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753B1 - 신발끈 조임장치 - Google Patents

신발끈 조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753B1
KR102641753B1 KR1020220022836A KR20220022836A KR102641753B1 KR 102641753 B1 KR102641753 B1 KR 102641753B1 KR 1020220022836 A KR1020220022836 A KR 1020220022836A KR 20220022836 A KR20220022836 A KR 20220022836A KR 102641753 B1 KR102641753 B1 KR 102641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ng
shoelace
alignment unit
certain area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5958A (ko
Inventor
이현규
Original Assignee
이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규 filed Critical 이현규
Priority to KR1020220022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753B1/ko
Publication of KR20230125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2Fastening devices with elastic tightening parts between pairs of eyelets, e.g. clamps, springs, band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발끈을 구속하는 형태로 신발에 단단히 결속하면서 조이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 발에 신발을 쉽고 간편하며 안정적으로 착용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는, 신발에 결속되는 신발끈의 제1 갈래와 제2 갈래를 한 곳에 정렬하는 정렬부; 및 상기 정렬부에서 돌출되는 제1 갈래와 제2 갈래를 각각 내부에서 외부로 동일방향 또는 상이한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복수개의 통과홀을 포함하고,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상기 정렬부의 외면에 장착된 후, 절곡되어 상기 신발에 결속되어 있는 신발끈의 일정영역에 접촉되는 마감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끈 조임장치{DIVICE FOR SHOELACE TIGHTENING}
본 발명은 신발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화, 구두, 등산화 등과 같은 신발이나, 가방, 배낭, 옷에 구비되는 끈의 조임이 필요한 곳에 적용하여 끈을 쉽고 깔끔하게 조이거나, 조임을 쉽게 해제할 수 있는 신발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가방, 배낭, 옷, 신발에는 자신의 신체에 잘 맞도록 조이기 위한 조임끈이 구비된다.
신발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신발이 각 개인의 발에 잘 맞도록 하기 위한 신발끈이 구비된다. 착용자는 안전하고 쾌적 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신발을 신은 후 신발끈을 적절히 당겨 조임으로써 자신의 발과 신발이 밀착되도록 한다.
한편, 신발을 신고 벗을 때마다 신발끈을 풀거나 다시 조이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인데,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한 줄 길이 조절장치들이 다수 개발,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제959800호(2010. 5. 28 공고)에는, 고정하우징, 고정하우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하우징, 고정 및 회전하우징 내에 마련되며, 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권취드럼, 고정 및 회 전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되, 고정 및 회전하우징이 상호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 1 톱니치형 및 제2 톱니치형, 고정 및 회전하우징 중 상기 제1 톱니치형 및 제2 톱니치형이 구비되지 않은 다른 한 하우징에 마련되며, 권취드럼에 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될 수 있도록 제1 톱니치형 또는 제2 톱니치형과, 등록실용신안 맞물려 상호 작용하는 래치, 권취드럼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 회전하 우징에 형성되고 가이드돌기가 수용되어 안내되는 돌기안내부, 회전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자유곡선형 스프 링, 및 래치가 제1 톱니치형 및 제2 톱니치형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고정 및 회전하우징을 결 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줄 길이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제1147681호(2012. 5. 22 공고)에는, 고정하우징과, 고정하우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 합되는 회전하우징, 고정하우징 및 회전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권취드럼, 고정하우징 및 회전하우징을 결합 시키는 결합유닛, 및 회전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자유곡선형 스프링을 포함하며, 고정하우징 및 회전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의 일측에는 제1 톱니치형 및 제2 톱니치형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톱니치형 및 제2 톱니치 형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른 한 하우징에는 제2 톱니치형 또는 제1 톱니치형과 선택적으로 맞물려 상호 작용 하는 래치가 구비되며, 회전하우징의 하부 영역 및 권취드럼의 상부 영역에는 상호 맞물리면서 작용하는 하우징 결합톱니 및 드럼 결합톱니가 각각 원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가 개시 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1107372호(2012. 1. 19 공고)에는, 중앙 영역에 드럼 회전축이 형성되는 고정하 우징과, 고정하우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하우징, 고정하우징과 회전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며, 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권취부가 구비되는 권취드럼, 및 고정하우징 및 회전하우징을 결합시키며 줄의 권 취 또는 권취해제 동작을 위하여 회전하우징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가이드하는 결합유닛 가이드 샤프트를 포함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959800호 등록특허공보 제10-1147681호 등록특허공보 제10-1107372호
