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834A - 권취 요소를 갖는 폐쇄 장치 - Google Patents

권취 요소를 갖는 폐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834A
KR20190121834A KR1020197028528A KR20197028528A KR20190121834A KR 20190121834 A KR20190121834 A KR 20190121834A KR 1020197028528 A KR1020197028528 A KR 1020197028528A KR 20197028528 A KR20197028528 A KR 20197028528A KR 20190121834 A KR20190121834 A KR 20190121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winding
fastener device
detent
sh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8293B1 (ko
Inventor
요아킴 피들러
브레이도 봇쿠스
헤이코 뷰트너
Original Assignee
피드록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드록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피드록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121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uperposing one part on top of the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42B3/145Size adjustmen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6Shoe lacing fastenings tightened by draw-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05Holding-devices for laces the devices having means to hold the traditional knots or part of it tighten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38Arrangement of fasteners of flexible t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38Arrangement of fasteners of flexible ties
    • A45C13/1046Arrangement of fasteners of flexible ties of string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04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with an automatic spring re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5Cervical colla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6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prising a suspension strap or lanyar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78Plasters attachments assembly for prosthesis; pouch, e.g. ostom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2009/425Pull chain or cord attached to bottom edge of screen

Abstract

폐쇄 장치(1)는 폐쇄 방향(X)으로 서로에 대해 배치가능하고, 폐쇄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유지되며, 폐쇄 장치(1)를 개방하기 위해 서로로부터 분리가능한 제1 폐쇄 부품(2) 및 제2 폐쇄 부품(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폐쇄 부품(3)은, 당김 요소(4)가 배치가능하고, 당김 요소(4)를 권취 요소 상으로 권취하도록 제1 폐쇄 부품(2)에 대해 권취 방향(V)으로 회전가능한 권취 요소(35)를 갖는 준비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립체가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함께 연결될 수 있게 하며 또한 조립체가 서로에 대해 인장될 수 있게 하는 폐쇄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권취 요소를 갖는 폐쇄 장치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패스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형의 패스너 장치는 폐쇄 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 장착될 수 있고, 폐쇄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유지되며, 패스너 장치를 개방하기 위해 서로로부터 해방가능한 제1 패스너 부품 및 제2 패스너 부품을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패스너 장치는 일반적으로 2개의 부분을 함께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유형의 패스너 장치는 용기, 예를 들어 백 또는 배낭을 위한 패스너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유형의 패스너 장치는 또한 신발, 예를 들어 운동화를 위한 패스너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매우 일반적으로, 패스너 장치는 하중-지지 작용을 갖는 임의의 2개의 조립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형의 패스너 장치는 2개의 부분을 분리가능하게 함께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조임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낭을 위한 패스너의 경우 또는 신발을 위한 패스너의 경우에, 부품이 첫 번째로 서로에 대해 장착될 수 있지만 두 번째로 서로에 대해 조여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권취 요소에 권취될 수 있는 텐션 요소(tension element)를 갖는 조임 장치가 예를 들어 WO 2015/006616 A1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첫 번째로 서로에 대한 조립체의 분리가능한 연결을 허용하지만 또한 두 번째로 서로에 대한 조립체의 조임을 허용하는 패스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주제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제2 패스너 부품은 텐션 요소가 배치될 수 있고 텐션 요소를 권취 방향으로 권취 요소에 권취하기 위해 제1 패스너 부품에 대해 회전가능한 권취 요소를 갖는다.
제안된 패스너 장치에서, 2개의 부품을 함께 분리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패스너 및 조임 장치가 서로 조합된다. 먼저, 패스너 장치는 폐쇄 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 장착될 수 있고 폐쇄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유지되는 2개의 패스너 부품을 가지며, 그래서 패스너 부품에 할당된 조립체는 패스너 부품에 의해 그리고 상기 패스너 부품이 서로에 대해 유지되는 것에 의해 함께 연결되며, 조립체는 또한 다시 패스너 부품이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의해 서로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 둘째로, 제2 패스너 부품은 텐션 요소가 배치될 수 있는 권취 요소를 갖는다. 권취 요소는 예를 들어 원통형 롤러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텐션 요소가 수용될 수 있는 권취 채널을 가질 수 있다. 권취 요소를 회전시킴으로써, 텐션 요소가 권취되고 따라서 조여질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제1 패스너 부품은 제1 조립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패스너 부품은 텐션 요소를 통해 제2 조립체에 연결될 수 있으며, 텐션 요소가 권취 요소에 권취되는 것에 의해, 제1 조립체 및 제2 조립체는 서로에 대해 조여질 수 있다.
텐션 요소는 예를 들어 인장력을 전달하는데 (전적으로) 적합한 가요성 요소일 수 있다. 텐션 요소는 예를 들어 케이블, 끈, 밴드, 벨트, 체인 또는 (전기 전도성) 케이블일 수 있다.
텐션 요소는 예를 들어 2개의 단부에 의해 권취 요소에 고정될 수 있고, 그래서 권취 요소의 회전에 의해 텐션 요소는 그 2개의 단부에 의해 권취 요소에 권취될 수 있다. 그러나, 텐션 요소의 하나의 단부만이 권취 요소의 회전에 의해 권취되도록 상기 하나의 단부만이 권취 요소에 고정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며 가능하다. 또한, 텐션 요소가 권취 요소의 회전에 의해 권취되도록 텐션 요소의 내측 부분이 권취 요소에 배치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며 가능하다. 복수의 상이한 텐션 요소가 권취 요소에 배치되고 권취 요소에 의해 권취될 수 있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권취 요소는 텐션 요소를 권취하기 위해 권취 방향으로 제1 패스너 부품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권취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폐쇄 방향 주위로 지향되고, 그래서 권취 요소는 폐쇄 방향 주위로 제1 패스너 부품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패스너 부품은 폐쇄 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 장착될 수 있고, 권취 요소는 패스너 부품에 할당된 조립체를 서로에 대해 조이기 위해 폐쇄 방향을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권취 요소는 폐쇄 위치에서 제1 패스너 부품에 대해 회전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권취 요소는 폐쇄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권취 방향으로는 제1 패스너 부품에 대하여 회전가능하지만 권취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다. 이는 패스너 부품이 서로에 대해 장착되었을 때 텐션 요소가 권취 요소 상에 권취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텐션 요소가 권취 요소 상에 권취된 후에, 권취 요소는 그 취해진 위치에 유지된다. 텐션 요소의 권취해제를 위한 권취 방향의 반대 방향의 역 이동이 잠겨진다.
다른 개선예에서, 대조적으로, 패스너 부품이 서로에 대해 장착되었을 때, 제1 패스너 부품에 대한 권취 요소의 회전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패스너 부품이 서로에 대해 장착되었을 때, 권취 방향과 권취 방향의 반대 방향의 양 방향의 회전 이동이 잠겨진다.
일 실시예에서, 권취 요소는 폐쇄 위치에서 제1 패스너 부품의 맞물림 수단과 결합되는 맞물림 수단을 갖는다. 이러한 맞물림 수단은 예를 들어 권취 방향을 따라 일주 방식으로 연장되는 톱니-유사 맞물림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맞물림 수단은 또한 연속적인 맞물림부를 형성하지 않는 개별 맞물림 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맞물림 수단에 의해, 특히 패스너 부품이 서로에 대해 장착되고 따라서 폐쇄 위치에 놓일 때 권취 방향으로의 제1 패스너 부품에 대한 권취 요소의 회전을 허용하지만, 권취 방향의 반대 방향의 이동은 잠그는 일종의 프리휠(freewheel)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패스너 부품에 대한 권취 요소의 회전의 경우에, 권취 요소의 맞물림 수단은 제1 패스너 부품의 맞물림 수단 위를 미끄러지며, 그래서 권취 방향으로의 제1 패스너 부품에 대한 권취 요소의 구속 이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권취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 맞물림 수단의 맞물림 요소는 서로와 결합되고, 그래서 이동이 잠기며 따라서 권취 요소는 그 현재의 취해진 위치에 유지된다.
맞물림 수단은 예를 들어 축방향으로 서로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패스너 부품에 대한 권취 방향으로의 권취 요소의 회전의 경우에, 맞물림 수단은 예를 들어 톱니-유사 맞물림 요소가 서로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에 의해 서로의 위를 미끄러진다. 제1 패스너 부품 및 제2 패스너 부품이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안내되는 경우에, 이는 제2 패스너 부품에 대한 제1 패스너 부품의 (작은) 축방향 이동과 관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맞물림 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권취 방향으로의 권취 요소의 회전의 경우에, 권취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옆으로 강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요소를 갖는 준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권취 요소가 제1 패스너 부품에 대해 권취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패스너 부품 사이에서 축방향 이동이 발생하지 않고, 오히려 맞물림 수단 중 하나의 맞물림 요소가 옆으로 강제된다. 이는 특히 제1 패스너 부품 및 제2 패스너 부품이 폐쇄 위치에서 함께 기계적으로 구속되어 있고 따라서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는 경우에 편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패스너 부품 및 제2 패스너 부품은 폐쇄 위치에서 패스너 부품을 폐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유지하기 위해서 함께 기계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패스너 부품 중 하나는 예를 들어, 구속 위치에서, 다른 패스너 부품의 멈춤쇠 오목부 안으로 결합되고 따라서 패스너 부품을 폐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 요소를 갖는 멈춤쇠 수단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멈춤쇠 수단에 의해, 패스너 부품이 서로에 대해 장착되었을 때 패스너 부품 사이에 기계적인 멈춤쇠 연결이 생성된다. 멈춤쇠 수단에 의해, 패스너 부품은 폐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항하여 서로에 대해 유지되며, 그래서 멈춤쇠 연결의 해방 없이는 패스너 부품은 서로로부터 제거될 수 없다.
멈춤쇠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패스너 부품의 서로에 대한 장착 동안 구속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패스너 부품의 서로에 대한 장착 동안, 패스너 부품은 함께 자동적으로 구속되며, 그래서 폐쇄 위치에서의 패스너 부품의 서로에 대한 유지가 보호된다. 여기서, 권취 요소는 가능하게는 멈춤쇠 연결에도 불구하고 권취 방향으로 제1 패스너 부품에 대해 회전가능할 수 있으며, 그래서 패스너 부품이 서로에 대해 장착되어 있을 때 텐션 요소는 권취 요소 상으로 권취될 수 있다.
멈춤쇠 수단은 하나 이상의 멈춤쇠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구속 위치의 방향으로 스프링-예비하중을 받으며, 그래서 멈춤쇠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패스너 부품이 서로에 대해 장착될 때 다른 패스너 부품의 관련된 멈춤쇠 오목부와 자동적으로 결합된다.
패스너 부품 사이의 멈춤쇠 연결을 해방시키고 패스너 장치를 개방하도록 패스너 부품을 서로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멈춤쇠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 요소를 멈춤쇠 오목부로부터 결합해제시키기 위해 작동될 수 있는 동작 요소를 갖는다. 동작 요소는, 예를 들어 누름 작용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동작 요소가 작동될 때 구속 위치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 요소에 예비하중을 가하는 예비하중 요소 상의 런온 요소(run-on element)에 인접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 요소를 조정하도록 설계되는 런온 요소를 갖는다. 예비하중 요소는 예를 들어 멈춤쇠 요소가 일측에 형성되고 런온 요소가 다른 측에 형성되는 스프링 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동작 요소의 런온 요소가 예비하중 요소의 런온 요소 상으로 주행하는 것에 의해, 링-형상 예비하중 요소는 변형되고, 그래서 멈춤쇠 요소는 다른 패스너 부품의 멈춤쇠 오목부로부터 이동되고 결합해제된다.
권취 요소는 예를 들어 제2 패스너 부품의 결합 요소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래서 제2 패스너 부품은 그 권취 요소와 함께 전체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권취 요소가 배치되어 있는 제2 패스너 부품의 회전에 의해, 텐션 요소는 텐션 요소를 적절하게 조이기 위해 권취 요소 상으로 권취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패스너 부품은 예를 들어 패스너 부품 중 하나의 원통 칼라(cylinder collar)가 패스너 부품 중 다른 것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따라서 장착 배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원통 칼라는 다른 패스너 부품 상에서 축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으며, 그래서 패스너 부품은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폐쇄 위치를 따라 축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패스너 부품은, 폐쇄 위치에서, 제1 패스너 부품 상에 배치되고 권취 요소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 요소를 갖는다. 이 경우, 하우징 요소는 예를 들어 제1 패스너 부품 상에 회전식으로 결합되게 장착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패스너 장치의 폐쇄 위치에서 제1 패스너 부품 상에 고정식으로 유지된다. 권취 요소는 하우징 요소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그래서 권취 요소의 회전에 의해 텐션 요소는 권취 요소에 대한 권취 방향으로 권취되고 따라서 조여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패스너 부품은 잠긴 상태에서 권취 요소를 하우징 요소에 대해 잠그는 잠금 조립체를 가지며, 그래서 권취 요소는 권취 방향으로 하우징 요소에 대해 회전가능하지만 권취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잠금 조립체는 권취 방향으로 하우징 요소에 대한 권취 요소의 회전을 허용하지만 권취 방향의 반대 방향의 권취 요소의 역회전을 잠그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잠금 조립체에 의해, 권취 요소는 텐션 요소를 귄취하도록 권취 방향으로 프리휠의 방식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 후에는 권취 요소는 그 취해진 위치에 유지되고 따라서 텐션 요소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잠금 조립체를 통해 수용될 수 있다.
