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087B1 -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 - Google Patents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087B1
KR102393087B1 KR1020210111657A KR20210111657A KR102393087B1 KR 102393087 B1 KR102393087 B1 KR 102393087B1 KR 1020210111657 A KR1020210111657 A KR 1020210111657A KR 20210111657 A KR20210111657 A KR 20210111657A KR 102393087 B1 KR102393087 B1 KR 102393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le
gear
ree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곤
Original Assignee
김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곤 filed Critical 김정곤
Priority to KR1020210111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087B1/ko
Priority to DE102021127743.4A priority patent/DE102021127743B4/de
Priority to PCT/KR2021/016013 priority patent/WO202302724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4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30Arrangements to facilitate driving or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57Arrangements of the frame or housing
    • B65H75/4471Housing enclosing the r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81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driving the reel or the material
    • B65H75/4492Manual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화 제작이 가능하며 와이어를 조일 때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구성들 간의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킨 와이어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판상의 지지판(12)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판(12)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벽체(14)가 형성되어 중앙부에 수용홈(16)이 형성된 하부커버(10); 상단부에는 내주연 상에 크라운기어 구조의 톱니(23)가 환설된 기어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6)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 시 외주연을 따라 와이어(70)가 권취되는 릴부(20); 하단부가 상기 수용홈(16)에 결합 고정되어 내부에 상기 릴부(20)를 수용하며, 상단부 내주연을 따라 래칫기어(34)가 형성된 하우징부(30);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요입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30)의 상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홈(42)과,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 안착홈(44)을 가지되, 상기 안착홈(44) 내주면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된 개구(47)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홈(44)의 하면으로 상기 톱니(23)와 치합되는 대응톱니(43)를 가지는 대응기어부(45)가 하향 돌설되어 상기 기어부(22)에 삽입되고, 상기 릴부(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1차 구속력을 제공하는 중간커버(40); 상기 안착홈(44)에 안착 결합되며,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분기된 스토퍼(52)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52)의 선단에 상기 개구(47)를 통해 상기 래칫기어(34)와 치합되는 대응래칫기어(54)가 형성되어 상기 릴부(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2차 구속력을 제공하는 스토퍼유닛(50); 및 상기 중간커버(40) 외측을 감싸며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중간커버(40)와 일체로 회전되는 상부커버(60);를 포함하는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Dial Type Wire Fastener}
본 발명은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화 제작이 가능하며 와이어를 조일 때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구성들 간의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킨 와이어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조임장치는 다양한 물품을 조이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여기서는 와이어 조임장치의 다양한 활용방법 중에서 발에 착용하는 신발에 적용하는 것을 기초로 설명하지만, 신발을 비롯한 모자, 벨트, 장갑, 가방, 머리 장신구 등 와이어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물품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신발은 사전적 의미로 땅을 딛고 서거나 걸을 때 발을 보호하기 위해 신는 물건을 통틀어 일컬으며,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지만 대부분의 신발에는 착용하는 각 개인의 발에 잘 맞도록 조이기 위한 신발끈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는 통상의 신발은 크게 상기한 신발의 상부에 착용자의 발과 발목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갑피부(Upper)와, 갑피부 하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보행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중창(Midsol)과, 중창 하면에 부착되어 지면과 맞닿으며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접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밑창(Outsole)을 포함하며, 갑피부에는 발등의 쏠림을 방지하여 보호하는 설포(Tongue)가 덧대어지고, 설포의 전측에는 끈구멍이 형성되는 보강물인 구목(Eyelet stay)이 구비되며, 끈구멍에는 신발을 발에 맞도록 조절하는 와이어(Wire) 등의 신발끈(Shoelace)이 체결된다.
물론, 신발은 보행 시 벗겨지지 않도록 적당한 크기로 선택하여야 하지만, 획일적인 대량 생산 방식에 의해 특정 길이와 폭으로 규격화되어 제조되기 때문에 기성 신발의 발폭은 착용자의 발폭과 정확하게 일치되기는 어렵다.
따라서, 착용자는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신발을 신은 후, 신발끈을 적절히 당겨 조임으로써 자신의 발과 신발이 밀착되도록 하며, 신발끈을 손으로 당겨 조인 후에는 매듭을 묶어 고정시켜야 한다.
