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2588A - 수지 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수지 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2588A
KR20190122588A KR1020190046159A KR20190046159A KR20190122588A KR 20190122588 A KR20190122588 A KR 20190122588A KR 1020190046159 A KR1020190046159 A KR 1020190046159A KR 20190046159 A KR20190046159 A KR 20190046159A KR 20190122588 A KR20190122588 A KR 20190122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ided
passage
base
dividing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8031B1 (ko
Inventor
히로아키 기요카미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90122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3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comprising junction pieces for four or more pip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56Lubrication by injection; Injection nozzles or tub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friction, e.g. spin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2Joining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4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 B29C66/547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e.g. endless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2Arrangements of lubrican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2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for branching pipes; for joining pipes to walls; Adap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06Rigid pipes specially prof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22Pipe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403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ectromagnetic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412Infrared [IR]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3Single flanged joints; Fin-type joints; Single hem joints; Edge joints; Interpenetrating fingered joints; Other specific particular designs of joint cross-sec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C66/11 - B29C66/12
    • B29C66/131Single flanged joi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rigid and flanged in the joint area
    • B29C66/1312Single flange to flange joints,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4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 B29C66/543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joining more than two hollow-preforms to form said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2Closed-circuit lubricating syste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M1/02 - F01M1/10
    • F01M2001/123Closed-circuit lubricating syste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M1/02 - F01M1/10 using two or more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과제] 복수의 분할 부품이 서로 접합된 수지 파이프에 있어서, 소정의 접합 강도를 확보하면서 통로의 설정의 자유도를 높게 한다.
[해결 수단] 제 1 반할부(114) 및 제 2 반할부(116)가 연결부(90)를 개재하여 연결된 베이스 분할 부품(100)과, 제 1 반할부(114)와의 사이에 제 1 통로부(80)를 형성하는 제 1 분할 부품(102)과, 제 2 반할부(116)와의 사이에 제 2 통로부(84)를 형성하는 제 2 분할 부품(104)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분할 부품(102) 및 제 2 분할 부품(104)의 분할면은, 접합 시에 소정의 가압력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삼차원 형상이 제한되고, 제 1 통로부(80), 제 2 통로부(84)의 통로 형상도 마찬가지로 제한되지만, 제 1 통로부(80) 및 제 2 통로부(84)는, 각각 소정의 가압력이 얻어지는 범위에서 각각 형상을 설정할 수 있음과 함께 연결부(90)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90)의 연결 통로부(88)를 포함한 오일 파이프(70) 전체의 통로의 형상의 설정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Description

수지 파이프 및 그 제조 방법{RESIN PIPING ASSEMBLY, AND PROCESS OF 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지 파이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련되며, 특히, 복수의 분할 부품이 서로 접합되어 통로가 마련되어 있는 수지 파이프에 있어서, 소정의 접합 강도를 확보하면서 통로의 설정의 자유도를 높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로를 따라 분할된 복수의 분할 부품을 가지고, 그 복수의 분할 부품의 분할면이 서로 마주 본 상태로 조합되며, 내부에 상기 통로가 마련되어 있는 수지 파이프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오일 공급관은 그 일례이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복수의 분할 부품의 분할면을 서로 마주 보게 하여 가압한 상태로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마찰열에 의해 용융시켜 접합하는 진동 용착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14-9744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특개평7-80938호 공보
그런데, 상기 진동 용착 기술 등에서 분할면을 서로 마주 보게 한 상태로 가압하여 접합하는 경우, 분할면이 가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통로가 3차원적으로 변화되어 있는 수지 파이프의 경우, 분할면도 3차원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소정의 가압력이 얻어지지 않는 영역이 생겨, 충분한 접합 강도가 얻어지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 즉, 통로가 이차원 형상인 경우에는, 그 이차원 형상의 이차원 평면과 평행한 분할면으로 분할하면, 그 분할면의 전역에서 수직 방향으로부터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여, 필요한 가압력이 적절하게 얻어지지만, 통로가 삼차원 형상이 되면, 가압 방향과 수직인 이차원 평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영역이 생기고, 그 경사 각도가 커지면 면 수직 방향의 가압력이 저하한다. 이 때문에, 그 경사 각도가, 접합에 필요한 가압력이 얻어지는 소정값 이하가 되도록, 통로의 삼차원 형상이 제한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은 삼차원 형상을 삼차원 제한 형상이라고 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배경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복수의 분할 부품이 서로 접합되어 통로가 마련되어 있는 수지 파이프에 있어서, 소정의 접합 강도를 확보하면서 통로의 설정의 자유도를 높게 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 발명의 수지 파이프는, (a-1)통로를 따라 형성되는 제 1 분할면을 구비한 제 1 반할부와, 상기 통로를 따라 형성되는 제 2 분할면을 구비한 제 2 반할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분할 부품과, (a-2)상기 통로를 따라 형성되는 제 3 분할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분할면과 상기 제 3 분할면이 마주 본 상태로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 1 반할부와의 사이에 상기 통로의 일부인 제 1 통로부를 형성하고 있는 제 1 분할 부품과, (a-3)상기 통로를 따라 형성되는 제 4 분할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분할면과 상기 제 4 분할면이 마주 본 상태로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 2 반할부와의 사이에 상기 통로의 일부인 제 2 통로부를 형성하고 있는 제 2 분할 부품을 가짐과 함께, (b)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 상기 제 1 분할 부품, 및 상기 제 2 분할 부품의 재질은 모두 수지이고, (c)상기 제 1 분할면과 상기 제 2 분할면은 서로 이간하고, 또한,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으며, (d) 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은, 상기 통로 일부로서, 상기 제 1 통로부와 상기 제 2 통로부를 연통시키는 연결 통로부가 마련된 통 형상의 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할면의 개구의 방향은, 분할면에 통로부를 형성하기 위한 홈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의 홈의 개구의 방향이지만, 분할면에 홈이 없는 경우에는, 통로부를 형성하는 측의 방향, 즉 분할면의 법선 방향 등 분할면이 보이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의 수지 파이프에 있어서, (a)상기 제 1 반할부의 상기 제 1 분할면에는 상기 제 1 통로부를 형성하는 홈이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 2 반할부의 상기 제 2 분할면에는 상기 제 2 통로부를 형성하는 홈이 마련되어 있고, (b)상기 연결부는 일직선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c)상기 제 1 반할부 및 상기 제 2 반할부는, 상기 일직선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마련되어 있고, (d)상기 제 1 분할면의 개구 방향 및 상기 제 2 분할면의 개구 방향은, 상기 일직선 방향과 평행하고 또한 서로 반대의 바깥 방향이며, (e) 상기 제 1 반할부 및 상기 제 2 반할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은,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의 수지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 상기 제 1 분할 부품, 및 상기 제 2 분할 부품의 적어도 하나의 분할 부품에는, 상기 분할면의 개구측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중공(中空)의 돌출 노즐부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고, 그 돌출 노즐부에는 외부에 개구하는 토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은, 제 3 발명의 수지 파이프에 있어서, (a)상기 연결부는 일직선으로 마련되어 있고, (b)상기 돌출 노즐부는 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에 상기 연결부와 평행하게 일직선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발명은, 제 1 발명∼제 4 발명 중 어느 수지 파이프에 있어서, (a)상기 연결부는 일직선으로 마련되어 있고, (b)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의 상기 제 1 반할부에는, 상기 제 1 분할면의 개구측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와 평행하게 일직선으로 연장되도록 통 형상의 접속 포트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발명은, 제 1 발명∼제 5 발명 중 어느 수지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수지 파이프는, 동력 전달 장치의 소정의 윤활 필요 부위에 윤활용의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윤활용이란, 마찰이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냉각하는 경우도 포함하고, 윤활 필요 부위는, 동력 전달 시에 윤활이나 냉각을 필요로 하는 마찰 부위나 발열 부위 등이다.
