방 통행 도로에서의 역주행, 불법 유턴 등. 즉, 교통 법규 위반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주행정보를 분석하면 차선위반 정보의 추출이 가능이 가능한데, 소정의 차량에 대한 주행정보가 예를 들어 불법 유턴을 하지 않으면 생성이 불가능한 주행정보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마찬가지로 역주행을 하지 않으면 생성이 불가능한 주행정보를 검출 또는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적어도 2개의 주행정보가 존재하는 차량은 해당 차량이 적법한 이동 경로를 통과하여 주행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간 또는 지점에 대한 상기 주행정보 또는 상기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해당 도로(위치)에 대하여 통행제한 또는 진입제한에 해당하는 차량인지 여부 등도 판단이 가능하다. 여기서, 통행제한 또는 진입제한은 특정 차량(화물자동차, 건설기계 및 특수자동차, 고압가스 운반탱크로리 및 폭발물 운반자동차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의 특정 도로 구간에의 진입 또는 통행제한, 또는 노후 차량의 특정 도로 구간에의 진입 또는 통행 제한 등을 의미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구간 또는 지점에 대한 상기 주행정보 또는 상기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적재함에 대한 상태를 추출하여 적재불량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무인 단속을 위한 영상의 촬영 지점외에서도 운전자의 준법운전을 유도, 강제하는 효과를 기대할수 있다.
주행정보 보정부(400)는 상기 주행정보 분석부에서 제공하는 분석된 운행 경로를 기준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구간 속도 산출을 위한 거리 보정 또는 속도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지점에서 촬영된 복수 개의 특정 차량의 영상에 있어서, 구간 단속 등에 활용할 두 지점에서의 차량 영상이 각각 전방영상 및 후방영상인 경우, 앞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주행 거리(구간의 길이) 또는 주행 시간이 보정될 수 있다. 상기 보정에 사용될 상기 차량의 전장 정보는 상기 차량의 촬영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정보, 즉 차량 번호 또는 차량 종류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종류는 실제 차량의 모델(이름) 및/또는 연식으로 구분될 수도 있고, 차량의 용도로 구분될 수 있다. 차량의 용도는 경차, 승용차, 레저용차량, 소형트럭, 소형버스, 중형버스, 대형트럭, 대형덤프트럭 등이 그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장 정보는 상기 주행정보 보정부 또는 상기 장치 내부의 데이터베이스부와 같은 구성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거나, 외부의 특정의 장치에 저장되어 있어 그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구간속도 산출부(500)는 상기 주행정보를 생성한 두 지점간(즉, 구간)의 거리정보와 상기 주행정보 보정부에서 생성된 보정정보(보정한 거리 또는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의 구간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구간속도 산출부는 소정의 동일한 차량에 대한 적어도 두 개의 주행정보를 이용하여 시간차이 및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구간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상기 주행정보 생성부, 주행정보 분석부, 주행정보 보정부, 구간속도 산출부에서 생성하는 정보를 저장 및 분류하며, 가공하는 기능 및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간속도 산출부에서 산출된 구간속도에 따라 과속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주행정보 분석부에서 검출된 해당 차량의 교통 법규 위반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과속, 또는 교통 법규 위반 관련 정보는 상기 장치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경찰청, 지방자치단체 등의 관련 서버 장치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통신부와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장된 상기 차량의 과속, 또는 교통 법규 위반 관련 정보는 상기 장치의 별도의 구성(미도시)에 의해 과태료/벌금/벌점 고지서 발급 여부 결정, 과태료/벌금 금액, 벌점 결정 등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각 구성으로부터 획득한 각 정보(주행정보, 특징정보, 구간속도, 교통 법규 위반 관련 정보)를 방범, 감염질병예방, 축산차량관리, 노후 차량 관리 등과 관련된 시스템과 연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명세서에서, "장치"와 그에 속한 구성들(주행정보 생성부 등)이 해당 방법 또는 절차 등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장치"와 그에 속한 구성들은 명칭일 뿐 권리범위가 그에 종속되는 것은 아니다. 즉, 장치 외에도 시스템 등으로서도 해당 방법 또는 절차가 수행될 수 있으며, 그뿐만 아니라 속도 측정 또는 속도 측정에 기반한 과속 단속을 위한 소프트웨어 또는 컴퓨터 또는 그 밖의 기계, 장치 등으로 판독가능한 코드에 의해 상기 방법 또는 방식이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aspect)로서, 앞서 설명한 제안 또는 발명의 동작이 "컴퓨터"(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에 의해 구현, 실시 또는 실행될 수 있는 코드 또는 상기 코드를 저장 또는 포함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product) 등으로도 제공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상기 코드 또는 상기 코드를 저장 또는 포함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확장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100: 주행정보 생성부 200: 주행영상처리부
300: 주행정보 분석부 400: 주행정보 보정부
500: 구간속도 산출부 600: 제어부
700: 통신부 800: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12)

