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253B1 - 끈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끈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253B1
KR102043253B1 KR1020170023676A KR20170023676A KR102043253B1 KR 102043253 B1 KR102043253 B1 KR 102043253B1 KR 1020170023676 A KR1020170023676 A KR 1020170023676A KR 20170023676 A KR20170023676 A KR 20170023676A KR 102043253 B1 KR102043253 B1 KR 102043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adjusting device
locking
strap
low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7059A (ko
Inventor
김석환
Original Assignee
김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환 filed Critical 김석환
Priority to KR1020170023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253B1/ko
Priority to JP2018547466A priority patent/JP2019512302A/ja
Priority to CN201780006055.5A priority patent/CN108738298B/zh
Priority to PCT/KR2017/001958 priority patent/WO2018155732A1/ko
Priority to US16/031,641 priority patent/US11192748B2/en
Publication of KR20180097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059A/ko
Priority to KR1020180143128A priority patent/KR102509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B65H54/2848Arrangements for aligned winding
    • B65H54/2854Detection or control of aligned winding or revers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 A44B1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with strap tigh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38Arrangement of fasteners of flexible ties
    • A45C13/1046Arrangement of fasteners of flexible ties of strings or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3/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 B65H63/08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delivery of a measured length of material, completion of winding of a package, or filling of a receptacle
    • B65H63/086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delivery of a measured length of material, completion of winding of a package, or filling of a receptacle responsive to completion of unwinding of a pack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4Devices or coupling-pieces designed for easy formation of adjustable loops, e.g. choker hooks; Hooks or eyes with integral parts designed to facilitate quick attachment to cables or ropes at any point, e.g. by forming loop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34Retai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4Shoe lacing fastenings with rings or loo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43C11/1406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Equipment therefor
    • A43C11/142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with adjustment means provided for on the shoe, e.g. rack
    • A43C11/1446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with adjustment means provided for on the shoe, e.g. rack characterised by special protection means to prevent damage or accidental loosening of the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Abstract

본 발명은 끈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상면에 구비되고, 실린더 형상의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베이스 유닛;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외면에 끈이 감겨지는 보빈, 상기 보빈이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헤드, 상기 회전헤드의 안쪽에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형성구비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끈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string}
본 발명은 끈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신발, 가방, 의복 등을 포함한 다양한 착용 제품 또는 생활용품에 사용되는 끈을 회전에 의해 손쉽게 감아 조이며, 그의 결과적인 효과가 끈의 형태 또는 길이 또는 위치 또는 끈에 걸리는 장력 등을 포함하는 끈의 특성을 조절 할 수 있도록 하는 끈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끈(string)이라 함은 그 의미가 길이 대비 두께 또는 폭이 크게 차이 나는 특징을 가지며, 구부러저 감길 수 있는 특성을 가진 모든 종류의 물체에 적용 될 수 있는대, 그 대표적인 예들은 끈(string), 와이어(wire), 로프(rope), 밴드(band)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발, 가방, 배낭, 의복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착용형 제품에는 끈 (string) 이나 이와 유사한 것들 예를 들어 와이어(wire) 또는 밴드(band) 등을 이용한 조임/풀림 수단이 구비된다. 또한 예를 들어 무거운 기계류를 다룰 때는 다양한 재료의 로프(rope)를 사용한다. 예컨대 신발의 경우 끈이 지그재그 형식으로 연결되도록 장착되며, 그러한 끈 을 당겨 조임으로써 신발이 사용자의 발에 밀착 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신발을 신고 벗을 때마다 끈 을 풀거나 조이는 것은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신발이 사용자의 발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도록 끈을 제대로 당겨 조이지 않은 채 신발을 착용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운동 등을 위해 신발이 사용자의 발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할 시에는 끈을 다시 당겨 조이고, 이후 다시 스트링을 풀어 느슨해지도록 하는 등, 사용자의 불편함이 초래될 수밖에 없다. 또한 보행이나 운동 중 끈의 묶임이 풀릴 경우 다시 끈을 묶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10-1569461호(스트링 권취 및 권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끈 조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듯이, 끈 조절 장치는 크게 베이스유닛(100), 미들유닛(200), 회전유닛(300) 및 커버유닛(400)으로 구성되고 이들의 결합하여 하나의 끈 조절 장치를 구성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끈 조절 장치는 기본적으로 4개의 구성 부품으로 이루어져 상대적으로 구조가 복잡하여 제품 생산과정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그로인해 제조 단가가 증가 할 수 있으며, 그 끈 조절 장치의 두께 또한 두꺼워 실제 제품에 적용하였을 때, 제품의 미관이 저하 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1) 부품 수의 감소, 2) 구조의 단순성, 3) 생산 과정의 수월성 및 제조 단가의 저감, 4) 형상 특히 두께의 저감으로 장착되는 제품의 심미감 증진을 확보하는 끈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구비되고 실린더 형상인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베이스 유닛;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끈이 감겨지는 보빈, 상기 보빈이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헤드, 상기 회전헤드의 안쪽에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형성구비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구비되고 실린더 형상인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외면에 그 일단이 고정되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베이스유닛;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끈이 감겨지는 보빈, 상기 보빈이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헤드, 상기 회전헤드의 내면을 따라 상기 걸림부재에 걸어지도록 돌출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회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구비되고 실린더 형상인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베이스 유닛;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끈이 감겨지는 보빈, 상기 보빈이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헤드, 상기 회전헤드의 안쪽에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형성구비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구비되고 실린더 형상인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면에 그 일단이 고정되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베이스유닛;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끈이 감겨지는 보빈, 상기 보빈이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헤드, 상기 보빈의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에 걸어지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회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일단이 고정된 고정단이고, 상기 고정단을 중심으로 탄성변형되며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자유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자유단에서 상기 걸림턱을 향해 돌출형성되는 제1걸림돌기; 상기 제1걸림돌기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는 제2걸림돌기; 상기 제2걸림돌기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이 상기 제2걸림돌기를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의 중앙에는 끈이 삽입되는 끈걸이부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의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는 끈이 상기 끈걸이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끈삽입부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
또,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구비되고, 실린더 형상의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단에 일단을 기준으로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베이스 유닛;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외면에 끈이 감겨지는 보빈, 상기 보빈이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헤드, 상기 회전헤드의 하면 즉, 베이스 판 쪽을 향한 면에 상기 회전헤드의 회전시 상기 걸림부재가 위치하는 동선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이 구비되고,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며,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는 베이스유닛;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외면에 끈이 감겨지는 보빈, 상기 보빈이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헤드, 상기 회전헤드의 하면에 상기 회전헤드의 회전시 상기 걸림턱이 위치하는 동선에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일단이 고정된 고정단, 상기 고정단에서 연장되어 탄성변형가능한 자유단, 상기 자유단에 상기 걸림턱을 향해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면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는 제1고정턱; 상기 제1고정턱과 기 설정된 거리 이격된 위치에 돌출형성되는 제2고정턱;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빈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베이스; 상기 회전베이스에 측단에 더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턱 또는 제2고정턱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턱 및 제2고정턱에는 일부 절결되어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을 상기 고정돌기가 통과하여 상기 제1고정턱에 걸어질 수 있다.
또,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면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홈; 상기 단차홈의 내면에 결합되는 고정단, 상기 고정단에서 연장되어 탄성변형가능한 자유단, 상기 자유단에 상기 회전헤드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단차홈의 내면과 서로 이격되어 걸림슬릿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걸이돌기; 상기 회전유닛의 내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걸이돌기에 걸어지는 제2걸이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걸이돌기와 상기 제2걸이돌기가 걸어져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및 제2걸이돌기는 그 횡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원호의 가장 많이 돌출된 부분이 상기 걸이돌기의 중앙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걸이돌기는 그 횡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원호의 가장 많이 돌출된 부분이 상기 걸이돌기의 중앙에 위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하부하우징에 연통되고, 상기 베이스판에 관통형성되는 관통홀; 상기 관통홀의 내면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베이스의 상단에 걸어지는 걸이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하부하우징에 연통되고, 상기 베이스판에 관통형성되는 관통홀; 상기 관통홀의 내면 둘레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베이스의 상단에 걸어지는 걸이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걸이돌기; 상기 회전유닛의 내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걸이돌기에 걸어지는 제2걸이돌기; 상기 하부하우징에 연통되고, 상기 베이스판에 관통형성되는 관통홀; 상기 관통홀의 내면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베이스의 상단에 걸어지는 걸이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1걸이돌기의 상단과 상기 제2걸이돌기의 하단이 접하고 있는 위치일 때, 상기 회전베이스가 상기 걸이턱에 걸어질 수 있다.
또, 상기 끈삽입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끈 조절장치가 회전유닛 및 베이스유닛 단 2개 유닛으로 구성되므로 결과적인 끈 조절 장치의 1) 부품 수의 감소, 2) 구조의 단순성, 3) 생산 과정의 수월성 및 제조 단가의 저감, 4) 형상 특히 두께의 저감으로 장착되는 제품의 심미감 증진을 확보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선행 끈 조절 장치가 가졌던 문제들을 해결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끈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끈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유닛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유닛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유닛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끈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수직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끈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수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의한 끈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유닛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유닛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유닛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12은 본 발명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유닛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제3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유닛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14는 본 발명 제3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유닛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 의한 끈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 제3실시예에 의한 끈 조절장치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 제3실시예에 의한 끈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 제3실시예에 의한 끈 조절 장치의 다른 구성을 보인 도면.
