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1815A - 임신 진단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임신 진단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1815A
KR20070011815A KR1020050066401A KR20050066401A KR20070011815A KR 20070011815 A KR20070011815 A KR 20070011815A KR 1020050066401 A KR1020050066401 A KR 1020050066401A KR 20050066401 A KR20050066401 A KR 20050066401A KR 20070011815 A KR20070011815 A KR 20070011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pregnancy
control line
coated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배
김은정
이예식
양웅석
김기욱
허선미
양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움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움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움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50066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1815A/ko
Publication of KR20070011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6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immune complex formed in liquid phase
    • G01N33/537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immune complex formed in liquid phase with separation of immune complex from unbound antigen or antibody
    • G01N33/53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immune complex formed in liquid phase with separation of immune complex from unbound antigen or antibody by sorbent column, particles or resin strip, i.e. sorbent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54Immunoglobul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7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ormones or other non-cytokine intercellular protein regulatory factors such as growth factors, including receptors to hormones and growth f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97Test strip or test slide

Abstract

본 발명은 임신 진단 키트용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공성 박막형 필름(2)으로 이루어져 있는 하단부 및 검체 흡수지(4)로 이루어져 있는 상단부를 가지고, 상기 하단부에 프레그난다이올 글루쿠로나이드-소혈청알부민(PG-BSA)이 피복된 대조선(5)과 이차항체인 항 마우스 면역글로블린(anti-mouse IgG)이 피복된 검사선(6)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신 진단용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임신 진단용 스트립을 이용할 경우, 임신 여부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어, 수정에 실패한 동물을 정확히 진단하여, 동물의 공태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한우 또는 젖소의 임신 여부를 인공 수정 후 20일 전 후에 별도의 고가 장비 없이 간단하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임신 진단, 비임신 진단, 프레그난다이올 글루쿠로나이드

Description

임신 진단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 방법{Strip for Diagnosing Pregnancy and Method for Diagnosing Pregnancy Using the Same}
도 1은 프레그난다이올 글루쿠로나이드(Pregnandiol-glucuronide; PG)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임신 및 비임신 진단 키트를 구성하는 분석 스트립의 평면도이다.
도 3은 PG-BSA 결합체가 피복된 대조선에서의 발색 원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4는 이차항체가 피복된 검사선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을 이용하여 임신 진단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음성, (b)는 양성 및 (c)는 재검사의 경우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분석 스트립 2. 박막형 필름 3. 다공층
4. 검체 흡수지 5. 대조선 6. 검사선
10. 항 PG 마우스 단일클론 항체-금 입자 결합체 20. PG-BSA
30. PG 40. 이차항체
본 발명은 임신 진단 키트용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공성 박막형 필름(2)으로 이루어져 있는 하단부 및 검체 흡수지(4)로 이루어져 있는 상단부를 가지고, 상기 하단부에 프레그난다이올 글루쿠로나이드-소혈청알부민(PG-BSA)이 피복된 대조선(5)과 이차항체인 항 마우스 면역글로블린(anti-mouse IgG)이 피복된 검사선(6)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신 진단용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1990년대 이전까지는 한우의 임신 여부를 진단하기 위해 한우를 수정 또는 교배시킨 후, 50 내지 60일 경과한 상태에서 수의사가 직접 직장검사로 한우의 임신 감정을 판단하는 방법에 전적으로 의존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수정 후 50 내지 60일 이후에 직장 검사법으로 임신 진단을 하면 숙련된 인공 수정사나 수의사가 필요하고, 한우의 긴 공태기 발생으로 많은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임신 감정시 직장으로 난소 및 태아를 촉진하게 되면 난소질환 및 유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한우에게 스트레스를 줄 수 있었다.
