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517A - 감시 카메라 - Google Patents

감시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517A
KR20190123517A KR1020180047323A KR20180047323A KR20190123517A KR 20190123517 A KR20190123517 A KR 20190123517A KR 1020180047323 A KR1020180047323 A KR 1020180047323A KR 20180047323 A KR20180047323 A KR 20180047323A KR 20190123517 A KR20190123517 A KR 20190123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rail
housing
bracket
lens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5183B1 (ko
Inventor
신현수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7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183B1/ko
Priority to US16/198,712 priority patent/US10495952B2/en
Priority to EP18212309.1A priority patent/EP3561592B1/en
Publication of KR20190123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2
    • H04N5/225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제1 방향으로 물체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홈을 구비한 고정부를 구비한 렌즈브라켓과, 상기 제1 방향으로만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고정부로부터 분리되거나 상기 제1 방향으로만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렌즈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감시 카메라{Security camera}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감시카메라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촬영할 수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감시카메라에서 다양한 방향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렌즈어셈블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렌즈어셈블리를 다양한 각도로 배열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를 차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복수개의 렌즈어셈블리는 하우징에 나사, 볼트 등으로 하우징의 특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렌즈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거하는 경우 나머지 렌즈어셈블리의 위치를 변경시키지 못함으로써 감시카메라의 사각지대가 광범위하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렌즈어셈블리를 사용하는 경우 복수개의 렌즈어셈블리는 다양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된 각 렌즈어셈블리를 하우징의 다른 위치에 배치하기 위하여는 하우징 자체를 교체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렌즈어셈블리가 서로 교환하여 설치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감시카메라는 미국 공개특허 제2017-0299949호(발명의 명칭: OMNIDIRECTIONAL USER CONFIGURABLE MULTI-CAMERA HOUSING, 출원인: ARECONT VISION, LLC)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 공개특허 제2017-0299949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감시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1 방향으로 물체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홈을 구비한 고정부를 구비한 렌즈브라켓과, 상기 제1 방향으로만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고정부로부터 분리되거나 상기 제1 방향으로만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렌즈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브라켓이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렌즈브라켓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어셈블리는, 렌즈모듈과, 상기 렌즈모듈 배치되는 렌즈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상기 렌즈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렌즈하우징의 회전 시 상기 고정부의 외면에 접촉하여 이동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렌즈어셈블리와, 상기 렌즈어셈블리의 돌출된 부분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렌즈브라켓과, 상기 렌즈어셈블리에 형성되며, 상기 렌즈어셈블리의 회전 시 상기 렌즈브라켓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렌즈어셈블리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렌즈브라켓의 개구된 부분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렌즈어셈블리와 상기 렌즈브라켓이 서로 분리되는 각도범위를 결정하는 감시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렌즈어셈블리와, 상기 렌즈어셈블리의 돌출된 부분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렌즈브라켓과, 상기 렌즈브라켓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렌즈브라켓에서 분리된 상기 렌즈어셈블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중심축을 포함하는 감시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어셈블리는, 상기 렌즈어셈블리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렌즈브라켓의 개구된 부분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렌즈어셈블리와 상기 렌즈브라켓이 서로 분리되는 각도범위범위를 결정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어셈블리는, 렌즈모듈과, 상기 렌즈모듈 배치되는 렌즈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상기 렌즈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렌즈하우징의 회전 시 상기 고정부의 외면에 접촉하여 이동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스토퍼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가 접촉하는 상기 고정부 부분은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축은, 상기 스토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스냅핏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축은 상기 렌즈어셈블리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회전축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렌즈브라켓은 복수 개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렌즈브라켓이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환형의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렌즈 어셈블리 중 하나는 상기 레일의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축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렌즈 어셈블리 중 다른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레일에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렌즈브라켓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감시카메라는 렌즈브라켓을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감시카메라는 복수개의 렌즈브라켓 중 적어도 하나를 레일로부터 분리한 후 복수개의 렌즈브라켓 중 나머지를 레일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감시카메라는 렌즈브라켓의 위치를 가변시킨 후 렌즈브라켓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화상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감시카메라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렌즈브라켓 및 레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렌즈브라켓의 하면 및 레일의 하면을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렌즈브라켓의 하면을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6은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렌즈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렌즈브라켓 및 렌즈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7에 도시된 렌즈브라켓과 렌즈어셈블리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중심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중심축에 렌즈어셈블리를 결합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상면과 하면은 각 부재에서 서로 동일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감시카메라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감시카메라(100)는 베이스하우징(111), 고정하우징(112), 커버하우징(113), 렌즈브라켓(120), 커버(130) 및 렌즈어셈블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하우징(111)은 렌즈브라켓(1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하우징(111)은 고정하우징(112)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하우징(111)은 렌즈브라켓(120)이 배치되는 레일(111a), 레일(111a)이 배치되는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 및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의 중심에 배치된 중심축(111c)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111a)은 환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일(111a)의 하면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일(111a)은 하면에 돌출된 레일돌기(111a-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레일돌기(111a-1)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레일돌기(111a-1)는 레일(111a)의 하면을 따라 레일(111a)을 일주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각 레일돌기(111a-1)는 각 레일돌기(111a-1)의 길이 방향이 레일(111a)의 중심을 향하도록 레일(111a)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는 레일(111a)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레일(111a)은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는 렌즈브라켓(120)을 레일(111a)에 결합하거나 레일(111a)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렌즈브라켓(120)을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제1 홈(111b-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홈(111b-1)은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의 외면으로부터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의 중심 부분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심축(111c)은 레일(111a)의 중앙에 배치되어 렌즈어셈블리(140) 중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심축(111c)은 렌즈어셈블리(140)가 삽입되는 형태, 렌즈어셈블리(140)가 고정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렌즈어셈블리(14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중심축(111c)은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와 별도로 형성되어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와 중심축(111c)이 별도로 결합하는 경우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와 중심축(111c)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와 중심축(111c)은 나사, 볼트 등과 같은 다양한 부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 또는 중심축(111c) 중 하나에 후크 등과 같은 돌기가 형성되고,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 또는 중심축(111c) 중 다른 하나에 돌기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삽입됨으로써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와 중심축(111c)이 서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와 중심축(111c)이 별도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하우징(112)은 베이스하우징(111)이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고정하우징(112)은 건물의 외벽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하우징(112)은 볼트, 나사 등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하우징(111)과 고정하우징(112)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하우징(111)과 고정하우징(112)은 볼트, 나사, 핀 등을 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베이스하우징(111)은 고정하우징(112)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후크 등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하우징(113)은 고정하우징(112) 및 베이스하우징(111)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하며, 커버(1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하우징(113)은 커버(130)의 일부를 차폐시킬 수 있으며, 고정하우징(112) 및 베이스하우징(111)을 차폐시킬 수 있다.