  1. 주행하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지점 간의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지점 각각에서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촬영 영상, 촬영 위치, 촬영 시간 및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을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획득하는 주행정보 생성부;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촬영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주행영상처리부;
    상기 주행정보 및 상기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지점과 관련된 상기 차량의 운행 경로를 분석하는 주행정보 분석부; 및
    상기 차량의 운행 경로 상에서, 두 지점으로 구성된 구간에 대한 상기 차량의 촬영 영상에 상기 차량의 전방 촬영 영상 및 후방 촬영 영상이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의 전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구간의 거리 또는 상기 차량의 상기 구간을 통과하는데 소요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주행정보 보정부를 포함하는,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의 거리, 상기 구간을 통과하는데 소요된 시간 및 상기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구간의 주행속도를 산출하는 구간속도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정보 보정부는 상기 차량의 전장 정보를 상기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하는,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정보 보정부는 상기 차량의 전장 정보를 상기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획득하는,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정보 분석부는 상기 구간 또는 지점에 대한 상기 주행정보 및 상기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교통 법규 위반을 검출하는,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7. 주행하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지점 간의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지점 각각에서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촬영 영상, 촬영 위치, 촬영 시간 및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을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획득하는 주행정보 생성부;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촬영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주행영상처리부;
    상기 주행정보 및 상기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지점과 관련된 상기 차량의 운행 경로를 분석하고, 시간 순으로 획득된 2개의 주행정보에서 획득된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을 이용하여 구간 속도를 산출할 운행 경로를 선정하는 주행정보 분석부; 및
    상기 차량의 운행 경로 상에서, 두 지점으로 구성된 구간에 대한 상기 차량의 촬영 영상에 상기 차량의 전방 촬영 영상 및 후방 촬영 영상이 있는 경우, 상기 구간의 거리 또는 상기 차량의 상기 구간을 통과하는데 소요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주행정보 보정부를 포함하는,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정보 및 상기 특징정보를 특정의 기준 정보에 따라 분류, 정렬 또는 검색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정보, 상기 특징정보, 상기 보정정보, 상기 구간 속도, 교통 법규 위반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방범, 감염질병예방, 축산차량관리, 노후 차량 관리와 관련된 시스템과 연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정보 생성부는 차량주행속도 측정을 위한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지점 각각에서 산출된 상기 차량의 지점 속도를 획득하는,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정보 생성부는 상기 복수 개의 지점 각각에서 차량의 주행을 제어 또는 통제하기 위한 신호등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12. 주행하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지점 간의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지점 각각에서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촬영 영상, 촬영 위치, 촬영 시간,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및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을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촬영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주행정보 및 상기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지점과 관련된 상기 차량의 운행 경로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운행 경로 상에서, 두 지점으로 구성된 구간에 대한 상기 차량의 촬영 영상에 상기 차량의 전방 촬영 영상 및 후방 촬영 영상이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의 전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구간의 거리 또는 상기 차량의 상기 구간을 통과하는데 소요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KR1020200045459A 2020-03-31 2020-04-14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또는 방법 KR102380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39135 2020-03-31
KR1020200039135 2020-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988A KR20210121988A (ko) 2021-10-08
KR102380638B1 true KR102380638B1 (ko) 2022-04-01

Family

ID=78115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459A KR102380638B1 (ko) 2020-03-31 2020-04-14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또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6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38014A1 (en) * 2021-01-25 2022-07-28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Division Of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Vehicle Itself To Report Traffic Violations To The Traffic Police Department
CN115376330A (zh) * 2022-07-27 2022-11-22 江苏高速公路联网营运管理有限公司 一种监测高速公路车辆信息的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980B1 (ko) * 2011-10-28 2012-06-08 주식회사 디아이랩 차량 감시 장치
KR101551444B1 (ko) * 2013-10-24 2015-09-08 한국토지주택공사 차량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28271B1 (ko) * 2017-07-14 2018-02-13 트라웍스(주) 교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67006B1 (ko) * 2018-02-05 2020-03-02 트라웍스(주) 차량 통행정보 관리시스템 및 차량 통행정보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980B1 (ko) * 2011-10-28 2012-06-08 주식회사 디아이랩 차량 감시 장치
KR101551444B1 (ko) * 2013-10-24 2015-09-08 한국토지주택공사 차량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28271B1 (ko) * 2017-07-14 2018-02-13 트라웍스(주) 교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67006B1 (ko) * 2018-02-05 2020-03-02 트라웍스(주) 차량 통행정보 관리시스템 및 차량 통행정보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988A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0282B2 (en) Traffic violation vehicle identification system, server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in which vehicle control program is recorded
US9685079B2 (en) Short-time stopping detection from red light camera evidentiary photos
KR101696881B1 (ko) 교통 정보 분석 방법 및 장치
US20120148092A1 (en) Automatic traffic violatio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CN102945603A (zh) 检测交通事件的方法及电子警察装置
US11914041B2 (en)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system
KR102380638B1 (ko)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또는 방법
KR102067006B1 (ko) 차량 통행정보 관리시스템 및 차량 통행정보 관리방법
KR102491091B1 (ko) 채증영상클립 생성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륜차 및 사륜차 일체형 무인교통단속 시스템
US20160241839A1 (en) System for traffic behaviour surveillance
KR102332517B1 (ko) 영상감시 제어장치
KR102197449B1 (ko) 구간단속지점 내에서 연계적 일정구간별 단속을 수행하는 단속시스템
US20200057896A1 (en) Vehicle risk recognition and avoidance
JP2019159458A (ja) 交通信号制御装置、交通信号制御方法、および交通信号制御プログラム
KR20160000990A (ko) 다차로 기반의 차량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06789B1 (ko) 교행 다차로에서의 이상차량 인식방법 및 장치
JP2018055597A (ja) 車種判別装置および車種判別方法
KR101394201B1 (ko) 버스장착 무선cctv 촬영단속시스템
KR20200124972A (ko) 도로 교통 위반 차량 단속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교통 위반 차량 단속 방법
WO2017022268A1 (ja) 車両特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車両特定システム
KR102459906B1 (ko) 듀얼밴드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승차인원 검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18533B1 (ko) 꼬리물기 및 끼어들기 단속 방법
KR100374945B1 (ko) 복합 교통단속 장치와 제어 방법
KR101570485B1 (ko) 카메라 사각지역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20150078971A (ko) 차량번호 인식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