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288A - 리프터 - Google Patents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288A
KR20190118288A KR1020180041454A KR20180041454A KR20190118288A KR 20190118288 A KR20190118288 A KR 20190118288A KR 1020180041454 A KR1020180041454 A KR 1020180041454A KR 20180041454 A KR20180041454 A KR 20180041454A KR 20190118288 A KR20190118288 A KR 20190118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s
pulleys
disposed
drum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0475B1 (ko
Inventor
장동렬
이강석
장정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1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475B1/ko
Priority to PCT/KR2019/001605 priority patent/WO2019198924A1/ko
Priority to US17/041,571 priority patent/US11613450B2/en
Priority to EP19785532.3A priority patent/EP3747825A4/en
Publication of KR20190118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리프터가 개시된다. 개시된 리프터는 프레임; 프레임에 결합된 모터부; 모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감김부를 구비한 드럼; 및 복수의 감김부에 각각 감기도록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고, 복수의 와이어는, 각각의 일단이 복수의 감김부에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이 천장(ceiling)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리프터 {LIFTER}
본 개시는 범용성 및 사용의 편의성이 개선된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리프터는 작업이 필요한 제품을 올리거나, 설치하고자 하는 제품을 일정한 높이로 상승시켜, 해당 높이에서 작업하기 위한 장치이다.
최근에는 빌딩, 상가, 아파트 및 일반주택의 실내 천장의 높이가 다양하고, 내부 인테리어에 따라 바닥이 편평하지 않으며, 바닥 상에 많은 구조물들이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천장에 시스템 에어컨 등 다양한 제품을 설치하기 위해, 실내의 다양한 사용 환경에도 사용할 수 있는 리프터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기존의 리프터는 바닥에 설치되고, 리프터 상에 제품을 배치시켜 제품을 천장을 향해 밀어 올리는 방식인 승강기식 리프터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승강기식 리프터는 적어도 두 명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천장에 설치하고자 하는 제품을 들어올려 작업을 해야 하므로 추가적인 인력, 시간 및 비용이 소모되었다. 또한, 승강기식 리프터는 바닥에 고정되어야 하므로 작업 전 바닥의 수평이 확보되어야만 하였고, 제품을 올리는 높이에도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천장의 높이, 바닥의 편평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작업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리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감김부를 구비한 드럼; 및 상기 복수의 감김부에 각각 감기도록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각각의 일단이 상기 복수의 감김부에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이 천장(ceiling)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코어; 및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감김부를 구획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상기 프레임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중심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수직 풀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직 풀리는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상기 천장이 위치한 수직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감김부는 제1 내지 제4 감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제1 내지 제4 감김부에 각각 감기는 제1 내지 제4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리브는 제1 내지 제5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감김부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5 리브들 중 인접한 두 개의 리브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직 풀리는 상기 프레임의 중심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된 제1 내지 제4 수직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와이어는 상기 제1 내지 제4 수직 풀리에 각각 감길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수직 풀리는 동일 평면상에 수평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상기 일단과 상기 복수의 수직 풀리 사이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수평 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평 풀리는 상기 드럼의 외주면과 각각 마주하는 제1 내지 제4 수평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수평 풀리는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상기 일단과 상기 제1 내지 제4 수직 풀리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와이어가 각각 감길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풀리는 상기 드럼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및 제4 수평 풀리는 상기 드럼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풀리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수직 풀리의 각 회전축은 상기 천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수평 풀리의 각 회전축은 상기 제1 내지 제4 수직 풀리의 회전축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감김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감김부에 감기는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상기 코어를 향해 각각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압부는 각각, 상기 복수의 와이어와 접촉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복수의 가압부재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에는 탄성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드럼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드럼의 축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하측 연장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천장과 마주하는 사각형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배치된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직 풀리는 상기 연장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모터부 및 상기 드럼은 상기 본체부의 중심부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터를 나타낸 하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과 구동부를 분해한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구동부 및 케이스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리프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 방향에서의 리프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구동부와 복수의 와이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터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상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터(1)를 나타낸 하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10)과 구동부(100)를 분해한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리프터(1)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리프터(1)는 프레임(10), 모터부(20)와 드럼(30)을 포함하는 구동부(100), 복수의 와이어(40), 복수의 수직 풀리(50) 및 복수의 수평 풀리(60)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리프터(1)의 전체적인 구조를 형성하며, 프레임(10)은 천장에 설치하고자 하는 제품이 놓여질 수 있는 대략적인 사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0)은 본체부(13), 연장부(14), 안착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3)는 천장(C, 도 8 참조)과 마주하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사각형 형상은 가로 막대(11) 및 세로 막대(12)를 포함하는 복수의 막대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3)는 천장(또는 바닥면)에 대해 일측이 기울어지지 않고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체부(13) 상에 제품(P)이 직접 배치되는 경우에도 제품(P)이 안정적으로 본체부(1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3)는 필요에 따라 사각형 형상뿐만 아니라, 다각형 및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장부(14)는 본체부(13)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며, 본체부(13)의 모서리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아울러, 각각의 연장부(14)에는 후술하는 복수의 수직 풀리(50)가 각각 배치된다.
