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305B1 - 고민감도 신속 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고민감도 신속 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305B1
KR102361305B1 KR1020200054749A KR20200054749A KR102361305B1 KR 102361305 B1 KR102361305 B1 KR 102361305B1 KR 1020200054749 A KR1020200054749 A KR 1020200054749A KR 20200054749 A KR20200054749 A KR 20200054749A KR 102361305 B1 KR102361305 B1 KR 102361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lateral flow
measurement assembly
unit
lo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1657A (ko
Inventor
김수홍
Original Assignee
(주)페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페블아이 filed Critical (주)페블아이
Priority to US17/308,074 priority Critical patent/US11486832B2/en
Priority to EP21172375.4A priority patent/EP3907505A3/en
Priority to CN202110495555.8A priority patent/CN113624961A/zh
Publication of KR20210111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G01N33/54388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based on lateral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5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using diffusion or migration of antigen or antibod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91Heated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58Strips for collecting blood, e.g. absorb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755Blood sample preparation for further analysis, e.g. by separating blood components or by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1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interfacing components, e.g. fluidic, electrical, optical or mechanical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the means or forces applied to move the fl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5Investigating moving fluids or granular so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G01N33/54391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based on vertical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03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 A61B2010/0006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involving a colour 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6Reagents, handling or stor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25Test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0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 B01L2400/0406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capillary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2Mechanical
    • G01N2201/023Controlling conditions in casing
    • G01N2201/0231Thermost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카트리지가 로딩되며, 본체 하우징에 대해 카트리지의 측방 유동 방향의 경사를 가지는 측정 조립체를 포함하는 측방유동 진단 장치가 개시된다. 본체 하우징과 측정 조립체는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경사 구동부에 의해 측정 조립체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카트리지 로딩면에 진동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카트리지를 향해 고정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민감도 신속 진단 장치{lateral flow rapid diagnostics testing apparatus with high sensitivity}
의료용 진단기, 특히 측방유동 (Lateral flow) 체외 진단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분석(immune-chromatography)은 항원-항체가 결합하는 면역 반응을 이용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검사기법으로, 그 측정 구조에 초점을 맞추어 측방 유동 분석(lateral flow assay)이라고도 하고 유전자 증폭 검사 등에 비해 짧은 검사 시간에 초점을 맞추어 래피드 키트(rapid-kit)라고도 한다.
통상적으로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은 질병을 일으키는 항원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골드 나노 입자와 결합하여 컨쥬게이트 패드에 고정시키고, 다른 한 종의 항체는 다공성 막에 고정시킨 후, 검사하고자 하는 시료를 샘플 패드에 흡수시켜서 다공성 막을 따라 진행하도록 한다. 시료 내에 항원이 있을 경우, 컨쥬게이트 패드의 골드 나노 입자와 결합된 항체가 결합한 후 다공성 막을 따라 지나가면서 검사선(Test line)에 고정된 항체와 결합하여 골드 나노 입자의 색이 나타나 양성을 나타내고, 항원이 결합되지 않는 항체는 대조선(Control Line)에서 결합하여 골드 나노 입자의 색이 나타난다.
기존의 측방유동 (Lateral flow) 신속진단키트(Rapid diagnostics tests)들은 플라스틱 카트리지에 들어있는 검사 스트립을 평평한 면에 놓고, 검체 투입후 5~15분 정도 경과후 눈으로 라인을 읽는다. 최근에는 판정 오류를 줄이기 위해 이미지 센서나 포토 다이오드로 정량, 자동화하기도 한다. 이러한 진단 장치들은 대부분 모세관 현상에 기초하여 반응이 진행되므로 진단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0001)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11815호 (2007.01.25. 공개)
제안된 발명은 측방유동 진단 장치에서 반응성을 높여 민감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안된 발명은 측방 유동 진단 장치에서 반응성을 높여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제안된 발명은 측방유동 진단 장치에서 반응성을 높여 민감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안된 발명은 측방 유동 진단 장치에서 반응성을 높여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검체 투입 후 측방 유동을 제어촉진하기 위해 카트리지의 측방유동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는 구조가 제안된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검체 투입후 믹싱과 측방 유동 전개 시에 카트리지의 경사 각도를 제어하여 유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제안된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카트리지에 가열 수단을 구비하여 카트리지의 온도를 최적 반응 온도에 맞출 수 있다.