그러나, 신발끈을 착용자의 발에 맞추어 당기기 위해서는 신발끈에 소정의 장력을 가해야 하며, 신발끈에 매듭을 묶는 작업은 비교적 섬세한 작업을 요하기 때문에 고령자나 어린이 또는 손의 움직임이 불편한 장애인들에게 불편함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신발에 신발끈을 일일히 결속하지 않고 간편하게 조이고 푸는 와이어 조임장치를 적용하여 신발을 신고 벗을 때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38572호(와이어 조임장치)에 개시된 바와 같이, 래칫기어를 사용하여 와이어 형태의 신발끈이 권취되는 보빈을 스토퍼유닛에 의해 구속하도록 이루어져 회전커버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와이어를 조일 수 있도록 하고, 래칫을 제어한 스토퍼 유닛의 구속 상태를 해제하면 보빈의 회전이 자유로워짐에 따라 신발끈을 풀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와이어 조임장치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래칫기어를 스토퍼유닛의 포올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구속하면서 릴에 와이어를 감는 것이므로 래칫기어에 구속력이 강하게 편중되는 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신발의 끈을 강하게 조이거나 발의 움직임에 의해 신발끈이 강하게 당겨질 때 역으로 신발끈은 풀리려는 힘이 강하게 작용하므로 래칫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포올에 힘이 편중되면서 래칫기어에 강한 스트레스를 주게 되므로 래칫기어와 포올이 쉽게 파손되고 마모되는 등 내구성이 저하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신발의 끈을 조일 때 회전커버를 여러번 회전시켜 조이게 되는데, 회전커버를 회전시키다가 놓게 될 때, 회전커버와 함께 회전하는 스토퍼유닛의 스토퍼가 래칫기어에 정확하게 치합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여 스토퍼가 신발끈을 조이고자 하는 그 위치의 래칫기어보다 밀려 뒤에 있는 래칫기어에 치합됨으로써 희망하는 조임력 보다 느슨해진 상태로 조여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833680호(신발끈 조임장치)는 신발끈을 조일 때 역회전을 방지하는 메인래칫기어와 스토퍼에 이의 치합을 보조하는 보조래칫기어를 설치하여 메인래칫기어에 편중되는 작동부하를 분산시킴으로써 기어의 마모나 파손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향상시키며, 스토퍼 유닛을 유격이 있도록 결합하여 메인래칫기어에 스토퍼가 정확하게 치합되도록 함으로써 신발끈이 조임 과정에서 풀리지 않도록 한 신발끈의 조임장치에 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으나, 장치를 소형화할 경우, 각 구성들의 크기 및 형상 축소로 인한 상호 간의 유기적 결합력이 약화되어 내구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구속력이 저하될 수 있어 구성요소의 설계 변경이 불가피해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8572호(2014.09.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3680호(2018.02.2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 제작이 가능하며, 와이어를 조일 때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구성들 간의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일부분에 편중되는 작동부하를 분산시켜 기어의 마모나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구성들 간의 결속력을 높여 내구성 향상을 이룰 수 있는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용자에게 파지 공간을 제공하며, 조임장치를 하방으로 누르되 중심을 누르도록 할 수 있게 하여 조임장치의 상승 혹은 하강 동작이 용이한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판상의 지지판(12)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판(12)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벽체(14)가 형성되어 중앙부에 수용홈(16)이 형성된 하부커버(10); 상단부에는 내주연 상에 크라운기어 구조의 톱니(23)가 환설된 기어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6)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 시 외주연을 따라 와이어(70)가 권취되는 릴부(20); 하단부가 상기 수용홈(16)에 결합 고정되어 내부에 상기 릴부(20)를 수용하며, 상단부 내주연을 따라 래칫기어(34)가 형성된 하우징부(30);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요입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30)의 상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홈(42)과,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 안착홈(44)을 가지되, 상기 안착홈(44) 내주면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된 개구(47)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홈(44)의 하면으로 상기 톱니(23)와 치합되는 대응톱니(43)를 가지는 대응기어부(45)가 하향 돌설되어 상기 기어부(22)에 삽입되고, 상기 릴부(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1차 구속력을 제공하는 중간커버(40); 상기 안착홈(44)에 안착 결합되며,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분기된 스토퍼(52)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52)의 선단에 상기 개구(47)를 통해 상기 래칫기어(34)와 치합되는 대응래칫기어(54)가 형성되어 상기 릴부(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2차 구속력을 제공하는 스토퍼유닛(50); 및 상기 중간커버(40) 외측을 감싸며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중간커버(40)와 일체로 회전되는 상부커버(60);를 포함하는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하부커버(10)는 지지판(12)의 테두리를 따라 정확한 재봉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재봉안내홈(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릴부(20)는 하단부에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이물질배출공(24)이 형성되어 상기 릴부(20)의 일방향 회전을 따라 와이어(70)에 묻은 이물질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릴부(20)는 상단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된 걸림턱(21)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유닛(50) 하단에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단부에 절곡된 제2 걸림편(5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편(51)이 상기 걸림턱(21)에 대응 접찰되면서 승강되어 스토퍼유닛(50)과 릴부(20)의 결합과 분리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릴부(20)는 상기 와이어(70)가 권취되는 몸체의 외주면 일측에 상기 와이어(70)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 인입공(26)과, 상기 와이어(70)가 빠져나오는 제1 인출공(26a)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인출공(26a)의 경로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대각선 하방으로 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끝부분에 제2 인입공(27)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인입공(27)의 경로는 상기 릴부(20) 하면으로 관통 형성되되 끝부분에 제2 인출공(27a)이 구비되며, 하면 일측에 상기 릴부(20)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중공되는 매듭공(25)이 구비되되, 상기 제1 인출공(26a)의 경로와 교차하는 위치에 측면이 개방된 매듭확인공(25a)을 구비하여 상기 제1 인입공(26)의 와이어를 바깥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제1 인출공(26a)의 경로를 지나는 와이어(70)가 상기 매듭공(25)에 삽입된 와이어(70)를 조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톱니(23)는 원통형상의 상기 기어부(22)의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기어부(22) 상단부에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래칫치형톱니부(23a)와, 상기 기어부(22) 하단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래칫치형톱니부(23a)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중심축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베벨치형톱니부(23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대응톱니(43)는 상기 대응기어부(45)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래칫치형대응톱니부(43a)와, 상기 래칫치형대응톱니부(43a) 선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중심축을 향해 원추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베벨치형대응톱니부(43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60)는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미끄럼방지그립(62)이 설치되어 착용자가 회전력을 가하기 위해 파지할 경우 미끄럼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부커버(60)는 원형의 상부 지름이 하부 지름보다 길게 형성하여 상기 상부커버(60)와 상기 지지판(12) 사이에 착용자가 파지하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중간커버(40)를 용이하게 상승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상부커버(60)는 원형의 상부면 중심에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돌기를 형성하여 착용자가 상부 커버를 누르는 위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상부커버(60)가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용이하게 하강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의 소형화 제작이 가능하며, 와이어를 조일 때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구성들 간의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일부분에 편중되는 작동부하를 분산시켜 기어의 마모나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구성들 간의 결속력을 높여 내구성 향상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착용자에게 파지 공간을 제공하여 와이어 조임장치 상부커버의 상승 동작이 용이한 효과와, 상부커버를 누르되 중심을 누르도록 할 수 있게 하여 조임장치의 하강 동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의 상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의 하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의 릴부와 포올부를 도시한 전개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의 릴부와 스토퍼유닛이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의 릴부와 스토퍼유닛이 상호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유닛이 중간커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릴부에 와이어를 매듭짓는 방법에 대한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의 상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의 하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는 크게 하부커버(10), 릴부(20), 하우징부(30), 중간커버(40), 스토퍼유닛(50), 및 상부커버(60)를 포함한다.