잠금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잠긴 상태로부터 잠금해제될 수 있다. 이는 권취 요소가 해방될 수 있게 하며, 그래서 권취 요소는 권취 요소로부터 텐션 요소를 권취해제하도록 권취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도 하우징 요소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잠금 조립체를 잠금해제시킴으로써, 텐션 요소는 텐션 요소가 권취 요소로부터 권취해제되는 것에 의해 완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패스너 장치의 개방 동안 잠금 조립체가 자동적으로 잠금해제되는 준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 패스너 부품이 서로로부터 분리되고 이를 위해 제2 패스너 부품의 하우징 요소가 제1 패스너 부품으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잠금 조립체는 자동적으로 그 잠금해제 상태로 가며, 그래서 권취 요소가 해방되고, 따라서 텐션 요소는 권취 요소로부터 권취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잠금 조립체는 예를 들어 손잡이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하우징 요소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작동 요소를 갖는다. 작동 요소에 의해, 권취 요소가 회전될 수 있고, 이 목적을 위해, 작동 요소는 권취 요소에 동작식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잠금 조립체의 상태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권취 요소로부터 동작식으로 연결해제된다.
작동 요소 및 하우징 요소는 예를 들어 프리휠 수단에 의해 서로에 대해 동작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리휠 수단에 의해, 하우징 요소에 대한 작동 요소의 회전이 권취 방향으로 가능하지만, 권취 방향의 반대 방향의 회전은 잠긴다. 작동 요소가 권취 요소에 동작식으로 연결되는 경우, 작동 요소에 의해 권취 요소는 권취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지만 권취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프리휠 수단은 하우징 요소 또는 작동 요소 상에 맞물림부를 가지며, 예를 들어 각각의 다른 요소 상에 폴(pawl)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조정가능한 잠금 요소를 갖는다. 맞물림부는 예를 들어 하우징 요소의 원통 칼라 상의 내부 맞물림부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예를 들어 피봇가능) 잠금 요소가 작동 요소 상에 배치된다. 권취 방향의 작동 요소의 회전의 경우에, 잠금 요소는 맞물림부 위를 미끄러지며, 그래서 권취 방향의 작동 요소의 회전은 가능하지만, 맞물림부에 잠금 요소가 결합되는 것에 의해 권취 방향의 반대 방향의 대향 회전은 잠기고, 따라서 작동 요소는 권취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하우징 요소에 대해 회전될 수 없다.
여기서, 작동 요소는 예를 들어 잠금 요소가 맞물림부로부터 결합해제되는 것에 의해 하우징 요소에 대해 축방향으로 조정됨으로써 잠금해제될 수 있는 것이 생각될 수 있으며 가능하다.
작동 요소와 권취 요소 사이의 동작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 작동 요소는 제1 맞물림 수단을 가질 수 있는 반면에 권취 요소는 제2 맞물림 수단을 지닐 수 있다. 맞물림 수단은 예를 들어 각각 톱니-유사 형태일 수 있으며, 권취 방향의 작동 요소의 회전의 경우에 권취 요소는 권취 방향을 따라 구동되며 따라서 권취 방향으로 하우징 요소에 대해 마찬가지로 회전되도록 결합이 이루어진다. 권취 요소가 권취 방향의 반대 방향의 토크 하중을 초래하는 텐션 요소를 통해 도입되는 인장력에 의해 하중을 받는 경우에, 권취 요소는 맞물림 수단이 서로 결합되면 작동 요소에 의해 하우징 요소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되며, 그래서 텐션 요소는 권취 요소로부터 권취해제될 수 없다.
텐션 요소를 권취해제하도록 권취 요소를 해방하기 위해서, 작동 요소는 하우징 요소에 대해 축방향으로 조정가능하며, 그래서 한편으로는 작동 요소 상의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권취 요소 상의 맞물림 수단은 결합해제되며, 따라서 권취 요소는 작동 요소에 의해 더 이상 제 위치에 유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권취 요소는 권취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하우징 요소에 대해 회전될 수 있으며, 따라서 텐션 요소는 권취 요소로부터 권취해제될 수 있다.
패스너 부품이 서로에 대해 장착되었을 때, 하우징 요소는 제1 패스너 부품 상에 유지된다. 여기서, 하우징 요소는 폐쇄 위치에서 예를 들어 하우징 요소가 제1 패스너 부품에 의해 구속되는 것에 의해 제1 패스너 부품에 기계적으로 고정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패스너 부품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1 언더컷 요소를 가질 수 있는 반면, 제2 패스너 부품의 하우징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언더컷 요소를 포함한다. 언더컷 요소는 패스너 부품이 서로에 대해 장착되는 동안 서로 결합되며, 그래서 패스너 부품은 폐쇄 위치에서 폐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유지된다.
언더컷 요소는 예를 들어 제1 패스너 부품의 본체 및 제2 패스너 부품의 하우징 요소 상에 견고하게 형성된다. 패스너 부품이 폐쇄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장착된 후에, 언더컷 요소는 폐쇄 방향에 대해 횡방향의 결합 방향에서 서로 결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그래서 언더컷 요소는 서로 결합되고 패스너 부품 사이에 연결을 생성하며, 이 연결은 폐쇄 방향의 반대 방향의 하중을 받을 수 있다.
일 개선예에서, 제1 패스너 부품은 제1 패스너 부품의 본체 상에 폐쇄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언더컷 요소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제2 패스너 부품의 하우징 요소는, 제2 패스너 부품의 하우징 요소 상에 폐쇄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치되며, 폐쇄 위치에서 제1 패스너 부품의 제1 언더컷 요소에 할당되어 거기에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제2 언더컷 요소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패스너 부품 상에 다수의 언더컷 요소를 배치함으로써, 폐쇄 위치에서 패스너 부품 사이에 고강도의 기계적 하중-지지 연결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스너 부품의 제1 언더컷 요소는 권취 요소의 회전 축선에 대해 직경방향으로 대향하여 위치될 수 있으며, 제2 패스너 부품의 하우징 요소의 제2 언더컷 요소는 마찬가지로 권취 요소의 회전 축선에 대해 직경방향으로 대향하여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언더컷 요소는 권취 요소의 양측에 배치되며, 그래서 폐쇄 위치에서 패스너 부품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 효과적으로 수용되고 소산될 수 있다.
언더컷 요소는 예를 들어 아치 형상 또는 V 형상을 각각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아치 형상은 예를 들어 소정 부분에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부분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소정 부분에서만 만곡되는 임의의 만곡된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V 형상은 예를 들어 서로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치되어 V 형상을 형성하는 2개의 언더컷 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패스너 부품 중 하나는 패스너 부품의 폐쇄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언더컷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언더컷 요소 사이의 결합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차단 요소를 갖는다. 이러한 차단 요소는, 예를 들어 제1 패스너 부품 상에 배치될 수 있고, 폐쇄 위치에서 언더컷 요소 사이의 결합이 보호되고 특히 언더컷 요소가 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없도록 패스너 부품들 사이에 차단 작용을 부여한다.
차단 요소는 예를 들어 차단 위치에서 다른 패스너 부품의 구성요소를 향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언더컷 요소는 결합 상태로 유지된다. 패스너 부품이 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경우, 차단 요소는 언더컷 요소가 서로로부터 결합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며, 그래서 이러한 방식으로 패스너 부품의 서로에 대한 유지가 보호된다.
차단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그 차단 위치의 방향으로 스프링-예비하중을 받는다. 따라서, 패스너 장치의 폐쇄 동안, 차단 요소는 자동적으로 그 차단 위치로 가며, 그래서 폐쇄 위치에서 패스너 부품은 서로에 대한 그 연결의 면에서 보호된다.
차단 요소는 개방을 목적으로 예를 들어 그 차단 위치로부터 조정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차단 요소에 대한 수동적 작용에 의해, 서로에 대한 패스너 부품의 차단이 제거되며, 그래서 패스너 부품은 언더컷 요소의 분리에 의해 서로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폐쇄 위치에서 차단 요소가 대면하고 있는 다른 패스너 부품의 구성요소가 조정됨으로써 차단 요소의 차단 작용이 제거되는 준비도 이루어질 수 있다. 차단 요소가 예를 들어 제1 패스너 부품 상에 배치되는 경우,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제2 패스너 부품의 작동 요소일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하우징 요소에 대해 축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어 첫 번째로 작동 요소와 권취 요소 사이의 동작 연결을 제거하고 두 번째로 작동 요소를 차단 작용을 갖는 차단 요소에 대한 그 대향 위치로부터 이동시킨다.
전술한 유형의 패스너 장치는 순수 기계적 패스너 장치로 설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패스너 부품은 서로에 대해 장착되고 폐쇄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기계적으로 유지된다. 여기서, 이러한 기계적 유지에 의해, 폐쇄 방향에 대해 횡방향의 평면에서의 전단력이 수용될 수 있고, 추가로 가능하게는 패스너 부품 사이의 기계적 멈춤쇠 연결의 경우에 폐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패스너 장치는 자기적 설계를 갖는다. 이 목적을 위해, 제1 패스너 부품 및 제2 패스너 부품은, 패스너 부품이 서로에 대해 장착되는 동안, 패스너 장치를 폐쇄하고 따라서 패스너 장치의 폐쇄를 자기적으로 보조하기 위해 자기 흡인 작용이 있는 상태로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 요소를 각각 갖는다.
여기서, 자석 요소는 영구 자석에 의해 또는 그 밖에 예를 들어 강자성 재료로 구성되는 자기 전기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너 부품 중 하나는 자기 흡인 작용으로 다른 패스너 부품의 자기 전기자와 상호작용하는 영구 자석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양 패스너 부품 모두가 각각 영구 자석을 갖거나 또는 그 밖에 패스너 부품이 서로에 대해 장착되는 동안 반대 극이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위치되고 따라서 자기 흡인에 의해 장착 프로세스를 보조하는 다수의 영구 자석의 배치를 갖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작동 요소의 작동은 작동 요소를 회전시킴으로써 수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전기 모터가 작동 요소를 구동하기 위해 제공되는 실시예도 생각할 수 있으며 가능하다. 이러한 전기 모터는 예를 들어 제1 패스너 부품에 연결된 조립체 상에 위치적으로 고정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패스너 장치가 그 폐쇄 위치에 위치될 때 적절한 기어장치 요소, 예를 들어 드라이브 웜에 의해 작동 요소의 맞물림부에 결합될 수 있다. 작동 요소는 따라서 전기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패스너 부품의 맞물림 수단의 회전에 의해 권취 요소를 회전시키도록 제1 패스너 부품의 맞물림 수단이 전기 모터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며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패스너 장치의 폐쇄 동안 패스너 부품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생성되도록 각각 하나 이상의 전기 접촉 요소가 제1 패스너 부품 상에 그리고 제2 패스너 부품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패스너 장치는 예를 들어 제2 패스너 부품 상에 배치되고 권취 요소 및 작동 요소 이외에 추가되는 구성요소로서 설계되는 구멍 형태의 권취기 출구 요소를 가질 수 있다. 권취기 출구 요소는 예를 들어 권취 요소 및/또는 작동 요소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으며 권취 요소에 대해 텐션 요소를 안내하며, 그래서 텐션 요소는 규정된 방식으로 권취 요소 안으로 연장된다. 이는 권취해제 프로세스 동안 권취 요소로부터 텐션 요소가 제어되지 않은 방식으로 권취해제되는 것, 특히 텐션 요소가 얽히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패스너 장치는 텐션 요소에 대한 조임의 용이성과 조합되는 패스너 부품의 해방가능한 연결을 허용한다. 이는 예를 들어 패스너 부품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장하에 텐션 요소가 예비하중을 받아 패스너 장치가 폐쇄되고, 패스너 장치의 폐쇄 위치에서 텐션 요소가 권취 요소의 회전에 의해 권취되고 조여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신발의 경우에, 이러한 방식으로 패스너 장치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텐션 요소를 당김으로써 텐션 요소(신발끈의 형태)가 수동적으로 사전-조임되고 그후 패스너 장치가 폐쇄된 상태에서 조여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패스너 부품의 분리는 패스너 장치에 의해 하나의 조립체가 다른 것에 고정되도록 권취 요소에 연결된 텐션 요소가 물품 주위에 놓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패스너 장치가 개방된 상태에서, 텐션 요소가 예를 들어 기둥 또는 프레임, 예를 들어 자전거 프레임 주위에 놓여져서 패스너 장치가 폐쇄되고 텐션 요소가 조여질 수 있게 하며, 그래서 이러한 방식으로 조립체가 기둥 또는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되는 유형의 패스너 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서 설명되는 유형의 패스너 장치는 배낭, 박스 또는 용기 같은 백 또는 다른 용기, 신발(특히 산책화, 스키 부츠 등의 스포츠 신발), 헬멧, 특히 스포츠 헬멧, 또는 예를 들어 의료용 지지 부목 등과 같은 의료 보조구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서 설명된 유형의 패스너 장치에 의해, 색 또는 백 상의 끈이 조여질 수 있다(이른바 압축 끈). 배낭 또는 학교 책가방의 끈 또는 허리끈이 이러한 패스너 장치에 의해 폐쇄되고 조여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패스너 장치는 예를 들어 헤드폰 또는 충전 케이블과 같은 전기 케이블을 권취하기 위한 케이블 드럼 상에 사용될 수 있다.
헬멧의 경우, 여기서 설명된 유형의 패스너 장치에 의해 끈이 조여지거나 또는 물품, 예를 들어 보호 고글(예를 들어 스키 고글) 등이 헬멧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패스너 장치는 또한 예를 들어 자전거 수화물 캐리어로서 차량(자전거, 승용 자동차, 중량 화물 차량, 선박, 항공기 등)에 액세서리 또는 백을 적제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형의 패스너 장치는 예를 들어 조립체, 예를 들어 음료수 병 또는 용기를 자전거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전거 프레임 주위에 조여질 수 있는 홀더 상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형의 패스너 장치는 임의의 유형의 방수시트 및 시트를 인장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텐트 방수시트를 인장시키거나 또는 차양을 인장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군용 용례도 생각할 수 있으며 가능하다. 따라서, 패스너 장치는 무기 및 군수품을 인장시키거나 적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기재된 유형의 패스너 장치는 또한 환자의 심한 출혈 상처를 결찰하기 위한 지혈대 결찰 시스템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개념은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도 1a는 패스너 장치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b는 패스너 장치의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패스너 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패스너 장치의 다른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패스너 부품을 서로에 대해 장착하기 전의 패스너 장치를 도시한다.