나아가 물리적인 진동 수단을 채택하여 검체와 시약간 반응이 촉진되도록 외부에서 에너지를 공급해 줄 있다. 더 나아가 측방 유동을 촉진하고 믹싱을 촉진하기 위해 진동 방향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제안된 발명은 측방유동 진단키트에서 반응성을 높여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검체와 항체를 포함하여의 결합 및 항체반응에 영향을 주는 물질들 간의 결합을 촉진하여 민감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제안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유동 진단 장치의 기구적인 구성을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2는 제안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유동 진단 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측정계가 경사 구동되는 모습을 각도별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및 그 로딩된 카세트의 구성을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제안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유동 체외 진단 방법의 구성을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방 유동 진단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측방 유동 진단 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안된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방 유동 진단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클램프(9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다.
도 12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안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유동 진단 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제안된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제안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유동 진단 장치의 기구적인 구성을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유동 진단 장치는 본체 하우징(30)과, 측정 조립체(10)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 따라, 측정 조립체(10)는 본체 하우징(130)에 대해 카트리지의 측방 유동 방향의 경사를 가진다.
측정 조립체(10)는 카트리지(70)가 로딩되는 카트리지 로딩 면을 구비하며,로딩 면에는 측방 유동 진단 카트리지(70)가 로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도 1은 이 수용홈에 카트리지(70)가 로딩된 모습을 도시한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체 하우징(30)과 측정 조립체(10)는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체 하우징(30)은 하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측정 조립체(10)는 힌지부(15)를 중심으로 이 본체 하우징(30)의 수용 공간 안에서 그네처럼 회전된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 하우징(30)에 대해 측정 조립체(10)가 이루는 경사각은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경사각을 조절하여 측방 유동 진단 카트리지(70) 내의 시료, 촉매 혹은 반응 관련 액체의 모세관 현상에 의한 흐름유동을 가속하거나 감속시킬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체 하우징(30)에 대해 측정 조립체(10)가 이루는 경사각은 자동으로 구동됨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측방 유동 진단 장치는 힌지부(15)와, 경사 구동부(16)와, 제어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15)는 본체 하우징(30)과 측정 조립체(1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경사 구동부(16)는 힌지부(15)에 결합되어 본체 하우징(30)에 대해 측정 조립체(10)를 회전 구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경사 구동부(16)는 회전 모터, 그리고 선택적으로 하나 혹은 복수의 기어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모터는 측정 조립체(10) 측에 설치되어 본체 하우징(30)을 회전 구동하여 상대적인 경사를 조절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터는 본체 하우징(30) 측에 설치되어 측정 조립체(10)를 회전 구동할 수도 있다.