또한, 상기의 방법은 수정 후 50 내지 60일이 경과했을 때, 확실한 임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만약 이때에 임신이 되지 않은 것으로 감정되면, 60 일 이후 발정 징후를 확인하여 다시 수정 절차를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1990년대 이후부터는 과학의 발달로 한우의 수정 적기, 조기임신 및 번식장애를 감정할 수 있는 방법들이 속속들이 개발되고 있는바, 그 일례로 초음파진단기를 이용한 임신 진단법이 있는데, 이는 주로 거친 현장에서 비전문가가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구적 견고함과 더불어 조기진단의 가능성, 진단의 편리성, 낮은 오진율, 저렴한 유지보수비, 장비조작의 편리성 등이 함께 요구된다.
한편, 에스트로겐(estrogen) 또는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과 같은 자성 스테로이드(steroids)호르몬들과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과 같은 웅성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은 글루쿠로나이드(glucuronide)형태로 대사되어, 오줌으로 배설되는데, 이들 대사 산물은 혈액이나 우유 중의 호르몬들의 수준과 같은 경향을 나타낸다. 또한, 프로게스테론은 주로 간에서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과 포합되어 프레그난다이올 글루쿠로나이드(pregnandiol-glucuronide;PG)(도 1)가 되어 소변으로 배설된다.
소의 경우 정상적인 발정주기는 19-22일이다. 일반적으로 발정일에는 혈액이나 우유 중의 프로게스테론의 농도 및 프로게스테론의 오줌 속 대사 산물인 프레그난다이올 글루쿠로나이드(PG)의 농도는 0에 가깝고, 그 후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발정일 후 19일쯤 되면 다시 이들 호르몬의 농도는 0에 가깝게 낮아지게 된다. 그러나 소가 임신을 하게 되면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는 황체가 임신 황체가 되어 프로게스테론의 농도가 낮아지지 않고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게 되며, 오줌 으로 배설되는 PG의 농도도 일정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19~22일 사이의 오줌을 채취하여 PG의 농도를 측정하게 되면 젖소는 물론 한우의 비임신 및 임신여부와 사람을 포함하여 다른 동물의 생리적 기능까지도 검사할 수가 있다.
소의 수정 적기, 조기임신 진단 및 여러 번식장애를 정확하고 간편히 감정할 수 있는 방법들이 많이 개발되고 이용되어 왔지만 각각의 방법마다 장점과 단점이 있다. 특히 소의 비임신 여부는 지금까지 주로 혈액이나 우유 중의 프로게스테론의 농도를 면역분석법(ex. 효소면역분석법)으로 측정함으로서 진단하는 방법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소의 비임신 진단 방법의 이용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대별할 수가 있다. 하나는 실험실에서 연구의 목적으로 보다 정량적으로 측정하기를 원할 경우이고 또 하나는 손쉽게 임신 여부를 간편히 누구나 판정할 수 있는 경우이다. 특히 후자의 경우 고가의 장비가 필요 없는 키트형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임신 진단보다는 비임신 진단이라고 일반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목적 자체가비임신 여부를 조속히 판별하여 비임신일 경우 재수정을 하여 공태기를 줄이는 것이 주목적이고 또한 기술적으로 임신으로 판정되었다 하더라도 그 후 여러 요인에 의하여 태아가 사망할 경우 임신 정확도를 떨어뜨리는 이유가 되기 때문에 비임신 진단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이라고 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의미적으로는 혼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임신 진단용 키트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혈액 내의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농도로 비임신 여부를 진단하는 것이다. 그 러나, 프로게스테론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검사 대상의 혈액이나 우유를 채취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한우의 경우 젖소와는 달리 우유를 쉽게 채취할 수가 없어 프로게스테론 측정 방법을 적용하기가 쉽지 않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특허로 대표적인 것은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1999-0034180호의 "임신 진단키트"가 있으며, 이는 혈액 속에 존재하는 프로게스테론의 농도와 박막에 고정화한 프로게스테론-소혈청알부민과 항체로서 항 프로게스테론 금 결합체를 경쟁적으로 반응시켜 혈액내의 프로게스테론 농도와 반비례하여 발색되도록 고안한 한우의 임신 진단 키트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상기한 대로 프로게스테론을 검사 대상으로부터 채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간의 임신 진단을 목적으로 하는 임신 진단 키트가 다양하게 제조 및 판매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된 선행 특허로 대표적인 것은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1994-0025307호의 "고상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에의한 임신 진단장치"가 있으나, 이는 임신 초기 프로게스테론을 생산하는 난소의 황체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물질인 HCG(Human Chronic Gonadotropin hormone)의 농도를 측정하는 키트에 관한 것으로 인간 이외의 검사 대상에 적용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당업계에서는 시료 채취가 용이하고, 인간 외의 검사 대상인 가축의 임신 여부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임신 진단 