연장부(14)는 리프터(1)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본체부(13)의 중심부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리프터(1)에 제품(P)이 배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연장부(14)에 배치된 하나의 수직 풀리(50)를 통해 상승 및 하강되는 동안에도, 리프터(1)는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일정한 균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연장부(14)는 본체부(1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별도의 부재로서 본체부(13)의 모서리에 결합될 수 있다.
안착부(15)는 본체부(13) 상에 결합되며, 본체부의 상면(13a, 도 6 참조)에 배치된다.
안착부(15)에는 설치하고자 하는 제품(P)이 놓여질 수 있으며, 제품(P)은 안착부(15)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리프팅될 수 있다.
안착부(15)는 천장(C)과 마주하는 평판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안착부(15) 상에 배치된 제품(P)은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안착부(15) 상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구동부(100)는 천장(C)와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4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동하며, 모터부(20) 및 드럼(30)을 포함한다.
구동부(100)는 본체부(13)의 중심부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100)는 리프터(1)의 무게 중심 부근에 위치하게 되어 리프터(1)의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00)는 구동부(100)의 상측 및 측면을 감싸는 케이스(25)를 통해 프레임(10)과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25)는 구동부(100)의 일측을 커버함으로써 구동부(100)에 외부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케이스(2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조 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구동부(10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구동부(1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복수의 와이어(40)는 리프터(1)와 천장(C)을 연결하여, 리프터(1)의 균형을 맞춤과 동시에,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리프터(1)를 천장(C)으로 리프팅 시킬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40)의 일단(40a)은 드럼(30)에 연결되고 타단(40b)은 천장(C)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아울러, 복수의 와이어(40)의 타단(40b)에는 별도의 연결부재(46)가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46)는 복수의 와이어(40)를 천장(C)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40)는 복수 개를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와이어(40)는 제1 내지 제4 와이어(41, 42, 43, 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와이어(41, 42, 43, 44)는 구동부(100)로부터 리프터(1)의 프레임(10)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각각 분산되어 천장(C)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4 와이어(41, 42, 43, 44)에 의해 리프터(1)는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일정한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0)이 사각형 형상일 경우, 제1 내지 제4 와이어(41, 42, 43, 44)는 프레임(10)의 각 모서리 부분을 통해 천장(C)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이 원형일 경우, 제1 내지 제4 와이어(41, 42, 43, 44)는 원형의 외주에 상호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천장(C)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40)는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내구성, 강도 및 중량을 고려하여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로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40)의 타단(40b)에 연결되는 연결부재(46)는 전산볼트 클램프 등 통상의 연결부재일 수 있으며, 고정되는 방식은 나사 고정, 볼트 고정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을 통해 천장(C)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와이어(40)의 일단(40a) 및 타단(40b) 사이에는 복수의 수직 풀리(50) 및 복수의 수평 풀리(6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수직 풀리(50)는 하나의 와이어(40)가 감겨 와이어(4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복수의 수직 풀리(50)의 회전축은 천장(C)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복수의 수직 풀리(50)는 구동부(100)와 연결된 와이어(40)를 천장(C)이 위치한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수직 풀리(50)는 복수의 와이어(40)를 천장(C)이 위치한 수직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으며, 복수의 수직 풀리(50)의 회전을 통해 복수의 와이어(40)와 프레임(10)이 직접적으로 마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수직 풀리(50)가 회전함에 따라, 리프터(1)의 높이 조절 및 상하 이동이 자연스럽고 유연하게 될 수 있다.
복수의 수평 풀리(60)는 복수의 와이어(40)의 일단(40a)과 복수의 수직 풀리(50)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이를 통해, 복수의 수평 풀리(60)는 복수의 수평 풀리(60)에 감긴 와이어(40)의 방향을 복수의 수직 풀리(50)가 위치한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복수의 수평 풀리(60)는 전술한 복수의 수직 풀리(50)와 동일한 풀리일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수직 풀리(50)는 회전축이 천장(C)과 평행한 것과는 달리, 복수의 수평 풀리(60)는 복수의 수평 풀리(60)의 회전축이 복수의 수직 풀리(50)의 회전축과 수직하게 배치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복수의 수직 풀리(50) 및 복수의 수평 풀리(60)의 크기 및 반경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수직 풀리(50)는 복수의 와이어(40)를 천장(C)이 위치한 수직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반면, 복수의 수평 풀리(60)는 복수의 와이어(40)를 동일 평면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수직 풀리(50)가 프레임(10)의 중심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된 경우에는, 복수의 수평 풀리(60)는 프레임(10)의 중심부에 배치된 구동부(100)와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40)를 방사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수직 풀리(50)로 자연스럽게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수평 풀리(60)가 구동부(100)와 복수의 수직 풀리(50) 사이에 각각 배치되므로, 복수의 와이어(40)의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리프터(1)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리프터(1)는 일정한 균형감을 유지한 채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복수의 수직 풀리(50) 및 복수의 수평 풀리(60)의 구체적인 구조 및 위치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구동부(1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구동부(100) 및 케이스(25)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케이스(25) 및 모터부(20) 및 드럼(30)을 포함하는 구동부(1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모터부(20)에는 드럼(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드럼(30)에는 제1 내지 제4 와이어(41, 42, 43, 44)가 감길수 있다. 모터부(20)는 프레임(10)에 결합된 케이스(25)에 결합됨으로써 프레임(1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부(20)는 케이스(25)에 결합되며, 모터(21), 감속기(22) 및 팬(23)을 포함한다.