한편, 렌즈브라켓(120)은 레일(111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렌즈브라켓(120)은 레일(111a)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커버(130)는 베이스하우징(111)과 결합하여 커버(130)와 베이스하우징(111) 사이에 배치되는 부품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커버(130)는 커버바디부(131)와 가력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바디부(131)는 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부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바디부(131)는 베이스하우징(111)의 측면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지면과 대향하는 커버바디부(131)의 일면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바디부(131)는 아크릴, 유리, 플라스틱 등과 같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바디부(131)와 베이스하우징(111)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바디부(131)와 베이스하우징(111)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커버바디부(131)와 베이스하우징(111)은 별도의 클램프 등을 통하여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커버바디부(131) 또는 베이스하우징(111) 중 하나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커버바디부(131) 또는 베이스하우징(111) 중 다른 하나에는 돌기가 수용되는 홈 또는 홀이 형성되어 돌기가 홈 또는 홀에 삽입되어 커버바디부(131)와 베이스하우징(111)이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력부(132)는 커버바디부(131)로부터 렌즈브라켓(12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력부(132)는 커버바디부(13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커버바디부(131)와 별개로 형성되어 커버바디부(131)와 결합할 수 있다. 가력부(132)가 커버바디부(13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가력부(132)는 커버바디부(13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력부(132)가 커버바디부(131)와 별개로 형성되는 경우 가력부(132)는 별도의 접착부재를 통하여 커버바디부(131)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가력부(132)는 고무, 실리콘, 플라스틱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력부(132)가 커버바디부(131)와 별도로 형성되어 가력부(132)와 결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렌즈어셈블리(140)는 중심축(111c) 및 렌즈브라켓(12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렌즈어셈블리(14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렌즈어셈블리(140) 중 하나는 중심축(111c)에 결합하고, 나머지는 렌즈브라켓(12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렌즈브라켓(120)은 렌즈어셈블리(140)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렌즈브라켓 및 레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렌즈브라켓의 하면 및 레일의 하면을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렌즈브라켓의 하면을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6은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렌즈브라켓(120)은 고정부(121), 이동부(122), 결합돌기(123), 걸림부(124), 가이드(125), 접촉돌기(126) 및 격벽(127)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21)는 렌즈어셈블리(14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21)는 이동부(122)로부터 커버(13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21)는 렌즈어셈블리(140)와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121)는 렌즈어셈블리(14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홀이 형성되고, 이러한 홀에 렌즈어셈블리(140)의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렌즈어셈블리(140)와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고정부(121)는 렌즈어셈블리(140)의 일부가 방향에 따라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된 삽입홈(121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렌즈어셈블리(140)의 일부가 삽입홈(121a)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됨으로써 고정부(121)는 렌즈어셈블리(140)와 결합하거나 분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렌즈어셈블리(140)와 고정부(121)가 핀 등으로 렌즈어셈블리(14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부(121)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정부(121)에 삽입홈(121a)이 형성되어 렌즈어셈블리(140)가 고정부(121)에 결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부(122)는 이동바디부(122a) 및 손잡이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바디부(122a)는 레일(111a)의 상면(예를 들면, 레일돌기(111a-1)가 형성된 면과 대향하는 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바디부(122a)는 레일(111a)의 지름과 동일 또는 유사한 지름을 갖는 부채꼴의 일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동바디부(122a)의 형상은 레일(111a)의 일부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손잡이부(122b)는 이동바디부(122a)와 분리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122b)의 일단은 이동바디부(122a)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손잡이부(122b)는 힘을 가하는 경우 이동바디부(122a)를 중심으로 일정 거리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손잡이부(122b)의 표면에는 미끄럼방지부(122c)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방지부(122c)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미끄럼방지부(122c)는 손잡이부(122b) 표면에 배치된 돌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미끄럼방지부(122c)는 손잡이부(122b)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거칠기가 더 크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미끄럼방지부(122c)는 상기 미끄럼방지돌기를 구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미끄럼방지부(122c)는 손잡이부(122b)의 적어도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끄럼방지부(122c)는 손잡이부(122b)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미끄럼방지부(122c)가 손잡이부(122b)의 상면 및 하면에 모두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결합돌기(123)는 이동부(122)에 배치되어 레일(111a)의 내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123)는 절곡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레일(111a)의 내면 및 레일(111a)의 하면을 감쌀 수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123)는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특히 결합돌기(123)가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개의 결합돌기(123)는 이동부(122)의 하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결합돌기(123)가 2개 구비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경우 2개의 결합돌기(123) 사이의 거리는 이동바디부(122a)와 연결되는 손잡이부(122b)의 부분의 폭보다 클 수 있다.