본 발명은, 신발끈을 구속하는 형태로 신발에 단단히 결속하면서 조이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 발에 신발을 쉽고 간편하며 안정적으로 착용시킬 수 있는 신발끈 조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신발끈을 매듭지지 않기 때문에 매듭이 풀어지는 현상이 원천적으로 발생되지 않고, 신발끈을 결속하는 과정에서 신발끈의 길이가 점진적으로 짧아지기 때문에 신발끈 지면에 접촉되어 훼손되거나 본인 또는 타인이 밟는 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 신발끈 조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는, 신발에 결속되는 신발끈의 제1 갈래와 제2 갈래를 한 곳에 정렬하는 정렬부; 및 상기 정렬부에서 돌출되는 제1 갈래와 제2 갈래를 각각 내부에서 외부로 동일방향 또는 상이한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복수개의 통과홀을 포함하고,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상기 정렬부의 외면에 장착된 후, 절곡되어 상기 신발에 결속되어 있는 신발끈의 일정영역에 접촉되는 마감캡을 포함하고, 상기 정렬부 및 상기 마감캡에는 절곡을 가이드하기 위한 절곡가이드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마감캡에는 제1 갈래의 일정영역과 제2 갈래의 일정영역을 순차적으로 출입하거나 또는 상기 제2 갈래의 일정영역과 제1 갈래의 일정영역이 순차적으로 출입하는 출입홀이 상기 마감캡의 절곡가이드홀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정렬부 및 상기 마감캡은 상기 절곡가이드홀을 통해 절곡되어 상기 마감캡이 신발에 기 결속되어 있던 신발끈의 상측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정렬부는 내부에 상기 신발끈의 제1 갈래와 제2 갈래의 일정영역을 외부로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정렬부에는 상기 제1 갈래와 제2 갈래의 일정영역을 상기 마감캡의 내벽면에 가압하여 홀딩시키는 홀딩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딩부는 상기 정렬부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연속적으로 교차형성 되는 산부 및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부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골부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갈래 및 제2 갈래의 일정영역을 각각 구속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정렬부에 선행하여 상기 제1 갈래와 제2 갈래를 한 곳에 모아 상기 정렬부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부가 통과홀을 포함하고, 상기 신발에 결속된 신발끈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마감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는, 본 발명은, 신발끈을 구속하는 형태로 신발에 단단히 결속하면서 조이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 발에 신발을 안정적으로 착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신발끈을 매듭지지 않기 때문에 매듭이 풀어지는 현상이 원천적으로 발생되지 않고, 신발끈을 결속하는 과정에서 신발끈의 길이가 점진적으로 짧아지기 때문에 신발끈 지면에 접촉되어 훼손되거나 본인 또는 타인이 밟는 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렬부와 마감캡으로 신발끈의 일정영역을 압착하여 결속함으로써, 마감캡을 정렬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장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내에 들어가기 위해 신발을 벗고자 할 경우, 마감캡을 상 방향으로 약 90도 각도로 절곡시켜 기립시킨 다음, 마감캡만 정렬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기만 하면, 마감캡을 정렬부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지지부와 정렬부 및 마감캡을 신발끈의 상측 끝부분으로 당기면 신발에 대한 신발끈의 조임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신발을 용이하게 벗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를 도시한 분해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가 신발끈에 대략적으로 적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가 신발끈에 대략적으로 적용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를 신발끈에 적용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를 도시한 분해 도시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가 신발끈에 대략적으로 적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가 신발끈에 대략적으로 적용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를 신발끈에 적용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1)는, 신발끈(3)에 있어서 신발(2)에 결속되어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로 나뉘어지는 부분을 한 곳에 정렬 및 고정하여 신발(2)의 미관 및 외관미를 향상할 수 있으며, 신발끈(3)을 간단하게 조이거나 풀 수 있는 제품이다.