먼저, 하부커버(10)는 신발의 갑피에 재봉되어 와이어 조임장치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판상의 지지판(12)을 구비하며, 지지판(12)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벽체(14)가 형성되어 중앙부에 릴부(20)가 수용되는 수용홈(1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12)의 테두리를 따라 정확한 재봉을 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재봉안내홈(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재봉안내홈(13)은 신발 제조 현장에서 작업자들이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의 재봉시 재봉선을 따라 정확하게 재봉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의 부착상태를 깨끗하고 깔끔하게 함으로써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가 설치된 신발의 상품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릴부(20) 상단부에는 내주연 상에 2단 구조를 가지는 크라운기어 구조의 톱니(23)가 환설된 기어부(22)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16)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단에 원판 형상의 플랜지가 구비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 시 외주연을 따라 신발끈으로 이용되는 와이어(70)가 권취된다.
이때, 상기 릴부(20)의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70) 양단부가 매듭지어지며 삽입 결속되는 복수의 인입공(26,27)과 인출공(26a, 27a) 및 매듭공(25)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70)의 매듭이 형성되는 순서와 인입공(26,27)과 인출공(26a, 27a) 및 매듭공(25)은 후술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릴부(20)의 하단부를 이루는 플랜지 상에는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이물질배출공(24)이 형성되어 상기 릴부(20)의 일방향 회전을 따라 와이어(70)에 묻은 이물질이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30)는 상단면 및 하단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릴부(20)를 수용한 상태에서 하단부가 상기 수용홈(16)에 결합 고정됨으로써, 회전에 의해 상기 릴부(20)가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30) 하부에는 상기 와이어(70)가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에 내설될 수 있도록 와이어유입구(32)가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유입구(32)는 상기 하부커버(10)의 요홈(15)에 안착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30)는 상단부 내주연을 따라 래칫기어(34)가 형성되며, 상기 래칫기어(34)는 후술할 상기 스토퍼유닛(50)과 치합되어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중간커버(40)는 상기 하우징부(30)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릴부(20)에 회전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부(30)로부터 상기 릴부(20)가 상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상기 중간커버(40)가 상기 하우징부(30) 상단에서 소정의 높이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릴부(20)와 상기 스토퍼유닛(50)의 결속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요입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30)의 상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홈(42)과,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 안착홈(44)을 가지되, 상기 안착홈(44) 내주면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된 개구(47)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44)의 하면으로 상기 톱니(23)와 치합되는 대응톱니(43)를 가지는 대응기어부(45)가 하향 돌설되어 상기 기어부(22)에 삽입되고, 상기 릴부(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1차 구속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대응기어부(45) 외주면을 둘러싸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단부가 절곡된 제1 걸림편(41)이 형성되어 상기 릴부(20) 상단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된 걸림턱(21)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릴부(20)와 상기 중간커버(40)의 상호 결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안착홈(44)의 내주면 일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부(30)의 래칫기어(34)와 상기 스토퍼유닛(50)이 접할 수 있도록 개구(47)가 형성된다.
한편, 스토퍼유닛(50)은 안착홈(44)에 안착 결합되며,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분기된 스토퍼(52)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52)의 선단에 상기 개구(47)를 통해 상기 래칫기어(34)와 치합되는 대응래칫기어(54)가 형성되어 상기 릴부(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2차 구속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환형의 상기 스토퍼유닛(50) 외주면으로부터 탄성을 가지도록 방사상으로 분기된 하나 이상의 스토퍼(52)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52)의 선단에 대응래칫기어(54)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47)를 통해 상기 래칫기어(34)와 치합됨으로써 상기 릴부(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속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유닛(50) 하단에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단부가 절곡된 제2 걸림편(51)이 형성되어 상기 릴부(20) 상단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된 걸림턱(21)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릴부(20)와 상기 스토퍼유닛(50)의 상호 결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전술한 제1 걸림편(41)과 제2 걸림편(51)이 상기 걸림턱(21)에 걸려 고정되는 면적이 늘어나게 되어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걸림편(51)은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걸림턱(21)에 대응 접찰되면서 승강되어 상기 스토퍼유닛(50)과 상기 릴부(20)의 결합과 분리조작을 절도 있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상기 걸림턱(21)을 타고 넘을 때 발생하는 소리를 통해 상기 스토퍼유닛(50)과 상기 릴부(20)의 결합과 분리의 확인을 용이하게 한다.