도 19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의한 끈 조절장치에서 걸림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2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1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끈 조절장치에서 걸림턱 및 걸림부재의 위치변경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처 “끈(string)” 이라 함은 길이 대비 두께 또는 폭이 크게 차이 나는 특징을 가지며, 구부러지며 감겨질 수 있는 특성을 가진 모든 종류의 물체를 일컬음으로 정의 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들은 끈(string), 와이어(wire), 로프(rope), 밴드(band)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처 상기 “끈(string)" 은 끈 (string), 와이어 (wire), 로프(rope), 밴드(band) 등을 모두 포함하는 넒은 의미를 가진다고 정의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자"라는 단어는 "본 발명의 끈 조절 장치가 착용, 즉 연결 또는 부착되며, 아래 정의된 원인 동작을 발생 시키거나 또는 발생된 상기 원인 동작 및 끈 조절 장치의 작동 결과의 효과를 받게 되는 몸체를 가진 모든 물체"로 정의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사람, 동물, 기계 장치를 주요한 예시로써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대략 일정한 형태를 가진 인공적인 물체 또는 자연적인 물체, 즉 사물들도 또한 본 발명의 "사용자"에 포함 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을 사이에 두고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제품"이라 함은 "사람, 동물, 기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몸체 일 부분에 착용 될 수 있는 인공적으로 제조된 물품“ 으로 정의 되고, ”끈 조절 제품“ 이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발명의 사상을 가진 끈 조절 장치가 장착된 인공적으로 제조된 물품“ 으로 정의 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착용"이라 함은 본 발명의 끈 조절 장치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상기 제품 및 상기 끈 조절 제품이 "사람, 동물, 기계, 사물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몸체 일부와 접촉이 유지되거나, 연결되어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모든 상태"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끈 조절 장치를 직접 또는 타 물체와 연결하여 신체에 걸치거나, 감거나, 부착하거나, 또는 붙잡는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끈 조절 장치 또는 상기 제품의 일 부위와 사용자 신체의 일부의 직 간접적인 접촉이 유지 되거나 또는 사용자와 본 발명 끈 조절 장치가 완전히 별개로 분리되지 않는 채 연결 상태를 유지 할 수 있음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기 "착용"의 범위는 본 발명의 끈 조절 장치가 사용자의 일 부위와 접착제와 같은 물질에 의해 부착 되거나, 끈 조절 장치가 의복이나 피복류 등에 결합되어 사용자에 연결되는 상태 또한 포함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밴드"라는 단어는 그 일단과 타단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고리 형상"이거나, 또는 그 일단과 타단이 분리되어 있는 "패치(Patch) 형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 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형상 또는 형태"라는 단어는 "길이, 폭, 높이, 넓이, 부피 등의 변수로 정의되는 모양"을 의미하며, 따라서 "형상 변화"는 상기 길이, 높이 등 모양을 정의하는 상기 변수 중 적어도 한 개의 변수 량이 변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본 발명의 끈 조절 장치의 구성 요소 및 상기 기술된 정의의 제품의 확장, 수축, 구부러짐, 휘어짐 등은 "형상 변화"에 포함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움직임"이라는 단어는 "상기 끈 조절 장치의 일부 또는 전체가 공간의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이는 상기 끈 조절 장치 전체가 가속되고, 감속 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부품"이라는 단어는 상호간에 연결 또는 결합되어 본 발명의 끈 조절 장치를 구성하는 단위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는 구성요소 집합임과 동시에 독립적인 형상을 가진 물체를 의미 한다. 뒤에서 자세히 설명되는 베이스 유닛 또는 회전 유닛 등이 그 대표적인 예시들이 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 걸쳐 "완전 결합"이라는 단어는 본 발명의 끈 조절 장치의 각 부분이 서로 결합되어 끈을 감는 방향으로 만 회전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가결합” 이란 단어는 본 발명 끈 조절 장치의 일부분들이 서로간은 분리되어 있으나, 장치 전체로는 하나의 장치로써 그 형상과 기능을 유지하는 상태로, 끈을 감는 방향 또는 끈이 풀리는 방향 모두 회전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끈 조절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끈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유닛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유닛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유닛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끈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수직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끈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수평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끈 조절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 제1 실시예 끈 조절 장치(100)는 베이스판(111), 상기 베이스판(111)을 포함하며, 실린더 형상의 하부하우징(113), 상기 하부하우징(113)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턱(113a)을 포함하는 베이스유닛(110); 상기 하부하우징(113)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끈이 감겨지는 보빈(160), 상기 보빈(160)이 설치되는 회전헤드(151), 상기 회전헤드(151)의 한 면에 그 일단이 고정된 채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형성 구비되어 상기 걸림턱(113a)에 걸어지는 걸림부재(155)를 포함하는 회전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걸림턱(113a)에 걸어지는 걸림부재(155)의 위치가 상기 회전 헤드(151)의 상기 한 면에서 하부하우징(113)을 향한 예를 기술 하고 있으나, 반드시 그에 한정되지 만은 않고 하부하우징(113)을 향하지 않은 면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판(111)은 판형상을 가지는대, 필요시 그 내면의 일부를 개구부로 형성 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판(111)은 하부하우징(113)의 일부위를 구성하는 부분으로써, 그러므로 실제 양산 제조시 하부하우징(113)과 일체형으로 제조 되는 것이 유리함으로 사실상 하부하우징(113)으로부터 돌출된 하부하우징(113)의 일부분으로 간주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도 4의 일예시에서 보듯이, 상기 베이스유닛(110)은 상기 끈 조절장치(100)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것으로 판형상의 베이스판(111)과 상기 베이스판(111)에 연결된 하부하우징(113)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하우징(113)의 외면 둘레를 따라 걸림턱(113a)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4의 일 예시에서 보듯이, 상기 걸림턱(113a)은 회전 헤드(151)에서 베이스판(111)을 향해 바라볼 때 단면이 직각삼각형인 래칫 기어형상으로 형성되었는데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필요에 따라 다각형, 호, 또는 직선과 곡선이 조합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걸림턱(113a)은 상기 회전헤드(151)이 회전 할 때 상기 걸림부재(155)가 접촉하며 타고 넘어가는 경사면(113b)과 상기 회전헤드(151)이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 경향이 있을 때 상기 걸림부재(155)에 의해 상기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걸어지는 걸림면(113c)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헤드(151)는 베이스 유닛(110) 방향으로 개방된 채 회전헤드(151)의 면에 의해 감싸지는 공간 즉 후술된 회전 공간(151a) 내부에 상기 하우징의 걸림턱(113a)이 위치하여 회전하는 공간인 회전공간(151a), 상기 회전공간(151a)의 측면에 일단이 고정된 고정단(157)과 상기 고정단(157)을 중심으로 탄성변형되는 자유단(158)을 포함하는 걸림부재(155)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재(155)는 상기 걸림턱(113a)에 걸어지는 대, 상기 걸림부재(155)의 탄성변형을 위해 상기 걸림부재(155)와 상기 회전공간(151a)의 내면 사이에 일부가 절결되어 형성되는 걸림슬릿(15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회전유닛(150)의 골격은 회전헤드(15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회전헤드(151)는 베이스 유닛(110) 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걸림턱(113a)이 회전할 수 있는 회전공간(151a)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공간(151a)의 대략 중앙에는 끈이 감기는 기둥 형상의 보빈(160)이 기설정된 길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111)을 향한 그의 일 단에는 상기 하부하우징(113)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판형상의 회전베이스(170)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재(155)는 일단이 상기 회전공간(151a)의 내측면에 고정된 고정단(157)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157)에서 연장된 자유단(158)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단(157)을 중심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재(155)와 상기 회전공간(151a)의 내측면 사이에는 상기 걸림슬릿(159)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슬릿(159)은 상기 걸림부재(155)가 상기 하부하우징(113)의 걸림턱(113a)을 타고 넘어갈 때, 탄성변형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155)는, 상기 자유단(158)에서 상기 보빈(160)을 향해 돌출형성되는 제1걸림돌기(155a); 상기 제1걸림돌기(155a)에서 상기 베이스판(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자유단(158)에서 상기 보빈(160)을 향해 돌출형성되는 제2걸림돌기(155b); 상기 제2걸림돌기(155b)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필요시 상기 걸림턱(113a)이 상기 제2걸림돌기(155b)를 접촉하여 미끄럼 식으로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경사부(155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걸림돌기(155a,155b)는 상기 회전유닛(150)과 상기 베이스유닛(110)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유닛(150)과 상기 베이스유닛(110)이 완전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베이스유닛(110)의 걸림턱(113a)이 상기 제2걸림돌기(155b)에 걸어진 상태가 되는대 보다 더 정확하게는 상기 걸림턱(113a)이 상기 제2걸림돌기(155b)에 의해 베이스판(111)으로부터 회전 헤드(151) 방향으로 지지되며 걸어진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완전 결합 상태에서는 회전 헤드(151)의 회전에 비례해서 끈이 점차로 보빈(160)에 감기어 풀어지지 않는다.
상기 회전유닛(150)과 상기 베이스유닛(110)이 가결합된 상태에 있으면 상기 걸림턱(113a)이 상기 제1걸림돌기(155a)에 상기 걸림턱(113a)이 베이스판(111)으로부터 회전 헤드(151) 방향으로 지지되며 걸어진 상태가 된다. 즉, 상기 가결합 상태는 상기 제1걸림돌기(155a)와 상기 제2걸림돌기(155b) 사이에 상기 걸림턱(113a)이 위치한 상태로 상기 걸림턱(113a)이 상기 경사부(155c)로부터 분리되어 걸림이 해제된 상태인 것이다. 상기 가결합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유닛(150)이 상기 베이스유닛(110)을 기준으로 상기 완전결합 상태에서만 가능한 일방향 회전과는 반대 방향의 역회전도 가능하여 상기 보빈(160)에 감겨진 상기 끈이 풀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완전 결합 상태에서는 상기 제2걸림돌기(155b)에는 그 선단에 경사지게 경사부(155c)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155c)는 상기 걸림턱(113a)의 경사면(113b)과 접하여 상기 회전유닛(150)의 끈을 감는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걸림부재(155)가 상기 걸림턱(113a)을 쉽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안내한다.