모터(21)는 모터(21)의 모터 회전축(24)에 결합된 드럼(30)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드럼(30)에 감긴 복수의 와이어(40)를 감거나 풀도록 한다. 모터(21)는 컨트롤러(미도시)와 연결되며, 사용자가 컨트롤러를 조작함에 따라 모터(21)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모터(21)는 드럼(3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면 충분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진 구성으로서 여기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감속기(22)는 모터(21)와 드럼(30) 사이에 배치되어, 모터(21) 및 드럼(30)과 연결된다. 감속기(22)는 높은 RPM을 가지는 모터(21)의 회전을 드럼(30)의 회전구동에 필요한 RPM을 가지는 회전으로 변환 및 조정할 수 있다.
팬(23)은 모터(21)의 일측에 배치되어, 강제 대류를 통해 모터(21)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부(20)는 모터부(20)의 일측에 회전축(A) 방향을 따라 형성된 모터 회전축(24)을 포함한다.
모터 회전축(24)은 모터(21) 및 드럼(30)을 연결시키며, 모터(21)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드럼(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모터 회전축(24)은 회전 막대(24a) 및 회전축(A) 방향을 따라 회전 막대(24a)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24b)를 포함한다.
돌출부(24b)는 모터 회전축(24)이 코어(31)의 모터 회전축 삽입구(31b)에 삽입되어 회전할 경우, 코어(31)가 모터 회전축(24)에 대해 헛돌지 않도록 하여 모터(21)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드럼(30) 및 코어(31)로 전달할 수 있다.
모터 회전축(24)의 일단에는 연결부재(31a)가 결합되며, 이에 따라 모터 회전축(24)에 삽입된 드럼(3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드럼(30)은 모터부(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코어(31, 도 7 참조), 회전축(24)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감김부(32) 및 복수의 리브(33)를 포함한다.
코어(31)는 드럼(30)의 중심축을 형성하며, 드럼(30)에 감기는 복수의 와이어(40)가 안착된다. 코어(31)는 반경이 일정한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복수의 와이어(40)는 코어(31)의 외주면에 각각 감긴다.
이에 따라,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코어(31)가 회전함에 따라, 복수의 와이어(40)는 모두 동일한 길이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으며, 천장(C)에 대해 리프터(1)가 평형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코어(31)는 회전축(A) 방향을 따라 코어(31)의 중심부에 형성된 모터 회전축 삽입구(31b)를 포함한다.
모터 회전축 삽입구(31b)는 모터 회전축(24)이 삽입될 수 있도록 모터 회전축(24)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모터 회전축(24)이 회전함에 따라, 코어(31)는 편심되지 않고 코어(31) 전체가 동일 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복수의 감김부(32)는 코어(31)의 외주면에, 회전축(A)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복수의 와이어(40)가 복수의 감김부(32)에 각각 감기도록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감김부(32)는 제1 내지 제4 감김부(32a, 32b, 32c, 32d)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감김부(32a)에는 제1 와이어(41)이 감기고, 제2 감김부(32b)에는 제2 와이어(42)가 감기며, 제3 감기부(32c)에는 제3 와이어(43)가 감기고, 제4 감김부(32d)에는 제4 와이어(44)가 각각 감긴다.
이에 따라, 드럼(30)이 회전함에 따라 제1 내지 제4 감김부(32a, 32b, 32c, 32d)에 제1 내지 제4 와이어(41, 42, 43, 44)가 감길 때에도 제1 내지 제4 와이어(41, 42, 43, 44)는 일대일로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감김부(32a, 32b, 32c, 32d)에 각각 감기므로, 제1 내지 제4 와이어(41, 42, 43, 44)는 상호간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와이어(41, 42, 43, 44)는 감기는 과정에서 상호 간섭되지 않으므로, 리프터(1)가 천장(C)에 대해 평형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감김부(32)는 복수의 와이어(40)가 각각 감기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감김부(32)는 코어(31)의 외주면에 결합된 복수의 리브(3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감김부(32)는 코어(31)의 외주면에 형성된 일정한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33)는 코어(31)의 외주면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아울러, 복수의 리브(33)는 회전축(A)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감김부(32)를 구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리브(33)는 제1 내지 제5 리브(33a, 33b, 33c, 33d, 33e)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감김부(32a, 32b, 32c, 32d)는 제1 내지 제5 리브들(33a, 33b, 33c, 33d, 33e) 중 인접한 두 개의 리브 사이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리브(33a, 33b) 사이에 제1 감김부(32a)가 형성되고, 제2 및 제3 리브(33b, 33c) 사이에 제2 감김부(32b)가 형성되며, 제3 및 제4 리브(33c, 33d) 사이에 제3 감김부(32c)가 형성되고, 제4 및 제5 리브(33d, 33e) 사이에 제4 감김부(32d)가 형성된다.