키트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시료 채취가 용이하고, 인간 외의 검사 대상인 가축의 임신 여부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임신 진단 키트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소가 임신을 하게 되면 프로게스테론의 대사 산물인 오줌으로 배설되는 PG의 농도가 일정 수준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그난다이올 글루쿠로나이드(PG)를 이용한 임신 진단용 키트를 구성하는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여부를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공성 박막형 필름(2)으로 이루어져 있는 하단부; 및 검체 흡수지(4)로 이루어져 있는 상단부를 가지고, 상기 하단부에 프레그난다이올 글루쿠로나이드-소혈청알부민(PG-BSA)이 피복된 대조선(5)과 이차항체인 항 마우스 면역글로블린(anti-mouse IgG)이 피복된 검사선(6)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신 진단용 스트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가로 약 5mm이고, 세로 약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박막형 필름은 5~12㎛의 공극 크기를 가지는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이고, 검체 흡수지는 셀룰로스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조선은 시료가 투입되는 하단부로부터 약 10mm정도 떨어진 곳에 설치되고, 상기 검사선은 대조선으로부터 상단부 쪽으로 약 20mm정도 떨어진 곳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항 마우스 면역글로블린은 토끼 유래 항 마우스 면역글로블린(Rabbit anti-mouse IgG)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스트립에 항 프레그난다이올 글루쿠로나이드 면역글로블린(anti PG IgG)-금 입자 결합체와 검사 대상의 소변의 혼합액을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신 진단방법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사 대상은 젖소 또는 한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신 또는 비임신 진단용 키트용 분석 스트립(도2)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신 진단 분석 스트립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신 진단 스트립은 분석 시료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한 쪽 말단(하단부)으로부터 다른 쪽 말단(상단부)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박막형 필름(2)과 상기 박막형 필름(2)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박막형 필름(2)을 통과한 액상 시료를 흡수하는 기능을 하는 검체 흡수지(4)로 이루어져 있으며 스트립 형태이다. 이때 사용되는 박막형 필름은 니트로셀룰로스 멤브레인(nitrocellulose membrane)을 주로 사용하며 검체 흡수지(4)는 셀룰로스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트립의 크기는 적정량의 분석 시료를 이송시키고, 분석 시료 내의 검체와 분석 스트립과의 반응 정도를 관찰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면 되기 때문에 크 기에 특별한 제한이 없지만 대략 5mm x 50mm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박막형 필름(2)의 내부에는 5~12㎛의 직경을 가지는 미세 기공(3)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 PG가 함유되어 있는 오줌이 항 PG IgG-금 입자 결합체와 함께 박막형 필름(2)로 용이하게 흡수,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성 박막형 필름 하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 바람직하게는 10mm정도의 거리에 PG-BSA 결합체(pregnandiol glucuronide-BSA conjugate)가 두군데에 피복된 대조선이 존재하며, 이때 두군데의 대조선에 피복되는 PG-BSA 결합체의 양은 PG의 양이 임신시 검체의 오줌 속에 함유된 PG의 양을 상회하지 않도록 적정(titration)량(예;200-5ng/ml)을 피복시킨다. 이때 피복되는 대조선의 수는 무관하지만, 진단의 신뢰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대조선의 수를 두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G와 결합체를 형성하는 단백질은 BSA 뿐만 아니라, KHL(Keyhole Lympets Hemocyanin) 및 Human IgG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차항체가 피복된 검사선(6)은 상기 PG-BSA가 피복된 대조선(5)으로부터 상단부로 약 20mm정도의 거리에 있으며, 검사선을 이루는, 이차항체가 피복된 IgG는 마우스가 아닌 동물군(예; 토끼, 염소, 면양 등) 중에서 유래된 이차항체이면서 일차항체인 마우스 항체(주로 IgG)와 결합을 한다. 이차항체는 적정량(일차항체를 포화시킬 수 있는 양으로서 이차항체의 역가에 따라 달라질 수가 있으나 검사선 두 군데에 피복되는 양이 1mg/ml 수준이면 바람직하다)을 피복시키며, 이차항체의 피복시에는 안정제로 BSA, sucrose 또는 Tween 20등과 같은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일정량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임신 진단 스트립의 작용 및 임신 진단 판정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동결건조된 접합체를 일정량의 완충액으로 용해하여 제조한 항 PG IgG-금 입자접합체 용액 한 방울(약 0,025㎖)에 인공수정된 후 19~21일이 경과한 한우 또는 젖소 등의 검사 대상으로부터 채취된 오줌시료 한 방울(0.04㎖)을 적하하고 혼합한 다음, 얻어진 혼합액에 분석 스트립의 끝부분(하단부)을 침적시킨다.