이때, 상기 대응기어부(45)의 외주면에는 상기 톱니(23)에 대응하는 2단 구조의 대응톱니(43)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부(22)에 상기 대응기어부(45)가 삽입되어 상기 대응톱니(43)와 상기 톱니(23)가 치합됨으로써 상기 릴부(20)가 역회전을 하지 않도록 추가적인 구속력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70)의 권취 시 상기 래칫기어(34) 및 상기 대응래칫기어(54)에 편중되는 부하를 저감시켜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의 반복적인 회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기어 톱니의 마모 혹은 파손을 방지하고,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60)은 상기 중간커버(40)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 최상단에서 다른 구성들을 보호함과 동시에 착용자에 의해 파지(把持)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커버(40)의 상단부가 상기 상부커버(60)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삽입 고정되며, 착용자가 파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중간커버(40)와 일체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상부커버(60)의 내주면에는 상기 중간커버(4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요홈(46)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걸림돌기(6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64)가 상기 결합요홈(46)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상부커버(60)가 상기 중간커버(40)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60)의 외주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함입된 미끄럼방지그립(62)이 형성되어 착용자가 회전력을 가하기 위해 파지(把持)할 경우, 미끄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커버(60)는 원형의 상부 지름을 하부 지름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상부커버(60)와 상기 지지판(12) 사이에 착용자가 파지하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중간커버(40)를 용이하게 상승 동작할 수 있다.
즉, 상부커버(60)의 하부가 지름이 작으므로, 상부커버(60)와 지지판(12) 사이에 착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하고, 착용자는 파지하는 동작으로 상부커버(60)의 상부에 힘을 가하여 바깥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중간커버(40)를 용이하게 상승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상부커버(60)의 상부가 착용자의 손가락의 지지대 역할을 함으로써, 상승 동작을 위한 힘의 전달이 효과적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미끄럼방지그립(62)를 착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인 상부커버(60)의 상부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설치 함으로써 파지 시에는 미끄럼 발생을 방지하며, 동시에 중간커버(40)를 상승 동작할 수 있도록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60)는 원형의 상부면 중심에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돌기(미도시)를 형성하여 착용자가 상부 커버를 누르는 위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상부커버(60)가 일측으로 기울지 않고 용이하게 하강 동작할 수 있다.
즉, 상부커버(60)의 중심이 아닌 바깥방향 일측에서 하부커버(10)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중간커버(40)가 하강하지 않는 경우가 생기므로 사용자에게 상부커버(60)의 중심의 위치를 명확히 제시함으로써 상기 상부커버(60)가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용이하게 하강 동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부커버(60)의 중심에 도시되는 제조회사의 로고, 상표 등의 정보를 소정의 높이로 돌출하여 입체적으로 제공함과 동시에 착용자에게 상부커버(60) 중심의 위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상부커버(60)가 일측으로 기울지 않고 용이하게 하강 동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의 릴부와 중간커버를 도시한 전개사시도이다.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어부(22) 및 상기 대응기어부(45)의 상호결합을 통해 상기 릴부(20)에 구속력을 제공하는 것은 이미 많은 선행기술에 개시된 바 있으나,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가 소형화될수록 구성들의 크기 및 형상 축소로 인해 상기 기어부(22) 및 상기 대응기어부(45)의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한 충분한 공간 확보가 어려우며, 특히, 상기 톱니(23) 및 상기 대응톱니(43)의 크기 감소로 인해 구조적 정밀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상호간의 유기적 결합력이 약화되어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구속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부(22) 내측에 상기 대응기어부(45)가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기 톱니(23) 및 상기 대응톱니(43)가 2단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호 간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결속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톱니(23)는 원통형상의 상기 기어부(22)의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기어부(22) 상단부에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래칫치형톱니부(23a)와, 상기 기어부(22) 하단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래칫치형톱니부(23a)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중심축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베벨치형톱니부(23b)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대응톱니(43)는 상기 톱니(23)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상을 가지는 상기 대응기어부(45)의 상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래칫치형대응톱니부(43a)와, 원추형상을 가지는 상기 대응기어부(45)의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래칫치형대응톱니부(43a) 선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중심축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베벨치형대응톱니부(43b)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래칫치형톱니부(23a)와 상기 래칫치형대응톱니부(43a)가 상호 대응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베벨치형톱니부(23b)와 상기 베벨치형대응톱니부(43b)가 상호 대응 결합됨으로써, 상기 톱니(23)와 상기 대응톱니(43)의 접촉면적이 단순히 상기 래칫치형톱니부(23a)와 상기 래칫치형대응톱니부(43a)만 결합된 경우보다 넓어지므로 마찰력이 증가하여 상기 릴부(20)에 작용하는 구속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래칫기어(34) 및 상기 대응래칫기어(54)에 편중되는 부하를 분담하여 상기 래칫기어(34) 및 상기 대응래칫기어(54)의 마모율을 감소시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톱니(23)와 상기 대응톱니(43)의 접촉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상기 기어부(22)와 상기 대응기어부(45)의 분리 시, 적은 거리의 이동에도 톱니 간의 간섭 없이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의 릴부와 스토퍼유닛이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의 릴부와 스토퍼유닛이 상호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는 먼저 상기 하부커버(10)를 신발의 갑피에 재봉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16)에 상기 릴부(20)를 장착하여 상기 와이어(70)의 양단부를 상기 릴부(20)의 인입공(26, 27)으로 삽입 결속하고, 상기 하우징부(30)를 상기 하부커버(10)에 끼워 고정시키며, 이의 상부에 상기 스토퍼유닛(50)을 안치시킨 상기 중간커버(40)를 결합시키되, 상기 걸림턱(21)에 상기 제1 걸림편(41)과 상기 제2 걸림편(51)이 걸려 상기 릴부(20)와 상기 스토퍼유닛(50)이 결합되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래칫기어(34)에 상기 스토퍼유닛(50)의 상기 대응래칫기어(54)가 치합되도록 한 다음, 상기 중간커버(40)의 중심에 위치하는 대응기어부(45)를 상기 릴부(20)의 기어부(22)에 삽입시킨 후 상기 중간커버(40)와 일체가 되도록 결합하고, 이의 외면에 상부커버(60)를 덮어 결합함으로써 조임장치가 신발에 간단하게 조립된다.