아울러, 복수의 리브(33)는 회전축(A)에 대해 코어(31)보다 더 큰 반경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리브(33)는 코어(31)에 각각 감기는 복수의 와이어(40)가 감기거나 풀리기 이전에 복수의 와이어(40)를 각각 이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감김부(32a)에 감기는 제1 와이어(41)와 제2 감김부(32b)에 감기는 제2 와이어(42)는 제2 리브(33b)에 의해 코어(31)의 외주면 부근에서 상호간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제3 감김부(32c)에 감기는 제3 와이어(43)와 제4 감김부(32d)에 감기는 제4 와이어(44)는 제4 리브(33d)에 의해 코어(31)의 외주면 부근에서 상호간 이격될 수 있다.
아울러, 리프터(1)는 복수의 감김부(32)에 각각 삽입되어, 복수의 감김부(32)에 감기는 복수의 와이어(40)를 코어(31)를 향해 각각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부(7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가압부(70)는 복수의 감김부(32a, 32b, 32c, 32d)에 각각 삽입되어, 복수의 감김부(32a, 32b, 32c, 32d)에 감기는 복수의 와이어(41, 42, 43, 43)를 코어(31)를 향해 각각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압부(70)는 회전축(A)에 대해 수직된 방향으로 드럼(30)의 양 측면에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가압부(70)는 가압부재(71), 고정부재(72), 탄성부재(73) 및 결합부재(74)를 포함한다.
가압부재(71)는 코어(31)에 각각 감기는 복수의 와이어(40)와 접촉하여 복수의 와이어(40)를 코어(31)를 향해 가압할 수 있다. 아울러, 가압부재(71)는 코어(31)가 회전함에 따라 감기는 복수의 와이어(40)와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복수의 와이어(40)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직접 회전할 수 있다.
가압부재(71)는 그 자체로 회전할 수 있으면 충분하며 별도의 회전동력부가 필요하지 않다. 즉, 가압부재(71)는 코어(31)가 회전함에 따라 감기는 복수의 와이어(40)의 접촉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부재(71)가 복수의 감김부(32)에 감기는 복수의 와이어(40) 하나하나가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재(71)는 제1 감김부(32a)에 감기는 제1 와이어(41)를 코어(31)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 와이어(41)와 코어(31) 사이의 이격없이 제1 와이어(41)는 코어(31)에 밀착하면서 감길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71)가 복수 개로 구성될 경우, 가압부재(71)는 제1 감김부(32a)에 감기는 제1 와이어(41)뿐만 아니라, 제2 감김부(32b)에 감기는 제2 와이어(42)를 코어(31)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2 와이어(42)와 코어(31) 사이의 이격없이 제2 와이어(42)는 코어(32)에 밀착하면서 감길 수 있다.
아울러, 가압부재(71)는 통상의 풀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상의 풀리를 드럼(30)의 양측에 배치하여 복수의 와이어(40)를 각각 코어(31)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통상의 풀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리프터(1)의 제조 비용도 감소할 수 있다.
고정부재(72)는 복수의 가압부재(71)와 각각 결합되어, 가압부재(71)가 회전할 수 있도록 가압부재(71)를 고정시킨다. 고정부재(72)의 일단에는 탄성부재(73)가 배치되고, 고정부재(72)의 타단에는 고정부재(72)를 리프터(1)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부재(74)가 배치된다.
탄성부재(73)는 탄성력을 가지는 통상의 스프링이 사용되며, 탄성부재(73)의 일단은 고정부재(72)와 연결되고, 탄성부재(73)의 타단(73a)은 모터부(20)로부터 회전축(A) 방향을 따라 드럼(30)의 하측에 드럼(30)과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된 하측 연장부(26)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73)는 고정부재(72)를 코어(31) 방향으로 가압하여, 실질적으로 고정부재(72)와 연결된 가압부재(71)를 코어(31)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리프터(1)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하나의 감김부(31)에 하나의 와이어(40)는 하나의 감김부(31)에 와이어(40)가 감기는 정도가 달라지더라도 탄성부재(72)에 의해 가압부(72)는 하나의 와이어(40)를 지속적으로 코어(31)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결합부재(74)는 가압부재(71) 및 고정부재(72)를 리프터(1)의 일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재(74)는 케이스(25)의 측면(25a)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재(74)가 케이스(25)의 측면(25a)에 고정되는 방법은 나사 결합, 볼트 결합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리프터(1)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 방향에서의 리프터(1)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7은 구동부(100)와 복수의 와이어(4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복수의 수직 풀리(50) 및 복수의 수평 풀리(60)의 구체적인 구조 및 배치에 관해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할 때, 복수의 수직 풀리(50)는 프레임(10)의 중심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된 제1 내지 제4 수직 풀리(51, 52, 53, 54)를 포함하고, 제1 내지 제4 와이어(41, 42, 43, 44)는 제1 내지 제4 수직 풀리(51, 52, 53, 54)에 각각 감긴다.