제 7 발명은, (a-1)통로를 따라 형성되는 제 1 분할면을 구비한 제 1 반할부와, 상기 통로를 따라 형성되는 제 2 분할면을 구비한 제 2 반할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분할 부품과, (a-2)상기 통로를 따라 형성되는 제 3 분할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분할면과 상기 제 3 분할면이 마주 본 상태로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 1 반할부와의 사이에 상기 통로의 일부인 제 1 통로부를 형성하고 있는 제 1 분할 부품과, (a-3)상기 통로를 따라 형성되는 제 4 분할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분할면과 상기 제 4 분할면이 마주 본 상태로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 2 반할부와의 사이에 상기 통로의 일부인 제 2 통로부를 형성하고 있는 제 2 분할 부품을 가짐과 함께, (b)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 상기 제 1 분할 부품, 및 상기 제 2 분할 부품의 재질은 모두 수지이고, (c)상기 제 1 분할면과 상기 제 2 분할면은 서로 이간하고, 또한,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으며, (d) 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은, 상기 통로의 일부로서, 상기 제 1 통로부와 상기 제 2 통로부를 연통시키는 연결 통로부가 마련된 통 형상의 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수지 파이프의 제조 방법으로서, (e)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 상기 제 1 분할 부품, 및 상기 제 2 분할 부품을, 각각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하는 성형 공정과, (f)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의 상기 제 1 반할부의 상기 제 1 분할면과 상기 제 1 분할 부품의 상기 제 3 분할면을 마주 보게 한 상태로 가압하고, 그 제 1 반할부에 그 제 1 분할 부품을 접합하는 제 1 접합 공정과, (g)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의 상기 제 2 반할부의 상기 제 2 분할면과 상기 제 2 분할 부품 상기 제 4 분할면을 마주 보게 한 상태로 가압하고, 그 제 2 반할부에 그 제 2 분할 부품을 접합하는 제 2 접합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발명은, 제 7 발명의 수지 파이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합 공정 및 상기 제 2 접합 공정은, 모두 상기 분할면을 가압하면서 미끄럼 접촉하도록 진동시켜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진동에 의한 마찰열로 용융시켜 가압하여 용착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지만, 적외선 가열 등에 의해 분할면을 사전에 가열, 용융해 두고, 진동시키면서 가압하여 용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9 발명은, 제 7 발명 또는 제 8 발명의 수지 파이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제 1 반할부의 상기 제 1 분할면에는 상기 제 1 통로부를 형성하는 홈이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 2 반할부의 상기 제 2 분할면에는 상기 제 2 통로부를 형성하는 홈이 마련되어 있고, (b)상기 연결부는 일직선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c)상기 제 1 반할부 및 상기 제 2 반할부는, 상기 일직선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마련되어 있고, (d)상기 제 1 분할면의 개구 방향 및 상기 제 2 분할면의 개구 방향은, 상기 일직선 방향과 평행하고 또한 서로 반대의 바깥 방향이며, (e)상기 제 1 반할부 및 상기 제 2 반할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f)상기 성형 공정에서는, 상기 일직선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접근 이간시켜지는 한 쌍의 성형형(成形型)을 가지는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홈이 마련된 상기 제 1 반할부, 상기 홈이 마련된 상기 제 2 반할부, 및 상기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 발명은, 제 9 발명의 수지 파이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의 상기 제 2 반할부에는, 상기 일직선 방향으로서 상기 제 2 분할면의 개구측과 반대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도록 중공의 돌출 노즐부가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그 돌출 노즐부에는 외부에 개구하는 토출구가 마련되어 있고, (b)상기 성형 공정에서 상기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을 사출 성형할 때에, 상기 돌출 노즐부가 그 베이스 분할 부품과 일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1 발명은, 제 9 발명 또는 제 10 발명의 수지 파이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의 상기 제 1 반할부에는, 상기 일직선 방향으로서 상기 제 1 분할면의 개구측과 반대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도록 통 형상의 접속 포트가 마련되어 있고, (b)상기 성형 공정에서 상기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을 사출 성형할 때에, 상기 접속 포트가 그 베이스 분할 부품과 일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의 수지 파이프는, 제 1 반할부 및 제 2 반할부가 연결부를 개재하여 연결된 베이스 분할 부품과, 제 1 반할부와의 사이에 제 1 통로부를 형성하는 제 1 분할 부품과, 제 2 반할부와의 사이에 제 2 통로부를 형성하는 제 2 분할 부품을 구비하고 있고, 분할면끼리를 접합할 때에 가압력이 필요한 경우, 제 1 반할부와 제 1 분할 부품과의 분할면(제 1 분할면 및 제 3 분할면) 및 제 2 반할부와 제 2 분할 부품과의 분할면(제 2 분할면 및 제 4 분할면)은, 각각 전역에서 소정의 가압력이 얻어지도록 하는 관점에서 이차원 형상 또는 삼차원 제한 형상으로 제한되고, 제 1 통로부 및 제 2 통로부의 통로 형상도 마찬가지로 이차원 형상 또는 삼차원 제한 형상으로 제한된다. 그러나, 그 제 1 통로부 및 제 2 통로부는, 각각 소정의 가압력이 얻어지는 범위에서 각각 형상을 설정할 수 있음과 함께, 서로 이간하여 마련되어 연결부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의 연결 통로부를 포함한 수지 파이프 전체의 통로 형상의 설정의 자유도가 높아져, 소정의 접합 강도를 확보하면서 비교적 복잡한 삼차원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분할면을 접착제로 접합하는 경우 등에서, 높은 가압력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분할면의 설정의 자유도가 높아져, 제 1 통로부 및 제 2 통로부의 형상의 제한이 완화되기 때문에, 소정의 접합 강도를 확보하면서 수지 파이프 전체의 통로 형상의 설정의 자유도가 더 높아진다. 제 1 발명의 수지 파이프는, 이와 같이 분할면을 접합할 때에 높은 가압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2 발명은, 제 1 분할면 및 제 2 분할면에 각각 홈이 마련되어 있는 한편, 연결부가 일직선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제 1 반할부 및 제 2 반할부는 그 일직선 방향으로 이간하여 마련되어 있고, 그러한 분할면의 개구 방향이 일직선 방향과 평행하고 서로 반대의 바깥 방향이며, 제 1 반할부 및 제 2 반할부는 연결부로부터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서, 예를 들면 일직선 방향으로 접근 이간시켜지는 한 쌍의 성형형을 구비하고 있는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이나 프레스 성형 등에 의해 분할면의 홈 및 연결부를 포함하여 제 1 반할부 및 제 2 반할부를 가지는 베이스 분할 부품을 일체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여, 베이스 분할 부품을 간단하게 또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 3 발명은, 베이스 분할 부품, 제 1 분할 부품, 및 제 2 분할 부품의 적어도 하나의 분할 부품에, 분할면의 개구측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중공의 돌출 노즐부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서, 접합 강도에 영향을 주지 않고 돌출 노즐부를 마련하여 통로를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돌출 노즐부가 분할 부품과 일체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 부품의 노즐을 나사 등으로 고정 마련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부품수가 적어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 4 발명은, 연결부가 일직선으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돌출 노즐부가 그 연결부와 평행하게 일직선으로 베이스 분할 부품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서, 예를 들면 일직선 방향으로 접근 이간시켜지는 한 쌍의 성형형을 구비하고 있는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이나 프레스 성형 등에 의해 연결부 및 돌출 노즐부를 포함하여 베이스 분할 부품을 일체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여, 그 베이스 분할 부품을 간단하게 또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 5 발명은, 연결부가 일직선으로 마련되어 있고, 베이스 분할 부품의 제 1 반할부에는, 제 1 분할면의 개구측과 반대 방향으로 연결부와 평행하게 일직선으로 연장되도록 접속 포트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서, 접합 강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접속 포트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접속 포트가 베이스 분할 부품과 일체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 부품의 접속 포트를 나사 등으로 고정 마련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부품수가 적어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와 평행하게 일직선으로 접속 포트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일직선 방향으로 접근 이간시켜지는 한 쌍의 성형형을 구비하고 있는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이나 프레스 성형 등에 의해 연결부 및 접속 포트를 포함하여 베이스 분할 부품을 일체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여, 그 베이스 분할 부품을 간단하게 또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 6 발명은, 동력 전달 장치의 윤활 필요 부위에 윤활용의 오일을 공급하는 수지 파이프에 관한 것이고, 통로 형상의 설정의 자유도가 높은 점에서, 동력 전달 장치 내의 복잡하고 좁은 스페이스에 수지 파이프를 콤팩트하게 배치하거나, 윤활 필요 부위에 핀포인트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제 7 발명은, 베이스 분할 부품, 제 1 분할 부품, 및 제 2 분할 부품을 각각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한 후, 베이스 분할 부품의 제 1 반할부에 제 1 분할 부품을 가압하여 접합함과 함께, 베이스 분할 부품의 제 2 반할부에 제 2 분할 부품을 가압하여 접합하는 것이고, 실질적으로 제 1 발명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제 8 발명은, 베이스 분할 부품의 제 1 반할부에 제 1 분할 부품을 접합하는 제 1 접합 공정, 및 베이스 분할 부품의 제 2 반할부에 제 2 분할 부품을 접합하는 제 2 접합 공정에서, 각각 진동 용착 기술을 이용하여 접합하는 경우에서, 필요한 접합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접합면(분할면과 동일)의 전역에서 소정의 가압력을 부여할 필요가 있는데, 각각의 접합 공정에 있어서의 접합면이 이차원 형상 또는 삼차원 제한 형상으로 됨으로써, 접합면의 전역에서 소정의 가압력을 부여하여 진동 용착 기술에 의해 적절하게 접합할 수 있다.
제 9 발명은, 제 1 분할면 및 제 2 분할면에 각각 홈이 마련되어 있는 한편, 연결부가 일직선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제 1 반할부 및 제 2 반할부는 그 일직선 방향으로 이간하여 마련되어 있고, 그러한 분할면의 개구 방향이 일직선 방향과 평행하고 서로 반대의 바깥 방향이며, 제 1 반할부 및 제 2 반할부는 연결부로부터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서, 그 일직선 방향으로 접근 이간시켜지는 한 쌍의 성형형을 구비하고 있는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분할면의 각 홈을 포함하여 제 1 반할부, 제 2 반할부, 및 연결부를 가지는 베이스 분할 부품이 일체 성형되기 때문에, 베이스 분할 부품을 간단하게 또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성형 장치에 관해서도, 일직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형 등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아, 한 쌍의 성형형을 주체로 하여 비교적 간단하고 또한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 10 발명은, 베이스 분할 부품의 제 2 반할부에, 상기 일직선 방향으로서 제 2 분할면의 개구측과 반대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돌출 노즐부가 마련되어 있고, 베이스 분할 부품을 사출 성형할 때에 돌출 노즐부가 베이스 분할 부품과 일체 성형되기 때문에, 돌출 노즐부를 포함하여 베이스 분할 부품을 간단하게 또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 11 발명은, 베이스 분할 부품의 제 1 반할부에, 상기 일직선 방향으로서 제 1 분할면의 개구측과 반대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접속 포트가 마련되어 있고, 베이스 분할 부품을 사출 성형할 때에 접속 포트가 베이스 분할 부품과 일체 성형되기 때문에, 접속 포트를 포함하여 베이스 분할 부품을 간단하게 또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오일 파이프(수지 파이프)가 이용된 윤활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하이브리드형 자동차의 동력 전달 장치를 전개하여 나타낸 골자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이브리드형 자동차가 구비하고 있는 윤활 장치를 설명하는 유압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윤활 장치의 제 1 공급 유로(油路)가 마련된 오일 파이프를 단독으로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오일 파이프를 차량 폭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우측 방향으로부터 본 오일 파이프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오일 파이프를 구성하고 있는 3개의 분할 부품을 접합하기 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있어서의 VII-VII 화살표에서 본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베이스 분할 부품을 성형하는 성형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제 1 분할 부품을 성형하는 성형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제 2 분할 부품을 성형하는 성형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이고, 도 5에 대응하는 오일 파이프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이고, 도 5에 대응하는 오일 파이프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베이스 분할 부품을 성형하는 성형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량용의 동력 전달 장치의 윤활 장치에 있어서, 윤활 필요 부위에 윤활용 오일을 공급하는 수지제의 오일 파이프에 적용되지만, 차량용 이외의 동력 전달 장치의 오일 파이프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윤활용 오일 이외의 물 등의 유체를 유통시키는 것이어도 되고, 다양한 수지 파이프에 적용될 수 있다. 동력 전달 장치의 윤활 필요 부위는, 예를 들면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의 맞물림부나 전동 벨트 등 외에, 동력 전달 기구의 회전축 등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베어링, 하이브리드형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 등의 전동 차량의 전동 모터나 발전기 등, 동력 전달 시에 윤활이나 냉각을 필요로 하는 마찰 부위, 발열 부위 등이다. 오일 펌프로부터 수지 파이프에 공급된 윤활용 오일을, 그대로 수지 파이프를 거쳐 윤활 필요 부위에 공급할 수도 있지만, 오일 펌프로부터 오일 쿨러 등의 열교환기나 유로 전환 밸브, 유압 제어 밸브 등에 윤활용 오일을 공급하는 부분, 또는 오일 쿨러 등의 열교환기나 유로 전환 밸브, 유압 제어 밸브 등으로부터 윤활 필요 부위에 윤활용 오일을 공급하는 부분에, 본 발명의 수지 파이프를 이용할 수도 있다.