도 2는 제안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유동 진단 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부(100)는 측정 조립체(10)의 측방에 고정되는 기판 상에 구현되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부(100)의 구성으로 도시된 분석부(110), 경사 조절부(130), 진동 조절부(130), 그리고 온도 조절부(170)의 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어 세트로 구현될 수 있다. 이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메모리(120)에 저장되고 거기서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하나 혹은 상이한 종류의 복수의 기억 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부(140)는 키버튼으로 구현되며, 카트리지(70)를 로딩하기 위한 로딩 버튼을 포함한다. 표시부(160)는 장치의 동작 상태와 유저 인터페이스, 그리고 측정 값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일 양상에 따라 제어부(100)는 경사 조절부(130)를 구비한다. 경사 조절부(130)는 경사 구동부(16)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여 본체 하우징(30)에 대한 측정 조립체(10)의 경사를 조절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측정계가 경사 구동되는 모습을 각도별로 도시한다. 0˚는 트레이에 카트리지(70)가 로딩될 때의 각 위치이다. 도 3은 추가로 측정 조립체(10)가 본체 하우징(30)과 이루는 각이 20˚, 60˚, 90˚인 경우에 대해 도시한다. 카트리지에서 검체가 주입되는 샘플 패드가 있는 쪽이 높도록 측방 유동 방향의 경사를 가질 경우 측방 유동은 가속될 수 있다. 제어부(100)의 경사 조절부(130)는 카트리지(70)의 종류에 따라, 측정의 단계에 따라 경사 각도를 달리 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라, 측정 조립체(10)는 카트리지(70)가 로딩되는 트레이(11)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11) 상면에는 측방 유동 진단 카트리지(70)가 수납되어 고정되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레이(11)는 측정 조립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레이(11)는 트레이 레일(13)에 가이드되어 전방으로 인출되고, 카트리지(70)가 로딩된 후 측정 위치로 복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레이(11) 상면에는 카트리지(70)가 로딩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카트리지 센서(57)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센서(57)는 카트리지 수용홈 상면에 설치되어 카트리지를 검출하는 광센서로 구현된다. 또 도시된 실시예는 트레이(11)를 트레이 레일(13)을 따라 인출하고 되돌리는 트레이 구동부(59)를 구비한다. 트레이 구동부(59)는 트레이를 선형 구동하기 위해 트레이 측면에 형성된 랙 구조와 모터 및 그 회전축에 고정된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측정 조립체(10)는 광학 센서(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광학 센서(14)는 트레이(11)의 상부의 측정 조립체(10) 천정면에 고정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광학 센서(14)는 카메라 모듈로 구현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학 센서(14)는 광검출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측정 조립체(10)는 조명(lighting)(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미약한 발색 반응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 충분하고 균일한 광을 제공하도록 조명(12)이 트레이(11)의 카트리지(70) 로딩면 상부에 주의 깊게 배열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부(100)는 분석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부(110)는 광학 센서(14)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분석하여 카트리지(70)의 발색을 판단하여 진단을 처리한다. 광학 센서(14), 즉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에서 검사선 부근과 대조선 부근의 발색 부분이 휘도 값에 기초하여 검출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카트리지(70)를 진동시켜 외부에서 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검체와 시약간 반응을 촉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정 조립체(10)는 진동 구동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 구동부(53)는 측방 유동 카트리지(70) 내에서 시료, 촉매 혹은 반응 관련 액체의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기계적인 진동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진동 구동부(53)는 선형 공진 액츄에이터(LRA :Linear Resonant Actuator), 편심 진동 액츄에니터(ERM : Eccentric Rotating Mass), 피에조 트렌스듀서 혹은 초음파 트렌스듀서 중 하나 혹은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채택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구동부(53)는 X축 진동부(5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X축 진동부(53-1)는 카트리지(70)를 길이 방향, 즉 측방 유동 방향으로 진동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X축 진동부(53-1)는 X축 방향으로 설치된 선형 공진 액츄에이터로 구현된다.
추가적으로, 진동 구동부(53)는 Y축 진동부(5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Y축 진동부(53-2)는 카트리지(70)를 폭 방향으로 진동시킨다. 이러한 폭 방향 진동은 에너지를 공급하여 생화학 반응을 촉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Y축 진동부(53-2)는 Y축 방향으로 설치된 선형 공진 액츄에이터로 구현된다.