구체적으로, 제1 수직 풀리(51)에는 제1 와이어(41)가 감기고, 제2 수직 풀리(52)에는 제2 와이어(42)가 감기며, 제3 수직 풀리(53)에는 제4 와이어(43)가 감기고, 제4 수직 풀리(54)에는 제4 와이어(44)가 감긴다.
제1 내지 제4 수직 풀리(51, 52, 53, 54)는 프레임(10)의 중심부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되므로, 제1 내지 제4 수직 풀리(51, 52, 53, 54)에 감기는 제1 내지 제4 와이어(41, 42, 43, 44)를 수평 방향을 분산하여, 천장(C)이 위치한 수직 방향으로 제1 내지 제4 와이어(41, 42, 43, 44)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할 때, 제1 내지 제4 수직 풀리(51, 52, 53, 54)는 동일 평면상에 수평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4 수직 풀리(51, 52, 53, 54)는 리프터(1)의 상승 및 하강 과정에서 천장(C)에 대해 모두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100)가 제1 내지 제4 와이어(41, 42, 43, 44)를 감을 경우, 리프터(1)는 천장(C)에 대해 평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수평 풀리(60)는 드럼(30)의 외주면과 각각 마주하는 제1 내지 제4 수평 풀리(61, 62, 63, 64)를 포함하고, 제1 내지 제4 와이어(41, 42, 43, 44)는 제1 내지 제4 수평 풀리(61, 62, 63, 64)에 각각 감긴다.
또한, 제1 내지 제4 수평 풀리(61, 62, 63, 64)는 복수의 와이어(40)의 일단과 제1 내지 제4 수직 풀리(51, 52, 53, 54)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제1 내지 제4 와이어(41, 42, 43, 44)가 각각 감긴다.
이에 따라, 제1 와이어(41)의 일단은 구동부(100)의 드럼(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천장(C)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와이어(41)의 일단으로부터 제1 와이어(41) 상에 순서대로 제1 수평 풀리(61), 제1 수직 풀리(51)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 와이어(42)의 일단으로부터 제2 와이어(42) 상에 순서대로 제2 수평 풀리(62), 제2 수직 풀리(52)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제3 와이어(43)의 일단으로부터 제3 와이어(43) 상에 순서대로 제3 수평 풀리(63), 제3 수직 풀리(53)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제4 와이어(44)의 일단으로부터 제4 와이어(44) 상에 순서대로 제4 수평 풀리(64), 제4 수직 풀리(54)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아울러, 제1 및 제2 수평 풀리(61, 62)는 드럼(30)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3 및 제4 수평 풀리(63, 64)는 드럼(30)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 수평 풀리(61, 62)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와이어(41, 42)는 드럼(30)의 상단 접점을 통해 드럼(30)에 대해 감기고, 제3 및 제4 와이어(43, 44)는 드럼(30)의 하단 접점을 통해 드럼(30)에 대해 감긴다.
따라서, 드럼(30)이 시계 방향(R, 도 2 참조)을 따라 회전할 경우, 제1 내지 제4 와이어(41, 42, 43, 44)가 드럼(30)에 동시에 감길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수평 풀리(61, 62)는 드럼(30)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부분에서 프레임(10)의 일측에 회전축(A)과 평행하게 상호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와이어(41, 42)는 제1 및 제2 수평 풀리(61, 62)가 마주보는 방향을 통해 제1 및 제2 수평 풀리(61, 62)에 각각 감겨 제1 및 제2 수직 풀리(51, 52)가 위치한 방향으로 제1 및 제2 와이어(41, 42) 방향이 각각 전환된다.
마찬가지로, 제3 및 제4 수평 풀리(63, 64)는 드럼(30)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 수평 풀리(61, 62)가 배치된 곳을 반대측인 프레임(10)의 타측에 회전축(A)과 평행하게 상호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및 제4 와이어(43, 44)는 제3 및 제4 수평 풀리(63, 64)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3 및 제4 수평 풀리(63, 64)에 각각 감겨 제3 및 제4 수직 풀리(53, 54)가 위치한 방향으로 제3 및 제4 와이어(43, 44) 방향이 각각 전환된다.