수지 파이프는, 기본적으로 합성 수지 재료로 구성되지만, 보강용의 금속 등이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 마련되어도 된다. 수지 파이프는, 베이스 분할 부품, 제 1 분할 부품, 및 제 2 분할 부품의 3개의 분할 부품을 구비하여 구성되지만, 예를 들면 제 2 분할 부품으로서 베이스 분할 부품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반할부를 가지는 것을 이용함으로써, 또 다른 분할 부품을 접합할 수도 있고, 베이스 분할 부품의 제 2 반할부에 추가로 연결부 및 제 3 반할부를 마련하여, 그 제 3 반할부에 제 3 분할 부품을 접합해도 되는 등, 4개 이상의 분할 부품을 이용하여 단일의 수지 파이프를 구성할 수도 있다. 수지 파이프 통로는, 예를 들면 제 1 통로부 및 제 2 통로부가 각각 일직선 형상으로 마련되고, 그러한 제 1 통로부 및 제 2 통로부와 교차하도록 연결 통로부가 연결된 비교적 단순한 크랭크 형상 등이어도 되지만, 제 1 통로부 및 제 2 통로부를, 각각 접합 시의 가압력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는 삼차원 제한 형상으로 해도 된다. 삼차원 제한 형상은, 예를 들면 용착 접합의 경우, 가압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이차원 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최대 60° 이하의 삼차원 형상이 적당하고, 45°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최대 경사 각도는, 접합 수단에 따라 적절히 정해진다. 복수의 분할 부품의 접합 방법은, 가압하면서 마찰이나 가열에 의해 합성 수지를 용융시켜 접합하는 용착 접합이 적당하지만, 접착제를 이용하여 가압하여 접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분할면을 가압하여 접합하는 것이 요건이지만, 수지 파이프 자체는, 분할면을 가압하여 접합하는 것을 요건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분할 부품의 제 1 반할부 및 제 2 반할부는, 예를 들면 그러한 분할면이 일직선 방향에 있어서 서로 반대 방향(180° 상이한 방향)이 되는 자세로 마련되지만, 분할면의 방향(개구측)을 서로 90° 상이한 방향으로 할 수도 있는 등, 제 1 반할부 및 제 2 반할부의 분할면의 방향은 적절히 정해진다. 그 경우라도, 예를 들면 3개 이상의 성형형을 2축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 등에 의해 베이스 분할 부품을 일체 성형할 수 있다. 제 1 반할부 및 제 2 반할부의 분할면의 방향이 일직선 방향에 있어서 서로 반대 방향이고, 연결부가 일직선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마련되어 있는 경우, 베이스 분할 부품의 성형 시에 연결부를 동시에 성형할 수 있지만, 연결부나, 그 연결부의 내부의 연결 통로부를, 예를 들면 베이스 분할 부품의 성형 후의 후가공에서 절삭 가공 등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여, 연결부는 반드시 일직선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마련될 필요는 없다.
베이스 분할 부품의 제 1 반할부와 제 1 분할 부품과의 분할면(제 1 분할면 및 제 3 분할면)의 적어도 일방에는, 제 1 통로부를 형성하기 위한 홈(긴 형상의 오목부)이 마련되고, 베이스 분할 부품의 제 2 반할부와 제 2 분할 부품과의 분할면(제 2 분할면 및 제 4 분할면)의 적어도 일방에는, 제 2 통로부를 형성하기 위한 홈(긴 형상의 오목부)이 마련된다. 즉, 통로를 따라 형성되는 분할면은, 반드시 통로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균등하게 절반씩 분할되도록 설정할 필요는 없고, 1:2나 1:3 등의 부등(不等) 분할이어도 되며, 어느 일방의 분할면은 홈 없는 평탄면이고, 타방의 분할면에만 단면이 반원호형이나 U자형, V자형 등의 홈이 마련되어도 된다. 통로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나 타원형,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의 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분할 부품의 분할면에 마련되는 홈에 관해서도, 사출 성형 등에 의해 분할 부품을 성형할 때에 동시에 일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분할 부품의 성형 후의 후가공에서 절삭 가공 등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한 홈의 개구 주연부가 분할면이다.
제 1 통로부 및 제 2 통로부는, 예를 들면 일단부가 연결부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타단부가 각각 연결부로부터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되록 마련되지만, 제 1 통로부 및/또는 제 2 통로부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 연결부를 연결하여, 분기 구조의 통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베이스 분할 부품, 제 1 분할 부품, 또는 제 2 분할 부품에는, 필요에 따라 분할면의 개구측과 반대측에 중공의 돌출 노즐부나 통 형상의 접속 포트 등이, 예를 들면 연결부와 평행하게 일직선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마련되지만, 그와 같은 돌출 노즐부나 접속 포트를 마련하지 않고, 제 1 통로부나 제 2 통로부에 연통하는 토출구나 접속구를 마련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접속 포트는, 수지 파이프 통로 내에 유체를 도입하는 것이어도 되고, 통로로부터 유체를 유출시키는 위한 것이어도 된다. 토출구나 접속구는, 예를 들면 캠 등에 의해 가동 성형형에 연동하여 기계적으로 이동시켜지는 슬라이드형을 이용하여, 분할 부품의 성형과 동시에 마련할 수 있지만, 성형 후의 후가공에서 절삭 가공 등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돌출 노즐부의 중공 부분이나 접속 포트의 관통 구멍에 관해서도, 사출 성형 등에 의한 분할 부품의 성형 시에 동시에 성형할 수 있지만, 분할 부품의 성형 후의 후가공에서 절삭 가공 등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여, 반드시 연결부와 평행할 필요는 없다.
베이스 분할 부품, 제 1 분할 부품, 및 제 2 분할 부품은, 예를 들면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되지만, 형상에 따라서는 프레스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성형 후의 후가공에서, 절삭 가공 등을 행해도 된다. 베이스 분할 부품의 제 1 반할부에 제 1 분할 부품을 접합하는 제 1 접합 공정과, 베이스 분할 부품의 제 2 반할부에 제 2 분할 부품을 접합하는 제 2 접합 공정은, 어느 쪽을 먼저 행해도 되고, 가능하면 동시에 행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면은 설명을 위해 적절히 간략화 또는 변형되어 있고, 각 부의 치수비 및 형상 등은 반드시 정확하게 표현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하이브리드형 자동차(10)의 트랜스 액슬(12)을 설명하는 골자도이고, 그 트랜스 액슬(12)의 동력 전달 기구(16)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축이 공통의 평면 내에 위치하도록 전개하여 나타낸 전개도이다. 트랜스 액슬(12)은, 구동력원인 엔진(20)의 출력을 좌우의 구동륜(38)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기어식의 동력 전달 기구(16)의 복수의 축이 차량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FF 차량 등의 가로 놓기형이고, 동력 전달 기구(16)는 케이스(14) 내에 수용되어 있다. 엔진(20)은, 연료의 연소에 의해 동력을 발생하는 가솔린 엔진이나 디젤 엔진 등의 내연 기관이다. 트랜스 액슬(12)은 동력 전달 장치에 상당하고, 케이스(14)는, 필요에 따라 복수의 부재로 구성된다.
동력 전달 기구(16)는, 차량 폭 방향과 대략 평행한 제 1 축선(S1)∼제 4 축선(S4)을 구비하고 있고, 제 1 축선(S1) 상에는, 구동력원인 엔진(20)에 연결된 입력축(22)이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그 제 1 축선(S1)과 동심으로 싱글 피니언형의 유성 기어 장치(24) 및 제 1 모터 제너레이터(MG1)가 배치되어 있다. 유성 기어 장치(24) 및 제 1 모터 제너레이터(MG1)는 전기식 차동부(26)로서 기능하는 것으로서, 차동 기구인 유성 기어 장치(24)의 캐리어(24c)에 입력축(22)이 연결되고, 선 기어(24s)에 제 1 모터 제너레이터(MG1)가 연결되며, 링 기어(24r)에 엔진 출력 기어(Ge)가 마련되어 있다. 캐리어(24c)는 제 1 회전 요소이고, 선 기어(24s)는 제 2 회전 요소이며, 링 기어(24r)는 제 3 회전 요소이고, 제 1 모터 제너레이터(MG1)는 차동 제어용 회전기에 상당한다. 제 1 모터 제너레이터(MG1)는 전동 모터 및 발전기로서 택일적으로 이용되는 것이고, 발전기로서 기능하는 회생 제어 등에서 선 기어(24s)의 회전 속도가 연속적으로 제어됨으로써, 엔진(20)의 회전 속도가 연속적으로 변화시켜져 엔진 출력 기어(Ge)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제 1 모터 제너레이터(MG1)의 토크가 0으로 되어 선 기어(24s)가 공전시켜짐으로써, 엔진(20)과 동력 전달 기구(16)의 사이의 동력 전달이 차단되고, 엔진(20)의 연동 회전이 방지된다.
제 2 축선(S2) 상에는, 샤프트(28)의 양단에 감속 대(大) 기어(Gr1) 및 감속 소(小) 기어(Gr2)가 마련된 감속 기어 장치(30)가 배치되어 있고, 감속 대 기어(Gr1)는 상기 엔진 출력 기어(Ge)과 맞물려 있다. 감속 대 기어(Gr1)는 또한, 제 3 축선(S3) 상에 배치된 제 2 모터 제너레이터(MG2)의 모터 출력 기어(Gm)와 맞물려 있다. 제 2 모터 제너레이터(MG2)는 전동 모터 및 발전기로서 택일적으로 이용되는 것이고, 전동 모터로서 기능하도록 역행(力行) 제어됨으로써, 하이브리드형 자동차(10)의 주행용 구동력원으로서 이용된다. 이 제 2 모터 제너레이터(MG2)는 주행용 회전기에 상당한다.
