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995A - 게임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게임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995A
KR20190117995A KR1020180041047A KR20180041047A KR20190117995A KR 20190117995 A KR20190117995 A KR 20190117995A KR 1020180041047 A KR1020180041047 A KR 1020180041047A KR 20180041047 A KR20180041047 A KR 20180041047A KR 20190117995 A KR20190117995 A KR 20190117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sound
sound signal
commands
ma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현
기예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80041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7995A/ko
Publication of KR20190117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9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4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acoustic input signals, e.g. by using the results of pitch or rhythm extraction or voice recogn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63F13/87Communicating with other players during game play, e.g. by e-mail or cha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3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details of basic data processing
    • A63F2300/53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details of basic data processing for exchanging game data using a messaging service, e.g. e-mail, SMS, MMS

Abstract

게임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는 사운드 신호 획득부, 게임 서버로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한 분석을 요청하고,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게임 동작 확인부 및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내에서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게임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게임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게임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ME}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게임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초고속 데이터 통신망의 발달로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으며, 인터넷 이용의 확산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서비스 예를 들어, 메신저, 쇼핑몰, 게임 등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컨텐츠 서비스들 중에서도 특히, 게임 서비스 분야는 서비스의 개발 속도 및 보급 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많은 인터넷 사용자들이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게임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온라인 게임으로는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MMORPG: Massive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롤 플레잉 게임(RPG: Role Play Game), 보드 게임, 시뮬레이션 게임 등이 있다.
그 중, MMORPG나 RPG는 대부분 게임 내에서 제공되는 퀘스트를 수행하거나 몬스터와 같은 NPC(Non Player Character)를 사냥함으로써 아이템을 획득하고 사용자 캐릭터의 능력치를 상승시키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좋은 아이템을 획득하거나 사용자 캐릭터의 능력치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을 할애하여 사용자 캐릭터를 직접 조작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 없이 게임이 플레이 되도록 하는 자동 게임 모드가 도입되고 있다. 자동 게임 모드에서는 사용자 캐릭터가 게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몬스터 사냥, 아이템 획득, 퀘스트 수행 등을 수행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35584호 (2013.04.09. 공개)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는 사운드 신호 획득부, 게임 서버로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한 분석을 요청하고,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게임 동작 확인부 및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내에서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게임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게임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게임 동작은,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상기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일 수 있다.
상기 게임 동작 확인부는,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 상기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의 존재 여부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게임 서버로 상기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여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 상기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게임 동작의 수행이 완료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메시지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는,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각각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의 게이밍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게이밍 디바이스에서 획득된 사운드 신호에 대한 분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분석 요청된 사운드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사운드 분석부 및 상기 분석 요청된 사운드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상기 게이밍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게임 동작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 장치는,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각각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는 사운드 신호 획득부, 상기 사운드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사운드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게임 내에서 상기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게임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게임 동작의 수행이 완료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메시지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 게임 서버로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한 분석을 요청하는 동작,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내에서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게임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게임 동작은,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상기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일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 상기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의 존재 여부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게임 서버로 상기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동작 및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 상기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임 동작의 수행이 완료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에서 수행되는 게임 제어 방법은,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각각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 사용자의 게이밍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게이밍 디바이스에서 획득된 사운드 신호에 대한 분석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분석 요청된 사운드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분석 요청된 사운드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상기 게이밍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 방법은,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각각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사운드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운드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게임 내에서 상기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기 게임 동작의 수행이 완료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3 및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메시지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의 구성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 방법의 순서도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에서 수행되는 게임 제어 방법의 순서도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 방법의 순서도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에서 "게임"이란, 한 명 또는 그 이상의 게이머들이 게이밍 디바이스에 탑재되거나 연결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즐길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통상 플레이어 캐릭터를 직접 조작하거나, 게임 내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등의 방식으로 진행되며, 롤플레잉, 어드벤쳐, 아케이드 등으로 장르가 구분되기도 한다.