통상적으로 신발끈(3)은 신발(2)의 설포가 위치하게 되는 갑피의 상부 양측에 다수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된 구멍, 아이릿(eyelet)과 같은 결속수단에 지그재그 형태로 통과하면서 결속된다.
그리고, 결속수단에 의해 신발끈(3)은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로 나뉘어 지며, 제1 갈래(3a) 및 제2 갈래(3b)의 상측영역은 최종적으로 최상부 좌측과 우측에 위치된 결속수단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제1 갈래(3a) 및 제2 갈래(3b)는 일정길이로 돌출되기 때문에 보행의 방해나 자체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형태로 조임 및 결속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1)는, 종래와 차별화되게 신발끈(3)을 고정 및 결속할 수 있도록 지지부(30)와, 정렬부(10) 및 마감캡(20)을 제공하여 신발끈(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원형 판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지지부(30)에는 신발(2)의 최상부에 위치한 결속수단을 통과한 제1 갈래(3a) 및 제2 갈래(3b)를 1차적으로 정렬하면서 신발끈(3) 중 신발(2)에 결속된 영역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마감캡(20)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지지부(30)에는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를 한 곳에 모아 정렬부(10)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부가 통과홀(31)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 통과홀(31)은 1개 또는 2개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 통과홀(31)이 1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 갈래(3a) 및 제2 갈래(3b)를 공동으로 통과시키도록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야 한다.
부가 통과홀(31)이 2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 갈래(3a) 및 제2 갈래(3b)와 동일한 단면 형상 및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정렬부(10)는 신발(2)에 결속되는 신발끈(3)의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를 2차적으로 한 곳에 정렬하는 구성이다.
정렬부(10)는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의 일정길이 영역을 공동으로 정렬하도록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다.
정렬부(10)의 내부에는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의 일정영역을 외부로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간이 형성된다.
즉, 지지부(30)를 통과한 제1 갈래(3a) 및 제2 갈래(3b)의 일정영역은 정렬부(10)의 통과공간에 2차로 공동으로 정렬되고, 제1 갈래(3a) 및 제2 갈래(3b)의 상측 영역은 정렬부(1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부가적으로, 정렬부(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1 갈래(3a)의 제2 갈래(3b)의 일정영역을 마감캡(20)의 내벽면이나 천장면에 가압하여 홀딩시키기 위한 홀딩부(11)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일 예로, 홀딩부(11)는 정렬부(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연속적으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산부(111) 및 골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산부(111)는 제1 갈래(3a) 및 제2 갈래(3b)에 대한 가압력과 홀딩력이 우수하도록 대략 삼각형과 같이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골부(112)는 산부(111)의 형상과 대응되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갈래(3a)의 일정영역인 제1 영역(3c)은 어느 하나의 골부(112)에 수용되고, 제1 영역(3c)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제2 영역(3d)은 골부(11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된 산부(111)에 의해 가압되면서 마감캡(20)의 내벽면이나 천장면에 가압되어 홀딩된다.
부가적으로, 정렬부(10)의 하부 일측면에는 소정면적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곡가이드홀(12)이 형성된다.
절곡가이드홀(12)은 정렬부(10)가 제1 갈래(3a) 및 제2 갈래(3b)와 함께 절곡 및 전도되어 결속수단에 결속된 신발끈(3)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한다.
절곡가이드홀(12)에 대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마감캡(20)은 정렬부(10)의 노출을 방지하면서 제1 갈래(3a) 및 제2 갈래(3b)를 정렬부(10)의 홀딩부(11)와 상호 작용에 의해 구속시키는 구성이다.
마감캡(20)은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정렬부(10)가 수용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마감캡(20)의 저면 개방된 부분은 정렬부(10)와 제1 갈래(3a) 및 제2 갈래(3b)가 출입하는 출입구 용도로 사용된다.
정렬부(1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는 마감캡(20)의 빈 공간에 수용된다.
마감캡(20)에는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를 빈 공간에서 외부로 통과시켜 돌출시키는 복수개의 통과홀(21)이 형성된다.