이와 같이 분석 스트립이 혼합액에 침적되면, 분석용 시료를 포함하는 접합체가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분석 스트립을 따라 상단부로 이동하게 되고, 대조선인 PG-BSA 결합체 층을 통과하면서 항 PG IgG-금 입자 접합체가 항원 항체 반응에 의하여 상기 PG-BSA 결합체층에 결합되어 발색 현상이 나타난다.
도 3은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 분석 스트립의 발색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분석 스펙트럼의 박막형 필름(2)의 상부 일면에는 PG-BSA 결합체층(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항 PG-IgG-금 입자 접합체(10)를 포함하는 진단시약이 상기 PG-BSA 결합체층(20)를 통과하면서, 상기 항체-금입자 접합체(10)가 상기 PG-BSA 결합체층(20)과 결합하여 반응하게 된다.
검사 대상인 한우 또는 젖소 등이 임신을 한 경우, 뇨 중 프레그난다이올 글루쿠로나이드의 농도는 500ng/㎖ 이상이 되므로, 대부분의 항 PG-IgG-금 입자 접합체(10)가 시료 내의 PG(30)와 결합하게 됨으로써 박막형 필름(2) 상부의 PG-BSA 접합체(20)와는 남은 일정량만 결합하게 되고 시료내의 PG와 결합한 항 PG-IgG-금입자 접합체의 대부분은 대조선을 통과하여 검사선에서 (어 대조선에서만) 발색하 게 된다. 따라서, 항 PG-IgG-금 입자 접합체는 시료 내의 PG와 대부분 결합을 하게 되어 대조선의 PG-BSA오하는 거의 결합을 하지 않게 되어 즉 대조선상에선 거의 발색을 하지 않아야 한다. 발색을 하드라도 매우 약하게 검사선보다는 월등히 약하게 나타나야 한다. (및 대조선에서의 PG-BSA에 모두 결합하게 되므로, 검사선까지 도달하는 항 PG-IgG-금 입자는 거의 존재하지 않으므로, 검사선에서는 아무런 발색 반응이 일어나지 않거나, 희미한 발색 반응만 일어날 뿐이다. )
또한 반대로 임신이 되지 않은 소의 시료 오줌 속에는 PG(30)의 농도가 매우 낮아서 대부분의 항 PG-IgG-금 입자 접합체(10)가 박막형 필름(2) 상부의 PG-BSA 결합체층(2)과 일차 충분히 결합하여 발색현상을 일으켜 대조선에서 분명한 발색을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임신의 경우와는 달리 이곳을 통과하여 검사선에서 발색을 나타낼 수 있는 경우는 생기지 않게 된다. (일차 일으키고, 남은 PG-IgG-금 입자 접합체는 계속 이동하여 검사선에 피복되어 있는 이차항체와 결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임신이 되지 않은 소는 잔여의 PG-IgG-금 입자 접합체가 검사선의 이차항체에 결합하게 되어, 검사선에서도 발색선을 1개 또는 2개를 형성하게 되며, 검사선의 발색은 대조선보다 강하게 나타난다. )
상기와 같이, 검사선과 대조선의 발색 여부와 상대적인 발색의 강약 여부를 관찰함으로서 쉽게 검체의 임신/비임신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즉, 금 입자로 표지된 PG 항체를 두고 시료 내의 PG와 박막에 피복된 PG가 서로 경쟁적으로 반응(competitive reaction)을 함에 있어서, 피복된 PG의 양은 고정된 양이 존재하지만 시료내의 PG는 다양한 농도를 지니고 있다. 즉, 임신의 경우 PG가 매우 높은 농도 로 존재하기 때문에 피복된 PG가 자연히 항체와 결합할 수 있는 확률은 줄어들게 된다. 이런 이유로 분석시료 오줌 속에 들어 있는 PG의 농도에 반비례하여 대조선(검사선)의 선홍색 발색 정도가 그리고 비례하여 검사선의 발색정도가 달라진다. 따라서 대조선(5)의 PG-BSA층(20)의 발색 정도와 이차항체(40)가 피복된 검사선(6)의 발색 정도를 육안으로 판별하여 임신여부를 구분하게 된다.
상기 PG-BSA층(20)에 결합하지 않고 통과한 항 PG IgG-금 입자 접합체는 토끼 항 마우스 IgG(40)가 고정된 검사선에서 항 마우스항체와 결합하여 발색함으로서 검출된다. 이때 발생 정도는 시료 내에 함유하는 PG의 농도에 비례(반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스트립의 PG-BSA 결합체층(20)과 항-마우스 항체(40)가 고정된 검사선에서 발색한 선홍색의 밴드 색상 또는 발색 정도를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가축의 비임신/임신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도 5에 예시된 비와 같이 대조선과 검사선 모두에서 발색현상을 나타내면(a) 비임신(음성)으로, 검사선(대조선)에만 발색 현상이 나타나거나 동시에 대조선(검사선)에서 매우 희미하게 나타날 경우(b) 임신으로 판별하게 되는 것이다. 때로는 대조선과 검사선 모두에서 발색이 선명하지 않을 경우(C) (선명하지 않거나 검사선에서만 발색 반응이 나타나는 경우(c)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실험이 부정확한 것이므로 재검사를 실시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임신/임신 진단 분석 스트립을 이용하여 인공수정 후 19, 20, 21일째 한우의 오줌을 시료로 취하여 검사하여 다음과 같은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료채취일(인공수정후) 임신 (양성반응/임신소두수;%) 비임신 (음성반응/비임신두수%)