도 3b는 측면도의 패스너 장치를 도시한다.
도 3c는 도 3b에 따른 A-A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d는 도 3b에 따른 B-B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잠금해제된 권취 요소의 경우에 패스너 부품이 서로에 대해 장착되기 전의 패스너 장치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4b는 패스너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c는 도 4b에 따른 A-A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d는 도 4b에 따른 B-B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a는 패스너 부품을 서로에 대해 장착하는 동안의 패스너 장치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5b는 도 5a에 따른 배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c는 도 5b에 따른 A-A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d는 도 5b에 따른 B-B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a는 패스너 부품을 서로에 대해 더 장착하는 동안의 패스너 장치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6b는 도 6a에 따른 배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c는 도 6b에 따른 A-A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d는 도 6b에 따른 B-B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a는 패스너 부품을 서로에 대해 더 장착하는 동안의 패스너 장치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7b는 도 7a에 따른 배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c는 도 7b에 따른 A-A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d는 도 7b에 따른 B-B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a는 패스너 부품을 서로에 대해 장착하는 경우의 폐쇄 위치에서의 패스너 장치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8b는 도 8a에 따른 배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c는 도 8b에 다른 A-A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d는 도 8b에 따른 B-B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a는 개방 과정 동안의 패스너 장치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9b는 도 9a에 따른 배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9c는 도 9b에 따른 A-A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d는 도 9b에 따른 B-B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a는 추가적인 개방 과정 동안의 패스너 장치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0b는 도 10a에 따른 배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0c는 도 10b에 따른 A-A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d는 도 10b에 따른 B-B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a는 패스너 장치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1b는 패스너 장치의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2a는 패스너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2b는 패스너 부품을 서로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의 패스너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3a는 패스너 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3b는 패스너 장치의 다른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4a는 폐쇄 위치에서의 패스너 장치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4b는 도 14a에 따른 배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4c는 도 14b에 따른 A-A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d는 패스너 장치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5a는 권취 요소가 배치되어 있는 제2 패스너 부품이 제1 패스너 부품에 대해 회전하는 동안의 패스너 장치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5b는 도 15a에 따른 배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5c는 도 15b에 따른 A-A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5d는 패스너 장치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a는 제1 패스너 부품에 대한 제2 패스너 부품의 추가적인 회전 동안의 패스너 장치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6b는 도 16a에 따른 배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6c는 도 16b에 따른 A-A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d는 패스너 장치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a는 패스너 부품이 서로로부터 분리되느 경우의 패스너 장치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7b는 도 17a에 다른 배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7c는 도 17b에 따른 A-A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d는 패스너 장치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8a는 패스너 장치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8b는 패스너 장치의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9a는 패스너 장치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9b는 패스너 장치의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20a는 패스너 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20b는 패스너 장치의 다른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21a는 패스너 부품을 서로에 대해 장착하기 전의 패스너 장치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21b는 도 21a에 따른 배치의 부분 단면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1c는 도 21b에 따른 L-L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1d는 도 21b에 따른 M-M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2a는 폐쇄 과정 동안의 패스너 장치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22b는 도 22a에 따른 배치의 부분 단면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2c는 도 22b에 따른 F-F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2d는 도 22b에 따른 G-G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3a는 추가적인 폐쇄 과정 동안의 패스너 장치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23b는 도 23a에 따른 배치의 부분 단면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3c는 도 23b에 따른 H-H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3d는 도 23b에 따른 I-I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4a는 폐쇄 위치에서의 패스너 장치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24b는 도 24a에 따른 배치의 부분 단면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4c는 도 24b에 따른 B-B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4d는 도 24b에 따른 C-C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5a는 패스너 부품이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동안의 패스너 장치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25b는 도 25a에 따른 배치의 부분 단면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5c는 도 25b에 따른 J-J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5d는 도 25b에 따른 K-K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6a는 패스너 장치를 개방하기 위해 동작 요소를 작동시키는 동안의 배치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26b는 도 26a에 따른 배치의 부분 단면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6c는 도 26b에 따른 D-D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6d는 도 26b에 따른 E-E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7a는 패스너 장치의 폐쇄 위치에서의 패스너 장치의 추가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7b는 도 27a에 따른 배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7c는 패스너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7d는 도 27c에 따른 A-A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8은 변형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 27c에 따른 A-A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9a는 맞물림 수단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9b는 도 29a에 따른 맞물림 수단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0a는 맞물림 수단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0b는 도 30a에 따른 맞물림 수단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1a는 맞물림 수단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1b는 도 31a에 따른 맞물림 수단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2a는 맞물림 수단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2b는 도 32a에 따른 맞물림 수단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3a는 맞물림 수단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3b는 도 33a에 따른 맞물림 수단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4a는 특히 제1 패스너 부품 상의 맞물림 수단을 나타내는 패스너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34b는 제2 패스너 부품 상의 맞물림 수단을 나타내는 도 34a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34c는 패스너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4d는 도 34c에 따른 A-A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5는 신발을 조이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적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36은 신발을 조이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적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37은 신발을 조이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적용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38은 신발을 조이는 동안의 도 37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39는 신발을 조이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적용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40은 신발을 조이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적용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41은 신발을 조이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적용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42는 바지 가랑이를 조이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43은 바지 가랑이를 신발과 함께 조이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적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44는 바지 가랑이를 신발 상에 조이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적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45는 한 점의 의류를 폐쇄하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적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46은 폐쇄된 한 점의 의류의 경우에서의 도 45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47은 한 점의 의류를 폐쇄하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적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48은 의료 보조구를 폐쇄하고 조이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적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49는 폐쇄되고 조여진 상태에서의 도 48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50은 의료 보조구를 폐쇄하고 조이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적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51은 폐쇄된 상태에서의 도 50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52는 다른 의료 보조구를 폐쇄하고 조이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적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53은 헬멧의 벨트를 폐쇄하고 조이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적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54는 폐쇄된 벨트의 경우의 도 53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55는 헬멧의 끈을 폐쇄하고 조이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적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56은 폐쇄된 끈의 경우의 도 55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57은 램프를 걸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적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58은 사진을 걸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적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59는 플러그 소켓에 램프를 연결하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적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60은 플러그 소켓에 연결된 도 59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61은 인장된 케이블의 경우의 도 60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62는 롤러 블라인드를 인장시키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적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63은 롤러 블라인드를 인장시키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적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64는 수화물 물품 상의 끈을 조이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적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65는 배낭의 텐션 요소를 조이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적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66은 자전거 상에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적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67은 자전거 상에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적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68은 자동차의 수화물 격실의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적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69는 끈 형태의 텐션 요소를 갖는 패스너 장치의 추가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70은 도 69에 따른 패스너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71은 패스너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2는 패스너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3은 도 72에 따른 A-A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4a는 2개의 끈 단부를 함께 연결하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74b는 폐쇄된 상태의 패스너 장치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75는 패스너 장치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76은 2개의 끈 단부를 함께 연결하기 위한 패스너 장치의 추가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77은 폐쇄 위치에서의 패스너 장치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78a는 조임 레버가 패스너 부품을 서로 장착하기 위한 위치에 있는 상태의 패스너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8b는 도 78a에 따른 A 상세부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79a는 텐션 요소의 조임 동안의 패스너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9b는 도 79a에 따른 A 상세부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a, 도 1b 내지 도 10a 내지 도 10d는 제1 패스너 부품(2) 및 제2 패스너 부품(3)을 갖는 패스너 장치(1)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패스너 부품(2, 3)은 폐쇄 방향(X)을 따라 서로에 대해 장착될 수 있으며 폐쇄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유지되며, 그래서 폐쇄 위치에서 패스너 부품(2, 3) 사이에 기계적으로 고정된 연결이 생성된다.
제1 패스너 부품(2)은, 특히 도 2a 및 도 2b에 따른 분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 아치형 설계인 2개의 강성 언더컷 요소(21, 22)가 배치되어 있는 본체(20)를 갖는다. 또한, 본체(20)에는,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액슬 요소(axle element)(240)에 의해 본체(20)의 측벽(200) 사이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며 스프링 요소(241)에 의해 차단 위치로 스프링-예비하중을 받는 차단 요소(24)가 배치된다.
제2 패스너 부품(3)은, 제1 패스너 부품(2)의 언더컷 요소(21, 22)에 할당되고 폐쇄 위치에서 상기 언더컷 요소(21, 22)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2개의 강성 언더컷 요소(31, 32)가 배치되는 하우징 요소(30)를 갖는다.
하우징 요소(30) 상에는, 권취 요소(35)가 베어링 돔(30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내부 공간(301)을 둘러싸는 원통 칼라(300)가 형성되어 있다. 파지 요소 형태의 작동 요소(34)는 내부 공간(301) 안으로 몸체(340)와 결합되고 베어링 돔(303)의 개구(304)를 통해 페그(peg)(342)와 결합되며, 베어링 돔(303) 내에서 멈춤쇠 요소(36)에 연결된다(예를 들어 도 3c에 따른 단면도를 참조한다).
원통 칼라(300)의 내부에는 스프링 요소(344)에 의해 예비하중을 받으며 작동 요소(34)의 몸체(340) 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잠금 요소(343)와 상호작용하는 맞물림부(302)가 일주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예를 들어 도 3c에 따른 단면도를 참조한다). 이하에서 또한 더욱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맞물림부(302)는, 잠금 요소(343)와 함께, 권취 방향(V)의 하우징 요소(30)에 대한 작동 요소(34)의 회전을 허용하지만 권취 방향(V)의 반대 방향의 대향 회전 이동은 차단하는 프리휠을 형성한다.
작동 요소(34)는, 권취 요소(35)를 향하는 몸체(340)의 단부측 부분에, 권취 요소(35)의 맞물림부(351)에 할당되고 작동 요소(34)가 권취 요소(35)와의 동작 연결 상태로 배치될 수 있게 하는 맞물림부(342)를 갖는다. 작동 요소(34)와 권취 요소(35) 사이에 동작 연결이 존재하는 경우, 작동 요소(34)의 회전에 의해 권취 요소(35)가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며, 그래서 텐션 요소(4)(도 1b 참조)는 개구(305)를 통해 내부 공간(301) 안으로 유도되는 텐션 요소(4)가 권취 몸체(350)에 권취되도록 권취 요소(35)의 권취 몸체(350) 상의 채널(353) 안으로 권취될 수 있다.
제1 패스너 부품(2)은 본체(20) 상에 고정된 제1 자석 요소(23)를 갖는다. 제2 패스너 부품(3)은 하우징 요소(30) 상에 배치되고 제1 패스너 부품(2)의 제1 자석 요소(23)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제2 자석 요소(33)를 갖는다. 자석 요소(23, 33)는 각각 영구 자석으로 형성되고 반대 극이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놓이며 따라서 패스너 부품(2, 3)의 장착 동안 자기 흡인 작용으로 상호작용한다. 대안적으로, 자석 요소(23, 33) 중 하나는 영구 자석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반면, 자석 요소(33, 23) 중 다른 것은 예를 들어 강자성 재료로 구성된 자기 전기자로 형성되며, 따라서 자석 요소(23, 33) 사이에 자기 인력이 존재한다.
도 3a 내지 도 3d 내지 도 10a 내지 도 10d는 상이한 위치의 패스너 장치(1)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패스너 부품(2, 3)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개방 위치의 패스너 장치(1)를 도시한다. 도 3c의 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위치에서, 작동 요소(34)는, 맞물림부(341)에 의해, 권취 요소(35)의 관련된 맞물림부(351)와 결합되어 있으며, 그래서 작동 요소(34)와 권취 요소(35) 사이에 동작 연결이 존재한다. 이 축방향 위치에서, 작동 요소(34)(하우징 요소(30)에 대해 축방향으로 조정가능함)는 멈춤쇠 요소(36)의 멈춤쇠 돌출부(360)의 멈춤쇠 홈(305) 안으로의 멈춤쇠 결합에 의해 하우징 요소(30)의 베어링 돔(303) 내에 유지된다.
작동 요소(34)가 하우징 요소(30)에 대해 권취 방향(V)으로 회전되면, 권취 요소(35)는 작동 요소(34)와 권취 요소(35) 사이의 동작 연결에 의해 함께 회전되며, 그래서 권취 요소(35)에 배치된 텐션 요소(4)는 권취 요소(35)의 권취 몸체(350)에 권취된다. 여기서, 작동 요소(34)가 권취 방향(V)으로 회전하는 동안, 멈춤쇠 요소(343)는 하우징 요소(30)의 원통 칼라(300) 상의 내부 맞물림부(302) 위를 미끄러지기 때문에 작동 요소(34)의 회전이 가능하며, 따라서 권취 방향(V)의 작동 요소(34)의 회전이 잠기지 않는다.
회전 후에, 작동 요소(34) 및 또한 거기에 동작식으로 연결된 권취 요소(35)의 양자 모두는 취해진 위치에 유지된다. 텐션 요소(4)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권취 요소(35) 및 작동 요소(34)에 의해 하우징 요소(30) 내로 도입될 수 있고, 이제 잠금 작용을 갖는 잠금 요소(343)를 통해 거기서 수용될 수 있다.
텐션 요소(4)의 응력을 해제하기 위해, 작동 요소(34)는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요소(30)의 베어링 돔(303)에 대해 축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도 4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멈춤쇠 요소(360)는 베어링 돔(303) 내의 상위 멈춤쇠 홈(305)과 결합되고, 따라서 이제 작동 요소(34)를 하우징 요소(30)에 대해 축방향 상위 위치에 구속한다. 작동 요소(34)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작동 요소(34) 및 권취 요소(35)의 맞물림부(341, 351) 사이의 동작 연결이 제거되고, 그래서 작동 요소(34) 및 권취 요소(35)는 결합해제된다. 따라서 권취 요소(35)는 더 이상 잠기지 않고 권취 방향(V)의 반대 방향으로 하우징 요소(30)에 대해 이동될 수 있으며, 그래서 텐션 요소(4)는 권취 요소(35)로부터 권취해제될 수 있다.