즉, 제1 및 제2 수평 풀리(61, 62)를 기준으로 제1, 2 와이어(41, 42)가 동일 평면상에서 분산되며, 제3 및 제4 수평 풀리(63, 64)를 기준으로 제3, 4 와이어(43, 44)가 동일 평면상에서 분산된다. 이에 따라, 리프터(1)의 프레임(10)에 분산되어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 와이어(41, 42, 43, 44)에 의해, 리프터(1)의 균형이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할 때, 제1 및 제2 수평 풀리(61, 62)는 제1 및 제2 와이어(41, 42)가 제1 및 제2 수평 풀리(61, 62)를 통해 평면상 수직하게 방향이 전환되도록, 구동부(100)와 제1 및 제2 수직 풀리(51, 52)의 사이에 평면상 수직된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및 제4 수평 풀리(63, 64)는 제3 및 제4 와이어(43, 44)가 제3 및 제4 수평 풀리(63, 64)를 통해 평면상 수직하게 방향이 전환되도록, 구동부(100)와 제3 및 제4 수직 풀리(53, 54)의 사이에 평면상 수직된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4 수평 풀리(61, 62, 63, 64)가 프레임(10) 내에 드럼(30)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천장(C)에 복수의 와이어(40)를 통해 공중에 배치되는 리프터(1)의 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터(1)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리프터(1)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할 때, 통상의 건물의 실내 천장은 콘크리트 재질로 구성된 천장(C) 및 천장(C)의 하측에 천장(C)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텍스(T)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텍스(T) 부분에 제품(P), 특히 시스템 에어컨을 설치할 경우에, 먼저 복수의 와이어(40)의 타단(40b)에 연결되는 연결부재(46)를 천장(C)에 고정시킨다.
이후, 프레임(10)의 상면(13a)에 배치되는 안착부(15) 상에 설치하고자 하는 제품(P)을 배치한다.
그 다음으로, 구동부(100)의 모터(21)를 작동하여 드럼(30)을 회전시킨다. 이 때, 복수의 와이어(40)는 각각 복수의 수평 풀리(60) 및 복수의 수직 풀리(50)에 의해 천장(C)이 위치한 수직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된 상태에서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럼(30)에 의해 복수의 와이어(40)가 드럼(30)에 감기게 된다.
구체적으로, 드럼(1)이 회전함에 따라, 제1 와이어(41)는 제1 감김부(32a)에 감기게 되고, 제1 감김부(32a)에 감긴 제1 와이어(41)의 길이만큼 리프터(1)는 천장(C)이 위치한 방향(B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품(P)이 배치된 리프터(1)는 천장(C)이 위치한 상측 방향(B 방향)으로 텍스(T)에 인접하게 이동(상승)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와이어(40)는 복수의 감김부(32)에 각각 일정 간격 이격되어 감기게 되고, 복수의 와이어(40)는 상호 간섭 및 마찰 없이 복수의 감김부(32)에 각각 감김으로써 리프터(1)는 상측 방향(B)으로 천장(C)에 대해 평형을 유지한 채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리프터(1)가 안정적으로 상승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제품(P)은 천장(C)에 설치될 수 있다.
제품(P)이 천장(C)에 설치가 완료되면 구동부(100)의 모터(21)를 작동시키고 드럼(30)을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복수의 와이어(40)가 풀리도록 하여 리프터(1)는 하측 방향(C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럼(1)이 회전함에 따라, 제1 와이어(41)는 제1 감김부(32a)에서 풀리게 되고, 제1 감김부(32a)에서 풀린 제1 와이어(41)의 길이만큼 리프터(1)는 천장(C)과 멀어지는 방향(C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천장(C)에 연결된 연결부재(46)을 천장(C)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리프터(1)를 천장(C)과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상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리프터
20: 모터부
30: 드럼
40: 복수의 와이어
50: 복수의 수직 풀리
60: 복수의 수평 풀리

Claims (15)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감김부를 구비한 드럼; 및
    상기 복수의 감김부에 각각 감기도록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각각의 일단이 상기 복수의 감김부에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이 천장(ceiling)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리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코어; 및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감김부를 구획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는 리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프레임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중심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수직 풀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직 풀리는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상기 천장이 위치한 수직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시키는 리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김부는 제1 내지 제4 감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제1 내지 제4 감김부에 각각 감기는 제1 내지 제4 와이어를 포함하는 리프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브는 제1 내지 제5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감김부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5 리브들 중 인접한 두 개의 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리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직 풀리는 상기 프레임의 중심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된 제1 내지 제4 수직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와이어는 상기 제1 내지 제4 수직 풀리에 각각 감기는 리프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수직 풀리는 동일 평면상에 수평 배치되는 리프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상기 일단과 상기 복수의 수직 풀리 사이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수평 풀리를 더 포함하는 리프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평 풀리는 상기 드럼의 외주면과 각각 마주하는 제1 내지 제4 수평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수평 풀리는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상기 일단과 상기 제1 내지 제4 수직 풀리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와이어가 각각 감기는 리프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풀리는 상기 드럼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및 제4 수평 풀리는 상기 드럼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풀리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리프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수직 풀리의 각 회전축은 상기 천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수평 풀리의 각 회전축은 상기 제1 내지 제4 수직 풀리의 회전축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리프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김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감김부에 감기는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상기 코어를 향해 각각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리프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압부는 각각,
    상기 복수의 와이어와 접촉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복수의 가압부재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리프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에는 탄성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드럼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드럼의 축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하측 연장부와 연결되는 리프터.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천장과 마주하는 사각형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배치된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직 풀리는 상기 연장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모터부 및 상기 드럼은 상기 본체부의 중심부 하측에 배치된 리프터.