추가적으로, 진동 구동부(53)는 Z축 진동부(5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Z축 진동부(53-3)는 카트리지(70)를 두께 방향으로 진동시킨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Z축 진동부(53-3)는 Z축 방향으로 설치된 선형 공진 액츄에이터로 구현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및 그 로딩된 카세트의 구성을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X축 진동부(53-1), Y축 진동부(53-2) 및 Z 축 진동부(53-3)는 트레이(11)에 매립되어 트레이를 각각의 방향으로 진동시킨다. 그러나 제안된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트레이(11) 내부에 카트리지(70)가 로딩되는 수용홈이 별도의 용기로 구성되고, 트레이(11)의 나머지 부분과 X축 진동부(53-1) 및 Y축 진동부(53-2)를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Z축 진동부(53-3)는 카트리지가 로딩되는 로딩면의 바닥의 구멍을 통해 카트리지에 직접 접촉되도록 노출되는 진동자 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진동자 팁(T)은 트레이(11) 바닥의 구멍을 통해 카트리지(70)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트레이(11)의 카트리지 수용홈 바닥에 구멍이 형성된다. Z축 진동부(53-3)의 하우징은 트레이의 바닥면 고정홈에 고정되며, 진동자 팁(T)은 구멍을 통해 트레이(11)의 카트리지 수용홈 바닥의 구멍을 통해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자 팁은 원형으로 카트리지의 측방 유동 방향의 말단 측에 Z축 방향 진동을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진동자 팁은 한 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측방 유동 진단 장치는 카트리지(70) 내의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반응에 적합한 온도로 카트리지(70)를 가열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측방 유동 진단 장치는 가열부(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55)는 카트리지(70)를 향하도록 측정 조립체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열부(55)는 트레이의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수용홈의 바닥 혹은 그 바깥 면에 배열된 열선일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가열부(55)는 비접촉 방식의 적외선 히터일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히터(55)는 카트리지(70)의 검사선 부근을 가열하도록 트레이 상방에서 카트리지(70)를 향하도록 측정 조립체(10)에 설치된다.
도 6은 제안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유동 체외 진단 방법의 구성을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도 6의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의 분석부(110)는 조작부(140)에서 로딩 버튼이 눌러지는 것을 검출하여 분석 처리를 개시한다. 분석부(110)는 카트리지 구동부(59)를 구동하여 트레이(11)를 인출시킨다. 이후에 카트리지 센서(57)를 통해 카트리지(70)가 트레이(11)에 로딩되는 것을 검출하면, 카트리지 구동부(59)를 구동하여 트레이(11)를 원위치로 끌어들인다. 이후에 경사 조절부(130)를 통해 설정된 경사로 경사 구동부(16)를 구동하고, 진동 조절부(150)를 통해 설정된 하나 혹은 복수의 방향으로 진동 구동부(53)를 구동하며, 온도 조절부(170)를 통해 가열부(55)를 구동하여 설정된 최적의 온도로 가열한다. 이후에 분석부(110)는 조명(12)을 턴온시키고 광학 센서(14)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검사선과 대조선의 발색을 검출하여 진단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표시부(160)에 출력한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방 유동 진단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유동 진단 장치는 본체 하우징(30)과, 측정 조립체(10)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 따라, 측정 조립체(10)는 본체 하우징(10)에 대해 카트리지의 측방 유동 방향의 경사를 가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체 하우징(30)과 측정 조립체(10)는 모서리가 연결된 판상의 일체형 구조를 가지나, 제안된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삼각뿔 형상의 다면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측정 조립체(10)는 카트리지(70)가 로딩되는 카트리지 로딩 면을 구비하며,로딩 면에는 측방 유동 진단 카트리지(70)가 로딩되는 수용홈(18)이 형성된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측정 조립체(10)는 4개의 수용홈(18)을 구비하여 4개 까지의 카트리지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이 진단 장치에서 첫번째, 세번째 수용홈(18)에는 카트리지(70)가 로딩되어 있고, 두번째, 네번째 수용홈(18)은 비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도 7의 실시예에서, 본체 하우징(30)에 대해 측정 조립체(10)가 이루는 경사각은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힌지와 고정단을 사용하여 이 측정 조립체(10)와 본체 하우징(30)이 이루는 경사각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카트리지(70)를 진동시켜 외부에서 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검체와 시약간 반응을 촉진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측정 조립체(10)는 진동 구동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 구동부(53)는 측방 유동 카트리지(70) 내에서 시료, 촉매 혹은 반응 관련 액체의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기계적인 진동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진동 구동부(53)는 선형 공진 액츄에이터(LRA :Linear Resonant Actuator), 편심 진동 액츄에니터(ERM : Eccentric Rotating Mass), 피에조 트렌스듀서 혹은 초음파 트렌스듀서 중 하나 혹은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채택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구동부(53)는 X축 진동부(5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X축 진동부(53-1)는 카트리지(70)를 길이 방향, 즉 측방 유동 방향으로 진동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X축 진동부(53-1)는 X축 방향으로 설치된 선형 공진 액츄에이터로 구현된다.