이때, 통과홀(21)은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를 동일방향 또는 상이한 방향으로 통과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통과홀(21)이 마감캡(2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마감캡(20)은 정렬부(10)의 외면에 장착된 상태로 하 방향으로 절곡되어 신발(2)에 결속되어 있는 신발끈(3)의 일정영역 상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위해 마감캡(20)의 하측에는 하 방향 절곡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절곡가이드홀(22)이 형성된다.
마감캡(20)의 절곡가이드홀(22)과 정렬부(10)의 절곡가이드홀(12)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물론, 정렬부(10)의 절곡가이드홀(12)은 마감캡(20)의 절곡가이드홀(22)보다 내측에 위치된다.
부가적으로, 마감캡(20)에는 제1 갈래(3a)의 일정영역과 제2 갈래(3b)의 일정영역을 순차적으로 출입하거나 또는 상기 제2 갈래(3b)의 일정영역과 제1 갈래(3a)의 일정영역이 순차적으로 출입하는 출입홀(23)이 형성된다.
마감캡(20)의 절곡가이드홀(22)과 출입홀(23)은 통과홀(21)의 사이 영역에 형성된다.
출입홀(23)은 마감캡(20)의 절곡가이드홀(22)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출입홀(23)은 마감캡(20)의 절곡가이드홀(22)보다 아래쪽에 위치된다.
출입홀(23)은 마감캡(20)의 절곡가이드홀(22)의 폭 길이보다 작은 폭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출입홀(23)은 제1 갈래(3a) 또는 제2 갈래(3b)의 폭 길이와 동일하거나 조금 더 긴 폭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출입홀(23)은 제1 갈래(3a)의 일정영역과 제2 갈래(3b)의 일정영역을 순차적으로 통과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갈래(3b)의 일정영역과 제1 갈래(3a)의 일정영역이 순차적으로 통과시킨다.
이상 설명한 마감캡(20)은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이므로, 심플한 이미지를 연출하도록 어느 하나의 색상이 표면에 인쇄될 수 있다.
마감캡(20)을 화려한 이미지로 연출하고자 할 경우, 적어도 2개 이상의 색상을 알록달록한 패턴으로 인쇄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마감캡(20)에는 색상과 더불어 문양, 도형, 무늬 등 다양한 종류의 장식수단이 인쇄될 수 있다.
더불어, 야간에도 신발(2)을 독특하게 장식하기 위해 마감캡(20)에는 야광도료가 코팅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정렬부(10)의 하부 타측면과 마감캡(20)의 하부 타측면에는 표시부(10a,20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30)의 상면에도 표시부(30a)가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10a,20a,3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1)를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에 적용할 때, 기준점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홈이나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특정 색상을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10a,20a,30a)는 정렬부(10)의 절곡가이드홀(12)과 마감캡(20)의 절곡가이드홀(22)이 전,후 방향으로 마주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절곡가이드홀(12,22)을 정렬부(10)의 전면과 마감캡(20)의 전면에 각각 형성하고, 표시부(10a,20a)를 정렬부(10)의 후면과 마감캡(20)의 후면에 각각 형성하면 된다.
따라서, 정렬부(10)를 지지부(30)의 상면에 안착하되, 정렬부(10)의 표시부(10a)가 지지부(30)의 표시부(30a)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안착한 다음, 마감캡(20)의 표시부(20a)가 정렬부(10)의 표시부(10a) 전방에 위치되도록 마감캡(20)을 정렬부(10)에 장착하면, 정렬부(10)의 절곡가이드홀(12)과 마감캡(20)의 절곡가이드홀(22)이 자연스럽게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게 된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신발끈 조임장치(1)의 작동 예 및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부에 위치한 2개의 결속수단 상측으로 돌출된 제1 갈래(3a) 및 제2 갈래(3b)를 지지부(30)의 부가 통과홀(31)에 통과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갈래(3a) 및 제2 갈래(3b)의 일정영역이 지지부(30)에 의해 정렬된다.
이후, 도 4와 같이, 지지부(30)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를 정렬부(10)의 내부공간에 통과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제1 갈래(3a) 및 제2 갈래(3b)의 일정영역이 정렬부(10)에 의해 정렬된다.
이후에, 정렬부(10)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를 마감캡(20)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통과홀(21)에 각각 통과시킨다.