완전 결합 상태에서 회전헤드(151)가 끈을 푸는 방향으로 역회전 시에는 상기 걸림턱(113a)의 걸림면(113c)에 상기 제2걸림돌기(155b)의 경사부(155c) 중 고정단(15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단부가 걸어져 역회전 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도 6에서 보듯이, 완전결합된 즉 끈을 감는 작동만 가능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베이스(170)가 상기 하부하우징(113)의 바닥면에 완전히 접촉 된 상태가 되고, 상기 제2걸림돌기(155b)에 지지되어 상기 걸림턱(113a)이 걸어진 상태가 된다. 한편, 가결합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턱(113a)가 상기 제1 걸림돌기(155a)와 상기 제2 걸림돌기(155b) 사이에 샌드위치처럼 끼워 놓여진 상태가 된다.
상기 보빈(160)에는 끈이 삽입되는 끈걸이부(165)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빈(160)은 적어도 1개 이상의 기둥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빈(160)이 1개의 기둥형상일 경우에는 상기 끈걸이부(165)는 상기 끈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거나, 상기 끈이 걸어지도록 홈 또는 돌기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빈(160)이 1개이상 기둥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끈걸이부(165)는 상기 보빈(160) 사이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각각의 기둥에 관통형성되거나, 상기 끈이 걸어지는 홈 또는 돌기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하우징(113)에는 끈이 상기 하부하우징(113) 내부 외부 사이를 출입 가능하도록 끈삽입부(113d)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끈삽입부(113d)가 상측으로부터 관통된 슬릿형상인데, 상측이 막혀있는 개구부(aperture) 또는 홀(hole)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끈은 설치 시 상기 끈삽입부(113d)를 통과하여 삽입된 후 상기 끈걸이부(165)에 걸어진 후 다시 맞은편의 끈삽입부(113d)를 통과하여 외부로 나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끈삽입부(113d)가 상기 하부하우징(113)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 2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끈삽입부(113d)는 하나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끈은 상기 끈삽입부(113d)로 들어가 상기 끈걸이부(165)에 걸어진 후 다시 동일한 끈삽입부(113d)로 들어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끈삽입부(113d)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 되면 되는 것이다.
완전결합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150)의 베이스 유닛(110)을 기준으로 일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끈의 중단부분이 상기 보빈(160)에 감겨지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때 또한 끈이 보빈에 감기면서 끈에 걸리는 장력을 측정 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끈 상에, 또는 걸림부재(155) 상에 스트레인 게이지 (미도시)와 같이 물체의 늘어남 또는 줄어듬에 따라 전기적 저항을 비례하여 변하는 센서(미도시)를 부착 하고, 이 센서들을 휘스톤브리지 회로와 같은 신호를 읽고 전달 할 수 있는 전기전자 화로(미도시)로 연결하면 상기 끈 또는 걸림부재(155) 상의 늘어남 또는 줄어듬을 전기적 신호의 변화로 바꾸어 표현 할 수 있다.
상기 끈 또는 상기 걸림부재(155)의 늘어남 줄어듬 또는 이의 결과적인 효과로 끈 조절 장치(100) 내의 일 부위의 미세한 형상변화를 측정 할 수 있는 센서들은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캐페시턴스 센서, 인덕턴스 센서, 마그네틱 필드 센서 또는 압전소자(elastomer) (미도시) 등 다양하게 존재하며 본 발명의 끈 조절 장치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끈 조절장치(100)의 조작방법을 도2 내지 7에 개시된 끈 조절 장치(100)의 예를 기준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회전유닛(150)의 보빈(160)에 형성된 끈걸이부(165)에 상기 끈을 걸어서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150)의 회전베이스(170)가 상기 베이스유닛(110)의 하부하우징(113)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유닛(150)과 상기 베이스유닛(110)을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끈이 상기 베이스유닛(110)의 끈삽입부(113d)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정렬하고 맞추어 삽입시킨다. 또는, 상기 보빈(160)의 상기 끈 걸이부(165)와 상기 끈 삽입부(113d)를 정렬되게 먼저 삽입 후, 끈을 상기 베이스 유닛(110)의 바깥에서 상기 끈 삽입부(113d)로 밀어 넣어 장착할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걸림부재(155)의 제1걸림돌기(155a)가 상기 하부하우징(113)의 걸림턱(113a)과 접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상기 걸림부재(155)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회전유닛(150)을 밀어넣게 되고, 상기 걸림부재(155)는 탄성변형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155a)가 걸림턱(113a)을 넘어서게 된다. 이때 제1걸림돌기(155a)가 걸림턱(113a)를 만나는 제1걸림돌기(155a)의 면은 경사져 있어 상기 걸림턱(113a)을 쉽게 넘어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가결합 상태로 상기 걸림턱(113a)은 상기 제1 및 제2걸림돌기(155a,155b)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결합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150)과 상기 베이스유닛(110)이 분리되도록 힘이 가해질 경우, 상기 걸림턱(113a)의 하단과 접하는 상기 제1걸림돌기(155a)의 면이 상기 걸림턱(113a)에 수평으로 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전유닛(150)이 상기 베이스유닛(1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상기 가결합 상태에는 상기 회전유닛(150)은 끈을 감는 방향 및 끈을 푸는 방향으로 양방향 회전가능하다.
상기 가결합 상태에서 사용자는 다시 상기 회전유닛(150)을 상기 베이스판(111) 방향으로 더 삽입하게 되면, 상기 걸림턱(113a)이 상기 제2걸림돌기(155b)를 타고 넘어가게 되고, 상기 걸림턱(113a)이 상기 경사부(155c)에 걸어진 상태 가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걸림턱(113a)의 걸림면(113c)가 상기 제2걸림돌기(155b)에 걸어져 완전 결합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회전유닛(150)은 한 방향 즉 끈을 감는 방향 만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전유닛(150)의 회전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회전헤드(151)를 잡고 끈을 감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2걸림돌기(155b)의 경사부(155c)와 대향되는 상기 걸림턱(113a)의 경사면(113b)이 서로 접하게 되고 상기 경사면(113b)을 타고 상기 경사부(155c)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155)가 상기 걸림슬릿(159)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며 회전 한다.
상기 경사부(155c)가 상기 경사면(113b)을 벗어나면 상기 경사부(155c)의 타 측면 (미도시) 에 상기 걸림턱(113a)의 걸림면(113c)이 걸어져 이동에 대한 저항을 받으므로 상기 회전유닛(150)이 반대 방향 회전이 제한되고 위치는 고정된다.
이와 같이 완전 결합 상태에서 상기 회전 유닛(150)이 끈을 감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 할때 전술된 작용이 반복 됨으로써 상기 보빈(160)에 끈이 점차 감기면서 끈 조절 장치(100) 외부에서의 끈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감긴 끈을 더 이상 감지 않고, 풀기 위해서는 회전 유닛(150)이 베이스 유닛(110)을 기준으로 상기 끈 감는 방향이던 그의 반대 방향이던 자유롭게 회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상태를 가결합 상태로 정의 했는대, 이는 사용자가 완전 결합 상태에 있는 상기 끈 조절장치(100)의 상기 회전헤드(151)을 잡고 베이스판(1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가결합상채로 변환한다. 그 작동 원리는 완전 결합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113a)의 걸림면(113c)과 걸림부재(155)의 경사부(155c) 일 측면이 만나서 상호간에 힘을 주고 받으며 이동에 저항하다가, 서로간에 분리되며 상기 저항이 소멸되기 때문이다. 완전 결합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113a)는 제2 걸림돌기(155b)에 의해 지지되며 걸려 있다가, 가결합상태에서는 걸림턱(113a)가 제2 걸림돌기(155b)를 타고 넘어와 제1 걸림돌기(155a)와 제2 걸림돌기 (155b) 사이에 놓이게 된다. 이때 걸림턱(113a)는 제1 걸림돌기(155a)에 의해 지지되어 걸리게 된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턱(113a) 및 상기 걸림부재(155)의 위치는 상호 변형이 가능하다. 즉, 상기 걸림턱(113a)이 상기 회전유닛(150)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155)가 상기 하부하우징(113)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호 위치가 변경되어도 동작되는 원리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도 21의 (a) 참조)
또한, 상기 걸림턱(113a)이 상기 하부하우징(113)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155)가 상기 보빈에 형성되거나(도 21의 (c) 참조), 상기 걸림턱(113a)이 상기 보빈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155)가 상기 하부하우징(113)에 형성되는 것(도 21의 (b) 참조)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걸림턱(113a)과 상기 걸림부재(155)가 상기 하부하우징(113)의 내부에 위치하는 바, 상기 하부하우징(113)의 반경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턱(113a)과 상기 걸림부재(155)가 서로 접하는 위치가 상기 하부하우징(113)의 상단부인 것을 예를 들었으나, 그 위치는 상기 하부하우징(113)의 중단, 하단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 하였는바, 주요 특징은 완전결합 시 끈이 풀리는 방향으로의 역회전 방지 기능과 완전결합/가결합 변환 기능 그리고 가결합시 회전유닛(150)이 베이스유닛(110)과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3가지 기능들이 걸림턱(113a)과 걸림부재(155) 간의 걸이 만남에서 모두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도 20을 참조하였을 때, 상기 끈삽입부(113d)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가이드부(19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90)는 상기 끈삽입부(113d)의 입구에 해당하는 부분을 감싸도록 한 것으로 도 20에서는 상기 베이스판(111)의 일부가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부(190)를 형성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별도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190)는 상기 끈 조절장치(100)의 사용시 상기 끈이 유동되면서 상기 회전유닛(150)과 상기 베이스유닛(110)에 접하여 그 진동에 의해 결합상태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비해 아래 후술된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는 1) 완전 결합시 끈이 풀리는 방향으로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은 걸림부재(220,320)와 걸림턱(253,353) 간의 걸이 만남으로, 2) 완전결합과 가결합간의 변환 및 3) 가결합시 회전 유닛(250, 350)이 베이스 유닛(210, 3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2가지 기능들은 회전베이스(270)의 고정돌기(270a)와 제1, 제2 고정턱(215a, 215b) 간의 걸이 만남으로(실시예2), 하부 하우징의 제1 걸이돌기(340)와 회전 유닛의 제2 걸이돌기(343) 의 걸이 만남 및 회전베이스(370) 와 걸이턱(311b) 간의 걸이 만남으로(실시예3) 기능 구현 된다는 특징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아래 기술되었다.