이하에서 "게이밍 디바이스"란 게임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되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연산을 수행하며, 출력장치를 통해 결과를 출력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랩탑(Laptop Computer), 게임 콘솔(Game Console), 스마트폰(Smart Phone), 타블렛(Tablet) PC, 스마트 밴드(Smart Band)나 스마트 와치(Smart Watch)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의 형태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정의를 만족하는 하드웨어라면 게이밍 디바이스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하에서 "온라인 게임"이란, 게임의 플레이를 위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야 하는 게임을 의미한다. 통상 원격지의 둘 이상의 게이밍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거나, 서버를 통해 동기화되어 즐기는 게임을 의미한다. 상기의 정의를 만족하는 것이라면 게임을 실행하는 게이밍 디바이스의 형태에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개인용 컴퓨터나 게임 콘솔에서 실행되는 게임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에서 실행되는 게임, 또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게이밍 디바이스(서로 다른 종류의 게이밍 디바이스도 포함한다)가 연동되거나 클라우드에서 실행되는 게임 또한 상기 정의를 만족하는 것이라면 온라인게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하에서 "입력장치(InputDevice)"란, 게이밍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예컨대, 조이스틱, 마우스, 키보드, 터치스크린, 하드웨어버튼 또는 스티어링 휠, 악기, 총, 장갑, 발판 등의 형태로 제조된 게임 조작 전용 입력장치를 들 수 있다. 이외에도 게이밍 디바이스에 탑재되거나 연동되는 각종 센서(온도센서, 적외선 센서, 모션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센서 등)나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실내 위치 확인 시스템(Indoor Positioning System)등의 위치 확인 수단 또한 입력장치의 일 예로 들 수 있다.
이하에서 "출력장치(OutputDevice)"란, 게이밍 디바이스의 연산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연산결과는 인간의 오감을 이용하여 인지될 수 있는 형태로 표시된다. 반드시 시각이나 청각적으로 표시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으며 후각적, 촉각적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예컨대, 스피커나 모니터,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와 같은 전형적인 하드웨어가 상기 정의를 만족하지만, 이외에도 3D 프린터와 같이 촉각적 형태로 출력하거나, 진동이나 향기, 바람을 발생시키는 장치 또한 출력장치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상기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는 게이밍 디바이스의 일 요소로서 게이밍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도 있고, 게이밍 디바이스와 별도의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게임 제어 시스템(100)은 게이밍 디바이스(110) 및 게임 서버(1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제어 시스템(100)은 게이밍 디바이스(110)에 설치되는 온라인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게이밍 디바이스(110)로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온라인 게임 애플리케이션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게임 서버(120)와 연동하여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게임 애플리케이션은 게임 서버(120)과 통신하면서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게임 관련 공지사항의 디스플레이, 게임 화면 처리, 사운드 효과 처리, 게임을 위한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 등 사용자 측에서 수행되어야 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게임 애플리케이션과 게임 서버(120) 사이의 역할 분담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게임 애플리케이션은 게임 서버(120)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온라인 게임 모드 및 게임 서버(120)과 연동 없이 동작하는 오프라인 게임 모드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하나의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게임 서버(120)는 게임의 배경이 되는 가상공간 정보, 게임 시나리오 정보, 게임 퀘스트 정보 등 게임 진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게이밍 디바이스(110)에 설치된 온라인 게임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게임의 진행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게임 제어 시스템(100)은 반드시 도 1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게임 제어 시스템(100)은 게이밍 디바이스(110)에 설치된 오프라인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오프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오프라인 게임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게임 서버(120)와 같은 외부 시스템과의 연동 없이 게이밍 디바이스(110) 내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 장치(200)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게임 제어 장치(200)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게이밍 디바이스(110)에 포함된 일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 장치(200)는 사운드 신호 획득부(210), 게임 동작 확인부(220) 및 게임 제어부(230)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제공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신호 획득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신호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사운드 신호 획득부(210)는 마이크와 같은 음성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사운드 신호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 휘파람, 박수 소리, 손가락의 마찰 소리 등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다양한 형태의 사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게임 동작 확인부(220)는 게임 서버(120)로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사운드 신호에 대한 분석을 요청하고, 게임 서버(120)로부터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게임 동작 확인부(220)는 게임 서버(120)로 사운드 신호가 게임 서버(120)에 저장된 사운드 명령과 일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분석을 요청할 수 있고,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이 존재하는 경우, 게임 서버(120)로부터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게임 동작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게임 내에서 실행될 수 있는 동작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게임 동작은 몬스터 공격, 아이템 획득, 아이템 사용, 물약 구매, 마법 사용, 특정 장소로 이동, 스킬 창 열기, 스킬 변경등과 같은 캐릭터의 동작뿐 아니라, 특정 메뉴에 대한 선택이나 게임 사운드 조절, 화면 밝기 조절과 같이 게임 설정을 위한 동작들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게임 동작은 반드시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게임의 장르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게임 동작은,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일 수 있다.