걸림부(124)는 손잡이부(122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124)는 2개의 결합돌기(1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걸림부(124)와 2개의 결합돌기(123)는 삼각형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124)는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레일(111a)의 외면 및 하면을 감싸도록 배치된 걸림연결부(124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걸림연결부(124a)는 결합돌기(123)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24)는 레일돌기(111a-1) 측으로 돌출되는 위치고정돌기(124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고정돌기(124b)는 이동부(122)의 이동 시 레일(111a)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특히 위치고정돌기(124b)는 이동부(122)의 이동 시 레일돌기(111a-1)와 접촉하거나 인접하는 레일돌기(111a-1) 사이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고정돌기(124b)는 이동부(122)의 이동 시 이동부(122)의 속도가 너무 빨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부(122)의 이동 후 이동부(122)의 위치를 어느 정도 고정시킬 수 있다.
가이드(125)는 이동바디부(122a)로부터 레일(111a)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125)는 걸림부(124)가 배치된 동일한 이동바디부(122a)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125)는 레일(111a)의 측면을 차폐할 수 있다. 가이드(125)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가이드(125)는 이동바디부(122a)의 측면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가이드(125)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가이드(125)는 이동바디부(122a)의 측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이드(125)는 복수 개 구비되며, 복수개의 가이드(125)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접촉돌기(126)는 이동바디부(122a)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접촉돌기(126)는 이동바디부(122a)의 하면으로부터 레일(111a)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접촉돌기(126)는 이동부(122)가 정지하는 경우 레일(111a)과 점 접촉 또는 면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돌기(126)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접촉돌기(126)는 이동바디부(122a)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접촉돌기(126)는 이동부(122)가 레일(111a)에 안착되는 경우 위치고정돌기(124b)를 레일돌기(111a-1) 또는 인접하는 레일돌기(111a-1) 사이의 레일(111a)의 하면과 접촉시킬 수 있다.
격벽(127)은 이동부(12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격벽(127)이 이동부(122)와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 격벽(127)은 이동부(122)와 유사하게 형성되어 레일(111a)에 결합하며, 레일(111a)을 따라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격벽(127)은 렌즈브라켓(120)과 유사하게 고정부(121), 이동부(122), 결합돌기(123), 걸림부(124), 가이드(125), 접촉돌기(1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격벽(127)이 이동부(12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격벽(127)은 고정부(12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격벽(127)은 이동바디부(122a)로부터 커버(13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격벽(127)은 이동부(122)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한 쌍의 격벽(127)은 이동부(122)에 설치된 렌즈어셈블리(140)로 입사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격벽(127)은 렌즈어셈블리(14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격벽(127)은 레일(111a)의 중심을 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렌즈브라켓(120)은 레일(111a)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렌즈브라켓(120)이 레일(111a)에 배치된 경우 렌즈어셈블리(140)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렌즈어셈블리(140)의 개수를 조정하는 등의 이유로 복수개의 렌즈브라켓(120) 중 적어도 하나를 레일(111a)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브라켓(120)을 레일(111a)로부터 제거하는 방법은 손잡이부(122b)를 레일(111a)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손잡이부(122b)는 이동바디부(122a)를 기준으로 레일(111a)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손잡이부(122b)와 함께 걸림부(124)가 레일(111a)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잡이부(122b)가 상기와 같이 휘어지는 경우 걸림연결부(124a)의 일부는 레일(111a)의 하면으로부터 레일(111a)의 외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걸림연결부(124a)는 레일(111a)의 하면 및 측면 일부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위치고정돌기(124b)는 레일(111a)의 하면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22b)를 상기와 같이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렌즈브라켓(120)은 결합돌기(123)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레일(111a)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후 렌즈브라켓(120)을 레일(111a)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시켜 결합돌기(123)를 레일(111a)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렌즈브라켓(120)을 레일(111a)로부터 분리하는 장소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베이스하우징(111)의 제1 홈(111b-1)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렌즈브라켓(120) 중 하나를 분리하거나 복수개의 렌즈브라켓(120)이 레일(111a)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렌즈브라켓(120) 중 적어도 하나를 레일(111a) 상에 이동시킬 수 있다.