제2실시예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의한 끈 조절장치(2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과 기능 그리고 작동 방법은 반복해 기술하지 않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차이나는 구성 및 기능 및 작동 방법을 중점적으로 기술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끈 조절장치(200)는 1) 걸림턱(253) 및 걸림부재(220)의 위치와 방향 그리고 2) 회전베이스(270)의 고정돌기(270a) 와 제1, 제2 고정턱(215, 216) 간의 걸이 만남 등이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의한 끈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유닛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유닛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유닛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의한 끈 조절장치(200)에 의하면, 베이스판(211)을 포함하며, 적어도 한 방향에서 개방된 실린더 형상의 하부하우징(213), 상기 하부하우징(213)의 고정된 일단을 기준으로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는 걸림부재(220)를 포함하는 베이스유닛(210);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하부하우징(213)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외면에 끈이 감겨지는 보빈(260), 상기 보빈(260)이 대략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헤드(251), 상기 회전헤드(251)의 일면에 상기 회전헤드(251)의 회전시 상기 걸림부재(220)가 위치하는 동선을 따라 상기 걸림부재(220)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걸림턱(253)을 포함하는 회전유닛(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의한 끈 조절장치(200)는 상기 걸림부재(220)가 상기 하부하우징(213)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253)이 상기 회전유닛(250)의 일 면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앞선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걸림턱(253)이 상기 하부하우징(213)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220)가 상기 회전헤드(251)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베이스판(211)은 하나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하나의 판이 아닌 상기 하부하우징(213)의 외면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걸림부재(220)는 상기 하부하우징(213)에 연결된 고정단(223), 상기 고정단(223)에서 연장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한 자유단(221), 상기 자유단(221)에 상기 회전헤드(251)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22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재(220)의 탄성변형을 위해 상기 걸림부재(220)의 자유단(221)과 상기 하부하우징(213)의 사이에는 일부가 절결되어 걸림슬릿(227)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걸림부재(220) 이 상기 하부하우징(213) 의 회전헤드(251)을 향한 단부를 상기 일 부위의 일 예로서 개시하고 있다.
상기 걸림부재(220)는 상기 하부하우징(213)의 선단 일부가 절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단(223)을 기준으로 상기 자유단(221)이 상기 회전헤드(251)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부재(220)의 상기 하부하우징(213)의 사이에는 걸림슬릿(227)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220)가 추가적인 다른 방향으로의 변형가능하기 위한 추가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회전유닛(250), 정확하게는 상기 회전헤드(251)의 내측저면 즉 베이스 유닛(210) 방향의 일면에는 상기 회전유닛(250)의 회전시 상기 걸림부재(220)가 위치하는 동선을 따라 상기 걸림부재(220)와 마주보도록 상기 걸림턱(253)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53)은 완전 결합 상태에서 상기 회전헤드(251) 의 끈 감는 방향 회전시 상기 걸림부재(220) 이 타고 넘어가는 방식으로 만나는 경사면(253b)과 끈이 풀리는 방향 회전시 상기 걸림부재(220) 이 걸려서 넘어가지 못하는 방법으로 만나는 걸림면(253c) 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253)에 상기 걸림부재(220)가 타고 넘어가거나 또는 걸어져 타고 넘어가지 못하거나 하며 상기 회전유닛(250)의 회전 방향이 완전결합 또는 가결합 상태에 필요한 기능을 발휘 하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끈 조절장치(200)는 상기 하부하우징(213)의 내면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는 제1고정턱(215); 상기 제1고정턱(215) 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제1고정턱(215)과 평행되게 돌출 형성되는 제2고정턱(216);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빈(260) 에서 상기 회전헤드(251)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하우징(213)의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베이스(270); 상기 회전베이스(270)에 단부로부터 더 돌출형성되어 완전 결합 때는 상기 제1고정턱(215)에 걸어지고, 또한 가결합 때는 제1 고정턱(215)와 제2고정턱(216) 사이에 걸어지는 고정돌기(27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베이스(270)의 단부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상기 고정돌기(270a)가 상기 제1고정턱(215)에 걸어지고 있는 동안 상기 회전유닛(250)이 상기 베이스유닛(210)에 완전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270a) 가 제1 고정턱(215)와 제2고정턱(216)의 사이에서 걸어지고 있는 동안 상기 회전 유닛(250) 과 상기 베이스유닛(210)이 가결합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제1고정턱(215) 이 일부 절결되어 삽입홈(215a)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15a)을 상기 고정돌기(270a)가 통과하여 상기 제1고정턱(215)에 걸어질 수 있다. 완전결합시 상기 고정돌기(270a)는 상기 제1고정턱(215)의 하단부에 걸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고정돌기(270a)가 상기 삽입홈(215a)을 통과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2고정턱(216)에도 제1고정턱(215)과 동일하게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가결합 시에는 상기 고정 돌기(270a) 가 제1고정턱(215) 의 상부와 제2 고정턱 (215b) 의 하부 사이에 샌드위치처럼 끼워지는 상태가 된다. 상기 제2고정턱(216) 은 대략 끈 삽입부(213b) 의 베이스판(211) 방향의 단부 위치 보다 상기 고정돌기(270a) 의 두께 만큼 더 회전헤드(251) 방향으로 가까이 위치하며, 하부하우징(213) 의 내면 원주를 따라 구비 된다. 그러므로 끈 삽입부 213(a) 가 마치 상기 제1 고정턱(215) 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215a) 과 같은 역할을 하게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끈이 상기 보빈(260)에 감기면서 끈에 걸리는 장력을 측정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끈 상에, 또는 걸림부재(220) 상에 스트레인 게이지 (미도시)와 같이 물체의 늘어남 또는 줄어듬에 따라 전기적 저항을 비례하여 변하는 센서(미도시) 를 부착 하고, 이 센서들을 휘스톤브리지 회로 와 같이 신호를 읽고 전달 할 수 있는 전지 전자 회로(미도시)로 연결하면 상기 끈 또는 걸림부재(220) 상의 늘어남 또는 줄어듬을 전기적 신호의 변화로 바꾸어 표현 할 수 있다. 상기 끈 또는 상기 걸림부재(220)의 늘어남 줄어듬 또는 이의 결과적인 효과로 끈 조절 장치(200) 내의 일 부위의 미세한 형 상변화를 측정 할 수 있는 센서들은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캐페시턴스 센서, 인덕턴스 센서, 마그네틱 필드 센서 또는 압전소자(elastomer) (미도시)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같은 특성은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술된 모든 실시예에서 공통적으로 적용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끈 조절장치(200)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회전유닛(250)의 보빈(260)에 형성된 끈걸이부(265)에 끈을 연결시키고, 상기 베이스유닛(210)의 끈삽입부(213a)에 상기 끈이 통과하도록 회전헤드(251)을 정렬하여 상기 회전유닛(250)을 상기 베이스유닛(210)에 밀어 넣으며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유닛(250)의 고정돌기(270a)가 상기 베이스유닛(210)의 끈 삽입부(213a)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정렬을 맞추어 결합시킨다. 상기 회전 유닛(250) 이 상기 베이스 유닛(210) 에 결합 될 때 상기 고정돌기(270a) 은 상기 끈 삽입 부(213a) 의 개방 된 입구 쪽에 정렬 되어 넣어진 후 상기 끈 삽입부(213a) 의 상기 입구 반대 방향의 단부 근처에 도달 되었을 때 방위각 방향으로 회전 되면 상기 제1고정턱(215) 와 상기 제2고정턱(216) 사이에 위치하여 가결합 상태에 도달 된다. 이후 상기 고정돌기(270a) 가 추가로 방위각 방향 회전 되어 상기 끈 삽입 홈(215c) 와 정렬 되었을 때, 회전 유닛(250)을 베이스판(211) 방향으로 추가로 밀어 넣으면 완전 결합 상태에 도달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유닛(250)과 상기 베이스유닛(210)이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걸림부재(220)가 상기 걸림턱(253)에 걸어진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250)을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돌기(270a)가 상기 제1고정턱(215)의 하단부에 지지되어 끈을 감는 방향으로 만 회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 돌기(270a) 가 상기 제1고정턱(215) 와 상기 제2 고정턱 (215b) 사이에 놓이는 가결합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유닛(250)이 상기 베이스유닛(2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회전축 방향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걸림부재(220) 과 상기 걸림턱(253) 이 서로 만나지 않으므로, 상기 회전 유닛은 끈을 감는 방향 및 끈을 푸는 방향으로 양 방향 간에 자유롭게 회전 될 수 있게 된다.
이 가결합 상태에서 상기 고정돌기(270a)가 상기 끈 삽입부(213a)에 위치하도록 정렬을 맞추어 회전 헤드 (251) 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회전유닛(250)이 베이스 유닛(210) 으로부터 분리 될 수 있다.
제2실시예는 상기 하부 하우징(213)의 상기 걸림부재(220)와 상기 회전유닛(250)의 걸림턱(253)는 상기 회전 헤드(251)의 회전 축 상 위치가 서로 다른 면에 있으며 동시에 서로 대향 되어 마주 보고 있는 배치를 상세히 기술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걸림부재(220)과 상기 걸림턱(253)이 서로의 대향되게 마주보면서 위치를 상호 교환 하게 배치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하우징(213)에 상기 걸림턱(253)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유닛(250) 에 상기 걸림부재(220)이 구비되어 서로 대향되게 마주 보게 되더라도 장치의 작동 원리 및 작동 방법 그리고 작동의 결과는 동일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 설명에서는 상기 걸림부재(220)의 위치가 상기 하부하우징(213)의 선단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상기 걸림부재(220)는 상기 하부하우징(213) 외면에 구비되거나(도 19의 (a)), 또는 상기 하부하우징(213)의 내면 상에 구비 될 수도 있다(도 19의 (b)).