이때, 인입공(26,27)과 인출공(26a, 27a) 및 매듭공(25)에 와이어(70)가 삽입과 권취되는 것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면, 상기 상부커버(60)가 결합된 상기 중간커버(40)의 상승 혹은 하강 동작에 따라 상기 스토퍼유닛(50)이 상기 릴부(20)와 결속 혹은 분리됨으로써 상기 릴부(20)가 상기 와이어(70)를 감거나 풀리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상기 와이어(70)를 권취할 경우, 상기 스토퍼유닛(50)의 스토퍼(52)가 상기 하우징부(30)의 상기 래칫기어(34)와 분리된 상태에서 외력을 가하여 상기 상부커버(60)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상부커버(60)와 일체로 결합된 상기 중간커버(40)의 대응기어부(45)가 상기 릴부(20)의 기어부(22)에 삽입되어 상기 톱니(23)가 상기 대응톱니(43)와 서로 맞물리게 된다.
또한, 상기 중간커버(40)에 안착된 상기 스토퍼유닛(50)이 상기 중간커버(40)와 함께 하강하여 제1 걸림편(41)과 제2 걸림편(51)이 상기 릴부(20)의 기어부(20) 외주면을 따라 밀려 내려가 탄성에 의해 걸림턱(21)에 걸리게 되어 상기 릴부(20)와 상기 중간커버(40)와 상기 스토퍼유닛(50)이 상호 결합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스토퍼(52)의 단부 즉, 상기 대응래칫기어(54)가 상기 개구(47)를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부(30) 내주연에 형성된 상기 래칫기어(34)와 일방향 회전하도록 치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상부커버(6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상부커버(60)와 일체로 결합된 상기 중간커버(4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유닛(50)에 형성된 대응래칫기어(54)가 상기 하우징부(30)의 래칫기어(34)와 맞물려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스토퍼유닛(50)과 결합된 상기 릴부(20)가 상기 스토퍼유닛(50)과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와이어(70)가 상기 릴부(20) 외주면에 권취되는데, 이때, 상기 중간커버(40)의 대응기어부(45)와 상기 릴부(20)의 기어부(22)의 결합으로 상기 톱니(23)와 상기 대응톱니(43)의 치합으로 상기 릴부(20)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속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커버(60)를 회전시키면 상기 와이어(70)가 연속적으로 릴부(20)에 권취되어 인장력에 의해 신발을 조일 수 있게 되고, 상기 와이어(70)가 조여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커버(60)의 회전을 정지시켜도 상기 래칫기어(34)와 대응래칫기어(54), 상기 톱니(23)와 상기 대응톱니(43)가 각각 서로 맞물려 상기 릴부(2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릴부(20)에 감긴 상기 와이어(70)가 풀리지 않고 긴장 상태로 조임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신발을 벗기 위해 긴장 상태로 조인 상기 와이어(70)를 느슨하게 하고자 할 때는, 상기 상부커버(60)를 상방으로 당겨올려 상기 상부커버(60)와 일체로 결합된 상기 중간커버(40)를 상승시키며, 이와 동시에 상기 래칫기어(34)와 맞물려 상기 릴부(20)를 구속하고 있는 상기 스토퍼유닛(50)도 상기 중간커버(40)와 함께 상승되면서 탄성을 갖는 상기 제1 걸림편(41)과 상기 제2 걸림편(51)이 상기 걸림턱(21)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스토퍼유닛(50)과 상기 릴부(20)의 결속이 해제될 뿐만 아니라 상기 래칫기어(34)와 대응래칫기어(54) 또한 분리되어 상기 릴부(20)의 구속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상기 릴부(20)의 회전이 자유로워져 상기 와이어(70)의 일측을 잡아당기면, 상기 릴부(20)에 권취된 상기 와이어(70)가 풀리며 조임이 느슨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유닛이 중간커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유닛(50)이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미세 이동이 가능하도록 래칫기어(34)와 대응래칫기어(54) 사이에 유격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커버(60)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70)를 조일 때, 상기 스토퍼(52)의 대응래칫기어(54)가 상기 개구(47)를 통해 상기 래칫기어(34)의 골과 산을 들락날락하면서 치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토퍼(52)가 상기 래칫기어(34)의 산 부분에 위치할 경우, 탄성에 의해 뒤로 밀려나 치합되어야 하는 상기 래칫기어(34)보다 뒤쪽에 위치한 상기 래칫기어(34)에 치합되므로 원하는 조임력을 한 번에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래칫기어(34)와 대응래칫기어(54) 사이에 유격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스토퍼(52)의 대응래칫기어(54)가 좌우방향 즉,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미세하게 유동(遊動)하면서 정확히 정위치에 치합될 수 있도록 여유시간을 제공하여 원하는 강도의 조임력으로 와이어(70)를 조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52)와 상기 걸림편(51) 사이에 형성된 상기 유격(S)에 의해 상기 스토퍼유닛(50)의 미세한 유동이 가능해짐으로써, 동일한 위치에서 치합되는 상기 스토퍼(52)의 대응래칫기어(54) 및 상기 래칫기어(34)가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마모가 발생하여 치합 상태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더하여, 착용자가 상부커버(60)를 일방향으로 돌리되 최대로 돌려 더 이상 상부커버(60)를 돌릴 수 없는 경우, 와이어(70)의 장력으로 상기 