이때, 사운드 명령은 특정 게임 동작이 맵핑된 사운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사운드 명령 및 각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된 사운드 명령 및 각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은 게임 서버(120)로 제공되어 게임 서버(12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밍 디바이스(110)는 사용자에게 사운드 명령에 맵핑하기 위한 게임 동작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제공된 게임 동작의 리스트 중 특정 게임 동작을 선택하는 경우, 게이밍 디바이스(110)에서 사용자에게 사운드 명령을 입력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는 예를 들어, 마이크와 같은 음성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운드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 동작에 맵핑될 사운드 명령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운드 명령 및 각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을 설정하는 방식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동작 확인부(220)는 게임 서버(120)로부터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의 존재 여부에 대한 분석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게임 동작 확인부(220)는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게임 서버(120)로부터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의 존재 여부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동작 확인부(22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사운드 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복수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이 존재한다는 분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게임 동작 확인부(220)는 사운드 신호가 기 설정된 복수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분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동작 확인부(220)는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이 존재하는 경우, 게임 서버(120)로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여 게임 서버(120)로부터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게임 동작 확인부(220)는 게임 서버(120)로부터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이 존재한다는 분석을 수신한 경우, 게임 서버(120)로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이 어떠한 동작인지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고, 게임 서버(120)로부터 확인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게임 제어부(230)는 게임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내에서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게임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게임 제어부(230)는 게임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에 따라 게임 내에서 해당 게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시지 제공부(240)는 게임 제어부(230)에 의해 게임 동작의 수행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 제공부(24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텍스트나 청각적으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통해 게임 동작의 수행이 완료되었다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 및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메시지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운드 명령 예를 들어, 사용자의 박수 소리에 '물약 구매'라는 게임 동작이 맵핑된 것으로 가정하면, 메시지 제공부(240)는 사용자의 박수 소리에 따라 물약이 구매된 경우, 사용자에게 물약을 구매하였다는 알림 메시지를 텍스트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운드 명령 예를 들어, 사용자의 휘파람 소리에 '하이네 마을로 이동'이라는 게임 동작이 맵핑된 것으로 가정하면, 메시지 제공부(240)는 사용자의 휘파람 소리에 따라 사용자의 캐릭터가 하이네 마을로 이동된 경우, 사용자에게 하이네 마을로 이동하였다는 알림 메시지를 텍스트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120)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120)는 저장부(121), 사운드 분석부(123) 및 게임 동작 정보 제공부(125)를 포함한다.