또한, 작동 요소(34)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몸체(340) 상의 잠금 요소(343)는 하우징 요소(30)의 원통 칼라(300) 상의 내부 맞물림부(302)에 대해 축방향으로 조정되며, 그래서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 요소(34)와 하우징 요소(30) 사이의 잠금 작용이 제거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작동 요소(34) 역시 하우징 요소(3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권취 방향(V)과 반대 방향으로도).
도 5a 내지 도 5d 및 도 6a 내지 도 6d는 패스너 부품(2, 3)을 서로에 대해 장착하는 동안의 패스너 장치(1)를 도시한다. 패스너 부품(2, 3)을 서로에 대해 장착하는 동안, 제1 패스너 부품(2)의 본체(20) 및 제2 패스너 부품(3)의 하우징 요소(30) 상의 언더컷 요소(21, 22, 31, 32)는 서로의 위를 주행하고 따라서 서로에 대해 측방향으로 오프셋되며 그래서 언더컷 요소(21, 22, 31, 32)는 서로 결합되어 배치되도록 폐쇄 방향(X)으로 서로를 지나 이동될 수 있다.
패스너 부품(2, 3)의 장착은 이 경우 자석 요소(23, 33)의 작용에 의해 자기적으로 보조되며, 그래서 장착은 실질적으로 자동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언더컷 요소(21, 22, 31, 32)가 서로를 지나 이동되었을 때, 그리고 제1 패스너 부품(2)의 본체(20) 및 제2 패스너 부품(3)의 하우징 요소(30)가 서로 접촉되었을 때,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 요소(23, 33)는 서로에 대해 오프셋된다. 따라서 자석 요소(23, 33) 사이에서 횡방향 힘이 작용하여, 횡방향 힘은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방향 (E)으로 서로 결합되도록 언더컷 요소(21, 22, 31, 32)를 당긴다. 따라서, 패스너 부품(2, 3)은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 가고, 폐쇄 위치에서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서로에 대해 유지된다.
특히 도 7a 내지 도 7d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패스너 부품(2, 3)이 서로에 대해 장착되는 동안, 작동 요소(34)는 차단 요소(24)에 작용하여 차단 요소를 스프링 요소(241)의 스프링 예비하중에 대항하여 편향시킨다(특히 도 7c의 단면도 참조). 언더컷 요소(21, 22, 31, 32)가 서로 결합되어 배치되었을 때, 차단 요소(24)는 스프링 요소(241)의 스프링 예비하중에 의해 그 초기 위치로 역으로 이동되고 작동 요소(34)의 원주방향 에지에 대향하여 위치되는 위치로 가게 되며, 그래서 이에 의해 개방 방향(Y)(결합 방향 E의 반대 방향)으로의 제1 패스너 부품(2)에 대한 제2 패스너 부품(3)의 이동이 잠기고, 이에 의해 언더컷 요소(21, 22, 31, 32)는 서로 확실한(positive) 잠금 결합 상태로 유지된다.
폐쇄 위치에서, 작동 요소(34)가 권취 방향(V)으로 회전함으로써, 권취 요소(35)가 회전될 수 있고, 따라서 텐션 요소(4)는 권취 요소(35)에 권취될 수 있다. 따라서, 텐션 요소(4)가 조여질 수 있고, 그래서 제1 패스너 부품(2)에 연결된 제1 조립체 및 텐션 요소(4)를 통해 제2 패스너 부품(3)에 연결된 제2 조립체는 인장 하중 하에 서로 고정될 수 있다.
패스너 장치(1)를 개방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경우, 작동 요소(34)는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방 방향(L)으로 제2 패스너 부품(3)의 하우징 요소(30)에 대해 축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작동 요소(34)는 권취 요소(35)로부터 결합해제되며(맞물림부(341, 351)는 서로로부터 분리되며), 그래서 권취 요소(35)는 하우징 요소(3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특히 권취 방향(V)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어 텐션 요소(4)를 권취 요소(35)로부터 권취해제할 수 있다.
해방 방향(L)으로의 작동 요소(34)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작동 요소(34)는 또한 차단 요소(24)에 대향하여 위치된 위치로부터 벗어난다. 따라서, 언더컷 요소(21, 22, 31, 32)는 서로 결합해제될 수 있으며, 그래서 패스너 부품(2, 3)은 도 10a 내지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패스너 부품(2, 3)의 서로로부터의 해방은 텐션 요소(4)가 조여진 상태에 있는 경우, 즉 작동 요소(34)와 권취 요소(35) 사이에 동작 연결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일어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단 요소(24)는 스프링 예비하중(241)에 대항하여 하향으로 압박됨으로써 수동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그래서 차단 요소(24)의 차단 작용이 일어나는 작동 요소(34)에 대한 대향 위치설정이 제거된다.
도 11a, 도 11b 내지 도 17a 내지 도 17b는 패스너 장치(1)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 경우 패스너 부품(2, 3)은 폐쇄 방향(X)을 따라 서로에 대해 장착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도 13a 참조) 폐쇄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유지된다.
도 13a 및 도 13b의 분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패스너 부품(2)은 원통 칼라(201)가 형성된 본체(20)를 갖는다. 원통 칼라(201) 주위에 맞물림부(25)가 일주 방식으로 연장되며, 맞물림부의 치형부는 톱니-유사 형태를 갖는다. 자석 요소(23)가 또한 본체(20) 상에 배치된다.
제2 패스너 부품(3)은 권취 요소(35)가 예를 들어 일체로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작동 요소(34)를 갖는다. 권취 요소(35)는 권취 요소(35) 상에 권취될 수 있도록 텐션 요소(4)가 수용될 수 있는 채널(353)을 구비한다. 작동 요소(34)에는, 제1 패스너 부품(2)의 자석 요소(23)와 자기 흡인 작용으로 상호작용하는 자석 요소(33)가 고정되어 있다.
제1 패스너 부품(2)을 향하는 측면에서, 맞물림부(351)가 권취 요소(35) 상에 형성된다. 패스너 부품(2, 3)이 서로에 대해 장착되는 동안, 도 14a 내지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요소(35)의 상기 맞물림부(351)는 제1 패스너 부품(2)의 본체(20) 상이 맞물림부(25)에 결합된다.
또한, 패스너 부품(2, 3)이 서로에 대해 장착되었을 때, 원통 칼라(301)는 작동 요소(34)에 결합되고, 이에 의해 작동 요소(34) 상에 회전가능하게 그리고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경우가 있다.
권취 요소(35)의 맞물림부(351) 및 제1 패스너 부품(2)의 맞물림부(25)의 양자 모두는 톱니-유사 형태를 갖는다. 이는 도 15a 내지 도 15d 및 도 16a 내지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요소(35) 및 작동 요소(34)를 갖는 제2 패스너 부품(3)이 제1 패스너 부품(2)에 대해 권취 방향(V)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여기서 맞물림부(25, 351)의 치형부는 서로의 위를 미끄러지고 서로의 위를 이동될 수 있으며, 패스너 부품(2, 3)은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편향된다. 따라서, 맞물림부(25, 351)는, 패스너 부품(2, 3)이 서로에 대해 장착되었을 때, 권취 요소(35) 상에 배치된 텐션 요소(4)가 조여지도록 권취 방향(V)으로의 권취 요소(35)의 회전을 허용하지만, 패스너 부품(2, 3)이 서로에 대해 장착된 상태에서 텐션 요소(4)가 권취해제될 수 없도록 권취 방향(V)의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을 잠그는 일종의 프리휠을 제공한다.
자석 요소(23, 33)의 자기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패스너 부품(2, 3)은 서로에 대해 유지되고, 회전 후에 항상 맞물림부(25, 351)가 서로 확실하게 잠금 결합되는 위치로 가게 된다.
패스너 부품(2, 3)의 서로로부터의 해방을 위해, 패스너 부품(2, 3)은 폐쇄 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맞물림부(25, 351) 사이의 상호작용이 또한 제거되며, 그래서 텐션 요소(4)는 권취 요소(35)로부터 권취해제될 수 있다.
도 11a, 도 11b 내지 도 17a 내지 17d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패스너 부품(3)은 작동 요소(34)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권취 요소(35)와 함께 전체적으로 회전된다. 이는 매우 간단한 패스너 장치(1)를 산출한다.
도 11a, 도 11b 내지 도 17a 내지 도 17d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패스너 부품(3)은 폐쇄 위치에서 권취 방향(V)으로 제1 패스너 부품(2)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도 18a, 도 18b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대조적으로 한편으로는 제1 패스너 부품(2) 상의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2 패스너 부품(3) 상의 맞물림부(25, 351)는, 패스너 부품(2, 3)이 서로에 대해 장착되어 있을 때 (임의의 방향으로의) 패스너 부품(2, 3)의 서로에 대한 회전이 불가능하고 맞물림부(25, 351)의 결합에 의해 잠겨지도록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권취 요소(35) 상에 권취함으로써 텐션 요소(4)를 조이는 것은 패스너 부품(2, 3)이 서로에 대해 장착되기 전에만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텐션 요소(4)는 패스너 부품(2, 3)이 서로로부터 제거된 후에만 다시 완화될 수 있다.
도 19a, 도 19b 내지 도 26a 및 도 26d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패스너 부품(2)은 링(251)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맞물림 요소(250)를 갖는 맞물림 수단(25)을 둘러싸는 원통 칼라(201)가 형성된 본체(20)를 갖는다. 조립된 위치에서, 맞물림 요소(250)는 원통 칼라(201)의 개구(202)를 통해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하며 제2 패스너 부품(3)의 권취 요소(35) 상의 맞물림부(351)와 동작 연결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스너 부품(3)은 권취 요소(35)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작동 요소(34)를 갖는다. 작동 요소(34) 상에는, 링-형상 예비하중 요소에 의해 연결되는 멈춤쇠 돌기(371)를 갖는 멈춤쇠 요소(370)를 가지며 동작 요소(375)에 의해 동작되는 멈춤쇠 수단(37)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21c의 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멈춤쇠 수단(37)은 작동 요소(34)의 몸체(340)에 수용되며 그 멈춤쇠 돌기(371)가 몸체(340)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한다. 패스너 부품(2, 3)이 서로에 대해 장착되는 동안, 도 22a 내지 도 2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스너 부품(2)의 원통 칼라(201)는 작동 요소(34)에 축방향으로 결합되고 작동 요소(34)의 몸체(340) 주위에 결합되며, 그래서 도 23a 내지 도 23d 및 도 24a 내지 도 24d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멈춤쇠 돌기(371)는 반경방향 내향 방향으로 옆으로 강제되며 최종적으로는 도 24a 내지 도 24d에 따른 패스너 장치(1)의 폐쇄 위치에서 원통 칼라(201)의 내부의 일주형 환상 홈 형태의 멈춤쇠 오목부(203)에 결합된다.
따라서, 폐쇄 위치에서, 패스너 부품(2, 3)은 함께 구속되며, 그래서 패스너 부품(2, 3)은 멈춤쇠 수단(37)에 의해 서로에 대해 제 위치에 축방향으로 유지된다.
패스너 부품(2, 3)의 장착 동안, 예를 들어 도 24b에 따른 부분 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맞물림부(25, 351)는 서로 결합된다. 작동 요소(34)는 이 경우 제1 패스너 부품(2)에 대해 권취 방향(V)으로 권취 요소(35)와 함께 이동가능하며, 여기서 도 25a 내지 도 25d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맞물림 요소(250)는 권취 요소(35)의 맞물림부(351)의 치형부에 의해 옆으로 강제되며 원통 칼라(201) 내로 반경방향으로 압박된다.
따라서 권취 요소(35)는 텐션 요소(4)를 권취하기 위해 권취 방향(V)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권취 방향(V)의 반대방향으로의 제1 패스너 부품(2)에 대한 권취 요소(35)의 회전 이동은 제1 패스너 부품(2) 상의 맞물림 요소(250)가 제2 패스너 부품(3) 상의 맞물림부(351)에 맞물리는 것에 의해 잠기고, 그래서 권취 요소(35)로부터의 텐션 요소(4)의 권취해제가 불가능하다.
제1 패스너 부품(2)에 대한 권취 요소(35)의 회전 동안, 제1 패스너 부품(2) 및 제2 패스너 부품(3)은 멈춤쇠 수단(37)에 의한 멈춤쇠 결합으로 인해 서로에 대해 제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유지된다. 권취 요소(35)의 회전은 이 경우 제1 패스너 부품(2)의 맞물림부(25)의 맞물림 요소(250)의 반경방향 변위에 의해 가능하다.
패스너 부품(2, 3)을 서로로부터 해방하기 위해, 사용자는 작동 요소(34) 상의 동작 요소(375)를 수동으로 압박할 수 있다(도 26a의 작동 방향(D)). 결과적으로, 동작 요소(375)는 런온 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런온 요소(376)가 환상 예비하중 요소(373)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진 런온 요소(372) 상에 있는 상태로 주행하고, 따라서 예비하중 요소(373)를 변형시킨다. 이런 방식으로, 도 26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멈춤쇠 돌기(371)는 반경방향 내향으로 당겨지고, 그래서 멈춤쇠 요소(371)와 원통 칼라(201) 상의 멈춤쇠 오목부(203) 사이의 결합이 제거되며, 패스너 부품(2, 3)은 폐쇄 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도 19a, 도 19b 내지 도 26a 내지 도 26d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패스너 부품(2, 3)이 자석 요소(23, 33)를 갖고, 자석 요소가 패스너 부품(2, 3)의 장착 동안 자기 흡인 작용으로 상호작용하고 따라서 패스너 부품(2, 3)의 서로에 대한 장착을 자기적으로 보조하는 경우가 있다.