추가적으로, 진동 구동부(53)는 Y축 진동부(5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Y축 진동부(53-2)는 카트리지(70)를 폭 방향으로 진동시킨다. 이러한 폭 방향 진동은 에너지를 공급하여 생화학 반응을 촉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Y축 진동부(53-2)는 Y축 방향으로 설치된 선형 공진 액츄에이터로 구현된다.
추가적으로, 진동 구동부(53)는 Z축 진동부(5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Z축 진동부(53-3)는 카트리지(70)를 두께 방향으로 진동시킨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Z축 진동부(53-3)는 Z축 방향으로 설치된 선형 공진 액츄에이터로 구현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X축 진동부(53-1), Y축 진동부(53-2) 및 Z 축 진동부(53-3)는 측정 조립체(10)의 하부에 매립되어 카트리지를 각각의 방향으로 진동시킨다. 그러나 제안된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측정 조립체(10)에 카트리지(70)가 로딩되는 수용홈이 별도의 용기로 구성되고, 측정 조립체(10)의 나머지 부분과 X축 진동부(53-1) 및 Y축 진동부(53-2)를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Z축 진동부(53-3)는 카트리지가 로딩되는 로딩면의 바닥의 구멍을 통해 카트리지에 직접 접촉되도록 노출되는 진동자 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진동자 팁(T)은 측정 조립체(10) 바닥의 구멍을 통해 카트리지(70)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측정 조립체(10)의 카트리지 수용홈 바닥에 구멍이 형성된다. Z축 진동부(53-3)의 하우징은 측정 조립체(10)의 바닥면 고정홈에 고정되며, 진동자 팁(T)은 구멍을 통해 측정 조립체(10)의 카트리지 수용홈 바닥의 구멍을 통해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자 팁은 원형으로 카트리지의 측방 유동 방향의 말단 측에 Z축 방향 진동을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진동자 팁은 한 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측방 유동 진단 장치는 카트리지(70) 내의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반응에 적합한 온도로 카트리지(70)를 가열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측방 유동 진단 장치는 가열부(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55)는 카트리지(70)를 향하도록 측정 조립체에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열부(55)는 트레이(11)의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수용홈의 바닥면에 배설된 열선으로 구현된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측방 유동 진단 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부(100)는 측정 조립체(10)의 바닥에 고정되는 기판 상에 구현되며,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전기 회로로 구현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부(100)의 구성으로 도시된 진동 조절부(130)와 온도 조절부(170)의 구성은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전기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레이(11) 상면에는 카트리지(70)가 로딩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카트리지 센서(57)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센서(57)는 카트리지 수용홈 상면에 설치되어 카트리지를 검출하는 광센서로 구현된다.
전원이 켜지면 제어부(100)는 카트리지 센서(57)를 간헐적으로 활성화시켜 카트리지(70)가 트레이(11)에 로딩되는지 체크한다. 4개의 수용홈 중 하나에 카트리지가 검출되면, 해당하는 진동 조절부(150)를 통해 설정된 하나 혹은 복수의 방향으로 진동 구동부(53)를 구동하며, 온도 조절부(170)를 통해 가열부(55)를 구동하여 설정된 최적의 온도로 가열한다. 진단 결과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검사선과 대조선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제안된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방 유동 진단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유동 진단 장치는 본체 하우징(30)과, 측정 조립체(10)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 따라, 측정 조립체(10)는 본체 하우징(10)에 대해 카트리지의 측방 유동 방향의 경사를 가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체 하우징(30)과 측정 조립체(10)는 모서리가 연결된 판상의 일체형 구조를 가지나, 제안된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삼각뿔 형상의 다면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측정 조립체(10)는 카트리지(70)가 로딩되는 카트리지 로딩 면을 구비하며,로딩 면에는 측방 유동 진단 카트리지(70)가 로딩되는 수용홈(18)이 형성된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측정 조립체(10)는 4개의 수용홈(18)을 구비하여 4개 까지의 카트리지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설명을 위해 첫번째 수용홈은 완전한 외관을 도시하였고, 두번째, 네번째 수용홈은 클램프(90)를 제거한 모습인데 카트리지가 로딩되지 않은 상태로, 세번째 수용홈은 클램프(90)를 제거한 모습인데 카트리지가 로딩된 상태로 도시하였다.