상기 걸림부재(220)와 상기 걸림턱(253)이 회전 유닛(250) 과 베이스 유닛(210) 중 어느 유닛에 배치되는 건지, 또한 상기 만남 위치가 하부 하우징(213) 의 외측벽인지, 내측벽인지, 상기 회전 헤드(251)을 향한 단부 부근인지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들이 존재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상기 걸림부재(220)와 상기 걸림턱(253)이 서로 대향되어 마주 보도록 배치되어 있기만 하면 그 작동 원리와 작동 방법 및 작동의 결과는 이미 상세하게 기술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동일함을 이해 할 수 있다.
즉 전술된 설명에서는 걸림턱(253)과 걸림부재(220)가 하부하우징(213)의 선단에 만나도록 배치 구성 된 예시를 설명 하였으나, 사실은 걸림턱(253)과 걸림부재(220)의 만남은 상기 단부 일 필요 없이 하부 하우징(213) 실린더 의 외측벽이던, 내 측벽이던 간에 상기 실린더의 갈이를 따라 어느 위치던 가능하게 배치 구성 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다른 주요 특징으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1) 완전 결합시 끈이 풀리는 방향으로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은 상기 걸림부재(220) 와 상기 걸림턱(253) 간의 걸이 만남으로 달성 할 수 있으며; 2) 완전결합과 가결합간의 변환 및 3) 가결합시 회전 유닛(250) 이 베이스 유닛(2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2가지 기능들은 회전 베이스(270)의 고정돌기(270a) 와 제1, 제2 고정턱(215a, 215b) 간의 걸이 만남으로 구현 된다는 특징의 차이점을 이해 할 수 있다.
제3실시예
이하에서는 도면12 내지 도면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 제3실시예에 의한 끈 조절장치(3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과 기능 그리고 작동 방법은 반복해 기술하지 않고,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와 차이나는 구성 및 기능 및 작동 방법을 중점적으로 기술 한다.
도 12는 본 발명 제3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유닛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 제3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유닛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 제3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유닛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 의한 끈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 제3실시예에 의한 끈 조절장치의 완전결합시 구성과 동작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 제3실시예에 의한 끈 조절장치의 가결합시 구성과 동작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베이스판(311)을 포함하며 적어도 한 방향이 개방된 또는 개구된 실린더 형상의 하부하우징(313), 상기 하부하우징(313)에 연결된 일단을 기준으로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는 걸림부재(320)를 포함하는 베이스 유닛(310); 상기 하부하우징(313)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외면에 끈이 감겨지는 보빈(360), 상기 보빈(360)이 대략 중앙 설치되는 회전헤드(351), 상기 회전헤드(351) 중 상기 베이스 유닛(310)을 향한 일 면에 상기 회전헤드(351)의 회전시 상기 걸림부재(320)가 위치하는 동선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턱(353)을 포함하는 회전유닛(3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걸림부재(320)의 구성이 제2실시예와 일부 상이하다. 제3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부하우징(313)의 내면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홈(329); 상기 단차홈(329)에 결합되는 고정단(321), 상기 고정단(321)에서 연장되어 탄성변형가능한 자유단(323), 상기 자유단(323)에서 상기 걸림턱(353) 향해 형성되는 걸림돌기(32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걸림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재(320)는 상기 단차홈(329)의 내면과 서로 이격되어 걸림슬릿(327a,327b)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311)은 판형상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하부하우징(313)의 외면 둘레에 돌출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끈(미도시) 이 보빈(360) 에 감기면서 상기 끈에 걸리는 장력을 측정 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끈 상에, 또는 상기 걸림부재(320) 상에 스트레인 게이지 (미도시)와 같이 물체의 늘어남 또는 줄어듬에 따라 전기적 저항을 비례하여 변하는 센서(미도시) 를 부착 하고, 이 센서들을 휘스톤브리지 회로와 같이 신호를 읽고 전달 할 수 있는 전기전자 회로(미도시)로 연결하면 상기 끈 또는 상기 걸림부재(320) 상의 늘어남 또는 줄어듬을 전기적 신호의 변화로 바꾸어 표현 할 수 있다. 상기 끈 또는 상기 걸림부재(320)의 늘어남 줄어듬 또는 이의 결과적인 효과로 끈 조절 장치(300) 내의 일 부위의 미세한 형상변화를 측정 할 수 있는 센서들은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캐페시턴스 센서, 인덕턴스 센서, 마그네틱 필드 센서 또는 압전소자(elastomer) (미도시)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같은 특성은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술된 모든 실시예에서 공통적으로 적용 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걸림슬릿(227) 이 하부하우징(213) 을 관통하여 형성되었지만, 제3실시예에 의할 경우, 상기 걸림부재(320)는 걸림슬릿(327a,327b)이 상기 걸림부재(320)의 전체를 둘러 형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313) 측벽은 관통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단차홈(329)의 일측면에 상기 걸림부재(320)가 결합된 외팔보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단차홈(329)은 상기 하부하우징(313)의 실린더 외측벽의 일부가 존재 함으로써 형성 되는 것이고, 상기 외측벽 일부는 상기 걸림부재(320)의 작동이 외부에서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게하고, 장치 전체의 심미감을 증진 시키는 요소는 있지만, 상기 걸림부재(320)의 기능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상기 해당 외측벽 일부는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이 경우에는 상기 단차홈(329)이 없는 대신 상기 걸림슬릿(327a, 327b)은 관통 되도록 또는 개구부로 구성 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320)는 상기 회전유닛(350)의 걸림턱(353)에 걸어지는 구성과 탄성변형되는 과정을 상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부하우징(313)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1걸이돌기(340); 상기 회전유닛(350)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걸이돌기(340)에 걸어지는 제2걸이돌기(343)를 포함하고, 상기 제1걸이돌기(340)와 상기 제2걸이돌기(343)가 걸어져 상기 회전유닛(350) 및 상기 베이스유닛(31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끈 조절장치(300)는 완전결합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제1걸이돌기(340) 및 제2걸이돌기(343)는 그 일부가 방위각 방향으로 절결 되도록 구비 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걸이돌기(340) 와 제2 걸이돌기(343)의 절결되는 부분의 개수 및 그들의 각도 위치 및 각도 폭 등은 서로 간 다르게 형성 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서 보듯이, 상기 베이스유닛(310)의 하부하우징(313)의 외면 둘레를 따라 제1걸이돌기(340)가 형성되어 있고,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유닛(350)의 내면에는 상기 제1걸이돌기(340)와 대응되는 제2걸이돌기(343)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끈 조절장치(300)가 완전 결합된 상태가 되면, 상기 제1걸이돌기(340)의 하단부에 상기 제2걸이돌기(343)의 상단부 일부가 걸어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
도 15에서 보듯이, 상기 제1 및 제2걸이돌기(340,343)은 그 횡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원호의 가장 많이 돌출된 부분이 중앙에 위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걸이돌기(340,343)의 횡단면의 형상이 정확한 원호형상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5에서 점선 C 및 C’는 상기 제1 및 제2걸이돌기(340,343)의 중심선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걸이돌기(340,343)의 가장 돌출된 부분이 상기 중심선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걸이돌기(345,347)은 그 횡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원호의 가장 많이 돌출된 부분이 상기 걸이돌기의 중앙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5와 도 16에 의한 제1 및 제2걸이돌기(340,343,345,347)의 차이는 형상에 있는 것으로 도 16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걸이돌기(345,347)의 가장 돌출된 부분이 그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걸이돌기(345,347)의 가장 돌출된 부분이 그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헤드(351) 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도록 구비 될 수도 있다(미도시). 이는 상기 제1 및 제2걸이돌기(345,347)이 상호 걸어지는 과정과 걸어진 상태에서 서로간의 결합력 조절을 필요에 따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걸이돌기(345, 347)는 그 두 가지 모두 돌출된 형상의 걸이 돌기의 예를 중점으로 설명 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돌출된 형상의 예로 한정 할 필요가 없다. 상기 제1 및 제2 걸이돌기(345, 347) 중 하나의 걸이돌기가 원주를 따라 함몰된 링형 홈 또는 트렌치(trench) 구성되고, 다른 걸이 돌기가 돌출된 형상이어도 전술된 기능을 발휘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였을 때, 제3실시예는 상기 하부하우징(313)에 연통되고, 상기 베이스판(311)에 관통형성되는 관통홀(311a); 상기 관통홀(311a)의 내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베이스(370)의 상단에 걸어지는 걸이턱(311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완전 결합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대, 이때 상기 제2 걸이돌기(343) 이 상기 제1 걸이돌기(340) 보다 더 상기 베이스판(370)을 향한 쪽에 위치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걸이턱(311b) 와 상기 베이스판 (370) 사이에는 접촉 되지 않고, 이격 거리가 발생한다.
또한 도 18에서와 같이, 상기 걸이턱(311b)은 필요에 따라 상기 관통홀(311a) 의 베이스판(311) 쪽 입구 부근에서 상기 하부하우징 (313) 내측벽에 단차를 형성하여 구성 할 수도 있다.