이때, 마감캡(20)은 정렬부(10)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를 통과홀(21)에 각각 통과시킨 다음에는 마감캡(20)을 하강시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캡(20)의 저면을 지지부(30)의 상면에 안착시키면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갈래(3a) 및 제2 갈래(3b)의 일정영역은 홀딩부(11)에 의해 홀딩되고, 다른 일정영역은 정렬부(10)의 외면과 마감캡(20)의 내면 사이에 압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의 길이가 점진적으로 짧아지게 됨으로,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의 끝부분 영역만 마감캡(20)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돌출된다.
이와 같이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의 길이가 점진적으로 짧아지게 됨으로, 보행시 바닥에 접촉되지 않고 신발(2)에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에, 마감캡(20) 및 정렬부(10)를 동시에 하 방향으로 절곡하여 결속수단에 기 결속되어 있던 신발끈(3)의 상측에 접촉시켜야 하는데, 도 5와 같이,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가 모두 절곡가이드홀(12,22)을 바라보고 있는 바,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의 저항에 의해 마감캡(20) 및 정렬부(10)를 절곡시키기 쉽지 않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캡(20)을 우측방향(또는 좌측방향)으로 90도 각도로 회전시키면 제2 갈래(3b)가 먼저 출입홀(23)을 빠져나가고 제1 갈래(3a)가 이어서 빠져 나갈 수 있는 상태로 만든다.
이와 같은 경우, 마감캡(20)을 하 방향 즉, 신발(2) 방향으로 절곡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마감캡(20)은 신발(2)의 측방향을 바라보기 때문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캡(20)을 다시 좌측방향으로 90도 각도로 회전시켜 신발(2)의 착용을 완료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1)는, 정렬부(10)와 마감캡(20)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를 신발(2)에 단단히 결속하면서 조이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 발에 신발(2)을 안정적으로 착용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일반적인 신발(2)의 경우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를 매듭지어 착용하였는바, 일정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매듭이 자연스럽게 풀어지거나 매듭력이 약해지고, 특히 새로 산 신발(2)의 경우 신발끈(3)에 마찰력이 없기 때문에 하루에도 수 차례씩 풀어지며, 본인 또는 타인이 밟을 경우 쉽게 풀어졌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1)의 경우, 기본적으로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를 매듭지지 않기 때문에 매듭이 풀어지는 현상이 원천적으로 발생되지 않고,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를 결속하는 과정에서는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의 길이가 점진적으로 짧아지기 때문에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가 지면에 접촉되어 훼손되거나 본인 또는 타인이 밟는 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해줄 수 있다.
그리고,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의 일정영역이 정렬부(10)와 마감캡(20)의 사이에 압착되는 바, 마감캡(20)은 마치 정렬부(1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장착되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실내에 들어가기 위해 신발(2)을 벗고자 할 경우, 마감캡(20)을 상 방향으로 약 90도 각도로 절곡시켜 기립시킨 다음, 마감캡(20)만 정렬부(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기만 하면, 마감캡(20)을 정렬부(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후, 지지부(30)와 정렬부(10) 및 마감캡(20)을 제1 갈래(3a)와 제2 갈래(3b)의 상측 끝부분으로 당기면 신발(2)에 대한 신발끈(3)의 조임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신발(2)을 용이하게 벗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신발끈 조임장치 10 : 정렬부
10a,20a,30a : 표시부 11 : 홀딩부
111 : 산부 112 : 골부
12,22 : 절곡가이드홀 20 : 마감캡
21 : 통과홀 23 : 출입홀
30 : 지지부 31 : 부가 통과홀

Claims (5)

  1. 신발에 결속되는 신발끈의 제1 갈래와 제2 갈래를 한 곳에 정렬하는 정렬부; 및
    상기 정렬부에서 돌출되는 제1 갈래와 제2 갈래를 각각 내부에서 외부로 동일방향 또는 상이한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복수개의 통과홀을 포함하고,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상기 정렬부의 외면에 장착된 후, 절곡되어 상기 신발에 결속되어 있는 신발끈의 일정영역에 접촉되는 마감캡을 포함하고,