19일 170/185(91.8) 220/235(93.6)
20일 370/395(93.6) 172/180(95.5)
21일 427/450(94.8) 372/382(97.3)
합계 967/1030(93.8) 764/797(95.8)
상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으로 임신과 비임신 진단을 판별하였을 경우, 임신 진단의 경우 93.8%의 정확성을 나타내었고, 비임신 진단의 경우 95.8%의 정확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그난다이올 글루쿠로나이드를 이용한 임신 또는 비임신 진단용 키트를 구성하는 분석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여부를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단용 스트립은 임신뿐만 아니라, 비임신도 정확히 진단할 수 있어, 수정이 실패한 동물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으므로 동물의 공태기를 최소화하여, 동물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임신 진단 스트립은 한우 또는 젖소의 임신 여부를 인공수정 후 20일 전 후에 별도의 고가 장비 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손 쉽게 누구나 검사할 수 있으며, 특히 대조선을 기준으로 하여 검사선의 색상 변화를 비교하여 비임신 또는 임신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Claims (7)

  1. 다공성 박막형 필름(2)으로 이루어져 있는 하단부; 및 검체 흡수지(4)로 이루어져 있는 상단부를 가지고, 상기 하단부에 프레그난다이올 글루쿠로나이드-소혈청알부민(PG-BSA)이 피복된 대조선(5)과 이차항체인 항 마우스 면역글로블린(anti-mouse IgG)이 피복된 검사선(6)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신 진단용 스트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가로 약 5mm이고, 세로 약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형 필름은 5~12㎛의 공극 크기를 가지는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이고, 검체 흡수지는 셀룰로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조선은 시료가 투입되는 하단부로부터 약 10mm정도의 떨어진 곳에 설치되고, 상기 검사선은 상기 대조선으로부터 상단부쪽으로 약 20mm정도 떨어진 곳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 마우스 면역글로블린은 토끼 유래 항 마우스 면역글로블린(Rabbit anti-mouse Ig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스트립에 항 프레그난다이올 글루쿠로나이드 면역글로블린(anti PG IgG)-금 입자 결합체와 검사 대상의 소변의 혼합액을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신 진단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대상은 젖소 또는 한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66401A 2005-07-21 2005-07-21 임신 진단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 방법 KR200700118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401A KR20070011815A (ko) 2005-07-21 2005-07-21 임신 진단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401A KR20070011815A (ko) 2005-07-21 2005-07-21 임신 진단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815A true KR20070011815A (ko) 2007-01-25

Family