상기 관통홀(311a)을 통과하여 상기 보빈(360)이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보빈(360)의 베이스판(311) 방향 말단에 상기 회전베이스(370)가 끈 조절 장치(300)의 가결합 상태에서 상기 걸이턱(311b)에 걸어지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회전베이스(370)가 상기 걸이턱(311b)에 걸어지도록 하여, 상기 제1 및 제2걸이돌기(340,343)의 결합이 해제되어도 상기 회전유닛(350)과 상기 베이스유닛(310)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7에서 보듯이, 상기 하부하우징(313)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1걸이돌기(340); 상기 회전유닛(350)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걸이돌기(340)에 걸어지는 제2걸이돌기(343); 상기 하부하우징(313)에 연통되고, 상기 베이스판(311)에 관통형성되는 관통홀(311a); 상기 관통홀(311a)의 내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베이스(370)의 회전 헤드(351) 방향의 면에 걸어지는 걸이턱(311b)을 포함하고, 상기 제1걸이돌기(340)의 상기 회전 헤드(351) 방향 쪽 단의 일부와 상기 제2걸이돌기(343)의 상기 베이스판(311) 방향 쪽 단의 일부가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회전베이스(370)가 상기 걸이턱(311b)에 걸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회전베이스(370)가 상기 걸이턱(311b)에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걸이돌기(340) 및 상기 제2걸이돌기(343)가 서로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회전유닛(350) 및 상기 베이스유닛(310)의 상대 회전시 유동되는 것과 베이스 유닛과(310) 회전 유닛(350)이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 걸처 기술된 모든 실시예에서 상기 끈 삽입부(113d, 213a, 313a) 는 일 방향이 개방된채 U 형태의 형상을 갖은 관통구 또는 개구부 로 표현 되었으나, 반드시 그 형상으로 제한 될 필요는 없고, 원형 또는 다각형 또는 모든 곡선과 직선의 조합으로 구성 할 수 있는 모든 개구부 이면 그 기능을 발휘 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 걸처 기술된 모든 실시예의 끈 조절 장치들은 길이 대비 두께 또는 폭이 크게 차이 나는 특징을 가지며, 구부러저 감길 수 있는 특성을 가진 모든 종류의 물체에 적용 될 수 있는대, 그 대표적인 예들은 끈(string), 와이어(wire), 로프(rope), 밴드(band) 등을 포함한다.특히 밴드(band) 의 경우 본 명세서 전체에 걸처 기술된 모든 실시예의 끈 조절 장치들에서 끈 삽입부 와 보빈의 길이를 밴드의 폭에 맞추어 설정하여 구성하면 밴드를 감거나, 수납 할 수 있는 기능을 갖게 됨을 쉽게 유추 할 수 있다.
기존의 트레킹 슈즈등 장착 되어 있는 기존의 상용 제품 끈 조절구 (미도시) 들은 모두 금속성 와이어 내부 심 주위에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피복을 입힌 금속와이어 합성수지피복 끈(미도시) 을 이용한다. 상기 금속와이어 합성수지피복 끈은 인장강도가 세다는 장점이 있으나, 반면에 날카로운 각도로 꺾이는 식의 감김 작용을 할 수 없다는 심각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같은 상기 단점은 1) 신발에 장착되어 사용될 때 해당 끈 조절 장치 이외에도 신발 곳곳에 별도의 끈 가이드부(미도시) 를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2) 끈 조절 장치 내 보빈의 직경을 작게 만들면 않 된 다는 제한조건을 걸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끈 조절구는 직경이 크고, 두께가 두꺼워지는 제한 요소를 벗어나기 힘들었었다.
반면에 본 명세서 전체에 걸처 기술된 모든 실시예의 끈 조절 장치들은 상기 금속와이어 합성수지피복 끈을 사용 할 수 있도록 그 직경과 두께를 제조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나일론, 폴리에스터, 면, 양모(wool) 등을 포함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끈을 사용 할 수 있도록 끈을 작은 직경으로 감을 수 있도록 고안되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끈 조절장치는 직경이 작고, 두께가 얇게 제조될 수 있고, 따라서 얇고 작은 끈 조절장치가 필요한 다양한 제품군에 적합하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처 기술된 모든 실시예의 끈 조절장치들은 상기 끈 삽입부 및 보빈에 동시에 한 개 이상의 끈을 걸어 감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보다 자세히 기술하자면 상기 끈 삽입부를 지나고, 상기 보빈에 걸리는 끈의 두께의 총합이 상기 끈 삽입부의 직경 또는 보빈의 끈 걸림 부위의 공간의 크기에 수용 가능하도록 작을 경우 한 개 이상의 끈이 동시에 같은 허용 공간에서 감길 수 있다는 유일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처 기술된 모든 실시예의 끈 조절 장치들은 끈의 길이 조절을 통해 1) 그 형상 또는 구조 등 특성이 변형 될 필요가 있는 모든 산업적 제폼에 또는 2) 상기 특성이 변화하여 상기 산업적 제품들이 외부와의 접촉과 연결되는 특성들의 의도적 조절이 필요한 모든 제품군에 적용 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술된 모든 실시예의 끈 조절장치들은 그 원리상 상기 끈 삽입부(113d, 213a, 313a)를 통해 출입하는 끈의 수납공간 및 수납 상태를 필요에 때라 개폐 조절하는 잠금 기능 포함한 끈 수납 함체 기능이 필요한 모든 착용 제품을 포하만 모든 산업 제품군에 적용 될 수 있다.
그러한 제품군의 대표적인 예들은 1) 신발, 2) 옷(예를들어 브래지어, 코르셋, 올인원 보정 속옷 등을 포함한 속옷 및 바지, 아웃도어 자켓, 패딩, 가운, 우비 등을 포함한 것옷), 3) 모자, 4) 장갑, 5) 밸트 및 혁띠, 6) 가방, 7) 목걸이, 페난트 등을 포함하는 각종 주얼리, 8)지지대 또는 보호대, 9) 근골격 지지 또는 교정용 착용형 제품 10) 애완동물용 옷, 가운, 줄 등을 포함하는 애안동물용 착용 제품, 11) 메트리스 커버, 베게 커버, 쿠션 등을 포함하는 침구 제품, 12) 행거, 수납 선반 등 길이 조절이 필요한 가정 생활용품, 13) 이어폰 등과 같은 끈의 기능이 사용되는 전자 제품, 14) 텐트, 15) 각종 테입(tape) 및 롤(roll) 의 수납 함체, 16) 우산 및 차양막 등을 포함하며 더 광범위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술된 모든 실시예의 끈 조절 장치들이 상기 열거된 제품군에 적용되는 실시 개념에 대해서 아래 기술한다. 작동 원리는 아래와 같다.
1) 상기 끈 조절장치(100,200,300) 에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기 끈의 일 부위를 해당 적용 제품의 일 부위에 고정되도록 장착 한 후 끈 조절 장치를 작동 시키면, 해당 제품의 부위가 끈 조절 장치(100,200,300) 쪽을 향하여 이동하게 됨으로 상기 제품의 형상을 조절 할 수 있거나, 2) 상기 끈 조절 장치 (100, 200, 300) 에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된 끈들이 해당 제품들의 일 부위와 연결 되며 동시에 상기 끈의 단부들이 서로 만나 연결되도록 장착하여 상기 끈 조절 장치를 작동 시키면 해당 제품의 부위가 끈이 조이는 힘에 의해 이동 또는 형상이 변형 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같은 2가지 제품 작동 원리는 아래 기술된 모든 제품군에 동통적으로 적용 된다.
1) 신발
상기 끈 조절 장치(100, 200, 300) 의 베이스판 (111,211,311)을 신발의 설포 또는 다른 부위에 연결 장착하여 신발 끈을 상기 끈 삽입부(113d, 213a, 313a)를 통해 수납하여 걸고, 신발 끈의 나머지 부분들을 통상적인 신발 상에 구비된 신발 끈 구멍을 통해 걸면 신발 끈 조절 및 수납 장치로 이용 할 수 있다. 이때 끈 조절 장치는 신발에 고정되도록 장착 될 수도 있고, 신발에 고정되어 장착되니 않은채 신발 끈 만을 감는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2) 옷
상기 끈 조절 장치(100,200,300) 의 베이스판 (111,211,311)을 옷의 일 부분에 고정 되도록 또는 연결되어 장착하고, 끈을 상기 끈 삽입부(113d, 213a, 313a)를 통해 수납한 후, 상기 끈의 타단을 옷의 일 부위에 고정 장착한 후 상기 끈 조절 장치(100,200,300)을 작동 시키면 상기 끈의 타단에 고정 장착된 옷의 일 부위가 상기 끈 조절 장치 (100, 200, 300)을 향에 이동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해 옷의 형상을 변형하여 옷의 기능을 강화하는 예시가 아래 도 20, 21, 22 에 제시 되어 있다.
브래지어 또는 올인원 보정 속옷을 포함하는 속옷의 경우, 예를 들어 가슴 중앙 부위에 장착된 상기 끈 조절장치(100,200,300) 의 회전 헤드(151, 251, 351) 을 회전 시키면 양쪽의 브래지어 컵이 중앙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가슴 형상을 부풀게 만들 거나, 몸에 맞도록 조일 수 있다.
또한 방한 또는 방풍 또는 방습 기능이 강회되어 야외 활동에 적합하도록 제작된 아웃도어 옷 중 예를들어 운동복 바지의 경우 인대, 바지 허리 춤 일부에 장착된 상기 끈 조절 장치(100, 200, 300)의 회전헤드(151, 251, 351)을 회전 시키면 바지의 허리춤의 둘레 길이를 줄이거나, 후드(hood)를 가진 아웃도어 자켓의 경우, 후드, 또는 허리 및 옷의 단부 둘레길이 를 조절할 때 사용하여 얼굴, 허리 또는 엉덩이 등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더욱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비단 이와 같은 속옷 또는 아웃도어용 옷 뿐 만아니라 일반적인 정장용 셔츠, 자켓, 니트 등 모든 종류의 옷에 적용 가능함을 이해 할 수 있다.
3) 모자
상기 끈 조절 장치(100,200,300) 의 베이스판 (111,211,311)을 모자 일 부분에 고정 되도록 또는 연결되어 장착하고, 끈을 상기 끈 삽입부(113d, 213a, 313a)를 통해 수납한 후, 상기 끈의 타단을 모자의 일 부위 예를들어 모자 둘레 조절용 밴드에 연결하여 모자 둘레의 크기를 조절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4) 장갑
장갑의 손목 등 부위에 적용될 수 있는대, 적용 예는 상기 모자에 적용예와 동일 하다.
5) 목도리 및 스카프
목에 감거나, 어깨에 걸치는 목도리 및 스카프 제품의 경우 적용의 예는 상이 옷 및 모자의 적용 방식과 동일하다. 즉 ?도리 또는 스카프의 일 부위에 본 발명의 끈 조절 장치(100,200,300) 을 장착하고, 상기 끈 조절 장치에 감길 수 있도록 연결된 끈의 일단 또는 일 부분을 목도리나 스카프의 일 부분에 연결시킨 후, 필요시 상기 끈 조절 장치 (100, 200, 300)을 작동시키면, 끈이 감겨지며 당겨저서 목도리나 스카프의 해당 부위가 조여 짐으로 실제 사용시 종종 풀려서 사용자로부터 흘러 내려오는 경향을 방지 할 수 있다.