렌즈브라켓(120)을 통하여 렌즈어셈블리(140)를 이동시키는 방법을 살펴보면, 렌즈브라켓(120)은 레일(111a)에 결합하여 레일(111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손잡이부(122b)를 레일(111a)측으로 가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손잡이부(122b)는 레일(111a)의 상면측으로 근접하면서 휘어질 수 있으며, 손잡이부(122b)와 함께 걸림부(124)도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걸림부(124)의 위치고정돌기(124b)는 레일(111a)의 하면에 형성된 레일돌기(111a-1)로부터 이탈되거나 레일돌기(111a-1) 사이의 홈에서 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부(124)가 운동하는 경우 위치고정돌기(124b)는 레일돌기(111a-1)와의 구속이 해제됨으로써 렌즈브라켓(120)은 레일(111a)을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외에도 사용자는 손잡이부(122b)를 가력하지 않은 상태에서 렌즈브라켓(120)을 레일(111a) 상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렌즈브라켓(120)을 레일(111a)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위치고정돌기(124b)는 렌즈브라켓(120)과 같이 이동하면서 레일돌기(111a-1)의 외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위치고정돌기(124b)는 레일돌기(111a-1)에 의해 위치가 가변할 수 있으며, 위치고정돌기(124b)의 위치에 따라 손잡이부(122b)가 일정 거리 휘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고정돌기(124b)가 레일돌기(111a-1)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지점에 도달하면, 손잡이부(122b)는 레일(111a)측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위치고정돌기(124b)가 레일돌기(111a-1) 사이의 홈에 배치되면, 손잡이부(122b)는 원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렌즈브라켓(120)의 회전 시 렌즈브라켓(120)은 위치고정돌기(124b)로 인하여 레일(111a) 상의 위치가 원활하게 움직이지는 않지만 위치가 너무 빠르게 가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촉돌기(126)는 렌즈브라켓(120)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렌즈브라켓(120)이 레일(111a) 상을 움직이는 경우 접촉돌기(126)는 위치고정돌기(124b)와 대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위치고정돌기(124b)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부(122)를 가력할 수 있다. 특히 렌즈브라켓(120)이 레일(111a)을 이동할 때, 접촉돌기(126)는 레일(111a)의 상면과 접촉함으로써 렌즈브라켓(120)의 이동 시 렌즈브라켓(120)에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촉돌기(126)는 위치고정돌기(124b)가 레일돌기(111a-1)의 외면을 따라 이동할 때 레일(111a)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접촉돌기(126)는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손잡이부(122b)를 레일(111a) 측으로 가력하는 경우에도 레일(111a)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으로 인하여 접촉돌기(126)는 렌즈브라켓(120)의 운동 시 렌즈브라켓(120)에 어느 정도의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렌즈브라켓(120)의 속도가 너무 빨라져 렌즈브라켓(120)의 위치가 급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촉돌기(126)는 렌즈브라켓(120)이 정지하는 경우 접촉돌기(126)와 함께 렌즈브라켓(1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브라켓(120)이 정지하는 경우 위치고정돌기(124b)는 인접하는 레일돌기(111a-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위치고정돌기(124b)의 끝단과 접촉돌기(126)의 끝단 사이의 거리는 레일돌기(111a-1)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지점에서 레일(111a)의 상면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렌즈브라켓(120)이 움직이려고 할 때 위치고정돌기(124b)가 레일돌기(111a-1)의 외면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 렌즈브라켓(120)에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렌즈브라켓(120)은 레일(111a) 상에서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렌즈어셈블리(140)를 렌즈브라켓(120)에 배치한 후 렌즈브라켓(120)을 레일(111a)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렌즈브라켓(120)을 레일(111a) 상에 결합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렌즈브라켓(120)을 레일(111a)의 상면에서 렌즈브라켓(120)에 힘을 가하거나 결합돌기(123) 또는 걸림부(124) 중 하나를 먼저 레일(111a)에 결합한 후 렌즈브라켓(120)을 회전하여 레일(111a)에 렌즈브라켓(120)을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브라켓(120)을 레일(111a) 상에 배치한 후 렌즈브라켓(120)에 힘을 가하는 경우 결합돌기(123)와 걸림부(124)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렌즈브라켓(120)이 레일(111a)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123)와 걸림부(124)는 자체적으로 탄성력이 있으므로 렌즈브라켓(120)을 중심으로 결합돌기(123)의 끝단 및 걸림부(124)의 끝단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124)는 손잡이부(122b)에 연결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경우 손잡이부(122b)가 이동바디부(122a)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걸림부(124)와 결합돌기(123) 사이의 거리가 가변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써 결합돌기(123) 또는 걸림부(124) 중 하나를 레일(111a)에 결합한 후 렌즈브라켓(120)을 회전하여 렌즈브라켓(120)을 레일(111a)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우선 결합돌기(123)를 레일(111a)에 결합한 후 렌즈브라켓(120)을 결합돌기(123)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손잡이부(122b)를 렌즈브라켓(12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휘게함으로써 걸림부(124)와 결합돌기(123)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걸림부(124)를 레일(111a)에 먼저 결합하는 경우 사용자는 렌즈브라켓(120)을 걸림부(124)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123)가 레일(111a)과 접촉하는 경우 손잡이부(122b)의 위치가 가변함으로써 결합돌기(123)와 걸림부(124) 사이의 거리가 가변할 수 있어 렌즈브라켓(120)이 레일(111a)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렌즈브라켓(120)은 위치가 가변한 후 렌즈어셈블리(14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렌즈브라켓(120)은 상기에 설명한 것과 같이 접촉돌기(126) 및 위치고정돌기(124b) 이외에도 베이스하우징(111)의 결합한 후 커버(130)를 