상기 감속 소 기어(Gr2)는, 제 4 축선(S4) 상에 배치된 디퍼렌셜 장치(32)의 디퍼렌셜 링 기어(Gd)와 맞물려 있고, 엔진(20) 및 제 2 모터 제너레이터(MG2)로부터의 구동력이 디퍼렌셜 장치(32)를 개재하여 좌우의 드라이브 샤프트(36)에 분배되어, 좌우의 구동륜(38)에 전달된다. 엔진 출력 기어(Ge), 감속 대 기어(Gr1), 감속 소 기어(Gr2), 디퍼렌셜 링 기어(Gd) 등에 의해 기어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제 4 축선(S4)은, 제 1 축선(S1∼S4) 중에서 가장 차량 하방측 위치(저위치)에 정해져 있고, 디퍼렌셜 장치(32)의 일부가, 케이스(14)의 바닥부에 마련된 오일 저류부(46)(도 2 참조) 내의 오일(48)에 침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하이브리드형 자동차(10)에 있어서는, EV(Electric Vehicle) 주행 모드 및 HV(Hybrid Vehicle) 주행 모드를 실행 가능하고, 예를 들면 요구 구동력(액셀 조작량 등) 및 차속(V)을 파라미터로 하여 정해진 모드 전환 맵에 따라 EV 주행 모드 및 HV 주행 모드로 전환된다. EV 주행 모드는, 엔진(20)을 회전 정지시킨 상태로 제 2 모터 제너레이터(MG2)를 역행 제어함으로써 구동력원으로서 이용하여 주행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저요구 구동력 즉 저부하의 영역에서 선택된다. 엔진(20)은, 연료 공급 등이 정지시켜짐과 함께, 제 1 모터 제너레이터(MG1)의 토크가 0으로 되어 유성 기어 장치(24)의 선 기어(24s)가 프리 회전 가능으로 됨으로써, 주행 중이라도 대략 회전 정지시켜진다. HV 주행 모드는, 제 1 모터 제너레이터(MG1)를 회생 제어함으로써, 엔진(20)을 구동력원으로서 이용하여 주행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EV 주행 모드보다 고요구 구동력(고부하)의 영역에서 선택된다. 이 HV 주행 모드에서는, 제 2 모터 제너레이터(MG2)는, 가속 시 등에 어시스트적으로 역행 제어되어 구동력원으로서 이용되거나, 또는 상시 역행 제어되어 구동력원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상기 HV 주행 모드의 대신에, 또는 HV 주행 모드에 더하여, 항상 엔진(20)만을 구동력원으로서 이용하여 주행하는 엔진 주행 모드 등이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이 하이브리드형 자동차(10)의 트랜스 액슬(12)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유성 기어 장치(24)로서 더블 피니언형의 유성 기어 장치를 채용하거나, 복수의 유성 기어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제 2 모터 제너레이터(MG2)를 제 1 축선(S1)과 동심으로 배치할 수도 있고, 전기식 차동부(26) 대신에 기계식의 변속 장치를 채용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양태가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하이브리드형 자동차(10)의 트랜스 액슬(12)은, 도 2에 나타내는 윤활 장치(40)를 구비하고 있다. 윤활 장치(40)는, 흡입 장치로서 제 1 오일 펌프(P1) 및 제 2 오일 펌프(P2)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 상이한 독립된 제 1 공급 유로(42), 제 2 공급 유로(44)에 접속되어, 동력 전달 기구(16)의 각 부를 분담하여 윤활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 1 오일 펌프(P1)는, 상기 디퍼렌셜 링 기어(Gd)와 맞물려진 펌프 구동 기어(Gp)를 개재하여 기계적으로 회전 구동되는 기계식 오일 펌프이고, 제 2 오일 펌프(P2)는, 상기 입력축(22)에 연결되어 엔진(20)에 의해 기계적으로 회전 구동되는 기계식 오일 펌프이다. 제 1 오일 펌프(P1)는, 디퍼렌셜 링 기어(Gd)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감속 대 기어(Gr1)나 감속 소 기어(Gr2) 등에 펌프 구동 기어(Gp)를 맞물리게 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오일 펌프(P2)는, 출력부(디퍼렌셜 장치(32))와는 상이한 회전 구동원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오일 펌프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엔진(2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오일 펌프이지만, 펌프 구동용의 전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전동식 오일 펌프를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오일 펌프(P1) 및 제 2 오일 펌프(P2)는, 케이스(14)의 바닥부에 마련된 오일 저류부(46)로부터 윤활용의 오일(48)을 흡입하여, 공급 유로(42, 44)에 출력한다. 오일 저류부(46)는, 케이스(14) 그 자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제 1 격벽(50)에 의해 차량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측 부분이 다른 부분과 구분된 제 1 오일 저류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 오일 저류부(52)는, 디퍼렌셜 장치(32)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또한, 제 1 오일 저류부(52) 이외의 부분은, 제 2 격벽(53)에 의해 추가로 차량 전후 방향에 있어서 2분할되어 있고, 상기 제 1 오일 저류부(52)에 인접하는 중앙 부분의 제 2 오일 저류부(54), 및 그 제 2 오일 저류부(54)에 인접하는 차량 전측(前側) 부분의 제 3 오일 저류부(5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오일 펌프(P1)의 흡입구(58)는 제 2 오일 저류부(54) 내에 배치되어 있고, 제 2 오일 펌프(P2)의 흡입구(60)는 제 3 오일 저류부(56)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흡입구(58, 60)는, 각각 독립적으로 마련된 각각의 흡입 유로를 개재하여 오일 펌프(P1, P2)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격벽(50) 및 제 2 격벽(53)은, 제 1 오일 저류부(52), 제 2 오일 저류부(54), 및 제 3 오일 저류부(56)의 상호간에 윤활유(48)가 유통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오일면 높이의 균형을 제한하는 유통 제한부로서 기능한다. 즉, 정차 시에 오일 펌프(P1, P2)의 작동이 모두 정지하고, 오일면 높이의 변동이 정지하는 정적 상태에 있어서의 정지 시 오일면 높이(Lst)는, 트랜스 액슬(12)의 각 부에 공급된 오일(48)이 오일 저류부(46)로 흘려내려 되돌아감으로써, 도 2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벽(50, 53)을 넘어, 오일 저류부(52, 54, 56)에 있어서의 오일면 높이가 동일해지지만, 차량 주행 시나 오일 펌프(P1, P2)의 작동 시에는, 트랜스 액슬(12)의 각 부에 오일(48)이 공급되어 오일 저류부(46) 내의 오일량이 감소함으로써 오일면 높이가 격벽(50, 53)의 상단보다 낮아지고, 그러한 격벽(50, 53)에 의한 유통 제한에 의해 오일 저류부(52, 54, 56)의 오일면 높이가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변화한다.
상기 제 1 격벽(50) 및 제 2 격벽(53)의 높이 위치 즉 상단 위치는, 디퍼렌셜 장치(32)의 하단 위치보다 높아, 오일면 높이가 격벽(50, 53)을 상회하는 정적 상태에서는, 디퍼렌셜 장치(32)의 일부가 오일(48)에 침지된다. 이와 같이 디퍼렌셜 장치(32)의 일부가 오일(48)에 침지되면, 차량 발진 시에 디퍼렌셜 링 기어(Gd) 등에 의해 오일(48)이 끌어올려짐으로써 트랜스 액슬(12)의 각 부에 오일(48)이 산포되어, 제 1 오일 펌프(P1)에 의해 충분한 양의 오일(48)을 공급하는 것이 어려운 차량 발진 시에 있어서도 양호한 윤활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주행 시를 포함하는 오일 펌프(P1 또는 P2)의 작동 시에는, 차속(V)에 따라 회전하는 디퍼렌셜 링 기어(Gd) 등에 의한 끌어올림이나 오일 펌프(P1, P2)에 의한 흡입에 의해 오일면 높이가 저하하여, 격벽(50, 53)보다 낮아진다. 그리고, 제 1 오일 저류부(52)에서는, 디퍼렌셜 링 기어(Gd) 등에 의한 끌어올림과 리턴 유량의 밸런스(균형)에 의해 오일면 높이가 정해지고, 제 2 오일 저류부(54)에서는, 오일 펌프(P1)에 의한 흡입과 리턴 유량의 밸런스에 의해 오일면 높이가 정해지며, 제 3 오일 저류부(56)에서는, 오일 펌프(P2)에 의한 흡입과 리턴 유량의 밸런스에 의해 오일면 높이가 정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오일 저류부(52)의 오일면 높이가 우선적으로 저하하도록, 제 1 오일 저류부(52)의 용적 즉 제 1 격벽(50)의 위치나 형상 등이 정해져 있고, 디퍼렌셜 장치(32)의 회전에 의한 오일(48)의 교반이 억제되어 동력 손실이 저감된다. 또한, 흡입구(58, 60)가 배치된 제 2 오일 저류부(54), 제 3 오일 저류부(56)에 있어서의 오일면 높이가 제 1 오일 저류부(52)보다 높게 됨으로써, 흡입구(58, 60)가 오일면 상에 노출되는 것에 의한 오일 펌프(P1, P2)의 에어 흡입이 억제되고, 오일(48)을 적절하게 흡입하여 안정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 2 격벽(53)이 마련되고, 차량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2 오일 저류부(54) 및 제 3 오일 저류부(56)로 구분되어 있으며, 그러한 오일 저류부(54, 56)의 각각의 차량 전후 방향의 폭 치수가 짧기 때문에, 노면 구배 등에 의한 차량의 자세 변화나 가감속 등에 기인하는 오일(48)의 편향이 억제되어 오일면 높이의 변동이 저감되고, 그러한 오일 저류부(54, 56)에 흡입구(58, 60)가 배치된 오일 펌프(P1, P2)의 에어 흡입이 한층 적절하게 억제된다. 또한, 제 1 격벽(50) 및 제 2 격벽(53)의 높이 치수는 동일해도 되고, 그러한 제 1 격벽(50) 및 제 2 격벽(53)을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오일 펌프(P1)는, 출력부인 디퍼렌셜 장치(32)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는 오일 펌프이고, 그 제 1 오일 펌프(P1)의 토출측에 접속된 제 1 공급 유로(42)는, 동력 전달 기구(16)의 각 부의 윤활 필요 부위에 오일(48)을 공급한다. 윤활 필요 부위는, 예를 들면 동력 전달 기구(16)의 각 부의 베어링(62)이나 기어(64)(Ge, Gr1, Gr2, Gd, Gm, 또는 Gp) 등이다. 제 1 오일 펌프(P1)는 디퍼렌셜 장치(32)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기 때문에, 엔진(20)이 회전 정지시켜지는 EV 주행 모드 시에도 회전 구동되고, 차속(V)에 따른 흡입량으로 오일(48)을 흡입하여 각 부에 오일(48)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차속(V)은, 제 1 오일 펌프(P1)의 펌프 회전 속도에 대응하고, 제 1 오일 펌프(P1)로부터의 오일 토출량에 대응한다. 디퍼렌셜 장치(32)는, 디퍼렌셜 링 기어(Gd) 등에 의한 오일(48)의 끌어올림에 의해 윤활되지만, 제 1 공급 유로(42)로부터 오일(48)을 공급하여 윤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오일 펌프(P1)가 에어 흡입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경우 등, 오일(48)의 안정 공급을 위해 필요에 따라 오일 스토리지를 마련할 수도 있다.