도 7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도 10의 실시예에서 본체 하우징(30)에 대해 측정 조립체(10)가 이루는 경사각은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예를 들어 힌지와 고정단을 사용하여 이 측정 조립체(10)와 본체 하우징(30)이 이루는 경사각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구조로 쉽게 변형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측정 조립체(10)는 로딩된 카트리지를 상부에서 눌러 압박하는 클램프(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클램프(9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다. 클램프(90)는 측정 조립체(10) 상면에 힌지(95)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카트리지에 샘플을 주입한 후 클램프를 열어 카트리지를 장착하고 측정 시작 버튼을 누르면 측정 프로세스가 개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클램프(90) 내측 하면에는 탄성 고무(97)가 부착되어 있어 클램프를 체결하면 로딩된 카트리지의 상면을 압박하여 진동 구동부의 진동이 카트리지에 잘 전달되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클램프 일단에는 자석(93)이 구비되어 클램프(90)를 측정 조립체(10) 상면에 체결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클램프 상면의 관찰창(91)을 통해 측정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클램프(90)의 내측 관찰창(91) 주변에 조명(lighting)(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미약한 발색 반응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 충분하고 균일한 광을 제공하도록 조명(12)이 카트리지(70) 로딩면 상부에 주의 깊게 배열된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카트리지(70)를 진동시켜 외부에서 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검체와 시약간 반응을 촉진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측정 조립체(10)는 진동 구동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 구동부(53)는 측방 유동 카트리지(70) 내에서 시료, 촉매 혹은 반응 관련 액체의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기계적인 진동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진동 구동부(53)는 선형 공진 액츄에이터(LRA :Linear Resonant Actuator), 편심 진동 액츄에니터(ERM : Eccentric Rotating Mass), 피에조 트렌스듀서 혹은 초음파 트렌스듀서 중 하나 혹은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채택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구동부(53)는 X축 진동부(5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X축 진동부(53-1)는 카트리지(70)를 길이 방향, 즉 측방 유동 방향으로 진동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X축 진동부(53-1)는 X축 방향으로 설치된 선형 공진 액츄에이터로 구현된다.
추가적으로, 진동 구동부(53)는 Y축 진동부(5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Y축 진동부(53-2)는 카트리지(70)를 폭 방향으로 진동시킨다. 이러한 폭 방향 진동은 에너지를 공급하여 생화학 반응을 촉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Y축 진동부(53-2)는 Y축 방향으로 설치된 선형 공진 액츄에이터로 구현된다.
추가적으로, 진동 구동부(53)는 Z축 진동부(5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Z축 진동부(53-3)는 카트리지(70)를 두께 방향으로 진동시킨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Z축 진동부(53-3)는 Z축 방향으로 설치된 선형 공진 액츄에이터로 구현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X축 진동부(53-1), Y축 진동부(53-2) 및 Z 축 진동부(53-3)는 측정 조립체(10)의 하부에 매립되어 카트리지를 각각의 방향으로 진동시킨다. 그러나 제안된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측정 조립체(10)에 카트리지(70)가 로딩되는 수용홈이 별도의 용기로 구성되고, 측정 조립체(10)의 나머지 부분과 X축 진동부(53-1) 및 Y축 진동부(53-2)를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Z축 진동부(53-3)는 카트리지가 로딩되는 로딩면의 바닥의 구멍을 통해 카트리지에 직접 접촉되도록 노출되는 진동자 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진동자 팁(T)은 측정 조립체(10) 바닥의 구멍을 통해 카트리지(70)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측정 조립체(10)의 카트리지 수용홈 바닥에 구멍이 형성된다. Z축 진동부(53-3)의 하우징은 측정 조립체(10)의 바닥면 고정홈에 고정되며, 진동자 팁(T)은 구멍을 통해 측정 조립체(10)의 카트리지 수용홈 바닥의 구멍을 통해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자 팁은 원형으로 카트리지의 측방 유동 방향의 말단 측에 Z축 방향 진동을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진동자 팁은 한 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측방 유동 진단 장치는 카트리지(70) 내의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반응에 적합한 온도로 카트리지(70)를 가열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측방 유동 진단 장치는 가열부(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55)는 카트리지(70)를 향하도록 측정 조립체에 고정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가열부(55)는 비접촉 방식의 적외선 히터일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히터(55)는 카트리지(70)를 향하도록 클램프(90) 상부에 설치된다.