통하여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렌즈브라켓(120)의 배치가 완료되면, 베이스하우징(111)과 커버(130)를 결합하여 렌즈어셈블리(140)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130)가 베이스하우징(111)과 결합하면, 커버(130) 내면에 배치된 가력부(132)가 렌즈브라켓(120)의 일부와 접촉하여 렌즈브라켓(120)을 레일(111a) 측으로 가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력부(132)는 커버(130)의 평평한 부분의 내면을 일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130)가 베이스하우징(111)과 결합하면, 가력부(132)는 렌즈브라켓(120)의 고정부(121) 및 격벽(127)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여 고정부(121) 및 격벽(127) 중 적어도 하나를 가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력부(132)의 두께는 고정부(121) 및 격벽(127) 중 하나의 끝단과 커버(130)의 평평한 부분의 내면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커버(130)가 베이스하우징(111)에 결합하는 경우 가력부(132)는 고정부(121) 및 격벽(127) 중 하나를 레일(111a) 측으로 가력함으로써 렌즈브라켓(120)이 외력 등에 의하여 레일(111a)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브라켓(120)은 레일(111a)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렌즈브라켓(120)은 레일(111a)을 따라 이동 시 위치가 너무 빠르게 가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렌즈브라켓(120)은 레일(111a) 상에서 위치를 손쉽게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감시카메라(100)는 렌즈브라켓(120)을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감시카메라(100)는 복수개의 렌즈브라켓(120) 중 적어도 하나를 레일(111a)로부터 분리한 후 복수개의 렌즈브라켓(120) 중 나머지를 레일(111a)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감시카메라(100)는 렌즈브라켓(120)의 위치를 가변시킨 후 렌즈브라켓(120)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화상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렌즈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렌즈브라켓 및 렌즈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7에 도시된 렌즈브라켓과 렌즈어셈블리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렌즈어셈블리(140)는 렌즈모듈(141), 렌즈하우징(142), 회전축(143), 스토퍼부(144), 회전방지부(145), 하우징회로기판(미도시) 및 하우징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렌즈모듈(141), 렌즈하우징(142), 회전축(143), 스토퍼부(144) 및 회전방지부(145)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일부만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렌즈모듈(141), 렌즈하우징(142), 회전축(143), 스토퍼부(144) 및 회전방지부(145)은 서로 별도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렌즈모듈(141)은 렌즈케이스(141a)와, 렌즈케이스(141a)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141b), 렌즈케이스(141a) 내부에 배치되어 렌즈(141b)를 통하여 입사되는 이미지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렌즈케이스(141a)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개의 렌즈케이스(141a)가 서로 후크 등을 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렌즈모듈(141)은 상기 센서가 배치되는 회로기판(미도시) 및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하우징(142)은 렌즈모듈(141)이 배치될 수 있다. 렌즈하우징(142)은 하나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서로 분리되어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렌즈하우징(142)은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렌즈하우징(142)은 렌즈케이스(141a)가 삽입되며, 렌즈케이스(141a)가 결합하는 제1 렌즈하우징(142a) 및 렌즈하우징(142)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제1 렌즈하우징(142a)과 결합하는 제2 렌즈하우징(14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렌즈하우징(142a)은 렌즈케이스(141a)가 삽입될 때 렌즈케이스(141a)의 운동을 안내하는 렌즈케이스가이드(14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렌즈케이스가이드(147)는 제1 렌즈하우징(142a)의 길이 방향(또는 렌즈어셈블리(140)의 삽입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케이스(141a), 제1 렌즈하우징(142a) 및 제2 렌즈하우징(142b)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렌즈케이스(141a), 제1 렌즈하우징(142a) 및 제2 렌즈하우징(142b)은 나사, 볼트 등을 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렌즈케이스(141a), 제1 렌즈하우징(142a) 및 제2 렌즈하우징(142b)은 결합돌기(미표기) 또는 결합후크(미표기)와 이러한 상기 결합돌기 또는 상기 결합후크가 삽입되는 결합홈(미도시) 또는 결합홀(미도시)을 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렌즈케이스(141a), 제1 렌즈하우징(142a) 및 제2 렌즈하우징(142b)은 링부재 등을 통하여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렌즈케이스(141a), 제1 렌즈하우징(142a) 및 제2 렌즈하우징(142b)의 결합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부재가 결합할 수 있는 모든 구조 및 장치를 통하여 결합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렌즈케이스(141a), 제1 렌즈하우징(142a) 및 제2 렌즈하우징(142b)은 후크와 홀을 통하여 결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렌즈케이스(141a)는 제1 렌즈하우징(142a)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렌즈하우징(142a)은 제2 렌즈하우징(142b)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렌즈하우징(142a)에는 제2 렌즈하우징(142b)의 둔턱에 걸리는 제1 결합후크(141a-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하우징(142b)은 렌즈케이스(141a)의 둔턱에 걸리는 제2 결합후크(141b-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후크(141a-1)는 렌즈모듈(141)이 삽입될 때 제2 렌즈하우징(142b) 측으로 가력될 수 있다. 이때, 제2 렌즈하우징(142b)는 제1 결합후크(141a-1)가 걸리도록 별도의 걸림부재(또는 돌기)가 구비됨으로써 렌즈모듈(141)이 삽입되는 경우 이러한 걸림부재와 제1 결합후크(141a-1)가 밀착하여 서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하우징(142a)은 제2 렌즈하우징(142b)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어셈블리(140)와 제1 렌즈하우징(142a)은 제2 렌즈하우징(142b) 내부에서 자전 운동을 할 수 있다.