저장부(121)는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및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각각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21)는 게이밍 디바이스(11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사운드 명령 및 해당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운드 분석부(123)는 사용자의 게이밍 디바이스(110)로부터 게이밍 디바이스(110)에서 획득된 사운드 신호에 대한 분석 요청을 수신하고, 분석 요청된 사운드 신호가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사운드 분석부(123)는 게이밍 디바이스(110)로부터 사운드 신호가 저장부(121)에 저장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사운드 명령과 일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분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운드 분석부(123)는 분석 요청을 수신한 이후 저장부(121)에 저장된 사용자의 사운드 명령 중 게이밍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한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게임 동작 정보 제공부(125)는 분석 요청된 사운드 신호가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게이밍 디바이스(11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게임 동작 정보 제공부(125)는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이 존재하는 경우,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을 확인하여 확인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게이밍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동작 정보 제공부(125)는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의 존재 여부에 대한 분석 결과를 게이밍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게임 동작 정보 제공부(125)는 분석 결과 전송 이후, 게이밍 디바이스(110)로부터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확인 요청이 수신된 경우, 확인 요청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게이밍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 장치(600)의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게임 제어 장치(600)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게이밍 디바이스(110)에 포함된 일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 장치(600)는 저장부(610), 사운드 신호 획득부(620), 사운드 분석부(630) 및 게임 제어부(640)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제공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610)는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각각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사운드 명령은 특정 게임 동작이 맵핑된 사운드 신호일 수 있으며, 사운드 명령 및 각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사운드 신호 획득부(620)는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신호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사운드 신호 획득부(620)는 마이크와 같은 음성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운드 분석부(63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사운드 신호가 저장부(610)에 저장된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사운드 분석부(6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운드 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복수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운드 분석부(630)는 사운드 신호가 기 설정된 복수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게임 제어부(640)는 사운드 신호가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게임 내에서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게임 제어부(640)는 사운드 신호가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제어부(640)는 확인된 게임 동작의 정보에 따라 게임 내에서 해당 게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제공부(650)는 게임 제어부(640)에 의해 게임 동작의 수행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제공부(65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텍스트나 청각적으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통해 게임 동작의 수행이 완료되었다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게임 제어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게임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부터 사운드 신호를 획득한다(710).
이후, 게임 제어 장치(200)는 게임 서버(120)로 사운드 신호에 대한 분석을 요청한다(720).
이후, 게임 제어 장치(200)는 게임 서버(120)로부터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730).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게임 동작은,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상기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제어 장치(200)는 게임 서버(120)로부터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의 존재 여부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제어 장치(200)는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이 존재하는 경우, 게임 서버(120)로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제어 장치(200)는 게임 서버(120)로부터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게임 제어 장치(200)는 게임 서버(120)로부터 수신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내에서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게임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740).
이후, 게임 제어 장치(200)는 게임 동작의 수행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750).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120)에서 수행되는 게임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게임 서버(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게임 서버(120)는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및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각각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810).
이후, 게임 서버(120)는 사용자의 게이밍 디바이스(110)로부터 게이밍 디바이스(110)에서 획득된 사운드 신호에 대한 분석 요청을 수신한다(820).
이후, 게임 서버(120)는 분석 요청된 사운드 신호가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830).
이후, 게임 서버(120)는 분석 요청된 사운드 신호가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840),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게이밍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850).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게임 제어 장치(6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게임 제어 장치(600)는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및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각각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910).
이후, 게임 제어 장치(6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신호를 획득한다(920).
이후, 게임 제어 장치(600)는 사운드 신호가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한다(930).
이후, 게임 제어 장치(600)는 사운드 신호가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940), 게임 내에서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950).
이후, 게임 제어 장치(600)는 상기 게임 동작의 수행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960).