도 13은 제안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유동 진단 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부(100)는 측정 조립체(10)의 바닥에 고정되는 기판 상에 구현된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부(100)의 구성으로 도시된 진동 조절부(130)와 온도 조절부(170)의 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어 세트로 구현될 수 있다. 이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메모리(120)에 저장되고 거기서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하나 혹은 상이한 종류의 복수의 기억 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3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부(140)는 키버튼으로 구현되며, 카트리지(70) 별로 측정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한 측정 개시 버튼을 포함한다. 표시부(160)는 장치의 동작 상태와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 등을 표시한다.
전원이 켜지면 제어부(100)는 측정 개시 버튼이 눌러졌는지 체크한다. 4개의 카트리지 중 하나를 위한 측정 개시 버튼이 눌러진 것이 검출되면, 해당하는 진동 조절부(150)를 통해 설정된 하나 혹은 복수의 방향으로 진동 구동부(53)를 구동하며, 온도 조절부(170)를 통해 가열부(55)를 구동하여 설정된 최적의 온도로 가열한다. 진단 결과는 사용자가 관찰창을 통해 육안으로 검사선과 대조선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관찰창 내측의 조명(12)을 켜서 사용자의 판독을 도와 준다.

Claims (12)

  1. 본체 하우징과,
    카트리지가 로딩되며, 본체 하우징에 대해 카트리지의 측방 유동 방향의 경사를 가지는 측정 조립체;
    를 포함하되,
    카트리지가 측방 유동 방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측정 조립체에 로딩되는 측방 유동 진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과 측정 조립체는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측방 유동 진단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
    본체 하우징과 측정 조립체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와;
    힌지부에 결합되어 본체 하우징에 대해 측정 조립체를 회전 구동하는 경사 구동부와;
    경사 구동부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여 본체 하우징에 대한 측정 조립체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 조절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측방 유동 진단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 조립체는 :
    카트리지가 로딩되는 수용홈을 구비하며, 카트리지 로딩을 위해 슬라이딩 인출되는 트레이;
    를 포함하는 측방 유동 진단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측정 조립체가 트레이 상부에 고정된 광학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광학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카트리지의 발색을 판단하여 진단을 처리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측방 유동 진단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 조립체는 카트리지가 로딩되는 로딩 면에 진동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측방 유동 진단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진동 구동부는 :
    카트리지를 길이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X축 진동부와;
    카트리지를 폭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Y축 진동부와;
    카트리지를 두께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Z축 진동부;
    를 포함하는 측방 유동 진단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Z축 진동부는 카트리지가 로딩되는 로딩면의 바닥의 구멍을 통해 카트리지에 직접 접촉되도록 노출되는 진동자 팁을 포함하는 측방 유동 진단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
    카트리지를 향하도록 측정 조립체에 고정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측방 유동 진단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
    카트리지 상방에서 카트리지를 향하도록 측정 조립체에 설치되는 적외선 히터;
    를 포함하는 측방 유동 진단 장치.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측정 조립체는 :
    로딩된 카트리지를 상부에서 눌러 압박하는 클램프
    를 더 포함하는 측방 유동 진단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측정 조립체는 :
    클램프에 설치되어 아래쪽에 로딩된 카트리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적외선 히터;를 더 포함하는 측방 유동 진단 장치.