회전축(143)은 렌즈모듈(141)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축(143)은 제2 렌즈하우징(142b)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143)은 고정부(121)의 삽입홈(121a)에 삽입될 수 있으며, 회전축(143)의 끝단의 지름은 회전축(143)의 다른 부분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부(144)는 렌즈하우징(142)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스토퍼부(144)는 제2 렌즈하우징(142b)에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부(144)는 렌즈모듈(141)의 길이방향(또는 렌즈모듈(141)에 빛이 입사하는 방향, 렌즈(141b)의 광축 방향,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스토퍼부(144)는 일부분이 절곡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고정부(121)의 적어도 2면을 차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토퍼부(144)는 고정부(121)의 측면과 고정부(121)의 상면을 차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부(144)는 렌즈모듈(141)의 회전 시 렌즈모듈(141)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스토퍼부(144)는 고정부(121)의 상면에 대해서 수직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토퍼부(144)는 도 8에 도시된 고정부(121)의 측면 부분에 배치된 스토퍼부(144) 부분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토퍼부(144)는 렌즈어셈블리(140)가 회전하는 경우 렌즈어셈블리(140)가 고정부(121)로부터 분리되는 분리각도를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렌즈어셈블리(140)가 특정 각도범위 내인 경우 스토퍼부(144)는 고정부(121)와 간섭이 발생하여 회전축(143)이 삽입홈(121a)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특정 각도범위는 베이스하우징(미도시), 고정하우징(미도시) 및 커버하우징(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렌즈어셈블리(140)로 입사되는 광이 차단되지 않는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각도범위는 상기 베이스하우징, 상기 고정하우징 및 상기 커버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와 커버(미도시)가 만나는 임의의 지점으로부터 대략 180도 이내의 범위일 수 있다. 즉, 렌즈(141b)의 광축이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상면과 평행한 면에 배치되거나 이러한 면 아래로 내려가는 경우 렌즈어셈블리(140)는 고정부(121)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렌즈어셈블리(140)의 각도는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렌즈(141b)의 광축이 배치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스토퍼부(144)는 삽입홈(121a)이 형성된 제1 방향으로만 고정부(121)로부터 렌즈어셈블리(140)를 분리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토퍼부(144)는 삽입홈(121a)의 크기에 따라 렌즈어셈블리(140)의 분리각도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 설명한 특정 각도범위를 제외한 분리각도범위내에 렌즈어셈블리(140)가 도달하는 경우 렌즈어셈블리(140)가 고정부(121)로부터 인출될 때 스토퍼부(144)의 진행이 고정부(121)에 간섭 받지 않음으로써 회전축(143)이 삽입홈(121a)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렌즈어셈블리(140)가 고정부(121)로부터 분리되는 분리각도범위는 삽입홈(121a)의 폭에 따라서 렌즈어셈블리(140)가 회전하여도 스토퍼부(144)의 진행이 고정부(121)와 간섭 받지 않는 각도 범위일 수 있다.
회전방지부(145)는 스토퍼부(144) 및 고정부(121)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방지부(145)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방지부(145)는 스토퍼부(144) 및 고정부(121)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마찰부재는 고무, 실리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회전방지부(145)는 스토퍼부(144) 및 고정부(121)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배치된 돌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회전방지부(145)는 스토퍼부(144) 및 고정부(121)가 서로 접촉하는 스토퍼부(144) 및 고정부(121)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거칠도록 미세돌기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방지부(145)는 스토퍼부(144) 및 고정부(121)에 각각 배치되는 기어이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우징회로기판(148)은 제1 렌즈하우징(142a)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회로기판(148)은 하우징커넥터(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기판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커넥터는 케이블(149)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렌즈어셈블리(140)는 렌즈브라켓(120)으로부터 분리하거나 렌즈브라켓(120)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축(143)을 고정부(121)의 삽입홈(121a)으로부터 인출하여 삽입홈(121a)의 내부에 회전축(143)을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렌즈어셈블리(140)는 렌즈(141b)의 광축이 분리각도범위 내에 존재할 때 회전축(143)은 삽입홈(121a)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삽입홈(121a)에 삽입될 수 있다. 회전축(143)이 삽입하는 경우 스토퍼부(144)는 고정부(121)의 외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21)에 접촉하는 스토퍼부(144) 부분은 삽입홈(121a)이 형성된 제1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회전축(143)이 삽입홈(121a)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때 고정부(121)와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회전축(143)이 삽입되거나 회전축(143)이 인출되는 삽입홈(121a)의 입구부는 회전축(143)을 삽입홈(121a) 내부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홈(121a) 입구부의 크기는 최외곽이 삽입홈(121a)의 내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삽입홈(121a)은 입구부에서 일정 길이만큼 삽입홈(121a)의 크기가 작아지다가 일정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홈(121a)은 입구부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넓게 형성되어 회전축(143)이 다양한 방향에서 삽입되는 경우에도 삽입홈(121a) 내부로 쉽게 안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삽입홈(121a)의 입구부는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회전축(143)을 삽입홈(121a)의 중앙 부분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축(143)을 삽입홈(121a)을 삽입한 후 렌즈어셈블리(1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스토퍼부(144)는 고정부(121)의 외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특히 회전방지부(145)는 스토퍼부(144)와 고정부(121)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부(121)의 외면에 접촉함으로써 렌즈어셈블리(140)가 너무 빠르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렌즈어셈블리(140)가 회전을 멈추는 경우 렌즈어셈블리(140) 자체의 하중으로 인하여 렌즈어셈블리(14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렌즈어셈블리(14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토퍼부(144)가 이동하는 고정부(121)의 외면은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토퍼부(144)가 이동하는 고정부(121)의 외면은 반원 또는 부채꼴의 원호, 타원의 일부 등의 형상일 수 있다. 