상부커버(60)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이때, 상기 개구(47)의 내주연에 상기 대응래칫기어(54)가 걸리게 되어 역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함으로써, 제2 걸림편(51)과 개구(47)가 역방향으로의 힘을 분담하여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마모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는 신발에 장착된 것이나, 모자, 가방, 장갑 등과 같이 와이어 내지 끈을 조이는 다양한 물품에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릴부에 와이어를 매듭짓는 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7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부(20)에 상기 와이어(70)가 권취되는 몸체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인입공(26, 27)과 인출공(26a, 27a)이 구비된다.
다시 말하여, 와이어(70)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 인입공(26)과 와이어(70)가 빠져나오는 제1 인출공(26a)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인출공(26a)에서 빠져나온 상기 와이어(70)는 대각방향의 경로상에 형성된 제2 인입공(27)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제2 인입공(27)으로 삽입된 상기 와이어(70)는 상기 릴부(20)의 하부 일측으로 경로가 형성된 제2 인출공(27a)로 빠져나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인출공(27a)으로 빠져나온 상기 와이어(70)는 상기 릴부(20)의 하면 일측에 형성된 매듭공(25)으로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와이어(70)가 매듭지어지는데 매듭공(25)의 위치와 매듭을 짓는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인입공(26, 27)과 인출공(26a, 27a) 및 매듭공(25)은 상기 릴부(2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릴부(20)가 180도로 회전하여도 같은 배치를 나타낸다.
다시 말하여, 상기 릴부(20)의 중심축과 직각의 방향으로 관통하며 형성되는 제1 인입공(26)의 타측이 제1 인출공(26a)이며, 제1 인출공(26a)의 경로는 대각선 하방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인출공(26a)의 경로 끝부분에 제2 인입공(27)이 형성된다.
즉, 제1 인출공(26a)의 경로는 상기 릴부(20)에 와이어가 권취되는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대각선 하방으로 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끝부분에 제2 인입공(27)이 구비되어 와이어(70)는 개방된 측면 바깥에서 상기 릴부(20)의 중심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인입공(27)의 경로는 상기 릴부(20) 하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 인입공(27)의 경로 끝부분에 제2 인출공(27a)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릴부(20) 하면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2 인출공(27a)에서 소정의 간격에 매듭공(25)이 형성된다.
이때, 매듭공(25)은 상기 릴부(20)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중공되되, 상기 제1 인출공(26a)의 경로와 교차하는 위치에 측면이 개방된 매듭확인공(25a)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70)의 삽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로, 인입공(26, 27)과 인출공(26a, 27a)과 매듭공(25) 및 매듭확인공(25a)은 상기 릴부(2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서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의 매듭을 짓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7의 (a)를 참고하면, 고강도 스테인레스 와이어의 표면에 나일론 코팅을 한 상기 와이어(70)의 단부가 제1 인입공(26)으로 삽입되어 상기 릴부(2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1 인출공(26a)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도 7의 (b) 와 (c)를 참고하면, 제1 인출공(26a)을 빠져나온 상기 와이어(70)는 대각선 하방으로 형성되는 경로로 이동하여 제2 인입공(27)으로 삽입되고, 상기 와이어(70)의 단부는 상기 릴부(2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 인출공(27a)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와이어(70)는 팽팽하지 않고 느슨하도록 하여 제1 인출공(26a)의 경로상에 노출되는 매듭공(25)의 경로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다시 말하여, 상기 릴부(20)는 상기 와이어(70)가 권취되는 몸체의 외주면 일측에 상기 와이어(70)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 인입공(26)과, 상기 와이어(70)가 빠져나오는 제1 인출공(26a)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인출공(26a)의 경로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대각선 하방으로 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끝부분에 제2 인입공(27)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인입공(27)의 경로는 상기 릴부(20) 하면으로 관통 형성되되 끝부분에 제2 인출공(27a)이 구비되며, 하면 일측에 상기 릴부(20)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중공되는 매듭공(25)이 구비된다.