6) 밸트 및 혁띠
상기 끈 조절 장치(100,200,300) 의 베이스판 (111,211,311)을 벨트나 혁띄의 일 부분에 고정 되도록 또는 연결되어 장착하고, 끈을 상기 끈 삽입부(113d, 213a, 313a)를 통해 수납한 후, 상기 끈의 타단을 벨트나 혁띄의 일 부위 예를들어 일 단부에 연결하여 장착한 후 상기 끈 조절 장치(100,200,300)을 작동 시키면 상기 끈에 연결된 벨트나 혁띄의 일 부위가 상기 끈 조절 장치 (100, 200, 300)을 향에 이동되며 벨트 또는 혁띄의 형상이 사용자의 착용부위에 더욱 맞도록 조절 된다(미도시)
7) 가방
상기 끈 조절 장치(100,200,300) 의 베이스판 (111,211,311)을 가방의 일 부분에 고정 되도록 또는 연결되어 장착하고, 상기 끈 삽입부(113d, 213a, 313a)를 통해 수납된 상기 끈의 타단을 가방의 타 부위에 연결 하여 상기 장치를 작동 시키면 내용물이 가득 차 바깥을 향해 내압을 받는 가방의 형상을 유지하거나, 가방의 입구를 개폐하거나, 가방의 손잡이 부분의 길이를 손쉽게 조절하거나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가방의 일 부위 와 타 부위의 예는 a)가방의 한쪽 넓은 면 또는 그 모서리 일부 과 가방의 반대쪽 넓은 면 또는 그 모서리의 일부, b) 가방 본체의 좁은 측면 일부 와 다른 측면 일부, c)가방 손잡이 끈 과 가방 본체간에, d) 가방 입구 개폐 기능을 하는 밴드 일 부위 와 가방 본체 등 다수가 있을 수 있다.
8) 목걸이, 페난트, 팔찌 등을 포함하는 각종 주얼리
목걸이, 페단트, 팔찌 등은 장식용 제품들은 기본적으로 끈과 같은 형상의 목걸이 줄, 페난트 줄, 팔찌 줄 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식용 부자재를 매달고 있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상기 장식용 부자재로써 본 끈 조절장치(100, 200, 300)을 적용하여 상기 목걸이 줄, 팔찌 줄, 페난트 줄을 장착 할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맞도록 해당 제품의 길이를 손쉽게 조절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미도시).
9) 인체 지지보호대
인체 관절 또는 근 골격을 지지하거나, 보정 시 필요한 각종 지지대 또는 보호대용 제품들이 다양하게 존재 한다. 이와 같은 제품들이 착용 후 착용부위를 압박하여 잠금 하는 장치로써 본 끈 조절 장치(100, 200, 300)을 상기 지지대 또는 보호대 제품의 일 부위에 장착하고, 끈을 상기 제품의 일 부위에 장착하여 작동 시키면 끈의 길이가 줄어 들면서 상기 지지대 또는 보호대의 연결 부위들간의 거리가 줄고, 착용부위를 가압하여 지탱 할 수 있게 된다.
10) 근골격 지지 또는 교정용 착용형 제품
상기 지지대 또는 보호대와 같은 작동 원리로 상기 끈 조절장치(100, 200, 300)을 적용 할 수 있다. 특별히 인체 교정용 코르셋 등에는 복수개의 끄 조임 장치 (100,200,300)을 장착 시키고 상기 코르셋 제품의 복수개의 위치를 선별적으로 연결하여 다양한 방식 즉 다양한 방향과 위치에서 착용부위를 가압하여 교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11) 애완동물용 옷, 가운, 줄 등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착용 제품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애완동물들을 위한 다양한 의류 제품들이 있으며, 이들 중 그 형상을 착용하는 애완동물에 맞도록 조절 하게 끈을 내장하는 제품들이 다양하게 있다. 이 같은 제품들에 끈 조절장치 (100, 200, 300)을 적용하는 원리는 전술된 옷의 예와 동일 하다.
12) 메트리스 커버, 베게 커버, 쿠션 등을 포함하는 침구 제품
다양한 침구 제품들은 내부에 쿠션이 존재하고, 그 쿠션을 둘러쌓는 커버가 끈을 이용해 입구를 조이도록 구성 되어 있다. 상기 사용자 인체에 착용하는 옷의 예와 동일한 적용 방식이 적용되도록 상기 끈 조절 장치(100, 200, 300)을 상기 침구 제품 커버에 장착하여 작동 시키면 침구 제품의 입구 개방부위의 크기 조절 및 전체적인 형상을 조절 할 수 있다.
13) 행거, 수납 선반 등 길이 조절이 필요한 가정 생활용품
행거(hanger)를 예로 들을 수 있는 각종 생활 수납 장치들은 기본적으로 길이를 조절 할 수 있는 봉 또는 막대 구조 기능을 구비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끈 조절 장치(100, 200, 300)을 상기 하나의 봉 (봉 A) 구조 내외부에 장착하고, 상기 끈 조절 장치(100, 200, 300) 에 장착된 끈의 다른 부위를 다른 봉 (봉 B) 또는 구조 일 부위에 연결한 후, 상기 봉 A 와 봉 B를 서로 위치를 이동 할 수 있도록 예를들어 삽입하여 연결하여 하나의 봉 구조로 만들 수 있다. 상기 봉 B 에 끈을 고정 장착하여 상기 끈 조절 장치(100,200,300)을 작동 시키면 상기 봉A 와 상기 봉B 간이 가까워 지도록 서로 이동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 B 에 연결 된 끈이 더 연장되어 다른 고정된 점에서 방향을 다시 봉 A 쪽으로 돌리는 가이드(미도시)를 통과하는 방식으로 상기 끈 조절장치에 되돌아와 재장착되여 폐쇠된 끈 구조가 된 경우에는 끈 조절 장치(100, 200, 300) 이 장동 되면 봉B 와 봉 A rk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전체적인 봉A 와 봉B 의 합 길이가 연장 될 수 있다.
이러한 끈 조절 장치를 장착한 봉 구조를 행거 등 생활 수납 장 제품의 구조에 적용 할 경우, 크기와 폭을 변화 시킬 수 있는 행거 등 생활 수납 장 제품이 가능 한 것이다.
14) 이어폰 등과 같은 끈의 기능이 사용되는 전자 제품
모바일 기기에서 나오는 음향을 사용자의 귀에 듣기 위해 다양한 이어폰 제품들이 있다. 귀에 착용되는 이어폰 부위와 모바일 등 응향 생산 기기 사이에 끈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같은 기존 이어폰 제품들은 끈의 길이를 편리하게 조절 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로 하다. 상기 끈 조절 장치(100, 200, 300) 은 이어폰 줄의 일 부위에 장착하고, 이어폰 줄에 감겨지는 줄의 역할로 정의 하여 작동 하면, 손 쉽게 이어폰 줄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끈 조절 장치 내부 공간에 수납 하고, 사용자가 편리한 이어폰 줄을 유지 할 수 있게 된다.
15) 텐트
각종 텐트는 그 형상을 기립하고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끈 들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텐트에 사용되는 끈 또는 줄 들을 상기 끈 조절 장치(100, 200, 300) 에 장착하여 줄의 길이를 조절하고, 연결된 텐트의 각부위에 힘을 가하여 텐트의 기립 형상을 유지 하거나, 미 사용시 텐트를 접어서 보관할 때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다.
16) 각종 테입(tape) 및 롤(roll)
스카치 테입 등 사무용 접착 테입은 플라스틱 하우징 내부에 일종의 돌출된 실린더형 구조물에 접촉하여 회전 할 수 있는 말아 걸려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 되어 있다. 또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롤 (paper roll) 들도 실린더형 구조물에 말아 걸려저 수납되고 사용시 상기 실린더 형 구조물이 역회전 하며 말려있는 테입이나, 종이 롤 들을 연장되는 방향으로 풀어 준다. 이와 같은 테입 또는 롤(roll) 을 수납하고, 방출 할 수 있는 길이 조절용 수납 함체로써도 본 끈 조절 장치(100,200,300)을 활용 할 수 있다.
17) 우산, 양산 및 차양막
우산 또는 양산의 핵심 구조은 긴 막대형 기둥의 일단에 손잡이가 장착되고, 우산의 타단으로부터 우산살(rib) 이 돌출되어 나오며, 상기 우산살과 상기 막대형 기둥사이를 연결하는 스트래쳐(stretcher) 로 핵심 부품이 이루어 져있다. 상기 스트래쳐(stretcher) 와 연결되어 상기 우산의 망대형 기둥을 이동하여 스트래쳐에 의한 우산의 펴짐을 조절하는 러너(runner) 에 의해 우산 펴짐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끈 조절장치 (100, 200, 300)을 상기 우산 또는 양산의 손잡이 부분에 장착하고, 끈을 상기 막대형 기둥 내부로 진행시켜 끈의 타단을 상기 우산살(rib) 이 직접 연결한 후 끈조절 장치를 회전하여 끈을 감게 되면, 상기 우산살(rib) 이 펴지면서 우산 또는 양산의 펴는 각도를 조절 할 수 있게된다. 즉 상기 스트레쳐(stretcher) 및 러너(runner)가 없는 더욱 간단한 우산 또는 양산 구조를 구현 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은 원리는 건물 또는 야외에서 설치하는 차양막 구조물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거려 기술된 모든 실시예의 끈 조절 장치들은 그 내부에 힘, 형상, 위치, 자세, 시간, 가속도, 진동, 온도, 습도, 압력, 소리, 빛 과 같은 전기자기장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물리적 변수들을 측정하는 전기 전자 센서(미도시) 들을 부착 또는 내장 하여 사용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물리적 변수들을 측정하는 독립적인 센서 장치(미도시)들과 연결되거나, 인접하게 사용될 수도 있으며 또한 스마트워치(미도시) 또는 모바일 폰(미도시) 등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미도시)들과 연동하여 활용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상기 상세한 설명 의 뒤받침 위에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끈 조절장치 110 : 베이스유닛
113 : 하부하우징 113d: 걸림턱
150 : 회전유닛 155 : 걸림부재
160 : 보빈 170 : 회전베이스

Claims (38)

  1. 삭제
  2. 삭제
  3.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구비되고 실린더 형상인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베이스 유닛;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끈이 감겨지는 보빈, 상기 보빈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회전헤드, 상기 회전헤드의 안쪽에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형성구비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일단이 고정된 고정단이고, 상기 고정단을 중심으로 탄성변형되며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자유단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자유단에서 상기 걸림턱을 향해 돌출형성되는 제1걸림돌기;
    상기 제1걸림돌기의 상측에 기설정된 거리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는 제2걸림돌기;
    상기 제2걸림돌기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이 상기 제2걸림돌기를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절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중앙에는 끈이 삽입되는 끈걸이부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의 서로 매주보는 일면에는 끈이 상기 끈걸이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끈삽입부가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절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끈삽입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절장치.