이때, 고정부(121)의 외면은 렌즈어셈블리(140)의 회전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감시카메라(미도시)는 렌즈어셈블리(140)를 용이하면서 자유롭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감시카메라는 렌즈어셈블리(140)를 분리각도범위 내에서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중심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중심축에 렌즈어셈블리를 결합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중심축(111c)은 렌즈어셈블리(14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중심축바디(111c-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심축(111c)은 중심축바디(111c-1)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스냅핏(111c-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중심축바디(111c-1)에는 스냅핏(111c-2)이 움직일 때 스냅핏(111c-2)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스냅핏(111c-2) 양측에 별도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중심축바디(111c-1)에는 회전축(143)이 삽입되는 회전축삽입홈(111c-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심축바디(111c-1)에는 렌즈어셈블리(140)의 케이블(미도시)이 삽입되는 케이블삽입홈(111c-4)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렌즈어셈블리(140)는 렌즈브라켓(미도시)로부터 분리하여 중심축(111c)에 배치하여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어셈블리(140)를 상기 렌즈브라켓으로부터 분리한 후 중심축(111c) 상에 배치하고 렌즈어셈블리(140)를 중심축(111c)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회전축(143)은 회전축삽입홈(111c-3)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144)는 스냅핏(111c-2)과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렌즈어셈블리(140)가 중심축(111c)에 계속해서 삽입되면, 스토퍼부(144)는 스냅핏(111c-2)을 가력하고 스냅핏(111c-2)은 회동할 수 있다. 이후 스토퍼부(144)가 스냅핏(111c-2)의 일 부분을 통과하면 스냅핏(111c-2)은 스토퍼부(144)를 구속할 수 있다. 이때, 스냅핏(111c-2)의 일부는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돌출된 스냅핏(111c-2) 부분에 스토퍼부(144)가 걸릴 수 있다. 특히 스냅핏(111c-2)의 돌출된 부분은 스냅핏(111c-2)의 끝단 부분에 배치되어 스토퍼부(144)를 구속한 후 스토퍼부(144)가 스냅핏(111c-2)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렌즈어셈블리(140)가 중심축(111c)에 결합하는 경우 렌즈어셈블리(140)의 케이블은 케이블삽입홈(111c-4)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블은 케이블삽입홈(111c-4)을 통하여 중심축(111c)의 측면으로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감시카메라(미도시)는 레일(미도시)에 배치된 렌즈어셈블리(140)를 중앙에 배치된 중심축(111c)에 배치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감시카메라는 동일한 렌즈어셈블리(140)를 상기 레일 및 중심축(111c)에서 공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감시카메라 126: 접촉돌기
111: 베이스하우징 127: 격벽
111a: 레일 130: 커버
111b: 베이스하우징바디부 131: 커버바디부
111c: 중심축 132: 가력부
112: 고정하우징 140: 렌즈어셈블리
113: 커버하우징 141: 렌즈모듈
120: 렌즈브라켓 142: 렌즈하우징
121: 고정부 143: 회전축
122: 이동부 144: 스토퍼부
123: 결합돌기 145: 회전방지부
124: 걸림부 147: 렌즈케이스가이드
125: 가이드 148: 하우징회로기판
149: 케이블

Claims (13)

  1. 제1 방향으로 물체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홈을 구비한 고정부를 구비한 렌즈브라켓; 및
    상기 제1 방향으로만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고정부로부터 분리되거나 상기 제1 방향으로만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렌즈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브라켓이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렌즈브라켓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레일;을 더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어셈블리는,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 배치되는 렌즈하우징;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회전축; 및
    상기 렌즈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렌즈하우징의 회전 시 상기 고정부의 외면에 접촉하여 이동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동일한 감시카메라.
  5. 렌즈어셈블리;
    상기 렌즈어셈블리의 돌출된 부분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렌즈브라켓; 및
    상기 렌즈어셈블리에 형성되며, 상기 렌즈어셈블리의 회전 시 상기 렌즈브라켓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렌즈어셈블리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렌즈브라켓의 개구된 부분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렌즈어셈블리와 상기 렌즈브라켓이 서로 분리되는 각도범위를 결정하는 감시카메라.
  6. 렌즈어셈블리;
    상기 렌즈어셈블리의 돌출된 부분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렌즈브라켓; 및
    상기 렌즈브라켓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렌즈브라켓에서 분리된 상기 렌즈어셈블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중심축;을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어셈블리는,
    상기 렌즈어셈블리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렌즈브라켓의 개구된 부분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렌즈어셈블리와 상기 렌즈브라켓이 서로 분리되는 각도범위범위를 결정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어셈블리는,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 배치되는 렌즈하우징;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회전축; 및
    상기 렌즈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렌즈하우징의 회전 시 상기 고정부의 외면에 접촉하여 이동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9. 제 3 항, 제 5항, 제 7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스토퍼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10. 제 3 항, 제 5항, 제 7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가 접촉하는 상기 고정부 부분은 만곡지게 형성된 감시카메라.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은,
    상기 스토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스냅핏;을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은 상기 렌즈어셈블리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회전축삽입홈을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렌즈브라켓은 복수 개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렌즈브라켓이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환형의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렌즈 어셈블리 중 하나는 상기 레일의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축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렌즈 어셈블리 중 다른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레일에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렌즈브라켓에 배치되는 감시카메라.