이때, 와이어(70)가 매듭공(25)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매듭공(25)에 삽입된 와이어(70)의 일면이 매듭확인공(25a)을 통하여 상기 제1 인출공(26a)의 경로상에 노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인입공(26)으로 삽입된 와이어(70)를 상기 릴부(20)의 바깥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제1 인출공(26a)의 경로와 교차하는 위치에 측면이 개방된 매듭확인공(25a)를 통하여 상기 제1 인출공(26a)의 경로를 지나는 와이어(70)가 상기 매듭공(25)에 삽입된 와이어(70)를 압박하여 죈다.
여기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매듭공(25)의 경로는 끝부분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구비하여 상기 와이어(70)의 단부가 상기 매듭공(25)의 끝부분에서 끼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릴부(20)에 매듭을 짓는 작업자는 매듭확인공(25a)을 통하여 상기 와이어(70)가 상기 매듭공(25)으로 삽입되었는지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삽입된 상기 와이어(70)를 잡아당겨 상기 와이어(70)가 상기 매듭공(25)의 내부에 정확히 삽입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으므로 매듭 공정에 대한 불량 발생률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70)는 매듭공(25)으로 굴절되며 삽입되므로 와이어(70)를 잡아당기는 장력에 의하여 매듭이 풀리지 않고 고정된다.
다음으로, 와이어(70) 단부의 타측은 본 발명의 와이어 조임장치가 사용되는 물건을 조이기 위한 경로를 따라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70)의 타측 단부는 전술한 릴부(20)에 와이어를 매듭 짓는 방법에 따라 진행되므로 상기 인입공(26, 27)과 상기 인출공(26a, 27a)과 매듭공(25) 및 매듭확인공(25a)이 상기 릴부(2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한 쌍을 이루도록 복수로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와이어(70)의 재질을 고강도 스테인레스 와이어의 표면에 나일론 코팅을 한 것으로 사용하였으나, 상기 와이어(7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하부커버
12 : 지지판 13 : 재봉안내홈
14 : 지지벽체 15 : 요홈
16 : 수용홈
20 : 릴부
21 : 걸림턱 22 : 기어부
23 : 톱니
23a : 래칫치형톱니부 23b : 베벨치형톱니부
24 : 이물질배출공
25 : 매듭공 25a : 매듭확인공
26 : 제1 인입공 26a: 제1 인출공
27 : 제2 인입공 27a: 제2 인출공
30 : 하우징부
32 : 와이어유입구 34 : 래칫기어
40 : 중간커버
41 : 제1 걸림편 42 : 결합홈
43 : 대응톱니
43a : 래칫치형대응톱니부 43b : 베벨치형대응톱니부
44 : 안착홈 45 : 대응기어부
46: 결합요홈 47 : 개구
48 : 결착공
50 : 스토퍼유닛
51 : 제2 걸림편 52 : 스토퍼
54 : 대응래칫기어
60 : 상부커버
62 : 미끄럼방지그립 64 : 걸림돌기
70 : 와이어
S : 유격

Claims (10)

  1. 판상의 지지판(12)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판(12)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벽체(14)가 형성되어 중앙부에 수용홈(16)이 형성된 하부커버(10);
    상단부에는 내주연 상에 크라운기어 구조의 톱니(23)가 환설된 기어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6)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 시 외주연을 따라 와이어(70)가 권취되는 릴부(20);
    하단부가 상기 수용홈(16)에 결합 고정되어 내부에 상기 릴부(20)를 수용하며, 상단부 내주연을 따라 래칫기어(34)가 형성된 하우징부(30);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요입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30)의 상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홈(42)과,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 안착홈(44)을 가지되, 상기 안착홈(44) 내주면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된 개구(47)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홈(44)의 하면으로 상기 톱니(23)와 치합되는 대응톱니(43)를 가지는 대응기어부(45)가 하향 돌설되어 상기 기어부(22)에 삽입되고, 상기 릴부(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1차 구속력을 제공하는 중간커버(40);
    상기 안착홈(44)에 안착 결합되며,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분기된 스토퍼(52)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52)의 선단에 상기 개구(47)를 통해 상기 래칫기어(34)와 치합되는 대응래칫기어(54)가 형성되어 상기 릴부(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2차 구속력을 제공하는 스토퍼유닛(50); 및
    상기 중간커버(40) 외측을 감싸며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중간커버(40)와 일체로 회전되는 상부커버(60);를 포함하되,
    상기 릴부(20)는 상단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걸림턱(21)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유닛(50) 하단에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단부에 절곡된 제2 걸림편(5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편(51)이 상기 걸림턱(21)에 대응 접찰되면서 승강되어 스토퍼유닛(50)과 릴부(20)의 결합과 분리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대응기어부(45)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단부가 절곡된 제1 걸림편(41)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21)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릴부(20)와 상기 중간커버(40)가 상호 결속되며,
    상기 톱니(23)는 원통형상의 상기 기어부(22)의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기어부(22) 상단부에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래칫치형톱니부(23a)와, 상기 기어부(22) 하단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래칫치형톱니부(23a)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중심축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베벨치형톱니부(23b)를 구비하고,
    상기 대응톱니(43)는 상기 대응기어부(45)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래칫치형대응톱니부(43a)와, 상기 래칫치형대응톱니부(43a) 선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중심축을 향해 원추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베벨치형대응톱니부(43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커버(10)는,
    지지판(12)의 테두리를 따라 정확한 재봉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재봉안내홈(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부(20)는,
    하단부에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이물질배출공(24)이 형성되어 상기 릴부(20)의 일방향 회전을 따라 와이어(70)에 묻은 이물질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부(20)는,