ID=38012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401A KR20070011815A (ko) 2005-07-21 2005-07-21 임신 진단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181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107B1 (ko) 2019-07-29 2020-05-14 주식회사 원드롭 측정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고려한 건강 관리 정보 생성 장치
KR20200063808A (ko)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원드롭 반응 시료의 정량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10111657A (ko) 2020-03-03 2021-09-13 (주)페블아이 고민감도 신속 진단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3808A (ko)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원드롭 반응 시료의 정량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111107B1 (ko) 2019-07-29 2020-05-14 주식회사 원드롭 측정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고려한 건강 관리 정보 생성 장치
KR20210111657A (ko) 2020-03-03 2021-09-13 (주)페블아이 고민감도 신속 진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ebel On-farm milk progesterone tests
US8927262B2 (en) Ovulation predictor test
US20080241958A1 (en) Method for Determining HCG Levels in Fluid Samples
US20160282343A1 (en) Quantitative lateral flow assay strips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an analyte, kits containing such strip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of same
EP3904878B1 (en) Immunochromatography strip for pregnancy diagnosis with multiple test lines, and pregnancy diagnosis kit comprising same
US20140322724A1 (en) Homogeneous competitive lateral flow assay
US5480776A (en) Method for prediction of premature labor
US20180321251A1 (en) Portable Diagnostic System For Ovulation Cycle Monitoring
KR102046556B1 (ko) 고농도 검체 내 표적물질 정량화가 가능한 광범위 체외 진단 키트
CN114324901B (zh) 一种扩展定量检测范围的试剂盒及检测方法
JP2004530110A (ja) 卵巣貯蔵の尿アッセイ
WO2006050953A1 (de) Vorrichtung zur vollautomatischen durchführung eines einzelimmunoassays
KR20070011815A (ko) 임신 진단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 방법
KR100624012B1 (ko) 비임신 진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동물의 비임신 진단 방법
Henderson et al. A dipstick immunoassay to rapidly measure serum oestrone sulfate concentrations in horses
KR100976327B1 (ko) 소변 내의 인간 융모 생성샘 자극호르몬 농도 준 정량분석검출방법 및 그 검출기구
US20010036645A1 (en) Analyte detector and analyte detection method
KR20230088992A (ko) 임신 진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동물의 임신 진단 방법
US20020098532A1 (en) One step test for abortion safety based on detection of 2 IU/ml or more of gonadtropin in a urine sample
JP3481894B2 (ja) 免疫学的クロマト方式を利用した測定方法
JP2023095428A (ja) エストラジオール定量用のイムノクロマト測定キット
JP2023095427A (ja) 生体試料中のエストラジオールを定量するためのイムノクロマト測定キット
KR20070009209A (ko) 돼지 오줌을 이용한 임신진단방법
JP2023095430A (ja) 生体試料中のエストロンを定量するためのイムノクロマト測定キット
KR20230026031A (ko) 생리 주기 확인용 체외진단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