KR1020180047323A 2018-04-24 2018-04-24 감시 카메라 KR102525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323A KR102525183B1 (ko) 2018-04-24 2018-04-24 감시 카메라
US16/198,712 US10495952B2 (en) 2018-04-24 2018-11-21 Lens bracket for security camera and security camera having the same
EP18212309.1A EP3561592B1 (en) 2018-04-24 2018-12-13 Lens bracket for security camera and security camera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323A KR102525183B1 (ko) 2018-04-24 2018-04-24 감시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517A true KR20190123517A (ko) 2019-11-01
KR102525183B1 KR102525183B1 (ko) 2023-04-25

Family

ID=64901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323A KR102525183B1 (ko) 2018-04-24 2018-04-24 감시 카메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95952B2 (ko)
EP (1) EP3561592B1 (ko)
KR (1) KR1025251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347B1 (ko) * 2022-12-23 2023-06-1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추적 장치 및 추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0543B2 (en) * 2018-01-22 2021-10-19 Hangzhou Hikvision Digital Technology Co., Ltd. Transparent cover and imaging optical system
KR102621876B1 (ko) * 2018-11-09 2024-01-05 한화비전 주식회사 촬상 장치
JP7245767B2 (ja) * 2019-12-23 2023-03-24 株式会社日立エルジーデータストレージ 全方位測距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238A (ko) * 2001-10-30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고정구조
KR20050089510A (ko) * 2004-03-05 2005-09-08 황의남 팬/틸트 돔형 카메라
JP2011069886A (ja) * 2009-09-24 2011-04-07 Canon Inc レンズ鏡筒及び光学装置
JP2016065969A (ja) * 2014-09-24 2016-04-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KR20170010500A (ko) * 2015-07-20 2017-02-01 주식회사 오토닉스 렌즈커버의 착탈식 고정장치
US20170299949A1 (en) 2014-06-09 2017-10-19 Arecont Vision, Llc Omnidirectional user configurable multi-camera housin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0684B2 (en) 2006-02-13 2009-04-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amera mount
KR20080011962A (ko) 2006-08-01 2008-02-11 주식회사 비젼아이트 돔형 카메라 장치
CN101493562A (zh) * 2008-01-21 2009-07-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筒旋入装置及镜筒定位方法
JP5426257B2 (ja) * 2009-07-03 2014-02-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のシフト機構及びプロジェクタ
KR100997877B1 (ko) 2009-10-16 2010-12-02 박웅도 광대역 감시 카메라
JP5587105B2 (ja) * 2010-09-09 2014-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8769859B2 (en) 2011-12-23 2014-07-08 Sellmark Corporation Firearm sight mount
JP6064458B2 (ja) * 2012-09-05 2017-01-2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US20150090849A1 (en) 2013-09-30 2015-04-02 Covidien Lp Medical device supporting apparatus
FR3017020B1 (fr) 2014-01-24 2017-04-28 Teb Socle de fixation pour camera de surveillance et organe de fixation complementaire associe.
DE112018002841T5 (de) * 2017-06-05 2020-02-20 Avigilon Corporation Sphärische Kamera
CN207070183U (zh) * 2017-08-16 2018-03-02 中磊电子(苏州)有限公司 网络摄影机
US10536616B2 (en) * 2017-08-31 2020-01-1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TWI649610B (zh) * 2017-09-19 2019-02-01 晶睿通訊股份有限公司 鏡頭傳動機構及其攝影裝置
KR102350916B1 (ko) * 2017-12-19 2022-01-1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및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238A (ko) * 2001-10-30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고정구조
KR20050089510A (ko) * 2004-03-05 2005-09-08 황의남 팬/틸트 돔형 카메라
JP2011069886A (ja) * 2009-09-24 2011-04-07 Canon Inc レンズ鏡筒及び光学装置
US20170299949A1 (en) 2014-06-09 2017-10-19 Arecont Vision, Llc Omnidirectional user configurable multi-camera housing
JP2016065969A (ja) * 2014-09-24 2016-04-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KR20170010500A (ko) * 2015-07-20 2017-02-01 주식회사 오토닉스 렌즈커버의 착탈식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347B1 (ko) * 2022-12-23 2023-06-1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추적 장치 및 추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61592B1 (en) 2024-02-21
US20190324352A1 (en) 2019-10-24
KR102525183B1 (ko) 2023-04-25
EP3561592A1 (en) 2019-10-30
US10495952B2 (en)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3517A (ko) 감시 카메라
KR20190123516A (ko) 감시카메라용 렌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JP5109232B2 (ja) レンズ鏡筒
TW201318514A (zh) 外置鏡頭固定結構及可攜帶型電子裝置
TWI717708B (zh) 一種相機組件
JP2011023856A (ja) カメラ装置
US9031400B2 (en) Camera with hot shoe unit
US11454865B2 (en) Dynamic camera lens cap
US11960194B2 (en) Camera
EP3270205B1 (en) Lens barrel
JP2023002302A (ja) 羽根開閉装置及び撮像装置
KR20190123518A (ko) 감시카메라용 렌즈브라켓 및 이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
JP2010009178A (ja) 感知器
JP2019139191A (ja) レンズフード、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TWI631600B (zh) 光學裝置
JP2007128997A (ja) 電子機器用ストラップ取付構造
KR20200028788A (ko) 이미지 센싱용 고정장치
US9268104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KR102037708B1 (ko)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인식장치
JP2005017375A (ja) レンズ鏡筒保持装置及びレンズ鏡筒保持装置が脱着可能なレンズ鏡筒
JP4776917B2 (ja) エレベータホールランタン
JP2008146198A (ja) 回転ストッパ構造
JP2006091461A (ja) レンズ固定部構造
JP5155415B2 (ja) 内視鏡付属品
KR20030028532A (ko) 디지털카메라의 엘씨디 후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