    상기 와이어(70)가 권취되는 몸체의 외주면 일측에 상기 와이어(70)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 인입공(26)과, 상기 와이어(70)가 빠져나오는 제1 인출공(26a)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인출공(26a)의 경로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대각선 하방으로 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끝부분에 제2 인입공(27)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인입공(27)의 경로는 상기 릴부(20) 하면으로 관통 형성되되 끝부분에 제2 인출공(27a)이 구비되며,
    하면 일측에 상기 릴부(20)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중공되는 매듭공(25)이 구비되되, 상기 제1 인출공(26a)의 경로와 교차하는 위치에 측면이 개방된 매듭확인공(25a)을 구비하여 상기 제1 인입공(26)의 와이어를 바깥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제1 인출공(26a)의 경로를 지나는 와이어(70)가 상기 매듭공(25)에 삽입된 와이어(70)를 조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60)는,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미끄럼방지그립(62)이 설치되어 착용자가 회전력을 가하기 위해 파지할 경우 미끄럼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60)는,
    원형의 상부 지름이 하부 지름보다 길게 형성하여 상기 상부커버(60)와 상기 지지판(12) 사이에 착용자가 파지하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중간커버(40)를 용이하게 상승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60)는,
    원형의 상부면 중심에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돌기를 형성하여 착용자가 상부 커버를 누르는 위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상부커버(60)가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용이하게 하강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
KR1020210111657A 2021-08-24 2021-08-24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 KR102393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657A KR102393087B1 (ko) 2021-08-24 2021-08-24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
DE102021127743.4A DE102021127743B4 (de) 2021-08-24 2021-10-26 Kabelspannvorrichtung mit Einstellscheibe
PCT/KR2021/016013 WO2023027246A1 (ko) 2021-08-24 2021-11-05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657A KR102393087B1 (ko) 2021-08-24 2021-08-24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3087B1 true KR102393087B1 (ko) 2022-04-29

Family

ID=8142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657A KR102393087B1 (ko) 2021-08-24 2021-08-24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93087B1 (ko)
DE (1) DE102021127743B4 (ko)
WO (1) WO2023027246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420B1 (ko) * 2012-12-17 2013-04-03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장치
KR101438572B1 (ko) 2014-04-24 2014-09-12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장치
KR101810365B1 (ko) * 2017-05-16 2017-12-20 하영호 제작이 용이한 와이어릴과 와이어의 결속구조 및 그것에 이용되는 와이어릴
KR101833680B1 (ko) 2017-08-04 2018-02-28 김정곤 신발끈의 조임장치
KR20180097059A (ko) * 2017-02-22 2018-08-30 김석환 끈조절장치
KR102106818B1 (ko) * 2019-05-24 2020-05-06 심덕기 경사면 보행 밑창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305B1 (ko) 2020-03-03 2022-02-10 (주)페블아이 고민감도 신속 진단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420B1 (ko) * 2012-12-17 2013-04-03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장치
KR101438572B1 (ko) 2014-04-24 2014-09-12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장치
KR20180097059A (ko) * 2017-02-22 2018-08-30 김석환 끈조절장치
KR101810365B1 (ko) * 2017-05-16 2017-12-20 하영호 제작이 용이한 와이어릴과 와이어의 결속구조 및 그것에 이용되는 와이어릴
KR101833680B1 (ko) 2017-08-04 2018-02-28 김정곤 신발끈의 조임장치
KR102106818B1 (ko) * 2019-05-24 2020-05-06 심덕기 경사면 보행 밑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27246A1 (ko) 2023-03-02
DE102021127743A1 (de) 2023-03-02
DE102021127743B4 (de)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006B1 (ko)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
US10945492B2 (en) Shoe lace tightening device
JP7569561B2 (ja) 紐締め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リール
JP4874986B2 (ja) ケーブル締め付け機構およびその付勢方法
US8910353B2 (en) Locking device for laces, shoelaces, cords and the like, particularly adapted to close shoes, rucksacks, items of clothing and the like
JPH05211906A (ja) 靴紐上の張力を調整するための装置
JP2013022467A (ja) 靴紐の締め装置(apparatusforfasteningshoelace)
US20070186447A1 (en) Inner Lacing Shoes
CN216471599U (zh) 一种旋转式自锁扣
CN114158252A (zh) 线卷曲调整装置及卷线盘
KR100890216B1 (ko) 신발의 외줄 쾌속 결속구조
US9427045B1 (en) Shoelace tie assembly
KR102197948B1 (ko) 이동식 신발끈 조임장치
KR102393087B1 (ko)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
KR200467145Y1 (ko)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는 신발
US10575592B1 (en) Lace tighte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445965B1 (ko) 끈을 단번에 결속시키는 신발 및 그 신발끈 결속방법
JP2017523897A (ja) 靴の紐掛けシステム及びこの紐掛けシステムを伴って製造される靴
CN214283627U (zh) 系带快速收放装置
JP5727770B2 (ja) 靴ひもの締付構造及び靴ひもの締付方法
KR101982599B1 (ko) 신발의 끈조임장치
WO2017164235A1 (ja)
KR102566328B1 (ko) 일체형 권취 핸들을 구비한 줄 길이 조절장치
KR102641753B1 (ko) 신발끈 조임장치
CN216796707U (zh) 一种旋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