KR1020180041454A 2018-04-10 2018-04-10 리프터 KR102500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454A KR102500475B1 (ko) 2018-04-10 2018-04-10 리프터
PCT/KR2019/001605 WO2019198924A1 (ko) 2018-04-10 2019-02-11 리프터
US17/041,571 US11613450B2 (en) 2018-04-10 2019-02-11 Lifter
EP19785532.3A EP3747825A4 (en) 2018-04-10 2019-02-11 LIF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454A KR102500475B1 (ko) 2018-04-10 2018-04-10 리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288A true KR20190118288A (ko) 2019-10-18
KR102500475B1 KR102500475B1 (ko) 2023-02-17

Family

ID=68163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454A KR102500475B1 (ko) 2018-04-10 2018-04-10 리프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13450B2 (ko)
EP (1) EP3747825A4 (ko)
KR (1) KR102500475B1 (ko)
WO (1) WO20191989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3708A (ko) * 2021-06-29 2023-01-06 대한민국(국방부 해군참모총장) 체인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1788B (zh) * 2020-05-22 2021-07-02 重庆欧克斯防水保温工程有限公司 一种建材装卸用支撑装载装置
US11840432B2 (en) * 2021-03-20 2023-12-12 Seas Ii Day Llc Ceiling fixture accessibility device
CN113896100A (zh) * 2021-10-26 2022-01-07 胡丽敏 一种石油管道安装用吊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983A (ko) * 1993-03-16 1994-10-17 팩-칭 램 이동식 벽걸이 침대
JPH07315800A (ja) * 1994-05-31 1995-12-05 Tec Corp 電動昇降装置
JP3068873U (ja) * 1999-11-10 2000-05-26 株式会社アラマキテクニカ 自己巻上型昇降装置付蛍光灯器具
KR20010087778A (ko) * 2001-04-20 2001-09-26 김형철 승강가변식 침대의 승강장치
KR20140027789A (ko) * 2012-08-27 2014-03-07 이영덕 천장 고정식 리프트형 침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82358A (en) * 1926-12-30 1930-11-18 Demag Ag Winch drum
GB1388658A (en) * 1970-11-28 1975-03-26 Cargospeed Equip Means for elevating and lowering pallets cages and the like
US4611787A (en) * 1983-06-23 1986-09-16 Power Climber, Incorporated Efficient lightweight hoist with multiple-cable-size traction and safety systems
FR2599731A1 (fr) * 1986-06-04 1987-12-11 Mannesmann Ag Fixation de cable
SU1789500A1 (ru) * 1990-12-12 1993-01-23 Uk G P Kt I Ukrspetsmontazhpro Лeбeдka
JP3068873B2 (ja) * 1991-02-21 2000-07-24 川崎油工株式会社 油圧の昇圧、減圧回路の圧力オ−バ−シュ−ト抑制制御方法
JP2580436Y2 (ja) * 1991-11-29 1998-09-10 金子農機株式会社 長尺物の乾燥装置
FR2689415B3 (fr) * 1992-04-02 1994-07-01 Scenab Ab Treuil pour herses de scene de theatre.
KR940011339A (ko) 1992-11-05 1994-06-21 김철수 소형 기중기
DE4243595A1 (de) * 1992-12-22 1994-06-23 Mag Masch App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wickeln von Rundmaterial auf eine mit Endflanschen versehene Spule
US5361565A (en) * 1993-01-19 1994-11-08 Bayer Robert F Elevating system
JP2808068B2 (ja) 1993-06-29 1998-10-08 東芝機器株式会社 吊上げ装置
JP2914628B2 (ja) 1997-11-14 1999-07-05 日晴金属株式会社 重量物吊り上げ装置
US6254171B1 (en) * 1999-04-22 2001-07-03 Norco Industries, Inc. Slidable room assembly
US6435447B1 (en) * 2000-02-24 2002-08-20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Coil tubing winding tool
US6507962B2 (en) * 2001-05-29 2003-01-21 J. Andrew Thurston Ceiling mounted sleeping system
DE10350942B3 (de) * 2003-10-30 2005-06-02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Lösbare Befestigung eines Seiles an einer Seiltrommel
US7610636B2 (en) * 2004-07-01 2009-11-03 Actuant Corporation In-vehicle lift mechanism
US7527242B2 (en) * 2004-10-06 2009-05-05 Illinois Tool Works Inc. Ceiling-mounted elevating storage platform
US7325785B2 (en) * 2004-12-03 2008-02-05 The Design Society, Inc. Storage apparatus
JP2007046887A (ja) 2005-07-15 2007-02-22 Shiro Inoue 自在架台
KR100615383B1 (ko) * 2005-07-15 2006-08-28 주식회사 한일티앤씨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한 승강식 무대장치
JP4162247B2 (ja) 2005-12-09 2008-10-08 一博 新城 空調装置の室外機昇降装置
KR100902283B1 (ko) * 2007-10-23 2009-06-10 범아건설 주식회사 천정형 에어컨
SG154361A1 (en) * 2008-01-30 2009-08-28 Seow Tiong Bin A hoist