도 27a 내지 도 27d는, 제1 패스너 부품(2)과 권취 요소(35) 사이에서 작용하는 맞물림부(25, 351)와 관련하여, 도 11a, 도 11b 내지 도 17a 내지 도 17b에 기초하여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와 유사한 설계를 갖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그래서 이와 관련하여 상기 술명을 참조한다.
도 27a 내지 도 27d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2 패스너 부품(3) 상에 배치되고 폐쇄 위치에 패스너 부품(2, 3)을 함께 구속하는 역할을 하는 멈춤쇠 수단(37)을 가지며, 그래서 제2 패스너 부품(3)은 멈춤쇠 작용 및 이에 따른 확실한 잠금 작용에 의해 폐쇄 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제1 패스너 부품(2)에 대해 유지된다.
상기 유형의 멈춤쇠 수단( 37)의 사용은 패스너 장치(1)의 비자성 형태를 허용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자석 요소는 패스너 장치(1)에서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멈춤쇠 수단(37)에 추가하여 자석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생각될 수 있으며 가능하다.
멈춤쇠 수단(37)은, 작동 요소(34) 내의 수용 공간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환상 칼라(381)와 함께 수용되고 나선형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 요소(384)에 의해 작동 요소(34)에 대해 스프링-예비하중을 받는 결합 요소(38)를 갖는다. 환상 칼라(381)로부터 연장되는 원통형 몸체(380)에는, 수용 개구(382)가 서로 직경방향으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수용 개구에는 패스너 장치(1)의 폐쇄 위치(도 27d)에서 멈춤쇠 작용에 의해 제1 패스너 부품(2)의 원통 칼라(201)의 내측 상에 일주 방식으로 연장되는 환상 홈 형태의 멈춤쇠 오목부(203) 안으로 결합되는 역할을 하는 볼 형태의 멈춤쇠 요소(385)가 수용되며, 이에 의해 도 27d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폐쇄 위치에서 원통 칼라(201) 안으로 결합되는 결합 요소(38)와 원통 칼라(201) 사이에 멈춤쇠 결합이 존재하게 되고, 이에 의해 패스너 부품(2, 3)은 함께 구속된다.
결합 요소(38)의 중앙 개구(383) 내에서, 동작 요소(39)는 폐쇄 방향(X)을 따라 축방향으로 안내된다. 동작 요소(39)는 원통형 설계를 갖고, 블라인드 보어 형태의 개구(393)에 위치되는 스프링 요소(394)에 의해 폐쇄 위치에서 제1 패스너 부품(2) 상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또한 상기 동작 요소가 결합 요소(38)에 대해 작동되지 않을 때 단부측의 환상 칼라(391)에 의해 결합 요소(38)와 이동-제한 방식으로 접촉한다.
도 27d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작 요소(39)는, 그 외주면에, 폐쇄 위치에서 멈춤쇠 요소(385)에 대해 축방향으로 상이한 높이에 배치되는 2개의 직경방향 대향 위치 잠금해제 개구(392)를 가지며, 그래서 멈춤쇠 요소(385)는 동작 요소(39)의 원통형 몸체(390)의 외주면과 접촉하며, 이에 의해 원통 칼라(201)의 내측의 멈춤쇠 오목부(203)와 멈춤쇠 결합 상태로 유지된다.
폐쇄 위치(도 27d)에서, 작동 요소(34)는 스프링 요소(384)의 스프링 예비하중에 의해 제1 패스너 부품(2)의 방향으로 압박되며, 권취 요소(35)의 환상 칼라(354)에 대한 베이스면(240)의 접촉에 의해 권취 요소(35)는 제1 패스너 부품(2)의 맞물림부(25)와의 결합 상태로 압박된다. 따라서, 폐쇄 위치에서, 제2 패스너 부품(3)은 권취 요소(35)와 제1 패스너 부품(2) 사이에 맞물림 결합이 있는 상태로 멈춤쇠 작용으로 제1 패스너 부품(2)에 대해 유지된다.
패스너 장치(1)의 폐쇄 위치에서, 작동 요소(34)는 권취 방향(V)으로 회전되고 따라서 권취 요소(35)가 작용 요소(34)와 함께 권취 방향으로 회전되며, 맞물림부(25, 351)는 서로의 위를 미끄러지며, 이는 권취 요소(35)의 그리고 이에 의해 작동 요소(34)의 (작은) 축방향 이동을 유발한다. 여기서, 멈춤쇠 수단(37)의 결합 요소(38)는 멈춤쇠 요소(385)에 의해 제1 패스너 부품(2)의 원통 칼라(201)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유지되기 때문에, 스프링 요소(384)의 스프링 예비하중에 대항하여 권취 요소(35) 및 작동 요소(34)의 축방향 편향이 발생한다.
작동 요소(34) 및 권취 요소(35)의 회전 후에, 맞물림부(25, 351)는 스프링 요소(384)의 스프링 예비하중으로 인해 다사 서로 결합된다.
패스너 부품(2, 3)을 서로 해방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작동 요소(39)를 작동 방향(D)으로 결합 요소(38) 안으로 압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작 요소(39)의 몸체(390)는 결합 요소(38) 내에서 폐쇄 방향(X)을 따라 축방향으로 조정되며, 그래서 잠금해제 개구(392)는 멈춤쇠 요소(385)와 동일한 축방향 높이로 이동하며, 따라서 멈춤쇠 요소(385)는 반경방향 내향으로 편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 요소(38)와 원통 칼라(201) 사이의 잠금 멈춤쇠 결합이 제거되며, 그래서 패스너 부품(2, 3)은 폐쇄 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패스너 장치(1)를 다시 폐쇄하기 위해, 제2 패스너 부품(3)은 폐쇄 방향(X)으로 다시 제1 패스너 부품(2) 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결합 요소(38)는 원통 칼라(201)의 개구에 결합되며 멈춤쇠 요소(385)는 멈춤쇠 작용에 의해 원통 칼라(201) 내의 일주 홈 형태의 멈춤쇠 오목부(203) 안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맞물림부(25, 351)는 또한 서로 맞물림 결합 상태로 들어가고, 패스너 장치(1)는 도 27d에 도시된 폐쇄 위치를 취한다.
도 28은 도 27a 내지 도 27d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수정되고 그 외관의 면에서 도 27a 내지 도 27d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8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멈춤쇠 수단(37)은 결합 요소(38)를 구비하고, 이 결합 요소에는 폐쇄 방향(X)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속 보어(387)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속 보어에는 2개의 구형 멈춤쇠 요소(385)가 배치되어 스프링 요소(386)에 의해 서로에 대해 예배하중을 받는다. 도 2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패스너 부품(2, 3)이 서로에 대해 장착될 때, 결합 요소(38)는 원통 칼라(201)에 결합되고, 멈춤쇠 요소(385)는 멈춤쇠 작용에 의해 원통 칼라(201)의 개구의 내측 상의 멈춤쇠 오목부(203)에 결합되다.
여기서, 멈춤쇠 결합은 스프링 요소(386)에 의한 스프링 예비하중에 의해 폐쇄 위치에서 유지된다. 멈춤쇠 결합을 해방하려는 경우, 제2 패스너 부품(3)은 충분한 외력에 의해 폐쇄 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제1 패스너 부품(2)으로부터 당겨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멈춤쇠 요소(385)는 홈-유사 멈춤쇠 오목부(203)의 상위 에지 위를 주행하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반경방향 내향으로 오프셋되고 따라서 멈춤쇠 오목부(203)로부터 결합해제된다. 따라서, 패스너 부품(2, 3) 사이의 멈춤쇠 결합은 결합 요소(38)의 별도의 작동 없이 해방될 수 있다.
도 28에 따른 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8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자석 요소(23)가 제1 패스너 부품(2)의 몸체(20)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자석 요소(33)가 결합 요소(38)의 몸체(380) 상에 배치되어 있다는 사실로 인해 자기적 형태이다. 따라서, 패스너 부품(2, 3)은 (또한) 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이는 패스너 부품(2, 3)의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도 28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또한 자석 요소가 없는 순수 기계적 형태일 수 있다.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패스너 부품(2) 및 제2 패스너 부품(3) 상의 맞물림 수단(25, 351)은 기본적으로 폐쇄 위치에서 패스너 부품(2, 3) 사이에 (적어도 소정 임계 토크까지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확실한 잠금 유지를 생성하도록 매우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도 29a, 도 29b 내지 도 33a, 도 33b는 그 치형부의 기하학적 형태의 면에서 상이하며 여기서 설명되는 유형의 패스너 장치(1)에 사용될 수 있는 맞물림 수단(25, 351)의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따라서, 도 29a, 도 29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맞물림 수단(25, 351)의 치형부는 폐쇄 방향(X)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고 런온 사면(253)의 형태로 되어 있는 치형부 플랭크 및 치형부 플랭크 상에 형성되고 권취 방향(V)을 따라 돌출하는 돌기 요소(252)를 갖는 대략 수직 연장 치형부 플랭크(254)를 갖는다. 권취 방향(V)에 대향하는 로딩 방향(B)으로 작용하는 하중의 경우에, 맞물림 수단(25, 351)의 치형부의 돌기 요소(252)는 서로 결합되고, 그래서 로딩 방향(B)(권취 방향(V)의 반대 방향)의 맞물림 수단(25, 351)의 이동이 차단된다. 따라서, 권취 요소(35)는 패스너 장치(1)가 그 폐쇄 위치에 위치될 때 제1 패스너 부품(2)에 대해 권취 방향(V)에 반대되는 로딩 방향(B)으로 회전될 수 없다.
도 29a, 29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멈춤쇠 러그(detent lug)(255)가 추가로 맞물림 수단(351)의 각각의 치형부(또는 적어도 치형부의 일부)의 돌기 요소(252) 상에 형성되며, 이 치형부 러그는 예를 들어 맞물림 수단(25)의 관련된 치형부의 돌기 요소(252) 상의 관련된 멈춤쇠 중공부에 멈춤쇠 작용에 의해 결합되어 로딩 방향(B)으로 작용하는 하중의 경우에 맞물림 수단(25, 351)의 치형부의 잠금 결합을 추가로 잠근다.
도 30a, 도 30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30a, 도 30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맞물림 수단(351)의 치형부의 돌기 요소(252) 상에 도 29a, 도 29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같은 멈춤쇠 러그(255)가 제공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제외하고, 도 29a, 도 29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31a, 도 31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맞물림 수단(25, 351)은 톱니-유사 맞물림부의 형태이다. 이 경우의 맞물림 수단(25, 351)의 치형부는 각각 런온 사면(253) 형태의 치형부 플랭크 및 하나의 수직 연장 치형부 플랭크(254)를 갖는다. 권취 방향(V)에 대향하는 로딩 방향(B)의 맞물림 수단(25, 351)의 로딩이 잠긴다.
도 32a, 도 32b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맞물림 수단(25, 351)의 치형부는, 도 31a, 도 31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와 비교하여, 치형부 플랭크(254)에서 언더컷되어 있는데, 즉 폐쇄 방향(X)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져 있다. 맞물림 장치(25, 351)가 권취 방향(V)에 대향하는 로딩 방향(B)으로 하중을 받는 경우에, 맞물림 수단(25, 351)은 서로에 대해 잠긴다.
도 29a, 도 29b, 도 30a, 도 30b, 및 도 32a, 도 32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맞물림 수단(25, 351)의 결합은 로딩 방향(B)으로 작용하는 하중의 경우에 자가-활성화된다. 따라서 패스너 부품(2, 3)은 하중의 작용하에 폐쇄 방향(X)으로 서로를 향해 당겨진다. 나아가, 돌기 요소(252)에 의한 확실한 잠금에 의해 또는 언더컷에 의해, 패스너 장치(1)는 폐쇄 방향(X)의 반대 방향의 개방에 대해 또한 잠긴다. 특히 순수하게 접선방향으로 작용하지 않는 로딩력에 대해 폐쇄 방향(X)의 반대 방향의 성분이 수용되고 소산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3a, 도 33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맞물림 수단(25, 351)의 치형부는 양 치형부 플랭크(253, 254)에서 비스듬히 경사지며 그래서 이들은 런온 사면을 형성하고, 맞물림 수단(25, 351) 사이에 충분한 힘이 작용할 때 맞물림 수단(25, 351)은 권취 방향(V) 및 또한 권취 방향(V)의 반대 방향으로 서로의 위를 미끄러질 수 있고 맞물림 수단(25, 351)은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편향된다. 따라서, 도 33a, 도 33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맞물림 수단(25, 351)은 권취 방향(V) 또는 권취 방향(V)의 반대 방향의 어느 방향에서도 서로에 대해 잠기지 않으며, 오히려 맞물림 수단(25, 351) 사이에 작용하는 토크가 충분히 높은 경우 랫칫(ratchet)의 방식으로 서로의 위를 미끄러질 수 있다.
도 34a 내지 도 34d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맞물림 수단(25, 351)의 치형부는 그 치형부 후배부에서 원뿔형 기어휠의 경우에서와 같이 권취 방향(V) 및 또한 폐쇄 방향(X)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며, 이는 권취 방향(V)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의 경우에 서로 결합되며 서로의 상에 지지되는 맞물림 수단(25, 351)의 치형부의 후배부 표면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5 내지 도 68은 전술한 유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설계될 수 있는 패스너 장치(1)의 사용의 상이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5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패스너 장치(1)는 신발(5)을 폐쇄하고 조이는 역할을 한다. 패스너 부품(3)은, 이 목적을 위해, 신발끈 형태의 텐션 요소(4)를 조이도록 신발(5)의 설부 상의 패스너 부품(2)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6은 신발끈 형태의 텐션 요소(4)의 권취의 면에서 도 35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와 상이한 신발(5)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5 및 도 36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신발끈 형태의 텐션 요소(4)의 일 단부는 패스너 장치(1)의 패스너 부품(3)에 고정되며 패스너 부품(2)에 대해 권취 요소(35)와 함께 작동 요소(34)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조여질 수 있다. 또한 조임은 이 경우 패스너 부품(3)이 당겨지는 것에 의해 수동적으로도 가능하며, 이에 의해 신발끈 형태의 텐션 요소(4)는 패스너 부품(3)이 패스너 부품(2)에 대해 고정되기 전에 조여진다.