제 2 오일 펌프(P2)의 토출측에 접속된 제 2 공급 유로(44)는, 제 2 오일 저류부(54) 및 제 3 오일 저류부(56)의 상방에 위치하는 입력축(22)이나 유성 기어 장치(24), 제 1 모터 제너레이터(MG1) 등의 윤활 필요 부위에 오일(48)을 공급하여 윤활, 냉각한다. 또한, 이 제 2 공급 유로(44)에는 열교환기(66)가 마련되어 있고, 오일(48)을 냉각하여 제 1 모터 제너레이터(MG1) 및 제 2 모터 제너레이터(MG2)에 공급함으로써, 그들을 냉각하여 과열을 방지한다. 열교환기(66)는, 예를 들면 공냉이나 수냉에 의한 열교환으로 오일(48)을 냉각하는 오일 쿨러이다. 제 2 오일 펌프(P2)를 회전 구동하는 엔진(20)은, 정차 시에 있어서도 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정차 시를 포함하여 차속(V)에 의존하지 않는 흡입량으로 오일(48)을 흡입하여 윤활 필요 부위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오일 펌프(P2)를 폐지하여, 모터 제너레이터(MG1, MG2)나 유성 기어 장치(24)에 대해서도, 제 1 오일 펌프(P1)로부터 오일(48)을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도 3은, 상기 제 1 공급 유로(42)가 마련된 오일 파이프(70)를 구체적으로 예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오일 파이프(70)는, 케이스(14)와는 별체로 구성되어 있고, 복수의 장착부(72)가 각각 체결 볼트(74)에 의해 케이스(14)의 내면, 또는 제 1 오일 펌프(P1)의 케이스 외면 등에 고정됨으로써, 케이스(14) 내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오일 파이프(70)는, 상기 베어링(62) 및 기어(64)에 오일(48)을 공급하기 위해 복수의 중공의 돌출 노즐부(76)를 구비하고 있고, 전체로서 3차원적으로 구부려진 중공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 오일 파이프(70)는 수지 파이프이고, 제 1 공급 유로(42)는, 유체로서 오일(48)이 유통시켜지는 통로에 상당하며, 오일(48)은 윤활용 오일이다.
도 4는, 상기 오일 파이프(70)를 차량 폭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우측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며, 오일 파이프(70)는 3차원적으로 변화되어 있고, 파선으로 나타내는 제 1 공급 유로(42)의 경로도 오일 파이프(70)를 모방하여 3차원적으로 변화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차원 형상에 가까운 삼차원 제한 형상의 제 1 통로부(80)가 마련된 제 1 파이프부(82)와, 이차원 형상의 제 2 통로부(84)가 마련된 제 2 파이프부(86)와, 제 1 통로부(80) 및 제 2 통로부(84)의 각각의 일단부를 연통시키는 연결 통로부(88)가 마련된 연결부(90)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통로부(84)가 마련된 제 2 파이프부(86)는, 차량 상하 방향 및 차량 전후 방향을 2축으로 하는 대략 수직인 이차원 평면 내에 마련된 이차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제 1 통로부(80)가 마련된 제 1 파이프부(82)는, 제 2 파이프부(86)의 이차원 평면과 평행한 이차원 평면에 대하여 중간 부분이 경사 각도 45° 이하이고 차량 폭 방향으로 팽출시켜진 팽출부를 가지는 삼차원 제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연결 통로부(88)가 마련된 연결부(90)는, 차량 폭 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일직선으로 마련되어 제 1 파이프부(82) 및 제 2 파이프부(86)에 대하여 각각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제 1 파이프부(82) 및 제 2 파이프부(86)는, 도 4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연결부(90)로부터 서로 상이한 방향(실시예에서는 상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파이프부(86)에 마련된 복수의 돌출 노즐부(76)는, 모두 연결부(90)와 평행하게 수평 방향(차량 폭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그 선단 부분에는, 하방을 향해 개구하는 토출구(78)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파이프부(82)의 하단부, 즉 상기 연결부(90)에 연결된 일단부와 반대측의 타단부에는, 연결부(90)와 평행하게 수평 방향(차량 폭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도록 원통 형상의 접속 포트(92)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오일 파이프(70)는, 제 1 공급 유로(42)의 경로를 따라 둘레 방향으로 2분할된 합성 수지제의 복수의 분할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분할 부품(100), 제 1 분할 부품(102), 및 제 2 분할 부품(104)의 3개의 분할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분할 부품(100)은, 서로 상이한 방향을 향해 개구하는 제 1A 홈(110) 및 제 2A 홈(112)이 마련된 한 쌍의 제 1 반할부(114) 및 제 2 반할부(116)를 구비하고 있다. 제 1A 홈(110)의 개구 방향은 제 1 반할부(114)의 분할면(114f)의 방향과 동일하고, 도 5에 있어서의 좌측 방향이며, 제 2A 홈(112)의 개구 방향은 제 2 반할부(116)의 분할면(116f)의 방향과 동일하고, 도 5에 있어서의 우측 방향이다. 즉, 제 1A 홈(110) 및 제 2A 홈(112)은, 차량 폭 방향인 일직선 방향에 있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구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제 1 반할부(114) 및 제 2 반할부(116)는 그 일직선 방향으로 오프셋하도록 서로 이간시켜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있어서, 차량 폭 방향의 좌측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는 제 2A 홈(112)이 마련된 제 2 반할부(116)에 대하여, 그 개구 방향과 반대의 차량 폭 방향의 우측 방향으로 오프셋하도록 제 1 반할부(114)가 제 2 반할부(116)로부터 이간시켜져 있다. 제 1 반할부(114)의 상단부 및 제 2 반할부(116)의 하단부는, 차량 폭 방향인 상기 일직선 방향과 평행한 연결부(90)를 개재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제 1 반할부(114) 및 제 2 반할부(116)는 연결부(90)로부터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부(90)의 연결 통로부(88)는, 제 1A 홈(110) 및 제 2A 홈(112)의 바닥부에 각각 개구하고 있다. 또한, 제 1 반할부(114)의 하단부로서 제 1A 홈(110)의 개구측과 반대측에는, 상기 접속 포트(92)가 연결부(90)와 평행하게 일직선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마련되어 있고, 제 2 반할부(116)의 제 2A 홈(112)의 개구측과 반대측에는, 복수의 돌출 노즐부(76)가 연결부(90)와 평행하게 일직선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제 1A 홈(110)의 개구 주연부의 사선은 분할면(114f)을 나타내고 있고,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사선을 그은 것이다.
도 8은, 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100)을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하는 성형 장치(130)의 단면도이고, 서로 평행한 접속 포트(92)의 성형부(132), 연결부(90)의 성형부(134), 및 복수의 돌출 노즐부(76)의 성형부(136)을 일 평면 내에 도시한 것이다. 성형 장치(130)는, 하측의 고정 성형형(138) 및 상측의 가동 성형형(140)을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고, 가동 성형형(140)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짐으로써 고정 성형형(138)에 대하여 접근 이간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가동 성형형(140)의 접근 이간 방향(도 8의 상하 방향)은, 서로 평행한 상기 연결부(90)나 돌출 노즐부(76), 접속 포트(92)와 평행한 방향이고, 상기 제 1A 홈(110) 및 제 2A 홈(112)의 개구 방향인 분할면(114f, 116f)의 방향과 동일한 상기 일직선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다. 그리고, 가동 성형형(140)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시켜져 형 체결됨으로써, 상기 각 성형부(132, 134, 136)를 가지는 캐비티(성형 공간)(142)가 형성되고, 그 캐비티(142) 내에 용융 수지 재료가 사출되어 냉각, 경화시켜짐으로써, 연결 통로부(88)를 가지는 연결부(90), 중공의 돌출 노즐부(76), 원통 형상의 접속 포트(92), 제 1A 홈(110), 제 2A 홈(112)을 가지는 베이스 분할 부품(100)이 일체 성형된다. 필요에 따라 성형 후의 후가공에서 절삭 가공 등을 행하여, 미세한 형상 조정을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90)의 외주면의 여분을 절삭 가공 등으로 제거해도 된다. 또한, 돌출 노즐부(76)의 토출구(78)에 대해서는, 도시는 생략 하지만, 예를 들면 가동 성형형(140)에 내장된 슬라이드형이, 캠 등을 개재하여 가동 성형형(140)에 연동하여 도 8의 좌우 방향 등으로 이동시켜짐으로써, 베이스 분할 부품(100)의 성형과 동시에 마련할 수 있지만, 성형 후의 후가공에서 절삭 가공 등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장착부(72)가 동시에 일체 성형되지만, 그 장착부(72)에는, 필요에 따라 보강용의 금속 플레이트 등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매설된다.
도 6으로 되돌아가서, 제 1 분할 부품(102)은, 베이스 분할 부품(100)의 제 1 반할부(114)와의 사이에 제 1 통로부(80)를 형성하는 제 1B 홈(118)을 구비하고 있고, 그 제 1B 홈(118)의 개구 주연부의 분할면(102f)이, 제 1 반할부(114)의 제 1A 홈(110)의 개구 주연부의 분할면(114f)에 마주 보게 된 상태로, 제 1 반할부(114)에 접합되어 있어, 제 1A 홈(110) 및 제 1B 홈(118)에 의해 제 1 통로부(80)가 형성된다. 제 1B 홈(118)의 개구 방향은 제 1 분할 부품(102)의 분할면(102f)의 방향과 동일하고, 도 5에 있어서의 우측 방향이며, 제 1 반할부(114)의 분할면(114f)에 대하여 분할면(102f)을 밀착하도록 마주 보게 할 수 있다. 분할면(102f)은 제 3 분할면이고, 분할면(114f)은 제 1 분할면이며, 그러한 분할면(102f 및 114f)은, 마주 보게 하여 밀착시킬 수 있도록 요철이 반대의 대칭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9는, 상기 제 1 분할 부품(102)을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하는 성형 장치(150)의 단면도이며, 하측의 고정 성형형(152) 및 상측의 가동 성형형(154)을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고, 가동 성형형(154)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짐으로써 고정 성형형(152)에 대하여 접근 이간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가동 성형형(154)의 접근 이간 방향(도 9의 상하 방향)은, 제 1B 홈(118)의 개구 방향인 분할면(102f)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고, 가동 성형형(154)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시켜져 형 체결됨으로써, 제 1 분할 부품(102)에 대응하는 캐비티(성형 공간)(156)가 형성되고, 그 캐비티(156) 내에 용융 수지 재료가 사출되어 냉각, 경화시켜짐으로써, 제 1B 홈(118)을 가지는 제 1 분할 부품(102)이 일체 성형된다. 필요에 따라 성형 후의 후가공에서 절삭 가공 등을 행하여, 미세한 형상 조정을 행할 수도 있다.
제 2 분할 부품(104)은, 베이스 분할 부품(100)의 제 2 반할부(116)와의 사이에 제 2 통로부(84)를 형성하는 제 2B 홈(120)을 구비하고 있고, 그 제 2B 홈(120)의 개구 주연부의 분할면(104f)이, 제 2 반할부(116)의 제 2A 홈(112)의 개구 주연부의 분할면(116f)에 마주 보게 된 상태로, 제 2 반할부(116)에 접합되어 있어, 제 2A 홈(112) 및 제 2B 홈(120)에 의해 제 2 통로부(84)가 형성된다. 제 2B 홈(120)의 개구 방향은 제 2 분할 부품(104)의 분할면(104f)의 방향과 동일하고, 도 5에 있어서의 좌측 방향이며, 제 2 반할부(116)의 분할면(116f)에 대하여 분할면(104f)을 밀착하도록 마주 보게 할 수 있다. 분할면(104f)은 제 4 분할면이고, 분할면(116f)은 제 2 분할면이며, 그러한 분할면(104f 및 116f)은, 마주 보게 하여 밀착시킬 수 있도록 대칭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 2 분할 부품(104)의 제 2B 홈(120)의 개구측과 반대측에는, 도 5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돌출 노즐부(76)가 제 2B 홈(120)의 개구 방향과 반대 방향인 차량 폭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제 2 분할 부품(104)의 제 2B 홈(120)의 개구 주연부의 사선은, 분할면(104f)을 나타내고 있고,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사선을 그은 것이다.