한편,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순서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게임 제어 장치(200, 및 600) 또는 게임 서버(12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기술적 특징들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고, 권리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권리범위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게임 제어 시스템
110: 게이밍 디바이스
120: 게임 서버
121, 610: 저장부
123, 630: 사운드 분석부
125: 게임 동작 정보 제공부
200, 600: 게임 제어 장치
210, 620: 사운드 신호 획득부
220: 게임 동작 확인부
230, 640: 게임 제어부
240, 650: 메시지 제공부

Claims (14)

  1.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는 사운드 신호 획득부;
    게임 서버로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한 분석을 요청하고,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게임 동작 확인부; 및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내에서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게임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게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게임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게임 동작은,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상기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인 게임 제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게임 동작 확인부는,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 상기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의 존재 여부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게임 서버로 상기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여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 상기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게임 제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임 동작의 수행이 완료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메시지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게임 제어 장치.
  5.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각각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의 게이밍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게이밍 디바이스에서 획득된 사운드 신호에 대한 분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분석 요청된 사운드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사운드 분석부; 및
    상기 분석 요청된 사운드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상기 게이밍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게임 동작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게임 서버.
  6.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각각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는 사운드 신호 획득부;
    상기 사운드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사운드 분석부; 및
    상기 사운드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게임 내에서 상기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게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게임 제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게임 동작의 수행이 완료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메시지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게임 제어 장치.
  8.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
    게임 서버로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한 분석을 요청하는 동작;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내에서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게임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게임 제어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게임 동작은,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상기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인 게임 제어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 상기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의 존재 여부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사운드 신호와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게임 서버로 상기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동작; 및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 상기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게임 제어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게임 동작의 수행이 완료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게임 제어 방법.
  12. 게임 서버에서 수행되는 게임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각각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
    사용자의 게이밍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게이밍 디바이스에서 획득된 사운드 신호에 대한 분석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분석 요청된 사운드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분석 요청된 사운드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상기 게이밍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게임 제어 방법.
  13.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각각에 맵핑된 게임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사운드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운드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명령 중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게임 내에서 상기 일치하는 사운드 명령에 맵핑된 게임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게임 제어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게임 동작의 수행이 완료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게임 제어 방법.
KR1020180041047A 2018-04-09 2018-04-09 게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1179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047A KR20190117995A (ko) 2018-04-09 2018-04-09 게임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047A KR20190117995A (ko) 2018-04-09 2018-04-09 게임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995A true KR20190117995A (ko) 2019-10-17

Family

ID=68424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047A KR20190117995A (ko) 2018-04-09 2018-04-09 게임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799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5584A (ko) 2011-09-30 2013-04-09 주식회사 드래곤플라이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5584A (ko) 2011-09-30 2013-04-09 주식회사 드래곤플라이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3159344A (ja) ゲーム内位置ベースのゲームプレイコンパニオンアプリケーション
US9751019B2 (en) Input methods and devices for music-based video games
KR20190078196A (ko) 게임 객체 선택 장치 및 방법
KR20220011872A (ko) 게임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20200080978A (ko) 게임 화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059662A (ko)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7343355B2 (ja) ゲーム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102584901B1 (ko) 이벤트 정보 송신 장치 및 방법, 이벤트 정보 출력 장치 및 방법
KR20190117995A (ko) 게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609293B1 (ko) 게임 동작 결정 장치 및 방법
KR102557808B1 (ko)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메모 공유 방법
KR20190127308A (ko) 게임 동작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2170825B1 (ko) 게임 제어 장치 및 방법
JP6959267B2 (ja) 場所ベースゲームプレイコンパニオンアプリケーションを使用するチャレンジの生成
KR102279845B1 (ko) 캐릭터 명칭 추천 방법 및 장치
KR102141477B1 (ko) 게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11564B1 (ko)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63571B1 (ko) 게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96856B1 (ko) 게임 매칭 장치 및 방법
KR102152231B1 (ko) 게임 서버 정보 제공 장치
KR20190118273A (ko) 게임 내 예약 기능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127301A (ko)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영상 제공 방법
KR20200117390A (ko) 메신저 친구 정보 제공 방법 및 컴퓨팅 장치
KR20220161882A (ko) 퀘스트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078141A (ko)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