도 37 및 도 38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본 경우에는 루프로서 권취되는 신발끈 형태의 텐션 요소(4)의 2개의 단부가 패스너 장치(1)의 패스너 부품(3)에 연결되며, 그래서 패스너 부품(2)에 대한 패스너 부품(3)의 회전에 의해 신발끈 형태의 텐션 요소(4)는 2개의 단부에 의해 권취될 수 있고 따라서 조여질 수 있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너 부품(3)이 패스너 부품(2) 상에 배치되기 전에, 손(6)을 사용하여 텐션 요소(4)를 당김으로써 텐션 요소(4)의 수동적 조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9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신발끈 형태의 텐션 요소(4)의 2개의 단부가 패스너 장치(1)의 패스너 부품(3)에 연결되고 따라서 패스너 부품(2)에 대해 패스너 부품(3)을 조이는 것에 의해 신발(5)을 폐쇄하고 조이도록 권취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신발끈 형태의 텐션 요소(4)는 이 경우 신발(5)은 텐션 요소(4)를 패스너 부품(3)의 권취 요소(35) 상에 권취하는 것에 의해 조여질 수 있도록 조임 요소(50) 주위에 놓인다.
도 40은, 텐션 요소(4)가 조임 요소(50) 주위에 놓여 있고 일 단부가 패스너 장치(1)의 패스너 부품(3) 상에 있는 상태로 배치되며 이로써 패스너 장치(1)에 의해 조여질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1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신발끈 형태의 텐션 요소(4)는 (또한) 신발(5)의 밑창(51) 주위에 놓여 있고 일 단부에 의해 패스너 장치(1)의 패스너 부품(3)에 연결되며, 이에 의해 신발(5)은 패스너 장치(1)에 의해 폐쇄되고 조여질 수 있다.
도 4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패스너 장치(1)는 밴드 형태의 텐션 요소(4)에 의해 바지 가랑이(52)를 신발(5)과 함께 조이는 역할을 한다. 이 목적을 위해, 텐션 요소(4)는 바지 가랑이(52) 주위에 연장되고 패스너 장치(1)에 의해 신발(5)에 고정되며, 그래서 바지 가랑이(52)는 패스너 부품(3)을 패스너 부품(2)에 대해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신발(5)에 대해 조여질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43에 도시되어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지 가랑이(52)는 바지 가랑이(52)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는 텐션 요소(4)가 패스너 장치(1)에 의해 신발(5)에 대해 조여질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신발에 대해 역시 조여질 수 있다.
또한, 도 44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지 가랑이(52)는 신발에 대해 조여질 수 있고, 이 경우 텐션 요소(4)는 신발(5)의 밑창(51) 주위에 밴드의 형태로 연장되며 패스너 장치(1)에 의해 신발(5) 상에 조여질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도 45 및 도 46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패스너 장치(1)는 한 점의 의류(5), 예를 들어 조끼 또는 재킷을 폐쇄하고 조이는 역할을 한다. 밴드 또는 코드 형태의 텐션 요소(4)는 체결 점(53)에서 한 점의 의류(5)에 고정되고 한 점의 의류(5)의 개구 슬롯의 양측에서 조임 요소(50) 주위에 놓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점의 의류(5)를 폐쇄한다. 패스너 부품(3)이 패스너 부품(2) 상에 배치되고 패스너 부품(3)이 패스너 부품(2)에 대해 회전되는 것에 의해, 한 점의 의류(5)는 조여질 수 있다.
또한, 도 47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패스너 장치(1)는 한 점의 의류(5)를 폐쇄하는 역할을 하며, 이 경우 2개의 패스너 장치(1)가 2개의 텐션 요소(4)를 조이기 위해 제공되는 경우도 있다. 텐션 요소(4)는 각각 체결 점(53)에서 한 점의 의류(5)의 개구 슬롯의 일 측에 고정되며, 한 점의 의류(5)의 개구 슬롯의 다른 측에서 각각의 패스너 부품(3)이 패스너 장치(1)의 관련된 패스너 부품(2) 상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조여질 수 있다.
도 48 및 도 49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패스너 장치(1)는 발(7) 상의 발목 붕대 형태의 의료 보조구(5)를 폐쇄하고 조이는 역할을 한다. 발목 붕대의 일 단부에 연결되는 패스너 부품(3)이 발목 붕대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는 패스너 부품(2) 상에 배치되고 발목 붕대 상에서 연장되는 텐션 요소(4)가 조여지는 것에 의해, 발목 붕대는 폐쇄되고 조여질 수 있다.
도 50 및 도 51은 발목 붕대 형태의 의료 보조구(5)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 경우 일 단부에서 패스너 부품(2)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에서 패스너 부품(3)에 연결되는 텐션 요소(4)는 전환 수단(54)에 주위에 놓일 수 있으며, 패스너 부품(3)을 패스너 부품(2) 상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텐션 요소(4)의 루프가 형성되며, 이는 발목 붕대를 폐쇄하고 조이도록 패스너 부품(3)을 패스너 부품(2)에 대해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조여질 수 있다.
도 52는 도 52는 목 받침대 형태의 교정기 형태의 의료 보조구(5)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 경우 패스너 장치(1)는 폐쇄 및 조임을 위한 역할을 한다. 패스너 부품(3)에 연결된 텐션 요소(4)는 체결 점(53)으로부터 진행하여 조임 훅(50) 주위에 놓이고 패스너 부품(2)에 대해 패스너 부품(3)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조여질 수 있다.
도 53 및 도 54는 헬멧(5) 예를 들어 자전거 헬멧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 경우 패스너 장치(1)는 벨트(55)를 폐쇄하고 조이는 역할을 한다. 텐션 요소(4)는 벨트(55)의 구성 부품이며 패스너 부품(3), 특히 패스너 부품(3)의 권취 요소(35) 상에 권취되어 벨트(55)를 조일 수 있다.
도 55 및 도 56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패스너 장치(1)는 헬멧(5), 예를 들어 자전거 헬멧의 턱 끈(56)을 조이는 역할을 한다. 패스너 장치(1)의 패스너 부품(3)은 이 경우 패스너 부품(2) 상에 배치되고 패스너 부품(2)에 대해 회전되어 끈 (56)을 조일 수 있다.
도 57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패스너 장치(1)는 램프 형태의 조립체(5)의 높이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텐션 요소(4)는 이 경우에 램프를 거는 역할을 한다. 패스너 장치(1)의 패스너 부품(3)을 회전시킴으로써, 텐션 요소(4)의 길이가 변화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램프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도 58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패스너 장치(1)는 사진 형태의 조립체(5)를 거는 역할을 한다. 패스너 부품(3)을 회전시킴으로써, 텐션 요소(4)의 길이가 변화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진의 매달림이 조절될 수 있다.
도 59 내지 도 61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패스너 장치(1)는 램프(5) 형태의 조립체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역할을 한다. 이 목적을 위해, 패스너 부품(2)은 플러그 형태이다. 패스너 부품(3)은 플러그 형태의 패스너 부품(2)에 대해 회전될 수 있어서, 텐션 요소(4)를 형성하는 전기 케이블의 자유 연장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62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패스너 장치(1)는 롤러 블라인드 형태의 조립체(5)를 인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패스너 부품(3)은 텐션 요소(4) 에 의해 롤러 블라인드에 연결된다. 패스너 부품(3)이 예컨대 프레임 상에 배치된 패스너 부품(2) 상에 배치되고 회전되는 것에 의해, 텐션 요소(4)는 권취될 수 있고 따라서 롤러 블레인드가 조정될 수 있다.
도 63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도 62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텐션 요소(4)의 2개의 단부가 패스너 부품(3)에 연결되며, 이에 의해 패스너 부품(3)의 회전에 의해 텐션 요소(4)의 2개의 단부는 패스너 부품(3)의 권취 요소(35) 상에 동시에 권취될 수 있다.
도 64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패스너 장치(1)는 수화물 물품 상의 끈 형태의 텐션 요소(4)를 조이는 역할을 한다.
도 65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패스너 장치(1)는 배낭 형태의 수화물 물품 상의 밴드 또는 코드 형태의 텐션 요소(4)를 조여서 물품을 수화물 물품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66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패스너 장치(1)는 물품(5)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등을 자전거, 특히 자전거의 자전거, 특히 자전거의 핸들바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텐션 요소(4)는 이 경우 물품(5) 주위에 고리를 형성하며 소정 부분에서 패스너 부품(3)의 권취 요소(35)에 권취됨으로써 조여질 수 있다.
도 67은 물품(5), 예를 들어 휴대 전화를 자전거에 고정하기 위해 텐션 요소(4)가 상이하게 권취되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8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패스너 장치(1)는 물품, 예를 들어 수화물 물품을 차량의 적재실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텐션 요소(4)는 수화물을 가로질러 놓임으로써 적재실의 바닥에 위치 고정된 수화물 물품을 유지한다. 패스너 장치(1)에 의해, 텐션 요소(4)는 수화물 물품을 고정하기 위해 조여질 수 있다.
도 69 내지 도 73은 패스너 장치(1)의 추가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 경우 패스너 부품(2, 3)은 폐쇄 방향(X)을 따라 서로에 대해 장착될 수 있으며 폐쇄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유지된다.
도 69 내지 도 73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텐션 요소(4)는 패스너 부품(3)의 슬리브 형태의 권취 요소(35) 상에 권취될 수 있는 끈 형태이다. 패스너 부품(3)은 예를 들어 버클을 갖는 패스너 부품(2)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그래서 패스너 장치(1)에 의해 텐션 요소(4)의 단부는 서로 연결되고 서로에 대해 조여질 수 있다.
패스너 부품(3)은 손잡이 레버가 일체로 형성된 작동 요소(34)를 가지며, 손 레버는 결합 수단(345)에 의해 권취 요소(35)의 결합 수단(355)에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고, 그래서 작동 요소(34)에 의해 권취 요소(35)는 패스너 부품(2)에 대해 권취 방향(V)으로 회전될 수 있다.
특히 도 73의 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 요소(34)는 결합 개구(347)를 갖는 페그(346)를 가지며, 이에 의해 작동 요소(34)는 패스너 부품(2, 3)을 서로에 대해 연결하도록 패스너 부품(2)의 몸체(20) 상의 원통 부분(201) 상으로 폐쇄 방향(X)으로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요소(34)와 권취 요소(35) 사이의 스프링 예비하중에 의해, 결합 수단(345, 355)은 패스너 부품(2, 3)이 서로로부터 분리될 때 서로 결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권취 요소(35)는 작동 요소(34)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고, 그래서 텐션 요소(4)는 예를 들어 권취 요소(35)로부터 권취해제될 수 있다. 폐쇄를 위해, 패스너 부품(3)은 작동 요소(34)의 페그(346) 상의 결합 개구(347)가 패스너 부품(2)의 원통 부분(201)에 결합되도록 패스너 부품(3) 상에 장착되며, 권취 요소(35)는 패스너 부품(2)의 몸체(20) 상에 지지되고, 한편으로는 원통 부분(201) 상의 그리고 다른 편으로는 작동 요소(34)의 페그(346) 상의 자석 요소(23, 33)의 자기 흡인에 의해(도 73 참조) 작동 요소(34)는 권취 요소(35)를 향해 당겨지고 결합 수단(345, 355)은 따라서 확실한 잠금 방식으로 서로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 요소(34)와 권취 요소(35) 사이에 동작 연결이 생성되고, 그래서 패스너 부품(2, 3)이 서로 연결되었을 때, 작동 요소(34) 및 권취 요소(35)는 함께 회전될 수 있어 텐션 요소(4)를 권취 요소(35) 상에 권취하고 이에 의해 텐션 요소(4)를 조인다.
몸체(20)를 향하는 단부에서, 권취 요소(35)는, 패스너 부품(2, 3)이 서로 연결되었을 때 몸체(20) 상의 맞물림 수단(25)에 결합되는 톱니-유사 맞물림부 형태의 맞물림 수단(351)을 갖는다. 맞물림 수단(25, 351)의 결합은 패스너 부품(2, 3)이 권취 방향(V)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될 수 있어 텐션 요소(4)를 권취 요소(35) 상에 조이지만 권취 방향(V)의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될 수 없는 효과를 갖는다.
패스너 장치(1)를 해방하기 위해, 패스너 부품(2, 3)은 폐쇄 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떨어지도록 당겨질 수 있고, 그래서 패스너 부품(2, 3)은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도 74a 및 도 74b는 분리된 패스너 부품(2, 3)의 경우(도 74a)와 폐쇄된 패스너 장치(1)의 경우(도 74b)의 패스너 장치(1)를 도시한다. 패스너 장치(1)는 예를 들어 허리벨트 형태로 끈을 조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75는 패스너 장치(1)의 추가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 경우 패스너 부품(2, 3)은 상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폐쇄 방향(X)으로 서로에 대해 장착될 수 있다.
도 75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어장치(26)가 패스너 부품(2)에 제공되고, 이 기어장치는 예를 들어 베벨 기어 및 웜 기어의 형태일 수 있으며 패스너 부품(3)을 패스너 부품(2)에 대해 회전시켜 맞물림 수단(25)(예를 들어 도 6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패스너 부품(2, 3)이 서로 연결되어 있을 때, 패스너 부품(3)의 맞물림 수단(351)에 결합됨)을 통해 텐션 요소(4)를 조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 75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패스너 부품(2, 3)의 서로에 대한 회전은 예를 들어 수동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패스너 부품(2)에 제공된 기어장치를 통해 실현된다.