도 10은, 상기 제 2 분할 부품(104)을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하는 성형 장치(160)의 단면도이고, 서로 평행한 복수의 돌출 노즐부(76)의 성형부(162)를 일 평면 내에 도시한 것이다. 성형 장치(160)는, 하측의 고정 성형형(164) 및 상측의 가동 성형형(166)을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고, 가동 성형형(166)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짐으로써 고정 성형형(164)에 대하여 접근 이간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가동 성형형(166)의 접근 이간 방향(도 10의 상하 방향)은, 돌출 노즐부(76)의 돌출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고, 제 2B 홈(120)의 개구 방향인 분할면(104f)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며, 가동 성형형(166)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시켜져 형 체결됨으로써, 상기 성형부(162)를 가지는 캐비티(성형 공간)(168)가 형성된다. 그리고, 그 캐비티(168) 내에 용융 수지 재료가 사출되어 냉각, 경화시켜짐으로써, 중공의 돌출 노즐부(76) 및 제 2B 홈(120)을 가지는 제 2 분할 부품(104)이 일체 성형된다. 필요에 따라 성형 후의 후가공에서 절삭 가공 등을 행하여, 미세한 형상 조정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돌출 노즐부(76)의 토출구(78)에 대해서는, 도시는 생략 하지만, 예를 들면 가동 성형형(166)에 내장된 슬라이드형이, 캠 등을 개재하여 가동 성형형(166)에 연동하여 도 10의 좌우 방향 등으로 이동시켜짐으로써, 제 2 분할 부품(104)의 성형과 동시에 마련할 수 있지만, 성형 후의 후가공에서 절삭 가공 등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분할 부품(102) 및 제 2 분할 부품(104)은, 진동 용착 기술을 이용하여 각각 베이스 분할 부품(100)의 제 1 반할부(114), 제 2 반할부(116)에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즉, 제 1 분할 부품(102)의 분할면(102f)을 제 1 반할부(114)의 분할면(114f)에 마주 보게 한 상태로, 제 1 분할 부품(102) 및 제 1 반할부(114)를, 분할면(102f, 114f)이 서로 밀착하도록 가압되는 방향, 구체적으로는 분할면(102f, 114f)에 대하여 평균적으로 대략 직각이 되는 도 5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부터 가압하면서, 미끄럼 접촉하도록 도 5의 지면의 표리 방향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접합면(분할면과 동일)을 마찰열에 의해 용융시켜 접합한다. 이에 의해, 제 1 통로부(80)를 가지는 제 1 파이프부(82)가 얻어진다. 도 7은, 도 4에 있어서의 VII-VII 화살표에서 본 부분 즉 제 1 파이프부(82)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제 1 분할 부품(102)의 분할면(102f)과 제 1 반할부(114)의 분할면(114f)이 마주 보게 되어 접합되어 있다. 이 접합부에는, 필요에 따라 외주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가 마련된다.
제 2 분할 부품(104)을 제 2 반할부(116)에 접합하는 경우도, 제 2 분할 부품(104)의 분할면(104f)을 제 2 반할부(116)의 분할면(116f)에 마주 보게 한 상태로, 제 2 분할 부품(104) 및 제 2 반할부(116)를, 분할면(104f, 116f)이 서로 밀착하도록 가압되는 방향, 구체적으로는 분할면(104f, 116f)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서 도 5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부터 가압하면서, 미끄럼 접촉하도록 도 5의 지면의 표리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접합면(분할면과 동일)을 마찰열에 의해 용융시켜 접합한다. 이에 의해, 제 2 통로부(84)를 가지는 제 2 파이프부(86)가 얻어지고, 제 1 파이프부(82)와 합하여 목적으로 하는 오일 파이프(70)가 제조된다. 또한, 자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 2 분할 부품(104)과 제 2 반할부(116)의 접합부에도, 필요에 따라 외주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가 마련된다. 또한, 이러한 진동 용착에서는, 필요에 따라 적외선 가열 등에 의해 분할면(102f, 104f, 114f, 116f)을 가열한 후에, 가압하면서 진동을 가하여 용착해도 된다.
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100), 제 1 분할 부품(102), 및 제 2 분할 부품(104)을, 도 8∼도 10의 성형 장치(130, 150, 160)를 이용하여 각각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하는 공정이 성형 공정이다. 또한, 베이스 분할 부품(100)의 제 1 반할부(114)에 대하여 제 1 분할 부품(102)을 진동 용착 기술로 접합하는 공정은 제 1 접합 공정이고, 베이스 분할 부품(100)의 제 2 반할부(116)에 대하여 제 2 분할 부품(104)을 진동 용착 기술로 접합하는 공정은 제 2 접합 공정이며, 어느 쪽을 먼저 행해도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수지제의 오일 파이프(70)에 있어서는, 제 1 반할부(114) 및 제 2 반할부(116)가 연결부(90)를 개재하여 연결된 베이스 분할 부품(100)과, 제 1 반할부(114)와의 사이에 제 1 통로부(80)를 형성하는 제 1 분할 부품(102)과, 제 2 반할부(116)와의 사이에 제 2 통로부(84)를 형성하는 제 2 분할 부품(104)을 구비하고 있고, 제 1 반할부(114)와 제 1 분할 부품(102)과의 분할면(114f, 102f), 및 제 2 반할부(116)와 제 2 분할 부품(104)과의 분할면(116f, 104f)에 대해서는, 각각 진동 용착 기술에 의한 접합 시에 전역에서 소정의 가압력이 얻어지도록 하는 관점에서 이차원 형상 또는 삼차원 제한 형상으로 제한되고, 제 1 통로부(80) 및 제 2 통로부(84)의 통로 형상도 마찬가지로 이차원 형상 또는 삼차원 제한 형상으로 제한된다. 그러나, 그 제 1 통로부(80) 및 제 2 통로부(84)는, 각각 소정의 가압력이 얻어지는 범위에서 각각 형상을 설정할 수 있음과 함께, 서로 이간하여 마련되어 연결부(90)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90) 내의 연결 통로부(88)를 포함한 오일 파이프(70) 전체의 통로, 즉 제 1 공급 유로(42)의 형상의 설정의 자유도가 높아져, 소정의 접합 강도를 확보하면서 비교적 복잡한 삼차원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1 통로부(80)와 제 2 통로부(84)를 연결하는 연결 통로부(88)가 마련된 연결부(88)는 완전한 통 형상이기 때문에, 그 직경 치수나 두께 등을 적당히 정함으로써 필요한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 1 분할 부품(102) 및 제 2 분할 부품(104)의 접합 강도를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제 1 공급 유로(42)의 형상의 설정의 자유도가 높은 수지제의 오일 파이프(70)의 강도를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90)는 일직선 방향(차량 폭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베이스 분할 부품(100)의 제 1 반할부(114) 및 제 2 반할부(116)는, 그러한 분할면(114f, 116f)이 상기 일직선 방향에 있어서 서로 반대의 바깥 방향이 되는 자세로 마련되어 있고, 제 1 반할부(114) 및 제 2 반할부(116)는 그 일직선 방향으로 오프셋하도록 서로 이간시켜져 있으며, 제 1 반할부(114) 및 제 2 반할부(116)는 각각 일단부에 있어서 연결부(90)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그 연결부(90)로부터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일직선 방향으로 접근 이간시켜지는 한 쌍의 고정 성형형(138) 및 가동 성형형(140)을 구비하고 있는 성형 장치(130)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분할면(114f, 116f)의 홈(110, 112)을 포함하여 제 1 반할부(114), 제 2 반할부(116), 및 연결부(90)를 가지는 베이스 분할 부품(100)을 일체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여, 그 베이스 분할 부품(100)을 간단하게 또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성형 장치(130)에 대해서도, 일직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형 등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아, 한 쌍의 성형형(138, 140)을 주체로 하여 비교적 간단하고 또한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분할 부품(100)의 제 2 반할부(116), 및 제 2 분할 부품(104)에는, 각각 분할면(116f, 104f)의 개구측과 반대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도록 중공의 돌출 노즐부(76)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접합 강도에 영향을 주지 않고 돌출 노즐부(76)에 의해 제 1 공급 유로(42)를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돌출 노즐부(76)가 베이스 분할 부품(100), 제 2 분할 부품(104)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 부품의 노즐을 나사 등으로 고정 마련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부품수가 적어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90)가 일직선으로 마련되어 있고, 베이스 분할 부품(100)의 제 2 반할부(116)에는 상기 돌출 노즐부(76)가 연결부(90)와 평행하게 일직선으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일직선 방향으로 접근 이간시켜지는 한 쌍의 고정 성형형(138) 및 가동 성형형(140)을 구비하고 있는 성형 장치(130)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연결부(90) 및 돌출 노즐부(76)를 포함하여 베이스 분할 부품(100)을 일체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여, 연결부(90) 및 돌출 노즐부(76)를 가지는 베이스 분할 부품(100)을 간단하게 또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분할 부품(100)의 제 1 반할부(114)의 타단부에는, 분할면(114f)의 개구측과 반대 방향으로 연결부(90)와 평행하게 일직선으로 연장되도록 접속 포트(92)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접합 강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접속 포트(92)를 마련할 수 있다. 접속 포트(92)가 베이스 분할 부품(100)과 일체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 부품의 접속 포트를 나사 등으로 고정 마련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부품수가 적어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접속 포트(92)는 연결부(90)와 평행하게 일직선으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일직선 방향으로 접근 이간시켜지는 한 쌍의 고정 성형형(138) 및 가동 성형형(140)을 구비하고 있는 성형 장치(130)를 이용하여, 연결부(90), 돌출 노즐부(76)에 더하여 접속 포트(92)를 가지는 베이스 분할 부품(100)을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여, 연결부(90), 돌출 노즐부(76), 및 접속 포트(92)를 가지는 베이스 분할 부품(100)을 간단하게 또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오일 파이프(70)는, 차량용 동력 전달 장치인 트랜스 액슬(12)의 베어링(62)이나 기어(64)에 윤활용의 오일(48)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제 1 공급 유로(42)의 형상의 설정의 자유도가 높은 점에서, 트랜스 액슬(12)의 케이스(14) 내의 복잡하고 좁은 스페이스에 오일 파이프(70)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음과 함께, 베어링(62)이나 기어(64)에 핀포인트로 오일(48)을 공급함으로써 필요 오일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분할 부품(100), 제 1 분할 부품(102), 및 제 2 분할 부품(104)을 각각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한 후, 삼차원 제한 형상의 분할면(114f와 102f)을 마주 보게 하여 베이스 분할 부품(100)의 제 1 반할부(114)에 제 1 분할 부품(102)을 접합함과 함께, 이차원 형상의 분할면(116f와 104f)을 마주 보게 하여 베이스 분할 부품(100)의 제 2 반할부(116)에 제 2 분할 부품(104)을 접합하기 때문에, 소정의 접합 강도를 가짐과 함께 제 1 공급 유로(42)의 형상의 설정의 자유도가 높은 수지제의 오일 파이프(70)를 간단하게 또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분할 부품(100)의 제 1 반할부(114)에 제 1 분할 부품(102)을 접합함과 함께, 베이스 분할 부품(100)의 제 2 반할부(116)에 제 2 분할 부품(104)을 접합할 때에, 각각 진동 용착 기술이 이용되기 때문에, 필요한 접합 강도를 얻는 위해서는 접합면의 전역에서 소정의 가압력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그 경우에, 각각의 접합면 즉 분할면(102f 및 114f, 104f 및 116f)이, 제 1 통로부(80), 제 2 통로부(84)와 마찬가지로 삼차원 제한 형상 또는 이차원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접합면의 전역에서 소정의 가압력을 부여하여 진동 용착 기술에 의해 적절하게 접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상기 도 5에 대응하는 도이고, 수지제의 오일 파이프(200)의 측면도이며, 오일 파이프(200)의 정면 형상은, 예를 들면 상기 도 4와 마찬가지로 정해진다. 