US7963505B2 (en) * 2008-08-28 2011-06-21 Taylor James E Self-contained self-elevating platform lift
US20110127477A1 (en) * 2009-06-01 2011-06-02 Matthew Paul Kokolis Hoist systems
JP5424916B2 (ja) * 2010-01-29 2014-02-26 三菱電機Fa産業機器株式会社 ロープホイスト
US8720811B2 (en) * 2011-03-07 2014-05-13 Stoneag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and dispensing a pressure hose
US8544823B2 (en) * 2012-02-10 2013-10-01 Trent Imberi Storage lift
US9150392B2 (en) * 2012-03-15 2015-10-06 Helmut K. Skyba Winch
KR101382208B1 (ko) 2012-04-04 2014-04-07 남성기 다중 링크식 자동차 리프트
CA2844269C (en) * 2013-02-27 2022-08-23 Jesse Urquhart Replaceably lined cable guides and tensioning roller for drill line slip and cut operations on a drilling rig
US9908754B2 (en) * 2014-04-04 2018-03-06 David R. Hall Intelligent motorized lifting device
CN103588131B (zh) * 2013-10-12 2017-04-19 沈阳建筑大学 一种八点同步自升降维修平台
US10549958B2 (en) * 2014-05-30 2020-02-04 Kito Corporation Rope hoist
KR101640982B1 (ko) 2014-06-18 2016-07-29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리프트 장치
JP5872642B2 (ja) * 2014-07-09 2016-03-0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揚重装置
US9527707B1 (en) * 2015-06-29 2016-12-27 Thomas T. Fehringer Lawn mower lift
WO2017020122A1 (en) * 2015-07-31 2017-02-09 Jesse Urquhart Cable guide for drill line slip and cut operations on a drilling rig and related method for achieving a tensioned state of the drill line
US10336590B2 (en) * 2016-02-24 2019-07-02 Hall Labs Llc Line traction for a motorized lifting/pulling device
JP6877201B2 (ja) * 2017-03-16 2021-05-26 住友重機械建機クレーン株式会社 クレーン
RU2668880C1 (ru) * 2018-01-10 2018-10-04 Владимир Горольдович Гримм Лебёдка
CN111606229B (zh) * 2020-04-24 2021-11-09 西安雷奥液压设备有限公司 一种车辆液压绞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983A (ko) * 1993-03-16 1994-10-17 팩-칭 램 이동식 벽걸이 침대
JPH07315800A (ja) * 1994-05-31 1995-12-05 Tec Corp 電動昇降装置
JP3068873U (ja) * 1999-11-10 2000-05-26 株式会社アラマキテクニカ 自己巻上型昇降装置付蛍光灯器具
KR20010087778A (ko) * 2001-04-20 2001-09-26 김형철 승강가변식 침대의 승강장치
KR20140027789A (ko) * 2012-08-27 2014-03-07 이영덕 천장 고정식 리프트형 침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3708A (ko) * 2021-06-29 2023-01-06 대한민국(국방부 해군참모총장) 체인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8924A1 (ko) 2019-10-17
US20210017004A1 (en) 2021-01-21
US11613450B2 (en) 2023-03-28
EP3747825A1 (en) 2020-12-09
EP3747825A4 (en) 2021-04-28
KR102500475B1 (ko) 2023-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8288A (ko) 리프터
US7243870B2 (en) Portable studio hoist
US9593481B2 (en) Wall-moun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positioning objects
US11473762B2 (en) Luminaire apparatus having air cleaner attached thereto, which is connected by wires and cables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JP2009533300A (ja) 昇降リールを備える昇降装置
US11840432B2 (en) Ceiling fixture accessibility device
JP5065390B2 (ja) 4本ワイヤー構造を持つ昇降リールのワイヤー絡み防止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昇降リール
KR101195976B1 (ko) 무대설비용 와이어 권취장치
US5297608A (en) Tilter mechanism
KR102687748B1 (ko) 공기조화기
JP6516798B2 (ja) 昇降装置
CN215717354U (zh) 辅助安装装置
KR20100013472A (ko) 드럼 좌우측에 안내롤러를 갖는 그릴 승하강장치
CN110980502B (zh) 一种机械式家居吊装系统及吊装方法
JP2000035247A (ja) 空気調和機
KR102076621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회전식 전동 행거
JP2014035999A (ja) 採光装置
KR101942409B1 (ko) 다양한 형태의 현장 시공이 가능한 무대설비용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대설비
KR20180015919A (ko) 접이식 테이블
KR20140060441A (ko) 선풍기 방향 조정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선풍기
WO2024059728A1 (en) Ceiling fixture accessibility device
KR200358014Y1 (ko) Tv의 위치조절장치, 및 위치조절장치가 장착된 tv
CA3212525A1 (en) Ceiling fixture accessibility device
JP4131738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N210399181U (zh) 一种升降式空调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