도 76 내지 도 79a, 도 79b는 정확하게는 이러한 기어장치(26)가 권취 요소(35)의 조임을 위해 구현되는 추가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6 내지 79a, 79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어장치(26)는 조임 기어장치로서 설계되고, 이 경우 조임 레버(260)가 피봇 축선(265)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도록 패스너 부품(2)의 몸체(20)에 장착되며 스프링 요소(261)에 의해 기초 위치(도 79a, 도 79b에 도시됨)로 몸체(20)에 대해 예비하중을 받는다.
위에서도 설명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패스너 부품(3)은 권취 요소(35)에 의해 몸체(20)의 원통부(201)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연결 위치에서 맞물림 수단(351)에 의해 몸체(20)의 관련된 맞물림 수단(25)에 결합된다. 권취 요소(35)에는, 권취 요소(35)의 주위에 연장되고 기어장치(26)와 상호작용하는 역할을 하는 맞물림부 형태의 조임 결합 수단(356)이 형성되어 있다.
기어장치(26)의 조임 레버(260) 상에는, 결합 레버(262)가 피봇 축선(263)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이 결합 레버는 권취 요소(35)의 조임 결합 수단(356)에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
패스너 부품(2, 3)을 서로에 대해 장착하기 위해, 조임 레버(260)는 도 78a, 도 7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 방향(P1)으로 기초 위치로부터 편향될 수 있어, 패스너 부품(2, 3)이 서로 연결되어 있을 때 권취 요소(35)에 의해 취해지는 영역으로부터 결합 레버(262)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패스너 부품(2, 3)은 기어장치(26)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서로에 대해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조임 레버(260)가 다시 해방되면, 기어장치(26)는 그 조임 레버(260)가 도 79a, 도 79b에 따른 기초 위치로 가는 상태가 되며, 여기서 결합 레버(262)는 조임 결합 수단(256)에 결합된다.
이제 조임 레버(260)가 피봇 방향(P2)으로 편향되는 경우, 결합 레버(262)는 함께 이동되고 권취 요소(35)를 권취 방향(V)으로 회전시키며, 그래서 텐션 요소(4)가 권취 요소(35) 상에 권취된다. 따라서 텐션 요소(4)가 조여진다.
여기서, 조임은 단계적으로 행해진다. 스프링 요소(261) 및 그에 의해 제공된 스프링 예비하중에 의해, 조임 레버(260)는 작동 후에 자동적으로 기초 위치로 재설정되며, 결합 레버(262)를 결합 레버(262)가 조임 레버(260)에 대해 탄성적으로 예비하중을 받게 하는 스프링 요소(264)의 탄성적인 편향에 의해 조임 결합 수단(356) 위를 미끄러진다. 따라서, 텐션 요소(4)의 조임은 조임 레버(260)의 반복된 작동에 의해 단계적으로 행해진다.
스프링 요소(264)에 의해, 프리휠이 또한 제공된다. 권취 요소(35)는 또한 권취 방향(V)으로 손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수단(262)은 스프링 요소(264)의 탄성적 편향에 의해 권취 요소(35)의 조임 결합 수단(356) 위를 미끄러진다.
본 발명이 기초로 삼고 있는 개념은 위에서 강조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근본적으로 다른 형태로 실현될 수도 있다.
여기에 기술된 유형의 패스너 장치는 기계적 패스너와 권취 수단을 조합한다. 패스너 부품은 서로에 대해 장착될 수 있고 폐쇄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권취 요소에 의해, 텐션 요소가 권취되어 조여질 수 있고, 그래서 그 조립체는 서로에 대해 연결되고 서로에 대해 조여질 수 있다.
텐션 요소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인장력을 전달하는데 (전적으로) 적합한 가요성 요소로서 구성된다. 텐션 요소는 예를 들어 케이블, 끈, 벨트 또는 밴드일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유형의 패스너 장치는 자석 요소를 사용하지 않고 순수하게 기계적 패스너 장치로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자석 요소의 사용은 첫 번째로 간단한 직관적인 취급성을 달성하고 두 번째로 패스너 부품 사이의 유지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패스너 장치는 기본적으로 근본적으로 상이한 자기-기계적 멈춤쇠 패스너를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너 장치는 - 자기-기계적 멈춤쇠 기능과 관련하여 - WO 2008/006357 A2, WO 2008/006354 A2, WO 2009/092368 A2, WO 2010/006594 A2, WO 2008/006356 A2, WO 2009/010049 A2, WO 2009/127196 A2, WO 2014/090926 A1와 출원 참조 PCT/EP2013/060762의 국제 출원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설계될 수 있다.
1 패스너 장치
2 패스너 부품
20 본체
200 측벽
201 원통 칼라
202 개구
203 멈춤쇠 오목부(멈춤쇠 홈)
21 언더컷 요소
22 언더컷 요소
23 자석 요소
24 차단 요소
240 액슬 요소
241 스프링 요소
25 맞물림 수단
250 맞물림 요소
251 링
252 돌기 요소
253 런온 사면
254 치형부 플랭크
255 멈춤쇠 러그
26 기어장치 수단
260 조임 레버
261 스프링 요소
262 결합 레버
263 피봇 축선
264 스프링 요소
265 피봇 축선
3 패스너 부품
30 하우징 요소
300 원통 칼라
301 내부 공간
302 맞물림부
303 돔
304 개구
305 멈춤쇠 홈
31 언더컷 요소
32 언더컷 요소
33 자석 요소
34 작동 요소
340 몸체
341 맞물림 수단
342 페그
343 잠금 요소
344 스프링 요소
345 결합 수단
346 페그
347 개구
35 권취 요소
350 권취 몸체
351 맞물림 수단
352 개구
353 채널
355 결합 수단
356 조임 결합 수단
36 멈춤쇠 요소
360 멈춤쇠 돌기
37 멈춤쇠 수단
370 멈춤쇠 요소
371 멈춤쇠 돌기
372 런온 요소
373 예비하중 요소(링)
374 스프링 요소
375 동작 요소
376 런온 요소
38 결합 요소
380 몸체
381 환상 칼라
382 수용 개구
383 개구
384 스프링 요소
385 멈춤쇠 요소
386 스프링 요소
387 개구
39 동작 요소
390 몸체
391 환상 칼라
392 잠금해제 개구
393 개구
394 스프링 요소
4 텐션 요소
5 조립체
50 조임 훅
51 밑창
52 바지 가랑이
53 고정 점
54 전환 수단
55 벨트
56 끈
6 손
7 발
B 로딩 방향
D 작동 방향
E 결합 방향
L 해방 방향
P1, P2 피봇 방향
V 권취 방향
X 폐쇄 방향
Y 개방 방향

Claims (33)

  1. 폐쇄 방향(X)을 따라 서로에 대해 장착될 수 있고, 폐쇄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유지되며, 패스너 장치(1)를 개방하도록 서로로부터 해방가능한 제1 패스너 부품(2) 및 제2 패스너 부품(3)을 갖는 패스너 장치(1)에 있어서,
    제2 패스너 부품(3)은 텐션 요소(4)가 배치될 수 있고 권취 방향(V)으로 권취 요소(35) 상에 텐션 요소(4)를 권취하도록 제1 패스너 부품(2)에 대해 회전가능한 권취 요소(3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권취 요소(35)는 폐쇄 방향(X) 주위로 제1 패스너 부품(2)에 대해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권취 요소(35)는 폐쇄 위치에서 제1 패스너 부품(2)에 대해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권취 요소(35)는 폐쇄 위치에서 권취 방향(V)으로 제1 패스너 부품(2)에 대해 회전가능하지만 권취 방향(V)의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가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권취 요소(35)는 폐쇄 위치에서 제1 패스너 부품(2)에 대해 회전가능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권취 요소(35)는 폐쇄 위치에서 제1 패스너 부품(2)의 맞물림 수단(25)에 결합되는 맞물림 수단(35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7. 제6항에 있어서,
    권취 요소(35)의 맞물림 수단(351)은 폐쇄 위치에서 권취 방향(V)으로 제1 패스너 부품(2)의 맞물림 수단(25)에 대해 이동가능하지만 권취 방향(V)의 반대 방향의 이동이 잠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맞물림 수단(351) 중 적어도 하나는 권취 방향(V)으로의 권취 요소(35)의 회전의 경우에 권취 방향(V)에 대해 횡방향으로 옆으로 강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요소(25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패스너 부품(2) 및 제2 패스너 부품(3)은 폐쇄 위치에서 패스너 부품(2, 3)을 폐쇄 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유지시키도록 함께 기계적으로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10. 제9항에 있어서,
    패스너 부품(2, 3) 중 하나는, 구속 위치에서, 다른 패스너 부품(3, 2)의 멈춤쇠 오목부(203) 내로 결합되고 따라서 패스너 부품(2, 3)을 폐쇄 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 멈춤쇠 요소(371)를 갖는 멈춤쇠 수단(3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11. 제10항에 있어서,
    멈춤쇠 수단(37)은 패스너 부품(2, 3)의 장착 동안 구속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조정가능 멈춤쇠 요소(371)는 구속 위치의 방향으로 스프링-예비하중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멈춤쇠 수단(37)은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 요소(371)를 멈춤쇠 오목부로부터 결합해제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는 동작 요소(37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14. 제13항에 있어서,
    동작 요소(375)는, 동작 요소(375)가 작동될 때, 구속 위치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 요소(371)에 예비하중을 가하는 예비하중 요소(373) 상의 런온 요소(372) 상으로 주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 요소(371)를 조정하도록 설계되는 런온 요소(37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스너 부품(2, 3) 중 하나는 패스너 부품(2, 3)의 서로에 대한 회전가능한 장착을 위해 패스너 부품(3, 2) 중 다른 것 안으로 결합되는 원통 칼라(20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패스너 부품(3)은 폐쇄 위치에서 제1 패스너 부품(2) 상에 배치되고 권취 요소(35)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 요소(3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17. 제16항에 있어서,
    제2 패스너 부품(3)은,
    잠긴 상태에서, 권취 요소(35)가 권취 방향(V)으로 하우징 요소(30)에 대해 회전가능하지만 권취 방향(V)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가능하지 않도록 권취 요소(35)를 잠그는 잠금 조립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18. 제17항에 있어서,
    잠금 조립체는 잠긴 상태로부터 잠금해제될 수 있고, 그래서 권취 요소(35)는 권취 방향(V)의 반대 방향으로 하우징 요소(30)에 대해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잠금 조립체는 패스너 장치(1)의 개방 동안 자동적으로 잠금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조립체는 하우징 요소(30)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작동 요소(3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21. 제20항에 있어서,
    하우징 요소(30) 및 작동 요소(34)는, 작동 요소(34)가 권취 방향(V)으로 하우징 요소(30)에 대해 회전가능하지만 권취 방향(V)의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가능하지 않도록 프리휠 수단에 의해 동작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22. 제21항에 있어서,
    프리휠 수단은 하우징 요소(30) 및 작동 요소(34) 중 하나 상의 맞물림부(302)와 하우징 요소(30) 및 작동 요소(34) 중 다른 것 상의 적어도 하나의 조정가능 잠금 요소(343)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요소(34)는 제1 맞물림 수단(341)을 가지며 권취 요소(35)는 제2 맞물림 수단(35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24. 제23항에 있어서,
    작동 요소(34)는 제1 맞물림 수단(341) 및 제2 맞물림 수단(351)을 결합 또는 결합해제시키도록 하우징 요소(30)에 대해 축방향으로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25. 제16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패스너 부품(2)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언더컷 요소(21, 22)를 갖고 제2 패스너 부품(3)의 하우징 요소(3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언더컷 요소(31, 32)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제1 언더컷 요소(21, 22)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언더컷 요소(31, 32)는 패스너 부품(2, 3)의 장착 동안 서로 결합되며, 그래서 패스너 부품(2, 3)은 폐쇄 위치에서 폐쇄 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26. 제25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제1 언더컷 요소(21, 22)는 폐쇄 방향(X)에 대해 횡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제1 패스너 부품(2)의 본체(20) 상에 배치되며, 그리고/또는 적어도 2개의 제2 언더컷 요소(31, 32)는 폐쇄 방향(X)에 대해 횡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제2 패스너 부품(3)의 하우징 요소(30)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언더컷 요소(21, 22)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언더컷 요소(31, 32)는, 폐쇄 방향(X)에 대해 횡방향 평면에서 볼 때, 아치형 또는 V-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28.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스너 부품(2, 3) 중 하나는 패스너 부품(2, 3)의 폐쇄 위치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언더컷 요소(21, 22)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언더컷 요소(31, 32) 사이의 결합을 보호하기 위한 차단 요소(2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29. 제28항에 있어서,
    차단 요소(24)는, 패스너 부품(2, 3)의 폐쇄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언더컷 요소(21, 22)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언더컷 요소(31, 32) 사이의 결합이 보호되는 차단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언더컷 요소(21, 22)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언더컷 요소(31, 32)가 결합 상태로 유지되도록 다른 패스너 부품(2, 3)의 구성요소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30. 제29항에 있어서,
    차단 요소(24)는 차단 위치의 방향으로 스프링-예비하중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차단 요소(24)는, 패스너 장치(1)의 개방을 위해, 차단 위치로부터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32.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패스너 부품(2, 3)의 구성요소는 차단 요소(24)의 차단 작용을 제거하도록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패스너 부품(2) 및 제2 패스너 부품(3)은 패스너 부품(2, 3)의 서로에 대한 장착 동안 자기 흡인력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자석 요소(23, 33)를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장치(1).