이 오일 파이프(200)는, 제 1 파이프부(82), 제 2 파이프부(86)나 그 내부의 제 1 통로부(80), 제 2 통로부(84)가, 모두 도 11의 지면에 직각인 차량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을 2축으로 하는 이차원 평면 내에 마련된 이차원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이차원 평면과 평행한 평탄한 분할면(102f 및 114f, 104f 및 116f)에 의해, 베이스 분할 부품(100)과, 제 1 분할 부품(102), 제 2 분할 부품(104)으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돌출 노즐부(76)가 폐지되어 제 2 통로부(84)에 연통하는 토출구 또는 접속구가 제 2 반할부(116) 또는 제 2 분할 부품(104)에 마련되고, 그 토출구로부터 외부로 오일(48)을 토출하거나, 또는 접속구를 개재하여 외부 통로에 연결된다. 또한, 접속 포트(92)에 대해서도 폐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 1 통로부(80)에 연통하는 접속구를 제 1 반할부(114) 또는 제 1 분할 부품(102)에 마련하여, 그 접속구에 오일 펌프(P1) 등이 접속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오일 파이프(200)에 있어서도, 제 1 파이프부(82) 및 제 2 파이프부(86)가 차량 폭 방향으로 이간한 서로 상이한 이차원 평면 내에 마련됨으로써, 베이스 분할 부품(100)과 제 1 분할 부품(102), 제 2 분할 부품(104)과의 접합 강도를 확보하면서, 연결부(90) 내의 연결 통로부(88)를 포함한 제 1 공급 유로(42)의 형상의 설정의 자유도가 높아지는 등,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베이스 분할 부품(100)과, 제 1 분할 부품(102), 제 2 분할 부품(104)이, 모두 도 11의 지면에 직각인 차량 상하 방향의 이차원 평면과 평행한 평탄한 분할면(102f 및 114f, 104f 및 116f)으로 분할되어 있지만, 그러한 분할면(102f 및 114f, 104f 및 116f)은 반드시 평행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베이스 분할 부품(100)의 제 2 반할부(116)와 제 2 분할 부품(104)을, 도 11의 지면과 평행한 분할면 등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파이프부(86)를 연결부(90)로부터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차량 폭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과 함께, 그 경사진 분할면에서 베이스 분할 부품(100)의 제 2 반할부(116)와 제 2 분할 부품(104)을 분할해도 된다. 상기 실시예의 오일 파이프(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2는, 상기 도 5에 대응하는 도이고, 수지제의 오일 파이프(210)의 측면도이며, 오일 파이프(210)의 정면 형상은, 예를 들면 상기 도 4와 마찬가지로 정해진다. 이 오일 파이프(210)는, 제 1 분할 부품(102) 및 제 2 분할 부품(104)에 대해서는 상기 오일 파이프(70)와 동일하고, 베이스 분할 부품(212)만 상이하다. 즉, 이 베이스 분할 부품(212)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제 1 반할부(114) 및 제 2 반할부(116)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 1 분할 부품(102) 및 제 2 분할 부품(104)이 도 12의 좌우 방향으로부터 가압되어 접합된다. 그러나, 제 1 통로부(80)와 제 2 통로부(84)를 연통시키는 연결 통로부(214)가 마련된 통 형상의 연결부(216)나, 제 1 반할부(114)에 마련된 원통 형상의 접속 포트(218), 제 2 반할부(116)에 마련된 복수의 중공의 돌출 노즐부(220)가 상이하다. 연결부(216)는, 차량 폭 방향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는 자세로 일직선으로 마련되어 있고, 제 1 반할부(114) 및 제 2 반할부(116)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하는 수평 방향으로부터 경사지는 자세로 연결되어 있다. 접속 포트(218) 및 돌출 노즐부(220)는, 그 연결부(216)와 평행, 즉 수평 방향으로부터 상하로 경사진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돌출 노즐부(220)의 선단 부분에는 하방을 향해 개구하는 토출구(222)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베이스 분할 부품(212)에 있어서도, 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100)과 마찬가지로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할 수 있다. 도 13은, 상기 도 8에 대응하는 성형 장치(230)의 단면도이고, 서로 평행한 접속 포트(218)의 성형부(232), 연결부(216)의 성형부(234), 및 복수의 돌출 노즐부(220)의 성형부(236)를 일 평면 내에 도시한 것이다. 성형 장치(230)는, 하측의 고정 성형형(238) 및 상측의 가동 성형형(240)을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고, 가동 성형형(240)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짐으로써 고정 성형형(238)에 대하여 접근 이간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가동 성형형(240)의 접근 이간 방향(도 13의 상하 방향)은, 서로 평행한 상기 연결부(216)나 접속 포트(218), 돌출 노즐부(220)와 평행한 일직선 방향이고, 가동 성형형(240)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시켜져 형 체결됨으로써, 상기 각 성형부(232, 234, 236)를 가지는 캐비티(성형 공간)(242)가 형성된다. 그리고, 그 캐비티(242) 내에 용융 수지 재료가 사출되어 냉각, 경화시켜짐으로써, 연결 통로부(214)를 가지는 연결부(216), 원통 형상의 접속 포트(218), 중공의 돌출 노즐부(220), 상기 제 1A 홈(110), 제 2A 홈(112)을 가지는 베이스 분할 부품(212)이 일체 성형된다. 필요에 따라 성형 후의 후가공에서 절삭 가공 등을 행하여, 미세한 형상 조정을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216)의 외주면의 여분을 절삭 가공 등으로 제거해도 된다. 또한, 돌출 노즐부(220)의 토출구(222)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형을 이용하여 베이스 분할 부품(212)의 성형과 동시에 마련할 수 있지만, 성형 후의 후가공에서 절삭 가공 등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216)와 평행한 방향이 일직선 방향이고, 분할면(114f, 116f)은, 그 일직선 방향에 있어서 서로 반대의 바깥 방향이다. 이 경우, 제 1 분할 부품(102), 제 2 분할 부품(104)을 각각 제 1 반할부(114), 제 2 반할부(116)에 가압하여 진동 용착 접합할 때에는, 상기 일직선 방향으로부터 가압할 수도 있지만,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분할면(114f, 116f)에 대하여 직각, 또는 평균적으로 대략 직각이 되는 도 12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부터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이들은 어디까지나 일 실시형태이며, 본 발명은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경, 개량을 가한 양태로 실시할 수 있다.
12 : 트랜스 액슬(동력 전달 장치)
42 : 제 1 공급 유로(통로)
48 : 오일
62 : 베어링(윤활 필요 부위)
64 : 기어(윤활 필요 부위)
70, 200, 210 : 오일 파이프(수지 파이프)
76, 220 : 돌출 노즐부
78, 222 : 토출구
80 : 제 1 통로부
84 : 제 2 통로부
88, 214 : 연결 통로부
90, 216 : 연결부
92, 218 : 접속 포트
100, 212 : 베이스 분할 부품
102 : 제 1 분할 부품
102f : 제 3 분할면
104 : 제 2 분할 부품
104f : 제 4 분할면
110 : 제 1A 홈(홈)
112 : 제 2A 홈(홈)
114 : 제 1 반할부
114f : 제 1 분할면
116 : 제 2 반할부
116f : 제 2 분할면
130, 230 : 성형 장치
138, 238 : 고정 성형형
140, 240 : 가동 성형형

Claims (11)

  1. 통로(42)를 따라 형성되는 제 1 분할면(114f)을 구비한 제 1 반할부(114)와, 상기 통로를 따라 형성되는 제 2 분할면(116f)을 구비한 제 2 반할부(116)를 구비하는 베이스 분할 부품(100; 100; 212)과,
    상기 통로를 따라 형성되는 제 3 분할면(102f)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분할면과 상기 제 3 분할면이 마주 본 상태로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 1 반할부와의 사이에 상기 통로의 일부인 제 1 통로부(80)를 형성하고 있는 제 1 분할 부품(102)과,
    상기 통로를 따라 형성되는 제 4 분할면(104f)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분할면과 상기 제 4 분할면이 마주 본 상태로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 2 반할부와의 사이에 상기 통로의 일부인 제 2 통로부(84)를 형성하고 있는 제 2 분할 부품(104)을 가짐과 함께,
    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 상기 제 1 분할 부품, 및 상기 제 2 분할 부품의 재질은 모두 수지이고,
    상기 제 1 분할면과 상기 제 2 분할면은 서로 이간하고, 또한,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은, 상기 통로의 일부로서, 상기 제 1 통로부와 상기 제 2 통로부를 연통시키는 연결 통로부(88; 88; 214)가 마련된 통 형상의 연결부(90; 90; 216)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파이프(70; 200; 2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할부의 상기 제 1 분할면에는 상기 제 1 통로부를 형성하는 홈(110)이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 2 반할부의 상기 제 2 분할면에는 상기 제 2 통로부를 형성하는 홈(112)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는 일직선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반할부 및 상기 제 2 반할부는, 상기 일직선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1 분할면의 개구 방향 및 상기 제 2 분할면의 개구 방향은, 상기 일직선 방향과 평행하고 또한 서로 반대의 바깥 방향이며,
    상기 제 1 반할부 및 상기 제 2 반할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파이프(70; 200; 21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100; 212), 상기 제 1 분할 부품, 및 상기 제 2 분할 부품의 적어도 하나의 분할 부품에는, 상기 분할면의 개구측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중공의 돌출 노즐부(76; 220)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고, 당해 돌출 노즐부에는 외부에 개구하는 토출구(78; 222)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파이프(70; 21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90; 216)는 일직선으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돌출 노즐부는 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에 상기 연결부와 평행하게 일직선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파이프(70; 210).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90; 90; 216)는 일직선으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100; 100; 212)의 상기 제 1 반할부에는, 상기 제 1 분할면의 개구측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와 평행하게 일직선으로 연장되도록 통 형상의 접속 포트(92; 92; 218)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파이프(70; 200; 210).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파이프(70; 200; 210)는, 동력 전달 장치(12)의 소정의 윤활 필요 부위(62, 64)에 윤활용의 오일(48)을 공급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파이프.