KR1020200054749A 2020-03-03 2020-05-07 고민감도 신속 진단 장치 KR102361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308,074 US11486832B2 (en) 2020-03-03 2021-05-05 Lateral flow diagnostic testing apparatus
EP21172375.4A EP3907505A3 (en) 2020-03-03 2021-05-06 Lateral flow diagnostic testing apparatus
CN202110495555.8A CN113624961A (zh) 2020-03-03 2021-05-07 侧向流动诊断测试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414 2020-03-03
KR20200026414 2020-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657A KR20210111657A (ko) 2021-09-13
KR102361305B1 true KR102361305B1 (ko) 2022-02-10

Family

ID=77796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749A KR102361305B1 (ko) 2020-03-03 2020-05-07 고민감도 신속 진단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86832B2 (ko)
EP (1) EP3907505A3 (ko)
KR (1) KR102361305B1 (ko)
CN (1) CN1136249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087B1 (ko) 2021-08-24 2022-04-29 김정곤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
TWI820712B (zh) * 2022-03-30 2023-11-01 國立成功大學 層析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958B1 (ko) * 2017-03-31 2017-06-15 주식회사 제넷바이오 스트립센서 모듈, 그것을 이용한 스트립센서 기반의 분자진단 현장검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9822A (en) 1995-07-07 1997-03-11 Ciba Corning Diagnostics Corp. Reagent handling system and reagent pack for use therein
KR20070011815A (ko) 2005-07-21 2007-01-25 주식회사 세움바이오텍 임신 진단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 방법
US9658222B2 (en) 2009-03-02 2017-05-23 Mbio Diagnostics, Inc. Planar waveguide based cartridges and associated methods for detecting target analyte
KR101352799B1 (ko) * 2012-05-10 2014-02-17 광주과학기술원 진단용 프로브 및 이를 갖는 검사장치
JP6419130B2 (ja) * 2016-10-31 2018-11-07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測定用カートリッジおよび送液方法
CN207502542U (zh) 2017-09-30 2018-06-15 山东爱维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胶体金法的检测试剂盒
KR102263976B1 (ko) * 2017-12-15 2021-06-14 프리시젼바이오 주식회사 진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958B1 (ko) * 2017-03-31 2017-06-15 주식회사 제넷바이오 스트립센서 모듈, 그것을 이용한 스트립센서 기반의 분자진단 현장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624961A (zh) 2021-11-09
US11486832B2 (en) 2022-11-01
KR20210111657A (ko) 2021-09-13
EP3907505A3 (en) 2022-01-26
EP3907505A2 (en) 2021-11-10
US20210349034A1 (en)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1305B1 (ko) 고민감도 신속 진단 장치
EP3296718B1 (en) Station for use with a test apparatus having integrated reaction and detection means
JP5231629B2 (ja) 検査システム
JP5030110B2 (ja) バイオメモリ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分析方法
CN101688835B (zh) 用于光学检查湿润表面的微电子传感器件
CN101855541B (zh) 等温滴定微测热计装置和使用方法
US7939030B2 (en) Micro mechanical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ssays
JP4327760B2 (ja) 熱量計およびそれを用いた分析方法
CA2812966A1 (en) Sample testing apparatus with premixing of sample and buffer
US108714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biological fluid in multiple cuvettes
JP4683633B2 (ja) 液体の分析システムおよびカートリッジ
CN109642871A (zh) 具有样品流动检测功能的荧光信号读取装置
JP4516477B2 (ja) 全反射減衰を利用した測定装置及びその測定方法
JP6516828B2 (ja) 導波路ベースの部分的カプセル化検知チップ、システムおよび使用方法
CN101198866A (zh) 化验装置
JP4808699B2 (ja) 分析装置
CN101627296B (zh) 感测装置
KR20190001156A (ko) 정량분석 진단기기
EP2056109B1 (en) Measuring device, measuring apparatus measuring method
JP2006322854A (ja) 全反射減衰を利用した測定装置及びその押し付け量調整方法
KR20200040417A (ko) 정량적 측정을 위한 스트립 삽입형 형광 리더장치 및 장치의 프로세서
JP2012202807A (ja) 生化学検査装置
JP2009008466A (ja) 測定システム
KR20230137142A (ko) 자동 면역분석 시스템
US20190204314A1 (en) Sample analysis cartridge and sample analysis apparatus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