KR1020197028528A 2017-02-28 2018-02-28 권취 요소를 갖는 폐쇄 장치 KR102538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03263.4 2017-02-28
DE102017203263 2017-02-28
DE102017220304.8 2017-11-14
DE102017220304 2017-11-14
DE102018201019.6 2018-01-23
DE102018201019.6A DE102018201019A1 (de) 2017-02-28 2018-01-23 Verschlussvorrichtung mit einem Wickelelement
PCT/EP2018/054968 WO2018158336A1 (de) 2017-02-28 2018-02-28 Verschlussvorrichtung mit einem wickel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834A true KR20190121834A (ko) 2019-10-28
KR102538293B1 KR102538293B1 (ko) 2023-05-31

Family

ID=63112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528A KR102538293B1 (ko) 2017-02-28 2018-02-28 권취 요소를 갖는 폐쇄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344086B2 (ko)
EP (2) EP3589153B1 (ko)
JP (1) JP7178354B2 (ko)
KR (1) KR102538293B1 (ko)
CN (2) CN110381768B (ko)
BR (1) BR112019016738B1 (ko)
DE (1) DE102018201019A1 (ko)
WO (1) WO20181583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680B1 (ko) * 2017-08-04 2018-02-28 김정곤 신발끈의 조임장치
DE102018123026A1 (de) 2018-09-19 2020-03-19 Fidlock Gmbh Verschlussvorrichtung mit aneinander ansetzbaren Verschlussteilen
US11064767B2 (en) * 2018-10-30 2021-07-20 Chin-Chu Chen Fastening device
CN113271802B (zh) 2018-12-27 2023-01-20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鞋类物品的闭合系统
US11091357B2 (en) 2018-12-27 2021-08-17 Nike, Inc. Pulley for a wearable article
IT201900001857A1 (it) * 2019-02-08 2020-08-08 Met S P A Casco protettivo in particolare per uso sportivo.
US11504136B2 (en) 2019-05-23 2022-11-22 RCR Medical Products LLC Tourniquet with twisting assembly
US20220313276A1 (en) 2019-05-23 2022-10-06 RCR Medical Products LLC Twisting Assembly For Tightening An Elongated Flexible Material
CN110319079A (zh) * 2019-08-13 2019-10-11 苏州中科先进技术研究院有限公司 磁吸固定锁扣
CN210745241U (zh) * 2019-08-23 2020-06-12 深圳市艺典讯拓科技有限公司 数码产品固定装置
DE102019217036A1 (de) * 2019-11-05 2021-05-06 Fidlock Gmbh Verschlussvorrichtung mit einem Drehelement
WO2021163578A1 (en) 2020-02-14 2021-08-19 Shift Holding, LLC Shift reel and related methods
EP3874985A1 (en) * 2020-03-03 2021-09-08 Actiweight Labs AS Footwear
US11690748B2 (en) * 2020-06-18 2023-07-04 Footscientific Inc. Orthosis brace comprising reel-based lacing system
CN114027591B (zh) * 2020-09-09 2024-02-20 联扬塑胶(深圳)有限公司 拨动解锁的扣具装置
USD1014695S1 (en) * 2021-03-24 2024-02-13 Shift Holding, LLC Shift reel
US20220313275A1 (en) * 2021-04-01 2022-10-06 2607626 Ontario Limited Ratchet tourniquet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U2022256972A1 (en) * 2021-04-15 2023-11-09 Pride Manufacturing Compan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 dial cover for a rotary closure for a shoe
WO2023224638A2 (en) * 2021-05-28 2023-11-23 Gentex Corporation Aviation helmet
USD1008602S1 (en) 2021-07-19 2023-12-19 Fidlock Gmbh Winch base
EP4144250A4 (en) * 2021-07-19 2023-03-08 Shishi Senke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ROTATING PULL-PRESSURE PULLEYS AND SHOES
DE102021208311B3 (de) 2021-07-30 2022-12-15 Fidlock Gmbh Magnetisch-mechanische Verschlussvorrichtung zum Befestigen an einer zugeordneten Baugruppe
CN113951604B (zh) * 2021-11-05 2023-08-01 东莞市弘博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银离子抗菌除臭功能的老年保健理疗鞋
US11717076B1 (en) * 2022-04-26 2023-08-08 Hand Held Products, Inc. Strap assembly for a wearable mobile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53112A (zh) * 2010-04-30 2013-06-12 博技术有限公司 基于卷轮装置的系带系统
CN204070830U (zh) * 2014-08-28 2015-01-07 昆山市小博士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座椅的安全带连接搭扣
WO2015006616A1 (en) * 2013-07-10 2015-01-15 Boa Technology Inc. Closure devices including incremental release mechanisms and methods therefor
CN104853636A (zh) * 2012-12-14 2015-08-19 费得洛克有限公司 用于可脱离地连接两个部件的闭锁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00878A1 (fr) * 1981-02-27 1982-09-03 Idot Bernard Systeme de ceinture antivol pour bagages
JPH0215293A (ja) 1989-05-25 1990-01-18 Yamaha Corp 電子楽器
JPH07208A (ja) * 1991-12-20 1995-01-06 Kobatsuku:Kk 靴紐締付具
DK0693260T3 (da) 1994-07-22 1999-06-21 Markus Dubberke Indretning til arretering af endeområder af mindst ét snørebånd
JPH098A (ja) 1995-06-17 1997-01-07 Fuji Toreela- Seisakusho:Kk 圃場作業機
US7591050B2 (en) * 1997-08-22 2009-09-22 Boa Technology, Inc. Footwear lacing system
DE20003854U1 (de) 2000-03-02 2001-07-12 Dassler Puma Sportschuh Drehverschluß, insbesondere für Schuhe
DE10015010C2 (de) 2000-03-22 2002-08-29 Eppendorf Ag Verriegelung eines Verschlusses mit einem Gehäuse
DE10157085A1 (de) 2001-11-21 2003-05-28 Porsche Ag Stabilisato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AU2003210372A1 (en) 2002-02-28 2003-09-09 Al-Ko Kober Ag Pivotable towing device for towing vehicles
US7076843B2 (en) 2003-10-21 2006-07-18 Toshiki Sakabayashi Shoestring tying apparatus
TWM250576U (en) 2003-11-10 2004-11-21 Tung Yi Steel Wire Company Ltd Device for retrieving and releasing tie lace
US20110167543A1 (en) 2004-05-07 2011-07-14 Enventys, Llc Adjustable protective apparel
US7516914B2 (en) 2004-05-07 2009-04-14 Enventys, Llc Bi-directional device
DE102005037967A1 (de) 2005-08-11 2007-02-15 Head Germany Gmbh Drehverschluss für einen Schuh
TW200743453A (en) * 2006-05-23 2007-12-01 Formosa Saint Jose Corp Inserted-to-buckle typed of non-slip fastener structure
AU2007272165B2 (en) 2006-07-12 2012-10-04 Fidlock Gmbh Mechanic-magnetic connecting structure
EP2061353B1 (de) 2006-07-12 2019-08-21 Fidlock GmbH Magnetverschluss
CN101646362B (zh) 2006-07-12 2012-12-12 菲德洛克有限责任公司 机械-磁连接结构
DE102008019063B4 (de) 2008-04-15 2011-04-14 Fidlock Gmbh Mechanisch-magnetische Verbindungskonstruktion
WO2009010049A2 (de) 2007-07-17 2009-01-22 Fidlock Gmbh Mechanisch-magnetische verbindungskonstruktion
EP2252176B1 (de) 2008-01-27 2015-04-15 Fidlock Gmbh Rast-magnet-verschluss
US20090255486A1 (en) * 2008-04-09 2009-10-15 Thompson Paul V Combination pet collar and leash
DE102008033546A1 (de) 2008-07-17 2010-02-11 Fidlock Gmbh Abgeschirmter Magnetsteckverschluß
CN201360619Y (zh) 2009-02-06 2009-12-16 刘立新 鞋带锁紧器
CN101843388A (zh) 2009-03-23 2010-09-29 陈金柱 扣具结构
US8052459B2 (en) 2009-06-05 2011-11-08 Bal Seal Engineering, Inc. Dual directional connector
GB2480622A (en) * 2010-05-25 2011-11-30 Hassan Fouladi USB drive holder with retractable cable
IT1403347B1 (it) 2010-12-03 2013-10-17 Geox Spa Dispositivo di bloccaggio per lacci, stringhe, corde e simili, particolarmente atti alla chiusura di calzature, zaini, capi di abbigliamento e simili
FR2973659B1 (fr) * 2011-04-06 2014-04-04 Zedel Boucle d'attache magnetique a aimants permanents et a verrouillage mecanique
CN102326922B (zh) 2011-09-16 2013-06-12 哈尔滨盖格电子工程有限公司 一种高可靠性钢丝鞋带装置
US9482255B2 (en) 2011-09-21 2016-11-01 Bal Seal Engineering, Inc. Multi-latching mechanisms and related methods
MX344775B (es) 2012-11-30 2017-01-04 Puma SE Cierre giratorio para un calzado.
CN103899611A (zh) 2012-12-25 2014-07-02 伍鐌科技股份有限公司 磁性扣接组合件
WO2014124054A1 (en) * 2013-02-05 2014-08-14 Boa Technology Inc. Closure devices for medical devices and methods
DE102013203440B4 (de) 2013-02-28 2018-08-09 Fidlock Gmbh Verschlussvorrichtung mit einem versenkbaren Magneten
US10251451B2 (en) 2013-03-05 2019-04-09 Boa Technology Inc. Closure devices including incremental release mechanisms and methods therefor
US9532626B2 (en) 2013-04-01 2017-01-03 Boa Technolog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retrofitting footwear to include a reel based closure system
CN105228480B (zh) 2013-05-08 2018-09-25 费得洛克有限公司 闭合装置
EP3777595A1 (en) 2013-06-05 2021-02-17 Boa Technology Inc. Integrated closure device components and methods
JP6087219B2 (ja) 2013-06-18 2017-03-01 株式会社ジャパーナ 靴紐巻取装置
US9629417B2 (en) 2013-07-02 2017-04-25 Boa Technology Inc. Tension limiting mechanisms for closure devices and methods therefor
KR102297325B1 (ko) 2013-09-13 2021-09-03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릴 기반 폐쇄 장치 및 그에 따른 방법
US9249814B2 (en) 2013-09-18 2016-02-02 Hai Pin Tsai Split type hanging buckle
CN203676303U (zh) 2013-12-25 2014-07-02 百卓鞋业(中山)有限公司 一种快速调整鞋带松紧度的结构
CN203913633U (zh) 2014-04-24 2014-11-05 杨小兵 一种锁鞋带器
US10617179B2 (en) 2014-06-19 2020-04-14 Fidlock Gmbh Closure device
US20160058127A1 (en) * 2014-08-28 2016-03-03 Boa Technology Inc. Devices and methods for enhancing the fit of boots and other footwear
JP6450584B2 (ja) 2014-12-22 2019-01-09 株式会社ジャパーナ 巻取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靴
US10264852B2 (en) * 2015-01-14 2019-04-23 Sug Whan Kim String winding and unwinding apparatus
US20160354233A1 (en) * 2015-02-02 2016-12-08 Stanley Sansone Cold Compress for Injuries to the Body, Relief from Pain and Protection from Overheating
US20160354223A1 (en) * 2015-06-03 2016-12-08 Boa Technology, Inc.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patient compliance with therapeutic procedures
AT517344B1 (de) 2015-06-30 2017-01-15 Zipp It Gmbh Verschlusssystem
DE102015225438A1 (de) * 2015-12-16 2017-06-22 Fidlock Gmbh Verschlussvorrichtung mit einer Verstelleinrichtung zum selbsttätigen Drehen eines Verbindungselements eines Verschlussteils in eine Schließstellung
US10285472B2 (en) * 2016-05-05 2019-05-14 Recovery Force, LLC Lace tightener incorporating SMA wire
CN206187398U (zh) * 2016-11-11 2017-05-24 陈金柱 紧固装置
CN206213402U (zh) 2016-11-23 2017-06-06 东莞市能鸿塑胶模具有限公司 一种新型鞋带扣
KR101837194B1 (ko) * 2016-12-30 2018-03-13 소윤서 줄 길이 조절장치
KR102043253B1 (ko) * 2017-02-22 2019-11-11 김석환 끈조절장치
DE102018201021A1 (de) * 2017-11-14 2019-05-16 Fidlock Gmbh Verschlussvorrichtung mit einem Wickelel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53112A (zh) * 2010-04-30 2013-06-12 博技术有限公司 基于卷轮装置的系带系统
CN104853636A (zh) * 2012-12-14 2015-08-19 费得洛克有限公司 用于可脱离地连接两个部件的闭锁设备
WO2015006616A1 (en) * 2013-07-10 2015-01-15 Boa Technology Inc. Closure devices including incremental release mechanisms and methods therefor
CN204070830U (zh) * 2014-08-28 2015-01-07 昆山市小博士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座椅的安全带连接搭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08766A (ja) 2020-03-26
CN110381768B (zh) 2023-04-14
WO2018158336A1 (de) 2018-09-07
US11344086B2 (en) 2022-05-31
BR112019016738B1 (pt) 2023-09-26
JP7178354B2 (ja) 2022-11-25
EP3589153B1 (de) 2024-02-14
CN110381768A (zh) 2019-10-25
CN116491750A (zh) 2023-07-28
DE102018201019A1 (de) 2018-08-30
EP4321724A2 (de) 2024-02-14
US11805865B2 (en) 2023-11-07
EP3589153A1 (de) 2020-01-08
US20200069002A1 (en) 2020-03-05
KR102538293B1 (ko) 2023-05-31
BR112019016738A2 (pt) 2020-03-31
US20220248810A1 (en)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1834A (ko) 권취 요소를 갖는 폐쇄 장치
US11109644B2 (en) Fastener device having a winding element
KR101688997B1 (ko) 릴 기반 끈 조임 시스템
CA2622236A1 (en) Quick release fastener
US20220386742A1 (en) Closure Device Having a Rotary Element
KR20170122462A (ko) 와이어 조임 장치
CN219047578U (zh) 离合收绳器
KR102203729B1 (ko) 와이어 조임 장치
CN116369635A (zh) 离合收绳器
KR20230084097A (ko)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