  7. 통로(42)를 따라 형성되는 제 1 분할면(114f)을 구비한 제 1 반할부(114)와, 상기 통로를 따라 형성되는 제 2 분할면(116f)을 구비한 제 2 반할부(116)를 구비하는 베이스 분할 부품(100; 100; 212)과,
    상기 통로를 따라 형성되는 제 3 분할면(102f)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분할면과 상기 제 3 분할면이 마주 본 상태로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 1 반할부와의 사이에 상기 통로의 일부인 제 1 통로부(80)를 형성하고 있는 제 1 분할 부품(102)과,
    상기 통로를 따라 형성되는 제 4 분할면(104f)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분할면과 상기 제 4 분할면이 마주 본 상태로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 2 반할부와의 사이에 상기 통로의 일부인 제 2 통로부(84)를 형성하고 있는 제 2 분할 부품(104)를 가짐과 함께,
    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 상기 제 1 분할 부품, 및 상기 제 2 분할 부품의 재질은 모두 수지이고,
    상기 제 1 분할면과 상기 제 2 분할면은 서로 이간하고, 또한,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은, 상기 통로의 일부로서, 상기 제 1 통로부와 상기 제 2 통로부를 연통시키는 연결 통로부(88; 88; 214)가 마련된 통 형상의 연결부(90; 90; 216)를 더 구비하고 있는 수지 파이프(70; 200; 210)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 상기 제 1 분할 부품, 및 상기 제 2 분할 부품을, 각각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하는 성형 공정과,
    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의 상기 제 1 반할부의 상기 제 1 분할면과 상기 제 1 분할 부품의 상기 제 3 분할면을 마주 보게 한 상태로 가압하고, 당해 제 1 반할부에 당해 제 1 분할 부품을 접합하는 제 1 접합 공정과,
    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의 상기 제 2 반할부의 상기 제 2 분할면과 상기 제 2 분할 부품의 상기 제 4 분할면을 마주 보게 한 상태로 가압하고, 당해 제 2 반할부에 당해 제 2 분할 부품을 접합하는 제 2 접합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파이프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합 공정 및 상기 제 2 접합 공정은, 모두 상기 분할면을 가압하면서 미끄럼 접촉하도록 진동시켜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파이프(70; 200; 210)의 제조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할부의 상기 제 1 분할면에는 상기 제 1 통로부를 형성하는 홈(110)이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 2 반할부의 상기 제 2 분할면에는 상기 제 2 통로부를 형성하는 홈(112)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는 일직선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반할부 및 상기 제 2 반할부는, 상기 일직선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1 분할면의 개구 방향 및 상기 제 2 분할면의 개구 방향은, 상기 일직선 방향과 평행하고 또한 서로 반대의 바깥 방향이며,
    상기 제 1 반할부 및 상기 제 2 반할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성형 공정에서는, 상기 일직선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접근 이간시켜지는 한 쌍의 성형형(138, 140; 238, 240)을 가지는 성형 장치(130; 230)를 이용하여, 상기 홈이 마련된 상기 제 1 반할부, 상기 홈이 마련된 상기 제 2 반할부, 및 상기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파이프(70; 200; 210)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100; 212)의 상기 제 2 반할부에는, 상기 일직선 방향으로서 상기 제 2 분할면의 개구측과 반대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도록 중공의 돌출 노즐부(76; 220)가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돌출 노즐부에는 외부에 개구하는 토출구(78; 222)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성형 공정에서 상기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을 사출 성형할 때에, 상기 돌출 노즐부가 당해 베이스 분할 부품과 일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파이프(70; 210)의 제조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100; 100; 212)의 상기 제 1 반할부에는, 상기 일직선 방향으로서 상기 제 1 분할면의 개구측과 반대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도록 통 형상의 접속 포트(92; 92; 218)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성형 공정에서 상기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분할 부품을 사출 성형할 때에, 상기 접속 포트가 당해 베이스 분할 부품과 일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파이프(70; 200; 210)의 제조 방법.
KR1020190046159A 2018-04-20 2019-04-19 수지 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KR102268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81682 2018-04-20
JP2018081682A JP7063077B2 (ja) 2018-04-20 2018-04-20 樹脂パイ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588A true KR20190122588A (ko) 2019-10-30
KR102268031B1 KR102268031B1 (ko) 2021-06-22

Family

ID=66217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159A KR102268031B1 (ko) 2018-04-20 2019-04-19 수지 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073235B2 (ko)
EP (1) EP3557106B1 (ko)
JP (1) JP7063077B2 (ko)
KR (1) KR102268031B1 (ko)
CN (1) CN110385869B (ko)
BR (1) BR102019007854A2 (ko)
RU (1) RU2709085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8450B (zh) * 2018-04-20 2023-07-04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动力传递装置的润滑装置
US11506274B2 (en) * 2018-07-25 2022-11-2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Power transmitting system of vehicle
DE102021212083A1 (de) * 2021-10-26 2023-04-27 Mahle International Gmbh Ansaugeinrichtung
DE102022112057A1 (de) 2022-05-13 2023-11-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ühlölleitung in einem Gehäuseinnenraum einer elektrischen Antriebseinheit
US11754169B1 (en) * 2022-07-07 2023-09-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ubrication and cooling oil distribution system for a vehicle transaxl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938A (ja) 1993-09-17 1995-03-28 Aisin Seiki Co Ltd 樹脂製パイプの製造方法
JP2005091809A (ja) * 2003-09-18 2005-04-07 Shiizu Kk トナー搬送用パイ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178967A (ja) * 2008-01-31 2009-08-13 Polyplastics Co 多層筒状成形体
JP2014009744A (ja) 2012-06-29 2014-01-20 Nifco Inc 潤滑油路構造
US20160025205A1 (en) * 2013-06-27 2016-01-28 Eaton Corporation Transmission lubrication system and apparatus
WO2017146263A1 (ja) * 2016-02-25 2017-08-31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伝動装置の油圧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38428A (en) * 1925-04-25 1927-08-09 Zander Henry Louis Highway culvert
US2262627A (en) * 1938-11-15 1941-11-11 Budd Edward G Mfg Co Manifold
US2736451A (en) * 1952-03-17 1956-02-28 Pyle National Co Pull box for electrical conduit lines
US5125431A (en) * 1988-04-12 1992-06-30 Imi Cornelius Inc. Thermoplastic water manifold and method of making same
SU1669749A1 (ru) * 1988-07-21 1991-08-15 Ташкентский Автомобильно-Дорожный Институт Способ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стыковой сварки деталей из полимерных материалов
US6139040A (en) * 1994-09-15 2000-10-31 Dempsey; Douglas E. Shear-bonded molded bicycle component assembly
DE19523870A1 (de) * 1995-06-30 1997-01-02 Mann & Hummel Filter Ansaugeinrichtung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GB2339636B (en) * 1997-04-08 2001-06-06 Zardoz Pty Ltd Improvements in conduit systems
JP3760605B2 (ja) 1997-11-19 2006-03-29 株式会社デンソー 樹脂製中空製品の製造方法
DE19944855A1 (de) 1999-09-18 2001-03-22 Mann & Hummel Filter Ansaugein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US6467502B1 (en) * 2000-07-26 2002-10-22 Snap-Tite Technologies, Inc. Manifold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03042588A2 (en) 2001-11-14 2003-05-22 Topek Philip R Pipe insert and pipe assembly formed therewith
US8141592B2 (en) 2004-12-03 2012-03-27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pipe repair
US7451541B2 (en) * 2005-02-04 2008-11-18 Pratt & Whitney Canada Corp. Method of heat shielding an inner tube
US7422036B2 (en) * 2006-07-28 2008-09-09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ishwasher manifold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JP2007298998A (ja) 2007-06-06 2007-11-15 Sato Light Kogyo Kk トナー搬送用パイ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10890B2 (ja) 2010-07-20 2014-10-22 株式会社Roki 吸気系部品
JP5704912B2 (ja) 2010-12-17 2015-04-22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樹脂製筒部材
JP6149419B2 (ja) * 2013-02-13 2017-06-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オイルシャワーパイプ
JP5996025B1 (ja) * 2015-03-18 2016-09-21 大豊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接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938A (ja) 1993-09-17 1995-03-28 Aisin Seiki Co Ltd 樹脂製パイプの製造方法
JP2005091809A (ja) * 2003-09-18 2005-04-07 Shiizu Kk トナー搬送用パイ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178967A (ja) * 2008-01-31 2009-08-13 Polyplastics Co 多層筒状成形体
JP2014009744A (ja) 2012-06-29 2014-01-20 Nifco Inc 潤滑油路構造
US20160025205A1 (en) * 2013-06-27 2016-01-28 Eaton Corporation Transmission lubrication system and apparatus
WO2017146263A1 (ja) * 2016-02-25 2017-08-31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伝動装置の油圧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8031B1 (ko) 2021-06-22
US11073235B2 (en) 2021-07-27
CN110385869B (zh) 2021-07-09
BR102019007854A2 (pt) 2019-11-05
EP3557106B1 (en) 2021-06-16
JP7063077B2 (ja) 2022-05-09
US11821562B2 (en) 2023-11-21
US20190323642A1 (en) 2019-10-24
RU2709085C1 (ru) 2019-12-13
CN110385869A (zh) 2019-10-29
JP2019188650A (ja) 2019-10-31
US20210332926A1 (en) 2021-10-28
EP3557106A1 (en)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2588A (ko) 수지 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JP6996474B2 (ja) 動力伝達装置の潤滑装置
CA2975927C (en) Hybrid vehicle
CN110388450B (zh) 动力传递装置的润滑装置
EP3456570B1 (en) Cooling system for vehicle rotary electric machine
CN110778691B (zh) 车辆的动力传递装置
JP6477628B2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の潤滑装置
JP6988718B2 (ja) 動力伝達装置の潤滑装置
JP6927087B2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の潤滑装置
JP2022094496A (ja) 潤滑パイプ
JP3223124U (ja) 電動二輪車の動力組立部材の給油システム
JP2020024031A (ja) 車両の動力伝達装置
CN116044964A (zh) 用于带传动装置的传动带机构的减振系统的减振设备及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