    상기 정렬부 및 상기 마감캡에는 절곡을 가이드하기 위한 절곡가이드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마감캡에는 제1 갈래의 일정영역과 제2 갈래의 일정영역을 순차적으로 출입하거나 또는 상기 제2 갈래의 일정영역과 제1 갈래의 일정영역이 순차적으로 출입하는 출입홀이 상기 마감캡의 절곡가이드홀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정렬부 및 상기 마감캡은 상기 절곡가이드홀을 통해 절곡되어 상기 마감캡이 신발에 기 결속되어 있던 신발끈의 상측에 접촉되는 신발끈 조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내부에 상기 신발끈의 제1 갈래와 제2 갈래의 일정영역을 외부로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정렬부에는 상기 제1 갈래와 제2 갈래의 일정영역을 상기 마감캡의 내벽면에 가압하여 홀딩시키는 홀딩부가 형성된 신발끈 조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정렬부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연속적으로 교차형성 되는 산부 및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부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골부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갈래 및 제2 갈래의 일정영역을 각각 구속할 수 있는 신발끈 조임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에 선행하여 상기 제1 갈래와 제2 갈래를 한 곳에 모아 상기 정렬부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부가 통과홀을 포함하고, 상기 신발에 결속된 신발끈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마감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신발끈 조임장치.
KR1020220022836A 2022-02-22 2022-02-22 신발끈 조임장치 KR102641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836A KR102641753B1 (ko) 2022-02-22 2022-02-22 신발끈 조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836A KR102641753B1 (ko) 2022-02-22 2022-02-22 신발끈 조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958A KR20230125958A (ko) 2023-08-29
KR102641753B1 true KR102641753B1 (ko) 2024-02-29

Family

ID=87802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836A KR102641753B1 (ko) 2022-02-22 2022-02-22 신발끈 조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7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089Y1 (ko) * 2001-06-29 2001-11-16 백남일 신발끈 고정구
KR200466366Y1 (ko) * 2013-02-19 2013-04-11 김영채 끈 조임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800B1 (ko) 2009-08-28 2010-05-28 소윤서 줄 길이 조절장치
KR101037290B1 (ko) * 2010-09-03 2011-05-27 (주)슈추어 신발용 장식구
KR101147681B1 (ko) 2011-04-05 2012-05-22 소윤서 줄 길이 조절장치
KR101107372B1 (ko) 2011-05-30 2012-01-19 소윤서 줄 길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089Y1 (ko) * 2001-06-29 2001-11-16 백남일 신발끈 고정구
KR200466366Y1 (ko) * 2013-02-19 2013-04-11 김영채 끈 조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958A (ko)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7361B1 (en) Variable ratio control shoe with automatic tying and untying shoelace
US7143486B2 (en) Anchoring device for fastening laces
US8056265B2 (en) Shoe tying aid and method
US20230118496A1 (en) Adjustable stop piece for lacings and method of use
JP4874986B2 (ja) ケーブル締め付け機構およびその付勢方法
KR200480235Y1 (ko)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CN114158252B (zh) 线卷曲调整装置及卷线盘
JP2022116190A (ja) 履物閉鎖システム
CA2795758C (en) Adjustable stop piece for lacings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8991018B2 (en) Shoelace fastener system
US20170280827A1 (en) Adjustable Shoelace Fastener and Method of Use
JP5017367B2 (ja) 靴紐クロージャー
US20140041167A1 (en) Elastic Shoe Lace with Fastener
KR102641753B1 (ko) 신발끈 조임장치
US10575592B1 (en) Lace tighte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445965B1 (ko) 끈을 단번에 결속시키는 신발 및 그 신발끈 결속방법
KR200467145Y1 (ko)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는 신발
KR102374006B1 (ko)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
KR102449997B1 (ko)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JP5727770B2 (ja) 靴ひもの締付構造及び靴ひもの締付方法
US20060042056A1 (en) Shoelace tightening device
US6112379A (en) Fastener device for strings
EP1417903A1 (en) A gripper device
WO2017164235A1 (ja)
KR102254695B1 (ko) 신발끈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하여 신발끈을 고정하는 방법 및 그러한 신발끈 고정구를 포함하는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