  21. 제3항에 따른 끈 조절장치를 이용한 신발.
  22. 제3항에 따른 끈 조절장치를 이용한 의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는,
    일부가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되는 속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는,
    방한, 방습 및 방풍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야외 활동시 착용되는 아웃도어(outdoor)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25. 제3항에 따른 끈 조절장치를 이용한 모자.
  26. 제3항에 따른 끈 조절장치를 이용한 장갑.
  27. 제3항에 따른 끈 조절장치를 이용한 밸트.
  28. 제3항에 따른 끈 조절장치를 이용한 스카프.
  29. 제3항에 따른 끈 조절장치를 이용한 가방.
  30. 제3항에 따른 끈 조절장치를 이용한 주얼리.
  31. 제3항에 따른 끈 조절장치를 이용한 인체지지보호대.
  32. 제3항에 따른 끈 조절장치를 이용한 근골격 지지 착용형 제품.
  33. 제3항에 따른 끈 조절장치를 이용한 애완동물용품.
  34. 제3항에 따른 끈 조절장치를 이용한 침구 제품.


  35. 삭제
  36. 삭제
  37. 제3항에 따른 끈 조절장치를 이용한 텐트.
  38. 삭제
KR1020170023676A 2017-02-22 2017-02-22 끈조절장치 KR102043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676A KR102043253B1 (ko) 2017-02-22 2017-02-22 끈조절장치
JP2018547466A JP2019512302A (ja) 2017-02-22 2017-02-22 紐調節装置
CN201780006055.5A CN108738298B (zh) 2017-02-22 2017-02-22 绳子调节装置
PCT/KR2017/001958 WO2018155732A1 (ko) 2017-02-22 2017-02-22 끈조절장치
US16/031,641 US11192748B2 (en) 2017-02-22 2018-07-10 Apparatus for controlling string
KR1020180143128A KR102509785B1 (ko) 2017-02-22 2018-11-20 끈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676A KR102043253B1 (ko) 2017-02-22 2017-02-22 끈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128A Division KR102509785B1 (ko) 2017-02-22 2018-11-20 끈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059A KR20180097059A (ko) 2018-08-30
KR102043253B1 true KR102043253B1 (ko) 2019-11-11

Family

ID=6325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676A KR102043253B1 (ko) 2017-02-22 2017-02-22 끈조절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92748B2 (ko)
JP (1) JP2019512302A (ko)
KR (1) KR102043253B1 (ko)
CN (1) CN108738298B (ko)
WO (1) WO20181557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151B1 (ko) * 2015-06-12 2017-10-13 김석환 끈 조임장치
DE102018201019A1 (de) * 2017-02-28 2018-08-30 Fidlock Gmbh Verschlussvorrichtung mit einem Wickelelement
KR101833680B1 (ko) * 2017-08-04 2018-02-28 김정곤 신발끈의 조임장치
KR102143929B1 (ko) 2017-09-14 2020-08-12 김석환 끈 조임장치
WO2020050562A1 (ko) * 2018-09-07 2020-03-12 김석환 끈 조절장치
KR102314745B1 (ko) 2018-09-07 2021-10-19 타이렌 주식회사 끈 조절장치
US11524188B2 (en) * 2018-10-09 2022-12-13 Checkmate Lifting & Safety Ltd Tensioning device
US11064767B2 (en) * 2018-10-30 2021-07-20 Chin-Chu Chen Fastening device
CN109386574A (zh) * 2018-11-20 2019-02-26 深圳市菲特奥科技有限公司 一种绳带调节装置及具有该绳带调节装置的用品
EP3934472A1 (en) * 2019-03-07 2022-01-12 Ossur Iceland Ehf Adapter for a rotary device
CN114259109A (zh) * 2020-09-16 2022-04-01 麦浴祺 一种快速系绳带的装置
US11388953B1 (en) 2020-10-30 2022-07-19 Airason John Heard, Sr. Apparatus to secure a primary body to a shoe
CN214547679U (zh) * 2021-02-08 2021-11-02 陈金柱 紧固装置
KR102393087B1 (ko) * 2021-08-24 2022-04-29 김정곤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
USD991778S1 (en) * 2022-01-21 2023-07-11 Anthony Clark Blackburn Cord tighten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627B1 (ko) 2005-06-27 2006-07-13 주식회사 신경 신발끈 조임기
KR100986674B1 (ko) 2010-07-15 2010-10-08 유디텔주식회사 탄성스트링 와인딩 및 언와인딩 장치
US20110266384A1 (en) * 2010-04-30 2011-11-03 Boa Technology, Inc. Reel based lacing system
US20140359981A1 (en) 2013-06-05 2014-12-11 Boa Technology Inc. Integrated closure device component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70257B1 (fr) * 1984-09-14 1987-01-09 Salomon Sa Chaussure de ski
US20020095750A1 (en) * 1997-08-22 2002-07-25 Hammerslag Gary R. Footwear lacing system
KR200293776Y1 (ko) * 2002-07-26 2002-11-01 김현수 신발끈 고정구
US7272962B2 (en) * 2004-09-10 2007-09-25 Brady Worldwide, Inc. Cable lockout assembly
EP2378911B1 (en) * 2008-11-21 2014-05-21 Boa Technology, Inc. Reel based lacing system
KR100929587B1 (ko) * 2009-06-17 2009-12-03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줄 길이 조절장치
JP2011001080A (ja) * 2009-06-17 2011-01-06 Shinko Chemical Co Ltd キャップ
KR101107372B1 (ko) * 2011-05-30 2012-01-19 소윤서 줄 길이 조절장치
US9101181B2 (en) * 2011-10-13 2015-08-11 Boa Technology Inc. Reel-based lacing system
JP6105404B2 (ja) * 2013-06-18 2017-03-29 株式会社ジャパーナ 靴紐巻取用リール
CN203492894U (zh) * 2013-09-11 2014-03-26 陈金柱 带体收放装置
KR101865201B1 (ko) * 2013-09-13 2018-06-08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파손 보상 레이스 인장 장치 및 방법
KR101438572B1 (ko) * 2014-04-24 2014-09-12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장치
JP6406919B2 (ja) * 2014-08-11 2018-10-17 株式会社ジャパーナ 靴紐巻取装置の取付構造
WO2016033792A1 (zh) * 2014-09-05 2016-03-10 陈金柱 带体收放装置及其收放方法
US10264852B2 (en) * 2015-01-14 2019-04-23 Sug Whan Kim String winding and unwinding apparatus
CN204499645U (zh) * 2015-02-26 2015-07-29 刘士弘 绳带绑系与固定装置
KR101782151B1 (ko) * 2015-06-12 2017-10-13 김석환 끈 조임장치
KR101611849B1 (ko) * 2016-01-19 2016-04-12 주식회사 금도하드웨어 잠금장치
JP6882827B2 (ja) * 2016-08-10 2021-06-02 株式会社アルペン 巻取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627B1 (ko) 2005-06-27 2006-07-13 주식회사 신경 신발끈 조임기
US20110266384A1 (en) * 2010-04-30 2011-11-03 Boa Technology, Inc. Reel based lacing system
KR100986674B1 (ko) 2010-07-15 2010-10-08 유디텔주식회사 탄성스트링 와인딩 및 언와인딩 장치
US20140359981A1 (en) 2013-06-05 2014-12-11 Boa Technology Inc. Integrated closure device component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12302A (ja) 2019-05-16
US11192748B2 (en) 2021-12-07
CN108738298B (zh) 2021-04-16
WO2018155732A1 (ko) 2018-08-30
CN108738298A (zh) 2018-11-02
US20180319617A1 (en) 2018-11-08
KR20180097059A (ko)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253B1 (ko) 끈조절장치
CN109640725B (zh) 兜帽调节机构
US20140358054A1 (en) Straps for devices and methods therefor
US9084446B2 (en) Head covering
US20110131704A1 (en) Head gear device
US20120167276A1 (en) Apparel band system and method of binding clothing articles
US10087573B1 (en) Elastomeric tubular casings for drawstrings and a method of laundering accessories therewith
US8006318B2 (en) Neck warmer
KR102509785B1 (ko) 끈조절장치
US5643643A (en) Apparel accessory
US9232835B2 (en) Zipper pull attachment
US20180338543A1 (en) Sleeve for an Article of Clothing
US10238182B2 (en) Cufflink device
US8950016B2 (en) Accessory-retaining neck scarf
US9775456B2 (en) Fashion accessory and method of operating a zipper
US20150089780A1 (en) Shoe Lace Fastener and System
CN201352962Y (zh) 具安全挂带的工作服及其安全挂带
US9179715B1 (en) Bathing suit top with adjustable back
KR200227528Y1 (ko) 의류
US20100237113A1 (en) Money belt
US20200260829A1 (en) Hair Retaining Device
US20100263103A1 (en) Hat having an adjustable closure
KR200426166Y1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바지
CN210382703U (zh) 分体式裙装
US8959725B2 (en) Fashion accessory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